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3085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3085A
KR20100053085A KR1020080112060A KR20080112060A KR20100053085A KR 20100053085 A KR20100053085 A KR 20100053085A KR 1020080112060 A KR1020080112060 A KR 1020080112060A KR 20080112060 A KR20080112060 A KR 20080112060A KR 20100053085 A KR20100053085 A KR 20100053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duct
upstream
downstream
charging device
photosensi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충국
박기주
백성구
김헌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2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3085A/ko
Publication of KR20100053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5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provided with means for the maintenance of the charging apparatus, e.g. cleaning devices, ozone removing devices G03G15/0225, G03G15/0291 takes precede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장치의 오존제거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상기 대전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기덕트와, 상기 대전장치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흡기덕트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흡입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흡기덕트의 단위길이에 포함된 흡입구들의 총 단면적은 흡기덕트를 통과하는 유동의 상류 및 하류에서 서로 상이하게 마련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광체의 대전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존 등의 부산물의 제거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부를 이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용지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유닛을 거쳐 용지에 전사되고, 용지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용지에 고정된다. 이때, 감광체를 소정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방식에는 대전롤러방식, 코로나방전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코로나방전방식에서는 방전의 부산물로서 오존, NOX 등이 발생하며, 이러한 부산물은 대전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오존 등의 부산물은 감광체에 증착될 수 있고, 오존 등이 증착된 감광체의 표면은 대전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뿐 만 아니라 정전잠상, 가시화상 등이 잘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품질향상을 위해 오존 등의 방전 부산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존 등의 방전 부산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소정 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유닛과,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제 공급부와, 상기 대전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기덕트와, 상기 대전장치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흡기덕트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흡입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흡기덕트의 단위길이에 포함된 흡입구들의 총 단면적은 흡기덕트를 통과하는 유동의 상류 및 하류에서 서로 상이하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흡기덕트의 단위길이에 포함된 흡입구들의 총 단면적은 상기 흡기덕트 내 유동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덕트 내 유동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상기 흡입구들의 단면적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덕트 내 유동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상기 흡입구들 사이의 간격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덕트 내 유도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상기 흡기덕트의 단 면적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흡기덕트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흡기덕트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메인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덕트의 일측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 및 상기 흡입구들을 통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소정 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유닛과,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제 공급부와, 상기 대전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기덕트와, 상기 대전장치의 작동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이 흡입되도록 상기 흡기덕트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슬릿들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들 사이의 간격 또는 상기 슬릿들의 폭은 상기 흡기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기덕트 내 유동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상기 슬릿들의 폭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유닛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되며,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제 공급부;와, 상기 대전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측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슬릿을 통해 상기 대전장치로부터 발생된 오존을 흡입하는 흡기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덕트의 단위길이에 포함된 슬릿들의 총 단면적은 흡기덕트를 통과하는 유동의 상류 및 하류에서 서로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기덕트 내 유동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상기 슬릿들의 폭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덕트 내 유동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상기 슬릿들 사이의 간격은 점차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현상기유닛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됨에 따라, 상기 흡기덕트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마련되는 메인덕트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전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며, 대전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오존을 흡입하는 흡기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덕트는 복수 개의 슬릿을 구비하며, 상기 흡기덕트의 단위길이에 포함된 슬릿들의 총 단면적은 흡기덕트를 통과하는 유동의 상류 및 하류에서 서로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기덕트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에서 생성되는 오존을 흡입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며, 복수 개의 슬릿을 구비하며, 상기 흡기덕트의 단위길이에 포함된 슬릿들의 총 단면적은 흡기덕트를 통과하는 유동의 상류 및 하류에서 서로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오존 등의 방전부산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독취하는 화상독취유닛(2)과, 화상을 용지에 인쇄하는 인쇄장치(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쇄장치(3)는 화상독취유닛(2)에서 입력되는 신호나 PC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본체(10), 급지유닛(20), 광주사유닛(30), 감광체(40K, 40C, 40M, 40Y), 대전장치(50K, 50C, 50M, 50Y), 현상제 공급부(60K, 60C, 60M, 60Y), 전사유닛(70), 현상제 회수부(60K, 60C, 60M, 60Y), 정착유닛(90) 및 배지유닛(93)을 구비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급지유닛(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S)를 전사유 닛(5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유닛(30)은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광을 감광체(40K, 40C, 40M, 40Y)에 조사하여 감광체(40K, 40C, 40M, 40Y)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감광체(40K, 40C, 40M, 40Y)는 광주사유닛(30)으로부터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대전장치(50Y)에 의해 소정전위로 대전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광주사유닛(30)으로부터 주사된 광에 의해 각 감광체(40K, 40C, 40M, 40Y)의 표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대전장치(50K, 50C, 50M, 50Y)는 코로나방전을 이용하는 대전장치의 일 종류인 스코로트론(scorotoron)방식 대전장치이며,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코로나방전의 부산물인 오존, NOX 등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해 오존 흡입용 흡기덕트(11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후반부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현상제 공급부(60K, 60C, 60M, 60Y)는 감광체(40K, 40C, 40M, 40Y)들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각 현상제 공급부(60K, 60C, 60M, 60Y)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를 각각 수용한다.
