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289B1 - 케이블 - Google Patents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289B1
KR101608289B1 KR1020157006729A KR20157006729A KR101608289B1 KR 101608289 B1 KR101608289 B1 KR 101608289B1 KR 1020157006729 A KR1020157006729 A KR 1020157006729A KR 20157006729 A KR20157006729 A KR 20157006729A KR 101608289 B1 KR101608289 B1 KR 101608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or
body portion
waveguide
strain reli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1154A (ko
Inventor
유타 츠카하라
히로미 야스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Publication of KR20150041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01R13/562Bending-relie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01R13/565Torsion-relie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25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one or more pieces being of resili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의 단부를 파지하고 굴곡 운동이나 비틀림 운동을 행했을 때,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케이블과 커넥터 사이에서의 회전력이 크게 저감되어 케이블의 파손·손상을 회피하고, 나아가서는 케이블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높이는 것을 과제로 한다. 케이블은 케이블 본체부와, 케이블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부착된 커넥터부와, 케이블 본체부의 둘레면을 덮음과 아울러 케이블 본체부에 대하여 케이블 본체부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케이블 파지구(스트레인 릴리프)를 구비하고 있다. 작업자가 케이블 파지구 또는 그 일부를 파지해서 커넥터부를 검사장치 등에 접속할 때에 케이블에 비틀림이 발생해도, 작업자에게 파지되어 움직임이 규제된 케이블 파지구에 대하여 커넥터부가 부착된 케이블 본체부측이 케이블의 비틀림에 추종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의 커넥터 부착 부분에는 응력이 작용되기 어렵다.

Description

케이블{CABLE}
본 발명은 커넥터가 부착된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격이나 굴곡, 비틀림에 의한 케이블의 파손·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구를 구비한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을 기구·장치에 접속할 때에는 그 기구·장치의 접속부에 케이블의 선단에 부착된 커넥터를 장착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케이블에서는, 종래 커넥터의 부착부를 덮어서 충격이나 굴곡, 비틀림에 의한 케이블의 파손·손상을 방지하는 보호구가 사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종래의 보호구는 케이블의 상기 부분에 고정되어서 움직이지 않게 되어 있고, 작업자(오퍼레이터)는 이 보호구를 파지해서 케이블을 기구·장치에 접속하는 작업을 행하고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2009-110888호 공보
상술한 작업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파지한 보호구 및 케이블을 둘러싸면서 기구·장치의 접속부에 커넥터를 장착하게 되고, 이 장착 작업의 과정에 있어서 어떻게 해도 케이블을 비틀거나 굴곡시키거나 하는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케이블에 충격이나 굴곡, 비틀림이 반복하여 가해지면 케이블이 파손·손상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특히, 비틀림이나 굴곡에 의한 응력은 다른 재료로 되는 부분에 집중되기 때문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부와 수지로 피복된 케이블 선단측의 접속 부분에서 파손·손상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보호구를 사용한 케이블에서는, 특히 케이블 장착 작업시의 비틀림에 대하여 작업자가 파지한 보호구에 의한 회전력이 직접 케이블에 작용하게 되는 결과, 상술한 접속 부분에 비틀림에 의한 응력이 작용해 버릴 우려가 있었다. 숙련된 작업자이면 가능한 한 비틀림 운동을 행하지 않는 작업이 되도록 노력하지만, 작업 중에서 인간공학적으로 비틀림이 가해지는 것은 피할 수 없는 경우도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케이블의 단부(즉, 커넥터가 접속된 부분)를 파지하고 굴곡 운동이나 비틀림 운동을 행하였을 때,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케이블과 커넥터 사이에서의 회전력(토크)이 크게 저감됨으로써 케이블의 파손·손상을 회피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케이블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서, 본 발명의 케이블은 케이블 본체부와, 상기 케이블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부착된 커넥터부와, 적어도 상기 커넥터부 및 상기 케이블 본체부 중 어느 한쪽의 둘레면을 덮음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 본체부 및 상기 커넥터부의 근방에 배치되고, 또한 회전축이 상기 케이블 본체부의 중심축과 일치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케이블 본체부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상기 케이블 본체부의 둘레 방향으로 360도 이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커넥터부의 