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465B1 - 직화 구이팬 - Google Patents

직화 구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465B1
KR101681465B1 KR1020160073338A KR20160073338A KR101681465B1 KR 101681465 B1 KR101681465 B1 KR 101681465B1 KR 1020160073338 A KR1020160073338 A KR 1020160073338A KR 20160073338 A KR20160073338 A KR 20160073338A KR 101681465 B1 KR101681465 B1 KR 101681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ressure
cooking space
inlet pip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선자
Original Assignee
서선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선자 filed Critical 서선자
Priority to KR1020160073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465B1/ko
Priority to PCT/KR2017/005923 priority patent/WO20172176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 생선 등의 어류, 고구마나 감자와 같은 야채, 가래떡이나 인절미와 같은 떡류에 이르는 다양한 조리물을 간단 용이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담백하게 그리고 냄새 및 연기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굽거나 익힐 수 있는 직화 구이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화 구이팬{DIRECT FIRED BAKING PAN}
본 발명은 직화 구이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 생선 등의 어류, 고구마나 감자와 같은 야채, 가래떡이나 인절미와 같은 떡류에 이르는 다종다양한 조리물을 태우지 않고 전방위에서 입체적으로 그리고 담백하게 나아가 효율적으로 연기나 냄새 없이 익히거나 구울 수 있는 직화 구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화 구이팬은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 생선 등의 어류, 고구마나 감자와 같은 야채, 가래떡이나 인절미와 같은 떡류에 이르는 다양한 조리물을 익히거나 굽는데 활용된다.
선행기술문헌 1(특허 제0664745호; 직화 가열식 양면팬)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직화 가열식 양면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직화 가열식 양면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1에는 화염의 유입으로 직화로서 조리물을 굽고 화염의 타겟팅으로 조리물을 전도열로서 굽는 직화 가열식 양면팬의 기본 구조가 잘 나타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직화 가열식 양면팬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이 구이판(21)에 직접 조사되어 전도열로서 조리물을 구울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주연부(22)에 뚫려진 배열구멍(23)으로 화염이 유입되도록 하여 조리팬(10)으로 씌워진 상태에서 조리물을 직화로서 구울 수 있도록 한 후 조리물에 영향을 준 화염이 주연부(12)에 뚫려진 배열구멍(1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선행기술문헌 1은 배열구멍(23)으로 화염이 직접 유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화염에 의한 조리물의 직접 가열로서 조리시간이 단축되고, 이로 인하여 연료가 절약되며 조리물에서 발생된 증유나 냄새성분을 연소시켜 음식냄새 및 증유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직화 가열식 양면팬은 화염이 구이팬(20)의 구이판(21)에 직접 타겟팅되어 전도열을 극대화시킬 수는 있으나 조리팬(10) 내부로의, 즉 조리공간으로의 화염의 유입이 구이팬(20)의 주연부(22)에 뚫려진 배열구멍(23)에 의존되므로 인하여 거의 전무(全無)하다시피 하여, 특히 조리팬(10)이 닫힌 상태에서 조리공간에 열압력이 채워질 경우 화염의 유입이 거의 없어 그 목적하는 바(직화 구이)를 실현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2(특허출원 제2004-38921호; 다용도 구이용 불판)
도 3은 선행기술문헌 2의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선행기술문헌 2의 제 1 실시예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선행기술문헌 2의 제 1 실시예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선행기술문헌 2의 제 2 실시예 따른 사시도이고, 도 7은 선행기술문헌 2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8은 선행기술문헌 2의 제 3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제 2 선 특허에는 불판(10)에 하나 이상의 구멍(11)을 형성하고 그 구멍(11)들을 통해 여러 가지의 조리기구를 탑재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고기 등을 구우면서 다양한 음식을 함께 조리할 수 있는 다용도 구이용 불판이 잘 나타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다용도 구이용 불판은 불판(10)에 하나 이상의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멍(11)이 형성되고, 이 구멍(11)의 내주면에 걸림턱(14)이 형성된다.
걸림턱(14)은 원형 구멍(11)에 다양한 조리기구들이 위치하였을 경우 조리기구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원형 구멍(11)과 용이하게 결합되게 하며, 원형 구멍(11)으로 전달되는 직화열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보조가열판(20)이 걸림턱(14)에 얹혀져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보조가열판(20)이 원형 구멍(11) 내부로 빠지는 것을 막아준다.
불판(10) 가장자리에는 고기 등이 불판(10)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13)가 마련되고, 불판(10) 일측에는 기름 배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기름배출구(12)가 형성된다.
