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208B1 -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 Google Patents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208B1
KR101742208B1 KR1020160163514A KR20160163514A KR101742208B1 KR 101742208 B1 KR101742208 B1 KR 101742208B1 KR 1020160163514 A KR1020160163514 A KR 1020160163514A KR 20160163514 A KR20160163514 A KR 20160163514A KR 101742208 B1 KR101742208 B1 KR 101742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ultrasonic
fabric
roller
protective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기
박철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투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투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투라인
Priority to KR1020160163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208B1/ko
Priority to PCT/KR2017/014005 priority patent/WO20181017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 B29C66/845C-clamp type or sewing machin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2Details of protective gar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1281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29C65/08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using a rotary sonotrode or a rotary anvil
    • B29C65/08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using a rotary sonotrode or a rotary anvil using both a rotary sonotrode and a rotary anv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29C65/783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by setting the overlap between the parts to be joined, e.g. the overlap between sheets, plates or web-lik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3Single flanged joints; Fin-type joints; Single hem joints; Edge joints; Interpenetrating fingered joints; Other specific particular designs of joint cross-sec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C66/11 - B29C66/12
    • B29C66/133Fin-type joints,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3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or being in the form of tessellations
    • B29C66/234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or being in the form of tessellations said joint lines being in the form of tesse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9Textile or other fibrous material made from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 B29C66/7392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both parts being thermo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33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toothed, i.e. comprising several teeth or pins, or being patter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33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toothed, i.e. comprising several teeth or pins, or being patterned
    • B29C66/81435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toothed, i.e. comprising several teeth or pins, or being patterned comprising several parallel ridges, e.g. for cri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2Pressure application arrangements, e.g. transmission or actuating mechanisms for joining tools or clamps
    • B29C66/824Actuating mechanisms
    • B29C66/8242Pneumatic or hydraul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42Outerwear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을 원통형으로 접착하여 보호복을 제작하되, 접착되는 부분에 초음파를 전달하여 초음파 융착으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하고, 보호복의 팔이나 다리와 가은 원통 부분의 접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Ultrasonic adhering machine for protective clothing and manufacture methods thereby and protective clothing thereby}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소방복, 화학보호복, 우의 등과 같은 보호복을 제조하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제조된 보호복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단을 원통형으로 접착하여 보호복을 제작하되, 접착되는 부분에 초음파를 전달하여 초음파 융착으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하고, 보호복의 팔이나 다리와 가은 원통 부분의 접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과 더불어 다양한 종류의 의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 소방복, 화학 보호복, 우의 등과 같은 보호복이 있다.
이러한 보호복은 활동하는 장소가 수분에 노출되거나 유해할 경우 작업장 자체에서 발생하는 유해환경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착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호복은 통상적으로 유해한 공기나 수분을 차단시킬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이와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3 이외에 다양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얼굴방충부와, 상의방충부와, 하의방충부로 구성되어 망사천으로 제작되어 이루어지는 해충방제용 보호복에 있어서, 얼굴방충부는 시야를 선명하게 확보하기 위해 투명 수지재로 부착 재봉되는 투명투시창과, 이 투명투시창의 하단에 일정 형태로 부착된 지퍼에 의해 개구시 개구 상태가 유지되게 입개구부를 성한 전면부와, 전면부와 지퍼로 결합되는 후방에 상,하와 좌,우,후면의 두상으로부터 충분한 여유공간을 두고 씌어지게 일정 두께의 망사재로 재봉 제작되어 형태를 유지하는 두상망사부를 형성하며, 상의방충부는 얼굴방충부를 일체로 형성하면서 팔이 삽입되는 팔방충망의 끝단에 팔목밴드부를 형성하고, 이 팔방충망을 형성하면서 일측에 망주머니와 더블어 몸통을 보호하면서 얼굴방충부의 지퍼와 일체로 연결되어 입고, 벗음을 편리하게 하고, 상의허리밴드부를 가장자리 하단에 구비한 몸통망사부로 형성하고, 얼굴방충부에서 전면부와 두상망사부의 분리 개봉과 상의방충부에서 몸통망사부 일측을 거쳐 가장자리 하단까지 1회의 동작으로 분리 개봉을 가능하게 단일체로 형성되어 부착되는 상의지퍼로 이루어지고, 하의방충부는 상의방충부 위로 허리 착용이 용이하게 벨크로파스너를 구비한 분리형 허리밴드부와, 이 허리밴드부로부터 다리를 여유롭게 감쌓아 집어 넣을 수 있게 양측 바지옆선을 따라 개봉하게 형성하면서 바지단에 발목밴드부를 구비한 바지망사부와, 이 바지망사부의 바지옆선에 탈의나 착용을 가능하게 부착한 하의지퍼와, 로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외부의 화학성 독성물질로부터 인체가 보호되도록 내피 및 외피의 사이에 흡착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인체에 착용되도록 인체의 상반신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보호의; 및 보호의 상단 목부에 연결되어 인체의 머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방독면이 착용된 인체의 목부위가 밀폐를 이루도록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방독면 전면부의 돌출된 전성판의 테두리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밴드가 구비된 후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특허문헌 3은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미세물질로부터 작업자의 신체를 보호하거나, 작업자의 신체에서 발생되는 파티클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의와 하의 및 상의에 연결된 모자로 이루어진 다목적 보호복에 있어서, 하의에는 한 쌍의 다리 삽입부가 구비되고, 다리 삽입부의 외측면 하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하의지퍼가 구비되어지되, 하의지퍼의 내측에는 차단막이 형성되어지며, 하의지퍼를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시킴으로써 차단막이 내측으로 인입되어 잠금처리 되고, 하의지퍼를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시킬 때 차단막이 펼쳐지며, 복수의 원단이 봉제되어 형성되는 다목적 보호복은, 인접한 두 원단의 단부가 마주하여 겹쳐지게 하되, 두 원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부에 다목적 보호복의 내측 방향으로 접혀진 접음부가 형성되어지고, 두 원단 및 상기 접음부가 포개어져 함께 봉제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보호복은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시킬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만들어지지만, 재봉사를 이용하여 밖음질하는 일반적인 봉제방법에 의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이렇게 제작된 보호복은 재봉사를 이용하여 접합 부분을 재봉하는 과정에서 재봉사를 재봉하는 바늘이 통과한 부분에 구멍이 생겨 기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이 일반적인 봉재방법인 아닌 열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 방법으로 보호복을 만드는 것이고, 이와 관련된 기술로 특허문헌 4 및 5 등이 있다.
