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746B1 -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746B1
KR101706746B1 KR1020157015376A KR20157015376A KR101706746B1 KR 101706746 B1 KR101706746 B1 KR 101706746B1 KR 1020157015376 A KR1020157015376 A KR 1020157015376A KR 20157015376 A KR20157015376 A KR 20157015376A KR 101706746 B1 KR101706746 B1 KR 101706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downstream
upstream
fan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4954A (ko
Inventor
카즈히로 키무라
요시키 하야시
테쯔오 하리이
사다노리 이시하라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F16H57/0415Air cooling or ventilation; Heat exchangers; Thermal insulations
    • F16H57/0416Air cooling 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54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3Series gearboxes, e.g. gearboxes based on the same design being available in different sizes or gearboxes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standardis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8Type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93Gearings with spur or bevel gears
    • F16H57/0495Gearings with spur or bevel gears with fixed gear ratio

Abstract

팬(40)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공기류(A1)에 의하여 냉각이 행해지고, 케이싱(30)의 측면(30A~30D) 중 대향하는 상면(30A) 및 하면(30B)에 핀(50)이 마련된 동력전달장치(10)로서, 핀(50)은, 팬(40)에 가까운 측의 상류핀(51)과, 팬(40)으로부터 먼 측의 하류핀(52)으로 구성되며, 또한 상류핀(51)끼리의 간격(L1)이, 하류핀(52)끼리의 간격(L2)보다 좁다. 이로써 장치 전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mi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있어서, 팬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공기류에 의하여 냉각이 행해지는 동력전달장치(미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는,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동력전달장치의 케이싱에 핀이 마련되어 있다. 핀은, 케이싱의 팬이 마련되어 있는 측의 면에 집중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평5-137401호(도 1, 도 2)
특허문헌 1에 있어서 개시된 구조에서는, 팬이 마련되어 있는 측의 면에 핀이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팬의 근방의 냉각은 양호하게 행해지지만, 장치 전체적으로는, 반드시 항상 충분히 냉각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며, 동력전달장치의 사용 환경 등에 따라서는, 열부하가 심할 때가 있다는 것이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팬으로부터 거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부분을 포함하여, 장치 전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팬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공기류에 의하여 냉각이 행해지고, 케이싱의 측면에 핀이 마련된 동력전달장치로서, 상기 핀은, 상기 팬에 가까운 측의 상류핀과, 상기 팬으로부터 먼 측의 하류핀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상류핀끼리의 간격이, 상기 하류핀끼리의 간격보다 좁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케이싱의 측면에 공기류를 받는 핀을 마련한다. 그리고, 이 핀을, 팬에 가까운 측의 상류핀과 팬으로부터 먼 측의 하류핀으로 구성한다. 상류핀끼리의 간격은, 하류핀끼리의 간격보다 좁다.
이로써, 팬에 가까운 측(공기류의 상류측)은, 상류핀끼리의 간격이 좁음으로써 공기류와 상류핀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열교환효율을 높이고, 한편, 팬으로부터 먼 측(공기류의 하류측)은, 하류핀끼리의 간격을 넓게 함으로써 압력손실을 저감하여, 공기류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팬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공기류를, 보다 유효하게 활용하면서 보다 원활히 흐르게 할 수 있어, 동력전달장치 전체로서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 전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한 감속기(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감속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감속기의 케이싱 부분의 도 2의 화살표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감속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감속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감속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상기 감속기의 배면도이다.
도 8은 상기 감속기의 저면도이다.
도 9는 상기 감속기의 동력전달계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한 감속기(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1에 상당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한 감속기(동력전달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감속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화살표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4~도 8은, 각각 그 감속기(10)의 평면도 이외의 5면도, 도 9는, 그 감속기(10)의 동력전달계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다만, 도 9는, 동력전달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도 1~도 8과는 치수 등이 반드시 정합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9를 이용하여 당해 감속기(10)의 동력전달계의 구성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감속기(10)는, 직교감속기구(8A) 및 평행축감속기구(8B)를 포함하는 2단의 감속기구(8)를 가지고 있다. 즉, 이 감속기(10)는, 입력축(12)의 선단에 마련된 베벨피니언(14)과, 중간축(16)에 마련됨과 함께 이 베벨피니언(14)과 맞물리는 베벨기어(18)를 구비한 직교감속기이다. 중간축(16)에는, 중간피니언(20)이 구비되며, 중간피니언(20)은, 출력축(22)에 마련된 출력기어(24)와 맞물려 있다.
