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497B1 - 아조 화합물, 아조 안료, 안료 분산물, 착색 조성물, 잉크젯 기록용 잉크,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의 조제방법 - Google Patents

아조 화합물, 아조 안료, 안료 분산물, 착색 조성물, 잉크젯 기록용 잉크,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의 조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497B1
KR101710497B1 KR1020117001174A KR20117001174A KR101710497B1 KR 101710497 B1 KR101710497 B1 KR 101710497B1 KR 1020117001174 A KR1020117001174 A KR 1020117001174A KR 20117001174 A KR20117001174 A KR 20117001174A KR 101710497 B1 KR101710497 B1 KR 101710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iphatic
pigment
substituent
heterocyc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331A (ko
Inventor
노부오 세토
마사히로 히가시
케이이치 타테이시
히데키 타카쿠와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1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79Acids; Esters
    • C07D213/80Acids; Esters in position 3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1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coupling components containing hydroxy as the only directing group
    • C09B29/18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coupling components containing hydroxy as the only directing group ortho-Hydroxy carbonamides
    • C09B29/2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coupling components containing hydroxy as the only directing group ortho-Hydroxy carbonamides of the naphthalene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1Amides; Imides
    • C07D213/82Amides; Imides in position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1/38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thiazole or hydrogenated 1,2-thiazole rings
    • C07D27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thiazole or hydrogenated 1,2-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thiazole or hydrogenated 1,2-thiazole rings
    • C07D27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thiazole or hydrogenated 1,2-thiazol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8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75/00 - C07D283/00
    • C07D285/01Five-membered rings
    • C07D285/02Thiadiazoles; Hydrogenated thiadiazoles
    • C07D285/04Thiadiazoles; Hydrogenated thiadiazole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85/121,3,4-Thiadiazoles; Hydrogenated 1,3,4-thiad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33/30Hetero atoms other than halogen
    • C07D333/36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0025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 C09B29/0029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 C09B29/0033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containing a five-membered heterocyclic ring with one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0025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 C09B29/0029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 C09B29/0037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containing a five-membered heterocyclic ring with two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0025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 C09B29/0029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 C09B29/004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containing a five-membered heterocyclic ring with three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0025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 C09B29/0055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nly oxygen as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0025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 C09B29/0059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nly sulfur as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0025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 C09B29/0062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and oxygen as heteroatoms
    • C09B29/0066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and oxygen as heteroatoms containing a five-membered heterocyclic ring with nitrogen and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0025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 C09B29/0074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and sulfur as heteroatoms
    • C09B29/0077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and sulfur as heteroatoms containing a five-membered heterocyclic ring with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heteroatoms
    • C09B29/0081Isothiazoles or condensed iso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0025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 C09B29/0074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and sulfur as heteroatoms
    • C09B29/0077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and sulfur as heteroatoms containing a five-membered heterocyclic ring with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heteroatoms
    • C09B29/0085Thiazoles or condensed 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0025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 C09B29/0074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and sulfur as heteroatoms
    • C09B29/0092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and sulfur as heteroatoms containing a five-membered heterocyclic ring with two nitrogen and one sulfur as hetero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33/00Disazo and polyazo dyes of the types A->K<-B, A->B->K<-C, or the like,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33/02Disazo dyes
    • C09B33/04Disazo dyes in which the coupling component is a dihydroxy or polyhydroxy compound
    • C09B33/048Disazo dyes in which the coupling component is a dihydroxy or polyhydroxy compound the coupling component being a bis-naphtho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33/00Disazo and polyazo dyes of the types A->K<-B, A->B->K<-C, or the like,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33/18Trisazo or higher polyazo dyes
    • C09B33/24Trisazo dyes of the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2Pigment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09D17/003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containing an organic pig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Abstract

착색력, 색상 등의 색채적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광성 등의 내구성도 우수한 아조 안료, 안료 분산물을 제공한다.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
Figure 112011003662957-pct00102

(일반식(1) 중 G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아실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A는 방향족 5∼6원 헤테로환기를 나타낸다. m은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n=2인 경우에는 R1, R2, A 또는 G를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1, R2, A 또는 G를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1, R2, A 또는 G를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아조 화합물, 아조 안료, 안료 분산물, 착색 조성물, 잉크젯 기록용 잉크,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의 조제방법{AZO COMPOUND, AZO PIGMENT, PIGMENT DISPERSION, COLOR COMPOSITION, INKJET RECORDING INK, COLOR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COLOR FILTER, AND METHOD FOR PREPARING COLOR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본 발명은 신규한 질소 함유 복소환 아조 화합물, 아조 안료, 상기 아조 안료를 포함하는 안료 분산물, 착색 조성물 잉크젯 기록용 잉크,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의 조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 기록재료로서는 특히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가 주류이고, 구체적으로는 잉크젯 방식의 기록재료, 감열 전사 방식의 기록재료, 전자사진방식의 기록재료, 전사식 할로겐화은 감광재료, 인쇄잉크, 기록펜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촬영 기기에서는 CCD 등의 촬영 소자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서는 LCD나 PDP에 있어서 컬러 화상을 기록·재현하기 위해서 컬러 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컬러 화상기록재료나 컬러 필터에서는 풀컬러 화상을 표시 또는 기록하기 위해서, 소위 가법 혼색법이나 감법 혼색법의 3원색의 색소(염료나 안료)가 사용되고 있지만, 바람직한 색재현역을 실현할 수 있는 흡수 특성을 갖고, 또한 여러가지의 사용 조건, 환경 조건에 견디는 견고한 색소가 없는 것이 실정이며, 개선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상기의 각 용도에서 사용하는 염료나 안료에는 공통으로 다음과 같은 성질을 구비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즉, 색재현성상 바람직한 흡수 특성을 갖는 것, 사용되는 환경조건 하에 있어서의 견뢰성, 예를 들면 내광성, 내열성, 오존 등의 산화성 가스에 대한 내성이 양호한 것 등이 열거된다. 게다가, 색소가 안료인 경우에는 또한, 물이나 유기 용제에 실질적으로 불용이며 내약품 견뢰성이 양호한 것 및 입자로서 사용해도 분자 분산 상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흡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것 등의 성질도 구비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상기 요구 특성은 분자간 상호 작용의 강약으로 컨트롤할 수 있지만, 양자는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가 되기 때문에 양립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안료를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그 외에도, 소망의 투명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입자 지름 및 입자 형태를 갖는 것, 사용되는 환경조건 하에 있어서의 견뢰성, 예를 들면 내광성, 내열성, 오존 등의 산화성 가스에 대한 내성, 그 밖의 유기 용제나 아황산 가스 등으로의 내약품 견뢰성이 양호한 것, 사용되는 매체 중에 있어서 미소 입자까지 분산되고, 또한 그 분산 상태가 안정한 것 등의 성질도 필요하다. 특히, 양호한 색상을 갖고, 광, 습열 및 환경 중의 활성 가스, 그 중에서도 착색력이 높고, 광에 대하여 견고한 안료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즉, 안료에 대한 요구 성능은 색소 분자로서의 성능이 요구되는 염료에 비하여 다방면에 걸쳐, 색소 분자로서의 성능 뿐만아니라, 색소 분자의 집합체로서의 고체(미립자 분산물)로서의 상기 요구 성능을 모두 만족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안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군은 염료에 비하여 매우 한정된 것이 되고 있고, 고성능한 염료를 안료로 유도했다고 하여도 미립자 분산물로서의 요구 성능을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수는 적고, 용이하게 개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컬러 인덱스에 등록되어 있는 안료의 수가 염료의 수의 1/10에도 달하지 않는 것으로부터도 확인된다.
아조 안료는 색채적 특성인 색상 및 착색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인쇄 잉크, 잉크젯용 잉크, 전자 사진 재료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 가장 전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아조 안료는 옐로우디아릴리드 안료, 레드나프톨아조 안료이다. 디아릴리드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옐로우 12, 동 13, 동 17 등이 열거된다. 나프톨 아조 안료로서는 C.I.피그먼트·레드 208, 동 242 등이 열거된다. 그러나, 이들의 안료는 견뢰성, 특히 내광성이 매우 뒤떨어지기 때문에 인자물이 광에 노출됨으로써 안료가 분해되어 퇴색해버려 인자물의 장기간의 보존에 적당하지 않다.
이러한 결점을 개량하기 위해서, 분자량을 크게 하거나 강한 분자간 상호 작용을 가지는 기를 도입하거나 함으로써, 견뢰성을 개선한 아조 안료도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참조). 그러나, 개량된 안료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안료는 그 내광성이 개선되고는 있지만 아직 불충분하고, 또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 및 3에 기재된 안료는 색상이 녹미이고 착색력이 낮아져, 색채적 특성이 뒤떨어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4∼7에는 색재현성이 우수한 흡수 특성과 충분한 견뢰성을 갖는 색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구체적 화합물은 양호한 색상이어도 견뢰성이 뒤떨어지거나 양호한 견뢰성이어도 색상이 나쁘거나 하고, 또한 유기 용제나 물에 용해하기 쉽거나 하여 내약품 견뢰성이 충분하지 않다.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3색 또는 블랙을 더 가한 4색에 의한 감색 혼합법을 이용하여 풀컬러를 표현하는 경우, 1색만 견뢰성이 떨어지는 안료를 사용하면, 시간의 경과와 아울러 인자물의 그레이 밸런스가 변화되어버리고, 또한 색채적 특성이 뒤떨어지는 안료를 사용하면, 인쇄시의 색재현성이 저하해버린다. 따라서, 높은 색재현성을 장기간 유지하는 인자물을 얻기 위해서, 색채적 특성 및 견뢰성이 양립한 안료 및 안료 분산물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부터, 아조 색소는 각종 가시광선 흡수를 갖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색소로서 여러가지 분야에서 이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합성 수지의 착색, 인쇄 잉크, 승화형 감열전사 재료용 색소, 잉크젯용 잉크, 컬러 필터용 색소 등, 각종 분야에서 사용되도록 되어왔다. 색소로서 아조 색소에 요구되는 중요한 성능에 흡수스펙트럼이 있다. 색소의 색상은 색소에 의해 착색된 물체의 색목, 촉감 등에 큰 영향을 주고, 시각에 주는 효과가 크다. 따라서, 종래부터 색소의 흡수 스펙트럼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질소 함유 5원환을 아조 성분으로 하는 아조 염료는 특허문헌 5에도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6∼8에는 벤젠환과 나프탈렌환을 아조기를 통하여 결합시킨 나프톨계 아조 안료, 색소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최근, 화상표시장치는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 대화면화, 고선명화 등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그 용도는 퍼스널컴퓨터용 디스플레이, 텔레비젼 수상기, 게임기 등으로 확대되고,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의 수요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중에서, 액정표시소자에 사용하는 컬러 필터도 고색순도가 요구되도록 되고 있다.
고체촬상소자나 액정표시소자를 컬러화하기 위해서 소자 상에 형성되는 컬러 필터로서는 기판 상에 동일 평면에 인접해서 형성된 옐로우 필터층, 마젠타 필터층 및 시안 필터층으로 이루어지는 컬러 필터나 적색 필터층, 녹색 필터층 및 청색 필터층으로 구성되는 컬러 필터가 알려져 있다.
최근, 컬러 필터에 있어서는 고선명화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료 분산계에 있어서는 해상도가 향상하지 않고, 또한 안료의 조대 입자에 의한 색얼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고체촬상소자와 같은 미세 패턴이 요구되는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염료의 사용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9참조).
컬러 필터의 적색의 필터 어레이에는 적색 염료가 사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0참조).
그러나, 염료에 의해 얻어진 착색 패턴은 내열성, 내광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내열성, 내광성이 우수한 유기 안료를 사용한 컬러 필터에 대해서 검토되고 있다.
유기 안료를 사용한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 안료를 감광성 수지 중에 분산시킨 조성물을 노광하고, 현상함으로써 패터닝하는 공정을 소요의 회수 반복하여 행하는 포토리소그래피법(예를 들면, 특허문헌 11참조), 유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하는 오프셋 인쇄, 잉크젯 인쇄 등의 인쇄 방법 등이 열거된다.
컬러 필터용 유기 안료로서, 안트라퀴논계, 디케토피롤로피롤계, 퀴나크리돈계, 이소인돌린계, 페리논계, 페릴렌계, 축합 아조계 등의 내열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유기 안료의 사용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안료는 일반적으로 컬러 필터 중에서 분산되기 어렵고, 투명성이 높은 컬러 필터를 얻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마찬가지로 옐로우 필터층, 마젠타 필터층 및 시안 필터층으로 이루어지는 컬러 필터에 있어서도 옐로우 필터층에 사용되는 옐로우 색소에 있어서 견뢰성의 더욱 개량이 요구되고 있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는 나프탈렌환을 함유하는 모노 아조 화합물을 포함하는 컬러 필터용 적색 잉크 조성물에 대해서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화합물을 사용한 컬러 필터는 콘트라스트의 면에서 충분하지 않아 높은 콘트라스트화가 요망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05/52074호 팸플릿 특허문헌 2: 국제공개 제00/023525호 팸플릿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2008-13472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표 평9-511278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2008-7732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국 특허공개 2004-123866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국 특허 제3894726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국 특허 제2592271호 공보 특허문헌 9: 일본국 특허공개 평6-75375호 공보 특허문헌 10: 일본국 특허공개 평5-5067호 공보 특허문헌 11: 일본국 특허공개 평1-152449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착색력, 색상 등의 색채적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광성, 내오존성 등의 내구성도 우수한 아조 화합물, 아조 안료, 아조 안료 분산물, 착색 조성물 및 잉크젯 기록용 잉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호한 색상을 갖고, 광, 열 및 오존에 대하여 양호한 견뢰성을 발휘하고, 또한 분산성이 양호하고, 투명성이 높고, 분광 특성, 콘트라스트, 분산물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컬러 필터를 제공할 수 있는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및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의 조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투명성이 높고, 분광 특성, 콘트라스트, 분산물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컬러 필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한 질소 함유 헤테로환 아조 안료가 양호한 색상을 갖고, 또한 광, 열 및 오존에 대하여 양호한 견뢰성을 발휘한다라는 지견을 얻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을 이하에 나타낸다.
[1]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
Figure 112011003662957-pct00001
(일반식(1) 중 G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아실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술포닐기 또는 아릴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A는 방향족 5∼6원 헤테로환기를 나타낸다. m은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n=2인 경우에는 R1, R2, A 또는 G를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1, R2, A 또는 G를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1, R2, A 또는 G를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1)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2]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는 하기 일반식(2-1)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아조 안료,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
Figure 112011003662957-pct00002
(일반식(2-1) 중 G2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2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A2'은 하기 일반식(A-1)∼(A-18), (A-20)∼(A-28), (A-30)∼(A-32)을 나타낸다. m, n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n=2인 경우에는 R21, R22, G2 또는 A2'을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21, R22, G2 또는 A2'을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21, R22, G2 또는 A2'을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2-1)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03
(일반식(A-1)∼(A-18), (A-20)∼(A-28), (A-30)∼(A-32) 중 R51∼R59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치환기는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은 일반식(2-1)의 아조기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3] 상기 일반식(2-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가 하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에 기재된 아조 안료,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
Figure 112011003662957-pct00004
(일반식(2') 중 G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아실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술포닐기 또는 아릴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A'은 하기 일반식(A-10), (A-14)∼(A-16), (A-25), (A-26)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m은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n=2인 경우에는 R1, R2, A' 또는 G를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1, R2, A' 또는 G를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1, R2, A' 또는 G를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2')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05
(일반식(A-10), (A-14)∼(A-16), (A-25), (A-26) 중 R55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56∼R5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R55와 R56, R57과 R58, R56과 R58은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은 일반식(2')의 아조기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4] 상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가 하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에 기재된 아조 안료,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
Figure 112011003662957-pct00006
(일반식(3) 중 R21, R22, R55, R59, m 및 n은 일반식(2')에서 정의한 R1, R2, R55, R59, m 및 n과 동일하다. Z는 하멧의 σp값이 0.2이상인 전자 구인성기를 나타낸다. n=2인 경우에는 R21, R22, R55, R59 또는 Z를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21, R22, R55, R59 또는 Z를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21, R22, R55, R59 또는 Z를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3)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5] 일반식(2-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가 하기 일반식(2-2)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에 기재된 아조 안료,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
Figure 112011003662957-pct00007
(일반식(2-2) 중 G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아실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술포닐 또는 아릴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A2는 하기 일반식(A-17), (A-18), (A-20), (A-22)∼(A-24), (A-27), (A-28), (A-31), (A-32)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m은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n=2인 경우에는 R1, R2 또는 A2를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1, R2 또는 A2를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1, R2 또는 A2를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2-2)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08
(일반식(A-17), (A-18), (A-20), (A-22)∼(A-24), (A-27), (A-28), (A-31), (A-32) 중 R55∼R59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인접하는 R55와 R56, R56과 R57, R55와 R58, R56과 R58, R55와 R59는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은 일반식(2-2)의 아조기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6] 상기 일반식(2-2)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가 하기 일반식(2-3)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에 기재된 아조 안료,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
Figure 112011003662957-pct00009
(일반식(2-3) 중 R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56 및 R58은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m은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R56과 R58은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n=2인 경우에는 R1, R2, R56 및 R58을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1, R2, R56 및 R58을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1, R2, R56 및 R58을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2-3)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7]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조 안료,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을 적어도 1종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분산물.
[8]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조 안료,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을 적어도 1종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조성물.
[9] [7]에 기재된 안료 분산물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잉크.
[10]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Figure 112011003662957-pct00010
(일반식(1) 중 G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아실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술포닐기 또는 아릴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A는 방향족 5∼6원 헤테로환기를 나타낸다. m은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n=2인 경우에는 R1, R2, A 또는 G를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1, R2, A 또는 G를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1, R2, A 또는 G를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1)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11]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에 기재된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Figure 112011003662957-pct00011
(일반식(2) 중 G2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2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A2는 하기 일반식(A-1)∼(A-32)을 나타낸다. m, n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n=2인 경우에는 R21, R22, G2 또는 A2를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21, R22, G2 또는 A2를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21, R22, G2 또는 A2를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2)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12
(일반식(A-1)∼(A-32) 중 R51∼R59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치환기는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은 일반식(2)의 아조기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12] 중합성 화합물 및 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 또는 [11]에 기재된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13]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를 상기 중합성 화합물 1질량부에 대하여, 0.01∼2질량부 포함하는 [12]에 기재된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14] 상기 중합성 화합물이 감광성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또는 [13]에 기재된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15] 계면활성제, 실리콘계 첨가제, 안료계의 첨가제, 실란계 커플링제 및 티탄계 커플링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16] [10]∼[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
[17] 포토리소그래피법 또는 잉크젯법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에 기재된 컬러 필터.
[18] 계면활성제, 실리콘계 첨가제, 안료계의 첨가제, 실란계 커플링제 및 티탄계 커플링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산제 및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를 용제의 일부에 분산해서 안료 분산체를 얻는 공정, 및 상기 안료 분산체를 중합성 화합물 및 나머지의 용제와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15]에 기재된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의 조제방법.
