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469B1 - 차량용 시트의 원터치 더블폴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원터치 더블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469B1
KR101677469B1 KR1020150045990A KR20150045990A KR101677469B1 KR 101677469 B1 KR101677469 B1 KR 101677469B1 KR 1020150045990 A KR1020150045990 A KR 1020150045990A KR 20150045990 A KR20150045990 A KR 20150045990A KR 101677469 B1 KR101677469 B1 KR 101677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ecliner
lever
double fold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409A (ko
Inventor
김태현
황순현
홍석빈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5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46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60N2002/32
    • B60N20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원터치 더블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클라이너 레버부와 케이블구동부의 회전축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케이블구동부의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리클라이너 레버의 작동시 케이블구동부가 시트백프레임에 연동되지 않고 회피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수를 절감하고 부품간의 작동 오차를 최소화하여 품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원터치 더블폴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의 구동샤프트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리클라이너의 록킹을 해제시켜주는 더블폴딩레버; 상기 더블폴딩레버의 작동을 통한 리클라이너의 록킹 해제시 베이스프레임에서 회동되는 시트백프레임에 닿아 연동됨으로써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래치케이블이 당겨지도록 하여 더블 폴딩을 위한 래치부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케이블구동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력을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구동부가 시트백프레임과 연동되는 위치에 위치도록 구속해주고, 리클라이너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 작동할 경우에는 케이블구동부가 베이스프레임의 회전반경 외측으로 회피될 수 있도록 해제해줌으로써 시트백프레임만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리클라이너 레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원터치 더블폴딩 장치{One touch double folding apparatus of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원터치 더블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클라이너 레버부와 케이블구동부의 회전축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케이블구동부의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부품수를 줄여 작동 오차를 최소화하며 품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원터치 더블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여행시에도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시트는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고, 실내의 바닥면에 앞뒤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쿠션과, 이 시트쿠션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으로 크게 구성된다.
최근 산업발전과 함께 여가활동 시간이 확대되고, 또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다수의 승객이 탑승할 수 있고, 화물을 적재하는 공간이 넉넉한 레저용 차량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레저차량의 시트배열을 살펴보면 전방에 주로 운전석과 조수석으로 구성되는 제 1 열 시트가 구비된다. 그 후방에는 제 2 열 시트가 구비되고, 제 2 열 시트의 후방과 화물 적재칸 사이에 구비된 제 3 열 시트로 이루어진다. 제 1 열 시트와 제 2 열 시트는 프론트 도어(front door) 및 리어 도어(rear door)를 통하여 자유롭게 승차 및 하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제 3 열 시트의 경우에는 승차 및 하차를 위한 별도의 도어가 없기 때문에 리어 도어를 통하여 승차 및 하차를 하게 된다.
이때 리어도어를 통해 제 3 열 시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 2 열 시트의 시트백을 폴딩하고 다시 시트쿠션을 전방으로 폴딩하여 시트 전체는 전방으로 폴딩된 상태가 되고, 이후 리어 도어를 통해 승차 및 하차를 하게 된다.
또한 더블폴딩 구조 이외에도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워크인 구조가 있으며, 이러한 더블폴딩 구조 또는 워크인구조는 리클라이너닝 장치와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등록특허 10-1263153호는 워크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폴딩캠과 워크인브래킷이 동일한 축에 설치되고, 이로 인해 별도의 스프링 및 브래킷을 각각 적용하게 됨으로써 부품수가 과다로 투입되고 작동 오차 누적에 따라 구조적 및 작동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1263153호 공개특허 10-2013-004940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클라이너 레버부와 케이블구동부의 회전축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케이블구동부의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리클라이너 레버의 작동시 케이블구동부가 시트백프레임에 연동되지 않고 회피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수를 절감하고 부품간의 작동 오차를 최소화하여 품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원터치 더블폴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의 구동샤프트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리클라이너의 록킹을 해제시켜주는 더블폴딩레버; 상기 더블폴딩레버의 작동을 통한 리클라이너의 록킹 해제시 베이스프레임에서 회동되는 시트백프레임에 닿아 연동됨으로써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래치케이블이 당겨지도록 하여 더블 폴딩을 위한 래치부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케이블구동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력을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구동부가 