입력축(12)은, 모터측 베어링(26) 및 모터 반대측 베어링(28)으로 지지되어 있다. 입력축(12)의 모터측 베어링(26)은, 케이싱(30)으로부터 (그 일부로서)돌출되어 배치된 베어링 케이싱(30K)에 수용되어 있다.
입력축(12)은, 이 베어링 케이싱(30K)으로부터 더 돌출된 돌출부(12A)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12A)에는, 팬(40)이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자연냉각에 더하여, 팬(40)에 의하여 발생된 공기류(팬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공기류)에 의하여, 감속기(10)의 케이싱(30)을 보다 적극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다만, 팬(40)에는 팬 커버(50)(도 9 이외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부설되어 있다. 이 팬 커버(50)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바람유도커버(77)와 일체화된 구성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서술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팬(40)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공기류(A1)를 보다 유효하게 활용하여 감속기(10) 전체의 냉각효율을 보다 높이고 있다. 이하 상세히 서술한다.
도 1~도 8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감속기(10)는, 케이싱(30) 전체가,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핀(50)은, 케이싱(30)의 “측면”에 마련된다. 여기에서, “케이싱(30)의 측면”이란, “케이싱(30)의 표면 중, 팬(40)으로부터의 공기류(A1)가 접촉할 수 있는 면으로서, 당해 면 내에 있어서, 공기류(A1)의 팬(40)에 가까운 측(공기류(A1)의 상류측) 및 팬(40)으로부터 먼 측(공기류(A1)의 하류측)의 개념이 있는 면”을 가리키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형태로 말하자면, 케이싱(30)의 상면(30A), 하면(30B), 정면(30C), 배면(30D)의 4개의 면이, “측면”에 상당하고 있다.
다만, 팬(40)이 장착되어 있는 우측면(30E) 및 팬 장착 반대면인 좌측면(30F)은, 당해 우측면(30E), 좌측면(30F) 내에 있어서 팬(40)에 가까운 측, 혹은 팬(40)으로부터 먼 측이라는 개념이 없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싱(30)의 측면”에는 상당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4개의 측면, 즉, 상면(30A), 하면(30B), 정면(30C), 배면(30D) 중, 대향하는 2개의 측면, 구체적으로는 상면(30A) 및 하면(30B)에, 핀(50)이 마련되어 있다. 핀(50)은, 예를 들면, 용접, 혹은 내열성의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으로 상면(30A) 및 하면(30B)에 마련되어 있다. 다만, 예를 들면, 핀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를 볼트 등으로, 상면(30A) 혹은 하면(30B)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마련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핀을 케이싱과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다만, 도 2의 평면도 및 도 8의 저면도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상면(30A), 하면(30B)은, 완전히 동일한 양태로 핀(50)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후에는, 상면(30A)에 형성된 핀(50)에 대하여 설명하고, 하면(30B)에 마련되는 핀(50)에 대해서는, 도 8 중에서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핀(50)은, 팬(40)에 가까운 측의 상류핀(51)과 팬(40)으로부터 먼 측의 하류핀(52)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핀(51)은, 7개, 하류핀은, 3개 마련되어 있다. 상류핀(51)끼리의 간격(L1)은, 하류핀(52)끼리의 간격(L2)보다 좁다. 또, 상류핀(51)이 형성되어 있는 폭(공기류의 흐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W1)은, 하류핀(52)이 형성되어 있는 폭(W2)보다 넓다.
또,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류핀(51)의 높이(H1)는, 하류핀(52)의 높이(H3)보다 높다. 여기에서, “핀의 높이”란, 감속기(10)의 설치면(80)으로부터의 절대 높이의 개념과는 상이하다(설치면(80)으로부터의 절대 높이는, 상류핀(51)측은 H7, 하류핀(52)측은 H8로서, 하류핀(52)측이 높다). 그러나, 핀(50)이 냉각에 기여하는 것은, “당해 핀이 세워 설치되어 있는 면으로부터의 높이”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핀의 높이”란, “당해 핀이 세워 설치되어 있는 면으로부터의 높이 중 최대치”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당해 핀이 세워 설치되어 있는 면”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하면, 이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30)은, 4개의 측면(30A~30D) 중, 대향하는 2개의 면인 상면(30A) 및 하면(30B)의 각각에, 상류핀(51) 및 하류핀(52)이 마련되어 있지만, 이 상면(30A) 및 하면(30B)은, 팬(40)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먼 측을 향하여 당해 대향하는 상면(30A) 및 하면(30B)의 사이의 거리가 L3→L4로, 점차 커지도록(공기류(A1)를 받아들이도록) 경사져 있다. 이로 인하여, 케이싱(30)의 높이방향의 중앙수평면(입력축(12)과 출력축(22)의 축심(O1, O2)을 포함하는 평면)(Cp)으로부터의 거리(L5~L6)는, 상류측이 작다(L5<L6). 더 구체적으로는, 상류핀(51)이 세워 설치되어 있는 면(30A1)은, 경사진 평면이며, 하류핀(52)이 세워 설치되어 있는 면(30A2)은, 곡선형상으로 만곡한 면이다.
