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939B1 - 반도체 발광 장치 및 반도체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발광 장치 및 반도체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939B1
KR101708939B1 KR1020100088010A KR20100088010A KR101708939B1 KR 101708939 B1 KR101708939 B1 KR 101708939B1 KR 1020100088010 A KR1020100088010 A KR 1020100088010A KR 20100088010 A KR20100088010 A KR 20100088010A KR 101708939 B1 KR101708939 B1 KR 101708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semiconductor layer
form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085A (ko
Inventor
사토시 다나카
유스케 요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스탄레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탄레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탄레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9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제 1 도전형의 제 1 반도체 층; 제 2 도전형의 제 2 반도체 층; 및 제 1 반도체 층과 제 2 반도체 층 사이에 제공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로서, 이 장치는, 제 1 반도체 층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제 2 반도체 층상에 형성된 제 2 전극; 및 제 2 반도체 층과 제 2 전극을 커버하는 투광 전극을 포함하며, 제 2 전극과 제 2 반도체 층 사이의 접촉은 비옴성 (non-ohmic) 이며, 제 2 전극은, 하부층 및 투광 전극과의 접촉 저항이 하부층의 접촉 저항 보다 낮은 상부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며, 제 2 전극의 일부는 투광 전극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다.

Description

반도체 발광 장치 및 반도체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발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 다이오드 (이하, LED 라 칭함) 의 전극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 는 종래의 LED 칩 (100) 의 구조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 2001-345480 호를 참조한다. LED 칩 (100) 은 사파이어 기판 (101), n-층 (102), 발광층 (103), p-층 (104), 투명 전극 (105), n-층 (102) 상에 형성된 n-전극 (106), 및 투명 전극 (105) 상에 형성된 p-전극 (107) 을 갖는다. p-층 (104) 이 n-층 (102) 보다 도전성이 낮고 막 두께가 얇기 때문에, 전류가 p-층에서 LED 칩의 평면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전류가 평면 방향에서 확산하게 하고 발광층 (103) 으로부터의 광이 투과할 수 있게 하는 투명 전극 (105) 이 p-층(104) 의 표면상에 제공된다. p-층 (104) 과 p-전극 (107) 사이에 투명 전극 (105) 을 제공함으로써, 발광 구동 전류가 LED 칩 (100) 의 평면 방향으로 확산되게 되어서, 발광 휘도 분포의 면내 균일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투명 전극만을 제공하면, 그 효과는 충분하지 못하고, 전류 집중 (current concentration) 및 발광 집중이 p-전극과 n-전극의 주변 및 이들 전극을 조인하는 직선 부근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n-전극 (106) 및 p-전극 (107) 각각은 보조 전극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n-전극 (106) 은 n-패드부 (106a) 및 거기에 접속된 빗살 형상 (comb tooth-shaped) 의 n-보조 전극 (106b) 을 포함하며, p-전극 (107) 은 p-패드부 (107a) 및 거기에 접속된 빗살 형상의 p-보조 전극 (107b) 을 포함한다. n-보조 전극 (106b) 과 p-보조 전극 (107b)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이들 전극 사이에 흐르는 발광 구동 전류의 밀도가 균일해지며, 발광 휘도 분포가 LED 칩 표면을 가로질러 균일해질 수 있다.
상술한 종래의 LED 칩 구조에서는, n-전극 (106) 및 p-전극 (107) 이 주로 금속계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광 흡수가 회피될 수 있다. 따라서, 광 추출 효율의 관점으로부터, 전극 모두의 면적은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보조 전극은 폭이 좁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보조 전극이 얇은 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LED 가 구동될 때의 전류로 인한 발열은 그 양이 증가하고, p-보조 전극 (107b) 과 투명 전극 (105) 사이의 열 팽창 계수의 차이에 기초한 응력으로 인해 p-보조 전극 (107b) 이 박리되는 장애를 발생시킨다.
또한, 산화 인듐 주석 (ITO) 과 같은 산화물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 (105) 과 p-전극 (107) 사이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티탄 (Ti) 이 p-전극 (107) 에 대한 재료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티탄 (Ti) 은 광 반사율이 낮고 광을 흡수하기 쉬운 특성을 갖는다. 얇은 선 형상의 p-보조 전극 (107b) 과 투명 전극 (105) 사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티탄 (Ti) 의 막 두께는 250 Å (옹스트롬) 이상일 필요가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 Ti 층 표면의 광 반사율이 약 50% 이하로 매우 감소된다. 이와 같이, 투명 전극상에 형성된 p-전극을 갖는 종래의 LED 구조에 있어서, 투명 전극에 대한 밀착성을 확보하는데 우선순위를 주는 p-전극용 전극 재료가 선택되어서, p-전극에 의한 광 흡수를 회피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의 관점으로부터 이루어졌고,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 전극 박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도전형 (또는 도전 타입) 의 제 1 반도체 층; 제 1 도전형과 다른 제 2 도전형의 제 2 반도체 층; 및 제 1 반도체 층과 제 2 반도체 층 사이에 제공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장치가 제공되며, 이 반도체 발광 장치는, 제 1 반도체 층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제 2 반도체 층상에 형성된 제 2 전극; 및 제 2 반도체 층과 제 2 전극을 커버하는 투광 전극을 포함하고, 제 2 전극과 제 2 반도체 층 사이의 접촉은 비옴성 (non-ohmic) 이고, 제 2 전극은 하부층 및 투광 전극과의 접촉 저항이 하부층의 접촉 저항 보다 낮은 상부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며, 제 2 전극의 일부는 투광 전극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기판상에 제 1 도전형의 제 1 반도체 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반도체 층상에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발광층상에 제 1 도전형과는 다른 제 2 도전형의 반도체 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반도체 층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단계; 제 1 반도체 층상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제 2 반도체 층과 제 2 전극의 접촉이 비옴성이도록 제 2 반도체 층상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제 2 반도체 층 및 제 2 전극을 커버하도록 투광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 2 전극의 일부가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투광 전극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알루미늄, 로듐, 및 은 중 하나의 재료, 또는 이 재료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하부층 및 투광 전극과의 접촉 저항이 하부층의 접촉 저항 보다 낮은 상부층을 제 2 반도체 층상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발광 장치는, p-전극 (또는 n-전극) 이 반도체 막상에 직접 형성되고 p-전극 (또는 n-전극) 이 투명 또는 투광 전극에 의해 커버되어서, p-전극 (또는 n-전극) 이 박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광 반사율을 고려하면서 전극 재료가 선택될 수 있어서,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p-전극 (또는 n-전극) 과 반도체 막 사이의 접촉이 비옴성 접촉 (쇼트키 접촉) 이기 때문에, p-전극 (또는 n-전극) 직하의 전류 집중이 방지될 수 있어서, 발광 휘도 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다.