접속시에 파지되는 통 형상의 케이블 파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가 보호구로서의 케이블 파지구 또는 그 일부를 파지해서 커넥터부를 검사장치 등에 접속할 때에 케이블에 비틀림이 생겨도, 작업자에게 파지되어 움직임이 규제된 케이블 파지구에 대하여 커넥터부가 부착된 케이블 본체부측은 케이블의 비틀림에 추종해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의 커넥터 부착 부분에는 응력(스트레스)이 작용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다수회 이러한 작업을 행해도 커넥터와의 접속부에서의 케이블의 파손·손상을 회피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케이블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본체부는 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라도 좋지만, 상기 작용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블 본체부의 단면 형상은 원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예를 들면 케이블 본체부의 단면 형상이 다각 형상이여도, 케이블 본체부와 케이블 파지구 사이에 간극 등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케이블 본체부의 단면 형상이 다각 형상이여도 케이블 파지구를 부착하는 부분에, 예를 들면 어댑터와 같은 것을 장착함으로써 케이블 본체부와 어댑터를 합친 단면 형상을 원 형상으로 함으로써 케이블 파지구가 회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도 고려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커넥터부의 (단면)형상도 문제삼지 않고, 케이블 파지구도 통 형상이면 원통 형상, 각통 형상 등 그 형상은 관계없다. 또한 상기 작용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케이블 파지구는 적어도 커넥터부 및 케이블 본체부 중 어느 한쪽의 둘레면을 덮는 것이면 되므로, 커넥터부와 케이블 본체부의 양쪽을 덮을 경우와, 커넥터부와 케이블 본체부 중 어느 한쪽만을 덮을 경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케이블 파지구는 케이블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케이블 본체부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전체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은 물론, 부분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케이블 파지구는 케이블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소정의 위치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것이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비사용시(비작업시)에는 케이블 파지구는 케이블 본체부에 통과시켜진 상태에서 자유롭게 되어 있고, 케이블 본체부와 커넥터부의 근방에 없지만, 사용시(작업시)에 필요에 따라서 케이블 본체부와 커넥터부의 근방으로 이동시켜서 사용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한편, 상기 케이블 파지구는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굴곡 등에 의한 파손·손상으로부터도 케이블을 유효하게 보호할 수 있어 케이블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블 파지구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링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 파지구는 상기 링 홈에 맞물린 링을 통해서 상기 커넥터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부품수가 적은 비교적 간이한 구성으로 케이블 파지구를 케이블 본체부에 대하여, 케이블 본체부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파지구는 상기 케이블 파지구와 상기 커넥터부 사이에 설치된 볼베어링을 통해서 상기 커넥터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케이블 파지구가 볼베어링을 통해서 케이블 본체부에 대하여 케이블 본체부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원활하게 회동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케이블 본체부 및/또는 상기 커넥터부에는 상기 케이블 파지구를 상기 케이블 본체부 및 상기 커넥터부의 근방에 고정시키는 링 형상의 스토퍼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토퍼를 케이블 본체부 및/또는 커넥터부에 설치함으로써 케이블 파지구를 상기 케이블 본체부 및 커넥터부의 근방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상술한 작용 효과를 가지면서, 또한 간이하고 사용하기 쉬운 케이블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블 본체부 및/또는 상기 커넥터부」라고 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파지구가 커넥터부와 케이블 본체부의 양쪽을 덮을 경우와 어느 한쪽만을 덮을 경우를 포함하는 것에 대응시킨 것이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의 사용 상태와 함께 그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 1의 도면이며, (A)부분은 케이블을 자유로운 상태로 해서 작업자가 그 손에 스트레인 릴리프(보호구)를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B)부분은 작업자가 파지한 커넥터부와 스트레인 릴리프의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의 사용 상태와 함께 그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 2의 도면이며, (A)부분은 작업자가 그 손에 스트레인 릴리프를 파지하고 케이블을 트위스팅시켜 비튼 상태를 나타내고, (B)부분은 작업자가 파지한 커넥터부와 스트레인 릴리프의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실시형태 