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901B1 -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901B1
KR101558901B1 KR1020080133915A KR20080133915A KR101558901B1 KR 101558901 B1 KR101558901 B1 KR 101558901B1 KR 1020080133915 A KR1020080133915 A KR 1020080133915A KR 20080133915 A KR20080133915 A KR 20080133915A KR 101558901 B1 KR101558901 B1 KR 101558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hotoconductor
recesses
guiding member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5267A (ko
Inventor
김헌섭
김경록
박기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3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901B1/ko
Priority to US12/638,073 priority patent/US8238792B2/en
Publication of KR2010007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distinct portions of the charge pattern on the recording material, e.g. for contrast enhancement or discharging non-image are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6Eliminating residual charges from a reusable imaging member
    • G03G21/08Eliminating residual charges from a reusable imaging member using optical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전장치는 복수 개의 점광원들을 구비하는 광원어레이;와, 상기 점광원들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감광체로 안내하는 도광부재;와, 상기 도광부재의 입사면에 마련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DEVICE FOR GROUND STATIC ELECTRICIT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광체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제전광이 감광체에 조사되는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부를 이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유닛을 거쳐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인쇄매체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이때, 소정 전위로 대전되기에 앞서, 감광체 표면의 잔류전위는 제전장치에 의해 제거된다.
일반적인 제전장치는 복수의 점광원들을 구비하는 광원 어레이(array)와, 광원 어레이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감광체로 안내하는 도광부재를 구비한다. 점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감광체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하게 조사시키기 위해, 종래의 제전장치는 많은 수의 점광원들을 구비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체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제전광이 감광체에 조사되는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전장치는 복수 개의 점광원들을 구비하는 광원어레이와, 상기 점광원들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감광체로 안내하는 도광부재와, 상기 도광부재의 입사면에 마련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패턴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확산패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패턴은 복수 개의 오목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들은 상기 도광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파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패턴은 복수 개의 오목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들은 점광원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오목부의 곡률반경이 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전장치는 상기 도광부재에 마련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에 인접할수록 상기 광원어레이의 점광원들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도광부재로부터 돌출되며 후크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광원은 LED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소정 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유닛;과,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제 공급부;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유닛;과, 복수 개의 점광원들을 갖는 광원어레이와, 상기 점광원들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갖으며,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감광체로 안내하는 도광부재와, 상기 도광부재의 입사면에 마련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패턴을 구비하며,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하는 잔류전위를 제거하는 제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패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패턴은 복수 개의 오목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들은 상기 도광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파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패턴은 복수 개의 오목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들은 점광원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오목부의 곡률반경이 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감광체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감광체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전장치는 상기 도광 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도광부재를 상기 감광체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에 인접할수록 상기 광원어레이의 점광원들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도광부재로부터 돌출되며 후크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광부재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체의 잔류전위를 제거하는 제전장치에 구비되어 점광원들로부터 발생된 광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감광체로 안내하며, 상기 점광원들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입사면에 마련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산패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패턴은 복수 개의 오목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들은 상기 도광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파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패턴은 복수 개의 오목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들은 점광원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오목부의 곡률반경이 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조립체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감광체 하우징과,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소정 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유닛;과,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 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제 공급부;와, 복수 개의 점광원들을 갖는 광원어레이와, 상기 점광원들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갖으며,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감광체로 안내하는 도광부재와, 상기 도광부재의 입사면에 마련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패턴을 구비하며,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하는 잔류전위를 제거하는 제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패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전장치는 상기 도광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도광부재를 상기 감광체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에 인접할수록 상기 광원어레이의 점광원들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는 감광체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제전광이 감광체에 조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조단가가 낮아지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독취하는 화상독취유닛(2)과, 화상을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인쇄장치(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쇄장치(3)는 화상독취유닛(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PC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서, 본체(10), 급지유닛(20), 광주사유닛(30), 감광체(40K, 40C, 40M, 40Y), 대전장치(50K, 50C, 50M, 50Y), 현상제 공급부(60K, 60C, 60M, 60Y), 전사유닛(70), 현상제 회수부(80K, 80C, 80M, 80Y), 정착유닛(90), 배지유닛(93) 및 제전장치(100K, 100C, 100M, 100Y)을 구비한다.
