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822B1 - 냉각고 - Google Patents

냉각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822B1
KR101205822B1 KR1020077027608A KR20077027608A KR101205822B1 KR 101205822 B1 KR101205822 B1 KR 101205822B1 KR 1020077027608 A KR1020077027608 A KR 1020077027608A KR 20077027608 A KR20077027608 A KR 20077027608A KR 101205822 B1 KR101205822 B1 KR 101205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oling chamber
cold air
duc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9216A (ko
Inventor
스스무 스에다
모토히코 사토
사토시 오코소
Original Assignee
수퍼쿨러 주식회사
가부시키가이샤 소켄 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3080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0582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수퍼쿨러 주식회사, 가부시키가이샤 소켄 쇼지 filed Critical 수퍼쿨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09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25B2600/112Fan speed control of evaporat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2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냉각실 내의 온도를 균일하고 안정하게 하여, 액체 음료를 수용한 복수개의 용기를 적정하게 냉각할 수 있도록 한다. 액체 음료의 용기(P)를 수용하는 냉각실(2)과, 열교환기(9)를 내장하는 냉각 덕트(5)와, 냉각실(2)에 설치한 냉각 덕트(5)의 흡입구(10)와, 냉각실(2)에 설치한 냉각 덕트(5)의 냉기 분출구(12)와, 냉기 공급 덕트(6)의 상단에 설치한 도입구(15)와, 냉기 공급 덕트(6) 내의 공기를 냉각실(2) 내로 분출하는 통기공(20)과, 냉기 공급 덕트(6)의 도입구(15)에 면하는 팬(16)을 가진다. 냉각 덕트(5)는, 냉각실(2) 내의 공기를 흡입구(10)로부터 흡인하여 열교환기(9)에서 냉각시킨 후, 냉기 분출구(12)로부터 분출시킨다. 냉기 공급 덕트(6)의 도입구(15)는, 냉각 덕트(5)의 냉기 분출구(12)에 면함과 동시에 냉각실(2) 내에 면한다. 팬(16)으로 냉기 공급 덕트(6) 내로의 흡기가 행하여진다.
냉각기, 유로, 덕트, 통기공, 과냉각, 열교환, 팬, 커튼, 안정된 온도, 균일한 온도

Description

냉각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쥬스나 알코올 등의 액체 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고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 ~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 음료를 액상(液相)인 채로 응고점 이하로 과냉각시켜 두고, 그 액체 음료에 충격 등을 가하여, 순간적으로 셔벗(sherbet) 상태로 동결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3에서는, 복수개의 용기에 수용한 액체 음료를 냉각고로 과냉각시키고, 냉각고로부터 용기를 인출하여 컵 등에 따랐을 때, 액체 음료를 순간적으로 셔벗 상태로 동결시키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2-22333호 공보(단락 번호 0028-0029)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2001-325656호 공보(단락 번호 0019-0020)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개평10-9739호 공보(단락 번호 0017, 도 1)
액체 음료를 액상인 채로 과냉각시킬 수 있는 온도 범위에는 한계가 있다(예를 들면, 알코올 음료는 -15℃ ~ -12℃). 액체 음료의 온도가 전술한 한계 온도보다 낮아지면, 냉각고 내에서 동결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용기에 수용된 액체 음료를 모두 적정하게 과냉각시키기 위해서는, 냉각고 내의 온도를 상기 한계 온도의 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과냉각된 액체 음료는, 온도 변화의 영향을 받기 쉽고, 온도가 몇도만 상승하더라도 컵 등에 따랐을 때의 셔벗 상태의 동결이 곤란하게 된다. 그러므로, 냉각고 내의 온도 변화를 억제하여 온도의 안정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 점에 있어서, 특허 문헌 3에서는, 냉각고 내의 온도의 균일화 및 온도의 안정화를 위한 구체적인 구조를 밝히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실 내의 온도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하여, 복수개의 용기에 액체 음료가 수용되어 있어도 이들 액체 음료를 적정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 음료의 용기(P)를 수용하기 위한 냉각실(2)과, 냉각실(2) 내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9)와, 열교환기(9)를 내장하는 냉각 덕트(5)와, 냉각 덕트(5)의 일부에 설치되는 흡입구(냉각 수단측 흡입구)(10)와, 냉각 덕트(5)의 흡입구(10)와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냉기 분출구(12)와, 냉각실(2)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기 공급 덕트(6)와, 냉기 공급 덕트(6)의 일단에 설치한 도입구(혼합부측 흡입구)(15)와, 냉기 공급 덕트(6) 내의 공기를 냉각실(2) 내에 불어넣기 위한 통기공(20)과, 냉기 공급 덕트(6)의 도입구(15)에 면(面)하게 되어 장착되는 팬(16)을 가지고 있고, 냉각 덕트(5)는, 냉각실(2) 내의 공기를 흡입구(10)로부터 흡입하여 열교환기(9)에서 냉각시킨 후, 냉기 분출구(12)로 분출되도록 되어 있고, 냉기 공급 덕트(6)는, 냉각실(2)의 안쪽 부분에서 냉각실(2)의 상하 방향(수직 방향)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냉기 공급 덕트(6)의 도입구(15)가, 냉각 덕트(5)의 냉기 분출구(12)에 면하고 있는 동시에 냉각실(2) 내를 향하고 있고, 팬(16)에 의해, 냉기 공급 덕트(6)의 도입구(15)로부터 냉기 공급 덕트(6) 내로 흡기가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의 냉각고는, 액체 음료를 과냉각시키는 경우나, 과냉각 상태의 액체 음료를 냉장하는 경우 등도 포함한다. 통기공(20)은, 필요에 따라 한 개 또는 복수개 설치된다. 여기서는, 냉각 덕트(5)의 흡입구(10)를 배치한 냉각실(2)의 부위를 냉각실(2)의 앞부분(전면)으로 정의하고 있고, 냉각실(2)의 안쪽 부분(배면)은, 그 흡입구(10)로부터 떨어진 곳, 예를 들면 냉각실(2)의 전면이 개구되어 있어서, 그 전면 개구 측에 흡입구(10)를 배치한 경우에는, 냉각실(2)의 후면 측이나 좌우의 측면 측의 부위가 해당된다. 또한, 예를 들면 흡입구(10)를 좌우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 측의 부위에 배치한 경우에는, 냉각실(2)의 전후면 측이나 상기 흡입구(10)를 배치한 측면의 반대측의 측면 측의 부위가 상기 안쪽 부분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는, 냉기 공급 덕트(6)의 도입구(15)의 개구 면적이, 냉각 덕트(5)의 냉기 분출구(12)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어, 냉기 공급 덕트(6)의 도입구(15)의 일부가 냉각 덕트(5)의 냉기 분출구(12)에 면하고 있는 동시에, 냉기 공급 덕트(6)의 도입구(15)의 일부가 냉각실(2) 내에 면하고 있다.