특허문헌 4는 두장의 원단을 공급하는 단계,; 원단이 서로 일정부분 겹치도록 원단의 테두리를 자동으로 맞추는 단계; 원단의 겹쳐진 부분의 두께에 따라서 패턴롤러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패턴롤러에 초음파 발생기를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여 원단의 겹쳐진 부분을 용융 및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안전보호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5는 2 이상의 원단이 봉합되어 제조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원단 봉합구조에 있어서, 인접하는 양 말단이 봉제되지 않고 서로 맞대어져 이음매를 이루어 배치되는 기본 원단; 이음매가 봉합 및 차폐되도록 이음매의 상부에 부착되는 실링 테이프; 및 실링 테이프의 상부에 덧대어지는 덧댐 원단;을 포함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존의 무 봉재 또는 초음파 융착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은 재봉사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바늘구멍이 없어 보다 밀봉 효과를 높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무 봉재 방법의 경우 실링테이프와 덧댐 원단을 사용하여야 하고, 실링테이프가 접착되는 과정에서 접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단점이 있고, 초음파 융착 방법의 경우 패턴 롤러에 형성된 패턴이 잘못 형성될 경우 패턴들 사이에 틈이 생겨 밀봉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즉, 종래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같이 이루어진 패턴롤러(100)를 사용하고 있고, 이러한 패턴롤러에 의해 형성된 접착패턴은 바코드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직선형 패턴이 형성됨에 의해 패턴과 패턴 사이에 틈이 생겨 틈으로 공기나 수분이 통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패턴 롤러의 경우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주로 사용하고 있고 이러한 패턴의 경우, 패턴의 모서리(100e) 부분이 날카로워 초음파 융착된 패턴의 모서리부분이 천공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초음파 융착 기술로 특허문헌 6을 비롯하여 다양한 것이 있고, 이는 지지 구조물을 이루는 프레임; 프레임의 중간 일측에서 원단진행방향에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 레버를 구비하고, 받침 레버의 내부에서 봉제 원단을 지지하는 패턴 롤러를 구비한 원단 받침부; 패턴 롤러의 상부 측에 배치되어 봉제 원단에 초음파를 전달하고 원단의 겹쳐진 부분을 용융 접합시키는 공구 혼을 구비한 초음파 발생부; 초음파 발생부를 상하로 승 하강시키는 구동 실린더를 구비하여 공구 혼을 패턴 롤러에 대하여 승 하강시키는 높이 조절부; 및 원단 받침부의 패턴 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초음파 발생부의 공구 혼을 동작시키며, 높이조절부의 구동 실린더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들을 내장한 발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원단 받침부는 패턴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를 구비하고, 구동 모터의 축은 받침 레버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패턴 롤러에 연결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초음파 융착 장치는 보호복과 같이 긴 원통형의 팔 부분이나 다리 부분을 융착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즉, 종래의 초음파 융착 장치는 두 원단을 초음파 융착함에 따라 두 원단 사이로 공기나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는 하지만, 보호복의 팔이나 다리 부분과 같이 긴 원통형을 이루는 부분의 융착시 팔이나 다리 부분이 걸려 융착 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보호복을 만드는 기술의 경우, 보호복의 겨드랑이 등과 같이 급격하게 꺾이는 부분의 경우 재봉이 어려워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겨드랑이 부분에 원단을 덧대어 덧댐부(200)을 형성하여야 하고 이렇게 덧댐부를 설치할 경우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753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79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722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566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18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99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원단을 원통형으로 접착하여 보호복을 제작하되, 접착되는 부분에 초음파를 전달하여 초음파 융착으로 접합이 이루어지게 하고, 보호복의 팔이나 다리와 같은 원통 부분의 접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보호복의 다리나 팔과 같이 긴 원통형 부분을 융착할 때, 원통형 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융착되게 함에 따라 원통형 부분의 융착을 보다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융착무늬를 형성하는 패턴롤러의 모서리 부분을 모따기 하여 모서리 부분에 의해 융착패턴이 찢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패턴롤러를 견인부와 융착부로 구성하여 견인부에 의해 견인되는 과정에서 융착부가 원단을 융착시킴과 동시에 견인부에 의해 패턴형성부의 일부가 절단되어 배출되게 함에 따라 보다 쉽게 보호복을 통체 형상으로 융착시킬 수 있게 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는 일단이 수직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수평지지대의 타단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기; 상기 수평지지대 하부의 수직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된 원단지지대의 타단에 설치되어 롤러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초음파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초음파발생기와 상호 작용하여 중첩된 원단을 융착 및 이송시키는 패턴롤러; 상기 초음파발생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초음파발생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초음파 융착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원단을 접합하는 초음파 접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턴롤러는 상기 원단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초음파발생기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대와 상기 패턴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원단지지대의 길이는 적어도 보호복의 가랑이 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설치되어, 보호복의 원통형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을 원통형으로 융착할 때 원통형의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이 패턴롤러를 충분히 통과하여 