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609B1 - 동력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동력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609B1
KR101698609B1 KR1020107025931A KR20107025931A KR101698609B1 KR 101698609 B1 KR101698609 B1 KR 101698609B1 KR 1020107025931 A KR1020107025931 A KR 1020107025931A KR 20107025931 A KR20107025931 A KR 20107025931A KR 101698609 B1 KR101698609 B1 KR 101698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crew
power transmitting
driven
stepping moto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730A (ko
Inventor
가즈야 마루야마
고이치 지누시
요시코 아다치
Original Assignee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0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15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opping actuators in the end position; Position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21Screw mechanisms with means for avoiding overlo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576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screw an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ontrol Of Stepping Motor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부재가 파손될 우려가 없는 동력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제어부(70)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스텝핑 모터(구동 부재)(61a)와, 상기 스텝핑 모터(61a)의 구동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리드스크류부(61c)와, 상기 리드스크류부(61c)의 회전에 의해 리드스크류부(61c)의 축방향(X)을 따라 이동하고, 피동력전달부(42e)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5)를 구비하며, 제어부(70)는 동력전달부(65)가 축방향(X)을 따라 이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핑 모터(61a)로의 지령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력 전달 장치{POWER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스텝핑 모터 등으로 이루어진 구동 부재의 구동에 따라 작동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의 작동에 의해 피동력전달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한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러한 종류의 동력 전달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335148호(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headup display device)에 구비되는 오목면 거울을 소정의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동작시키기 위해, 스텝핑 모터(구동 부재)를 구동시켜 오목면 거울을 유지하는 미러 홀더의 각도 위치 조정을 실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광을 발하는 표시기와, 상기 표시기로부터 발해지는 표시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기와, 표시기 및 반사기를 수납하는 하우징으로 주로 구성되고, 반사기에 구비되는 오목면 거울에 의해 반사된 표시광을 하우징에 형성된 출사부를 통하여 차량의 전면 유리에 투영(조사)하여, 상기 조사에 의해 수득된 표시상(表示像)(허상(虛像))을 차량의 이용자(운전자)에게 시인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 반사기는 표시기로부터의 표시광을 반사시키는 오목면 거울과, 상기 오목면 거울을 유지하는 미러 홀더와, 상기 미러 홀더에 일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상에 연장되는 축부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동력 전달 장치는 스텝핑 모터와, 스텝핑 모터의 회전축의 선단에 고정된 톱니바퀴와, 상기 톱니바퀴와 맞물리도록 미러 홀더에 설치된 톱니바퀴부로 구성된다. 또한, 톱니바퀴는 미러 홀더의 회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미러 홀더에 일체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기 축부의 선단에 고정된다. 또한, 이 경우, 스텝핑 모터는 주지의 PM형 스텝핑 모터로 이루어지고, 환상 보빈에 감긴 2개의 여자 코일과, 이들 여자 코일에 대응하는 2그룹의 환상 요크와, 이들 환상 요크 및 여자 코일 적층체의 중공부에 회전 자유롭게 수납되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로터로 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이 상기 로터를 지지한다.
차량의 이용자(운전자)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누름 버튼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오목면 거울을 각도 이동시켜(즉, 상한 위치와 하한 위치 사이의 가동 범위에서 오목면 거울의 각도 위치를 설정하여), 표시광의 전면 유리에 대한 투사(投射)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가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진 제어부에 입력되면, 제어부는 상기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오목면 거울의 각도 위치가 소정의 각도 위치가 되도록, 스텝핑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스텝핑 모터가 구동되면, 스텝핑 모터에 의한 구동력이 톱니바퀴를 통하여 톱니바퀴부에 전달된다. 이러한 톱니바퀴로의 동력(구동력)의 전달에 따라, 톱니바퀴부가 축부(즉, 미러 홀더의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이에 의해 미러 홀더 및 미러 홀더에 유지된 오목면 거울이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오목면 거울이 소정의 각도 위치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목면 거울을 각도 이동시킴으로써, 표시광의 전면 유리에 대한 투사 방향이 조정되고, 이에 따라 이용자가 시인 가능한 표시상의 위치를 전면 유리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핑 모터의 구동에 따라, 스텝핑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톱니바퀴 및 상기 톱니바퀴와 맞물리도록 상기 축부에 고정된 톱니바퀴부를 통하여 상기 축부에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축부의 회동에 따라서 미러 홀더(즉, 오목면 거울)의 각도 위치를 조정하는 구성의 경우, 미러 홀더에서의 각도 위치의 조정 완료후에, 상기 톱니바퀴(상기 톱니바퀴부)가 회동하지 않도록 상기 여자 코일을 여자시켜 미러 홀더의 각도 위치(설치 위치)를 상기 조정 완료 후의 위치에 유지해 둘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미러 홀더에서의 각도 위치의 조정 완료 후에도, 미러 홀더의 설치 위치를 상기 조정 완료 후의 위치에 유지해 두기 위한 미러 홀더 위치유지용 제어신호를 스텝핑 모터로 출력하는 제어를 