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285B1 - 지폐 취급 장치, 지폐 취급 시스템 및 지폐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취급 장치, 지폐 취급 시스템 및 지폐 반송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3285B1 KR101723285B1 KR1020150021467A KR20150021467A KR101723285B1 KR 101723285 B1 KR101723285 B1 KR 101723285B1 KR 1020150021467 A KR1020150021467 A KR 1020150021467A KR 20150021467 A KR20150021467 A KR 20150021467A KR 101723285 B1 KR101723285 B1 KR 1017232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knote
- housing
- bill
- conveying
- replenish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3/00—Handling of coins or of valuable papers, characterised by a combination of mechanis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G07D1/00 - G07D11/00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 G07D11/0021—
-
- G07D11/0018—
-
- G07D11/0033—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4—Managing the stock of valuable papers
- G07D11/245—Replenishment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Pile Receivers (AREA)
- Conveyance By Endless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의 보충 또는 회수시의 시큐리티 저하 리스크를 저감한다.
본 발명의 지폐 취급 장치(10)는, 투입구(42)에 투입된 지폐를 수취해서 장치 하우징(12) 내의 수납 카세트(28)에 송출하는 장치 내 반송부(46)와, 지폐 보충시 및 지폐 회수시에, 일단부가 장치 내 반송부(46)와 접속되고, 타단부가 보충 회수구(54)로부터 장치 하우징(12)의 외부에 노출되는, 장치 내 반송부(48)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지폐 취급 장치(10)는, 투입구(42)에 투입된 지폐를 수취해서 장치 하우징(12) 내의 수납 카세트(28)에 송출하는 장치 내 반송부(46)와, 지폐 보충시 및 지폐 회수시에, 일단부가 장치 내 반송부(46)와 접속되고, 타단부가 보충 회수구(54)로부터 장치 하우징(12)의 외부에 노출되는, 장치 내 반송부(48)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폐 취급 장치, 지폐 취급 시스템 및 지폐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현금 자동 인출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나 은행 창구에 설치되는 지폐 입출금 장치 등의 지폐 취급 장치에는, 장치 하우징 내에 「수납 카세트」가 배치된다. 그리고, 현금을 예금하는 경우에는, 투입 취출구에 지폐가 넣어지고, 장치 내 반송부에 의해 지폐 취급 장치 내로 반송되어서 수납 카세트에 건네어져 수납된다. 반대로, 현금을 인출하는 경우에는, 수납 카세트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가 장치 내 반송부에 의해 지폐 취급 장치 내로 반송되어, 투입 취출구에 배출된다. 따라서, 수납 카세트에는, 거래에 있어서 지폐가 부족한 경우가 없도록, 지폐가 적절히 보충된다. 한편, 수납 카세트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 등에는, 지폐가 적절히 회수된다.
이러한 지폐의 보충 처리 및 회수 처리에는, 종래 「보충 회수 카세트」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보충 회수 카세트는, 지폐 취급 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있어서 수납 카세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과 같은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그런데, 시큐리티를 확보하기 위해서, 지폐 취급 장치의 장치 하우징에 설치된 도어는 통상 시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보충 처리 및 회수 처리에서는, 그 때마다 해정하여 도어를 열게 되므로, 시큐리티가 저하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특히, 편의점이나 ATM 코너 등의 은행 지점 이외에 설치되는 현금 자동 인출기의 보충 처리 및 회수 처리는, 은행원 대신 은행으로부터 위탁된 경비원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에는 은행으로부터 맡겨진 키를 경비원이 갖고 다니게 되어, 시큐리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지폐의 보충 또는 회수시의 시큐리티 저하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는 지폐 취급 장치, 지폐 취급 시스템 및 지폐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형태에서 지폐 취급 장치는, 장치 하우징과,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며, 또한 지폐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제1 장치 내 반송부와, 보충 회수구와, 제2 장치 내 반송부를 갖는다. 상기 제1 장치 내 반송부는, 상기 투입구에 투입된 지폐를 수취해서 수납 카세트에 송출한다. 상기 보충 회수구는,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며, 또한 지폐 보충시 및 지폐 회수시에 지폐를 통과시킨다. 상기 제2 장치 내 반송부는, 상기 지폐 보충시 및 상기 지폐 회수시에, 일단부가 상기 제1 장치 내 반송부와 접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충 회수구로부터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된다.
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지폐의 보충 또는 회수시의 시큐리티 저하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지폐 취급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실시예 1의 지폐 취급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제2 장치 내 반송로의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적재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적재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실시예 1의 지폐 반송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실시예 1의 지폐 반송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실시예 1의 지폐 반송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실시예 1의 지폐 반송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실시예 1의 지폐 반송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장치 내 지폐 반송부와 지폐 반송 장치와의 연결 부분의 설명도.
도 12는 실시예 1의 보충 회수 카세트의 구성예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3은 지폐 취급 시스템의 조립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4는 지폐 취급 시스템의 조립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5는 입금 모드 시의 지폐의 흐름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6은 지폐 보충 모드 시의 지폐의 흐름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7은 지폐 보충 모드 시의 지폐의 흐름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8은 지폐 회수 모드 시의 지폐의 흐름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9는 지폐 회수 모드 시의 지폐의 흐름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2는 실시예 1의 지폐 취급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제2 장치 내 반송로의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적재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적재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실시예 1의 지폐 반송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실시예 1의 지폐 반송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실시예 1의 지폐 반송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실시예 1의 지폐 반송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실시예 1의 지폐 반송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장치 내 지폐 반송부와 지폐 반송 장치와의 연결 부분의 설명도.
도 12는 실시예 1의 보충 회수 카세트의 구성예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3은 지폐 취급 시스템의 조립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4는 지폐 취급 시스템의 조립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5는 입금 모드 시의 지폐의 흐름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6은 지폐 보충 모드 시의 지폐의 흐름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7은 지폐 보충 모드 시의 지폐의 흐름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8은 지폐 회수 모드 시의 지폐의 흐름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9는 지폐 회수 모드 시의 지폐의 흐름의 설명을 위한 도면.
