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984B1 - 도광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단말 - Google Patents

도광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984B1
KR101729984B1 KR1020150024110A KR20150024110A KR101729984B1 KR 101729984 B1 KR101729984 B1 KR 101729984B1 KR 1020150024110 A KR1020150024110 A KR 1020150024110A KR 20150024110 A KR20150024110 A KR 20150024110A KR 101729984 B1 KR101729984 B1 KR 101729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guide sheet
light
average
back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8225A (ko
Inventor
히로노리 나카시마
켄이치 하라다
Original Assignee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98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3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과제]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액정표시면의 휘도 편차가 억제됨과 아울러 박형화가 도모되는 도광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단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도광 시트는 단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표면으로부터 거의 균일하게 출사하는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용 도광 시트로서, 이면에 표면측으로 함몰하는 복수의 오목부와,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주위에 존재하고,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융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균 두께가 100㎛ 이상 600㎛ 이하이며 라이트 가이드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면 좋다. 상기 오목부의 이면 평균 계면으로부터의 평균 깊이(L)가 1㎛ 이상 10㎛ 이하이면 좋다. 이면 평균 계면에서의 상기 오목부의 평균 직경(D)이 10㎛ 이상 50㎛ 이하이면 좋다.

Description

도광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단말{LIGHT GUIDE SHEET, BACKLIGHT UNIT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도광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단말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층을 배면으로부터 비추어 발광시키는 백라이트 방식이 보급되어, 에지 라이트형, 직하형 등의 백라이트 유닛이 액정층의 하면측에 장비되고 있다. 이러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110)은 일반적으로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판(天板)(116)의 표면에 배열 설치되는 반사 시트(115), 이 반사 시트(115)의 표면에 배열 설치되는 도광 시트(111), 이 도광 시트(111)의 표면에 배열 설치되는 광학 시트(112) 및 이 도광 시트(111)의 단면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원(117)을 구비한다(일본 특개 2010-177130호 공보 참조). 이 도 6(a)의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110)에서는, 광원(117)이 조사되어 도광 시트(111)에 입사시킨 광은 도광 시트(111) 내를 전파한다. 이 전파되는 광의 일부는 도광 시트(111)의 이면으로부터 출사되어 반사 시트(115)에서 반사되고, 다시 도광 시트(111)에 입사된다.
이러한 액정표시부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는 그 휴대성, 편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박형화 및 경량화가 요구되며, 이에 따라 액정표시부도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하우징의 가장 두꺼운 부위부가 21mm 이하인 초박형의 휴대형 단말에서는, 액정표시부의 두께는 4mm로부터 5mm 정도인 것이 요망되며, 액정표시부에 넣어지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에는 더한층의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초박형의 휴대형 단말의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에서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도광 시트(111)의 이면에 배열 설치되는 반사 시트(115)를 갖는 것 외에,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6(a)와 같은 반사 시트(115)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박형화를 도모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 이 도 6(b)에 도시하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210)은 금속제의 천판(216)과, 이 천판(216)의 표면에 적층되는 도광 시트(211)와, 이 도광 시트(211)의 표면에 적층되는 광학 시트(212)와, 이 도광 시트(211)의 단면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원(217)을 구비한다. 천판(216)은 표면이 경면으로 연마되어, 반사면(216a)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광원(217)이 출사하여 도광 시트(211)에 입사시킨 광은 도광 시트(211) 내를 전파하고, 이 전파되는 광의 일부는 도광 시트(211)의 이면으로부터 출사되고, 천판(216)의 표면의 반사면(216a)에서 반사되어, 다시 도광 시트(211)에 입사된다. 이와 같이 도 6(b)에 도시하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210)은 천판(216)의 표면이 반사면(216a)으로 됨으로써, 이 반사면(216a)이 도 6(a)의 반사 시트(115)를 대신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210)은 반사 시트(115)가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박형화가 촉진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초박형의 휴대형 단말의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에서는, 도광 시트로서 평균 두께가 600㎛ 이하의 도광 시트(라이트 가이드 필름)가 사용되어, 더한층의 박형화가 도모되어 있는 것도 존재하고 있다.
일본 특개 2010-177130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자는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하면 액정표시면의 휘도가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휘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 문제의 원인에 대하여 본 발명자가 예의 검토한 결과, 도광 시트의 이면이 이 도광 시트의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반사 시트나 천판의 표면과 밀착(스티킹)되고, 이 밀착 부분에 광이 입사되는 것에 기인하여 휘도 편차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액정표시면의 휘도 편차가 억제됨과 아울러 박형화가 도모되는 도광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를 목적은 휘도 편차가 억제되고 또한 박형화가 도모되는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단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본 발명에 따른 도광 시트는, 단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표면으로부터 거의 균일하게 출사하는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용 도광 시트로서, 이면에 표면측으로 함몰하는 복수의 오목부와,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주위에 존재하고,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융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해 도광 시트는 이면에 표면측으로 함몰하는 복수의 오목부를 가지므로, 이들 오목부에 입사된 광선을 표면측으로 산란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당해 도광 시트는 복수의 오목부를 원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이들 오목부에 의해 입사광을 산란시킴으로써 광선을 표면측으로부터 거의 균일하게 출사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도광 시트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주위에 존재하고,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융기부를 가지므로, 당해 도광 시트와 당해 도광 시트의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반사 시트나 천판 등이 복수의 융기부에 의해 산재적으로 맞닿아져, 당해 도광 시트의 이면과 반사 시트나 천판 등이 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당해 도광 시트는 이러한 밀착부에 광선이 입사되어 휘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면에 별도 스티킹 방지층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 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도광 시트는, 상기 융기부가 상기 오목부의 주위에 존재하고 있음으로써, 오목부 및 오목부 부근의 밀착을 적확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 오목부에 의해 산란된 광선에 기인하는 휘도 편차를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당해 도광 시트는 평균 두께가 100㎛ 이상 600㎛ 이하이며 라이트 가이드 필름으로서 사용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초박형의 휴대형 단말의 백라이트 유닛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의 이면 평균 계면으로부터의 평균 깊이(L)로서는 1㎛ 이상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상기 오목부에 입사된 광이 도광 시트의 표면을 향하여 산란되어, 도광 시트의 표면으로부터 적확하게 출사된다. 또한 깊이가 10㎛ 이하로 얕기 때문에, 도광 시트를 박막화할 수 있어, 라이트 가이드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면 평균 계면에서의 상기 오목부의 평균 직경(D)으로서는 10㎛ 이상 5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상기 오목부에 입사된 광이 적확하게 산란되어, 당해 도광 시트의 표면 전체로부터 적합하게 출사된다.
