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859A -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859A
KR20160121859A KR1020150051613A KR20150051613A KR20160121859A KR 20160121859 A KR20160121859 A KR 20160121859A KR 1020150051613 A KR1020150051613 A KR 1020150051613A KR 20150051613 A KR20150051613 A KR 20150051613A KR 20160121859 A KR20160121859 A KR 20160121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ealing
protective
sewing
sealing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학균
Original Assignee
윤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학균 filed Critical 윤학균
Priority to KR1020150051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1859A/ko
Publication of KR20160121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06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against contamination from chemicals, toxic or hostile environments; ABC sui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기 부분의 강도나 접합도와 함께 내약품성 등의 방오성을 제고할 수 있으면서도 원단 손실이나 불량율을 줄이고 공정을 최소화하면서도 작업성을 현저히 올릴 수 있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NON-SEWING SEAM SEALING TYPE FABRIC SUTURED TEXTURE FOR CHEMICAL PROTECTIVE COA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 이상의 원단이 봉합되어 제조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A)에 있어서 봉제실을 통해 인접하는 원단을 봉제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종래의 방식을 대체하여 봉제 과정이 생략된 무봉제 심실링(seam sealing) 타입의 봉합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호복(protective coat)이란 작업을 진행하는 장소에서 작업으로 인해서 또는 작업장 자체에서 발생하는 유해환경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보호복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유해 환경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액체 및 기체 상태로 존재하는 미세한 화학 독성물질들이 신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못하도록 차단해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면서 신체의 움직임으로 발생되는 신체의 땀이나 열을 보호복 밖으로 발산시켜줌으로써 쾌적성을 향상시켜 작업의 능률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의류이다. 이러한 화학 물질용 보호복(A)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보호복은 유해환경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역할과 함께 작업의 쾌적성을 높여주어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켜주기 때문에 안전사고 예방차원과 작업성 향상의 측면에서 향후에도 그 수요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또한, 근래에 작업자가 유해환경에서 작업하는 것을 기피하는 현상을 완화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정부 차원에서의 홍보와 이에 따른 안전규격 강화로 인하여 보호복을 의무적으로 착용하는 곳이 늘어나게 되었으며 그와 함께 보호복의 품질도 높아지게 되었다.
일반적인 화학 물질용 보호복(A)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원단(1)을 검단하고 패턴을 캐드(CAD) 등으로 설계하여 각각의 패턴을 프린트한 뒤에 이를 원단(1)에 마킹작업과 함께 원단(1)을 겹쳐서 재단하게 되고, 이어서 각각의 패턴 조각과 원부자재를 토대로 봉제실(2)을 이용하여 재봉하고 실링(sealing) 테이프(4)와 원단(1)의 표면에 코팅된 보호필름(3) 간을 열융착 내지 열접착시켜서 재봉 부위를 마감처리하여 완성하게 된다. 종래의 봉제 심실링 방식으로 원단이 봉합된 단면 구조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봉제방법에 의해 보호복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봉제실(2)을 이용하여 원단을 봉합하게 되는데, 이때 톱니, 노루발의 압력, 봉사장력 및 원단의 종류에 의해 각각의 조합이 완전히 맞지 않을 경우 봉제선의 솔기(seam) 주위에 원하지 않는 작은 주름이 발생하는 퍼커링(puckering)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보호복의 경우 솔기 부분으로 분진이나 화학물질이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솔기 부분을 실링 테이프(4)로 열융착시키는 심실링(seam sealing) 공정을 통해 이를 방지하는데, 퍼커링 현상이 일어날 경우 심실링 작업성이 매우 떨어져 불량률이 높아지고 인건비가 상승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작업시에 외력 등에 의해 솔기 부분이 양쪽으로 장력을 받을 경우에 솔기 부분에 대한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으며 봉제 부위가 벌어짐에 따라 틈새로 화학 물질 등이 유입되면서 보호복 본연의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봉제 과정에서 상당한 양의 원단 손실이 발생되고 제조 공정에 있어서도 공정이 복잡하고 길어지며, 재단과정, 봉제과정을 수행할 때마다 수시로 제조품을 뒤집어야 하므로 작업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685665호('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안전보호복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2007. 