실시하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스텝핑 모터(구동 부재)는 미러 홀더에서의 각도 위치의 조정 완료 후에는 상기 여자 코일을 여자시키고, 이에 의해 미러 홀더의 각도 위치가 상기 조정 완료 후의 위치에 유지되는 구성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미러 홀더에서의 각도 위치의 조정 완료 후에도, 스텝핑 모터에 구비되는 상기 여자 코일에는 전류가 계속하여 흐르므로, 스텝핑 모터 자체가 발하는 발열량이 증가하여, 이에 의해 스텝핑 모터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에 대하여 대처하기 위해 구동 부재가 파손될 우려가 없는 동력 전달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어부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구동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의 구동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리드스크류부와, 상기 리드스크류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부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고 피동력전달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한 동력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력전달부가 상기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있지 않는 경우, 상기 구동 부재로의 상기 지령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드스크류부에 맞물려 상기 리드스크류부의 회전에 의해 부여된 추력(推力)에 의해 상기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전달부가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에 동기하여 상기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동력전달부에 상기 리드스크류부와 거의 평행 상태를 이루는 가이드 샤프트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통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구동 부재가 파손될 우려가 없는 동력 전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동 실시 형태에 의한 제2 반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동 실시 형태에 의한 제2 반사기와 하우징의 소요부(所要部)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동 실시 형태에 의한 피동력전달부와 동력 전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6은 동 실시 형태에 의한 동력 전달 장치에서의 구동 수단과 이동 부재와 동력전달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동력 전달 장치를 예를 들어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제2 반사기에 적용한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0)의 인스트루먼트패널(11) 내부에 설치되는 표시 유닛인 표시 장치(12)가 투사하는 표시광(L)을 투영부재인 차량(10)의 전면 유리(13)에서 차량(10)의 이용자(운전자)(14)의 방향으로 반사시켜, 허상(V)의 표시를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장치(12)의 후술하는 액정표시기로부터 발해지는 표시광(L)을 전면 유리(13)(상기 투영 부재)에 출사(투사)하고, 상기 출사에 의해 수득된 표시상(허상)(V)을 이용자(14)에게 시인시키는 것이다. 이에 의해, 이용자(14)는 허상(V)을 풍경과 중첩시켜 관찰할 수 있다.
표시 장치(1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기(20)와, 제1 반사기(30)와, 제2 반사기(40)와, 하우징(50)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액정표시기(20)는 배선기판(R)에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광원(21)과, 상기 광원(21)으로부터의 조명광을 투과하여 표시광(L)을 형성하도록 광원(21)의 전방측(바로 위)에 위치하는 TFT형의 액정표시소자(표시소자)(22)로 주로 구성된다. 이것은, 액정표시소자(22)의 배후(바로 아래)에 광원(21)이 설치되고, 액정표시소자(22)는 광원(21)으로부터 발해지는 조명광에 의해 소정 정보(후술하는 표시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기(20)는, 표시광(L)의 출사측의 면이 제1 반사기(30)의 후술하는 콜드 미러에 대향하도록 하여 하우징(50)내에 설치되고, 표시광(L)의 광축이 상기 콜드 미러에 교차하는 위치나 방향으로 고정 유지된다.
또한, 액정표시소자(22)는 도시하지 않은 소자 구동회로에 의해 표시할 정보(예를 들어, 차량의 속도나 엔진 회전수)를 수치 등으로 발광 표시한다. 액정 표시기(20)는 가시파장역의 광으로 이루어진 표시광(L)을 출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적색광(주로 발광 파장역 610~640 ㎚)을 발하는 광원(21)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할 정보는 차량의 속도나 엔진 회전수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표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1 반사기(30)는 콜드 미러(31)와, 상기 콜드 미러(31)를 소정의 부착 수단을 사용하여 부착 고정하기 위한 부착 부재(32)를 갖고 있다. 콜드 미러(31)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유리 기판(31a)과, 상기 유리 기판(31a)의 한쪽면(제2 반사기(40)의 후술하는 오목면 거울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제1 반사층(31b)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제1 반사층(31b)은 막두께가 다른 다층의 간섭막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증착 등의 방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콜드 미러(31)는 액정표시기(20)가 발한 표시광(L)을 제2 반사기(40)(상기 오목면 거울)측으로 반사시키는 위치에 경사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콜드 미러(31)는 액정표시기(20)의 발광 파장역을 포함하는 가시파장역(450~750 ㎚)의 광을 높은 반사율(예를 들어, 80 % 이상)로 반사하고, 상기 가시파장역 이외의 광을 낮은 반사율로 반사하는 것이다. 이 경우, 콜드 미러(31)는 상기 가시파장역 이외의, 특히 적외파장역의 광(적외선 또는 태양광의 열선)을 낮은 반사율(예를 들어, 15 % 이하)로 반사하는 것이 적용된다. 또한, 제1 반사층(31b)에서 반사되지 않은 광은 콜드 미러(31)를 투과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콜드 미러(31) 및 액정표시기(20)는 하우징(50)의 후술하는 투광성 커버와 직접 면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광 등의 외부로부터의 광(외광)이 직접 닿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부착 부재(32)는 예를 들어 흑색의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하우징(50)에 고정된다.
제2 반사기(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콜드 미러(31)(즉, 액정표시소자(22))로부터의 표시광(L)을 반사시키는 오목면 거울(반사 부재)(41)와, 상기 오목면 거울(41)을 유지하는 미러 홀더(42)와, 상기 미러 홀더(42)의 각도 위치(설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미러 홀더(42)의 후술하는 수하부(垂下部)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장치(43)를 구비한다.