선행기술문헌 2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가열판(20)을 원형 구멍(11)에 위치시켜 불판(10) 전체를 고기용 불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30)를 원형 구멍(11)에 세팅시켜 냄비(30)를 통하여 찌개, 전골, 튀김 등의 요리를 할 수 있으며 원형 구멍(11)을 제외한 불판(10) 부분에서는 고기 등을 구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쇠(30) 등을 원형 구멍(11)에 설치한 경우 석쇠(40) 등을 통하여 직화(直火) 요리를 할 수 있으며 원형 구멍(11)을 제외한 불판(10) 부분에서는 고기 등을 구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구멍(11)에 석쇠(30)를 위치시키고 불판(10) 부분에 고기 등을 올려놓은 후 통상의 프라이팬이나 냄비 등을 활용하여 음식물을 굽거나 익힐 때 가정주부들이 뚜껑을 씌우듯 나아가 선행기술문헌 1과 같은 뚜껑을 씌우듯 불판(10) 위를 커버링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할 경우 원형 구멍(11)이 버너 또는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기의 화구로부터 분출되는 화염을 단순히 유입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하여 화염이 다소 강할 경우 뚜껑 내부, 즉 조리공간의 열압력이 지나치게 높게 되어 육류와 같은 조리물의 깊은 속이 익기도 전에 조리물의 표면이 먼저 타버리는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편, 선행기술문헌 2에서 불판(10)에 원형 구멍(11) 이외에 다각형 구멍(11)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제안되어 있지만, 선행기술문헌 2의 전체적 취지로 보아 다각형 구멍(11)은 버너나 가스레인지의 화구에 맞추어 분출되는 화염을 단지 유입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어, 이 다각형 구멍(11)을 적용한 선행기술문헌 2이라 할지라도 화염이 다소 강할 경우 뚜껑 내부, 즉 조리공간의 열압력이 지나치게 높게 되어 육류와 같은 조리물의 깊은 속이 익기도 전에 조리물의 표면이 먼저 타버리는 현상이 나타내는 문제점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선행기술문헌 3(특허 제1041220호; 직화 구이 오븐)
도 9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직화 구이 오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직화 구이 오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3에는 화염을 중앙에서 유입시켜 조리물을 익히거나 굽고 배출시키는 직화 구이 오븐이 잘 나타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직화 구이 오븐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열유입구(120)가 형성된 바닥(111)의 가장자리에서 위쪽으로 절곡되어 측벽(115)을 형성하는 구이팬(110)과, 이 구이팬(110)을 덮는 뚜껑(160) 그리고 구이팬(110)의 측벽(115)에 형성되는 배기구(118)를 포함하되, 열유입구(120)는 바닥(111)의 중심에 형성되어 열이 수렴되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선행기술문헌 3은 열유입구(120)와 배기구(118)의 구성에 의하여 구이팬(110)의 내부에 열이 정체되지 않고 외기와의 순환로를 형성하여 구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3은 열유입구(120)가 버너 또는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기의 화구로부터 분출되는 화염을 수렴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면서 배기구(118)를 통해 빠져나가는 구조로 되어 화염의 완전 연소를 기대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1(특허 제0664745호; 직화 가열식 양면팬) 선행기술문헌 2(특허출원 제2004-38921호; 다용도 구이용 불판) 선행기술문헌 3(특허 제1041220호; 직화 구이 오븐)
본 발명의 목적은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 생선 등의 어류, 고구마나 감자와 같은 야채, 가래떡이나 인절미와 같은 떡류에 이르는 조리물을 태우지 않고 전방위에서 입체적으로 담백하게 그리고 냄새 및 연기를 최소화시키면서 효율적으로 익히거나 구울 수 있는 직화 구이팬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기의 화력이 강불일 경우 직화유입관을 통해 조리공간으로 급속히 투입되어 조리공간의 열압력을 급속 상승시키고, 조리공간의 강한 열압력에 의해 통풍구는 본연의 역할인 열압력을 배출시키는 통로가 되도록 하며, 나아가 완충구멍들 역시 조리공간의 강한 열압력에 의해 열압력을 배출시키는 통로로 활용되도록 하여, 직화유입관을 통해 강하게 유입된 화력에 따라 반사뚜껑으로부터의 강반사열, 바닥면으로부터의 강전도열 및 조리공간 내에서의 강복사열로 조리물을 급속 타겟팅시켜 초기 신선한 돼지고기를 빠르게 조리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직화 구이팬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신선한 돼지고기를 가열기의 강불로서 빠른 조리상태[돼지고기의 표면 주변으로 열이 충분히 전달된 상태]로 전환시킨 후 가열기의 화력을 중불로 공급할 경우 직화유입관을 통해 조리공간으로 열압력이 채워지면서 통풍구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하고, 이때 조리공간의 열압력이 통풍구를 빠져나가는 조건보다 높을 경우 완충구멍들은 열압력을 배출시키는 통로로 작용되도록 하고 조리공간의 열압력이 통풍구를 빠져나가는 조건보다 낮을 경우 완충구멍들은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통로로 작용되도록 하여[조리공간의 화염(가스)을 완전 연소시켜 연기 발생 방지 및 냄새 발생 차단의 작용을 하도록 하여] 조리공간의 열압력의 강약에 따라 완충구멍들로 하여금 열압력 배출 또는 외부공기 