원통형의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이 구겨지지 않고 융착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지지대는 수직프레임의 중간에 고정되고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며, 패턴롤러가 설치된 부분의 바깥쪽 단부에는 원단이 원단지지대와 일직선으로 공급되게 원단을 안내하는 원단가이드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단가이드는 상기 패턴롤러로부터 멀어지면서 점차 넓어지도록 호형상을 갖으며,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두 판이 서로 인접하는 부분의 가장자리는 서로 겹쳐지도록 중첩 설치되며, 이 중첩부는 바깥쪽을 향하여 굽혀져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초음파발생기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진기와, 초음파발진기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원단에 전달하고 원단의 겹쳐진 부분을 용융 접합시키는 초음파혼을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혼은 하단의 원호상평면부의 중심점의 일측으로 편심된 부분이 패턴롤러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롤러는 원기둥형의 롤러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가압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가압패턴의 뾰족한 구석 부분은 호형상으로 형성하고, 단면의 모서리 부분을 호형상으로 모따기하여 첨부(尖部)를 제거함에 따라 융착 과정에서 가압패턴이 원단을 천공시키지 않게 하였다.
상기 패턴롤러는 원기둥형의 롤러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직선형으로 형성된 가압패턴과; 상기 가압패턴이 형성된 부분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갖고, 원단을 후방으로 밀어낼 뿐만 아니라 상기 가압패턴에 의해 형성된 융착패턴의 바깥쪽 단부를 융착패턴으로부터 분리하는 견인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패턴의 단면의 모서리 부분을 호형상으로 모따기하여 첨부(尖部)를 제거함에 따라 융착 과정에서 가압패턴이 원단을 천공시키지 않게 하였다.
상기 롤러구동수단은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패턴롤러에 각각 설치된 스프로킷들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패턴롤러에 전달하는 체인을 원단지지대의 내부에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에 따른 초음파 접합장치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으로, 원단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된 원단가이드에 원단의 양단을 중첩되게 정렬시킨 후, 초음파발생기 및 패턴롤러를 구동시켜 원단의 중첩 부분이 융착되게 하되, 공급되는 원단에 의해 만들어지는 보호복의 원통형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이 원단지지대를 따라 패턴롤러로부터 수직프레임을 향하며 이동되게 하여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이 원통형을 이루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융착 과정에서 원단지지대가 보호복의 원통형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의 중앙을 통과하도록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이 이동하면서 융착이 이루어지고,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의 융착이 종료된 후에는 승강수단을 구동시켜 초음파발생기를 상승시킨 후, 패턴롤러 측으로 당겨 원단지지대로부터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을 분리한다.
또 다른 방법은 융착 과정에서 보호복의 원통형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은 원단지지대의 위를 따라 이동하면서 융착이 이루어지고, 융착패턴은 보호복의 바깥쪽에 형성되며, 융착되는 과정 중에 직선형 가압패턴에 의해 형성된 직선형 융착패턴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견인패턴 형성 부분은 가압패턴 형성 부분보다 큰 지름을 갖는 견인패턴에 형성되고, 이렇게 상대적으로 큰지름을 갖는 견인패턴에 의해 이동되는 속도가 가압패턴에 의해 이동되는 속도보다 빠름에 따라, 직선형 융착패턴이 형성된 바깥쪽의 견인패턴이 직선형 가압패턴 형성 부분보다 빠르게 당겨짐에 의해 융착패턴으로부터 견인패턴이 분리되게 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에 따른 초음파 접합장치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 보호복으로, 겨드랑이 부분과 사타구니 부분이 두 원단을 직접 초음파 융착시켜 덧댐 부분이 없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은 보호복에 재봉사 구멍이 형성되지 않고 일정한 패턴으로 융착 패턴이 형성됨에 따라 융착부에 틈이 생기지 않아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방복, 화학보호복, 우의 등과 같은 보호복의 제조시에 의복의 가랑이 나 팔 부분과 같이 길이가 긴 원통형 부분도 한꺼번에 융착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키고 중첩부분이 용융 접착되어 매끄럽게 형성되므로 착용감도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턴롤러에 형성된 패턴형성용 돌출부의 모서리가 완만한 호 형성을 이루게 함에 따라 초음파 융착시 패턴의 모서리에 의해 원단이 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의 일 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를 구성하는 초음파 발생부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의 일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를 구성하는 초음파 접합부의 작동 상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특수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를 구성하는 패턴롤러와 초음파혼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를 구성하는 패턴롤러의 서로 다른 예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를 구성하는 패턴롤러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를 구성하는 패턴롤러의 다른 일예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에 중첩가이드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에 구비된 중첩가이드에 의해 원단이 안내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보호복의 정면과 배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보호복의 전면 일부를 절개한 상태에서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보호복의 접합부의 일부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보호복의 접합부의 다른 일예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보호복의 일예의 정면사진
도 16은 종래 초음파 융착용 패턴롤러의 일예의 평면도
도 17은 종래 초음파 융착용 패턴롤러의 다른 일예의 평면도
