KR101763003B1 -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와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와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003B1
KR101763003B1 KR1020140109696A KR20140109696A KR101763003B1 KR 101763003 B1 KR101763003 B1 KR 101763003B1 KR 1020140109696 A KR1020140109696 A KR 1020140109696A KR 20140109696 A KR20140109696 A KR 20140109696A KR 101763003 B1 KR101763003 B1 KR 101763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engine
variabl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2625A (ko
Inventor
신이치 가와다
나오키 고쿠보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2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5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bevel or epicyclic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56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making the angular relationship oscillate, e.g. non-homokinetic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9/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 F01L9/2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by 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9/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 F01L9/40Methods of operation thereof; Control of valve actuation, e.g. duration or lift
    • F01L2009/408Engine starting
    • F01L2009/4084Cold st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6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crankshafts or connecting rods with lubricant passageways, e.g. bores
    • F01M2001/064Camshaft with passag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모터로의 통전에 의한 발열을 이용하여 윤활유의 점성을 저하시켜, 저온 시동시의 가변 밸브 장치의 작동 응답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위상 변경 기구(4)의 전동 모터(12)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따라서 작동하는 캠 샤프트(2)를 가지며, 감속 기구(8)에는 윤활유가 공급됨과 함께, 캠 샤프트의 상대 회전 위치에 따라서 흡기 밸브의 개폐 타이밍을 변경하는 가변 밸브 장치로서, 기관의 온도가 정해진 온도보다 낮은 저온 시동시에는, 먼저 시동 징후 검출 회로(57)에 의해 기관 시동의 징후가 검출된 시점부터 크랭킹이 시작되기까지의 동안에, 컨트롤 유닛(56)으로부터 전동 모터의 코일(18)에 정해진 시간 통전을 계속하여 코일을 발열시키도록 했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와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CONTROLLER FOR VARIABLE VALVE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VARIABLE VALVE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흡기 밸브나 배기 밸브의 작동 특성을 제어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와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동 모터의 구동 회전력에 의해 흡기 밸브나 배기 밸브의 개폐 타이밍을 제어하는 가변 밸브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본 출원인이 앞서 출원한 이하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변 밸브 장치는, 전동 모터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편심 캠과 내측 톱니 및 그 양자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를 갖는 감속 기구를 통해 캠 샤프트에 전달함으로써, 예컨대 흡기 밸브의 개폐 타이밍을 기관 운전 상태에 따라서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전동식 가변 밸브 장치의 감속 기구의 내부에는, 상기 각 구성 부재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내연기관의 각 슬라이딩부를 윤활하는 윤활유가 공급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45036호 공보
상기 공보에 기재된 상기 감속 기구에는, 기관의 재시동시에, 각 롤러와 접촉부 사이를 윤활할 필요가 있어, 기관 정지시에 어느 정도의 윤활유를 체류시켜 놓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관의 정지중에 저온으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윤활유의 점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기관의 재시동시에, 상기 윤활유의 높은 점도에 기인하여 감속 기구 등의 작동 응답성이 악화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기관 시동 직전에 전동 모터에 통전하고, 그 발열을 이용하여 윤활유의 점성을 저하시켜, 가변 밸브 장치의 작동 응답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원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전동 모터로부터 이 전동 모터에 인접한 감속 기구를 통해 전달된 동력에 따라서 작동하는 출력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감속 기구에는 윤활유가 공급됨과 함께, 상기 출력 부재의 작동에 따라서 기관 밸브의 작동 특성을 변경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에 이용되는 전동 모터의 컨트롤러로서, 상기 내연기관의 온도가 정해진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기관 시동의 징후가 검출된 시점부터 크랭킹이 시작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전동 모터에 정해진 시간 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관 시동 직전의 감속 기구 내의 윤활유의 점성을 저하시킴으로써, 시동시의 가변 밸브 장치의 작동 응답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가변 밸브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주요 구성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작동을 나타내는 타임챠트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와 종래 기술의 윤활유 온도와 마찰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 및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이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가변 밸브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연기관의 크랭크 샤프트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 회전체인 타이밍 스프로켓(1)과, 실린더 헤드(40) 상에 베어링(4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타이밍 스프로켓(1)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캠 샤프트(2)와, 체인 커버(49)에 고정된 커버 부재(3)에 덮여, 기관 운전 상태에 따라서 상기 타이밍 스프로켓(1)에 대한 캠 샤프트(2)의 상대 회전 위상을 변경하는 위상 변경 기구(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타이밍 스프로켓(1)은, 전체가 철계 금속에 의해 환형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내주면이 단차진 직경형인 스프로켓 본체(1a)와, 그 스프로켓 본체(1a)의 외주에 일체로 마련되어, 감겨 있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밍 체인을 통해 크랭크 샤프트로부터의 회전력을 받는 기어부(1b)와, 상기 스프로켓 본체(1a)의 전단측에 일체로 마련된 내치(內齒) 맞물림부인 내치 구성부(19)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타이밍 스프로켓(1)은, 스프로켓 본체(1a)와, 상기 캠 샤프트(2)의 전단부에 마련된 후술하는 출력 부재인 종동 부재(9) 사이에, 베어링인 하나의 대직경 볼 베어링(43)이 개재되어 있고, 이 대직경 볼 베어링(43)에 의해 타이밍 스프로켓(1)과 상기 캠 샤프트(2)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대직경 볼 베어링(43)은, 외륜(43a)과, 내륜(43b) 및 그 양 륜(43a, 43b) 사이에 개재된 볼(43c)로 구성되고, 상기 외륜(43a)이 스프로켓 본체(1a)의 내주측에 고정되어 있는 데 비해 내륜(43b)이 후술하는 종동 부재(9)의 외주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외륜(43a)은, 그 내주면(43d)측이 외부와 연통된 개방부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상기 내주면(43d)의 위치가 후술하는 편심 캠 기구의 일부인 중직경 볼 베어링(47)의 외륜(47b)의 외주면의 최대 편심 궤적보다 외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스프로켓 본체(1a)는, 내주측에, 상기 캠 샤프트(2)측으로 개구된 원환 홈형상의 외륜 고정부(60)가 절결 형성되어 있다.
