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146B1 -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146B1
KR101762146B1 KR1020127019980A KR20127019980A KR101762146B1 KR 101762146 B1 KR101762146 B1 KR 101762146B1 KR 1020127019980 A KR1020127019980 A KR 1020127019980A KR 20127019980 A KR20127019980 A KR 20127019980A KR 101762146 B1 KR101762146 B1 KR 101762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rake
shaft
piec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495A (ko
Inventor
쥰이치 마사노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4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0Arrangements of straw crushers or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2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having rotating knives with their cutting edges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ir rotational ax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규제체에 의해 간단하고 또한 견실하게 스크레이퍼의 위치 결정과 기체의 폭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원판 형상의 레이킹날과 레이킹체를 1쌍으로 해서 복수쌍 장착한 레이킹날 축과, 원판 형상의 절단날을 복수 장착한 절단날 축을 평행하게 해서 횡으로 가설하고, 쌍을 이루는 레이킹날과 레이킹체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을 형성하고, 그 간극에 대향하는 절단날의 날 끝부를 배치하고, 레이킹날 축을 사이에 두고 절단날 축과는 반대측에는 이들의 축과 평행하게 해서 스크레이퍼를 복수 장착한 지축을 횡으로 가설하고, 각 스크레이퍼는 기단부를 지축에 그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는 한편, 선단부에 형성한 감합 오목부를 레이킹날과 레이킹체 사이에 위치하는 레이킹날 축의 외주 절반부에 감합시키고, 레이킹날과 레이킹체 사이에 스크레이퍼를 개재시킨다. 스크레이퍼의 기단부의 전단면을 따르게 해서 기체의 폭 방향으로 신장되는 판 형상의 규제체를 배치하고, 규제체의 하단부에는 기체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절곡편을 형성함과 아울러 절곡편은 선단이 레이킹날 내지는 레이킹체를 지향하도록 절곡시켜서 형성하고, 인접하는 절곡편의 측단면끼리로 스크레이퍼의 위치 결정과 기체의 폭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Description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WASTE STRAW CUTTING DEVICE FOR COMBINE HARVESTER}
본 발명은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로서, 스크레이퍼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구조를 갖는 폐짚 커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콤바인에 장착된 폐짚 커터 장치의 일형태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즉, 이러한 폐짚 커터 장치에는 기체의 폭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는 레이킹날 축(raking blade shaft)과 절단날 축(cutting blade shaft)을 평행하게 하여 횡으로 가설하고 있다. 그리고, 레이킹날 축에는 그 축선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원판 형상의 레이킹날과 레이킹체(raking body)를 1쌍으로 해서 복수쌍 장착하고 있다. 또한, 절단날 축에는 그 축선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절단날을 복수 장착하고 있다. 여기에서, 쌍을 이루는 레이킹날과 레이킹체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을 두고서 그 간극에 대향하는 절단날의 날 끝부를 배치하여 절단날의 날 끝부와 레이킹날의 날 끝부를 측면으로 볼 때 오버랩(중합)시키고 있다. 이렇게 하여, 대향하는 각 절단날과 각 레이킹날의 날 끝부끼리로 폐짚을 세단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쌍을 이루는 레이킹날과 레이킹체 사이에는 스크레이퍼를 개재시키고, 이 스크레이퍼에 의해 쌍을 이루는 레이킹날과 레이킹체 사이에 위치하는 레이킹날 축의 외주면에 폐짚이 휘감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여기에서, 스크레이퍼는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는 지축에 그 축선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복수 장착되어 있다. 지축은 레이킹날 축을 사이에 두고 절단날 축과는 반대측에 이들 축과 평행하게 하여 횡으로 가설되어 있다. 각 스크레이퍼는 지축에 기단부를 지축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또한 축선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선단부에 형성한 감합 오목부는 레이킹날과 레이킹체 사이에 위치하는 레이킹날 축의 외주 절반부에 감합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각 스크레이퍼의 선단부에 형성한 감합 오목부를 레이킹날 축의 외주 절반부에 견실하게 감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스크레이퍼의 기단부의 전방측 근방 위치에는 링크를 통하여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는 고정축을 가설하고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각 스크레이퍼가 자체 중량이나 폐짚으로부터의 작용을 받아서 지축을 중심으로 전방 하방으로 회동하여 선단부가 레이킹날 축으로부터 이탈해서 그 기능을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1-16965