02. 26. 공고) 등에서는 봉제실을 통한 봉제방식에서 벗어나 원단을 겹쳐서 배치하고 초음파 융착을 통해 원단을 합지시키는 방식 등을 제안하였으나, 솔기 부분에 대한 기계적 강도나 내화학성 등 본연의 기능발휘에 미흡하였고, 초음파 융착장치라는 별도의 추가장치를 필요로 하여 종전 봉제방식 기반의 산업시설을 활용할 수 없었으며, 원단을 겹치는 과정으로 인해 솔기 부분에 불필요한 단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685665호('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안전보호복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2007. 02. 26.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솔기 부분의 강도나 접합도와 함께 내약품성 등의 방오성을 제고할 수 있으면서도 원단 손실이나 불량율을 줄이고 공정을 최소화하면서도 작업성을 현저히 올릴 수 있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 이상의 원단이 봉합되어 제조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A)의 원단 봉합구조(B)에 있어서, 인접하는 양 말단이 봉제되지 않고 서로 맞대어져 이음매(12)를 이루어 배치되는 기본 원단(10); 상기 이음매(12)가 봉합 및 차폐되도록 상기 이음매(12)의 상부에 부착되는 실링 테이프(20); 및 상기 실링 테이프(20)의 상부에 덧대어지는 덧댐 원단(30);을 포함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기본 원단(10) 및 덧댐 원단(30)은 적어도 일 면 이상에 보호필름(11, 31)이 코팅처리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기본 원단(10)은 화학 물질용 보호복(A)으로 제조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보호필름(11)이 코팅처리되며, 상기 덧댐 원단(30)은 양면이 모두에 보호필름(31)이 코팅처리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호필름(11, 31)은 폴리에틸렌(PE), 폴리우레탄(PU) 및 폴리올레핀(PO)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임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 테이프(20)의 재질은 저분자 폴리올레핀(PO)일 수 있으며, 상기 실링 테이프(20) 및 덧댐 원단(30)의 너비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2 이상의 원단이 봉합되어 제조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A)의 원단 봉합방법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하는 기본 원단(10)을 양 말단을 봉제하지 않고 서로 맞대어 이음매(12)를 이루도록 배치하는 원단 배치단계(S10); 배치된 기본 원단(10)의 이음매(12) 상부에 실링 테이프(20)와 덧댐 원단(30)을 포개어 위치시키는 봉합 준비단계(S20); 및 상기 이음매(12), 실링 테이프(20) 및 덧댐 원단(30)이 적층된 부분에 열풍을 가하여 상기 실링 테이프(20)를 상기 기본 원단(10)의 상부와 상기 덧댐 원단(30)의 하부에 열융착시키는 봉합단계(S30);를 포함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기본 원단(10)은 화학 물질용 보호복(A)으로 제조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보호필름(11)이 코팅처리되며, 상기 덧댐 원단(30)은 양면이 모두에 보호필름(31)이 코팅처리되어, 상기 봉합단계(S30)에서 상기 실링 테이프(20)가 상기 기본 원단(10)의 상부와 상기 덧댐 원단(30)의 하부에 열융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음매(12) 부분에서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원단 배치단계(S10)는, 인접하는 기본 원단(10)의 양 말단부를 동일하게 재단하는 말단부 재단단계(S11); 및 상기 양 말단부의 경계선이 일치되도록 맞대어 고정 배치하는 말단부 배치단계(S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음매(12)의 상부에 실링 테이프(20)와 덧댐 원단(30)을 별도로 공급하면서 포개어 위치시키는 동시에 열풍을 가하여 실링 테이프(20)를 기본 원단(10) 및 덧댐 원단(30)과 열융착시킴으로써, 상기 봉합 준비단계(S20)와 봉합단계(S30)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은, 솔기 부분을 종래의 일반적인 봉제실을 이용한 봉제방식이 아닌 실링 테이프와 덧댐 원단을 이용한 무봉제 심실링 방식으로 봉합함으로써 기계적 강도, 접합도, 내약품성 등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원단의 손실이나 불량률을 줄이고 공정을 최소화하면서도 작업성을 현저히 올릴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화학 물질용 보호복(A)의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봉제실을 이용한 봉제방식에 따른 원단 봉합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B)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B)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B) 제조방법의 