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169B1 - 관 조인트 - Google Patents

관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169B1
KR101725169B1 KR1020117029555A KR20117029555A KR101725169B1 KR 101725169 B1 KR101725169 B1 KR 101725169B1 KR 1020117029555 A KR1020117029555 A KR 1020117029555A KR 20117029555 A KR20117029555 A KR 20117029555A KR 101725169 B1 KR101725169 B1 KR 101725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joint
stop ring
tub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4748A (ko
Inventor
다마키 하마구치
도모유키 미나미
후미타카 사토
다카아키 이노타니
후미카즈 이시베
사토루 아라키
요이치 우치우미
다쿠지 오키아유
아키히로 핫토리
Original Assignee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산코
도쿄 가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산코, 도쿄 가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4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3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the connection taking place from inside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 F16L19/0653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the ring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one of the connec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16L25/0045Joints for corrugated pipes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8Hose-clips in which a worm coacts with a part of the hose-encircling member that is toothed like a worm-wheel
    • F16L33/085Hose-clips in which a worm coacts with a part of the hose-encircling member that is toothed like a worm-wheel with a scroll-type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8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for hoses with one end terminating in a radial flange or col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F16L37/4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a lift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16L37/41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a lift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the lift valve being of the sleeve type, i.e. a sleeve being telescoped over an inner cylindrical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Abstract

플렉시블 관(flexible pipe)이 삽입되는 가압 너트와, 상기 가압 너트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조인트 본체와, 플렉시블 관의 선단(先端)에서 가압되면 록(lock)이 해제되는 탄성 수단과, 실링(sealing) 부재와, 플렉시블 관에 걸어맞추어지는 리테이너(retainer)와, 조인트 본체에 대하여 가압 너트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걸림 기구를 포함하고, 걸림 기구는 스톱 링(stop ring)과, 스톱 링을 지지하도록 가압 너트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環形) 홈과, 스톱 링을 지지하고, 또한 서로 연통되도록 조인트 본체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걸림 홈으로 이루어지고, 스톱 링은 플렉시블 관의 접속 완료 시까지 환형 홈과 제1 걸림 홈에 걸쳐 걸어맞추어져 있고, 접속 완료 후에 플렉시블 관을 당기면, 스톱 링은 제1 걸림 홈으로부터 제2 걸림 홈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가압 너트가 조인트 본체로부터 인출되고, 플렉시블 관의 정상적인 접속을 확인할 수 있는 관 조인트.

Description

관 조인트{PIPE JOIN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가스 배관 등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관(flexible pipe)을 접속하기 위한 관 조인트(pipe joint)에 관한 것이다.
도시 가스 등의 배관에는 금속 콜게이트 관(corrugated metal pipe), 즉 금속 주름관을 연질(軟質) 염화 비닐 등의 수지로 피복한 플렉시블 관이 사용되고 있고, 플렉시블 관의 접속에는 시공성(施工性)의 관점에서 원터치 접속 가능한 관 조인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관 조인트에는, 플렉시블 관과 관 조인트와의 실링(sealing)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또한 플렉시블 관이 정상적으로 관 조인트와 접속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된다. 또한, 시공 관리자도 플렉시블 관의 접속 확인을 행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공개특허 제2003―56776호는, 플렉시블 관의 콜게이트 관이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 콜게이트 관과의 공동(共動)에 의해 클릭 작용을 이루는 수단(접시 스프링)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관용 조인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클릭 작용은 작업자 밖에 느끼지 않는 일과성(一過性)의 것이며, 시공 후에 시공 관리자가 관 조인트의 외관으로부터 정상적인 시공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는 없다.
일본특허 제3538090호에는, 원통형 안내부 및 구멍부를 가지는 조인트 본체와, 구멍부에 장착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보호 커버와, 조인트 본체에 나사장착하는 너트와, 링을 구비하고,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관을 원통형 안내부에 외측으로부터 결합하고, 너트와 안내부와의 사이에 링을 개재(介在)시켜, 너트의 나사장착에 의해 링이 관의 외면을 압압(押壓)하고, 안내부에 외측으로부터 끼워진 관의 선단(先端)을 구멍부에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관 조인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관 조인트에서는, 좁고 어두운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 또는 시공 관리자가 정상적으로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일본공개특허 제2004―28112호는, 조인트 본체 내에 플렉시블 관과 밀착되는 실링 패킹(sealing packing)과, 실링 패킹의 일단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추거나 및 이탈시킬 수 있는 록킹 링(locking ring)과, 식별핀을 가지고 록킹 링과 걸어맞추어지는 슬라이드 링을 가지는 관 조인트로서, 록킹 링의 테이퍼면이 조인트 본체의 테이퍼면과 맞닿으면 록킹 링이 축경(縮徑)하고, 따라서 록킹 링으로부터 개방된 슬라이드 링의 식별핀이 조인트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관 조인트를 개시하고 있다. 이 관 조인트는, 플렉시블 관의 접속 확인용의 식별핀 도입공을 조인트 본체에 축선 방향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비용이 고가이다. 또한, 패킹이 플렉시블 관에 압압되어 축선 방향으로 길게 늘어지므로, 실링 압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9―8219호는, 조인트 본체 내에 가동편(可動片), 실링 부재, 후육부(厚肉部; thick portion) 및 박육부(薄肉部; thin portion)를 가지는 패킹, 및 패킹의 박육부를 압압하여 축경되는 압축링이 배치된 관 조인트를 개시하고 있다. 플렉시블 관을 조인트 본체 내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하면 가동편이 이탈하므로, 소리 또는 반동(反動)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이 관 조인트는 양호한 실링성을 유지할 수 있지만, 시공 후에 시공 관리자가 관 조인트의 외관으로부터 정상적인 시공을 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는 없다.
일본공개특허 제2003―56776호 일본특허 제3538090호 일본공개특허 제2004―28112호 일본공개특허 제2009―821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에 걸쳐 실링성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시공 후에 시공 관리자가 관 조인트의 외관으로부터 정상적인 시공을 했는지의 여부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관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관 조인트는, 관이 삽입되는 가압 너트와, 상기 가압 너트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조인트 본체와, 상기 관과 상기 조인트 본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와, 상기 관에 걸어맞추어져 상기 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리테이너(retainer)와, 상기 조인트 본체에 대하여 상기 가압 너트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걸림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기구는 스톱 링(stop ring)과, 상기 스톱 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압 너트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環形) 홈과, 상기 스톱 링을 지지하고, 또한 서로 연통(連通)되도록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걸림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톱 링은 상기 관의 접속 완료 시까지 상기 환형 홈과 제1 걸림 홈에 걸쳐 걸어맞추어져 있고,
상기 관의 접속 완료 후에 상기 관에 빼내는 방향의 힘을 가하면, 상기 스톱 링은 상기 제1 걸림 홈으로부터 그보다 입구측의 제2 걸림 홈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상기 관의 정상적인 접속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가압 너트가 상기 조인트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관 조인트는 상기 관의 선단에서 가압되면 록이 해제되어 신장(伸長)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 수단의 신장에 의해 입구 방향으로 가압된 상기 실링 부재가 상기 관과 상기 조인트 본체를 실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관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걸림 홈은 각각 테이퍼형 홈부를 가지고, 양 테이퍼형 홈부는 인접하여 양 측면이 경사진 환형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톱 링은 상기 환형 돌출부를 넘어 상기 제1 걸림 홈과 상기 제2 걸림 홈과의 사이를 양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형 돌출부의 측면의 경사각은, 상기 탄성 수단의 작용에서는 상기 스톱 링이 상기 환형 돌출부를 넘지 않지만, 접속 확인을 위해 상기 플렉시블 관을 인장하는 힘으로는 상기 스톱 링이 상기 환형 돌출부를 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관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가압 너트에 인디케이터(indicator)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관의 접속 완료 시까지 상기 조인트 본체에 은폐되어 있고, 접속 완료 후에 상기 관을 당기면 상기 가압 너트가 상기 조인트 본체로부터 인출되고,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조인트 본체로부터 노출되고, 따라서 상기 관의 정상적인 접속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가압 너트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된 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디케이터 링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착색(着色)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관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링을 상기 가압 너트로부터 빼내고, 상기 가압 너트를 상기 조인트 본체 내에 압입(壓入)하면, 상기 스톱 링은 상기 제1 걸림 홈보다 내측의 제3 걸림 홈에 지지되어 상기 환형 홈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따라서 상기 가압 너트를 상기 조인트 너트로부터 빼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관 조인트는 플렉시블 관의 접속에 바람직하다.
제1 관 조인트의 바람직한 예는, 플렉시블 관이 삽입되는 가압 너트와, 상기 가압 너트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조인트 본체와, 상기 플렉시블 관의 선단에서 가압되면 록이 해제되어 신장되는 탄성 수단과, 상기 탄성 수단의 신장에 의해 입구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플렉시블 관과 상기 조인트 본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와, 상기 실링 부재에 가압되어 상기 가압 너트에 맞닿는 것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관에 걸어맞추어지는 리테이너와, 상기 조인트 본체에 대하여 상기 가압 너트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걸림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기구는 스톱 링과, 상기 스톱 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압 너트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 홈과, 상기 스톱 링을 지지하고, 또한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걸림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톱 링은 상기 플렉시블 관의 접속 완료 시까지 상기 환형 홈과 제1 걸림 홈에 걸쳐 걸어맞추어져 있고,
접속 완료 후에 상기 플렉시블 관을 당기면, 상기 스톱 링은 상기 제1 걸림 홈으로부터 그보다 입구측의 제2 걸림 홈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상기 플렉시블 관의 정상적인 접속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가압 너트가 상기 조인트 본체로부터 인출된다.