전사유닛(70)은 중간전사벨트(71), 제1전사롤러(72)들 및 제2전사롤러(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광체(40K, 40C, 40M, 40Y)들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제1전사롤러(72)들에 의해 중간전사벨트(71)로 전사되고, 중간전사벨트(71)의 화상은 급지유닛(20)으로부터 공급되어 제2전사롤러(73)와 중간전사벨트(71)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에 전사된다.
현상제 회수부(80K, 80C, 80M, 80Y)는 중간전사벨트(71)에 전사되지 아니하고 감광체(40K, 40C, 40M, 40Y)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회수한다.
정착유닛(90)은 가열롤러(91)와 가압롤러(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용지는 가열롤러(91)와 가압롤러(92)의 사이를 통과하고, 이 때 열과 압력에 의해 화상이 용지에 고정된다. 정착유닛(90)을 통과한 용지는 배지유닛(93)으로 안내되고, 배지롤러(9a)에 의해 인쇄장치(3)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조립체와 메인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조립체의 내부구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기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기덕트와 메인덕트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는 감광체( 40Y), 현상제 공급부(60Y), 폐현상제 회수부(80Y) 및 대전장치(50Y)를 가지는 현상기 조립체(100)를 포함하며, 현상기 조립체(100)는 현상제 보충, 부품교환 시에 선택적으로 본체에 착탈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후술되는 메인덕트(120)와 연결된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가 저장되어 옐로우 색상의 가시화상이 담지되는 감광체(40Y)가 구비된 현상기 조립 체(100)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하의 내용은 다른 색상의 현상기 조립체(1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감광체(40Y)는 감광체하우징(41)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현상제공급부(60Y)는 내부에 현상제수용실(62) 및 교반실(63)이 구비되는 케이스(61)와, 교반실(63)에 수용되는 이송부재(64a, 64b)와, 교반실(63)의 현상제를 감광체(40Y)에 공급하는 현상장치(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현상제수용실(62)에 적재되는 현상제(T)는 교반실(63)로 공급되어 두 이송부재(64a, 64b)에 의해 교반된다. 이 과정에서 현상제(T)는 캐리어(C)와 마찰되어 전기적으로 대전되고, 정전대전된 현상제는 현상장치를 거쳐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40Y)에 정전부착되어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폐현상제 회수부(80Y)는 감광체(40Y)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긁어내어 회수하는 클리닝블레이드(82)와, 회수된 폐현상제가 저장되도록 감광체하우징(41)에 마련되는 회수실(81)과, 회수실(81)에 저장된 폐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부재(83)를 포함한다.
대전장치(50Y)는 제전장치(95)에 의해 제전된 감광체(40Y)를 소정전위로 대전시키는 것으로서, 방전핀(51)과, 방전핀(51)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쉴드(52)와, 쉴드(52)의 감광체 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스크린(54)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대전장치는 코로나방전을 이용하는 대전장치의 일예인 스코로트론(scorotron) 대전장치로서, 대전동작 시 대전장치(50Y)의 내부에는 오존, NOX 등의 부산물이 발생한다. 이러한 부산물은 감광체에 증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전효율에 악영향을 미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이러한 부산물의 효율적인 제거를 위해 흡기덕트(110)와, 흡기덕트(110)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메인덕트(120)를 더 포함한다. 도 3의 미설명부호 g는 후술되는 흡기덕트(110)를 통해 대전장치(50Y) 내부의 공기가 배기될 때, 신선한 외기가 대전장치(50Y)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간극을 나타낸다.
흡기덕트(110)는 대전장치(50Y)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대전장치(50Y)의 쉴드(52)에 형성된 배기구(53)를 통해 대전장치로부터 오존 등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흡기덕트(110)는 감광체하우징(41)과 일체로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111)과, 베이스프레임(111)의 개구를 덮으며 복수 개의 흡입구가 형성된 커버(112)를 구비한다.