[19] 일반식(2-1)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조 화합물,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
Figure 112011003662957-pct00013
(일반식(2-1) 중 G2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2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A2'은 하기 일반식(A-1)∼(A-18), (A-20)∼(A-28), (A-30)∼(A-32)을 나타낸다. m은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n=2인 경우에는 R21, R22, G2 또는 A2'을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21, R22, G2 또는 A2'을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21, R22, G2또는 A2'을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2-1)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14
(일반식(A-1))∼(A-18), (A-20)∼(A-28), (A-30)∼(A-32) 중 R51∼R59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치환기는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은 일반식(2-1)의 아조기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20] 상기 일반식(2-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9]에 기재된 아조 화합물,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
Figure 112011003662957-pct00015
(일반식(2') 중 G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아실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술포닐기 또는 아릴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A'은 하기 일반식(A-10), (A-14)∼(A-16), (A-25), (A-26)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m은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n=2인 경우에는 R1, R2, A' 또는 G를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1, R2, A' 또는 G를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1, R2, A' 또는 G를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2')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16
(일반식(A-10), (A-14)∼(A-16), (A-25), (A-26) 중 R55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56∼R5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R55와 R56, R57과 R58, R56과 R58은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은 일반식(2')의 아조기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21] 상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0]에 기재된 아조 화합물,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
Figure 112011003662957-pct00017
(일반식(3) 중 R21, R22, R55, R59, m 및 n은 일반식(2')에서 정의한 R1, R2, R55, R59, m 및 n과 동일하다. Z는 하멧의 σp값이 0.2이상인 전자 구인성기를 나타낸다. n=2인 경우에는 R21, R22, R55, R59 또는 Z를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21, R22, R55, R59 또는 Z를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21, R22, R55, R59 또는 Z를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3)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22] 일반식(2-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2-2)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9]에 기재된 아조 화합물,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
Figure 112011003662957-pct00018
(일반식(2-2) 중 G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아실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술포닐 또는 아릴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A2는 하기 일반식(A-17), (A-18), (A-20), (A-22)∼(A-24), (A-27), (A-28), (A-31), (A-32)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m은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n=2인 경우에는 R1, R2 또는 A2를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1, R2 또는 A2를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1, R2 또는 A2를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2-2)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19
(일반식(A-17), (A-18), (A-20), (A-22)∼(A-24), (A-27), (A-28), (A-31), (A-32) 중 R55∼R59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인접하는 R55와 R56, R56과 R57, R55와 R58, R56과 R58, R55와 R59는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은 일반식(2-2)의 아조기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23] 상기 일반식(2-2)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2-3)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2]에 기재된 아조 화합물,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
Figure 112011003662957-pct00020
(일반식(2-3) 중 R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56 및 R58은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m은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n 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R56과 R58은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n=2인 경우에는 R1, R2, R56 및 R58을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1, R2, R56 및 R58을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1, R2, R56 및 R58을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2-3)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아조 안료는 높은 착색력, 색상 등의 색채적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광성, 내오존성, 내열성 등의 내구성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안료 분산물은 본 발명의 아조 안료를 여러가지 매체에 분산시켜 이루어지고, 색채적 특성, 내구성, 잉크액 안정성 및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용도에 있어서의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모듈에 요구되는 고콘트라스트, 우수한 투명성을 달성하는 컬러 필터가 얻어지는 분산성, 분산물 경시 안정성, 내열성 및 내광성이 양호한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컬러 필터, 및 그 조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합성예 1을 따라서 합성된 구체적 화합물예 D-1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2는 합성예 2를 따라서 합성된 구체적 화합물예 D-33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3은 합성예 3을 따라서 합성된 구체적 화합물예 D-20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4는 합성예 4를 따라서 합성된 구체적 화합물예 D-22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5는 구체적 화합물예 D-2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6은 구체적 화합물예 D-7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7은 구체적 화합물예 D-9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8은 구체적 화합물예 D-18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9는 구체적 화합물예 D-23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10은 구체적 화합물예 D-25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11은 구체적 화합물예 D-32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12는 구체적 화합물예 D-81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13은 구체적 화합물예 D-82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14는 구체적 화합물예 D-83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15는 구체적 화합물예 D-84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16은 구체적 화합물예 D-87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17은 구체적 화합물예 D-89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18은 구체적 화합물예 D-91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19는 구체적 화합물예 D-92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20은 구체적 화합물예 D-94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21은 구체적 화합물예 D-102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22는 구체적 화합물예 D-103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23은 구체적 화합물예 D-104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24는 구체적 화합물예 D-106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25는 구체적 화합물예 D-107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26은 구체적 화합물예 D-108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27은 구체적 화합물예 D-109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28은 구체적 화합물예 D-110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29는 구체적 화합물예 D-111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30은 구체적 화합물예 D-112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31은 구체적 화합물예 D-113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32는 구체적 화합물예 D-114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33은 구체적 화합물예 D-115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34는 구체적 화합물예 D-117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35는 구체적 화합물예 D-118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36은 구체적 화합물예 D-121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37은 구체적 화합물예 D-122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38은 구체적 화합물예 D-123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39는 구체적 화합물예 D-124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40은 구체적 화합물예 D-127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41은 구체적 화합물예 D-129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42는 구체적 화합물예 D-130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43은 구체적 화합물예 D-131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44는 구체적 화합물예 D-132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45는 구체적 화합물예 D-133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46은 구체적 화합물예 D-134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47은 구체적 화합물예 D-135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48은 구체적 화합물예 D-136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49는 구체적 화합물예 D-137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50은 구체적 화합물예 D-138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51은 구체적 화합물예 D-139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52는 구체적 화합물예 D-140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53은 구체적 화합물예 D-141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54는 구체적 화합물예 D-222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55는 구체적 화합물예 D-226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56은 구체적 화합물예 D-227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57은 구체적 화합물예 D-228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58은 구체적 화합물예 D-229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59는 구체적 화합물예 D-236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60은 구체적 화합물예 D-239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도 61은 구체적 화합물예 D-240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방족기, 아릴기, 아실기, 헤테로환기 및 치환기 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방족기에 있어서, 그 지방족 부위는 직쇄, 분기쇄 및 환상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포화이어도 불포화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알킬기, 알케닐기, 시클로알킬기, 시클로알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지방족기는 무치환이어도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아릴기는 단환이어도 축합환이어도 좋다. 또한, 무치환이어도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헤테로환기는 그 헤테로환 부위는 환내에 헤테로 원자(예를 들면, 질소 원자, 황 원자, 산소 원자)를 갖는 것이면 좋고, 포화환이어도 불포화환이어도 좋다. 또한, 단환이어도 축합환이어도 좋고, 또한 무치환이어도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아실기는 지방족 카르보닐기이어도 아릴카르보닐기이어도 헤테로환 카르보닐기이어도 좋고,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하기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하는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아세틸, 프로파노일, 벤조일, 3-피리딘카르보닐 등이 열거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치환기란 치환 가능한 기이면 좋고, 예를 들면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아실기, 아실옥시기, 아실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아릴옥시기, 헤테로환 옥시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헤테로환 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술포닐기, 아릴술포닐기, 헤테로환 술포닐기, 지방족 술포닐옥시기, 아릴술포닐옥시기, 헤테로환 술포닐옥시기, 술파모일기, 지방족 술폰아미드기, 아릴술폰아미드기, 헤테로환 술폰아미드기, 아미노기, 지방족 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헤테로환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헤테로환 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지방족 술피닐기, 아릴술피닐기, 지방족 티오기, 아릴티오기, 히드록시기, 시아노기, 술포기, 카르복시기, 지방족 옥시아미노기, 아릴옥시아미노기, 카르바모일아미노기, 술파모일아미노기, 할로겐 원자, 술파모일카르바모일기, 카르바모일술파모일기, 디지방족 옥시포스피닐기, 디아릴옥시포스피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조 안료는 용해성의 관점으로부터 이온성 친수성기(예를 들면, 카르복실기, 술포기, 포스포노기 및 4급 암모늄기)를 치환기로서 함유하는 것은 아니다. 이온성 친수성기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다가 금속 양이온과의 염(예를 들면, 마그네슘, 칼슘, 바륨)인 것이 바람직하고, 레이크 안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는 하멧의 치환기 정수 σp값에 대해서 약간 설명한다.
하멧칙는 벤젠 유도체의 반응 또는 평형에 미치는 치환기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논하기 위해서 1935년 L.P.Hammett에 의해 제창된 경험칙이지만, 이것은 오늘날 널리 타당성이 인정을 받고 있다. 하멧칙에 요구되는 치환기 정수에는 σp값과 σm값이 있고, 이들의 값은 많은 일반적인 성서에서 발견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J.A.Dean편,「Lange's Handbook of Chemistry」제12판, 1979년(Mc Graw-Hill)이나 「화학의 영역」증간, 122호, 96∼103쪽, 1979년(Nankodo)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치환기를 하멧의 치환기 정수 σp에 의해 한정하거나 설명하거나 하지만, 이것은 상기의 성서에서 발견되는 문헌 기지의 값이 있는 치환기에만 한정된다는 의미가 아니라, 그 값이 문헌 미지이어도 하멧칙에 기초하여 측정했을 경우에 그 범위내에 포함될 치환기도 포함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일반식(1) 또는 (2)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은 벤젠 유도체는 아니지만, 치환기의 전자 효과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치환 위치에 관계없이 σp값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금후 σp값을 이러한 의미로 사용한다.
<아조 안료>
안료는 색소 분자간의 강력한 상호 작용에 의한 응집 에너지에 의해, 분자끼리가 서로 견고하게 서로 결합하고 있는 상태의 것이다. 이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분자간의 반데르왈스력, 분자간 수소 결합이 필요한 것이 예를 들면, 일본 화상학회지, 43권, 10쪽(2004년) 등에 기재되어 있다.
분자간의 반데르왈스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분자에 방향족기, 극성기 및/또는 헤테로 원자의 도입 등이 생각된다. 또한, 분자간 수소 결합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분자로의 헤테로 원자에 결합한 수소 원자를 함유하는 치환기의 도입 및/또는 전자 공급성의 치환기의 도입 등이 생각된다. 분자 전체의 극성이 높은 쪽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것을 위해서는 예를 들면, 알킬기 등 쇄상의 기는 짧은 쪽이 바람직하고, 분자량/아조기의 값은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이들의 관점으로부터 안료 분자는 아미드 결합, 술폰아미드 결합, 에테르 결합, 술폰기, 옥시카르보닐기, 이미드기, 카르바모일아미노기, 헤테로환, 벤젠환 등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조 안료는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은 그 특이적인 구조에 의해 색소 분자의 분자간 상호작용을 형성하기 쉽고, 물 또는 유기용매 등에 대한 용해성이 낮아 아조 안료로 할 수 있다.
안료는 물이나 유기용매 등에 분자 분산 상태로 용해시켜서 사용하는 염료 와는 달리, 용매 중에 분자 집합체 등의 고체 입자로서 미세하게 분산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특정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착색력, 색상 등의 색채적 특성에 있어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또한 내광성, 내오존성 등의 내구성도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에,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에 관하여 설명한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21
(일반식(1) 중 G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아실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술포닐기 또는 아릴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 은 치환기를 나타내고, A는 방향족 5∼6원 헤테로환기를 나타낸다. m은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n=2인 경우에는 R1, R2, A 또는 G를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1, R2, A 또는 G를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1, R2, A 또는 G를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1)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G로 나타내어지는 지방족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포화이어도 불포화이어도 좋다.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바람직한 치환기로서는 히드록시기, 지방족 옥시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지방족 티오기, 아미노기, 지방족 아미노기, 아실아미노기, 카르바모일아미노기이다. G로 나타내어지는 지방족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8개의 지방족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4개의 알킬기이고, 예를 들면, 메틸, 에틸, 비닐, 시클로헥실, 카르바모일메틸 등이 열거된다.]
G로 나타내어지는 아릴기로서는 축환하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바람직한 치환기로서는 니트로기, 할로겐 원자, 지방족 옥시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지방족 티오기, 아미노기, 지방족 아미노기, 아실아미노기, 카르바모일아미노기이다. G로 나타내어지는 아릴기로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2개의 아릴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6∼10개의 아릴기이며, 예를 들면 페닐, 4-니트로페닐, 4-아세틸아미노페닐, 4-메탄술포닐페닐 등이 열거된다.
G로 나타내어지는 헤테로환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포화이어도 불포화이어도 좋고, 축환하고 있어도 좋다.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바람직한 치환기로서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지방족 옥시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지방족 티오기, 아미노기, 지방족 아미노기, 아실아미노기, 카르바모일아미노기이다. G로 나타내어지는 헤테로환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12개의 탄소 원자로 결합한 헤테로환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로 결합한 총탄소 원자수 2∼10개의 5∼6원 헤테로환이고, 예를 들면 2-테트라히드로푸릴, 2-피리미딜 등이 열거된다.
G로 나타내어지는 아실기로서는 지방족 카르보닐기이어도 아릴카르보닐기이어도, 헤테로환 카르보닐기이어도 좋고,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바람직한 치환기로서는 히드록시기, 할로겐 원자, 아릴기, 지방족 옥시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지방족 티오기, 아미노기, 지방족 아미노기, 아실아미노기, 카르바모일아미노기이다. G로 나타내어지는 아실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8개의 아실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4개의 아실기이며, 예를 들면 아세틸, 프로파노일, 벤조일, 3-피리딘카르보닐 등이 열거된다.
G로 나타내어지는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로서는 포화이어도 불포화이어도 좋고,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바람직한 치환기로서는 히드록시기, 지방족 옥시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지방족 티오기, 아미노기, 지방족 아미노기, 아실아미노기, 카르바모일아미노기이다. G로 나타내어지는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8개의 알콕시카르보닐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4개의 알콕시카르보닐기이며, 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등이 열거된다.
G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바모일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바람직한 치환기로서는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등이 바람직하다. G로 나타내어지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카르바모일기로서, 바람직하게는 무치환의 카르바모일기, 총탄소수 2∼9개의 알킬카르바모일기, 총탄소 원자수 7∼11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치환의 카르바모일기, 총탄소 원자수 2∼5개의 알킬카르바모일기이며, 예를 들면 N-메틸카르바모일, N,N-디메틸카르바모일, N-페닐카르바모일 등이 열거된다.
G로 나타내어지는 지방족 술포닐기로서는 포화이어도 불포화이어도 좋고,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바람직한 치환기로서는 히드록시기, 아릴기, 지방족 옥시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지방족 티오기, 아미노기, 지방족 아미노기, 아실아미노기, 카르바모일아미노기이다. G로 나타내어지는 지방족 술포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6개의 알킬술포닐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4개의 알킬술포닐기이고, 예를 들면 메탄술포닐 등이 열거된다.
G로 나타내어지는 아릴술포닐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바람직한 치환기로서는 히드록시기, 지방족기, 지방족 옥시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지방족 티오기, 아미노기, 지방족 아미노기, 아실아미노기, 카르바모일아미노기이다. G로 나타내어지는 아릴술포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6∼10개의 아릴술포닐기이고, 예를 들면 벤젠술포닐 등이 열거된다.
G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분자내 수소 결합 또는 분자내 교차 수소 결합을 형성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R1로 나타내어지는 아미노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이며,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등이 열거된다.
이들의 치환기는 치환기를 더 갖고 있어도 좋고, 그 치환기로서는 지방족기, 히드록시기, 아미드 결합, 에테르 결합, 옥시카르보닐 결합, 티오에테르 결합 등을 갖는 치환기가 바람직하고, 헤테로 원자와 수소 원자의 결합을 갖는 치환기가 분자간 수소 결합 등의 분자간 상호 작용을 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R1로 나타내어지는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미노기로서, 바람직하게는 무치환의 아미노기, 총탄소 원자수 1∼10개의 알킬아미노기, 총탄소 원자수 2∼10개의 디알킬아미노기, 총탄소 원자수 6∼13개의 아릴아미노기, 총탄소 원자수 2∼12개의 포화이어도, 불포화이어도 좋은 헤테로환 아미노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치환의 아미노기, 총탄소 원자수 1∼8개의 알킬아미노기, 총탄소 원자수 6∼13개의 아릴아미노기, 총탄소 원자수 2∼12개의 포화이어도 불포화이어도 좋은 헤테로환 아미노기이며, 예를 들면 메틸아미노, N,N-디메틸아미노, N-페닐아미노, N-(2-피리미딜)아미노 등이 열거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총탄소 원자수 6∼13개의 아릴아미노기 및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총탄소 원자수 2∼12개의 포화이어도 불포화이어도 좋은 헤테로환 아미노기이다.
R1이 아릴아미노기인 경우, 아릴기상의 치환기가 아미노기와의 결합 위치로부터 파라 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경우가 바람직하고, 파라 위치에만 치환기를 갖는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 치환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7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4개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지방족기(예를 들면, 메틸, 에틸, 알릴, (i)-프로필, (t)-부틸 등), 총탄소 원자수 1∼7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4개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지방족 옥시기(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i)-프로필옥시, 알릴옥시 등), 할로겐 원자(예를 들면, 불소, 염소, 브롬 등), 총탄소 원자수 1∼7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4개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예를 들면, 카르바모일, N-페닐카르바모일, N-메틸카르바모일 등), 총탄소 원자수 1∼7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4개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우레이도기(예를 들면, 우레이도, N-메틸우레이도, N,N-디메틸우레이도, N-4-피리딜우레이도, N-페닐우레이도 등), 니트로기, 총탄소 원자수 1∼7개의 상기 아릴기와 축환된 헤테로환(예를 들면, 이미다졸론), 히드록시기, 총탄소 원자수 1∼7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4개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지방족 티오기(예를 들면, 메틸티오, 에틸티오, (i)-프로필티오, 알릴티오, (t)-부틸티오 등), 총탄소 원자수 2∼7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4개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실아미노기(예를 들면, 아세트아미노, 프로피오닐아미노, 피발로일아미노, 벤조일아미노 등), 총탄소 원자수 1∼7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4개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지방족 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프로필옥시카르보닐아미노 등), 총탄소 원자수 2∼7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4개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등), 총탄소 원자수 2∼7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4개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실기(지방족 카르보닐기이어도 아릴 카르보닐기이어도 헤테로환 카르보닐기이어도 좋고,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7개의 아실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4개의 아실기이며, 예를 들면 아세틸, 프로파노일, 벤조일, 3-피리딘카르보닐 등)이 열거된다.
아릴기 상의 치환기가 아미노기와의 결합 위치로부터 파라 위치에 치환했을 경우, 치환기가 분자의 말단에 있기 때문에, 분자간 수소 결합 등의 분자간 상호작용을 하기 쉽고, 그 때문에 색상이 샤프하게 된다. 상기 아릴기상의 치환기가 보다 치환기를 더 갖는 경우에는 지방족기, 히드록시기, 아미드 결합, 에테르 결합, 옥시카르보닐 결합, 티오에테르 결합 등을 갖는 치환기가 바람직하고, 헤테로 원자와 수소 원자의 결합을 갖는 치환기가 분자간 수소 결합 등의 분자간 상호 작용을 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R1이 헤테로환 아미노기인 경우, 그 치환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릴아미노기의 경우와 같은 치환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헤테로환기 상의 치환기가 치환기를 더 갖는 경우에는 지방족기, 히드록시기, 아미드 결합, 에테르 결합, 옥시카르보닐 결합, 티오에테르 결합 등을 갖는 치환기가 바람직하고, 헤테로 원자와 수소 원자의 결합을 갖는 치환기가 분자간 수소 결합 등의 분자간 상호작용을 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R1이 아릴아미노기, 헤테로환 아미노기인 경우의 보다 바람직한 치환기로서는 지방족기, 지방족 옥시기, 할로겐 원자, 카르바모일기, 상기 아릴기와 축환된 헤테로환,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이다. 치환기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4개의 지방족기, 총탄소 원자수 1∼4개의 지방족 옥시기, 할로겐 원자, 총탄소 원자수 1∼4개의 카르바모일기, 니트로기, 총탄소 원자수 2∼4개의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이다.