도 18은 종래 보호복의 정명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는 초음파 융착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로 된 원단(C)을 접합하되 소방복, 화학보호복, 우의 등과 같은 보호복의 제조시에 가랑이 부분 또는 팔 부분 등과 같은 부분에서도 완벽하게 기밀을 유지하면서 간편하게 접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보호복은 초음파 융착 과정에서 융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열가소성 수지 원단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 만들어지는 보호복으로 사용 가능한 원단(C)은 합성수지,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초음파에 의해 융착 가능한 모든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복을 만들기 위한 초음파 접합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복의 팔 부분이나 가랑이 부분과 같이 원통형을 이루는 부분을 보다 쉽게 융착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고, 이를 초음파 융착용 패턴롤러(20)는 팔 부분이나 가랑이 부분의 길이 방향으로 융착이 진행될 수 있도록 회전되고, 패턴롤러(20)와 초음파발생기(10)에 의해 융착된 팔 부분과 가랑이 부분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이들 부분이 지나는 경로상에 놓인 원단지지대(10c)의 길이가 적어도 가랑이 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는 종래의 초음파 접합 장치를 개량하여 보호복의 팔 부분이나 가랑이 부분을 원통형으로 쉽게 융착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여타의 구성요소는 종래와 동일 하지만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수직프레임(10v)에 의해 지지되는 수평지지대(10s)의 타단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기(10); 상기 수평지지대 하부의 수직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된 원단지지대(10c)의 타단에 설치되어 롤러구동수단(23)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초음파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초음파발생기와 상호 작용하여 중첩된 원단을 융착 및 이송시키는 패턴롤러(20); 상기 초음파발생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 및 초음파발생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40)을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지지대(10s)는 초음파발생기(10)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고, 원단지지대(10c)는 융착되는 원단(C)과 패턴롤러(20)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들은 수직프레임(10v)에 고정되어 있으며,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원단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초음파발생기(10)는 수평지지대(10s)의 전단에 설치된 발생기장착대(10e)에 설치되어 있으며,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진기(11)와, 초음파발진기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원단에 전달하고 원단의 겹쳐진 부분을 용융 접합시키는 초음파혼(12)을 포함한다. 물론, 이들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초음파발진기(11)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에너지로 변환한다.
상기 초음파발진기(11)에서 생성된 초음파 발진은 상기 초음파혼(12)을 통해 원단(C)에 전달된다.
상기 초음파혼(12)은 하단의 원호상평면부(12p)의 중심점의 일측으로 편심된 부분이 패턴롤러(20)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초음파발진기(11)와 초음파혼(12)을 포함하는 초음파발생기는 도시한 바와 같이, 발생기장착대(10e)에 의해 수평지지대(10s)에 설치되어 있다.
초음파발생기(10)는 베어링에 의해 발생기장착대(10e)에 결합되어 있어 회전이 가능하며, 초음파발생기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수단(4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전수단(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43)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 및 상기 초음파발진기(11) 또는 초음파혼(12)에 설치된 풀리(41)와, 상기 풀리들 사이에 연결된 벨트(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발생기(10)는 상하로 승강될 수 있어야 상기 패턴롤러(20)와 초음파혼(12)의 접촉 상태를 조절하여 원단을 융착시키거나 융착이 완료된 보호복을 패턴롤러(20)와 초음파혼(12) 사이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초음파혼을 패턴롤러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초음파발생기(10)가 설치된 발생기장착대(10e)의 일측과 수평지지대(10s) 사이에 승강수단(30)을 설치하여 고정된 수평지지대에 대하여 발생기장착대가 승강되게 하였다.
상기 승강수단(50)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일예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와 동일 유사하되, 보호복의 팔 또는 다리 부분을 원통형으로 융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초음파발생기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대(10s)와 상기 패턴롤러(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원단지지대(10c)의 길이는 적어도 보호복의 가랑이 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패턴롤러(20)의 회전 방향이 원단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기 패턴롤러(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롤러구동수단(23)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롤러구동수단(2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v)에 설치된 구동모터(23m)와, 상기 구동모터와 패턴롤러에 각각 설치된 스프로킷(23s)들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3m)의 동력을 패턴롤러(20)에 전달하는 체인(23c)을 원단지지대(10c)의 내부에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23m)를 수직프레임(10v)에 설치한 이유는 본 발명의 접합장치가 보호복의 원통형의 팔 또는 가랑이 부분을 쉽게 융착시킬 수 있게 한 것이고, 이를 위해 원단지지대의 길이를 적어도 가랑이 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한 것이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접합장치에서 상기 구동모터(23m)가 원단지지대의 중간에 설치되면 이 구동모터(23m)에 보호복의 팔이나 가랑이 부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스프로킷(23s)과 체인(23c)을 원단지지대(10c)의 내부에 설치함에 따라 이들에 의해 보호복이 손상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보호복의 융착과정에서 이들이 보호복에 걸리지 않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접합장치는 상기 원단지지대(10c)는 수직프레임(10v)의 중간에 고정되고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며, 패턴롤러(20)가 설치된 부분의 바깥쪽 단부에는 원단이 원단지지대와 일직선으로 공급되게 원단을 안내하는 원단가이드(13)를 더 설치하여 원단이 이동하는 방향이 정확하게 패턴롤러(20)와 초음파혼(12) 사이가 되게 하였다.
