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314B1 -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및 이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에 이용되는 커버 부재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및 이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에 이용되는 커버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314B1
KR101646314B1 KR1020130154586A KR20130154586A KR101646314B1 KR 101646314 B1 KR101646314 B1 KR 101646314B1 KR 1020130154586 A KR1020130154586 A KR 1020130154586A KR 20130154586 A KR20130154586 A KR 20130154586A KR 101646314 B1 KR101646314 B1 KR 101646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rushes
portions
space
pig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6833A (ko
Inventor
신이치 가와타
료 다도코로
히로유키 네모토
아츠시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6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5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bevel or epicyclic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2001/34486Location and number of the means for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2013/10Auxiliary actuators for variable valve timing
    • F01L2013/103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20/00Details on specific features characterising valve gear arrangements
    • F01L2820/03Auxiliary actuators
    • F01L2820/032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전용 브러시가 진동하여도 피그테일 하니스의 단선을 억제할 수 있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지 플레이트(22)에 설치된 한 쌍의 급전용 슬립 링(26a, 26b)과, 커버 부재(3)에 부착된 브러시 유지부(28a) 내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급전용 슬립 링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한 쌍의 급전용 브러시(30a, 30b)와, 각 일단부(33a)가 급전용 브러시에, 각 타단부(33b)가 단자(31a, 31a)에 접속된 한 쌍의 피그테일 하니스(33)를 구비하고, 각 피그테일 하니스는, 각 급전용 브러시가 후퇴 이동함에 따라 각 공간부(28f, 28f) 내에서 휨 변형하며, 또한 각 공간부 사이를 구획하는 절연재의 칸막이벽(35)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및 이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에 이용되는 커버 부재{DEVICE FOR CONTROLLING VALVE TIM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OVER MEMBER USED THEREIN}
본 발명은, 흡기 밸브나 배기 밸브의 개폐 타이밍을 제어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및 이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에 이용되는 커버 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 기구를 통해 출력축인 캠 샤프트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 크랭크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스프로켓에 대한 캠 샤프트의 상대 회전 위상을 변환하여 흡기 밸브나 배기 밸브의 개폐 타이밍을 제어하는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이하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는, 상기 전동 모터의 전단측에 간극을 두고 배치된 커버 부재에 급전용 브러시를 설치하는 한편, 전동 모터의 전단측에 슬립 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전용 브러시를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슬립 링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동 모터에 급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에는, 일단부가 커넥터 단자에 접속된 가요성을 갖는 피그테일 하니스의 타단부가 접속되고,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전기 커넥터와 상기 피그테일 하니스를 통해 통전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85443호 공보
그러나, 상기 공보 기재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구성 부품의 장착시에, 각 브러시가 슬립 링에 탄성 접촉하여 후퇴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피그테일 하니스가 상기 코일 스프링의 내측에서 휨 변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기관 구동중에 상기 캠 샤프트 등으로부터의 진동이 상기 브러시에 전달되고, 이 진동에 기인하여 상기 피그테일 하니스가 코일 스프링에 접촉하거나, 또한 반복 응력이 발생하여 장기적 피로에 의해 단선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급전용 브러시가 진동하여도 피그테일 하니스의 단선을 억제할 수 있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원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특히, 위상 변경 기구의 전단부와 이 전단부에 대향하는 상기 커버 부재의 대향면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 모터에의 급전용의 슬립 링과, 상기 위상 변경 기구의 전단부와 커버 부재의 대향면 중 다른 어느 한쪽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립 링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전동 모터에 급전하는 한 쌍의 브러시와, 각 일단부가 상기 각 브러시에 각각 접속되고, 각 타단부가 커넥터 단자에 각각 접속된 가요성을 갖는 피그테일 하니스를 구비하며, 상기 각 피그테일 하니스는, 상기 브러시의 축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에, 휜 상태로 각 타단부가 커넥터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각 타단부측의 사이가 절연재의 칸막이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전용 브러시가 진동하여도 피그테일 하니스의 단선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제공되는 커넥터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주요한 구성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의 제2 실시형태에 제공되는 단자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이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연 기관의 크랭크샤프트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 회전체인 타이밍 스프로켓(1)과, 실린더 헤드(40)상에 베어링(4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타이밍 스프로켓(1)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캠 샤프트(2)와, 타이밍 스프로켓(1)의 전방 위치에 배치된 체인 커버(49)에 고정된 커버 부재(3)와, 타이밍 스프로켓(1)과 캠 샤프트(2) 사이에 배치되고, 기관 운전 상태에 따라 타이밍 스프로켓(1) 및 캠 샤프트(2) 양자의 상대 회전 위상을 변경하는 위상 변경 기구(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타이밍 스프로켓(1)은, 전체가 철계 금속에 의해 환형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내주면이 단차 직경 형상의 스프로켓 본체(1a)와, 이 스프로켓 본체(1a)의 외주에 일체로 설치되고, 권취된 타이밍 체인(도시 생략)를 통해 크랭크샤프트로부터의 회전력을 받는 기어부(1b)와, 상기 스프로켓 본체(1a)의 전단측에 일체로 설치된 내치 구성부(19)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타이밍 스프로켓(1)은, 스프로켓 본체(1a)와 상기 캠 샤프트(2)의 전단부에 설치된 후술하는 종동 부재(9) 사이에, 베어링인 하나의 대직경 볼베어링(43)이 개재되어 있고, 이 대직경 볼베어링(43)에 의해, 타이밍 스프로켓(1)과 상기 캠 샤프트(2)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대직경 볼베어링(43)은, 외륜(43a)과, 내륜(43b) 및 이들 양륜(43a, 43b) 사이에 개재된 볼(43c)로 구성되어 있다. 이 대직경 볼베어링(43)은, 상기 외륜(43a)이 스프로켓 본체(1a)의 내주측에 고정되어 있는 데 대하여, 내륜(43b)이 후술하는 종동 부재(9)의 외주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프로켓 본체(1a)는, 내주측에, 상기 캠 샤프트(2)측으로 개구된 원환 홈 형상의 외륜 고정부(60)가 절결 형성되어 있다.
