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257B1 -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 Google Patents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257B1
KR101994257B1 KR1020180103249A KR20180103249A KR101994257B1 KR 101994257 B1 KR101994257 B1 KR 101994257B1 KR 1020180103249 A KR1020180103249 A KR 1020180103249A KR 20180103249 A KR20180103249 A KR 20180103249A KR 101994257 B1 KR101994257 B1 KR 101994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body part
head
protective clothing
sid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유진
Original Assignee
최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유진 filed Critical 최유진
Priority to KR1020180103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41D2300/52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한 구멍이 발생하지 않도록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이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은, 미세한 구멍이 생성되지 않도록 초음파 융착을 이용하여 보호복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호복 제조를 위한 재단물을 준비하되, 상기 재단물은 바디부 후면 조각,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 헤드부 조각을 포함하는, 재단물 준비 단계로서, 상기 바디부 후면 조각은 상기 바디부 후면 조각의 둘레를 따라 좌측 손목으로부터 우측 손목까지의 길이가 목으로부터 발목까지의 길이보다 긴 것인, 재단물 준비 단계; 바디부 후면 조각에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 및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을 융착하는, 바디부 융착 단계; 및 상기 융착된 바디부 조각과 헤드부 조각을 융착하는, 보호복 융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조각의 융착으로 인해 형성되는 융착 라인이 서로 겹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A METHOD FOR PROTECTIVE CLOTHING MANUFACTURING USING ULTRASONIC WELDING, AND PROTECTIVE CLOTHING MADE THEREBY}
본 발명은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 융착을 이용하여 제조 과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호복, 방진복과 같은 보호장비는 화학 약품 등으로부터 사람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제작된다.
이러한 보호복의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효율적인 보호복 제조를 위해서 여러 개의 조각을 합쳐서 하나의 보호복을 제작하게 되며, 구체적으로 나뉘어진 조각을 재봉하여 보호복을 제조한다.
대부분의 의류는 재봉하여 제작하더라도 문제가 될 것이 없지만, 보호복의 경우는 재봉을 하는 경우 바늘이나 실이 원단을 통과하여 미세한 틈새이 생긴다면 이러한 틈으로 유해가스 등의 유해물질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사람의 신체를 보호한다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더욱이, 기존의 보호복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바디부 후면,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 왼쪽 팔 조각, 우측 팔 조각, 헤드부 좌측 조각 및 헤드부 우측 조각과 같이 7조각 이상으로 나뉘어진 조각을 재봉하여 보호복이 제작되는데, 이와 같이 조각의 갯수가 늘어날 수록 바느질되는 부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유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틈새가 많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5743호, (2012.07.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재봉으로 인한 미세한 구멍이 생성되지 않도록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재봉이 아닌 초음파 융착을 통해 최소화된 조각을 융착하여 제조되더라도 착용에 불편함이 최소화되는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보호복의 전면부를 개방하지 않고 목의 개구부를 통해 보호복을 입고 벗을 수 있는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은, 상기 보호복 제조를 위한 재단물을 준비하되, 상기 재단물은 바디부 후면 조각,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 헤드부 조각을 포함하는, 재단물 준비 단계로서, 상기 바디부 후면 조각은 상기 바디부 후면 조각의 둘레를 따라 좌측 손목으로부터 우측 손목까지의 길이가 목으로부터 발목까지의 길이보다 긴 것인, 재단물 준비 단계; 바디부 후면 조각에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 및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을 융착하는, 바디부 융착 단계; 및 상기 융착된 바디부 조각과 헤드부 조각을 융착하는, 보호복 융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조각의 융착으로 인해 형성되는 융착 라인이 서로 겹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초음파 융착을 이용하여 보호복 조각들을 융착하여 보호복을 제작하기 때문에 제조 과정에서 보호복에 미세한 구멍이 생성되지 않아 유해가스 등의 유해물질이 보호복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화된 조각으로 융착시켜 보호복을 제조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움직임이 불편할 수 있지만, 보호복의 좌우측 길이를 늘림으로써 이러한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초음파 융착을 통해서 부직포와 같은 각 조각들을 융착하기 때문에, 제조 과정을 간소화하여 기존에 재봉으로 인해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복의 전면부에 개구부를 생성하지 않고, 목의 개구부를 통해 보호복을 입고 벗도록 함으로써, 보호복 전면부의 개구부로 유해물질, 유해가스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기의 작동에 대한 것을 예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기를 이용하여 보호복을 융착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복 제조를 위한 5 조각의 재단물을 예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를 예시한 순서도.