R1으로 나타내어지는 지방족 옥시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포화이어도 불포화이어도 좋다. 치환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고, 바람직한 치환기로서는 히드록시기, 지방족 옥시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지방족 티오기, 아미노기, 지방족 아미노기, 아실아미노기, 카르바모일아미노기이다. R1의 지방족 옥시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8개의 알콕시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4개의 알콕시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총탄소수 1∼2개이며,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t)-부톡시, 메톡시에톡시, 카르바모일메톡시 등이 열거된다.
R1으로 나타내어지는 지방족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포화이어도 불포화이어도 좋다.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고, 바람직한 치환기로서는 히드록시기, 지방족 옥시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지방족 티오기, 아미노기, 지방족 아미노기, 아실아미노기, 카르바모일아미노기이다. R1의 지방족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8개의 알킬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4개의 알킬기이며 예를 들면, 메틸, 에틸, (s)-부틸, 메톡시에틸, 카르바모일메틸 등이 열거된다.
R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릴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바람직한 치환기로서는 지방족기, 지방족 옥시기, 할로겐 원자, 카르바모일기, 상기 아릴기와 축환된 헤테로환,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이다. R1의 아릴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6∼12개의 아릴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6∼10개의 아릴기이고, 예를 들면, 페닐, 4-메틸페닐, 3-클로로페닐 등이 열거된다.
R1으로 나타내어지는 헤테로환기로서는 포화 헤테로환이어도 불포화 헤테로환기이어도 좋고,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축환되어 있어도 좋다. 치환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고, 바람직한 치환기로서는 지방족기, 지방족 옥시기, 카르바모일기, 상기 헤테로환과 축환된 헤테로환,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이다. R1의 헤테로환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10개의 헤테로환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8개의 질소 원자로 결합한 포화 헤테로환기이며, 예를 들면, 1-피페리딜, 4-몰포리닐, 2-피리미딜, 4-피리딜 등이 열거된다.
R1로서 바람직하게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질소 원자로 결합한 포화 헤테로환기의 경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미노기이다.
R2로 나타내어지는 치환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 아실아미노기, 술폰아미드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아미노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술파모일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 티오기, 시아노기,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 아실아미노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할로겐 원자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옥시기이다.
이들의 치환기가 더 치환기를 갖는 경우에는 지방족기, 히드록시기, 아미드 결합, 에테르 결합, 옥시카르보닐 결합, 티오에테르 결합 등을 갖는 치환기가 바람직하고, 헤테로 원자와 수소 원자의 결합을 갖는 치환기가 분자간 수소 결합 등의 분자간 상호 작용을 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R2로 나타내어지는 지방족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포화이어도 불포화이어도 좋고,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R2의 지방족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8개의 알킬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6개의 알킬기이며, 예를 들면, 메틸, 에틸, i-프로필, 시클로헥실, t-부틸 등이 열거된다.
R2로 나타내어지는 아릴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R2의 아릴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6∼12개의 아릴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6∼10개의 아릴기이며, 예를 들면 페닐, 3-메톡시페닐, 4-카르바모일페닐 등이 열거된다.
R2로 나타내어지는 헤테로환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포화이어도 불포화이어도 좋고, 축환하고 있어도 좋고,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R2의 헤테로환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16개의 헤테로환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12개의 5∼6원환의 헤테로환기이며, 예를 들면 1-피롤리디닐, 4-몰포리닐, 2-피리딜, 1-피롤릴, 1-이미다졸릴, 1-벤조이미다졸릴 등이 열거된다.
R2로 나타내어지는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포화이어도 불포화이어도 좋고,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R2의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8개의 알콕시카르보닐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6개의 알콕시카르보닐기이고, 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 i-프로필옥시카르보닐, 카르바모일메톡시카르보닐 등이 열거된다.
R2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바모일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등이다. R2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카르바모일기, 총탄소 원자수 2∼9개의 알킬카르바모일기, 총탄소 원자수 3∼10개의 디알킬카르바모일기, 총탄소 원자수 7∼13개의 아릴카르바모일기, 총탄소 원자수 3∼12개의 헤테로환 카르바모일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바모일기, 총탄소 원자수 2∼7개의 알킬 카르바모일기, 총탄소 원자수 3∼6개의 디알킬카르바모일기, 총탄소 원자수 7∼11개의 아릴카르바모일기, 총탄소 원자수 3∼10개의 헤테로환 카르바모일기이고, 예를 들면 카르바모일, 메틸카르바모일, 디메틸카르바모일, 페닐카르바모일, 4-피리딘카르바모일 등이 열거된다.
R2로 나타내어지는 아실아미노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지방족이어도 방향족이어도 헤테로환이어도 좋고,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R2의 아실아미노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12개의 아실아미노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8개의 아실아미노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8개의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이고, 예를 들면 아세틸아미노, 벤조일아미노, 2-피리딘카르보닐아미노, 프로파노일아미노 등이 열거된다.
R2로 나타내어지는 술폰아미드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지방족이어도 방향족이어도 헤테로환이어도 좋고,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R2의 술폰아미드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12개의 술폰아미드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8개의 술폰아미드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8개의 알킬술폰아미드기이고, 예를 들면 메탄술폰아미드, 벤젠술폰아미드, 2-피리딘술폰아미드 등이 열거된다.
R2로 나타내어지는 카르바모일아미노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등이다. R2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아미노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카르바모일아미노기, 총탄소 원자수 2∼9개의 알킬카르바모일아미노기, 총탄소 원자수 3∼10개의 디알킬카르바모일아미노기, 총탄소 원자수 7∼13개의 아릴카르바모일아미노기, 총탄소 원자수 3∼12개의 헤테로환 카르바모일아미노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바모일아미노기, 총탄소 원자수 2∼7개의 알킬카르바모일아미노기, 총탄소 원자수 3∼6개의 디알킬카르바모일아미노기, 총탄소 원자수 7∼11개의 아릴카르바모일아미노기, 총탄소 원자수 3∼10개의 헤테로환 카르바모일아미노기이며, 예를 들면 카르바모일아미노, 메틸카르바모일아미노, N,N-디메틸카르바모일아미노, 페닐카르바모일아미노, 4-피리딘카르바모일아미노 등이 열거된다.
R2로 나타내어지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술파모일기로서,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등이다. R2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술파모일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술파모일기, 총탄소 원자수 1∼9개의 알킬술파모일기, 총탄소 원자수 2∼10개의 디알킬술파모일기, 총탄소 원자수 7∼13개의 아릴술파모일기, 총탄소 원자수 2∼12개의 헤테로환 술파모일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술파모일기, 총탄소 원자수 1∼7개의 알킬술파모일기, 총탄소 원자수 3∼6개의 디알킬술파모일기, 총탄소 원자수 6∼11개의 아릴술파모일기, 총탄소 원자수 2∼10개의 헤테로환 술파모일기이고, 예를 들면 술파모일, 메틸술파모일, N,N-디메틸술파모일, 페닐술파모일, 4-피리딘술파모일 등이 열거된다.
R2로 나타내어지는 지방족 옥시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포화이어도 불포화이어도 좋고,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R2의 지방족 옥시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8개의 알콕시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6개의 알콕시기이며,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i-프로필옥시, 시클로헥실옥시, 메톡시에톡시 등이 열거된다.
R2로 나타내어지는 지방족 티오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포화이어도 불포화이어도 좋고,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R2의 지방족 티오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8개의 알킬티오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1∼6개의 알킬티오기이고, 예를 들면 메틸티오, 에틸티오, 카르바모일메틸티오, t-부틸티오 등이 열거된다.
R2로 나타내어지는 할로겐 원자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소 원자가 열거된다.
본 발명의 효과의 점에서, R2는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인 경우가 바람직하고, 지방족 옥시기인 경우가 보다 바람직하다.
A로 나타내어지는 방향족 5∼6원 헤테로환으로서는 축환하고 있어도 좋고, 단환이어도 좋고, 축환은 탄소환이어도 좋고, 축환은 탄소환이어도 헤테로환이어도 방향환이어도 비방향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헤테로 원자가 1∼3개 함유된 방향족의 5∼6원환이다. A로 나타내어지는 축환하고 있어도 좋은 방향족 5∼6원 헤테로환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15개이고, 바람직하게는 2∼10개이고, 예를 들면, 피리딘환, 피라진환, 피리미딘환, 피리다진환, 트리아진환, 피롤환, 푸란환, 티오펜환, 이미다졸환, 피라졸환, 옥사졸환, 티아졸환, 이소옥사졸환, 이소티아졸환, 트리아졸환, 티아디아졸환, 옥사디아졸환 등 및 그들과 벤젠환 유도체, 헤테로환 유도체의 축환 헤테로환기이다.
m은 0∼3인 경우가 바람직하고, 0∼1인 경우가 보다 바람직하고, 0인 경우가 더욱 바람직하다. n은 1 또는 2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는 하기 일반식(2-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22
(일반식(2-1) 중 G2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2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A2'은 하기 일반식(A-1)∼(A-18), (A-20)∼(A-28), (A-30)∼(A-32)을 나타낸다. m, n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n=2인 경우에는 R21, R22, G2 또는 A2'을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21, R22, G2 또는 A2'을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21, R22, G2 또는 A2'을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2-1)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23
(일반식(A-1)∼(A-18), (A-20)∼(A-28), (A-30)∼(A-32) 중 R51∼R59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치환기는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은 일반식(2-1)의 아조기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G2로 나타내어지는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로서는 일반식(1)의 G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의 효과의 점에서, G2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R21로 나타내어지는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질소 원자로 결합한 포화 헤테로환기로서는 일반식(1)의 R1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의 효과의 점에서, R21로서 바람직하게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미노기, 질소 원자로 결합한 포화 헤테로환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미노기의 경우이다.
R22로 나타내어지는 치환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R2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A2'로 나타내어지는 일반식(A-1)∼(A-32)에 관하여 설명한다.
R51∼R54로 나타내어지는 치환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R51∼R54의 치환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 아실아미노기, 술폰아미드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 티오기, 시아노기 등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족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옥시기, 시아노기 등이다.
본 발명의 효과의 점에서 R51∼R54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 아실아미노기, 술폰아미드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 티오기, 시아노기 등일 경우가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 지방족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옥시기, 시아노기인 경우가 보다 바람직하다.
R55로 나타내어지는 치환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R55의 치환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등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족기, 아릴기, 질소 원자와의 결합 부위의 인접 위치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5∼6원 헤테로환기이다.
본 발명의 효과의 점에서, R55는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인 경우가 바람직하고, 지방족기, 아릴기, 상기 질소 원자와의 결합 부위의 인접 위치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5∼6원 헤테로환기인 경우가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질소 원자와의 결합 부위의 인접 위치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5∼6원 헤테로환기인 경우가 더욱 바람직하다. R55가 상기 질소 원자와의 결합 부위의 인접 위치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5∼6원 헤테로환기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색소 분자의 분자간 상호 작용뿐만아니라, 분자내 상호 작용을 강고하게 형성하기 쉬워진다. 그것에 의해 안정한 분자 배열의 안료를 구성하기 쉬워져, 양호한 색상, 높은 견뢰성(내광·가스·열·물 등)을 나타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의 점에서, R55로서 바람직한, 상기 질소 원자와의 결합 부위의 인접 위치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5∼6원 헤테로환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바람직한 치환기로서는 히드록시기, 지방족 옥시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지방족 티오기, 아미노기, 지방족 아미노기, 아실아미노기, 카르바모일아미노기이고, 포화 헤테로환이어도 불포화 헤테로환이어도, 축환 헤테로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12개의 상기 질소 원자와의 결합 부위의 인접 위치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5∼6원 헤테로환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2∼10개의 상기질소 원자와의 결합 부위의 인접 위치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5∼6원 헤테로환기이다. 예를 들면, 2-티아졸릴, 2-벤조티아졸릴, 2-옥사졸릴, 2-벤조옥사졸릴, 2-피리딜, 2-피라지닐, 3-피리다지닐, 2-피리미디닐, 4-피리미디닐, 2-이미다졸릴, 2-벤즈이미다졸릴, 2-트리아지닐 등이 열거되고, 이들의 헤테로환기는 치환기와 함께 호변 이성체 구조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효과의 점에서, R55로서 바람직한 아릴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치환해도 좋은 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바람직한 치환기로서는 히드록시기, 니트로기, 지방족 옥시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지방족 티오기, 아미노기, 지방족 아미노기, 아실아미노기, 카르바모일아미노기이다. R55의 아릴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6∼12개의 아릴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탄소 원자수 6∼10개의 아릴기이고, 예를 들면, 페닐, 3-메톡시페닐, 4-카르바모일페닐 등이 열거되고,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2-1) 중 R55로서는 하기 (Y-1)∼(Y-13) 중 어느 하나일 경우가 바람직하고, 분자내 수소 결합 구조를 취하기 쉬운 구조로 하기 위해서 6원환의 하기 (Y-1)∼(Y-6) 중 어느 하나인 경우가 보다 바람직하고, 하기 (Y-1), (Y-3), (Y-4), (Y-6) 중 어느 하나인 경우가 더욱 바람직하고, 하기 (Y-1) 또는 (Y-4)인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Y-1)∼(Y-13) 중의 *은 피라졸환의 N원자와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Y1∼Y11은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Y-13)에 있어서의 G11은 5∼6원 헤테로환을 구성할 수 있는 비금속 원자군을 나타내고, G11로 나타내어지는 헤테로환은 무치환이어도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고, 헤테로환은 단환이어도 축환하고 있어도 좋다. 식(Y-1)∼(Y-13)은 치환기와 함께 호변 이성체 구조이어도 좋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24
본 발명의 효과의 점에서 Y1∼Y11은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 아실아미노기, 술폰아미드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 티오기, 시아노기 등일 경우가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 지방족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옥시기, 시아노기인 경우가 보다 바람직하다.
R56, R57, R59로 나타내어지는 치환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R56, R57, R59의 치환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 아실아미노기, 술폰아미드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 티오기, 시아노기 등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족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 티오기, 시아노기 등이다.
본 발명의 효과의 점에서, R56, R57, R59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 아실아미노기, 술폰아미드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 티오기, 시아노기 등인 경우가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 지방족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 티오기, 시아노기인 경우가 보다 바람직하다.
R58로 나타내어지는 치환기로서는 상술의 치환기의 부분에서 설명한 기로, 치환 가능한 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효과의 점에서, R58로서, 바람직하게는 헤테로환기, 하멧의 치환기정수 σp값이 0.2이상인 전자 구인성기이고, σp값이 0.3이상인 전자 구인성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한으로서는 1.0이하인 전자 구인성기이다. R58은 σp값이 이 범위이면, 동일한 합성 방법으로 합성가능하고, 색상 장파장화의 점에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σp값이 0.2이상인 전자 구인성기인 R58의 구체예로서는 아실기, 아실옥시기, 카르바모일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디알킬포스포노기, 디아릴포스포노기, 디아릴포스피닐기, 알킬술피닐기, 아릴술피닐기, 알킬술포닐기, 아릴술포닐기, 술포닐옥시기, 아실티오기, 술파모일기, 티오시아네이트기, 티오카르보닐기, 할로겐화 알킬기, 할로겐화 알콕시기, 할로겐화 아릴옥시기, 할로겐화 알킬아미노기, 할로겐화 알킬티오기, σp값이 0.2이상인 다른 전자 구인성기로 치환된 아릴기, 헤테로환기, 할로겐 원자, 아조기 또는 셀레노시아네이트기가 열거된다.
본 발명의 효과의 점에서, 일반식(2-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는 G2가 수소 원자이고, R21이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미노기, 질소 원자로 결합한 포화 헤테로환기이고, m이 0 또는 1이고, m이 1인 경우에는 R22가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이고, A2'이 (A-1), (A-10)∼(A-17), (A-20)∼(A-23), (A-27), (A-28), (A-30)∼(A-32) 중 어느 하나이고, n이 1 또는 2인 경우가 바람직하고, G2가 수소 원자이고, R21이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미노기, 질소 원자로 결합한 포화 헤테로환기이고, m이 0 또는 1이고, m이 1인 경우에는 R22가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이고, A2'이 (A-10), (A-11), (A-13)∼(A-17), (A-20), (A-22)∼(A-23), (A-27), (A-28), (A-30)∼(A-32) 중 어느 하나이고, n이 1 또는 2인 경우가 보다 바람직하고, G2가 수소 원자이고, R21이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미노기, 질소 원자로 결합한 포화 헤테로환기이고, m이 0이고, A2'이 (A-10), (A-11), (A-13)∼(A-17), (A-20), (A-22)∼(A-23), (A-27), (A-28), (A-30)∼(A-32) 중 어느 하나이고, n이 1 또는 2인 경우가 더욱 바람직하고, G2가 수소 원자이고, R21이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미노기이고, m이 0이고, A2'이 (A-16)∼(A-17), (A-20), (A-28), (A-32) 중 어느 하나이고, n이 1 또는 2인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고, G2가 수소 원자이고, R21이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미노기이고, m이 0이고, A2'이 (A-16)이고 n이 1 또는 2인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2-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는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A2'이 (A-10), (A-14)∼(A-16), (A-25) 또는 (A-26)인 것이 바람직하고, A2'이 (A-10), (A-14)∼(A-16) 또는 (A-2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A-16)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의 점에서, 일반식(1) 및 일반식(2-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는 하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일반식(3)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25
(일반식(3) 중 R21, R22, R55, R59, m, n은 일반식(2-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Z는 하멧의 σp값이 0.2이상인 전자 구인성기를 나타낸다. n=2인 경우에는 R21, R22, R55, R59 또는 Z를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21, R22, R55, R59 또는 Z를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21, R22, R55, R59 또는 Z를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3)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Z로 나타내어지는 하멧의 σp값이 0.2이상인 치환기로서는 상술의 일반식(2-1)의 R58의 설명에서 서술한 기가 열거된다.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의 R21, R22, R55, R59, m, n의 바람직한 치환기, 범위는 일반식(2-1)과 같다.