또한, 냉각 덕트(5)의 흡입구(10)에 노출되는 흡입용 팬(11)을 장착하고 있고, 흡입용 팬(11)에 의해, 냉각 덕트(5)의 흡입구(10)로부터 냉각 덕트(5) 내로 흡기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팬(16)의 풍량은, 흡입용 팬(11)의 풍량보다 커지도록(예를 들면 2 ~ 70% 증가) 설정되어 있다. 팬(16)은, 개수를 늘려 풍량을 늘리는 경우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냉각실(2)의 앞면이 개구되어 있고, 그 냉각실(2)의 개구된 앞면을 개폐하는 도어(7)가 배치되어 있고, 냉각 덕트(5)는, 냉각실(2)의 천정 측에 배치되어 있고, 냉각 덕트(5)의 흡입구(10)는 비스듬한 하방에 설치되어 있고, 냉각 덕트(5)의 냉기 분출구(12)가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냉기 공급 덕트(6)의 도입구(15)가, 냉기 공급 덕트(6)의 상단에서 비스듬한 상방에 설치되어 있어서, 냉각 덕트(5)의 냉기 분출구(12)에 면하고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냉각실(2) 내에는, 선반용 판(3)이 상하 복수개 단으로 배치되어 있고, 통기공(20)은, 냉기 공급 덕트(6)에 대해서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각 통기공(20)은, 상하 각 단의 선반용 판(3)의 상측의 공간에 면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하 각 단의 선반용 판(3)의 상측의 공간에 각각 배치된 통기공(20)은, 냉기 공급 덕트(6)로부터 냉각실(2) 내에 불어 넣는 냉기를 상하에 걸쳐서, 즉, 각 단에 대해 균일하게 하여, 냉각실(2) 내의 온도를 균일하고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되고, 그러므로, 냉기 공급 덕트(6)의 통로 단면적이 비교적 큰 경우(예를 들면 16000 ~ 32000mm2)나 냉기 공급 덕트(6) 내의 풍속이 비교적 작은 경우(예를 들면 0.7 ~ 3m/초) 등에는, 상측의 단일수록, 통기공(20)의 개수 및/또는 구멍 직경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기 공급 덕트(6)의 통로 단면적이 비교적 작은 경우(예를 들면 8000 ~ 16000mm2)나 냉기 공급 덕트(6) 내의 풍속이 비교적 큰 경우(예를 들면 1.5 ~ 8m/초) 등에는, 하측의 단일수록, 통기공(20)의 개수 및/또는 구멍 직경이 작아지도록 설정하는 편이, 냉기 공급 덕트(6)로부터 냉각실(2) 내에 불어 넣는 냉기를 상하에 걸쳐서 균일하게 하기에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수치 범위(냉기 공급 덕트(6)의 통로 단면적이 비교적 큰 경우와 비교적 작은 경우나, 냉기 공급 덕트(6) 내의 풍속이 비교적 큰 경우와 비교적 작은 경우)의 중간에 해당하는 경우는, 각 통기공(20)의 개수나 구멍 직경은, 각각 같아도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실(2)의 앞면이 개구되어 있고, 그 냉각실(2)의 개구된 앞면을 개폐하는 도어(7)와, 냉각실(2)의 개구된 앞면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커튼(50)을 가지도록 하면, 도어(7)가 개폐되어도 냉각실(2) 내의 온도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하기에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 커튼(50)은, 상하 각 단의 선반용 판(3)의 상측의 공간에 각각 면하고 있다.
도어(7)의 개폐에 수반하여 외기가 냉각실(2) 내에 들어가는 것을 저감시켜서 냉각실(2) 내의 온도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측의 커튼(50)과 하측의 커튼(5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각 커튼(50)의 상하 길이 치수를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각 커튼(50)은, 냉각실(2)의 좌우의 측면 사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횡봉재(51)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커튼(50)은,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절결(52)을 형성하고 있고, 각 절결(52)은, 각 커튼(50)의 좌우 방향(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균일하면서 안정적으로 냉각된 용기(P) 내의 액체 음료를 적정하게 저장하기 위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실(2)의 내면에 지지되는 선반 받이 부재(26)와, 선반 받이 부재(26)의 상면을 덮는 진동 방지재(31)를 냉각실(2) 내에 배치하여, 선반용 판(3)이 진동 방지재(31)를 통하여 선반 받이 부재(26) 상에 올려져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냉각실(2)의 내면에 선반용 기둥(22)이 장착되어 있고, 선반용 기둥(22)에서 선반용 판(3)에 면하는 측벽(23)에, 선반 받이 부재(26)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장착공(25)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선반 받이 부재(26)의 상면부(29)에는, 상 방향의 돌기(32)가 형성되어 있고, 선반용 판(3)의 에지부에는, 선반 받이 부재(26)의 돌기(32)가 삽입되는 결합공(33)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용 기둥(22)은, 냉각실(2)의 내면에서의 좌우 양쪽 면(서로 대향)의 전후에(앞면측과 배면측에) 각각 장착되어 있고, 선반용 판(3)은, 전후좌우의 각 선반용 기둥(22)의 장착공(25)에 각각 걸린 선반 받이 부재(2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각 선반 받이 부재(26)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각 선반 받이 부재(26)의 상면부(29)의 선단측이 하방으로 절곡되고, 또한 각 선반 받이 부재(26)의 상면부(29)의 기단부(30)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각 선반 받이 부재(26)의 하단부(27)가, 선반용 기둥(22)의 하측의 장착공(25)에 삽입되어 하단부(27)의 숄더부가 장착공(25)의 에지에 맞닿고, 또한 선반 받이 부재(26)의 하단부(27)가, 선반용 기둥(22)의 상측의 장착공(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선반용 기둥(22)의 내면에 맞닿음으로써, 선반 받이 부재(26)가 이탈 방지 상태로 선반용 기둥(22)에 걸려져 있다.
냉각실(2) 내의 온도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하여, 액체 음료를 적정하게 냉각시키기 위해, 선반용 판(3)의 상면에, 선반용 판(3)의 상면의 주위 에지를 따라서 형성된 에지 프레임(36)과, 에지 프레임(36)의 전후 프레임부의 사이에(내측에) 걸쳐서 연장된 가이드 프레임(37)을 가지는 프레임체(35)를 배치하고, 좌우에 인접하는 용기(P) 사이에 가이드 프레임(37)이 개재하도록 하면, 냉기가 용기(P?P) 사이에 용이하게 흐르게 된다.