그런데, 상기한 폐짚 커터 장치에서는 각 스크레이퍼의 전방 하방으로의 회동은 규제할 수 있지만 지축의 축선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규제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각 스크레이퍼의 선단부에 형성한 감합 오목부를 레이킹날과 레이킹체 사이에 위치하는 레이킹날 축의 외주 절반부에 감합시키기 위한 위치 결정 작업이 번잡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 스크레이퍼의 좌우 움직임이나 전방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는 간이한 규제 구조를 갖는 폐짚 커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기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는 콤바인의 후방부에 장착하는 폐짚 커터 장치에 있어서 원판 형상의 레이킹날과 레이킹체를 1쌍으로 해서 복수쌍 장착한 레이킹날 축과, 원판 형상의 절단날을 복수 장착한 절단날 축을 평행하게 해서 횡으로 가설하고, 쌍을 이루는 레이킹날과 레이킹체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을 두고서 그 간극에 대향하는 절단날의 날 끝부를 배치하고, 레이킹날 축을 사이에 두고 절단날 축과는 반대측에는 이들의 축과 평행하게 하여 스크레이퍼를 복수 장착한 지축을 횡으로 가설하고, 각 스크레이퍼는 기단부를 지축에 그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는 한편, 선단부에 형성한 감합 오목부를 레이킹날과 레이킹체 사이에 위치하는 레이킹날 축의 외주 절반부에 감합시켜서 레이킹날과 레이킹체 사이에 스크레이퍼를 개재시킨 폐짚 커터 장치로서, 스크레이퍼의 기단부의 전단면을 따르게 해서 기체의 폭 방향으로 신장되는 판 형상의 규제체를 배치하고, 규제체의 하단부에는 기체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절곡편을 형성함과 아울러 절곡편은 선단이 레이킹날 내지는 레이킹체를 지향하도록 절곡시켜서 형성되고, 인접하는 절곡편의 측단면끼리로 스크레이퍼의 위치 결정과 기체의 폭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에서는 규제체의 하단부에 형성한 절곡편의 선단을 레이킹날 내지는 레이킹체에 지향시켜서 인접하는 절곡편의 측단면끼리로 스크레이퍼의 위치 결정과 기체의 폭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스크레이퍼를 복수쌍의 레이킹날과 레이킹체의 간극에 각각 간단하고 또한 견실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레이퍼의 선단부에 형성한 감합 오목부는 레이킹날과 레이킹체 사이에 위치하는 레이킹날 축의 외주 절반부에 견실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스크레이퍼의 기능인 레이킹날과 레이킹체의 간극에 폐짚이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폐짚 커터 장치로서, 상기 절곡편 사이에 늘어짐편을 형성함과 아울러 늘어짐편은 레이킹날과 레이킹체 사이에 형성된 간극과 대향시켜서 배치하고, 늘어짐편으로 스크레이퍼의 전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에서는 규제체의 절곡편 사이에 형성한 늘어짐편으로 스크레이퍼의 전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즉, 레이킹날 축의 외주 절반부에 감합시킨 스크레이퍼의 선단부의 감합 오목부가 스크레이퍼의 자체 중량에 의해 전방 하방으로 회동해서 레이킹날 축의 외주면에 압박 상태로 접촉해서 마모되고, 또한 레이킹날 축에 감합되어 있는 감합 오목부가 분리(감합 해제)된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레이킹날 축으로의 감합 오목부의 감합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스크레이퍼에 의한 폐짚 침입 저지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절곡편과 늘어짐편은 규제체의 하단부에 종 방향의 컷라인을 넣어서 절곡편을 절곡 형성함으로써 규제체에 절곡편과 늘어짐편을 동시에 일체 성형할 수 있다. 그 결과, 절곡편과 늘어짐편을 갖는 규제체는 간이한 규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규제체는 판 스프링 등의 탄성 복원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특히 스크레이퍼의 전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늘어짐편에 탄성 복원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폐짚 커터 장치로서, 상기 규제체는 상단부를 스크레이퍼의 기단부의 상단면과 후단면을 따르게 해서 절곡 형상으로 신장시켜서 록킹편을 형성하고, 록킹편으로 스크레이퍼의 상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에서는 록킹편으로 스크레이퍼의 상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폐짚의 막힘 등에 의해 스크레이퍼가 상방으로 회동되는 작용을 받았을 때에도 레이킹날 축에 감합되어 있는 감합 오목부가 분리(감합 해제)된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레이킹날 축으로의 감합 오목부의 감합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이 점으로부터도 스크레이퍼에 의한 폐짚 침입 저지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절곡편과 늘어짐편과 록킹편은 절곡편과 늘어짐편을 동시에 일체 성형할 수 있다. 