유입이라는 첨예한 힘 겨루기를 할 수 있도록 한 직화 구이팬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신선한 돼지고기를 가열기의 강불로서 빠른 조리상태[돼지고기의 표면 주변으로 열이 충분히 전달된 상태]로 전환시킨 후 가열기의 중불로서 다시 충분히 익히고, 나아가 가열기로부터 약불을 제공하여 돼지고기로부터의 기름이나 육즙이 굳지 않고 따뜻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가열기의 화력을 약불로 공급할 경우 직화유입관을 통해 조리공간으로 열압력이 채워지면서 통풍구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하고, 이때 조리공간의 열압력이 통풍구를 빠져나가는 조건보다 낮으므로 완충구멍들은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통로로 작용되도록 하여 조리공간의 화염(가스)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연기 발생 및 냄새 발생을 철저히 차단하여 조리시 실내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직화 구이팬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기의 화력이 강불일 경우 직화유입관을 통해 급속 상승하면서 반사뚜껑에 부딪힌 후 팬의 외측벽 및 바닥면을 따라 크게 회절한 후 하부 직화유입관을 따라 다시 상승하는 순환을 하면서 열압력이 통풍구를 통해 빠져나감과 동시에 구획단턱에 마련된 완충구멍들을 따라 하강되어[조리공간 내의 열압력의 순환방향과 다른 역방향의 구획단턱에 마련된 완충구멍들을 따라 하강되어] 조리공간 내의 열압력을 최대한 지연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가열기의 화력이 중불일 경우 직화유입관을 통해 중속 상승하면서 반사뚜껑에 부딪힌 후 팬의 외측벽 및 바닥면을 따라 크게 회절하는 과정에서 조리공간의 열압력이 통풍구를 빠져나가는 조건보다 높을 경우 완충구멍들을 통해 열압력을 지연 배출[조리공간 내의 열압력의 순환방향과 다른 역방향의 구획단턱에 마련된 완충구멍들에 의해 열압력이 지연 배출]시키는 반면 조리공간의 열압력이 통풍구를 빠져나가는 조건보다 낮을 경우 완충구멍들을 통해 용이하게 외부공기를 유입시켜[구획단턱에 마련된 완충구멍들을 따라 가열기의 화구로부터 상승되는 화력의 흐름과 동일하게 외부공기를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돼지고기 등을 최적의 조건으로 익히면서 냄새 발생까지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가열기의 화력이 약불일 경우 직화유입관을 통해 저속 상승하면서 반사뚜껑에 부딪힌 후 팬의 외측벽 및 바닥면을 따라 회절됨과 동시에 완충구멍들을 통해 외부공기를 용이하게 유입시켜[구획단턱에 마련된 완충구멍들을 따라 가열기의 화구로부터 상승되는 화력의 흐름과 동일하게 외부공기를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화염(가스)의 완전 연소를 통한 냄새 억제 및 연기 차단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직화 구이팬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화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화염을 하향으로 회절 및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 및 덮개판 그리고 축열공간에 의해 외부와 완전 격리되어 외부온도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음과 동시에 조리공간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축열공간의 열이 함께 상승되어, 결국 반사판은 전방위로 열을 받게 되어[축열공간의 축열에 의해 반사열이 극대화됨] 복사열 및 반사열의 극대화로서 조리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굽거나 익힐 수 있는 직화 구이팬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열기의 화구 위에 세팅되며 조리물을 수용하는 바닥면 및 외측벽을 구비한 팬과, 상기 팬을 덮어 조리공간을 마련하는 반사뚜껑을 포함하는 직화 구이팬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외측벽을 따라 통풍구들을 가지는 반면 상기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점점 작아지는 직경으로 상승하는 직화유입관을 지님과 더불어 상기 직화유입관의 중단을 따라 뚫려진 완충구멍들을 구비하여,
상기 가열기의 화력이 강불일 경우 상기 직화유입관을 통해 받아들여 상기 조리공간의 열압력을 급속 상승시키면서 상기 통풍구들을 통해 열압력을 수평 배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완충구멍들을 통해 열압력을 하강 배출시켜 상기 반사뚜껑으로부터의 강반사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의 강전도열 및 상기 조리공간 내에서의 강복사열로 조리물을 강하게 타겟팅토록 하고,
상기 가열기의 화력이 중불일 경우 상기 직화유입관을 통해 받아들여 상기 조리공간의 열압력을 중속 상승시키면서 상기 통풍구들을 통해 열압력을 수평 배출시킴과 더불어 상기 완충구멍들을 통해 열압력을 하강 배출시키거나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반사뚜껑으로부터의 중간반사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의 중간전도열 및 상기 조리공간 내에서의 중간복사열로 조리물을 중간 타겟팅토록 하고,