본체(10)는 인쇄장치(3)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급지유닛(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S)를 전사유닛(7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유닛(30)은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40K, 40C, 40M, 40Y)에 조사하여 감광체(40K, 40C, 40M, 40Y)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감광체(40K, 40C, 40M, 40Y)는 광주사유닛(30)으로부터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대전장치(50K, 50C, 50M, 50Y)에 의해 소정전위로 대전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광주사유닛(30)으로부터 주사된 광에 의해 각 감광체(40K, 40C, 40M, 40Y)의 표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대전장치(50K, 50C, 50M, 50Y)는 코로나방전을 이용하는 대전장치의 일 종류인 스코로트론(scorotoron)방식 대전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코로나방전의 부산물인 오존, NOX 등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해 오존 흡입용 흡기덕트(54K, 54C, 54M, 54Y)를 구비하고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대전장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대전장치는 롤러방식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현상제 공급부(60K, 60C, 60M, 60Y)는 감광체(40K, 40C, 40M, 40Y)들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각 현상제 공급부(60K, 60C, 60M, 60Y)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를 각각 수용한다.
전사유닛(70)은 중간전사벨트(71), 제1전사롤러(72)들 및 제2전사롤러(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광체(40K, 40C, 40M, 40Y)들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제1전사롤러(72)들에 의해 중간전사벨트(71)로 전사되고, 중간전사벨트(71)의 화상은 급지유닛(20)으로부터 공급되어 제2전사롤러(73)와 중간전사벨트(71)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에 전사된다.
현상제 회수부(80K, 80C, 80M, 80Y)는 중간전사벨트(71)에 전사되지 아니하고 감광체(40K, 40C, 40M, 40Y)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회수한다.
정착유닛(90)은 가열롤러(91)와 가압롤러(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인쇄매체는 가열롤러(91)와 가압롤러(92)의 사이를 통과하고, 이 때 열과 압력에 의해 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정착유닛(90)을 통과한 인쇄매체는 배지유닛(93)으로 안내되고, 배지롤러(93a)에 의해 인쇄장치(3)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제전장치(100K, 100C, 100M, 100Y)는 감광체(40K, 40C, 40M, 40Y)의 표면에 잔류하는 잔류전위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후반부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조립체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광체 하우징 및 도광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원부 및 도광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는 감광체(40Y), 현상제 공급부(60Y), 폐현상제 회수부(80Y). 대전장치(50Y) 및 제전장치(100Y)를 가지는 현상기 조립체(Y)를 포함하며, 현상기 조립체(Y)는 현상제 보충, 부품교환 시에 선택적으로 본체(10)에 착탈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가 저장되어 옐로우 색상의 가시화상이 담지되는 감광체(40Y)가 구비된 현상기 조립체(Y)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하의 내용은 다른 색상의 현상기 조립체(M, C, K)(도 1 참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감광체(40Y)는 감광체하우징(41)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감광체하우징(41)은 후술되는 제전장치(100Y)의 도광부재(120)에 마련된 고정부(123)에 대응 하는 결합부(42)를 구비한다.
대전장치(50Y)는 제전장치(100Y)에 의해 제전된 감광체(40Y)를 소정전위로 대전시키는 것으로서, 방전핀(51)과, 방전핀(51)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쉴드(52)와, 쉴드(52)의 감광체 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스크린(53)을 구비한다.
현상제공급부(60Y)는 내부에 현상제수용실(62) 및 교반실(63)이 구비되는 현상제케이스(61)와, 교반실(63)에 수용되는 이송부재(64a, 64b)와, 교반실(63)의 현상제를 감광체(40Y)에 공급하는 현상장치(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현상제수용실(62)에 적재되는 현상제(T)는 교반실(63)로 공급되어 두 이송부재(64a, 64b)에 의해 교반된다. 이 과정에서 현상제(T)는 캐리어(C)와 마찰되어 전기적으로 대전되고, 정전대전된 현상제는 현상장치를 거쳐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40Y)에 정전부착되어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폐현상제 회수부(80Y)는 감광체(40Y)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긁어내어 회수하는 클리닝블레이드(82)와, 회수된 폐현상제가 저장되도록 감광체하우징(41)에 마련되는 회수실(81)과, 회수실(81)에 저장된 폐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부재(82)를 포함한다.
