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843B1 - 자동 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 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843B1
KR101641843B1 KR1020157004887A KR20157004887A KR101641843B1 KR 101641843 B1 KR101641843 B1 KR 101641843B1 KR 1020157004887 A KR1020157004887 A KR 1020157004887A KR 20157004887 A KR20157004887 A KR 20157004887A KR 101641843 B1 KR101641843 B1 KR 101641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erchandise
rack
storage area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0959A (ko
Inventor
마사히로 요시노
다다오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0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상품 수용고(11)에 배치되어 수납 영역(11a)과 통풍로(11b)를 구획하고, 또한 흡입구(21)와 분출구(22)가 형성된 덕트(20)와, 수납 영역(11a)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단 설치된 상품 랙(12)과, 수납 영역(11a)의 내부 공기를 흡입구(21)로부터 통풍로(11b)로 흡입시키고 분출구(22)로부터 수납 영역(11a)으로 분출시키도록 순환시키는 고 내 송풍 팬(F1)과, 고 내 송풍 팬(F1)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24)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자신보다도 하방측의 상품 랙(12)의 상방 영역을 향해 진퇴 이동하는 형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하방측의 상품 랙(12)의 상방 영역으로 진출 이동한 자세로 되는 경우에, 분출구(22)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상품 랙(12)에 수납된 상품에 접촉시키는 루버 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상품의 판매를 행하는 자동 판매기에는, 상품 수용고의 상품 랙에 수납된 상품을 상품 트레이에 조출한 후, 상품 트레이에 의해 반송하여 소정의 상품 취출 영역에 불출하도록 한 것이 있다. 상품 취출 영역은, 상품 취출구를 통해 상품 수용고의 외부에 연통된 공간이며, 이용자가 상품 취출구로부터 손을 넣으면, 구입한 상품의 취출이 가능하다.
통상, 이와 같은 종류의 자동 판매기에서는, 전방면의 도어체가 유리 등의 투명한 면판을 갖고 구성되어 있고, 상품 수용고의 상품 랙에 수납된 상품을 외부로부터 시인하여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품 랙으로부터 조출된 구입 상품이 상품 트레이에 의해 상품 취출 영역까지 반송되는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수용고의 내부가 시인 가능한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이용자의 구매 의욕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리고 이러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상품 수용고의 배면 근방에, 통풍로를 상품 랙이 배치되는 수납 영역과 구획 형성하는 형태로 배면 덕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배면 덕트에는, 증발기 등의 냉각 수단에 의해 냉각된 수납 영역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해당 흡입구로부터 흡입되어 통풍로를 통과한 공기를 수납 영역으로 분출하기 위한 분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분출구는, 흡입구의 상방 영역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동 판매기에서는, 상품 수용고에 배치된 팬 등을 구동시킴으로써 배면 덕트에 있어서의 각 높이 레벨의 분출구로부터 냉각된 공기를 분출시킴으로써, 상품 랙에 수납된 원하는 온도로 냉각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34970호 공보
그런데, 상기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흡입구를 통해 통풍로로 흡입된 내부 공기는, 통풍로를 상방을 향해 통과하여 그 도중에서 각 분출구로부터 전방을 향해 분출되는 것으로 되지만, 실제로는,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상품 랙의 상품의 상방 영역을 통과하여 도어체의 면판에 접촉하고 그 후에 하방을 향해 흘러 다시 흡입구를 통해 통풍로로 흡입되는 비율이 크고,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가 상품 랙에 수납된 상품에 닿는 비율은 작았다. 그로 인해, 상품의 냉각 효율이 충분히 높은 것으로 되지 않고, 또한 면재에 접촉함으로써 외기와의 열교환량이 증대되어 열 손실이 과대한 것으로 되어 있었다. 