오목면 거울(41)은 오목면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수지 기판에 제2 반사층(41a)을 증착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오목면 거울(41)은 그 제2 반사층(41a)이 콜드 미러(31) 및 상기 투광성 커버에 대향하고, 상기 투광성 커버와 면하는 위치에 경사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오목면 거울(41)은 콜드 미러(31)로부터의 표시광(L)을 확대하면서, 상기 투광성 커버(차량(10)의 전면 유리(13))측으로 반사(투사)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오목면 거울(41)이 콜드 미러(31)에 의해 반사된 표시광(L)을 확대하고, 이 확대된 표시광(L)을 상기 투광성 커버를 통하여 전면 유리(13)에 투사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미러 홀더(42)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하우징(50)에 설치된 베어링부(도시 생략)에 축 지지되는 거의 원주 형상으로 이루어진 축부(42a)를 구비한다. 이러한, 미러 홀더(42)는 오목면 거울(41)을 유지하기 위한 벽부로 이루어진 유지부(42b)를 구비한다. 또한, 이 경우 오목면 거울(41)과 유지부(42b) 사이에는 양면 점착 테입(도시 생략)을 개재한 상태에서, 오목면 거울(41)이 유지부(42b)에 대해서 고정 유지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또한, 미러 홀더(42) 및 이에 유지되는 오목면 거울(41)은 축부(42a)의 중심축인 회동축선(RA)을 중심으로 하여 각도 이동 가능(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42c"는 오목면 거울(41)의 하방에서, 오목면 거울(41)의 배후로부터 제2 반사층(41a)측을 향하여 거의 L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편(突出片)이고, 상기 돌출편(42c)은 설편(舌片)(42d)과 수하부(42e)를 구비하고, 미러 홀더(42)에 일체 형성된다. 또한, 미러 홀더(42)에 구비되는 돌출편(42c)에서의 수하부(42e)가 본원 청구항 1에서의 피동력전달부에 상당한다.
설편(42d)은, 도 4에서, 미러 홀더(42)에서의 유지부(42b)의 저벽(底壁)을 구성하는 저면부(42f)로부터 제2 반사층(41a)측을 향하여 연장되는(다시 말하면, 후술하는 리드스크류부의 대략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피동력전달부인 수하부(42e)는 설편(42d)의 선단부분으로부터 하방(상기 리드스크류부측)에 수하되도록, 설편(42d)에 연속 형성되어 이루어진 대략 직사각형 평판 형상의 입벽부(立壁部)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하부(42e)는 그 양면(42g, 42h)(도 4 참조)이, 동력 전달 장치(43)에 구비되는 후술하는 동력전달부의 한쌍의 제1, 제2 돌기부에 각각 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제2 돌기부에 의해 샌드위치된다.
동력 전달 장치(43)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수단(61)과, 지지체(62)와, 이동 부재(63)와, 가이드 샤프트(64)와, 동력전달부(65)와, 방진(防振) 부재(66)로 주로 구성되고, 미러 홀더(42)를 회동축선(R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키며, 미러 홀더(42)(오목면 거울(41))의 각도 위치를 조정하기(다시 말하면, 표시광(L)의 투사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동 수단(61)은 통전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주지의 PM형 스텝핑 모터인 스텝핑 모터(구동 부재)(61a)와, 상기 스텝핑 모터(61a)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61b)을 갖는다. 또한, 이 경우, 회전축(61b)은 그 둘레면에서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나사홈으로 이루어지고, 스텝핑 모터(61a)의 구동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리드스크류부(61c)를 구비한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리드스크류부(61c)(회전축(61b))는 스텝핑 모터(61a)로부터의 상기 회전 구동력을 받아 회전 구동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5 에서, "70"은 ROM, RAM, CPU 등을 갖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진 제어부이고, 스텝핑 모터(61a)는 제어부(70)로부터의 지령 신호(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된다. 상기 제어부(7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구동 신호는 제어부(70)에 접속된 모터 구동회로(71)에 출력된다.
제어부(70)는, 예를 들어 이용자(14)가 조작하는 도시하지 않은 누름 버튼 스위치(조작 수단)로부터 출력되는 조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서 동력전달부(65)를 소정의 설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 구동회로(71)에 상기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신호를 수신한 모터 구동회로(71)가 스텝핑 모터(61a)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스텝핑 모터(61a)가 구동하고 또한 스텝핑 모터(61a)의 구동에 따라 리드스크류부(61c)가 회전 구동된다.
지지체(62)는 스텝핑 모터(61a)를 부동 상태로 고정 지지하는 금속제의 모터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거의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리드스크류부(61c)의 축방향(X)을 따르도록 설치되는 거의 판 형상의 평판부(62a)와, 상기 평판부(62a)에서의 축방향(X)을 따른 방향의 양단 부분이, 모두 스텝핑 모터(61a)에 대응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1, 제2 플랜지부(62b, 62c)를 갖는다.
스텝핑 모터(61a)측에 위치하는 제1 플랜지부(62b)에는 리드스크류부(61c)의 단부(말단부)(61d)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62d)과, 가이드 샤프트(64)의 일방의 단부가 끼워 설치되는 제1 끼워 맞춤 구멍(62e)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플랜지부(62b)와, 스텝핑 모터(61a)의 소요부는 소정의 부착 수단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이에 의해 스텝핑 모터(61a)가 지지체(62)에 의해 부동 상태로 고정 지지된다.