시트백프레임과 연동되는 위치에 위치도록 구속해주고, 리클라이너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 작동할 경우에는 케이블구동부가 베이스프레임의 회전반경 외측으로 회피될 수 있도록 해제해줌으로써 시트백프레임만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리클라이너 레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클라이너의 록킹 해제에 의한 시트백프레임의 회전시 시트백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에 케이블구동부가 닿아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구동부는, 베이스프레임상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스토퍼 브래킷; 상기 스토퍼 브래킷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는 래치부의 록킹 해제를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며 시트백프레임의 걸림돌기에 닿아 연동됨으로써 케이블이 당겨지도록 하여 래치부의 록킹을 해제시켜주는 케이블브래킷; 상기 회전축에 감겨지고 케이블브래킷과 스토퍼 브래킷에 각각 연결되어 케이블브래킷에 회전성을 부여함으로써 리클라이너 레버부를 통한 리클라이너의 록킹 해제시 상기 케이블브래킷이 시트백프레임의 걸림돌기의 회전반경에서 벗어나 회피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면에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몸체와, 상기 레버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되는 슬롯을 통해 베이스프레임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케이블구동부를 회전 지지하여 구속해주는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리클라이너 레버;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어 리클라이너 레버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 일측단에 형성되는 슬롯을 통해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와 연결되고 타측단은 리클라이너의 구동샤프트에 연결되어 리클라이너 레버의 작동시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연동시켜주는 링크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케이블구동부와 리클라이너 레버부가 서로 다른 회전축을 통해 설치되고, 리클라이너 레버부에 의해 케이블구동부의 위치를 제어하여 부품간의 작동 오차를 최소화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클라이너 레버부를 통해 케이블 구동부의 위치가 제어됨으로써 케이블구동부의 위치 제어를 위한 별도의 부품이 추가되지 않게 되어 부품수가 줄어들고 이로 인해 자재비를 절감해주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가 구비된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가 구비된 시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의 일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의 타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더블폴딩레버의 작동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더블폴딩레버의 작동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되고 시트백프레임이 폴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더블폴딩레버의 작동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되고 시트백프레임이 폴딩되면서 케이블구동부가 연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더블폴딩레버의 작동시 리클라이너 레버부의 링크브래킷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리클라이너 레버부의 작동에 의한 케이블구동부의 구속이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리클라이너 레버부의 작동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되고 시트백프레임이 폴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리클라이너 레버부의 작동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되고 케이블브래킷이 회피되어 시트백프레임만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리클라이너 레버부의 작동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리클라이너 레버부의 작동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만 폴딩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리클라이너 레버부의 작동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이 완전히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가 구비된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가 구비된 시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의 일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의 타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시트백(1)을 형성하는 시트백프레임(10)이 시트쿠션(2)의 베이스프레임(20)에서 리클라이너(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서, 리클라이너(30)의 록킹을 해제시켜주는 더블폴딩레버(30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에 회전력을 갖도록 설치되고 더블폴딩레버(300)의 작동을 통한 리클라이너(30)의 록킹 해제시 베이스프레임(20)에서 회동되는 시트백프레임(10)에 닿아 연동됨으로써 일측단에 연결되어 있는 래치케이블(140)이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더블폴딩을 위한 래치부(3)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케이블구동부(10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에 회전력을 갖도록 설치되고 케이블구동부(100)를 회전지지하여 케이블구동부(100)가 시트백프레임(10)과 연동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회전 지지하여 구속해 주고 리클라이너(30)의 록킹 해제를 위한 작동시 케이블구동부(100)가 베이스프레임(20)의 회전반경 외측으로 회피될 수 있도록 구속을 해제해 줌으로써 시트백프레임(10)만 폴딩될 수 있도록 하는 리클라이너 레버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더블폴딩레버(300)는 케이블(310)을 통해 리클라이너(30)의 구동샤프트(31)에 연결되어 리클라이너(30)의 록킹을 해제해주게 된다.
이러한 더블폴딩레버(300)는 시트백(1)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백프레임(10)의 하부에는 케이블구동부(100)에 닿아 케이블구동부(100)가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돌기(11)가 형성된다.