이하에, 본원이 개시하는 지폐 취급 장치, 지폐 취급 시스템 및 지폐 반송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원이 개시하는 지폐 취급 장치, 지폐 취급 시스템 및 지폐 반송 장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지폐 취급 시스템이 은행 창구에 설치되는 지폐 입출금 장치인 것을 전제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지폐 취급 시스템의 개요]
도 1은 실시예 1의 지폐 취급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지폐 취급 시스템(1)은 지폐 취급 장치(10)와, 지폐 반송 장치(100)와, 보충 회수 카세트(200)를 갖는다. 도 1의 우측을, 지폐 취급 장치(10)의 「앞」으로 하고, 도 1의 좌측을 지폐 취급 장치(10)의 「뒤」, 도 1의 상측을 지폐 취급 장치(10)의 「위」, 도 1의 하측을 지폐 취급 장치(10)의 「아래」로 한다.
도 1에 있어서 지폐 취급 장치(10)의 장치 하우징의 전방면에는, 지폐 반송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충 회수 카세트(200)는 설치된 지폐 반송 장치(100)의 하방에 존재하고, 또한 지폐 취급 장치(10)의 장치 하우징의 전방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재부의 상면에 적재된다. 이에 의해, 보충 회수 카세트(200)의 상면에 설치된 지폐의 입출력부와, 지폐 반송 장치(100)의 반송부가 접속되어, 보충 회수 카세트(200)와 지폐 반송 장치(100)와의 사이에서의 지폐의 주고받기가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지폐 취급 시스템(1)에서는, 지폐 취급 장치(10)와 지폐 반송 장치(100)와 보충 회수 카세트(200)가 접속되고, 지폐 보충시에는 보충 회수 카세트(200) 내에 수납된 지폐가 지폐 반송 장치(100)를 통해서 지폐 취급 장치(10)에 반송되고, 지폐 회수시에는 지폐 취급 장치(10)에 축적된 지폐가 지폐 반송 장치(100)를 통해서 보충 회수 카세트(200)에 반송된다.
이상과 같이, 지폐 취급 장치(10)의 장치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는, 지폐 반송 장치(100) 및 보충 회수 카세트(200)를 사용하여, 지폐의 보충 처리 및 회수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지폐 취급 장치(10)의 시큐리티 저하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지폐 취급 장치의 구성예]
도 2는 실시예 1의 지폐 취급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는, 지폐 취급 장치(10)를 장치의 좌측으로부터 투시하여 보았을 때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지폐 취급 장치(10)의 장치 하우징(12) 내에는, 지폐 취급 장치(10)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는 동시에, 당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지폐의 입금 처리 및 출금 처리를 행하는 지폐 처리 유닛(14)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장치 하우징(12)의 전방면에는, 시정 가능한 도어(16)가 설치되어 있다.
지폐 처리 유닛(14)은 상부 유닛(20)과, 하부 유닛(22)을 갖는다.
하부 유닛(22)은 상자형 금고 하우징(24)을 갖고 있다. 금고 하우징(24)은 금고 내 반송부(26)를 갖는다. 금고 내 반송부(26)는 반송 가이드 및 롤러 등을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반송로 형성 부품을 갖고, 당해 복수 종류의 반송로 형성 부품에 의해 반송로(이하에서는, 「금고 내 반송로」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금고 하우징(24)의 전방면에는, 시정 가능한 도어(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금고 하우징(24)의 내부에는, 입금 지폐 또는 출금용 지폐를 수납하는 4개의 수납 카세트(28-1 내지 28-4)와, 「리젝트 지폐」를 수납하는 리젝트 카세트(30)가 설치되어 있다. 「리젝트 지폐」란, 예를 들어 파손된 지폐나 접혀진 지폐 등의 이상이 있는 지폐이다. 또한, 수납 카세트(28) 및 리젝트 카세트(30)는, 예를 들어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즉, 배치되는 장소에 따라서 수납 카세트(28) 또는 리젝트 카세트(30)로서 기능하고, 금고 하우징(24) 내에서 가장 앞에 배치되는 카세트가 리젝트 카세트(30)이다. 또한, 수납 카세트(28) 및 리젝트 카세트(30)는 금고 하우징(24)과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도어(16) 및 도어(27)가 해정되어 열린 상태에서, 수납 카세트(28) 및 리젝트 카세트(30)가 적재된 인출 케이스(도시하지 않음)를 인출함으로써, 수납 카세트(28) 및 리젝트 카세트(30)가 장치 하우징(12)의 외부에 노출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은행원에 의한 수납 카세트(28) 및 리젝트 카세트(30)의 착탈 행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리젝트 카세트(30)는 그것의 상단부 내에, 반송 가이드 및 롤러 등을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반송로 형성 부품을 갖는 리젝트 카세트 내 반송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즉, 리젝트 카세트 내 반송부(32)에는, 복수 종류의 반송로 형성 부품에 의해 반송로(이하에서는, 「리젝트 카세트 내 반송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젝트 카세트 내 반송부(32)는 금고 내 반송부(26)에 의해 반송된 리젝트 지폐를 도입하고, 도입한 지폐를 수용 스페이스(34)에 수납시킨다.
각 수납 카세트(28)는 그것의 상단부 내에, 반송 가이드, 롤러 및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반송로 형성 부품을 갖는 수납 카세트 내 반송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수납 카세트 내 반송부(36)에는, 복수 종류의 반송로 형성 부품에 의해 반송로(이하에서는, 「수납 카세트 내 반송로」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음)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 카세트 내 반송부(36)는 금고 내 반송부(26)에 의해 반송된 지폐를 도입하고, 도입한 지폐를 수납 카세트(28) 내의 수납 스페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수납시킨다. 또한, 수납 카세트 내 반송부(36)는 수납 카세트(28) 내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를 취출하고, 취출한 지폐를 금고 내 반송부(26)에 내보낸다(송출한다). 또한, 금고 내 반송부(26)는 전달부(38)를 통하여, 후술하는 장치 내 반송부(46)와 접속되어 있다.
상부 유닛(20)은 그것의 상단부에, 지폐를 투입하는 투입구(42)와 지폐를 취출하는 취출구(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유닛(20)은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류하는 일시 보류부(44)와, 장치 내 반송부(46, 48)를 갖는다.
장치 내 반송부(46)는 투입구(42), 취출구(40), 일시 보류부(44) 및 전달부(38)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장치 내 반송부(46)는 반송 가이드, 롤러, 구동 모터 및 루트 전환 게이트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반송로 형성 부품을 갖고, 당해 복수 종류에 의해 반송로(이하에서는, 「제1 장치 내 반송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치 내 반송부(46)는, 예를 들어 투입구(42)에 투입된 지폐를 1매씩 감별부(50)를 경유하여, 일시 보류부(44)에 반송하고, 일시 보류부(44)에 보류된 지폐를 1매씩, 전달부(38)를 통해서 금고 내 반송부(26)에 내보낸다.