상기 원단가이드(13)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하게 긴 평판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원단을 보다 용이하게 패턴롤러(20)와 초음파혼(12) 사이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한 원단가이드(13)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턴롤러(20)로부터 멀어지면서 점차 넓어지도록 호형상을 갖으며,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두 판이 서로 인접하는 부분의 가장자리는 서로 겹쳐지도록 중첩 설치되며, 이 중첩부는 바깥쪽을 향하여 굽혀져 가이드홈(13g)을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원단가이드(13)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가이드홈(13g)을 따라 원단이 이동하여 패턴롤러(20)와 초음파혼(12) 사이로 중첩되게 공급됨에 따라 원단이 중첩되는 양과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단가이드(13)의 가이드홈(13g)들에는 원단감지센서(50)를 각각 설치하여 원단이 상,하부 가이드홈(13g)에서 이탈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초음파 접합장치의 작동이 중단되는 등의 제어수단으로 원단의 중첩 불량으로 인한 품질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원단감지센서(5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부 가이드홈(13g)을 따라 이송되는 원단 이송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원단가이드(13)에 센싱홀(13h)을 형성하고 상기 센싱홀(13h)에 접촉센서, 근접센서 등을 설치하여 원단이 상, 하부 가이드홈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상, 하부 가이드홈에서 이격되는 간극이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롤러(20)와 대응되는 초음파혼(12)이 정렬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실시 할 수 있으나, 원단이 보다 용이하게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음파혼(12)의 하단에 형성되는 원호상평면부(12p)가 편심되도록 패턴롤러(20)에 정렬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초음파혼(12)은 하단의 원호상평면부(12p)의 중심점의 일측으로 편심된 부분이 패턴롤러(20)와 대응되게 설치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원호상평면부(12p)를 편심되게 설치하면, 초음파혼이 360도 수평 회전하면 일측이 원단받침대의 원단 이동 방향으로 회전력을 갖게 되어 패턴롤러(20)와 상호 작용하여 원단 이송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합장치에 사용되는 패턴롤러(20)는 원기둥의 외주면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여 만들어질 수 있으나, 원단을 초음파 융착하는 과정에서 원단이 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패턴롤러(20)는 원기둥형의 롤러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가압패턴(21)을 형성하되, 상기 가압패턴(21)의 뾰족한 구석 부분(21e)을 호형상으로 형성하고, 단면의 모서리 부분을 호형상으로 모따기하여 첨부(尖部)를 제거함에 따라 융착 과정에서 가압패턴이 원단을 천공시키지 않게 하였다.
가압패턴(21)은 도 6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줄 또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줄로 형성할 수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3줄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패턴롤러(20)는 보호복을 융착하는 방법에 따라 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즉, 패턴롤러(20)가 보호복의 원통형 팔이나 가랑이 부분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융착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패턴(21) 만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지만, 패턴롤러가 보호복의 원통형 팔이나 가랑이 부분의 외부를 통과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는 가압패턴(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견인패턴(2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도 6에 도시한 패턴롤러(20)를 사용하여 융착된 보호복의 융착 부분의 확대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패턴(22)이 형성된 패턴롤러를 이용하여 융착된 보호복의 융착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패턴(21) 만이 형성된 패턴롤러(20)를 사용할 경우에는 보호복의 원단의 융착 단부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겹친 상태에서 융착 부분이 가압패턴(21)의 가압에 의해 융착되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융착패턴(Ca)만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융착패턴은 겹쳐진 원단들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게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패턴(21')과 견인패턴(22)이 형성된 패턴롤러(20)를 사용할 경우에는 보호복의 원단의 융착 단부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겹친 상태에서 가압패턴(21')과 견인패턴(22)이 동시에 원단을 가압하되,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패턴(21')에 의해 가압된 부분에는 직선형으로 융착패턴(Ca)이 형성되고, 견인패턴(22)은 바코드 형태로 제거부(Cc)을 형성한다.
즉, 견인패턴(22)은 제거부(Cc)에 패턴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거부를 당겨 융착패턴(Ca)의 바깥쪽 제거부가 융착패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이렇게 가압패턴(21')과 견인패턴(22)이 모두 형성된 패턴롤러(20)의 경우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패턴(22)이 형성된 부분의 지름이 가압패턴(21')이 형성된 부분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견인패턴이 원단을 후방으로 밀어낼 뿐만 아니라 상기 가압패턴에 의해 형성된 융착패턴의 바깥쪽 제거부를 융착패턴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초음파 접합 장치를 이용하여 보호복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한다.