내부의 온도를 적정하게 검출하는 것이, 냉각실(2) 내의 온도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서는, 통기공(20)에 노출되는 온도 센서(21)와, 내부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 범위 내가 되도록 온도 센서(21)로 검출한 내부 온도에 기초하여, 열교환기(9)에 접속된 냉각 장치(13)를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제어 수단(56)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온도를 보다 적정하게 검출하기 위해, 예를 들면, 온도 센서(21)가, 최상단의 선반용 판(3)의 상측의 공간에 면하는 통기공(20)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7)가 개폐되어도 냉각실(2) 내의 온도를 균일하면서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 제어 수단(56)이, 개폐 센서(59)에 의해 도어(7)가 열린 것이 검출되었을 때, 흡입용 팬(11) 및 팬(16)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실(2) 내의 온도 변화를 완만하게 하여, 냉각실(2) 내의 온도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 냉각실(2) 내에 히터(HT)를 배치하고, 제어 수단(56)이, 냉각 장치(13)가 온(ON)된 후에 냉각고 내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온(ON) 온도)가 되면, 상기 히터(HT)를 온(ON)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장치(13)가 온(ON)되는 냉각고 내 온도와, 상기 온(ON) 온도는 같아도 된다. 그 후에, 제어 수단(56)은, 히터(HT)가 온(ON)된 후에, 냉각고 내 온도가 온(ON) 온도보다도 낮은, 사전에 설정한 오프(OFF) 온도가 되면, 히터(HT)를 오프(OFF)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오프(OFF) 온도는, 냉각고 내 온도가 저하되어 냉각 장치(13)가 오프(OFF)가 되는 냉각고 내 온도 이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냉각 장치(13)가 오프(OFF)되는 냉각고 내 온도와, 상기 오프(OFF) 온도는 같아도 된다. 히터(HT)를 배치하는 냉각실(2) 내에는, 냉각실(2) 내에 연결되는 냉기 공급 덕트(6) 내나 냉각 덕트(5) 내도 포함된다. 상세하게는, 히터(HT)는 냉기 공급 덕트(6)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히터(HT)에는, 열교환기(9)에 배치한 서리 제거 히터(55)를 포함해도 되고, 또는 히터(HT)는 서리 제거 히터(55)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냉각실(2) 내의 온도 변화를 완만하게 하여, 냉각실(2) 내의 온도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냉기 공급 덕트(6) 내에, 축열 용량이 비교적 큰(예를 들면, 1.8 ~ 4.2J/K) 축열재(53)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열재(53)는, 냉기 공급 덕트(6)의 도입구(15)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 덕트(5) 내에서 냉각된 냉기와, 냉각실(2) 내에서 액체 음료를 냉각시킴으로써 온도 상승한 공기를 냉기 공급 덕트(6)에 흡기하여 혼합한 상태에서, 냉각실(2) 내에서 냉기(혼합 냉기)를 순환시키므로, 냉각 덕트(5) 내의 냉기로 냉각실(2) 내가 과도하게 냉각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냉각 덕트(5) 내의 냉기와 냉각실(2) 내의 공기가 잘 섞여서, 냉각실(2) 내의 온도의 균일화와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음료가 복수개의 용기(P)에 수용되어 있어도, 모든 용기(P)의 액체 음료를 적정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흡입용 팬(11)으로 냉기를 냉기 공급 덕트(6)에 보내는 것과 동시에, 팬(16)의 풍량을 흡입용 팬(11)의 풍량보다 크게 하면, 냉각 덕트(5) 내의 냉기와 냉각실(2) 내의 공기를 확실하게 냉기 공급 덕트(6)에 흡기할 수 있어서, 상기 냉기와 냉각실(2) 내의 공기와의 혼합이 촉진되고, 또한 공기 순환량이 증가하며, 냉각실(2) 내의 온도를 보다 균일화하면서 안정화할 수 있다.
통기공(20)에 면하게 하여 온도 센서(21)를 배치하면, 온도 센서(21)를 냉각실(2)의 내면 등에 장착하여, 그 장착 부분에서의 온도를 검출하는 경우보다 적정한 냉각고 내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 즉, 통기공(20)으로부터 불어 나오는 냉기는, 냉각 덕트(5) 내의 냉기와, 용기(P)를 냉각함으로써 온도 상승한 공기를 혼합한 것이며, 이들 공기의 온도를 평균화한 것에 가깝다. 그러므로, 냉각실(2) 내의 온도의 균일화와 안정화를 더 한층 도모할 수 있다.
선반용 판(3)이 진동 방지재(31)를 통하여 선반 받이 부재(26) 상에 올려져서 위치하면, 진동 등이 선반 받이 부재(26) 및 선반용 판(3)을 통하여 용기(P)에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과냉각된 액체 음료가 진동 등에 의해 냉각실(2) 내에서 동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냉각실(2) 내의 온도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하여 얻어진 액체 음료를 액상인 채로 적정하게 저장할 수 있다.
좌우에 (서로) 인접하는 용기(P) 사이에 가이드 프레임(37)이 개재되어 있으면, 통기공(20)으로부터 불어 나온 냉기가 용기(P?P) 사이에 용이하게 흐르게 되어, 냉각실(2) 내의 온도가 보다 균일하면서 안정적이 되어, 각 용기(P)의 액체 음료를 보다 적정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도어(7)가 열렸을 때에 흡입용 팬(11) 및 팬(16)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도어(7)가 열린 것에 의한 냉각실(2) 내의 온도 상승을 경감할 수 있어, 냉각실(2) 내의 온도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하여 얻어진 액체 음료를 보다 적정하게 저장할 수 있다.
냉각실(2)의 개구된 앞면에 복수개의 커튼(50)을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하면, 그 커튼(50)을 배치한 만큼 도어(7)를 열었을 때에 외기가 냉각실(2) 내에 들어오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7)를 개폐함에 의한 냉각실(2)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서, 냉각실(2) 내의 온도의 균일화와 안정화를 더 한층 도모할 수 있다.
상하의 커튼(50)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면, 커튼(50)의 전후에서의 기압차가 작아지고, 도어(7)를 닫았을 때에 커튼(50)이 냉각실(2) 측(배면 측)에 쉽게 흡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튼(50)이 선반용 판(3)이나 냉각실(2)의 내면에 밀착하는 것이 억제되고, 커튼(50)에 의한 외기의 냉각실(2) 내로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는 효과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냉각실(2) 내의 온도의 균일하고 안정된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냉각 장치(13)를 온(ON)한 채 히터(HT)를 온(ON)함으로써, 냉각실(2) 내의 온도 변화를 완만하게 하여, 냉각실(2) 내의 온도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거기에 더하여, 냉각고 내 온도가 완만하게 하강하는 만큼, 냉각 장치(13)의 온(ON)으로부터 오프(OFF)에의 전환의 시간 간격이 크게 되어, 냉각 장치(13)의 압축기 CP 등의 온?오프(ON?OFF)의 전환 횟수가 감소하고, 냉각 장치(13)의 압축기 CP 등이 자주 온?오프(ON?OFF)하는 것에 의한 냉각 장치(13)의 압축기 CP 등의 고장을 저감할 수 있다. 히터(HT)로서, 열교환기(9)에 배치한 서리 제거 히터(55)가 포함되고, 또는 히터(HT)를 서리 제거 히터(55)만으로 구성하면, 열교환기(9)에 부착한 서리도 녹아서 제거된다.