특히, 상품 랙의 전방 영역에 상품 트레이의 반송로가 형성되는 자동 판매기에서는, 상품 랙과 도어체의 이격 거리가 크고, 냉각 효율의 저하 및 열 손실의 문제가 현저해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상품 랙에 수납된 상품의 냉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열 손실을 저감시켜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자동 판매기는, 자동 판매기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품 수용고의 배면 근방에 배치됨으로써 수납 영역과 통풍로를 구획하고, 또한 상기 수납 영역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이 흡입구의 상방 영역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된 분출구가 형성된 덕트와, 상기 상품 수용고의 상기 수납 영역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단 설치되어, 각각이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랙과, 상기 수납 영역의 내부 공기를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통풍로로 흡입시키고, 해당 통풍로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분출구로부터 해당 수납 영역으로 분출시킴으로써, 상기 수납 영역의 내외에서 상기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수단과, 상기 순환 수단에 의해 순환되는 상기 내부 공기를 원하는 온도로 조정하는 온도 조정 수단을 구비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자신보다도 하방측의 상품 랙의 상방 영역을 향해 진퇴 이동하는 형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하방측의 상품 랙의 상방 영역으로 진출 이동한 자세로 되는 경우에, 상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해당 상품 랙에 수납된 상품에 접촉시키는 루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루버 부재는, 좌우 방향을 따른 연장 길이가 상기 덕트의 좌우 폭에 대략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루버 부재는, 투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신보다도 하방측의 상품 랙의 상방 영역을 향해 진퇴 이동하는 형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루버 부재가, 하방측의 상품 랙의 상방 영역으로 진출 이동한 자세로 되는 경우에,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해당 상품 랙에 수납된 상품에 접촉시키므로, 상품 랙에 수납된 상품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자신에 접촉시킴으로써 자신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흐르는 공기의 풍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전방측에 설치된 도어체를 통해 공기가 외기와 열교환하는 열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품 랙에 수납된 상품의 냉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열 손실을 저감시켜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자동 판매기의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어 수단이 실시하는 냉각 운전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통풍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루버 부재의 작용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연통 구멍의 작용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자동 판매기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자동 판매기는, 자동 판매기 본체인 본체 캐비넷(10)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캐비넷(10)은, 전방면이 개방된 직사각 형상의 하우징으로, 그 내부에 상품 수용고(11)가 배치되어 있다.
상품 수용고(11)는, 단열재에 둘러싸임으로써 단열 구조를 갖는 것으로, 배면측에 덕트(20)가 세워 설치됨으로써 수납 영역(11a)과 통풍로(11b)가 구획되어 있다.
상품 수용고(11)의 수납 영역(11a)에는, 상품 랙(12)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도시한 예에서는 4단) 설치되어 있다. 이들 상품 랙(12)은, 각각 수납 영역(11a)의 양측에 세워 설치된 랙 지지측판(13) 사이에 가설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품 랙(12)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품 수납 통로를 형성하는 상품 수납 컬럼(도시하지 않음)이 좌우로 병설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으로, 각 상품 수납 통로에 상품이 적재됨으로써 상품을 수납하는 것이다.
이 상품 수용고(11)의 수납 영역(11a)에 있어서의 상품 랙(12)의 전방 영역에는, 상품 트레이(14)가 도시되지 않은 반송 기구에 의해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상품 트레이(14)는, 원하는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수납 컬럼(상품 랙(12))으로부터 불출된 상품을 수용한 후, 하방으로 이동하고, 본체 캐비넷(10)의 전방면 개구의 하방측을 폐색하는 폐색 부재(15)에 형성된 상품 취출구(16)로부터 해당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또한, 이 폐색 부재(15)는, 그 상방에 설치된 도어체(17)와 함께 본체 캐비넷(10)의 전방면 개구를 폐색하는 것으로, 해당 도어체(17)는 해당 본체 캐비넷(10)에 개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품 취출구(16)는, 상품 취출 도어(18)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다.