한편, 제1 플랜지부(62b)와 쌍을 이루는 제2 플랜지부(62c)측에는 관통 구멍(62d)에 대응하는 구멍(도시 생략)과, 제1 끼워 맞춤 구멍(62e)에 대응하고 가이드 샤프트(64)의 타방의 단부가 끼워지는 제2 끼워 맞춤 구멍(62f)이 형성된다. 또한, 제2 플랜지부(62c)에 설치되는 상기 구멍에는 베어링 부재(G)가 장착된다. 그리고, 관통 구멍(62d)을 관통하여 베어링 부재(G)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부분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리드스크류부(61c)의 선단부(61e) 부분이, 베어링 부재(G)를 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된다.
또한, "62g", "62h"는, 방진 부재(66)의 후술하는 제1, 제2 나사 구멍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 나사 구멍을 관통하는 나사(S1)의 나사부를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제1, 제2 나사결합부이다. 이러한 제1, 제2 나사결합부(62g, 62h)는 평판부(62a)의 양단측에서 평판부(62a)의 표면측으로 거의 원통 형상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제1 나사결합부(62g)가 제1 플랜지부(62b)의 근방에 설치되고, 제2 나사결합부(62h)가 제2 플랜지부(62c)의 근방에 설치된다.
이동 부재(63)는, 회전축(61b)에서의 리드스크류부(61c)의 소정 부분에 나사결합(맞물림)된 너트로 이루어지고, 리드스크류부(61c)의 회전에 의해 부여된 추력에 의해 리드스크류부(61c) 상을 리드스크류부(61c)의 축방향(X)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이 경우, 이동 부재(63)는 리드스크류부(61c)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리드스크류부(61c)의 선단부(61e) 또는 말단부(61d)로 이동(왕복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가이드 샤프트(64)는, 예를 들어 가늘고 긴 원주 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리드스크류부(61c)(회전축(61b))와 거의 평행 상태를 이루도록, 그 일방의 단부가 지지체(62)의 제1 끼워 맞춤 구멍(62e)에 끼워 맞추어지며, 또한 타방의 단부가 지지체(62)의 제2 끼워 맞춤 구멍(62f)에 끼워 맞추어진다.
동력전달부(65)는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베이스부(65a)와, 상기 베이스부(65a)의 표면부(65b)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제2 대향벽(65c, 65d)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65a)에는 가이드 샤프트(64)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거의 원형의 관통 구멍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통과부(65e)와, 이동 부재(63)에서의 양측면인 제1, 제2 측면(63a, 63b)의 소요부와 각각 접촉(면접촉)하는 한 쌍의 제1, 제2 접촉부(65f, 65g)가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이 경우, 제1, 제2 접촉부(65f, 65g)는 이동 부재(63)의 제1, 제2 측면(63a, 63b)을 부분적으로 샌드 위치하도록 베이스부(65a)에 일체 형성된다.
또한, 이 경우 이동 부재(63)에서 제1 플랜지부(62b)측의 면을 제1 측면(63a)으로 하고, 제2 플랜지부(62c)측의 면을 제2 측면(63b)으로 한다. 또한, 제1 접촉부(65f)와 제1 측면(63a)이 접촉되고 또한 제2 접촉부(65g)와 제2 측면(63b)이 접촉되며, 제1, 제2 접촉부(65f, 65g)에 의해 이동 부재(63)가 샌드위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1, 제2 대향벽(65c, 65d)에는 그 선단측에서 미러 홀더(42)에서의 돌출편(42c)의 수하부(42e)(양면(42g),(42h))와 각각 점접촉하는 한 쌍의 제1, 제2 돌기부(65h, 65i)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제2 돌기부(65h, 65i)는 거의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정점 부분에서 수하부(42e)의 양면(42g, 42h)과 각각 점접촉하도록 수하부(42e)를 샌드위치한다. 다시 말하면, 제1 돌기부(65h)와 제2 돌기부(65i)는 소정의 간극을 갖고 대향 배치되고, 상기 간극에 제1, 제2 돌기부(65h, 65i)와 양면(42g, 42h)이 각각 점 접촉하도록 수하부(피동력전달부)(42e)가 개재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방진 부재(66)는 연질성 합성수지재료(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형성되고, 지지체(62)에서의 평판부(62a)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거의 직사각형 평판 형상의 기부(基部)(66a)를 구비한다. 이러한 방진 부재(66)는 스텝핑 모터(61a)의 구동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지지체(62)로부터 하우징(50)에 도달할 때 감쇠시키는 진동 감쇠 기능을 구비한다.