중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 모두가 본 발명의 성립에 필수적이다고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본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100)은 중심 도체와 외부 도체를 갖는 소위 동축 케이블이며, 예를 들면 피측정 물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장치에 사용되지만, 도 1 이하의 도면에서는 검사장치나 피측정물과 접속하는 프로브 등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요점인 케이블 본체부, 커넥터부 및 케이블 파지구의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100)은 케이블 본체부(102)와, 케이블 본체부(102)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부착된 커넥터부(104)와, 케이블 본체부(102)의 둘레면을 덮음과 아울러 동 도면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본체부(102)에 대하여 케이블 본체부(102)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통 형상의 케이블 파지구로서의 스트레인 릴리프(1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 본체부(102)는 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지만, 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케이블 본체부(102)의 단면 형상이 다각형이여도, 케이블 본체부(102)와 케이블 파지구로서의 스트레인 릴리프(106) 사이에 후술하는 간극(G)이 있거나 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케이블 본체부(102)의 단면 형상이 다각형이여도, 스트레인 릴리프(106)를 부착하는 부분에,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어댑터와 같은 것을 장착함으로써 케이블 본체부(102)와 상기 어댑터를 합친 단면 형상을 원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트레인 릴리프(106)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도 고려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커넥터부(104)의 (단면)형상도 묻지 않고, 스트레인 릴리프(106)도 통 형상이면 원통 형상, 각통 형상 등 그 형상은 다양한 것이 고려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 파지구로서의 스트레인 릴리프(106)는 케이블 본체부(102)만의 둘레면을 덮고 있지만, 적어도 커넥터부(104) 및 케이블 본체부(102) 중 어느 한쪽의 둘레면을 덮는 것이면 된다. 따라서, 대체예로서 커넥터부(104)와 케이블 본체부(102)의 양쪽을 덮는 예, 또는 커넥터부(104)만을 덮는 예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트레인 릴리프(106)의 전체가 케이블 본체부(10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지만, 스트레인 릴리프(106)의 일부만이 케이블 본체부(10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구성이어도 좋고, 이 경우에도 상기 스트레인 릴리프(106)의 일부를 파지해서 작업함으로써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파지구로서의 스트레인 릴리프(106)는 케이블 본체부(10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커넥터부(104) 등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것이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비사용시(비작업시)에는 스트레인 릴리프(106)는 케이블 본체부(102)에 통과시켜진 상태에서 자유롭게 되어 있어 케이블 본체부(102)와 커넥터부(104)의 근방에 없지만, 사용시(작업시)에 필요에 따라서 케이블 본체부(102)와 커넥터부(104)의 근방으로 이동시켜서 사용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스트레인 릴리프(106)는 가요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면 PVC(폴리염화비닐)로 구성되어 있다. 단,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플라스틱재, 고무재 전반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트레인 릴리프(106)는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종래의 보호구와 마찬가지로 커넥터와 케이블의 부착 부분을 외력이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구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은 물론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비틀림에 의한 응력으로부터 발생하는 변형(스트레인)을 해소(릴리프)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큰 특징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파지구로서의 스트레인 릴리프(106)의 내경은 케이블 본체부(10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또한, 케이블 본체부(102)와 스트레인 릴리프(106) 사이에는 간극(G)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트레인 릴리프(106)는 케이블 본체부(102)에 대하여 케이블 본체부(102)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 본체부(102)와 스트레인 릴리프(106) 사이에 간극(G)이 형성되어 있지만, 엄밀한 의미에서의 간극은 없어도, 예를 들면 양 부재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서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스트레인 릴리프(106)가 케이블 본체부(102)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회전 가능)한 