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210B1 -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210B1
KR101665210B1 KR1020147009490A KR20147009490A KR101665210B1 KR 101665210 B1 KR101665210 B1 KR 101665210B1 KR 1020147009490 A KR1020147009490 A KR 1020147009490A KR 20147009490 A KR20147009490 A KR 20147009490A KR 101665210 B1 KR101665210 B1 KR 101665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s
touch panel
line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9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127A (ko
Inventor
히데아키 미즈모토
구니토모 츠레야마
Original Assignee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9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전극이 형성된 기판끼리의 접합의 위치 정밀도에 의존하지 않고, 또한 기판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터치 패널을 제공한다.
서로 대략 동일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1 전극(12a)을 제1 기판(11)의 한쪽 면에 복수 구비하는 제1 면형체(1)와, 제1 전극(12a)이 연장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이며, 서로 대략 동일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2 전극(22a)을 제2 기판(21)의 한쪽 면에 복수 구비하는 제2 면형체(2)가,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터치 패널(100)로서, 각 제1 전극(12a) 및 상기 각 제2 전극(22a)은 복수의 굴곡점을 갖는 절선 형상의 전극선인 터치 패널(100).

Description

터치 패널{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은행 단말(캐쉬 디스펜서), 매표기, PC, OA 기기, 전자 수첩, PDA, 휴대 전화 등의 표시 장치에 터치 패널이 사용되고 있다. 이 터치 패널은 화면 표시를 방해하지 않고, 어디를 터치했는지를 검출하는 센서이며, 대표적인 것으로서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이 알려져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은, 인간의 손끝과 전극 사이에서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파악하여 손끝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이며,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터치 패널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101, 102)의 한쪽 면에 정해진 패턴 형상을 갖는 전극(103, 104)이 형성된 2개의 면형체(105, 106)를 접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전극(103, 104)의 패턴 형상은, 복수의 마름모꼴 전극부(103a, 104a)가 직선형으로 연결된 구조이며, 한쪽 기판(101)에 형성되는 마름모꼴 전극부(103a)의 연결 방향과 다른쪽 기판(102)에 형성되는 마름모꼴 전극부(104a)의 연결 방향이, 서로 직교하며 평면에서 볼 때 상하의 마름모꼴 전극부가 겹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각 마름모꼴 전극부는, 복수의 금속 세선을 격자형으로 배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터치 패널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복수의 금속 세선에 의해 구성되는 복수의 균일한 격자 패턴이 터치면 전역에 분포하게 되므로, 국소적인 터치 패널의 시인성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34311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터치 패널의 경우, 정해진 패턴 형상을 갖는 전극이 형성된 2개의 면형체를 겹치게 할 때, 각 전극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도 14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작은 격자가 밀집된 영역이나 격자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발생하고, 격자 패턴의 균일성이 무너져 터치 패널의 시인성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이러한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터치 패널을 매표기나 PC 등의 표시 장치 상에 배치한 경우, 작은 격자가 밀집된 영역에서 전극의 조밀함에 기인하는 농담(濃淡)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2개의 면형체를 접합할 때의 위치 정밀도(접합 정밀도)를 높이면 되지만, 전극을 구성하는 금속 세선의 선폭은 가늘기 때문에(예컨대, 15 ㎛),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2개의 면형체를 접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큰 어려움을 수반하게 된다.
또, 예컨대 기판 상의 전극을 예컨대 스크린 인쇄 등의 인쇄 기술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인쇄후의 건조 공정시에 기판이 수축되게 되지만, 건조시의 기판의 수축은, 기판의 재질이나, 기온이나 습도, 전극을 구성하는 금속 세선의 두께나 폭이나, 전극의 긴 방향 및 짧은 방향의 길이 등의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그 수축의 정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수축의 제어가 매우 어렵다. 또, 접합되는 면형체가 각각 갖는 전극의 긴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 면형체 및 다른쪽 면형체에 각각 형성되는 각 전극에 있어서 기판의 수축의 영향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영역이 상이하기 때문에, 가령 매우 높은 위치 정밀도로 양 면형체를 접합했다 하더라도, 접합되는 각 면형체에 형성되는 전극(마름모꼴 전극부)끼리 평면에서 볼 때 겹치지 않도록 하여, 균일한 격자 패턴이 터치면 전역에 분포하도록 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즉, 높은 위치 정밀도로 2개의 면형체를 접합하여 터치 패널을 제조했다 하더라도,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격자 패턴의 어긋남이 발생하여,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은 작은 격자가 밀집된 영역이나 격자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발생해 버려, 터치 패널의 시인성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또, 특히 대형 터치 패널을 제조하는 경우, 기판의 수축량이 커지기 때문에, 한쪽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전극과, 다른쪽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전극의 위치 어긋남의 정도가 커져, 터치 패널의 시인성을 크게 손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전극이 형성된 기판끼리의 접합의 위치 정밀도에 의존하지 않고, 또한 기판의 수축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서로 대략 동일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1 전극을 제1 기판의 한쪽 면에 복수 구비하는 제1 면형체와, 상기 제1 전극이 연장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이며, 서로 대략 동일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2 전극을 제2 기판의 한쪽 면에 복수 구비하는 제2 면형체가,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터치 패널로서, 상기 각 제1 전극 및 상기 각 제2 전극은, 복수의 굴곡점을 갖는 절선 형상의 전극선인 터치 패널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터치 패널은, 제1 면형체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1 전극의 패턴 형상과, 제2 면형체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2 전극의 패턴 형상이, 서로 독립된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면서, 복수의 제1 전극 및 복수의 제2 전극을 겹치게 한 경우에 터치면에 형성되는 격자 패턴이, 여러가지 크기나 형상의 격자가 터치면 전역에 대략 균등하게 분산되어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쪽 전극(예컨대, 제1 전극)을 기판 상에 형성할 때, 다른쪽 기판 상에 형성되는 다른쪽 전극(예컨대, 제2 전극)의 형성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한쪽 전극(예컨대, 제1 전극)의 형성 위치와는 무관하게 다른쪽 전극(예컨대, 제2 전극)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접합 정밀도에 의해 제1 면형체 및 제2 면형체를 겹치게 할 필요가 없다. 즉,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접합 정밀도를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용이하게 터치 패널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복수의 제1 전극과 복수의 제2 전극군을 겹치게 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격자 패턴은, 여러가지 크기나 형상의 격자가 터치면 전역에 대략 균등하게 분산되어 배치되게 되므로, 작은 격자가 국소적으로 밀집된 영역이나 격자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발생하지 않고, 터치면을 거시적으로 보면 대략 균일한 격자 패턴이 터치면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것처럼 시인된다.