도 5는 초음파 융착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복의 정면도.
도 7은 도 6 보호복에 융착 라인을 표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림부가 형성된 보호복 제조를 위한 5 조각의 재단물을 예시한 예시도.
도 9는 가림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복의 헤드부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복의 헤드부의 후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복의 바디부의 정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 조각과 함께 상세하게 후면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 조각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 조각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 조각,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 조각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기의 작동에 대한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기를 이용하여 보호복을 융착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복의 제조에 이용되는 초음파 융착기는 발진부가 발진기(Amplifier)를 통해 15KHz ~ 50KHZ 의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발진에 이용되는 전기적 에너지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진동부는 진동자(Transducer)를 통해 15KHz ~ 50KHZ 의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진시키고, 메인혼(Booster)을 통해 진폭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진동부를 기계에 고정해 주며, 공구혼(Tool Horn)을 통해 진동을 전달하고 가압을 해주어 제품을 초음파 융착하게 된다.
기존에 보호복을 제작하는 방식은, 부직포 등의 원단을 여러 조각으로 나누고, 이어줄 필요가 있는 두겹의 부직포를 겹치게 하여 봉재를 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다만, 이러한 기존의 방법은 원단에 실과 바늘이 통과함으로써 보호복에 구멍이 발생한다는 점과, 매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 보호복 제조를 위한 원단이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져 자동화가 어렵다는 점이 문제였다.
여기서, 재봉을 통해 보호복을 제조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수 많은 미세한 구멍을 통해 B3C5성물질, 유해가스 등의 유해물질이 보호복 내부로 침투할 여지가 있어서 보호복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가 온전히 보호되기 어렵다.
더욱이, 기존 방식은 보호복 제조를 위한 재단물 조각을 7개 이상의 많은 조각으로 분리하여 보호복을 제작하였는데, 다분할된 재단물 조각을 재봉하는 과정에서 연결부분이 많아짐으로 인해 구멍이 많이 생성될 수 있으며, 제조 시간이 많이 늘어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두겹의 부직포를 봉재하여 그 위에 방수 테이프를 붙이는 방식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방식은 보호복에 생긴 구멍을 막아서 유해물질이 보호복 내부로 침투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지만, 위의 방식에 비해 제조 과정이 복잡해져서 제조 비용과 제조 시간이 늘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초음파 융착기를 이용하여 보호복을 제조하는 방법을 발명하였으며, 단순히 초음파 융착 방식을 이용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자동화를 위해 제조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식은 물론, 제조된 보호복을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착용감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조 방법을 설계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재봉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초음파 융착기를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에 따르면, 보호복을 겹치고, 융착기로 융착하며 초음파를 발생시켜 보호복의 중요 연결 부분을 융착함으로써, 보호복에 바늘 자국의 미세한 구멍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에 따르면 방수테이프를 사용하지 않아도 방수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시간, 비용을 절감하고, 착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복을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개수의 조각이 5 조각이기 때문에, 본 발명은 5 조각의 재단물을 이용하여 보호복을 제작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보호복 제조에 필요한 시간, 인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보호복 제조를 위한 5 조각의 재단물로서 아래의 표 1과 같은 원단들이 사용될 수 있다.
표 1은 각 원단들의 특징에 대해서 표시되어 있다.