제전장치(100Y)는 광원어레이(110)와, 도광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어레이(110)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점광원(111)들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점광원(111)은 LED(Light Emitted Diode)지만, LED이외의 다른 타입의 광원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광부재(120)는 광원어레이(110)의 점광원(111)과 대향되는 입사면(121)과, 감광체(40Y)와 대향되는 출사면(122)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전장치(100Y)는 점광원(111)과 대응되는 도광부재(120)의 입사면(121)에 마련되며 복수 개의 오목부(131)를 구비하는 확산패턴(130)을 더 포함하며, 입사면(121)을 통해 입사되는 광은 오목부(131)에서 굴절되는 바, 도광부재(120)로 진입되는 광속(光束)은 확산(도 4 참조)된다. 이에 따라, 작은 수의 점광원을 사용하더라도 감광체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제전광의 조사가 가능해 지므로, 사용되는 점광원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점광원의 개수가 줄어들면,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조단가가 낮아지고, 점광원을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작업공수가 줄어드는 바,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광부재(120)의 길이(L)(도 4 참조)를 줄일 수 있게 되는 바,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소형화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어레이(110)의 점광원(111)들 사이의 간격은 도광부재(120)에 마련된 고정부(123)에 인접할수록 좁아진다. 도 4의 미설명부호 d1은 도광부재(120)에 마련된 고정부(123)에 인접한 두 점광원(111a, 111b)들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고, 도 3의 미설명부호 d2는 두 점광원(111a, 111b)들 사이를 제외한 다른 점광원들 사이의 간격을 나타낸다. 물론, 도광부재(120)의 양단으로부터 고정부재에 인접할수록 점광원 사이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줄어들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제전장치(100Y)에서는 도광부재(120)에 마련되는 고정부(123)에 인접하는 점광원(111)들의 배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므로 고정부(123)를 통한 광손실이 보상되는 바, 감광체(40Y)의 길이방향으로 더욱 균일 한 제전이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원부 및 도광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원부 및 도광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5에 도시된 도광부재(220)의 확산패턴(230)은 복수 개의 오목부(231)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오목부(231)들은 도광부재(220)의 길이방향(a)으로 파형(波形)을 이룬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도광부재(320)의 확산패턴(330)은 복수 개의 오목부(331)들을 구비하며, 복수 개의 오목부(331)들은 점광원(111)에 대응되는 오목부(331a)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오목부(331)의 곡률반경이 커지도록 마련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는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하는 현상제공급부가 설명되었으나, 1성분 현상제를 이용하는 현상제공급부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감광체, 현상제공급부, 폐현상제회수부, 대전장치 및 제전장치는 결합되어 하나의 현상기조립체를 이루지만, 감광체, 현상제공급부, 폐현상제회수부, 대전장치 및 제전장치는 독립적으로 본체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오목부의 개수, 배치 및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도광부재(120)의 고정부(123)는 후크형상이고, 감광체하우징(41)의 결합부(42)는 고정부(123)가 삽입 고정되는 홈형상으로 마련되 지만, 고정부 및 결합부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조립체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광체 하우징 및 도광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원부 및 도광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원부 및 도광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원부 및 도광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화상형성장치 3 인쇄장치
10 본체 20 급지유닛
30 광주사유닛 40Y 감광체
50Y 대전장치 60Y 현상제공급부
70 전사유닛 80Y 폐현상제회수부
90 정착유닛 100Y 제전장치
110 광원어레이 111 점광원
120 도광부재 130 확산패턴

Claims (20)

  1. 감광체의 표면의 잔류전위를 제거하는 제전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점광원들을 구비하는 광원어레이와,
    상기 점광원들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감광체로 안내하는 도광부재와,
    상기 도광부재의 입사면에 마련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패턴과,
    상기 도광부재에 마련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어레이의 점광원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고정부에 인접할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패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패턴은 복수 개의 오목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들은 상기 도광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파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패턴은 복수 개의 오목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들은 점광원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오목부의 곡률반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도광부재로부터 돌출되며 후크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장치.