도 1a 는 종래의 LED 칩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b 는 도 1a 의 선 1b-1b 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LED 칩의 사시도이다.
도 2b 는 도 2a 의 선 2b-2b 를 따라 취해진 단면을 포함하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LED 칩의 평면도이다.
도 4a 는 도 3 의 라인 4a-4a 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4b 는 도 3 의 라인 4b-4b 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LED 칩의 전극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LED 칩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LED 칩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b 는 도 7a 의 라인 7b-7b 를 따라 취해진 단면을 포함하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LED 칩의 평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라인 9-9 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LED 칩의 전극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LED 칩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들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LED 칩의 돌출부상에 형성된 p-전극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아래에 인용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동등한 구성요소 또는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제 1 실시형태
도 2a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LED 칩 (1) 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 는 도 2a 의 선 2b-2b 를 따라 취해진 단면을 포함하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평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 는 각각 도 3 의 선 4a-4a 및 4b-4b 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반도체 막 (14) 이 C-면 사파이어 기판 등에 의해 구성된 성장 기판 (즉, 결정 성장을 위해 사용된 기판) 상에 형성되고, 이 막은 예를 들어, AlxInyGazN (0 ≤ x ≤ 1, 0 ≤ y ≤ 1, 0 ≤ z ≤ 1, x + y + z = 1) 으로 이루어진 n-층 (11), 발광층 (12), 및 p-층 (13) 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반도체 막 (14) 의 일부를 에칭 다운함으로써 노출된 n-층 (11) 의 표면상에는 n-전극 (30) 이 형성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n-전극은 와이어-본딩될 n-패드부 (이하, 단순히 n-패드라 칭함) (31) 및 n-패드 (31) 에 접속되고 LED 칩 (1) 의 중심선을 따라 신장하는 n-보조 전극 (32) 을 갖는다. n-보조 전극 (32) 은 LED 가 구동될 때 전류 집중을 축소 또는 감소시켜서, 발광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p-층 (13) 의 표면상에 p-전극 (40) 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p-전극 (40) 은 투명 또는 투광 전극상이 아닌, p-층의 표면에 직접 접속된다. p-전극 (40) 은 와이어-본딩될 p-패드 (이하, 단순히 p-패드라 칭함) (41) 및 p-패드 (41) 에 접속되고 실질적으로 n-보조 전극 (32) 을 둘러싸서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U-형 p-보조 전극 (42) 을 갖는다. n-보조 전극 (32) 과 함께 p-보조 전극 (42) 은 LED 가 구동될 때 전류 집중을 완화함으로써 발광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n-보조 전극 (32) 및 p-보조 전극 (42) 은, 이 전극들 양자 사이의 거리가 LED 칩 (1) 의 표면을 가로질러 일정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 전극들 양자 사이에 흐르는 발광 구동 전류의 분포는 LED 칩 (1) 의 표면을 가로질러 균일해져서, 발광 휘도 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다.
p-전극 (40) 및 p-층 (13) 의 표면들은 예를 들어, 산화 인듐 주석 (ITO) 으로 이루어진 투명 또는 투광 전극 (20) 에 의해 커버된다. 발광 전극 (20) 에는 개구부 (21) 가 제공된다. p-패드 (41) 는 개구부 (21) 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와이어-본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p-패드 (41) 및 얇은 선-형상 p-보조 전극 (42) 은 ITO 와 비교하여 이들에 대한 밀착성을 확보하는 것이 더욱 쉬운 반도체 막 (14) 상에 직접 형성되고, 개구부 (21) 를 제외한 투광 전극 (20) 에 의해 커버된다. 따라서, 이들은 열 응력이 가해지더라도 박리할 가능성이 적다.
도 5 는 p-보조 전극 (42) 이 형성되는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p-전극 (40) 은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반도체 막 (41) 과 접촉하는 p-패드 (41) 및 p-보조 전극 (42) 의 하부층 (401) 은 광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알루미늄 (Al), 로듐 (Rh), 및 은 (Ag)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재료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 막 (14) 과 접촉하는 하부층 (401) 의 광 반사율의 증가는 p-전극 (40) 에 의해 흡수된 광의 양이 감소되게 하여서, 광 추출 효과를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p-전극 (40) 은 투광 전극 (20) 에 의해 커버되며, 반도체 막 (14) 에 대한 밀착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광 반사율에 대한 우선순위를 제공하는 재료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층 (401) 과 반도체 막 (14) 사이의 접촉은 바람직하게는 비옴성 접촉 (또는 쇼트키 접촉) 이다. 반도체 막 (14) 과 p-전극 (40) 사이의 접촉을 비옴성 접촉으로 하고, p-전극 (40) 과 p-층 (13) 사이의 접촉 저항을 p-전극 (40) 과 투광 전극 (20) 사이 및 투광 전극 (20) 과 p-층 (13) 사이의 접촉 저항 보다 높게 함으로써, p-전극 (40) 직하의 전류 집중이 방지될 수 있어서, 전류는 투광 전극 (20) 으로 확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p-전극 (40) 이 반도체 막 (14) 상에 직접 제공되는 구조로도, 발광 휘도 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GaN계 반도체 막 (14) 에 대해, 반도체 막 (14) 과의 접촉은, 하부층 (401) 에 대해 알루미늄 (Al) 을 선택할 때 비옴성 접촉 (즉, 쇼트키 접촉) 이 된다.