또한, 상부 유닛(20)에는, 장치 내 반송부(46)에서 반송되는 지폐를 감별하는 감별부(50)가 설치되어 있다. 감별부(50)는 반송되는 지폐가 정상 지폐인지 리젝트 지폐인지를 감별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정상 지폐는, 장치 내 반송부(46), 전달부(38) 및 금고 내 반송부(26)를 통하여 수납 카세트(28-1 내지 28-4)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는 한편, 리젝트 지폐는 장치 내 반송부(46), 전달부(38) 및 금고 내 반송부(26)를 통하여 리젝트 카세트(30)에 수납된다.
또한, 상부 유닛(20)에는, 장치 내 반송부(46)와 장치 내 반송부(48)와의 사이에, 장치 내 반송부(46)와 장치 내 반송부(48)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게이트부(52)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부(52)는 지폐 수납시 및 지폐 취출 시에는, 장치 내 반송부(46)와 장치 내 반송부(48)를 분리하고, 지폐 보충시 및 지폐 회수시에는 장치 내 반송부(46)와 장치 내 반송부(48)를 접속한다.
장치 내 반송부(48)는 반송 가이드, 롤러 및 기어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반송로 형성 부품을 갖고, 당해 복수 종류에 의해 반송로(이하에서는, 「제2 장치 내 반송로」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음)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장치 내 반송로의 일단부는, 장치 하우징(12)의 전방면에 있어서 장치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보충 회수구(54)를 통하여, 장치 외부에 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장치 내 반송로의 일단부에, 빗살 모양의 연결부(56, 5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부(56, 57)가 후술하는 지폐 반송 장치(100)의 연결부와 맞물림으로써, 제2 장치 내 반송로와 지폐 반송 장치(100) 내의 반송로가 접속된다.
또한, 보충 회수구(54)의 근방에는, 제2 장치 내 반송로의 일단부의 상하에, 축(58, 6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축(58)에는, 지폐 반송 장치(100)의 훅부가 걸리고, 축(60)에는, 지폐 반송 장치(100)의 로크 레버 갈고리부가 걸린다. 이에 의해, 지폐 취급 장치(10)와 지폐 반송 장치(100)가 연결된다.
또한, 보충 회수구(54)의 근방에는, 설치 검지 센서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설치 검지 센서부는, 지폐 반송 장치(100)가 지폐 취급 장치(10)에 설치되면, 검출 신호를 상기의 제어부에 출력한다. 이 제어부는, 검출 신호를 수취하면, 지폐 취급 장치(10)를 보충 회수 모드로 전환한다. 즉, 제어부는, 게이트부(52)를 제어하여, 제1 장치 내 반송로와 제2 장치 내 반송로를 접속한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적재부(62) 위에 보충 회수 카세트(200)가 적재됨으로써, 보충 회수 카세트(200)와 지폐 취급 장치(10)와의 사이에서 지폐의 주고받기가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제2 장치 내 반송로의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내 반송부(48)는 기어부(49)를 갖는다. 이 기어부(49)는 지폐 반송 장치(100)의 기어부와 맞물림으로써, 장치 내 반송부(48)에 있어서 지폐의 반송에 사용되는 구동력을 지폐 반송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폐 반송 장치(100)는 전력의 공급을 받지 않고도, 기어부(49)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사용하여 지폐를 반송할 수 있다.
도 2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장치 하우징(12)의 전방면에는, 상술한 적재부(62)가 설치되어 있다. 적재부(62)는, 예를 들어 판상이며, 축(64)에 의해 일단부가 고정되고, 축(64)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출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적재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적재부를 좌측에서 본 도면이며, 도 5는 적재부를 도 4의 화살표 A의 방향, 즉 상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부(62)는 그것의 적재면 상에, 그 면으로부터 솟아오른 고정 핀(6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 핀(66)은 적재부(62)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 핀(66)은 적재면 상에 보충 회수 카세트(200)가 적재되었을 때, 보충 회수 카세트(200)의 하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다. 즉, 고정 핀(66)은 보충 회수 카세트(200)의 적재 위치를 규정하는 위치 결정 핀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적재부(62)는 그것의 적재면 상에, 전력 공급 단자(6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력 공급 단자(68)는 적재면 상에 보충 회수 카세트(200)가 적재되었을 때, 보충 회수 카세트(200)의 하면에 설치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지폐 취급 장치(1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전력 공급 단자(68)를 통해서 수취할 수 있으므로, 보충 회수 카세트(200)는 보충 회수 카세트(200)가 구비하는 구동 모터 등을 구동시킬 수 있다.
[지폐 반송 장치의 구성예]
도 6 내지 도 10은 실시예 1의 지폐 반송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지폐 반송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지폐 반송 장치(100)를 장치의 좌측, 즉 도 6의 화살표 B의 방향에서 투시하여 보았을 때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도 6의 지폐 반송 장치(100)를 투시하여 보았을 때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지폐 반송 장치(100)를 장치의 상측, 즉 도 6의 화살표 C의 방향에서 투시하여 보았을 때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지폐 반송 장치(100)를 장치의 후방측, 즉 도 6의 화살표 D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에는, 편의상, 상기의 지폐 취급 장치(10)의 설치 검지 센서부(69)도 도시되어 있다.
지폐 반송 장치(100)는 장치 하우징(102)을 갖는다. 장치 하우징(102)에는 반송부(104)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부(104)는 반송 가이드, 롤러 및 루트 전환 게이트(106)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반송로 형성 부품을 갖고, 당해 복수 종류에 따라 반송로가 형성되어 있다.