냉기 공급 덕트(6) 내에 축열재(53)을 배치하면, 냉각 덕트(5)로부터 불어 나와서 냉기 공급 덕트(6) 내에 흡입된 냉기와, 냉각실(2) 내로부터 냉기 공급 덕트(6) 내에 흡입된 공기와의 혼합 냉기의 온도 변동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냉각실(2) 내의 온도 변동이 감소하여, 냉각실(2) 내의 온도의 균일하고 안정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냉각고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냉각고의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3은 냉각고의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4는 선반 받이 부재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냉각고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2의 냉각고의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2에 따른 커튼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제어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서리 제거 히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부호의 설명]
1: 냉각고 본체 2: 냉각실
3: 선반용 판 5: 냉각 덕트
6: 냉기 공급 덕트 7: 도어
9: 열교환기 10: 흡입구
11: 흡입용 팬 12: 냉기 분출구
13: 냉각 장치 15: 도입구
16: 팬 20: 통기공
21: 온도 센서 22: 선반용 기둥
23: 측벽 25: 장착공
26: 선반 받이 부재 27: 하단부
29: 상면부 30: 기단부
31: 진동 방지재 32: 돌기
33: 결합공 35: 프레임체
36: 에지 프레임 37: 가이드 프레임
39: 결합공 50: 커튼
51: 횡봉재 52: 절결
53: 축열재 55: 서리 제거 히터
56: 제어 수단 59: 개폐 센서
HT: 히터 P: 용기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냉각고의 실시예 1을 나타내고 있다. 냉각고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고 본체(1) 내에 설치되고 앞면이 개구된 냉각실(2)과, 냉각실(2) 내에 상하 복수개의 단으로 배치한 복수개의 선반용 판(3)과, 냉각실(2) 내의 공기의 일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덕트(5)와, 냉각된 공기(냉기)와 냉각실(2) 내의 공기의 일부를 혼합하는 혼합부(70)와, 혼합부(70)에서 혼합된 냉기(혼합 냉기)를 냉각실(2) 내에 공급하는 냉기 공급 덕트(냉기 공급 수단)(6)를 가진다. 냉각실(2)의 개구된 앞면에는, 그 개구된 앞면을 개폐하는 투명창이 부착된 도어(7)가 배치되어 있다. 도어(7)는 단열 구조로 되어 있다.
각 선반용 판(3)에는, 예를 들면, 쥬스, 커피, 홍차, 차, 우롱차, 우유, 요구르트 음료, 미네랄 워터, 탄산 음료 및 알코올류 등의 액체 음료를 수용한, 패트병, 캔, 종이 팩 및 병 등의 용기(P)가 복수개 재치(載置)된다. 즉, 각 용기(P)를 냉각실(2) 내에 수용할 때는, 상기 용기(P)가 각 선반용 판(3)에 대해서 전후 좌우로 배열된다. 냉각실(2) 내에서는, 각 용기(P)는, 상기 액체 음료의 응고점 이하 의 온도로, 또한 상기 액체 음료가 미동결을 유지하는 과냉각 상태로 보존된다. 이 경우, 용기(P)를 냉각고로부터 인출하여, 진동을 가하거나, 또는 컵 등에 따르면, 액체 음료는 순간적으로 셔벗 상태로 동결된다. 그리고, 알코올 음료 등의 응고점은, 약 -15℃ ~ -3℃이며, 알코올 음료 이외의 쥬스 등의 액체 음료의 응고점은, 약 -3℃ ~ 0℃이다. 또한, 냉각실(2) 내의 온도는, 이와 같은 응고점의 범위 내의 소정의 온도로 유지되고 있다.
냉각 덕트(5)는, 냉각실(2)의 천정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 냉각 덕트(5)에는, 냉각실(2) 내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9)가 내장되어 있다. 냉각 덕트(5)는, 냉각실(2) 내에서 용기(P) 내의 액체 음료의 냉각에 제공된 냉기의 일부를 흡입하는 흡입구(10)와, 흡입구(10)로부터 흡입되는 냉기가 분출되는 냉기 분출구(12)를 가지고 있다. 냉각 덕트(5)의 흡입구(10)는, 냉각실(2)의 앞부분에 비스듬한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흡입구(10)에 면하게 한 흡입용 팬(11)을 장착하고 있다. 흡입용 팬(11)으로 냉각 덕트(5)의 흡입구(10)로부터 냉각 덕트(5) 내로의 흡기가 행해진다. 냉각 덕트(5)의 냉기 분출구(12)는, 냉각실(2)의 안쪽 부분(배면 측)에서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냉각 덕트(5)의 내부에는, 흡인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1 유로(80)가 형성된다.
열교환기(9)는, 냉각고 본체(1)의 상측에 배치한 냉각 장치(13)에 접속한다. 냉각 장치(13)는,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 밸브 등을 가지고 있고, 냉각실(2)의 상측에 배치한 기계실(42) 내에 수용된다. 냉각실(2) 내의 공기는, 냉각 덕트(5)의 흡입구(10)로부터 흡입되어 열교환기(9)에서 냉각된 후에, 냉각 덕트(5)의 냉기 분 출구(12)로 분출된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9)는, 냉각 장치(13)의 흡열부라 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9)에는, 열교환기(9)에 부착된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서리 제거 히터가 배치된다.
전술한 압축기 CP나 응축기(41) 등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13)는, 기계실(42)의 저면에 장착한 베이스 판(43) 상에 고정되어 있다(도 6 참조). 베이스 판(43)은, 진동 방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진동 방지재(45)를 사이에 두고 냉각고 본체(1)의 상측에 장착된다. 이로써, 냉각 장치(13)의 압축기 CP 등의 진동이 냉각고 본체(1)에 쉽게 전달되지 않는다. 압축기 CP는, 베이스 판(43)에 대해서, 또한 진동 방지 고무 등을 사이에 두고 장착된다.