상기 융기부의 이면 평균 계면으로부터의 평균 높이(H)로서는 0.1㎛ 이상 5㎛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오목부 및 오목부 부근의 스티킹 방지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오목부에 의해 산란된 광선에 기인하는 휘도 편차를 적확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융기부와의 맞닿음에 기인하여 반사 시트나 천판의 표면에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당해 도광 시트는 상기 융기부가 상기 오목부를 둘러싸도록 평면으로 보아 대략 둥근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면 좋다. 또한 이면 평균 계면에서의 상기 융기부의 평균 폭(W)으로서는 1㎛ 이상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융기부를 평면으로 보아 대략 둥근 고리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오목부에서 보아 이면 평균 계면의 어느 방향에도 상기 볼록부가 존재하여 대칭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에 의해 광의 입사 방향에 의하지 않고 적합하게 광을 산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융기부의 평균 폭(W)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도광 시트 이면이 반사판 표면과 접하는 융기부의 면적을 작게 억제하면서 적합하게 스티킹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휘도 편차가 발생하기 어렵다.
상기 융기부의 평균 높이(H)의 평균 폭(W)에 대한 높이비(H/W)로서는 0.05 이상 0.5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스티킹 방지성 및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반사 시트나 천판 표면의 상처 방지성을 향상할 수 있다.
주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면 좋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투명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굴절률이 높기 때문에, 당해 도광 시트의 표리면에서 전반사가 일어나기 쉬워, 광선을 효율적으로 전파시킬 수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내열성을 갖기 때문에, 광원의 발열에 의한 열화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등에 비해 흡수성이 적기 때문에, 치수안정성이 높다. 따라서, 주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경년 열화를 억지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본 발명에 따른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구성을 갖는 도광 시트와, 당해 도광 시트의 단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구비한다.
당해 백라이트 유닛은 당해 도광 시트를 구비하므로, 당해 도광 시트의 이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오목부에 입사된 광선을 표면측으로 산란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당해 백라이트 유닛은, 당해 도광 시트의 이면에 있어서, 복수의 오목부를 원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이들 오목부에 의해 입사광을 산란시킴으로써 광선을 표면측으로부터 거의 균일하게 출사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오목부의 주위에 존재하고,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융기부를 가지므로, 당해 도광 시트와 당해 도광 시트의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반사 시트나 천판 등이 복수의 융기부에 의해 산재적으로 맞닿아져, 당해 도광 시트의 이면과 반사 시트나 천판 등이 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당해 백라이트 유닛은 이러한 밀착부에 광선이 입사되어도 휘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면에 별도 스티킹 방지층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백라이트 유닛은, 당해 도광 시트의 이면에 형성되는 상기 융기부가 상기 오목부의 주위에 존재하고 있음으로써, 오목부 및 오목부 부근의 밀착을 적확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 오목부에 의해 산란된 광선에 기인하는 휘도 편차를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은 상기 구성을 갖는 당해 백라이트 유닛을 액정표시부에 구비한다.
당해 휴대형 단말은 당해 도광 시트를 갖는 당해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므로, 당해 도광 시트의 표면으로부터 광선을 거의 균일하게 출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당해 도광 시트와 당해 도광 시트의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반사 시트나 천판 등과의 스티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휴대형 단말은 당해 도광 시트를 갖는 당해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므로, 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광 시트에서의 「표면」은 도광 시트가 광선을 출사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액정표시부의 표시면측을 의미한다. 또한 도광 시트의 「이면」은 상기 표면의 반대측의 면을 의미하고, 액정표시부의 표시면의 반대측을 의미한다. 「평균 두께」는 JIS-K-7130에 규정되는 5.1.2의 A-2법에 의해 측정한 값의 평균값이다. 「직경」은 직경의 최대폭과, 그 최대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직경의 폭의 중간값을 의미한다. 융기부의 「폭」은 외측 반경과 내측 반경의 차를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광 시트는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된 경우에 액정표시면의 휘도 편차가 억제됨과 아울러 박형화가 도모된다. 따라서, 당해 도광 시트를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 및 당해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은 액정표시부의 휘도 편차가 억제되고 또한 박형화가 도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단말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a)는 액정표시부를 연 상태, (b)는 액정표시부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휴대형 단말의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 시트의 모식적 이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광 시트의 오목부 및 융기부를 나타내는 모식적 확대도이며, (a)는 단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도광 시트와는 상이한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시트의 오목부 및 융기부의 모식적 확대 저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적당하게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휴대형 단말>
도 1의 휴대형 단말(1)은 조작부(2)와, 이 조작부(2)에 회동 가능(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액정표시부(3)를 갖는다. 당해 휴대형 단말(1)은 휴대형 단말(1)의 구성 부분을 전체적으로 수용하는 하우징(케이싱)의 두께(액정표시부(3)의 폐쇄시의 가장 두꺼운 부위)가 21mm 이하로, 초박형의 랩톱 컴퓨터이다(이하 「초박형 컴퓨터(1)」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당해 초박형 컴퓨터(1)의 액정표시부(3)는 액정 패널(4)과, 이 액정 패널(4)을 향하여 이면측에서 광을 조사하는 에지 라이트형의 초박형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다. 이 액정 패널(4)은, 하우징의 액정표시부용 케이싱(5)에 의해, 이면, 측면 및 표면의 주위가 유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액정표시부용 케이싱(5)은 액정 패널(4)의 이면(및 배면)에 배열 설치되는 천판(6)과, 액정 패널(4)의 표면의 주위의 표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표면 지지 부재(7)를 갖는다. 당해 초박형 컴퓨터(1)의 하우징은 액정표시부용 케이싱(5)과, 이 액정표시부용 케이싱(5)에 힌지부(8)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 연산 처리 장치(초저전압 CPU) 등이 내장되는 조작부용 케이싱(9)을 갖는다.