그 결과, 절곡편과 늘어짐편과 록킹편을 갖는 규제체는 간이한 규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규제체는 판 스프링 등의 탄성 복원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특히 스크레이퍼의 전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늘어짐편과, 스크레이퍼의 상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록킹편에 탄성 복원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는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로서, 대향하는 절단날의 날 끝부와 레이킹날의 날 끝부는 측면으로 볼 때 오버랩시킴과 아울러 양 날 끝부의 연마면끼리를 연마면 맞춤 상태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양 날 끝부의 연마면끼리를 근접시킨 연마면 맞춤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양 날 끝부에 의한 폐짚의 절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규제체의 인접하는 절곡편의 측단면끼리로 스크레이퍼의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과 움직임의 규제가 견실하게 되기 때문에 연마면끼리의 근접 배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레이킹날과 레이킹체의 둘레가장자리부(선단 가장자리부)끼리가 근접하는 끝이 좁은 상태가 되지만, 스크레이퍼는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과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레이퍼와 이들 레이킹날 및 레이킹체의 둘레가장자리부가 간섭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즉, 본 발명은 간이한 규제 구조로 한 규제체에 의해 간단하고 또한 견실하게 스크레이퍼의 위치 결정과 기체의 폭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어 스크레이퍼의 조립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의 폐짚 침입 저지 기능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폐짚 커터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폐짚 커터 장치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3은 폐짚 커터 장치의 배면 설명도이다.
도 4는 폐짚 커터 장치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5는 폐짚 커터 장치의 부분 확대 끝면 설명도이다.
도 6은 폐짚 커터 장치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7은 스크레이퍼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폐짚 커터 장치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8은 스크레이퍼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9는 규제체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10은 규제체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A)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콤바인(A)는 좌우 1쌍의 크롤러식 주행부(1)를 구비하고, 이 주행부(1) 상에 기체 프레임(2)을 설치해서 주행 기체를 형성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2)의 좌측 전단부에는 예취 프레임(3)을 통하여 예취부(4)를 승강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예취부(4)에는 반송부(5)와 곡간 이송부(6)를 설치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2) 상의 좌측부에는 탈곡부(7)와 선별부(8)를 상하단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기체 프레임(2)의 후방부에는 본 발명에 의한 폐짚 커터 장치로서의 폐짚 처리부(9)를 설치하고 있다. 한편, 기체 프레임(2) 상의 우측 전방부에는 캐빈(10)을 설치함과 아울러 기체 프레임(2)의 우측 중도부에는 곡립 저류부(11)를 설치하고 있다. 곡립 저류부(11)는 곡물 반출용 오거(12)를 갖는다. 또한, 콤바인(A)은 기체 프레임(2) 상에 있어서의 전방부에 구동원으로서의 엔진(14)을 포함하는 원동기부(13)를 구비한다. 원동기부(13)는 엔진(14)의 동력을 각 부의 장치에 공급한다.
또한, 기체 프레임(2) 상에 있어서의 원동기부(13)의 전방에는 미션부(15)를 설치하고 있다. 미션부(15)는 원동기부(13)가 갖는 엔진(14)의 동력을 주행부(1)나 예취부(4) 등에 전달되기 전에 엔진(14)의 동력을 조정(변속)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콤바인(A)은 예취부(4)에 의해 곡간을 예취하고, 예취한 곡간을 반송부(5)에 의해 후방 상방의 곡간 이송부(6)까지 반송하여 곡간 이송부(6)에서 곡간을 주고받는다. 곡간 이송부(6)에서 주고받아진 곡간은 곡간 이송부(6)에 의해 밑둥이 끼워져 고정됨과 아울러 이삭 끝을 탈곡부(7) 내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송된다.
