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924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924B1
KR101634924B1 KR1020090124697A KR20090124697A KR101634924B1 KR 101634924 B1 KR101634924 B1 KR 101634924B1 KR 1020090124697 A KR1020090124697 A KR 1020090124697A KR 20090124697 A KR20090124697 A KR 20090124697A KR 101634924 B1 KR101634924 B1 KR 101634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conductor
section
shield case
discharge
char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7913A (ko
Inventor
곽준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4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924B1/ko
Priority to EP10187471.7A priority patent/EP2341399B1/en
Priority to US12/904,393 priority patent/US8521052B2/en
Publication of KR2011006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9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corona discharge devices, e.g. wires, pointed electrodes, means for cleaning the corona discharge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2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 G03G2215/026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by coronas
    • G03G2215/028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by coronas using pointed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감광체를 대전하는 코로나 대전장치에 있어서, 감광체의 표면과 코로나 대전장치 사이 공간을 대부분 밀폐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차폐부재와, 외기의 기류를 외기유입공 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방전생성물에 의한 감광체의 손상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코로나 대전장치를 사용하는 현상기 조립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매체에 레이저 빔을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사함으로써 정전잠상을 형성시키고, 그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얻은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여 원하는 화상을 형성한다.
감광매체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것으로서 코로나 대전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코로나 대전장치에 의해 코로나 방전이 행하여지는 경우 발생하는 방전생성물은 감광매체의 표면에 흡착되어 정상적인 화상을 형성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코로나 대전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방전생성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화상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코로나 대전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방전생성물에 의해 야기되는 화상불량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근접하게 배치된 코로나 대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코로나 대전장치는 방전핀;과, 상기 방전핀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되, 제1부문, 상기 감광체의 회전방향 하류측에 상기 제1부문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부문, 상기 감광체와 마주보는 측이 개구된 개구부와, 상기 쉴드케이스 내부에 흡입 압력이 작용하도록 개구된 배기구를 갖는 쉴드케이스;와, 상기 쉴드케이스의 제2부문 상단부와 상기 감광체 사이의 간격을 줄임으로써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공을 형성하는 제1차폐부재;와, 상기 쉴드케이스 외부의 공기를 상기 외기유입공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2부문 외측에서 돌출된 가이드면을 갖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로나 대전장치는 상기 쉴드케이스의 제1부문 상단부와 상기 감광체 사이 간격을 차폐하는 제2차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공의 간극은 1.5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광체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코로나 대전장치에 의해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로나 대전장치는 상기 쉴드케이스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폐부재는 강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차폐부재는 연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면이 상기 제2부문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된 수평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θ)는 1~90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단으로부터 상기 일단의 반대편 타단까지 상기 제1부문의 표면을 따라 연장된 길이(CL)에 대한 일단으로부터 상기 일단의 반대편 타단까지 상기 가이드면의 표면을 따라 연장된 길이(L)의 비율은 0.3 내지 2.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광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광체하우징과,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쉴드케이스 내부의 방전생성물을 흡입하도록 상기 감광체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코로나 대전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흡기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덕트에 의해 흡입된 방전생성물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흡기덕트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며 상기 흡입 압력을 생성하는 흡입팬이 설치된 배기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회전하는 감광체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흡입력을 생성하는 흡입팬에 의해 방전생성물이 배기되며,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단에서 연장 형성된 제1부문 및 제2부문을 갖는 쉴드케이스와, 상기 제1부문과 상기 제2부문 사이에 