Figure 112018086561447-pat0000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복 제조를 위한 5 조각의 재단물을 예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를 예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초음파 융착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복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 보호복에 융착 라인을 표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10) 제조 방법은, 상기 보호복(10) 제조를 위한 5 조각의 재단물을 준비하되, 상기 재단물은 바디부 후면 조각(290),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 헤드부 좌측조각(330), 헤드부 우측조각(350)을 포함하는, 재단물 준비 단계와,
바디부 후면 조각(290)에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 및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을 융착하는, 바디부(200) 융착 단계, 헤드부 좌측조각(330)과 헤드부 우측조각(350)을 융착하는, 헤드부(300) 융착 단계, 및 상기 융착된 바디부(200) 조각과 헤드부(300) 조각을 융착하는, 보호복(10) 융착 단계를 포함하는 초음파 융착 단계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10)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보호복(10) 제조를 위한 재단물을 준비한다. (S510단계)
보호복(10) 제조를 위한 재단물을 준비하되, 재단물은 바디부 후면 조각(290),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 헤드부 좌측조각(330), 헤드부 우측조각(350)을 포함한다.
재단물을 준비하는 과정은 원단에서 바디부 후면 조각(290),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 헤드부 좌측조각(330) 및 헤드부 우측조각(350)을 재단하여 생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각각의 조각은 더 이상 세분화되지 않고 원단으로부터 재단되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 후면 조각(290)은 일체화하여 재단한 반면에 바디부 앞면은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과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으로 분리한 이유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보호복(10)을 쉽게 착용하기 위해 보호복(10)은 지퍼 또는 벨크로로 된 결합부재(205)를 포함하는데, 결합부재(205)가 바디부 앞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바디부 앞면을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과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으로 분리하였다.
그리고, 헤드부 좌측조각(330) 및 헤드부 우측조각(350)으로 분리한 이유를 설명한다. 헤드부(300)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데 사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서 온전히 보호하기 위해서는 헤드부(300)에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할 공간이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헤드부(300) 내 공간 형성을 위해 헤드부 좌측조각(330) 및 헤드부 우측조각(350)으로 분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복(10)의 기능 구현에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재단물의 조각 개수를 최소화하였으며, 이를 통해 접합면을 최소화하였기 때문에 미세한 구멍이 생성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헤드부(300)가 하나의 조각으로 준비되어 보호복(10)이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바디부 후면 조각(290)은 하나로 되어 있고, 바디부 앞면의 경우에도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과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으로 분리되어 있다. 즉, 보호복(10)에서 좌측 팔과 좌측 다리 부분이 분리되지 않고 이어져 있으며, 우측 팔과 우측 다리 부분이 분리되지 않고 이어져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보호복(10)을 착용하여 팔을 드는 동작을 취하는 경우 보호복(10)의 팔 부분이 들림에 따라 팔 부분과 이어져 있는 다리 부분이 같이 들려 올라가 사용자의 팔의 움직음을 불편하게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디부 후면 조각(290)을 기준으로 바디부 후면 조각(290)의 둘레를 따라 좌측 손목으로부터 우측 손목까지의 길이(도 3에서 빨간 선으로 표시)가 길이 방향을 따른 목으로부터 발목까지의 길이(도 3에서 파란 선으로 표시)보다 길다. 즉, 보호복(10)의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길게 제조되는 것을 의미하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호복의 좌측 손목으로부터 어깨 부분을 지나서 우측 손목까지의 길이(보호복의 좌측 팔 길이 + 어깨 길이 + 우측 팔 길이)는 보호복(10)의 목 부분으로부터 발목까지의 길이보다 길다.
즉, 바디부 후면 조각(290)에서 팔의 길이를 충분히 늘림으로써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을 편하게 해줄 수 있다. 이러한 설계가 가능한 이유는, 보호복(10)은 사용자가 덧입는 옷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에 맞는 피팅감이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덧입는 옷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기존 의복의 제작 상식(신체에 맞는 피팅감이 있도록 설계)을 따르지 않고, 보호복(10)의 팔의 길이를 충분히 늘리더라도 무방하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초음파 융착기를 이용하여 초음파 융착을 하여 보호복(10)을 제조할 수 있다. (S520단계)
여기서, 초음파 융착 단계(S520단계)는 복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바디부(200)를 융착하는 단계(S521단계), 헤드부(300)를 융착하는 단계(S522단계) 및 보호복(10)을 융착하는 단계(S52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바디부(200)를 융착하는 단계(S521단계)와 헤드부(300)를 융착하는 단계(S522단계)는 어느 하나가 먼저 진행되거나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 바디부(200)를 융착한다. (S521단계)
보다 상세하게는, 바디부 후면 조각(290)에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 및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을 융착한다.