또, “핀의 높이 중 최대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류핀(51)은, 상류핀(51)이 세워 설치되어 있는 면(30A1)으로부터의 높이는, 공기류(A1)의 상류측이 가장 높은 H1이며, 공기류(A1)의 하류측은, 보다 낮은 H2로까지 변화하고 있다(H1>H2).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의 상류핀(51)의 높이는, “당해 핀이 세워 설치되어 있는 면으로부터의 높이 중 최대치”라는 정의로부터, H1이다. 한편, 하류핀(52)은, 당해 하류핀(52)이 세워 설치되어 있는 면(30A2)으로부터의 높이는, 공기류(A1)의 상류측이 가장 높은 H3이며, 공기류(A1)의 하류측일수록 낮아져 있어, 최하류측에서는 0이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의 하류핀(52)의 높이는, H3이다. 그리고, 상류핀(51)의 높이(H1)는, 하류핀(52)의 높이(H3)보다 높다(H1>H3).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류핀(51)과 하류핀(52)의 사이에 당해 감속기(10)의 점검구(60)를 가지고 있다. 이 점검구(60)를 폐쇄하는 덮개체(62)의 상부의 높이(중앙수평면(입력축(12)과 출력축(22)의 축심(O1, O2)을 포함하는 평면)(Cp)으로부터의 높이: 도 3 참조)(H5)는, 상류핀(51)의 하류측 종단에서의 정상부(51F)보다 낮고, 상류핀(51)의 하류측 종단에서의 바닥부(51G)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바닥부(51G)보다 낮아도 되고, 약간 높아도 된다). 다만, 이 높이(H5)는, 점검구(60)가 마련되어 있는 면(30A3)으로부터의 높이라는 점에서는, “0(동일 높이)”에 상당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이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체(62)의 두께만큼, 스폿페이싱(60A)을 형성하고 있다(다만, 도 3의 단면도에는, 덮개체(62)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구성은, 점검구(60)(의 덮개체(62))가 공기류(A1)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배려에 의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류핀(51) 및 하류핀(52)이 마련되어 있는)상면(30A) 및 하면(30B)의 양단부에, 팬(40)의 공기류(A1)의 흐름방향(X)을 따라 세로벽(竪壁)(71, 72)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세로벽(71, 72)은, 공기류(A1)의 흐름방향(X)에 있어서의 상류핀(51) 및 하류핀(52)에 대응하는 영역(P1, P2)에서, 그 세로벽(71, 72)끼리의 폭이, 각각 W5, W6으로까지 좁아지도록 하여 세워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로벽(71, 72)은, 상류핀(51) 및 하류핀(52)에 대응하는 영역(P1, P2)에 있어서, 폭이 최소(W5, W6)가 되는 위치(P1m, P2m)가, 상류핀(51) 및 하류핀(52)의 각각의 길이방향 중앙위치(P1c, P2c)보다 거리(L8, L9)만큼, 각각 팬(40)으로부터 먼 측으로 시프트하도록 곡선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류핀(51) 및 하류핀(52)이 마련되어 있는)상면(30A) 및 하면(30B)의 당해 하류핀(52)보다 팬(40)으로부터 먼 영역(P3)은, 폭방향(W)에 있어서 하류핀(52)의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P3a)이, 그 폭방향 양측(P3b)보다 볼록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싱(30)은, (상류핀(51) 및 하류핀(52)이 마련되어 있는)상면(30A) 및 하면(30B)과 교차하는 면(즉 정면(30C) 및 배면(30D))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교차하는 면인 정면(30C) 및 배면(30D)에, 베이스 표면(30C1, 30D1)보다 패인 곡선형상의 오목부(74A~74C)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감속기(10)의 작용을 설명한다.