구조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에서는 커넥터부(104)의 외주면과 스트레인 릴리프(106)의 내주면에는 각각,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링 홈(104M, 106M)이 형성되고, 양 둘레면 사이에 맞물리게 한 링(112)을 통해서 스트레인 릴리프(106)를 커넥터부(104)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즉, 링 홈(104M, 106M)이 있고, 그곳에 링(112)을 넣어 스트레인 릴리프(106) 자체가 케이블 본체부(102)의 주위에서 회전하는 구조로 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 파지구(스트레인 릴리프)(106)가 케이블 본체부(102)에 대하여 케이블 본체부(102)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자유롭게 몇회전이라도 회전하는(360도 이상 회전하는) 구성이며, 회동 가능이라고 하는 개념에는 회전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파지구로서의 스트레인 릴리프(106)는 전체로서 커넥터부(104)측보다 케이블 타단측이 세경화되어 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나선 형상으로 홈부(106G)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커넥터부(104)측보다 케이블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보다 유연하게 구부러지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굴곡에 의한 응력도 경감하게 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100)의 사용 상태와 함께 그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 1의 도면이며, 도 3(A)는 케이블(100)을 자유로운 상태로 해서 작업자가 그 손에 스트레인 릴리프(보호구)(106)를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작업자가 파지한 커넥터부(104)와 스트레인 릴리프(106)를 확대해서 나타낸(작업자의 손은 생략하고 있다)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100)의 사용 상태와 함께 그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 2의 도면이며, 도 4(A)는 작업자가 그 손에 스트레인 릴리프(106)를 파지하고, 케이블(100)을 비튼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작업자가 파지한 커넥터부(104)와 스트레인 릴리프(106)를 확대해서 나타낸(작업자의 손은 생략하고 있다) 도면이다.
즉, 이 동작 설명에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그 손에 스트레인 릴리프(106)를 파지하고 케이블(100)을 자유로은 상태로 했을 때에,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104)에 설치한 마크(104N)와 스트레인 릴리프(106)에 설치한 마크(106N)의 위치가 맞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100)을 비틀었을 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100)과 같이 커넥터부(104)가 부착된 케이블 본체부(102)와 스트레인 릴리프(106)가 고정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104)에 설치한 마크(104N)와 스트레인 릴리프(106)에 설치한 마크(106N)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된다.
한편, 가령 종래예와 같이, 커넥터부가 부착된 케이블 본체부에 보호구(본 실시형태의 스트레인 릴리프에 상당하는 부재)가 고정되어서 움직이지 않는 것이라면, 화살표가 어긋난 부분(예를 들면 약 45°)만큼 비틀어지게 되어버린다. 따라서, 도 3 및 도 4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100)에서는 스트레인 릴리프(106)가 케이블 본체부(102)에 대하여 케이블 본체부(102)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비틀림에 의해 커넥터(104) 부착 부분에 가해지는 응력(스트레인)은 0(제로)으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100)에서는 작업자가 케이블 파지구(106) 또는 그 일부를 파지해서 커넥터부(104)를 검사장치 등에 접속할 때에, 케이블(100)에 비틀림이 생겨도 작업자에 파지되어 움직임이 규제된 케이블 파지구(106)에 대하여 반대로 커넥터부(104)가 부착된 케이블 본체부(102)측이 케이블(100)의 비틀림에 추종해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100)의 커넥터(104) 부착 부분에는 응력(스트레스)이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이 제 1 실시형태의 케이블(100)에 의하면 다수회 이러한 작업을 행해도 커넥터(104)와의 접속부에서의 케이블(100)의 파손·손상을 회피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케이블(100)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200)의 부분 단면도이며,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부분에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200)의 기본 구조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과 같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에서는 커넥터부(104)와 스트레인 릴리프(206)에 한쪽의 내주면과 다른쪽의 외주면에 각각 링 홈(104M, 106M)이 형성되어 있지만, 양 둘레면 사이에 삽입한 복수의 볼(1개만 도시)(212)을 통해서 스트레인 릴리프(106)를 커넥터부(104)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즉, 커넥터부(104)의 외주면에 설치한 볼베어링을 통해서 케이블 파지구로서의 스트레인 릴리프(206)를 커넥터부(104)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200)에서는 커넥터부(104)의 외주면에 설치한 볼베어링(212)을 통해서 케이블 파지구로서의 스트레인 릴리프(206)를 