지폐 반송 장치(100)의 반송로의 장치 후방면측의 개구부(108)의 상하에는, 빗살 모양의 연결부(110, 11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연결부(110, 112)는, 각각 복수의 빗살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연결부(110, 112)의 각 빗살부는, 장치 하우징(102)의 후방면으로부터 솟아오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10)의 빗살부와 연결부(112)의 빗살부와의 대향하는 면간 거리는, 빗살부의 선단부에 있어서 선단을 향함에 따라 넓어지고 있다. 즉, 연결부(110)의 빗살부와 연결부(112)의 빗살부와의 대향하는 2개의 면 사이에 있는 공간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연결부(110, 112)의 각 빗살부는, 선단부에 테이퍼 형상(테이퍼부)(110-1, 112-1)을 갖고 있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취급 장치(10)의 연결부(56, 57)의 빗살부도 연결부(110, 112)의 빗살부와 대략 같은 테이퍼 형상(예를 들어, 테이퍼 형상(57-1))을 갖고 있으며, 연결부(56, 57)와 연결부(110, 112)가 맞물림으로써, 연결 부분의 반송로에 있어서 지폐가 반송되는 방향에서 지폐가 걸리기 쉬운 부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장치 내 지폐 반송부(48)와 지폐 반송 장치(100)와의 연결 부분의 설명도이다.
또한, 장치 하우징(102)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의 상부에는, 훅부(114-1, 114-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훅부(114-1, 114-2)는 지폐 취급 장치(10)의 축(58)에 걸린다.
또한, 장치 하우징(102)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의 하부에는, 로크 레버(116-1, 116-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로크 레버(116-1, 116-2)는, 각각 축(118)에 의해 축 지지되어 있고, 축(118)을 회전축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크 레버(116-1, 116-2)는, 각각 축(60)에 걸린다.
또한, 장치 하우징(102)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후단부에는, 기어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어부(120)는 반송부(104)와 축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어부(120)는 지폐 취급 장치(10)와 지폐 반송 장치(100)가 연결되었을 때, 지폐 취급 장치(10)의 기어부(49)와 맞물린다. 이에 의해, 장치 내 반송부(48)에 있어서 지폐의 반송에 사용되는 구동력을 반송부(104)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장치 하우징(102)의 하면에는, 지폐 반송 장치(100)의 반송로의 개구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22)는 보충 회수 카세트(200)가 적재부(62)에 적재되었을 때, 보충 회수 카세트(200)의 상면에 형성된, 지폐의 출입구와 대향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반송부(104)와 보충 회수 카세트(200)와의 사이에서 지폐의 주고받기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반송부(104)의 반송로는, 롤러(124)의 상측 및 전방측(도 7에 있어서의 우측)을 도는 제1 루트와, 롤러(124)의 후방측(도 7에 있어서의 좌측)을 도는 제2 루트를 갖고 있다. 상기의 루트 전환 게이트(106)는, 그 선단부가 하측으로 가압되고 있어, 기본적으로는 제2 루트를 막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개구부(108)로부터 개구부(122)를 향해서 반송되는 지폐는, 제1 루트를 통해서 보충 회수 카세트(200)로 반송된다. 한편, 보충 회수 카세트(200)로부터 개구부(122)를 통해서 반송부(104)로 내보내지는 지폐는, 제2 루트를 통하여, 루트 전환 게이트(106)를 아래로부터 밀어올려 반송부(104)에서 반송된다.
[보충 회수 카세트의 구성예]
도 12는 실시예 1의 보충 회수 카세트의 구성예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는, 보충 회수 카세트의 상단부를 투시하여 보았을 때의 구성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는, 편의상, 지폐 취급 장치(10)의 일부와 지폐 취급 장치(10)에 연결된 지폐 반송 장치(100)도 도시되어 있다. 보충 회수 카세트(200)는, 기본적으로는 수납 카세트(28)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한 종류의 카세트를 돌아가며 쓸 수 있다(양쪽 용도로 사용).
보충 회수 카세트(200)는 카세트 하우징(202)을 갖는다. 카세트 하우징(202)의 상면에는, 지폐가 드나드는 개구인 출입구(20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출입구(20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충 회수 카세트(200)가 적재부(62)에 적재되었을 때, 지폐 반송 장치(100)의 개구부(122)와 대향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지폐 반송 장치(100)와 보충 회수 카세트(200)와의 사이에서 지폐의 주고받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보충 회수 카세트(200)는 그것의 상단부에 반송 가이드, 롤러 및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반송로 형성 부품을 갖는 보충 회수 카세트 내 반송부(204)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보충 회수 카세트 내 반송부(204)에는, 복수 종류의 반송로 형성 부품에 의해 반송로(이하에서는, 「보충 회수 카세트 내 반송로」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음)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보충 회수 카세트 내 반송부(204)는 롤러(206, 208)와, 루트 전환 게이트(210)를 갖는다. 또한, 보충 회수 카세트 내 반송로는, 루트 전환 게이트(210)의 전방측, 즉 루트 전환 게이트(210)와 롤러(208)와의 사이를 통하는 제1 루트와, 루트 전환 게이트(210)의 후방측, 즉 루트 전환 게이트(210)와 롤러(206)와의 사이를 통하는 제2 루트를 갖고 있다. 그리고, 루트 전환 게이트(210)는 그 선단부가 상측으로 가압되고 있어, 기본적으로는, 제1 루트를 막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지폐 회수시에 출입구(203)로부터 들어오는 지폐는, 루트 전환 게이트(210)의 선단부를 밀어 내리고, 제1 루트를 통해서 보충 회수 카세트(200)의 수납 스페이스에 수납된다. 한편, 지폐 보충시에 수납 스페이스로부터 내보내지는 지폐는, 제2 루트를 통해서 지폐 반송 장치(100)로 내보내진다. 또한, 지폐 반송 장치(100)의 제1 루트를 통해서 온 지폐는, 보충 회수 카세트(200)의 제1 루트를 통하고, 보충 회수 카세트(200)의 제2 루트를 통해서 지폐 반송 장치(100)에 내보내진 지폐는, 지폐 반송 장치(100)의 제2 루트를 통하게 된다. 즉, 보충 회수 카세트(200)의 제1 루트는, 지폐 반송 장치(100)의 제1 루트와 접속되고, 보충 회수 카세트(200)의 제2 루트는, 지폐 반송 장치(100)의 제2 루트와 접속되게 된다.