이 외륜 고정부(60)는, 단차 직경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직경 볼베어링(43)의 외륜(43a)이 축방향으로부터 압입되며, 이 외륜(43a)의 축방향 한쪽의 위치 결정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내치 구성부(19)는, 상기 스프로켓 본체(1a)의 전단부 외주측에 일체로 설치되고, 위상 변경 기구(4)의 전동 모터(12)의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에는 파형상(波形狀)의 복수의 내치(19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치 구성부(19)의 전단측에는, 후술하는 하우징(5)과 일체인 원환형의 암나사 형성부(6)가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프로켓 본체(1a)의 내치 구성부(19)와 반대측의 후단부에는, 원환형의 유지 플레이트(6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유지 플레이트(61)는, 금속 판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경이 상기 스프로켓 본체(1a)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내경이 상기 대직경 볼베어링(43)의 직경 방향의 대략 중앙 부근의 직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 플레이트(61)의 내주부(6a)는, 상기 외륜(43a)의 축방향의 외단면(外端面)(43e)에 대하여 일정한 간극을 두고 덮도록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주부(61a)의 내주 가장자리의 정해진 위치에는, 직경 방향 내측, 즉 중심 축방향을 향해 돌출된 스토퍼 볼록부(61b)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 볼록부(61b)는, 도 1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부채형으로 형성되고, 선단 가장자리(61c)가 후술하는 스토퍼 홈(2b)의 원호형 내주면을 따른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지 플레이트(61)의 외주부에는, 상기 각 볼트(7)가 삽입 관통하는 6개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61d)이 둘레 방향의 등간격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지 플레이트(61)의 내면과 이 내면에 대향하는 상기 대직경 볼베어링(43)의 외륜(43a)의 외단면(43e) 사이에는, 원환형의 스페이서(62)가 개재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62)는, 상기 유지 플레이트(61)를 상기 각 볼트(7)에 의해 함께 체결하여 고정했을 때에, 유지 플레이트(61)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외륜(43a)의 외단면(43e)에 약간의 압박력을 부여하는 것이며, 그 두께는 외륜(43a)의 외단면(43e)과 유지 플레이트(61) 사이에, 외륜(43a)의 축방향 이동 허용 범위 내의 미소한 간극이 형성될 정도의 두께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스프로켓 본체(1a)[내치 구성부(19)] 및 유지 플레이트(61) 각각의 외주부에는, 각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1c, 61d)이 둘레 방향의 대략 등간격 위치에 6개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암나사 형성부(6)에는, 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1c, 61d)과 대응한 위치에 6개의 암나사 구멍(6a)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에 삽입 관통한 6개의 볼트(7)에 의해 상기 타이밍 스프로켓(1)과 유지 플레이트(61) 및 하우징(5)이 축방향으로부터 함께 체결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로켓 본체(1a)와 내치 구성부(19)가, 후술하는 감속 기구(8)의 케이싱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로켓 본체(1a)와 상기 내치 구성부(19), 유지 플레이트(61) 및 암나사 형성부(6)는, 각각의 외경이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체인 커버(49)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관 본체인 실린더 헤드(40)와 실린더 블록의 전단측에 상기 타이밍 스프로켓(1)에 권취된 체인(도시 생략)을 덮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 고정되고, 상기 위상 변경 기구(4)에 대응한 위치에 개구부(49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개구부(49a)를 구성하는 환형벽(49b)의 원주 방향의 4지점에 보스부(49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환형벽(49b)으로부터 각 보스부(49c)의 내부에 걸쳐 암나사 구멍(49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 부재(3)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재에 의해 컵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팽출형의 커버 본체(3a)와, 이 커버 본체(3a)의 개구측 외주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된 원환형의 부착 플랜지(3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 본체(3a)는, 상기 하우징(5)의 전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외주부측에는 원통벽(3c)이 축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벽(3c)은, 내부에 유지용 구멍(3d)이 형성되고, 이 유지용 구멍(3d)의 내주면이 후술하는 유지체(28)의 가이드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 플랜지(3b)는, 원주 방향의 대략 등간격 위치에 4개의 보스부(3e)가 둘레 방향의 대략 등간격 위치(약 90˚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각 보스부(3e)에는, 상기 체인 커버(49)에 형성된 각 암나사 구멍(49d)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54)가 삽입 관통하는 볼트 삽입 관통 구멍(3g)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볼트(54)에 의해 커버 부재(3)가 체인 커버(49)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본체(3a)의 외주측의 단차부 내주면과 상기 하우징(5)의 외주면 사이에는, 도 4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일 부재인 대직경의 오일 시일(50)이 개재되어 있다. 이 대직경 오일 시일(50)은, 횡단면이 대략 コ형상으로 형성되고, 합성 고무의 기재 내부에 코어 메탈이 매설되어 있으며, 외주측의 원환형 베이스부가 상기 커버 부재(3)의 내주면에 설치된 단차 원환부(3h)에 감착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5)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철계 금속재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바닥부가 있는 통형으로 형성된 통형상부인 하우징 본체(5a)와, 이 하우징 본체(5a)의 전단 개구를 밀봉하는 합성 수지의 비자성재를 포함하는 밀봉 플레이트(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5a)는, 후단측에 원판형의 바닥부(5b)를 가지며, 이 바닥부(5b)의 대략 중앙에 후술한 편심축부(39)를 삽입 관통하는 대직경의 축부 삽입 관통 구멍(5c)이 형성되어 있고, 이 축부 삽입 관통 구멍(5c)의 구멍 가장자리에는, 캠 샤프트(2)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연장부(5d)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5b)의 전단면(前端面)의 외주측에는, 상기 암나사 형성부(6)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 샤프트(2)는, 외주에 흡기 밸브(도시 생략)를 개방 동작시키는 1기통 당 2개의 구동 캠을 갖고 있고, 전단부에 상기 플랜지부(2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2a)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경이 후술하는 종동 부재(9)의 고정단부(9a)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고, 각 구성 부품의 장착 후에, 전단면의 외주부가 상기 대직경 볼베어링(43)의 내륜(43b)의 축방향 외단면에 접촉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단면이 종동 부재(9)에 축방향으로부터 접촉한 상태로 캠 볼트(10)에 의해 축방향으로부터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2a)의 외주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유지 플레이트(61)의 스토퍼 볼록부(61b)가 맞물리는 스토퍼 오목 홈(2b)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 오목 홈(2b)은, 원주 방향으로 정해진 길이의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이 길이 범위에서 회동한 스토퍼 볼록부(61b)의 양단 가장자리가 둘레 방향의 대향 가장자리(2c, 2d)에 각각 접촉하는 것에 의해, 타이밍 스프로켓(1)에 대한 캠 샤프트(2)의 최대 진각측 또는 최대 지각측의 상대 회전 위치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볼록부(61b)는, 상기 유지 플레이트(61)의 대직경 볼베어링(43)의 외륜(43a)에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대향하여 고정되는 부위보다 캠 샤프트(2)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종동 부재(9)의 고정 단부(9a)와는 축방향으로 비접촉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 볼록부(61b)와 고정 단부(9a)의 간섭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볼록부(61b)와 스토퍼 오목 홈(2b)에 의해 스토퍼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캠 볼트(1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머리부(10a)의 축부(10b)측의 단부면에 원환형의 와셔부(10c)가 배치되어 있고, 축부(10b)의 외주에 상기 캠 샤프트(2)의 단부로부터 내부 축방향으로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10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동 부재(9)는, 철계 금속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측에 형성된 원판형의 고정 단부(9a)와, 이 고정 단부(9a)의 내주 전단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한 원통부(9b)와, 상기 고정 단부(9a)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의 롤러(48)를 유지하는 원통형의 유지기(4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단부(9a)는, 후단면(後端面)이 상기 캠 샤프트(2)의 플랜지부(2a)의 전단면에 접촉 배치되고, 상기 캠 볼트(10)의 축력에 의해 플랜지부(2a)에 축방향으로부터 압접 고정되어 있다.