그리고, 방진 부재(66)에서의 기부(66a)의 4개의 각부(角部) 중, 하우징(50)의 후술하는 제1 보스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1 각부(C1)에는, 제1 귀부(耳部)(66b)가 기부(基部)(66a)의 판두께와 거의 동일한 판두께를 갖도록 기부(66a)의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1 각부(角部)(C1)와 대각선 방향이고 하우징(50)의 후술하는 제1 보스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각부(C2)에는, 제2 귀부(66c)가 기부(66a)의 판두께와 거의 동일한 판두께를 갖도록 기부(66a)의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66d", "66e"는 지지체(62)에서의 제1, 제2 나사결합부(62g, 62h)와 각각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나사(S1)의 나사부를 기부(66a)의 배후측으로부터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제1, 제2 나사 구멍이고, 이러한 제1, 제2 나사 구멍(66d, 66e)은 기부(66a)의 양단측에 위치하며, 제1 나사 구멍(66d)이 제1 플랜지부(62d)측에 설치되고, 제2 나사 구멍(66e)이 제2 플랜지부(62c)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방진 부재(66)와 지지체(62)의 고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S1)의 나사부를 기부(66a)의 배후측에서 제1, 제2 나사 구멍(66d, 66e)에 각각 관통시키고, 각 나사 구멍(66d, 66e)을 관통하는 나사(S1)의 나사부의 소요부가 제1, 제2 나사결합부(62g, 62h)에 각각 나사결합됨으로써 완료된다. 이것은 지지체(62)와 방진 부재(66)가 나사(S1)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66f"는 상기 제1 보스부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제 3 나사결합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나사(S2)의 나사부를 기부(66a)의 표면측으로부터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제 3 나사 구멍이고, 이러한 제 3 나사 구멍(66f)은 제1 귀부(66b)의 소정 부분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66g"는 상기 제2 보스부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제 4 나사결합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나사(S2)의 나사부를 기부(66a)의 표면측으로부터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제 4 나사 구멍이고, 이러한 제 4 나사 구멍(66g)은 제2 귀부(66c)의 소정 부분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력 전달 장치(43)는 스텝핑 모터(61a)로부터의 상기 회전 구동력을 받아 리드스크류부(61c)가 회전 구동되면, 리드스크류부(61c)에 맞물린 이동 부재(63)가 축방향(X)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이동 부재(63)가 제1 플랜지부(62d)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 이동 부재(63)의 제1 측면(63a)에는 이와 면접촉하고 있는 제1 접촉부(65f)를 제1 플랜지부(62d)측으로 이동시키는 추력이 작용한다.
이러한 추력의 작용에 의해 동력전달부(65)가 가이드 샤프트(64)에 안내된 상태에서, 이동 부재(63)의 이동에 동기하여 축방향(X)을 따라 제1 플랜지부(62b)측으로 평행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동력전달부(65)의 평행 이동에 따라 동력전달부(65)에서의 각 돌기부(65h, 65i) 사이에 개재하고 있는 피동력전달부인 수하부(42e)에는 미러 홀더(42)를 회동시키는 동력이 전달된다. 이 경우, 수하부(42e)로의 동력 전달에 의해, 미러 홀더(42)는 회동축선(RA)을 중심으로 하여, 도 4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한다.
즉, 본 예에서의 동력전달부(65)는 리드스크류부(61c)의 회전 구동에 의해 리드스크류부(61c)의 축방향(X)을 따라 이동하고, 미러 홀더(42)에서의 수하부(피동력전달부)(42e)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하부(42e)로의 동력 전달에 의해 미러 홀더(42)(오목면 거울(41))를 회동축선(RA)을 중심으로 하여 각도 이동시킴으로써, 표시광(L)의 전면 유리(13)에 대한 투사 방향이 조정되고, 이에 따라 이용자(14)가 시인 가능한 표시상(V)의 형성 위치를 전면 유리(13)의 상하 방향(연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예에서는 상기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스텝핑 모터(61a)가 구동하면 리드스크류부(61c)가 회전 구동되고, 동력전달부(65)가 축방향(X)을 따라 이동하고, 동력전달부(65)의 이동(위치 조정)이 완료된 시점에서, 제어부(70)는 스텝핑 모터(61a)로의 상기 구동 신호의 출력을 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70)는 동력전달부(65)가 축방향(X)을 따라서 이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핑 모터(61a)로의 상기 구동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 신호의 출력 정지중에 있어서는, 너트로 이루어진 이동 부재(63)가 나사홈으로 이루어진 리드스크류부(61c)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동력전달부(65)는 리드스크류부(61c)에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동력전달부(65)의 설치 위치가 소정 위치로 조정된 후에는 동력전달부(65)가 리드스크류부(61c)에 견고하게 유지되고, 또한 스텝핑 모터(61a)에는 상기 구동 신호가 공급되지 않는 구성(즉, 스텝핑 모터(61a)에 구비되는 도시하지 않는 여자 코일로의 전류 공급이 실시되지 않는 구성)이 되므로, 스텝핑 모터(61a) 자체가 발하는 발열량을 종래보다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동 부재(63)가 제1 플랜지부(62b)측이 아니라 제2 플랜지부(62c)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동력전달부(65)가 제2 플랜지부(62c)측으로 평행 이동하고, 이에 의해 수하부(42e)에는 미러 홀더(42)를 회동축선(RA)을 중심으로 하여, 도 4에서의 화살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동력이 작용하는 것은 물론이다.
하우징(5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으로 형성되고, 또한 단면이 거의 오목부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측 케이스체(51)와 하측 케이스체(52)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51)와 하측 케이스체(52)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인 공간부(53)에서 액정표시기(20)나 제1 반사기(30) 및 제2 반사기(40)를 수납하는 것이다(도 2 참조).