이렇게 시트백프레임(10)의 하부에 걸림돌기(11)가 형성됨으로써 더블폴딩레버(300)의 작동에 의한 리클라이너(30)의 록킹 해제시, 시트백프레임(10)이 베이스프레임(20)에서 회전하게 되고, 일정각도로 회전 한 후 걸림돌기(11)가 케이블구동부(100)에 닿아 케이블구동부(100)를 연동시켜 주게 됨으로써 케이블구동부(100)에 연결된 래치케이블(140)이 당겨져 래치부(3)의 록킹이 해제되어 더블폴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블구동부(100)는, 베이스프레임(2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스토퍼브래킷(110)과, 상기 스토퍼브래킷(110)에 회전축(15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트백프레임(10)의 걸림돌기(11)에 걸려져 연동됨으로써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래치케이블(140)이 당겨지도록 하여 래치부(3)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브래킷(120)과, 상기 회전축(150)에 감겨지고 케이블브래킷(120)과 스토퍼브래킷(110)에 양단이 연결되어 케이블브래킷(120)에 회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브래킷(110)은 베이스프레임(20)에 결합되는 바닥판(111)과, 상기 바닥판(111)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브래킷(120)의 회전범위를 구속해주는 제1측벽(112)과, 상기 제1측벽(112)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130)의 일측단이 걸려지게 되는 제2측벽(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브래킷(120)은 회전축(15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130)에 의해 시트백프레임(10)의 폴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을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부(200)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더블폴딩레버(300)의 작동을 통한 시트백프레임(10)의 폴딩시 시트백프레임(10)에 형성된 걸림돌기(11)에 걸려져 연동되어 래치케이블(140)을 당겨주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래치케이블(140)에 연결된 래치부(3)의 록킹이 해제되어 더블폴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프링(130)은 상기 회전축(150)에 감겨진 상태로 일측단은 스토퍼브래킷(110)의 제2측벽(113)에 걸려지고 타측단은 케이블브래킷(120)에 걸려져 케이블브래킷(120)이 시트백프레임(10)의 폴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성을 갖도록 부여해줌으로써 리클라이너 레버부(200)의 작동에 의한 케이블브래킷(120)의 구속 해제시 시트백프레임(10)의 걸림돌기(11)에 걸려지지 않는 위치까지 회전하여 회피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타측면에 회전축(240)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몸체(211)와, 상기 레버몸체(211)의 일측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0)에 형성되는 슬롯(21)을 통해 베이스프레임(20)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블구동부(100)의 케이블브래킷(120)을 지지하여 구속해주는 지지편(212)으로 이루어진 리클라이너 레버(210)와,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210)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베이스프레임(20)에 연결되어 리클라이너 레버(210)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220)과, 일측단에 형성되는 슬롯(231a)을 통해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210)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리클라이너(30)의 구동샤프트(31)에 연결되어 리클라이너 레버(210)의 작동시 리클라이너의(30) 록킹이 해제되도록 연동시켜주는 링크브래킷(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210)는, 리클라이너(30)의 록킹 해제시 회전축(240)을 통해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지지편(212)이 베이스프레임(20)에 형성된 슬롯(21)을 통해 이동하여 상기 케이블브래킷(120)의 구속을 해제해줌으로써 케이블브래킷(120)이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케이블브래킷(120)에 시트백프레임(10)의 걸림돌기(11)에 닿지 않아 연동되지 않음으로써 래치부(3)가 해제되지 않으면서 시트백프레임(10)만 폴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링크브래킷(230)은 제1링크브래킷(231)과 제2링크브래킷(23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링크브래킷(231)은 일측단에 슬롯(231a)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231a)을 통해 리클라이너 레버(210)와 연결됨으로써 더블폴딩레버(300)의 작동에 의한 리클라이너(30)의 록킹 해제시 구동샤프트(31)가 회전되는데, 이때 제1링크브래킷(231)의 슬롯(231a) 구간만큼 유격을 갖게 되어 구동샤프트(31)의 회전시 리클라이너 레버(210)가 연동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링크브래킷(232)은 상기 제1링크브래킷(231)과 리클라이너(30)의 구동샤프트(31)를 연결하여 리클라이너(30)의 록킹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토퍼브래킷(110)은 바닥판(111)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롯(21)의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지지편(212)이 걸려지도록 하여 리클라이너 레버(210)의 스톱위치를 한정할 있도록 하는 지지편 걸림돌부(11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210)는 지지편(212)이 슬롯(21)의 끝단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스톱위치가 한정될 수 도 있으나, 상기와 같이 스토퍼브래킷(110)에 지지편 걸림돌부(114)를 형성하여 슬롯(21)을 통해 이동되는 지지편(212)이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리클라이너 레버(210)의 스톱위치가 한정되게 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케이블구동부(100)와 리클라이너 레버부(200)가 별도의 회전축을 통해 설치됨으로써 리클라이너 레버부(200)에 의한 케이블구동부(100)의 위치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리클라이너 레버부(200)의 작동에 따라 케이블브래킷(120)의 도피 구간이 확보됨으로써 부품들간의 작동오차를 최소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더블폴딩 장치를 이용한 시트의 더블폴딩 및 리클라이너 레버부를 통한 시트백의 폴딩 과정을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더블폴딩레버의 작동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더블폴딩레버의 작동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되고 시트백프레임이 폴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더블폴딩레버의 작동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되고 시트백프레임이 폴딩되면서 케이블구동부가 연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더블폴딩레버의 작동시 리클라이너 레버부의 링크브래킷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먼저 더블폴딩레버(300)를 작동하면 리클라이너(30)의 구동샤프트(31)가 회전하면서 리클라이너(30)의 록킹이 해제된다.