상기 원통부(9b)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에 상기 캠 볼트(10)의 축부(10b)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9d)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외주측에 베어링 부재인 니들 베어링(3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지기(41)는, 도 1,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단부(9a)의 외주부 전단으로부터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상기 원통부(9b)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한 바닥이 있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기(41)의 통형 선단부(41a)는, 상기 암나사 형성부(6)와 상기 연장부(5d) 사이에 형성된 원환형의 오목부인 공간부(44)를 통해 하우징(5)의 바닥부(5b)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형 선단부(41a)의 둘레 방향의 대략 등간격 위치에, 상기 복수의 롤러(48)를 각각 롤링 가능하게 유지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복수의 롤러 유지 구멍(41b)이 둘레 방향의 등간격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롤러 유지 구멍(41b)[롤러(48)]은, 그 전체의 수가 상기 내치 구성부(19)의 내치(19a) 전체의 이(tooth) 수보다 하나 적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단부(9a)의 외주부와 유지기(41)의 바닥부측 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대직경 볼베어링(43)의 내륜(43b)을 고정하는 내륜 고정부(63)가 절결 형성되어 있다.
이 내륜 고정부(63)는, 상기 외륜 고정부(60)와 직경 방향으로부터 대향한 단차형으로 절결 형성되고, 캠 샤프트 축방향으로 연장된 원환형의 외주면(63a)과, 이 외주면(63a)에 있어서 상기 개구와 반대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고정 단차면(6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주면(63a)에는, 대직경 볼베어링(43)의 내륜(43b)이 축방향으로부터 압입되고, 상기 제2 고정 단차면(63b)에는, 압입된 상기 내륜(43b)의 내단면(內端面)(43f)이 접촉하여 축방향의 위치 결정이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위상 변경 기구(4)는, 상기 캠 샤프트(2)의 대략 동축상 전단측에 배치된 상기 전동 모터(12)와, 이 전동 모터(12)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켜 캠 샤프트(2)에 전달하는 상기 감속 기구(8)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동 모터(12)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러시를 갖는 DC 모터로서, 상기 타이밍 스프로켓(1)과 일체로 회전하는 요크인 상기 하우징(5)과, 이 하우징(5)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모터 출력축(13)과, 하우징(5)의 내주면에 고정된 스테이터인 반원호형의 한 쌍의 영구 자석(14, 15)과, 상기 밀봉 플레이트(11)에 고정된 고정자(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모터 출력축(13)은, 단차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아마추어로서 기능하고, 축방향의 대략 중앙 위치에 형성된 단차부(13c)를 사이에 두고 캠 샤프트(2)측의 대직경부(13a)와, 유지체(28)측의 소직경부(13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대직경부(13a)는, 외주에 철심 로터(17)가 고정되어 있고, 내부에 편심축부(39)가 축방향으로부터 압입 고정되며, 상기 단차부(13c)의 내면에 의해 편심축부(39)의 축방향의 위치 결정이 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소직경부(13b)는, 외주에 원환 부재(20)가 압입 고정되어 있고, 이 원환 부재(20)의 외주면에 커뮤테이터(21)가 축방향으로부터 압입 고정되어 상기 단차부(13c)의 외면에 의해 축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져 있다. 상기 원환 부재(20)는, 그 외경이 상기 대직경부(13a)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축방향의 길이가 소직경부(13b)보다 약간 짧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단차부(13c)의 내외면에 의해 상기 편심축부(39)와 커뮤테이터(21) 양쪽 모두의 축방향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위치 결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소직경부(13b)의 전단 가장자리와 이 전단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커버 부재(3)의 커버 본체(3a)의 내면(3f) 사이에 정해진 폭의 간극(S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직경부(13b)의 내주면에는, 모터 출력축(13)이나 편심축부(39) 내에 공급되어 상기 각 베어링(37, 38)을 윤활하기 위한 윤활유의 외부에의 누설을 억제하는 마개체(55)가 압입 고정되어 있다.