또,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각 기판(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에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이 수축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이러한 기판의 수축이 발생했다 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에서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의해 구성되는 격자 패턴은, 여러가지 크기나 형상의 격자가 터치면 전역에 대략 균등하게 분산되어 배치되게 되므로, 각 기판의 수축에 의해, 분산 배치되는 각 격자의 크기나 형상이 설계시에 상정한 크기나 형상과 상이하다 하더라도, 터치 패널의 시인성이 악화될 정도의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즉, 각 기판의 수축이 생긴 경우라 하더라도, 양호한 시인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터치 패널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각각 동일 주기 및 동일 진폭을 갖고 있는 절선 형상의 전극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 복수의 제1 전극 및 복수의 제2 전극을 겹치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전극의 격자 패턴에 관해, 터치면 전역에 분포하는 각 격자를 대략 동일한 정도의 형상이나 크기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 패널의 시인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절선 형상의 상기 제1 전극에서의 임의의 굴곡점의 내각을 θ1로 하고, 절선 형상의 상기 제2 전극에서의 임의의 굴곡점의 내각을 θ2로 한 경우에, 이하의 수식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식] θ1-(180°-θ2) > 10°
상기 수식과 같은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θ1 및 θ2를 설정함으로써, 제1 전극을 구성하는 전극선의 임의의 일부와 제2 전극을 구성하는 전극선의 임의의 일부가, 반드시 정해진 각도로 교차하게 되기 때문에, 터치 패널의 터치면 전역에서 정해진 격자 패턴이 대략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구성할 수 있어, 격자 패턴이 밀집된 영역이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모두의 굴곡점의 내각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굴곡점의 내각이 90° 이상인 전극선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교점이 적어져 터치 패널의 시인성을 한층 더 양호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복수의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패턴 형상은, 각각 단일의 전극선 폭 및 전극선 피치를 갖는 반복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제1 전극 및 복수의 제2 전극을 겹치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전극의 격자 패턴에 관해, 터치면 전역에 분포하는 각 격자의 형상이나 크기를 한층 더 동일한 정도의 것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 패널의 시인성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인접하는 정해진 개수의 상기 제1 전극을 하나의 다발로 한 것을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으로서 구성하고, 인접하는 정해진 개수의 상기 제2 전극을 하나의 다발로 한 것을 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으로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의 양단부 또는 상기 각 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을 구성하는 복수의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을 구성하는 복수의 상기 제2 전극을 결속하는 결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을 구성하는 서로 인접하는 제1 전극끼리를 접속하는 제1 브릿지부와, 상기 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을 구성하는 서로 인접하는 제2 전극끼리를 접속하는 제2 브릿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이 형성된 기판끼리의 접합의 위치 정밀도에 의존하지 않고, 또한, 기판의 수축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터치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개략 구성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이 구비하는 제1 면형체의 개략 구성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이 구비하는 제2 면형체의 개략 구성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의 (a)는, 제1 전극을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평면도, (b)는, 제2 전극을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평면도, (c)는, 제1 전극을 구성하는 전극선의 일부와 제2 전극을 구성하는 전극선의 일부가, 근접하여 서로 평행해지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터치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터치 패널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 평면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터치 패널에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태형태에 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은 구성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실측비가 아니라 부분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개략 구성 평면도이고, 도 2는, 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 터치 패널(100)은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이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면형체(1)와 제2 면형체(2)를 구비한다. 이들 제1 면형체(1)와 제2 면형체(2)는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 면형체(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기판(11)과, 상기 제1 기판(11)의 한쪽 면에 형성되는 제1 전극군(12)을 구비한다. 제1 전극군(12)은, 서로 대략 동일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는 정해진 형상의 제1 전극(12a)의 집합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2 면형체(2)도 제1 면형체(1)와 마찬가지로,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기판(21)과, 상기 제2 기판(21)의 한쪽 면에 형성되는 제2 전극군(22)을 구비한다. 제2 전극군(22)은, 제1 전극(12a)이 연장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이며, 서로 대략 동일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는 정해진 형상의 제2 전극(22a)의 집합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1 면형체(1)와 제2 면형체(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전극군(12) 및 제2 기판(21)의 다른쪽 면측(제2 전극군(2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측)이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하여, 점착층(3)을 통해 접착되어 있다. 또한, 제1 전극군(12) 및 제2 전극군(22)이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하여, 제1 면형체(1)와 제2 면형체(2)를 점착층(3)을 통해 접착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의 터치 패널(100)은, 예컨대, 은행 단말(캐쉬 디스펜서), 매표기, PC, OA 기기, 전자 수첩, PDA, 휴대 전화 등의 표시 장치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또한, 터치 패널(100)의 부착시에는, 제1 면형체(1)의 기판의 다른쪽 면측(제1 전극(12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측)이 노출면(터치면)이 되도록, 투명한 점착층(4)을 통해 표시 장치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점착층(4)을 통해 커버 유리 등의 표면 보호층을 제2 면형체(2)에 접착하고, 상기 표면 보호층의 노출면이 터치면이 되도록, 제1 기판(11)을 점착층(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표시 장치에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은 절연층을 구성하는 유전체 기판이며, 투명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폴리아미드(PA), 아크릴, 비정질 폴리올레핀계 수지,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지방족 고리형 폴리올레핀, 노르보넨계의 열가소성 투명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의 가요성 필름이나 이들 2종 이상의 적층체, 또는 소다 유리, 무알칼리 유리, 붕규산 유리, 석영 유리 등의 유리판에 의해 형성된다. 