이 액정표시부(3)의 평균 두께로서는 하우징의 두께가 원하는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정표시부(3)의 평균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7mm가 바람직하고, 6mm가 보다 바람직하고, 5m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액정표시부(3)의 평균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2mm가 바람직하고, 3mm가 보다 바람직하고, 4mm가 더욱 바람직하다. 액정표시부(3)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초박형 컴퓨터(1)의 박형화의 요구에 따를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액정표시부(3)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액정표시부(3)의 강도의 저하나 휘도 저하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백라이트 유닛>
도 2의 백라이트 유닛(10)은 초박형 컴퓨터(1)의 액정표시부(3)에 구비된다. 백라이트 유닛(10)은 도광 시트(11)와, 도광 시트(11)의 단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12)과, 도광 시트(11)의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반사 시트(13)와, 도광 시트(11)의 표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광학 시트(14)를 갖는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광 시트)
도광 시트(11)는 단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표면으로부터 거의 균일하게 출사한다. 또한 도광 시트(1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면에 표면측으로 함몰하는 복수의 오목부(15)와, 복수의 오목부(15)의 주위에 존재하고,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융기부(16)를 갖는다. 도광 시트(11)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께가 거의 균일한 판 형상(비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광 시트(11)의 평균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600㎛가 바람직하고, 580㎛가 보다 바람직하고, 550㎛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도광 시트(11)의 평균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100㎛가 바람직하고, 150㎛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가 더욱 바람직하다. 도광 시트(11)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초박형의 휴대형 단말에서 요망되는 박막의 라이트 가이드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없어, 백라이트 유닛(10)의 박형화의 요망에 따를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도광 시트(11)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도광 시트(11)의 강도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고, 또한 광원(12)의 광을 도광 시트(11)에 충분히 입사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도광 시트(11)에서의 광원(12)측의 단면으로부터의 필수 도광 거리의 하한으로서는 7cm가 바람직하고, 9cm가 보다 바람직하고, 11c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도광 시트(11)에서의 광원(12)측의 단면으로부터의 필수 도광 거리의 상한으로서는 45cm가 바람직하고, 43cm가 보다 바람직하고, 41c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필수 도광 거리가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소형 모바일 단말 이외의 대형 단말에 사용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필수 도광 거리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평균 두께가 600㎛ 이하의 박막의 라이트 가이드 필름으로서 사용한 경우에 휨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도광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도광 시트(11)에서의 광원(12)측의 단면으로부터의 필수 도광 거리는 광원(12)으로부터 출사되어 도광 시트(11)의 단면에 입사되는 광선이 이 단면으로부터 대향 단면 방향을 향하여 전파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거리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도광 시트(11)에서의 광원(12)측의 단면으로부터의 필수 도광 거리는, 예를 들면, 한 쪽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에 대해서는, 도광 시트의 광원측의 단면으로부터 대향 단면까지의 거리를 말하며, 양측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에 대해서는, 도광 시트의 광원측의 단면으로부터 중앙부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도광 시트(11)의 표면적의 하한으로서는 150cm2가 바람직하고, 180cm2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cm2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도광 시트(11)의 표면적의 상한으로서는 1000cm2가 바람직하고, 950cm2가 보다 바람직하고, 900cm2가 더욱 바람직하다. 도광 시트(11)의 표면적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소형 모바일 단말 이외의 대형 단말에 사용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도광 시트(11)의 표면적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평균 두께가 600㎛ 이하의 박막의 라이트 가이드 필름으로서 사용한 경우에 휨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도광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도광 시트(11)는 광선을 투과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투명, 특히 무색 투명의 합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형성된다. 도광 시트(11)의 주성분으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스타이렌, (메타)아크릴산 메틸-스타이렌 공중합체, 폴리올레핀,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 사이클로올레핀 코폴리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내후성 염화 비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도광 시트(11)의 주성분으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투명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굴절률이 높기 때문에, 도광 시트(11)가 주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도광 시트(11)의 표리면에서 전반사가 일어나기 쉬워, 광선을 효율적으로 전파시킬 수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내열성을 갖기 때문에, 광원(12)의 발열에 의한 열화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등에 비해 흡수성이 적기 때문, 치수안정성이 높다. 따라서, 당해 도광 시트(11)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함으로써 경년 열화를 억지할 수 있다. 한편, 아크릴계 수지는 투명도가 높으므로 도광 시트(11)에서의 광의 손모를 적게 할 수 있다. 도광 시트(11)는 상기 주성분을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8% 이상 포함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 어느 하나뿐이어도 되고,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와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모두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이어도 된다.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공지의 포스겐법 또는 용융법에 의해 제조된 직쇄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있고, 카보네이트 성분과 다이페놀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카보네이트 성분을 도입하기 위한 전구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포스겐, 다이페닐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이페놀로서는, 예를 들면,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데케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데케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1,1-비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도데케인,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에터, 4,4'-싸이오다이페놀,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클로로다이페닐에터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분기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있고, 분기제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로글루신, 트라이멜리트산, 1,1,1-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2-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2-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1,1,1-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1-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1,1,1-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1-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1-트리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1-트리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1-트리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1-트리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1-트리스(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1-트리스(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1-트리스(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1-트리스(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1-트리스(3-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1-트리스(3-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1-트리스(3,5-다이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1-트리스(3,5-다이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4,4'-다이하이드록시-2,5-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에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에 유래하는 골격을 갖는 수지이다. 