이 마개체(55)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단면이 대략 コ형상으로 형성되고, 금속제의 코어재(56)와, 이 코어재(56)의 외면 전체에 피복된 탄성체(5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57)는, 합성 고무재 등의 유연한 재료를 포함하고, 코어재(56)의 외주부의 내외주면 전체에 가황 접착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착되어 있으며, 외주부의 외경이 상기 모터 출력축(13)의 소직경부(13b)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소직경부(13b)의 내주면에 대한 압입 여유부를 확보하면서 소직경부(13b)의 내주면에 액밀적으로 탄성 접촉하여 모터 출력축(13)의 내외간을 시일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철심 로터(17)는, 복수의 자극을 갖는 자성재에 의해 형성되고, 외주측이 전자 코일(18)의 코일선이 권취되는 슬롯을 갖는 보빈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커뮤테이터(21)는, 도전재에 의해 원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철심 로터(17)의 극수와 같은 수로 분할된 각 세그먼트에 상기 전자 코일(18)의 인출된 코일선의 단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내주측에 형성된 폴딩부에, 코일선의 단말 선단을 끼워 넣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영구 자석(14, 15)은, 전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자극을 갖고 있고, 그 축방향의 위치가 상기 철심 로터(17)의 고정 위치보다 전방으로 오프셋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영구 자석(14, 15)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축방향의 중심이 상기 철심 로터(17)의 축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정해진 거리분만큼 전방향, 즉, 상기 고정자(16)측으로 오프셋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것에 의해, 상기 영구 자석(14, 15)의 전단부가, 직경 방향에서 상기 커뮤테이터(21)나 고정자(16)의 후술하는 제1 브러시(25a, 25b) 등과 오버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자(16)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밀봉 플레이트(11)의 내주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원판형의 수지 플레이트(22)와, 이 수지 플레이트(22)의 내측에 설치된 한 쌍의 수지 홀더(23a, 23b)와, 이 각 수지 홀더(23a, 23b)의 내부에 직경 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고, 코일 스프링(24a, 24b)의 스프링력으로 각 선단면(先端面)이 상기 커뮤테이터(21)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으로부터 탄성 접촉하는 전환 브러시(정류자)인 한 쌍의 제1 브러시(25a, 25b)와, 상기 수지 홀더(23a, 23b)의 전단면에, 각 외단면을 노출시킨 상태로 매설 고정된 내외 이중의 원환형의 급전용 슬립 링(26a, 26b)과, 상기 각 제1 브러시(25a, 25b)와 각 급전용 슬립 링(26a, 26b)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하니스(27a, 27b)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전용 슬립 링(26a, 26b)이 급전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제1 브러시(25a, 25b)나 커뮤테이터(21), 하니스(27a, 27b) 등이 통전 전환 수단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밀봉 플레이트(11)는, 상기 하우징(5)의 전단부 내주에 형성된 오목형 단차부에 코오킹에 의해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또한, 중앙 위치에는, 모터 출력축(13)의 일단부 등이 삽입 관통되는 축 삽입 관통 구멍(1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 본체(3a)에는, 합성 수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몰딩된 유지체(28)가 고정되어 있다. 이 유지체(28)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지용 구멍(3c)에 삽입되는 대략 원통형의 브러시 유지부(28a)와, 이 브러시 유지부(28a)의 상단부에 갖는 커넥터부(28b)와, 상기 브러시 유지부(28a)의 양측에 일체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커버 본체(3a)에 볼트 고정되는 한 쌍의 브래킷부(28c, 28c)와, 상기 유지체(28)의 내부에 대부분이 매설된 한 쌍의 급전용 단자편(31, 31)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급전용 단자편(31, 31)은, 상하 방향을 따라 평행하며 크랭크형으로 형성되고, 한 쪽(하단측)의 각 단자(31a, 31a)가 상기 브러시 유지부(28a)의 바닥벽 외면에 노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한편, 다른쪽(상단측)의 각 단자(31b, 31b)가 상기 커넥터부(28b)의 암형 감합 홈(28d) 내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른쪽 단자(31a, 31b)는, 수형 단자(도시 생략)를 통해 배터리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한쪽의 각 단자(31a, 31a)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단자편(31, 31)과는 독립된 대략 가늘고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단자편(31, 31)은 하니스(도시 생략)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의 각 일단부에 후술하는 한 쌍의 피그테일 하니스(33, 33)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31c, 31c)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러시 유지부(28a)는, 대략 수평 방향(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의 상하 위치[하우징(5)의 축심에 대하여 내외주측]에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바닥이 있는 원기둥형의 고정용 구멍(28h, 28h) 내에 한 쌍의 원통 안내부(29a, 29b)가 각각 고정되어 있고, 이 각 원통 안내부(29a, 29b)의 내부에, 각 선단면이 상기 각 급전용 슬립 링(26a, 26b)에 축방향으로부터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급전용 브러시(30a, 30b)가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고정용 구멍(28h, 28h)의 바닥벽에는, 상기 단자(31a, 31a)의 각 삽입 관통 구멍(31c, 31c)과 대응한 동축상에 마찬가지로 각 피그테일 하니스(33, 33)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28g, 28g)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벽의 외측에는 각 관통 구멍(28g, 28g)과 상기 삽입 관통 구멍(31c, 31c)이 면하는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S)은, 도 2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그 깊이는 상기 각 급전 브러시(30a, 30b)가 원통 안내부(29a, 29b) 내에서 후퇴 이동했을 때에, 상기 각 피그테일 하니스(33, 33)가 휨 변형하여 흡수되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고정용 구멍(28h, 28h)의 바닥벽 사이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공간(S)을 상하로 나누어, 상기 각 고정용 구멍(28h, 28h)에 각각 대응한 한 쌍의 공간부(28f, 28f)를 상하로 형성하는 칸막이벽(35)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칸막이벽(35)은, 절연재인 합성 수지재에 의해 상기 유지체(28)의 성형과 함께 성형되어 상기 바닥벽의 외면측의 공간(S)을 한 쌍의 반원 형상의 공간부(28f, 28f)로 구획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간(S)[공간부(28f, 28f)]은, 축방향의 일단 개구가 상기 유지체(28)와 동일한 합성 수지재에 의해 형성된 원형상의 캡(36)에 의해 액밀적으로 폐지(閉止)되어 있다.