커넥터부(104)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므로, 볼베어링(212)을 통하여 스트레인 릴리프(206)를 케이블 본체부(102)에 대하여 케이블 본체부(102)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원활하게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200)에 있어서도, 상술한 도 3 및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검사장치 등에 접속할 때에 케이블에 비틀림이 생겨도 케이블의 커넥터 부착 부분에는 응력(스트레스)이 작용하기 어려워지는 것은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따라서, 다수회 이러한 작업을 행해도 커넥터와의 접속부에서의 케이블의 파손·손상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케이블의 내구성,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200)의 변형예로서 볼 등이 홈에 끼워짐으로서 고정되도록 해도 좋다. 즉, 상부가 케이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여 볼이 홈으로부터 빠지면 분리시키는, 수도의 호스와 같은 이미지의 것도 생각된다. 즉, 케이블 파지구로서의 스트레인 릴리프(206)는 커넥터부(104)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소위 푸시온 타입 구조에 의해 케이블 파지구를 커넥터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300)의 부분 단면도이며, 제1 및 제 2 실시형태와 같은 부분에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300)에서는 케이블 파지구로서의 스트레인 릴리프(306)를 커넥터부(104)의 근방에 고정시키는 스토퍼로서 스트레인 릴리프(306)의 단부에 링 형상의 반환부(단차부)(306S)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토퍼로서의 단차부(306S)는 케이블 본체부(102)의 해당 개소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로서의 단차부(306S)가 있음으로써 스트레인 릴리프(306)를 커넥터부(104)의 근방에 고정시키게(억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 본체부(102)와 스트레인 릴리프(306) 사이에는 간극(G)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고, 이러한 구조에 의해 스트레인 릴리프(306)는 케이블 본체부(102)에 대하여 케이블 본체부(102)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케이블 파지구로서의 스트레인 릴리프(306)의 내경은 케이블 본체부(10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300)에서는 스트레인 릴리프(306)의 내주면과 케이블 본체부(102)의 외주면이 슬라이딩함으로써 스트레인 릴리프(306)를 케이블 본체부(102)에 대하여 케이블 본체부(102)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러한 스토퍼(단차부)(306S)를 케이블 본체부(102)에 설치함으로써 스트레인 릴리프(306)를 커넥터부(104)의 근방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간이한 구성으로 케이블 파지구로서의 스트레인 릴리프(306)를 케이블 본체부(102)에 대하여 케이블 본체부(102)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에 있어서도 상술한 도 3 및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케이블에 비틀림이 생겨도 커넥터 부착 부분에는 응력(스트레스)이 작용하기 어려워지는 것은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고, 다수회 검사장치 등에 접속하는 작업을 행해도 케이블의 파손·손상을 회피할 수 있어 케이블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 파지구(스트레인 릴리프)가 케이블 본체부에 대하여 케이블 본체부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자유롭게 몇회전이라도 회전하는(360도 이상 회전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360도 이상 회전하는 것은 아니고, 일정한 각도 범위 내(예를 들면, 270도의 범위 내 등)에서만 회동 가능한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 파지구(스트레인 릴리프)의 전체가 케이블 본체부에 대하여 케이블 본체부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했지만, 케이블 파지구(스트레인 릴리프)의 일부(작업자가 파지하는 부분)만이 자유롭게 회전 또는 회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 파지구(스트레인 릴리프)는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했지만, 스트레인 릴리프의 재료는 가요성을 갖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부분적으로 가요성을 갖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 파지구(106)의 내경은 케이블 본체부(10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지만, 부분적으로 그렇지 않은 변형예도 고려된다. 