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799B1 - 자동 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 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799B1
KR101592799B1 KR1020147012807A KR20147012807A KR101592799B1 KR 101592799 B1 KR101592799 B1 KR 101592799B1 KR 1020147012807 A KR1020147012807 A KR 1020147012807A KR 20147012807 A KR20147012807 A KR 20147012807A KR 101592799 B1 KR101592799 B1 KR 101592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roduct
blowing fan
duc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5792A (ko
Inventor
유헤이 야마가미
고지 스기모또
야스히로 야마자끼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더 코카콜라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더 코카콜라 컴파니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5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0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arranged in two columns in staggered relationsh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2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4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the fans allowing rotation in revers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정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증발기(4a)에 의해 냉각된 내부 공기를 하방측 개구(21)로부터 배면 덕트(20)에 진입시켜 상방측 개구(22)로부터 토출시키도록 상품 수용고(2) 내에서 순환시키는 한편, 보냉 운전을 행하는 경우,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 정지하고,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을 정회전 구동시키고, 또한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역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증발기(4a)에 의해 냉각된 내부 공기를 하방측 개구(21)로부터 배면 덕트(20)에 진입시킴과 함께 상방측 개구(22)로부터 내부 공기를 배면 덕트(20)에 진입시키고, 또한 중간 개구(23)로부터 배면 덕트(20)에 진입한 내부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어 수단(50)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캔 음료나 페트병 음료 등의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캔 음료나 페트병 음료 등의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는, 자동 판매기 본체인 본체 캐비닛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캐비닛은, 전면(前面)이 개구된 직사각 형상의 단열 하우징으로서 형성된 것이다. 이 본체 캐비닛에는, 그 전면에 외측 도어와 내측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 상품 수용고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도어는, 본체 캐비닛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내측 도어는, 상품 수용고의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상품 수용고는 단열 구조를 갖고 있고, 그 내부에 상품 수납 장치 및 배면 덕트가 설치되어 있다.
상품 수납 장치는 투입된 상품을 상하 방향을 따라 수납하는 것으로,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최하위의 상품을 불출(拂出)하는 것이다. 상품 수납 장치로부터 불출된 상품은, 외측 도어에 설치된 상품 취출구를 통해 취출 가능한 상태로 된다.
배면 덕트는, 상품 수용고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품 수납 장치의 상방 영역에 대응한 개소에 상방 개구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품 수납 장치의 하부에 대응한 개소에 하방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상방 개구의 전방(前方)에는 상방 고내(庫內) 송풍 팬이 설치되어 있고, 하방 개구의 전방에는 하방 고내 송풍 팬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면 덕트에는 증발기가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는, 상품 수용고의 외부에 설치된 압축기나 응축기 등과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것이며, 자신의 주위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 수단이다.
이러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상품 수납 장치에 수납된 상품 전체를 냉각하는 경우에는, 상방 고내 송풍 팬을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배면 덕트의 하부의 도입구를 통해 상기 배면 덕트에 도입된 공기는, 증발기에 의해 냉각되어 상방 개구로부터 토출된다. 토출된 공기는, 하방을 향해 상품 수납 장치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하고, 그 후에 다시 도입구를 통해 배면 덕트에 도입되어 순환한다. 한편, 상품 수납 장치에 수납된 일부의 상품을 냉각하는 경우에는, 하방 고내 송풍 팬을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도입구를 통해 배면 덕트에 도입된 공기는, 증발기에 의해 냉각되어 하방 개구로부터 토출된다. 토출된 공기는, 하방을 향해 상품 수납 장치의 하부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하부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하고, 그 후에 다시 도입구를 통해 배면 덕트에 도입되어 순환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05860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여름철 등에 있어서의 전력 수요가 높은 시간대에서의 소비 전력량의 저감화를 도모하기 위해, 이러한 시간대에 있어서는 상품을 냉각하는 기기를 구동 정지시키는 보냉(保冷) 운전을 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에는, 보냉 운전 시간의 장대화가 요청되고 있다.
상술한 특허문헌 1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자동 판매기에서 보냉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냉 운전을 행하기 전에, 상방 고내 송풍 팬을 구동시켜 상품 수납 장치에 수납된 상품을 충분히 냉각시키는 냉각 운전이 행해지게 된다. 이 냉각 운전이 행해짐으로써, 상품 수납 장치의 상품 전체가 충분히 냉각되고, 특히 상품 수납 장치의 상부측 상품의 쪽이 하부측 상품보다도 냉각되는 것이라 생각된다. 냉각 운전 후에 보냉 운전이 행해지면, 상품 수납 장치의 하부측 상품은, 상부측 상품에 의해 냉각된 냉기에 의해 원하는 냉각 온도대로 유지되지만, 상부측 상품의 온도는 서서히 상승해 가게 된다. 이 보냉 운전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장대화되면, 상품 수납 장치에 있어서 냉각 온도대로 유지되는 것은 하부의 얼마 되지 않는 상품으로 되고, 상방을 향함에 따라 상품의 온도가 점차 높아진다.
그리고, 보냉 운전이 완료된 후, 보냉 운전시에 구동 정지시키고 있었던 기기를 구동시킴과 함께 상방 고내 송풍 팬을 구동시켜 상품 수납 장치의 상품을 냉각하는 냉각 회복 운전이 행해지게 되지만, 상품 수납 장치의 상품은 상방 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부측으로부터 서서히 냉각되게 되고, 상품 수납 장치의 하부측 상품은 냉각되지 않고 서서히 온도가 상승하여 냉각 온도대를 넘어 버려, 상기 하부측 상품을 원하는 냉각 온도까지 냉각하는 데 시간을 필요로 하여, 결과적으로 상품의 판매 기회를 놓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상품의 판매 기회를 놓칠 우려는, 보냉 운전 시간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장대화될수록 현저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비추어, 상품의 보냉 운전 시간의 장대화를 도모하면서, 상품의 판매 기회를 놓칠 우려가 없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자동 판매기는, 전면에 형성된 개구가 도어체에 의해 개폐되고, 또한 내부에 상품 수용고가 구획된 자동 판매기 본체와, 상기 상품 수용고에 설치되고, 또한 투입된 상품을 상하 방향을 따라 수납하고,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최하위의 상품을 불출하는 상품 수납 장치와, 상기 상품 수용고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상품 수용고의 내부 분위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수단을 구비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수용고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 덕트의 하방측 개구 근방에 설치된 하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시킴과 함께, 상기 덕트에 있어서 상기 하방측 개구보다도 상방에 형성된 상방측 개구 근방에 설치된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하방측 개구로부터 상기 덕트에 진입시킨 내부 분위기를 상기 상방측 개구로부터 토출시키도록 상기 상품 수용고 내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수납된 상품 전체를 냉각하는 한편, 보냉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방측 고내 송풍 팬 및 상기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 정지하고, 또한 상기 보냉 운전 후에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방측 고내 송풍 팬 및 상기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하방측 개구 및 상기 상방측 개구로부터 내부 분위기를 상기 덕트에 진입시키고, 또한 상기 하방측 개구와 상기 상방측 개구의 사이에 설치된 중간 개구로부터 덕트에 진입한 내부 분위기를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개구로부터 하방 영역의 상품을 냉각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동 판매기는, 전면에 형성된 개구가 도어체에 의해 개폐되고, 또한 내부에 상품 수용고가 구획된 자동 판매기 본체와, 상기 상품 수용고에 설치되고, 또한 투입된 상품을 상하 방향을 따라 수납하고,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최하위의 상품을 불출하는 상품 수납 장치와, 상기 상품 수용고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상품 수용고의 내부 분위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수단을 구비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수용고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 덕트의 하방측 개구 근방에 설치된 하방측 고내 송풍 팬과, 상기 덕트에 있어서 상기 하방측 개구보다도 상방에 형성된 상방측 개구 근방에 설치된 상방측 고내 송풍 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하방측 고내 송풍 팬에 의한 송풍량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하방측 개구를 통해 덕트로부터 토출시킨 내부 분위기의 적어도 일부를 중간 개구로부터 상기 덕트에 진입시키도록 상기 상품 수용고 내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하방 영역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하는 한편, 보냉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방측 고내 송풍 팬 및 상기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 정지하고, 또한 상기 보냉 운전 후에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방측 고내 송풍 팬 및 상기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하방측 개구 및 상기 상방측 개구로부터 내부 분위기를 상기 덕트에 진입시키고, 또한 상기 하방측 개구와 상기 상방측 개구의 사이에 설치된 중간 개구로부터 덕트에 진입한 내부 분위기를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개구로부터 하방 영역의 상품을 냉각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하방측 개구는 상기 상품 수납 장치보다도 하방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상방측 개구는 상기 상품 수납 장치보다도 상방 영역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하방측 고내 송풍 팬은 상기 하방측 개구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은 상기 상방측 개구의 전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용고의 고내 온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로 될 때에는, 상기 하방측 고내 송풍 팬 및 상기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하방측 개구 및 상기 상방측 개구로부터 내부 분위기를 상기 덕트에 진입시키고, 또한 상기 중간 개구로부터 덕트에 진입한 내부 분위기를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개구로부터 하방 영역의 상품을 냉각하는 한편, 상기 고내 온도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할 때에는, 상기 하방측 고내 송풍 팬 및 상기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한 내부 분위기를 상기 상방측 개구로부터 상기 덕트에 진입시켜 상기 하방측 개구로부터 토출시키도록 상기 상품 수용고 내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중간 개구를 개폐하는 형태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통상시의 상태에 있어서는 자중(自重)에 의해 상기 중간 개구를 폐쇄하는 한편, 상기 덕트의 내부 압력이 상품 수용고의 압력보다도 커지는 경우에 요동하여 상기 중간 개구를 개방하는 플래퍼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체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상품 수용고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내측 도어와, 상기 상품 수용고에 있어서의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사이에 내부 분위기의 통과를 허용하는 통풍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어 수단이, 하방측 고내 송풍 팬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시킴으로써, 냉각 수단에 의해 냉각되고, 또한 하방측 개구로부터 덕트에 진입시킨 내부 분위기를 상방측 개구로부터 토출시키도록 상품 수용고 내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상품 수납 장치에 수납된 상품 전체를 냉각하므로, 그 후에 보냉 운전으로 이행해도, 차기 판매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수납 장치의 하부측 상품을,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상부측 상품에 의해 냉각되어 하방을 향해 흐르는 냉기에 의해 냉각할 수 있다. 