상기 각 급전용 브러시(30a, 30b)는, 도 3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각 후단부와, 각 고정용 구멍(28h, 28h)의 바닥벽 내면에 설치된 환형 리테이터 사이에 탄성 장착된 한 쌍의 제2 코일 스프링(32a, 32b)의 스프링력에 의해 각각 상기 각 슬립 링(26a, 26b)의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전용 브러시(30a, 30b)의 후단부와 상기 한쪽 단자(31a, 31a) 사이에는, 가요 변형 가능한 한 쌍의 피그테일 하니스(33, 33) 각각의 양단부(33a, 33b)가 납땜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급전용 브러시(30a, 30b)와 한쪽 단자(31a, 31a)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상기 각 피그테일 하니스(33, 33)는, 그 길이가 상기 급전용 브러시(30a, 30b)가 상기 각 코일 스프링(32a, 32b)의 스프링력에 의해 최대로 진출했을 때에, 도 3의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원통 안내부(29a, 29b)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그 최대 미끄럼 이동 위치를 규제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피그테일 하니스(33, 33)는, 각 일단부(33a, 33a)가 상기 급전용 브러시(30a, 30b)의 후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한편, 각 타단부(33b, 33b)측이 상기 급전 브러시(30a, 30b)의 축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각 선단부가 한쪽 단자(31a, 31a)의 길이 방향의 외단부에 납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급전용 브러시(30a, 30b)는, 조립시에, 각 선단부가 대응하는 상기 슬립 링(26a, 26b)에 접촉하여 각 코일 스프링(32a, 32b)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후퇴 이동하면, 상기 각 피그테일 하니스(33, 33)가 도 3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측이 각 관통 구멍(28g, 29d)과 삽입 관통 구멍(31c, 31c)내를 이동하면서 각 공간부(28f, 28f) 내에서 휨 변형하면서 흡수된 형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각 피그테일 하니스(33)는, 어느 부재에도 접촉하지 않고, 각 공간부(28f, 28f) 내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상기 브러시 유지부(28a)의 베이스부측 외주에 형성된 원환형의 감착 홈 내에는, 환형 시일 부재(34)가 감착 유지되어 있고, 상기 브러시 유지부(28a)가 상기 유지용 구멍(3c)에 삽입 관통되었을 때에, 상기 시일 부재(34)가 상기 원통벽(3b)의 선단면에 탄성 접촉하여 브러시 유지부(28a)내를 시일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부(28b)는, 상단부에 수형 단자(도시 생략)가 삽입되는 전술한 감합 홈(28d)을 향하는 상기 다른쪽 단자(31b, 31b)가 상기 수형 단자를 통해 컨트롤 유닛(도시 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부(28c, 28c)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부에 볼트 삽입 관통 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에는, 상기 커버 본체(3a)에 형성된 한 쌍의 암나사 구멍(도시 생략)에 나사 체결되는 각 볼트가 삽입 관통되어 각 브래킷부(28c, 28c)를 통해 상기 유지체(28)가 커버 본체(3a)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모터 출력축(13)과 편심축부(39)는, 상기 캠 볼트(10)의 머리부(10a)측의 축부(10b)의 외주면에 설치된 베어링 부재인 소직경 볼베어링(37)과, 상기 종동 부재(9)의 원통부(9b)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소직경 볼베어링(37)의 축방향 측부에 배치된 상기 니들 베어링(3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니들 베어링(38)은, 편심축부(39)의 내주면에 압입된 원통형의 리테이너(38a)와, 이 리테이너(38a)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복수의 롤링체인 니들 롤러(38b)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니들 롤러(38b)는, 상기 종동 부재(9)의 원통부(9b)의 외주면을 롤링하고 있다.
상기 소직경 볼베어링(37)은, 내륜이 상기 종동 부재(9)의 원통부(9b)의 전단 가장자리와 캠 볼트(10)의 와셔(1Oc) 사이에 협지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한편, 외륜이 상기 편심축부(39)의 단차 직경 확장 형상의 내주면에 압입 고정되어 있고, 상기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축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출력축(13)[편심축부(39)]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5)의 연장부(5d)의 내주면 사이에는, 감속 기구(8)의 내부로부터 전동 모터(12) 내로의 윤활유의 누설을 저지하는 소직경의 오일 시일(4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오일 시일(46)은, 전동 모터(12)와 감속 기구(8)를 시일 기능을 가지면서 이격시키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 유닛은, 크랭크각 센서나 에어 플로미터, 수온 센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 등 각종의 센서류(도시 생략)로부터의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의 기관 운전 상태를 검출하여, 기관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전자 코일(18)에 통전하여 모터 출력축(13)의 회전 제어를 행하며, 감속 기구(8)를 통해 캠 샤프트(2)의 타이밍 스프로켓(1)에 대한 상대 회전 위상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감속 기구(8)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심 회전 운동을 행하는 상기 편심축부(39)와, 이 편심축부(39)의 외주에 설치된 중직경 볼베어링(47)과, 이 중직경 볼베어링(47)의 외주에 설치된 상기 롤러(48)와, 이 롤러(48)를 롤링 방향으로 유지하면서 직경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기 유지기(41)와, 이 유지기(41)와 일체인 상기 종동 부재(9)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편심축부(39)는, 단차 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단측의 소직경부(39a)가 전술한 모터 출력축(13)의 대직경부(13a)의 내주면에 압입 고정되어 있으며, 후단측의 대직경부(39b)의 외주면에 형성된 캠면의 축심(Y)이 모터 출력축(13)의 축심(X)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약간 편심되어 있다.
