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019B1 - 팩시밀리 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팩시밀리 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019B1
KR101691019B1 KR1020140055250A KR20140055250A KR101691019B1 KR 101691019 B1 KR101691019 B1 KR 101691019B1 KR 1020140055250 A KR1020140055250 A KR 1020140055250A KR 20140055250 A KR20140055250 A KR 20140055250A KR 101691019 B1 KR101691019 B1 KR 101691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x
ecm
communication
cpu
error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5620A (ko
Inventor
요슈이 나이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5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prior to start of transmission, input or output of the picture signal only
    • H04N1/3332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prior to start of transmission, input or output of the picture signal only transmission mode only, e.g.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1/33376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r state of one of the communicating parties, e.g. available memory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1/33392Details of handsh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속으로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 모드와 저속으로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 모드를 구비한 수신측의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 송신측의 팩시밀리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팩시밀리 통신중에 에러 정정을 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팩시밀리 통신중에 에러 정정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사실에 근거하여, 제1 통신 모드에서 통신을 행하지 않도록 제어가 행해진다.

Description

팩시밀리 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FACSIMILE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팩시밀리 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IP망을 이용해서 팩시밀리(FAX) 통신을 행하는 방법이 확립되어 왔다.
IP망을 이용한 인터넷 팩시밀리(IP FAX) 통신에 있어서, 호 접속 프로토콜로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이 사용되고, 데이터 통신에는 T.38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있다. T.38을 사용한 IP FAX 통신에 있어서도, T.30에 의해 정의된 DIS(Digital Identification Signal)과 DCS(Digital Command Signal)을 교환함으로써, 능력 교환이 행해진다. 수신기는 DIS에 의해 해당 수신기의 능력 선언을 송신기로 보낸다. 송신기는 해당 송신기의 능력의 범위 내에서 DIS에 근거하여 통신에 사용하는 모드를 선택하고 그 결과를 DCS에 의해 수신기측에 알린다. DIS/DCS에는, 수신기/송신기가 네트워크(NW) 속도에 의한 고속통신가능한 장치(IAFD: Internet Aware FAX Device)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비트가 정의되어 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 속도란 G3 FAX 통신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를 나타낸다. IP망을 통해 팩시밀리 통신을 실행가능할 수 있지만 아날로그 회선을 통한 G3 FAX 통신 밖에 지원하지 않는 장치(예를 들면, G3 FAX 장치에 접속되는 게이트웨이장치)는, 전술한 고속통신가능한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다. IP FAX 통신시에, 장치들이 DIS/DCS를 사용한 능력 교환에 의해 서로가 IAFD 모드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안 경우에는, 선택된 속도값을 무시하고 DCS에 의한 네트워크 속도로 통신이 행해진다. 전술한 것과 같이, IP망을 거쳐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종래의 G3 FAX에 비해 고속에서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한편, T.38 프로토콜도, G3 FAX와 마찬가지로, 수신에 실패한 화상 데이터의 에러 정정이 가능한 ECM(Error Correction Mode) 통신과, 리커버리(에러 정정)를 금지함으로써 중간 절차를 생략한 Non-ECM 통신을 규정하고 있다. ECM 통신에 있어서는, 화상 데이터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procedure) 프레임으로 분할되고, 최대 256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1블록이 송신된다. 모든 프레임이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다음의 블록의 수신 준비가 완료한 경우에, 수신기는 MCF(Message Confirmation) 응답을 되돌린다. ECM 통신에서는, 1 블록의 사이즈가 최대 약 64KB로 결정되어 있다. 즉시 MCF 응답을 되돌릴 수 없는 경우에는, T5 타이머에 의해 1분간의 플로우 제어가 허용된다. 즉, MCF 응답을 위한 시간 제한에 1분간의 유예가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ECM 통신은 늦은 MCF 응답에 기인한 에러를 겪지 않는다.
그러나, Non-ECM 통신에서는, 화상의 송신 단위가 블록이 아니라 페이지이다. 더구나, ECM 통신에서와 같은 1분간의 플로우 제어는 프로토콜로서 규정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MCF 응답을 되돌릴 수 없을(제 시간에 응답을 되돌릴 수 없을) 가능성도 있다. Non-ECM 통신시에 수신기가 규정 시간 내에 MCF 응답을 되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간 조정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일본국 특개 2001-298551호 공보에는, ITU-T T.4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FAX 통신의 최소 전송 시간 설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기술에는 이하에 기재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T.30 권고는, IAFD들끼리의 통신에 있어서 송신기는 DCS의 최소 전송 시간을 0ms로 설정해야 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것은, NW 속도에 따라 작은 라인 데이터의 말미에 0의 비트열인 일정한 필(fill)이 삽입되어 매우 다량의 더미 데이터를 IP망으로 송출되어 버리는 경우를 피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IAFD들끼리의 통신에 있어서는, G3 FAX에서와 같은 최소 전송 시간에 의한 시간 조정은 사용할 수 없다. IP FAX 기기들끼리의 Non-ECM 통신에 있어서, MCF 응답을 규정 시간 내에 되돌릴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는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를 피하기 위해 IAFD 선언을 항상 금지하면, ECM 통신의 속도도 저하하여 버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IP FAX의 non-ECM 수신시에 있어서도, 규정 시간 내에 MCF 응답을 되돌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메카니즘의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면은, IP 팩시밀리 통신 및 G3 팩시밀리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팩시밀리 장치로서, 에러 정정을 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설정 유닛과,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한 설정에 의거하여, 상기 G3 팩시밀리 통신에서 에러 정정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한 설정에 의거하지 않고, 상기 IP 팩시밀리 통신에서 에러 정정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 팩시밀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은, 고속으로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 모드와 저속으로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 모드를 구비한 수신측의 팩시밀리 장치로서, 상기 제 1 통신 모드에서 통신을 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과, 상기 판정 유닛이 상기 제 1 통신 모드에서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판정한 사실에 근거하여, 팩시밀리 통신중에 에러 정정을 행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구비한 팩시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은, IP 팩시밀리 통신 및 G3 팩시밀리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팩시밀리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에러 정정을 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에 의거하여, 상기 G3 팩시밀리 통신에서 에러 정정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설정에 의거하지 않고, 상기 IP 팩시밀리 통신에서 에러 정정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한, 팩시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은, 고속으로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 모드와 저속으로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 모드를 구비한 수신측의 팩시밀리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 1 통신 모드에서 통신을 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단계에서, 상기 제 1 통신 모드에서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판정된 사실에 근거하여, 팩시밀리 통신중에 에러 정정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팩시밀리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은, 팩시밀리 장치의 제어방법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IP FAX 장치의 블록도와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ECM 통신시의 프로토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Non-ECM 통신시의 프로토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등록 메뉴·주소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UI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송신시의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신시의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배치, 수식 및 수치는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제1 실시형태>
<팩시밀리 장치의 구성>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기능을 갖는 T.30 및 T.38에 준거한 IP FAX 장치(팩시밀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과 통신망의 접속에 대해 설명한다.