이 외륜 고정부(60)는 단차 직경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대직경 볼 베어링(43)의 외륜(43a)이 축방향으로부터 압입되고, 그 외륜(43a)의 축방향 일방측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내치 구성부(19)는 상기 스프로켓 본체(1a)의 전단부에 일체로 마련되며, 위상 변경 기구(4)의 전동 모터(12) 방향으로 연장된 비교적 두꺼운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내주에는 파형의 복수의 내측 톱니(19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치 구성부(19)의 전단측에는, 후술하는 하우징(5)과 일체의 원환형의 암나사 형성부(6)가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프로켓 본체(1a)의 내치 구성부(19)와 축방향 반대측의 후단부에는 원환형의 유지 플레이트(6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유지 플레이트(61)는, 금속 판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경이 상기 스프로켓 본체(1a)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내주부(61a)가 상기 외륜(43a)의 축방향의 외단면(43e)에 대하여 작은 압박력에 의해 축방향으로부터 접촉하여 위치 결정되고 있다. 또한, 내주부(61a)의 내주 가장자리의 정해진 위치에는, 직경 방향 내측, 즉 중심축방향을 향해서 돌출된 스토퍼 볼록부(61b)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 스토퍼 볼록부(61b)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부채형으로 형성되며, 선단 가장자리(61c)가 후술하는 스토퍼 홈(2b)의 원호형 내주면을 따르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지 플레이트(61)의 외주부에는, 상기 각 볼트(7)가 삽입 관통하는 6개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61e)이 둘레 방향의 등간격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로켓 본체(1a)(내치 구성부(19)) 및 유지 플레이트(61)의 각각의 외주부에는, 각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1c, 61e)이 둘레 방향의 거의 등간격 위치에 6개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암나사 형성부(6)에는, 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1c, 61e)과 대응한 위치에 6개의 암나사 구멍(6a)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삽입 관통한 6개의 볼트(7)에 의해 상기 타이밍 스프로켓(1)과 유지 플레이트(61) 및 하우징(5)이 축방향으로부터 함께 체결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스프로켓 본체(1a)와 내치 구성부(19)가 후술하는 감속 기구(8)의 케이싱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로켓 본체(1a)와 상기 내치 구성부(19), 유지 플레이트(61) 및 암나사 형성부(6)는, 각각의 외경이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체인 커버(49)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40)와 실린더 블럭의 전단측에 상기 타이밍 스프로켓(1)에 감겨 있는 도시하지 않은 체인을 덮도록 상하방향을 따라서 배치 고정되고, 상기 위상 변경 기구(4)에 대응한 위치에 개구부(49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개구부(49a)를 구성하는 환형벽(49b)의 원주 방향의 4개소에 보스부(49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환형벽(49b)으로부터 각 보스부(49c)의 내부에 걸쳐 암나사 구멍(49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 부재(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재에 의해 컵형으로 일체로 형성된 팽출형의 커버 본체(3a)와, 이 커버 본체(3a)의 개구측의 외주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된 원환형의 부착 플랜지(3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 본체(3a)는 상기 하우징(5)의 전단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고, 외주부측에는 원통벽(3c)이 축방향을 따라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벽(3c)은, 내부에 후술하는 브러시 유지체(28)를 유지하는 유지용 구멍(3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 플랜지(3b)는, 원주 방향의 거의 등간격 위치에 돌출된 4개의 돌기(3e)에 각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3g)이 관통 형성되고, 이 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3g)에 삽입 관통한 볼트(54)에 의해, 상기 체인 커버(49)에 형성된 각 암나사 구멍(49d)을 통해 커버 부재(3)가 체인 커버(49)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본체(3a)의 외주측의 단차부 내주면과 상기 하우징(5)의 외주면 사이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직경의 오일 시일(50)이 개재되어 있다. 이 대직경 오일 시일(50)은, 횡단면이 거의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합성 고무의 기재의 내부에 코어가 매설되어 있고, 외주측의 원환형 베이스부가 상기 커버 부재(3)의 내주면에 마련된 단차 원환부(3f)에 끼워맞춰 고정되어 있다. 이 대직경 오일 시일(50)에 의해, 상기 스프로켓(1) 등의 회전 구동중에 비산된 윤활유가, 후술하는 전동 모터(12) 내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5)은, 철계 금속재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통형상부인 하우징 본체(5a)와, 이 하우징 본체(5a)의 전단 개구를 밀봉하는 합성 수지의 비자성재로 이루어진 밀봉 플레이트(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5a)는 후단측에 원판형의 격벽(5b)을 가지며, 그 격벽(5b)의 거의 중앙에 후술하는 편심 축부(39)를 삽입 관통하는 대직경의 축부 삽입 관통 구멍(5c)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축부 삽입 관통 구멍(5c)의 구멍 가장자리에는 커버 부재(3) 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연장부(5d)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격벽(5b)은 비교적 얇게 형성되며, 후술하는 전동 모터(12)의 코일(18)의 축방향의 일방측을 덮도록 단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전단면 외주측에 두꺼운 원환형의 암나사 형성부(6)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캠 샤프트(2)는, 외주에 도시하지 않은 흡기 밸브를 개방 작동시키는 1기통당 2개의 회전 캠을 갖고 있고, 전단부에 상기 플랜지부(2a)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 캠은 일반적인 난(卵)형이며, 밸브 리프터를 통해 상기 흡기 밸브를 밸브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개방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2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경이 후술하는 종동 부재(9)의 고정단부(9a)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각 구성 부품의 조립후에, 전단면의 외주부가 상기 대직경 볼 베어링(43)의 내륜(43b)의 축방향 외단면에 접촉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단면이 종동 부재(9)에 축방향으로부터 접촉한 상태로 캠 볼트(10)에 의해 축방향으로부터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2a)의 외주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지 플레이트(61)의 스토퍼 볼록부(61b)가 걸리는 스토퍼 오목홈(2b)이 원주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 오목홈(2b)은 원주 방향으로 정해진 길이의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이 길이 범위에서 회동한 스토퍼 볼록부(61b)의 양끝 가장자리가 둘레 방향의 대향 가장자리(2c, 2d)에 각각 접촉함으로써, 타이밍 스프로켓(1)에 대한 캠 샤프트(2)의 최대 진각(辰角)측 혹은 최대 지각(遲角)측의 상대 회전 위치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스토퍼 볼록부(61b)는, 상기 유지 플레이트(61)의 대직경 볼 베어링(43)의 외륜(43a)을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누르는 내주부(61a)보다 캠 샤프트(2)의 회전 캠측으로 절곡 편향되어, 상기 종동 부재(9)의 고정단부(9a)와는 비접촉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 볼록부(61b)와 고정단부(9a)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볼록부(61b)와 스토퍼 오목홈(2b)에 의해 스토퍼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캠 볼트(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10a)의 축부(10b)측의 단면(10c)이 후술하는 소직경 볼 베어링(37)의 내륜에 축방향으로부터 접촉하고 있고, 축부(10b)의 외주에 상기 캠 샤프트(2)의 단부로부터 내부 축방향으로 형성된 암 나사부에 나사식으로 장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동 부재(9)는, 철계 금속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측에 형성된 원판형의 고정단부(9a)와, 그 고정단부(9a)의 내주 전단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된 원통부(9b)와, 상기 고정단부(9a)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의 롤러(48)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인 원통형의 유지기(4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단부(9a)는, 후단면이 상기 캠 샤프트(2)의 플랜지부(2a)의 전단면에 접촉 배치되고, 상기 캠 볼트(10)의 축력에 의해 플랜지부(2a)에 축방향으로부터 압접 고정되어 있다.