특히, 최하위의 상품을 불출하는 것과 같은 상품 수납 장치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가장 냉각된 상태에 있는 최상위 상품을 냉열원으로서 마지막까지 상품 수용고의 내부에 남길 수 있으므로, 이러한 최상위 상품을 유효 활용하여 다른 상품을 냉각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냉 운전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장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어 수단이 하방측 고내 송풍 팬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시킴으로써, 냉각 수단에 의해 냉각된 내부 분위기를 하방측 개구 및 상방측 개구로부터 덕트에 진입시키고, 또한 중간 개구로부터 덕트에 진입한 내부 분위기를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개구로부터 하방 영역의 상품을 냉각하므로, 차기 판매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수납 장치의 하부측 상품을 집중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이들 하부측 상품이 적합한 냉각 온도대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 결과, 판매 기회의 일탈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의 보냉 운전 시간의 장대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상품의 판매 기회를 놓칠 우려가 없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어 수단이, 하방측 고내 송풍 팬과 상방측 고내 송풍 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하방측 고내 송풍 팬에 의한 송풍량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구동시킴으로써, 냉각 수단에 의해 냉각되고, 또한 하방측 개구를 통해 덕트로부터 토출시킨 내부 분위기의 적어도 일부를 중간 개구로부터 덕트에 진입시키도록 상품 수용고 내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상품 수납 장치의 하방 영역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하므로, 그 후에 보냉 운전으로 이행해도, 차기 판매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수납 장치의 하부측 상품을, 이들보다도 상부측에 있는 상품에 의해 냉각되어 하방을 향해 흐르는 냉기에 의해 냉각할 수 있다. 특히, 최하위의 상품을 불출하는 것과 같은 상품 수납 장치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가장 냉각된 상태에 있는 상부측 상품을 냉열원으로서 마지막까지 상품 수용고의 내부에 남길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상부측 상품을 유효 활용하여 다른 상품을 냉각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냉 운전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장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통상 냉각 운전에 있어서는 상품 수납 장치의 하방 영역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하므로, 상품 수납 장치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이 적은 경우에 상품 수납 장치의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내부 분위기를 적극적으로 통과시키는 일이 없어, 효율적으로 상품을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어 수단이 하방측 고내 송풍 팬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시킴으로써, 냉각 수단에 의해 냉각된 내부 분위기를 하방측 개구 및 상방측 개구로부터 덕트에 진입시키고, 또한 중간 개구로부터 덕트에 진입한 내부 분위기를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개구로부터 하방 영역의 상품을 냉각하므로, 차기 판매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수납 장치의 하부측 상품을 집중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이들 하부측 상품이 적합한 냉각 온도대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 결과, 판매 기회의 일탈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의 보냉 운전 시간의 장대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상품의 판매 기회를 놓칠 우려가 없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자동 판매기를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배면 덕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자동 판매기의 특징적인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품 수용고의 내부 공기의 순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제어 수단이 실시하는 냉각 회복 운전 제어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품 수용고의 내부 공기의 순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품 수용고의 내부 공기의 순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자동 판매기를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자동 판매기의 특징적인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어 수단이 실시하는 통상 냉각 운전 제어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품 수용고의 내부 공기의 순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품 수용고의 내부 공기의 순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상품 수용고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13은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품 수용고의 내부 공기의 순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품 수용고의 내부 공기의 순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상품 수용고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어 수단이 실시하는 냉각 회복 운전 제어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품 수용고의 내부 공기의 순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품 수용고의 내부 공기의 순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상품 수납 랙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자동 판매기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자동 판매기를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자동 판매기는, 예를 들어 캔 음료나 페트병 음료 등의 상품을 냉각, 혹은 가열한 상태로 판매하는 것으로, 자동 판매기 본체인 본체 캐비닛(1)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캐비닛(1)은, 복수의 금속판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구성한 것으로,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본체 캐비닛(1)에는, 그 내부에 전면이 개구된 단열 구조의 상품 수용고(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본체 캐비닛(1)의 내면에 미리 판 형상으로 성형한 단열 보드를 배치함으로써, 이들 단열 보드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상품 수용고(2)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단열 보드는, 도면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발포 우레탄 등의 단열재에 의해 성형한 판 형상 부재의 표리 양면에 각각 면재로서 수지 필름이나 크래프트지를 접착한 것이다.
이 상품 수용고(2)에는, 상품 수납 장치인 상품 수납 랙(10)이 배치되어 있다. 상품 수납 랙(10)은, 한 쌍의 측판(11)의 사이에 통로 형성 부재(12)를 배치함으로써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사행(蛇行) 형상의 상품 수납 영역(13)을 구성한 것으로서, 상품 수납 영역(13)에 상품을 수납하는 한편, 상품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는 최하위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상품의 불출을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복수의 상품 수납 영역(13)을 가진 상품 수납 랙(10)을 전후로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품 수용고(2)에는, 상품 슈터(3) 및 배면 덕트(20)가 설치되어 있다. 상품 슈터(3)는, 상품 수납 랙(10)의 하방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이 상품 슈터(3)는, 다수의 통기 구멍을 가진 평판 형상 부재로, 상품 수용고(2)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점차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배면 덕트(20)는, 상품 수용고(2)에 있어서의 배면에 설치한 도풍로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배면 덕트(2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도 2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 덕트(2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며, 최상부는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되는 상품보다도 상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배면 덕트(20)에 있어서는, 상품 슈터(3)보다도 하방측으로 되는 부위에 하방측 개구(21)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되는 상품보다도 상방측으로 되는 부위에 상방측 개구(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배면 덕트(20)에 있어서는, 하방측 개구(21)의 전방측에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이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방측 개구(22)의 전방측에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이 설치되어 있다.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은, 후술하는 제어 수단(50)으로부터의 구동 지령에 따라서 정회전 구동 혹은 역회전 구동함으로써 상품 수용고(2)의 내부 공기(내부 분위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수단이다. 여기서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은, 정회전 구동하는 경우에는, 내부 공기를 하방측 개구(21)로부터 배면 덕트(20)의 내부로 송출하는 한편, 역회전 구동하는 경우에는, 하방측 개구(21)를 통해 배면 덕트(20)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전방으로 송출하는 것이다.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은, 정회전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방측 개구(22)를 통해 배면 덕트(20)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전방으로 송출하는 한편, 역회전 구동하는 경우에는, 내부 공기를 상방측 개구(22)로부터 배면 덕트(20)의 내부로 송출하는 것이다.