상기 가열기의 화력이 약불일 경우 상기 직화유입관을 통해 받아들여 상기 조리공간의 열압력을 저속 상승시키면서 상기 통풍구들을 통해 열압력을 수평 배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완충구멍들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반사뚜껑으로부터의 약반사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의 약전도열 및 상기 조리공간 내에서의 약복사열로 조리물을 완만 타겟팅토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 생선 등의 어류, 고구마나 감자와 같은 야채, 가래떡이나 인절미와 같은 떡류에 이르는 조리물을 태우지 않고 전방위에서 입체적으로 담백하게 그리고 냄새 및 연기를 최소화시키면서 효율적으로 익히거나 구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리공간의 열압력이 작을 경우 외부공기(산소)가 완충구멍들을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가스의 완전연소로서 조리물에 가해지는 열량을 극대화시키고[약불일 경우 가스의 완전연소로서 충분한 복사열을 제공하여 전도열과 더불어 조리물의 겉과 속을 균일하게 익히거나 구울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조리공간의 열압력이 클 경우 내부의 열기가 완충구멍들을 통해 하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리물이 충분히 익기도 전에 미리 타버리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반사뚜껑으로 직화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화염을 회절 반사 및 대류시켜 조리물에 충분한 복사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립성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열기의 화력이 강불일 경우 직화유입관을 통해 조리공간으로 급속히 투입되어 조리공간의 열압력을 급속 상승시키고, 조리공간의 강한 열압력에 의해 통풍구는 본연의 역할인 열압력을 배출시키는 통로가 되며, 나아가 완충구멍들 역시 조리공간의 강한 열압력에 의해 열압력을 배출시키는 통로로 활용되어, 직화유입관을 통해 강하게 유입된 화력에 따라 반사뚜껑으로부터의 강반사열, 바닥면으로부터의 강전도열 및 조리공간 내에서의 강복사열로 조리물을 급속 타겟팅시켜 초기 신선한 돼지고기를 빠르게 조리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초기 신선한 돼지고기를 가열기의 강불로서 빠른 조리상태[돼지고기의 표면 주변으로 열이 충분히 전달된 상태]로 전환시킨 후 가열기의 화력을 중불로 공급할 경우 직화유입관을 통해 조리공간으로 열압력이 채워지면서 통풍구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하고, 이때 조리공간의 열압력이 통풍구를 빠져나가는 조건보다 높을 경우 완충구멍들은 열압력을 배출시키는 통로로 작용되고 조리공간의 열압력이 통풍구를 빠져나가는 조건보다 낮을 경우 완충구멍들은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통로로 작용되어[조리공간의 화염(가스)을 완전 연소시켜 연기 발생 방지 및 냄새 발생 차단의 작용을 하여] 조리공간의 열압력의 강약에 따라 완충구멍들로 하여금 열압력 배출 또는 외부공기 유입이라는 첨예한 힘 겨루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초기 신선한 돼지고기를 가열기의 강불로서 빠른 조리상태[돼지고기의 표면 주변으로 열이 충분히 전달된 상태]로 전환시킨 후 가열기의 중불로서 다시 충분히 익히고, 나아가 가열기로부터 약불을 제공하여 돼지고기로부터의 기름이나 육즙이 굳지 않고 따뜻한 상태로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열기의 화력을 약불로 공급할 경우 직화유입관을 통해 조리공간으로 열압력이 채워지면서 통풍구를 통해 빠져나가고, 이때 조리공간의 열압력이 통풍구를 빠져나가는 조건보다 낮으므로 완충구멍들은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통로로 작용되어 조리공간의 화염(가스)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기 발생 및 냄새 발생을 철저히 차단하여 조리시 실내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열기의 화력이 강불일 경우 직화유입관을 통해 급속 상승하면서 반사뚜껑에 부딪힌 후 팬의 외측벽 및 바닥면을 따라 크게 회절한 후 하부 직화유입관을 따라 다시 상승하는 순환을 하면서 열압력이 통풍구를 통해 빠져나감과 동시에 구획단턱에 마련된 완충구멍들을 따라 하강되어[조리공간 내의 열압력의 순환방향과 다른 역방향의 구획단턱에 마련된 완충구멍들을 따라 하강되어] 조리공간 내의 열압력을 최대한 지연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가열기의 화력이 중불일 경우 직화유입관을 통해 중속 상승하면서 반사뚜껑에 부딪힌 후 팬의 외측벽 및 바닥면을 따라 크게 회절하는 과정에서 조리공간의 열압력이 통풍구를 빠져나가는 조건보다 높을 경우 완충구멍들을 통해 열압력을 지연 배출[조리공간 내의 열압력의 순환방향과 다른 역방향의 구획단턱에 마련된 완충구멍들에 의해 열압력이 지연 배출]시키는 반면 조리공간의 열압력이 통풍구를 빠져나가는 조건보다 낮을 경우 완충구멍들을 통해 용이하게 외부공기를 유입시켜[구획단턱에 마련된 완충구멍들을 따라 가열기의 화구로부터 상승되는 화력의 흐름과 동일하게 외부공기를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돼지고기 등을 최적의 조건으로 익히면서 냄새 발생까지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가열기의 화력이 약불일 경우 직화유입관을 통해 저속 상승하면서 반사뚜껑에 부딪힌 후 팬의 외측벽 및 바닥면을 따라 회절됨과 동시에 완충구멍들을 통해 외부공기를 용이하게 유입시켜[구획단턱에 마련된 완충구멍들을 따라 가열기의 화구로부터 상승되는 화력의 흐름과 동일하게 외부공기를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화염(가스)의 완전 연소를 통한 냄새 억제 및 연기 차단 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직화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화염을 하향으로 회절 및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이 덮개판과 더불어 마련된 축열공간에 의해 외부와 완전 격리되어 외부온도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음과 동시에 조리공간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축열공간의 열이 함께 상승되어, 결국 반사판은 전방위로 열을 받게 되어[축열공간의 축열에 의해 반사열이 극대화됨] 복사열 및 반사열의 극대화로서 조리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굽거나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직화 가열식 양면팬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직화 가열식 양면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선행기술문헌 2의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선행기술문헌 2의 제 1 실시예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선행기술문헌 2의 제 1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6은 선행기술문헌 2의 제 2 실시예 따른 사시도.