상기 원통부(9b)는, 중앙에 상기 캠 볼트(10)의 축부(10b)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9d)이 관통 형성됨과 함께, 외주측에 니들 베어링(3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지기(41)는, 도 1∼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단부(9a)의 외주부 전단으로부터 종단면이 거의 횡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9b)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기(41)의 통형상 선단부(41a)는, 상기 암나사 형성부(6)와 상기 연장부(5d) 사이에 형성된 원환형의 오목부인 공간부(44)를 통해 하우징(5)의 격벽(5b)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 선단부(41a)의 둘레 방향의 거의 등간격 위치에, 상기 복수의 롤러(48)를 각각 구를 수 있게 유지하는 롤러 유지부인 거의 직사각형의 복수의 롤러 유지 구멍(41b)이 둘레 방향의 등간격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롤러 유지 구멍(41b)(롤러(48))은 그 전체 갯수가 상기 내치 구성부(19)의 내측 톱니(19a)의 전체 톱니 갯수보다 1개 적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부(9a)의 외주부와 유지기(41)의 저부측 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대직경 볼 베어링(43)의 내륜(43b)을 고정하는 내륜 고정부(63)가 절결 형성되어 있다.
이 내륜 고정부(63)는 상기 외륜 고정부(60)와 직경 방향으로부터 대향한 단차형으로 절결 형성되며, 캠 샤프트축 방향으로 연장된 원환형의 외주면과, 이 외주면의 상기 개구와 반대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직경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제2 고정 단차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주면에는 대직경 볼 베어링(43)의 내륜(43b)이 축방향으로부터 압입되고, 상기 제2 고정 단차면에는 압입된 상기 내륜(43b)의 내단면이 접촉하여 축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뤄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위상 변경 기구(4)는, 상기 캠 샤프트(2)의 거의 동축상 전단측에 배치된 상기 전동 모터(12)와, 이 전동 모터(12)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여 캠 샤프트(2)에 전달하는 감속 기구(8)로 구성되고, 상기 전동 모터(12)와 상기 감속 기구(8)는 인접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동 모터(12)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드 DC 모터(brushed DC motor)로서, 상기 타이밍 스프로켓(1)과 일체로 회전하는 요크인 상기 하우징 본체(5a)와, 그 하우징 본체(5a)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모터 출력축(13)과, 하우징 본체(5a)의 내주면에 고정된 스테이터인 반원호형의 한쌍의 영구 자석(14, 15)과, 상기 밀봉 플레이트(11)에 고정된 고정자(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모터 출력축(13)은, 단차가 진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기자로서 기능하며, 축방향의 거의 중앙 위치에 형성된 단차부(13c)를 통해 캠 샤프트(2)측의 대직경부(13a)와, 브러시 유지체(28)측의 소직경부(13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대직경부(13a)의 외주에는, 철심 로터(17)가 고정되어 있고, 그 대직경부(13a)의 선단부에 편심 축부(39)가 축방향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소직경부(13b)의 외주에는, 원환 부재(20)가 압입 고정되어 있고, 그 원환 부재(20)의 외주면에 정류자(21)가 축방향으로부터 압입 고정되어 상기 단차부(13c)의 축방향 단면에 의해 축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져 있다. 상기 원환 부재(20)는, 그 외경이 상기 대직경부(13a)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축방향의 길이가 소직경부(13b)보다 약간 짧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소직경부(13b)의 내주면에는 마개(55)가 압입 고정되어 있고, 이 마개(55)는 모터 출력축(13)이나 편심 축부(39) 내에 공급되어 상기 각 베어링(37, 38)을 윤활하기 위한 윤활유가 상기 전동 모터(12) 내에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철심 로터(17)는 복수의 자극을 갖는 자성재에 의해 형성되며, 외주측이 코일(18)의 코일선을 감는 슬롯을 갖는 보빈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코일(18)은, 상기 격벽(5b)의 오목부 내에 끼워맞춘 형태로 그 격벽(5b)에 충분히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정류자(21)는 도전재에 의해 원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철심 로터(17)의 극수와 동수로 분할된 각 세그멘트에 상기 코일(18)이 인출된 도시하지 않은 코일선의 단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내주측에 형성된 접음부에, 코일선의 단말 선단을 끼워 넣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영구 자석(14, 15)은 전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자극을 갖고 있고, 그 축방향의 위치가 상기 철심 로터(17)의 고정 위치보다 전방으로 오프셋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영구 자석(14, 15)의 전단부가 직경 방향에서 상기 정류자(21)나 고정자(16)의 후술하는 제1 브러시(25a, 25b) 등과 오버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자(1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밀봉 플레이트(11)의 내주측에 일체적으로 마련된 원판형의 수지 플레이트(22)와, 이 수지 플레이트(22)의 내측에 마련된 한쌍의 수지 홀더(23a, 23b)와, 이 각 수지 홀더(23a, 23b)의 내부에 직경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고 코일 스프링(24a, 24b)의 스프링력으로 각 선단면이 상기 정류자(21)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으로부터 탄성 접촉하는 전환 브러시(정류자)인 한쌍의 제1 브러시(25a, 25b)와, 상기 수지 홀더(23a, 23b)의 전단면에, 각 외단면을 노출한 상태로 매설 고정된 내외 이중의 원환형의 슬립 링(26a, 26b)과, 상기 각 제1 브러시(25a, 25b)와 각 슬립 링(26a, 26b)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피그테일 하네스(27a, 27b)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슬립 링(26a, 26b)이 급전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제1 브러시(25a, 25b)나 정류자(21), 피그테일 하네스(27a, 27b) 등이 통전 전환 수단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밀봉 플레이트(11)는, 상기 하우징(5)의 전단부 내주에 형성된 오목형 단차부에 코킹에 의해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또한, 중앙 위치에는, 모터 출력축(13)의 일단부 등이 삽입 관통되는 축삽입 관통 구멍(1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 본체(3a)에는, 합성 수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몰드된 급전 기구인 브러시 유지체(28)가 고정되어 있다. 