이것에 의해 곡간은 탈곡부(7)에 의해 탈곡된다. 탈곡에 의해 얻어진 곡립은 선별부(8)에 의해 선별되어서 정립만이 곡립 저류부(11)로 반송되어서 저류되고, 필요에 따라서 오거(12)를 통하여 반출된다.
또한, 탈곡된 곡간은 폐짚으로서 폐짚 처리부(9)로 반송되고, 이 폐짚 처리부(9)에서 세단·배출 처리된다.
그리고, 캐빈(10)은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로서 대략 사각형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캐빈(10)의 내부에는 운전부(19)를 설치하고 있다. 운전부(19)에 있어서는 바닥부에 스티어링 컬럼(21)을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21)의 상단부에는 조향 수단으로서의 스티어링 휠(22)을 장착하고 있다. 스티어링 휠(22)의 후방 위치에는 운전석(23)을 배치하고, 운전석(23)의 전방으로부터 좌측방에 걸쳐서 사이드 컬럼(24)을 설치하고 있다. 사이드 컬럼(24)의 상부에는 변속 수단으로서의 변속 레버(26)를 장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구성하는 폐짚 처리부(9)의 구조를 이하에 도 2~도 9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폐짚 처리부(9)는 도 2~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짚 처리실(29)을 갖고 있다. 폐짚 처리실(29) 내에는 좌우 1쌍의 축 지지 벽체(30, 31)를 기체의 폭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대향 상태로 설치하고 있다. 양 축 지지 벽체(30, 31) 사이에는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는 레이킹날 축(32)과 절단날 축(33)을 평행하게 해서 횡으로 가설하고 있다. 여기에서, 절단날 축(33)은 레이킹날 축(32)의 후방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레이킹날 축(32)에는 그 축선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원판 형상의 레이킹날(저속측 절단날)(34)과 레이킹체(35)를 1쌍으로 해서 복수쌍 장착되어 있다. 37은 레이킹날(34)과 레이킹체(35) 사이에 개재시킨 원통 형상의 스페이서이고, 레이킹날 축(32)에 동심원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한편, 절단날 축(33)에는 그 축선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절단날(고속측 절단날)(36)을 복수 장착하고 있다. 38은 인접한 절단날(36)끼리의 사이에 개재시킨 원통 형상의 스페이서이고, 절단날 축(33)에 동심원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쌍을 이루는 레이킹날(34)과 레이킹체(35)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t)을 형성하고, 그 간극(t)에 대향하는 절단날(36)의 날 끝부(36a)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절단날(36)의 날 끝부(36a)와 레이킹날(34)의 날 끝부(34a)는 측면으로 볼 때 오버랩(중합 상태)되어 있다. 39는 고속측의 소경 절단날이고, 소경 절단날(39)은 절단날 축(33)에 동축적으로 절단날(36)과 교대로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절단날(36)의 날 끝부(36a)와 레이킹날(34)의 날 끝부(34a)는 측면으로 볼 때 오버랩시킴과 아울러 양 날 끝부(34a, 36a)의 연마면(34b, 36b)끼리를 근접시킨 연마면 맞춤 상태(대면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양 날 끝부(34a, 36a)에 의한 폐짚의 절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레이킹날 축(32)을 사이에 두고 절단날 축(33)과는 반대측에 이들의 축(32, 33)과 평행하게 해서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는 지축(40)을 설치하고, 지축(40)에 복수의 스크레이퍼(41)를 장착하고 있다. 각 스크레이퍼(41)는 도 7~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부인 기단부(42)와 중도부(43)와 후단부인 선단부(44)로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42)는 측면으로 볼 때 전후 폭이 좁은 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도부(43)는 측면으로 볼 때 기단부(42)의 하단 가장자리부로부터 하방 및 후방으로 끝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팽출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44)는 측면으로 볼 때 스페이서(37)의 전반부 외주면을 따르게 해서 반원호 판 형상으로 형성한 감합 오목부이다. 기단부(42)의 중앙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하는 축 삽통 구멍(45)을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지축(40)에 축 삽통 구멍(45)을 통하여 스크레이퍼(41)를 지축(40)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또한 축선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한편, 각 스크레이퍼(41)의 감합 오목부인 선단부(44)는 레이킹날(34)과 레이킹체(35)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37)[또는 레이킹날 축(32)]의 외주 절반부에 감합시켜서 레이킹날(34)과 레이킹체(35) 사이에 스크레이퍼(41)를 개재시키고 있다.