상기 덕트(20)는, 자신의 전방 영역에 수납 영역(11a)을 형성하고, 자신의 후방 영역, 즉 본체 캐비넷(10)의 배면벽 패널(10a)과의 사이에 통풍로(11b)를 형성하고 있다. 이 덕트(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직사각 형상의 흡입구(21)가 형성됨과 함께, 이 흡입구(21)의 상방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원 형상의 분출구(22)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덕트(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후방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상품 수용고(11)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즉, 덕트(20)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본체 캐비넷(10)의 배면벽 패널(10a)과의 이격 거리가 점차 근접하는 형태로 상품 수용고(11)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덕트(20)와 배면벽 패널(10a) 사이에 형성되는 통풍로(11b)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횡단 면적이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상기 덕트(20)의 흡입구(21)의 전방에는 풍동 부재(23)를 통해 증발기(24)가 배치되어 있다. 증발기(24)는, 기계실(25)에 배치된 압축기(26), 응축기(27) 및 팽창 기구(28)와 냉매 관로(29)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기계실(25)은, 상품 수용고(11)의 하방 영역에 구획 형성된 실이고, 본체 캐비넷(10)의 저부의 베이스(10b)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기계실(25)의 전방 영역에는, 상품 트레이(14)의 반송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반송 영역과는 구획 단열재(25a)를 통해 구획되어 있다. 즉, 기계실(25)의 전방은, 구획 단열재(25a)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압축기(26)는, 증발기(24)를 통과한 냉매를 흡인하여 압축하는 것이다. 응축기(27)는, 압축기(26)로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것이다. 팽창 기구(28)는, 응축기(27)로 방열한 냉매를 단열 팽창시키는 것이다. 증발기(24)는, 팽창 기구(28)로 단열 팽창한 냉매와, 자신의 주위를 통과하는 상품 수용고(11)의 내부의 공기를 열교환시킴으로써 냉매를 증발시켜 공기를 냉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증발기(24)의 전방측에는 고 내 송풍 팬(F1)이 배치되어 있다. 이 고 내 송풍 팬(F1)은, 후술하는 제어 수단(50)으로부터 구동 지령이 주어짐으로써 구동하고, 상품 수용고(11)의 수납 영역(11a)의 내부의 공기를 증발기(24)의 주위로 통과시킨 후에 흡입구(21)로부터 통풍로(11b)로 흡입시키고, 해당 통풍로(11b)를 통과한 공기를 분출구(22)의 각각으로부터 수납 영역(11a)으로 분출시킴으로써, 수납 영역(11a)의 내외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수단이다.
수납 영역(11a)에 배치되는 상품 랙(12) 중 최하단의 상품 랙(12)을 제외한 상품 랙(12), 즉 최상단의 상품 랙(12), 위로부터 2단째의 상품 랙(12) 및 위로부터 3단째의 상품 랙(12)의 전단부에는, 루버 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루버 부재(30)는, 좌우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는 긴 형상 부재이고, 그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가, 덕트(20)의 좌우 폭에 대략 일치하는 것이다. 또한, 루버 부재(30)는, 예를 들어 마일러 시트나 비닐 시트 등의 무색 투명의 수지재에 의해 형성된 투과성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은 루버 부재(30)는, 하단부(31)가 하방측의 상품 랙(12)의 상방 영역으로 진퇴 이동하는 형태이고 상단부(32)가 당해 상품 랙(12)의 상방 영역의 상품 랙(12)의 전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최상단의 상품 랙(12)의 전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루버 부재(30)는, 하단부(31)가 위로부터 2단째의 상품 랙(12)의 상방 영역으로 진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위로부터 2단째의 상품 랙(12)의 전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루버 부재(30)는, 하단부(31)가 위로부터 3단째의 상품 랙(12)의 상방 영역으로 진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위로부터 3단째의 상품 랙(12)의 전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루버 부재(30)는, 하단부(31)가 최하단의 상품 랙(12)의 상방 영역으로 진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기계실(25)의 응축기(27)의 근방에는, 고 외 송풍 수단인 고 외 송풍 팬(F2)이 배치되어 있다. 이 고 외 송풍 팬(F2)은, 제어 수단(50)으로부터 구동 지령이 부여됨으로써 구동하는 것이다. 또한, 기계실(25)을 구성하는 베이스(10b)에는, 응축기(27)의 전방측이 되는 개소에 연통 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 구멍(40)은, 이중 구조의 베이스(10b)의 하방측에 배치된 제1 흡기 구멍(41)과, 베이스(10b)의 상방측에 배치된 제2 흡기 구멍(42)을 갖고 구성되고, 본체 캐비넷(10)의 외부와 기계실(25)을 연통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베이스(10b)에 연통 구멍(40)(제1 흡기 구멍(41) 및 제2 흡기 구멍(4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고 외 송풍 팬(F2)은, 구동하는 경우에 연통 구멍(40)을 통과한 외부의 공기를 응축기(27)의 주위에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중의 부호 45는, 드레인 접시이다. 이 드레인 접시(45)는, 고 외 송풍 팬(F2)보다도 외기의 흐름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품 수용고(11)에서 생긴 결로수 등의 드레인수를 저류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자동 판매기의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것은,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특징적인 것만을 예시하고 있다. 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판매기는, 고 내 온도 센서(S1), 외기 온도 센서(S2), 제어 수단(50)을 구비하고 있다.