도 7은 선행기술문헌 2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8은 선행기술문헌 2의 제 3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9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직화 구이 오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직화 구이 오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팬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팬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팬을 단면한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팬의 팬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제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팬을 강불로서 사용한 경우의 정단면도.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팬을 중불로서 사용한 경우의 정단면도.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팬을 약불로서 사용한 경우의 정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으로, 미 설명부호 T는 반사뚜껑(20)에 장착된 탑핸들이고, S는 팬(10)에 장착된 사이드핸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팬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나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기(H)의 화구(H1) 위에 세팅되며 조리물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바닥면(11) 및 외측벽(12)을 구비한 팬(1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팬(10) 위에 반사뚜껑(20)이 씌워져 조리공간(J)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 생선 등의 어류, 고구마나 감자와 같은 야채, 가래떡이나 인절미와 같은 떡류에 이르는 다양한 조리물이 팬(10)의 바닥면(11)에 탑재되면서 외측벽(12)에 의해 보호됨과 동시에 반사뚜껑(20)으로 씌워져 조리공간(J) 속에서 전도열 및 복사열로 익혀지거나 구워지게 된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팬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팬을 단면한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팬의 팬(1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화유입관에 적용된 팬(10)은 도 12a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벽(12)을 따라 통풍구(12a)들을 가지는 반면 바닥면(11)의 중심으로부터 점점 작아지는 직경으로 상승하는 직화유입관(30)을 지님과 더불어 직화유입관(30)의 중단을 따라 뚫려진 완충구멍(30a)들을 구비한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팬을 강불로서 사용한 경우의 정단면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팬을 중불로서 사용한 경우의 정단면도이며,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팬을 약불로서 사용한 경우의 정단면도이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기(H)의 화력이 강불일 경우 직화유입관(30)을 통해 화력을 받아들여 조리공간(J)의 열압력을 급속 상승시키면서 통풍구(12a)들을 통해 열압력을 수평 배출시킴과 동시에 완충구멍(30a)들을 통해 열압력을 하강 배출시켜 반사뚜껑(20)으로부터의 강반사열, 바닥면(11)으로부터의 강전도열 및 조리공간(J) 내에서의 강복사열로 조리물을 강하게 타겟팅할 수 있도록 한다.
신선한 돼지고기[온도가 낮은 상태의 돼지고기]와 같은 조리물을 팬(10) 속에 탑재시킬 경우 초기 온도가 낮은 상태를 유지하므로 팬(10)의 온도 및 조리공간(J)의 온도를 급속히 올려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때, 가열기(H)의 화력이 강불일 경우 직화유입관(30)을 통해 조리공간(J)으로 급속히 투입되어 조리공간(J)의 열압력을 급속 상승시키게 되고, 조리공간(J)의 강한 열압력에 의해 통풍구(12a)는 본연의 역할인 열압력을 배출시키는 통로가 되며, 나아가 완충구멍(30a)들 역시 조리공간(J)의 강한 열압력에 의해 열압력을 배출시키는 통로로 활용되어, 직화유입관(30)을 통해 강하게 유입된 화력에 따라 반사뚜껑(20)으로부터의 강반사열, 바닥면(11)으로부터의 강전도열 및 조리공간(J) 내에서의 강복사열로 조리물을 급속 타겟팅시켜 초기 신선한 돼지고기를 빠르게 조리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기(H)의 화력이 중불일 경우 직화유입관(30)을 통해 화력을 받아들여 조리공간(J)의 열압력을 중속 상승시키면서 통풍구(12a)들을 통해 열압력을 수평 배출시킴과 더불어 완충구멍(30a)들을 통해 열압력을 하강 배출시키거나 완충구멍(30a)들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반사뚜껑(20)으로부터의 중간반사열, 바닥면(11)으로부터의 중간전도열 및 조리공간(J) 내에서의 중간복사열로 조리물을 중간 타겟팅할 수 있도록 한다.