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합성 수지제의 가요성 필름에 의해 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10 ㎛∼2000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500 ㎛ 정도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유리판에 의해 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0.1 mm∼5 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지지체를 접착해도 좋다. 지지체로는, 유리판이나, 유리에 준하는 경도를 갖는 수지 재료를 예시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1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mm∼10 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전극군(12)을 구성하는 각 제1 전극(12a)은, 도 3 및 도 3의 주요부 확대도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굴곡점(K)을 갖는 절선 형상의 전극선(정해진 각도로 곡절을 반복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전극선)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전극군(22)을 구성하는 각 제2 전극(22a)은, 도 4 및 도 4의 주요부 확대도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굴곡점(K)을 갖는 절선 형상의 전극선(정해진 각도로 곡절을 반복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전극선)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1 전극(12a) 및 제2 전극(22a)을 구성하는 전극선은, 금속 세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전극(12a)을 구성하는 절선 형상의 전극선은, 동일 주기 또한 동일 진폭을 갖고 있는 절선 형상의 전극선이며, 이 전극선이 단일의 전극선 폭 및 전극선 피치를 갖는 반복 패턴으로서 복수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각 제2 전극(22a)을 구성하는 절선 형상의 전극선도, 동일 주기 또한 동일 진폭을 갖고 있는 절선 형상의 전극선이며, 이 전극선이 단일의 전극선 폭 및 전극선 피치를 갖는 반복 패턴으로서 복수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전극군(12)을 구성하는 각 제1 전극(12a)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 제2 전극군(22)을 구성하는 각 제2 전극(22a)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어떤 하나의 제1 전극(12a)에 인접하는 다른 제1 전극(12a)의 형상은, 제1 전극(12a)이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해진 피치만큼 하나의 제1 전극(12a)을 이동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2 전극(22a)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 전극(12a) 및 제2 전극(22a)을 이와 같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각 제1 전극(12a)에서 하나 걸러서 각 굴곡점(K)을 연결하는 선분(L1)과, 각 제2 전극(22a)에서 하나 걸러서 각 굴곡점(K)을 연결하는 선분(L2)이, 서로 직교하게 된다. 즉, 각 제1 전극(12a)이 인접하는 방향과 각 제2 전극(22a)이 인접하는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임의의 제1 전극(12a)의 임의의 굴곡점(K1)과, 이 제1 전극(12a)에 인접하는 다른 제1 전극(12a)에서의 굴곡점(K)이며, 굴곡점(K1)에 근접 배치되는 굴곡점(K2)을 연결하는 선분(L3)은, 각 제2 전극(22a)에서 하나 걸러서 각 굴곡점(K)을 연결하는 선분(L2)과 평행해진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제2 전극(22a)의 임의의 굴곡점(K3)과, 이 제2 전극(22a)에 인접하는 다른 제2 전극(22a)에서의 굴곡점(K)이며, 굴곡점(K3)에 근접 배치되는 굴곡점(K4)을 연결하는 선분(L4)은, 각 제1 전극(12a)에서 하나 걸러서 각 굴곡점(K)을 연결하는 선분(L1)과 평행해진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100)이 설치되는 모니터 등의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컬러 필터의 구성 조건에 따라 달라지지만, 제1 전극(12a) 및 제2 전극(22a)을 구성하는 절선 형상의 전극선의 선폭이, 예컨대 1 ㎛∼100 ㎛의 범위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절선 형상의 각 전극선의 주기가 2.0 mm∼10 mm의 범위가 되도록 구성하고, 절선 형상의 각 전극선의 진폭이 0.5 mm∼5.0 mm의 범위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전극(12a) 및 제2 전극(22a)의 전극선 피치는, 0.2 mm∼2.0 mm의 범위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터치 패널(100)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모아레의 발생을 방지한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도 7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선 형상의 제1 전극(12a)에서의 임의의 굴곡점(K)의 내각을 θ1로 하고, 절선 형상의 제2 전극(22a)에서의 임의의 굴곡점(K)의 내각을 θ2로 한 경우에, 이하의 수식 1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식 1] θ1-(180°-θ2) ≠ 0°
이와 같이 제1 전극(12a)에서의 임의의 굴곡점(K)의 내각 : θ1과, 제2 전극(22a)에서의 임의의 굴곡점(K)의 내각 : θ2를 설정함으로써, 제1 면형체(1) 및 제2 면형체(2)를 접합했을 때, 제1 전극(12a)을 구성하는 전극선의 일부와 제2 전극(22a)을 구성하는 전극선의 일부가, 도 7의 (c)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근접하여 서로 평행해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θ1 및 상기 θ2가, 이하의 수식 2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수식 2] (θ1-(180°-θ2)) > 10°
이와 같이 θ1 및 θ2를 설정함으로써, 제1 전극(12a)을 구성하는 전극선의 임의의 일부와 제2 전극(22a)을 구성하는 전극선의 임의의 일부가, 반드시 정해진 각도로 교차하게 되기 때문에, 터치 패널(100)의 터치면 전역에서 정해진 격자 패턴이 대략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구성할 수 있어, 격자 패턴을 구성하는 격자가 밀집된 영역이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식 2에서의 좌변의 값이 15° 이상이 되도록 θ1 및 θ2를 설정한 경우에는, 이 효과가 보다 현저해지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격자 패턴이란, 사각형의 격자에 의해 구성되는 한 그룹의 패턴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삼각형이나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에 의해 구성되는 한 그룹의 패턴도 말하는 개념이다. 또, 여러가지 다각형의 격자(예컨대, 삼각형이나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형상을 갖는 격자)에 의해 구성되는 한 그룹의 패턴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군(12) 및 제2 전극군(22)은,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전극군(12) 및 제2 전극군(22)의 패턴 형상에 대응하는 정해진 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스크린 인쇄판을 이용하여, 스퀴지에 의해 제1 전극(12a) 및 제2 전극(22a)용의 도전 잉크를 개구부를 통해 압출함으로써, 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 상에 제1 전극군(12) 및 제2 전극군(22)을 형성한다. 또한, 스크린 인쇄법 외에, 잉크젯 방식,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등의 각종 인쇄법에 의해 제1 전극군(12) 및 제2 전극군(22)을 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 상에 형성해도 좋다. 또, 인쇄법을 이용하는 대신,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제1 전극군(12) 및 제2 전극군(22)을 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 상에 형성해도 좋다.
도전 잉크는, 수지 성분과 용제로 이루어진 용매 내에 도전성의 미립자가 응집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유동체이다. 유동체 내에 포함되는 도전성 미립자의 일례로서, 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립자를 들 수 있다. 또, 예컨대, 금, 은, 구리, 금과 은의 합금, 금과 구리의 합금, 은과 구리의 합금, 금과 은과 구리의 합금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미립자이어도 좋다. 또, 다른 도전성 잉크로는, PEDOT(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등의 도전성 고분자나, 카본 나노 와이어나 금속 나노 와이어 등의 극세 도전 섬유를 도전체로 하는 도전성 재료를 사용해도 좋다.