참조번호 301은, 본 발명의 기능을 갖는 T.30 및 T.38에 준거하고, G3 FAX(아날로그 전화 회선을 이용한 팩시밀리 통신)와 IP FAX(IP망을 이용한 인터넷 팩시밀리 통신)을 지원하는 FAX 장치 1이다. FAX 장치(301)는, 아날로그 공중망(324) 및 구내 IP망(321)에 접속되어 있다. 이때, 접속되는 IP망은 구내 IP망에 한정되지 않고, 공중 IP망이어도 된다. 참조번호 325는 T.30에 준거한 아날로그의 G3 FAX 장치 3이다. FAX 장치(301)는 아날로그 공중망(324)을 거쳐 G3 FAX(325)과 FAX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조번호 323은 SIP 서버이고, 322는 T.38에 준거한 IP FAX 장치 2이다. FAX 장치(301)는 SIP 서버(323) 및 구내 IP망(321)을 거쳐 IP FAX 장치(322)와 통신가능하다.
FAX 장치(301)는 화상의 입출력 기능을 갖고, 종이 원고의 입력 및 종이에의 인쇄 출력을 행한다. FAX 장치(301)는 입력한 화상정보를 종이에 인쇄하거나, 그것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보존하거나, 구내 IP망이나 FAX를 경유해서 다른 기기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FAX 장치(301)는 구내 IP망(321)에 상시 접속하여, 다른 화상처리장치나 PC(Personal Computer)나 서버와 함께 운용된다. FAX 장치(301)는 PC로부터의 프린트 데이터나, 다른 단말로부터의 화상정보를 수신하여, 그것을 종이에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FAX장치(301)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FAX 장치(301)의 동작을 위해 유저 인터페이스(UI)(302)로부터 유저가 지시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FAX 장치(301)는 상용 전원에 접속되어 전원부(315)를 거쳐 장치 내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동작한다. 버스(310)는, 스캐너 I/F 제어부(307), CPU(314), R0M(311), RAM(312), HDD(313), 프린터 I/F 제어부(305), UI 제어부(303), 화상처리부(308), 네트워크 I/F 제어부(309), 및 MODEM(316)을 전기신호에 의해 접속하여 데이터 전송할 수 있다. 버스(310)는, CPU(314)로부터의 제어신호와 각 유닛 사이의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버스로서 이용된다.
CPU(314)은, FAX장치(301)의 제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ROM(311)이나 HDD(313)로부터 판독하고 RAM(312)에 전개하고 실행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ROM(311)은, 리드 온리 메모리로서, 장치의 부트 프로그램이나 고정 파라미터 등을 격납한다. ROM(311)으로서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일이 많다. RAM(312)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기능을 갖는다. 이것에는 반도체 메모리가 접속되어 있다. CPU(314)이 FAX장치(301)를 제어할 때, RAM(312)은, 예를 들어, 일시적인 작업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나 인쇄 데이터의 격납 등에도 사용된다. HDD(313)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서, 화상 데이터, 인쇄 데이터, 수신처 등록 정보의 격납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의 격납에 사용한다. 또한, RAM(312) 및 HDD(313)은, CPU(314)에 의해 화상 데이터의 처리, 부호화/복호화나 해상도 변환을 행하는 작업 영역으로서도 사용된다.
화상처리부(308)는, 고화질의 화상 데이터를 얻는 화상처리와 해상도 변환 및 부호화/복호화를 하드웨어로 행하는 것이다. 또한, RAM(312) 및 HDD(313)은, CPU(314)에 의해 전송할 데이터의 부호/복호화나 IP 패킷을 처리하는 작업을 행하는 작업 영역으로서도 사용된다. UI 제어부(303)는, UI(302)을 제어하여, 각종 정보의 표시를 행하거나, 유저로부터의 지시 입력을 접수한다.
프린터 I/F 제어부(305)는 프린터(304)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스캐너 I/F 제어부(307)는 스캐너(306)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네트워크 I/F 제어부(309)는, 구내 IP망(321)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TCP나 UDP 등의 IP 패킷의 해석이나 생성을 행한다. IP 패킷의 송수신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된 데이터는 RAM(312)이나 HDD(313)에 임시 보존된 후 CPU(314)에 의해 해석되고 프로토콜 규정에 따라 처리된다. 또한, FAX장치(301)는 네트워크 I/F 제어부(309) 및 구내 IP망(321)을 경유하여, SIP 세션을 이용해서 상대 기기와의 호 접속 및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CPU(314)은, 구내 IP망(321)으로부터 네트워크 I/F 제어부(309)가 T.38 패킷을 수신해서 그것을 해석하게 한다. MODEM(316)은 전화 회선으로부터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거나, 반대로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변조하여 전화 회선에 송출한다. NCU(317)은 전화 회선과 FAX의 인터페이스 부분에 대응한다. NCU(317)은 전화 회선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검지해서 MODEM(316)에 전송하거나, 전화 회선을 FAX나 전화기(326)로 전환하는 회선제어를 행한다.