초기 신선한 돼지고기를 가열기(H)의 강불로서 빠른 조리상태[돼지고기의 표면 주변으로 열이 충분히 전달된 상태]로 전환시킨 후 가열기(H)의 화력을 중불로 공급할 경우 직화유입관(30)을 통해 조리공간(J)으로 열압력이 채워지면서 통풍구(12a)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고, 이때 조리공간(J)의 열압력이 통풍구(12a)를 빠져나가는 조건보다 높을 경우 완충구멍(30a)들은 열압력을 배출시키는 통로로 작용되고 조리공간(J)의 열압력이 통풍구(12a)를 빠져나가는 조건보다 낮을 경우 완충구멍(30a)들은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통로로 작용되어[조리공간(J)의 화염(가스)을 완전 연소시켜 연기 발생 방지 및 냄새 발생 차단의 작용을 하여] 조리공간(J)의 열압력의 강약에 따라 완충구멍(30a)들로 하여금 열압력 배출 또는 외부공기 유입이라는 첨예한 힘 겨루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기(H)의 화력이 약불일 경우 직화유입관(30)을 통해 화력을 받아들여 조리공간(J)의 열압력을 저속 상승시키면서 통풍구(12a)들을 통해 열압력을 수평 배출시킴과 동시에 완충구멍(30a)들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반사뚜껑(20)으로부터의 약반사열, 바닥면(11)으로부터의 약전도열 및 조리공간(J) 내에서의 약복사열로 조리물을 완만 타겟팅할 수 있도록 한다.
초기 신선한 돼지고기를 가열기(H)의 강불로서 빠른 조리상태[돼지고기의 표면 주변으로 열이 충분히 전달된 상태]로 전환시킨 후 가열기(H)의 중불로서 다시 충분히 익히고, 나아가 가열기(H)로부터 약불을 제공할 경우 돼지고기로부터의 기름이나 육즙이 굳지 않고 따뜻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가열기(H)의 화력을 약불로 공급할 경우 직화유입관(30)을 통해 조리공간(J)으로 열압력이 채워지면서 통풍구(12a)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고, 이때 조리공간(J)의 열압력이 통풍구(12a)를 빠져나가는 조건보다 낮으므로 완충구멍(30a)들은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통로로 작용되어 조리공간(J)의 화염(가스)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기 발생 및 냄새 발생을 철저히 차단하여 조리시 실내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직화유입관(30)은 바닥면(11)의 중심으로부터 점점 작아지는 직경으로 상승하는 하부 직화유입관(31) 및 상부 직화유입관(32)으로 구획됨과 동시에 하부 직화유입관(31) 및 상부 직화유입관(32) 사이에 마련된 구획단턱(33)을 구비하고, 완충구멍(30a)들은 구획단턱(33)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가열기(H)의 화력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불일 경우 조리공간(J) 내의 열압력을 지연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가열기(H)의 화력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불일 경우 조리공간(J) 내의 열압력의 배출 또는 외부공기의 유입을 힘 겨루기로서 교차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가열기(H)의 화력이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불일 경우 외부공기를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기(H)의 화력이 강불일 경우 직화유입관(30)을 통해 열압력이 급속 상승하면서 반사뚜껑(20)에 부딪힌 후 팬(10)의 외측벽(12) 및 바닥면(11)을 따라 크게 회절한 후 하부 직화유입관(31)을 따라 다시 상승하는 순환을 하면서 통풍구(12a)를 통해 빠져나감과 동시에 구획단턱(33)에 마련된 완충구멍(30a)들을 따라 하강되어[조리공간(J) 내의 열압력의 순환방향과 다른 역방향의 구획단턱(33)에 마련된 완충구멍(30a)들을 따라 하강되어] 조리공간(J) 내의 열압력을 최대한 지연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기(H)의 화력이 중불일 경우 직화유입관(30)을 통해 열압력이 중속 상승하면서 반사뚜껑(20)에 부딪힌 후 팬(10)의 외측벽(12) 및 바닥면(11)을 따라 크게 회절하는 과정에서 조리공간(J)의 열압력이 통풍구(12a)를 빠져나가는 조건보다 높을 경우 완충구멍(30a)들을 통해 열압력을 지연 배출[조리공간(J) 내의 열압력의 순환방향과 다른 역방향의 구획단턱(33)에 마련된 완충구멍(30a)들에 의해 열압력이 지연 배출]시키는 반면 조리공간(J)의 열압력이 통풍구(12a)를 빠져나가는 조건보다 낮을 경우 완충구멍(30a)들을 통해 용이하게 외부공기를 유입시켜[구획단턱(33)에 마련된 완충구멍(30a)들을 따라 가열기(H)의 화구(H1)로부터 상승되는 화력의 흐름과 동일하게 외부공기를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돼지고기 등을 최적의 조건으로 익히면서 냄새 발생까지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기(H)의 화력이 약불일 경우 직화유입관(30)을 통해 저속 상승하면서 반사뚜껑(20)에 부딪힌 후 팬(10)의 외측벽(12) 및 바닥면(11)을 따라 회절됨과 동시에 완충구멍(30a)들을 통해 외부공기를 용이하게 유입시켜[구획단턱(33)에 