도전 잉크로서, 예컨대, 유기 카르복실산은염의 용액 혹은 분산액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 상에 도포한 후 가열함으로써 금속은을 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 상에 생성시켜 제1 전극(12a) 및 제2 전극(22a)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정해진 형상의 전극선을 복수 병행으로 각 기판에 형성하고, 그 후 60℃∼200℃로 가열하여 금속은을 기판(11, 21) 상에 형성시킨다. 또한, 유기 카르복실산은염으로부터 금속은을 생성하기 위한 가열은, 예컨대 전기로(爐)에 의한 가열 방식, 감열 방식의 열헤드를 이용하는 가열 방식 등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제1 전극(12a) 및 제2 전극(22a)을 형성하는 유기 카르복실산은염은 환원 가능한 은원(銀源)이며, 유기 카르복실산, 특히 장쇄의 (탄소수 10∼30, 바람직하게는 15∼25) 지방족 카르복실산의 은염이 바람직하다. 이들 바람직한 은염의 예로는, 예컨대, 갈산, 옥살산, 베헨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딘산, 팔미트산, 라우린산 등의 은염, 방향족 카르복실산류, 예컨대, 살리실산, 벤조산, 3,5-디히드록시벤조산의 은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유기 카르복실산은염으로는, 이소부티릴아세트산은, 벤조일아세트산은, 아세토아세트산은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카르복실산은염의 조제법으로는, 유기 카르복실산 알칼리 금속염 용액 혹은 현탁액이 들어간 반응 용기에 질산은 수용액을 서서히 혹은 급격히 첨가하는 방법, 질산은 수용액이 들어간 반응 용기에 미리 조제한 유기 카르복실산 알칼리 금속염 용액 혹은 현탁액을 서서히 혹은 급격히 첨가하는 방법, 미리 조제한 질산은 수용액 및 유기 카르복실산 알칼리 금속염 용액 또는 현탁액을 반응 용기 내에 동시에 첨가하는 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각 제1 전극(12a) 및 각 제2 전극(22a)의 일단부는, 기판(11, 21) 상에 형성된 배선 도체(유도 배선)를 통해, 외부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 구동용의 외부 회로(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배선 도체는, 각 제1 전극(12a) 및 각 제2 전극(22a)에 접속하도록 구성하여, 각 제1 전극(12a)(각 제2 전극(22a))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고, 또는 인접하는 복수(예컨대, 8개∼12개)의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을 하나의 다발로 하여, 다발마다 배선 도체를 접속해도 좋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복수의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을 다발로 한 것을 하나의 검출용 전극으로 한 경우, 상기 검출용 전극의 저항치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터치 패널의 위치 검출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배선 도체의 형성 방법은, (A) 극미세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기판 상에 스크린 인쇄하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제2007-142334 등 참조), (B) 구리 등의 금속박을 기판 상에 적층하고, 금속박 위에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여, 금속박을 에칭하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제2008-32884 등 참조)을 들 수 있다.
상기 (A)의 형성 방법에서의 도전성 입자로는, 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립자를 들 수 있다. 또, 예컨대, 금, 은, 구리, 금과 은의 합금, 금과 구리의 합금, 은과 구리의 합금, 금과 은과 구리의 합금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미립자이어도 좋다. 또, 인듐주석산화물(ITO), 산화인듐에 산화아연을 혼합한 도전성 산화물(IZO[indium zinc oxide]), 또는 산화인듐에 산화규소를 혼합한 도전성 산화물(ITSO)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립자이어도 좋다. 또, 다른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PEDOT(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등의 도전성 고분자나, 카본 나노 와이어나 금속 나노 와이어 등의 극세 도전 섬유를 도전체로 하는 도전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선 도체의 형성 방법은, 상기 (A), (B)의 형성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A) 이외의 그라비아 인쇄 등의 인쇄 방법이나 상기 (B) 이외의 포토리소그래피를 사용해도 좋다.
점착층(3 또는 4)은, 에폭시계나 아크릴계 등 일반적인 투명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노르보넨계 수지의 투명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코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시트형 점착재를 복수매 겹치게 함으로써 점착층(3)을 형성해도 좋고, 또한 복수 종류의 시트형 점착재를 겹치게 하여 형성해도 좋다. 점착층(3)의 두께는 특별히 지정하지는 않지만, 실용상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터치 패널(100)에 있어서, 터치 위치의 검출 방법은 종래의 정전 용량식의 터치 패널(100)과 동일하며, 제1 면형체(1)의 표면측에서의 임의의 위치를 손가락 등으로 접촉하면, 제1 전극(12a) 및 제2 전극(22a)은 접촉 위치에서 인체의 정전 용량을 통해 접지되고, 제1 전극(12a) 및 제2 전극(22a)을 흐르는 전류치를 검출함으로써, 접촉 위치의 좌표가 연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100)은, 겹치는 제1 면형체(1) 및 제2 면형체(2)가 각각 구비하는 제1 전극군(12) 및 제2 전극군(22)을, 복수의 굴곡점(K)을 갖는 절선 형상의 전극선의 집합체로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면형체(1)가 구비하는 제1 전극군(12)(복수의 제1 전극(12a))의 패턴 형상과 제2 면형체(2)가 구비하는 제2 전극군(22)(복수의 제2 전극(22a))의 패턴 형상이, 서로 독립된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면서, 제1 전극군(12) 및 제2 전극군(22)을 겹치게 한 경우에 터치면에 형성되는 격자 패턴이, 여러가지 크기나 형상의 격자가 터치면 전역에 대략 균등하게 분산되어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쪽 전극(예컨대, 제1 전극(12a))을 기판 상에 형성할 때, 다른쪽 기판 상에 형성되는 다른쪽 전극(예컨대, 제2 전극(22a))의 형성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한쪽 전극(예컨대, 제1 전극(12a))의 형성 위치와는 무관하게 다른쪽 전극(예컨대, 제2 전극(22a))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접합 정밀도에 의해 제1 면형체(1) 및 제2 면형체(2)를 겹치게 할 필요가 없다. 즉, 제1 전극(12a) 및 제2 전극(22a)의 접합 정밀도를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용이하게 터치 패널(100)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1 전극군(12)과 제2 전극군(22)을 겹치게 함으로써 구성되는 격자 패턴은, 여러가지 크기나 형상의 격자가 터치면 전역에 대략 균등하게 분산되어 배치되게 되므로, 작은 격자가 국소적으로 밀집된 영역이나 격자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발생하지 않고, 터치면을 거시적으로 보면 대략 균일한 격자 패턴이 터치면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것처럼 시인된다.