메인덕트(120)는 현상기 조립체(100)가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흡기덕트(110)와 연통되며, 이때 흡입구(113)를 통해 흡입된 오존 등의 부산물을 포함하는 공기는 메인덕트(120)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 흡기덕트(110)의 일단부에는 흡기덕트 측 결합부(115)가 마련되며, 흡기덕트 측 결합부(115)는 후술되는 메인덕트(120)에 마련되는 메인덕트 측 결합부(123)와 결합된다. 이때, 밀실결합이 보장되도록, 흡기덕트 측 결합부(115) 및 메인덕트 측 결합부(123)에는 실링부재(116) 및 실링부재(124)가 각각 마련된다.
또한, 미설명부호 121는 메인덕트(120)의 일측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을 나타내고, 미설명부호 122는 흡입구(113)들을 통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흡기덕트(110)의 단위길이에 포함된 흡입구(113)들의 총 단면적이 흡기덕트(110)를 통과하는 유동의 상류(S1) 및 하류(S2)에서 서로 상이하도록 마련된다. 즉, 단위길이에 포함된 흡입구(113) 들의 단면적을 모두 합한 값이 상류(S1) 및 하류(S2)에서 상이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흡기덕트(110) 내 유동의 상류(S1)에서 하류(S2)로 갈수록, 흡기덕트(110)의 단위길이에 포함된 흡입구(113)들의 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흡입구(113)는 슬릿(slit) 형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상류(S1) 측 흡입구(113a)의 폭(W1)이 하류(S2) 측 흡입구(113b)의 폭(W2) 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즉, 흡기덕트(110) 내 유동의 상류(S1)에서 하류(S2)로 갈수록, 흡입구(113)의 폭(W)이 감소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흡입구(113)를 통한 오존 등의 방전 부산물을 포함한 공기의 흡입이 흡기덕트(110)의 길이방향(X)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흡기덕트(110)의 상류(S1)는 흡입팬(121)과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흡입구에 작용하는 흡입력의 크기가 약하지만, 상류(S1) 측의 흡입구(113a)는 하류(S2) 측의 흡입구(113b) 보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므로 하류(S2) 측 흡입구(113b)에 비해 흡입부하가 작게 작용되는 바, 흡기덕트(110)의 전체 길이에서 균일한 크기의 흡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대전장치(50Y)의 전체 길이방향 에서 고르게 오존 등의 부산물이 포함된 공기가 배기되고, 이와 동시에 대전장치(50Y)의 전체 길이방향에서 저압이 형성되므로 간극(g)을 통한 신선한 외기의 유입이 대전장치(50Y)의 전체 길이방향에서 고르게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오존이 감광체에 증착되는 문제점 등이 오존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대전장치의 성능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의 흡입구(113)는 길이방향으로 그 폭(W)이 변화되지만, 폭의 변화와 함께 이웃하는 흡입구들 사이의 간격(D)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구들의 폭 및 흡입구들 사이의 간격은 흡기덕트 내 유로의 단면적, 흡기덕트의 길이, 흡입팬의 흡입력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 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흡기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를 설명하며,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흡기덕트(210)의 커버(212)에 형성된 상류 측 흡입구(213)들 사이의 간격(D1)은 하류(S2) 측 흡입구(213)들 사이 간격(D2) 보다 작게 마련된다. 즉, 흡기덕트(110) 내 유동의 상류(S1)에서 하류(S2)로 갈수록, 흡입구들 사이의 간격은 점차 증가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상류(S1) 측 흡입구(213a)의 흡입부하는 하류 측 흡입구(213b)의 흡입부하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흡기덕트(310)의 커버(312)에 형성된 상류(S1) 측 흡입구(313a)의 단면적은 하류(S2) 측 흡입구(313b)의 단면적 보다 크게 마련된다. 즉, 흡기덕트(310) 내 유동의 상류(S1)에서 하류(S2)로 갈수록, 흡입구(313)의 단면적은 점차 증가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류(S1) 측 흡입구(313a)의 흡입부하는 하류(S2) 측 흡입구(313b)의 흡입부하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덕트(310)에 마련된 흡입구(313)의 형태는 슬릿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흡기덕트(410)의 커버(412)에 형성된 흡입구(413)의 단면적은 흡기덕트(410) 내 유동의 상류(S1) 측에서 하류(S2) 측으로 갈수록 감소된다. 이와 동시에, 본 실시예에 따른 흡기덕트(410)의 유로(414)는 길이방향(X)으로 상류(S1)에서 하류(S2)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므로, 상류(S1) 측 흡입구(413a)를 통한 공기의 흡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 415는 흡기덕트(410)의 길이방향(X)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면을 나타낸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는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하는 현상제공급부가 설명되었으나, 1성분 현상제를 이용하는 현상제공급부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감광체, 현상제공급부, 폐현상제회수부 및 대전장치는 결합되어 하나의 현상기조립체를 이루지만, 감광체, 현상제공급부, 폐현상제회수부 및 대전장치는 독립적으로 본체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조립체와 메인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조립체의 내부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기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기덕트와 메인덕트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흡기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흡기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흡기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화상형성장치 3 인쇄장치
10 본체 20 급지유닛
30 광주사유닛 40Y 감광체
50Y 대전장치 60Y 현상제공급부
70 전사유닛 80Y 폐현상제회수부
90 정착유닛 100 현상기조립체
110 흡기덕트 111 베이스프레임
112 커버 113 흡입구
114 유로 120 메인덕트

Claims (15)

  1.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소정 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유닛과,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제 공급부와,
    상기 대전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기덕트와,