예컨대, 바디부 후면 조각(290)을 셋팅하고, 그 위에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을 배치하여 바디부 후면 조각(290)과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을 융착하고, 그 후에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을 배치하여 융착을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과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을 융착한다. 여기서,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과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은 결합부재(205)가 연결되지 않는 부분 또는 후술하는 가림부(235)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만 초음파 융착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300)를 융착한다. (S522단계)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부 좌측조각(330)과 헤드부 우측조각(350)을 융착한다.
헤드부(300)는 일반적인 모자의 형태로, 얼굴 부분에 얼굴 개구부(370)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보호복(10)을 융착한다. (S523단계)
S521단계에서 융착된 바디부(200)와 S532단계에서 융착된 헤드부(300)를 융착하여 보호복(10)이 완성된다.
여기서, 초음파 융착은 주파수 10KHz 내지 50KHz 및 압력 30 내지 80 kg /cm2의 조건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바디부(200)를 융착하는 단계(S521단계)와, 헤드부(300)를 융착하는 단계(S522단계)와, 보호복(10)을 융착하는 단계(S523단계)를 살펴보면, 각각의 재단물(또는 조각)의 융착으로 인해 형성되는 융착 라인이 서로 겹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7조각 이상으로 조각을 나누어 재봉을 하는 경우, 조각이 세분화되고 재봉이라는 방식을 이용하다 보니 3조각 이상이 맞닿는 부분이 발생하며, 3조각 이상이 맞닿는 교점의 경우에는 여러 번 재봉이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보호복(10)의 조각을 5조각으로 최소화하여 3조각 이상이 맞닿는 교점을 최소화하였으며, 3조각 이상이 맞닿는 교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초음파 융착의 결속력으로 인하여 해당 교점을 여러 번 초음파 융착 시킬 필요없이 1회의 융착만 수행하면 원하는 결속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하면, 빨간 색으로 융착 라인을 표시하였는데, 각 재단물(또는 조각) 사이의 융착으로 인해 형성되는 융착 라인이 서로 겹치지 않으며 2개의 조각 사이는 단 1회의 융착만으로 결속이 된다.
이 밖에, 본 발명의 보호복(10)은 바디부(200)의 후면을 바디부 후면 조각(290) 하나의 재단물로 하여 제작하여 기존의 보호복 제조법과 차별화되어, 재단물의 조각의 갯수가 줄어들고, 이로 인해 융착되는 부위가 줄어들기 때문에 유해물질, 유해가스 등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미세한 틈이 생성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바디부 후면 조각(290)을 하나로 하여 제조되는 특징 때문에 보호복(200)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특히 팔과 허리의 동작으로 인해 팔의 거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복(10)은 보호복(10)의 좌측 손목으로부터 우측 손목까지의 길이가 목으로부터 발목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간략하게는 보호복(10)의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길게 제조되는 것을 의미하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호복(10)의 좌측 손목으로부터 어깨 부분을 지나서 우측 손목까지의 길이(보호복의 좌측 팔 길이 + 어깨 길이 + 우측 팔 길이)는 보호복(10)의 목 부분으로부터 발목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제조되는 것을 의미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의 손목, 발목 부분, 헤드부(300)의 얼굴 개구부(370)를 재봉으로 마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보호복(10)은 양측 손목, 양측 발목 및 헤드부(300)의 얼굴 개구부(370)에 고무줄을 삽입한 다음 재봉으로 마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부위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조여줌으로써 위험물질 등이 보호복(10) 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복(10)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 및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의 일측에 결합부재(205)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결합부재를 통해서 바디부(200) 앞면 좌측과 바디부(200) 앞면 우측을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호복(10)을 손쉽게 착용하고 벗을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205)는 지퍼 또는 벨크로가 이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림부가 형성된 보호복 제조를 위한 5 조각의 재단물을 예시한 예시도인 도 8을 참조하면,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 또는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은 결합부재(205)를 가리도록 소정 길이 연장된 가림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에 가림부(235)가 포함된 것을 예시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림부(235)를 