배치되는 방전핀을 갖는 코로나 대전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대전장치는 상기 감광체의 회전방향 하류측과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2부문 상단부와 상기 감광체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외기유입공의 간격을 1.5mm 이내로 형성하도록 상기 제2부문 상단부에 결합된 제1차폐부재와, 상기 감광체의 회전방향 상류측과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부문 상단부와 상기 감광체 표면 사이 간격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연질의 제2차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폐부재는 강질의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부문의 외측에는 상기 쉴드케이스 외부의 공기가 상기 외기유입공 측으로 안내되도록 외부의 공기가 표면을 따라 흐르는 가이드면을 갖는 가이드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회전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의 주변에 배치되며, 방전핀과, 상기 방전핀을 감싸는 쉴드케이스와, 상기 쉴드케이스의 상기 감광체 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스크린과, 상기 방전핀에 의해 생성되는 방전생성물이 흡입팬의 흡입력에 의해 배기되는 배기구를 구비한 코로나 대전장치와, 상기 감광체의 하방에 설치되며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코로나 대전장치는 상기 감광체의 회전방향 하류측과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쉴드케이스의 제2부문의 상단부와 상기 감광체 표면 사이의 간격을 줄여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공을 형성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2부문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감광체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차폐부재 와, 상기 감광체의 회전방향 상류측과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쉴드케이스의 제1부문의 상단부와 상기 감광체 표면 사이의 간격을 차폐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1부문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하는 연질의 제2차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폐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외기유입공의 간극은 1.5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부문의 외측에는 상기 광주사유닛으로부터 불어오는 기류를 상기 외기유입공 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대전장치 내부의 흡입 압력 증가 및 외부의 기류를 효율적으로 이용함에 따라 외부의 신선한 공기의 흡입을 가속화시킬 수 있어 대전장치 내부에서 정체되는 방전생성물에 의한 감광체의 손상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대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독취하 는 화상독취유닛(2)과, 화상을 용지에 인쇄하는 인쇄장치(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쇄장치(3)는 화상독취유닛(2)에서 입력되는 신호나 PC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본체(10), 급지유닛(20), 광주사유닛(30), 감광체(40K, 40C, 40M, 40Y), 대전장치(50K, 50C, 50M, 50Y), 현상제 공급부(60K, 60C, 60M, 60Y), 전사유닛(70), 현상제 회수부(80K, 80C, 80M, 80Y), 정착유닛(90), 배지유닛(93) 및 양면인쇄유닛(95)을 포함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급지유닛(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S)를 전사유닛(7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할 수 있다.
광주사유닛(30)은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광을 감광체(40K, 40C, 40M, 40Y)에 조사하여 감광체(40K, 40C, 40M, 40Y)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감광체(40K, 40C, 40M, 40Y)는 광주사유닛(30)으로부터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대전장치(50K, 50C, 50M, 50Y)에 의해 소정전위로 대전되며, 광주사유닛(30)으로부터 주사된 광에 의해 각 감광체(40K, 40C, 40M, 40Y)의 표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제 공급부(60K, 60C, 60M, 60Y)는 감광체(40K, 40C, 40M, 40Y)들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각 현상제 공급부(60K, 60C, 60M, 60Y)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 면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를 각각 수용할 수 있다.
현상제공급부(60Y)는 내부에 현상제수용실(62) 및 교반실(63)이 구비되는 케이스(61)와, 교반실(63)에 수용되는 이송부재(64a, 64b)와, 교반실(63)의 현상제를 감광체(40Y)에 공급하는 현상롤러(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공급부(60Y)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설명된 내용은 다른 블랙, 시안, 마젠타 색상의 현상제 공급부(60K, 60C, 60M)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전사유닛(70)은 중간전사벨트(71), 제1전사롤러(72)들 및 제2전사롤러(73)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체(40K, 40C, 40M, 40Y)들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제1전사롤러(72)들에 의해 중간전사벨트(71)로 전사되고, 중간전사벨트(71)의 화상은 급지유닛(20)으로부터 공급되어 제2전사롤러(73)와 중간전사벨트(71)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에 전사된다.
현상제 회수부(80K, 80C, 80M, 80Y)는 중간전사벨트(71)에 전사되지 아니하고 감광체(40K, 40C, 40M, 40Y)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회수한다.
정착유닛(90)은 가열부재(91)와 가압롤러(9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재(91)는 가열원이 내장된 롤러 타입으로 이루어지거나 가열원에 가열되는 벨트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인쇄매체(S)는 가열부재(91)와 가압롤러(92)의 사이를 통과하고, 이 때 열과 압력에 의해 화상이 인쇄매체(S)에 고정된다.
정착유닛(90)을 통과한 인쇄매체(S)는 배지유닛(93)으로 안내되고, 배지롤러(93a)에 의해 인쇄장치(3)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양면인쇄유닛(95)은 인쇄매체(S)의 양면을 모두 인쇄할 수 있도록 일면에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S)를 다시 제2전사롤러(73)와 중간전사벨트(71) 사이를 통과하도록 반송할 수 있다.