    상기 대전장치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흡기덕트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흡입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흡기덕트의 단위길이에 포함된 흡입구들의 총 단면적은 흡기덕트를 통과하는 유동의 상류 및 하류에서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덕트의 단위길이에 포함된 흡입구들의 총 단면적은 상기 흡기덕트 내 유동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덕트 내 유동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상기 흡입구들의 단면적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덕트 내 유동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상기 흡입구들 사이의 간격은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덕트 내 유도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상기 흡기덕트의 단면적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흡기덕트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흡기덕트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메인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덕트의 일측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 및 상기 흡입구들을 통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소정 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유닛과,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제 공급부와,
    상기 대전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기덕트와,
    상기 대전장치의 작동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이 흡입되도록 상기 흡기덕트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슬릿들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들 사이의 간격 또는 상기 슬릿들의 폭은 상기 흡기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덕트 내 유동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상기 슬릿들의 폭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되며,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제 공급부;와, 상기 대전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측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슬릿을 통해 상기 대전장치로부터 발생된 오존을 흡입하는 흡기덕트;를 포함하는 현상기유닛에 있어서,
    상기 흡기덕트의 단위길이에 포함된 슬릿들의 총 단면적은 흡기덕트를 통과하는 유동의 상류 및 하류에서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덕트 내 유동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상기 슬릿들의 폭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유닛.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덕트 내 유동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상기 슬릿들 사이의 간격은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유닛.
  13. 제10항에 있어서,
    현상기유닛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됨에 따라, 상기 흡기덕트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마련되는 메인덕트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유닛.
  14. 화상형성장치의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에 있어서,
    대전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오존을 흡입하는 흡기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덕트는 복수 개의 슬릿을 구비하며, 상기 흡기덕트의 단위길이에 포함된 슬릿들의 총 단면적은 흡기덕트를 통과하는 유동의 상류 및 하류에서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장치.
  15. 화상형성장치의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에서 생성되는 오존을 흡입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기덕트에 있어서,
    복수 개의 슬릿을 구비하며, 상기 흡기덕트의 단위길이에 포함된 슬릿들의 총 단면적은 흡기덕트를 통과하는 유동의 상류 및 하류에서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덕트.
KR1020080112060A 2008-11-12 2008-11-12 화상형성장치 KR20100053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060A KR20100053085A (ko) 2008-11-12 2008-11-12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060A KR20100053085A (ko) 2008-11-12 2008-11-12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085A true KR20100053085A (ko) 2010-05-20

Family

ID=4227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060A KR20100053085A (ko) 2008-11-12 2008-11-12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30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1582A (ja) * 2016-03-28 2017-10-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送風管、送風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44981A (ja) * 2016-09-12 2018-03-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1582A (ja) * 2016-03-28 2017-10-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送風管、送風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44981A (ja) * 2016-09-12 2018-03-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6430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4760602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634924B1 (ko) 화상형성장치
JP2016090671A (ja) 画像形成装置、トナー捕集容器
KR101558901B1 (ko)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20100053085A (ko) 화상형성장치
JP3623353B2 (ja) 画像形成装置
CN111077754A (zh) 显影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JP2011158629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223075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78778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discharging ozone from charger
JP4532832B2 (ja) 画像形成装置
US938958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detachable process unit and a positioning member
JP2010072234A (ja) 画像形成装置
CN112305879B (zh) 显影装置及图像形成装置
JP2005024984A (ja) 画像形成装置の排気装置
JP3166408U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1119612A (ja) 画像形成装置
US2020029296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507711B2 (ja) クリーンユニット及びクリーンユニット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CN106168745B (zh) 废色调剂容器以及图像形成设备
CN112305879A (zh) 显影装置及图像形成装置
JP551064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62910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20130073592A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