또, 제1 전극(12a) 및 제2 전극(22a)을 각 기판(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 상에 형성후 소성하는 경우에는, 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이 수축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판(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의 수축이 발생했다 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100)에서는, 제1 전극(12a)과 제2 전극(22a)에 의해 구성되는 격자 패턴은, 여러가지 크기나 형상의 격자가 터치면 전역에 대략 균등하게 분산되어 배치되게 되기 때문에, 기판(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의 수축에 의해, 분산 배치되는 각 격자의 크기나 형상이 설계시에 상정한 크기나 형상과 상이하다 하더라도, 터치 패널(100)의 시인성이 악화될 정도의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즉, 기판(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의 수축이 생긴 경우라 하더라도, 양호한 시인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이 본 터치 패널(100)에서는, 기판(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의 수축이 시인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스크린 인쇄법 등의 인쇄법에 의해 각 전극(12a, 22a)을 각 기판(11, 21) 상에 형성할 때, 각 기판(11, 21)이 수축되는 것을 고려할 필요도 없어져, 제1 면형체(1)나 제2 면형체(2)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 터치 패널(100)을 매표기나 PC 등의 표시 장치 상에 배치한 경우,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컬러 필터의 구성 조건(블랙 매트릭스의 크기나, RGB 패턴의 크기, 배열 방향 등)에 따라서는 모아레가 발생하는 경우도 상정되지만, 제1 전극(12a) 및 제2 전극(22a)에서의 각 굴곡점(K)에서의 내각이나 피치 등을 조정(변경)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모아레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100)에서는, 제1 전극(12a) 및 제2 전극(22a)이, 각각 동일 주기 또한 동일 진폭을 갖는 절선 형상의 전극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전극(12a) 및 복수의 제2 전극(22a)을 겹치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전극의 격자 패턴에 관해, 터치면 전역에 분포하는 각 격자를 대략 동일한 정도의 형상이나 크기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 패널(100)의 시인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제1 전극(12a) 및 제2 전극(22a)의 패턴 형상은, 각각 단일의 전극선 폭 및 전극선 피치를 갖는 반복 패턴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터치면 전역에 분포하는 각 격자의 형상이나 크기를 한층 더 동일한 정도의 것(균일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어, 터치 패널(100)의 시인성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제1 전극군(12)을 구성하는 각 제1 전극(12a)의 전극선 피치와, 제2 전극군(22)을 구성하는 각 제2 전극(22a)의 전극선 피치가 상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 복수의 제1 전극(12a) 및 복수의 제2 전극(22a)에 의해 구성되는 전극의 격자 패턴에 있어서, 국소적으로 작은 격자가 밀집되어 버리는 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 패널(100)의 시인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100)을 구성하는 제1 면형체(1) 및 제2 면형체(2)의 샘플 A∼F를 작성하여, 각 샘플을 2장 겹치게 한 상태로 모니터 상에 배치한 경우의 시인성에 관한 관능 시험을 행했기 때문에, 그 시험 내용 및 결과에 관해서 이하에 나타낸다.
시험 내용은, 하기에 나타내는 샘플 A∼F를 2장씩 준비하고, 절선 형상의 전극선이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2장의 샘플을 겹치게 하여 모니터 상에 배치한 경우의 시인성의 양부를 육안으로 판정했다. 겹치는 것의 조합에 관해서는, 예컨대, 샘플 A와 샘플 A, 샘플 A와 샘플 B, 샘플 A와 샘플 C와 같이 모든 종류의 샘플을 조합하여 시인성의 양부를 판정했다.
샘플 A는, 각 굴곡점(K)의 내각(도 7의 (a)에서의 θ1 또는 도 7의 (b)에서의 θ2에 상당)이 90°이고, 주기가 2.742 mm, 진폭이 1.371 mm인 절선 형상의 전극선이 전극선 피치 : 0.429 mm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샘플 B는, 샘플 A와 동일한 절선 형상의 전극선이 전극선 피치 : 0.527 mm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샘플 C는, 샘플 A와 동일한 절선 형상의 전극선이 전극선 피치 : 0.686 mm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또, 샘플 D는, 각 굴곡점(K)의 내각(도 7의 (a)에서의 θ1 또는 도 7의 (b)에서의 θ2에 상당)이 136°이고, 주기가 6.856 mm, 진폭이 1.371 mm인 절선 형상의 전극선이 전극선 피치 : 0.429 mm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샘플 E는, 샘플 D와 동일한 절선 형상의 전극선이 전극선 피치 : 0.527 mm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샘플 F는, 샘플 D와 동일한 절선 형상의 전극선이 전극선 피치 : 0.686 mm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또, 비교를 위해, 정해진 주기 및 정해진 진폭을 갖는 정현파 형상의 전극선을 구성하고, 이 전극선을 정해진 전극선 피치로 기판 상에 복수 배열한 샘플 a∼f를 2장씩 준비하여, 정현파 형상의 전극선이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2장의 샘플을 겹치게 하여 모니터 상에 배치한 경우의 시인성의 양부를 육안으로 판정했다. 겹치는 것의 조합에 관해서는 샘플 A∼F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든 종류의 샘플을 조합했다. 여기서, 샘플 a는, 주기 6.856 mm, 진폭 1.159 mm의 정현파 형상의 전극선이 전극선 피치 : 0.429 mm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샘플 b는, 샘플 a와 동일한 정현파 형상의 전극선이 전극선 피치 : 0.527 mm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샘플 c는, 샘플 a와 동일한 정현파 형상의 전극선이 전극선 피치 : 0.686 mm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또, 샘플 d는, 주기 6.856 mm, 진폭 1.489 mm의 정현파 형상의 전극선이 전극선 피치 : 0.429 mm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샘플 e는, 샘플 d와 동일한 정현파 형상의 전극선이 전극선 피치 : 0.527 mm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샘플 f는, 샘플 d와 동일한 정현파 형상의 전극선이 전극선 피치 : 0.686 mm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정현파 형상의 전극선이 형성된 샘플 a∼f를 조합하여 모니터 상에 배치한 경우, 모든 조합에 있어서, 정현파 형상의 전극선의 극부근에서 모아레가 발생하여, 시인성이 나쁘다고 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이에 비해, 복수의 굴곡점(K)을 갖는 절선 형상의 전극선이 형성된 샘플 A∼F에 관해서는, 샘플 a∼f에서 확인된 바와 같은 모아레는 발생하지 않아, 시인성은 비교적 양호하다고 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샘플 A끼리, 샘플 B끼리, 샘플 C끼리 조합한 경우에는, 반점형의 휘점이 발생하여, 약간 시인성이 나쁘다고 하는 결과를 얻었다.
특히, 샘플 B와 샘플 E를 조합한 경우나, 샘플 C와 샘플 E를 조합한 경우는, 색번짐이나 전극선의 패턴이 강조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매우 양호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여기서, 샘플 B, 샘플 C 및 샘플 E에는, 각 굴곡점(K)의 내각이 모두 90° 이상인 절선 형상의 전극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터치 패널(100)을 구성하는 제1 전극(12a) 및 제2 전극(22a)의 각 굴곡점(K)의 내각이 90° 이상이 되도록 전극선을 구성함으로써, 모아레나 휘점, 색번짐 등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 전극 패턴이 강조되기 어려운 터치 패널(100)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 각 굴곡점의 내각이 90° 이상인 전극선에 의해 제1 전극(12a) 및 제2 전극(22a)을 구성하는 경우, 제1 전극(12a) 및 제2 전극(22a)의 교점이 적어져 터치 패널의 시인성이 한층 더 양호한 것이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100)의 일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했지만, 구체적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정해진 개수(예컨대, 8개∼12개)의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을 하나의 다발로 한 것을 하나의 검출용 전극으로서, 상기 검출용 전극이 병렬로 나열되도록 터치 패널(100)을 구성하는 경우, 예컨대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15)(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25))에 있어서, 이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15)(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25))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의 한쪽의 각 단부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결속부(16) 및 다른쪽의 각 단부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결속부(17)를 설치하도록 구성하고, 제1 결속부(16)에 배선 도체(유도 배선)를 접속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여기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결속부(16) 및 제2 결속부(17)를 갖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배선 도체(유도 배선)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제2 결속부(17)를 생략해도 좋다. 또한, 제1 결속부(16)뿐만 아니라, 배선 도체(유도 배선)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제2 결속부(17)를 갖추도록 구성한 경우, 각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15)(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25)) 전체의 저항치를 한층 더 낮게 하여, 터치 패널의 위치 검출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예컨대 하나의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의 일부분이 단선되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단선된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에 입력된 정전 용량의 변화 신호는, 제2 결속부(17) 및 다른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을 통해 제1 결속부(16)에 전달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터치 위치의 검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인접하는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15)(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25))의 사이에 배선 도체(유도 배선)에 접속되지 않는 검출용 전극을 설치해도 좋다.