제1 관 조인트의 보다 바람직한 예는, 플렉시블 관이 삽입되는 가압 너트와, 상기 가압 너트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조인트 본체와, 상기 플렉시블 관의 선단에서 가압되면 록이 해제되어 신장되는 탄성 수단과, 상기 탄성 수단의 신장에 의해 입구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플렉시블 관과 상기 조인트 본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와, 상기 실링 부재에 가압되어 상기 가압 너트에 맞닿는 것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관에 걸어맞추어지는 리테이너와, 상기 조인트 본체에 대하여 상기 가압 너트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걸림 기구와, 상기 플렉시블 관의 정상적인 접속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가압 너트에 설치된 인디케이터 링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기구는 스톱 링과, 상기 스톱 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압 너트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 홈과, 상기 스톱 링을 지지하고, 또한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면에 입구측으로부터 순차 형성된 제2 걸림 홈, 제1 걸림 홈 및 제3 걸림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걸림 홈은 각각 테이퍼형 홈부를 가지고, 양 테이퍼형 홈부는 인접하여 양 측면이 경사진 환형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톱 링은 상기 플렉시블 관의 접속 완료 시까지 상기 환형 홈과 상기 제1 걸림 홈에 걸쳐 걸어맞추어져 있고,
접속 완료 후에 상기 플렉시블 관을 당기면, 상기 스톱 링은 상기 제1 걸림 홈으로부터 상기 환형 돌출부를 넘어 상기 제2 걸림 홈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상기 가압 너트가 상기 조인트 본체로부터 인출되고,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 링이 상기 조인트 본체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플렉시블 관의 정상적인 접속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인디케이터 링을 상기 가압 너트로부터 빼내고, 상기 가압 너트를 상기 조인트 본체 내에 압입하면, 상기 스톱 링은 상기 제2 걸림 홈으로부터 상기 환형 돌출부 및 상기 제1 걸림 홈을 넘어 상기 제3 걸림 홈에 지지되어 상기 환형 홈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따라서 상기 가압 너트를 상기 조인트 너트로부터 빼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관 조인트는, 관이 삽입되는 가압 너트와, 상기 가압 너트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조인트 본체와, 상기 관과 상기 조인트 본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와, 상기 관에 걸어맞추어져 상기 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리테이너와, 상기 조인트 본체에 대하여 상기 가압 너트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걸림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기구는 스톱 링과, 상기 스톱 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압 너트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 홈과, 상기 스톱 링을 지지하고, 또한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걸림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톱 링은 상기 관의 접속 완료 시까지 상기 환형 홈과 제1 걸림 홈에 걸쳐 걸어맞추어져 있고,
상기 관이 상기 관 조인트와 접속되면, 상기 스톱 링은 상기 제1 걸림 홈으로부터 그보다 입구측의 제2 걸림 홈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상기 환형 홈과 상기 제2 걸림 홈에 걸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관 조인트는 상기 관의 선단에서 가압되면 록이 해제되어 신장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 수단의 신장에 의해 입구 방향으로 가압된 상기 실링 부재가 상기 관과 상기 조인트 본체를 실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관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걸림 홈은 각각 테이퍼형 홈부를 가지고, 양 테이퍼형 홈부는 인접하여 양 측면이 경사진 환형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톱 링은 상기 환형 돌출부를 넘어 상기 제1 걸림 홈과 상기 제2 걸림 홈과의 사이를 양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형 돌출부의 측면의 경사각은, 상기 탄성 수단의 작용으로 상기 스톱 링이 상기 환형 돌출부를 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관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가압 너트에 인디케이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관의 접속 전에는 상기 조인트 본체에 은폐되어 있지만, 상기 관이 관 조인트와 접속되면 상기 조인트 본체로부터 노출되고, 따라서 상기 관의 정상적인 접속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착색층 또는 착색 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디케이터 링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착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관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링을 상기 가압 너트로부터 빼내고, 상기 가압 너트를 상기 조인트 본체 내에 압입하면, 상기 스톱 링은 상기 제1 걸림 홈보다 내측의 제3 걸림 홈에 지지되어 상기 환형 홈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따라서 상기 가압 너트를 상기 조인트 너트로부터 빼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관 조인트는 플렉시블 관의 접속에 바람직하다.
제2 관 조인트의 바람직한 예는, 플렉시블 관이 삽입되는 가압 너트와, 상기 가압 너트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조인트 본체와, 상기 플렉시블 관의 선단에서 가압되면 록이 해제되어 신장되는 탄성 수단과, 상기 탄성 수단의 신장에 의해 입구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플렉시블 관과 상기 조인트 본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와, 상기 실링 부재에 가압되어 상기 가압 너트에 맞닿는 것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관에 걸어맞추어지는 리테이너와, 상기 조인트 본체에 대하여 상기 가압 너트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걸림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기구는 스톱 링과, 상기 스톱 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압 너트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 홈과, 상기 스톱 링을 지지하고, 또한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걸림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톱 링은 상기 탄성 수단이 상기 플렉시블 관의 선단에서 가압되어 신장되기 전까지 상기 환형 홈과 제1 걸림 홈에 걸쳐 걸어맞추어져 있고,
상기 탄성 수단의 신장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관이 관 조인트와 접속되면, 상기 스톱 링은 상기 제1 걸림 홈으로부터 그보다 입구측의 제2 걸림 홈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상기 환형 홈과 상기 제2 걸림 홈에 걸쳐 유지된다.
제2 관 조인트의 보다 바람직한 예는, 플렉시블 관이 삽입되는 가압 너트와, 상기 가압 너트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조인트 본체와, 상기 플렉시블 관의 선단에서 가압되면 록이 해제되어 신장되는 탄성 수단과, 상기 탄성 수단의 신장에 의해 입구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플렉시블 관과 상기 조인트 본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와, 상기 실링 부재에 가압되어 상기 가압 너트에 맞닿는 것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관에 걸어맞추어지는 리테이너와, 상기 조인트 본체에 대하여 상기 가압 너트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걸림 기구와, 상기 플렉시블 관의 정상적인 접속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가압 너트에 설치된 인디케이터 링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기구는 스톱 링과, 상기 스톱 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압 너트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 홈과, 상기 스톱 링을 지지하고, 또한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면에 입구측으로부터 순차 형성된 제2 걸림 홈, 제1 걸림 홈 및 제3 걸림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걸림 홈은 각각 테이퍼형 홈부를 가지고, 양 테이퍼형 홈부는 인접하여 양 측면이 경사진 환형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톱 링은 상기 플렉시블 관의 접속 전까지 상기 환형 홈과 상기 제1 걸림 홈에 걸쳐 걸어맞추어져 있고,
상기 탄성 수단의 신장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관이 관 조인트와 접속되면, 상기 스톱 링은 상기 제1 걸림 홈으로부터 상기 환형 돌출부를 넘어 상기 제2 걸림 홈으로 이동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링은 상기 플렉시블 관의 정상적인 접속을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조인트 본체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인디케이터 링을 상기 가압 너트로부터 빼내고, 상기 가압 너트를 상기 조인트 본체 내에 압입하면, 상기 스톱 링은 상기 제2 걸림 홈으로부터 상기 환형 돌출부 및 상기 제1 걸림 홈을 넘어 상기 제3 걸림 홈에 지지되어 상기 환형 홈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따라서 상기 가압 너트를 상기 조인트 너트로부터 빼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 조인트는, 스톱 링과, 상기 스톱 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압 너트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 홈과, 상기 스톱 링을 지지하고, 또한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걸림 홈으로 이루어지는 걸림 기구를 가지고, 상기 스톱 링은 상기 관의 접속 완료 시까지 상기 환형 홈과 제1 걸림 홈에 걸쳐 걸어맞추어져 있고, 접속 완료 후에 상기 관을 당기면, 상기 스톱 링은 상기 제1 걸림 홈으로부터 그보다 입구측의 제2 걸림 홈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상기 가압 너트가 상기 조인트 본체로부터 인출되므로, 관의 접속 작업과 관의 정상적인 접속의 확인 작업을 2단(段)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 후에 시공 관리자는 관 조인트의 외관으로부터 정상적인 시공을 했는지의 여부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시공 현장이 좁고 어두운 경우라도, 시공 관리자의 접속 확인 작업은 간단하고 확실하다. 또한, 접속 확인 작업을 행하지 않으면 인디케이터 링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접속 확인 작업을 행하는 것을 잊어버리게 되는 경우가 없다.