이 브러시 유지체(28)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거의 L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지용 구멍(3c)에 삽입되는 거의 원통형의 브러시 유지부(28a)와, 이 브러시 유지부(28a)의 상단부에 구비된 커넥터부(28b)와, 상기 브러시 유지부(28a)의 양측에 일체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 본체(3a)에 고정되는 한쌍의 브래킷부(28c, 28c)와, 상기 브러시 유지체(28)의 내부에 대부분이 매설된 한쌍의 단자편(31, 31)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단자편(31, 31)은, 상하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크랭크형으로 형성되고, 일방측(하단측)의 각 단자(31a, 31a)가 상기 브러시 유지부(28a)의 저부측에 노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한편, 타방측(상단측)의 각 단자(31b, 31b)가 상기 커넥터부(28b)의 암형 감합홈(28d) 내에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타방측 단자(31b, 31b)는 도시하지 않은 수형 단자를 통해 배터리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브러시 유지부(28a)는, 거의 수평 방향(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의 상하 위치에 형성된 원기둥형의 관통 구멍 내에 슬리브형의 슬라이딩부(29a, 29b)가 고정되어 있고, 그 각 슬라이딩부(29a, 29b)의 내부에, 각 선단면이 상기 각 슬립 링(26a, 26b)에 축방향으로부터 각각 접촉하는 제2 브러시(30a, 30b)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 각 제2 브러시(30a, 30b)는 거의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각 관통 구멍의 저부측에 면하는 상기 일방측 단자(31a, 31a)와의 사이에 탄성 장착된 제2 코일 스프링(32a, 32b)의 스프링력에 의해 각각 상기 각 슬립 링(26a, 26b)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브러시(30a, 30b)의 후단부와 상기 일방측 단자(31a, 31a) 사이에는, 가요성을 갖는 한쌍의 피그테일 하네스(33a, 33b)가 용접 고정되어, 상기 양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 피그테일 하네스(33a, 33b)는, 그 길이가 상기 제2 브러시(30a, 30b)가 상기 각 코일 스프링(32a, 32b)에 의해 최대로 진출했을 때에, 상기 각 슬라이딩부(29a, 29b)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그 최대 슬라이딩 위치를 규제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 유지부(28a)의 베이스부측 외주에 형성된 원환형의 끼워맞춤 홈 내에, 고리형 시일 부재(34)가 끼워맞춰 유지되어 있고, 상기 브러시 유지부(28a)가 상기 유지용 구멍(3c)에 삽입 관통되었을 때에, 상기 시일 부재(34)가 상기 원통벽(3b)의 선단면에 탄성 접촉하여 브러시 유지부(28a) 내를 시일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부(28b)는, 상단부에 도시하지 않은 수형 단자가 삽입되는 전술한 끼워맞춤 홈(28d)에 면한 상기 타방측 단자(31b, 31b)가 상기 수형 단자를 통해 컨트롤러인 컨트롤 유닛(5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부(28c, 28c)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양측부에 볼트 삽입 관통 구멍(28e, 28e)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28e, 28e)에는, 상기 커버 본체(3a)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한쌍의 암나사 구멍에 나사식으로 장착되는 각 볼트가 삽입 관통되어 각 브래킷부(28c, 28c)를 통해 상기 브러시 유지체(28)가 커버 본체(3a)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모터 출력축(13)과 편심 축부(39)는, 상기 캠 볼트(10)의 헤드부(10a)측의 축부(10b)의 외주면에 설치된 소직경 볼 베어링(37)과, 상기 종동 부재(9)의 원통부(9b)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소직경 볼 베어링(37)의 축방향측부에 배치된 상기 니들 베어링(3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소직경 볼 베어링(37)은, 내륜(37a)이 상기 종동 부재(9)의 원통부(9b)의 단차형 전단 가장자리와 캠 볼트(10)의 헤드부 단면(10c) 사이에 끼인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한편, 외륜(37b)이 상기 모터 출력축(13)의 단차부(13c) 부근의 외주면에 압입 고정됨과 함께, 상기 단차부(13c)의 내측 단차면에 접촉하여 축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니들 베어링(38)은, 편심 축부(39)의 내주면에 압입된 원통형의 리테이너(38a)와, 이 리테이너(38a)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복수의 전동체인 니들 롤러(38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38a)는 축방향 일단이 소직경 볼 베어링(37)의 외륜(37b)의 대향측면에 접촉하고 있는 한편, 니들 롤러(38b)는 상기 종동 부재(9)의 원통부(9b)의 외주면을 구르고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출력축(13)(편심 축부(39))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5)의 연장부(5d)의 내주면 사이에는, 감속 기구(8)의 내부로부터 전동 모터(12) 내에 윤활유가 누설되는 것을 저지하는 소직경의 오일 시일(4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소직경 오일 시일(46)은, 상기 연장부(5d) 내주에 고정된 베이스부(46a)와, 그 베이스부(46a)의 내주부에 일체로 마련되고, 내주가 상기 모터 출력축(13)의 대직경부(13a)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한 시일부(46b)와, 이 시일부(46b)를 대직경부(13a)의 외주면 방향으로 압박하는 백업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소직경 오일 시일(46)은, 상기 연장부(5d)를 통해 상기 코일(18)에 축방향으로부터 충분히 근접 배치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 유닛(56)은, 도시하지 않은 크랭크각 센서나 에어 플로우미터, 기관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 센서, 기관의 오일 온도를 검출하는 오일 온도 센서 및 액셀레이터 개방도 센서 등 각종 센서류로부터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의 기관 운전 상태를 검출하여 기관 제어를 행하고, 상기 커넥터 단자(31b)나 제2 브러시(30a, 30b) 등을 통해 코일(18)에 제어 전류를 출력하여 모터 출력축(13)의 회전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컨트롤 유닛(56)은, 예컨대 차량 도어의 록 해제 상태를 검출하는 시동 징후 검출 수단으로서의 시동 징후 검출 회로(57)를 갖고 있다.