본 발명의 효과의 점에서 Z로서는 아실기, 카르바모일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시아노기, 알킬술포닐기, 술파모일기가 바람직하고, 카르바모일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시아노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시아노기인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의 점에서,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는 R21이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미노기, 질소 원자로 결합한 포화 헤테로환기이고, m이 0 또는 1이며, m이 1인 경우에는 R22가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이며, R55가 질소 원자와의 결합 부위의 인접 위치에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5∼6원 헤테로환기이고, R59가 수소 원자, 지방족기이고, Z가 아실기, 카르바모일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시아노기, 알킬술포닐기, 술파모일기이고, n이 1 또는 2인 경우가 바람직하고, R21이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미노기, 질소 원자로 결합한 포화 헤테로환기이고, m이 0이고, R55가 (Y-1)∼(Y-13) 중 어느 하나이고, R59가 수소 원자, 지방족기이고, Z가 카르바모일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시아노기이고, n이 1 또는 2인 경우가 보다 바람직하고, R21이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미노기이고, m이 0이고, R55가 (Y-1)∼(Y-6) 중 어느 하나이고, R59가 수소 원자, 지방족기이고, Z가 카르바모일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시아노기이고, n이 1 또는 2인 경우가 더욱 바람직하고, R21이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미노기이고, m이 0이고, R55가 (Y-1), (Y-4), (Y-6) 중 어느 하나이고, R59가 수소 원자이고, Z가 시아노기이고, n이 1 또는 2인 경우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의 점에서,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는「총탄소수/아조기의 수」가 4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이하인 경우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의 점에서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는 「분자량/아조기의 수」가 7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의 점에서,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는 술포기, 카르복실기 등 이온성 치환기가 치환하지 않고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2-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A2'이 (A-1)∼(A-9), (A-11)∼(A-13), (A-17), (A-20)∼(A-23), (A-27), (A-28), (A-30)∼(A-32)인 것이 바람직하고, (A-11)∼(A-13), (A-17), (A-20)∼(A-23), (A-27), (A-28), (A-30)∼(A-3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A-17), (A-20), (A-22)∼(A-23), (A-27), (A-28), (A-31), (A-32)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A-20), (A-28), (A-3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A-2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A-20)의 R56이 R59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일반식(2-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는 하기 일반식(2-2)의 아조 안료,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26
(일반식(2-2) 중 G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아실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술포닐 또는 아릴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A2는 하기 일반식(A-17), (A-18), (A-20), (A-22)∼(A-24), (A-27), (A-28), (A-31), (A-32)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m은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n=2인 경우에는 R1, R2 또는 A2를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1, R2 또는 A2를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1, R2 또는 A2를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2-2)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27
(일반식(A-17), (A-18), (A-20), (A-22)∼(A-24), (A-27), (A-28), (A-31), (A-32) 중 R55∼R59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인접하는 R51과 R52, R52와 R53, R53과 R54, R55와 R56, R56과 R57, R55와 R58, R56과 R58, R57과 R58, R55와 R59는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은 일반식(2-2)의 아조기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일반식(2-2)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의 R1, R2, A2, R55∼R59, m, n의 바람직한 치환기, 범위는 일반식(2-1)의 R21, R22, A2', R55∼R59, m, n과 같다.
상기 일반식(2-2)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가 하기 일반식(2-3)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28
(일반식(2-3) 중 R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56 및 R58은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m은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R56과 R58은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n=2인 경우에는 R1, R2, R56 및 R58을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1, R2, R56 및 R58을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1, R2, R56 및 R58을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2-3)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일반식(2-2)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의 R1, R2, A2, R56, R58, m, n의 바람직한 치환기, 범위는 일반식(2-1)의 R21, R22, A2', R56, R58, m, n과 같다.
본 발명은 일반식(1), 일반식(2-1) 및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의 호변 이성체도 그 범위에 포함하는 것이다. 일반식(1), 일반식(2-1) 및 일반식(3)은 화학 구조상 취할 수 있는 수종의 호변 이성체 중에서 극한 구조식의 형태로 나타내고 있지만, 기재된 구조 이외의 호변 이성체라도 좋고, 복수의 호변 이성체를 함유한 혼합물로서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에는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히드라존의 호변 이성체가 고려된다.
본 발명은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의 호변 이성체인 이하의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도 그 범위에 포함하는 것이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29
일반식(1') 중 R1, R2, A, m, n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일반식(1') 중 G'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G에 대응하는 기이다. 일반식(1')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일반식(1) 및 일반식(2-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 중 상술한 바와 같이 특히 바람직한 아조 안료의 일반식의 예로서는 하기 일반식(3-1)∼일반식(3-4)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를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는 하기 일반식(3-1)∼일반식(3-4)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일반식(3-1)∼일반식(3-4)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30
(일반식(3-1)∼일반식(3-4) 중 R1, R2, m 및 n은 일반식(1) 및 일반식(2-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X는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Ax 및 Bx는 일반식(2-1)의 A2'에서 정의한 (A-1)∼(A-18), (A-20)∼(A-28), (A-30)∼(A-32) 중에서 해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R23은 일반식(2-1)에서 규정한 R51, R54, R57, R58 등의 치환기 중 해당하는 치환기로부터 카르보닐기를 제외한 치환기를 나타낸다. 각각 형성되는 헤테로환기는 일반식(2-1)의 A2'에서 정의한 기 중에서 해당하는 것을 나타낸다. Yx는 상기 질소 원자 및 탄소 원자와 함께 일반식(2-1)의 R55에서 정의한 헤테로환기 중 해당하는 것을 나타낸다. R23은 일반식(2-1)에서 규정한 R51, R54, R58 등의 치환기의 중 해당하는 치환기로부터 카르보닐기를 제외한 치환기를 나타낸다. R'1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R1의 아미노기로부터 -NH-을 제외한 상당하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일반식(3-1)∼일반식(3-4)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상기 일반식(1), (2-1), (3), (3-1)∼(3-4)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에 있어서 다수의 호변 이성체가 고려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는 분자내 수소 결합 또는 분자내 교차 수소 결합을 형성하는 치환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1개 이상의 분자내 수소 결합을 형성하는 치환기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분자내 교차 수소 결합을 형성하는 치환기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구조가 바람직한 요인으로서는 일반식(3-1)∼(3-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조 안료 구조에 함유하는 헤테로환기를 구성하는 질소 원자, 나프탈렌 치환기의 히드록시기의 수소 원자 및 산소 원자, 및 아조기 또는 그 호변 이성체인 히드라존기의 질소 원자, 또는 아조 안료 구조에 함유하는 아조 성분에 치환하는 카르보닐기, 나프탈렌 치환기의 히드록시기의 수소 원자 및 산소 원자, 및 아조기 또는 그 호변 이성체인 히드라존기의 질소 원자가 분자내의 교차 수소 결합을 용이하게 형성하기 쉬운 것이 열거된다.
그 결과, 분자의 평면성이 오르고, 분자내·분자간 상호작용이 더욱 향상하고, 일반식(3-1)∼일반식(3-4)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의 결정성이 높아지고(고차 구조를 형성하기 쉬워지고), 안료로서의 요구 성능인 광 견뢰성, 열 안정성, 습열 안정성, 내수성, 내가스성 및/또는 내용제성이 대폭 향상하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한 예가 된다.
이 관점으로부터도 일반식(1) 및 (2-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는 일반식(3), (3-1)∼(3-4)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인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식(3), (3-2) 또는 (3-4)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가 보다 바람직하고,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가 특히 바람직하다.
<아조 화합물>
본 발명은 상기 일반식(2-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에도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31
(일반식(2-1) 중 G2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2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A2'은 하기 일반식(A-1)∼(A-18), (A-20)∼(A-28), (A-30)∼(A-32)을 나타낸다. m, n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n=2인 경우에는 R21, R22, G2 또는 A2'을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21, R22, G2 또는 A2'을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21, R22, G2 또는 A2'을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2-1)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32
(일반식(A-1)∼(A-18), (A-20)∼(A-28), (A-30)∼(A-32) 중 R51∼R59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치환기는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은 일반식(2-1)의 아조기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일반식(A-1)∼(A-18), (A-20)∼(A-28), (A-30)∼(A-32) 중 R51∼R59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치환기는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은 일반식(2-1)의 아조기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2-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은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A2'이 (A-10), (A-14)∼(A-16) 또는 (A-26)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2-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3)의 아조 화합물,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33
(일반식(3) 중 R21, R22, R55, R59, m, n은 일반식(2-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Z는 하멧의 σp값이 0.2이상인 전자 구인성기를 나타낸다. n=2인 경우에는 R21, R22, R55, R59 또는 Z를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21, R22, R55, R59 또는 Z를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21, R22, R55, R59 또는 Z를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3)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상기 일반식(2-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A2'이 (A-1)∼(A-9), (A-11)∼(A-13), (A-17), (A-20)∼(A-23), (A-27), (A-28), (A-30)∼(A-32)인 것이 바람직하고, (A-11)∼(A-13), (A-17), (A-20)∼(A-23), (A-27), (A-28), (A-30)∼(A-3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A-17), (A-20), (A-22)∼(A-23), (A-27), (A-28), (A-31), (A-32)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A-20), (A-28), (A-3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A-2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A-20)의 R56이 R59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일반식(2-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2-2)의 아조 화합물,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34
(일반식(2-2) 중 G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아실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술포닐 또는 아릴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A2는 하기 일반식(A-17), (A-18), (A-20), (A-22)∼(A-24), (A-27), (A-28), (A-31), (A-32)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m은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n=2인 경우에는 R1, R2 또는 A2를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1, R2 또는 A2를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1, R2 또는 A2를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2-2)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35
(일반식(A-17), (A-18), (A-20), (A-22)∼(A-24), (A-27), (A-28), (A-31), (A-32)(식 중 R55∼R59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인접하는 R55와 R56, R56과 R57, R55와 R58, R56과 R58, R55와 R59는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은 일반식(2-2)의 아조기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2-2)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2-3)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36
(일반식(2-3) 중 R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56 및 R58은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m은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R56과 R58은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n=2인 경우에는 R1, R2, R56 및 R58을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1, R2, R56 및 R58을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1, R2, R56 및 R58을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2-3)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본 발명의 일반식(2-1), (2-2), (2-3), (2) 및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의 염, 수화물 및 그 호변 이성체로서는 본 발명의 아조 안료염, 수화물 및 그 호변 이성체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인 아조 화합물은 아조 안료로서 유용하다.
이하에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 및 아조 화합물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조 안료 및 본 발명의 아조 화합물은 하기의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구체예의 구조는 화학 구조상 취할 수 있는 수종의 호변 이성체 중에서 극한 구조식의 형태로 나타내어지지만, 기재된 구조 이외의 호변 이성체 구조이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37
Figure 112011003662957-pct00038
Figure 112011003662957-pct00039
Figure 112011003662957-pct00040
Figure 112011003662957-pct00041
Figure 112011003662957-pct00042
Figure 112011003662957-pct00043
Figure 112011003662957-pct00044
Figure 112011003662957-pct00045
Figure 112011003662957-pct00046
Figure 112011003662957-pct00047
Figure 112011003662957-pct00048
Figure 112011003662957-pct00049
Figure 112011003662957-pct00050
Figure 112011003662957-pct00051
Figure 112011003662957-pct00052
Figure 112011003662957-pct00053
Figure 112011003662957-pct00054
Figure 112011003662957-pct00055
Figure 112011003662957-pct00056
Figure 112011003662957-pct00057
Figure 112011003662957-pct00058
본 발명의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는 화학 구조식이 일반식(1) 또는 그 호변 이성체이면 좋고, 다형이라고도 불리는 어떠한 결정 형태의 안료라도 좋다.
결정 다형은 동일한 화학 조성을 갖지만, 결정 중에 있어서의 빌딩 블록(분자또는 이온)의 배치가 다른 것을 말한다. 결정 구조에 의해 화학적 및 물리적 성질이 결정되고, 각 다형은 레올로지, 색, 및 다른 색특성에 의해 각각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다형은 X-Ray Diffraction(분말 X선 회절 측정 결과)이나 X-Ray Analysis(X선 결정 구조 해석 결과)에 의해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1) 및 (2)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에 결정 다형이 존재하는 경우, 어떠한 다형이라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의 다형의 혼합물이어도 좋지만, 결정형이 단일인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결정 다형이 혼입되지 않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일의 결정형을 갖는 아조 안료의 함유량은 아조 안료전체에 대하여 70%∼100%, 바람직하게는 80%∼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95%∼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이다. 단일인 결정형을 갖는 아조 안료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색소 분자의 배열에 대하여 규칙성이 향상하고, 분자내·분자간 상호 작용이 강해져 고차원인 3차원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로서 색상의 향상·광 견뢰성·열 견뢰성·습도 견뢰성·산화성 가스 견뢰성 및 내용제성 등, 안료에 요구되는 성능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아조 안료에 있어서의 결정 다형의 혼합비는 단결정 X선 결정 구조 해석, 분말 X선 회절(XRD), 결정의 현미경 사진(TEM), IR(KBr법) 등의 고체의 물리 화학적 측정값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호변이성 및/또는 결정 다형의 제어는 커플링 반응시의 제조 조건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는 산기가 있을 경우에는 산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염형의 것이어도 좋고, 염형의 안료와 유리 산형의 안료가 혼재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의 염형의 예로서 Na, Li, K 등의 알칼리 금속염,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암모늄염 또는 유기 아민염이 열거된다. 유기 아민의 예로서, 저급 알킬 아민, 히드록시 치환 저급 알킬 아민, 카르복시 치환 저급 알킬 아민 및 탄소수 2∼4개의 알킬렌 이민 단위를 2∼10개 갖는 폴리아민 등이 열거된다. 이들의 염형의 경우, 그 종류는 1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종 혼재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안료의 구조에 있어서, 그 1분자 중에 산기가 여러개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복수의 산기는 염형 또는 산형이며 서로 다른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는 결정 중에 수분자를 포함하는 수화물이어도 좋다.
다음에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4)으로 나타내어지는 헤테로환 아민을 비수계 산성에서 디아조늄화하고, 하기 일반식(5)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과 산성상태에서 커플링 반응을 행하는, 상법에 의한 후처리를 행하여 본 발명의 일반식(6)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4) 대신에 일반식(1)의 A에 대응하는 헤테로환 아민을 사용하는, 동일한 조작을 행함으로써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를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59
(식 중 R55, R58 및 R59는 상기 일반식(2-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60
(식 중 R1, R2 및 m은 상기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이하에 반응 스킴을 나타낸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61
(식 중 G, R1∼R2, R55, R58, R59, n 및 m은 일반식(1), 일반식(2-1) 및 일반식(3)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상기 일반식(4) 및 (A-1)∼(A-32)의 아미노체에 대응하는 헤테로환 아민은 시판품으로 입수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공지 관용의 방법,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4022271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5)으로 나타내어지는 헤테로환 커플러는 시판품으로 입수할 수도 있지만, 일본국 특허공개 2008-13472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 및 그것에 준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 스킴으로 나타내어지는 헤테로환 아민의 디아조늄화 반응은 예를 들면, 황산, 인산, 질산 등의 산성 용매 중, 아질산나트륨, 니트로실황산, 아질산 이소아밀 등의 시약과 15℃이하의 온도에서 10분∼6시간정도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커플링 반응은 상술의 방법으로 얻어진 디아조늄염과 상기 일반식(5)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40℃이하, 바람직하게는 25℃이하에서 10분∼12시간 정도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일반식(1)의 n이 2이상인 경우의 합성 방법은 일반식(4) 또는 일반식(5)의 R1∼R2, R55, R59, Z 등에 있어서, 치환 가능한 2가, 3가 또는 4가의 치환기를 도입한 원료를 합성하고, 상기 스킴과 마찬가지로 합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반응시킨 것은 결정이 석출하고 있는 것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반응액에 물 또는 알콜계 용매를 첨가하고, 결정을 석출시켜 결정을 여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반응액에 알콜계 용매, 물 등을 첨가해서 결정을 석출시켜 석출한 결정을 여과 수집할 수 있다. 여과 수집한 결정을 필요에 따라서 세정·건조하여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는 조아조 안료(crude)로서 얻어지지만, 본 발명의 안료로서 사용할 경우, 후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처리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솔벤트 솔트 밀링, 솔트 밀링, 드라이 밀링, 솔벤트 밀링, 애시드 페이스팅 등의 연마 처리, 용매 가열 처리 등에 의한 안료 입자 제어 공정, 수지, 계면활성제 및 분산제 등에 의한 표면 처리 공정이 열거된다.
본 발명의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는 후처리로서 용매 가열 처리 및/또는 솔벤트 솔트 밀링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 가열 처리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클로로벤젠, o-디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탄올 등의 알콜계 용매,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등의 극성 비프로톤성 유기용매, 빙초산, 피리딘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열거된다. 상기에서 열거한 용매에 무기 또는 유기의 산 또는 염기를 더 첨가해도 좋다. 용매 가열 처리의 온도는 소망하는 안료의 1차 입자 지름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40∼150℃가 바람직하고, 60∼10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처리 시간은 30분∼24시간이 바람직하다.
솔벤트 솔트 밀링으로서는 예를 들면, 조아조 안료와 무기염과 그것을 용해하지 않는 유기 용제를 혼합기에 넣고, 그 중에서 혼합 연마를 행하는 것이 열거된다. 상기 무기염으로서는 수용성 무기염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균 입자 지름 0.5∼50㎛의 무기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무기염의 사용량은 조아조 안료에 대하여 3∼20질량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15질량배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로서는 수용성 유기 용제가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고, 혼련시의 온도 상승에 의해 용제가 증발하기 쉬운 상태가 되기 때문에 안전성의 점으로부터 고비점 용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액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액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2-(메톡시메톡시)에탄올, 2-부톡시에탄올, 2-(이소펜틸옥시)에탄올, 2-(헥실옥시)에탄올,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메톡시-2-프로판올, 1-에톡시-2-프로판올, 디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 혼합물이 열거된다. 그 수용성 유기 용제의 사용량은 조아조 안료에 대하여 0.1∼5질량배가 바람직하다. 혼합 온도는 20∼130℃가 바람직하고, 40∼110℃가 특히 바람직하다. 혼합기로서는 예를 들면 니더나 믹스뮬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안료 분산물(1)]
본 발명의 안료 분산물은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 호변 이성체, 그 염 또는 수화물을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색채적 특성, 내구성 및 분산 안정성이 우수한 안료 분산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료 분산물은 수계이어도 비수계이어도 좋지만, 수계의 안료 분산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계 안료 분산물에 있어서 안료를 분산시키는 수성의 액체는 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소망에 의해 친수성 유기 용제를 첨가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sec-부탄올, t-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시클로헥산올, 벤질알콜 등의 알콜류,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헥산디올, 펜탄디올, 글리세린, 헥산트리올, 티오디글리콜 등의 다가 알콜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등의 글리콜 유도체,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N-에틸디에탄올아민, 모르폴린, N-에틸모르폴린,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폴리에틸렌이민, 테트라메틸프로필렌디아민 등의 아민, 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술포란, 2-피롤리돈, N-메틸-2-피롤리돈, N-비닐-2-피롤리돈, 2-옥사졸리돈,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등이 열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계 안료 분산물에는 수성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수성 수지로서는 물에 용해하는 수용해성의 수지, 물에 분산되는 수분산성의 수지,콜로이달 디스퍼션 수지 또는 그들의 혼합물이 열거된다. 수성 수지로서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스티렌-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우레탄계, 불소계 등의 수지가 열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계 안료 분산물이 수성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율은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안료에 대하여 0∼100질량%로 할 수 있다.
또한, 안료의 분산 및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계면활성제 및 분산제를 사용해도 좋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양쪽 이온성의 계면활성제가 열거되고, 어느 쪽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해도 좋지만,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계 안료 분산물이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율은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안료에 대하여 0∼100질량%로 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산염, 알킬황산 에스테르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디아릴에테르디술폰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황산염, 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인산 에스테르염, 글리세롤보레이트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열거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블록 코폴리머,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불소계, 실리콘계 등이 열거된다.