본 발명의 제2 관 조인트는, 스톱 링과, 상기 스톱 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압 너트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 홈과, 상기 스톱 링을 지지하고, 또한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걸림 홈으로 이루어지는 걸림 기구를 가지고, 상기 스톱 링은 상기 탄성 수단이 상기 관의 선단에서 가압되어 신장되기 전까지 상기 환형 홈과 제1 걸림 홈에 걸쳐 걸어맞추어져 있고, 상기 탄성 수단의 신장에 의해 상기 관이 관 조인트와 접속되면, 상기 스톱 링은 상기 제1 걸림 홈으로부터 그보다 입구측의 제2 걸림 홈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상기 환형 홈과 상기 제2 걸림 홈에 걸쳐 유지되므로, 관의 접속 작업과 관의 정상적인 접속의 확인 작업을 1단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 관리자의 접속 확인 작업은 간단하며, 시공 후에도 시공 관리자는 관 조인트의 외관으로부터 정상적인 시공을 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링을 상기 가압 너트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면, 인디케이터 링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것만으로 관의 정상적인 접속의 확인 작업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 링에 분해용 링의 기능을 부여하면, 인디케이터 링을 떼어내어 상기 가압 너트를 상기 조인트 본체에 압입하는 것만으로, 관 조인트의 분해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관 조인트로부터 꺼낼 수 있어, 그대로 재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의한 관 조인트를 나타낸 부분 단면(斷面) 측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의한 관 조인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제1 실시예에 의한 관 조인트를 나타낸 분해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낸 가이드 부재의 각각의 원호판부(圓弧板部)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a는 제1 실시예에 의한 관 조인트가 가지는 가압 너트를 나타낸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4b는 제1 실시예에 의한 관 조인트가 가지는 제3 실링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b의 제3 실링 부재가 가압 너트의 내주 환형 홈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 너트를 조인트 본체에 삽입하기 시작했을 때의 스톱 링과 걸림 홈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b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 너트를 조인트 본체에 삽입하는 도중에서의 스톱 링과 걸림 홈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c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 너트를 리테이너에 맞닿기까지 조인트 본체에 삽입했을 때의 스톱 링과 걸림 홈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d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플렉시블 관의 접속 확인 공정 후에서의 스톱 링과 걸림 홈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e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관 조인트를 분해할 때의 스톱 링과 걸림 홈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의 제1 ~제3 걸림 홈과 가압 너트의 외주 환형 홈의 형상 및 치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플렉시블 관을 슬라이드 부재에 맞닿기까지 삽입한 상태의 관 조인트를 나타낸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플렉시블 관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의 관 조인트를 나타낸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플렉시블 관의 관 조인트에 대한 접속을 확인하기 위해 플렉시블 관을 인장(引張)시킨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관 조인트의 분해 작업의 준비가 갖추어진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의한 관 조인트를 나타낸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의한 관 조인트가 가지는 조인트 본체를 나타낸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수단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a는 제2 실시예에 사용하는 인디케이터 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b는 제2 실시예에 사용하는 인디케이터 링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플렉시블 관을 슬라이드 부재에 맞닿기까지 삽입한 상태의 관 조인트를 나타낸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플렉시블 관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의 관 조인트를 나타낸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17a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 너트를 조인트 본체에 삽입하기 시작했을 때의 스톱 링과 걸림 홈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b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 너트를 조인트 본체에 삽입하는 도중에서의 스톱 링과 걸림 홈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c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 너트를 리테이너에 맞닿기까지 조인트 본체에 삽입했을 때의 스톱 링과 걸림 홈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d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플렉시블 관의 접속 후에서의 스톱 링과 걸림 홈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e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관 조인트를 분해할 때의 스톱 링과 걸림 홈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의 제1~제3 걸림 홈과 가압 너트의 외주 환형 홈의 형상 및 치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관 조인트의 분해 작업의 준비가 갖추어진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분해한 상태의 관 조인트를 나타낸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21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 플렉시블 관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의 관 조인트를 나타낸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22a는 제3 실시예에 사용하는 분해용 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2b는 제3 실시예에 사용하는 분해용 링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3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 관 조인트의 분해 작업의 준비가 갖추어진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각각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같은 부품 및 부위에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1] 제1 실시예의 관 조인트
이 관 조인트는, 플렉시블 관의 접속 공정과 플렉시블 관의 접속이 정상인 것의 확인 공정을 2회의 액션으로 행하는 구조를 가진다. 접속 공정과 접속 확인 공정을 나눔으로써, 시공 현장이 좁고 어두운 경우라도, 작업자가 플렉시블 관의 접속과 그 확인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을뿐아니라, 시공 후에 시공 관리자는 관 조인트의 외관으로부터 정상적인 시공을 했는지의 여부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접속 공정과 접속 확인 공정을 2회의 액션으로 행하므로, 접속 확인을 잊어버리게 되는 경우가 없다.
(1) 구조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관 조인트(1)는, 일단측으로부터 플렉시블 관(예를 들면, 수지 피복한 금속 콜게이트 관)이 삽입되는 내공(內孔)(21)을 가지고, 타단측에 수나사부(22)가 형성된 조인트 본체(2)와, 조인트 본체(2)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가압 너트(3)와, 조인트 본체(2)의 내부에 장착되는 탄성 수단(4)과, 제1 실링 부재(5)와, 리테이너(6)와, 스톱 링(7)과, 제2 실링 부재(8)와, 제3 실링 부재(9)와, 인디케이터 링(10)을 가진다.
(a) 조인트 본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2)의 내공(21)은, 수나사부(22) 측으로부터 순차, 수나사부(22)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탄성 수단(4) 및 실링 부재(5)를 슬라이드하여 지지하는 제1 내경부(21a)와, 제1 내경부(21a)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리테이너(6) 및 가압 너트(3)를 슬라이드하여 지지하는 제2 내경부(21b)로 이루어지고, 제1 내경부(21a)의 내측 단부에는 내측 환형 돌기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제2 내경부(21b)의 입구측 단부에는 환형 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내경부(21b)에는, 스톱 링(7)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제3 걸림 홈(171, 172, 173)이 형성되어 있다.
(b) 가압 너트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너트(3)는, 리테이너(6)에 맞닿는 테이퍼면(31a)을 가지는 선단부(31)와, 스톱 링(7)이 진입하는 외주(外周) 환형 홈(32)과, 원환형의 제2 실링 부재(8)를 지지하는 외주 환형 홈(33)과, 조인트 본체(3)의 입구단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인디케이터 링(10)을 지지하는 환형 홈(34)과, 원환형의 제3 실링 부재(9)를 지지하는 내주(內周) 환형 홈(35)과, 조인트 본체(2)의 입구단 부근에 형성된 외기(外氣)와의 연통공(예를 들면, 원형 구멍)(36)과, 내주 환형 홈(35)을 덮는 입구단의 내측 플랜지부(flange portion)(37)를 가진다. 내측 플랜지부(37)의 내단부는, 내측[내주 환형 홈(35) 측]으로 굴곡된 벤트부(bent portion)(37a)로 되어 있다. 또한, 연통공(36)에 선택 투과성 부재(12)가 장착된다. 접속 전 또는 접속 작업 중에 잘못하여 슬라이드 되지 않도록, 가압 너트(3)는 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없게 매끄러운 외주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c) 탄성 수단
조인트 본체(2)와 가압 너트(3)와의 사이에 장착되는 탄성 수단(4)은, 플렉시블 관(100)의 장착 전에는 조인트 본체(2) 내에 걸려져 있지만, 플렉시블 관(100)을 조인트 본체(2)의 안쪽까지 삽입했을 때 록(걸림 상태)이 해제되어, 제1 실링 부재(5)를 플렉시블 관(100)의 삽입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압압하고, 따라서 리테이너(6)를 가압 너트(2)의 선단 테이퍼면(31a)에 접촉시키는 수단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수단(4)은, 압축 코일 스프링(41)(도 1은 압축된 상태를 나타냄)과, L자형 단면을 가지는 대략 원통형의 가이드 부재(42)와, 가이드 부재(42)의 내측에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략 원통형의 슬라이드 부재(43)로 이루어진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 부재(42)는, 중공(中空) 원판형 지지부(421)와, 중공 원판형 지지부(421)의 원주 방향에 따른 위치로부터 축선 방향이면서 또한 약간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원호판부(422)를 가지고, 원호판부(422)는 선단에 경사 외측으로 절곡 부분(절곡부)(422a)을 가진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원호판부(422)의 절곡부(422a)의 외면에는 미소한 돌기(423)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43)는 원통부(431)와, 원통부(431)의 단부에 설치된 두꺼운 플랜지부(432)를 가진다. 플랜지부(432)의 외주면에는, 원호판부(422)의 절곡부(422a)의 외면에 형성된 미소한 돌기(423)가 끼워지는 환형 오목부(432a)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43)는, 슬라이드를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 고성능 플라스틱과 같이 저비중, 고강도 및 저마찰 계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관(100)을 조인트 본체(2)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41)은 가이드 부재(42)의 중공 원판형 지지부(421)와 조인트 본체(2)의 내측 환형 돌기부(23)와의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협지되어 가이드 부재(42)의 원호판부(422)의 선단 절곡부(422a)는 내측 환형 돌기부(23)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가이드 부재(42)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부재(43)가 배치되고, 가이드 부재(42)의 원호판부(422)는 조인트 본체(2)의 내측 환형 돌기부(23)와 슬라이드 부재(43)의 플랜지부(432)에 의해 협지된다. 내측 환형 돌기부(23)와 플랜지부(432)에 의한 가이드 부재(42)의 원호판부(422)의 협지력이 압축 코일 스프링(41)의 탄성력보다 커지도록, 내측 환형 돌기부(23)의 내경, 플랜지부(432)의 외경 및 원호판부(422)의 두께를 결정한다.