예를 들면, 케이블 본체부(102)가 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도 측면으로부터 보아서 외피가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이 교대로 산과 골짜기를 연속해서 형성하는 구조이고, 케이블 파지구(106)의 내경도 산과 골짜기가 연속하고, 양자의 산과 골짜기가 서로 맞물리면서 회동 가능한 구조도 상정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 파지구로서의 스트레인 릴리프(306)는 커넥터부(104)와 케이블 본체부(102)의 양쪽을 덮는 구성이지만, 어느 한쪽만을 덮는 구성이어도 좋고, 따라서, 스토퍼는 케이블 본체부 및 커넥터부의 양쪽에 설치하는 것이라도 좋고, 어느 한쪽에만 설치하는 것이라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케이블을 동축 케이블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작업자가 그때마다 파지해서 커넥터부 등의 접속 작업을 행하는 케이블이면 케이블의 종류는 동축 케이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기부품의 검사 등의 공업용(산업용)의 케이블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가정 내에서 퍼서널 컴퓨터 등에 접속하는 케이블 등, 다양한 용도의 케이블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 본체부에 부착된 커넥터부를 갖고, 통 형상의 케이블 파지구가 커넥터부와 케이블 본체부의 어느 한쪽의 둘레면을 덮는 것일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케이블의 비틀림을 방지한다」라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예를 들면 벽에 지그를 부착하고, 이 지그와 케이블을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구성도 본 발명의 발전 형태로서 생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 케이블 102 : 케이블 본체부
104 : 커넥터부 104M : 링 홈
106 : 케이블 파지구 106M : 링 홈
112 : 링 200 : 케이블
206 : 케이블 파지구 212 : 볼(볼베어링)
300 : 케이블 306 : 케이블 파지구
306S : 스토퍼(단차부)

Claims (7)

  1. 케이블 본체부와,
    상기 케이블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부착된 커넥터부와,
    적어도 상기 커넥터부 및 상기 케이블 본체부 중 어느 한쪽의 둘레면을 덮음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 본체부 및 상기 커넥터부의 근방에 배치되고, 또한 회전축이 상기 케이블 본체부의 중심축과 일치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케이블 본체부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상기 케이블 본체부의 둘레 방향으로 360도 이상 상기 커넥터부에 대해 링 또는 볼베어링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커넥터부의 접속시에 파지되는 통 형상의 케이블 파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본체부는 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파지구는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블 파지구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링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 파지구는 상기 링 홈에 맞물린 링 을 통해서 상기 커넥터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파지구는 상기 케이블 파지구와 상기 커넥터부 사이에 설치된 볼베어링을 통해서 상기 커넥터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본체부 및/또는 상기 커넥터부에는 상기 케이블 파지구를 상기 케이블 본체부 및 상기 커넥터부의 근방에 고정시키는 링 형상의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7. 삭제
KR1020157006729A 2012-08-31 2013-08-28 케이블 KR101608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92642 2012-08-31
JPJP-P-2012-192642 2012-08-31
JPJP-P-2013-054597 2013-03-18
JP2013054597A JP2014063716A (ja) 2012-08-31 2013-03-18 ケーブル
PCT/JP2013/073052 WO2014034740A1 (ja) 2012-08-31 2013-08-28 ケーブ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154A KR20150041154A (ko) 2015-04-15
KR101608289B1 true KR101608289B1 (ko) 2016-04-01

Family

ID=50183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729A KR101608289B1 (ko) 2012-08-31 2013-08-28 케이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18839B2 (ko)
EP (1) EP2892120B1 (ko)
JP (1) JP2014063716A (ko)
KR (1) KR101608289B1 (ko)
CN (1) CN104604065B (ko)
TW (1) TWI620207B (ko)
WO (1) WO20140347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154A (ko) * 2019-03-21 2020-10-05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프로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8612B2 (ja) 2014-03-26 2017-08-30 株式会社デンソー 情報統合装置、情報統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70121493A (ko) * 2016-04-25 2017-11-02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프로브
JP6127240B1 (ja) * 2016-10-13 2017-05-17 小俣 誠 充電端子保護ホルダー
KR101965712B1 (ko) * 2016-11-28 2019-04-03 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 회전이 가능한 커넥터
KR102083000B1 (ko) * 2018-08-27 2020-02-28 (주)옵티베이스 광세기 균일 분포 조절 구조의 광섬유 코드 및 이를 가진 광섬유 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7059A (ja) * 2004-01-06 2005-07-21 D D K Ltd 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接続構造
JP2011100604A (ja) * 2009-11-05 2011-05-19 Nippon Antenna Co Ltd 同軸プラ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0225A (en) * 1983-09-07 1985-09-10 Arcair Company Swivel cable coupling for an air carbon-arc cutting and gouging torch