또한, 이 배면 덕트(20)에 있어서는, 하방측 개구(21)와 상방측 개구(22)의 사이이며,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 중 최하위의 것으로부터 수개째에 상당하는 높이 레벨에 중간 개구(23)가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이 중간 개구(23)는 플래퍼 부재(24)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래퍼 부재(24)는 중간 개구(23)를 개폐하는 형태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통상시의 상태에 있어서는 자중에 의해 중간 개구(23)를 폐쇄하는 한편, 배면 덕트(20)의 내부 압력이 상품 수용고(2)의 압력보다도 커지는 경우에 요동하여 중간 개구(23)를 개방하는 것이다.
상기 상품 슈터(3)의 하방 영역에 있어서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의 전방측에는, 증발기(4a) 및 히터(H)가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4a)는,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품 수용고(2)의 하부의 기계실(5)에 배치한 압축기(4b), 응축기(4c) 및 팽창 기구(4d)와 함께 냉각 유닛을 구성하는 냉각 수단이다. 히터(H)는, 증발기(4a)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통전 상태로 되는 경우에 발열하는 가열 수단이다.
한편, 상기 자동 판매기에는, 내측 도어(30) 및 외측 도어(도어체)(40)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도어(30)는, 상품 수용고(2)의 전면 개구를 덮기 위한 것으로, 본체 캐비닛(1)의 일측 테두리부에 개폐 가능하게 배치한 단열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 내측 도어(30)에는 상품 반출구(31)가 설치되어 있다. 상품 반출구(31)는 상품 반출 도어(32)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다.
외측 도어(40)는, 본체 캐비닛(1)의 전면 개구를 덮기 위한 것으로, 내측 도어(30)보다도 전방측으로 되는 위치에 있어서, 본체 캐비닛(1)의 일측 테두리부에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외측 도어(40)의 전면에는, 상품을 판매할 때에 필요해지는 디스플레이 윈도우(41)나 상품 취출구(42)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았지만, 상품 선택 버튼, 지폐 삽입 관통구, 동전 투입구, 반환 레버, 금액 표시기, 동전 반환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품 취출구(42)는 상품 취출 도어(43)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자동 판매기의 특징적인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1의 자동 판매기는, 고내 온도 센서(S) 및 제어 수단(50)을 구비하고 있다.
고내 온도 센서(S)는, 상품 수용고(2)의 고내 온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하부 고내 온도 센서(S1), 상부 고내 온도 센서(S2) 및 중간부 고내 온도 센서(S3)의 3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하부 고내 온도 센서(S1)는, 상품 수납 랙(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 고내 온도 센서(S2)는, 상품 수납 랙(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부 고내 온도 센서(S3)는, 배면 덕트(20)의 중간 개구(23)에 상당하는 높이 레벨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고내 온도 센서(S)는, 고내 온도를 검출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50)에 대해 검출 신호로서 그 취지를 송출한다.
제어 수단(50)은, 메모리(6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라서 압축기(4b)나,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며, 운전 설정부(51), 입력 처리부(52), 판단부(53), 압축기 구동 처리부(54) 및 팬 구동 처리부(5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 수단(50)은 자동 판매기의 금전 처리나 판매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되고, 이 제어부로부터 독립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운전 설정부(51)는, 도시하지 않은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운전 정보를 설정하고, 또한 기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통상 냉각 운전 개시 시각을 경과한 경우에는,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도록 하고, 이러한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고 있는 중에 미리 설정된 보냉 운전 개시 시각을 경과하였을 때에는, 보냉 운전을 행하도록 한다. 또한, 보냉 운전을 행하고 있는 중에 미리 설정된 냉각 회복 운전 개시 시각을 경과한 경우에는,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도록 한다. 즉, 자동 판매기는, 미리 설정된 타임 스케줄에 따라서, 통상 냉각 운전→보냉 운전→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도록 하여 이것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상품 보충 등이 행해진 경우에는, 풀 다운 운전이 소정 시간 행해지고 그 후에 통상 냉각 운전으로 이행한다.
입력 처리부(52)는, 고내 온도 센서(S)로부터 부여되는 검출 신호를 입력 처리하는 것이다. 판단부(53)는,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입력 처리부(52)를 통해 입력 처리된 고내 온도와, 메모리(60)로부터 판독한 기준 온도(임계값)를 비교하여 상품 수용고(2)의 고내 온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다.
압축기 구동 처리부(54)는, 압축기(4b)에 대해 구동 지령, 혹은 구동 정지 지령을 부여하여 압축기(4b)의 구동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팬 구동 처리부(55)는,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에 정회전 구동 지령, 역회전 구동 지령, 혹은 구동 정지 지령을 부여하여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의 구동 처리를 행함과 함께,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에 정회전 구동 지령, 역회전 구동 지령, 혹은 구동 정지 지령을 부여하여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의 구동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자동 판매기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한다.
우선,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어 수단(50)은 압축기 구동 처리부(54)를 통해 압축기(4b)의 구동을 유지하면서, 팬 구동 처리부(55)를 통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을 정회전 구동시킴과 함께,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정회전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품 수용고(2)의 내부 공기는, 하방측 개구(21)로부터 배면 덕트(20)의 내부에 진입하고, 배면 덕트(20)를 통과한 후에, 상방측 개구(22)로부터 토출되어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을 통과하여 순환하게 된다. 즉, 증발기(4a)에 의해 냉각된 내부 공기는, 배면 덕트(20)를 통과한 후에, 상방측 개구(22)로부터 토출되어 상품 수납 랙(10)을 통과하여 상기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한다. 이때, 배면 덕트(20)의 내부 압력과 상품 수용고(2)의 압력에 차이가 그다지 없으므로, 플래퍼 부재(24)는 자신의 자중에 의해 중간 개구(23)를 폐쇄한다.
이러한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결과,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 전체가 원하는 온도 상태로 냉각되고, 하부측 상품보다도 상부측 상품의 쪽이 보다 냉각되어 있다.
이러한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고 있는 중에, 미리 설정된 보냉 운전 개시 시각에 도달하면, 자동 판매기는 통상 냉각 운전으로부터 보냉 운전으로 이행한다.
보냉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어 수단(50)은 압축기 구동 처리부(54)를 통해 압축기(4b)를 구동 정지시키면서, 팬 구동 처리부(55)를 통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구동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상품 수용고(2)의 내부 공기는 고내를 순환하는 일도 없고, 또한 증발기(4a)에 의해 냉각되는 일도 없다. 이 보냉 운전에서는, 상품 수납 랙(10)의 하부측 상품은, 상부측 상품에 의해 냉각된 냉기가 하방으로 흐름으로써 냉각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도 5는, 상술한 제어 수단(50)이 실시하는 냉각 회복 운전 제어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냉각 회복 운전 제어의 처리 내용을 설명하면서, 자동 판매기가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보냉 운전을 행하고 있는 중에, 미리 설정된 냉각 회복 운전 개시 시각을 경과한 경우(스텝 S101 : "예"), 제어 수단(50)은 압축기 구동 처리부(54)를 통해 압축기(4b)를 구동시킨다(스텝 S102).
그 후, 제어 수단(50)은 입력 처리부(52)를 통해 고내 온도 센서(S)[여기서는 중간부 고내 온도 센서(S3)로 함]로부터 검출 신호를 입력 처리함으로써 고내 온도를 입력한 경우(스텝 S103 : "예"), 판단부(53)를 통해 메모리(60)로부터 기준 온도를 판독한다(스텝 S104).
그리고, 제어 수단(50)은 판단부(53)를 통해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05),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스텝 S105 : "예"), 팬 구동 처리부(55)를 통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을 정회전 구동시킴과 함께,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역회전 구동시킨다(스텝 S106).
이와 같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을 정회전 구동시키고, 또한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역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품 수용고(2)의 내부 공기는, 하방측 개구(21)로부터 배면 덕트(20)의 내부로 진입함과 함께, 상방측 개구(22)로부터 배면 덕트(20)의 내부로 진입한다. 이 결과, 배면 덕트(20)의 내부 압력이 상품 수용고(2)의 압력보다도 커져, 이러한 압력차에 의해 플래퍼 부재(24)가 전방으로 요동하여 중간 개구(23)가 개방되고, 배면 덕트(20)의 내부를 통과한 내부 공기가 이 중간 개구(23)로부터 토출되어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을 통과하여 순환하게 된다. 즉, 증발기(4a)에 의해 냉각된 내부 공기는, 하방측 개구(21)로부터 진입하여 배면 덕트(20)를 통과한 후에, 중간 개구(23)로부터 토출되어 상품 수납 랙(10)의 중간부로부터 하방 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하방 영역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한다.