이 시동 징후 검출 회로(57)는, 기관 정지후에, 상기 수온 센서에서 검출한 기관 수온이 정해진 온도 이하의 저온 상태에 있을 때에, 도어 록의 해제 조작이 행해지면, 이 해제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전동 모터(12)의 코일(18)에 통전을 시작하여, 크랭킹이 시작하기까지의 동안 통전을 계속하도록 되어 있다.
또, 시동 징후 검출 회로(57)는, 차량 도어 록 해제 신호 외에, 그 도어의 개폐 신호, 예컨대 트렁크 리드의 개방 신호 등, 예컨대 운전자가 기관을 시동전(크랭킹전)의 상황을 검출하여 코일(18)에 통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감속 기구(8)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 회전 운동을 행하는 상기 편심 축부(39)와, 이 편심 축부(39)의 외주에 설치된 중직경 볼 베어링(47)과, 이 중직경 볼 베어링(47)의 외주에 설치된 상기 롤러(48)와, 이 롤러(48)를 구름 방향으로 유지하면서 직경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기 유지기(41)와, 이 유지기(41)와 일체인 상기 종동 부재(9)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편심 축부(39)와 중직경 볼 베어링(47)에 의해 편심 캠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편심 축부(39)는, 단차진 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단측이 전술한 모터 출력축(13)의 대직경부(13a)에 축방향으로부터 일체로 결합됨과 함께, 외주면에 형성된 캠면(39a)의 축심 Y가 모터 출력축(13)의 축심 X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약간 편심되어 있다.
상기 중직경 볼 베어링(47)은 상기 니들 베어링(38)의 직경 방향 위치에서 전체가 거의 오버랩하는 상태로 배치되고, 내륜(47a)과 외륜(47b) 및 양륜(47a, 47b) 사이에 개재된 볼(47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륜(47a)은 상기 편심 축부(39)의 캠면(39a)에 압입 고정되어 있는 데 비해, 상기 외륜(47b)은, 축방향에서 고정되지 않고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이 외륜(47b)은 축방향의 전동 모터(12)측의 일단면이 어느 부위에도 접촉하지 않고, 또한 축방향의 타단면이 이것에 대향하는 유지기(41)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미세한 간극이 형성되어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외륜(47b)의 외주면에는, 상기 각 롤러(48)의 외주면이 구를 수 있게 접촉함과 함께, 이 외륜(47b)의 외주측에는 원환형의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간극에 의해 중직경 볼 베어링(47) 전체가 상기 편심 축부(39)의 편심 회전에 따라서 직경 방향으로 편심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각 롤러(48)는 철계 금속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중직경 볼 베어링(47)의 편심 이동에 따라서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내치 구성부(19)의 내측 톱니(19a)에 끼워맞춰짐과 함께, 유지기(41)의 롤러 유지 구멍(41b)의 양측 가장자리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직경 방향으로 요동 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감속 기구(8)의 내부에는, 윤활유 공급 수단에 의해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 윤활유 공급 수단은, 상기 실린더 헤드(40)의 베어링(42)의 내부에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메인 오일 갤러리(main oil gallery)로부터 윤활유가 공급되는 오일 공급 통로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 샤프트(2)의 내부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 공급 통로에 그룹 홈을 통해 연통한 오일 공급 구멍(51)과, 상기 종동 부재(9)의 내부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일단이 그 오일 공급 구멍(51)에 고리형 통로(51a)를 통해 개구되고 타단이 상기 니들 베어링(38)과 중직경 볼 베어링(47)의 부근에 개구된 상기 소직경의 오일 구멍(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윤활유 공급 수단에 의해 상기 공간부(44)에 윤활유가 공급되어, 여기서부터 중직경 볼 베어링(47)이나 각 롤러(48)를 윤활함과 함께, 나아가 편심 축부(39)와 모터 출력축(13)의 내부에 유입되어 니들 베어링(38)이나 소직경 볼 베어링(37) 등의 가동부의 윤활에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44) 내에 유입된 윤활유는, 상기 소직경 오일 시일(46)에 의해 하우징(5) 내에 누설되는 것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동 모터(12)와 감속 기구(8)의 인접 배치는 상기 전동 모터(12)와 상기 감속 기구(8)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며, 모터 출력축(13)(편심 축부(39))이 감속 기구(8) 내부에 삽입 관통해 있고, 전동 모터(12)의 하우징 본체(5a)가 감속 기구(8)의 케이싱인 스프로켓 본체(1a)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이하,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기관의 크랭크 샤프트가 회전 구동하면 타이밍 체인(42)을 통해 타이밍 스프로켓(1)이 회전하여, 그 회전력이 내치 구성부(19)와 암나사 형성부(6)를 통해 하우징(5), 즉 전동 모터(12)가 동기 회전한다. 한편, 상기 내치 구성부(19)의 회전력이, 각 롤러(48)로부터 유지기(41) 및 종동 부재(9)를 경유하여 캠 샤프트(2)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캠 샤프트(2)의 회전 캠이 흡기 밸브를 개폐 작동시킨다.
그리고, 기관 시동후의 정해진 기관 운전시에는, 상기 컨트롤 유닛(56)으로부터 각 단자편(31, 31)이나 각 피그테일 하네스(32a, 32b), 제2 브러시(30a, 30b), 각 슬립 링(26a, 26b) 등을 통해 전동 모터(12)의 코일(18)에 통전된다. 이것에 의해, 모터 출력축(13)이 회전 구동되고, 이 회전력이 감속 기구(8)를 통해 캠 샤프트(2)에 감속된 회전력이 전달된다.