여기에서, FAX장치(301)가 T.38에 의해 FAX 통신을 행할 때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한다. SIP 서버(323)에는 미리 전화번호와 접속처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대응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URI는 IP망 위에서의 상대편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식별자이다.
우선, FAX장치(301)가 IP FAX 장치(322)와 IP FAX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CPU(314)은 스캐너 I/F 제어부(307)를 통해 스캐너(306)를 동작시킴으로써, 원고를 판독하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화상 데이터의 취득이 끝나면, 네트워크 I/F 제어부(309)는, SIP 서버(323)에 대해 SIP의 접속 요구(INVITE 신호)를 송신한다. SIP 서버(323)는 그 INVITE 신호를 수신하고, 거기에 포함되는 상대편 전화번호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URI를 검색하고, 일치한 URI(이 경우에는, IP FAX 장치(322))에 대해 INVITE 신호를 전송한다. IP FAX 장치(322)는 그 INVITE 신호를 수신가능하면 2000K 신호를 SIP 서버(323) 경유로 FAX장치(301)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FAX장치(301)와 IP FAX 장치(322) 사이에서 호가 접속된다. 그후, CPU(314)은 화상처리부(308)에게 스캔한 화상 데이터를 JBIG 등의 부호화 데이터로 변환한다. 네트워크 I/F 제어부(309)는 부호화 데이터를 T.38 패킷으로 변환하고 구내 IP망(321)을 경유해서 IP FAX 장치(322)에 전송한다. IP FAX 장치(322)로부터 송출된 T.38 패킷은 구내 IP망(321)을 경유해서 네트워크 I/F 제어부(309)에 도달하고, 부호화된 디지털의 화상 데이터가 추출되어 CPU(314)로 보내진다. JBIG 등에 의해 부호화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는 원(raw) 화상 데이터로 복호화되고, 수신 데이터로서 프린터 I/F 제어부(305)로 보내져, 프린터(304)에 의해 프린트된다.
<T.38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
다음에,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T.38 프로토콜에 의한 2가지 통신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수신에 실패한 화상 데이터의 에러 정정이 가능한 ECM(Error Correction Mode) 통신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리커버리(에러 정정을 금지함으로써 중간절차를 생략한 Non-ECM 통신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ECM 통신에서는, 화상 데이터가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procedure) 프레임으로 분할되고, 최대 256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1블록이 송신된다. 수신기(수신측 장치), 1블록과, 그 블록의 끝을 표시하는 절차신호(PPS-Q 신호)의 수신을 종료하면, 수신한 프레임의 번호를 확인한다. PPS-Q 신호는, PPS-EOP, PPS-MPS, PPS-NULL의 총칭이다. 수신되지 않은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수신기가 재송 요구로서 PPR(Partial Page Request) 응답을 되돌린다. 모두 프레임이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다음의 블록의 수신 준비가 완료한 경우에, 수신기는 MCF(Message Confirmation) 응답을 되돌린다.
MCF 응답을 되돌리기 위해서는, 즉, 수신 준비가 완료하기 위해서는, 수신한 데이터의 복호처리와 격납처리가 종료할 필요가 있다. 수신기의 성능으로 인해 복호처리에 시간이 걸려, 즉시 MCF 응답을 되돌릴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ECM 통신에서는, T5 타이머에 의해 1분간의 플로우 제어가 허용된다. 즉, MCF 응답을 위한 시간 제한에 1분간의 유예가 추가될 수 있다.
복호처리가 제 시간에 종료할 수 없어, 즉시 MCF 응답을 되돌릴 수 없는 경우에, 수신기는 PPS-Q 신호에 대해 일시로 RNR(Receive Not Ready) 응답을 되돌릴 수 있다. 송신기(송신측 장치)는 그것을 받고 다시 수신 상태의 문의를 위해 RR(Receive Ready) 신호를 송신한다. ECM 통신에서는, 이 RNR-RR의 교환을 최대 1분간 계속할 수 있다. 이 시간 동안에 수신 준비를 끝내고 MCF 응답을 되돌릴 수 있으면, 통신 에러가 일어나지 않는다. ECM 통신의 1블록의 사이즈가 소정의 상한, 약 64KB를 갖기 때문에, 1분간의 플로우 제어 동안에 거의 확실하게 MCF 응답을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IP FAX기기끼리에서 매우 고속으로 통신을 행할 때에도, ECM 통신은 늦은 MCF 응답에 기인한 에러를 겪지 않는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Non-ECM 통신시에는, 화상의 송신 단위가 블록이 아니라 페이지이다. 따라서, 원고 사이즈나 해상도에 따라서는 1페이지의 데이터 사이즈가 매우 커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Non-ECM 통신에서는 ECM 통신에서와 같은 1분간의 플로우 제어는 프로토콜로서 규정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수신한 화상 사이즈가 커서 복호처리를 제 시간에 끝낼 수 없더라도, 수신기는 RNR 응답을 되돌릴 수 없다. 송신기가 페이지의 끝을 표시하는 Q 신호를 3s 간격으로 최대 3회 재송하는 동안에, 수신기가 MCF 응답을 되돌릴 수 없으면, 통신 에러가 발생한다. 즉, Non-ECM 통신시에, MCF를 되돌릴 때까지 9sec 정도의 유예만이 허용된다.