비옴성 접촉을 획득하는 다른 방법 중에서, p-전극 (40) 이 형성될 p-층 (13) 의 표면의 일부상에 플라즈마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고 저항화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알루미늄 (Al) 이외에 로듐 (Rh), 은 (Ag), 등이 하부층 (401) 에 대해 사용되는 경우에도, 층은 p-층 (13) 과의 비옴성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p-전극 (40) 과 p-층 (13) 사이의 밀착성을 강화하기 위해, 하부층 (401) 은 매우 소량의 티탄 (Ti) 또는 니켈 (Ni) 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부층 (401) 이 티탄 (Ti) 또는 니켈 (Ni) 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Ti 또는 Ni 층의 두께는 광 반사율의 저하를 가능한 한 많이 억제하기 위해 10 Å (옹스트롬)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티탄 (Ti), 니켈 (Ni) 등의 중간층 (402) 이 하부층 (401)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중간층 (402) 에 대해 티탄 (Ti) 또는 니켈 (Ni) 을 사용함으로써, 투광 전극 (20) 과 p-전극 (40) 사이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또한, 중간층 (402) 을 제공함으로써 p-전극 (40) 의 총 막 두께가 증가하여서, 얇은 선-형상 p-보조 전극 (42) 의 시트 저항이 감소하고, 전류가 p-보조 전극 (42) 의 종단 부분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투광 전극 (20) 과의 접촉 저항이 하부층 (401) 및 중간층 (402) 의 접촉 저항 보다 낮은 재료로 이루어진 상부층 (403) 이 중간층 (402) 상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부층 (403) 의 재료로서 금 (Au) 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p-전극 (40) 을 형성하는 층들의 상부층 (403) 의 투광 전극 (20) 과의 접촉 저항을 최소로 함으로써, 전류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층 (403) 으로부터 투광 전극 (20) 으로 주로 흐르게 될 수 있어서, 투광 전극 (20) 으로의 전류 확산을 강화시킬 수 있다. p-전극 (40) 이 단일 재료의 단일층이면, p-전극으로부터 흐르는 전류는 투광 전극 (20) 에서 널리 퍼지지 않고 p-층 (13) 으로 즉시 흐르고, 그 결과, 전류는 p-전극 (40) 의 근처에 집중되고, 균일한 발광 휘도 분포를 달성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p-전극 (40) 의 막 두께가 커진 만큼, 투광 전극 (20) 의 두께 방향에서의 전류 경로 (도 5 에서의 폭 "A") 가 넓어진다. 다시 말해, p-전극 (40) 의 막 두께가 커진 만큼, 투광 전극의 실질적 시트 저항이 낮아지고, 이것은 투광 전극 (20) 에서의 전류 확산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p-전극 (40) 의 총 막 두께가 너무 크면, LED 가 구동될 때의 발열로 인한 열 응력이 크기 때문에, 박리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p-전극의 막 두께는 3,000 Å (옹스트롬)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전극 (40) 의 막 두께는 주로, 중간층 (402) 및 상부층 (403) 의 막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p-전극 (40) 을 상술한 바와 같은 재료로 형성된 적층 또는 계층 구조로 하는 것은, LED 칩 (1) 의 광 추출 효율을 개선시키며, 또한 투광 전극 (20) 에서의 전류 확산을 강화시켜서, 균일한 발광 휘도 분포가 획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조를 갖는 LED 칩 (1) 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 는 LED 칩 (1) 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각각의 프로세스 단계들에 대한 단면도이다.
[반도체 막 형성 단계]
처음에, 성장 기판 (10) 으로서, AlxInyGazN (0 ≤ x ≤ 1, 0 ≤ y ≤ 1, 0 ≤ z ≤ 1, x + y + z = 1) 이 성장될 수 있는 C-면 사파이어 기판이 준비된다. 그 후, AlxInyGazN 으로 이루어진 n-층 (11) 발광층 (12), 및 p-층 (13) 이 유기 금속 화학 기상 증착 (MOCVD) 법에 의해 성장 기판 (10) 상에 순차적으로 성장되어 반도체 막 (14) 을 형성한다 (도 6a). 구체적으로는, 사파이어 기판 (10) 을 MOCVD 장치에 투입하고 수소 분위기에서 약 1,000 ℃ 에서 약 10 분 동안 가열한다 (열 클리닝). 그 후, 분위기 또는 대기 온도를 약 500 ℃ 로 조정하고, 유량 10.4
Figure 112010058439778-pat00001
에서의 트리메틸갈륨 (TMG) 및 유량 3.3 LM 에서의 암모니아 (NH3) 를 3 분 동안 공급함으로써, GaN 의 저온 버퍼층 (미도시) 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분위기 온도를 1,000 ℃ 로 상승시키고, 이 상태를 30 초 동안 유지하여 저온 버퍼층을 결정화한다. 그 후, 분위기 온도를 유지한 채, 유량 45
Figure 112010058439778-pat00002
에서의 트리메틸갈륨 (TMG) 및 유량 4.4 LM 에서의 암모니아 (NH3) 를 20 분 동안 공급함으로써, 약 1 ㎛ 두께의 기반 GaN 층 (미도시) 을 형성한다. 그 후, 1,000 ℃ 의 분위기 온도에서, 유량 45
Figure 112010058439778-pat00003
에서의 트리메틸갈륨 (TMG), 유량 4.4 LM 에서의 암모니아 (NH3), 및 유량 2.7×10-9
Figure 112010058439778-pat00004
에서의 실란 (SiH4) 을 60 분 동안 공급함으로써, 약 4 ㎛ 두께의 GaN 의 n-층 (11) 을 성장시킨다.