한편, 상기 스텝 S105에 있어서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스텝 S105 : "아니오"), 팬 구동 처리부(55)를 통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역회전 구동시킨다(스텝 S107).
이와 같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역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품 수용고(2)의 내부 공기는, 상방측 개구(22)로부터 배면 덕트(20)의 내부에 진입하고, 배면 덕트(20)를 통과한 후에 하방측 개구(21)로부터 토출되어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을 통과하여 순환하게 된다. 즉, 증발기(4a)에 의해 냉각된 내부 공기는, 배면 덕트(2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상품 수납 랙(10)을 통과하여 상기 상품 수납 랙(10)의 하부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한다. 이때, 배면 덕트(20)의 내부 압력과 상품 수용고(2)의 압력에 차이가 그다지 없으므로, 플래퍼 부재(24)는 자신의 자중에 의해 중간 개구(23)를 폐쇄한다.
상기 스텝 S106 혹은 스텝 S107의 처리가 실시된 후, 순서가 복귀되어 냉각 회복 운전 제어가 종료되는데, 자동 판매기는,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혹은 고내 온도 센서(S)를 통해 검출되는 고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이행 온도를 초과함으로써 상술한 통상 냉각 운전으로 이행하고, 상기 운전 사이클을 반복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어 수단(50)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정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증발기(4a)에 의해 냉각된 내부 공기를 하방측 개구(21)로부터 배면 덕트(20)에 진입시켜 상방측 개구(22)로부터 토출시키도록 상품 수용고(2)의 내부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 전체를 냉각하므로, 그 후에 보냉 운전으로 이행해도, 차기 판매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수납 랙(10)의 하부측 상품을, 상기 상품 수납 랙(10)의 상부측 상품에 의해 냉각되어 하방을 향해 흐르는 냉기에 의해 냉각할 수 있다. 특히, 최하위의 상품을 불출하는 것과 같은 본 실시 형태 1의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가장 냉각된 상태에 있는 최상위 상품을 냉열원으로서 마지막까지 상품 수용고(2)의 내부에 남길 수 있으므로, 이러한 최상위 상품을 유효 활용하여 다른 상품을 냉각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냉 운전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장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중간부 고내 온도 센서(S3)에 의해 검출되는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로 될 때에는, 제어 수단(50)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을 정회전 구동시킴과 함께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역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증발기(4a)에 의해 냉각된 내부 공기를 하방측 개구(21)로부터 배면 덕트(20)에 진입시킴과 함께 상방측 개구(22)로부터 상품 수용고(2)의 상방 영역의 내부 공기를 배면 덕트(20)에 진입시키고, 또한 중간 개구(23)로부터 배면 덕트(20)에 진입한 내부 공기를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개구(23)로부터 하방 영역의 상품을 냉각하므로, 차기 판매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수납 랙(10)의 하부측 상품을 집중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이들 하부측 상품이 적합한 냉각 온도대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 결과, 판매 기회의 일탈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1인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상품의 보냉 운전 시간의 장대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상품의 판매 기회를 놓칠 우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중간부 고내 온도 센서(S3)에 의해 검출되는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할 때에는,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역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증발기(4a)에 의해 냉각되어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한 내부 공기를 상방측 개구(22)로부터 배면 덕트(20)에 진입시켜 하방측 개구(21)로부터 토출시키도록 상품 수용고(2)의 내부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하므로, 보냉 운전 중에 판매된 상품이 많은 것이나 보냉 운전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오래 끈 것에 기인하여 상품 수용고(2)의 고내 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도 차기 판매 상품인 최하위 상품을 집중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최하위 상품이 적합한 냉각 온도대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도 판매 기회의 일탈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플래퍼 부재(24)가 통상시의 상태에 있어서는 자중에 의해 중간 개구(23)를 폐쇄하는 한편, 배면 덕트(20)의 내부 압력이 상품 수용고(2)의 압력보다도 커지는 경우에 요동하여 중간 개구(23)를 개방하므로,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할 때와 같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정회전 구동시키는 경우나,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할 때이며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역회전 구동시키는 경우에, 배면 덕트(20)를 통과하는 내부 공기가 중간 개구(23)로부터 토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품 수용고(2)의 수납된 상품을 양호하게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이 하방측 개구(21)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이 상방측 개구(22)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효율적으로 내부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자동 판매기를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1인 자동 판매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예시하는 자동 판매기는, 예를 들어 캔 음료나 페트병 음료 등의 상품을 냉각, 혹은 가열한 상태로 판매하는 것으로, 자동 판매기 본체인 본체 캐비닛(1)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캐비닛(1)은, 복수의 금속판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구성한 것으로,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본체 캐비닛(1)에는, 그 내부에 전면이 개구된 단열 구조의 상품 수용고(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본체 캐비닛(1)의 내면에 미리 판 형상으로 성형한 단열 보드를 배치함으로써, 이들 단열 보드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상품 수용고(2)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단열 보드는, 도면에는 명시하고 있지 않지만, 발포 우레탄 등의 단열재에 의해 성형한 판 형상 부재의 표리 양면에 각각 면재로서 수지 필름이나 크래프트지를 접착한 것이다.
이 상품 수용고(2)에는, 상품 수납 장치인 상품 수납 랙(10)이 배치되어 있다. 상품 수납 랙(10)은, 한 쌍의 측판(11)의 사이에 통로 형성 부재(12)를 배치함으로써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사행 형상의 상품 수납 영역(13)을 구성한 것으로서, 상품 수납 영역(13)에 상품을 수납하는 한편, 상품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는 최하위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상품의 불출을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복수의 상품 수납 영역(13)을 가진 상품 수납 랙(10)을 전후로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품 수용고(2)에는, 상품 슈터(3) 및 배면 덕트(20)가 설치되어 있다. 상품 슈터(3)는, 상품 수납 랙(10)의 하방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이 상품 슈터(3)는, 다수의 통기 구멍을 가진 평판 형상 부재이며, 상품 수용고(2)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점차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배면 덕트(20)는, 상품 수용고(2)에 있어서의 배면에 설치한 도풍로이다. 배면 덕트(2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며, 최상부는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되는 상품보다도 상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배면 덕트(20)에 있어서는, 상품 슈터(3)보다도 하방측으로 되는 부위에 하방측 개구(21)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되는 상품보다도 상방측으로 되는 부위에 상방측 개구(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배면 덕트(20)에 있어서는, 하방측 개구(21)의 전방측에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이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방측 개구(22)의 전방측에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이 설치되어 있다.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은, 후술하는 제어 수단(70)으로부터의 구동 지령에 따라서 정회전 구동 혹은 역회전 구동함으로써 상품 수용고(2)의 내부 공기(내부 분위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수단이다. 여기서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은, 정회전 구동하는 경우에는, 내부 공기를 하방측 개구(21)로부터 배면 덕트(20)의 내부로 송출하는 한편, 역회전 구동하는 경우에는, 하방측 개구(21)를 통해 배면 덕트(20)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전방으로 송출하는 것이다.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은, 정회전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방측 개구(22)를 통해 배면 덕트(20)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전방으로 송출하는 한편, 역회전 구동하는 경우에는, 내부 공기를 상방측 개구(22)로부터 배면 덕트(20)의 내부로 송출하는 것이다.
또한, 이 배면 덕트(20)에 있어서는, 하방측 개구(21)와 상방측 개구(22)의 사이이며,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 중 최하위의 것으로부터 수개째에 상당하는 높이 레벨에 중간 개구(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간 개구(23)는, 플래퍼 부재(24a)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래퍼 부재(24a)는 중간 개구(23)를 개폐하는 형태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통상시의 상태에 있어서는 자중에 의해 중간 개구(23)를 폐쇄하는 것이며, 배면 덕트(20)의 내부 압력이 상품 수용고(2)의 압력보다도 커지는 경우에는 전방을 향해 요동하여 중간 개구(23)를 개방하는 한편, 배면 덕트(20)의 내부 압력이 상품 수용고(2)의 압력보다도 작아지는 경우에는 후방을 향해 요동하여 중간 개구(23)를 개방하는 것이다.