고 내 온도 센서(S1)는, 상품 수용고(11)의 수납 영역(11a)에 배치되어 있고, 해당 수납 영역(11a)의 내부 온도, 즉 고 내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 고 내 온도 센서(S1)로 검출된 고 내 온도는, 검출 신호로서 제어 수단(50)에 부여된다.
외기 온도 센서(S2)는, 본체 캐비넷(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고,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 외기 온도 센서(S2)로 검출된 외기 온도는, 검출 신호로서 제어 수단(50)에 부여된다.
제어 수단(50)은, 메모리(60)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라 압축기(26) 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입력 처리부(51), 비교부(52), 압축기 구동 처리부(53) 및 팬 구동 처리부(5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제어 수단(50)은, 자동 판매기의 판매 처리를 행하는 도시하지 않은 자판기 제어부에 내장되어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고, 이 자판기 제어부와는 독립하여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메모리(60)에는, 다양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기준 정보 및 후처리 기준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구동 기준 정보는, 압축기(26) 등의 구동의 기준이 되는 정보이고, 상한 온도 및 하한 온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한 온도는, 압축기(26) 등의 구동을 개시시키기 위한 임계값이 되는 온도이고, 하한 온도는, 상한 온도보다도 낮은 것이고, 압축기(26) 등을 구동 정지시키기 위한 임계값이 되는 온도이다. 후처리 기준 정보는, 고 외 송풍 팬(F2)의 후처리 구동의 기준이 되는 정보이고, 설정 온도를 포함하는 것이다. 설정 온도는, 고 외 송풍 팬(F2)을 후처리 구동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임계값이 되는 온도이다.
입력 처리부(51)는, 고 내 온도 센서(S1) 또는 외기 온도 센서(S2)로부터 부여되는 검출 신호를 입력 처리함으로써 고 내 온도 또는 외기 온도를 입력하는 것이다. 비교부(52)는, 입력 처리부(51)를 통해 입력된 온도와, 메모리(60)에 기억되는 각종 온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압축기 구동 처리부(53)는, 압축기(26)에 대해 구동 지령 또는 구동 정지 지령을 부여하여 압축기(26)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팬 구동 처리부(54)는, 고 내 송풍 팬(F1) 또는 고 외 송풍 팬(F2)에 대해 구동 지령 또는 구동 정지 지령을 부여하여 고 내 송풍 팬(F1) 또는 고 외 송풍 팬(F2)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어 수단이 실시하는 냉각 운전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냉각 운전 제어 처리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자동 판매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26)나 고 내 송풍 팬(F1), 고 외 송풍 팬(F2)이 구동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스텝 S101:예), 제어 수단(50)은, 고 내 온도 센서(S1)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입력 대기가 된다(스텝 S102). 그리고, 제어 수단(50)은, 입력 처리부(51)를 통해 고 내 온도 센서(S1)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입력 처리함으로써 고 내 온도를 입력한 경우(스텝 S102:예), 비교부(52)를 통해 메모리(60)로부터 구동 기준 정보를 판독하고, 입력 처리부(51)를 통해 입력한 고 내 온도가 구동 기준 정보에 포함되는 상한 온도를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비교한다(스텝 S103).
고 내 온도가 상한 온도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스텝 S103:예), 제어 수단(50)은, 압축기 구동 처리부(53)를 통해 압축기(26)에 구동 지령을 부여하여 구동시킴과 함께, 팬 구동 처리부(54)를 통해 고 내 송풍 팬(F1) 및 고 외 송풍 팬(F2)에 구동 지령을 부여하여 구동시키고(스텝 S104, 스텝 S105, 스텝 S106), 그 후에 순서를 복귀시켜 금회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압축기(26), 고 내 송풍 팬(F1) 및 고 외 송풍 팬(F2)이 구동함으로써, 자동 판매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압축기(26)로 압축된 냉매는, 냉매 관로(29)를 통해 응축기(27)에 이르고, 응축기(27)로 방열하여 팽창 기구(28)에 이른다. 팽창 기구(28)에 이른 냉매는, 단열 팽창하여 증발기(24)에 이르고, 증발기(24)로 증발한 후에 압축기(26)에 흡인되어 냉동 사이클을 순환한다.