보호복 제조 방법은 원단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된 원단가이드에 원단의 양단을 중첩되게 정렬시킨 후, 초음파발생기 및 패턴롤러를 구동시켜 원단의 중첩 부분이 융착되게 하되, 공급되는 원단에 의해 만들어지는 보호복의 원통형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이 원단지지대를 따라 패턴롤러로부터 수직프레임을 향하며 이동되게 하여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이 원통형을 이루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보호복을 제작하는 과정 중에서, 특히 보호복의 원통형 팔 또는 가랑이 부분을 융착하는 과정은 원단지지대가 보호복의 원통형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의 중앙을 통과하도록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이 이동하면서 융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패턴롤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한 가압패턴만 형성된 패턴롤러를 이용한 방법이다.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의 융착이 종료된 후에는 승강수단을 구동시켜 초음파발생기를 상승시킨 후, 패턴롤러 측으로 당겨 원단지지대로부터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을 분리한다.
다음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패턴과 견인패턴이 모두 형성된 패턴롤러를 이용할 경우에는 융착 과정에서 보호복의 원통형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은 원단지지대의 위를 따라 이동하면서 융착이 이루어지고, 융착패턴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복의 바깥쪽에 형성된다.
이렇게 견인패턴을 갖는 패턴롤러를 이용하여 보호복을 만드는 과정에서는 융착되는 과정 중에 직선형 가압패턴(21')에 의해 형성된 직선형 융착패턴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견인패턴 형성 부분은 가압패턴보다 큰 지름을 갖는 견인패턴(22) 에 형성되고, 이렇게 상대적으로 큰지름을 갖는 견인패턴에 의해 이동되는 속도가 가압패턴에 의해 이동되는 속도보다 빠름에 따라, 직선형 융착패턴이 형성된 버깥쪽의 견인패턴의 직선형 가압패턴 형성 부분보다 빠르게 당겨짐에 의해 융착패턴으로부터 견인패턴이 분리되어 도 14의 일측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형 융착패턴만이 남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복은 상기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보호복으로, 겨드랑이 부분과 사타구니 부분이 두 원단을 직접 초음파 융착시켜 덧댐 부분이 없게 하였다.
즉, 종래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겨드랑이나 사타구니 부분에 원단을 추가하여 덧댐부(200)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지만, 본 발명은 보호복 자체의 원단 만을 융착시켜 보호복이 만들어짐에 따라 겨드랑이나 사타구니 부분에 덧댐 층이 없어 보호복의 제조가 단순해질 뿐만 아니라, 보호복의 착용자의 활동이 자유로워지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1, 도 12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복을 도시한 것으로, 도 11 (a)는 보호복의 정면도, 도 11 (b)는 보호복의 배면도, 도 15는 보호복의 정면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복은 도 11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 팔부, 상체부, 하체부를 부분 별로 분리하여 제작된 것을 초음파 융착하여 일체화하여 만들어진다.
도면에는 상체부와 팔부가 분리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체부와 팔부가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즉, 상체부의 양측에 팔부가 일체가 되도록 재단한 후, 상체부의 양측부로부터 팔의 안쪽 겨드랑이 부분을 따라 초음파 융착 함에 의해 상체부와 팔부가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체부는 사타구니를 중심으로 양측을 나누어 제작하되, 하체의 안쪽에 초음파융착부를 형성하여 한쪽의 다리로부터 엉덩이 부분이 만들어진 것을 서로 초음파 융착하여 두 개의 다리가 연결된 하체부를 만들 수 있다.
상체부와 하체부는 역시 초음파 융착하여 서로 연결되며 이 연결부분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쪽에 탄성밴드(Cb)를 설치하여 밴드가 수축됨에 의해 허리부분이 사용자의 몸에 밀착되게 하여 보호복이 풍성하게 부풀어 오름에 의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보호복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도 6의 가압패턴(21)만이 형성된 패턴롤러를 이용하여 초음파 융착하는 방법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패턴(22)까지 형성된 패턴롤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융착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팔 부분과 다리부분 상체의 양 측부는 도 6에 도시한 패턴롤러를 이용하여,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단의 단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겹친 상태에서 초음파 융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체부와 하체부가 연결되는 부분의 경우에는 이 부분에 설치되는 탄성밴드(Cb)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패턴롤러를 이용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융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밴드(Cb)는 원단과 같은 재질의 밴드 원단의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고무줄을 넣은 상태에서 밖음질 하고, 타측 단부는 상체부와 하체부의 연결부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초음파 융착하여 보호복에 설치한다.
물론, 보호복의 엉덩이부분으로부터 머리부의 전방은 개방되고, 이 개방된 앞자락에는 지퍼(zipper)를 설치하되 지퍼 역시 보호복의 원단과 동일한 재질을 갖는 원단에 지퍼를 설치하고, 전방에는 보호깃(Cs)을 설치하여 지퍼들 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유입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하였다.