US5030135A (en) * 1990-11-29 1991-07-09 Compaq Computer Corporation Cable strain relief device
JPH0536777A (ja) 1991-07-25 1993-02-12 Pioneer Electron Corp 電子部品の認識装置
JPH0525595U (ja) * 1991-09-11 1993-04-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ビル設備異常監視装置
JPH0536777U (ja) * 1991-10-18 1993-05-18 菊水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抜け止め防止装置
JPH0725595A (ja) 1993-07-15 1995-01-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管材ハンドリング装置
JP2604648Y2 (ja) * 1993-10-07 2000-05-22 国際電気株式会社 カールコードの接続装置
JP3178335B2 (ja) * 1996-04-05 2001-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筒状部材の接続構造
JPH10199609A (ja) * 1997-01-16 1998-07-31 Olympus Optical Co Ltd 防水コネクタ装置
US6139354A (en) * 1999-06-14 2000-10-31 Broussard; Blaine L. Cable computer termination connector and sealing method
US7198507B2 (en) * 2005-02-09 2007-04-03 Times Microwave Systems, Inc., division of Smiths Aerospace, Incorporated Handgrip device for coaxial cable and coaxial cable assembly including handgrip device
US7658553B2 (en) * 2006-03-14 2010-02-09 Corning Cable Systems Llc Mechanical splice connector with sequential splice and strain relief
US7435090B1 (en) * 2006-04-06 2008-10-14 Tavis D Schriefer Rotatable video connector for cables and adapters
JP5228444B2 (ja) 2007-10-31 2013-07-0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超音波プローブ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354825B1 (en) * 2010-02-03 2015-07-15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Enclosure assembly for a connector, strain relief element,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7059A (ja) * 2004-01-06 2005-07-21 D D K Ltd 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接続構造
JP2011100604A (ja) * 2009-11-05 2011-05-19 Nippon Antenna Co Ltd 同軸プラ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154A (ko) * 2019-03-21 2020-10-05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프로브
KR102660587B1 (ko) 2019-03-21 2024-04-26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프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04065A (zh) 2015-05-06
WO2014034740A1 (ja) 2014-03-06
EP2892120A1 (en) 2015-07-08
JP2014063716A (ja) 2014-04-10
KR20150041154A (ko) 2015-04-15
EP2892120B1 (en) 2020-03-25
US9318839B2 (en) 2016-04-19
EP2892120A4 (en) 2016-06-08
CN104604065B (zh) 2016-09-21
TWI620207B (zh) 2018-04-01
US20150357750A1 (en) 2015-12-10
TW201419319A (zh)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289B1 (ko) 케이블
JP6940611B2 (ja) カソード防食手段を備える基礎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US20190064462A1 (en) Optical fiber cable
JP6021156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2014063716A5 (ko)
KR101152933B1 (ko) 케이블 연결장치
KR101801899B1 (ko) 케이블 보호 장치
JP6062138B1 (ja) 内視鏡
KR101116830B1 (ko) 링크 커버, 링크동작구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링크
JP2004354894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保護機器、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保護方法
JP6758469B1 (ja) 防護器具
JP5465613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曲げ防止具
EP3137714B1 (en) Bend stiffener with bend indication
JP5968947B2 (ja) 防護管
JP2021114900A5 (ko)
JP6892791B2 (ja) コネクタ保護具
US10634701B2 (en) Meter probe apparatus
JP2017077040A (ja) 防護管牽引具
RU2347295C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JP2016005420A (ja) カバーチューブ
KR20190071921A (ko) 와이어링 하네스 보호용 외장재
JP3169863U (ja) 防水キャップ
CN202455000U (zh) 用于电气线缆组件的护套尾部护壳及电气线缆组件
JP4793687B2 (ja) 多関節ロボット
RU2356150C1 (ru) Изгибная муф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