(d) 제1 실링 부재
금속 콜게이트 관(101)의 선단부를 실링하는 제1 실링 부재(5)는, 예를 들면, 고무제의 기밀 패킹(51)과, 패킹(51)에 고착된 단면 L자형의 금속제 가이드(52)와, 가이드(52)에 착석(着席)하는 내화(耐火) 패킹(53)으로 이루어진다. 기밀 패킹(51)은, 조인트 본체(2)의 제1 내경부(21a)에 밀착되도록 제1 내경부(21a)의 내경보다 약간 큰 외경을 가지는 동시에, 금속 콜게이트 관(101)의 외경[산부(山部)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내경을 가진다. 기밀 패킹(51)은 또한 금속 콜게이트 관(101)의 수 산분(山分)(예를 들면, 2산분)을 실링하는 길이를 가지고, 금속 콜게이트 관(101)의 외주측을 기밀하게 실링할 수 있다. 패킹(51)은, 장기간에 걸쳐서 실링 성능을 유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내(耐)가스 투과성이 우수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 조인트(1)가 화재 등으로 고온에 노출되어 고무제 기밀 패킹(51)이 소실(燒失)되어도, 내화 패킹(53)은 열팽창되어 조인트 본체(2)와 금속 콜게이트 관(101)과의 간극(間隙)을 충전시키므로, 가스 누출을 방지한다. 또한, 패킹(51)이 소실되면, 탄성 수단(4)이 신장되어 가이드 부재(42)에 맞닿으므로, 열팽창된 내화 패킹(53)은 이동이 제한되어, 조인트 본체(2)의 내면과 금속 콜게이트 관(101)의 외주면을 실링한다.
내화 패킹(53)은 예를 들면, 천연 고무(NR),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클로로프렌 고무(C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실리콘 고무(SR) 등의 고무와, 무발포(無發泡) 상태로 열팽창하는 흑연 층간 화합물과, 가류제(加硫劑)와, 필요에 따라 충전재, 연화재(軟化材) 등의 혼련물(混練物)을 가류함으로써 제조된다. 흑연 층간 화합물은 예를 들면, 흑연을 황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얻어진다. 흑연 층간 화합물은 170℃ 이상으로 가열되면 무발포 상태로 수배~수십 배로 팽창하고, 800~1000 ℃로 가열하면 외관의 체적은 100~250 배로 증가한다. 그리고, 내화 패킹(53)의 체적 및 흑연 층간 화합물의 배합량은, 내화 패킹(53)의 팽창량 및 팽창 후의 가스 투과성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링성의 점에서, 내화 패킹(53)은 50~80의 쇼어(shore) A 경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e) 리테이너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예를 들면, 고성능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리테이너(6)는, 원통형 기부(基部)(61)와, 원통형 기부(61)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等間隔)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세그먼트(62)와, 각 세그먼트(62)의 선단에 설치된 금속(예를 들면, 황동)제의 클릭부(63)를 가진다. 각 세그먼트(62)의 외면은 가압 너트(3)의 선단 테이퍼면(31a)에 맞닿는 테이퍼면(62a)으로 되어 있다. 리테이너(6)의 원통형 기부(61) 및 세그먼트(62)의 내경은 금속 콜게이트 관(101)의 산부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무부하 상태에서는 플렉시블 관(100)을 삽입할 때는 걸리지 않는다. 그러나, 세그먼트(62) 사이에 슬릿이 있으므로, 후술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세그먼트(62)의 테이퍼면(62a)이 가압 너트(3)의 선단 테이퍼면(31a)에 가압되면, 세그먼트(62)는 내측으로 휘어진다. 그 결과, 세그먼트(62)의 선단에 설치된 클릭부(63)는 금속 콜게이트 관(101)의 골부(谷部)에 걸어맞추어진다.
(f) 스톱 링
스톱 링(7)은 탄성 변형 가능한 C자형 부재이며, 시공 작업 단계에 따라 조인트 본체(2)에 설치된 제1 ~제3 걸림 홈(171, 172, 173) 중 어느 하나에 걸어맞추어지고, 가압 너트(3)를 조인트 본체(2)의 복수 개의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유지한다(록한다). 이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하기 위해, 스톱 링(7)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탄성 금속의 선재(線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g) 제2 실링 부재
가압 너트(3)의 외주 환형 홈(33)에 지지된 제2 실링 부재(8)는 조인트 본체(2)에 밀착되고, 가압 너트(3)와 조인트 본체(2)를 실링하고, 외부로부터의 빗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제2 실링 부재(8)는,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등의 올레핀계 고무로 이루어지는 O링이 바람직하다.
(h) 제3 실링 부재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너트(3)의 내주 환형 홈(35)에 지지되는 제3 실링 부재(9)는 대략 L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내주 환형 홈(35)에 끼워 넣어지는 환형 본체부(9a)와, 환형 본체부(9a)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립(lip)(9b)을 가지는 립 패킹(lip packin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면 L자형의 립 패킹은, 후술하는 제2 관 조인트에 사용하는 단면 T자형의 립 패킹보다 축선 방향으로 짧으므로, 관 조인트의 컴팩트화에 효과적이다. 립 패킹은, 예를 들면, EPDM 등의 올레핀계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형 본체부(9a)는 내측 립(9b)보다 외측[내측 플랜지부(37) 측]으로 연장된 스텝부(9c)를 가진다.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링 부재(9)의 스텝부(9c)는 내측 플랜지부(37)의 벤트부(37a)에 걸린다. 가압 너트(3)에 플렉시블 관(100)을 삽입하면, 내측 립(9b)은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굴곡되고, 원하는 실링 면압(面壓)으로 플렉시블 관(100)을 압압한다. 그 결과, 가압 너트(3)와 플렉시블 관(100)은 실링되어, 외부로부터 빗물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플렉시블 관(100)의 삽입에 의해 제3 실링 부재(9)에 내측 방향의 응력이 걸리지만, 제3 실링 부재(9)의 스텝부(9c)와 벤트부(37a)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제3 실링 부재(9)가 내주 환형 홈(3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i) 인디케이터 링
플렉시블 관(100)의 관 조인트(1)에 대한 접속 완료를 확인하고, 플렉시블 관(100)이 삽입된 관 조인트(1)의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디케이터 링(10)이 가압 너트(3)의 외주 환형 홈(3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인디케이터 링(10)은 금속제의 C자형 링이며, 무부하 상태에서는 외주 환형 홈(34)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다. 가압 너트(3)를 조인트 본체(2)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인디케이터 링(10)은 조인트 본체(2)의 입구단의 환형 홈(24)에 덮혀 있고,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플렉시블 관(100)의 관 조인트(1)에 대한 접속 완료를 확인하기 위해, 가압 너트(3)를 당기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톱 링(7)이 제2 걸림 홈(172)에 들어가는 동시에, 인디케이터 링(10)은 조인트 본체(2)의 환형 홈(24)으로부터 노출된다. 플렉시블 관(100)의 관 조인트(1)에 대한 완전한 접합을 육안 관찰에 의해 확인 가능하도록, 인디케이터 링(10)을 조인트 본체(2) 및 가압 너트(3)와 다른 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j) 선택 투과성 부재
배관 시공 시에 콜게이트 관(101)에 잘못하여 못이 박혔을 때 등에 일어나는 가스 누출을 검출하기 위해, 가압 너트(3)의 연통공(36)에 선택 투과성 부재(12)가 설치되어 있다. 누출된 가스는 콜게이트 관(101)과 수지 피복(102)과의 간극에 들어가므로, 선택 투과성 부재(12)를 통하여 외부로 인도하고, 가스 센서 등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 선택 투과성 부재(12)는, 가스 투과성을 가지지만 배관 시공 후 장기간 수분, 진개(塵芥)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다공질 부재이다. 이와 같은 다공질 부재는,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등의 폴리머의 다공질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k) 걸림 기구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기구(11)는, 조인트 본체(2)의 내면에 설치된 서로 연통되는 제1 ~제3 걸림 홈(171, 172, 173)으로 이루어지는 걸림 홈 집합체(17)와, 가압 너트(3)에 형성된 외주 환형 홈(32)으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걸림 홈(171)은, 환형 홈부(171a)(축선 방향 길이: La1)와, 환형 홈부(171a)의 내면으로부터 입구측(도 6에서 좌측)을 향해 축경되는 테이퍼면을 가지는 테이퍼형 홈부(171b)(축선 방향 길이: Lb1, 테이퍼 각: α1)로 이루어진다. 제1 걸림 홈(171)의 테이퍼형 홈부(171b)와 연통되는 제2 걸림 홈(172)은, 입구측을 향해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면을 가지는 테이퍼형 홈부(172b)(길이: Lb2, 테이퍼 각: α2)와, 테이퍼형 홈부(172b)에 이어지는 내면을 가지는 환형 홈부(172a)(축선 방향 길이: La2)로 이루어진다. 제1 걸림 홈(171)의 테이퍼형 홈부(171b)와 제2 걸림 홈(172)의 테이퍼형 홈부(172b)에 의해 산형의 내측 환형 돌출부(174)(길이 Lb)가 형성된다. 제3 걸림 홈(173)(축선 방향 길이: L3)은 제1 걸림 홈(171)의 환형 홈부(171a)와 연통된다.