아크릴계 수지의 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 에스터, 메타크릴산 메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메틸-(메타)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산 에스터-(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 메틸-스타이렌 공중합체,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예를 들면, 메타크릴산 메틸-메타크릴산 사이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메틸-(메타)아크릴산 노보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크릴계 수지 중에서도, 폴리(메타)아크릴산 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 C1-6알킬이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 메틸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수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광중합성의 프리폴리머, 올리고머 및 모노머 중 적어도 1종과 광중합성 개시제 등을 포함한 것이 사용된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수지에서의 상기 프리폴리머 및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유레테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터(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터(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수지에서의 상기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다이에틸렌글라이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퓨릴(메타)아크릴레이트, 아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단작용 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세인다이올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라이(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트라이(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라이펜타에리트리톨트라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라이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트라이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메타)아크릴산벤조산에스터, 트리메틸올프로페인벤조산에스터 등의 다작용 아크릴레이트, 글라이세린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라이(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유레테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토페논, 2,2-다이에톡시아세토페논, p-다이메틸아세토페논, p-다이메틸아미노프로피오페논, 벤조페논, 벤질, 2-클로로벤조페논, 4,4'-다이클로로벤조페논, 4,4'-비스다이에틸아미노벤조페논, 미힐러 케톤, 벤질,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터, 벤조인에틸에터, 벤조인아이소프로필에터, 메틸벤조일포메이트, p-아이소프로필-α-하이드록시아이소뷰틸페논, α-하이드록시아이소뷰칠페논, 2,2-다이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하이드록시클로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카본일 화합물,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설파이드, 테트라메틸티우람다이설파이드, 싸이옥산톤, 2-클로로싸이옥산톤, 2-메틸싸이옥산톤 등의 유황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중합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도광 시트(11)는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안정제, 윤활제, 가공 조제, 가소제, 내충격 조제, 위상차 저감제, 광택제거제, 항균제, 곰팡이방지제, 산화방지제, 이형제, 대전방지제 등의 임의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오목부(15)는 입사광을 표면측으로 산란시키는 광산란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1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아 대략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광 시트(11)의 이면에 복수 존재한다. 또한 오목부(15)는 표면측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 축소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5)의 입체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구 형상, 대략 반구 형상, 원추 형상, 원추대 형상, 원통 형상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중에서도, 오목부(15)의 입체 형상으로서는 반구 형상이 바람직하다. 오목부(15)의 입체 형상이 반구 형상임으로써, 오목부(15)의 성형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오목부(15)에 입사된 광선을 적합하게 산란시킬 수 있다.
오목부(15)의 배열 설치 패턴으로서는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에 걸쳐 서서히 밀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오목부(15)의 배열 설치 패턴으로서는 광원(12)측과 반대측의 끝가장자리로부터 광원(12)측의 끝가장자리에 걸쳐 서서히 밀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15)를 형성함으로써 광원(12) 근방의 광산란률을 억제하여, 광원(12)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의 광산란률을 높임으로써 면 전체에서 균일하게 되도록 광을 산란시킬 수 있다. 복수의 오목부(15)의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에 의한 존재 비율의 조정은 오목부(15)의 배열 설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오목부(15)의 이면 평균 계면으로부터의 평균 깊이(L)(도 4(a) 참조)의 상한으로서는 10㎛가 바람직하고, 9㎛가 보다 바람직하고, 7㎛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오목부(15)의 이면 평균 계면으로부터의 평균 깊이(L)의 하한으로서는 1㎛가 바람직하고, 2㎛가 보다 바람직하고, 4㎛가 더욱 바람직하다. 오목부(15)의 이면 평균 계면으로부터의 평균 깊이(L)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휘도 편차를 생기게 할 우려가 있음과 아울러, 도광 시트(11)의 박형화의 요청에 반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오목부(15)의 이면 평균 계면으로부터의 평균 깊이(L)가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광산란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면 평균 계면에서의 오목부(15)의 평균 직경(D)(도 4(b) 참조)의 상한으로서는 50㎛가 바람직하고, 40㎛가 보다 바람직하고, 30㎛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이면 평균 계면에서의 오목부(15)의 평균 직경(D)의 하한으로서는 10㎛가 바람직하고, 12㎛가 보다 바람직하고, 15㎛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면 평균 계면에서의 오목부(15)의 평균 직경(D)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휘도 편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이면 평균 계면에서의 오목부(15)의 평균 직경(D)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광산란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융기부(16)는 도광 시트(11)의 이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16)는 오목부(15)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이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융기부(16)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5)를 평면으로 보아 둥근 고리 형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16)의 평면으로 본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오목부(15)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여 규정될 수 있고, 둥근 고리 형상, 다각 고리 형상 등이 가능하다. 또한 융기부(16)의 평면으로 본 형상으로서는 반드시 오목부(15)의 외주를 완전히 둘러쌀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오목부(15)의 외주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것이어도 된다. 그중에서도, 융기부(16)의 평면으로 본 형상으로서는 둥근 고리 형상이 바람직하다. 당해 도광 시트(11)는, 융기부(16)가 둥근 고리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오목부(15) 및 오목부(15) 부근이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반사 시트(13) 등과 밀착하는 것을 적확하게 방지할 수 있어, 오목부(15)에 의해 산란된 광선에 기인하는 휘도 편차를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융기부(16)는 선단이 둥글게 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당해 도광 시트(11)는, 융기부(16)의 선단이 둥글게 되어 있음으로써,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반사 시트(13) 등에 대한 상처 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융기부(16)는 오목부(15)와 연속해서 형성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융기부(16)의 내주와 오목부(15)의 둘레가 대략 일치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융기부(16)의 내측면과 오목부(15)의 내면이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으면 좋다. 융기부(16)가 오목부(15)에 매끄럽게 연속해서 형성됨으로써 오목부(15)에 의해 산란되어 도광 시트(11)의 표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 편차를 적확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둘레」는 입체 형상(오목부(15) 또는 융기부(16))이 도광 시트(11)의 이면 평균 계면과 교차하여 구성되는 곡선을 의미한다. 또한 「내주」는 융기부(16)의 내측면의 둘레를 말한다.