즉, 상기 모터 출력축(13)의 회전에 따라서 편심 축부(39)가 편심 회전하면, 각 롤러(48)가 모터 출력축(13)의 1회전마다 유지기(41)의 각 롤러 유지 구멍(41b)에서 직경 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상기 내치 구성부(19)의 하나의 내측 톱니(19a)를 타고 넘어 인접하는 다른 내측 톱니(19a)로 구르면서 이동하고, 이것을 순차적으로 반복하면서 원주 방향으로 구름 접촉한다. 이 각 롤러(48)의 구름 접촉에 의해 상기 모터 출력축(13)의 회전이 감속되면서 상기 종동 부재(9)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 때의 감속비는, 상기 롤러(48)의 갯수 등에 따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캠 샤프트(2)가 타이밍 스프로켓(1)에 대하여 정역 상대 회전하여 상대 회전 위상이 변환되고, 흡기 밸브의 개폐 타이밍을 진각측 또는 지각측으로 변환 제어하는 것이다. 그 결과, 흡기 밸브의 개폐 타이밍이 진각측 또는 지각측으로 최대로 변환되어, 기관의 연비나 출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타이밍 스프로켓(1)에 대한 캠 샤프트(2)의 정역 상대 회전의 최대 위치 규제(각도 위치 규제)는, 상기 스토퍼 볼록부(61b)의 각 측면이 상기 스토퍼 오목홈(2b)의 각 대향면(2c, 2d) 중 어느 한쪽에 접촉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컨대 기관 정지하여 장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기관을 시동하기 전의 기관 온도가 정해진 온도 이하의 상태에 있는 경우에, 예컨대 운전수가 차량을 시동하기 위해 도어의 록 해제 조작을 했을 때, 이 록 해제 신호를 상기 시동 징후 검출 회로(57)가 검출하고, 이 시동 징후 검출 회로(57)가 컨트롤 유닛(56)을 통해 즉시 상기 전동 모터(12)의 코일(18)에 통전을 시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즉, 도 6의 타임 챠트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동 징후 검출 회로(57)가, 기관 시동의 징후인 도어 록 해제 신호를 검출하고, 이 해제 신호를 컨트롤 유닛(56)에 출력하여, 이 컨트롤 유닛(56)으로부터 상기 코일(18)에 통전을 시작한다. 이 통전 계속 시간은, 기관 시동을 위해 이그니션 스위치를 온 조작하기 직전까지 계속하며, 통상은 약 10∼20초이다. 이 통전 시간이 경과하면, 코일(18)로의 통전을 차단한다. 상기 코일(18)로의 통전량은, 상기 모터축(13)을 회전 구동시키지 않을 정도의 전류량이다.
그 후, 이그니션 스위치를 온 조작하면, 초기화되고, 컨트롤 유닛(56)으로부터 전동 모터(12)의 코일(18)에 다시 통전되지만, 이 전류는 모터축(13)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전류량이며, 이것에 의해, 감속 기구(8)를 작동시켜 상기 캠 샤프트(2)가 타이밍 스프로켓(1)에 대하여 정역 상대 회전하여 상대 회전 위상을 기관 시동에 적합한 최진각과 최지각 사이의 중간 위상 위치로 변환 제어한다. 그 후, 크랭킹이 시작된다.
또, 상기 시동 징후 검출 회로(57)에서 검출된 후의 컨트롤 유닛(56)으로부터의 코일(18)로의 통전은, 일정 시간 계속하여 행해지지만, 크랭킹이 시작된 후에는 통전이 정지되고, 그 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관 운전 상태에 따라서 상기 컨트롤 유닛(56)으로부터 통상의 위상 변경 기구(4)의 작동용 전류가 상기 코일(18)에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시동전의 일정 시간에 코일(18)에 통전함으로써 그 코일(18)을 발열시켜 상기 격벽(5b)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소직경 오일 시일(46)을 따뜻하게 함과 아울러, 감속 기구(8)의 각 롤러(48), 볼 베어링(47) 등의 각 구성 부재를 통해 내부의 윤활유를 따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후의 감속 기구(8)의 작동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소직경 오일 시일(46)은, 저온시에는 내주측의 고무제 시일 부재(46b)가 경화하여 유연성이 저하됨과 함께, 백업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직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기 때문에, 모터 출력축(13)의 외주면에 대한 체결력이 커진다. 이 때문에, 크랭킹 초기에, 상기 오일 시일(46)과 모터 출력축(13)의 외주면 모터 사이의 마찰이 커져, 출력축(13)의 빠른 회전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감속 기구(8) 내의 윤활유는, 점성이 높아져 볼 베어링(47) 등이 점성 저항에 의해 작동성이 악화되어 버린다. 또한, 상기 오일 시일(46)측에서는, 시일부(46b)에 부착된 윤활유의 높은 점성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코일(18)로의 통전에 의한 발열에 의해 격벽(5b)을 통해 상기 소직경 오일 시일(46)을 따뜻하게 하여 유연성을 신속하게 회복시킬 수 있고, 감속 기구(3) 내의 윤활유의 점성도 신속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코일(18)로의 통전을 5초 이상 계속하면, 코일(18)의 발열은 약 40℃까지 급격히 상승한다. 따라서, 상기 각 구성 부재나 윤활유를 단시간에 따뜻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관 시동시의 위상 변경 기구(4)에 의한 캠 샤프트(2)의 상대 회전 위상을 변환하는 속도는, 도 6의 하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18)에 미리 통전되지 않는 종래의 경우(파선)는, 상기 크랭킹 시작 시점부터 전동 모터(12)를 구동시키기 위해 코일(18)에 통전을 시작하면, 구동까지의 상승 속도가 약 8 sec로 구동이 시작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와 같이, 코일(18)에 미리 통전한 경우(실선)는, 구동까지의 상승 속도가 약 2 sec가 되어 매우 단시간이 된다. 따라서, 위상 변경 기구(4)(VTC)의 작동 응답성이 양호해져, 기관 시동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동 징후 검출 회로(57)를 통해 기관의 크랭킹 개시전에 코일(18)에 통전하고 발열시켜, 오일 시일(46)의 유연성을 회복시키고, 윤활유의 점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오일 시일(46)과 모터 출력축(13) 사이의 마찰이나 감속 기구(8)의 각 구성 부품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은 감속 기구(8) 내의 윤활유의 온도와 위상 변경 기구(4)(감속 기구(8))의 마찰의 관계를 실험에 의해 검증한 것으로, 미리 코일(18)에 통전하지 않은 종래의 경우(가는 실선)와, 본 실시형태와 같이, 미리 코일(18)에 통전한 경우(굵은 실선)를 비교해 보면, 기관 시동 개시후의 정해진 시간 경과는, 윤활유의 온도 상승과 함께 양자 모두 마찰이 작아졌지만, 시동 초기에 있어서, 종래에는 윤활유의 마찰이 커진 데 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찰이 충분히 작아졌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18)로의 통전에 의해 윤활유의 점성이 크게 상이한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관의 저온 시동시의 윤활유의 점성 등에 기인하는 큰 마찰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상 변경 기구(4)에 의한 기관 시동 초기에서의 상기 흡기 밸브의 개폐 타이밍의 제어 응답성이 향상되어 양호한 시동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기관 정지시에, 상기 위상 변경 기구(4)에 의해 캠 샤프트(2)를 미리 저온 시동에 적합한 상대 회전 위상, 예컨대 중간 회전 위상에 제어 고정시킨 경우는, 시동 징후 검출 회로에 의해 코일(18)에 반드시 미리 통전할 필요는 없지만, 항상 미리 통전하도록 설정해 두면, 그 후의 위상 변경 기구(4)의 작동 응답성의 향상에 적잖이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감속 기구(8)가 윤활유의 큰 점성 저항을 받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전동 모터(12)를 출력 토크가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가변 밸브 장치 전체의 소형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 시동 징후 검출 회로(57)에 의해 징후 상태가 검출되어 코일(18)에 통전되는 지속 시간을 타이머 등에 의해 정해진 시간 내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동 징후 검출 회로(57)를 통해 코일(18)에 통전되는 전류량은 발열시키기 위한 크기로 설정하고 있지만, 시동시의 기관 수온이나 오일 온도에 따라서 상기 코일(18)로의 전류량을 감소시키거나, 위상 변경 기구(4)의 구동용 전류량과 동일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변 밸브 장치를 기관의 흡기 밸브측에 설치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배기 밸브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기관 정지시에는, 위상 변경 기구에 의해 캠 샤프트의 상대 회전 위상을 최진각측으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 기관 온도는, 상기 수온 센서뿐만 아니라 유온 센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로부터 파악되는 상기 청구항 이외의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청구항 a] 청구항 1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시동의 징후가 있었던 시점부터 크랭킹을 시작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전동 모터에 정해진 시간 통전을 계속할 때에는, 상기 출력 부재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