상측 케이스체(51)에는 오목면 거울(41)의 설치 위치의 상부(차량(10)의 전면 유리(13)측)로 개구하는 개구 창부(5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 창부(51a)에는 개구 창부(51a)를 막도록, 출사부인 투광성 커버(5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투광성 커버(54)는 투광성 합성수지재료(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고, 오목면 거울(41)로 반사된 표시광(L)이 투과(통과)하는 광투과성 부재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즉, 오목면 거울(41)에 의해 반사된 표시광(L)은 하우징(50)에 형성된 투광성 커버(54)를 통하여 전면 유리(13)에 투영되고, 이에 의해 허상(V)의 표시가 실시된다.
한편, 하측 케이스체(52)에서의 저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부로부터 방진 부재(66)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거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1, 제2 보스부(52a, 52b)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 중, 제1 보스부(52a)는 나사(S2)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 3 나사결합부(52c)를 구비하고, 이러한 제 3 나사결합부(52c)는 방진 부재(66)에 설치된 제 3 나사 구멍(66f)과 연통된다. 한편, 제2 보스부(52b)는 나사(S2)를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제 4 나사결합부(52d)를 구비하고, 이러한 제 4 나사결합부(52d)는 방진 부재(66)에 설치된 제 4 나사 구멍(66g)과 연통된다.
그리고, 방진 부재(66)와 하우징(50)(각 보스부(52a, 52b))의 고정은 나사(S2)의 나사부를 기부(66a)의 표면측으로부터 제 3, 제 4 나사 구멍(66f, 66g)에 각각 관통시키고, 각 나사 구멍(66f, 66g)을 관통하는 나사(S2)의 나사부의 소요부가, 각 보스부(52a, 52b)에 구비되는 제 3, 제 4 나사결합부(52c, 52d)에 각각 나사결합됨으로써 완료된다. 이것은 방진 부재(66)와 하우징(50)(각 보스부(52a, 52b))가 나사(S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70)로부터의 상기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스텝핑 모터(61a)와, 상기 스텝핑 모터(61a)의 구동에 따라서 회전 구동되는 리드스크류부(61c)와, 상기 리드스크류부(61c)의 회전에 의해 리드스크류부(61c)의 축방향(X)을 따라 이동하고 피동력전달부인 수하부(42e)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5)를 구비하며, 제어부(70)는 동력전달부(65)가 축방향(X)을 따라 이동하지 않은 경우, 스텝핑 모터(61a)로의 상기 구동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동력전달부(65)의 설치 위치가 소정 위치로 조정된 후에는 동력전달부(65)가 리드스크류부(61c)에 견고하게 유지되고, 또한 스텝핑 모터(61a)에는 상기 구동 신호가 공급되지 않는 구성(즉, 스텝핑 모터(61a)에 구비되는 상기 여자 코일로의 전류 공급이 실시되지 않는 구성)이 되므로, 스텝핑 모터(61a) 자체가 발하는 발열량을 종래보다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스텝핑 모터 자체가 발하는 발열량이 감소되므로, 스텝핑 모터의 발열에 따라 스텝핑 모터가 파손될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스크류부(61c)에 맞물려, 리드스크류부(61c)의 회전에 의해 리드스크류부(61c)의 축방향(X)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43)를 구비하고, 동력전달부(45)가 이동 부재(43)의 이동에 동기하여 축방향(X)을 따라 이동하고, 수하부(피동력전달부)(42e)에 동력을 전달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어 이동 부재(43)를 없애고, 동력전달부(45)의 소요부와 리드스크류부(61c)를 맞물리게 하여, 동력전달부(45)가 리드스크류부(61c)의 회전에 의해 리드스크류부(61c)의 축방향(X)을 따라 이동하고 수하부(42e)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력 전달 장치(43)를 사용하여 수하부(42e)에 동력을 전달하고, 미러 홀더(42)(오목면 거울(41))의 각도 위치를 조정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어 상술한 액정표시기(20)에 동력 전달 장치(43)를 채용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액정표시기(20)에서 광원(21)으로부터 발해지는 조명광을 통과시키는 창부(窓部)를 갖고, 액정표시소자(22)를 배치(지지)하여 이루어진 가동 지지체의 소정 부분(예를 들어, 상기 가동 지지체의 외방으로 연장되는 입벽 형상의 칼라부)를 상술한 동력전달부(65)의 제1, 제2 돌기부(65h, 65i) 사이에 위치시키고, 동력전달부(65)가 이동함으로써 피동력전달부인 상기 소정 부분(상기 칼라부)에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가동 지지체(액정표시소자(22))를 소정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액정표시소자(22)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면 유리(13)에 대한 표시상(V)의 기울기(다시 말하면, 이용자(14)가 시인 가능한 표시상(V)의 가상 수평선에 대한 기울기)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오목면 거울 등의 반사 부재를 유지하는 미러 홀더에 동력을 전달하여, 반사 부재의 각도 위치를 조정하는 동력 전달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40: 제2 반사기 41: 오목면 거울(반사 부재)
42: 미러 홀더 42e: 수하부(피동력전달부)
43: 동력 전달 장치 61: 구동 수단
61a: 스텝핑 모터(구동 부재) 61c: 리드스크류부
62: 지지체 63: 이동 부재
64: 가이드 샤프트 65: 동력전달부
66: 방진(防振) 부재 70: 제어부
RA: 회동축선 X: 축방향

Claims (3)

  1. 소정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피동력 전달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장치로서,
    제어부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구동 부재,
    상기 구동 부재의 구동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리드스크류부, 및
    상기 리드스크류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부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피동력전달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며,
    상기 동력전달부가 상기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부재에 구비되는 여자 코일로의 전류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구동 부재로의 상기 지령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시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에 설치된 한 쌍의 반구형상의 돌기부가 대향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돌기부의 정점부분에서, 상기 피동력전달부와 각각 점접촉하도록 상기 피동력전달부가 샌드위치되어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가 점접촉을 이용하여, 상기 피동력전달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부에 맞물리고, 상기 리드스크류부의 회전에 의해 부여된 추력(推力)에 의해 상기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전달부가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에 동기하여 상기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에는 상기 리드스크류부와 거의 평행 상태를 이루는 가이드 샤프트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통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장치.