[지폐 취급 시스템의 동작예]
이상의 구성을 갖는 지폐 취급 시스템(1)의 동작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립 공정에 대해서>
먼저, 지폐 보충시 및 지폐 회수시에 담당자(예를 들어, 은행원 및 경비원 등)에 의해 행해지는 지폐 취급 시스템(1)의 조립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지폐 취급 시스템의 조립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먼저, 금융 거래시에는, 기본적으로 지폐 취급 장치(10) 단독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취급 장치(10)에 지폐 반송 장치(100)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지폐 보충시 및 지폐 회수시에는, 먼저 담당자에 의해 적재부(62)가 인출되어, 수납 상태(도 2 참조)로부터 적재 가능 상태(도 13 참조)로 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 가능 상태로 되어 있는 적재부(62)의 상면에 보충 회수 카세트(200)가 적재됨과 함께, 지폐 반송 장치(100)가 지폐 취급 장치(10)의 전방면에 설치된다. 이때, 설치 검지 센서부(69)는 지폐 반송 장치(100)가 설치된 것을 검지하고, 상기의 제어부는, 지폐 취급 시스템(1)의 동작 모드를 보충 회수 모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의 제어부는, 게이트부(52)를 제어하여, 제1 장치 내 반송로와 제2 장치 내 반송로를 접속한다.
<지폐의 흐름에 대해서>
다음으로, 각 동작 모드 시의 지폐의 흐름을 설명한다.
(입금 모드 시(지폐 투입 모드 시))
도 15는 입금 모드 시의 지폐의 흐름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지폐 취급 장치 상부의 전방측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표시된 화살표는, 입금 모드 시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즉, 입금 모드 시에는, 게이트부(52)에 의해 제1 장치 내 반송부와 제2 장치 내 반송부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지폐는 제2 장치 내 반송부를 통하는 일 없이, 제1 장치 내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다.
(지폐 보충 모드 시)
도 16 및 도 17은 지폐 보충 모드 시의 지폐의 흐름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서는, 지폐 취급 시스템(1) 전체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7에는, 지폐 취급 장치(10), 지폐 반송 장치(100) 및 보충 회수 카세트(200)의 접속 부분이 확대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 표시된 화살표는, 지폐 보충 모드 시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즉, 보충되는 지폐는, 보충 회수 카세트(200)의 제2 루트를 통하고, 지폐 반송 장치(100)의 루트 전환 게이트(106)의 선단부를 밀어올려서 제2 루트를 통하고, 지폐 취급 장치(10)의 제2 장치 내 반송로를 통하여, 제1 장치 내 반송로에 건네진다. 그리고, 제1 장치 내 반송로에 건네진 지폐는, 감별부(50)에 의해 감별되어, 정상 지폐인 경우, 수납 카세트(28)에 반송되고, 리젝트 지폐인 경우, 리젝트 카세트(30)에 반송된다.
(지폐 회수 모드 시)
도 18 및 도 19는 지폐 회수 모드 시의 지폐의 흐름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18에서는, 지폐 취급 시스템(1) 전체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는, 지폐 취급 장치(10), 지폐 반송 장치(100) 및 보충 회수 카세트(200)의 접속 부분이 확대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 표시된 화살표는, 지폐 회수 모드 시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즉, 회수되는 지폐는, 수납 카세트(28)로부터 제1 장치 내 반송로에 내보내진다. 그리고, 제1 장치 내 반송로에 내보내진 지폐는, 감별부(50)에 의해 감별되어, 정상 지폐인 경우, 제1 장치 내 반송로로부터 제2 장치 내 반송에 내보내지고, 리젝트 지폐인 경우, 리젝트 카세트(30)에 반송된다. 그리고, 제1 장치 내 반송로로부터 제2 장치 내 반송로에 내보내진 지폐는, 지폐 반송 장치(100)의 루트 전환 게이트(106)의 제1 루트를 통하고, 보충 회수 카세트(200)의 루트 전환 게이트(210)의 선단부를 밀어 내려서 제1 루트를 통하여 보충 회수 카세트(200)의 수납 스페이스에 수납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폐 취급 장치(10)는 지폐 보충시 및 지폐 회수시에, 일단부가 장치 내 반송부(46)와 접속되고, 타단부가 보충 회수구(54)로부터 장치 하우징(12)의 외부에 노출되는, 장치 내 반송부(48)를 갖고 있다.
이 지폐 취급 장치(10)의 구성에 의해, 보충 회수구(54) 및 장치 내 반송부(48)를 통하여, 지폐 취급 장치(10) 내의 수납 카세트(28)로의 지폐 보충 및 수납 카세트(28)로부터의 지폐 회수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어(16) 및 도어(27)를 여는 일 없이, 지폐 보충 및 지폐 회수를 행할 수 있으므로, 시큐리티 저하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지폐 취급 장치(10)는 장치 내 반송부(46)와 장치 내 반송부(48)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게이트부(52)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게이트부(52)는 투입구(42)로부터 투입된 지폐의 수납시에는, 장치 내 반송부(46)와 장치 내 반송부(48)를 분리하고, 지폐 보충시 및 지폐 회수시에는, 장치 내 반송부(46)와 장치 내 반송부(48)를 접속한다.
이 지폐 취급 장치(10)의 구성에 의해, 지폐 수납시와, 지폐 보충시 및 지폐 회수시의 양쪽에 있어서, 장치 내 반송부(46)를 공용할 수 있다. 즉, 지폐 취급 장치(10)가 대형화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지폐 취급 장치(10)는 장치 하우징(12)의 외측으로부터 보충 회수구(54)를 통해서 장치 내 반송부(48)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외장형의 지폐 반송 장치(100)를 장치 내 반송부(48)에 접속하는 연결부(56, 57)를 갖고 있다. 이 연결부(56, 57)는, 각각 빗살 모양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56)의 빗살부와 연결부(57)의 빗살부와의 대향하는 면간 거리는, 빗살부의 선단부에 있어서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넓어지고 있다.
이 지폐 취급 장치(10)의 구성에 의해, 연결부(56, 57)가 지폐 반송 장치(100)의 연결부와 맞물렸을 때, 지폐 취급 장치(10)와 지폐 반송 장치(100)와의 연결 부분의 반송로에 있어서 지폐가 반송되는 방향에서 지폐가 걸리기 쉬운 부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지폐 취급 장치(10)는 장치 내 반송부(48)에 있어서 지폐의 반송에 사용되는 구동력을 지폐 반송 장치(100)에 전달하는 기어부(49)를 갖는다.