본 발명의 비수계 안료 분산물은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를 비수계 비히클에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것이다. 비수계 비히클에 사용되는 수지는 예를 들면, 석유 수지, 카제인, 셀락, 로진변성 말레인산 수지, 로진변성 페놀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환화 고무, 염화 고무, 산화 고무, 염산 고무, 페놀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미노 수지, 에폭시 수지, 비닐 수지, 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건성유, 합성 건성유, 스티렌/말레인산 수지, 스티렌/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수지염소화 폴리프로필렌, 부티랄 수지, 염화 비닐리덴 수지 등이 열거된다. 비수계 비히클로서,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비수계 비히클에 사용되는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톨루엔이나 크실렌, 메톡시벤젠 등의 방향족계 용제, 아세트산 에틸이나 아세트산 부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트산 에스테르계 용제, 에톡시에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프로피오네이트계 용제,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콜계 용제, 부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제,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계 용제, 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N,N-디메틸포름아미드, γ-부티로락탐, N-메틸-2-피롤리돈, 아닐린, 피리딘 등의 질소 화합물계 용제, γ-부티로락톤 등의 락톤계 용제, 카르바민산 메틸과 카르바민산 에틸의 48:52의 혼합물과 같은 카르바민산 에스테르 등이 열거된다.
[착색 조성물]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적어도 1종의 본 발명의 아조 안료를 함유하는 착색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매체를 함유시킬 수 있지만, 매체로서 용매를 사용한 경우에는 특히 잉크젯 기록용 잉크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매체로서, 친유성 매체나 수성 매체를 이용하고, 그들 중에 본 발명의 아조 안료를 분산시킴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성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는 매체를 제외한 잉크용 조성물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기타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내에 있어서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의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건조 방지제(습윤제), 퇴색 방지제, 유화 안정제, 침투 촉진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방미제, pH 조정제, 표면장력 조정제, 소포제, 점도 조정제, 분산제, 분산 안정제, 방청제, 킬레이트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일본국 특허공개 2003-306623호 공보에 기재)가 열거된다. 이들의 각종 첨가제는 수용성 잉크인 경우에는 잉크액에 직접 첨가한다. 유용성 잉크인 경우에는 아조 안료 분산물의 조제 후 분산물에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조제시에 유상 또는 수상에 첨가해도 좋다.
[잉크젯 기록용 잉크]
다음에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잉크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잉크(이하, 「잉크」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는 상기에서 설명한 안료 분산물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용매, 물 등을 혼합해서 조제된다. 단, 특별히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본 발명의 안료 분산물을 그대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잉크 중의 안료 분산물의 함유 비율은 기록 매체 상에 형성한 화상의 색상, 색농도, 색상, 투명성 등을 고려하면, 1∼10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3∼20질량%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3∼10질량%의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잉크 100질량부 중에 본 발명의 안료를 0.1질량부 이상 20질량부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2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에는 본 발명의 안료와 함께, 다른 안료를 병용해도 좋다. 2종류 이상의 안료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안료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범위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잉크는 단색의 화상 형성 뿐만아니라, 풀컬러의 화상 형성에 사용할 수 있다. 풀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마젠타 색조 잉크, 시안 색조 잉크 및 옐로우 색조 잉크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색조를 조절하기 위해서, 블랙 색조 잉크를 더 사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잉크는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조 안료 이외에 별도의 안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적용할 수 있는 옐로우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I.P.Y.74, C.I.P.Y.128, C.I.P.Y.155, C.I.P.Y.213이 열거되고, 적용할 수 있는 마젠타 안료로서는 C.I.P.V.19, C.I.P.R.122이 열거되고, 적용할 수 있는 시안 안료로서는 C.I.P.B.15:3, C.I.P.B.15:4가 열거되고, 이들과는 별도로, 각각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적용할 수 있는 흑색재로서는 디스아조, 트리스아조, 테트라아조 안료 외, 카본블랙의 분산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잉크에 사용되는 수용성 용매로서는 다가 알콜류, 다가알콜류 유도체, 질소 함유 용매, 알콜류, 황함유 용매 등이 사용된다.
구체예로서는 다가 알콜류에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5-펜탄디올, 1,2,6-헥산트리올, 글리세린 등이 열거된다.
상기 다가 알콜 유도체로서는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글리세린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등이 열거된다.
또한, 상기 질소 함유 용매로서는 피롤리돈, N-메틸-2-피롤리돈, 시클로헥실피롤리돈, 트리에탄올아민 등이, 알콜류로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알콜, 벤질알콜 등의 알콜류가, 황함유 용매로서는 티오디에탄올, 티오디글리세롤, 술포란, 디메틸술폭시드 등이 각각 열거된다. 기타, 탄산 프로필렌, 탄산 에틸렌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성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류 이상 혼합해서 사용해도 상관없다. 수용성 용매의 함유량으로서는 잉크 전체의 1질량% 이상 6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40질량% 이하로 사용된다. 잉크 중의 수용성 용매량이 1질량%보다도 적을 경우에는 충분한 광학 농도가 얻어지지 않을 경우가 존재하고, 반대로 60질량%보다도 많을 경우에는 액체의 점도가 커지고, 잉크액체의 분사 특성이 불안정하게 될 경우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잉크의 바람직한 물성은 이하와 같다.
잉크의 표면 장력은 20mN/m 이상 60m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N 이상 45mN/m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mN/m 이상 35mN/m 이하이다. 표면 장력이 20mN/m 미만이 되면 기록 헤드의 노즐면에 액체가 넘쳐 흘러 정상으로 인자할 수 없을 경우가 있다. 한편, 60mN/m을 초과하면, 인자 후의 기록 매체로의 침투성이 늦어져 건조 시간이 늦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표면 장력은 상기와 동일한 윌헬미형 표면장력계(Wilhelmy Surface Tension Balance)를 이용하여, 23℃, 55% RH의 환경하에서 측정했다.
잉크의 점도는 1.2mPa·s 이상 8.0mPa·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mPa·s 이상 6.0mPa·s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8mPa·s 이상4.5mPa·s 미만이다. 점도가 8.0mPa·s보다 클 경우에는 토출성이 저하할 경우가 있다. 한편, 1.2mPa·s보다 작을 경우에는 장기 분사성이 악화할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점도(후술하는 것을 포함)의 측정은 회전점토계 레오매트115(Contraves Co. 제작)을 사용하고, 23℃에서 전단속도를 1400s-1로 하여 행했다.
잉크에는 상기 각 성분에 더해서, 상기의 바람직한 표면장력 및 점도가 되는 범위에서, 물이 첨가된다. 물의 첨가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잉크 전체에 대하여 10질량% 이상 99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토출성 개선 등의 특성 제어를 목적으로 하여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아민류,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다당류 및 그 유도체 기타 수용성 폴리머, 아크릴계 폴리머 에멀션, 폴리우레탄계 에멀션, 친수성 라텍스 등의 폴리머 에멀션, 친수성 폴리머겔, 시클로덱스트린, 대환상 아민류, 덴드리머, 크라운에테르류, 요소 및 그 유도체, 아세트아미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전율, pH를 조정하기 위해서,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류의 화합물, 수산화암모늄,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에탄올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의 질소 함유 화합물,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류의 화합물, 황산, 염산, 질산 등의 산, 황산 암모늄 등의 강산과 약알칼리의 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타 필요에 따라, pH 완충제, 산화 방지제, 방미제, 점도 조정제, 도전제, 자외선 흡수제 등도 첨가할 수 있다.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은 상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이하, 단지 착색 조성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은 적어도 1종의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를 함유하는 착색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중합성 화합물 및 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을 제조할 때,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얻어진 아조 안료는 그대로 배합해도, 용제 중에 분산된 안료 분산물을 배합해도 좋다. 아조 안료는 안료 분산물로 함으로써 색채적 특성, 내구성 및 분산 안정성, 내광성이나 내후성이 우수한 것이 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있어서의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다른 안료를 병용하고 있을 경우에는 사용한 안료의 합계량)의 사용량은 중합성 화합물 1질량부에 대하여, 0.01∼2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성 화합물]
중합성 화합물은 컬러 필터의 제조 프로세스를 고려해서 적당하게 선택하면 되고,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감광성 화합물 및/또는 열경화성 화합물 등이 열거되지만, 감광성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감광성 화합물로서는 광중합성 수지, 광중합성 모노머 및 광중합성 올리고머중 적어도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에는 경화한 상태에서 수지가 되는 것을 포함하면 좋고, 미경화의 상태에서는 수지화되지 않는 성분만이 포함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광중합성 화합물, 광중합성 모노머 및 광중합성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형 에폭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F형 에폭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플루오렌형 에폭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등이 열거된다. 또한, 아크릴산(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공)중합체, 말레인산(공)중합체등의 비닐 수지나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등의 측쇄에 에틸렌성 2중 결합을 갖는 수지류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중합성 화합물의 배합량은 20∼90질량%, 바람직하게는 40∼80질량%의 범위가 좋다.
중합성 화합물의 배합률은 컬러 필터용 조성물 중의 전체 고형분 중 40∼9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0∼9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조성물 중에는 필요에 따라서 다른 수지류 등을 배합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다른 수지류를 합한 합계량이 상기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체 고형분이란 건조, 경화 후에 고형분으로서 잔존하는 성분을 말하고, 용제를 포함하지 않고, 단량체를 포함한다.
[광중합 개시제]
중합성 화합물로서 감광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감광성 화합물의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와 함께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벤조페논 유도체, 아세토페논 유도체, 벤조인 유도체, 벤조인 에테르 유도체, 티오크산톤 유도체, 안트라퀴논 유도체, 나프토퀴논 유도체 및 트리아진 유도체 등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열거된다. 이들의 광중합 개시제와 함께, 또한 공지의 광증감제를 사용해도 좋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알키드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시클로펜타디엔 수지 등이 열거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있어서, 「감광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는 각각 경화 후의 수지뿐만아니라, 중합성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의 감광성 수지 및/또는 열경화성 수지와 함께, 다른 중합성 화합물로서, 산성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 및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등 일반적으로 잉크에 사용되는 수지를 사용해도 좋다.
[용제]
안료 분산물은 수계이어도 비수계이어도 좋지만, 그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다르고,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래피법에서는 비수계가 바람직하고, 잉크젯법에서는 어느 쪽이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사용하는 용제로서는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디아세톤알콜 등의 케톤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류;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등의 알콜류;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헥산트리올 등의 글리콜류;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류;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칸올 아민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2-피롤리돈,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등의 질소 함유 극성 유기용매; 물 등이 열거된다.
이들 용제 중 수용성인 것은 물과 혼합해서 수성 매체로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물을 제외한 상기의 용제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유성 매체로서 사용해도 좋다.
안료 분산물로 된 아조 안료는 안료 분산물로 되지 않은 아조 안료와 비교하여 내광성이나 내후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를 2종 이상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를 포함한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62
(일반식(2) 중 G2는 수소 원자,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1은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2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A2는 하기 일반식(A-1)∼(A-32)을 나타낸다. m, n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n=2인 경우에는 R21, R22, G2 또는 A2를 통한 2량체를 나타낸다. n=3인 경우에는 R21, R22, G2 또는 A2를 통한 3량체를 나타낸다. n=4인 경우에는 R21, R22, G2 또는 A2를 통한 4량체를 나타낸다. 일반식(2)이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63
(일반식(A-1)∼(A-32) 중 R51∼R59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치환기는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은 일반식(2)의 아조기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2)에 있어서, A2는 (A-1), (A-4)∼(A-11), (A-13)∼(A-17), (A-19)∼(A-23), (A-25)∼(A-32)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에 사용하는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는 상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와 함께, 다른 종의 안료, 예를 들면, 아조계 안료, 디스아조계 안료, 벤즈이마다졸론계 안료, 축합 아조계 안료, 아조레이크계 안료, 안트라퀴논계 안료, 디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 퀴나크리돈계 안료, 이소인돌린계 안료, 이소인돌리논계 안료, 페리논계 안료, 페릴렌계 안료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안료 또는 그 유도체를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병용해도 좋은 안료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컬러 인덱스(C.I.; The Society of Dyers and Colourists사 발행)에 있어서 피그먼트(Pigment)에 분류되어 있는 화합물, 즉, 하기와 같은 컬러 인덱스(C.I.) 번호가 붙어있는 것을 들 수 있다.
C.I. 피그먼트 옐로우 1, C.I.피그먼트 옐로우 3, C.I.피그먼트 옐로우 12, C.I.피그먼트 옐로우 13, C.I.피그먼트 옐로우 83, C.I.피그먼트 옐로우 138, C.I.피그먼트 옐로우 139, C.I.피그먼트 옐로우 150, C.I.피그먼트 옐로우 180, C.I.피그먼트 옐로우 185 등의 옐로우계 피그먼트; C.I.피그먼트 레드 1, C.I.피그먼트 레드 2, C.I.피그먼트 레드 3, C.I.피그먼트 레드 177, C.I.피그먼트 레드 254 등의 레드계 피그먼트; 및 C.I.피그먼트 블루 15, C.I.피그먼트 블루 15:3, C.I.피그먼트 블루 15:4, C.I.피그먼트 블루 15:6 등의 블루계 피그먼트; C.I.피그먼트 그린 7, C.I.피그먼트 그린 36 등의 그린계 피그먼트; C.I.피그먼트 바이올렛 23, C.I.피그먼트 바이올렛 23:19 등이 열거된다.
또한, 상기 무기 안료의 구체예로서는 산화 티탄, 황산 바륨, 탄산 칼슘, 아연화, 황산납, 황색납, 아연황, 벵가라(적색 산화철(III)), 카드뮴 적색, 군청, 감청, 산화크롬 녹색, 코발트 녹색, 앰버(amber), 티탄 블랙, 합성 철흑, 카본 블랙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 이외의 다른 안료를 병용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착색 조성물 중의 안료의 총질량 중 50질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라는 단어는 1종의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 뿐만아니라, 2종 이상의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의 조합 및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와 다른 안료의 조합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안료 분산물(2)]
안료 분산물은 상기의 아조 안료 및 수계 또는 비수계의 매체를, 분산 장치 를 이용하여 분산하는 것으로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 장치로서는 간단한 스터러나 임펠러 교반 방식, 인라인 교반 방식, 밀 방식(예를 들면, 콜로리드 밀, 볼밀, 샌드 밀, 비즈 밀, 아트라이터, 롤 밀, 제트 밀, 페인트 셰이커, 아지테이터 밀 등), 초음파 방식, 고압 유화 분산 방식(고압 호모지나이저; 구체적인 시판 장치로서는 가울린 호모지나이저(Gaulin Homogenizer),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Microfluidizer), DeBE E200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료의 체적 평균 입자 지름은 10nm 이상 25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료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 지름이란 안료 그 자체의 입자 지름 또는 안료에 분산제 등의 첨가물이 부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첨가물이 부착된 입자 지름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료의 체적 평균 입자 지름의 측정 장치에는 나노 트랙 UPA 입도 분석계(UPA-EX150; Nikkiso Co., Ltd. 제작)을 사용했다. 그 측정은 안료 분산물 3ml를 측정 셀에 넣고, 소정의 측정 방법을 따라 행했다. 또한, 측정시에 입력하는 파라미터로서는 점도에는 잉크 점도를, 분산 입자의 밀도에는 안료의 밀도를 사용했다.
보다 바람직한 체적 평균 입자 지름은 20nm 이상 250nm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nm 이상 230nm 이하이다. 안료 분산물 중의 입자의 수평균 입자 지름이 20nm 미만일 경우에는 보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을 경우가 존재하고, 한편, 250nm를 초과할 경우에는 광학 농도가 낮아질 경우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안료 분산물에 포함되는 안료의 농도는 1∼35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2∼25질량%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이면 표면 장력, 점도 등의 분산물의 물성값을 조정하기 쉬워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조 안료는 그 용도에 적당한 내용제성, 분산성, 열이동성 등의 물성을 치환기로 조정해서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아조 안료는 사용되는 계에 따라서 유화 분산 상태, 또는 고체 분산 상태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성분을 단시간으로 양호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 분산제를 조성물에 포함시켜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에는 계면활성제, 실리콘계 첨가제, 안료계의 첨가제, 실란계 커플링제 및 티탄계 커플링제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분산제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이하에 상기의 분산제의 구체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 작용을 갖는 것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양이온성, 음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등의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고, 그 구체예로서는 알칸술폰산염, 직쇄 알킬벤젠설폰산염, 분기쇄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나프탈렌술폰산염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알킬 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및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아민염 및 4급 아민염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베타인 등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쪽성 중 어느 것이어도 좋은 고분자계 계면활성제 등이 열거된다.
실리콘계 첨가제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알킬실록산, 폴리알킬페닐실록산, 폴리 오르가노실록산,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오르가노실록산폴리에테르 코폴리머, 폴리플루오로실록산, 오르가노실록산 등이 열거된다. 이들의 실리콘계 첨가제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안료계의 첨가제란 안료 골격에 염기성기, 산성기, 직쇄 알킬기, 분기쇄 알킬기, 폴리옥시에틸렌기 등의 치환기를 도입한 안료 유도체이다. 바람직한 안료 골격으로서는 모노아조계 안료, 디스아조계 안료, 벤즈이미다졸론계 안료, 축합 아조계 안료, 아조레이크계 안료, 안트라퀴논계 안료, 디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 퀴나크리돈계 안료, 이소인돌린계 안료, 이소인돌리논계 안료, 페리논계 안료, 페릴렌계 안료 등이 열거된다.
이들 안료계의 첨가제 중에서도 아조계 안료의 골격에, 상기 치환기를 도입한 것이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과의 친화성이 좋아 바람직하다.
실란계 커플링제의 구체예로서는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디페닐디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디페닐디에톡시실란, n-부틸트리메톡시실란,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 트리메틸메톡시실란, 히드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헥사데실트리메톡시실란 및 n-옥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등이 열거된다.
티탄계 커플링제의 구체예로서는 이소프로필트리(N-아미노에틸아미노에틸)티타네이트 및 디부톡시트리에탄올아민티타네이트 등이 열거된다.
상기의 분산제의 사용량은 사용하는 분산제의 종류에도 의하지만,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1∼100질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80질량부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분산제의 사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법용의 착색 조성물의 조제방법을 따르면 된다.
본 발명은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의 조제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의 조제방법은 계면활성제, 실리콘계 첨가제, 안료계의 첨가제, 실란계 커플링제 및 티탄계 커플링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산제 및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을 용제의 일부에 분산시켜 안료 분산체를 얻는 공정, 및 상기 안료 분산체를 중합성 화합물 및 여분의 용제와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의 조제방법으로서는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컬러 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컬러 필터는 높은 콘트라스트 및 양호한 광 투과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650nm의 파장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광투과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컬러 필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공지의 어느 쪽의 방법을 이용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포토리소그래피법 및 잉크젯법이 열거된다. 이하, 포토리소그래피법 및 잉크젯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포토리소그래피법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컬러 필터를 형성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의 중합성 화합물로서, 감광성 수지를 사용한다. 감광성 수지는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로서 광중합 개시제와 함께 착색 조성물 중에 배합되어, 광조사에 의해 경화되어 투명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한다.