통해서 결합부재(205)를 덮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결합부재(205)의 틈으로 유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가림부(235)의 내측면에는 접착제(236, 예컨대, 양면 테이프 등)가 묻어 있고, 접착제(236)는 박리지(237)로 덮여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호복(10)을 착용한 후 박리지(237)를 접착제(236)로부터 분리시키고 노출된 접착제(236)를 이용하여 가림부(235)를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림부(235)의 내측과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의 외면이 벨크로 결합을 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복(10)의 헤드부(300)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복(10)의 헤드부(300)의 후면도이며,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복(10)의 바디부(200)의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헤드부 좌측조각(330) 및 헤드부 우측조각(350) 각각에 착용자의 귀가 위치하는 이어(Ear)부를 융착하되, 상기 이어부(500)는 후면에 마스크의 끈이 걸리도록 하는 고리(510)가 형성되는, 이어부(500) 융착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보호복(10), 방진복 등과 같이 착용자를 위험 요소로부터 보호하는 의복들은 앞쪽에 마련된 지퍼 등을 이용하여 보호복(10)을 입고 벗게 되는데, 이러한 지퍼와 같은 부재들로 인해서 유해물질, 유해가스가 침투할 수 있는 미세한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 보호복(10)의 목 부분을 통해서 보호복(10)을 입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과제 해결 수단을 마련하였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과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을 융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복(10) 융착 단계(S540단계)는 바디부(20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1넥(Neck)부의 뒤쪽과 헤드부(30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2넥부(310)의 뒤쪽을 융착하되, 제1넥부(210) 및 제2젝부는 신축성을 지니는 소재로 형성되고, 제1넥부(210)와 제2넥부(310)의 앞쪽은 제1결합부(400)가 형성되어 탈부착 되는 것이다.
그리고, 헤드부(300) 융착 단계(S530단계)는 헤드부 좌측조각(330)과 헤드부 우측조각(350)의 뒤쪽을 융착하되, 헤드부 좌측조각(330)과 헤드부 우측조각(350)의 앞쪽은 제2결합부(410)가 형성되어 탈부착되는 것이다.
바디부(200)는 제1넥부(210)의 앞쪽 중간 지점으로부터 연장된 일정 길이의 제3결합부(420)가 형성되어, 제3결합부(420)의 분리에 의해 제1넥부(210)의 개구부(430)가 확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결합부재는 지퍼 또는 벨크로가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제1결합부(400), 제2결합부(410)를 분리하고, 신축성이 있는 제1넥부(210)의 개구부(430)를 확장시켜 보호복(10)을 입거나 벗을 수 있다.
그리고, 제3결합부(420)를 분리하여 제1넥부(210)의 개구부(430)를 보다 확장시켜 보호복(10)을 입거나 벗을 수 있다.
이상으로,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10)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10) 제조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10)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10) 제조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10)은 미세한 구멍이 생성되지 않도록 초음파 융착을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복(10)에 있어서, 상기 보호복(10)은 바디부 후면 조각(290),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 헤드부 좌측조각(330), 헤드부 우측조각(350)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 후면 조각(290)은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 및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과 융착되어 바디부(200)가 형성되고, 헤드부 좌측조각(330)과 헤드부 우측조각(350)이 융착되어 헤드부(300)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200)와 헤드부(300)가 융착되어 보호복(10)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음파 융착은, 주파수 10KHz 내지 50KHz 및 압력 30 내지 80 kg /cm2 의 조건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 및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은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결합부재가 각각의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 또는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은 상기 결합부재를 가리도록 소정 길이 연장된 가림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부(200)의 손목, 발목 부분은 바느질로 마감된다.
헤드부 좌측조각(330) 및 헤드부 우측조각(350) 각각에는 착용자의 귀가 위치하는 이어(Ear)부가 융착되고, 이어부(500)는 후면에 마스크의 끈이 걸리도록 하는 고리(510)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과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은 융착되어 연결된다.