이러한 양면인쇄유닛(95)은 인쇄매체(S)의 반송경로를 형성하는 양면인쇄 가이드(95a)와, 인쇄매체(S)의 반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인쇄매체(S)를 이송하는 반송롤러(95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양면인쇄 시에는 일면에 화상 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S)가 배지롤러(93a)에 의해 배지되다가 특정 시점에서 반전되어 양면인쇄 가이드(95a)로 안내되고, 반송롤러(95b)들에 의해 다시 제2전사롤러(73)와 중간전사벨트(71) 사이를 통과하도록 이송되어 반대측 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상기조립체와 메인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전장치와 흡기덕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는 감광체(40Y), 현상제 공급부(60Y), 폐현상제 회수부(80Y) 및 대전장치(50Y)를 가지는 현상기 조립체(100)를 포함하며, 현상기 조립체(100)는 현상제 보충, 부품교환 시에 선택적으로 본체에 착탈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배기덕트(120)와 연결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가 저장되어 옐로우 색상의 가시화상이 담지되는 감광체(40Y)가 구비된 현상기 조립체(100)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하의 내용은 다른 색상의 현상기 조립체(1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감광체(40Y)는 감광체하우징(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현상제공급부(60Y)는 내부에 현상제수용실(62) 및 교반실(63)이 구비되는 케이스(61)와, 교반실(63)에 수용되는 이송부재(64a,64b)와, 교반실(63)의 현상제를 감광체(40Y)에 공급하는 현상장치(65)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제수용실(62)에 적재되는 현상제(T)는 교반실(63)로 공급되어 두 이송부재(64a,64b)에 의해 교반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현상제(T)는 캐리어(C)와 마찰되어 전기적으로 대전되고, 정전 대전된 현상제는 현상장치(65)를 거쳐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40Y)에 정전 부착되어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폐현상제 회수부(80Y)는 감광체(40Y)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긁어내어 회수하는 클리닝블레이드(82)와, 회수된 폐현상제가 저장되도록 감광체하우징(41)에 마련되는 회수실(81)과, 회수실(81)에 저장된 폐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부재(8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대전장치(50Y)는 제전장치(67)에 의해 제전된 감광체(40Y)를 소정전위로 대전시키는 것으로서,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는 코로트 론, 스코로트로, 디코로토론 등과 같은 코로나 대전장치(50Y)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로나 대전장치(50Y)는 고전압을 인가받아 코로나 방전을 수행하는 방전핀(51)과, 방전핀(51)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쉴드케이스(52)를 포함할 수 있다.
쉴드케이스(52)는 감광체(40Y)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감광체(40Y)와 마주보는 측이 개구된 단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쉴드케이스(52)는 바닥면(52a)과, 바닥면(52a)의 양단에서 연장된 제1부문(52b) 및 제2부문(52c)을 구비하여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쉴드케이스(52)의 개구된 측은 감광체(40Y)의 표면에 대하여 소정 갭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쉴드케이스(52)의 바닥면(52a)에는 쉴드케이스(52) 내부의 방전생성물이 배기되는 배기구(53)가 마련되고, 쉴드케이스(52)의 감광체 측 개구부에는 스크린(54)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코로나 대전장치(50Y)는 방전핀(51)에 대략 7kv 정도의 고전압이 인가되고, 쉴드케이스(52)에는 감광체(40Y)를 대전시키고자 하는 전위 즉, 600v 내지 700v 정도의 전압이 일정하게 인가됨으로써 감광체(40Y)의 표면은 방전핀(51)의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전류에 의해 대전되게 된다.
이때, 쉴드케이스(52)의 내부에는 코로나 방전에 의한 오존, NOx 등의 방전생성물이 발생되고, 이러한 방정생성물은 감광체(40Y)의 표면에 흡착되어 정상적인 화상이 형성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쉴드케이스(52) 내부에 생성되는 방전생성물의 배기를 위한 흡기덕트(110)와, 흡기덕트(110)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121)이 설치된 배기덕트(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기덕트(110)는 감광체하우징(41)과 일체로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111)과, 베이스프레임(111)의 개구를 덮으며 복수개의 흡기구(113)가 형성된 커버(112)를 구비함으로써 방전생성물이 이동되는 유로(114)가 마련되고, 흡기덕트(110)의 유로(114)는 배기덕트(120)의 결합부(123)를 통해 배기덕트(120)와 연통되게 된다.