감광성 수지로서는 상술의 분자 중에 하나 이상의 에틸렌성 2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감광성 수지(중합성 단량체)로서는 특히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롤디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열거된다.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상술의 감광성 수지에 더하여, 산성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를 사용한다. 산성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로서는 카르복실기, 수산기, 술폰산기 등을 갖는 수지가 열거되고, 카르복실기 및/또는 수산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의 산성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로서는 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스티렌, 아세트산 비닐, 염화비닐, N-비닐피롤리돈 및 아크릴아미드 등에서 선택되는 에틸렌성 2중 결합을 갖는 단량체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p-스티렌 카르복실산, p-스티렌술폰산, p-히드록시스티렌 및 무수 말레인산 등으로부터 선택 되는 산성기를 갖는 에틸렌성 2중 결합을 갖는 단량체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산성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는 감광성 수지(중합성 단량체) 1질량부에 대하여, 0.5∼4질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3질량부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포토리소그래피법의 착색 조성물에 사용하는 용제로서는 지방산 에스테르류, 케톤류, 방향족류, 알콜류, 글리콜류, 글리세린, 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류, 에테르류 및 질소 함유 극성 유기용매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성 매체가 열거된다.
이들 용제의 사용량은 착색 조성물 중의 용제 이외의 성분의 총질량에 대하여 3∼30배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4∼15배 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포토리소그래피법의 착색 조성물에 상술의 성분의 이외에 필요에 따라, 습윤제, 퇴색 방지제, 유화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방미제, pH 조정제, 표면 장력 조정제, 소포제, 점도 조정제, 분산 안정제, 방청제, 킬레이트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일본국 특허공개 2003-306623호 공보에 기재)가 열거된다. 이들의 각종 첨가제는 조제시에 유상 또는 수상에 첨가해도 좋다.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은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 중합성 화합물, 용제, 및 기타 각종 첨가제를, 예를 들면 비즈 밀, 볼 밀, 샌드 밀, 2본롤 밀, 3본롤 밀, 호모지나이저, 니더, 진동 분산기 등의 기기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키는 공정 및 상기 용제 등을 이용하여 점도 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을 이용하여 컬러 필터를 기판 상에 형성시키는 방법은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을 인쇄법, 스프레이법, 바코트법, 롤코트법, 스핀코트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판 상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공정, 가열에 의해 잉크 중의 용제를 제거하는 공정, 디스플레이 기판 상의 컬러 필터 패턴을 고압 수은 램프등을 사용하여 노광하는 공정, 알칼리 현상 공정, 세정 공정, 및 베이킹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컬러 필터가 얻어진다.
상기 본 발명의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에 사용하는 현상액으로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용해하고, 한편 방사선 조사부를 용해하지 않는 조성물이면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유기 용제의 조합이나 알칼리성의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제로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조정할 때에 사용되는 상술의 용제가 열거된다.
알칼리성의 수용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탄산 나트륨, 규산 나트륨, 메타규산 나트륨, 암모니아수,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테트라에틸암모늄히드록시드, 콜린, 피롤, 피페리딘,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 등의 알칼리성 화합물을 농도가 0.001∼10질량%, 바람직하게는 0.01∼1질량%가 되도록 용해한 알칼리성 수용액이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알칼리성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액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현상 후, 물로 세정한다.
2) 잉크젯법
컬러 필터를 잉크젯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의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잉크젯 방식용 잉크에 종래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감광성 수지 및/또는 열경화성 수지의 단량체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들 감광성 수지로서는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및 에폭시 수지 등이 열거되고, 아크릴 수지 및 메타크릴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아크릴 수지 및 메타크릴 수지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아미드, 메타크릴산 아미드, 알킬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광중합성의 단량체와 벤조페논 유도체, 아세토페논 유도체, 벤조인 유도체, 벤조인에테르 유도체, 티오크산톤 유도체, 안트라퀴논 유도체, 나프토퀴논 유도체 및 트리아진 유도체 등의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광중합 개시제를 조합시켜서 사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광중합성 단량체 이외에,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아세트산 비닐 등의 친수성기를 갖는 광중합성 단량체를 첨가해도 좋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알키드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및 시클로펜타디엔 수지 등이 열거된다.
잉크젯법을 사용하는 경우, 착색 조성물에 사용하는 용제는 유성 매체라도 수성 매체라도 좋지만, 수성 매체가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수성 매체는 물 또는 물 및 수용성 유기용매의 혼합용매가 사용되지만, 물 및 수용성 유기용매의 혼합용매가 바람직하다. 또한, 탈이온 처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착색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하는 유성 매체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사용하는 착색 조성물용의 용제로서 열거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성 매체 중에 사용하는 용제로서는 알콜류, 케톤류, 에테르류, 글리콜류, 글리세린, 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알킬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류, 알칸올아민류 및 질소 함유 극성 유기용매 등으로부터 선택되고, 수용성을 갖는 것이 열거된다. 이들의 수용성 유기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좋다.
이들 용제의 사용량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착색 조성물의 점도가 실온에서 20m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10mPa·s 이하가 되도록 사용량을 적당하게 조절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잉크젯용의 착색 조성물은 포토리소그래피법용의 착색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성분을 분산, 혼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분산시에는 필요에 따라, 포토리소그래피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산제를 배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잉크젯용의 착색 조성물에 상술의 성분 이외에 필요에 따라, 습윤제, 퇴색 방지제, 유화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방미제, pH 조정제, 표면 장력 조정제, 소포제, 점도 조정제, 분산 안정제 등의 공지의 각종 첨가제를 포함해서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얻어진 착색 조성물을 사용한 컬러 필터의 형성 방법은 공지의 잉크젯 방식에 의한 컬러 필터의 형성 방법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판 상에 액적상으로 소정의 컬러 필터 패턴을 형성시키는 공정, 이것을 건조시키는 공정 및 열처리 또는 광조사 또는 이들의 쌍방을 행하여 기판 상의 컬러 필터 패턴을 경화, 피막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컬러 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 포토리소그래피법과 잉크젯법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컬러 필터는 다른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이라도 좋다.
상기 이외의 컬러 필터 형성 방법(예를 들면, 오프셋 인쇄법 등의 각종 인쇄법)을 사용하는 경우이어도, 착색 조성물이 상술의 중합성 화합물 및 용제를 포함하고,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를 착색제에 사용하는 것이면,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얻어진 컬러 필터 중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중합성 화합물, 용제, 첨가제 등의 성분 및 컬러 필터 형성시의 처방에 대해서는 관용예를 따라서 선택하면 되고, 상술의 포토리소그래피법 및 잉크젯법의 설명에 열거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해서 얻어지는 본 발명의 컬러 필터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G(녹색), B(청색)의 컬러 필터 패턴과 함께 화소를 형성한다. 이러한 필터는 투명성이 대단히 높고, 분광 특성이 우수하고, 소편광 작용이 작은 선명한 화상을 표시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컬러 필터가 형성된 디바이스를 사용하면, 양호한 분광 특성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 필터는 액정 표시 소자나 CCD, CMOS 등의 고체 촬상 소자에 사용할 수 있고, 100만 화소를 초과하는 바와 같은 고해상도의 CCD 소자나 CMOS 소자 등에도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 및 「부」는 「질량%」 및 「질량부」를 나타낸다.
[합성예 1]
구체적 화합물예 D-1의 합성
구체적 화합물예 D-1의 합성은 이하의 루트로 합성했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64
D-1의 합성
1.0g의 화합물(1)을 10ml의 인산(Wako Pure Chemicals Co., Ltd.; 시약 특급순도 85%, 이하 동일)에 가해서 녹였다. 이 용액을 빙냉해서 -5∼0℃로 유지하고, 아질산나트륨 0.38g을 가해서 1시간 교반하여 디아조늄염 용액을 얻었다. 별도로 화합물(0) 1.30g에 아세토니트릴 25ml을 첨가하여 교반 하에, 상술의 디아조늄염 용액을 8℃이하에서 가했다. 첨가 종료와 동시에 빙욕을 제거하고, 3시간 더 교반했다. 반응액에 아세토니트릴 50ml을 첨가하고, 30분간 교반하고, 석출하고 있는 결정을 여과 선별하고, 아세토니트릴 30ml으로 스프레이 세정을 했다. 결정을 건조하지 않고 물 100ml에 가해, 탄산수소나트륨 0.5g을 물 30ml에 녹인 용액을 첨가하고, 20∼25℃에서 30분간 교반했다. 석출하고 있는 결정을 여과 선별하고, 물로 충분히 더 스프레이 세정했다. 얻어진 결정을 건조시키지 않고 디메틸아세트아미드 50ml에 가해, 100℃에서 가열 교반을 30분간 행했다.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고, 석출하고 있는 결정을 여과하고, 디메틸아세트아미드 30ml로 스프레이 세정을 했다. 얻어진 결정을 건조시키지 않고 디메틸아세트아미드 50ml에 가하고, 물 25ml를 서서히 적하하고, 80℃에서 1시간 교반하고, 실온 하에서 30분간 더 교반했다. 석출하고 있는 결정을 여과하고, 디메틸아세트아미드/물=2/1의 20ml 및 메탄올 20ml로 스프레이 세정했다. 얻어진 결정을 건조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D-1을 1.2g 얻었다. 수율 52%.
도 1에 적외 흡수 차트를 나타낸다.
[합성예 2]
구체적 화합물예 D-33의 합성
구체적 화합물예 D-33의 합성은 이하의 루트로 합성했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65
D-33의 합성
1.0g의 화합물(2)을 10ml의 인산에 가해서 30℃에서 가온하여 녹였다. 이 용액을 빙냉해서 0∼5℃로 유지하고, 아질산나트륨 0.38g을 가해서 1.5시간 교반하여 디아조늄염 용액을 얻었다. 이 디아조늄염 용액을 화합물(0) 1.4g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 5ml에 녹인 용액에 5∼10℃에서 유지하면서 적하하고, 그 후 5∼10℃에서 유지하면서 1시간 교반했다. 그 후에 빙욕을 제거하고, 0.5시간 더 교반했다. 반응액에 아세트산 에틸 50ml를 가하고, 80℃에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했다. 그 반응액에 헥산 50ml를 가하고, 80℃에서 20분간, 실온에서 40분간 더 교반했다. 석출한 결정을 여과 선별하고, 헥산 50ml로 스프레이 세정을 했다. 결정을 건조하지 않고 물200ml, 포화 탄산수소나트륨을 0.1ml 가하여 중화했다. 결정에 아세토니트릴 100ml를 가하고, 80℃에서 3시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고, 석출하고 있는 결정을 여과하고, 아세토니트릴 50ml로 스프레이 세정했다. 얻어진 결정을 건조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D-33을 0.51g 얻었다. 수율 21%.
λmax : 504nm, ε : 1.59×104(CHCl3)
도 2에 적외 흡수 차트를 나타낸다.
[합성예 3]
구체적 화합물예 D-20의 합성
구체적 화합물예 D-20의 합성은 이하의 루트로 합성했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66
D-20의 합성
1.0g의 화합물(3)을 10ml의 인산에 가해서 30℃에서 가온해서 녹였다. 이 용액을 빙냉해서 0∼5℃에서 유지하고, 아질산나트륨 0.35g을 가해서 2시간 교반하고, 디아조늄염 용액을 얻었다. 이 디아조늄염 용액을 화합물(0) 1.3g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 5ml에 녹인 용액에 5∼10℃에서 유지하면서 적하하고, 그 후 5∼10℃에서 유지하면서 20분간, 그 후에 빙욕을 제거하고, 20분간 더 교반했다. 반응액에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00ml를 가하고, 40℃에서 20분간 교반했다. 그 반응액에 아세토니트릴 100ml를 가하고,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했다. 석출한 결정을 여과 선별하고, 아세토니트릴 50ml로 스프레이 세정을 했다. 결정을 건조하지 않고 물 200ml, 포화 탄산수소나트륨을 0.1ml 가하여 중화하고, 디메틸아세트아미드/물=1/1, 30ml을 첨가하고, 내온 80℃에서 45분간 교반했다. 그 후 공냉 하에서 1시간 교반하고,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고, 디메틸아세트아미드/물=1/1, 10ml로 스프레이 세정한 후, 물, 20ml로 스프레이 세정을 했다. 얻어진 결정을 건조하고, 본 발명의 화합물 D-20을 0.49g 얻었다. 수율 21%.
λmax : 493nm, ε : 1.93×104(CHCl3)
도 3에 적외 흡수 차트를 나타낸다.
[합성예 4]
구체적 화합물예 D-22의 합성
구체적 화합물예 D-22의 합성은 이하의 루트로 합성했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67
D-22의 합성
4.5g의 화합물(4)을 45ml의 인산에 가해서 30℃에서 가온하여 녹였다. 이 용액을 빙냉해서 0∼5℃로 유지하고, 아질산나트륨 1.47g을 가해서 1시간 교반하여 디아조늄염 용액을 얻었다. 이 디아조늄염 용액을 화합물(0) 4.5g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 70ml에 녹인 용액에 5∼10℃에서 유지하면서 적하하고, 그 후 5∼10℃에서 유지하면서 30분간, 그 후에 빙욕을 제거하고, 1시간 더 교반했다. 반응액에 물 200ml를 가하고, 석출한 결정을 여과 선별하고, 물 200ml로 스프레이 세정을 했다.결정에 아세토니트릴 200ml을 가하고, 80℃에서 2시간 교반했다. 그 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후에 석출한 결정을 여과 선별했다. 결정은 포화 탄산수소나트륨을 0.1ml 가하여 중화하고, 디메틸아세트아미드/물=1/1, 30ml을 첨가하고, 내부 온도 80℃에서 45분간 교반했다. 그 후, 공냉 하에서 1시간 교반하고,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고, 디메틸아세트아미드/물=1/1, 10ml로 스프레이 세정 후, 물, 20ml로 스프레이 세정을 했다. 얻어진 결정을 건조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D-22를 6.9g 얻었다. 수율 82%.
λmax : 494nm, ε : 1.91×104(CHCl3)
도 4에 적외 흡수 차트를 나타낸다.
[합성예 5]
구체적 화합물예 D-222의 합성
구체적 화합물예 D-222의 합성은 이하의 루트로 합성했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68
1.0g의 화합물(1')을 10ml의 인산(Wako Pure Chemicals Co., Ltd.; 시약 특급 순도 85%, 이하 동일)에 가하여 녹였다. 이 용액을 빙냉해서 -5∼0℃에서 유지하고, 아질산나트륨 0.55g을 가해서 1시간 교반하고, 디아조늄염 용액을 얻었다. 별도로 화합물(0) 1.60g에 NMP(N-메틸피롤리돈) 20ml을 첨가하여 교반 하에, 상술의 디아조늄염 용액을 8℃ 이하에서 가했다. 첨가 종료와 동시에 빙욕을 제거하고, 3시간 더 교반했다. 반응액에 메탄올 50ml를 첨가하고, 30분간 교반하고, 석출하고 있는 결정을 여과 선별하고, 메탄올 30ml로 스프레이 세정을 했다. 결정을 건조하지 않고 물 100ml에 가하고, 탄산수소나트륨 0.5g을 물 30ml에 녹인 용액을 첨가하고, 20∼25℃에서 30분간 교반했다. 석출하고 있는 결정을 여과 선별하고, 물로 충분히 더 스프레이 세정했다. 얻어진 결정을 건조시키지 않고 NMP 20ml, 물 10ml에 가해 100℃에서 가열 교반을 30분간 행했다.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고, 석출하고 있는 결정을 여과하고, NMP/물=2/1의 20ml 및 물 20ml로 스프레이 세정했다. 얻어진 결정을 건조하고, 본 발명의 화합물 D-222을 1.8g 얻었다. 수율 72%.
도 54에 적외 흡수 차트를 나타낸다.
[합성예 6]
구체적 화합물예 D-228의 합성
구체적 화합물예 D-228의 합성은 이하의 루트로 합성했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69
1.0g의 화합물(2')을 10ml의 인산에 가해서 녹였다. 이 용액을 빙냉해서 -5∼0℃로 유지하고, 아질산나트륨 0.54g을 가해서 1시간 교반하고, 디아조늄염 용액을 얻었다. 별도로 화합물(3') 1.60g에 NMP(N-메틸피롤리돈) 20ml을 첨가해 교반 하에, 상술의 디아조늄염 용액을 8℃이하에서 가했다. 첨가 종료와 동시에 빙욕을 제거하고, 1시간 더 교반했다. 반응액에 메탄올 40ml를 첨가하고, 30분간 교반하고, 석출하고 있는 결정을 여과 선별하고, 메탄올 30ml로 스프레이 세정을 했다. 결정을 건조하지 않고 물 100ml에 가해, 20∼25℃에서 30분간 교반했다. 석출하고 있는 결정을 여과 선별하고, 물로 충분히 더 스프레이 세정했다. 얻어진 결정을 건조시키지 않고 NMP 20ml, 물 10ml에 가해, 100℃에서 가열 교반을 30분간 행했다.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고, 석출하고 있는 결정을 여과하고, NMP/물=2/1의 20ml 및 물 20ml로 스프레이 세정했다. 얻어진 결정을 건조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D-228을 2.0g 얻었다. 수율 80%.
도 57에 적외 흡수 차트를 나타낸다.
구체적 화합물예와 마찬가지로 해서 다른 화합물을 합성했다. 합성한 화합물의 적외 흡수 차트를 도 5∼53, 55, 56, 58∼61에 나타낸다.
[비교 화합물의 합성예 1]
비교 화합물 4의 합성
비교 화합물 4의 합성은 이하의 루트로 합성했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70
2.1g의 화합물(a)에 물 15ml, 농염산 2.2ml을 가해서, -2℃∼2℃에서 교반했다. 이 용액에 아질산나트륨 0.72g을 물 5ml에 녹인 용액을 10분간으로 적하하고, 디아조늄염 용액을 얻었다. 별도로 화합물(b) 2.50g에 DMAc 10ml를 첨가하고 교반 하에, 상술의 디아조늄염 용액을 5℃∼10℃에서 가했다. 첨가 종료와 동시에 빙욕을 제거하고, 2시간 더 교반했다. 석출하고 있는 결정을 여과 선별하고, 물 50ml로 세정했다. 얻어진 결정을 메탄올 50ml로 재결정을 행하고, 25℃에서 냉각하고, 석출하고 있는 결정을 여과 선별했다. 얻어진 결정을 건조하고, 비교 화합물 4를 2.4g 얻었다. 수율 51.8%.
[비교 화합물의 합성예 2]
비교 화합물 5의 합성
비교 화합물 5의 합성은 이하의 루트로 합성했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71
1.9g의 화합물(d)에 물 15ml, 농염산 2.2ml을 가해서, -2℃∼2℃에서 교반했다. 이 용액에, 아질산나트륨 0.72g을 물 5ml에 녹인 용액을 10분간으로 적하하고, 디아조늄염 용액을 얻었다. 별도로 화합물(b) 2.6g에 물 40ml와 탄산나트륨 2g을 첨가하고 교반 하에, 상술의 디아조늄염 용액을 5℃∼10℃에서 가했다. 첨가 종료와 동시에 빙욕을 제거하고, 2시간 더 교반했다. 반응액에 포화 식염수 200ml를 첨가했다. 석출한 결정을 여과 선별하고, 포화 식염수 30ml로 스프레이 세정을 하고, 건조했다. 얻어진 결정을 메탄올 100ml로 가열하고, 불용물을 여과했다. 용액을 세파덱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물/메탄올 용액을 농축하고, 석출한 결정을 여과 선별하고, 메탄올로 스프레이 세정을 하여 비교 화합물 5를 1.7g 얻었다. 수율 35.4%.