단, G3 FAX에서는, Non-ECM 통신의 최대 속도가 14.4kbps이기 때문에, 이 속도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수신 자체에 시간이 걸리므로, 수신기가 이 시간 동안에도 복호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최근의 G3 FAX 장치에서는, 전술한 허용되는 유예 기간이 9sec 정도라도, MCF 응답에 너무 늦는 일은 거의 없다. 그러나, IP FAX에서는, 수 Mbps의 고속으로 통신이 행해져, 매우 큰 화상에 대해서도 즉시 수신이 끝나 버린다. 따라서, 수신기가 복호처리를 행하는데 사용가능한 시간이 전술한 것과 같이, 단지 9sec 정도인 경우가 있다. 복호처리를 위한 하드를 탑재하고 있지 않는 IP FAX 장치에서는, 이 약 9sec의 시간 동안에 복호처리가 끝내고 MCF 응답을 되돌리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Non-ECM 통신시에 수신기가 규정 시간 내에 MCF 응답을 되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간 조정에 관한 기술로는 ITU-T T.4 권고에서 규정되어 있는 "최소 전송 시간 설정"이 있다. 최소 전송 시간은 수신기가 1 라인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최소 시간을 의미한다. 1 라인의 전송 시간이 이 최소 전송 시간보다도 짧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송신기측에서 작은 라인 데이터의 말미에 0의 비트열(필)이 추가된다. 이 필은 시간 조정을 위한 더미 데이터이므로, 수신기측에서 화상 데이터로부터 제거된다. 송신기는, DIS(수신측 정보)를 사용하여 수신기에 의해 선언된 최소 전송 시간을 밑돌지 않도록, DCS(송신측 정보)에 의해 최소 전송 시간을 수신기에 통지하고, 화상 데이터에 필을 삽입한다. 그러나, 상기한 것과 같이, T.30 권고는, IAFD끼리의 통신시에는, NW 속도(네트워크 속도)에 따라 필이 삽입되면 매우 다량의 더미 데이터가 IP망으로 송출되기 때문에, 송신기가 DCS의 최소 전송 시간을 0ms로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IAFD끼리의 통신에 있어서는, G3 FAX에서와 같은 최소 전송 시간에 의한 시간 조정을 사용할 수 없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는, IP FAX에 있어서 Non-ECM의 수신시에 있어서도, 항상 규정 시간 내에 MCF 응답을 되돌리는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처리 절차>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IP FAX 수신시의 DIS 재송의 처리 절차 및, 화상 수신 페이즈로 이행할 때까지의 처리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즉, 여기에서는, FAX장치(301)가 IP FAX에 있어서의 수신기로서 동작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흐름도의 처리에서는, CPU(314)가 FAX장치(301)의 제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ROM(311)이나 HDD(313)로부터 판독하고, RAM(312)에 전개해서 실행한다. 본 흐름도의 스텝 S402, S406, S407의 DIS 및 CFR(Confirmation To Receive) 송신 처리에서는, CPU(314)이 네트워크 I/F 제어부(309)에게 T.38 패킷을 생성하게 한다. 네트워크 I/F 제어부(309)는 그 패킷을 구내 IP망(321)에 송신한다. 스텝 S403의 DCS의 수신 처리에서는, 네트워크 I/F 제어부(309)가 구내 IP망(321)으로부터 받은 T.38 패킷을 수신하고, 그것을 CPU(314)가 해석한다. CPU(314)는, DCS의 제어신호 정보를 취득하고, RAM(312)에 기억함으로써 처리를 실행된다. 설명이 단략화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이들 처리를 간단히 "송신" 및 "수신"이라고 부른다.
스텝 S401에 있어서, CPU(314)은, FAX장치(301)의 IAFD 모드(NW 속도에서 고속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드)를 표시하는 플래그를 ON으로 설정하고, RAM(312)에 보존한다. 스텝 S402에 있어서, CPU(314)가, IAFD 모드 ON을 표시하는 Bit 123(IP-FAX 장치 능력을 표시하는 플래그)을 1로 설정한 DIS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DIS/DCS의 비트에 대해 설명한다. 상대 기기가 ECM인지 Non- ECM인지, 또는 IAFD인지 아닌지가 DIS/DCS의 비트에 정의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검사함으로써 이것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ECM의 모드를 표시하는 비트는 27번째 비트에 할당되고, 장치가 IAFD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비트는 123번째 비트에 할당되어 있다.
Bit27 0: Non-ECM 1: ECM
Bit 123 0: IAFD가 아니다 1: IAFD이다.
스텝 S403에 있어서, CPU(314)은 상대 기기로부터 보내져 온 DCS를 수신한다. 스텝 S404에 있어서, CPU(314)은, 스텝 S403에서 수신한 DCS의 Bit 123의 값 및 RAM(312)에 보존되어 있는 FAX장치(301)의 IAFD 모드를 표시하는 변수의 값을 취득하여, 이들 값이 모두 IAFD 모드 ON을 표시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들 값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개가 IAFD 모드 OFF를 표시하면, 스텝 S407로 처리를 진행하여 CFR를 송신한다. 그후, 스텝 S408에서 화상 수신 페이즈로 처리를 이행하여, 팩시밀리 수신을 개시한다.
한편, 스텝 S404에서 양자 모두 IAFD 모드 ON을 표시하면, 스텝 S405에 있어서, CPU(314)은 DCS의 Bit27의 값을 취득하여, 송신기의 선택이 ECM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송신기의 선택이 ECM이면 스텝 S407로 그리고 그후에 스텝 S408로 처리를 진행한다. 화상 수신 페이즈로 처리를 이행하여, 팩시밀리 수신을 개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스텝 S406으로 처리를 진행하여, CPU(314)은, RAM(312)에 보존되어 있는 FAX장치(301)의 IAFD 모드를 표시하는 플래그를 OFF로 갱신한다. 더구나, CPU(314)은, IAFD 모드 OFF를 표시하도록 Bit 123을 0으로 설정한 DIS를 생성하여, 재송한다. 이 경우에, 송신측 장치는 해당 DIS를 재수신한다.