냉기 공급 덕트(6)는, 냉각실(2)의 하나의 측면, 본 실시예에서는, 안쪽 부분에 상하 방향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냉기 공급 덕트(6)의 상방에는, 혼합부(70)(혼합부 본체(71))가 배치되어 있다. 혼합부(70)의 도입구(15)는, 냉기 공급 덕트(6)의 상단(일단) 측에서 비스듬한 상방에 설치되어 있고, 냉각 덕트(5)의 냉기 분출구(12)에 면하고 있다(개구되어 있다). 혼합부(70)의 도입구(15)에 면하게 하여 좌우 한쌍의 팬(16)이 장착되어 있고, 팬(16)에 의해, 냉기 분출구(12)로 분출되는 냉기와, 냉각실(2) 내에서 용기(P) 내의 액체 음료의 냉각에 제공된 공기의 일부가, 혼합부(70)의 도입구(15)로부터 혼합부 본체(71) 내에 흡기되고(도입되고), 흡입된 냉기(혼합 냉기)가 냉기 공급 덕트(6)에 도입된다. 양측 팬(16)의 풍량을 합친 풍량은, 흡입용 팬(11)의 풍량보다 커지도록 설정한다. 흡입용 팬(11)의 구동 모터(17)나 각 팬(16)의 구동 모터(19)는, 발열량이 작은 DC 모터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냉각실(2)의 내벽은 단열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냉기 공급 덕트(6)의 내부에는, 냉기가 통과하는 제2 유로(81)가 형성된다.
혼합부(70)의 도입구(15)의 개구 면적은, 냉각 덕트(5)의 냉기 분출구(12)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로써,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기 공급 덕트(6)의 도입구(15)의 일부가 냉각 덕트(5)의 냉기 분출구(12)에 면하고 있는 동시에, 냉기 공급 덕트(6)의 도입구(15)의 일부가 냉각실(2) 내에 면하고 있다. 즉, 냉기 공급 덕트(6)의 도입구(15)에는, 냉각 덕트(5)의 냉기 분출구(12)로 분출되는 냉기와, 냉각실(2) 내의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흡입된다.
냉기 공급 덕트(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기 공급 덕트(6) 내의 공기(혼합 냉기)를 냉각실(2) 내에 불어 넣기 위한(공급하기 위한) 위한 복수개의 통기공(20)이 냉기 공급 덕트(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각 통기공(20)은, 상하의 각 단의 선반용 판(3)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고, 각 단의 선반용 판(3)의 상측의 공간에 각각 면하게 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다. 즉, 각 통기공(20)은, 각 단의 선반용 판(3)에 재치된 용기(P)의 상부 근방에 각각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하의 각 단의 선반용 판(3)에 대응하여 배치된 통기공(20)은, 상측의 단일수록 개수나 구멍 직경이 감소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통기공(20)으로부터 각 단에 불어 넣는 냉기의 양(유량)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공(20)은, 냉기 공급 덕트(6)의 통로 단면적이 작은 경우 등에는, 하측의 단일수록 선반용 판(3)의 상측의 공간에 면하는 개수가 적어지도록 설정해도 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각 통 기공(20)으로부터는, 냉기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분출된다. 이로써, 각 용기(P) 내의 액체 음료에 대해서 확실하게 과냉각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통기공(20)으로부터 분출된 냉기는, 냉각실(2) 내(제3 유로(83))를 통과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 덕트(5)에 흡입되는 것과, 혼합부(70)에 흡입되는 것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냉기 공급 덕트(6)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7)에 대향하고 있는, 즉, 도어(7)에 대해서 비교적 먼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냉기 공급 덕트(6)의 각 통기공(20)으로부터 냉각실(2)에 공급되는 혼합 냉기는, 도어(7)의 내측의 면에 맞닿고, 흡입용 팬(11)의 작동에 의해 냉각실(2) 내를 상승하여, 냉각 덕트(5)의 흡입구(10)에 흡입된다. 이 흡입된 혼합 냉기(공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 덕트(5), 혼합부(70) 및 냉기 공급 덕트(6)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냉기 공급 덕트(6)의 각 통기공(20)으로부터 냉각실(2)에 공급된다. 냉각실(2)에 공급된 혼합 냉기는, 액체 음료의 냉각에 제공된다. 냉각고에서는, 이와 같은 공기의 순환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냉각고에서는, 냉각 덕트(5)와 열교환기(9)와 흡입용 팬(11)이 냉각실(2) 내의 공기의 일부를 냉각하는 냉각 수단(85)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냉각고에서는, 냉각 수단(85)과 혼합부(70)에 의해, 냉각 유닛(90)이 구성되어 있다. 이 냉각 유닛(90)은, 냉각고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냉각 유닛(90)에 대한 유지 보수(예를 들면 교환이나 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냉기 공급 덕트(6)에는, 최상단의 선반용 판(3)에 대응하여 배치한 복수개의 통기공(20)의 하나에 면하는 온도 센서(21)가 배치되어 있다. 본 냉각고는, 온도 센서(21)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냉각고 내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냉각 장치(13)나 흡입용 팬(11)의 구동 모터(17)나 각 팬(16)의 구동 모터(19) 등을 제어한다. 도어(7)에는, 이것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개폐 센서에 의해 도어(7)가 열린 것이 검출되면, 흡입용 팬(11) 및 팬(16)의 회전을 정지시켜서, 냉각고 내 온도의 상승을 억제한다. 상기 제어 수단은, 도어(7)가 닫혀지면, 흡입용 팬(11) 및 팬(16)의 회전을 재개시킨다. 그리고, 흡입용 팬(11)으로 흡인되는 공기의 양과 팬(16)으로 흡인되는 공기의 양의 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1.1 ~ 10:1인 것이 바람직하고, 1:1.1 ~ 1:1.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전술한 비가 이와 같은 수치 범위 내인 경우에는, 각 용기(P) 내의 액체 음료에 대해서 보다 확실하게 과냉각을 행할 수 있다.
냉각실(2)의 내면에서의 좌우의 측면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한쌍의 선반용 기둥(22)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각 선반용 기둥(22)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각실(2)의 측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측벽(23)을 가지고 있고, 그 측벽(23)이 선반용 판(3)에 면하고 있다. 각 선반용 기둥(22)의 측벽(23)에는, 선반 받이 부재(26)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장착공(25)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각 선반 받이 부재(26)는, 선반용 기둥(22)을 통하여 냉각실(2)의 내면에 지지된다. 즉, 각 선반용 판(3)은, 선반 받이 부재(26) 및 선반용 기둥(22)을 개재하여 냉각실(2)의 내면에 지지되게 된다.
각 선반 받이 부재(26)는, 선반용 기둥(22)의 상하 두개의 장착공(25?25)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걸린다. 즉, 각 선반 받이 부재(26)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면부(29)의 선단측(도 4의 우측)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고, 선반 받이 부재(26)의 하단부(27)는, 하측의 장착공(25)에 삽입되어 하단부(27)의 숄더부가 장착공(25)의 에지에 맞닿음으로써 걸린다. 선반 받이 부재(26)의 상면부(29)의 기단부(30)(도 4의 좌측)는 상측으로 절곡되어 있어, 이 기단부(30)가, 상측의 장착공(25)에 삽입되어 선반용 기둥(22)의 내면에 맞닿음으로써 이탈 방지 상태로 걸린다.