10: 초음파발생기
10s: 수평지지대 10v: 수직프레임 10c: 원단지지대
10e: 발생기장착대
11: 초음파발진기
12: 초음파혼 12p: 원호상평면부 12c: 회전중심
13: 원단가이드 13g: 가이드홈 13h: 센싱홀
20: 패턴롤러
21, 21': 가압패턴 21e: 호형엣지
22: 견인패턴
23: 롤러구동수단 23m: 구동모터 23c: 체인
23s: 스프로킷
30: 승강수단
40: 회전수단
41: 풀리 42: 벨트 43: 모터
50: 원단감지센서
C: 원단
Ca: 융착패턴 Cc: 제거부

Claims (14)

  1. 일단이 수직프레임(10v)에 의해 지지되는 수평지지대(10s)의 타단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기(10); 상기 수평지지대 하부의 수직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된 원단지지대(10c)의 타단에 설치되어 롤러구동수단(23)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초음파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초음파발생기와 상호 작용하여 중첩된 원단을 융착 및 이송시키는 패턴롤러(20); 상기 초음파발생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 및 초음파발생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초음파 융착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원단을 접합하는 초음파 접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턴롤러(20)는 상기 원단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초음파발생기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대(10s)와 상기 패턴롤러(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원단지지대(10c)의 길이는 적어도 보호복의 가랑이 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설치되어, 보호복의 원통형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을 원통형으로 융착할 때 원통형의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이 패턴롤러를 충분히 통과하여 원통형의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이 구겨지지 않고 융착될 수 있게 하되,
    상기 원단지지대(10c)는 수직프레임(10v)의 중간에 고정되고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며, 패턴롤러(20)가 설치된 부분의 바깥쪽 단부에는 원단이 원단지지대와 일직선으로 공급되게 원단을 안내하는 원단가이드(13)가 더 설치되고,
    상기 원단가이드(13)는 상기 패턴롤러(20)로부터 멀어지면서 점차 넓어지도록 호형상을 갖으며,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두 판이 서로 인접하는 부분의 가장자리는 서로 겹쳐지도록 중첩 설치되며, 이 중첩부는 바깥쪽을 향하여 굽혀져 가이드홈(13g)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발생기(10)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진기(11)와, 초음파발진기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원단에 전달하고 원단의 겹쳐진 부분을 용융 접합시키는 초음파혼(12)을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혼(12)은 하단의 원호상평면부(12p)의 중심점의 일측으로 편심된 부분이 패턴롤러(20)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롤러(20)는 원기둥형의 롤러 본체의 외주면에 다양한 형태의 무늬로 형성되어 원단에 다양한 형태의 융착패턴을 형성하는 가압패턴(21)을 형성하되,
    상기 가압패턴(21)의 뾰족한 구석 부분은 호형상으로 형성하고, 단면의 모서리 부분을 호형상으로 모따기하여 첨부(尖部)를 제거함에 따라 융착 과정에서 가압패턴이 원단을 천공시키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롤러(20)는
    원기둥형의 롤러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원단에 직선형 융착패턴을 형성하는 가압패턴(21')과;
    상기 가압패턴(21')이 형성된 부분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갖고, 원단을 후방으로 밀어낼 뿐만 아니라 상기 가압패턴에 의해 형성된 융착패턴의 바깥쪽 단부를 융착패턴으로부터 분리하는 견인패턴(22)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패턴(21')의 단면의 모서리 부분을 호형상으로 모따기하여 첨부(尖部)를 제거함에 따라 융착 과정에서 가압패턴이 원단을 천공시키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구동수단(23)은 상기 수직프레임(10v)에 설치된 구동모터(23m)와,
    상기 구동모터와 패턴롤러에 각각 설치된 스프로킷(23s)들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3m)의 동력을 패턴롤러(20)에 전달하는 체인(23c)을 원단지지대(10c)의 내부에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
  8.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의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으로,
    원단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된 원단가이드에 원단의 양단을 중첩되게 정렬시킨 후, 초음파발생기 및 패턴롤러를 구동시켜 원단의 중첩 부분이 융착되게 하되,
    공급되는 원단에 의해 만들어지는 보호복의 원통형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이 원단지지대를 따라 패턴롤러로부터 수직프레임을 향하며 이동되게 하여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이 원통형을 이루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복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융착 과정에서 원단지지대가 보호복의 원통형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의 중앙을 통과하도록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이 이동하면서 융착이 이루어지고,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의 융착이 종료된 후에는 승강수단을 구동시켜 초음파발생기를 상승시킨 후, 패턴롤러 측으로 당겨 원단지지대로부터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복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융착 과정에서 보호복의 원통형 팔 부분 또는 가랑이 부분은 원단지지대의 위를 따라 이동하면서 융착이 이루어지고, 융착패턴은 보호복의 바깥쪽에 형성되며,
    융착되는 과정 중에 직선형 가압패턴에 의해 형성된 직선형 융착패턴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견인패턴 형성 부분은 가압패턴이 형성된 부분보다 큰 지름을 갖는 견인패턴에 형성되고, 이렇게 상대적으로 큰지름을 갖는 견인패턴에 의해 이동되는 속도가 가압패턴에 의해 이동되는 속도보다 빠름에 따라, 직선형 융착패턴이 형성된 바깥쪽의 견인패턴이 직선형 가압패턴 형성 부분보다 빠르게 당겨짐에 의해 융착패턴으로부터 견인패턴이 분리되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복 제조 방법.