한편, 상품 수용고(11)의 수납 영역(11a)에 있어서의 내부의 공기는, 고 내 송풍 팬(F1)의 구동에 의해 증발기(24)의 주위를 통과하고, 증발기(24)를 통과 중인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된다. 냉각된 공기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동 부재(23)를 통해 흡입구(21)로부터 통풍로(11b)로 흡입되고, 통풍로(11b)를 통과하여 분출구(22)로부터 분출된다. 분출구(22)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그 후 수납 영역(11a)을 통과하여 다시 증발기(24)의 주위를 통과하도록 순환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덕트(20)는, 분출구(22)가 흡입구(21)의 상방 영역에 있어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있고, 또한 통풍로(11b)의 횡단 면적이 상방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통풍로(11b)에 있어서의 상방 부분의 압력을 하방 부분보다도 높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통풍로(11b)의 상방 부분을 향해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인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각 분출구(22)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대략 균일한 것으로 하여, 각 상품 랙(12)에 수납된 상품을 균일한 풍량으로 양호하게 냉각할 수 있다.
그리고, 루버 부재(30)는, 자신보다 하방의 상품 랙(12)의 상방 영역으로 하단부(31)가 진출 이동한 자세로 됨으로써,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신이 방해판 부재로 되어 분출구(22)로부터 전방을 향해 분출된 공기를 해당 상품 랙(12)에 수납된 상품에 접촉시킬 수 있음과 함께, 도어체(17)에 접촉하는 공기의 풍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해당 도어체(17)를 통해 공기가 외기와 열교환하는 열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상품 랙(12)에 수납된 상품의 냉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열 손실을 저감시켜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루버 부재(30)는, 투과성을 갖고 있으므로, 상품 랙(12)에 수납되는 상품의 시인성을 저해할 우려가 없다.
또한, 베이스(10b)에는, 본체 캐비넷(10)의 외부와 기계실(25)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4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 외 송풍 팬(F2)이 구동함으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흡기 구멍(41) 및 제2 흡기 구멍(42)을 통과하는 외기를 응축기(27)의 주위로 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도어체(17)나 폐색 부재(15)에 흡기를 위한 개구를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응축기(27)를 통과하는 풍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동 판매기 전체의 디자인 밸런스를 변화시키지 않고, 응축기(27)에서의 방열량을 충분히 확보하여 냉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 판매기가 동작하는 결과, 상품 수용고(11)의 고 내 온도는 하강해 가는 것이 된다.
그런데, 상기 스텝 S103에 있어서 고 내 온도가 상한 온도 이하인 경우(스텝 S103:아니오), 제어 수단(50)은, 상기 스텝 S104, 스텝 S105, 스텝 S106을 실시하지 않고 순서를 복귀시켜 금회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의하면, 상품 수용고(11)의 고 내 온도는 상승해 가는 것이 된다.
다음에, 상기 스텝 S101에 있어서 압축기(26) 등이 구동되어 있는 경우(스텝 S101:아니오), 제어 수단(50)은, 고 내 온도 센서(S1)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입력 대기가 된다(스텝 S107). 그리고, 제어 수단(50)은, 입력 처리부(51)를 통해 고 내 온도 센서(S1)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입력 처리함으로써 고 내 온도를 입력한 경우(스텝 S107:예), 비교부(52)를 통해 메모리(60)로부터 구동 기준 정보를 판독하고, 입력 처리부(51)를 통해 입력한 고 내 온도가 구동 기준 정보에 포함되는 하한 온도를 하회하고 있는지 여부를 비교한다(스텝 S108).
고 내 온도가 하한 온도 이상인 경우(스텝 S108:아니오), 제어 수단(50)은, 후술하는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순서를 복귀시켜 금회의 처리를 종료한다.
고 내 온도가 하한 온도를 하회하고 있는 경우(스텝 S108:예), 제어 수단(50)은, 압축기 구동 처리부(53)를 통해 압축기(26)에 구동 정지 지령을 부여하여 구동 정지로 함과 함께, 팬 구동 처리부(54)를 통해 고 내 송풍 팬(F1)에 구동 정지 지령을 부여하여 구동 정지로 한다(스텝 S109, 스텝 S110).
이에 의하면, 압축기(26)의 구동 정지에 의해 냉매가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것을 정지하고, 또한 수납 영역(11a)의 내부의 공기가 수납 영역(11a)의 내외에서 순환하는 것을 정지하고, 상품 수용고(11)의 고 내 온도는 상승해 가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26) 및 고 내 송풍 팬(F1)을 구동 정지로 한 제어 수단(50)은, 외기 온도 센서(S2)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입력 대기가 된다(스텝 S111). 그리고, 제어 수단(50)은, 입력 처리부(51)를 통해 외기 온도 센서(S2)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입력 처리함으로써 외기 온도를 입력한 경우(스텝 S111:예), 비교부(52)를 통해 메모리(60)로부터 후처리 기준 정보를 판독하여, 입력 처리부(51)를 통해 입력한 외기 온도가 후처리 기준 정보에 포함되는 설정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비교한다(스텝 S112).