발광층 (12) 에 InGaN/GaN 의 다중-양자 우물 구조를 적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InGaN 우물층 및 GaN 배리어층을 1 주기로 하여, 양자 우물의 5 주기의 성장을 수행한다. 약 700 ℃ 의 분위기 온도에서, 유량 3.6
Figure 112010058439778-pat00005
에서의 트리메틸갈륨 (TMG), 유량 10
Figure 112010058439778-pat00006
에서의 트리메틸인듐 (TMI), 및 유량 4.4 LM 에서의 암모니아 (NH3) 를 33 초 동안 공급함으로써, 약 2.2 nm (나노미터) 두께의 InGaN 우물층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유량 3.6
Figure 112010058439778-pat00007
에서의 트리메틸갈륨 (TMG) 및 유량 4.4 LM 에서의 암모니아 (NH3) 를 320 초 동안 공급함으로써, 약 15 nm 두께의 GaN 배리어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5 주기 반복함으로써, 발광층 (12) 이 성장된다.
그 후, 분위기 온도를 870 ℃ 로 상승시키고, 유량 8.1
Figure 112010058439778-pat00008
에서의 트리메틸갈륨 (TMG), 유량 7.5
Figure 112010058439778-pat00009
에서의 트리메틸알루미늄 (TMA), 유량 4.4 LM 에서의 암모니아 (NH3), 및 유량 2.9 × 10-7
Figure 112010058439778-pat00010
에서의 CP2Mg (bis-cyclopentadienyl Mg) 를 5 분 동안 공급함으로써, 약 40 nm 두께의 p-AlGaN 클래드층 (미도시) 을 성장시킨다. 다음으로, 분위기 온도를 유지한 채, 유량 18
Figure 112010058439778-pat00011
에서의 트리메틸갈륨 (TMG), 유량 4.4 LM 에서의 암모니아 (NH3), 및 유량 2.9 × 10-7
Figure 112010058439778-pat00012
에서의 CP2Mg 를 7 분 동안 공급함으로써, 약 150 nm 두께의 GaN 의 p-층 (13) 을 성장시킨다.
[리세스 형성 단계]
다음으로, n-전극 (30) 이 형성될 반도체 막 (14) 의 일부를 에칭함으로써 n-층 (11) 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6b). 구체적으로는, p-층 (13) 의 표면상에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하며,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포토레지스트의 패터닝을 수행하여 레지스트 마스크를 형성한다. 그 후, 기판을 반응성 이온 에칭 (RIE) 장치에 투입하고, 레지스트 마스크를 통해 노출된 반도체 막 (14) 의 일부를 에칭하여 n-층 (11) 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킨다.
[전극 형성 단계]
리프트-오프법 (lift-off method) 에 의해 p-층 (13) 의 표면상과 n-층 (11) 의 선행 에칭 단계에서 노출된 표면 일부상에 각각, n-전극 (30) 및 p-전극 (40) 을 형성한다 (도 6c). 구체적으로는, 원하는 패턴을 갖는 레지스트 마스크를 n-층 (11) 과 p-층 (13) 의 표면상에 형성한다. 그 후, n-전극 (30) 에 대해, 전자 빔 증착에 의해 약 10 Å 두께의 티탄 (Ti) 막 및 약 10,000 Å 두께의 알루미늄 (Al) 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전극 재료와 함께 레지스트 마스크를 제거 (즉, 리프트 오프) 함으로써 n-패드 (31) 및 n-보조 전극 (32) 을 패턴에 형성한다. 한편, p-전극 (40) 에 대해, 전자 빔 증착에 의해 약 100 Å 두께의 알루미늄 (Al) 막 및 약 1,000 Å 두께의 로듐 (Rh) 막을 형성하여 하부층 (401) 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약 30 Å 두께의 금 (Au) 막을 형성하여 상부층 (403) 을 형성한다. 그 후, 전극 재료와 함께 레지스트 마스크를 제거 (리프트 오프) 함으로써, p-패드 (41) 및 p-보조 전극 (42) 을 패턴에 형성한다. 발광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n-보조 전극 (32) 과 p-보조 전극 (42) 은, 이 둘 사이의 거리가 칩 표면에서 임의의 위치에서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양호한 광 반사율을 달성하기 위해, 하부층 (401) 의 막 두께는 500 Å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0 Å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p-층 (13) 과 p-전극 (40) 사이의 접촉을 비옴성으로 하기 위해, 알루미늄 (Al) 이 p-층 (13) 상에 적층되고, 그 후, 로듐 (Rh) 이 알루미늄 (Al) 상에 적층되어 하부층 (401) 을 형성한다. p-층 (13) 과 p-전극 (40) 사이의 밀착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티타늄 (Ti) 을 포함하는 하부층 (401) 을 형성할 때, Ti 층의 막 두께는 광 반사율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10 Å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전극 (40) 과 투광 전극 (20)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투광 전극 (20) 에서의 전류 확산을 강화시키기 위해, 티타늄 (Ti) 등의 중간층 (402) 이 하부층 (401) 과 상부층 (403)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p-전극의 막 두께가 너무 큰 경우에, LED 가 구동할 때의 발열로 인한 열 응력 등이 얇은 선-형상의 p-보조 전극 (42) 을 박리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적어도 p-전극 (42) 의 총 막 두께는 3,000 Å 이하이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보조 전극 (42) 의 막 두께는 주로 중간층 (402) 및 상부층 (403) 의 막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p-층 (13) 과 p-전극 (40) 사이의 비옴성 접촉은 p-전극 (40) 에 대한 재료 선택을 통해 달성된다. 그러나, p-층 (13) 과 p-전극 (40) 사이의 비옴성 접촉은, p-전극 (40) 을 형성하기 위한 레지스트 마스크를 형성한 이후에 RIE 장치 등을 이용한 플라즈마 프로세싱에 의해 p-층 표면을 고저항화함으로써 획득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알루미늄 (Al) 이외의 재료가 전극 재료로 선택되는 경우에도, p-층 (13) 과 p-전극 (40) 사이의 비옴성 접촉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비옴성 접촉은, 전극 재료의 막을 형성함과 함께 스퍼터링에서 생성된 플라즈마에 의해 p-층 (13) 의 표면을 고저항화하는, p-전극 (40) 을 형성하는데 있어 스퍼터링법을 사용함으로써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n-패드 (31) 및 p-패드 (41) 가 n-보조 전극 (32) 및 p-보조 전극 (42) 보다 면적이 크기 때문에 n-패드 (31) 및 p-패드 (41) 근처에서 전류 집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전류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n-패드 (31) 및 p-패드 (41) 직하에 SiO2 등의 절연막이 형성될 수도 있다. 산화물에 대한 금속의 밀착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얇은 선-형상의 n-보조 전극 (32) 과 p-보조 전극 (42) 은 반도체 막 (14) 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광 전극 형성 단계]
다음으로, 투광 전극 (20) 이 p-층 (13) 의 표면상에 형성된다 (도 6d). 구체적으로는, 약 2,600 Å 두께의 산화 인듐 주석 (ITO) 막이 아크 방전 이온 플레이팅 방법에 의해 기판 전체 면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레지스트 막이 ITO 막상에 형성되고, 기판은 40 ℃ 에서 유지된 ITO 용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에천트에 30 내지 500 초 동안 침지된다. 이에 의해, ITO 막은 부분적으로 에칭되어 개구부 (21) 를 형성하고 p-패드 (41) 를 개구부 (21) 를 통해 노출시킨다. 그 후, 산소를 함유하는 분위기에서 600 ℃ 에서 1 분 동안 열 처리를 수행하여 ITO 막을 산화하여 광 투과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프로세스에 의해, 투광 전극 (20) 이 p-층 (13) 의 표면상에 형성된다. p-패드 (41) 상에 형성된 개구부 (21) 제외하고 p-전극 (40) 이 투광 전극 (20) 에 의해 커버된다.