이렇게 리클라이너(30)의 록킹이 해제되면 시트백프레임(10)이 베이스프레임(20) 상에서 회전하면서 폴딩이 이루어지고 폴딩되는 과정에서 시트백프레임(10)의 걸림돌기(11)가 케이블브래킷(120)에 걸려지게 되며, 이때 케이블브래킷(120)은 시트백프레임(10)의 작동에 연동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케이블브래킷(120)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케이블브래킷(120)에 연결되어 있는 래치케이블(140)이 당겨지게 되고 래치케이블(140)에 연결되어 있는 래치부(3)의 록킹이 해제되어 더블폴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리클라이너 레버부의 작동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되고 시트백프레임이 폴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리클라이너 레버부의 작동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되고 케이블브래킷이 회피되어 시트백프레임만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리클라이너 레버부의 작동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리클라이너 레버부의 작동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만 폴딩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의한 더블폴딩 장치에 있어 리클라이너 레버부의 작동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이 완전히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한편 리클라이너 레버부(200)의 작동에 의해 시트백의 폴딩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리클라이너 레버(210)를 회전시켜 작동하면 리클라이너 레버(210)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브래킷(230)이 연동되고 링크브래킷(230)이 연결되어 있는 구동샤프트(31)가 회전하여 리클라이너(30)의 록킹이 해제된다.
이렇게 리클라이너(30)의 록킹이 해제되면 시트백프레임(10)은 베이스프레임(20) 상에서 회전하면서 시트백의 폴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리클라이너 레버(210)의 회전에 의해 지지편(212)이 베이스프레임(20)의 슬롯(21) 상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케이블브래킷(120)의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케이블브래킷(120)은 스프링(130)에 의해 회전하여 시트백프레임(10)의 걸림돌기(11)에 걸려지지 않은 위치로 회피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시트백프레임(10)의 걸림돌기(11)에 케이블브래킷(120)이 닿지 않게 됨으로써 래치부(3)의 록킹은 해제되지 않고 시트백만 폴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시트백이 일정 각도 이상 폴딩된 이후에는 리클라이너(30)의 무단 구간에 의해 리클라이너 레버(210)를 놓아도 리클라이너 레버(210)가 리클라이너(30)의 록킹 해제를 위해 회전된 방향의 역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지지편이 슬롯(21)의 상부로 복귀되지 않아 케이블브래킷(120)이 시트백프레임(10)의 걸림돌기(11)에 걸려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블브래킷(120)은 스토퍼브래킷(110)의 제1측벽(112)에 닿아 시트백프레임(10)의 회전구간에서 회피할 수 있는 위치까지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속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본 발명은 케이블구동부(100)와 리클라이너 레버부가 서로 다른 회전축을 통해 설치되고, 리클라이너 레버부에 의해 케이블구동부(100)의 위치를 제어하여 부품간의 작동 오차를 최소화하고 부품 개수를 줄여주어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시트백              (2) : 시트쿠션
(3) : 래치부              (10) : 시트백프레임
(11) : 걸림돌기           (20) : 베이스프레임
(21) : 슬롯               (30) : 리클라이너
(31) : 구동샤프트         (100) : 케이블구동부
(110) : 스토퍼브래킷      (111) : 바닥판
(112) : 제1측벽          (113) : 제2측벽
(114) : 지지편 걸림돌부 (120) : 케이블브래킷
(130) : 스프링 (140) : 래치케이블
(150) : 회전축 (200) : 리클라이너 레버부
(210) : 리클라이너 레버 (211) : 레버몸체
(212) : 지지편 (220) : 스프링
(230) : 링크브래킷 (231) : 제1링크브래킷
(231a) : 슬롯 (232) : 제2링크브래킷
(240) : 회전축 (300) : 더블폴딩레버
(310) : 케이블

Claims (4)

  1. 리클라이너의 구동샤프트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리클라이너의 록킹을 해제시켜주는 더블폴딩레버;
    상기 더블폴딩레버의 작동을 통한 리클라이너의 록킹 해제시 베이스프레임에서 회동되는 시트백프레임에 닿아 연동됨으로써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래치케이블이 당겨지도록 하여 더블 폴딩을 위한 래치부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케이블구동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력을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구동부가 시트백프레임과 연동되는 위치에 위치도록 구속해주고, 리클라이너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 작동할 경우에는 케이블구동부가 베이스프레임의 회전반경 외측으로 회피될 수 있도록 해제해줌으로써 시트백프레임만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리클라이너 레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면에 회전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몸체와, 상기 레버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되는 슬롯을 통해 베이스프레임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케이블구동부를 회전 지지하여 