  11.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의 장치로 만들어진 보호복으로,
    겨드랑이 부분과 사타구니 부분이 두 원단을 직접 초음파 융착시켜 덧댐 부분이 없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복.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복은 머리부, 팔부, 상체부, 하체부로 분리되고, 각 부분은 단부가 서로 어긋나거나 또는 동일한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초음파 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복.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부와 상체부가 연결되는 부분의 등 부분에는 탄성밴드(Cb)가 더 설치되어 착용하였을 때 보호복의 복부가 인체에 밀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복.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복의 팔과 다리의 끝에는 고무줄을 설치하여 손목과 발목에 밀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복.

KR1020160163514A 2016-12-02 2016-12-02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KR101742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514A KR101742208B1 (ko) 2016-12-02 2016-12-02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PCT/KR2017/014005 WO2018101789A1 (ko) 2016-12-02 2017-12-01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514A KR101742208B1 (ko) 2016-12-02 2016-12-02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208B1 true KR101742208B1 (ko) 2017-06-15

Family

ID=5921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514A KR101742208B1 (ko) 2016-12-02 2016-12-02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2208B1 (ko)
WO (1) WO2018101789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1789A1 (ko) * 2016-12-02 2018-06-07 주식회사 에스투라인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KR101994257B1 (ko) * 2018-08-31 2019-06-28 최유진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KR101989269B1 (ko) * 2018-01-26 2019-09-24 정욱 일회용의류 제작장치
CN110801070A (zh) * 2019-11-30 2020-02-18 东莞快裕达自动化设备有限公司 防护服主体生产设备
KR102341410B1 (ko) * 2021-10-05 2021-12-21 (주)진영씨엔에스 무봉제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일회용 의류
KR102345264B1 (ko) * 2021-08-05 2021-12-31 소병재 초음파 절단날을 이용한 의류 제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6656B (zh) * 2020-05-13 2021-11-12 台州市中心医院(台州学院附属医院) 一种防护服一次成型自动化设备及其使用方法
IT202100026222A1 (it) * 2021-10-13 2023-04-13 Framis Italia S P A Tuta di protezione monouso e metodo di realizzazio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891B1 (ko) * 2007-01-30 2008-01-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초음파 융착 장치
JP2008202179A (ja) * 2007-02-21 2008-09-04 Kenichi Kasahara クリーンルム用防塵服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170B1 (ko) * 2001-10-30 2004-05-17 김진호 피이 타포린의 곡선 접착방법 및 장치
KR100685665B1 (ko) * 2006-05-02 2007-02-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안전보호복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809980B1 (ko) * 2007-01-30 2008-03-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초음파 융착 장치
KR101742208B1 (ko) * 2016-12-02 2017-06-15 주식회사 에스투라인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891B1 (ko) * 2007-01-30 2008-01-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초음파 융착 장치
JP2008202179A (ja) * 2007-02-21 2008-09-04 Kenichi Kasahara クリーンルム用防塵服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1789A1 (ko) * 2016-12-02 2018-06-07 주식회사 에스투라인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KR101989269B1 (ko) * 2018-01-26 2019-09-24 정욱 일회용의류 제작장치
KR101994257B1 (ko) * 2018-08-31 2019-06-28 최유진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CN110801070A (zh) * 2019-11-30 2020-02-18 东莞快裕达自动化设备有限公司 防护服主体生产设备
KR102345264B1 (ko) * 2021-08-05 2021-12-31 소병재 초음파 절단날을 이용한 의류 제작 장치
KR102341410B1 (ko) * 2021-10-05 2021-12-21 (주)진영씨엔에스 무봉제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일회용 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789A1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208B1 (ko)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EP1224876B1 (en) Disposable surgical gown
Jana Assembling technologies for functional garments—An overview
KR100685665B1 (ko)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안전보호복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ES2592408T3 (es) Aparatos y métodos para unir sustratos
JP2004525274A (ja) 防護服
JP2006002326A (ja) 無縫製衣服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で使用する加圧ローラー
JP5261606B2 (ja) パンツ型着用物品の製造方法
CN111466659A (zh) 一种舒适型医用一次性防护服及其制造方法
KR20160121859A (ko)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197843A (ja) 被服とその製造方法
JP2011047066A (ja) 無縫製衣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無縫製衣料
JP3662434B2 (ja) 使い捨て上着の製造方法
JP3897023B2 (ja) 水作業用作業衣における縫製部の結合構造およびその結合方法
KR101683421B1 (ko) 심테이프가 필요없는 방수 기능이 강화된 아웃도어 의류 제조 방법
JP2017218703A (ja) 無縫製伸縮性編物衣料とその製造方法
KR100797891B1 (ko) 초음파 융착 장치
JP2005226173A (ja) 衣料品および衣料品の製造方法
KR101368484B1 (ko) 바지 제조방법
JP3631019B2 (ja) 使い捨て上着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93185B1 (ko) 특수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
GB2433413A (en) Glove liner made from laminated material
JP2019209562A (ja) 無縫製加工方法及び無縫製加工装置
KR20220011603A (ko) 속셔츠 또는 방호복 또는 의료용가운이나 방호용 덧신을 연속공정라인으로 제조하는 방법
JP3707000B2 (ja) 袋状物とその連続製造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