제1 결속부(16) 및 제2 결속부(17)는, 예컨대,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결속부(16) 및 제2 결속부(17)의 형상에 대응하는 정해진 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스크린 인쇄판을 이용하여, 스퀴지에 의해 도전 잉크를 개구부를 통해 압출함으로써, 제1 기판(11) 및 제2 기판(21) 상에 제1 결속부(16) 및 제2 결속부(17)를 형성한다. 또한, 스크린 인쇄법 외에, 잉크젯 방식,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등의 각종 인쇄법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또, 도전 잉크로는, 전술한 제1 전극군(12) 및 제2 전극군(22)을 형성할 때 이용되는 도전 잉크와 동등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동일한 도전 잉크를 이용하는 경우, 제1 전극군(12) 및 제2 전극군(22)을 인쇄 등으로 형성할 때, 제1 결속부(16) 및 제2 결속부(17)를 동시에 형성해도 좋다. 또, 도 8의 (a)에서는, 제1 결속부(16) 및 제2 결속부(17)를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지만, 이러한 형상으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굴곡점을 갖는 절선 형상이 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인접하는 정해진 개수(예컨대, 8개∼12개)의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을 하나의 다발로 한 것을 하나의 검출용 전극으로서 터치 패널(100)을 구성하는 경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15)(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25))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제1 전극(12a)(제2 전극(22a))끼리 접속하는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를 복수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를 설치함으로써, 각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15)(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25))을 구성하는 하나의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의 일부분이 단선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단선된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에 입력된 정전 용량의 변화 신호(터치 신호)는,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를 통해 다른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에 전달시켜 외부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 구동용의 외부 회로(도시하지 않음)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져, 안정적으로 터치 위치의 검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제1 전극(12a)(제2 전극(22a))끼리만을 접속하는 직선형의 배선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배선 타입으로서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를 형성하는 경우,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의 한쪽 끝점이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에서의 굴곡점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떤 굴곡점으로부터 제1 전극(12a)(제2 전극(22a))과 동일한 기울기로 연장된 선으로서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어떤 굴곡점과 인접하는 굴곡점을 직선형으로 연결하도록,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를 형성해도 좋다.
또, 배선 타입의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렬 배치되는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을 횡단적으로 복수개에 걸쳐서 접속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을 횡단적으로 일괄 접속하도록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를 형성하는 경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의 한쪽 끝점이 하나의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의 굴곡점이 되도록 하고, 또한,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의 다른쪽 끝점이 다른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의 굴곡점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어떤 굴곡점(Ka)으로부터 인접하는 굴곡점(Kb)을 향해서 직선형으로 신장되는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의 일부분(Z)의 연장선상에,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가 배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러한 배선 타입의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는,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의 선폭과 동일한 선폭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선 타입의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의 형성 방법으로서, 스크린 인쇄법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의 형상에 대응하는 정해진 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스크린 인쇄판을 이용하여, 스퀴지에 의해 도전 잉크를 개구부를 통해 압출함으로써, 제1 전극군(12)(제2 전극군(22))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기판(11)(제2 기판(21)) 상에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를 형성한다. 스크린 인쇄법 외에, 잉크젯 방식,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등의 각종 인쇄법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도전 잉크로는, 전술한 제1 전극군(12) 및 제2 전극군(22)을 형성할 때 이용되는 도전 잉크와 동등한 것을 이용한다. 또, 상기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는, 제1 전극군(12)(제2 전극군(22))의 패턴 형상, 및,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의 형상에 대응하는 정해진 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스크린 인쇄판을 이용하여, 제1 전극군(12)(제2 전극군(22))과 동시에 형성해도 좋다. 또, 인쇄법을 이용하는 대신,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 및 제1 전극군(12)(제2 전극군(22))을 동시에 형성해도 좋다.
또,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트 타입의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1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의 도트로서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도트 타입의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는, 눈에 띄기 어렵게 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투명 도전 잉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투명 도전 잉크로는, 인듐주석산화물(ITO), 산화인듐에 산화아연을 혼합한 도전성 산화물(IZO[indium zinc oxide]), 또는 산화인듐에 산화규소를 혼합한 도전성 산화물(ITSO)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립자를, 수지 성분과 용제로 이루어진 용매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유동체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의 형성에 이용하는 투명한 도전성 재료로는, PEDOT(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등의 도전성 고분자나, 카본 나노 와이어나 금속 나노 와이어 등의 극세 도전 섬유를 도전체로 하는 도전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트 타입의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도, 전술한 배선 타입의 브릿지부와 마찬가지로, 스크린 인쇄나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잉크젯 방식 등의 각종 인쇄법에 의해, 각각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15)(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25))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1 전극(12a)(제2 전극(22a))끼리를 접속하도록 인쇄하여 형성된다. 도트 타입의 브릿지부의 도트 형상으로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이나 평면에서 볼 때 타원형이어도 좋다.
또, 각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15)(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25))에 있어서 형성되는 제1 브릿지부(18)(제2 브릿지부(28))의 개수는,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15)(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25))에 포함되는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의 저항이나, 제1 전극(12a)(제2 전극(22a))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시인성을 손상하지 않도록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100 : 터치 패널 1 : 제1 면형체
11 : 제1 기판 12 : 제1 전극군
12a : 제1 전극 15 :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
18 : 제1 브릿지부 2 : 제2 면형체
21 : 제2 기판 22 : 제2 전극군
22a : 제2 전극 25 : 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
28 : 제2 브릿지부 3 : 점착층
K : 굴곡점

Claims (15)

  1.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한쪽 면측으로서 터치 위치 검출 영역 전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과, 상기 절연층의 다른쪽 면측으로서 터치 위치 검출 영역 전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구비하는 터치 패널로서,
    상기 각 제1 전극은, 서로 등간격이며, 또한, 동일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이 연장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을 따라서, 서로 등간격이며, 또한, 동일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제1 전극 및 상기 각 제2 전극은, 복수의 굴곡점을 갖는 절선(折線) 형상의 전극선이며,
    절선 형상의 상기 제1 전극에서의 임의의 굴곡점의 내각을 θ1로 하고, 절선 형상의 상기 제2 전극에서의 임의의 굴곡점의 내각을 θ2로 한 경우에, 이하의 수식의 관계를 만족하며, 상기 각 제1 전극과 상기 각 제2 전극은 서로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지 않으며,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의해 구성되는 형상이 다른 격자가 터치 위치 검출 영역 전체에 분산된 터치 패널.