구동원측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입력축(12)이 회전하면, 베벨피니언(14)과 베벨기어(18)의 맞물림, 중간피니언(20)과 출력기어(24)의 맞물림, 혹은 이들 기어가 장착되어 있는 입력축(12), 중간축(16), 혹은 출력축(22)을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26, 28, 32, 34) 및 출력축(22)을 지지하는 베어링 등의 전동(轉動) 등에 의하여 케이싱(30) 내에 있어서는, 상응하는 열이 발생한다.
이 열은, 대부분의 사용 환경에 있어서는, (종래의 감속기이더라도) 특별히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고온의 환경하에서 연속 운전되는 용도 등에 있어서는, 윤활유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유막이 양호하게 형성되지 않아, 기어나 베어링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는, 예를 들면, 보다 대용량의 팬을 장착하거나, 보다 큰(1~2랭크 대형의) 케이싱을 가지는 감속기를 사용하거나 하는 수법이 있지만, 보다 대용량의 팬을 장착하는 것은, 소음이 커짐과 함께, 동력의 손실이 커진다. 또, 열대책을 위하여, 보다 대형의 감속기를 사용하는 것은 비용의 증대가 클 뿐만 아니라, 중량 증대 등의 취급상의 단점도 커져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팬(40)이나 케이싱(30)의 설계 변경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혹은 기본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이하와 같은 작용으로 냉각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즉, 입력축(12)이 회전하면, 그 입력축(12)에 장착된 팬(40)이 회전하여, 팬(40)에 의한 공기류(A1)가, 케이싱(30)의 4개의 측면, 즉, 상면(30A), 하면(30B), 정면(30C), 및 배면(30D)을 따라 흐른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동력전달장치의 케이싱(30)에 있어서는, 상면(30A) 및 하면(30B)에 핀(50)이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팬(40)에 가까운 측의 상류핀(51)끼리의 간격(L1)이, 팬(40)으로부터 먼 측의 하류핀(52)끼리의 간격(L2)보다 좁다. 그 결과, 팬(40)에 가까운 측(공기류(A1)의 상류측)은, 상류핀(51)의 간격(L1)이 좁혀져 있음으로써 공기류(A1)와 상류핀(51)의 접촉 면적이 커져 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고, 한편, 팬(40)으로부터 먼 측(공기류(A1)의 하류측)에서는, 하류핀(52)의 간격(L2)이 넓게 벌려져 있음으로써 압력손실이 저감된다. 따라서, 공기류(A1)의 흐름은 저해되지 않는다. 다만, 이 작용이, 결과적으로 케이싱(30) 전체의 냉각효율을 보다 높여, 그 케이싱(3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에 기여하는 것은, 발명자들의 시험에 의하여 확인되고 있다.
추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30)의 4개의 측면(30A~30D) 중 대향하는 2개의 측면, 즉 상면(30A) 및 하면(30B)의 각각에, 상류핀(51) 및 하류핀(52)을 마련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케이싱(30)의 양측으로부터(이 실시형태에서는 상하방향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당해 대향하는 2개의 측면인 상면(30A) 및 하면(30B)은, 모두 축(베어링)을 지지하고 있지 않고, 구성이 단순하기 때문에, 핀(50)의 형성이 용이하다. 또한, 출력축(22)의 축반출방향에 따라, 상면(30A) 및 하면(30B) 중 어느 하나를 설치면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상류핀(51)의 높이(H1)가, 하류핀(52)의 높이(H3)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팬(40)에 가까운 (차갑고, 또한 기세좋은)공기류(A1)와 효율적으로 열교환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류핀(51)과 하류핀(5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점검구(60)를 폐쇄한)덮개체(62)의 상면의 높이(H5)가, 상류핀(51)의 정상부(51F)보다 낮고, 바닥부(51G)와 동일한 레벨까지 낮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류핀(51)을 통과한 공기류(A1)의 기세를 줄이지 않고 하류핀(52)측에 도달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압력손실이 저감되어, 공기류(A1)의 흐름을 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류핀(51) 및 하류핀(52)이 형성되어 있는)상면(30A) 및 하면(30B)에, 팬(40)의 공기류(A1)의 흐름방향(X)을 따라 세로벽(71, 72)이 세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류(A1)가 수평방향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팬(40)측에서 보내져 온 공기류(A1)를 효율적으로 핀(50)에 맞닿게 할 수 있다. 