선반 받이 부재(26)의 상면부(29)는, 실리콘 고무 등의 진동 방지재(31)로 둘러싸여 있다. 이 진동 방지재(31) 상에 선반용 판(3)의 에지부가 재치진다(도 4의 상태). 이로써, 각 선반용 판(3)은, 진동 방지재(31)를 사이에 두고 선반 받이 부재(26) 상에 재치되고, 냉각고 본체(1)의 진동 등이 선반 받이 부재(26) 및 선반용 판(3)을 통하여 용기(P)에 전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선반 받이 부재(26)의 상면부(29)의 선단측(도 4의 우측)에는, 상 방향의 돌기(32)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32)는, 선반용 판(3)의 에지부의 하면에 설치한 결합공(33)에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로써 선반용 판(3)의 어긋남을 규제한다.
각 선반용 판(3)의 상면에는, 연철 선재의 프레임체(35)를 장착한다. 프레임체(35)는, 선반용 판(3)의 상면의 둘레를 따르도록(링형으로) 형성된 에지 프레임(36)과, 에지 프레임(36)의 전후 프레임부 사이에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37)을 가진다. 에지 프레임(36)의 하면의 네 코너부에서는, 선재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재가 선반용 판(3)의 상면의 네 코너부에 설치한 결합공(39)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다.
프레임체(35)의 에지 프레임(36)과 가이드 프레임(37) 사이, 및 가이드 프레임(37? 37) 사이에 용기(P)가 배열된다. 좌우에 인접하는 용기(P?P)는, 그 사이에 가이드 프레임(37)이 개재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37)의 폭 만큼 간극이 생긴다. 이로써, 통기공(20)으로부터 불어 나온 냉기가 용기(P?P) 사이에 용이하게 흐르게 되고, 각 용기(P)가 신속하고 균일하게 냉각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냉각고의 실시예 2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의 냉각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냉각고의 구성에 대해서, 냉각실(2)의 개구된 앞면을 가리는 커튼(50)과, 냉각실(2) 내의 온도 변화를 완화하는 온도 변화 완화 수단으로서의 축열재(53) 및 히터(HT)(서리 제거 히터(55))가 추가되어 있다. 축열재(53)는, 냉기 공급 덕트(6) 내에 배치되어 있고, 서리 제거 히터(55)는, 열교환기(9)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실(2)의 개구된 앞면에 대해서 복수개의 커튼(50)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된다. 커튼(50)을 배치한 것에 의해, 도어(7)를 열었을 때에 외기가 냉각실(2) 내에 들어가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이로써, 도어(7)를 개폐함으로 인한 냉각실(2)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각 커튼(5O)은, 저온에서도 유연성을 가지는 투명한 비닐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좌우에 긴 사각기둥 형상의 횡봉재(51)에 장착되어 있다. 각 횡봉재(51) 의 좌우 양단에는, 하향으로 절곡된 훅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횡봉재(51)의 각 훅이, 냉각실(2)의 좌우의 측면에 설치한 걸림부에 각각 걸림으로써, 횡봉재(51)가 냉각실(2)의 좌우의 측면 사이에 걸쳐진다. 이 상태에서, 각 커튼(5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봉재(51)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져서, 상하 각 단의 선반용 판(3)의 상측의 공간에 각각 면하게 된다. 각 커튼(50)의 좌우 폭 치수는, 냉각실(2)의 좌우의 측면 사이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고, 이로써 각 커튼(50)의 좌우 양단과 냉각실(2)의 좌우의 측면 사이에서의 좌우 방향의 간극을 작게 하고 있다.
각 커튼(50)에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절결(52)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절결(52)은,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용기(P)를 선반용 판(3)에 재치할 때나 용기(P)를 냉각실(2)로부터 인출할 때는, 절결(52)을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벌려서 커튼(50)을 열게 된다.
상측의 커튼(50)과 하측의 커튼(5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각 커튼(50)의 상하 길이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7)를 닫았을 때에 흡입용 팬(11) 및 팬(16)의 회전이 재개됨으로써, 도어(7)를 닫은 직후에는 냉각실(2) 내에 부압(負壓)이 생겨서, 커튼(50)이 냉각실(2)의 내측으로 급격하게 흡인된다. 이 경우, 커튼(50)의 상하 길이 치수가 크면, 커튼(50)이 선반용 판(3)이나 냉각실(2)의 내면에 밀착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밀착이 생기면, 도어(7)를 열었을 때에 외기가 냉각실(2) 내에 쉽게 들어간다.
이에 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의 커튼(50) 사이에 간극을 설치했으므로, 커튼(50)의 전후에서의 기압 차가 작아지고, 커튼(50)이 냉각실(2) 측으로 쉽게 흡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튼(50)이 선반용 판(3)이나 냉각실(2)의 내면에 밀착되는 것이 억제되고, 상기 커튼(50)에 의하여 외기가 냉각실(2) 내로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는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커튼(50)의 상하 길이 치수가 너무 크지 않으므로, 용기(P)를 선반용 판(3)에 재치하는 것이나, 용기(P)를 냉각실(2)로부터 인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냉기 공급 덕트(6) 내의 후벽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기 공급 덕트(6) 내의 상부로서 도입구(15)의 근방에 편형한 축열재(53)가 매설되어 있다. 축열재(53)는, 알루미늄을 증착한 필름으로 제조한 알루미늄 팩 내에, 축열 용량이 비교적 큰 겔상의 고분자 응집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냉제를 수용함으로써 형성된다. 축열재(53)는, 냉기 공급 덕트(6) 내의 공기의 온도 변동을 완화하도록 작용한다. 즉, 축열재(53)에 의해, 냉각 덕트(5)로부터 불어 나와서 냉기 공급 덕트(6) 내에 흡입된 냉기와, 냉각실(2) 내로부터 냉기 공급 덕트(6) 내에 흡입된 공기와의 혼합 냉기의 온도 변동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냉각실(2) 내의 온도 변동도 감소한다. 또한, 열교환기(9)의 서리의 제거를 위하여 서리 제거 히터(55)가 온(ON)되어도, 축열재(53)에 의해, 냉각실(2) 내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축열재(53)의 동결 온도는, -15℃ ~ 0℃이다. 그리고, 축열재(53)로서는, 금속 재료보다 축열 용량이 큰 것이 바람직하고, 물을 알루미늄 팩 내에 수용한 것이나, 세라믹 등이라도 된다.
냉기 공급 덕트(6) 내이며, 그 냉기 공급 덕트(6) 내의 상부, 즉 온도 센서(21)의 근방에는, 히터(HT)가 배치되어 있다. 히터(HT)는, 냉기 공급 덕트(6)의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판(62)의 앞면에 고정되어 있다. 히터(HT)가 온(ON)될 때는, 열교환기(9)의 작동에 의한 냉각실(2) 내의 온도 저하가 완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62)을 배치함으로써, 히터(HT)의 열이, 히터(HT)의 후방 측에 위치하는 축열재(53)에 전해지는 것이 저감된다.