플렉시블 관(100)의 삽입 조작에 의해, 스톱 링(7)이 제1 걸림 홈(171)으로부터 제2 걸림 홈(172)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걸림 홈(171)과 제2 걸림 홈(172)의 합계 길이 L1은 스톱 링(7)의 직경 D의 2배 초과이다.
제1 및 제2 걸림 홈(171, 172)은 산형의 내측 환형 돌출부(174)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으므로, 스톱 링(7)을 내측 환형 돌출부(174)의 내경보다 작게 축경되는 힘을 가압 너트(3)에 가세하면, 스톱 링(7)을 제1 걸림 홈(171)으로부터 제2 걸림 홈(172)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2 걸림 홈(172)으로부터 제1 걸림 홈(171)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스톱 링의 축경력(縮徑力) 미만의 힘이면, 내측 환형 돌출부(174)는, 제1 걸림 홈(171)에 수용되어 있는 스톱 링(7)이 제2 걸림 홈(172)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에서는, 테이퍼 각 α1과 α2는 같지만, 상이해도 된다. 테이퍼 각 α1, α2가 너무 크면 스톱 링(7)의 이동이 곤란하고, 너무 작으면 스톱 링(7)을 제1 또는 제2 걸림 홈(171, 172)에 유지하기 어렵다.
제1 실시예에서는, (a) 플렉시블 관(100)의 접속 공정에서는 스톱 링(7)이 제1 걸림 홈(171)에 유지된 채이며, (b) 플렉시블 관(100)의 접속 확인 공정에서 시작하여 스톱 링(7)이 제1 걸림 홈(171)으로부터 내측 환형 돌출부(174)를 넘어 제2 걸림 홈(172)으로 이동하도록, 내측 환형 돌출부(174)의 측면의 경사각(테이퍼 각) α1, α2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환언하면, (a) 탄성 수단(4)의 작용[압축 코일 스프링(41)의 복원력]에서는 스톱 링(7)이 내측 환형 돌출부(174)를 넘지 않지만, (b) 접속 확인을 위해 플렉시블 관(100)을 인장력으로는 스톱 링(7)이 내측 환형 돌출부(174)를 넘도록, 각 테이퍼 각 α1, α2를 비교적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작업 (a) 및 (b)를 평균적인 작업자가 행한 경우에 양호한 반응감(클릭감)을 얻을 수 있도록, 각 테이퍼 각 α1, α2를 예를 들면 40~50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압축 코일 스프링(41)의 복원력에 따라 각 테이퍼 각 α1, α2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제1 걸림 홈(171)의 깊이 D171은 스톱 링(7)의 직경 D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직경 D의 대략 절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걸림 홈(171)의 길이 La1+Lb1은 스톱 링(7)의 직경 D와 같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걸림 홈(172)의 깊이 D172는 스톱 링(7)의 직경 D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직경 D의 0.6~0.7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걸림 홈(172)의 길이 La2+Lb2는 스톱 링의 직경 D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3~1.4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테이퍼 각을 α1=α2= 45°로 한 경우, 스톱 링(7)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또한 제1 및 제2 걸림 홈(171, 172)의 각각에 스톱 링(7)을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2 걸림 홈(172)의 길이 La2+Lb2는, 제1 걸림 홈(171)의 길이 La1+Lb1의 1.2~1.6 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걸림 홈(173)의 깊이 D173은 스톱 링(7)의 직경 D보다 크게, 구체적으로는 1.1~1.2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걸림 홈(173)의 길이 L3도 스톱 링(7)의 직경 D보다 크게, 구체적으로는 1.1~1.2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 너트(3)에 형성된 외주 환형 홈(32)은 스톱 링(7)의 직경 D를 넘는 깊이 D32(구체적으로는 1.1~1.2 배)를 가지는 동시에, 스톱 링(7)의 직경 D보다 약간 큰 길이 L32(구체적으로는 1.05~1.1 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접속 작업
(a) 관 조인트의 조립
배관 현장에서 곧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형태로 관 조인트를 조립하기 위해, 먼저 지그(jig)를 사용하여 압축 코일 스프링(41), 가이드 부재(42) 및 슬라이드 부재(43)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2) 내에 세팅하고, 이어서, 금속제 가이드(52)가 고착된 기밀 패킹(51) 및 내화 패킹(53)으로 이루어지는 제1 실링 부재(5), 및 리테이너(6)를 조인트 본체(2) 내에 삽입하고, 마지막으로 제2 실링 부재(8), 제3 실링 부재(9) 및 인디케이터 링(10)을 장착한 가압 너트(3)를 조인트 본체(2) 내에 삽입한다. 이 때,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톱 링(7)을 먼저 가압 너트(3)의 외주 환형 홈(32)에 넣는다. 외주 환형 홈(32)은 스톱 링(7)의 직경 D보다 깊기 때문에, 스톱 링(7)은 외주 환형 홈(32)에 완전히 수용되고, 가압 너트(3)는 조인트 본체(2) 내를 저항없이 슬라이드할 수 있다. 가압 너트(3)의 진입 도중에 외주 환형 홈(32)은 제2 걸림 홈(172)과 정합(整合)하고, 스톱 링(7)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걸림 홈(172) 내에 진입하지만, 또한 가압 너트(3)를 슬라이드시키면 스톱 링(7)은 산형의 내측 환형 돌출부(174)를 넘어,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걸림 홈(171)에 진입한다. 제1 걸림 홈(171)의 깊이 D171은 스톱 링(7)의 직경 D보다 작으므로, 스톱 링(7)은 제1 걸림 홈(171)과 외주 환형 홈(32)에 걸쳐진다. 이 상태에서 가압 너트(3)의 선단은 리테이너(6)에 맞닿아 있고, 관 조인트(1)는 사용 가능한 상태에 있다.
(b) 플렉시블 관의 삽입 동작
수 산분의 길이의 피복 수지(102)를 선단부로부터 제거한 플렉시블 관(100)을 관 조인트(1)에 삽입하면, 금속 콜게이트 관(101)의 선단은 슬라이드 부재(43)의 원통부(431)에 맞닿는다. 여기서 가압 너트(3)를 조인트 본체(2) 내에 압입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43)의 플랜지부(432)는 조인트 본체(2)의 내측 환형 돌기부(23)로부터 어긋나고, 가이드 부재(42)의 원호판부(422)는 내측 환형 돌기부(23)와 슬라이드 부재(43)의 플랜지부(432)와의 협지로부터 개방된다. 그러므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 부재(42)는 제1 실링 부재(5)의 패킹(51)을 누른다. 제1 실링 부재(5)에 가압된 리테이너(6)는 도 8의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가압 너트(3)의 선단 테이퍼면(31a)에 가압된다. 리테이너(6)의 세그먼트(62)의 테이퍼면(62a)이 가압 너트(3)의 테이퍼면(31a)과 맞닿으면, 세그먼트(62)는 내측으로 변형되고, 세그먼트(62)의 테이퍼면(62a)이 가압 너트(3)의 테이퍼면(31a)에 밀착되고, 또한 세그먼트(62)의 클릭부(63)가 금속 콜게이트 관(101)의 골부에 걸어맞추어진다. 그 결과, 플렉시블 관(100)은 관 조인트(1)로부터 탈착(脫着)하지 않게 된다. 플렉시블 관(100)의 이 삽입 동작 시, 압축 코일 스프링(41)이 순간적으로 뻗어 금속제 가이드 부재(42)를 누르므로, 찰칵하는 클릭음이 난다. 이 클릭음에 의해, 플렉시블 관(100)이 관 조인트(1)에 정상적으로 접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41)이 개방되면, 그 복원력에 의한 축선 방향의 압축에 의해 패킹(51)은 반경 방향으로 팽창하므로, 조인트 본체(2)와 플렉시블 관(100)과의 실링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콜게이트 관(101)에 다소의 변형(예를 들면, 편평화 또는 휘어짐)이 있어도 플렉시블 관(100)을 조인트 본체(2)에 기밀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실링 부재(8)에 의해 조인트 본체(2)와 가압 너트(3)와의 실링성이 확보되고, 플렉시블 관(1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실링 부재(9)에 의해 플렉시블 관(100)과 가압 너트(3)와의 실링성이 확보되어, 외부로부터의 빗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c) 플렉시블 관의 접속 확인
도 8에 나타낸 상태에서, 플렉시블 관(100)은 관 조인트(1)에 정상적으로 접합되어 있지만, 그것을 확인하고, 시공 관리자가 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플렉시블 관(100)을 관 조인트(1)로부터 잡아당긴다. 플렉시블 관(100)은 고무제 기밀 패킹(51) 및 리테이너(6)의 클릭부(63)에 의해 가압 너트(3)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압 너트(3)는 플렉시블 관(100)과 일체로 되어 조인트 본체(2)로부터 약간 빠지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링(10)이 조인트 본체(2)의 환형 홈(24)으로부터 나타난다.