특히, 설치면(80)과 대치하고 있는 하면(30B)측에 있어서는, 이 세로벽(71, 72)의 존재에 의하여, 팬(40)측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공기류(A1)를, 폭방향 및 높이방향의 쌍방에 있어서 확산시키지 않고 핀(50)에 접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인 냉각이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류핀(52)끼리의 간격(L2)이 (상류핀(51)끼리의 간격(L1)보다)넓고, 또한 핀의 높이도 낮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세로벽(71, 72)을 형성했다고 해도, 작은 압력손실으로 공기류(A1)를 흘려보낼 수 있어, 효율적인 냉각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로벽(71, 72)이, 공기류(A1)의 흐름방향에서의 상류핀(51) 및 하류핀(52)에 대응하는 영역(P1, P2)에서, 그 세로벽(71, 72)끼리의 폭이 W5, W6으로까지 좁아지도록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공기류(A1)가 상류핀(51) 및 하류핀(52)을 통과할 때의 유속을 빠르게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열교환이 가능하다. 또, 이 경우에 상류핀(51) 및 하류핀(52)에 대응하는 영역(P1, P2)에 있어서 세로벽(71, 72) 간의 폭이 최소(W5, W6)가 되는 부분(P1m, P2m)이, 상류핀(51) 및 하류핀(52)의 각각의 길이방향 중앙(P1c, P2c)보다 팬(40)으로부터 거리(L8, L9)만큼 먼 위치(시프트한 위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류핀(51) 및 하류핀(52)에 대응하는 영역(P1, P2)에서 공기류(A1)를 널리 모아 끌어들이도록 하류측으로 흘려보낼 수 있어, 공기류(A1)의 유속을 높이는 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상류핀(51) 및 하류핀(52)이 마련되어 있는) 상면(30A) 및 하면(30B)이, 팬(40)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먼 측을 향하여, 이 상면(30A) 및 하면(30B) 간의 거리가 L3으로부터 L4로 커지도록(즉, 전체가 공기류(A1)를 받아들이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공기류(A1)가 케이싱(30)의 상하방향으로 이반(離反)(혹은 박리)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작용을 더 확실히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류핀(51) 및 하류핀(52)이 마련되어 있는 상면(30A) 및 하면(30B)의 하류핀(52)보다 팬(40)으로부터 먼 영역(P3)에서는, 폭방향에 있어서 하류핀(52)의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P3a)이 그 양측(P3b)보다 볼록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하류핀(52)과 공기류(A1)의 이반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그 영역(P3a)의 폭방향 양측(P3b)에 확보한 공간에 의하여, 압력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케이싱(30)의 상면(30A) 및 하면(30B)과 교차하는 정면(30C) 및 배면(30D)에, 곡선형상의 오목부(74(74A~74C))를 형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이 오목부(74)에 공기류(A1)를 적절히 끌어들임으로써, 정면(30C) 및 배면(30D)에 있어서 공기류가 케이싱(30)으로부터 이반하는 것을 보다 방지할 수 있어, 당해 정면(30C) 및 배면(30D)에 있어서도, 냉각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팬(40)의 팬 커버(50)를 통상보다 대형으로 형성하여, 상면(30A) 및 하면(30B)의 상류핀(51) 상당 위치를,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바람유도커버(77)로 덮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공기류(A1)의 케이싱(30)의 측면(30A~30D)으로부터의 공기류(A1)의 이반(박리)을 보다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도 10의 바람유도커버(77)에서는, 상면(30A) 및 하면(30B)에 대해서는, 2개의 세로벽(71, 72)의 존재와 함께, 팬(40)으로부터의 공기류(A1)를 확실히 상류핀(51), 나아가서는 하류핀(52)에 접촉시킬 수 있다. 또, 도 10의 바람유도커버(77)의 예에서는, 상류핀(51)뿐만 아니라, 정면(30C), 배면(30D)의 상류핀(51) 상당 위치도 덮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팬(40)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공기류(A1)는, (케이싱(30)으로부터 대략 이반하지 않고) 대략 전량이 4개의 측면을 따라 흐르게 되기 때문에, 더 효율적으로 공기류(A1)를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력전달장치로서 (직교)감속기(10)가 예시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에 관한 동력전달장치는,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직교감속단 1단+평행축감속단 1단)의 감속기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직교감속단 1단+평행축감속단 2단의 감속기여도 된다. 