재송후에는, 처리가 스텝 S403으로 되돌아가, CPU(314)은, DCS를 수신한다. 스텝 S406에 있어서 FAX장치(301)의 IAFD 모드가 일단 OFF로 설정되면, 2회째 이후에 스텝 S404의 판정은 항상 NO로 끝난다. 따라서, IAFD 모드를 OFF로 변경해서 DIS를 재송하는 것은 1회만 행해진다. 즉, 스텝 S406에서 IAFD 모드 OFF의 DIS가 송신된 것에도 불구하고 상대 기기가 다시 IAFD 모드 ON의 DCS를 송신하더라도, 무한 루프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IP FAX 수신시에, FAX장치(301)(수신기)가 처음에 DIS에 의해 DIS 선언을 하여, 장치가 IAFD인 것으로 선언한다. 송신기가 DIS에 의해 IAFD 및 Non-ECM을 통지한 경우에만, 수신기가 DIS 선언을 다시 하여 장치가 IAFD가 아닌 것으로 선언한다. 이에 따라, 송신기가 화상 송신 속도를 NW 속도로부터 G3 FAX의 속도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 수신에 필요한 시간이 연장되어 복호처리에 이 시간을 충당하기 때문에, MCF 응답을 규정 시간 내에 되돌릴 수 있다.
통상, 수신기의 DIS 선언에 대해, 수신기가 IP FAX 장치이면 Bit 123을 1(장치가 IAFD이다)로 설정함으로써 선언이 행해진다. 수신기가 G3 FAX 장치이면, Bit 123을 0(장치가 IAFD가 아니다)으로 설정함으로써 선언이 행해진다. IAFD인 송신기는, 수신기의 DIS의 Bit 123을 검사한다. 이 비트가 1이면, 상대 기기가 IAFD인 것으로 송신기가 판단하여, DCS의 Bit 123을 1로 설정하고, 고속으로 송신을 행한다. 이 비트가 0이면, 상대 기기가 GW에 접속된 G3 FAX 장치라고 송신기가 판단하여, DCS의 Bit 123을 0으로 설정하고 G3의 속도로 송신을 행한다. 따라서, 송신기가 IAFD일 때에도, DIS에 의해 장치가 IAFD가 아닌 것으로 수신기가 다시 선언함으로써, 통신 속도를 G3의 속도로 줄인다.
<제2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FAX 송신 또는 FAX 수신시에 FAX장치(301)가 ECM 가능한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조작 화면에 표시되는, 주소록 등록 메뉴 및 팩스 송수신 설정 메뉴에 대해 설명한다.
참조번호 501은 주소록 등록을 나타낸 것이다. 주소록 등록에서는, 복수의 수신처를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소록 등록은, 예를 들면, 수신처마다 전화번호 508 및 511, ECM 설정 509 및 512, IP FAX와 G3 FAX의 구별을 위해 사용되는 종별 510 및 513의 설정을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것 이외에도 등록가능한 항목이 존재하는 실시예도 가능하지만,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수신처 504는, 종별 5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IP FAX의 수신처이다. 전화번호 508은 044-12345678이고, ECM 509로서 ON이 등록되어 있다. 수신처 505는 종별 5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G3 FAX 수신처이다. 전화번호 511은 044-87654321이며, ECM 512로서 OFF가 등록되어 있다.
주소록으로부터 수신처를 선택해서 FAX 송신을 행하는 경우에, 수신처마다 설정된 종별을 참조함으로써, 수신처가 IP 수신처인지 G3 수신처인지를 판별한다. 주소록으로부터의 FAX 송신의 경우에는, 송신시의 ECM 선택을 결정할 때(후술한다) 이 수신처마다 등록된 ECM 설정 509 또는 512를 참조한다.
참조번호 502는 팩스 송신 설정 메뉴를 나타내고, 506은 본체의 송신 ECM 설정 등록을 나타낸다. 송신 ECM 설정 등록(5060은, 주소록(501)에 등록되어 잇지 않은 신규 수신처에 의한 FAX 송신을 행할 때 송신시의 ECM 선택을 결정(후술한다)하는데 사용된다.
참조번호 503은 팩스 수신 설정 메뉴를 나타낸 것이고, 507은 본체의 수신 ECM 설정 등록을 나타낸 것이다. 수신 ECM 설정 등록(507)은 FAX 수신시의 ECM 선택을 결정(후술한다)하는데 사용된다. 팩스 송신 설정(502) 및 팩스 수신 설정(503)에서는, ECM 설정 이외의 항목도 등록가능한 실시예도 가능하지만,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UI(302)에 대해 설명한다. UI(302)로부터 FAX 송신시의 수신처 입력과 원고 판독 모드 등의 상세 설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신규 수신처에 대해서는, 텐키 패드(602)를 사용해서 전화번호의 입력을 행한다. 신규 수신처에 대해서는, 종별 선택 버튼(601)에 의해 IP FAX 수신처 또는 G3 FAX 수신처가 선택된다. 이미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는 수신처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주소록 버튼(603)에 의해 선택이 가능하다. 따라서, 주소록 버튼(603)이 눌러지면, 이미 등록되어 있는 어드레스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처리 절차>
다음에,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FAX 송신시 및 FAX 수신시에 능력 교환에 사용되는 ECM 모드의 결정의 처리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FAX 통신의 ECM 모드는 최종적으로는 상대 기기와의 능력 교환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에서는, 그 능력 교환시에 FAX장치(301)가 ECM 가능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 절차를 설명한다.
우선, 도 7을 참조하여, 팩시밀리 송신시의 결정 플로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흐름도의 처리에서는, CPU(314)가 FAX장치(301)의 제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ROM(311)이나 HDD(313)로부터 판독하고 RAM(312)에 전개해서 실행한다.