바디부(200)는 상측으로 연장된 제1넥부(210)를 포함하고, 헤드부(300)는 하측으로 연장된 제2넥부(310)를 포함한다. 이때, 제1넥부(210) 또는 제2넥부(310)는 신축성을 지니는 소재로 형성된다.
제1넥부(210)의 후면과 제2넥부(310)의 뒤쪽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헤드부 좌측조각(330)과 헤드부 우측조각(350)의 뒤쪽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앞쪽은 제2결합부(410)가 형성되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바디부(200)는 제1넥부(210)의 앞쪽 중간 지점으로부터 연장된 일정 길이의 제3결합부(420)가 형성되어 있고, 제3결합부(420)의 분리에 의해 제1넥부(210)의 개구부(430)가 확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 조각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조각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보호복
200: 바디부 210: 제1넥부
230: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 270: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
290: 바디부 후면 조각 300: 헤드부
310: 제2넥부 330: 헤드부 좌측조각
350: 헤드부 우측조각 400: 제1결합부
410: 제2결합부 420: 제3결합부
430: 개구부 500: 이어부
510: 고리

Claims (10)

  1. 미세한 구멍이 생성되지 않도록 초음파 융착을 이용하여 보호복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호복(10) 제조를 위한 재단물을 준비하되, 상기 재단물은 바디부 후면 조각(290),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 헤드부 좌측조각(330), 헤드부 우측조각(350)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 후면 조각(290)은 양 팔 부분과 양 다리 부분이 모두 이어져 일체화된 조각이고, 상기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 및 상기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은 각각 팔 부분과 다리 부분이 이어진 조각인 것인, 재단물 준비 단계;
    상기 바디부 후면 조각(290)에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 및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을 융착하는, 바디부 융착 단계;
    상기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 및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의 일측에 결합부재(205)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헤드부 좌측조각(330)과 헤드부 우측조각(350)을 융착하는, 헤드부 융착 단계; 및
    상기 바디부(200)와 헤드부(300)를 융착하는 보호복 융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 또는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은 상기 결합부재(205)를 가리도록 하는 가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 후면 조각(290)은 상기 바디부 후면 조각(290)의 둘레를 따라 좌측 손목으로부터 우측 손목까지 연장된 길이가 목으로부터 발목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이고,
    상기 보호복(10)은,
    상기 각각의 조각의 융착으로 인해 형성되는 융착 라인이 서로 겹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융착은, 주파수 10KHz 내지 50KHz 및 압력 30 내지 80 kg /cm2 의 조건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과 상기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의 융착은 상기 결합부재(205)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만 수행되는 것인,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좌측조각(330) 및 헤드부 우측조각(350) 각각에 착용자의 귀가 위치하는 이어(Ear)부(500)를 융착하되, 상기 이어부(500)는 후면 조각에 마스크의 끈이 걸리도록 하는 고리(510)가 형성된, 이어부 융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
  5. 미세한 구멍이 생성되지 않도록 초음파 융착을 이용하여 보호복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호복(10) 제조를 위한 재단물을 준비하되, 상기 재단물은 바디부 후면 조각(290),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 헤드부 좌측조각(330), 헤드부 우측조각(350)을 포함하는, 재단물 준비 단계;
    상기 바디부 후면 조각(290)에 바디부 앞면 좌측조각(230) 및 바디부 앞면 우측조각(270)을 융착하는, 바디부 융착 단계;
    상기 헤드부 좌측조각(330)과 헤드부 우측조각(350)을 융착하는, 헤드부 융착 단계; 및
    상기 바디부(20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1넥부(210)의 뒤쪽(215)과 상기 헤드부(30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2넥부(310)의 뒤쪽(315)을 융착하여, 상기 바디부(200)와 헤드부(300)를 융착하는, 보호복 융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 후면 조각(290)은 상기 바디부 후면 조각(290)의 둘레를 따라 좌측 손목으로부터 우측 손목까지의 길이가 목으로부터 발목까지의 길이보다 긴 것이고,
    상기 제1넥부(210) 및 제2넥부(310)는 신축성을 지니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넥부(210)와 제2넥부(310)의 앞쪽은 제1결합부(400)가 형성되어, 상기 제1넥부(210)와 제2넥부(310)의 앞쪽이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헤드부 좌측조각(330)과 헤드부 우측조각(350)의 앞쪽은 제2결합부(410)가 형성되어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바디부(200)는,