또한, 배기덕트(120)에는 흡입팬(121)의 흡입력에 의해 흡기구(113)를 통해 유입된 방전생성물을 거르는 필터(12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쉴드케이스(52) 내부의 방전생성물은 흡입팬(121)의 흡입력에 의해 배기구(53)로 토출된 후 흡기덕트(110)와 배기덕트(120)를 통해 화상형성장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쉴드케이스(52) 내부에는 방전핀(51)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풍, 감광체(40Y)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 광주사유닛(30)의 팬에 의한 기류 및 방전생성물을 배기하는 흡입팬(121)에 의한 기류 등 이들 서로간의 간섭이나 압력차에 따라서 와류와 같은 복잡한 유동결과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와류는 방전생성물의 배기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쉴드케이스(52) 내부에 방전생성물이 정체되게 하고, 정체된 방전생성물은 감광체(40Y)의 표면에 흡착되어 화상 불량을 야기함과 동시에 감광체(40Y)의 회전기류에 의해 쉴드케이스(52) 외부로 배출되어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대전장치(50Y)는 쉴드케이스(52) 내부의 흡입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감광체(40Y)의 회전방향 하류측과 근접하게 배치된 쉴드케이스(52)의 제2부문(52c) 상단부와 감광체(40Y) 사이의 간격을 줄이는 제1차폐부재(140)와, 감광체(40Y)의 회전방향 상류측과 근접하게 배치된 쉴드케이스(52)의 제1부문(52b) 상단부와 감광체(40Y) 사이의 간격을 차폐하는 제2차폐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차폐부재(130)는 일단이 제1부문(52b)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감광체(40Y)의 표면에 접촉하는 연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차폐부재(140)는 일단이 제2부문(52c)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타단이 감광체(40Y)의 표면으로부터 소정간격(G) 이격되게 배치된 강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차폐부재(140)와 감광체(40Y)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G)은 감광체(40Y)의 대전 불량을 방지함과 동시에 쉴드케이스(52)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공간인 외기유입공(G)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외기유입공(G)을 형성하는 간극(G)은 대략 1.5mm 이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선호되며, 이 경우 쉴드케이스(52) 내부에는 저압이 형성되어 흡입 압력이 증가됨에 따라 외기유입공(G)을 통한 신선한 외기의 유입은 가속화되게 된다.
이에 의해 쉴드케이스(52) 내부에 생성되는 방전생성물은 감광체(40Y)의 표면 근처에 정체되지 않게 되므로 방전생성물에 의한 감광체(40Y)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대전장치(50Y)는 광주사유닛(30)으로부터 불어오는 기류 를 외기유입공(G) 측으로 안내되도록 제2부문(52c)의 외측 상부에 마련된 가이드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50)에는 외기가 표면을 따라 흐르도록 제2부문(52c)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제2부문(52c) 외측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면(151)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면(151)은 제2부문(52c)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된 수평선(153)에 대하여 대략 1도 내지 90도 사이의 각도(θ)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쉴드케이스(52)의 제2부문(52c) 일단에서 반대편 타단까지 표면을 따라 연장된 길이(CL)에 대한 가이드면(151)의 일단에서 반대편 타단까지 표면을 따라 연장된 길이(L)의 비율은 0.3~2.0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전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전장치에서의 유동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감광체(40Y)를 소정전위로 대전시키는 경우 코로나 대전장치(50Y)의 쉴드케이스(52) 내에는 오존, NOx 등과 같은 방전생성물이 발생되고, 이러한 방전생성물이 포함된 쉴드케이스(52) 내부의 공기는 배기덕트(120)에 설치된 흡입팬(121)의 용입력에 의해 쉴드케이스(52)의 배기구(53)를 통해 배출된 후 흡기덕트(110) 및 배기덕트(120)의 필터(122)를 통해 본체(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대전장치(50Y)는 감광체(40Y)의 표면에 근접하게 배치된 쉴드케이스(52)의 개구부와 감광체(40Y) 사이의 공간은 제2차폐부재(130) 및 제1차 폐부재(140)에 의해 대부분 밀폐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쉴드케이스(52) 내부의 흡입 압력은 증가하게 되고, 이에 의해 공기유입공(G)측으로 외기의 유입이 신속히 이루어지게 되므로 쉴드케이스(52) 내부에서 방전생성물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갑작스런 정전에 의하여 흡입팬(121)의 작동이 정지된 경우에도 본 실시예의 쉴드케이스(52) 내부 및 외부는 큰 압력차가 형성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쉴드케이스(52) 외부의 신선한 공기는 공기유입공(G)을 통해 쉴드케이스(52) 내부로 유입되고, 이에 의해 쉴드케이스(52) 내부 상측에 정체된 방전생성물은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방전생성물이 공기유입공(G) 측으로 배출되거나 감광체(40Y)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쉴드케이스(52)의 하측의 공기의 흐름은 가이드부재(150)의 가이드면(151)을 따라 공기유입공(G) 측으로 흐르게 되므로 쉴드케이스(5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감광체하우징(41)의 하부에 배치된 광주사유닛(30)의 팬으로부터 대전장치(50Y)측으로 불어오는 기류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쉴드케이스(52) 내부의 방전생성물에 의한 감광체의 손상 및 오염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형성장치는 가이드면(151)이 수평선(153)에 대하여 1도 내지 90도 사이의 각도를 이루며, 가이드면(151)의 길이(L)에 대한 제2부문(52c)의 길이(CL)의 비율이 0.3~2.0 사이에서 형성되고, 공기유입공(G)의 간극이 1.5mm 이내에서 형성된 경우 외기유입공(G) 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효과는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대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상기조립체와 메인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전장치와 흡기덕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감광체와 대전장치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전장치에서의 유동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화상형성장치 3 인쇄장치