스텝 S701에 있어서, UI 제어부(303)는 UI(302)로부터 유저에 의해 입력된 수신처 정보를 수신한다. CPU(314)은, 이 수신처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처가 신규 수신처인지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는 수신처인지를 판정한다. 수신처가 신규 수신처인 경우에는, S702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314)은, 수신처 정보 중에서 종별 정보를 참조하여, 수신처가 IP FAX 수신처인지 G3 FAX 수신처인지를 판정한다. 수신처가 IP FAX 수신처로 판정되면, S704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314)은, RAM(312)에 보존되어 있는 팩스 송신 설정(502)의 ECM의 값(506)은 판독하지 않고, 능력 교환에 사용하는 ECM이 ON이라고 결정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702에서 수신처가 G3 FAX 수신처로 판정되면, 스텝 S70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314)은, RAM(312)에 보존되어 있는 팩스 송신 설정(502)의 ECM의 값(506)을 판독하여, ON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해당 값이 ON이면 스텝 S704로 처리를 진행하고, CPU(314)은, 능력 교환에 사용하는 ECM도 ON이라고 결정한다. 이 값이 OFF이면 스텝 S707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314)는, 능력 교환에 사용하는 ECM의 값은 OFF라고 결정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701에서, 입력된 수신처가 주소록(501)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수신처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S705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314)은, 수신처마다 등록된 종별 정보를 RAM(312)으로부터 판독하고, 수신처가 IP FAX 수신처인지 G3 FAX 수신처인지를 판정한다. 수신처가 IP FAX 수신처이면, 스텝 S704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314)은, RAM(312)에 보존되어 있는 수신처마다의 ECM 509 또는 512의 값을 판독하지 않고, 능력 교환에 사용하는 ECM이 ON이라고 결정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수신처가 G3 FAX 수신처이면, 스텝 S70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314)은, RAM(312)에 보존되어 있는 수신처마다의 ECM 509 또는 512의 값을 판독하여, ON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해당 값이 ON이면 스텝 S704로 처리를 진행하고, CPU(14)은, 능력 교환에 사용하는 ECM의 값도 ON이라고 결정한다. 이 값이 OFF이면 S707로 처리를 진행하고, CPU(314)는 능력 교환에 사용하는 ECM의 값이 OFF라고 결정한다.
전술한 처리를 사용하여, 장치의 송신 ECM(506) 또는 주소록의 ECM 509 또는 512가 OFF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IP FAX 송신시에는 장치가 항상 ECM을 ON으로 설정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IP FAX 통신시에 FAX장치(301)(송신기측)의 ECM 설정으로 인해 늦은 MCF 응답에 기인한 통신 에러를 겪을 수도 있는 Non-ECM 통신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FAX 수신시의 결정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본 흐름도의 처리에서는, CPU(314)가 FAX장치(301)의 제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ROM(311)이나 HDD(313)로부터 판독하고 RAM(312)에 전개해서 실행한다.
장치가 팩시밀리 착신을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G3 FAX에서는, NCU(317)가 아날로그 공중망(324)으로부터 호출 신호를 검지하고, CPU(314)에 착신한 것을 통지한다. IP FAX에서는, 네트워크 I/F 제어부(309)가 구내 IP망(321)으로부터 INVITE 신호 수신을 검지하여, CPU(314)에게 착신한 것을 통지한다. 착신을 검지하면, 스텝 S801에 있어서, CPU(314)은, 그것의 통지원을 판정하여, 그것이 IP FAX 수신인지 G3 FAX 수신인지 판정한다.
IP FAX 수신에 대해서는, 스텝 S802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314)은, 능력 교환에 사용하는 ECM이 ON이라고 결정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G3 FAX 수신에 대해서는, 스텝 S80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314)은, RAM(312)에 격납되어 있는 팩스 수신 설정(503)의 ECM의 값(507)을 판독하여, ECM 설정이 ON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ECM이 ON이면, 스텝 S802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314)은, 능력 교환에서 사용하는 ECM의 값이 ON이라고 결정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 값이 OFF이면, 스텝 S804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314)은, 능력 교환에서 사용하는 ECM의 값이 OFF라고 결정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전술한 처리에 의해, 장치의 수신 ECM(507)이 OFF로 설정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IP FAX 수신시에 ECM을 ON으로 설정하여 장치가 항상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IP FAX 통신시에 FAX장치(301)(수신기측)의 ECM으로 인해 늦은 MCF 응답에 기인한 통신 에러를 겪을 수도 있는 Non-ECM 통신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FAX장치(301)의 ECM 설정이 OFF로 설정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IP FAX 통신시에 ECM=ON으로 설정하여 능력 교환을 행한다. 최근에는, IP FAX와 G3 FAX 모두를 지원하는 FAX 장치도 다수 존재하고 있다. G3 FAX에서, 정상적으로 노이즈가 많은 회선이 접속될 때, ECM 통신에서는 PPR에 의한 프레임 재송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통신을 종료하는데 긴 시간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장치의 ECM 설정을 OFF로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ECM이 OFF로 설정될 때 전술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ECM을 ON으로 설정하여 IP FAX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P FAX의 경우에는 다음의 이유로 인해서 ECM을 OFF로 설정함에 있어서 장점도 그다지 없다. 즉, TCP 환경에서는, NW층에서 패킷 손실의 경우의 재송이나 에러 정정이 행해져, 프레임이 손실되는 일이 없다. 또한, UDP 환경이라도 정상적으로 패킷 손실이 발생하는 환경으로서 생각하기 어렵다. 따라서, IP FAX에서는, PPR의 빈번한 발생으로 인해 ECM 통신이 종료하는데 긴 시간이 걸리는 경우를 상정하기 어렵다. FAX 또는 IP FAX의 능력 교환에서는, 상대 기기가 ECM의 능력을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FAX장치(301)가 Non-ECM을 선언하면, 그 통신은 Non-ECM에 의해 행해진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치의 ECM 설정에 상관없이 ECM을 선언함으로써 IP FAX 통신이 항상 행해진다.