지축(40)은 좌우 1쌍의 축 지지 벽체(30, 31)의 전방 상부 사이에 횡으로 가설된 지지체(51)에 지지되어 있다. 즉, 지지체(51)는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는 사각형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51) 하면의 좌측부와 중도부에 단면 갈고리 형상의 지지편(52, 53)이 매달려 있다. 각 지지편(52, 53)에는 연결 브래킷(54, 55)을 연결 볼트(56, 57)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각 연결 브래킷(54, 55)의 내측 끝 가장자리부에는 축 지지편(58, 59)을 연이어 설치하여 양 축 지지편(58, 59)의 측면끼리를 좌우 방향으로 대향시키고 있다. 양 축 지지편(58, 59) 사이에 지축(40)을 착탈 가능하게 가설하고 있다. 60은 빠짐 방지핀이다. 또한, 양 축 지지편(58, 59) 사이에는 규제체(70)를 가설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연이어 설치하고 있다.
규제체(70)는 도 7~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 등의 탄성 복원력을 갖는 소재이고, 전면 형성편(71)과 상면 형성편(72)과 후면 형성편(73)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면 형성편(71)은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후면이 각 스크레이퍼(41)의 기단부(42)의 전단면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면 형성편(72)은 전면 형성편(71) 상단 가장자리부로부터 후방으로 대략 수평으로 신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이 각 스크레이퍼(41)의 기단부(42)의 상단면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면 형성편(73)은 상면 형성편(72)의 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하방으로 대략 수직으로 돌출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면이 각 스크레이퍼(41)의 기단부(42)의 후단면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규제체(70)의 상부에 전면 형성편(71)과 상면 형성편(72)과 후면 형성편(73)에 의해 상방으로 볼록 형상의 직사각형 감합 오목부(78)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규제체(70)의 상부에 형성되는 직사각형 감합 오목부(78)에 각 스크레이퍼(41)의 상부인 기단부(42)를 하방으로부터 끼워넣음으로써 각 스크레이퍼(41)를 좌우 방향으로 동일 자세로 정연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면 형성편(71)의 하단부에는 하단에서부터 상방을 향해서 종 방향으로 잘려진 노치부(74)를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노치부(74)의 간격은 스크레이퍼(41)의 전단부의 좌우 폭과 대략 동일 폭을 갖는 제 1 간격(t1)과, 레이킹날(34)과 레이킹체(35) 사이에 개재시키는 스크레이퍼(41)끼리의 간격인 제 2 간격(t2)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간격(t1)과 제 2 간격(t2)은 좌우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간격(t2)을 두고서 형성된 전면 형성편(71)의 하단부는 절곡편(75)으로 되어 있다.
절곡편(75)은 선단이 레이킹날(34) 내지는 레이킹체(35)를 지향하도록 절곡시켜서 형성하고, 인접하는 절곡편(75)의 측단면(76)끼리로 스크레이퍼(41)의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과 움직임을 규제하고 있다.
제 1 간격(t1)을 두고서 형성한 전면 형성편(71)의 하단부는 늘어짐편(77)으로 되어 있다. 늘어짐편(77)은 레이킹날(34)과 레이킹체(35) 사이에 형성된 간극(t)과 전후 방향으로 대향시켜서 배치하여 늘어짐편(77)에 의해 지축(40)을 중심으로 한 스크레이퍼(41)의 전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하고 있다.