외기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스텝 S112:예), 제어 수단(50)은, 팬 구동 처리부(54)를 통해 소정 시간만큼 고 외 송풍 팬(F2)의 구동을 유지하는 후처리 구동을 실시하고(스텝 S113, 스텝 S114:아니오), 소정 시간의 경과 후에 팬 구동 처리부(54)를 통해 고 외 송풍 팬(F2)에 구동 정지 지령을 부여하여 구동 정지로 하고(스텝 S114:예, 스텝 S115), 그 후에 순서를 복귀시켜 금회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외기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 고 외 송풍 팬(F2)을 계속적으로 구동시키는 후처리 구동을 행함으로써, 압축기(26)가 정지한 후에도 충분히 고온인 응축기(27)의 주위를 통과한 외기를 소정의 온도 이상의 고온 상태로 할 수 있고, 이러한 고온 상태의 외기를 드레인 접시(45)의 근방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드레인 접시(45)에 저류되는 드레인수를 양호하게 증발시킬 수 있다.
그런데, 스텝 S112에 있어서 외기 온도가 설정 온도를 하회하는 경우(스텝 S112:아니오), 제어 수단(50)은, 상기 스텝 S113 및 스텝 S114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팬 구동 처리부(54)를 통해 고 외 송풍 팬(F2)에 구동 정지 지령을 부여하여 구동 정지로 하고(스텝 S115), 그 후에 순서를 복귀시켜 금회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외기 온도가 설정 온도를 하회하는 경우에는, 외기를 압축기(26)가 정지한 후라도 충분히 고온인 응축기(27)의 주위를 통과시켜도, 해당 외기가 소정의 온도 이상의 고온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이러한 외기를 드레인 접시(45)의 근방에 통과시켜도 드레인 접시(45)에 저류되는 드레인수를 양호하게 증발시키는 것이 곤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외기 온도가 설정 온도를 하회하는 경우에는, 고 외 송풍 팬(F2)을 구동 정지로 함으로써, 소비 전력량의 증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덕트(20)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후방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상품 수용고(11)에 세워 설치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덕트는, 통풍로의 횡단면적이 상방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면 그 배치 자세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루버 부재(30)는, 상품 랙(12)의 전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루버 부재는, 자신보다도 하방측의 상품 랙의 상방 영역을 향해 진퇴 이동하는 형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면 되므로, 자동 판매기 본체(본체 캐비넷)의 천장벽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최상단의 상품 랙에 수납되는 상품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10b)에 형성된 연통 구멍(40)을 통해 외기를 기계실(25)에 도입하여 응축기(27)의 주위를 통과시키도록 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폐색 부재의 하단부에 개구가 형성됨과 함께 구획 단열재에도 개구가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폐색 부재 및 구획 단열재의 개구를 통과한 외기를 일부로 하여 응축기의 주위에 통과시키도록 해도 좋다.