상기 중직경 볼베어링(47)은, 상기 니들 베어링(38)의 직경 방향 위치에서 전체가 대략 오버랩하는 상태로 배치되고, 내륜(47a)과 외륜(47b) 및 양륜(47a, 47b) 사이에 개재된 볼(47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륜(47a)은, 상기 편심축부(39)의 외주면에 압입 고정되어 있는 데 대하여, 상기 외륜(47b)은, 축방향으로 고정되지 않고 프리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이 외륜(47b)은, 축방향의 전동 모터(12)측의 일단면(一端面)이 어느 부위에도 접촉하지 않고, 또한 축방향의 타단면(他端面)과 이에 대향하는 유지기(41)의 내측면의 사이에 미소한 제1 간극(C)이 형성되어 프리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외륜(47b)의 외주면에는, 상기 각 롤러(48)의 외주면이 롤링 가능하게 접촉하고 있고, 이 외륜(47b)의 외주측에는, 원환형의 제2 간극(C1)이 형성되며, 이 제2 간극(C1)에 의해 중직경 볼베어링(47) 전체가 상기 편심축부(39)의 편심 회전에 따라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즉 편심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각 롤러(48)는, 철계 금속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중직경 볼베어링(47)의 편심 이동에 따라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내치 구성부(19)의 내치(19a)에 감입되고, 유지기(41)의 롤러 유지 구멍(41b)의 양측 가장자리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직경 방향으로 요동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감속 기구(8)의 내부에는, 윤활유 공급 수단에 의해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 윤활유 공급 수단은, 상기 실린더 헤드의 베어링의 내부에 형성되고, 메인 오일 갤러리(도시 생략)로부터 윤활유가 공급되는 오일 공급 통로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캠 샤프트(2)의 내부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 공급 통로에 그루브 홈을 통해 연통된 오일 공급 구멍(51)과, 상기 종동 부재(9)의 내부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일단이 이 오일 공급 구멍(51)에 개구되고, 타단이 상기 니들 베어링(38)과 중직경 볼베어링(47) 부근에 개구된 상기 소직경의 오일 구멍(52)과, 마찬가지로 종동 부재(9)에 관통 형성된 상기 대직경의 3개의 오일 배출 구멍(도시 생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윤활유 공급 수단에 의해, 상기 공간부(44)에 윤활유가 공급되어 체류하고, 여기로부터 중직경 볼베어링(47)이나 각 롤러(48)를 윤활하고, 더 나아가서는 편심축부(39)와 모터 출력축(13)의 내부에 유입하여 니들 베어링(38)이나 소직경 볼베어링(37) 등의 가동부의 윤활에 제공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44) 내에 체류하는 윤활유는, 상기 소직경 오일 시일(46)에 의해 하우징(5) 내로의 누설이 억제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기관의 크랭크샤프트가 회전 구동하면 타이밍 체인(42)을 통해 타이밍 스프로켓(1)이 회전하고, 그 회전력이 내치 구성부(19)와 암나사 형성부(6)를 통해 하우징(5)에 전달된다. 즉 전동 모터(12)가 동기 회전한다. 한편, 상기 내치 구성부(19)의 회전력이, 각 롤러(48)로부터 유지기(41) 및 종동 부재(9)를 경유하여 캠 샤프트(2)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캠 샤프트(2)의 캠이 흡기 밸브를 개폐 작동시킨다.
그리고, 기관 시동 후의 정해진 기관 운전시에는, 상기 컨트롤 유닛에 의해 각 단자편(31, 31)으로부터 각 피그테일 하니스(33, 33) 및 급전용 브러시(30a, 30b)나 각 슬립 링(26a, 26b) 등을 통해 전동 모터(12)의 전자 코일(17)에 통전된다. 이것에 의해, 모터 출력축(13)이 회전 구동되고, 이 회전력이 감속 기구(8)를 통해 감속되어 캠 샤프트(2)에 감속된 회전력이 전달된다.
즉, 상기 모터 출력축(13)의 회전에 따라 편심축부(39)가 편심 회전하면, 각 롤러(48)가 모터 출력축(13)의 1회전마다 유지기(41)의 각 롤러 유지 구멍(41b)에서 직경 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상기 내치 구성부(19)의 하나의 내치(19a)를 타고 넘어 인접하는 다른 내치(19a)에 롤링하면서 이동하고, 이것을 순차 반복하면서 원주 방향으로 구름 접촉한다. 이 각 롤러(48)의 구름 접촉에 의해 상기 모터 출력축(13)의 회전이 감속되면서 상기 종동 부재(9)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 때의 감속비는, 상기 롤러(48)의 개수 등에 따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캠 샤프트(2)가 타이밍 스프로켓(1)에 대하여 정·역방향 상대 회전하여 상대 회전 위상이 변환되고, 흡기 밸브의 개폐 타이밍을 진각측 또는 지각측으로 변환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 스프로켓(1)에 대한 캠 샤프트(2)의 정·역방향 상대 회전의 최대 위치 규제(각도 위치 규제)는, 상기 스토퍼 볼록부(61b)의 각 측면이 상기 스토퍼 오목 홈(2b)의 각 대향면(2c, 2d) 중 어느 한쪽에 접촉함으로써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종동 부재(9)가, 상기 편심축부(39)의 편심 회동에 따라 타이밍 스프로켓(1)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스토퍼 볼록부(61b)의 일측면이 스토퍼 오목 홈(2b)의 한쪽의 대향면(1c)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같은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캠 샤프트(2)는, 타이밍 스프로켓(1)에 대한 상대 회전 위상이 진각측으로 최대로 변경된다.
한편, 종동 부재(9)가, 타이밍 스프로켓(1)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스토퍼 볼록부(61b)의 타측면이 스토퍼 오목 홈(2b)의 다른쪽 대향면(2d)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같은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캠 샤프트(2)는, 타이밍 스프로켓(1)에 대한 상대 회전 위상이 지각측으로 최대로 변경된다.