공정흐름도(flowchart)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먼저, 2 이상의 원단이 봉합되어 제조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A)의 원단 봉합구조(B)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화학 물질용 전신 보호복(A)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봉제실을 이용한 봉제과정을 동반하는 심실링 방식은 봉제 과정에서 다량의 원단 손실이 발생되고, 열을 가하는 등의 원단 가공 과정에서 원단에 구멍이 발생되거나 봉제 과정에서 봉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솔기 부분에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봉제된 부분이 벌어지면서 외부로부터 화학약품이나 먼지 등이 신체로 유입되어 본연의 보호 기능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봉제실을 이용한 봉제 과정을 필수적으로 수반하기 때문에 원단을 절단하는 과정, 봉제실을 이용해 봉제하는 과정을 비롯하여 수시로 옷감을 뒤집는 과정이 요구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길어져 경제성과 작업성이 비교적 좋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봉제를 동반한 심실링 방식을 대체하여 봉제 없이 솔기 부분을 실링 테이프와 덧댐 원단으로 봉합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앞선 문제점들을 해소하여 기계적 강도와 접합도 및 내약품성 등의 방오력이 우수하고 불량률이 낮으며 공정이 줄어들고 간편해 짐에 따라 경제성과 작업성을 제고하고자 착안되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봉합구조(B)의 단면도와 사시도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원단 봉합구조(B)의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흐름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원단 봉합구조(B)는 기본 원단(10), 실링 테이프(20) 및 덧댐 원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본 원단(10)과 덧댐 원단(30)은 필요에 따라 상이한 원단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작업성이나 경제성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원단이며, 화학 물질용 보호복에 사용되는 다양한 재질의 원단이며 작업 장소, 작업 환경, 작업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기본 원단(10)과 덧댐 원단(30)의 적어도 일면 이상에는 보호필름(11, 31)이 코팅처리될 수 있다. 이는 내약품성, 방수성 등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함이며 실링 테이프(20)가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기능한다. 보호필름(11, 31)은 요구되는 기능성이나 실링 테이프(20)와의 부착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질이 채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PE), 폴리우레탄(PU) 및 폴리올레핀(PO)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실링 테이프(20)는 심실링(seam sealing) 방식에 사용되는 필름이다. 심실링이란 보호복 뿐만 아니라 방풍, 방풍, 방습, 투습 등의 기능성 원단을 사용하는 제품인 등산복, 스키복, 스노우복, 텐트 등에 적용되는 기술로서, 제품 가공시 봉제 라인 사이로 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봉제라인을 테이핑하여 마감처리하는 방식이다.
실링 테이프(20)는 바람직하게는 기본 원단(10)과 덧댐 원단(30)의 표면에 코팅된 보호필름(11, 31)의 재질과 대응되어 상호 부착성이 높은 재질로 채택할 수 있으며, 심실링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PE), 폴리우레탄(PU) 및 폴리올레핀(PO)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필름 등이 있다. 특히, 실링 테이프(20)와 보호필름(11, 31)은 부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동일 내지 유사한 재질의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융점 원료를 통해 열을 가했을 때 필름과 테이프 간 높은 접착력을 얻기 위하여 저분자 계열의 폴리올레핀(PO)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먼저, 기본 원단(10)은 양 말단이 봉제되지 않은 채로 서로 단순히 맞대어져 이음매(12)를 이루도록 배치된다(원단 배치단계(S10)). 이때 바람직하게는 맞대어지는 이음매(12)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이음매(12) 부분에 불필요한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기본 원단(10)의 양 말단부를 동일하게 재단하는 말단부 재단단계(S11)와 재단된 말단부의 경계선이 일치되도록 맞대어 고정 배치하는 말단부 배치단계(S12)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접하는 기본 원단(10)의 양 말단부가 다소 겹쳐도 무방하나 단차 발생을 최소화하여 불필요한 두께 변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양 말단부가 겹쳐지지 않도록 정확하게 맞대어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음매(12)를 이루어 배치되는 기본 원단(10)의 상부에는 이음매(12) 부분이 봉합 및 차폐되도록 실링 테이프(20)가 부착되며, 부착된 실링 테이프(20) 상부에는 덧댐 원단(30)이 덧대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이음매(12)의 