KR1020107025931A 2008-05-26 2009-05-07 동력 전달 장치 KR101698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36476A JP5348459B2 (ja) 2008-05-26 2008-05-26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に用いられる動力伝達装置
JPJP-P-2008-136476 2008-05-26
PCT/JP2009/058614 WO2009145036A1 (ja) 2008-05-26 2009-05-07 動力伝達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730A KR20110010730A (ko) 2011-02-07
KR101698609B1 true KR101698609B1 (ko) 2017-01-20

Family

ID=4137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931A KR101698609B1 (ko) 2008-05-26 2009-05-07 동력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64325B2 (ko)
EP (1) EP2287496A4 (ko)
JP (1) JP5348459B2 (ko)
KR (1) KR101698609B1 (ko)
CN (1) CN102047006B (ko)
WO (1) WO20091450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390A (ko) * 2015-12-10 2021-07-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회전 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4192B2 (ja) * 2007-12-04 2012-10-3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の光軸調整装置
JP2009168098A (ja) * 2008-01-15 2009-07-30 Jtekt Corp ボールねじ装置
JP5348459B2 (ja) * 2008-05-26 2013-11-20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に用いられる動力伝達装置
WO2012035127A2 (de) * 2010-09-17 2012-03-22 Johnson Controls Gmbh Anordnung zur befestigung von trägern für projektionsschirme von head-up-displays
KR101259032B1 (ko) * 2011-03-17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갠트리머신용 정위치 조정장치
JP5873707B2 (ja) 2011-12-15 2016-03-01 矢崎総業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5890164B2 (ja) * 2011-12-15 2016-03-22 矢崎総業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5464222B2 (ja) 2012-02-08 2014-04-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5917257B2 (ja) * 2012-04-19 2016-05-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6107047B2 (ja) * 2012-10-24 2017-04-05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6107380B2 (ja) * 2013-04-25 2017-04-05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253005B1 (ko) 2014-11-19 2021-05-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용 구동모듈
JP6503717B2 (ja) * 2014-12-09 2019-04-24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466609B1 (ko) * 2015-09-15 2022-11-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KR101640579B1 (ko) * 2015-11-06 2016-07-19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헤드업 디스플레이
FR3050040B1 (fr) * 2016-04-12 2019-11-01 Valeo Comfort And Driving Assistance Dispositif de projection d'images pour afficheur tete haute, afficheur tete haute associ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dispositif de projection d'images
EP3456572B1 (en) * 2016-05-10 2021-06-23 Nippon Seiki Co., Ltd. Head-up display device
KR102606984B1 (ko) * 2016-08-11 2023-11-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
CN107870421A (zh) * 2016-09-27 2018-04-03 上海蔚兰动力科技有限公司 抬头显示装置的可调式反射器及包含其的抬头显示装置
KR101912648B1 (ko) * 2017-06-02 2018-10-29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구동장치
DE102017116415B4 (de) 2017-07-20 2024-03-28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Kopf-oben-Anzei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in einer Führungskulisse eines verschiebbaren Schlittens geführtem Koppelelement eines drehbaren Spiegels, sowie Kraftfahrzeug
JP7053201B2 (ja) * 2017-09-15 2022-04-1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駆動装置
US10684473B2 (en) * 2017-12-22 2020-06-16 Lite-On Electronics (Guangzhou) Limited Angle-adjusting mechanism of head-up display
CN109955794B (zh) * 2017-12-22 2021-10-15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抬头显示装置的倾斜角度调整机构
TWI675162B (zh) * 2018-06-22 2019-10-21 泓記精密股份有限公司 螺桿軸向間隙調整機構
DE102018125709A1 (de) * 2018-10-17 2020-04-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system eines Head-Up-Displays eines Kraftfahrzeugs, Head-Up-Display für ein Kraftfahrzeug, Montagelehre für ein Head-Up-Display eines Kraftfahrzeugs und Einlehrverfahren für ein Head-Up-Display eines Kraftfahrzeugs
JP7250496B2 (ja) 2018-12-05 2023-04-0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駆動装置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EP3683615A1 (en) * 2019-01-18 2020-07-2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nd vehicle
JP2020117106A (ja) * 2019-01-25 2020-08-06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に用いられる駆動装置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DE112020000507T5 (de) * 2019-01-25 2021-11-18 Nippon Seiki Co., Ltd. Head-Up-Display-Vorrichtung
JP7172707B2 (ja) * 2019-02-20 2022-11-16 日本精機株式会社 ミラーユニット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7205284B2 (ja) * 2019-02-20 2023-01-17 日本精機株式会社 ミラー装置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9323A (ja) 2003-08-22 2005-03-17 Sharp Corp 送りねじ方法および送りねじ機構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2787A (ja) * 1983-01-17 1984-07-30 Fuji Electric Co Ltd 電動機の発停制御回路