상기 상품 슈터(3)의 하방 영역에 있어서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의 전방측에는, 증발기(4a) 및 히터(H)가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4a)는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품 수용고(2)의 하부의 기계실(5)에 배치한 압축기(4b), 응축기(4c) 및 팽창 기구(4d)와 함께 냉각 유닛을 구성하는 냉각 수단이다. 히터(H)는, 증발기(4a)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통전 상태로 되는 경우에 발열하는 가열 수단이다.
한편, 상기 자동 판매기에는, 도어체인 내측 도어(30a) 및 외측 도어(40)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도어(30a)는, 상품 수용고(2)의 전면 개구를 덮기 위한 것으로, 본체 캐비닛(1)의 일측 테두리부에 개폐 가능하게 배치한 단열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 내측 도어(30a)에는 도시하지 않은 상품 반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품 반출구는, 상품 반출 도어(32)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다. 또한, 내측 도어(30a)에 있어서는, 상품 반출구의 양측 영역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부(33)는, 내측 도어(30a)와 상품 수납 랙(10)의 사이에 있어서 통풍로(34)를 형성하는 것이다.
외측 도어(40)는, 본체 캐비닛(1)의 전면 개구를 덮기 위한 것으로, 내측 도어(30a)보다도 전방측으로 되는 위치에 있어서, 본체 캐비닛(1)의 일측 테두리부에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외측 도어(40)의 전면에는, 상품을 판매할 때에 필요해지는 디스플레이 윈도우(41)나 상품 취출구(42)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았지만, 상품 선택 버튼, 지폐 삽입 관통구, 동전 투입구, 반환 레버, 금액 표시기, 동전 반환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품 취출구(42)는 상품 취출 도어(43)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자동 판매기의 특징적인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2의 자동 판매기는, 고내 온도 센서(S) 및 제어 수단(70)을 구비하고 있다.
고내 온도 센서(S)는, 상품 수용고(2)의 고내 온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하부 고내 온도 센서(S1), 상부 고내 온도 센서(S2) 및 중간부 고내 온도 센서(S3)의 3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하부 고내 온도 센서(S1)는, 상품 수납 랙(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 고내 온도 센서(S2)는, 상품 수납 랙(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부 고내 온도 센서(S3)는, 배면 덕트(20)의 중간 개구(23)에 상당하는 높이 레벨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고내 온도 센서(S)는, 고내 온도를 검출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70)에 대해 검출 신호로서 그 취지를 송출한다.
제어 수단(70)은 메모리(8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라서 압축기(4b)나,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며, 운전 설정부(71), 입력 처리부(72), 판단부(73), 압축기 구동 처리부(74) 및 팬 구동 처리부(7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 수단(70)은 자동 판매기의 금전 처리나 판매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되고, 이 제어부로부터 독립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운전 설정부(71)는, 도시하지 않은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운전 정보를 설정하고, 또한 기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통상 냉각 운전 개시 시각을 경과한 경우에는,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도록 하고, 이러한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고 있는 중에 미리 설정된 보냉 운전 개시 시각을 경과하였을 때에는, 보냉 운전을 행하도록 한다. 또한, 보냉 운전을 행하고 있는 중에 미리 설정된 냉각 회복 운전 개시 시각을 경과한 경우에는,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도록 한다. 즉, 자동 판매기는, 미리 설정된 타임 스케줄에 따라서, 통상 냉각 운전→보냉 운전→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도록 하여 이것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상품 보충 등이 행해진 경우에는, 풀 다운 운전이 소정 시간 행해지고 그 후에 통상 냉각 운전으로 이행한다.
입력 처리부(72)는, 고내 온도 센서(S)로부터 부여되는 검출 신호를 입력 처리하는 것이다. 판단부(73)는, 통상 냉각 운전 또는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입력 처리부(72)를 통해 입력 처리된 고내 온도와, 메모리(80)로부터 판독한 판정 온도 혹은 기준 온도(임계값)를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판단부(73)는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부 고내 온도 센서(S2)에 의해 검출되어 입력 처리부(72)를 통해 입력 처리된 상부 고내 온도와, 메모리(80)로부터 판독한 판정 온도를 비교하여 상품 수용고(2)에 있어서의 상품 수납 랙(10)의 상품 수납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다. 즉, 판단부(73)는 상부 고내 온도가 판정 온도 이상이면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수가 많다고 판단하고, 상부 고내 온도가 판정 온도 미만이면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수가 적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판단부(73)는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중간부 고내 온도 센서(S3)에 의해 검출되어 입력 처리부(72)를 통해 입력 처리된 중간부의 고내 온도와, 메모리(80)로부터 판독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상품 수용고(2)의 고내 온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다.
압축기 구동 처리부(74)는, 압축기(4b)에 대해 구동 지령, 혹은 구동 정지 지령을 부여하여 압축기(4b)의 구동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팬 구동 처리부(75)는,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에 정회전 구동 지령, 역회전 구동 지령, 혹은 구동 정지 지령을 부여하여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의 구동 처리를 행함과 함께,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에 정회전 구동 지령, 역회전 구동 지령, 혹은 구동 정지 지령을 부여하여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의 구동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자동 판매기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한다.
우선,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상술한 제어 수단(70)이 실시하는 통상 냉각 운전 제어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통상 냉각 운전 제어의 처리 내용을 설명하면서, 자동 판매기가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후술하는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고 있는 중에, 미리 설정된 통상 냉각 운전 개시 시각을 경과한 경우(스텝 S201 : "예"), 제어 수단(70)은, 고내 온도 센서(S)[상부 고내 온도 센서(S2)]로부터 검출 신호의 입력 대기로 된다(스텝 S202). 또한, 후술하는 냉각 회복 운전에 의해 압축기(4b)는 이미 구동 상태로 되어 있다.
제어 수단(70)은 입력 처리부(72)를 통해 고내 온도 센서(S)[상부 고내 온도 센서(S2)]로부터 검출 신호를 입력 처리함으로써 상부 고내 온도를 입력한 경우(스텝 S203 : "예"), 판단부(73)를 통해 메모리(80)로부터 판정 온도를 판독한다(스텝 S204).
그리고, 제어 수단(70)은 판단부(73)를 통해 상부 고내 온도가 판정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205), 상부 고내 온도가 판정 온도 이상인 경우(스텝 S205 : "예"), 즉, 판단부(73)를 통해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수가 많다고 판단한 경우, 팬 구동 처리부(75)를 통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을 정회전 구동시킴과 함께,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정회전 구동시킨다(스텝 S206).
이와 같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을 정회전 구동시키고, 또한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정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품 수용고(2)의 내부 공기는, 하방측 개구(21)로부터 배면 덕트(20)의 내부에 진입하고, 배면 덕트(20)를 통과한 후에 상방측 개구(22)로부터 토출되어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을 통과하여 순환하게 된다. 즉, 증발기(4a)에 의해 냉각된 내부 공기는, 배면 덕트(20)를 통과한 후에, 상방측 개구(22)로부터 토출되어 상품 수납 랙(10)을 통과하여 상기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한다. 이때, 배면 덕트(20)의 내부 압력과 상품 수용고(2)의 압력에 차이가 그다지 없으므로, 플래퍼 부재(24a)는 자신의 자중에 의해 중간 개구(23)를 폐쇄한다. 이에 의해,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 전체가 원하는 온도 상태로 냉각되고, 하부측 상품보다도 상부측 상품의 쪽이 보다 냉각되어 있다.
또한, 내측 도어(30a)에는 오목부(33)가 형성됨으로써 내측 도어(30a)와 상품 수납 랙(10)의 사이에 있어서 통풍로(3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측 개구(22)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일부가 통풍로(34)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상방측 개구(22)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일부가 통풍로(34)를 통과함으로써, 상품 수납 랙(10)의 전방측에도 배면 덕트(20)를 통과하여 토출된 냉각 공기를 적극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상품 수납 랙(10)에 수용된 상품 전체를 양호하게 냉각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수단(70)은 상기 스텝 S205에 있어서 상부 고내 온도가 판정 온도 미만인 경우(스텝 S205 : "아니오"), 즉, 판단부(73)를 통해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수가 적다고 판단한 경우, 팬 구동 처리부(75)를 통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을 역회전 구동시킴과 함께,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보다도 송풍량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역회전 간헐 구동시킨다(스텝 S207).