[비교 화합물 6]
일본특허 제3894726호에 기재된 화합물
Figure 112011003662957-pct00072
[실시예 1]
구체적 화합물예 D-1의 안료 2.5부, 올레산 나트륨 0.5부, 글리세린 5부, 물 42부를 혼합하고, 직경 0.1mm의 지르코니아 비즈 100부와 함께 유성형 볼밀을 이용하여 매분 300회전, 6시간 분산을 행했다. 분산 종료 후, 지르코니아 비즈를 분리하여 안료 분산물 1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합성한 안료(D-1) 5부, 고분자 분산제로서, 국제공개 번호WO 2006/064193호 팸플릿의 22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Dispersant Solution 10으로 나타내어지는 메타크릴산-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용액 25.5부, 물 19.5부를 혼합하고, 직경 0.1mm의 지르코니아 비즈 100부와 함께 유성형 볼밀을 이용하여 매분 300회전으로 6시간 분산을 행했다. 분산 종료 후, 지르코니아 비즈를 분리하여 안료 분산물 2를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안료로 바꾸어서 C.I.피그먼트·레드 254(Chiba Specialty Chemicals K.K. 제작 BT-CF)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색의 비교 안료 분산물 1을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안료(D-1)를 변경하여 C.I.피그먼트·옐로우 74(Chiba Specialty Chemicals K.K. 제작 Iralite YELLOW GO)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황색의 비교 안료 분산물 2를 얻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안료(D-1)을 변경하여 C.I.피그먼트·옐로우 155(Clariant Co. 제작 INKJET YELLOW 4G VP2532)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황색의 비교 안료 분산물 3을 얻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안료(D-1)을 변경하여 비교 화합물 4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색의 비교 안료 분산물 4를 얻었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안료(D-1)을 변경하여 비교 화합물 5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색의 비교 안료 분산물 5를 얻었다.
[비교예 6]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안료(D-1)을 변경하여 비교 화합물 6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색의 비교 안료 분산물 6을 얻었다.
[비교예 7]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안료(D-1)을 변경하여 비교 화합물 7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색의 비교 안료 분산물 6을 얻었다.
(평가)
<분산 안정성>
상기에서 얻어진 각 안료 분산물을 동적 광산란 입경 측정 장치(Nikkiso Co., Ltd. 마이크로 트랙 UPA150)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체적 평균 입자 지름을 측정했다. 안료 분산물을 제작해서 2시간 후에 측정한 체적 평균 입자 지름 및 70℃에서 2일간 보존 후의 체적 평균 입자 지름이 모두 230nm 이하인 것을 ○(양호), 어느 하나가 230nm 이상인 것을 ×(불량)라고 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착색력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각 안료 분산물을 No.3의 바 코터를 이용하여 Seiko Epson Corporation 제작의 포토 매트지 <안료 전용>에 도포했다. 얻어진 도포물의 화상 농도를 반사 농도계(X-Rite Co. 제작 X-Rite938)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착색력(OD: Optical Density)」로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내광성 평가>
착색력 평가에 사용한 화상 농도 1.0의 도포물을 페이드 미터를 이용하여 크세논 광(170000lux.; 325nm이하 컷오프 필터 존재 하)을 14일간 조사하고, 크세논 조사 전후의 화상 농도를 반사 농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색소 잔존율[(조사 후 농도/조사 전 농도)×100%]로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31]
실시예 1의 구체적 화합물예 D-1을 표 1과 같이 변경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하여 안료 분산물 3∼31을 작성하고, 동일한 평가를 행했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73
[실시예 101]
국제공개 번호 WO 06/064193호 팸플릿의 22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Dispersant 10으로 나타내어지는 고분자 분산제를 수산화칼륨 수용액으로 중화했다. 얻어진 분산제 수용액 75질량부(고형분 농도 20%) 중에 상기 합성의 아조 안료(D-1) 30질량부 및 이온 교환수 95질량부를 가해서, 디스퍼 교반 날개로 혼합·조분산한다. 혼합·조분산된 액에 지르코니아·비즈를 600질량부를 넣고, 이것을 분산기(샌드 그라인더 밀)로 4시간 분산시킨 후, 비즈와 분산액으로 분리했다. 얻어진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25℃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2질량부를 천천히 가하고, 50℃에서 6시간 교반했다. 또한, 분획 분자수 300K의 한외 여과막을 사용해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이것을 포어사이즈 5㎛의 필터(아세틸셀룰로오스 막, 외경: 25mm, FujiFilm Corporation 제작)를 장착한 용량 20ml의 시린지로 여과하여 조대 입자를 제거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10%의 안료 분산물 101(입경 80nm: Nikkiso Co., Ltd.제작 Nanotrac 150(UPA-EX150)을 이용하여 측정)을 얻었다.
[비교예 101]
실시예 101에 있어서 사용한 아조 안료(D-1) 대신에, 레드 안료(C.I.피그먼트·레드 254(Chiba Specialty Chemicals K.K. 제작 BT-CF)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 안료 분산물 101을 얻었다.
[실시예 102]
실시예 101에서 얻어진 안료 분산물 101을 고형분으로 5질량%, 글리세린 10질량%, 2-피롤리돈 5질량%, 1,2-헥산디올 2질량%,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2질량%, 프로필렌글리콜 0.5질량%, 이온 교환수 75.5질량%가 되도록 각 성분을 가해서, 얻어진 혼합액을 포어사이즈 1㎛의 필터(아세틸셀룰로오스 막, 외경: 25mm, FujiFilm Corporation 제작)를 장착한 용량 20ml의 시린지로 여과하고, 조대 입자를 제거함으로써 표 2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안료 잉크액 5를 얻었다.
[비교예 102]
실시예 101에서 얻어진 안료 분산물 101 대신에, 비교예 101에서 얻어진 비교 안료 분산물 101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2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 안료 잉크액 5를 얻었다.
또한, 표 2에 있어서, 「토출 안정성」, 「광 견뢰성」, 「열 견뢰성」, 「오존 견뢰성」, 「금속 광택」, 「잉크액 안정성」은 각 잉크를 Seiko Epson Corporation 제작 잉크젯 프린터 PX-V630의 마젠타 잉크액의 카트리지에 장전하고, 그 밖의 색의 잉크는 PX-V630의 안료 잉크액을 사용하고, 수상 시트는 Seiko Epson Corporation 제작 사진 용지 <광택> 및 Seiko Epson Corporation 제작 사진 용지 크리스피어 <고광택>에 권장 키레이 모드로 계단상으로 농도가 변화된 단색 화상 패턴 및 그린, 레드, 그레이의 화상 패턴을 인화시켜, 화상 품질(금속 광택) 및 잉크의 토출성과 화상 견뢰성의 평가를 행했다. 금속 광택 이외의 평가는 단색으로 행했다.
상기 실시예 102(안료 잉크액 5) 및 비교예 102(비교 안료 잉크액 5)의 잉크젯용 잉크에 대해서, 하기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평가 실험)
1) 토출 안정성에 대해서는 카트리지를 프린터에 셋트해서 전체 노즐로부터의 잉크의 돌출을 확인한 후, A4 20장 출력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 인쇄 개시부터 종료까지 인자의 흐트러짐이 없음
B: 인자의 흐트러짐이 있는 출력이 발생함
C: 인쇄 개시부터 종료까지 인자의 흐트러짐이 있음
화상 보존성에 대해서는 인화 샘플을 이용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했다.
[1] 광 견뢰성은 인화 직후의 화상 농도 Ci를 X-rite 310으로 측정한 후, Atlas Co., Ltd. 제작 웨더 미터를 사용하여 화상에 크세논광(10만 럭스)을 14일 조사한 후, 다시 화상농도 Cf를 측정해 화상 잔존율 Cf/Ci×100을 구하여 평가를 행했다.
화상 잔상율에 대해서 반사 농도가 1, 1.5, 2의 3점에서 평가하고, 어느 쪽의 농도에서도 화상 잔존율이 80% 이상인 경우를 A, 2점이 80% 미만인 경우를 B, 모든 농도에서 80% 미만인 경우를 C라고 했다.
[2] 열 견뢰성에 대해서는 80℃ 60% RH의 조건 하에 7일간, 인자 샘플을 보존하는 전후에서의 농도를 X-rite 310으로 측정하고, 화상 잔존율을 구해 평가했다. 화상 잔상율에 대해서 반사 농도가 1, 1.5 및 2의 3점에서 평가하고, 어느 쪽의 농도에서도 화상 잔존율이 95%이상인 경우를 A, 2점이 95%미만인 경우를 B, 모든 농도에서 95%미만인 경우를 C라고 했다.
[3] 내오존성(오존 견뢰성)에 대해서는 오존 가스 농도가 5ppm(25℃; 50%)으로 설정된 박스내에 14일간 방치하고, 오존 가스 하 방치 전후의 화상 농도를 반사 농도계(X-Rite Co. 제작, Photographic Densitometer 310)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화상 잔존율로서 평가했다. 또한, 상기 반사 농도는 1, 1.5 및 2.0의 3점에서 측정했다. 박스내의 오존 가스 농도는 APPLICS 제작 오존 가스 모니터(모델: OZG-EM-01) 을 이용하여 설정했다.
어느 것의 농도에서도 화상 잔존율이 80%이상인 경우를 A, 1 또는 2점이 80%미만을 B, 모든 농도에서 70%미만인 경우를 C로 하여, 3단계로 평가했다.
3) 금속 광택의 발생 유무: 옐로우 및 그린, 레드의 솔리드 인화부를 반사광에 의해 목시 관찰하여 평가했다.
금속 광택의 보이지 않는 것을 「○」, 금속 광택이 보이는 것을 「×」로 평가했다.
4) 잉크액 안정성: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안료 잉크액을 60℃에서 10일간 경시한 후, 안료 잉크액 중의 입경 변화 없음을「○」, 입경 변화 있음을 「×」로 평가했다.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74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안료를 사용한 안료 잉크액은 토출성, 내후성이 우수하고, 금속 광택의 발생이 억제되고, 안료 잉크액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표 2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액을 사용한 계에서는 모든 성능이 우수한 것이 확인된다. 특히, 비교예에 대하여, 광견뢰성 및 잉크액 안정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104]
실시예 102에서 제작한 안료 잉크액을 Seiko Epson Corporation 제작의 PX-V630으로 화상을 Fuji Film Corporation 제작 잉크젯 페이퍼 포토 광택지「Gasai」에 프린팅하고, 실시예 102와 동일한 평가를 행한 바,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표 1, 표 2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료를 사용한 안료 분산물 1∼31 및 안료 잉크액 5은 색조가 우수하고, 높은 착색력 및 내광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료를 사용한 안료 분산물은 예를 들면, 잉크젯 등의 인쇄용의 잉크 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01]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한 컬러 필터의 제작]
합성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 D-1에서 나타내어지는 안료를 사용했다. 70cc의 마요네즈 병에, 하기에 나타내는 재료를 투입하고, 이것을 진동 분산기(LAU Industries 제작 DAS200)로 6시간 진탕하여 안료 분산체 201을 얻었다.
(안료 분산체 201의 조성)
안료
(화합물 D-1)
0.6g
1,2-프로판디올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용제 1)(Tokyo Chemical Industries Co., Ltd. 제작)
5.0g
지르코니아 비즈
(Φ0.3mm)
10g
안료 분산체 201에 하기에 나타내는 재료를 가하고, 상기 진동 분산기로 30분 더 진탕하여 포토리소그래피법용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201을 조제했다.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201의 조성)
안료 분산체 201 15.6g
감광성 수지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작 사이클로머 P200)
2.5g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Aldrich 제작)
0.2g
2-벤질-2-디메틸아미노-4'-모르폴리노-브리토페논(Aldrich 제작) 0.05g
2,4-디에틸-6-H-티오크산텐-9-온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제작)
0.05g
1,2-프로판디올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제작)
0.8g
시클로헥사논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제작)
0.2g
얻어진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201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바 코터 Rod No.10을 이용하여 도포한 후, 80℃의 오븐에서 5분간 건조해서 잉크 도막을 얻었다.
상기 도막을, 도막의 일부를 적당히 마스킹한 후,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200mJ/cm2의 조건으로 조사해서 노광했다. 그 후, 0.5% 탄산 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해 25℃에서 현상을 행하고, 또한 220℃의 오븐에서 20분간 건조를 행하여 컬러 필터를 제작했다. 이 필름의 광투과율을 분광광도계(Hitachi, Ltd. 제작, U-3310)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파장 540∼610nm의 사이에서 얻어진 컬러 필터의 최저투과율을 나타내는 파장을 구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202]
실시예 201에 있어서 사용한 안료 대신에, 합성예 2에서 합성한 화합물 D-33에서 나타내어지는 안료를 사용하고, 안료 분산체 201의 조성에 있어서의 용제(1,2-프로판디올 1-모노메틸에테르 2-아세테이트)의 사용량을 표 3에 기재된 양으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201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 조성물을 조제했다. 얻어진 착색 조성물을 이용하여 컬러 필터를 작성하고, 광투과율의 측정을 행했다. 또한, 파장 540∼610nm의 사이에서, 얻어진 컬러 필터의 최저 투과율을 나타내는 파장을 구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203∼211]
실시예 201에 있어서 사용한 안료 대신에, 표 3에 기재된 안료를 사용하고, 안료 분산체 201의 조성에 있어서의 용제 1(1,2-프로판디올 1-모노메틸에테르 2-아세테이트)의 사용량을 표 3에 기재된 양으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201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 조성물을 조제했다. 얻어진 착색 조성물을 이용하여 컬러 필터를 작성했다. 또한, 파장 540∼610nm의 사이에서, 얻어진 컬러 필터의 최저투과율을 나타내는 파장을 구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안료 용제 1의 사용량
실시예 201 D-1 5g
실시예 202 D-33 5g
실시예 203 D-20 6g
실시예 204 D-22 5g
실시예 205 D-213 5g
실시예 206 D-221 5g
실시예 207 D-222 5g
실시예 208 D-246 5g
실시예 209 D-35 5g
실시예 210 D-143 6g
실시예 211 D-207 5g
[실시예 212]
실시예 201에 있어서, 안료 0.6g에 대하여 분산제로서 계면활성제(BYK-Chemie GmbH 제작 안료 습윤 분산제 BYK-161)을 0.5g 첨가해서 분산을 행한 바, 분산 시간 6시간에서 실시예 201과 동등한 성능을 갖는 컬러 필터가 얻어졌다.
[실시예 213∼218]
표 4에 나타내는 분산제를 사용하여 사용량을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201과 마찬가지로 진동 분산기(LAU Industries제작 DAS200)를 이용하여 안료를 분산시켜 안료 분산체를 조제한 바, 각각 분산 시간 6시간에서 실시예 201과 동등한 성능을 갖는 컬러 필터가 얻어졌다.
분산제 분산제의 사용량
실시예 213 안료계 첨가제
(Zeneca 제작. 솔스퍼스 22000)
0.012g
실시예 214 실리콘계 첨가제
(Dow Corning Asia 제작, 페인태드 32)
0.006g
실시예 215 실리콘계 첨가제
(Dow Corning Asia 제작, 페인태드 57)
0.0012g
실시예 216 실리콘계 첨가제
(Dow Corning Asia 제작, DK Q8-8011)
0.0012g
실시예 217 계면활성제
(Enomoto Chemicals, Ltd.제작 디스파론 DA-325)
0.200g
실시예 218 계면활성제
(Enomoto Chemicals, Ltd.제작 디스파론 DA-1860)
0.120g
[비교예 201 및 202]
실시예 201에 있어서 사용한 안료 대신에 C.I.Pigment Red 254(IRGAPHORE DPP RED, Chiba Specialty Chemicals K.K. 제작) 및 하기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를 각각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20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착색 필름을 조제했다. 얻어진 필름의 광투과율의 측정을 행하고, 광투과율이 최저인 파장과 650nm의 광투과율, 540nm의 광투과율을 구했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75
Figure 112011003662957-pct00076
착색제로서 화합물 D-1, 33, 20, 22, 213, 221, 222, 246, 35, 143 및 화합물 D-207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을 이용하여 작성한 컬러 필터는 투과율 곡선이 샤프하게 상승하고, 또한, 650∼750nm의 영역에 있어서, 투과율이 높고, 우수한 투과율 곡선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또한, 비교예 1의 컬러 필터는 540nm에서 투과율이 높은 부분이 있지만, 실시예 201∼211의 컬러 필터는 540nm의 투과율은 낮고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을 이용하여 작성한 컬러 필터는 비교예 201 및 비교예 202에 있어서 얻어진 컬러 필터와 비교하여 350∼400nm의 청색광의 투과율이 대단히 낮고, 색순도가 높은 적색을 표시 가능하게 하는 것이었다.
즉,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은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안료의 구조를 선택함으로써, 투과율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파장을 약 540nm부터 약590nm의 사이에서 적당하게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의 광원 파장에 따라 최적인 색상의 적색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한 것이다.
[내열성 평가]
실시예 201∼211, 비교예 201 및 202에서 얻어진 컬러 필터를 이용하여, 내열성 시험을 행했다.
<내열성 시험 방법>
컬러 필터를 대기 하, 250℃에서 90분간 폭로하고, 그 전후의 색차(ΔE*ab)를 분광 광도계(Sakata Inx Eng., Co., Ltd.제작 Macbeth Coloreye-3000)로 측정을 행했다. 하기 판정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고 이들의 결과를 표 8에 나타냈다.
<판정 기준>
○ : ΔE*ab<1.0
△ : 1.0≤ΔE*ab<1.1
×: 1.1≤ΔE*ab
Figure 112011003662957-pct00077
착색제로서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을 이용하여 작성한 실시예 201∼211의 컬러 필터는 비교예 201의 안료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고, 동등 이상의 내열성을 나타냈다.
<내광성 평가>
착색력 평가에 사용한 화상농도 1.0의 도포물을 페이드 미터를 이용하여 크세논 광(170000lux.; 325nm이하 컷오프 필터 존재 하, 스가 시험기)을 20일간 조사하고, 그 전후의 색차이(ΔE*ab)를 분광 광도계(Sakata Inx Eng., Co., Ltd.제작Macbeth Coloreye-3000)로 측정을 행했다. 하기 판정 기준을 따라서 평가하고 이들의 결과를 표 9에 나타냈다.
<판정 기준>
○ : ΔE*ab≤3.0
△ : 3.0<ΔE*ab≤6.0
× : 6.0<ΔE*ab
Figure 112011003662957-pct00078
착색제로서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을 이용하여 작성한 실시예 201∼211의 컬러 필터는 비교예 201, 202의 안료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내광성을 나타냈다.
(콘트라스트 평가)
얻어진 컬러 필터의 콘트라스트를 Tsubosaka Electric Co., Ltd. 제품, 콘트라스트 테스터 CT-1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평가는 콘트라스트≥23000을 ○, 23000>콘트라스트≥18000을 △, 18000>콘트라스트를 ×라고 해서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79
착색제로서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을 이용하여 작성한 실시예 201∼211의 컬러 필터는 비교예 202의 안료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우수한 콘트라스트를 나타냈다.
(분산물 경시 안정성의 평가)
실시예 201∼211, 비교예 201, 202에서 작성한 착색 조성물 201∼211, 비교 착색 조성물 1, 2를 암소 실온에서 2주간 보존한 후, 이물의 석출 정도를 목시에 의해 하기 판정 기준을 따라서 평가했다.