상부에 실링 테이프(20)와 덧댐 원단(30)을 포개어 위치시키는 봉합 준비단계(S20)를 거친 후에 적층된 부분에 열풍을 가하여 실링 테이프(20)를 기본 원단(10)의 상부와 덧댐 원단(30)의 하부에 열융착시키는 봉합단계(S30)를 수행하여 원단 봉합구조(B)를 제조하며, 더욱 구체적으로 이때 실링 테이프(20)는 기본 원단(10)의 상부 표면에 코팅된 보호필름(11) 및 덧댐 원단(30)의 하부 표면에 코팅된 보호필름(31) 간 열융착되고, 상기 봉합 준비단계(S20)와 봉합 단계(S30)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공정의 효율성과 작업성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포개어 배치되는 실링 테이프(20)와 덧댐 원단(30)의 너비는 필요에 따라 상이하게 구비할 수도 있으나, 동일하게 준비하는 것이 추후 열풍을 가했을 때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제조시 혹은 사용시에 솔기 부분의 변색이나 변형을 예방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보호필름(11, 31)은 기본 원단(10)의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만 코팅처리되고 덧댐 원단(30)의 경우에는 양면 모두에 코팅처리되는 것이 보호복의 기능성의 측면과 실링 테이프(20)와의 부착성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이로써, 솔기 부분은 보호필름(11)이 코팅되고 양 말단이 맞닿아 이음매(12)가 형성되는 기본 원단(10)과, 이음매(12) 상부에 보호필름(11)에 열융착되는 실링 테이프(20)와, 실링 테이프(30)와 열융착되도록 하부에 보호필름(31)이 코팅되어 있고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에도 내약품성 등의 기능 발휘를 할 수 있도록 보호필름(31)이 코팅되어 있는 덧댐 원단(30)이 적층된 형태의 원단 봉합구조(B)로 구비됨으로써, 종래의 봉제 방식을 수반한 심실링 구조에 비하여 간이하고 경제적인 공정을 통해서 기계적 강도나 내약품성 등이 향상된 형태를 갖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A : 화학 물질용 보호복
B : 원단 봉합구조
1 : 원단
2 : 봉제실
3 : 보호필름
4 : 실링 테이프
10 : 기본 원단
11 : 보호필름
12 : 이음매
20 : 실링 테이프
30 : 덧댐 원단
31 : 보호필름

Claims (10)

  1. 2 이상의 원단이 봉합되어 제조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A)의 원단 봉합구조(B)에 있어서,
    인접하는 양 말단이 봉제되지 않고 서로 맞대어져 이음매(12)를 이루어 배치되는 기본 원단(10);
    상기 이음매(12)가 봉합 및 차폐되도록 상기 이음매(12)의 상부에 부착되는 실링 테이프(20); 및
    상기 실링 테이프(20)의 상부에 덧대어지는 덧댐 원단(30);
    을 포함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본 원단(10) 및 덧댐 원단(30)은 적어도 일 면 이상에 보호필름(11, 31)이 코팅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본 원단(10)은 화학 물질용 보호복(A)으로 제조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보호필름(11)이 코팅처리되며, 상기 덧댐 원단(30)은 양면이 모두에 보호필름(31)이 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11, 31)은 폴리에틸렌(PE), 폴리우레탄(PU) 및 폴리올레핀(PO)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 테이프(20)의 재질은 저분자 폴리올레핀(P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 테이프(20) 및 덧댐 원단(30)의 너비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7. 2 이상의 원단이 봉합되어 제조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A)의 원단 봉합방법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하는 기본 원단(10)을 양 말단을 봉제하지 않고 서로 맞대어 이음매(12)를 이루도록 배치하는 원단 배치단계(S10);
    배치된 기본 원단(10)의 이음매(12) 상부에 실링 테이프(20)와 덧댐 원단(30)을 포개어 위치시키는 봉합 준비단계(S20); 및
    상기 이음매(12), 실링 테이프(20) 및 덧댐 원단(30)이 적층된 부분에 열풍을 가하여 상기 실링 테이프(20)를 상기 기본 원단(10)의 상부와 상기 덧댐 원단(30)의 하부에 열융착시키는 봉합단계(S30);
    를 포함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본 원단(10)은 화학 물질용 보호복(A)으로 제조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보호필름(11)이 코팅처리되며, 상기 덧댐 원단(30)은 양면이 모두에 보호필름(31)이 코팅처리되어, 상기 봉합단계(S30)에서 상기 실링 테이프(20)가 상기 기본 원단(10)의 상부와 상기 덧댐 원단(30)의 하부에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의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12) 부분에서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원단 배치단계(S10)는,
    인접하는 기본 원단(10)의 양 말단부를 동일하게 재단하는 말단부 재단단계(S11); 및
    상기 양 말단부의 경계선이 일치되도록 맞대어 고정 배치하는 말단부 배치단계(S12);
    를 포함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12)의 상부에 실링 테이프(20)와 덧댐 원단(30)을 별도로 공급하면서 포개어 위치시키는 동시에 열풍을 가하여 실링 테이프(20)를 기본 원단(10) 및 덧댐 원단(30)과 열융착시킴으로써, 상기 봉합 준비단계(S20)와 봉합단계(S30)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의 제조방법.