<제3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를 결합한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팩시밀리 착신했을 때의 능력 교환에 사용하는 ECM 모드 결정 및, DIS의 재송신에 관한 처리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본 흐름도의 처리에서는, CPU(314)가 FAX장치(301)의 제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ROM(311)이나 HDD(313)로부터 판독하고 RAM(312)에 전개해서 실행한다. 본 흐름도의 스텝 S907, S911 및 S912에서 행하는 DIS 및 CFR의 송신 처리와, 스텝 S908에서 행하는 DCS의 수신 처리에 대해서는, IP FAX 통신과 G3 FAX 통신에서 실시방법이 다르므로, 미리 여기에서 실시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DIS 또는 CFR의 송신 처리에 관해, IP FAX 통신에서는, CPU(314)가 네트워크 I/F 제어부(309)에게 DIS 또는 CFR의 T.38 패킷의 생성을 행하게 한다. 네트워크 I/F 제어부(309)는 그 패킷을 구내 IP망(321)에 송신한다. G3 FAX에서는, CPU(314)이 DIS 또는 CFR의 제어신호 데이터를 MODEM(316)을 사용해서 변조하여 아날로그의 FAX 신호로 변환한다. 아날로그의 FAX 신호는 아날로그 공중망(324)으로 송출된다. DCS의 수신처리에 관해, IP FAX에서는, 네트워크 I/F 제어부(309)가 구내 IP망(321)으로부터 받은 T.38 패킷을 수신한다. CPU(314)은 그 T.38 패킷을 해석하고, DCS의 제어신호 정보를 추출해서, RAM(312)에 기억한다. G3 FAX에서는, MODEM(316)이 아날로그 공중망(324)으로부터 받은 아날로그 FAX 신호를 복조하여 DCS의 제어신호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한 DCS의 제어신호는 RAM(312)에 기억된다.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이들 처리를 간단히 "송신" 또는 "수신"으로 부른다.
장치가 팩시밀리 착신을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G3 FAX에서는, NCU(317)이 아날로그 공중망(324)으로부터의 호출 신호를 검지하고, CPU(314)에게 착신한 것을 전해준다. IP FAX에서는, 네트워크 I/F 제어부(309)가 구내 IP망(321)으로부터의 INVITE 신호 수신을 검지하여, CPU(314)에 착신한 것을 전해준다. 착신을 검지하면, 스텝 S901에서, CPU(314)은, 그것의 통지원을 판별하여, IP FAX 수신인지 G3 FAX 수신인지 판정한다. IP FAX 수신에 대해서는, 스텝 S902에서, CPU(314)가, FAX장치(301)의 IAFD 모드를 표시하는 플래그를 ON으로 설정하고 RAM(312)에 보존한다. 이어서, 스텝 S903에 있어서, CPU(314)은, 능력 교환에 사용하는 ECM이 ON이라고 결정한다.
한편, 스텝 S901에서 G3 FAX 수신이라고 판정하면, 스텝 S904에 있어서, CPU(314)은, FAX장치(301)의 IAFD 모드를 표시하는 플래그를 OFF로 설정하고, RAM(312)에 보존한다. 이어서, 스텝 S905에 있어서, CPU(314)은, RAM(312)에 격납되어 있는 팩스 수신 설정(503)의 ECM의 값(507)을 판독하여, ECM이 ON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ECM이 ON이면, 스텝 S903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CPU(314)은, 능력 교환에서 사용하는 ECM의 값이 ON이라고 결정한다. 이 값이 OFF이면, 스텝 S906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CPU(314)은, 능력 교환에서 사용하는 ECM의 값이 OFF라고 결정한다.
능력 교환에 사용하는 ECM의 값이 결정되면, 스텝 S907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314)은, 결정된 ECM의 값에 따라 DIS의 Bit 27의 값을 설정하고, DIS을 송신한다. 스텝 S908에 있어서, CPU(314)은, DCS를 수신하고, 그 제어신호 정보의 값으로부터 ECM의 모드를 표시하는 Bit 27의 값 및 IAFD 모드를 표시하는 Bit 123의 값을 취득한다.