이 지폐 취급 장치(10)의 구성에 의해, 지폐 반송 장치(100)는 전력의 공급을 받지 않아도, 지폐 취급 장치(1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사용해서 지폐를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지폐 취급 장치(10)는 장치 하우징(12)의 전방면으로부터 장치 하우징(12)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적재부(62)를 갖는다. 적재부(62)는 판상이고, 축(64)에 의해 일단부가 고정되며, 축(64)을 회전축으로 해서 회전시킴으로써, 출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지폐 취급 장치(10)의 구성에 의해, 지폐의 보충 처리 또는 회수 처리시 이외에는 적재부(62)를 수납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적재부(62)가 지폐 취급 장치(10)의 유저의 움직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재부(62)의 상면에는, 지폐 반송 장치(100)가 적재되었을 때 지폐 반송 장치(100)의 하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고정 핀(6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폐 취급 장치(10)의 구성에 의해, 지폐 반송 장치(100)가 적재되는 것이 요망되는 위치에, 지폐 반송 장치(100)를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적재부(62)의 상면에는, 전력 공급 단자(6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폐 취급 장치(10)의 구성에 의해, 지폐 반송 장치(100)를 적재부(62)의 상면에 적재하는 것만으로, 지폐 취급 장치(10)로부터 지폐 반송 장치(10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지폐 반송 장치(100)는 기어부(120)와, 반송부(104)를 갖는다. 기어부(120)에는, 지폐 취급 장치(10)에서 지폐의 반송에 사용되는 구동력이 전달된다. 반송부(104)는 기어부(120)에 전달된 구동력을 사용해서 지폐를 반송하고, 지폐 보충시에는 장치 하우징(12)의 외부의 보충 회수 카세트(200)로부터 지폐를 수취해서 지폐 취급 장치(10)의 장치 내 반송부(48)에 건네고, 지폐 회수시에는 장치 내 반송부(48)로부터 지폐를 수취해서 보충 회수 카세트(200)에 건넨다.
이 지폐 반송 장치(100)의 구성에 의해, 지폐 반송 장치(100)는 전력의 공급을 받지 않아도, 지폐 취급 장치(1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사용해서 지폐를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지폐 반송 장치(100)는, 지폐 취급 장치(10)의 장치 하우징(12)에 설치된 보충 회수구(54)를 통해서 장치 하우징(12)의 외측으로부터 지폐 취급 장치(10)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지폐 반송 장치(100)의 구성에 의해, 지폐의 보충 처리 또는 회수 처리시 이외에는 지폐 반송 장치(100)를 지폐 취급 장치(10)로부터 제거한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지폐 반송 장치(100)가 지폐 취급 장치(10)의 유저의 움직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지폐 반송 장치(100)가 지폐 취급 장치(10)에 착탈 가능한 구성인 것을 전제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폐 취급 장치(10)도, 상기의 적재부(62)와 마찬가지로, 그것의 일단부를 지폐 반송 장치(100)에 축 지지하여 당해 축을 회전축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2] 실시예 1에서는, 적재부(62)가 축(64)에 의해 일단부가 고정되고, 축(64)을 회전축으로 해서 회전시킴으로써, 출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적재부(62)도 지폐 반송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지폐 취급 장치(10)에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3] 실시예 1에서는, 지폐 반송 장치(100) 및 보충 회수 카세트(200)가 지폐 취급 장치(10)의 전방면측에 설치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폐 반송 장치(100) 및 보충 회수 카세트(200)가 지폐 취급 장치(10)의 후방면측에 설치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보충 회수구(54), 축(58, 60) 및 장치 내 반송부(48) 등은, 지폐 취급 장치(10)의 후방면측에 설치된다.
[4] 실시예 1에서는, 지폐 반송 장치(100) 및 보충 회수 카세트(200)가 보충 처리 및 회수 처리에만 이용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폐 반송 장치(100) 및 보충 회수 카세트(200)를 현금 인출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보충 회수 카세트(200)를 외장형 수납 카세트로서 사용하는 모드가 준비되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성수기에만, 지폐 취급 장치(10)를 확장할 수 있다.
1: 지폐 취급 시스템
10: 지폐 취급 장치
12, 102: 장치 하우징
14: 지폐 처리 유닛
16, 27: 도어
20: 상부 유닛
22: 하부 유닛
24: 금고 하우징
26: 금고 내 반송부
28: 수납 카세트
30: 리젝트 카세트
32: 리젝트 카세트 내 반송부
34: 수용 스페이스
36: 수납 카세트 내 반송부
38: 전달부
40: 취출구
42: 투입구
44: 일시 보류부
46, 48: 장치 내 반송부
49, 120: 기어부
50: 감별부
52: 게이트부
54: 보충 회수구
56, 57, 110, 112: 연결부
57-1, 110-1, 112-1: 테이퍼 형상(테이퍼부)
58, 60, 64, 118: 축
62: 적재부
66: 고정 핀
68: 전력 공급 단자
69: 설치 검지 센서부
100: 지폐 반송 장치
104: 반송부
106, 210: 루트 전환 게이트
108, 122: 개구부
114: 훅부
116: 로크 레버
124, 206, 208: 롤러
200: 보충 회수 카세트
202: 카세트 하우징
203: 출입구
204: 보충 회수 카세트 내 반송부
10: 지폐 취급 장치
12, 102: 장치 하우징
14: 지폐 처리 유닛
16, 27: 도어
20: 상부 유닛
22: 하부 유닛
24: 금고 하우징
26: 금고 내 반송부
28: 수납 카세트
30: 리젝트 카세트
32: 리젝트 카세트 내 반송부
34: 수용 스페이스
36: 수납 카세트 내 반송부
38: 전달부
40: 취출구
42: 투입구
44: 일시 보류부
46, 48: 장치 내 반송부
49, 120: 기어부
50: 감별부
52: 게이트부
54: 보충 회수구
56, 57, 110, 112: 연결부
57-1, 110-1, 112-1: 테이퍼 형상(테이퍼부)
58, 60, 64, 118: 축
62: 적재부
66: 고정 핀
68: 전력 공급 단자
69: 설치 검지 센서부
100: 지폐 반송 장치
104: 반송부
106, 210: 루트 전환 게이트
108, 122: 개구부
114: 훅부
116: 로크 레버
124, 206, 208: 롤러
200: 보충 회수 카세트
202: 카세트 하우징
203: 출입구
204: 보충 회수 카세트 내 반송부
Claims (8)
- 장치 하우징과,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며, 또한 지폐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에 투입된 지폐를 수취해서 수납 카세트에 송출하는 제1 장치 내 반송부와,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며, 또한 지폐 보충시 및 지폐 회수시에 지폐를 통과시키는 보충 회수구와,
상기 지폐 보충시 및 상기 지폐 회수시에, 일단부가 상기 제1 장치 내 반송부와 접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충 회수구로부터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장치 내 반송부와,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보충 회수구를 통해서 상기 제2 장치 내 반송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외장형 반송 장치를 상기 제2 장치 내 반송부에 접속하는 연결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 내 반송부와 상기 제2 장치 내 반송부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고, 상기 투입된 지폐의 수납시에는, 상기 제1 장치 내 반송부와 상기 제2 장치 내 반송부를 분리하고, 상기 지폐 보충시 및 상기 지폐 회수시에는, 상기 제1 장치 내 반송부와 상기 제2 장치 내 반송부를 접속하는 게이트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빗살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지폐의 반송에 사용하는 구동력을 출력하는 구동부와,