이와 같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을 역회전 구동시킴과 함께,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역회전 간헐 구동시킴으로써, 상방측 개구(22) 부근에서의 상품 수용고(2)와 배면 덕트(20)의 압력차는 작아지지만, 중간 개구(23) 부근에서의 상품 수용고(2)와 배면 덕트(20)의 압력차가 커져, 이러한 압력차에 의해 플래퍼 부재(24a)가 후방으로 요동하여 중간 개구(23)가 개방된다. 이에 의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품 수용고(2)의 내부 공기는, 상방측 개구(22)보다도 중간 개구(23)로부터 배면 덕트(20)의 내부에 보다 많이 진입하고, 배면 덕트(20)를 통과한 후에 하방측 개구(21)로부터 토출되어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을 통과하여 순환하게 된다. 즉, 증발기(4a)에 의해 냉각된 내부 공기는, 배면 덕트(2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상품 수납 랙(10)을 통과하여 상기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하고, 또한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상품 수납 랙(10)의 상방 영역을 거의 통과하는 일이 없으므로, 상품 수납 랙(10)의 하방 영역에 수납된 상품을 집중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측 개구(21)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일부가 통풍로(34)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방측 개구(21)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일부가 통풍로(34)를 통과함으로써, 상품 수납 랙(10)의 전방측에도 냉각 공기를 적극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상품 수납 랙(10)에 수용된 상품을 양호하게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스텝 S206 혹은 스텝 S207의 처리가 실시된 후, 순서가 복귀되어 통상 냉각 운전 제어가 종료되는데, 이러한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고 있는 중에, 미리 설정된 보냉 운전 개시 시각에 도달하면, 자동 판매기는 통상 냉각 운전으로부터 보냉 운전으로 이행한다.
보냉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어 수단(70)은 압축기 구동 처리부(74)를 통해 압축기(4b)를 구동 정지시키면서, 팬 구동 처리부(75)를 통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구동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상품 수용고(2)의 내부 공기는 고내를 순환하는 일도 없고, 또한 증발기(4a)에 의해 냉각되는 일도 없다. 이 보냉 운전에서는, 상품 수납 랙(10)의 하부측 상품은, 상부측 상품에 의해 냉각된 냉기가 하방으로 흐름으로써 냉각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도 15는, 상술한 제어 수단(70)이 실시하는 냉각 회복 운전 제어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냉각 회복 운전 제어의 처리 내용을 설명하면서, 자동 판매기가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보냉 운전을 행하고 있는 중에, 미리 설정된 냉각 회복 운전 개시 시각을 경과한 경우(스텝 S301 : "예"), 제어 수단(70)은 압축기 구동 처리부(74)를 통해 압축기(4b)를 구동시킨다(스텝 S302).
그 후, 제어 수단(70)은 입력 처리부(72)를 통해 고내 온도 센서(S)[중간부 고내 온도 센서(S3)]로부터 검출 신호를 입력 처리함으로써 고내 온도를 입력한 경우(스텝 S303 : "예"), 판단부(73)를 통해 메모리(80)로부터 기준 온도를 판독한다(스텝 S304).
그리고, 제어 수단(70)은 판단부(73)를 통해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305),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스텝 S305 : "예"), 팬 구동 처리부(75)를 통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을 정회전 구동시킴과 함께,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역회전 구동시킨다(스텝 S306).
이와 같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을 정회전 구동시키고, 또한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역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품 수용고(2)의 내부 공기는, 하방측 개구(21)로부터 배면 덕트(20)의 내부로 진입함과 함께, 상방측 개구(22)로부터 배면 덕트(20)의 내부로 진입한다. 이 결과, 배면 덕트(20)의 내부 압력이 상품 수용고(2)의 압력보다도 커져, 이러한 압력차에 의해 플래퍼 부재(24a)가 전방으로 요동하여 중간 개구(23)가 개방되고, 배면 덕트(20)의 내부를 통과한 내부 공기가 이 중간 개구(23)로부터 토출되어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을 통과하여 순환하게 된다. 즉, 증발기(4a)에 의해 냉각된 내부 공기는, 하방측 개구(21)로부터 진입하여 배면 덕트(20)를 통과한 후에, 중간 개구(23)로부터 토출되어 상품 수납 랙(10)의 중간부로부터 하방 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하방 영역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한다.
또한,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았지만, 이와 같이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중간 개구(23)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일부가 통풍로(34)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중간 개구(23)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일부가 통풍로(34)를 통과함으로써, 상품 수납 랙(10)의 전방측에도 냉각 공기를 적극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상품 수납 랙(10)에 수용된 상품을 양호하게 냉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텝 S305에 있어서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스텝 S305 : "아니오"), 팬 구동 처리부(75)를 통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역회전 구동시킨다(스텝 S307).
이와 같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역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품 수용고(2)의 내부 공기는, 상방측 개구(22)로부터 배면 덕트(20)의 내부로 진입하고, 배면 덕트(20)를 통과한 후에 하방측 개구(21)로부터 토출되어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을 통과하여 순환하게 된다. 즉, 증발기(4a)에 의해 냉각된 내부 공기는, 배면 덕트(2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상품 수납 랙(10)을 통과하여 상기 상품 수납 랙(10)의 하부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한다. 이때, 배면 덕트(20)의 내부 압력과 상품 수용고(2)의 압력에 차이가 그다지 없으므로, 플래퍼 부재(24a)는 자신의 자중에 의해 중간 개구(23)를 폐쇄한다.
또한,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았지만, 이와 같이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하방측 개구(21)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일부가 통풍로(34)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방측 개구(21)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일부가 통풍로(34)를 통과함으로써, 상품 수납 랙(10)의 전방측에도 냉각 공기를 적극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상품 수납 랙(10)에 수용된 상품을 양호하게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스텝 S306 혹은 스텝 S307의 처리가 실시된 후, 순서가 복귀되어 냉각 회복 운전 제어가 종료되는데, 자동 판매기는,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혹은 고내 온도 센서(S)를 통해 검출되는 고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이행 온도를 초과함으로써, 상술한 통상 냉각 운전으로 이행하고, 상기 운전 사이클을 반복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어 수단(70)이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수가 많다고 판단하였을 때에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정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증발기(4a)에 의해 냉각된 내부 공기를 하방측 개구(21)로부터 배면 덕트(20)에 진입시켜 상방측 개구(22)로부터 토출시키도록 상품 수용고(2)의 내부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 전체를 냉각하므로, 그 후에 보냉 운전으로 이행해도, 차기 판매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수납 랙(10)의 하부측 상품을, 상기 상품 수납 랙(10)의 상부측 상품에 의해 냉각되어 하방을 향해 흐르는 냉기에 의해 냉각할 수 있다. 특히, 최하위의 상품을 불출하는 것과 같은 본 실시 형태 2의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가장 냉각된 상태에 있는 최상위 상품을 냉열원으로서 마지막까지 상품 수용고(2)의 내부에 남길 수 있으므로, 이러한 최상위 상품을 유효 활용하여 다른 상품을 냉각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냉 운전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장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상기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어 수단(70)이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수가 적다고 판단하였을 때에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을 역회전 구동시킴과 함께,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역회전 간헐 구동시킴으로써, 증발기(4a)에 의해 냉각된 내부 공기를,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상품 수납 랙(10)의 상방 영역을 거의 통과시키지 않고 상품 수납 랙(10)의 하방 영역을 적극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어, 이에 의해 상품 수납 랙(10)의 하방 영역에 수납된 상품을 집중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함으로써, 그 후에 보냉 운전으로 이행해도, 차기 판매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수납 랙(10)의 하부측 상품을, 이들보다도 상부측에 있는 상품에 의해 냉각되어 하방을 향해 흐르는 냉기에 의해 냉각할 수 있다. 