이 결과, 흡기 밸브의 개폐 타이밍이 진각측 또는 지각측으로 최대로 변환되어, 기관의 연비나 출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커버 부재(3)에 유지체(28)를 부착하고, 각 급전용 브러시(30a, 30b)를, 대응하는 제2 슬립 링(26a, 26b)에 하우징(5)의 외측 축방향으로부터 접촉시키면서, 각 코일 스프링(32a, 32b)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압박하면, 전술한 도 3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브러시(30a, 30b)가 후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각 피그테일 하니스(33, 33)의 대략 중앙부측이 상기 관통 구멍(28g, 29d) 및 각 단자(31a, 31a)의 삽입 관통 구멍(31c, 31c)내를 이동하면서 휨 변형되어 상기 각 공간부(28f, 28f) 내에서 찌부러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만곡형으로 변형되면서 흡수된 형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각 피그테일 하니스(33, 33)는, 굽힘 변형의 자유도가 커지고, 어느 부재에도 접촉하지 않고 각 공간부(28f, 28f)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기관 구동중에, 상기 캠 샤프트(2) 등으로부터 이 각 피그테일 하니스(33, 33)에 진동이 전달되었다고 해도, 이 피그테일 하니스(33, 33)에 반복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장기적으로 피로의 발생이 없고 부주의로 인한 단선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 공간부(28f, 28f)는 상기 칸막이벽에 의해 나눠져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공간부(28f, 28f) 내에 수용된 양 피그테일 하니스(33, 33)끼리의 접촉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피그테일 하니스(33, 33)끼리의 전기적인 단락이나 미끄럼 이동 마찰에 의한 단선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모터 출력축(13)의 소직경부(13b)의 내주면에 마개체(55)가 압입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윤활유 공급 수단의 소직경의 오일 구멍(52)으로부터 편심축부(39) 내에 공급되어 각 베어링(38, 37) 등의 윤활에 제공된 윤활유는, 상기 마개체(55)에 의해 액밀적으로 밀봉되어 모터 출력축(13)의 전단측으로부터 외부로의 누설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 마개체(55)는, 코어재(56)의 외면 전체에 탄성체(57)가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이 탄성력에 의해 시일 성능이 높아지고, 상기 외주부(57b)에 의한 소직경부(13b)의 내주면에의 압접력이 커지기 때문에 상기 유압에 의한 용이한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8은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상기 각 단자편(31, 31)의 한쪽 단자(31a, 31a)를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벽(35)도 상기 각 단자(31a, 31a)의 형상을 따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한쪽의 각 단자(31a, 31a)는, 동일한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벽(35)을 사이에 두고 서로 감합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상하 방향으로부터 대향하는 상편과 하편의 일단부에 상기 피그테일 하니스(33, 33)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28g, 28g)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단자(31a, 31a)의 관통 구멍(28g, 28g)과 반대측의 타단부에, 상기 각 피그테일 하니스(33, 33)의 각 브러시(30a, 30b)의 축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각 타단부(33b, 33b)의 선단부가 납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벽(35)은,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원형상의 공간(S)을 2개의 공간부(28f, 28f)로 구획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이, 각 브러시(30a, 30b)가 후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각 피그테일 하니스(33, 33)의 대략 중앙부측이 관통 구멍(28g, 29d) 내를 이동하면서 휨 변형되어 상기 각 공간부(28f, 28f) 내에서 찌부러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만곡형으로 변형되면서 흡수된 형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각 피그테일 하니스(33, 33)는, 굽힘 변형의 자유도가 커지고, 어느 부재에도 강하게 접촉하지 않고 각 공간부(28f, 28f) 내에 수용된다.
이 결과, 캠 샤프트(2) 등으로부터 이들 각 피그테일 하니스(33, 33)에 진동이 전달되었다고 해도, 이들 피그테일 하니스(33, 33)에 반복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장기적으로 피로의 발생이 없고 부주의로 인한 단선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벽(35)에 의한 각 피그테일 하니스(33, 33)간의 접촉이 방지된다고 하는 다른 작용 효과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상기 공간(S)이나 관통 구멍(28g, 28g)의 크기나 형상 등은 임의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단자편(31, 31)의 한쪽 단자(31a, 31a)의 형상을 더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로부터 파악되는 상기 청구항 이외의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청구항 a〕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슬립 링은, 상기 위상 변경 기구의 전단면에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각 급전용 브러시는, 상기 커버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청구항 b〕청구항 a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피그테일 하니스는, 각 타단부가 상기 급전용 브러시의 축심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청구항 c〕청구항 a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피그테일 하니스는, 상기 브러시의 축심으로부터 서로 직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청구항 d〕청구항 b 또는 청구항 c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러시는, 상기 위상 변경 기구의 회전 중심 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내주측과 외주측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피그테일 하니스는, 상기 칸막이벽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청구항 e〕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급전 브러시가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한 쌍의 원통 안내부의 단부벽의 외측에, 상기 각 피그테일 하니스의 각 타단부가 접속되는 단자편의 한쪽 단자를 고정하고, 이 각 한쪽 단자가 위치하는 부위에 공간을 형성하며, 이 공간을 상기 칸막이벽에 의해 한 쌍의 공간부로 구획하여 이들 각 공간부에 상기 피그테일 하니스의 각 타단부측을 수용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1: 타이밍 스프로켓(구동 회전체), 1a: 스프로켓 본체, 2: 캠 샤프트, 3: 커버 부재, 3a: 커버 본체, 3f: 대향 내면, 4: 위상 변경 기구, 5: 하우징, 8: 감속 기구, 9: 종동 부재(종동 회전체), 12: 전동 모터, 13: 모터 출력축, 13a: 대직경부, 13b: 소직경부, 19: 내치 구성부, 26a, 26b: 급전용 슬립 링, 28: 유지체, 28f, 28f: 공간부, 28g: 관통 구멍, 28h: 고정용 구멍, 30a, 30b: 급전용 브러시, 31: 단자 편, 31a: 한쪽 단자, 31c: 삽입 관통 구멍, 32a, 32b: 제2 코일 스프링, 33: 피그테일 하니스, 35: 칸막이벽, 36: 캡, S: 공간

Claims (10)

  1. 크랭크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동 회전체와, 캠 샤프트에 고정된 종동 회전체와,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 회전체에 대하여 종동 회전체를 상대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종동 회전체에 전달하는 감속 기구를 구비한 기관 밸브의 밸브 타이밍을 변경하는 위상 변경 기구와,
    상기 위상 변경 기구의 선단측에 설치된 커버 부재와,
    상기 위상 변경 기구의 전단부와 상기 전단부에 대향하는 상기 커버 부재의 대향면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상기 전동 모터에의 급전용의 슬립 링과,
    상기 위상 변경 기구의 전단부와 커버 부재의 대향면 중 다른 어느 한쪽에 설치된 한 쌍의 안내부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립 링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전동 모터에 급전하는 한 쌍의 브러시와,
    각 일단부가 상기 각 브러시에 각각 접속되고, 각 타단부가 커넥터 단자에 각각 접속된 가요성을 갖는 피그테일 하니스
    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안내부의 후단측에 형성된 공간이 절연재의 칸막이벽에 의해 상기 각 브러시에 대응하는 한 쌍의 공간부로 나누어지고,
    상기 각 피그테일 하니스의 각 타단부는, 각각의 공간부에서 상기 브러시의 축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각각의 공간부에서 휨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각 타단부의 각 선단부가 커넥터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2. 크랭크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동 회전체와, 캠 샤프트에 고정된 종동 회전체와,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 회전체에 대하여 종동 회전체를 상대 회전시키는 전자(電磁)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기관 밸브의 밸브 타이밍을 변경하는 위상 변경 기구와,
    상기 위상 변경 기구의 선단측에 설치된 커버 부재와,
    상기 위상 변경 기구의 선단면과 상기 선단면에 대향하는 상기 커버 부재의 대향면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에의 급전용의 슬립 링과,
    상기 위상 변경 기구의 선단면과 커버 부재의 대향면 중 다른 어느 한쪽에 설치된 한 쌍의 안내부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립 링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에 급전하는 한 쌍의 브러시와,
    각 일단부가 상기 각 브러시에 각각 접속되고, 각 타단부가 커넥터 단자에 각각 접속된 가요성을 갖는 피그테일 하니스