마련된 완충구멍(30a)들을 따라 가열기(H)의 화구(H1)로부터 상승되는 화력의 흐름과 동일하게 외부공기를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화염(가스)의 완전 연소를 통한 냄새 억제 및 연기 차단 등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반사뚜껑(20)은 팬(10)에 씌워지면서 직화유입관(30)을 통해 상승되는 화력을 반사 회절 및 대류시켜 복사열을 만들어주는 반사판(21)과, 이 반사판(21)의 상측에 오버랩되어 축열공간(C)을 마련하는 덮개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직화유입관(30)으로부터 유입된 화염을 하향으로 회절 및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21)이 덮개판(22)과 더불어 마련한 축열공간(C)에 의해 외부와 완전 격리되어 외부온도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음과 동시에 조리공간(J)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축열공간(C)의 열이 함께 상승되어, 결국 반사판(21)은 전방위로 열을 받게 되어[축열공간(C)의 축열에 의해 반사열이 극대화됨] 복사열 및 반사열의 극대화로서 조리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굽거나 익힐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육류, 어류, 야채 또는 떡류와 같은 조리물을 굽거나 익힐 수 있는 주방용기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H : 가열기 H1 : 화구
10 : 팬 11 : 바닥면
12 : 외측벽 12a : 통풍구
J : 조리공간 20 : 반사뚜껑
21 : 반사판 22 : 덮개판
C : 축열공간 T : 탑핸들
S : 사이드핸들 30 : 직화유입관
30a : 완충구멍 32 : 상부 직화유입관
31 : 하부 직화유입관 33 : 구획단턱

Claims (3)

  1. 가열기(H)의 화구(H1) 위에 세팅되며 조리물을 수용하는 바닥면(11) 및 외측벽(12)을 구비한 팬(10)과, 상기 팬(10)을 덮어 조리공간(J)을 마련하는 반사뚜껑(20)을 포함하는 직화 구이팬에 있어서,
    상기 팬(10)은 상기 외측벽(12)을 따라 통풍구(12a)들을 가지는 반면 상기 바닥면(11)의 중심으로부터 점점 작아지는 직경으로 상승하는 직화유입관(30)을 지님과 더불어 상기 직화유입관(30)의 중단을 따라 뚫려진 완충구멍(30a)들을 구비하여,
    상기 가열기(H)의 화력이 강불일 경우 상기 직화유입관(30)을 통해 받아들여 상기 조리공간(J)의 열압력을 급속 상승시키면서 상기 통풍구(12a)들을 통해 열압력을 수평 배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완충구멍(30a)들을 통해 열압력을 하강 배출시켜 상기 반사뚜껑(20)으로부터의 강반사열, 상기 바닥면(11)으로부터의 강전도열 및 상기 조리공간(J) 내에서의 강복사열로 조리물을 강하게 타겟팅토록 하고,
    상기 가열기(H)의 화력이 중불일 경우 상기 직화유입관(30)을 통해 받아들여 상기 조리공간(J)의 열압력을 중속 상승시키면서 상기 통풍구(12a)들을 통해 열압력을 수평 배출시킴과 더불어 상기 완충구멍(30a)들을 통해 열압력을 하강 배출시키거나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반사뚜껑(20)으로부터의 중간반사열, 상기 바닥면(11)으로부터의 중간전도열 및 상기 조리공간(J) 내에서의 중간복사열로 조리물을 중간 타겟팅토록 하고,
    상기 가열기(H)의 화력이 약불일 경우 상기 직화유입관(30)을 통해 받아들여 상기 조리공간(J)의 열압력을 저속 상승시키면서 상기 통풍구(12a)들을 통해 열압력을 수평 배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완충구멍(30a)들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반사뚜껑(20)으로부터의 약반사열, 상기 바닥면(11)으로부터의 약전도열 및 상기 조리공간(J) 내에서의 약복사열로 조리물을 완만 타겟팅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화유입관(30)은 상기 바닥면(11)의 중심으로부터 점점 작아지는 직경으로 상승하는 하부 직화유입관(31) 및 상부 직화유입관(32)으로 구획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 직화유입관(31) 및 상부 직화유입관(32) 사이에 마련된 구획단턱(33)을 구비하고,
    상기 완충구멍(30a)들은 상기 구획단턱(33)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열기(H)의 화력이 강불일 경우 상기 조리공간(J) 내의 열압력을 지연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열기(H)의 화력이 중불일 경우 상기 조리공간(J) 내의 열압력의 배출 또는 외부공기의 유입을 힘 겨루기로서 교차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열기(H)의 화력이 약불일 경우 외부공기를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뚜껑(20)은 상기 팬(10)에 씌워지면서 상기 직화유입관(30)을 통해 상승되는 화력을 반사 회절 및 대류시켜 복사열을 만들어주는 반사판(21)과, 상기 반사판(21)의 상측에 오버랩되어 축열공간(C)을 마련하는 덮개판(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팬.