KR900006452B1 (ko) * 1988-06-03 1990-08-31 유재풍 차량용 자동백미러
JPH0347662Y2 (ko) * 1989-03-28 1991-10-11
JP2645487B2 (ja) * 1989-09-28 1997-08-25 株式会社 島津製作所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2970051B2 (ja) * 1991-05-31 1999-11-02 日本精工株式会社 ボールねじ一体型直動案内ユニット
US5499547A (en) * 1991-09-04 1996-03-19 Smc Kabushiki Kaisha Actuator
WO1995006545A1 (fr) * 1993-09-02 1995-03-09 Smc Kabushiki Kaisha Structure d'actuateur
US5649451A (en) * 1994-06-30 1997-07-22 Ruland; Frederick W. Compact mechanism for creating simultaneous rotary and linear motion
US5910192A (en) * 1996-01-16 1999-06-08 Tri-Tech., Inc. Low-cost linear positioning device
JP3927285B2 (ja) * 1997-07-08 2007-06-06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スライド装置
US5980052A (en) * 1997-07-29 1999-11-09 Thor; Leifur Hayden Sun reflecting device
US5957798A (en) * 1997-09-10 1999-09-28 Gec-Marconi Aerospace Inc. Fail-free actuator assembly
JPH11119147A (ja) * 1997-10-14 1999-04-30 Asahi Optical Co Ltd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US6038127A (en) * 1998-02-27 2000-03-14 Comarco Wireless Technologies, Inc. Keypad assembly using a lead screw assembly for moving a curved member
JP2000098925A (ja) * 1998-07-22 2000-04-07 Yazaki Corp 車両用反射型表示装置
US6325518B1 (en) * 1999-03-12 2001-12-04 Donnelly Corporation Extendable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JP3649667B2 (ja) * 2000-12-06 2005-05-1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当て止め型直線作動機
US6497539B2 (en) * 2001-01-12 2002-12-24 Vincent P. Marroncelli Clamping device for a machine tool
JP2002303320A (ja) * 2001-04-06 2002-10-18 Smc Corp ガイド付フレームの製造方法
US6478436B1 (en) * 2001-05-22 2002-11-12 Eaton Corporation Sensing mirror position in a powered mirror positioning system
JP2003335148A (ja) * 2002-05-20 2003-11-25 Nippon Seiki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JP4436031B2 (ja) * 2002-05-31 2010-03-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操舵制御装置
DE10252443A1 (de) * 2002-11-12 2004-05-27 Trumpf Lasertechnik Gmbh Vorrichtung zur Ablenkung eines Laserstrahls
CN2609201Y (zh) * 2003-03-14 2004-03-31 深圳市新峰凌实业有限公司 汽车用天线自动伸缩装置
JP2005036899A (ja) * 2003-07-15 2005-02-10 Smc Corp 電動アクチュエータ
CN1260083C (zh) * 2003-12-12 2006-06-21 上海沪工汽车电器有限公司 倒车摄像头执行装置
JP3871334B2 (ja) * 2003-12-26 2007-01-24 株式会社ツバキエマソン 押し付け停止型電動シリンダ
JP4404715B2 (ja) * 2004-07-27 2010-01-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ミラー一体カバーユニット
CN1945944A (zh) * 2005-10-09 2007-04-11 精工电子有限公司 步进电机及电子器械
JP4675824B2 (ja) * 2006-05-15 2011-04-2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5029880B2 (ja) * 2007-03-09 2012-09-19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5348459B2 (ja) * 2008-05-26 2013-11-20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に用いられる動力伝達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9323A (ja) 2003-08-22 2005-03-17 Sharp Corp 送りねじ方法および送りねじ機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390A (ko) * 2015-12-10 2021-07-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회전 구동장치
KR102321099B1 (ko) 2015-12-10 2021-11-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회전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48459B2 (ja) 2013-11-20
CN102047006B (zh) 2015-12-02
EP2287496A4 (en) 2016-10-12
EP2287496A1 (en) 2011-02-23
JP2009281557A (ja) 2009-12-03
US8864325B2 (en) 2014-10-21
KR20110010730A (ko) 2011-02-07
US20110061482A1 (en) 2011-03-17
WO2009145036A1 (ja) 2009-12-03
CN102047006A (zh)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609B1 (ko) 동력 전달 장치
JP4973961B2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に用いられる動力伝達装置
JP5088683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9482868B2 (en) Vehicular head-up display device
JP6044838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8885260B2 (en) Head-up display device
WO2013058123A1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5741251B2 (ja) 虚像表示装置
JP4336245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WO2004022377A1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1150099A (ja) ミラーユニット
JP2015102700A (ja) 表示装置
JP5115784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3224068A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9064911A1 (ja) 虚像表示装置
JP5257159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9280076A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9208423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7377443B2 (ja) 動力伝達装置
WO2021059953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2014058999A (ja) ステップモータ
WO2020090462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2024008035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6206505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の組付け方法
JP2022125860A (ja) 車両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551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923

Effective date: 201611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