상기 출력된 구동력을 상기 외장형 반송 장치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더 구비하는 지폐 취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측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보충 회수 카세트를 적재하는 적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적재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장치 하우징 내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상기 보충 회수 카세트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 장치 하우징과,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며, 또한 지폐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장치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에 투입된 지폐를 제1 장치 내 반송부를 통해서 수취하여 수납하는 수납 카세트와,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며, 또한 지폐 보충시 및 지폐 회수시에 지폐를 통과시키는 보충 회수구와,
상기 지폐 보충시 및 상기 지폐 회수시에, 일단부가 상기 제1 장치 내 반송부와 접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충 회수구로부터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장치 내 반송부와,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보충 회수구를 통해서 상기 제2 장치 내 반송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외장형 반송 장치를 상기 제2 장치 내 반송부에 접속하는 연결부를 갖는 지폐 취급 장치와,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보충 회수구를 통해서 상기 제2 장치 내 반송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지폐 보충시에는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부의 보충 회수 카세트로부터 지폐를 수취해서 상기 제2 장치 내 반송부에 건네고, 상기 지폐 회수시에는 상기 제2 장치 내 반송부로부터 지폐를 수취해서 상기 보충 회수 카세트에 건네는 지폐 반송 장치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시스템. - 지폐 취급 장치의 장치 하우징에 설치된 보충 회수구를 통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지폐 취급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외장형 지폐 반송 장치로서,
상기 지폐 취급 장치에서 지폐의 반송에 사용되는 구동력이 전달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전달된 구동력을 사용해서 지폐를 반송하고, 지폐 보충시에는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부의 보충 회수 카세트로부터 지폐를 수취해서 상기 지폐 취급 장치의 장치 내 반송부에 건네고, 지폐 회수시에는 상기 장치 내 반송부로부터 지폐를 수취해서 상기 보충 회수 카세트에 건네는 반송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반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032078A JP6088453B2 (ja) | 2014-02-21 | 2014-02-21 | 紙幣取扱い装置及び紙幣取扱いシステム |
JPJP-P-2014-032078 | 2014-02-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9431A KR20150099431A (ko) | 2015-08-31 |
KR101723285B1 true KR101723285B1 (ko) | 2017-04-04 |
Family
ID=53882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1467A KR101723285B1 (ko) | 2014-02-21 | 2015-02-12 | 지폐 취급 장치, 지폐 취급 시스템 및 지폐 반송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243119A1 (ko) |
JP (1) | JP6088453B2 (ko) |
KR (1) | KR101723285B1 (ko) |
CN (1) | CN104867233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5613B1 (ko) * | 2015-02-27 | 2016-10-12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
KR102580001B1 (ko) * | 2016-11-08 | 2023-09-19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지폐 반송경로 절환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
WO2018168465A1 (ja) * | 2017-03-15 | 2018-09-20 | グローリー株式会社 | 紙幣処理装置 |
WO2018168624A1 (ja) * | 2017-03-15 | 2018-09-20 | グローリー株式会社 |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処理方法 |
CN111587451A (zh) * | 2018-01-30 | 2020-08-25 | 富士通先端科技株式会社 | 纸张存放装置和纸张存放装置的控制方法 |
WO2019180958A1 (ja) * | 2018-03-23 | 2019-09-26 |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 紙葉類取扱装置 |
US20210027565A1 (en) * | 2018-03-26 | 2021-01-28 | Glory Ltd. |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
KR102012349B1 (ko) * | 2018-05-29 | 2019-08-20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보충회수 카세트용 트랜짓 반송로 유닛 구조 |
KR102521980B1 (ko) * | 2018-06-11 | 2023-04-17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보충회수 카세트용 트랜짓 반송로 유닛 고정구조 |
JP2020190825A (ja) * | 2019-05-20 | 2020-11-26 | グローリー株式会社 | 硬貨処理装置 |
CN114830199A (zh) | 2019-12-25 | 2022-07-29 | 富士通先端科技株式会社 | 纸币处理装置、输送控制方法及输送控制程序 |
JP2022061533A (ja) * | 2020-10-07 | 2022-04-19 | グローリー株式会社 | 媒体処理装置 |
US11328563B1 (en) * | 2021-04-23 | 2022-05-10 | Ncr Corporato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bulk currency note deposits |
US12100256B1 (en) | 2021-10-08 | 2024-09-24 | Wells Fargo Bank, N.A. | Systems and methods for retrofit housing using an in-safe cassette port |
US11699331B1 (en) | 2021-10-08 | 2023-07-11 | Wells Fargo Bank, N.A. | Systems and methods for retrofit housing for transaction devices |
US11830327B1 (en) | 2021-10-08 | 2023-11-28 | Wells Fargo Bank, N.A. | Systems and methods for retrofit housing for transaction device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51405A (ja) * | 2007-12-19 | 2009-07-09 |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 監視センサ付き紙幣取扱装置 |
JP2012008926A (ja) | 2010-06-28 | 2012-01-12 | Oki Electric Ind Co Ltd | 自動取引装置 |
JP2013175171A (ja) | 2012-01-23 | 2013-09-05 | Japan Cash Machine Co Ltd | 搬送制御装置及び還流庫付紙葉鑑別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35390A (ja) * | 1989-06-30 | 1991-02-15 | Toshiba Corp | 自動取引装置 |