10 : 본체 캐비넷(자동 판매기 본체)
10a : 배면벽 패널
10b : 베이스
11 : 상품 수용고
11a : 수납 영역
11b : 통풍로
12 : 상품 랙
15 : 폐색 부재
17 : 도어체
20 : 덕트
21 : 흡입구
22 : 분출구
24 : 증발기
25 : 기계실
26 : 압축기
27 : 응축기
28 : 팽창 기구
30 : 루버 부재
31 : 하단부
32 : 상단부
40 : 연통 구멍
41 : 제1 흡기 구멍
42 : 제2 흡기 구멍
50 : 제어 수단
51 : 입력 처리부
52 : 비교부
53 : 압축기 구동 처리부
54 : 팬 구동 처리부
60 : 메모리
F1 : 고 내 송풍 팬(순환 수단)
F2 : 고 외 송풍 팬(고 외 송풍 수단)
S1 : 고 내 온도 센서
S2 : 외기 온도 센서

Claims (3)

  1. 자동 판매기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품 수용고의 배면측에 배치됨으로써 수납 영역과 통풍로를 구획하고, 또한 상기 수납 영역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이 흡입구의 상방 영역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된 분출구가 형성된 덕트와,
    상기 상품 수용고의 상기 수납 영역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단 설치되어, 각각이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랙과,
    상기 수납 영역의 내부 공기를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통풍로로 흡입시키고, 해당 통풍로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분출구로부터 해당 수납 영역으로 분출시킴으로써, 상기 수납 영역의 내외에서 상기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수단과,
    상기 순환 수단에 의해 순환되는 상기 내부 공기를 원하는 온도로 조정하는 온도 조정 수단을 구비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자신보다도 하방측의 상품 랙의 상방 영역을 향해 진퇴 이동하는 형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하방측의 상품 랙의 상방 영역으로 진출 이동한 자세로 되는 경우에, 상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해당 상품 랙에 수납된 상품에 접촉시키는 루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 부재는, 좌우 방향을 따른 연장 길이가 상기 덕트의 좌우 폭에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 부재는, 투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KR1020157004887A 2013-08-28 2014-02-26 자동 판매기 KR101641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76895A JP6123580B2 (ja) 2013-08-28 2013-08-28 自動販売機
JPJP-P-2013-176895 2013-08-28
PCT/JP2014/054772 WO2015029469A1 (ja) 2013-08-28 2014-02-26 自動販売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959A KR20150040959A (ko) 2015-04-15
KR101641843B1 true KR101641843B1 (ko) 2016-07-21

Family

ID=5258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887A KR101641843B1 (ko) 2013-08-28 2014-02-26 자동 판매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23580B2 (ko)
KR (1) KR101641843B1 (ko)
CN (1) CN104603847B (ko)
WO (1) WO20150294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40554A (ja) * 2017-08-29 2019-03-14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CN108572393A (zh) * 2018-08-16 2018-09-25 湖南金码智能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基于电容检测的自动售货机的接货盒及其接货方法
CN109272648B (zh) * 2018-10-16 2020-12-08 龚恩著 一种无人售货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4970A (ja) * 2005-07-29 2007-02-08 Sanden Corp 自動販売機
JP2009134674A (ja) * 2007-12-03 2009-06-18 Sanden Corp 自動販売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0095A (en) * 1981-03-10 1982-09-16 Kubota Ltd Adjustment of temperature goods for vending machine
JP2641394B2 (ja) * 1994-06-23 1997-08-13 日本テクノ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および自動販売機の冷却方法および冷却装置
CN1091241C (zh) * 1995-05-15 2002-09-18 中野冷机株式会社 敞开式商品陈列柜送风机配置结构
BRPI0511249A (pt) * 2005-03-18 2007-11-27 Carrier Corp sistema de vedação para um expositor refrigerado, e, expositor refrigerado
JP5262852B2 (ja) * 2009-03-06 2013-08-14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4970A (ja) * 2005-07-29 2007-02-08 Sanden Corp 自動販売機
JP2009134674A (ja) * 2007-12-03 2009-06-18 Sanden Corp 自動販売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9469A1 (ja) 2015-03-05
CN104603847A (zh) 2015-05-06
JP6123580B2 (ja) 2017-05-10
JP2015046014A (ja) 2015-03-12
KR20150040959A (ko) 2015-04-15
CN104603847B (zh)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799B1 (ko) 자동 판매기
JP6167762B2 (ja) 自動販売機
JP5556208B2 (ja) ショーケース
KR20070015029A (ko) 자동판매기
JP6163974B2 (ja) 自動販売機
KR101641843B1 (ko) 자동 판매기
JP2022117745A (ja) 物品販売機
KR101668568B1 (ko) 자동 판매기
JPH0942819A (ja) 冷蔵庫における冷気供給構造
JP5504760B2 (ja) 自動販売機
JP4419803B2 (ja) 自動販売機
JP4534407B2 (ja) 自動販売機
JP2011252683A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の冷凍冷蔵倉庫
CN109549402B (zh) 展示柜
JP5315960B2 (ja) 自動販売機
JP6664112B2 (ja) ショーケース
JP2020098086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5375332B2 (ja) 自動販売機
US11519659B2 (en) Refrigerator
JP5106068B2 (ja) 自動販売機
JP3633743B2 (ja) 自動販売機
JP4049060B2 (ja) 自動販売機
CN116399068A (zh) 制冷设备
JP2022163992A (ja) ロッカー装置
JP2004362533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