[청구항 b] 청구항 1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시동의 징후가 있었던 시점부터 크랭킹을 시작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전동 모터에 통전하는 전류는 최대 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
[청구항 c] 청구항 1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시동의 징후가 있었던 시점부터 크랭킹을 시작하기까지의 동안은, 상기 전동 모터로의 통전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
[청구항 d] 청구항 2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크랭킹이 시작된 시점에서, 상기 출력 부재의 작동이 규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동 모터로의 통전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
[청구항 e] 청구항 d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크랭킹 중에, 기관 밸브의 작동 특성을 기관 시동에 적합한 상태로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
[청구항 f] 청구항 e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크랭킹 중에 상기 출력 부재를 제어하기 위해, 전동 모터에 통전하는 전류량보다 내연기관의 시동의 징후가 있었던 시점부터 크랭킹이 시작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전동 모터에 통전하는 전류량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
[청구항 g] 청구항 2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내연기관을 정지할 때에는, 상기 출력 부재의 작동이 규제된 상태로 제어한 후에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
[청구항 h] 청구항 3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의 출력축이 감속 기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출력축이 상기 감속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청구항 i] 청구항 h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와 감속 기구 사이에는, 상기 감속 기구를 윤활하는 윤활유가 전동 모터측에 침입하는 것을 규제하는 시일 부재가 설치되고, 이 시일 부재의 내주부가 상기 전동 모터의 출력축에 슬라이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청구항 j] 청구항 i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는, 브러시드 직류 모터로서, 코일이 출력축과 일체 회전하도록 감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청구항 k] 청구항 j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를 상기 코일에 축방향으로부터 근접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청구항 l] 청구항 j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와 감속 기구 사이에 양자를 이격시키는 금속제의 격벽을 설치함과 함께, 이 격벽과 상기 코일을 근접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청구항 m] 청구항 l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기 코일에 근접한 부위는, 다른 부위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청구항 n] 청구항 3의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밸브 장치는, 상기 출력 부재가 회전 작동함으로써 기관 밸브의 밸브 타이밍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청구항 o] 청구항 3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출 수단은, 내연기관의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청구항 p] 청구항 3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출 수단은, 내연기관의 윤활유의 온도를 검출하는 유온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청구항 q] 청구항 3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동 징후 검출 수단은, 내연기관이 정지하고, 또한 록 상태에 있는 차량의 도어의 록이 해제된 것을 시동 징후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청구항 r] 청구항 l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동 징후 검출 수단에 의해 시동의 징후가 검출된 시점부터 통상의 제어를 시작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출력 부재는, 작동 범위의 최진각 위치에서 규제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청구항 s] 청구항 l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동 징후 검출 수단에 의해 시동의 징후가 검출된 시점부터 통상의 제어를 시작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출력 부재는 작동 범위의 최지각 위치에서 규제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1 : 타이밍 스프로켓(구동 회전체)
1a : 스프로켓 본체
2 : 캠 샤프트
4 : 위상 변경 기구
5 : 하우징
8 : 감속 기구
9 : 종동 부재(출력 부재)
12 : 전동 모터
13 : 모터 출력축
13a : 대직경부
13b : 소직경부
13c : 단차부
19 : 내치 구성부(내치 맞물림부)
39 : 편심 축부(편심 캠 기구, 편심 캠)
41 : 유지기(유지 부재)
43 : 대직경 볼 베어링(편심 캠 기구)
43a : 외륜
43b : 내륜
43d : 외륜 내주면
46 : 소직경 오일 시일
48 : 롤러
56 : 컨트롤 유닛(컨트롤러)
57 : 시동 징후 검출 회로

Claims (10)

  1. 전동 모터로부터 이 전동 모터에 인접한 감속 기구를 통해 전달된 동력에 따라서 작동하는 출력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감속 기구에는 윤활유가 공급됨과 함께, 상기 출력 부재의 작동에 따라서 기관 밸브의 작동 특성을 변경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에 이용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로서,
    상기 내연기관의 온도가 정해진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기관 시동의 징후가 검출된 시점부터 크랭킹이 시작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전동 모터에 정해진 시간 통전을 계속하고,
    기관 시동의 징후가 검출된 시점은 기관 시동을 위해 이그니션 스위치를 온 조작하기 이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시동의 징후가 있었던 시점부터 크랭킹을 시작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전동 모터에 정해진 시간 통전을 계속할 때에는, 상기 출력 부재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
  3. 제2항에 있어서, 크랭킹이 시작된 시점에서, 상기 출력 부재의 작동이 규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동 모터로의 통전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
  4. 제3항에 있어서, 크랭킹 중에, 기관 밸브의 작동 특성을 기관 시동에 적합한 상태로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
  5. 제4항에 있어서, 크랭킹 중에 상기 출력 부재를 제어하기 위해, 전동 모터에 통전하는 전류량보다 내연기관의 시동의 징후가 있었던 시점부터 크랭킹이 시작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전동 모터에 통전하는 전류량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
  6. 전동 모터로부터 이 전동 모터에 인접한 감속 기구를 통해 전달된 동력에 따라서 작동하는 출력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감속 기구에는 윤활유가 공급됨과 함께, 상기 출력 부재의 작동에 따라서 기관 밸브의 작동 특성을 변경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에 이용되는 전동 모터의 컨트롤러로서,
    내연기관의 온도가 정해진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기관 시동의 징후가 검출된 시점부터 크랭킹이 시작되기까지의 동안에, 적어도 정해진 시간은, 상기 출력 부재의 작동이 규제된 상태로 상기 전동 모터에 통전을 계속하고,
    기관 시동의 징후가 검출된 시점은 기관 시동을 위해 이그니션 스위치를 온 조작하기 이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에 이용되는 전동 모터의 컨트롤러.