각 스크레이퍼(41)의 기단부(42)의 후단면에 면접촉하는 후면 형성편(73)은 록킹편으로 되어 있다. 록킹편에 의해 지축(40)을 중심으로 하는 스크레이퍼(41)의 후측 상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규제체(70)의 인접하는 절곡편(75) 사이에 스크레이퍼(41)를 배치함과 아울러 규제체(70)의 상부에 형성되는 직사각형 감합 오목부(78)에 각 스크레이퍼(41)의 상부인 기단부(42)를 하방으로부터 끼워넣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각 스크레이퍼(41)를 좌우 방향으로 동일 자세로 정연하게 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각 스크레이퍼(41)의 좌우 방향의 움직임과, 지축(40)을 중심으로 하는 상하 회동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스크레이퍼(41)의 기단부(42)에 형성한 축 삽통 구멍(45)을 좌우 방향으로 부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 스크레이퍼(41)의 축 삽통 구멍(45)에 지축(40)을 관통 상태로 삽통시켜 축 지지편(58, 59) 사이에 지축(40)을 횡으로 가설한다. 이렇게 규제체(70)를 통하여 지축(40)에 피봇된 각 스크레이퍼(41)를 유닛으로 한다. 그리고, 폐짚 처리실(29)의 측벽인 축 지지 벽체(30, 31)의 전방 상부 사이에 횡으로 가설된 지지체(51)에 지지편(52, 53)을 통하여 규제체(70)를 횡으로 가설한 형상으로 고정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스크레이퍼(41)의 유닛을 레이킹날(34)과 레이킹체(35) 사이에 간단하고 또한 견실하게 개재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절단날(36)의 날 끝부(36a)와 레이킹날(34)의 날 끝부(34a)를 측면으로 볼 때 오버랩시켜서 양 날 끝부(34a, 36a)의 연마면(34b, 36b)끼리를 근접시킨 연마면 맞춤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양 날 끝부(34a, 36a)에 의한 폐짚의 절단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것은 규제체(70)의 인접하는 절곡편(75)의 측단면(76)끼리에 의해 스크레이퍼(41)의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과 움직임의 규제가 견실하게 되기 때문에 연마면(34b, 36b)끼리의 근접 배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레이킹날(34)와 레이킹체(35)의 둘레가장자리부(선단 가장자리부)끼리가 근접하는 끝이 좁은 상태가 되지만 스크레이퍼(41)는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과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레이퍼(41)와 이들 레이킹날(34) 및 레이킹체(35)의 둘레가장자리부가 간섭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도 2~도 4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킹날 축(32)과 절단날 축(33)은 각각 좌측의 축 지지 벽체(30)로부터 바깥쪽으로 좌측 단부(32a, 33a)를 연장시키고 있다. 그리고, 레이킹날 축(32)의 좌측 단부(32a)에 입력측 대경 기어(80)를 장착하는 한편, 절단날 축(33)의 좌측 단부(33a)에 출력측 소경 기어(81)를 장착하여 양 기어(80, 81)를 맞물리게 하고 있다. 또한, 절단날 축(33)의 좌측 단부(33a)에는 입력 풀리(82)를 장착하고, 입력 전동 벨트(83)를 통하여 엔진(14)과 연동 연결되어 있다. 85는 폐짚 처리실(29)의 상부를 덮개로 개폐하는 개폐 덮개체이다.
이렇게 하여, 엔진(14)→입력 전동 벨트(83)→입력 풀리(82)→절단날 축(33)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절단날 축(33)과 일체적으로 고속측인 절단날(36)을 도 7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절단날 축(33)→출력측 소경 기어(81)→입력측 대경 기어(80)→레이킹날 축(32)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레이킹날 축(32)과 일체적으로 저속측인 레이킹날(34)과 레이킹체(35)를 도 7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오버랩시키고 있는 절단날(36)의 날 끝부(36a)와 레이킹날(34)의 날 끝부(34a) 사이에서 반송되어 온 폐짚을 절단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폐짚 처리부(9)의 실시형태는 상기와 같이 구성하고 있는 것이고, 폐짚 처리부(9)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나타난다.