도 8에 나타낸 제어 수단(56)은, 온도 센서(21)로 검출한 냉각고 내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 범위 내가 되도록, 냉각 장치(13)의 압축기 CP나 흡입용 팬(11)의 구동 모터(17) 등을 제어한다. 즉, 제어 수단(56)은, 상기 냉각고 내 온도가, 조작부(57) 등으로 사전에 설정된 설정 온도보다, 예를 들면 2℃만큼 높아지면, 상기 압축기 CP나 흡입용 팬(11)의 구동 모터(17) 등을 온(ON)하고, 냉각고 내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보다, 예를 들면 2℃만큼 낮아지면, 상기 압축기 CP나 흡입용 팬(11)의 구동 모터(17) 등을 오프(OFF)한다. 이 구동 모터(17) 등의 온?오프(ON?OFF)의 전환은, 냉각고 내 온도에 따라 반복된다.
또한, 제어 수단(56)은, 개폐 센서(59)에 의해 도어(7)가 열린 것이 검출되면, 흡입용 팬(11)의 구동 모터(17) 및 각 팬(16)의 구동 모터(19)를 오프(OFF)하여, 흡입용 팬(11) 및 팬(16)의 회전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킨다. 제어 수단(56)은, 개폐 센서(59)에 의해 도어(7)가 닫혀졌던 것이 검출되면, 흡입용 팬(11)의 구동 모터(17)나 각 팬(16)의 구동 모터(19)의 온(ON) 상태를 재개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56)은, 도어(7)가 닫혀 있는 동안은 각 팬(16)의 구동 모터(19)를 온(ON) 상 태로 유지한다. 조작부(57)에는, 온도 설정용의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어 수단(56)은, 상기 냉각고 내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HT)를 제어한다. 즉, 제어 수단(56)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점 t1에서 냉각고 내 온도 D가 설정 온도 D0보다, 예를 들면 2℃만큼 높아지면 냉각 장치(13)의 압축기 CP 등을 온(ON)한다. 이로써, 냉각고 내 온도 D가 하강하고, 시점 t2에서 냉각고 내 온도 D가 설정 온도 D0보다, 예를 들면 1℃만큼 높은, 사전에 설정한 온(ON) 온도로 저하되면, 제어 수단(56)은, 상기 히터(HT)를 온(ON)한다. 또한, 제어 수단(56)은, 상기 히터(HT)의 온(ON) 후에, 시점 t3에서 냉각고 내 온도 D가 설정 온도 D0보다 1℃만큼 낮은, 사전에 설정한 오프(OFF) 온도로 저하되면, 상기 히터(HT)를 오프(OFF)한다.
이 후, 제어 수단(56)은, 시점 t4에서 냉각고 내 온도 D가 설정 온도 D0보다, 예를 들면 2℃만큼 낮아지면, 냉각 장치(13)의 압축기 CP 등을 오프(OFF)한다. 이 냉각 장치(13)의 압축기 CP 등의 오프(OFF)에 의해 냉각고 내 온도 D가 상승하고, 시점 t5에서 냉각고 내 온도 D가 설정 온도 D0보다, 예를 들면 2℃만큼 높아지면, 제어 수단(56)은, 냉각 장치(13)의 압축기 CP 등을 다시 온(ON)한다. 그 외의 점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오프(OFF) 온도는 온(ON) 온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냉각 장치(13)의 압축기 CP 등을 온(ON)한 채 상기 히터(HT)를 온(ON)함으로써, 냉각고 내 온도 D가 완만하게 하강한다. 그 만큼 냉각 장치(13)의 압축기 CP 등의 온(ON)으로부터 오프(OFF)에의 전환의 시간 간격이 크게 되어, 냉각 장치(13)의 압축기 CP 등의 온?오프(ON?OFF)의 전환 횟수가 감소한다. 따라서, 냉각 장치(13)의 압축기 CP 등이 자주 온?오프(ON?OFF)되는 것에 의한 냉각 장치(13)의 압축기 CP 등의 고장이 저감 한다. 또한, 냉각고 내 온도 D가 완만하게 하강함으로써, 온도 센서(21)에서의 온도 검출에 대한 냉각고 내 온도 D의 응답 지연에 의한 냉각고 내 온도 D의 오버 슛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 장치(13)의 압축기 CP 등의 온(ON) 시간은 가능한 한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따라 상기 히터(HT)의 온(ON) 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상기 히터(HT)의 온(ON) 시간이, 예를 들면 3분 이상이 되면, 냉각실(2) 내가 너무 데워질 우려가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제어 수단(56)은, 상기 히터(HT)를 강제적으로 오프(OFF)한다. 설정 온도 D0에 대한 냉각고 내 온도 D의 온도 폭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3℃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HT)가 온(ON)되는 온도와 냉각 장치(13)의 압축기 CP 등이 온(ON)되는 온도는 같아도 되고, 또한 상기 히터(HT)가 오프(OFF)되는 온도와 냉각 장치(13)의 압축기 CP 등이 오프(OFF)되는 온도가 같아도 된다.
상기 히터(HT)는, 냉각실(2) 내나 냉각 덕트(5) 내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히터(HT)에는, 서리 제거 히터(55)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서리 제거 히터(55)의 온(ON)에 의해 열교환기(9)에 부착한 서리도 녹아서 제거된다. 그리고, 높은 습도 등에 의해 열교환기(9)에 서리가 과도하게 부착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조작부(57) 등을 조작하여 서리 제거 히터(55)를 강제적으로 온(ON)하여, 서리를 제거하게 된다. 서리가 녹아서 발생한 물은, 도 6에 나타낸 드레인 팬(60) 및 배수관(61)을 통하여 냉각고 밖으로 배수된다.
상기 냉각고 내 온도 D를 완만하게 하강시키기 위한 히터(HT)를, 서리 제거 히터(55)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 1에서, 냉각실(2)의 개구된 앞면에 에어 커튼이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온도 센서(21)는, 최상단의 선반용 판(3) 부근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각 선반용 판(3)에 대해서, 복수개의 온도 센서(21)가 각각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복수개의 온도 센서(21)는, 각 선반용 판(3)에 대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예를 들면 냉각실(2) 내의 온도 관리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냉기 공급 덕트(6)는,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실(2)의 배면 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냉각실(2)의 도 3의 좌우의 양 측면 측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냉기 공급 덕트(6)가 냉각실(2)의 상기 양 측면측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냉각실(2)의 배면에도 도어를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냉각실(2)의 앞면 측 및 배면 측의 어느 도어로부터도, 해당 도어를 열어, 냉각실(2)에 대해서 용기(P)를 출입시킬 수 있다.
또한, 팬(16)과 흡입용 팬(11)은, 그들의 회전수를 각각, 적당히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각 팬에서의 풍량의 절대량이나, 풍량의 비를 변경할 수 있다.