10 본체 20 급지유닛
30 광주사유닛 40Y 감광체
50Y 대전장치 52 쉴드케이스
53 배기구 60Y 현상제공급부
70 전사유닛 80Y 폐현상제회수부
90 정착유닛 100 현상기조립체
110 흡기덕트 111 베이스프레임
112 커버 113 흡입구
114 유로 120 배기덕트
121 흡입팬 130 제2차폐부재
140 제1차폐부재 150 가이드부재
151 가이드면 G 외기유입공

Claims (17)

  1.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근접하게 배치된 코로나 대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코로나 대전장치는,
    방전핀;과,
    상기 방전핀을 감싸는 쉴드케이스;와,
    상기 감광체의 회전방향 하류측에 배치된 상기 쉴드케이스의 제2부문의 상단부와 상기 감광체 사이의 간격을 줄임으로써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공을 형성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2부문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감광체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차폐부재;와,
    상기 쉴드케이스 외부의 공기를 상기 외기유입공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쉴드케이스 외측에서 돌출된 가이드면을 갖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부문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상기 쉴드케이스의 제1부문의 상단부와 상기 감광체 사이 간격을 차폐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1부문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2차폐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케이스는 상기 감광체와 마주보는 측이 개구된 개구부와, 상기 쉴드케이스 내부에 흡입 압력이 작용하도록 개구된 배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공의 간극은 1.5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코로나 대전장치에 의해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대전장치는 상기 쉴드케이스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부재는 강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차폐부재는 연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이 상기 제2부문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된 수평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θ)는 1~90도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일단으로부터 상기 일단의 반대편 타단까지 상기 제1부문의 표면을 따라 연장된 길이(CL)에 대한 일단으로부터 상기 일단의 반대편 타단까지 상기 가이드면의 표면을 따라 연장된 길이(L)의 비율은 0.3 내지 2.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광체하우징과,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쉴드케이스 내부의 방전생성물을 흡입하도록 상기 감광체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코로나 대전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흡기덕트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덕트에 의해 흡입된 방전생성물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흡기덕트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며 상기 흡입 압력을 생성하는 흡입팬이 설치된 배기덕트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회전하는 감광체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흡입력을 생성하는 흡입팬에 의해 방전생성물이 배기되며,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단에서 연장 형성된 제1부문 및 제2부문을 갖는 쉴드케이스와, 상기 제1부문과 상기 제2부문 사이에 배치되는 방전핀을 갖는 코로나 대전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대전장치는 상기 감광체의 회전방향 하류측과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2부문 상단부와 상기 감광체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외기유입공의 간격을 1.5mm 이내로 형성하도록 상기 제2부문 상단부에 결합된 제1차폐부재와,
    상기 감광체의 회전방향 상류측과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부문 상단부와 상기 감광체 표면 사이 간격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1부문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하는 연질의 제2차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부재는 강질의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문의 외측에는 상기 쉴드케이스 외부의 공기가 상기 외기유입공 측으로 안내되도록 외부의 공기가 표면을 따라 흐르는 가이드면을 갖는 가이드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회전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의 주변에 배치되며, 방전핀과, 상기 방전핀을 감싸는 쉴드케이스와, 상기 쉴드케이스의 상기 감광체 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스크린과, 상기 쉴드케이스 내부에 흡입 압력이 작용하도록 개구된 배기구를 구비한 코로나 대전장치와,
    상기 감광체의 하방에 설치되며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코로나 대전장치는 상기 감광체의 회전방향 하류측과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쉴드케이스의 제2부문의 상단부와 상기 감광체 표면 사이의 간격을 줄여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공을 형성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2부문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감광체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강질의 제1차폐부재와, 상기 감광체의 회전방향 상류측과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쉴드케이스의 제1부문의 상단부와 상기 감광체 표면 사이의 간격을 차폐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1부문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하는 연질의 제2차폐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외기유입공의 간극은 1.5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문의 외측에는 상기 광주사유닛으로부터 불어오는 기류를 상기 외기유입공 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90124697A 2009-12-15 2009-12-15 화상형성장치 KR101634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697A KR101634924B1 (ko) 2009-12-15 2009-12-15 화상형성장치