<판정 기준>
○: 석출은 확인되지 않았다.
△: 약간 석출이 확인되었다.
×: 석출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80
착색제로서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아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을 이용하여 작성한 안료 분산체 201∼211은 비교예 201 및 202의 안료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경시에 의한 이물이 확인되지 않고, 분산물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219)
<Green 안료 분산액의 조제>
-Green 안료 분산액 P1의 조제-
안료로서 C.I.피그먼트·그린 36과 C.I.피그먼트·옐로우 139의 100/55(질량비) 혼합물 12.6부와 분산제로서 BYK 2001(Disperbyk: BYK Chemie GmbH(BYK) 제작, 고형분 농도 45.1질량%) 5.2부와 분산 수지로서 벤질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산가 134mgKOH/g, Mw=30,000)를 2.7부와,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8.3부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을 비즈 밀에 의해 15시간 혼합·분산하여 Green 안료 분산액 P1을 조제했다.
<Red 안료 분산액의 조제>
-Red 안료 분산액 P2의 조제-
안료로서 D-1과 C.I.피그먼트·옐로우 139의 100/45(질량비) 혼합물 12.1부와 분산제로서 BYK2001(Disperbyk: BYK Chemie GmbH(BYK) 제작, 고형분 농도 45.1질량%) 10.4부와 분산 수지로서 벤질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산가 134mgKOH/g, Mw=30,000)를 3.8부와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3.7부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을 비즈 밀에 의해 15시간 혼합·분산하고, Red 안료 분산액 P2를 조제했다.
<Blue 안료 분산액의 조제>
-Blue 안료 분산액 P3의 조제-
안료로서 C.I.피그먼트·블루 15:6과 C.I.피그먼트·바이올렛 23의 100/25(질량비) 혼합물 14부와 분산제로서 BYK2001(Disperbyk: BYK Chemie GmbH(BYK) 제작, 고형분 농도 45.1질량%) 4.7부와 분산 수지로서 벤질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산가 134mgKOH/g, Mw=30,000)를 3.5부와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7.8부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을 비즈 밀에 의해 15시간 혼합·분산하여 Blue 안료 분산액 P3을 조제했다.
<Green 착색 감광성 조성물(도포액) A-1의 조제>
상기의 Green 안료 분산액 P1을 사용하여 하기 조성이 되도록 혼합, 교반해서 착색 감광성 조성물 A-1을 조제했다.
<조성>
상기 Green 안료 분산액 P1 83.3부
알칼리 가용성 수지: P-1 2.05부
OXE-01
(Chiba Specialty Chemicals 제작; 광중합 개시제)
1.2부
모노머 1: KARAYAD DPHA
(Nippon Kayaku Co., Ltd. 제작)
1.4부
모노머 2: M-304
(Toagosei Co., Ltd. 제작)
1.4부
p-메톡시페놀 0.001부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PGMEA(이하, 동일하게 약기함);용매]
7.4부
계면활성제
(상품명:F-781, DIC Corporation 제작)의 PGMEA 0.2% 용액)
4.2부
<Red 착색 감광성 조성물(도포액) B-1의 조제>
상기의 Red 안료 분산액 P2을 사용하고, 하기 조성이 되도록 혼합, 교반해서 착색 감광성 조성물 B-1을 조제했다.
<조성>
상기 Red 안료 분산액 P2 59.6부
알칼리 가용성 수지: P-1 1.2부
OXE-02
(Chiba Specialty Chemicals 제작; 광중합 개시제)
0.7부
모노머 1: KARAYAD DPHA
(Nippon Kayaku Co., Ltd. 제작)
1.6부
모노머 2: M-494
(Sartomer Company, Inc. 제작)
1.6부
p-메톡시페놀 0.002부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PGMEA(이하, 동일하게 약기함);용매]
31부
계면활성제
(상품명:F-781, DIC Corporation 제작)의 PGMEA 0.2% 용액)
4.2부
<Blue 착색 감광성 조성물(도포액) C-1의 조제>
상기의 Blue 안료 분산액 P3을 사용하고, 하기 조성이 되도록 혼합, 교반해서 착색 감광성 조성물 C-1을 조제했다.
<조성>
상기 Blue 안료 분산액 P3 50.6부
알칼리 가용성 수지: P-1 2.1부
OXE-01
(Chiba Specialty Chemicals 제작; 광중합 개시제)
1.2부
모노머 1: KARAYAD DPHA
(Nippon Kayaku Co., Ltd. 제작)
1.2부
모노머 2: SR-494
(Sartomer Company, Inc. 제작)
3.5부
p-메톡시페놀 0.002부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PGMEA(이하, 동일하게 약기함);용매]
36부
계면활성제
(상품명:F-781, DIC Corporation 제작)의 PGMEA 0.2% 용액)
4.2부
상기에 있어서 조제된 Green 착색 감광성 조성물 A-1을 미리 헥사메틸디실라잔을 분무한 8인치의 디바이스 형성 완료 실리콘 웨이퍼 상에 도포하여 광경화성의 도포막을 형성했다. 그리고, 이 도포막의 건조 막두께가 1.0㎛가 되도록 100℃의 핫플레이트를 이용하여 180초간 가열 처리(프리베이킹)를 행했다. 이어서, i선 스텝퍼 노광 장치 FPA-3000i5+(Canon Inc. 제작)을 사용하고, 365nm의 파장에서 1.0㎛ 사방의 베이어 패턴 마스크(Bayer pattern mask)를 통하여 50∼1000mJ/cm2로 조사했다(50mJ/cm2씩 노광량을 변화). 그 후, 조사된 도포막이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 웨이퍼를 스핀·샤워 현상기(DW-30형; Chemitronics Co., Ltd. 제작)의 수평 회전 테이블 상에 탑재하고, CD-2000(Fujifilm Electronics Materials 제작)의 40% 희석액을 이용하여 23℃에서 180초간 패들 현상을 행하여 실리콘 웨이퍼에 착색 패턴을 형성했다.
착색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를 진공 척 방식으로 상기 수평 회전 테이블에 고정하고, 회전 장치에 의해 상기 실리콘 웨이퍼를 회전수 50rpm으로 회전시키면서, 그 회전 중심의 상방으로부터 순수를 분출 노즐로부터 샤워상으로 공급해서 린스 처리를 행하고, 그 후 스프레이 건조했다.
이어서, 200℃의 핫플레이트에서 5분간 가열하여 패턴이 형성된 컬러 필터를 얻었다.
또한, 상기 Red 착색 감광성 조성물 B-1, Blue 감광성 조성물 C-1을 사용하고, 노광 패턴을 1.0㎛ 사방의 아일랜드 패턴 마스크(island pattern mask)를 통하여 노광하는 것 이외는 Green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RGB의 패턴으로 형성된 컬러 필터를 형성했다.
이 컬러 필터가 형성된 디바이스를 사용해서 카메라 모듈을 작성하면, 양호한 분광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1003662957-pct00081
실시예 212의 D-1 대신에 D-26, D-136, D-209, D-236을 사용하여 컬러 필터를 작성하고, 카메라 모듈을 작성하면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양호한 분광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아조 안료는 높은 착색력, 색상 등의 색채적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광성, 내오존성, 내열성 등의 내구성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안료 분산물은 본 발명의 아조 안료를 각종 매체에 분산시켜 이루어지고, 색채적 특성, 내구성, 잉크액 안정성 및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용도에 있어서의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에 요구되는 고콘트라스트, 또한 카메라 모듈에도 요구되는 우수한 투명성을 달성하는 컬러 필터가 얻어지는 분산성, 분산물 경시 안정성, 내열성 및 내광성이 양호한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컬러 필터, 및 그 조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08년 7월 17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특원 2008-186507) 및 2008년 9월 2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특원 2008-225036)에 기초하는 것이고,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Claims (26)

  1. 하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조 안료,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
    Figure 112016105421307-pct00180

    [일반식(3) 중 R21은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2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55 및 R5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치환기는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고, 상기 치환기는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아실기, 아실옥시기, 아실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아릴옥시기, 헤테로환 옥시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헤테로환 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술포닐기, 아릴술포닐기, 헤테로환 술포닐기, 지방족 술포닐옥시기, 아릴술포닐옥시기, 헤테로환 술포닐옥시기, 술파모일기, 지방족 술폰아미드기, 아릴술폰아미드기, 헤테로환 술폰아미드기, 아미노기, 지방족 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헤테로환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헤테로환 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지방족 술피닐기, 아릴술피닐기, 지방족 티오기, 아릴티오기, 시아노기, 술포기, 카르복시기, 지방족 옥시아미노기, 아릴옥시아미노기, 카르바모일아미노기, 술파모일아미노기, 할로겐 원자, 술파모일카르바모일기, 카르바모일술파모일기, 디지방족 옥시포스피닐기 및 디아릴옥시포스피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나타내고,
    m은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의 정수를 나타내고,
    Z는 하멧의 σp값이 0.2이상인 전자 구인성기를 나타내고,
    일반식(3)은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기재된 아조 안료,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분산물.
  8. 제 1 항에 기재된 아조 안료,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조성물.
  9. 제 7 항에 기재된 안료 분산물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용 잉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하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조 화합물,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
    Figure 112016105421307-pct00181

    [일반식(3) 중 R21은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지방족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22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55 및 R5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인접하는 치환기는 서로 결합하여 5∼6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고, 상기 치환기는 지방족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아실기, 아실옥시기, 아실아미노기, 지방족 옥시기, 아릴옥시기, 헤테로환 옥시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헤테로환 옥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지방족 술포닐기, 아릴술포닐기, 헤테로환 술포닐기, 지방족 술포닐옥시기, 아릴술포닐옥시기, 헤테로환 술포닐옥시기, 술파모일기, 지방족 술폰아미드기, 아릴술폰아미드기, 헤테로환 술폰아미드기, 아미노기, 지방족 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헤테로환 아미노기, 지방족 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헤테로환 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지방족 술피닐기, 아릴술피닐기, 지방족 티오기, 아릴티오기, 시아노기, 술포기, 카르복시기, 지방족 옥시아미노기, 아릴옥시아미노기, 카르바모일아미노기, 술파모일아미노기, 할로겐 원자, 술파모일카르바모일기, 카르바모일술파모일기, 디지방족 옥시포스피닐기 및 디아릴옥시포스피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나타내고,
    m은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의 정수를 나타내고,
    Z는 하멧의 σp값이 0.2이상인 전자 구인성기를 나타내고,
    일반식(3)은 이온성 친수성기를 갖는 경우는 없다]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제 1 항에 있어서,
    R21으로 나타내어지는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총탄소 원자수 6∼13개의 아릴아미노기 및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총탄소 원자수 2∼12개의 포화이어도 불포화이어도 좋은 헤테로환 아미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조 안료,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
  25. 삭제
  26. 제 19 항에 있어서,
    R21로 나타내어지는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총탄소 원자수 6∼13개의 아릴아미노기 및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총탄소 원자수 2∼12개의 포화이어도 불포화이어도 좋은 헤테로환 아미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조 화합물, 그 호변 이성체, 그들의 염 또는 수화물.
KR1020117001174A 2008-07-17 2009-07-17 아조 화합물, 아조 안료, 안료 분산물, 착색 조성물, 잉크젯 기록용 잉크,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의 조제방법 KR101710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86507 2008-07-17
JP2008186507 2008-07-17
JPJP-P-2008-225036 2008-09-02
JP2008225036 2008-09-02
PCT/JP2009/063005 WO2010008081A1 (ja) 2008-07-17 2009-07-17 アゾ化合物、アゾ顔料、顔料分散物、着色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組成物の調製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331A KR20110031331A (ko) 2011-03-25
KR101710497B1 true KR101710497B1 (ko) 2017-02-27

Family

ID=4155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174A KR101710497B1 (ko) 2008-07-17 2009-07-17 아조 화합물, 아조 안료, 안료 분산물, 착색 조성물, 잉크젯 기록용 잉크,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의 조제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26734B2 (ko)
EP (1) EP2319890B1 (ko)
KR (1) KR101710497B1 (ko)
CN (1) CN102099423B (ko)
WO (1) WO20100080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4128B2 (ja) * 2008-09-02 2014-07-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アゾ化合物、アゾ顔料、顔料分散物、着色組成物、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
US8828132B2 (en) * 2010-01-15 2014-09-09 Fujifilm Corporation Pigment composition, ink for inkjet recording,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and color filter
JP5740089B2 (ja) * 2010-01-15 2015-06-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アゾ顔料の製造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JP2011162760A (ja) * 2010-01-15 2011-08-25 Fujifilm Corp 顔料分散組成物、着色硬化性組成物、固体撮像素子用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固体撮像素子
EP2390283A1 (en) * 2010-05-31 2011-11-30 FUJIFILM Corporation Azo pigment or tautomer thereof, process for producing same, pigment dispersion, coloring composition, inkjet recording ink,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and color filter
JP5544220B2 (ja) * 2010-05-31 2014-07-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アゾ顔料又はその互変異性体、その製造方法、顔料分散物、着色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5586330B2 (ja) * 2010-05-31 2014-09-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アゾ顔料又はその互変異性体、その製造方法、顔料分散物、着色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2011252065A (ja) * 2010-06-01 2011-12-15 Fujifilm Corp 顔料分散組成物、着色硬化性組成物、固体撮像素子用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固体撮像素子
KR101882714B1 (ko) * 2010-06-01 2018-07-2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안료 분산 조성물, 적색 착색 조성물, 착색 경화성 조성물, 고체 촬상 소자용 컬러필터와 그 제조 방법, 및 고체 촬상 소자
JP5734602B2 (ja) * 2010-08-26 2015-06-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赤色着色組成物、着色硬化性組成物、固体撮像素子用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固体撮像素子
JP5651389B2 (ja) 2010-06-30 2015-01-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顔料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5759924B2 (ja) * 2011-06-06 2015-08-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ccdセンサ、cmosセンサ、有機cmosセンサ、および固体撮像素子
JP2013040240A (ja) 2011-08-11 2013-02-28 Fujifilm Corp アゾ化合物、アゾ顔料、顔料分散物、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組成物の調製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印刷インク、塗料、染料、及び、レジストインク
CN104849789B (zh) * 2015-05-19 2018-06-01 象山激智新材料有限公司 一种防蓝光的光学薄膜及其应用
JP7338127B2 (ja) * 2019-03-13 2023-09-05 山陽色素株式会社 顔料誘導体を含むアゾ顔料分散体及び塗膜形成用着色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240A (ja) * 2002-02-21 2003-08-27 Ricoh Co Ltd 光記録媒体
WO2005052074A1 (ja) * 2003-11-28 2005-06-09 Kabushiki Kaisha Ueno Seiyaku Oyo Kenkyujo カラーフィルター用赤色インク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40965A (de) 1970-06-08 1973-08-31 Ciba Geigy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neuer Disazopigmente
JPS63148267A (ja) * 1986-12-12 1988-06-21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
JPS63158561A (ja) 1986-12-23 1988-07-01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
JP2592271B2 (ja) 1987-11-27 1997-03-1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JPH0695211B2 (ja) 1987-12-09 1994-11-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
JPH0427959A (ja) 1990-05-24 1992-01-30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並びにファクシミリ
JP2899598B2 (ja) 1990-08-01 1999-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並びにファクシミリ
JP2545650B2 (ja) 1991-06-21 1996-10-23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フィルター用赤色色素
JPH0552074A (ja) 1991-08-21 1993-03-02 Tategu Sogo Shosha Futaba:Kk 建 具
JPH0675375A (ja) 1992-08-26 1994-03-18 Sony Corp カラーレジスト材料
US5532346A (en) 1994-10-21 1996-07-02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Hydroxynaphthalenecarboxylic acid compounds and azo colorants made therefrom
JP4022271B2 (ja) 1995-10-31 2007-12-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ピラゾリルアゾフエノール色素
US6409812B1 (en) 1998-10-16 2002-06-25 Kabushiki Kaisha Ueno Seiyaku Oyo Kenkyujo AZO compound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894726B2 (ja) 1999-12-24 2007-03-22 三菱化学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金属キレート色素及びこれを用いた水系インクジェット記録液
JP3880871B2 (ja) 2002-02-26 2007-02-14 株式会社リコー 光記録媒体及びそれを用いた光記録方法
JP4171607B2 (ja) 2002-04-16 2008-10-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水性インク
JP4398139B2 (ja) 2002-10-01 2010-01-13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キ用アゾ顔料、ならびにインクジェットインキ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0427747D0 (en) 2004-12-18 2005-01-19 Avecia Ltd Process
JP5215538B2 (ja) 2006-06-30 2013-06-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アゾ色素、着色組成物、感熱転写記録用インクシート、感熱転写記録方法、カラートナー、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4963882B2 (ja) 2006-07-05 2012-06-27 上野製薬株式会社 2−ナフトール誘導体およびモノアゾ化合物
JP2008186507A (ja) 2007-01-29 2008-08-14 Taiyo Yuden Co Ltd 光情報記録媒体
JP4306748B2 (ja) 2007-03-13 2009-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240A (ja) * 2002-02-21 2003-08-27 Ricoh Co Ltd 光記録媒体
WO2005052074A1 (ja) * 2003-11-28 2005-06-09 Kabushiki Kaisha Ueno Seiyaku Oyo Kenkyujo カラーフィルター用赤色インク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331A (ko) 2011-03-25
US20110143270A1 (en) 2011-06-16
US8226734B2 (en) 2012-07-24
CN102099423A (zh) 2011-06-15
EP2319890A1 (en) 2011-05-11
EP2319890B1 (en) 2015-10-28
WO2010008081A1 (ja) 2010-01-21
CN102099423B (zh) 2014-09-24
EP2319890A4 (en) 2012-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497B1 (ko) 아조 화합물, 아조 안료, 안료 분산물, 착색 조성물, 잉크젯 기록용 잉크,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의 조제방법
JP5651389B2 (ja) 顔料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US8293148B2 (en) Azo compounds, azo pigments, pigment dispersion, coloring composition, and ink for inkjet recording
JP5622379B2 (ja) アゾ化合物、顔料組成物、顔料組成物の製造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2010085979A (ja) 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組成物、その調整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US8470054B2 (en) Azo compound, azo pigment, pigment dispersion, coloring composition, color filter, ink for inkjet recording, and printing ink
JP2011144298A (ja) アゾ顔料の製造方法、顔料分散物、着色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の調製方法、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KR101430534B1 (ko) 아조 안료 또는 그 호변이성체, 그 제조 방법, 안료 분산물, 착색 조성물, 잉크젯 기록용 잉크, 컬러필터용 착색 조성물, 및 컬러필터
EP2230278A2 (en) Color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method for preparing it, and color filter
US8454710B2 (en) Process for producing azo compounds, pigment dispersion, coloring composition, ink for inkjet recording,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and color filter
US8828132B2 (en) Pigment composition, ink for inkjet recording,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and color filter
JP2012136669A (ja) アゾ顔料、顔料分散物、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組成物の調製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及び、アゾ化合物
EP2228409A2 (en) Color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method for preparing it, and color filter
JP2011127043A (ja) 顔料分散物、着色組成物、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
JP2011127044A (ja) アゾ顔料及びアゾ化合物
JP2010155983A (ja) アゾ化合物、アゾ顔料、顔料分散物、着色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組成物の調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