이 때,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톱 링(7)은 제1 걸림 홈(171)으로부터 내측 환형 돌출부(174)를 넘어 제2 걸림 홈(172)으로 이동하여, 제2 걸림 홈(172)과 외주 환형 홈(32)에 걸쳐지는 위치에 유지된다. 가압 너트(3)가 빠지는 길이는 La2+Lb2이다. 이 위치로부터 다시 가압 너트(3)를 빼내려고 해도, 외주 환형 홈(32)에 가압되는 스톱 링(7)이 제2 걸림 홈(172)의 입구측의 수직인 내벽에 닿으므로, 가압 너트(3)가 슬라이드하지 않는다. 한편, 가압 너트(3)를 조인트 본체(2) 내에 밀어넣으려고 해도, 압축 코일 스프링(41)의 탄발력에 의해 용이하게는 슬라이드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가압 너트(3)와 조인트 본체(2)와의 상대 이동이 저지되므로, 플렉시블 관(100)에 인발력(引拔力)이 작용해도, 플렉시블 관(100)이 관 조인트(1)로부터 빠지지 않아, 플렉시블 관(100)의 삽입[관 조인트(1)와의 접속]이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2)로부터 나타난 인디케이터 링(10)에 의해, 시공 현장이 좁고 또한 어두운 곳이라도 시공 관리자는 촉진(觸診)에 의해 플렉시블 관의 접속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 링(10) 중 적어도 외주면을 조인트 본체(2) 및 가압 너트(3)와 다른 색으로 착색해 두면, 육안 관찰에 의해서도 플렉시블 관의 접속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관(100)의 압입 후에 플렉시블 관(100)을 잡아당기는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플렉시블 관(100)의 관 조인트(1)에 대한 접속 완료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을뿐아니라, 접속 작업이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의 여부의 불안감을 완전히 제할 수 있다.
(d) 관 조인트의 분해 작업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너트(3)로부터 인디케이터 링(10)을 빼내고, 가압 너트(3)를 조인트 본체(2) 내에 압입하면, 도 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톱 링(7)은, 제2 걸림 홈(172)으로부터 내측 환형 돌출부(174) 및 제1 걸림 홈(171)을 넘어 제3 걸림 홈(173)으로 이동한다. 제3 걸림 홈(173)은 스톱 링(7)의 직경 D보다 깊기 때문에, 스톱 링(7)은 제3 걸림 홈(173) 내에 완전히 들어가, 조인트 본체(2)와 가압 너트(3)와의 접속이 해제되고, 가압 너트(3)는 조인트 본체(2)로부터 빼낼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2)로부터 탄성 수단(4)[압축 코일 스프링(41), 가이드 부재(42) 및 슬라이드 부재(43)]과, 실링 부재(5), 리테이너(6) 및 가압 너트(3)가 장착된 플렉시블 관(100)을 꺼낼 수 있고, 또한 플렉시블 관(100)으로부터 실링 부재(5), 리테이너(6) 및 가압 너트(3)를 꺼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분해 작업에 의해, 플렉시블 관(100)을 전혀 손상시키지 않고 꺼낼 수 있으므로,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다.
[2] 제2 실시예의 관 조인트
이 관 조인트는, 플렉시블 관의 접속 공정과 플렉시블 관의 접속이 정상인 것의 확인 공정을 1회의 액션으로 행하는 구조를 가진다. 접속 공정과 접속 확인 공정을 동시에 행하므로, 시공 현장이 좁고 어두운 경우라도 플렉시블 관의 접속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시공 후에 시공 관리자는 관 조인트의 외관으로부터 정상적인 시공을 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 접속 확인 공정을 별도 행할 필요가 없는만큼, 정상적인 접속을 확인하는 작업을 잊지 않고 행할 필요가 있다.
(1) 구조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관 조인트는, 조인트 본체 및 가압 너트의 형상, 탄성 수단, 걸림 홈, 인디케이터 링 및 제3 실링 부재에 상위점이 있는 이외에,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에 의한 관 조인트와 같으므로, 이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2)의 내공(21)은, 제1 내경부(21a)의 내측[수나사부(22) 측]에 제1 내경부(21a)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제3 내경부(21c)를 가진다. 제3 내경부(21c)는, 압축 코일 스프링(41)을 개방했을 때 슬라이드 부재(43)를 지지한다.
탄성 수단(4)은, 압축 코일 스프링(41)과, L자형 단면을 가지는 대략 원통형의 가이드 부재(42)와, 압축 코일 스프링(41)과 함께 가이드 부재(42)에 지지되는 중공 원판형의 스페이서 부재(44)와, 가이드 부재(42)의 내경 측으로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략 원통형의 슬라이드 부재(43)로 이루어진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41) 및 가이드 부재(42)는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가이드 부재(42)의 중공 원판형 지지부(421)와 스페이서 부재(44)와의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41)을 압축시킨 상태로 협지하고, 스페이서 부재(44)를 가이드 부재(42)의 절곡부(422a)에 걸리게 하고, 또한 절곡부(422a)의 내면을 슬라이드 부재(43)의 플랜지부(432)로 지지하여 절곡부(422a)가 벌어지지 않게 하여, 압축 코일 스프링(41)을 압축된 상태로 유지한다. 그러므로, 탄성 수단(4)은 각 부품이 일체화된 상태로 조인트 본체(2)의 내부에 장착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43)가 조인트 본체(2)의 내측으로 슬라이드하여, 절곡부(422a)의 내면으로부터 이탈하면, 원호판부(422)는 축경되고, 스페이서 부재(44)는 절곡부(422a)로부터 이탈하고, 압축 코일 스프링(41)은 신장된다. 스페이서 부재(44)는 강도의 점에서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링 부재(19)는 단면 T자형의 립 패킹이며, 축선 방향 중앙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립이 굴곡되어 원하는 실링 면압으로 플렉시블 관(100)과 걸어맞추어짐으로써, 가압 너트(3)와 플렉시블 관(100)을 실링한다.
플렉시블 관이 삽입된 관 조인트의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성능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인디케이터 링(110)이 가압 너트(3)의 외주 환형 홈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너트(3)에 대한 장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디케이터 링(110)의 내면에는 가압 너트(3)의 외주 환형 홈에 끼워맞추어지는 복수 개의 돌기(9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 링(110)의 일단면에는 오목부(92)가 형성되고, 내면의 1개소에는 원호형의 절결부(切缺部)(93)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92)에 훅형(hook-shaped)의 공구를 걸어 인디케이터 링(110)을 당기면, 인디케이터 링(110)은 절결부(93)가 형성된 부위에서 파단(破斷)되므로, 인디케이터 링(110)을 빼낼 수 있다. 절결부(93)에 의해 인디케이터 링(110)은 작은 힘으로 휘므로, 가압 너트(3)의 원주홈에 대한 인디케이터 링(110)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돌기(91)도 원주홈에 대한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접속 확인 동작을 육안 관찰에 의해 확인 가능하도록, 인디케이터 링(110)을 조인트 본체(2) 및 가압 너트(3)와 다른 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 너트(3)는, 인디케이터 링(110)을 장착하는 외주 환형 홈의 근방에 환형 리브(38)를 가진다.
(2) 걸림 기구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기구(111)는, 조인트 본체(2)의 내면에 설치된 서로 연통되는 제1 ~제3 걸림 홈(271, 272, 273)으로 이루어지는 걸림 홈 집합체(27)와, 가압 너트(3)에 형성된 외주 환형 홈(32)으로 이루어진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걸림 홈(271)은, 환형 홈부(271a)(축선 방향 길이: La1)와, 환형 홈부(271a)의 내면으로부터 입구측(도 18에서 좌측)을 향해 축경되는 테이퍼면을 가지는 테이퍼형 홈부(271b)(축선 방향 길이: Lb1, 테이퍼 각: α1)로 이루어진다. 제1 걸림 홈(271)의 테이퍼형 홈부(271b)와 연통되는 제2 걸림 홈(272)은, 입구측을 향해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면을 가지는 테이퍼형 홈부(272b)(길이: Lb2, 테이퍼 각: α2)와, 테이퍼형 홈부(272b)에 이어지는 내면을 가지는 환형 홈부(272a)(축선 방향 길이: La2)로 이루어진다. 제1 걸림 홈(271)의 테이퍼형 홈부(271b)와 제2 걸림 홈(272)의 테이퍼형 홈부(272b)에 의해 단면 사다리꼴의 내측 환형 돌출부(274)(길이 Lb)가 형성된다. 제3 걸림 홈(273)(축선 방향 길이: L3)은 제1 걸림 홈(271)의 환형 홈부(271a)와 연통된다.
플렉시블 관(100)의 삽입 조작에 의해, 스톱 링(7)이 제1 걸림 홈(271)으로부터 제2 걸림 홈(272)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걸림 홈(271)과 제2 걸림 홈(272)의 합계 길이 L1은 스톱 링(7)의 직경 D의 2배 초과이다.
제1 및 제2 걸림 홈(271, 272)은 단면 사다리꼴의 내측 환형 돌출부(274)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으므로, 스톱 링(7)을 내측 환형 돌출부(274)의 내경보다 작게 축경되는 힘을 가압 너트(3)에 가세하면, 스톱 링(7)을 제1 걸림 홈(271)으로부터 제2 걸림 홈(272)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2 걸림 홈(272)으로부터 제1 걸림 홈(271)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스톱 링의 축경력 미만의 힘이면, 내측 환형 돌출부(274)는, 제1 걸림 홈(271)에 수용되어 있는 스톱 링(7)이 제2 걸림 홈(272)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8에서는 테이퍼 각 α1과 α2는 같지만, 상이해도 된다. 테이퍼 각 α1, α2가 너무 크면 스톱 링(7)의 이동이 곤란하고, 너무 작으면 스톱 링(7)을 제1 또는 제2 걸림 홈(271, 272)에 유지하기 어렵다.