특히, 최하위의 상품을 불출하는 것과 같은 본 실시 형태 2인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가장 냉각된 상태에 있는 상부측 상품을 냉열원으로서 마지막까지 상품 수용고(2)의 내부에 남길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상부측 상품을 유효 활용하여 다른 상품을 냉각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냉 운전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장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중간부 고내 온도 센서(S3)에 의해 검출되는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로 될 때에는, 제어 수단(70)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을 정회전 구동시킴과 함께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역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증발기(4a)에 의해 냉각된 내부 공기를 하방측 개구(21)로부터 배면 덕트(20)에 진입시킴과 함께 상방측 개구(22)로부터 상품 수용고(2)의 상방 영역의 내부 공기를 배면 덕트(20)에 진입시키고, 또한 중간 개구(23)로부터 배면 덕트(20)에 진입한 내부 공기를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개구(23)로부터 하방 영역의 상품을 냉각하므로, 차기 판매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수납 랙(10)의 하부측 상품을 집중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이들 하부측 상품이 적합한 냉각 온도대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 결과, 판매 기회의 일탈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2인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상품의 보냉 운전 시간의 장대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상품의 판매 기회를 놓칠 우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인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중간부 고내 온도 센서(S3)에 의해 검출되는 고내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할 때에는,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역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증발기(4a)에 의해 냉각되어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한 내부 공기를 상방측 개구(22)로부터 배면 덕트(20)에 진입시켜 하방측 개구(21)로부터 토출시키도록 상품 수용고(2)의 내부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하므로, 보냉 운전 중에 판매된 상품이 많은 것이나 보냉 운전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오래 끈 것에 기인하여 상품 수용고(2)의 고내 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도 차기 판매 상품인 최하위 상품을 집중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최하위 상품이 적합한 냉각 온도대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서도 판매 기회의 일탈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플래퍼 부재(24a)가 통상시의 상태에 있어서는 자중에 의해 중간 개구(23)를 폐쇄하는 것이며, 배면 덕트(20)의 내부 압력이 상품 수용고(2)의 압력보다도 커지는 경우에는 전방을 향해 요동하여 중간 개구(23)를 개방하는 한편, 배면 덕트(20)의 내부 압력이 상품 수용고(2)의 압력보다도 작아지는 경우에는 후방을 향해 요동하여 중간 개구(23)를 개방하므로,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정회전 구동시키는 경우나,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역회전 구동시키는 경우에, 배면 덕트(20)를 통과하는 내부 공기가 중간 개구(23)로부터 토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품 수용고(2)의 수납된 상품을 양호하게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이 하방측 개구(21)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이 상방측 개구(22)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효율적으로 내부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내측 도어(30a)에는 오목부(33)가 형성됨으로써 내측 도어(30a)와 상품 수납 랙(10)의 사이에 있어서 통풍로(3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면 덕트(20)의 어느 하나의 개구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일부가 상기 통풍로(34)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에 의해, 상품 수납 랙(10)의 전방측에도 냉각 공기를 적극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상품 수납 랙(10)에 수용된 상품을 양호하게 냉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 1 및 2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 1 및 2에 있어서는, 배면 덕트(20)는 최상부가 상품 수납 랙(10)의 상방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상방측 개구(22)의 전방측에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이 설치된 것이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상품 수납 랙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품 수납 랙(10) 중 가장 후방측에 위치하는 것[이하, 리어 랙(10a)이라고도 칭함]의 상품 수납 영역의 상방측에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리어 랙(10a)의 측판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도시하지 않은 쿠션재를 설치하여, 이러한 쿠션재가 상품 수용고(2)의 배면에 접촉함으로써, 배면 덕트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즉, 상품 수납 랙에 수납된 최하위의 상품으로부터 수개째의 높이 레벨까지밖에 존재하지 않는 기존의 덕트의 상방측에 쿠션재에 의한 덕트를 설치함으로써 배면 덕트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면 덕트에 있어서는 기존의 덕트와 쿠션재에 의한 덕트의 사이에 중간 개구를 설치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자동 판매기에 의해서도, 상품의 보냉 운전 시간의 장대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상품의 판매 기회를 놓칠 우려가 없다고 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시장에 이미 나와 있는 기존의 자동 판매기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 1 및 2에 있어서는,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중간부 고내 온도 센서(S3)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의 구동을 제어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간부 고내 온도 센서(S3)에만 한정되지 않고, 하부 고내 온도 센서(S1)의 검출 온도나, 상부 고내 온도 센서(S2)의 검출 온도, 혹은 하부 고내 온도 센서(S1), 상부 고내 온도 센서(S2) 및 중간부 고내 온도 센서(S3)의 각 검출 온도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하부 고내 온도 센서(S1)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 및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의 구동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상품 수납 랙에 있어서의 판매 개수를 계측하고, 이러한 판매 개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되는지 여부에 의해 각 고내 송풍 팬(F1, F2)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부 고내 온도 센서(S2)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수의 많고 적음을 판단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품 수납 장치[상품 수납 랙(10)]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수의 많고 적음의 판단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행하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보다도 송풍량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역회전 간헐 구동시키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과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에 의한 송풍량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구동시킬 수 있으면, 그 운전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의 구동 비율을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보다도 크게 해도 되고,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과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의 팬 형상을 변경시킴으로써 실현해도 되고, 상방측 고내 송풍 팬(F2)을 구동 정지한 상태에서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만을 구동시켜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 1 및 2에 있어서는, 상품 수용고(2)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 덕트로서 배면 덕트(20)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덕트는, 이러한 배면 덕트(20)에 한정되지 않고, 상품 수납 장치[상품 수납 랙(10)]의 측방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측면 덕트라도 상관없다.
상술한 실시 형태 1 및 2에 있어서는, 냉각 수단인 증발기(4a)가 하방측 고내 송풍 팬(F1)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냉각 수단의 배치 개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품 수용고(2)의 내부 공기(내부 분위기)를 양호하게 냉각할 수 있으면 어느 개소라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자동 판매기는, 예를 들어 캔 음료나 페트병 음료 등의 상품을 판매하는 데 유용하다.
1 : 본체 캐비닛
2 : 상품 수용고
3 : 상품 슈터
4a : 증발기
10 : 상품 수납 랙
11 : 측판
12 : 통로 형성 부재
13 : 상품 수납 영역
20 : 배면 덕트
21 : 하방측 개구
22 : 상방측 개구
23 : 중간 개구
24 : 플래퍼 부재
24a : 플래퍼 부재
30 : 내측 도어
30a : 내측 도어
31 : 상품 반출구
32 : 상품 반출 도어
33 : 오목부
34 : 통풍로
40 : 외측 도어
42 : 상품 취출구
43 : 상품 취출 도어
50 : 제어 수단
51 : 운전 설정부
52 : 입력 처리부
53 : 판단부
54 : 압축기 구동 처리부
55 : 팬 구동 처리부
60 : 메모리
70 : 제어 수단
71 : 운전 설정부
72 : 입력 처리부
73 : 판단부
74 : 압축기 구동 처리부
75 : 팬 구동 처리부
80 : 메모리
F1 : 하방측 고내 송풍 팬
F2 : 상방측 고내 송풍 팬
H : 히터
S1 : 하부 고내 온도 센서
S2 : 상부 고내 온도 센서
S3 : 중간부 고내 온도 센서

Claims (7)

  1. 전면(前面)에 형성된 개구가 도어체에 의해 개폐되고, 또한 내부에 상품 수용고가 구획된 자동 판매기 본체와,
    상기 상품 수용고에 설치되고, 또한 투입된 상품을 상하 방향을 따라 수납하고,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최하위의 상품을 불출(拂出)하는 상품 수납 장치와,
    상기 상품 수용고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상품 수용고의 내부 분위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수단을 구비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수용고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 덕트의 하방측 개구에 설치된 하방측 고내(庫內) 송풍 팬을 구동시킴과 함께, 상기 덕트에 있어서 상기 하방측 개구보다도 상방에 형성된 상방측 개구에 설치된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하방측 개구로부터 상기 덕트에 진입시킨 내부 분위기를 상기 상방측 개구로부터 토출시키도록 상기 상품 수용고 내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수납된 상품 전체를 냉각하고,
    보냉(保冷)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방측 고내 송풍 팬 및 상기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 정지하고,
    상기 보냉 운전 후에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방측 고내 송풍 팬 및 상기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하방측 개구 및 상기 상방측 개구로부터 내부 분위기를 상기 덕트에 진입시키고, 또한 상기 덕트에 진입한 내부 분위기를 상기 하방측 개구와 상기 상방측 개구 사이에 설치된 중간 개구로부터 상기 상품 수용고 내부로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개구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영역의 상품을 냉각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2. 전면에 형성된 개구가 도어체에 의해 개폐되고, 또한 내부에 상품 수용고가 구획된 자동 판매기 본체와,
    상기 상품 수용고에 설치되고, 또한 투입된 상품을 상하 방향을 따라 수납하고,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최하위의 상품을 불출하는 상품 수납 장치와,
    상기 상품 수용고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상품 수용고의 내부 분위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수단을 구비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수용고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 덕트의 하방측 개구에 설치된 하방측 고내 송풍 팬과, 상기 덕트에 있어서 상기 하방측 개구보다도 상방에 형성된 상방측 개구에 설치된 상방측 고내 송풍 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하방측 고내 송풍 팬에 의한 송풍량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하방측 개구를 통해 덕트로부터 토출시킨 내부 분위기의 적어도 일부를 중간 개구로부터 상기 덕트에 진입시키도록 상기 상품 수용고 내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상품 수납 장치의 하방 영역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하고,