  8.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소정 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유닛;과,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제 공급부;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유닛;과,
    복수 개의 점광원들을 갖는 광원어레이와, 상기 점광원들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갖으며,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감광체로 안내하는 도광부재와, 상기 도광부재의 입사면에 마련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패턴과, 상기 도광부재에 마련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하는 잔류전위를 제거하는 제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어레이의 점광원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고정부에 인접할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패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패턴은 복수 개의 오목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들은 상기 도광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파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패턴은 복수 개의 오목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들은 점광원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오목부의 곡률반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감광체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도광부재를 상기 감광체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도광부재로부터 돌출되며 후크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화상형성장치의 감광체의 잔류전위를 제거하는 제전장치에 구비되며, 점광원들로부터 발생된 광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감광체로 안내하는 도광부재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들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입사면에 마련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확산패턴은 복수 개의 오목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들은 길이방향으로 파형을 이루고,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들은 점광원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오목부의 곡률반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부재.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감광체 하우징;과,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소정 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유닛;과,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제 공급부;와,
    복수 개의 점광원들을 갖는 광원어레이와, 상기 점광원들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갖으며,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감광체로 안내하는 도광부재와, 상기 도광부재의 입사면에 마련되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패턴과, 상기 도광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도광부재를 상기 감광체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하는 잔류전위를 제거하는 제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 인접할수록 상기 광원어레이의 점광원들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패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조립체.
  20. 삭제
KR1020080133915A 2008-12-24 2008-12-24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558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915A KR101558901B1 (ko) 2008-12-24 2008-12-24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2/638,073 US8238792B2 (en) 2008-12-24 2009-12-15 Charge elimina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915A KR101558901B1 (ko) 2008-12-24 2008-12-24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267A KR20100075267A (ko) 2010-07-02
KR101558901B1 true KR101558901B1 (ko) 2015-10-12

Family

ID=4226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915A KR101558901B1 (ko) 2008-12-24 2008-12-24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38792B2 (ko)
KR (1) KR1015589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8284B2 (ja) * 2013-07-17 2016-07-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48501B2 (ja) * 2015-05-25 2020-02-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
JP6296015B2 (ja) * 2015-07-28 2018-03-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像担持体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7001353B2 (ja) * 2017-03-29 2022-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8180425A (ja) * 2017-04-20 2018-11-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497168B2 (ja) * 2020-02-25 2024-06-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3216A (ja) * 2004-10-13 2006-04-27 Sharp Corp 光除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6699A (ja) * 1994-12-13 1996-06-25 Fujitsu Ltd 多色静電記録装置
JP2004109567A (ja) 2002-09-19 2004-04-08 Panasonic Communications Co Ltd 除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印字装置ならびに複写機
US20070172752A1 (en) * 2006-01-24 2007-07-26 Tatsuya Niimi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3216A (ja) * 2004-10-13 2006-04-27 Sharp Corp 光除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58570A1 (en) 2010-06-24
KR20100075267A (ko) 2010-07-02
US8238792B2 (en)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8261B2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558901B1 (ko)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N107315333B (zh) 除电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KR101634924B1 (ko) 화상형성장치
EP3225410A1 (en) Exposure head, exposure unit, method of manufacturing exposure unit, light receiving head, light receiving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receiving unit
AU2007200524B2 (en) Neutraliza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unit for use i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112812A (ja) 除電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70043270A (ko) 화상형성장치
JP737137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08976A (ja) 画像形成装置
JPH11184195A (ja) 画像形成装置
JP6187797B2 (ja) 画像形成装置、着脱ユニット、及び、複数の着脱ユニット
JP5679945B2 (ja) レンズアレイ並びにこれを用いた読取装置、露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11073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358038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56594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94203A (ja) 画像形成装置
US938958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detachable process unit and a positioning member
JP5253613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00053085A (ko) 화상형성장치
JP6237292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84966A (ja) 除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575939B2 (ja) コロナ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75037B2 (ja) 着脱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1139977A (ja) 潤滑剤供給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