    [수식] θ1-(180°-θ2) > 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전극은, 상기 절연층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제2 전극은, 제2 절연층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극이 형성되는 상기 절연층과, 상기 각 제2 전극이 형성되는 상기 제2 절연층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인 터치 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각각 동일 주기 및 동일 진폭을 갖고 있는 절선 형상의 전극선인 것인 터치 패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모두의 각 굴곡점의 내각은 90° 이상인 것인 터치 패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패턴 형상은, 각각 단일의 전극선 폭 및 전극선 피치를 갖는 반복 패턴인 것인 터치 패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정해진 개수의 상기 제1 전극을 하나의 다발로 한 것을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으로서 구성하고, 인접하는 정해진 개수의 상기 제2 전극을 하나의 다발로 한 것을 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으로서 구성하는 터치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의 양단부 또는 상기 각 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을 구성하는 복수의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을 구성하는 복수의 상기 제2 전극을 결속하는 결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터치 패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을 구성하는 서로 인접하는 제1 전극끼리를 접속하는 제1 브릿지부와, 상기 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을 구성하는 서로 인접하는 제2 전극끼리를 접속하는 제2 브릿지부를 구비하는 터치 패널.
  9.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한쪽 면측으로서 터치 위치 검출 영역 전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과, 상기 절연층의 다른쪽 면측으로서 터치 위치 검출 영역 전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구비하는 터치 패널로서,
    상기 각 제1 전극은, 서로 등간격이며, 또한, 동일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이 연장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을 따라서, 서로 등간격이며, 또한, 동일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제1 전극 및 상기 각 제2 전극은, 복수의 굴곡점을 갖는 절선 형상의 전극선이며,
    인접하는 정해진 개수의 상기 제1 전극을 하나의 다발로 한 것이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으로서 구성되고, 인접하는 정해진 개수의 상기 제2 전극을 하나의 다발로 한 것이 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을 구성하는 서로 인접하는 제1 전극끼리를 접속하는 제1 브릿지부와, 상기 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을 구성하는 서로 인접하는 제2 전극끼리를 접속하는 제2 브릿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제1 전극과 상기 각 제2 전극은 서로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지 않으며,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의해 구성되는 형상이 다른 격자가 터치 위치 검출 영역 전체에 분산된 터치 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전극은, 상기 절연층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제2 전극은, 제2 절연층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극이 형성되는 상기 절연층과, 상기 각 제2 전극이 형성되는 상기 제2 절연층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인 터치 패널.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각각 동일 주기 및 동일 진폭을 갖고 있는 절선 형상의 전극선인 것인 터치 패널.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절선 형상의 상기 제1 전극에서의 임의의 굴곡점의 내각을 θ1로 하고, 절선 형상의 상기 제2 전극에서의 임의의 굴곡점의 내각을 θ2로 한 경우에, 이하의 수식의 관계를 만족하는 터치 패널.
    [수식] θ1-(180°-θ2) > 10°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모두의 각 굴곡점의 내각은 90° 이상인 것인 터치 패널.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패턴 형상은, 각각 단일의 전극선 폭 및 전극선 피치를 갖는 반복 패턴인 것인 터치 패널.
  15.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의 양단부 또는 상기 각 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 다발형 검출용 전극을 구성하는 복수의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다발형 검출용 전극을 구성하는 복수의 상기 제2 전극을 결속하는 결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터치 패널.
KR1020147009490A 2011-09-13 2012-09-11 터치 패널 KR101665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99865 2011-09-13
JP2011199865 2011-09-13
PCT/JP2012/073147 WO2013039050A1 (ja) 2011-09-13 2012-09-11 タッチ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127A KR20140069127A (ko) 2014-06-09
KR101665210B1 true KR101665210B1 (ko) 2016-10-11

Family

ID=4788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490A KR101665210B1 (ko) 2011-09-13 2012-09-11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38878B2 (ko)
JP (1) JP5967664B2 (ko)
KR (1) KR101665210B1 (ko)
CN (1) CN103827794B (ko)
TW (1) TWI486852B (ko)
WO (1) WO20130390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0753B2 (en) 2013-01-07 2016-02-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pacitive touch surface in close proximity to display
WO2014115831A1 (ja) * 2013-01-24 2014-07-31 凸版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14191575A (ja) * 2013-03-27 2014-10-06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用電極基板、及びタッチパネル、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5844302B2 (ja) * 2013-03-27 2016-01-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893582B2 (ja) * 2013-03-27 2016-03-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4203378A (ja) * 2013-04-09 2014-10-27 ホシデン株式会社 導電シート対、およびタッチパネル
US20160092004A1 (en) * 2013-05-16 2016-03-31 Mitsubishi Paper Mills Limited Conductive pattern and electrode pattern of single-layer capacitive touchscreen
CN103336609B (zh) * 2013-06-17 2016-05-18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触控面板及触控显示装置
US9715314B2 (en) 2013-06-24 2017-07-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pacitive touch sensor having pseudo jumpers
US9377646B2 (en) * 2013-06-24 2016-06-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pacitive touch sensor having oblique electrode matrix
JP5943023B2 (ja) * 2013-07-08 2016-06-29 凸版印刷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6084127B2 (ja) * 2013-07-22 2017-02-22 グンゼ株式会社 電極付透明面状基材及びタッチパネル
KR101502910B1 (ko) 2013-08-30 2015-03-16 크루셜텍 (주) 터치 검출 및 시인성 개선을 위한 터치 검출 장치
JP5622160B1 (ja) * 2013-12-19 2014-11-12 グンゼ株式会社 面状体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5152946A (ja) * 2014-02-10 2015-08-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電極基板、及びタッチパネル、ならびに表示装置
KR101527321B1 (ko) * 2014-02-26 2015-06-09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터치 패널
JP2015161985A (ja) * 2014-02-26 2015-09-0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6225793B2 (ja) * 2014-03-28 2017-11-08 凸版印刷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KR102381795B1 (ko) * 2014-04-15 2022-03-31 가부시키가이샤 브이티에스 터치센서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JP6264180B2 (ja) * 2014-04-30 2018-01-24 凸版印刷株式会社 センサー基材の組み合わせ選定システム、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の製造装置及び検査装置
US10042498B2 (en) * 2014-05-08 2018-08-07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of producing position input device