투광 전극 (20) 용 재료로서, ITO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인듐 (In), 주석 (Sn), 및 아연 (Zn) 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는 산화물 또는 AuNi 등의 박막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투광 전극 (20) 의 막 두께는 p-전극 (40) 의 막 두께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투광 전극 (20) 에서의 횡 전류 확산은 자신의 시트 저항과 p-층 (13) 과의 접촉 저항에 의존한다. 시트 저항이 전류 흐름 방향에 수직인 단면적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투광 전극 (20) 의 더 큰 막 두께는 더 낮은 시트 저항을 발생시켜서, 전류가 더욱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 투광 전극 (20) 의 시트 저항을 가능한 한 낮게 하기 위해, 투광 전극 (20) 의 막 두께는 p-보조 전극 (42) 의 막 두께 보다 크게 설정되어야 한다. 한편, 광 투과율을 고려하면, 투광 전극 (20) 의 막 두께는 적은 광이 흡수되기 때문에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광 전극 (20) 의 두께는, 간섭으로 인한 손실이 최소이기 때문에 발광 파장 (즉, 광학 파장 또는 매체내의 파장) 의 정수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투광 전극 (20) 은 ITO 에 대해, 투광 전극 (20) 의 막 두께의 3개의 요건, 즉, (1) 투광 전극 (20) 의 막 두께가 p-보조 전극 (42) 의 막 두께 보다 크고, (2) 투광 전극 (20) 의 막 두께가 가능한 한 작으며, (3) 투광 전극 (20) 의 막 두께가 발광의 광학 파장의 정수배인 것을 동시에 충족하는 2,600 Å 의 막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전자 빔 증착 등과 같은 이온 플레이팅 방법 이외의 방법이 투광 전극 (20) 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소자 분리 단계]
그 후, 상기 단계들을 거친 기판이 칩으로 분리된다. 소자 분리를 위해, 레이저-스크라이빙/브레이킹, 포인트-스크라이빙/브레이킹, 및 다이싱과 같은 기존의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들을 거침으로써, LED 칩 (1) 이 제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발광 장치에서, P-전극은 투광 전극을 형성하는 ITO 등 과 비교하여 밀착성을 더욱 확보할 가능성이 있는 반도체 막상에 직접 형성되고, 또한, p-보조 전극 및 p-패드의 일부가 투광 전극에 의해 커버된다. 따라서, p-전극 박리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도 있어서, 제조 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얇은 선과 같이 형성되고 LED 가 구동될 때 비교적 큰 열 응력이 가해지므로, 본 발명에 의해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는 p-전극에 대해 현저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발광 장치에서, 반도체 막과 p-전극 사이의 접촉은 비옴성으로 되어, p-전극 직하의 전류 집중을 완화하거나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발광 구동 전류는, p-전극이 반도체 막상에 직접 형성되는 구조로도 투광 전극에 걸쳐 확산될 수 있어서, 발광 휘도 분포가 LED 칩 표면에 걸쳐 균일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발광 장치에 따르면, p-전극 박리의 문제점이 상술한 바와 같이 해결되기 때문에 p-전극에 대한 재료 선택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다시 말해, 높은 광 반사율을 갖는 재료가 p-전극용의 재료로서 선택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p-전극에 의해 흡수된 광의 양이 감소될 수 있어서,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p-보조 전극의 폭은, p-전극 박리가 해결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서, 발광에서 그림자인 영역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광 출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발광 장치를 설명한다. 도 7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LED 칩 (2) 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b 는 도 7A 의 선 7b-7b 를 따라 취해진 단면을 포함하는 사시도이고, 도 8 은 평면도이고, 도 9 는 도 8 의 선 9-9 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C-면 사파이어 기판 등으로 구성된 성장 기판 (10) 상에, 예를 들어, AlxInyGazN (0 ≤ x ≤ 1, 0 ≤ y ≤ 1, 0 ≤ z ≤ 1, x + y + z = 1) 으로 이루어진 n-층 (11), 발광층 (12), 및 p-층 (13) 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구성된 반도체 막 (14) 이 형성된다. n-전극 (30) 이 반도체 막 (14) 의 일부를 에칭함으로써 노출된 n-층 (11) 의 표면상에 형성된다. n-전극은 와이어-본딩될 n-패드 (31) 및 n-패드 (31) 에 접속된 실질적으로 U-형상의 n-보조 전극 (32) 을 갖는다.