또, 예를 들면 평행축감속단만의 감속기여도 적용 가능하다. 또, 원래 감속기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며, “팬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공기류에 의하여 냉각이 행해져, 케이싱의 측면에 핀이 마련된 동력전달장치”라면,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고, 냉각에 관하여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 “팬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공기류”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감속기(동력전달장치)(10) 자체의 입력축(12)에 팬(40)이 마련되어 있었지만, 팬은 반드시 당해 동력전달장치 자체에 장착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동력전달장치에 모터, 전단감속기, 혹은 유체이음매 등이 연결되어 있고, 당해 모터, 전단감속기 등에 팬이 마련되어 있어, 이 팬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공기류를 냉각에 활용할 수 있는 경우, 혹은, 유체이음매 자체의 회전이 일으키는 실질적으로 팬과 동등한 공기류를 활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동력전달장치 자체는, 반드시 팬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 나아가서는, 동력전달장치나 이에 연결되는 장치와는 완전히 별도로 설치되며, 독자적으로 구동되는 팬의 공기류를 이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관한 상류핀(51) 및 하류핀(52)을 4개의 측면(30A~30D) 중, 대향하는 2면인 상면(30A) 및 하면(30B)에 마련하도록 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본 발명에 관한 상류핀 및 하류핀이 형성되어 있으면 상응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물론, 예를 들면 3면, 혹은 4면 모든 측면에, 본 발명에 관한 상류핀 및 하류핀을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더 냉각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류핀 및 하류핀의 개수도 복수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류핀(51)의 높이(H1)를, 하류핀(52)의 높이(H3)보다 높게 형성하여 특히 상류핀(51)에서의 냉각효율을 보다 높이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각 핀의 높이의 설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동일한 높이의 핀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바람유도커버(77)의 설치도, 반드시 필수 구성은 아니고, 점검구(60)를 폐쇄하는 덮개체(62)의 상면의 높이(H5)도, 반드시 상류핀(51)의 높이보다 낮게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덮개체(62)에도 핀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특정 2개소의 “팬에 가까운 상류핀” 및 “그보다 팬으로부터 먼 하류핀”에 주목했을 때에, 상류핀끼리의 간격이, 하류핀끼리의 간격보다 좁게 되어 있으면 된다. 환언하자면, 예를 들면, 앞의 구성에 더하여 덮개체의 폭방향 단부에 간격이 넓은 2개의 핀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등, 상류핀과 하류핀의 사이에, 하류핀끼리의 간격보다 넓은 간격의 핀이 형성되어 있었다고 해도, 본 발명의 범주에 들어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류핀(51) 및 하류핀(52)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의 양단부에 세로벽(71, 72)이 세워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 세로벽의 형성에 대해서도, 반드시 필수의 구성은 아니다. 또, 세워 설치하는 경우이더라도, 예를 들면, 상류핀 또는 하류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세로벽끼리의 폭을 반드시 좁게 할 필요는 없다. 또, 좁게 하는 경우이더라도, 반드시 폭이 최소가 되는 부분을, 상류핀 또는 하류핀의 길이방향 중앙보다 팬으로부터 먼 측으로 시프트시킬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길이방향 중앙 위치의 폭을 가장 좁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핀이 마련되어 있는 측면의 경사에 대해서도, 반드시 필수 구성은 아니며, 예를 들면 중앙수평면과 평행한 측면을 베이스로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련되어 있었던, (핀이 마련되어 있는 측면과 교차하는 측면의)곡선형상의 오목부에 대해서도, 반드시 필수 구성은 아니다(반드시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동력전달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2013년 2월 1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번호 2013-028350의 명세서, 도면 및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개시는, 그 전체가 이 명세서 중에 참조로 원용되어 있다.