    보냉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방측 고내 송풍 팬 및 상기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 정지하고,
    상기 보냉 운전 후에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방측 고내 송풍 팬 및 상기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하방측 개구 및 상기 상방측 개구로부터 내부 분위기를 상기 덕트에 진입시키고, 또한 상기 덕트에 진입한 내부 분위기를 상기 하방측 개구와 상기 상방측 개구 사이에 설치된 중간 개구로부터 상기 상품 수용고 내부로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개구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영역의 상품을 냉각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측 개구는 상기 상품 수납 장치보다도 하방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상방측 개구는 상기 상품 수납 장치보다도 상방 영역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측 고내 송풍 팬은 상기 하방측 개구의 전방(前方)에 설치되고, 상기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은 상기 상방측 개구의 전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냉각 회복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용고의 고내 온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로 될 때에는, 상기 하방측 고내 송풍 팬 및 상기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하방측 개구 및 상기 상방측 개구로부터 내부 분위기를 상기 덕트에 진입시키고, 또한 상기 덕트에 진입한 내부 분위기를 상기 중간 개구로부터 상기 상품 수용고 내부로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개구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영역의 상품을 냉각하고,
    상기 고내 온도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할 때에는, 상기 하방측 고내 송풍 팬 및 상기 상방측 고내 송풍 팬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한 내부 분위기를 상기 상방측 개구로부터 상기 덕트에 진입시켜 상기 하방측 개구로부터 토출시키도록 상기 상품 수용고 내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상품 수납 장치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개구를 개폐하는 형태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통상시의 상태(常態)에 있어서는 자중(自重)에 의해 상기 중간 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덕트의 내부 압력이 상품 수용고의 압력보다도 커지는 경우에 요동하여 상기 중간 개구를 개방하는 플래퍼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체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상품 수용고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내측 도어와, 상기 상품 수용고에 있어서의 상기 상품 수납 장치 사이에 내부 분위기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풍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KR1020147012807A 2011-11-14 2012-09-28 자동 판매기 KR101592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48931 2011-11-14
JP2011248931 2011-11-14
PCT/JP2012/075114 WO2013073296A1 (ja) 2011-11-14 2012-09-28 自動販売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792A KR20140075792A (ko) 2014-06-19
KR101592799B1 true KR101592799B1 (ko) 2016-02-05

Family

ID=4842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807A KR101592799B1 (ko) 2011-11-14 2012-09-28 자동 판매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741196B2 (ko)
EP (1) EP2782077B1 (ko)
JP (1) JP6010041B2 (ko)
KR (1) KR101592799B1 (ko)
CN (1) CN103930933B (ko)
AU (1) AU2012327214B2 (ko)
CA (1) CA2854916C (ko)
MX (1) MX360237B (ko)
WO (1) WO20130732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3535B2 (ja) * 2013-07-10 2017-05-10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CN105651000B (zh) * 2014-11-11 2017-11-21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冷藏设备及化霜控制方法
KR102446580B1 (ko) * 2014-11-28 2022-09-22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상품 불출 장치
JP6591158B2 (ja) 2014-12-19 2019-10-16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自動販売機
JP6711507B2 (ja) * 2015-10-16 2020-06-17 サンデン・リテ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CN107705426B (zh) * 2016-08-08 2020-10-27 富士电机株式会社 自动售货机
JP6866649B2 (ja) * 2017-01-23 2021-04-28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JP6879079B2 (ja) * 2017-06-27 2021-06-02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JP2019040554A (ja) * 2017-08-29 2019-03-14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BE1024967B1 (nl) * 2017-09-01 2018-08-29 Anheuser-Busch Inbev Nv Automatisch verkoopautomaat voor drankblikken
US10499751B2 (en) * 2017-10-12 2019-12-10 Prince Castle LLC Dispenser of bagged frozen food
JP7021510B2 (ja) * 2017-11-27 2022-02-17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CN109243052A (zh) * 2018-08-16 2019-01-18 湖南金码智能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售货机、用于售货机的智能制冷系统及方法
CA3115667A1 (en) * 2018-10-08 2020-04-16 Pepsico, Inc. Slush beverage dispenser and slush beverage dispensing methods
AU2020245206A1 (en) 2019-03-25 2021-09-23 Pepsico, Inc. Beverage container dispenser and method for dispensing beverage containers
CH714956A2 (de) * 2019-09-02 2019-11-15 V Zug Ag Kühlgerät mit entgegengesetzter Luftführung.
US11910815B2 (en) 2019-12-02 2024-02-27 Pepsico, Inc. Device and method for nucleation of a supercooled bever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5860A (ja) 1998-09-29 2000-04-11 Sanden Corp 自動販売機
JP2000200388A (ja) 1999-01-08 2000-07-18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7827A (en) 1992-07-01 1994-09-20 The Coca-Cola Company Modular refrigeration apparatus
JP3743153B2 (ja) * 1998-02-26 2006-02-08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払出装置
US6389822B1 (en) * 1998-10-28 2002-05-21 Bayview Technology Group, Incorporated Refrigerated vending machine exploiting expanded temperature variance during power-conservation mode
US6272867B1 (en) * 1999-09-22 2001-08-14 The Coca-Cola Company Apparatus using stirling cooler system and methods of use
US6378724B1 (en) * 1999-09-23 2002-04-30 Kil Jae Chang Machine and method for vending products one at a time from lower ends of circular row of columns
US6378324B1 (en) * 1999-10-26 2002-04-30 Crane Co. Thermally regulated storage container
US6715636B2 (en) * 2002-02-01 2004-04-06 Thomas Plastics, Inc.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cans & bottles with stop member
KR101205822B1 (ko) 2005-04-27 2012-11-28 수퍼쿨러 주식회사 냉각고
US20070125104A1 (en) * 2005-12-06 2007-06-07 Ranco Incorporated Of Delaware Compressor system for vending devices and the like
JP4897313B2 (ja) * 2006-03-07 2012-03-1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1097643B (zh) * 2006-06-30 2010-04-21 富士电机零售设备系统株式会社 自动售货机
WO2009049094A1 (en) * 2007-10-09 2009-04-16 Fawn Engineering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ngle or multiple temperature zone(s) in refrigerated vending machine
WO2012012418A1 (en) * 2010-07-22 2012-01-26 Clarcor Air Filtration Products, Inc. Self service kiosk incorporating moisture repellant filter
CN102183714B (zh) 2011-03-18 2013-09-11 国网电力科学研究院 一种特高压绝缘子模拟覆冰试验用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5860A (ja) 1998-09-29 2000-04-11 Sanden Corp 自動販売機
JP2000200388A (ja) 1999-01-08 2000-07-18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54916A1 (en) 2013-05-23
EP2782077B1 (en) 2016-11-30
MX360237B (es) 2018-10-26
US20140312053A1 (en) 2014-10-23
CA2854916C (en) 2018-03-06
EP2782077A4 (en) 2015-06-24
WO2013073296A1 (ja) 2013-05-23
MX2014005778A (es) 2014-05-30
EP2782077A1 (en) 2014-09-24
AU2012327214B2 (en) 2015-03-19
CN103930933B (zh) 2016-09-14
KR20140075792A (ko) 2014-06-19
CN103930933A (zh) 2014-07-16
US9741196B2 (en) 2017-08-22
JP6010041B2 (ja) 2016-10-19
JPWO2013073296A1 (ja) 2015-04-02
AU2012327214A1 (en) 201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799B1 (ko) 자동 판매기
JP3892814B2 (ja) 冷蔵庫の冷気循環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70092698A (ko) 자동판매기
JP6167762B2 (ja) 自動販売機
JP6163974B2 (ja) 自動販売機
CN109427140B (zh) 自动售货机
KR101641843B1 (ko) 자동 판매기
JP2018101173A (ja) 自動販売機
JP5900055B2 (ja) 自動販売機
KR101668568B1 (ko) 자동 판매기
JP5862389B2 (ja) 自動販売機
JP7200244B2 (ja) 商品収納装置
JP2008065513A (ja) 自動販売機
JP2002288725A (ja) 自動販売機
JP6123471B2 (ja) 自動販売機
JP2023059381A (ja) 自動販売機
JP5245585B2 (ja) 自動販売機
JP4737034B2 (ja) 自動販売機
JP2010020396A (ja) 自動販売機
JP2005196453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