p-층 (13) 은 6각형 결정인 AlxInyGazN 의 결정 구조로부터 유래한 그 신장하는 표면에서 사다리꼴 단면의 돌출부 (13a) 를 갖는다. 즉, 돌출부 (13a) 의 표면은 AlxInyGazN 의 결정면으로 구성된다. 돌출부 (13a) 는 LED 칩 (2) 의 중심선을 따라 신장하고 그 상부면은 평탄면이다. p-전극 (40) 이 돌출부 (13a) 의 상부 표면상에 제공된다. p-전극 (41) 은 와이어-본딩될 p-패드 (41) 및 p-패드 (41) 에 접속되고 LED 칩 (2) 의 중심선을 따라 신장하는 p-보조 전극 (42) 을 갖는다. p-패드 (41) 및 p-보조 전극 (42) 은 모두 돌출부 (13a) 상에 형성된다. n-보조 전극 (32) 과 함께 p-보조 전극 (42) 은, LED 가 구동될 때 전류 집중을 완화하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발광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한다. n-보조 전극 (32) 과 p-보조 전극 (42) 은, 이 전극들 양자 사이의 거리가 LED 칩 (2) 의 표면에 걸쳐 동일하도록 위치된다. 이에 의해, 이 전극들 양자 사이에 흐르는 발광 구동 전류의 분포는 LED 칩 (2) 의 표면에 걸쳐 균일하게 되어, 발광 휘도 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다.
p-전극 (40) 및 p-층 (13) 의 표면은 예를 들어, 산화 인듐 주석 (ITO) 으로 이루어진 투광 전극 (20) 에 의해 커버된다. 투광 전극 (20) 에는 개구부 (21) 가 제공된다. p-패드 (41) 는 개구부 (21) 를 통해 부분적으로 커버되며, 와이어-본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p-패드 (41) 및 얇은 선-형상의 p-보조 전극 (42) 은 ITO 등에 비교하여 이들에 대한 밀착성을 더욱 확보할 가능성이 있는 반도체 막 (14) 상에 직접 형성되고, 또한 개구부 (21) 를 제외하고 투광 전극 (20) 에 의해 커버된다. 따라서, 이들은 열 응력이 가해질 때에도 박리할 가능성이 없다.
p-전극 (40) 은 제 1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또한, p-전극 (40) 과 반도체 막 (14) 사이의 접촉은 비옴성 접촉 (쇼트키 접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 막 (14) 과 p-전극 (40) 사이의 접촉을 비옴성으로 함으로써, 전류가 p-전극 (40) 직하에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따라서 전류는 투광 전극 (20) 에 걸쳐 확산될 수 있다.
도 10 은, p-보조 전극 (42) 이 형성되는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LED 칩 (1) 의 구조에서, p-전극 (40) 의 두께가 커지는 만큼, 투광 전극 (20) 에서의 전류 경로와 관련된 실질적 시트 저항이 낮아지고, 이것은 투광 전극 (20) 에 있어서 전류를 확산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p-전극 (40) 의 두께가 너무 크면, 열 응력 등으로 인한 박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LED 칩 (2) 의 구조에서, 투광 전극 (20) 의 실질적 시트 저항은 p-전극 (40) 의 두께의 증가없이 감소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5 와 도 10 의 비교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p-패드 (41) 및 p-보조 전극 (42) 을 포함하는 p-전극 (40) 이 제 2 실시형태의 LED 구조에서의 p-층 (13) 의 돌출부 (13a) 의 상부 표면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p-전극의 상부층 (403) 으로부터 유출된 전류가 투광 전극 (20) 에서 흐르는 단면의 면적은 제 1 실시형태 보다 크다. 다시 말해, 투광 전극 (20) 의 두께 방향에서의 전류 경로 (도 10 에서의 폭 "B") 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보다 넓다. 따라서, 투광 전극 (20) 의 실질적 시트 저항이 더 감소될 수 있어서, 투광 전극 (20) 에서의 전류 확산을 강화하고 발광 휘도 분포의 표면에 걸친 균일화에 기여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투광 전극 (20) 에서의 전류 확산 거리가 신장될 수 있어서, p-보조 전극 (42) 과 n-보조 전극 (32) 의 면적이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에서 그림자인 영역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광 출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p-층 (13) 에 돌출부 (13a) 를 제공함으로써, p-층 (13) 의 표면이 편평한 경우와 비교하여 광 추출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이것은, p-층 (13) 에 돌출부 (13a) 를 제공하는 것이, 발광층 (12) 으로부터 오고 p-층 (13) 과 투광 전극 (20) 사이의 계면에서 전반사에 의해 반사되어서 외부로 방출되지 않는 광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돌출부 (13a) 는 p-층 (13) 의 성장 단계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6각형 결정인 AlxInyGazN 의 결정 구조로부터 유래한다. p-층 (13) 의 표면과 돌출부 (13a) 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이 일정한 약 60°이기 때문에, 돌출부 (13a) 의 상부 표면의 폭은 그것의 바닥 폭과 높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돌출부 (13a) 의 높이를 투광 전극 (20) 의 두께 만큼 크거나 투광 전극의 두께 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투광 전극 (20) 의 두께를 최대로 활용하는 전류 경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투광 전극 (20) 에서 전류 확산을 강화할 수 있다. 투광 전극 (20) 의 두께는 약 2,600 Å 인 것이 바람직하며, 돌출부 (13a) 의 높이는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 (13a) 를 광 추출 효율의 향상에 기여시키기 위해, 그 높이는 발광 파장 (약 450nm) 보다 충분히 크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돌출부 (13a) 의 높이는 5,000 Å 이상이 바람직하다. 돌출부 (13a) 의 높이는, 돌출부 주위의 p-층 (13) 의 표면과 p-전극 (40) 이 형성되는 돌출부 (13a) 의 표면 사이의 레벨의 차이를 칭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LED 칩 (2) 의 제조 프로세스 중 돌출부 (3a) 를 형성하는 단계 (돌출부 형성 단계) 를 도 11a 내지 도 11c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돌출부 형성 단계를 제외한 반도체 막 형성 단계, 리세스 형성 단계, 전극 형성 단계, 투광 전극 형성 단계, 및 소자 분리 단계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LED 칩(1) 에 대한 것과 동일하며, 따라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n-층 (11), 발광층 (12), 및 p-층 (13) 을 성장 기판 (10)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한 이후에, p-층 (13) 의 전체 표면상에 SiO2 막 (50) 을 형성한다. SiO2 막 (50) 은, 반도체 막 (14) 을 플라즈마에 노출시키지 않는 열 CVD 법, 전자 빔 증착법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돌출부 (13a) 에 대한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부를 갖는 레지스트 마스크 (미도시) 를 SiO2 막 (50) 상에 형성하며, 레지스트 마스크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SiO2 막 (50) 의 일부를 BHF (버퍼드 불산) 를 사용하여 에칭하여 SiO2 막 (50) 의 패터닝을 수행한다. 돌출부 (13a) 에 대한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SiO2 막 (50) 의 일부에 개구부를 형성하며, 그 개구부를 통해, p-층 (13) 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킨다 (도 11a).