KR1020160073338A 2016-06-13 2016-06-13 직화 구이팬 KR101681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338A KR101681465B1 (ko) 2016-06-13 2016-06-13 직화 구이팬
PCT/KR2017/005923 WO2017217687A1 (ko) 2016-06-13 2017-06-08 직화 구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338A KR101681465B1 (ko) 2016-06-13 2016-06-13 직화 구이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465B1 true KR101681465B1 (ko) 2016-12-02

Family

ID=57571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338A KR101681465B1 (ko) 2016-06-13 2016-06-13 직화 구이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1465B1 (ko)
WO (1) WO20172176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8334A (zh) * 2017-12-22 2018-04-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散热风道组件及具有其的蒸烤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20A (ja) 1989-08-22 1992-01-06 Konishi Kk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2004038921A (ja) 2002-07-04 2004-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無人搬送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110092771A (ko) * 2010-02-10 2011-08-18 주식회사 해피콜 직화 오븐
KR101064174B1 (ko) * 2011-06-22 2011-09-15 서선자 직화 구이팬
KR101664745B1 (ko) 2015-09-25 2016-10-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의 릴레이 융착 검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087B1 (ko) * 2009-10-06 2012-02-22 박준규 빵구이팬을 이용한 제빵용 오븐
KR20110006479U (ko) * 2009-12-21 2011-06-29 박수원 직화열 유도식 오븐기
KR101378075B1 (ko) * 2012-05-07 2014-03-27 주식회사 해피콜 직화구이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20A (ja) 1989-08-22 1992-01-06 Konishi Kk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2004038921A (ja) 2002-07-04 2004-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無人搬送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110092771A (ko) * 2010-02-10 2011-08-18 주식회사 해피콜 직화 오븐
KR101064174B1 (ko) * 2011-06-22 2011-09-15 서선자 직화 구이팬
KR101664745B1 (ko) 2015-09-25 2016-10-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의 릴레이 융착 검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8334A (zh) * 2017-12-22 2018-04-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散热风道组件及具有其的蒸烤设备
CN107898334B (zh) * 2017-12-22 2023-09-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散热风道组件及具有其的蒸烤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17687A1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8060C (en) Radiant tube broiler
US3973551A (en) Powered circulation oven
CA3102207C (en) Indirect air flow system
KR101965359B1 (ko) 화기조절판을 구비한 조리용기
KR100737354B1 (ko) 오븐
KR101776838B1 (ko) 직화 구이팬
KR101700834B1 (ko) 직화 구이팬
KR101163871B1 (ko) 숯불 구이 장치
KR101681465B1 (ko) 직화 구이팬
KR101064174B1 (ko) 직화 구이팬
KR200371963Y1 (ko) 조리기구판
KR20170056781A (ko) 다목적 화목난로
JP4179252B2 (ja) 組込式誘導加熱調理器
JPH10137111A (ja) 加熱調理器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20100046318A (ko) 열 균등 확산판을 갖는 무연 불판
KR102050908B1 (ko) 구이팬
KR200393095Y1 (ko) 음식물 구이장치
JP2006087854A (ja) オーブン機能を備えた引き出し付きバーベキュウ用コンロ
KR101146935B1 (ko) 간편 조리기
KR20130001752A (ko) 외통과 솥에 뚜껑이 결합된 다기능 만능솥
KR101935866B1 (ko) 열순환 및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JPH04347113A (ja) ガス調理器
KR100777264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배기부 구조
KR20110027891A (ko) 무연 가스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