30 케이싱
30A~30D 측면
40 팬
50 핀
51 상류핀
52 하류핀
A1 공기류
L1 상류핀끼리의 간격
L2 하류핀끼리의 간격

Claims (12)

  1. 팬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공기류에 의하여 냉각이 행해지고, 케이싱의 측면에 핀이 마련된 동력전달장치로서,
    상기 핀은, 상기 팬에 가까운 측의 상류핀과, 상기 팬으로부터 먼 측의 하류핀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상류핀끼리의 간격이, 상기 하류핀끼리의 간격보다 좁으며,
    상기 상류핀과 상기 하류핀의 사이에 당해 동력전달장치의 점검구를 가지고, 상기 점검구를 폐쇄하는 덮개체의 상면의 높이가, 상기 상류핀의 정상부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대향하는 2개의 측면을 구비하고, 이 대향하는 2개의 측면에 상류핀 및 하류핀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핀의 높이가, 상기 하류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핀이 바람유도커버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상류핀의 바닥부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6. 팬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공기류에 의하여 냉각이 행해지고, 케이싱의 측면에 핀이 마련된 동력전달장치로서,
    상기 핀은, 상기 팬에 가까운 측의 상류핀과, 상기 팬으로부터 먼 측의 하류핀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상류핀끼리의 간격이, 상기 하류핀끼리의 간격보다 좁으며,
    상기 상류핀 및 하류핀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의 양단부에, 상기 팬의 공기류의 흐름방향을 따라 세로벽이 세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로벽은, 상기 공기류의 흐름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상류핀 또는 하류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세로벽끼리의 폭이 좁아지도록 세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벽은, 상기 상류핀 또는 하류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폭이 최소가 되는 부분이, 상기 상류핀 또는 하류핀의 길이방향 중앙보다 팬으로부터 먼 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상류핀 및 상기 하류핀이 마련되어 있는 측면과 대향하는 면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상류핀 및 상기 하류핀이 마련되어 있는 측면은, 상기 팬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먼 측을 향하여, 상기 대향하는 측면과의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9. 팬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공기류에 의하여 냉각이 행해지고, 케이싱의 측면에 핀이 마련된 동력전달장치로서,
    상기 핀은, 상기 팬에 가까운 측의 상류핀과, 상기 팬으로부터 먼 측의 하류핀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상류핀끼리의 간격이, 상기 하류핀끼리의 간격보다 좁으며,
    상기 상류핀 및 상기 하류핀이 마련되어 있는 측면의 상기 하류핀보다 상기 팬으로부터 먼 영역은,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류핀의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이 볼록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상류핀 및 상기 하류핀이 마련되어 있는 측면과 교차하는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교차하는 측면에, 곡선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157015376A 2013-02-15 2014-01-22 동력전달장치 KR101706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28350 2013-02-15
JP2013028350A JP6063288B2 (ja) 2013-02-15 2013-02-15 動力伝達装置
PCT/JP2014/051244 WO2014125883A1 (ja) 2013-02-15 2014-01-22 動力伝達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954A KR20150084954A (ko) 2015-07-22
KR101706746B1 true KR101706746B1 (ko) 2017-02-14

Family

ID=51353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376A KR101706746B1 (ko) 2013-02-15 2014-01-22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56759B2 (ko)
JP (1) JP6063288B2 (ko)
KR (1) KR101706746B1 (ko)
CN (1) CN104995438B (ko)
DE (1) DE112014000834B4 (ko)
WO (1) WO20141258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85997B1 (de) * 2015-04-23 2020-07-22 Flender GmbH Luftleithaube für ein getriebe und getriebe mit einer luftleithaube
DE102017220128A1 (de) * 2017-11-13 2019-05-16 Zf Friedrichshafen Ag Getriebegehäuse mit Luftkühlung
JP6941072B2 (ja) * 2018-03-26 2021-09-29 住友重機械ギヤボックス株式会社 歯車装置
US10690232B2 (en) * 2018-05-31 2020-06-23 Abb Schweiz Ag Machine and gearbox system and cooling therefor
US10458534B1 (en) * 2018-05-31 2019-10-29 Abb Schweiz Ag Gearbox system with add-on cooling fin panels
US10578205B2 (en) * 2018-05-31 2020-03-03 Abb Schweiz Ag Machine and gearbox system with air cooling
US10876800B2 (en) 2018-07-12 2020-12-29 Abb Schweiz Ag Mechanical system with cooling apparatus
US11466768B2 (en) * 2018-12-31 2022-10-11 Abb Schweiz Ag Methods and systems for cooling transmissions
US11287025B2 (en) * 2018-12-31 2022-03-29 Abb Schweiz Ag Cooling units for transmissions