융기부(16)의 배열 설치 패턴으로서는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에 걸쳐 서서히 밀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융기부(16)의 배열 설치 패턴으로서는 광원(12)측과 반대측의 끝가장자리로부터 광원(12)측의 끝가장자리에 걸쳐 서서히 밀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16)의 이면 평균 계면으로부터의 평균 높이(H)(도 4(a) 참조)의 상한으로서는 6㎛가 바람직하고, 5㎛가 보다 바람직하고, 4㎛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융기부(16)의 이면 평균 계면으로부터의 평균 높이(H)의 하한으로서는 0.1㎛가 바람직하고, 0.3㎛가 보다 바람직하고, 0.5㎛가 더욱 바람직하다. 융기부(16)의 이면 평균 계면으로부터의 평균 높이(H)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융기부(16)와의 맞닿음에 기인하여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반사 시트(13) 등의 표면에 상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융기부(16)의 이면 평균 계면으로부터의 평균 높이(H)가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스티킹을 적확하게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융기부(16)의 이면 평균 계면으로부터의 평균 높이(H)가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스티킹 방지성 및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반사 시트(13) 등의 상처 방지성을 향상할 수 있고, 특히 오목부(15)에 의해 산란된 광선에 기인하는 휘도 편차를 적확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면 평균 계면에서의 상기 융기부의 평균 폭(W)(도 4(b) 참조)의 상한으로서는 15㎛가 바람직하고, 12㎛가 보다 바람직하고, 10㎛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이면 평균 계면에서의 상기 융기부의 평균 폭(W)의 하한으로서는 1㎛가 바람직하고, 3㎛가 보다 바람직하고, 5㎛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면 평균 계면에서의 융기부(16)의 평균 폭(W)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융기부(16)가 반사 시트(13) 등에 접하는 면적이 커져, 휘도 편차를 생기게 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이면 평균 계면에서의 융기부(16)의 평균 폭(W)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융기부(16)와의 맞닿음에 기인하여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반사 시트(13) 등의 표면에 상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융기부(16)의 평균 높이(H)의 평균 폭(W)에 대한 높이비(H/W)의 상한으로서는 0.8이 바람직하고, 0.6이 보다 바람직하고, 0.4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융기부(16)의 평균 높이(H)의 평균 폭(W)에 대한 높이비(H/W)의 하한으로서는 0.04가 바람직하고, 0.06이 보다 바람직하고, 0.08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비(H/W)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융기부(16)가 반사 시트(13) 등과 날카롭게 접하기 때문에, 반사 시트(13) 등을 상처낼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높이비(H/W)가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융기부(16)가 반사 시트(13) 등에 접하는 면적이 지나치게 커져, 휘도 편차를 생기게 할 우려가 있다.
상기 융기부(16)의 평균 폭(W)의 오목부(15)의 평균 직경(D)에 대한 폭비(W/D)의 상한으로서는 1이 바람직하고, 0.8이 보다 바람직하고, 0.6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융기부(16)의 평균 폭(W)의 오목부(15)의 평균 직경(D)에 대한 폭비(W/D)의 하한으로서는 0.1이 바람직하고, 0.2가 보다 바람직하고, 0.3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폭비(W/D)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융기부(16)가 반사 시트(13) 등에 접하는 면적이 지나치게 커져, 휘도 편차를 생기게 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폭비(W/D)가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융기부(16)의 크기가 오목부(15)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나치게 작아져, 스티킹 방지 효과가 충분하게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사 시트)
반사 시트(13)는 도광 시트(11)의 이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융기부(16)와 맞닿도록 도광 시트(11)의 이면측에 배열 설치된다. 반사 시트(13)는 도광 시트(11)의 이면측으로부터 출사된 광선을 표면측으로 반사시킨다. 반사 시트(13)로서는 폴리에스터계 수지 등의 기재 수지에 필러를 분산 함유시킨 백색 시트나, 폴리에스터계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필름의 표면에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을 증착시킴으로써 정반사성이 향상된 경면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광원)
광원(12)은 조사면이 도광 시트(11)의 단면에 대향(또는 접촉(접))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광원(12)으로서는 여러 가지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광원(12)으로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도광 시트(11)의 단면을 따라 배열 설치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광학 시트)
광학 시트(14)는 이면측으로부터 입사된 광선에 대한 확산, 굴절 등의 광학적 기능을 갖는다. 광학 시트(14)로서는, 예를 들면, 광확산 기능을 갖는 광확산 시트나, 법선 방향측으로의 굴절 기능을 갖는 프리즘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도광 시트의 제조 방법>
도광 시트(11)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a) 복수의 오목부 및 이 오목부의 주위에 존재하는 복수의 융기부의 반전 형상을 갖는 성형형에 용융 상태의 도광 시트의 형성 재료를 주입하는 사출 성형법,
(b) 도광 시트의 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체를 재가열하여 상기 반전 형상을 갖는 성형형과 금속판 또는 롤 사이에 끼우고 프레스하여 형상을 전사하는 방법,
(c) 용융 상태의 도광 시트의 형성 재료를 T다이에 공급하고 이 형성 재료를 압출기 및 T다이로부터 밀어냄으로써 시트체를 성형한 뒤, 이 시트체를 상기 반전 형상을 갖는 성형형과 금속판 또는 롤과의 사이에 끼우고 프레스하여 형상을 전사 하는 압출 성형법을 사용하는 방법,
(d) 도광 시트의 형성 재료를 용매에 용융시켜 유동성을 갖게 한 용액(도프)을 상기 반전 형상을 갖는 성형형에 부어 넣은 뒤, 용매를 증발시키는 캐스트법(용액유연법),
(e) 상기 반전 형상을 갖는 성형형에 미경화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충전하고,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방법,
(f) 복수의 오목부의 반전 형상만을 갖는 성형형을 사용하여, 상기 (a)∼ (e)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 복수의 오목부를 시트체의 일방의 면에 형성한 뒤, 이 시트체의 일방의 면의 복수의 오목부의 주위에 포토리소그래픽법 및 에칭법을 사용하여 복수의 융기부를 형성하는 방법,
(g) 도광 시트의 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체의 일방의 면에의 초경 바이트, 다이아몬드 바이트, 엔드밀 등을 사용한 절삭에 의해 복수의 오목부 및 이 오목부의 주위에 존재하는 복수의 융기부를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성형형>
상기 성형형으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i) 소정 패턴으로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오목부(15), 이들 오목부(15)의 주위에 존재하는 복수의 융기부(16)의 반전 형상을 표면에 갖는 성형형, 또는
(ii) 소정 패턴으로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오목부(15)의 반전 형상만을 표면에 갖는 성형형이 사용된다.