구속해주는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리클라이너 레버와,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어 리클라이너 레버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일측단에 형성되는 슬롯을 통해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와 연결되고 타측단은 리클라이너의 구동샤프트에 연결되어 리클라이너 레버의 작동시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연동시켜주는 링크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원터치 더블폴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의 록킹 해제에 의한 시트백프레임의 회전시 시트백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에 케이블구동부가 닿아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원터치 더블폴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구동부는,
    베이스프레임상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스토퍼 브래킷;
    상기 스토퍼 브래킷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는 래치부의 록킹 해제를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며 시트백프레임의 걸림돌기에 닿아 연동됨으로써 케이블이 당겨지도록 하여 래치부의 록킹을 해제시켜주는 케이블브래킷;
    상기 회전축에 감겨지고 케이블브래킷과 스토퍼 브래킷에 각각 연결되어 케이블브래킷에 회전성을 부여함으로써 리클라이너 레버부를 통한 리클라이너의 록킹 해제시 상기 케이블브래킷이 시트백프레임의 걸림돌기의 회전반경에서 벗어나 회피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원터치 더블폴딩 장치.
  4. 삭제
KR1020150045990A 2015-04-01 2015-04-01 차량용 시트의 원터치 더블폴딩 장치 KR101677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990A KR101677469B1 (ko) 2015-04-01 2015-04-01 차량용 시트의 원터치 더블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990A KR101677469B1 (ko) 2015-04-01 2015-04-01 차량용 시트의 원터치 더블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409A KR20160118409A (ko) 2016-10-12
KR101677469B1 true KR101677469B1 (ko) 2016-11-21

Family

ID=5717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990A KR101677469B1 (ko) 2015-04-01 2015-04-01 차량용 시트의 원터치 더블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4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638A (ko) 2018-08-21 2020-03-0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의 폴딩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748B1 (ko) * 2000-07-25 2002-08-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더블 폴딩 리어 시트 구조
KR100604737B1 (ko) * 2004-07-13 2006-07-31 대원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착탈식 시트장치
KR101578944B1 (ko) * 2010-12-24 2015-12-18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KR101263153B1 (ko) 2011-05-17 2013-05-21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KR101853833B1 (ko) 2011-11-04 2018-05-02 주식회사다스 모듈화타입 워크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638A (ko) 2018-08-21 2020-03-0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의 폴딩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409A (ko)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5675B2 (ja) 車両用シート
US8388054B2 (en) Stowable vehicle seat
JP419055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6019860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291373B2 (ja) 誤操作防止装置及び車両用格納シート
WO2007073103A1 (en) Folding recliner of seat for vehicles
JP482561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9090807A (ja) 車両用格納シート
KR101752242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20130013356A (ko) 차량용 워크인 시트의 시트백 록킹 장치
KR101677469B1 (ko) 차량용 시트의 원터치 더블폴딩 장치
JPS6325977B2 (ko)
JP5771538B2 (ja) 自動車に用いる折りたたみシート
JP2013136321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WO2016046903A1 (ja) 車両用シート
JP4437977B2 (ja) シート装置
JP4716824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0247575A (ja) 車両用シート
JP2003118441A (ja) 車両用シート
JP6595315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1073621A (ja) 折り畳みシート装置
US20180178679A1 (en) Vehicle seat comprising a latching device and an additional control device
JP6376097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3520496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位置、姿勢可変装置
JP5369473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