    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안내부의 후단측에 형성된 공간이 절연재의 칸막이벽에 의해 상기 각 브러시에 대응하는 한 쌍의 공간부로 나누어지며,
    상기 각 피그테일 하니스의 각 타단부는, 상기 각각의 공간부에서 상기 브러시의 축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절곡되며, 각 선단부가 커넥터 단자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각 브러시가 후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각 공간부에서 휨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3. 크랭크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동 회전체와, 캠 샤프트에 고정된 종동 회전체와,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 회전체에 대하여 종동 회전체를 상대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종동 회전체에 전달하는 감속 기구를 구비한 기관 밸브의 밸브 타이밍을 변경하는 위상 변경 기구와,
    상기 위상 변경 기구의 전단측에 설치되는, 상기 전동 모터에의 급전용의 슬립 링과,
    상기 위상 변경 기구의 전단측에 배치된 커버 부재를 구비한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의 커버 부재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에 설치된 한 쌍의 안내부의 내부에 상기 슬립 링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전동 모터에 급전하는 한 쌍의 브러시가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브러시에 한 쌍의 피그테일 하니스의 각 일단부가 각각 접속되며,
    상기 한 쌍의 안내부의 후단측에 형성된 공간이 절연재의 칸막이벽에 의해 상기 각 브러시에 대응하는 한 쌍의 공간부로 나누어지며,
    상기 각 피그테일 하니스의 각 타단부는, 상기 각 안내부의 후단측에 형성된 상기 각 공간부에서 휜 상태로 커넥터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의 커버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립 링은, 상기 위상 변경 기구의 전단면에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각 급전용 브러시는, 상기 커버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피그테일 하니스는, 각 타단부가 상기 급전용 브러시의 축심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피그테일 하니스는, 상기 브러시의 축심으로부터 서로 직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러시는, 상기 위상 변경 기구의 회전 중심 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내주측과 외주측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피그테일 하니스는, 상기 칸막이벽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러시는, 상기 위상 변경 기구의 회전 중심 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내주측과 외주측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피그테일 하니스는, 상기 칸막이벽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급전 브러시가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한 쌍의 원통 안내부의 단부벽의 외측에, 상기 각 피그테일 하니스의 각 타단부가 접속되는 단자편의 한쪽 단자를 고정하고, 상기 각 한쪽 단자가 위치하는 부위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을 상기 칸막이벽에 의해 한 쌍의 공간부로 구획하여 상기 각 공간부에 상기 피그테일 하니스의 각 타단부측을 수용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급전 브러시가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한 쌍의 원통 안내부의 단부벽의 외측에, 상기 각 피그테일 하니스의 각 타단부가 접속되는 단자편의 한쪽 단자를 고정하고, 상기 각 한쪽 단자가 위치하는 부위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을 상기 칸막이벽에 의해 한 쌍의 공간부로 구획하여 상기 각 공간부에 상기 피그테일 하니스의 각 타단부측을 수용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KR1020130154586A 2012-12-28 2013-12-12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및 이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에 이용되는 커버 부재 KR101646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86556A JP5976529B2 (ja) 2012-12-28 2012-12-28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及び該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に用いられるカバー部材
JPJP-P-2012-286556 2012-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833A KR20140086833A (ko) 2014-07-08
KR101646314B1 true KR101646314B1 (ko) 2016-08-05

Family

ID=51015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586A KR101646314B1 (ko) 2012-12-28 2013-12-12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및 이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에 이용되는 커버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09473B2 (ko)
JP (1) JP5976529B2 (ko)
KR (1) KR101646314B1 (ko)
CN (1) CN1039123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39291A (ja) * 2018-05-31 2021-09-16 日立Astemo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と該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の製造方法及び給電用ブラシの保持構造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3812A (ja) 2002-06-12 2004-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およびブラシアッセンブリのブラシホルダへの取付方法
JP2012180816A (ja) 2011-03-03 2012-09-2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7962A (en) * 1979-06-29 1981-05-19 Honor-Gard System Security system
JPS5987214A (ja) 1982-11-12 1984-05-19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H0649101Y2 (ja) * 1990-06-11 1994-12-12 株式会社三ツ葉電機製作所 回転電機の刷子装置
JP2005273649A (ja) * 2004-02-26 2005-10-06 Hitachi Ltd 内燃機関の可変動弁制御装置
JP5379744B2 (ja) 2010-05-20 2013-12-25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データラッチ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試験装置
JP2012132367A (ja) * 2010-12-22 2012-07-12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5654950B2 (ja) * 2011-06-07 2015-01-1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5976505B2 (ja) * 2012-11-07 2016-08-2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5873424B2 (ja) * 2012-12-18 2016-03-0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5940001B2 (ja) * 2013-02-07 2016-06-2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3812A (ja) 2002-06-12 2004-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およびブラシアッセンブリのブラシホルダへの取付方法
JP2012180816A (ja) 2011-03-03 2012-09-2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29729A (ja) 2014-07-10
CN103912330B (zh) 2018-01-30
JP5976529B2 (ja) 2016-08-23
CN103912330A (zh) 2014-07-09
US9109473B2 (en) 2015-08-18
KR20140086833A (ko) 2014-07-08
US20140182532A1 (en)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642B1 (ko)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JP6814621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KR101624778B1 (ko)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시스템
KR101624776B1 (ko)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및 마개체의 제거 방법
KR101710251B1 (ko) 내연 기관의 가변 밸브 장치
JP2013167181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5978111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6174160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KR101656926B1 (ko) 내연 기관의 가변 밸브 작동 장치
KR101710232B1 (ko)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및 이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에 이용되는 급전 기구
JP5693312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6125094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6266810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KR101646314B1 (ko) 내연 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 및 이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에 이용되는 커버 부재
JP6030781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WO2016009766A1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及び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016151244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6274900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5993352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及びローラ減速機構
JP2014214723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15178822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