JP2015232819A (ja) * 2014-06-10 2015-12-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センサ付き表示装置
JP2015232818A (ja) 2014-06-10 2015-12-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センサ付き表示装置
KR101605622B1 (ko) * 2014-07-15 2016-03-23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터치 패널
GB2529898B (en) * 2014-09-08 2016-08-31 Touchnetix Ltd Touch sensors
JP6466677B2 (ja) * 2014-09-22 2019-02-06 株式会社Vtsタッチセンサー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CN105607791A (zh) 2014-11-13 2016-05-25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导线结构与感测元件
KR101658932B1 (ko) * 2014-11-27 2016-09-22 주식회사 아모센스 터치 스크린 패널
CN105892772A (zh) * 2014-12-31 2016-08-24 苏州泛普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薄膜触控感应屏
JP2016126730A (ja) * 2015-01-08 2016-07-11 凸版印刷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16126731A (ja) * 2015-01-08 2016-07-11 凸版印刷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6506992B2 (ja) 2015-03-13 2019-04-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検出装置及び表示装置
KR102456050B1 (ko) * 2015-09-16 2022-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WO2017056977A1 (ja) * 2015-09-29 2017-04-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
TWI563886B (en) 2015-10-28 2016-12-21 Ind Tech Res Inst Insulating colloidal material and multilayer circuit structure
TWI601044B (zh) * 2016-03-04 2017-10-0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面板
KR101919554B1 (ko) * 2016-04-28 2018-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1579901S (ko) * 2016-06-14 2017-06-26
CN107562249B (zh) * 2016-07-01 2024-04-30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US20180067578A1 (en) * 2016-09-02 2018-03-08 Innolux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JP2018067228A (ja) * 2016-10-21 2018-04-26 凸版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CN108062187A (zh) * 2016-11-07 2018-05-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结构及其制作方法和触控装置
JP6511127B2 (ja) 2017-01-05 2019-05-15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Dongwoo Fine−Chem Co., Ltd. タッチセンシング電極構造物及びそれを含むタッチセンサー
KR102310733B1 (ko) * 2017-05-19 2021-10-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싱 전극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USD888012S1 (en) * 2017-06-13 2020-06-23 Crestron Electronics, Inc. Speaker cover grille
JP2019008606A (ja) * 2017-06-26 2019-01-17 株式会社Vtsタッチセンサー 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EP3650999B1 (en) * 2017-07-05 2023-10-18 Sekisui Polymatech Co., Ltd. Capacitance-type touch panel
CN109426399B (zh) * 2017-09-05 2022-03-01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CN109462390A (zh) * 2018-11-06 2019-03-12 浙江金池科技有限公司 薄膜式触控开关
CN109656411B (zh) * 2018-12-17 2020-08-1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
US11573599B2 (en) 2020-06-11 2023-02-07 Apple Inc. Electrical connectors for electronic devices
TWI748621B (zh) * 2020-08-28 2021-12-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裝置
JP2022091297A (ja) * 2020-12-09 2022-06-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配線基板の生産方法及び配線基板
WO2022163955A1 (ko) * 2021-02-01 2022-08-04 주식회사 오몰래 키 입력 장치, 키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스마트 매트, 인터렉티브 피트니스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E102022122745A1 (de) 2022-09-07 2024-03-07 Ams-Osram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zum erzeugen von leiterbahnen und transparente verbundscheib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6626A (ja) 2002-08-27 2004-03-18 Tokai Rika Co Ltd タッチパネルスイッチ
US20080150906A1 (en) 2006-12-22 2008-06-26 Grivna Edward L Multi-axial touch-sensor device with multi-touch resolution
JP2010039537A (ja) * 2008-07-31 2010-02-18 Gunze Ltd 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5346B2 (ja) * 1992-10-28 2001-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透明タッチパネル
JPH11110115A (ja) * 1997-09-30 1999-04-23 Fujitsu General Ltd デジタイザ装置
JP4889685B2 (ja) * 2008-06-04 2012-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CN101634916B (zh) * 2008-07-22 2011-06-15 介面光电股份有限公司 具有图像层的触控面板结构
CN101339481A (zh) * 2008-08-14 2009-01-07 成都吉锐触摸技术股份有限公司 电阻阵列触摸屏
JP4869309B2 (ja) * 2008-09-05 2012-02-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ッチスクリーン、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US8493337B2 (en) * 2008-09-22 2013-07-23 Ritfast Corporation Light transmission touch panel
JP2010231533A (ja) * 2009-03-27 2010-10-14 Citizen Electronics Co Ltd 透明電極基板及びそれ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
KR101633034B1 (ko) * 2009-10-23 2016-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8599150B2 (en) 2009-10-29 2013-12-03 Atmel Corporation Touchscreen electrode configuration
US20110102331A1 (en) * 2009-10-29 2011-05-05 Qrg Limited Redundant touchscreen electrodes
US9052786B2 (en) 2009-11-24 2015-06-09 Fujifilm Corporation Conductive sheet, usage method of conductive sheet and capacitive type touch panel
JP5638399B2 (ja) * 2010-01-28 2014-12-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シート、導電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6626A (ja) 2002-08-27 2004-03-18 Tokai Rika Co Ltd タッチパネルスイッチ
US20080150906A1 (en) 2006-12-22 2008-06-26 Grivna Edward L Multi-axial touch-sensor device with multi-touch resolution
JP2010039537A (ja) * 2008-07-31 2010-02-18 Gunze Ltd 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60856A1 (en) 2014-12-11
JP5967664B2 (ja) 2016-08-10
TWI486852B (zh) 2015-06-01
JPWO2013039050A1 (ja) 2015-03-26
US9338878B2 (en) 2016-05-10
CN103827794A (zh) 2014-05-28
KR20140069127A (ko) 2014-06-09
TW201317877A (zh) 2013-05-01
CN103827794B (zh) 2016-06-08
WO2013039050A1 (ja)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210B1 (ko) 터치 패널
US10838559B2 (en) Touch sensor electrode with patterned electrically isolated regions
US11822750B2 (en) Touch screen sensor
US10019110B2 (en) Mesh patterns for touch sensor electrodes
TWI446229B (zh) 觸控螢幕感測器
KR20160074609A (ko) 도전 시트,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KR20130073897A (ko) 감지 장치를 위한 집적된 수동 회로 요소
JP5622160B1 (ja) 面状体及びタッチパネル
KR102187923B1 (ko) 터치 윈도우
KR101878858B1 (ko) 입력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70443B1 (ko) 터치패널의 전극 패턴
CN104380232A (zh) 电阻膜式触摸面板以及触摸面板装置
JP2021039863A (ja) 配線体、配線板、及び、タッチ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