그 후 기판을 MOCVD 장치에 투입하며, 마스크로서 SiO2 막 (50) 으로 반도체 막을 성장시킨다. 구체적으로는, p-층 (13) 을 형성하는 성장 조건하에서, 즉, 870 ℃ 의 분위기 온도에서, 유량 8.1
Figure 112010058439778-pat00013
에서의 트리메틸갈륨 (TMG), 유량 7.5
Figure 112010058439778-pat00014
에서의 트리메틸알루미늄 (TMA), 유량 4.4 LM 에서의 암모니아 (NH3), 및 유량 2.9×10-7
Figure 112010058439778-pat00015
에서의 CP2Mg (bis-cyclopentadienyl Mg) 를 공급하여 p-GaN 층을 성장시킨다. SiO2 막 (50) 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p-층 (13) 의 일부상에만 p-GaN 층을 성장시키고, 돌출부 (13a) 를 형성한다. 돌출부 (13a) 의 표면은 AlxInyGazN 의 결정면으로 구성되며, 돌출부 (13a) 의 단면의 형상을 사다리꼴이다. 돌출부 (13a) 의 높이 및 그 상부면의 폭은 성장 시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11b).
그 후, 기판을 BHF (버퍼드 불산) 에 침지하여 SiO2 막 (50) 을 제거한다 (도 11c). 상기 단계들을 수행함으로써, 돌출부 (13a) 를 p-층 (13) 상에 형성한다. 그 후, 제 1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반도체 막 (14) 을 에칭하여 n-층 (11) 을 노출시키고, n-전극 (30) 및 p-전극 (40) 을 형성하고, 발광 전극 (20) 을 형성하여 p-전극 (40) 을 커버하고, 개구부 (21) 를 형성하며, 결과적인 기판을 LED 칩으로 분할한다. 상기 단계들을 경유하여,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LED 칩 (2) 이 제조된다.
돌출부 (13a) 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돌출부 형성 단계에서 p-GaN 층에 대한 성장 시간은 증가되어야 한다. 돌출부 (13a) 의 단면 형상을 삼각형으로 함으로써 더욱더 증가하는 광 출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p-전극 (40) 은 도 1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 (13a) 의 측면상에 형성될 수도 있거나, 도 1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 (13a) 의 상부를 스트래들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 성장용 마스크 재료는 결정 성장 온도를 견딜 수 있고 패터닝될 수 있는 재료이면 된다. 예를 들어, SiO2 뿐만 아니라 Si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에서, 상부 표면으로서 p-층을 갖는 LED 칩을 설명하였지만, p-층과 n-층은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상부 표면으로서 n-층 및 그 n-층상에 배치된 투광층을 갖는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당업자는 다양한 변경물 및 변형물이 상술한 실시형태로부터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첨부한 청구범위가 모든 이러한 변경물 및 변형물을 포함한다는 것이 예상된다.
본 출원은 여기에 참조로 통합되는 일본 특허 출원 제 2009-211537 호에 기초한다.

Claims (9)

  1. 제 1 도전형의 제 1 반도체 층; 상기 제 1 도전형과 다른 제 2 도전형의 제 2 반도체 층; 및 상기 제 1 반도체 층과 상기 제 2 반도체 층 사이에 제공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장치로서,
    상기 제 1 반도체 층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상기 제 2 반도체 층상에 형성된 제 2 전극; 및
    상기 제 2 반도체 층과 상기 제 2 전극을 커버하고, 상기 제 2 전극보다 두꺼운 막두께를 갖는 투광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제 2 반도체 층 사이의 접촉은 비옴성 (non-ohmic) 이며,
    상기 제 2 전극은, 하부층 및 상기 투광 전극과의 접촉 저항이 상기 하부층의 접촉 저항 보다 낮은 상부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2 전극의 일부는 상기 투광 전극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반도체 발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도체 층은, 상기 제 2 반도체 층의 연장하는 표면에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돌출부 상에 제공되고, 상기 투광 전극은 상기 돌출부, 상기 제 2 전극 및 상기 제 2 반도체 층의 표면을 덮는, 반도체 발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반도체 발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제 2 반도체 층 사이의 접촉 저항이,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투광 전극 사이의 접촉 저항 보다 높은, 반도체 발광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은, 알루미늄, 로듐, 및 은 중 하나의 재료, 또는 상기 재료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발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제 1 패드 및 상기 제 1 패드에 접속된 선-형상의 제 1 보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은 제 2 패드 및 상기 제 2 패드에 접속된 선-형상의 제 2 보조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패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반도체 발광 장치.