즉, 이러한 폐짚 처리부(9)에서는 규제체(70)의 하단부에 형성한 절곡편(75)의 선단을 레이킹날(34) 내지는 레이킹체(35)에 지향시켜서 인접하는 절곡편(75)의 측단면끼리로 스크레이퍼(41)의 위치 결정과 좌우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스크레이퍼(41)를 복수쌍의 레이킹날(34)과 레이킹체(35)의 간극(t)에 각각 간단하고 또한 견실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레이퍼(41)의 선단부에 형성한 감합 오목부는 레이킹날(34)과 레이킹체(35) 사이에 위치하는 레이킹날 축(32)에 동심원적으로 장착된 스페이서(37)의 외주 전반부에 견실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스크레이퍼(41)의 기능인 레이킹날(34)과 레이킹체(35)의 간극(t)에 폐짚이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규제체(70)의 절곡편(75) 사이에 형성한 늘어짐편(77)으로 스크레이퍼(41)의 전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즉, 레이킹날 축(32)의 외주 절반부에 감합시킨 스크레이퍼(41)의 선단부(44)의 감합 오목부가 스크레이퍼(41)의 자체 중량에 의해 전방 하방으로 회동해서 레이킹날 축(32)의 외주면에 압박 상태로 접촉해서 마모되고, 또한 레이킹날 축(32)에 감합되어 있는 감합 오목부가 분리(감합 해제)된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레이킹날 축(32)으로의 감합 오목부의 감합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스크레이퍼(41)에 의한 폐짚 침입 저지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절곡편(75)과 늘어짐편(77)은 규제체(70)의 하단부에 종 방향의 컷라인을 넣어 절곡편(75)을 절곡 형성함으로써 규제체(70)에 절곡편(75)과 늘어짐편(77)을 동시에 일체 성형할 수 있다. 그 결과, 절곡편(75)과 늘어짐편(77)을 갖는 규제체(70)는 간이한 규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규제체(70)는 판 스프링 등의 탄성 복원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특히 스크레이퍼(41)의 전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늘어짐편(77)에 탄성 복원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록킹편으로 스크레이퍼(41)의 상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폐짚의 막힘 등에 의해 스크레이퍼(41)가 상방으로 회동되는 작용을 받았을 때에도 스페이서(37)에 감합되어 있는 감합 오목부가 분리(감합 해제)된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레이킹날 축으로의 감합 오목부의 감합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 점에서도 스크레이퍼(41)에 의한 폐짚 침입 저지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절곡편(75)과 늘어짐편(77)과 록킹편은 절곡편(75)과 늘어짐편(77)을 동시에 일체 성형할 수 있다. 그 결과, 절곡편(75)과 늘어짐편(77)과 록킹편을 갖는 규제체(70)는 간이한 규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규제체(70)는 판 스프링 등의 탄성 복원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특히 스크레이퍼(41)의 전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늘어짐편(77)과, 스크레이퍼(41)의 상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록킹편에 탄성 복원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A : 콤바인 1 : 주행부
2 : 기체 프레임 3 : 예취 프레임
9 : 폐짚 처리부 41 : 스크레이퍼
70 : 규제체 75 : 절곡편
77 : 늘어짐편

Claims (4)

  1. 본 기기의 후방부에 장착하는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에 있어서,
    원판 형상의 레이킹날과 레이킹체를 1쌍으로 해서 복수쌍 장착한 레이킹날 축과 원판 형상의 절단날을 복수 장착한 절단날 축을 평행하게 해서 횡으로 가설하고, 쌍을 이루는 레이킹날과 레이킹체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을 두고서 그 간극에 대향하는 절단날의 날 끝부를 배치하고,
    상기 레이킹날 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절단날 축과는 반대측에는 이들 축과 평행하게 해서 스크레이퍼를 복수 장착한 지축을 횡으로 가설하고, 각 스크레이퍼는 기단부를 지축에 그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는 한편, 선단부에 형성한 감합 오목부를 상기 레이킹날과 레이킹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레이킹날 축의 외주 절반부에 감합시켜서 상기 레이킹날과 레이킹체 사이에 상기 스크레이퍼를 개재시킨 폐짚 커터 장치로서:
    상기 스크레이퍼의 기단부의 전단면을 따르게 해서 기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규제체를 배치하고, 상기 규제체의 하단부에는 기체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절곡편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절곡편은 선단이 레이킹날 내지는 레이킹체를 지향하도록 절곡시켜서 형성하고, 인접하는 절곡편의 측단면끼리로 상기 스크레이퍼의 위치 결정과 상기 기체의 폭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편 사이에 늘어짐편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늘어짐편은 상기 레이킹날과 레이킹체 사이에 형성된 간극과 대향시켜서 배치하고, 상기 늘어짐편으로 상기 스크레이퍼의 전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체는 상단부를 상기 스크레이퍼의 기단부의 상단면과 후단면을 따르게 해서 절곡 형상으로 신장시켜서 록킹편을 형성하고, 상기 록킹편으로 스크레이퍼의 상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대향하는 절단날의 날 끝부와 레이킹날의 날 끝부는 측면으로 볼 때 오버랩시킴과 아울러 양 날 끝부의 연마면끼리를 연마면 맞춤 상태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