(원형을 사용한 성형형의 제조 방법)
상기 (i)의 성형형은 소정 패턴으로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오목부 및 복수의 오목부의 주위에 존재하는 복수의 융기부를 표면에 갖는 원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원형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A) 원형을 형성하는 기재의 표면에 레이저 조사를 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오목부 및 복수의 융기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방법,
(B) 원형을 형성하는 기재의 표면을 초경 바이트, 다이아몬드 바이트, 엔드밀 등을 사용하여 절삭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오목부 및 복수의 융기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방법
을 들 수 있다.
상기 (A)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원형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SUS 등의 금속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B)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원형의 형성 재료로서는, SUS 등의 금속 이외에,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의 비교적 경질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조사가 행해지면, 레이저 조사 부분이 용융된다. 그 결과, 오목부가 형성될 때에, 용융된 재료가 오목부의 주위에 퇴적되어 융기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절삭이 행해지면, 절삭된 부분의 기재가 이 절삭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의 주위에 퇴적되어 융기부가 형성된다. 오목부의 깊이나 직경, 융기부의 높이, 폭, 형상 등은 레이저의 조사나 절삭 강도, 각도, 직경 등에 의해 조정된다. 또한, 이와 같이 용융된 재료가 오목부의 주위에 퇴적됨으로써 융기부를 오목부를 둘러싸도록 둥근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기 쉽다.
또한 원형 표면에 복수의 오목부 및 복수의 융기부를 형성하기 위해 조사되는 레이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탄산 가스 레이저, 일산화 탄소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YAG(이트륨·알루미늄·가닛) 레이저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파장이 9.3㎛부터 10.6㎛인 탄산 가스 레이저가 세밀한 형상을 형성하는데 적합하다. 상기 탄산 가스 레이저로서는 횡방향 대기압 여기(TEA)형, 연속 발진형, 펄스 발진형 등을 들 수 있다.
(성형형의 제조 방법)
상기 원형을 사용한 성형형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소정 패턴으로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오목부 및 이 복수의 오목부의 주위에 존재하는 복수의 융기부를 갖는 상기 원형의 표면에 이 원형의 반전 형상을 표면에 갖는 도금층을 전기 주조에 의해 형성하는 공정(S1)과, 상기 원형으로부터 도금층을 박리하는 공정(S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원형을 사용하는 경우의 성형형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니켈,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들 수 있다.
도금층 형성 공정(S1)은, 예를 들면, 도금욕 중에서, 양극으로서 금속 니켈, 음극으로서 상기 원형에 통전하고, 상기 원형의 표면에 도금층을 석출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도금층 박리 공정(S2)은 도금층 형성 공정(S1)에서 상기 원형의 표면에 석출된 도금층을 상기 원형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도금층 박리 공정(S2)으로서는, 상기 원형으로부터 박리된 도금층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이 도금층을 보강 부재에 의해 보강하는 공정을 더 가지고 있어도 된다.
(원형을 사용하지 않는 성형형의 제조 방법)
상기 (ii)의 성형형은 원형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ii)의 성형형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래픽법 및 에칭법을 사용하여 성형형을 구성하는 기재의 표면에 복수의 오목부의 반전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이 성형형의 형성 재료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의 비교적 경질의 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점>
당해 도광 시트(11)는 이면에 표면측으로 함몰하는 복수의 오목부(15)를 가지므로, 이들 오목부(15)에 입사된 광선을 표면측으로 산란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당해 도광 시트(11)는 복수의 오목부(15)를 소망 위치에 형성하고, 이들 오목부(15)에 의해 입사광을 산란시킴으로써 광선을 표면측으로부터 거의 균일하게 출사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도광 시트(11)는 스티킹 방지 수단으로서 복수의 오목부(15)의 주위에 존재하고,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융기부(16)를 가지므로, 당해 도광 시트(11)와 당해 도광 시트(11)의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반사 시트(13) 등이 복수의 융기부(16)에 의해 산재적으로 맞닿아져, 당해 도광 시트(11)의 이면과 반사 시트(13) 등이 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당해 도광 시트(11)는 이러한 밀착부에 광선이 입사되어 휘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면에 별도 스티킹 방지층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도광 시트(11)는, 융기부(16)가 오목부(15)의 주위에 존재하고 있음으로써, 오목부(15) 및 오목부(15) 부근의 밀착을 적확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 오목부(15)에 의해 산란된 광선에 기인하는 휘도 편차를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당해 백라이트 유닛(10)은 당해 도광 시트(11)를 구비하므로, 당해 도광 시트(11)의 이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오목부(15)에 입사한 광선을 표면측으로 산란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당해 백라이트 유닛(10)은, 당해 도광 시트(11)의 이면에서, 복수의 오목부(15)를 소망 위치에 형성하고, 이들 오목부(15)에 의해 입사광을 산란시킴으로써 광선을 표면측으로부터 거의 균일하게 출사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백라이트 유닛(10)은 당해 도광 시트(11)가 스티킹 방지 수단으로서 복수의 오목부(15)의 주위에 존재하고,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융기부(16)를 가지므로, 당해 도광 시트(11)와 당해 도광 시트(11)의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반사 시트(13) 등이 복수의 융기부(16)에 의해 산재적으로 맞닿아져, 당해 도광 시트(11)의 이면과 반사 시트(13) 등이 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백라이트 유닛(10)은 이러한 밀착부에 광선이 입사되어 휘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당해 도광 시트(11)의 이면에 별도 스티킹 방지층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백라이트 유닛(10)은 당해 도광 시트(11)의 이면에 형성되는 융기부(16)가 오목부(15)의 주위에 존재하고 있음으로써, 오목부(15) 및 오목부(15) 부근의 밀착을 적확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 오목부(15)에 의해 산란된 광선에 기인하는 휘도 편차를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당해 휴대형 단말(1)은 당해 도광 시트(11)를 갖는 당해 백라이트 유닛(10)을 구비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도광 시트(11)의 표면으로부터 광선을 거의 균일하게 출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당해 도광 시트(11)와 당해 도광 시트(11)의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반사 시트(13) 등과의 스티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휴대형 단말(1)은 당해 도광 시트(11)를 갖는 당해 백라이트 유닛(10)을 구비하므로, 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당해 도광 시트의 제조 방법은 이면에 표면측으로 함몰하는 복수의 오목부(15)를 갖고, 또한 스티킹 방지 수단으로서, 복수의 오목부(15)의 주위에 존재하고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융기부(16)를 갖는 당해 도광 시트(11)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제조할 수 있다.