제2 실시예에서는, (a) 플렉시블 관(100)의 접속 전에서는 스톱 링(7)이 제1 걸림 홈(271)에 유지되어 있지만, (b) 플렉시블 관(100)의 접속 시, 스톱 링(7)이 제1 걸림 홈(271)으로부터 내측 환형 돌출부(274)를 넘어 제2 걸림 홈(272)으로 이동하도록, 내측 환형 돌출부(274)의 측면의 경사각(테이퍼 각) α1, α2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환언하면, 탄성 수단(4)의 작용[압축 코일 스프링(41)의 복원력]으로 스톱 링(7)이 내측 환형 돌출부(274)를 넘도록, 각 테이퍼 각 α1, α2를 비교적 작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접속 작업을 평균적인 작업자가 행한 경우에 양호한 반응감(클릭감)을 얻을 수 있도록, 각 테이퍼 각 α1, α2를 예를 들면 20~3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압축 코일 스프링(41)의 복원력에 따라, 각 테이퍼 각 α1, α2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제1 걸림 홈(271)의 깊이 D271은 스톱 링(7)의 직경 D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직경 D의 대략 절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걸림 홈(271)의 길이 La1+Lb1은 스톱 링(7)의 직경 D와 같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걸림 홈(272)의 깊이 D272는 제1 걸림 홈(271)의 깊이 D271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걸림 홈(272)의 길이 La2+Lb2는 스톱 링의 직경 D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1~1.2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테이퍼 각을 α1=α2=25°로 한 경우, 스톱 링(7)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또한 제1 및 제2 걸림 홈(271, 272)의 각각에 스톱 링(7)을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2 걸림 홈(272)의 길이 La2+Lb2는, 제1 걸림 홈(271)의 길이 La1+Lb1의 1.1~1.2 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걸림 홈(273)의 깊이 D273 및 길이 L2, 및 가압 너트(3)에 설치된 외주 환형 홈(32)의 깊이 D32 및 길이 L32는 제1 실시예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3) 접속 작업
도 11에 나타낸 상태의 관 조인트(1)에 수 산분의 길이의 피복 수지(102)를 선단부로부터 제거한 플렉시블 관(100)을 삽입하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관(100)의 금속 콜게이트 관(101)의 선단이 슬라이드 부재(43)에 접촉된다. 이 때, 스톱 링(7)은 도 17a 및 도 17b의 상태를 거쳐 도 17c에 나타낸 상태에 이르러, 제1 걸림 홈(271)과 외주 환형 홈(32)에 걸치도록 유지된다.
또한, 플렉시블 관(100)을 조인트 본체(2) 내에 압입하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43)의 플랜지부(432)는 스페이서 부재(44)와의 걸어맞춤으로부터 이탈되고, 제3 내경부(21c) 내에 들어간다. 그 결과, 압축 코일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 부재(42)는 제1 실링 부재(5)의 패킹(51)을 누른다. 제1 실링 부재(5)에 가압된 리테이너(6)는 입구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가압 너트(3)의 선단 테이퍼면(31a)에 가압된다. 리테이너(6)의 세그먼트(62)의 테이퍼면(62a)이 가압 너트(3)의 테이퍼면(31a)과 맞닿으면, 세그먼트(62)는 내측으로 변형되고, 세그먼트(62)의 테이퍼면(62a)이 가압 너트(3)의 테이퍼면(31a)에 밀착되고, 또한 세그먼트(62)의 클릭부(63)가 금속 콜게이트 관(101)의 골부에 걸어맞추어진다. 그 결과, 플렉시블 관(100)은 관 조인트(1)으로부터 탈착되지 않게 된다. 플렉시블 관(100)의 이 삽입 동작 시, 압축 코일 스프링(41)이 순간적으로 신장되어 금속제 가이드 부재(42)를 누르므로, 찰칵하는 클릭음이 난다. 이 클릭음에 의해, 플렉시블 관(100)이 관 조인트(1)에 정상적으로 접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41)의 개방에 의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톱 링(7)은 제2 걸림 홈(272)으로 이동한다. 즉, 플렉시블 관(100)의 접속 공정에서 스톱 링(7)은 도 17c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17d에 나타낸 상태에 이르러, 제2 걸림 홈(272)과 외주 환형 홈(32)에 걸쳐지는 동시에, 제1 걸림 홈(271)으로부터 제2 걸림 홈(272)까지의 스톱 링(7)의 이동 거리(La2+Lb―Lb1)분만큼 가압 너트(3)가 조인트 본체(2)로부터 나온다. 인디케이터 링(110)의 내면에는 가압 너트(3)의 외주 환형 홈에 끼워맞추어지는 복수 개의 돌기(9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디케이터 링(110)도 조인트 본체(2)의 입구측 환형 홈으로부터 노출된다. 조인트 본체(2)와 가압 너트(3)와의 상대 이동은 스톱 링(7)에 의해 저지되어, 플렉시블 관(100)에 인발력을 작용시켜도, 가압 너트(3) 및 플렉시블 관(100)은 관 조인트(1)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이 상태, 즉 플렉시블 관(100)의 관 조인트(1)에 대한 접속의 완료는, 노출된 인디케이터 링(110)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링(110)에 의해, 시공 현장이 좁고 또한 어두운 곳이라도 작업자는 촉진에 의해 플렉시블 관의 접속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 링(110) 중 적어도 외주면을 조인트 본체(2) 및 가압 너트(3)와 다른 색으로 착색해 두면, 육안 관찰에 의해서도 플렉시블 관의 접속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관 조인트로부터 인디케이터 링(110)을 빼내고, 플렉시블 관(100)을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2) 내에 압입하면, 가압 너트(3)의 리브(rib)(38)가 조인트 본체(2)의 환형 홈(24)에 들어가고, 스톱 링(7)은, 제2 걸림 홈(272)으로부터 내측 환형 돌출부(274) 및 제1 걸림 홈(271)을 넘어 제3 걸림 홈(273)으로 이동한다. 제3 걸림 홈(273)은 스톱 링(7)의 직경 D보다 깊기 때문에, 스톱 링(7)은 제3 걸림 홈(273) 내에 완전히 들어가, 조인트 본체(2)와 가압 너트(3)와의 접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가압 너트(3)를 조인트 본체(2)로부터 빼내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2)로부터, 실링 부재(5), 리테이너(6) 및 가압 너트(3)가 장착된 플렉시블 관(100)과, 탄성 수단(4)[압축 코일 스프링(41), 가이드 부재(42), 스페이서 부재(44), 슬라이드 부재(43)]을 인출할 수 있고, 또한 플렉시블 관(100)으로부터 실링 부재(5), 리테이너(6) 및 가압 너트(3)를 빼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분해 작업에 의해, 플렉시블 관(100)을 전혀 손상시키지 않고 빼낼 수 있으므로,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다.
[3] 제3 실시예에 의한 관 조인트
제3 실시예에 의한 관 조인트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너트(3)의 환형 리브(38)의 내측에, 인디케이터로서 분해용 링(120)과 같은 폭의 원환형의 착색층(39)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2 실시예에 의한 관 조인트와 상이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제2 실시예와 상이한 점만 설명한다.
착색층(39)은 조인트 본체(2) 및 가압 너트(3)와 다른 색을 가지고, 도장 등에 의해 형성된다. 조인트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분해용 링(120)은 압축된 C형 링 형상이므로, 압축 코일 스프링(41)의 개방에 의해 가압 너트(3)가 조인트 본체(2)로부터 폭 G만큼 나왔을 때도 조인트 본체(2)의 환형 홈(24) 내에 머문다. 그러므로, 원환형 착색층(39)이 조인트 본체(2)로부터 노출된다.