스텝 S909에 있어서, CPU(314)은, RAM(312)에 보존하고 있는 FAX장치(301)의 IAFD 모드의 값을 판독하고, 그 FAX장치(301)의 IAFD 모드의 값과 스텝 S908에서 취득한 DCS의 IAFD 모드의 값이 모두 ON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들 값이 모두 ON이면, 스텝 S912로 처리를 진행하여, CPU(314)은 CFR를 송신한다. 그후, 스텝 S913에서 화상 수신 페이즈로 처리를 이행한다. 이들 값 중에서 적어도 한 개가 OFF이면, 스텝 S910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CPU(314)은, DCS의 ECM 모드가 ON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ECM이 ON이면, 스텝 S912로 처리를 진행하고, CPU(314)은 CFR를 송신한다. 그후, 스텝 S913에서 화상 수신 페이즈로 처리를 이행한다. ECM이 OFF이면, 스텝 S911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314)은, FAX장치(301)의 IAFD 모드를 표시하는 플래그를 OFF로 갱신하고 RAM(312)에 보존한다. 더구나, CPU(314)은, IAFD 모드가 OFF로 설정된, 즉 Bit 123이 0으로 설정된 DIS를 재송신한다. 이 경우에, 송신측 장치는 해당 DIS를 재수신한다. 재송신을 행한 후에, 스텝 S908로 처리를 되돌려 DCS의 수신처리를 행한다.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텝 S911에 있어서 FAX장치(301)의 IAFD 모드가 OFF로 설정되면, 2회째 이후에 스텝 S909의 판정이 항상 NO로 끝난다. 따라서, IAFD 모드를 OFF로 변경해서 DIS를 재송하는 처리는 1회만 행해진다. 즉, 스텝 S911에서 IAFD 모드 OFF의 DIS가 송신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상대 기기가 다시 IAFD 모드 ON의 DCS를 송신하더라도, 무한 루프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상에 처리에 의해, 장치의 수신 ECM(507)이 OFF로 설정되더라도, IP FAX 수신시에는 항상 ECM을 ON으로 설정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IP FAX 수신시에 수신기측의 ECM 설정으로 인한 늦은 MCF 응답에 기인한 통신 에러를 겪을 수도 있는 Non-ECM 통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가 IAFD 모드 및 Non-ECM을 선언하더라도, 수신기측에서 IAFD 모드 OFF의 DIS를 재송함으로써, 송신기의 송신 속도를 NW 속도로부터 아날로그의 G3 속도로 줄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신기가 확실하게 MCF 응답을 규정 시간 내에 되돌릴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장치(예를 들면,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이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IP 팩시밀리 통신 및 G3 팩시밀리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팩시밀리 장치로서,
    에러 정정을 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설정 유닛과,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한 설정에 의거하여, 상기 G3 팩시밀리 통신에서 에러 정정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한 설정에 의거하지 않고, 상기 IP 팩시밀리 통신에서 에러 정정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 팩시밀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G3 팩시밀리 통신이 행해지고, 에러 정정이 행해지도록 설정된 경우에, 에러 정정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G3 팩시밀리 통신이 행해지고, 에러 정정이 행해지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에, 에러 정정을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팩시밀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IP 팩시밀리 통신이 행해지고, 에러 정정이 행해지도록 설정된 경우에, 에러 정정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IP 팩시밀리 통신이 행해지고, 에러 정정이 행해지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에, 에러 정정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팩시밀리 장치.
  9. 삭제
  10. IP 팩시밀리 통신 및 G3 팩시밀리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팩시밀리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에러 정정을 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에 의거하여, 상기 G3 팩시밀리 통신에서 에러 정정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설정에 의거하지 않고, 상기 IP 팩시밀리 통신에서 에러 정정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한, 팩시밀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기재된 팩시밀리 장치의 제어방법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40055250A 2013-05-16 2014-05-09 팩시밀리 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1691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04520 2013-05-16
JP2013104520A JP6224914B2 (ja) 2013-05-16 2013-05-16 ファクシミリ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620A KR20140135620A (ko) 2014-11-26
KR101691019B1 true KR101691019B1 (ko) 2016-12-29

Family

ID=5189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250A KR101691019B1 (ko) 2013-05-16 2014-05-09 팩시밀리 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723172B2 (ko)
JP (1) JP6224914B2 (ko)
KR (1) KR101691019B1 (ko)
CN (1) CN104168401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1224A1 (en) * 2002-06-21 2004-01-01 Tomohito Kajiwara Network facsimile apparatus, facsim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at can efficiently transport packets
JP2006339845A (ja) * 2005-05-31 2006-12-14 Brother Ind Ltd 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7517B2 (ja) 1995-05-12 2004-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US6046825A (en) * 1995-05-12 2000-04-04 Canon Kabushiki Kaisha Facsimile apparatus controlling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registered execution of the error correction mode
JP2001298551A (ja) 2000-04-11 2001-10-26 Canon Inc 無線電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BR0110565A (pt) 2000-05-05 2006-02-07 Qualcomm Inc Interface de rede digital para equipamento de fac-sìmile analógico
JP4013153B2 (ja) 2004-04-20 2007-11-28 村田機械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50243871A1 (en) * 2004-04-20 2005-11-03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deiv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677147B1 (ko) 2004-11-0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팩시밀리 전송속도 설정방법 및 장치
US20060274731A1 (en) * 2005-05-20 2006-12-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Voice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product
JP4328816B2 (ja) * 2006-09-25 2009-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CN101448060B (zh) 2008-12-23 2010-12-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Ip传真中禁止纠错模式的方法与系统
US8437026B2 (en) * 2010-07-14 2013-05-07 Dialogic Corporation Compensation for facsimile transmission in a packet switched network
US9019839B2 (en) * 2012-08-19 2015-04-28 Audiocodes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fax relay
JP5928285B2 (ja) * 2012-10-03 2016-06-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情報通信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1224A1 (en) * 2002-06-21 2004-01-01 Tomohito Kajiwara Network facsimile apparatus, facsim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at can efficiently transport packets
JP2004032039A (ja) 2002-06-21 2004-01-29 Ricoh Co Ltd ネットワーク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送信システム
JP2006339845A (ja) * 2005-05-31 2006-12-14 Brother Ind Ltd 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24914B2 (ja) 2017-11-01
KR20140135620A (ko) 2014-11-26
US10230868B2 (en) 2019-03-12
CN104168401A (zh) 2014-11-26
US20170310850A1 (en) 2017-10-26
US9723172B2 (en) 2017-08-01
CN104168401B (zh) 2018-07-27
US20140340705A1 (en) 2014-11-20
JP2014225805A (ja)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4578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2007019649A (ja) 通信端末
US20060028692A1 (en) Network facsimile apparatus
JP5888902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1928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91019B1 (ko) 팩시밀리 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JP4155302B2 (ja) 通信端末装置
JP6307197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75152A (ja) 通信端末装置
JP7426313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ファクシミリ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JP5010562B2 (ja) 通信端末装置
JP2010141614A (ja) 通信装置
JP2007037064A (ja) 通信端末装置
JP375485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
JP2009017383A (ja) ネットワーク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JP2013201625A (ja) 通信装置
JP200313428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306979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823650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3804833B2 (ja) インターネットファクシミリ装置
JP4244047B2 (ja) 通信端末装置
JP2009225057A (ja) ネットワークファクシミリ装置
JPH1133153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方法
JP2017063317A (ja) 画像形成装置、通信方法
JP2004007678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