당해 성형형은 소정 패턴으로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오목부의 반전 형상을 표면에 구비하므로, 당해 도광 시트(11)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형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성형형의 제조 방법은 소정 패턴으로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오목부의 반전 형상을 표면에 갖는 성형형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제조할 수 있다.
당해 원형은 소정 패턴으로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오목부 및 이들 복수의 오목부의 주위에 존재하는 복수의 융기부를 표면에 가지므로, 당해 원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형의 표면에 소정 패턴으로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오목부 및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주위에 존재하는 복수의 융기부의 반전 형상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광 시트, 백라이트 유닛, 휴대형 단말, 도광 시트의 제조 방법, 도광 시트의 제조에 사용하는 성형형, 원형 및 성형형의 제조 방법은 상기 태양 이외에, 여러 변경, 개량을 시행한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당해 도광 시트는 이면측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한 반드시 단층 구조체일 필요는 없고, 2층 이상의 다층 구조체 이어도 된다. 또한 당해 도광 시트는 표면에 하드 코트층 등이 코팅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당해 도광 시트는 출사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표면에 렌티큘러 형상 등을 가져도 된다. 아울러, 당해 도광 시트는 광원 근방의 휘도 편차를 억게하기 위해, 광원측의 단면에 연속하여 또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V자형, 사다리꼴 형상 등의 복수의 절결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융기부의 배열 설치 패턴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융기부의 배열 설치 패턴으로서는, 예를 들면, 당해 도광 시트가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광원이 배열 설치되는 양측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융기부가 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서서히 밀도가 높아지도록 배열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당해 도광 시트의 1개의 융기부가 1개의 오목부를 둥근 고리 형상으로 둘러싸는 것을 설명했지만, 다른 태양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를 둘러싸는 융기부의 형상의 일부에 절결이 있는 원환 형상(도 5(a) 참조), 사각형 형상(도 5(b) 참조), 복수의 오목부를 1개의 융기부가 둘러싸는 형상(도 5(c)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당해 도광 시트의 오목부의 형상으로서, 평면으로 보아 둥근 고리 형상의 것을 나타냈지만, 다른 형상, 예를 들면, 평면으로 보아 사각형 형상(도 5(d) 참조)이어도 된다.
상기 (ii)의 성형형은 복수의 오목부를 표면에 갖는 원형을 사용한 전기 주조에 의해 제조되어도 된다. 이러한 복수의 오목부를 표면에 갖는 원형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래픽법 및 에칭법을 사용하여 원형을 구성하는 기재의 표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당해 도광 시트는, 용융 상태의 도광 시트의 형성 재료를 T다이에 공급하고 이 형성 재료를 압출기 및 T다이로부터 밀어냄으로써 시트체를 성형하는 압출 성형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경우, 이 압출 시트체를 끼우는 한 쌍의 누름 롤의 일방을 복수의 오목부 및 이 오목부의 주위에 존재하는 복수의 융기부의 반전 형상을 갖는 성형형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반전 형상을 일방의 누름 롤의 표면에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소정 패턴으로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오목부 및 이들 오목부의 주위에 존재하는 복수의 융기부의 반전 형상을 표면에 갖는 도금층을 누름 롤의 표면에 적층하는 방법이나, 누름 롤의 표면에 상기 반전 형상을 레이저나 절삭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면, 타방의 누름 롤의 표면에 렌티큘러 형상의 반전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도광 시트의 표면에 렌티큘러 형상을 형성해도 된다.
당해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은 반드시 당해 도광 시트의 이면측에 반사 시트가 배열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당해 도광 시트의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천판의 표면이 연마된 반사면으로서 형성되고, 이 반사면이 반사 시트 대신에 사용되어도 된다. 당해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은, 이와 같이 천판 표면을 백라이트 유닛의 가장 뒷면으로서 형성함으로써 반사 시트를 제거하여 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당해 휴대형 단말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랩톱 컴퓨터 이외에, 스마트폰 등의 휴대전화 단말이나,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형 정보 단말 등, 여러 휴대형 단말을 들 수 있다. 또한, 당해 도광 시트 및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휴대형 단말 이외에, 하우징(케이싱)의 두께가 21mm를 초과하는 랩톱 컴퓨터나, 데스크톱 컴퓨터, 박형 텔레비전 등, 여러 액정 표시 장치에 채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광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단말은 별도 스티킹 방지층을 형성하지 않고 도광 시트와 이 도광 시트의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반사 시트, 천판 등과의 스티킹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휘도 편차가 방지되고, 또한 박형화가 촉진된 액정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1 휴대형 단말, 초박형 컴퓨터 2 조작부
3 액정표시부 4 액정 패널
5 액정표시부용 케이싱 6 천판
7 표면 지지 부재 8 힌지부
9 조작부용 케이싱 10 백라이트 유닛
11 도광 시트 12 광원
13 반사 시트 14 광학 시트
15 오목부 16 융기부
110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 111 도광 시트
112 광학 시트 115 반사 시트
116 천판 117 광원
210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 211 도광 시트
212 광학 시트 216 천판
216a 반사면 217 광원

Claims (10)

  1. 평균 두께 100㎛ 이상 600㎛ 이하이고, 단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표면으로부터 출사하는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용 라이트 가이드 필름으로서,
    이면에 스티킹 방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면에 상기 표면측으로 함몰하고, 상기 표면측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 축소되도록 형성되어, 입사광을 표면측으로 산란시키는 복수의 오목부와,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주위에 존재하고, 상기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상기 스티킹 방지 수단으로서의 복수의 융기부
    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 및 융기부가, 기재의 표면에 레이저 조사를 행함으로써 복수의 오목부 및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주위에 존재하는 복수의 융기부가 형성된 금속제의 원형의 표면에 이 원형의 반전 형상을 표면에 갖는 도금층을 전기 주조함으로써 형성되는 성형형을 사용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융기부가 상기 오목부를 둘러싸도록 평면으로 보아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융기부의 선단이 둥글게 되어 있고,
    상기 융기부의 이면 평균 계면으로부터의 평균 높이(H)가 0.1㎛ 이상 5㎛ 이하이고,
    상기 융기부의 평균 높이(H)의 평균 폭(W)에 대한 높이비(H/W)가 0.05 이상 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 가이드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이면 평균 계면으로부터의 평균 깊이(L)가 1㎛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 가이드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이면 평균 계면에서의 상기 오목부의 평균 직경(D)이 10㎛ 이상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 가이드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이면 평균 계면에서의 상기 융기부의 평균 폭(W)이 1㎛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 가이드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 가이드 필름.