분해용 링(120)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2)에 대한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주면에 절결부(93)를 가진다. 분해용 링(120)을 빼낼 때는, 도 18에 나타낸 인디케이터 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훅형의 공구를 걸어 분해용 링(120)을 인장하여, 절결부(93)가 형성된 부분에서 파단한다. 절결부(93)에 의해 분해용 링(120)은 간단하게 휘므로, 조인트 본체(2)에 대한 장착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 분해용 링(120)은, 내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 및 육안 관찰 확인용의 착색을 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 도 14에 나타낸 인디케이터 링(110)과 상위하다. 분해용 링(120)을 제거하고, 플렉시블 관(100)이 삽입된 가압 너트(3)를 조인트 본체(2)에 압입하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톱 링(7)은, 조인트 본체(2)의 제3 걸림 홈(273)에 들어가, 가압 너트(3)를 조인트 본체(2)로부터 빼낼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관 조인트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관 조인트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조인트 본체로서, 편(片) 나사 소켓에 한정되지 않고, 양(兩) 소켓, 엘보(elbow), 티(tee) 또는 암나사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2)

  1. 관이 삽입되는 가압 너트와, 상기 가압 너트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조인트 본체와, 상기 관과 상기 조인트 본체를 실링(sealing)하는 실링 부재와, 상기 관에 걸어맞추어져 상기 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리테이너(retainer)와, 상기 조인트 본체에 대하여 상기 가압 너트를 유지하는 걸림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기구는 제1 걸림 홈 및 제2 걸림 홈과, 스톱 링(stop ring)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압 너트의 외면에 형성된 환형(環形)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 홈 및 상기 제2 걸림 홈은 상기 스톱 링을 지지하고, 또한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 홈 및 상기 제2 걸림 홈은 각각 테이퍼형 홈부를 가지고, 양 테이퍼형 홈부는 인접하여 양 측면이 경사진 환형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톱 링은 상기 환형 돌출부를 넘어 제1 걸림 홈과 상기 제2 걸림 홈과의 사이를 양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스톱 링은 상기 관의 접속 완료 시까지 상기 환형 홈과 상기 제1 걸림 홈에 걸쳐 걸어맞추어져 있고,
    상기 관의 접속 완료 후에 상기 관에 빼내는 방향의 힘을 가하면, 상기 스톱 링은 상기 제1 걸림 홈으로부터 그보다 입구측의 상기 제2 걸림 홈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톱 링은 상기 환형 돌출부와 상기 제2 걸림 홈에 걸쳐 걸어맞추어져 있고, 따라서 상기 관의 정상적인 접속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가압 너트가 상기 조인트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관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선단(先端)에서 가압되면 록(lock)이 해제되어 신장(伸長)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 수단의 신장에 의해 입구 방향으로 가압된 상기 실링(sealing) 부재가 상기 관과 상기 조인트 본체를 실링하는, 관 조인트.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돌출부의 측면의 경사각은, 상기 탄성 수단의 작용에서는 상기 스톱 링이 상기 환형 돌출부를 넘지 않지만, 접속 확인을 위해 상기 관을 인장하는 힘으로는 상기 스톱 링이 상기 환형 돌출부를 넘도록 설정되어 있는, 관 조인트.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너트에 인디케이터(indicator)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관의 접속 완료 시까지 상기 조인트 본체에 은폐되어 있고, 접속 완료 후에 상기 관을 당기면 상기 가압 너트가 상기 조인트 본체로부터 인출되고,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조인트 본체로부터 노출되고, 따라서 상기 관의 정상적인 접속을 확인할 수 있는, 관 조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가압 너트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된 링인, 관 조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링을 상기 가압 너트로부터 빼내고, 상기 가압 너트를 상기 조인트 본체 내에 압입(壓入)하면, 상기 스톱 링은 상기 제1 걸림 홈보다 내측의 제3 걸림 홈에 지지되어 상기 환형 홈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따라서 상기 가압 너트를 상기 조인트 본체로부터 빼낼 수 있는, 관 조인트.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17029555A 2009-05-11 2010-05-07 관 조인트 KR101725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14695 2009-05-11
JPJP-P-2009-114695 2009-05-11
PCT/JP2010/057832 WO2010131609A1 (ja) 2009-05-11 2010-05-07 管継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748A KR20120024748A (ko) 2012-03-14
KR101725169B1 true KR101725169B1 (ko) 2017-04-10

Family

ID=43084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555A KR101725169B1 (ko) 2009-05-11 2010-05-07 관 조인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182061B2 (ko)
EP (1) EP2431645B1 (ko)
JP (1) JP5400145B2 (ko)
KR (1) KR101725169B1 (ko)
CN (1) CN102439346B (ko)
ES (1) ES2689735T3 (ko)
TW (1) TWI507626B (ko)
WO (1) WO20101316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343686B (es) * 2009-09-11 2016-11-16 Victaulic Co Of America Ensamble flexible para aspersores.
US9506592B2 (en) * 2009-10-21 2016-11-29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Supply stop with connection verification
JP5769062B2 (ja) * 2011-04-14 2015-08-26 日立金属株式会社 差込式管継手
JP5883776B2 (ja) * 2012-12-26 2016-03-15 東京瓦斯株式会社 管継手接続治具
DE102013105253A1 (de) * 2013-05-23 2014-11-27 Johannes Schäfer vorm. Stettiner Schraubenwerke GmbH & Co. KG Steckverbindung für Rohrleitungen mit Indikatorring
WO2015002798A1 (en) 2013-07-01 2015-01-08 Wabtec Holding Corp. Slack adjuster contaminant sump, drain, and overload relief
MX365833B (es) * 2013-07-01 2019-06-17 Wabtec Holding Corp Dispositivo de mitigacion de contaminantes para ajustador de tension.
JP6215676B2 (ja) * 2013-12-03 2017-10-18 日立金属株式会社 管継手
JP6250377B2 (ja) * 2013-12-04 2017-12-20 日立金属株式会社 管継手
JP6220658B2 (ja) * 2013-12-04 2017-10-25 日立金属株式会社 管継手
JP6261310B2 (ja) * 2013-12-04 2018-01-17 日立金属株式会社 管継手
JP6267519B2 (ja) * 2014-01-16 2018-01-24 株式会社サンコー フレキ管継手
JP6281370B2 (ja) * 2014-03-28 2018-02-21 日立金属株式会社 管継手
EP3131818B1 (en) * 2014-04-15 2018-11-28 Eaton Corporation Bulkhead connector assembly
WO2016007826A1 (en) * 2014-07-10 2016-01-14 Eaton Corporation Coupling assembly with vibration lock
AU2016215211B2 (en) 2015-02-06 2019-09-26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Vented draining slack adjuster end cap
WO2016132745A1 (ja) * 2015-02-19 2016-08-25 日立金属株式会社 管継手
USD816811S1 (en) * 2016-01-25 2018-05-01 Poelsan Plastik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Pipe joint connection
JP6922342B2 (ja) * 2017-03-31 2021-08-18 日立金属株式会社 管継手
CN108543257A (zh) * 2018-05-11 2018-09-18 泰州市三江消防器材有限公司 一种消防用成套设备
US20200300391A1 (en) 2019-03-20 2020-09-24 Nibco Inc. Press fitting assembly
JP7288661B2 (ja) * 2019-04-08 2023-06-08 光陽産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9944A (en) 1965-07-16 1969-04-22 Bernhard Leutenegger Nipple for pipe joints
JP2008038925A (ja) 2006-08-01 2008-02-21 Sankoo:Kk コルゲート管用差込み継手
JP2009079755A (ja) * 2007-09-07 2009-04-16 Hitachi Metals Ltd コルゲイト管用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19247U1 (de) * 1997-10-29 1999-02-25 Voss Armaturen Steckkupplung für Druckmittelsysteme
JP3564466B2 (ja) 1999-07-27 2004-09-08 大阪瓦斯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用継手
JP3538090B2 (ja) 1999-11-29 2004-06-14 株式会社喜多村合金製作所 管継手における確認孔保護カバー
DE10022085C1 (de) * 2000-05-08 2001-09-20 Schaefer Stettiner Schrauben Schnellkupplung zum Verbinden von Medienleitungen
CN100373085C (zh) * 2001-10-04 2008-03-05 东京瓦斯株式会社 插入式管接头
JP2004028112A (ja) 2002-06-11 2004-01-29 Rb Corp フレキシブル管継手
JP4699286B2 (ja) * 2006-05-29 2011-06-08 株式会社サンコー コルゲート管用差込み継手及びストッパー
JP5010200B2 (ja) * 2006-07-28 2012-08-29 株式会社サンコー コルゲート管用差込み継手
JP5110955B2 (ja) * 2007-05-09 2012-12-26 株式会社サンコー コルゲート管用差込み継手
JP4968585B2 (ja) 2007-06-29 2012-07-04 日立金属株式会社 差込式継手
JP2009058094A (ja) * 2007-09-03 2009-03-19 Sankoo:Kk コルゲート管用差込み継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9944A (en) 1965-07-16 1969-04-22 Bernhard Leutenegger Nipple for pipe joints
JP2008038925A (ja) 2006-08-01 2008-02-21 Sankoo:Kk コルゲート管用差込み継手
JP2009079755A (ja) * 2007-09-07 2009-04-16 Hitachi Metals Ltd コルゲイト管用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39346B (zh) 2013-11-06
TW201102550A (en) 2011-01-16
EP2431645B1 (en) 2018-07-11
US9182061B2 (en) 2015-11-10
KR20120024748A (ko) 2012-03-14
EP2431645A1 (en) 2012-03-21
TWI507626B (zh) 2015-11-11
JP5400145B2 (ja) 2014-01-29
US20120068454A1 (en) 2012-03-22
ES2689735T3 (es) 2018-11-15
JPWO2010131609A1 (ja) 2012-11-01
CN102439346A (zh) 2012-05-02
EP2431645A4 (en) 2017-05-03
WO2010131609A1 (ja)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169B1 (ko) 관 조인트
JP5461116B2 (ja) 管継手
JP6261310B2 (ja) 管継手
JP2008304057A (ja) コルゲート管継手
JP5384882B2 (ja) コルゲイト管継手
JP6220658B2 (ja) 管継手
JP4727078B2 (ja) 差込式管継手
JP4633215B2 (ja) コルゲート管継手
JP2015108405A (ja) 管継手
JP5219266B2 (ja) コルゲイト管継手
JP2009008219A (ja) 差込式継手
JP3386406B2 (ja) 管継手
JP2002276868A (ja) 配管用継手
JP5194187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2018003980A (ja) 管継手
JP4629277B2 (ja) 差込式管継手
CN219549884U (zh) 一种快速安装的液体管路接头
JPS6143595B2 (ko)
JP2020076449A (ja) 異径対応配管検査用継手
JP5064907B2 (ja) コルゲート管継手
JP2018173108A (ja) 管継手
JP6215676B2 (ja) 管継手
JP2019203532A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2009008218A (ja) コルゲイト管用継手
JP2009019665A (ja) コルゲイト管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