    상기 제1넥부(210)의 앞쪽 중간 지점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제3결합부(420)가 형성되어, 상기 제3결합부(420)의 분리에 의해 제1넥부(210)의 개구부(430)가 확장 가능하고,
    상기 보호복(10)은,
    상기 각각의 조각의 융착으로 인해 형성되는 융착 라인이 서로 겹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융착은, 주파수 10KHz 내지 50KHz 및 압력 30 내지 80 kg /cm2 의 조건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좌측조각(330) 및 헤드부 우측조각(350) 각각에 착용자의 귀가 위치하는 이어(Ear)부(500)를 융착하되, 상기 이어부(500)는 후면 조각에 마스크의 끈이 걸리도록 하는 고리(510)가 형성된, 이어부 융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보호복.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03249A 2018-08-31 2018-08-31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KR101994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249A KR101994257B1 (ko) 2018-08-31 2018-08-31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249A KR101994257B1 (ko) 2018-08-31 2018-08-31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257B1 true KR101994257B1 (ko) 2019-06-28

Family

ID=6706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249A KR101994257B1 (ko) 2018-08-31 2018-08-31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2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617A (ko) * 2001-04-25 2002-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진복 세트
KR100812800B1 (ko) * 2007-07-02 2008-03-12 이시원 머리에 쓰는 커버부재에 구비된 마스크 걸이부재
JP2008202179A (ja) * 2007-02-21 2008-09-04 Kenichi Kasahara クリーンルム用防塵服
KR100973199B1 (ko) * 2009-07-27 2010-07-30 황길연 방진복
KR20120075743A (ko) 2010-12-29 2012-07-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발광체가 구비된 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전보호복 제작방법
KR101742208B1 (ko) * 2016-12-02 2017-06-15 주식회사 에스투라인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617A (ko) * 2001-04-25 2002-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진복 세트
JP2008202179A (ja) * 2007-02-21 2008-09-04 Kenichi Kasahara クリーンルム用防塵服
KR100812800B1 (ko) * 2007-07-02 2008-03-12 이시원 머리에 쓰는 커버부재에 구비된 마스크 걸이부재
KR100973199B1 (ko) * 2009-07-27 2010-07-30 황길연 방진복
KR20120075743A (ko) 2010-12-29 2012-07-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발광체가 구비된 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전보호복 제작방법
KR101742208B1 (ko) * 2016-12-02 2017-06-15 주식회사 에스투라인 보호복 제조용 초음파 접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2303A (en) Non-woven polyester wearing apparel
JP2006198068A (ja) 使い捨てパンツ
JP2006002326A (ja) 無縫製衣服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で使用する加圧ローラー
JP2016137119A (ja) 衛生マスク
JP2001204833A (ja) マスク
KR101994257B1 (ko)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보호복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만들어진 보호복
JP5244052B2 (ja) 無縫製衣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無縫製衣料
JP3897023B2 (ja) 水作業用作業衣における縫製部の結合構造およびその結合方法
CN111248539A (zh) 一种方便快速生产的口罩
CA3047749C (en) Medical gown
JP4559827B2 (ja) 使い捨てパンツ
JP2006057209A (ja) 使い捨てパンツ
JP2005021196A (ja) 使い捨て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218703A (ja) 無縫製伸縮性編物衣料とその製造方法
CN212382147U (zh) 一次性口罩
KR102240198B1 (ko)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2015140494A (ja) 無縫の衣類
JP2001032120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3136098U (ja) ショーツ
CN212520885U (zh) 一种方便快速生产的口罩
JP2006141854A (ja) パンツ
JP5885047B2 (ja) 無縫の衣類
JP5747291B1 (ja) 無縫の衣類
JP3235410U (ja) 不織布の引き裂き分離構造
CN214258050U (zh) 一种蚕丝无纺布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