KR1020127019980A 2010-03-03 2011-02-22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 KR101762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47160A JP5497484B2 (ja) 2010-03-03 2010-03-03 コンバインの排藁カッター装置
JPJP-P-2010-047160 2010-03-03
PCT/JP2011/053820 WO2011108399A1 (ja) 2010-03-03 2011-02-22 コンバインの排藁カッタ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495A KR20130014495A (ko) 2013-02-07
KR101762146B1 true KR101762146B1 (ko) 2017-07-27

Family

ID=4454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980A KR101762146B1 (ko) 2010-03-03 2011-02-22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97484B2 (ko)
KR (1) KR101762146B1 (ko)
CN (1) CN102781217B (ko)
WO (1) WO20111083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2827A (zh) * 2012-05-28 2012-11-28 贾志军 植物秸秆收获粉碎机
CN104919970A (zh) * 2015-06-18 2015-09-23 山东亚丰农业机械装备有限公司 谷物联合收割机
CN107223411A (zh) * 2016-03-24 2017-10-03 中国农业机械化科学研究院 一种玉米收获机及其玉米籽粒回收装置
CN113396708A (zh) * 2021-06-17 2021-09-17 浙江农林大学 一种提高杨梅人工林的固碳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6965A (ja) 1999-07-12 2001-01-2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排藁カッター
JP2009148186A (ja) 2007-12-19 2009-07-09 Kubota Corp 円板型排ワラカッ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6146U (ko) * 1987-05-20 1988-11-29
JPH01148120A (ja) * 1987-12-04 1989-06-09 Iseki & Co Ltd 排稈カッターの支持装置
JPH0947139A (ja) * 1995-08-10 1997-02-18 Kubota Corp 排ワラ細断装置
JPH10243734A (ja) * 1997-03-04 1998-09-14 Ishii Seisakusho:Kk ディスク型カッターにおける排稈処理装置
JPH10313673A (ja) * 1997-05-19 1998-12-02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4006240B2 (ja) * 2002-02-25 2007-11-14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カッタの切断刃着脱装置
JP4095836B2 (ja) * 2002-06-10 2008-06-04 三菱農機株式会社 排藁処理装置
CN1327755C (zh) * 2003-09-05 2007-07-25 梨本工业株式会社 脱粒装置的稻草切割刀具的制造方法
CN2745340Y (zh) * 2004-07-02 2005-12-14 伍邦理 多功能秸秆断截脱粒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6965A (ja) 1999-07-12 2001-01-2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排藁カッター
JP2009148186A (ja) 2007-12-19 2009-07-09 Kubota Corp 円板型排ワラカッ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97484B2 (ja) 2014-05-21
JP2011177148A (ja) 2011-09-15
CN102781217B (zh) 2015-05-20
CN102781217A (zh) 2012-11-14
KR20130014495A (ko) 2013-02-07
WO2011108399A1 (ja) 201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146B1 (ko) 콤바인의 폐짚 커터 장치
US1088573A (en) Machine for cutting books.
JP6217798B2 (ja) コンバイン
KR102064029B1 (ko) 콤바인
JP4106342B2 (ja) 除雪機
KR102146680B1 (ko) 콤바인
JP7041606B2 (ja) コンバイン
JP6711440B2 (ja) コンバイン
JP6528840B2 (ja) コンバイン
JP5975358B2 (ja) コンバイン
US726392A (en) Cutting apparatus for mowers, &c.
JP5406536B2 (ja) コンバイン
JP6860927B2 (ja) 収穫作業装置
JP6614264B2 (ja) コンバイン
JP6528838B2 (ja) コンバイン
JP6528837B2 (ja) コンバイン
JP6528839B2 (ja) コンバイン
JP6217811B2 (ja) コンバイン
JP5958838B2 (ja) コンバイン
JP6519618B2 (ja) コンバイン
JP5222412B2 (ja) 歩行型草刈機
JP5751070B2 (ja) 根菜類収穫機
JP6943176B2 (ja) 作業車両
JP5725427B2 (ja) コンバイン
US666298A (en) Endless cut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