EP0674296A4 (en) * | 1992-05-19 | 1996-06-05 | Ace Denken Kk | PAPER COIN HANDLING SYSTEM FOR GAMES ROOMS. |
JP2854756B2 (ja) * | 1992-05-29 | 1999-02-03 | 株式会社東芝 | 貨幣処理装置 |
JP3394319B2 (ja) * | 1994-05-23 | 2003-04-07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現金自動補充回収システム |
GB9906582D0 (en) * | 1999-03-22 | 1999-05-19 | Rue De Int Ltd | Sheet handling system |
JP2000357274A (ja) * | 1999-06-14 | 2000-12-26 | Hitachi Ltd | 現金自動取扱装置,現金装填回収ユニット、およびこれらからなる現金自動取扱システム |
JP4556309B2 (ja) * | 2000-09-05 | 2010-10-06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紙幣入出金装置 |
CA2357922A1 (en) * | 2001-09-28 | 2003-03-28 | Cashcode Company Inc. | Banknote loader |
DE10210687A1 (de) * | 2002-03-12 | 2003-10-09 | Giesecke & Devrient Gmbh | Vorrichtung zur Bearbeitung von Banknoten |
JP4559697B2 (ja) * | 2002-10-24 | 2010-10-13 | グローリー株式会社 | 循環式紙幣入出金機 |
JP4292012B2 (ja) * | 2003-02-10 | 2009-07-08 |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紙幣入出金装置 |
JP4362607B2 (ja) * | 2003-03-12 | 2009-11-11 | 旭精工株式会社 | 紙幣収納装置における紙幣移動装置 |
JP4387372B2 (ja) | 2006-04-27 | 2009-12-16 |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紙幣処理装置 |
US20100052237A1 (en) * | 2006-10-18 | 2010-03-04 | Lars Karoly Herczeg | Document handling apparatus |
EP2083400A4 (en) * | 2006-11-13 | 2011-01-26 | Glory Kogyo Kk | HANDLING DEVICE FOR BANK NOTES |
JP2009067550A (ja) * | 2007-09-14 | 2009-04-02 | Oki Data Corp |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5178146B2 (ja) * | 2007-10-30 | 2013-04-10 |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紙幣取扱装置 |
US8360224B2 (en) * | 2008-08-11 | 2013-01-29 | Nautilus Hyosung Inc. | Automatic teller machine |
JP4788788B2 (ja) * | 2009-02-19 | 2011-10-05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紙幣取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取引装置 |
CN102378994B (zh) * | 2009-03-23 | 2014-07-02 | 塔雷瑞斯有限公司 | 单据处理装置 |
DE102009017220A1 (de) * | 2009-04-09 | 2010-10-14 |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 Wertscheinkassette |
US8200140B2 (en) * | 2009-04-16 | 2012-06-12 | Xerox Corporation | Modular printing system having a module with a bypass path |
EP2463830B1 (en) * | 2009-08-03 | 2020-02-26 | Glory Ltd. | Currency processing apparatus |
JP5216805B2 (ja) * | 2010-04-30 | 2013-06-19 |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紙葉類処理装置 |
US8430395B2 (en) * | 2010-11-16 | 2013-04-30 | Ncr Corporation | Pick unit |
KR101467715B1 (ko) * | 2010-11-19 | 2014-12-01 |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 지폐 입출금 장치 |
DE102011000791B4 (de) * | 2011-02-17 | 2022-12-15 |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Wertscheinen mit einer Stapelzusammenführungseinheit |
US9978197B2 (en) * | 2011-02-22 | 2018-05-22 | Glory Ltd. | Banknote handling apparatus |
JP5974624B2 (ja) * | 2012-05-17 | 2016-08-23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紙葉類搬送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 |
-
2014
- 2014-02-21 JP JP2014032078A patent/JP6088453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02-10 CN CN201510069944.9A patent/CN104867233A/zh active Pending
- 2015-02-12 KR KR1020150021467A patent/KR10172328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2-19 US US14/626,017 patent/US20150243119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51405A (ja) * | 2007-12-19 | 2009-07-09 |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 監視センサ付き紙幣取扱装置 |
JP2012008926A (ja) | 2010-06-28 | 2012-01-12 | Oki Electric Ind Co Ltd | 自動取引装置 |
JP2013175171A (ja) | 2012-01-23 | 2013-09-05 | Japan Cash Machine Co Ltd | 搬送制御装置及び還流庫付紙葉鑑別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5158730A (ja) | 2015-09-03 |
JP6088453B2 (ja) | 2017-03-01 |
CN104867233A (zh) | 2015-08-26 |
KR20150099431A (ko) | 2015-08-31 |
US20150243119A1 (en) | 2015-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3285B1 (ko) | 지폐 취급 장치, 지폐 취급 시스템 및 지폐 반송 장치 | |
KR101071211B1 (ko) | 지폐 입출금 장치 | |
JP6252056B2 (ja) | 紙幣入出金装置及び紙幣取引装置 | |
JP5641122B2 (ja) | 媒体処理装置 | |
JP5664355B2 (ja) | 紙葉類処理装置及び取引装置 | |
US10741001B2 (en) | Modular banknote apparatus | |
JP4932298B2 (ja) | 紙幣入出金機 | |
JP2016173719A (ja) | 媒体収納庫、及び、媒体取扱装置 | |
WO2014034246A1 (ja) | 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収納庫 | |
JP5591599B2 (ja) |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方法 | |
JP2007026014A (ja) | 紙葉類搬送機構 | |
JP4663344B2 (ja) | 紙幣処理機 | |
JP6557964B2 (ja) | 紙幣取扱装置 | |
JP5487278B2 (ja) | 紙幣入出金装置 | |
EP3961589A1 (en) | Bill processing device and money dispensing method | |
WO2019188880A1 (ja) | 紙葉類処理装置 | |
JP2014220014A (ja) | 紙幣取扱装置 | |
JP2864481B2 (ja) | 現金管理システム | |
JP4997459B2 (ja) | 紙幣回収カセット、紙幣回収機構、及び還流式紙幣処理装置 | |
JP6778627B2 (ja) | 硬貨処理機 | |
JP6402204B2 (ja) | 紙葉類処理装置 | |
JPH0575873U (ja) | 紙幣自動支払装置 | |
WO2018037659A1 (ja) | 媒体取引装置及び媒体収納庫 | |
JP5147925B2 (ja) | 紙幣入出金装置 | |
JP2018092433A (ja) | 自動取引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