  7. 전동 모터로부터 이 전동 모터에 인접한 감속 기구를 통해 전달된 동력에 따라서 작동하는 출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감속 기구에는 윤활유가 공급됨과 함께, 상기 출력 부재의 작동에 따라서 기관 밸브의 작동 특성을 변경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와,
    내연기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과,
    내연기관의 시동의 징후를 검출하는 시동 징후 검출 수단과,
    상기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정해진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시동 징후 검출 수단에 의해 징후가 검출된 시점부터 통상의 제어를 시작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출력 부재가 작동 범위의 일방측으로 규제된 상태로, 상기 출력 부재를 규제 방향으로 더 작동시키도록, 상기 전동 모터에 정해진 시간 통전을 계속하도록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시동 징후 검출 수단에 의해 징후가 검출된 시점은 기관 시동을 위해 이그니션 스위치를 온 조작하기 이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와 감속 기구 사이에는, 상기 감속 기구를 윤활하는 윤활유가 전동 모터측에 침입하는 것을 규제하는 시일 부재가 설치되고, 이 시일 부재의 내주부가 상기 전동 모터의 출력축에 슬라이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는 브러시드 직류 모터(brushed DC motor)로서, 코일이 출력축과 일체 회전하도록 감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를 상기 코일에 축방향으로부터 근접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KR1020140109696A 2013-09-19 2014-08-22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와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KR101763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94160 2013-09-19
JP2013194160A JP6309230B2 (ja) 2013-09-19 2013-09-19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のコントロー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625A KR20150032625A (ko) 2015-03-27
KR101763003B1 true KR101763003B1 (ko) 2017-07-28

Family

ID=52666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696A KR101763003B1 (ko) 2013-09-19 2014-08-22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와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23295B2 (ko)
JP (1) JP6309230B2 (ko)
KR (1) KR101763003B1 (ko)
CN (1) CN1044540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4691B2 (ja) 2014-03-14 2016-1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装置
JP2015174557A (ja) * 2014-03-14 2015-10-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装置
US9297346B2 (en) * 2014-03-17 2016-03-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mshaft position determination
JP6338550B2 (ja) * 2015-04-22 2018-06-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速機構と該減速機構を用いた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6339044B2 (ja) * 2015-05-11 2018-06-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及び該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の製造方法
JP6502747B2 (ja) * 2015-05-26 2019-04-1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可変動弁装置
JP6572664B2 (ja) * 2015-07-31 2019-09-1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用リンク機構のアクチュエータ
JP2019056459A (ja) * 2017-09-22 2019-04-11 Ntn株式会社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6848902B2 (ja) * 2018-03-07 2021-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6840290B2 (ja) * 2018-03-27 2021-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可変動弁機構及びアクチュエータ
JP7157634B2 (ja) * 2018-11-14 2022-10-20 日立Astemo株式会社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機構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243252B2 (ja) 2019-02-12 2023-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そ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11852049B2 (en) 2019-03-18 2023-12-26 Ntn Corporation Electric actuator
JPWO2020203291A1 (ko) * 2019-03-29 2020-10-08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818A (ja) * 1999-03-31 2000-12-12 Daimlerchrysler Ag 電磁弁制御のためのアクチュエータの動作方法
JP2006220013A (ja) * 2005-02-08 2006-08-2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バルブ開閉特性制御装置
JP2007332780A (ja) * 2006-06-12 2007-12-27 Hitachi Ltd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6926B2 (ja) * 2003-12-24 2008-08-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始動制御装置及び始動制御方法
JP4299164B2 (ja) * 2004-03-05 2009-07-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機構の制御装置
JP4907416B2 (ja) * 2007-04-23 2012-03-2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5288311B2 (ja) * 2009-04-03 2013-09-11 Ntn株式会社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装置
JP5666922B2 (ja) 2011-01-12 2015-02-1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のコントローラ及び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5654950B2 (ja) * 2011-06-07 2015-01-1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6337705B2 (ja) 2014-09-03 2018-06-06 株式会社デンソー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818A (ja) * 1999-03-31 2000-12-12 Daimlerchrysler Ag 電磁弁制御のためのアクチュエータの動作方法
JP2006220013A (ja) * 2005-02-08 2006-08-2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バルブ開閉特性制御装置
JP2007332780A (ja) * 2006-06-12 2007-12-27 Hitachi Ltd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59519A (ja) 2015-03-30
CN104454060B (zh) 2018-02-13
JP6309230B2 (ja) 2018-04-11
US9523295B2 (en) 2016-12-20
US20150075475A1 (en) 2015-03-19
CN104454060A (zh) 2015-03-25
KR20150032625A (ko) 2015-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003B1 (ko)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의 컨트롤러와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시스템
KR101640642B1 (ko)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KR101624778B1 (ko)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시스템
JP6814621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US20130206087A1 (en) Valve timing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624784B1 (ko)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시스템
JP5916499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6760112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KR101624776B1 (ko)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및 마개체의 제거 방법
US9115611B2 (en) Variable valve operat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174160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WO2015093423A1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及び該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のコントローラ
US10697334B2 (en) Valve timing adjusting device
JP6154521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システム
KR101710232B1 (ko)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및 이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에 이용되는 급전 기구
JP6311044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5993352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及びローラ減速機構
KR101646314B1 (ko)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및 이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에 이용되는 커버 부재
JP2014214723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6605963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6030625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