  7. 기판상에 제 1 도전형의 제 1 반도체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반도체 층상에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층상에 상기 제 1 도전형과 다른 제 2 도전형의 제 2 반도체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반도체 층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반도체 층상에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반도체 층과의 접촉이 비옴성 (non-ohmic) 이도록 상기 제 2 반도체 층상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반도체 층 및 상기 제 2 전극을 커버하고, 상기 제 2 전극보다 두꺼운 막두께를 갖도록 투광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투광 전극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 2 전극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반도체 층상에, 알루미늄, 로듐, 및 은 중 하나의 재료, 또는 상기 재료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하부층 및 상기 투광 전극과의 접촉 저항이 상기 하부층의 접촉 저항 보다 낮은 상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도체 층의 연장하는 표면에 상기 제 2 도전형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돌출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투광 전극은 상기 돌출부, 상기 제 2 전극 및 상기 제 2 반도체 층의 표면을 덮는, 반도체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반도체 발광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00088010A 2009-09-14 2010-09-08 반도체 발광 장치 및 반도체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708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11537 2009-09-14
JP2009211537A JP5392611B2 (ja) 2009-09-14 2009-09-14 半導体発光装置および半導体発光装置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085A KR20110029085A (ko) 2011-03-22
KR101708939B1 true KR101708939B1 (ko) 2017-03-08

Family

ID=4324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010A KR101708939B1 (ko) 2009-09-14 2010-09-08 반도체 발광 장치 및 반도체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55912B2 (ko)
EP (1) EP2296199B1 (ko)
JP (1) JP5392611B2 (ko)
KR (1) KR1017089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4005B2 (ja) * 2010-02-26 2014-05-14 豊田合成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
US8536595B2 (en) * 2010-08-31 2013-09-17 Micron Technology, Inc. Solid state lighting devices with low contact resistanc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KR20130024089A (ko) * 2011-08-30 2013-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JP5960426B2 (ja) * 2011-12-16 2016-08-0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半導体素子及び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KR101883842B1 (ko) * 2011-12-26 2018-08-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USD709840S1 (en) 2012-10-03 2014-07-29 Epistar Corporation Light-emitting diode
WO2014057591A1 (ja) * 2012-10-12 2014-04-17 エルシード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6102677B2 (ja) * 2012-12-28 2017-03-29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素子
TWI514628B (zh) 2013-10-24 2015-12-21 Lextar Electronics Corp 電極結構與具有電極結構的發光二極體結構
WO2015074353A1 (zh) * 2013-11-25 2015-05-28 扬州中科半导体照明有限公司 一种半导体发光二极管芯片
JP6443198B2 (ja) * 2014-04-25 2018-12-2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素子
USD773410S1 (en) * 2014-10-24 2016-12-06 Epistar Corporation Light-emitting diode array
JP2016127064A (ja) * 2014-12-26 2016-07-1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TWI583019B (zh) * 2015-02-17 2017-05-11 新世紀光電股份有限公司 Light emitting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D770989S1 (en) * 2015-02-23 2016-11-08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CN110323310B (zh) * 2015-04-22 2021-04-13 新世纪光电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
USD775090S1 (en) * 2015-04-23 2016-12-27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DE102016106571A1 (de) * 2016-04-11 2017-10-1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Lichtemittierender Halbleiterchip, lichtemittierend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ichtemittierenden Bauelements
CN105845801B (zh) * 2016-06-13 2018-04-10 天津三安光电有限公司 发光二极管及其制作方法
TWD190563S (zh) * 2017-06-23 2018-05-21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陣列之部分
TW202036933A (zh) 2019-03-22 2020-10-01 新世紀光電股份有限公司 紅光發光二極體及其製造方法
JP7245101B2 (ja) * 2019-04-02 2023-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発光装置、露光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WO2021095717A1 (ja) * 2019-11-12 2021-05-20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電子機器
JP7216295B2 (ja) * 2020-09-28 2023-02-01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素子
CN113437188A (zh) * 2021-06-24 2021-09-24 厦门乾照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led芯片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9215A1 (en) * 2008-01-16 2009-07-16 Rohm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5369A1 (en) * 1992-12-22 1994-07-07 Research Corporation Technologies, Inc. Group ii-vi compou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and an ohmic contact therefor
JP3916011B2 (ja) * 1997-02-21 2007-05-16 シャープ株式会社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87772A (ja) * 1997-09-01 1999-03-30 Showa Denko Kk 半導体発光素子用の電極
JPH11135834A (ja) * 1997-10-27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光ダイオー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810746B2 (ja) * 2000-03-31 2011-11-09 豊田合成株式会社 Iii族窒化物系化合物半導体素子
JP2005116794A (ja) * 2003-10-08 2005-04-28 Mitsubishi Cable Ind Ltd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JP2006156590A (ja) * 2004-11-26 2006-06-15 Mitsubishi Cable Ind Ltd 発光ダイオード
CN102779918B (zh) * 2007-02-01 2015-09-02 日亚化学工业株式会社 半导体发光元件
WO2010113238A1 (ja) * 2009-04-03 2010-10-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窒化物系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9215A1 (en) * 2008-01-16 2009-07-16 Rohm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085A (ko) 2011-03-22
EP2296199A2 (en) 2011-03-16
JP5392611B2 (ja) 2014-01-22
US20110062484A1 (en) 2011-03-17
EP2296199A3 (en) 2014-01-22
JP2011061127A (ja) 2011-03-24
US8455912B2 (en) 2013-06-04
EP2296199B1 (en)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939B1 (ko) 반도체 발광 장치 및 반도체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US10062810B2 (en) Light-emitting diode module having light-emitting diode joined through solder paste and light-emitting diode
CN102386295B (zh) 发光元件
KR100631840B1 (ko) 플립칩용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JP5030398B2 (ja)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
KR101017394B1 (ko)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US8405113B2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US9099627B2 (en) Method for producing group III nitrid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US20040113156A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WO2005050748A1 (ja)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28227A (ja)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CN104409588A (zh) 半导体发光元件
JP2008227109A (ja) GaN系LED素子および発光装置
EP2595202B1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US9054276B2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US20230024651A1 (en) Light-emitting diode
JP2019207925A (ja)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JP5845557B2 (ja) 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TW202036939A (zh) 發光二極體及其製造方法
JP4803302B2 (ja)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KR101239854B1 (ko) 수직형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337617B1 (ko) 오믹 전극 패턴을 갖는 수직형 발광 다이오드 및 그제조방법
TW201505211A (zh) 發光元件
CN112670382B (zh) 一种led芯片及led芯片的制备方法
JP5630276B2 (ja) 半導体発光素子、半導体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