WO2020192963A1 (de) 2019-03-26 2020-10-01 Sew-Eurodrive Gmbh & Co. Kg Getriebe mit lüfteranordnung
US11174937B2 (en) * 2019-09-23 2021-11-16 Abb Schweiz Ag Speed reducer cooling fi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7373987B2 (ja) * 2019-12-26 2023-11-0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直交減速装置
US11885406B2 (en) 2020-03-13 2024-01-30 Sew-Eurodrive Gmbh & Co. Kg Transmission having a fan assembly
RU206562U1 (ru) * 2020-12-29 2021-09-1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орум Груп" Приводной блок конвейера
DE102021205526A1 (de) * 2021-05-31 2022-12-01 Dana Motion Systems Deutschland GmbH Luftkühlanordn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1816A (ja) * 2010-03-30 2011-10-20 Hitachi Ltd 永久磁石式回転電機及び風力発電システム
US20120024098A1 (en) * 2009-03-25 2012-02-02 Straus Dietmar Gear Unit at Least Partially Filled with Oi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98819B (de) 1966-07-21 1969-07-03 Wuelfel Eisenwerk Kuehlvorrichtung fuer Umlaufraedergetriebe
AT345051B (de) * 1974-08-07 1978-08-25 Louis Joerg Ges M B H Einrichtung zum kuehlen eines schmiermittelgefuellten, mit kuehlrippen versehenen getriebegehaeuses mittels eines angebauten ventilators
JPS53141863A (en) * 1977-05-16 1978-12-11 Rui Ieruku Gmbh Device for cooling gear casing with cooling fins filled with lubricant material by means of fan
US4872502A (en) * 1987-09-25 1989-10-10 The Falk Company Air cooling of enclosed gear drives
JP2593990B2 (ja) 1991-11-21 1997-03-26 松山株式会社 ミッション冷却装置
JPH07312847A (ja) * 1994-05-17 1995-11-28 Hitachi Ltd 回転電気機械
JPH0993865A (ja) * 1995-09-29 1997-04-04 Hitachi Ltd 誘導電動機
CN2329143Y (zh) * 1998-07-31 1999-07-14 张立群 矿用散热式电控箱
DE102005031197B4 (de) * 2005-07-01 2016-10-13 Sew-Eurodrive Gmbh & Co Kg Antrieb und Lüfter
JP2008235387A (ja) * 2007-03-19 2008-10-02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放熱構造を備えた電気電子機器装置
DE102008017643B4 (de) * 2008-04-04 2016-09-15 Sew-Eurodrive Gmbh & Co Kg Adapter, Getriebe und Antrieb
DE102009014317A1 (de) * 2009-03-25 2010-10-07 Sew-Eurodrive Gmbh & Co. Kg Getriebe
DE102009014314A1 (de) 2009-03-25 2010-09-30 Sew-Eurodrive Gmbh & Co. Kg Getriebe
WO2012123043A1 (de) * 2011-03-17 2012-09-20 Sew-Eurodrive Gmbh & Co. Kg Getriebevorr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24098A1 (en) * 2009-03-25 2012-02-02 Straus Dietmar Gear Unit at Least Partially Filled with Oil
JP2011211816A (ja) * 2010-03-30 2011-10-20 Hitachi Ltd 永久磁石式回転電機及び風力発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63288B2 (ja) 2017-01-18
KR20150084954A (ko) 2015-07-22
DE112014000834B4 (de) 2022-05-12
CN104995438B (zh) 2018-04-03
US9756759B2 (en) 2017-09-05
DE112014000834T5 (de) 2015-11-05
CN104995438A (zh) 2015-10-21
JP2014156904A (ja) 2014-08-28
WO2014125883A1 (ja) 2014-08-21
US20150296658A1 (en)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746B1 (ko) 동력전달장치
JP6215857B2 (ja) 放熱フィンを有するl字状熱伝導部材を備えた空冷式レーザ装置
US200600878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electronics and computer components with managed and prioritized directional air flow heat rejection
JP5266364B2 (ja) 騒音低減を備えた表面冷却器
EP2665093A1 (en) Cooler
WO2013146258A1 (ja) 動力伝達装置
JP2008288330A (ja) 半導体装置
JP5239349B2 (ja) パワートレインケースの冷却構造
US20050236139A1 (en) Gear drive cooling with oil sump submersed forced air cooling tubes
US20110227433A1 (en) Electrical motor apparatus having improved cooling system
US10067544B2 (en) Heat dissipating module
TWI417499B (zh) 散熱裝置
EP2940415A1 (en) Cooling device
JP2018140342A (ja) 光照射装置
JP2010118497A (ja) ルーバー付きフィンを備えた熱交換器
EP2995897A1 (en) Playback device for aircraft
JPWO2016194756A1 (ja) 空気圧縮装置
JP6926984B2 (ja) 車両用空冷式オイルクーラ
JP2015130764A (ja) ギヤモータ及び減速機
EP2512010A2 (en) Heat exchanger
JP5496018B2 (ja) 多段積電子装置用冷却装置
JP5812920B2 (ja) 動力伝達装置
JP2006237366A (ja) ヒートシンク
JP6941072B2 (ja) 歯車装置
JP201305776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