  6. 제 1 항에 기재된 라이트 가이드 필름과,
    상기 라이트 가이드 필름의 단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
  7. 제 6 항에 기재된 백라이트 유닛을 액정표시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24110A 2014-02-19 2015-02-17 도광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단말 KR101729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30081 2014-02-19
JP2014030081 2014-02-19
JPJP-P-2015-025799 2015-02-12
JP2015025799A JP5767419B1 (ja) 2014-02-19 2015-02-12 導光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携帯型端末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201A Division KR20170045182A (ko) 2014-02-19 2017-04-19 도광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225A KR20150098225A (ko) 2015-08-27
KR101729984B1 true KR101729984B1 (ko) 2017-04-26

Family

ID=537979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110A KR101729984B1 (ko) 2014-02-19 2015-02-17 도광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단말
KR1020170050201A KR20170045182A (ko) 2014-02-19 2017-04-19 도광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단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201A KR20170045182A (ko) 2014-02-19 2017-04-19 도광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77171B2 (ko)
JP (1) JP5767419B1 (ko)
KR (2) KR101729984B1 (ko)
CN (1) CN104849795B (ko)
TW (1) TWI5752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7166A (ja) * 2015-04-07 2018-06-28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透明バックライトからの均一な光出力のためのテクスチャ勾配
JP2018522367A (ja) * 2015-05-13 2018-08-09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ホットスポットを減少した導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091982A (ja) * 2015-11-17 2017-05-25 日立化成株式会社 導光体
DE102016206753A1 (de) * 2016-04-21 2017-10-26 Osram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der beleuchtungseinrichtung
JP6899721B2 (ja) * 2016-07-22 2021-07-07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102463204B1 (ko) * 2017-12-18 2022-11-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광 가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8201A (ja) * 2004-02-20 2005-09-29 Omron Corp 面光源装置
JP2006278348A (ja) * 2001-05-22 2006-10-12 Nichia Chem Ind Ltd 面発光装置の導光板
JP2010164914A (ja) * 2009-01-19 2010-07-29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5379B1 (en) * 1999-10-14 2003-09-23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Light-conduct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7478942B2 (en) * 2003-01-23 2009-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guide plate with light reflection pattern
TWI251104B (en) * 2004-06-07 2006-03-11 Nano Prec Corp Back lighting apparatus
WO2006046638A1 (ja) 2004-10-28 2006-05-04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導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TWI362470B (en) 2007-12-06 2012-04-21 Sony Corp Surface emission apparatus, light gui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guide
TW200946998A (en) * 2008-05-09 2009-11-16 Wintek Corp A backlight module and a light guide plate thereof
CN101634726B (zh) * 2008-07-21 2012-06-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导光板及其制造方法,以及采用该导光板的背光模组
JP5437652B2 (ja) * 2009-01-30 2014-03-12 恵和株式会社 導光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100092757A (ko) * 2009-02-13 2010-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도광판의 제조 방법
TWI412840B (zh) * 2010-03-22 2013-10-21 Au Optronics Corp 光源模組
JP5646985B2 (ja) 2010-12-24 2014-12-24 大倉工業株式会社 導光板及び導光板の製造方法
TW201307915A (zh) * 2011-08-03 2013-02-16 Hon Hai Prec Ind Co Ltd 導光板製作裝置及方法
KR102116418B1 (ko) * 2013-09-30 2020-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표시 장치 및 도광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8348A (ja) * 2001-05-22 2006-10-12 Nichia Chem Ind Ltd 面発光装置の導光板
JP2005268201A (ja) * 2004-02-20 2005-09-29 Omron Corp 面光源装置
JP2010164914A (ja) * 2009-01-19 2010-07-29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43089A (zh) 2015-11-16
KR20150098225A (ko) 2015-08-27
US20150234114A1 (en) 2015-08-20
US9977171B2 (en) 2018-05-22
TWI575265B (zh) 2017-03-21
CN104849795A (zh) 2015-08-19
JP5767419B1 (ja) 2015-08-19
JP2015173102A (ja) 2015-10-01
CN104849795B (zh) 2017-11-17
KR20170045182A (ko)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631B1 (ko) 도광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단말
KR101729984B1 (ko) 도광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단말
TWI575267B (zh) A side light type backlight unit and a reflection band member
KR101629469B1 (ko) 라이트 가이드 필름, 초박형 액정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컴퓨터
KR101589087B1 (ko) 라이트 가이드 필름, 초박형 액정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컴퓨터 및 라이트 가이드 필름의 제조 방법
JP6700689B2 (ja) 導光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用導光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629465B1 (ko) 라이트 가이드 필름, 초박형 액정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컴퓨터
TW201712373A (zh) 光學層疊體、背光單元、液晶顯示裝置及光學層疊體的製造方法
JP6516580B2 (ja) ライトガイドフィルム、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携帯型端末
JP2017091892A (ja) 導光シート、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6516581B2 (ja) ライトガイドフィルム、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携帯型端末
JP6599169B2 (ja) 導光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及び導光シートの製造方法
JP6208953B2 (ja) ライトガイドフィルム、超薄型液晶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携帯型コンピュータ
WO2017030102A1 (ja) 導光体、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スティッキング防止シート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用導光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