EP10187471.7A EP2341399B1 (en) 2009-12-15 2010-10-13 Image forming apparatus
US12/904,393 US8521052B2 (en) 2009-12-15 2010-10-14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697A KR101634924B1 (ko) 2009-12-15 2009-12-15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913A KR20110067913A (ko) 2011-06-22
KR101634924B1 true KR101634924B1 (ko) 2016-07-01

Family

ID=4379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697A KR101634924B1 (ko) 2009-12-15 2009-12-15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21052B2 (ko)
EP (1) EP2341399B1 (ko)
KR (1) KR1016349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327B1 (ko) * 2008-12-18 2015-05-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독취장치
JP5834724B2 (ja) * 2011-09-30 2015-12-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873995B2 (en) * 2012-04-04 2014-10-28 Lexmark International, Inc. Input port for a cooling system of an imaging unit
JP6402989B2 (ja) * 2014-07-25 2018-10-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848294B2 (ja) * 2016-09-21 2021-03-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送風管、送風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106888B2 (ja) * 2018-02-23 2022-07-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カートリッジ
JP7215103B2 (ja) * 2018-11-19 2023-01-3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1021836A (ja) * 2019-07-26 2021-02-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10019A (ja) * 2007-06-14 2008-12-2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2009157299A (ja) * 2007-12-28 2009-07-16 Brother Ind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0170A (ja) * 1984-08-20 1986-03-12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4128774A (ja) * 1990-09-19 1992-04-30 Ricoh Co Ltd 電子写真装置のオゾン除去装置
JPH04178666A (ja) * 1990-11-13 1992-06-25 Murata Mach Ltd コロナ帯電器
JPH0635251A (ja) * 1992-07-22 1994-02-10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6289692A (ja) * 1993-03-31 1994-10-18 Minolta Camera Co Ltd 帯電装置
JPH08106198A (ja) * 1994-10-04 1996-04-23 Konica Corp コロナ帯電装置
JPH08171254A (ja) * 1994-12-15 1996-07-02 Konica Corp 帯電装置
JPH11305522A (ja) * 1998-04-24 1999-11-05 Canon Inc 帯電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1154453A (ja) * 1999-11-26 2001-06-08 Nec Niigata Ltd スコロトロン帯電装置
KR100619073B1 (ko) * 2005-04-04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7546060B2 (en) * 2005-10-20 2009-06-09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ttaching method of charger unit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4618363B2 (ja) * 2008-10-30 2011-01-2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10019A (ja) * 2007-06-14 2008-12-2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2009157299A (ja) * 2007-12-28 2009-07-16 Brother Ind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41399B1 (en) 2019-02-20
EP2341399A3 (en) 2011-11-09
US8521052B2 (en) 2013-08-27
EP2341399A2 (en) 2011-07-06
KR20110067913A (ko) 2011-06-22
US20110142481A1 (en)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924B1 (ko) 화상형성장치
US7512355B2 (en) Ozone exhaust system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7242002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919678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9020573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558901B1 (ko)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5230681B2 (ja)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78211B2 (ja) 画像形成装置
JP5403988B2 (ja) 現像装置
CN111077754B (zh) 显影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JP5106191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207723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821140B2 (ja) 画像形成装置
JP487588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6080930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218030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00053085A (ko) 화상형성장치
JP4532832B2 (ja) 画像形成装置
US9280095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eal member with non-contact portion
US11237500B2 (en) Developing device with structure to prevent scattering toner using magnetic repulsive force
CN111694253A (zh) 图像形成装置
JP2023142904A (ja) 画像形成装置
JP202118539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CN116841144A (zh) 图像形成装置
JP2002258610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