KR1020150051613A 2015-04-13 2015-04-13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21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13A KR20160121859A (ko) 2015-04-13 2015-04-13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13A KR20160121859A (ko) 2015-04-13 2015-04-13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859A true KR20160121859A (ko) 2016-10-21

Family

ID=5725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613A KR20160121859A (ko) 2015-04-13 2015-04-13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185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223B1 (ko) * 2019-02-25 2019-06-20 주식회사 실론 재생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한 심실링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아웃도어용 의류
KR102332455B1 (ko) * 2021-02-02 2021-12-01 박노원 무봉제 방호복 및 그 제작방법
KR102335263B1 (ko) * 2020-07-27 2021-12-07 김학연 균 또는 바이러스 방어용 복합적층체 및 이를 이용한 보호복
KR102431765B1 (ko) * 2021-08-24 2022-08-16 (주)브리즈텍스 투습방수성 의류의 일괄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습방수성 의류
KR102431764B1 (ko) * 2022-06-10 2022-08-17 (주)브리즈텍스 투습방수성 의류의 일괄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습방수성 의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665B1 (ko) 2006-05-02 2007-02-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안전보호복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665B1 (ko) 2006-05-02 2007-02-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안전보호복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223B1 (ko) * 2019-02-25 2019-06-20 주식회사 실론 재생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한 심실링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아웃도어용 의류
KR102335263B1 (ko) * 2020-07-27 2021-12-07 김학연 균 또는 바이러스 방어용 복합적층체 및 이를 이용한 보호복
KR102332455B1 (ko) * 2021-02-02 2021-12-01 박노원 무봉제 방호복 및 그 제작방법
KR102431765B1 (ko) * 2021-08-24 2022-08-16 (주)브리즈텍스 투습방수성 의류의 일괄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습방수성 의류
KR102431764B1 (ko) * 2022-06-10 2022-08-17 (주)브리즈텍스 투습방수성 의류의 일괄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습방수성 의류
WO2023238998A1 (en) * 2022-06-10 2023-12-14 Bristex Co., Ltd. Method of collectively preparing clothing having moisture-permeable and water proof properties and clothing prepared by using the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1859A (ko) 화학 물질용 보호복의 무봉제 심실링 방식의 원단 봉합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103074B (zh) 服装及其它织物产品的制造方法
EP1673219B1 (en) Liquidproof seam for protective apparel
JP4892173B2 (ja) 耐久、防水加工が為された織物生地の縁、端部、パッチ及び継ぎ目とその形成方法
RU2437601C1 (ru) Шовн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структура, предмет одежды с шовной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структуро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шовной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структуры
JP2017523831A (ja) 衣服およびその他の生地製品用の接着製作方法
US4508582A (en) Process for joining polyurethane coated fabrics
EP1673220B1 (en) Liquidproof seam for protective footwear
AU2003214577B2 (en) Method of sealing the join between a zip and a garment with a lining
JP2014015049A (ja) 積層を接合するためのステッチレスシームシステム
EP2479332B1 (en) Method for making an impermeable joining on three-layer or bi-layer fabric materials
WO2010096679A1 (en) Seam fabrication method and article made by the method
GB2071564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protective clothing
KR101683421B1 (ko) 심테이프가 필요없는 방수 기능이 강화된 아웃도어 의류 제조 방법
JP3897023B2 (ja) 水作業用作業衣における縫製部の結合構造およびその結合方法
WO2012026030A1 (ja) 化学防護服
CN111543712A (zh) 一种布料接缝结构、加工工艺及医用防护服
JP5435736B2 (ja) 化学防護服用布片の接合方法
KR20180124341A (ko) 인장강도 및 방수성능이 우수한 아웃도어 의류의 마감처리 방법.
JP5959004B2 (ja) 化学防護服用布片の接合方法
EP1886807A1 (en) Liquid proof woven fabric
JP2012045175A (ja) 化学防護服
KR20120065646A (ko) 의류 접합 구조 및 그 방법
JPH041164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