Claims (53)

  1. 액체 음료의 용기(P)를 수용하기 위한 냉각실(2)과,
    냉각실(2) 내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9)와,
    열교환기(9)를 내장하는 냉각 덕트(5)와,
    냉각 덕트(5)의 일부에 설치되는 흡입구(10)와,
    냉각 덕트(5)의 흡입구(10)와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는 냉기 분출구(12)와,
    냉각실(2)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기 공급 덕트(6)와,
    냉기 공급 덕트(6)의 일단 측에 설치되는 도입구(15)와,
    냉기 공급 덕트(6) 내의 공기를 냉각실(2) 내에 불어 넣기 위한 통기공(20)과,
    냉기 공급 덕트(6)의 도입구(15)에 면(面)하도록 하여 장착되는 팬(16)
    을 포함하고 있고,
    냉각 덕트(5)는, 냉각실(2) 내의 공기를 흡입구(10)로부터 흡인하여 열교환기(9)에서 냉각시킨 후에, 냉기 분출구(12)로 불어 내도록 되어 있고,
    냉기 공급 덕트(6)는, 냉각실(2)의 측면에서 냉각실(2)의 상하 방향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도입구(15)가, 냉각 덕트(5)의 냉기 분출구(12)에 면하고 있는 동시에 냉각실(2) 내에 면하고 있고,
    팬(16)에 의해, 도입구(15)로부터 냉기 공급 덕트(6) 내로의 흡기가 행하여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2. 제1항에 있어서,
    냉기 공급 덕트(6)의 도입구(15)의 개구 면적이, 냉각 덕트(5)의 냉기 분출구(12)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고, 냉기 공급 덕트(6)의 도입구(15)의 일부가 냉각 덕트(5)의 냉기 분출구(12)에 면하고 있는 동시에, 냉기 공급 덕트(6)의 도입구(15)의 일부가 냉각실(2) 내에 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3. 제2항에 있어서,
    냉각 덕트(5)의 흡입구(10)에 면하는 흡입용 팬(11)을 포함하고,
    흡입용 팬(11)에 의해, 냉각 덕트(5)의 흡입구(10)로부터 냉각 덕트(5) 내로의 흡기가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4. 제3항에 있어서,
    팬(16)의 풍량이, 흡입용 팬(11)의 풍량보다 많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5. 제4항에 있어서,
    냉각실(2)의 앞면이 개구되어 있고, 그 냉각실(2)의 개구된 앞면을 개폐하는 도어(7)가 배치되어 있고,
    냉각 덕트(5)는, 냉각실(2)의 천정 측에 배치되어 있고,
    냉각 덕트(5)의 흡입구(10)가, 비스듬한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냉각 덕트(5)의 냉기 분출구(12)가,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냉기 공급 덕트(6)의 도입구(15)가, 냉기 공급 덕트(6)의 상단에서의 비스듬한 상향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냉각 덕트(5)의 냉기 분출구(12)에 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6. 제1항에 있어서,
    냉각실(2) 내에는, 선반용 판(3)이 상하 복수개의 단으로 배치되어 있고,
    통기공(20)은, 냉기 공급 덕트(6)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각 통기공(20)은, 상하 각 단의 선반용 판(3)의 상측의 공간에 면하게 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하 각 단의 선반용 판(3)의 상측의 공간에 각각 배치된 통기공(20)은, 상측의 단일수록, 선반용 판(3)의 상측의 공간에 면하는 통기공(20)의 개수 및/또는 구멍 직경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8. 제6항에 있어서,
    상하 각 단의 선반용 판(3)의 상측의 공간에 각각 배치된 통기공(20)은, 하 측의 단일수록, 선반용 판(3)의 상측의 공간에 면하는 통기공(20)의 개수 및/또는 구멍 직경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9. 제1항에 있어서,
    냉각실(2)의 앞면이 개구되어 있고, 그 냉각실(2)의 개구된 앞면을 개폐하는 도어(7)와,
    냉각실(2)의 개구된 앞면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커튼(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10. 제9항에 있어서,
    냉각실(2) 내에는, 선반용 판(3)이 상하 복수개의 단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 커튼(50)이, 상하 각 단의 선반용 판(3)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측의 커튼(50)과 하측의 커튼(5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각 커튼(50)의 상하 길이 치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12. 제1항에 있어서,
    용기(P)를 재치(載置)하기 위한 선반용 판(3)과,
    냉각실(2)의 내면에 지지되는 선반 받이 부재(26)와,
    선반 받이 부재(26)의 상면을 덮는 진동 방지재(31)
    가 냉각실(2) 내에 배치되어 있고,
    선반용 판(3)은, 진동 방지재(31)를 사이에 두고 선반 받이 부재(26) 상에 재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13. 제1항에 있어서,
    선반용 판(3)의 상면에는, 선반용 판(3)의 상면의 둘레를 따르도록 형성된 에지 프레임(36)과, 에지 프레임(36)의 내측에 걸쳐서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37)을 포함하는 프레임체(35)가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인접하는 용기(P) 사이에 가이드 프레임(37)이 개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14. 제1항에 있어서,
    통기공(20)에 면하는 온도 센서(21)와,
    냉각고 내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도 범위 내가 되도록 온도 센서(21)로 검출한 냉각고 내 온도에 기초하여, 열교환기(9)에 접속된 냉각 장치(13)를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제어 수단(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15. 제14항에 있어서,
    냉각실(2) 내에는 선반용 판(3)이 상하 복수개 단으로 배치되어 있고,
    통기공(20)은 냉기 공급 덕트(6)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각 통기공(20)은, 상하 각 단의 선반용 판(3)의 상측의 공간에 면하게 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온도 센서(21)는, 적어도 1개의 선반용 판(3)의 상측의 공간에 면하는 통기공(20)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16. 제14항에 있어서,
    냉각실(2)의 앞면이 개구되어 있고, 그 냉각실(2)의 개구된 앞면을 개폐하는 도어(7)와,
    도어(7)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센서(59)와,
    냉각 덕트(5)의 흡입구(10)에 면하도록 장착되어, 냉각 덕트(5)의 흡입구(10)로부터 냉각 덕트(5) 내로의 흡기를 행하기 위한 흡입용 팬(11)
    을 더 포함하고 있고,
    제어 수단(56)은, 개폐 센서(59)에 의해 도어(7)가 열린 것이 검출되었을 때, 흡입용 팬(11) 및 팬(16)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17. 제14항에 있어서,
    냉각실(2) 내에 히터(HT)가 배치되어 있고,
    제어 수단(56)은, 냉각 장치(13)가 온(ON)된 후에 냉각고 내 온도가 사전에 설정한 온(ON) 온도가 되면, 히터(HT)를 온(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18. 제17항에 있어서,
    히터(HT)가 온(ON)된 후에, 냉각고 내 온도가 상기 온(ON) 온도보다도 낮은, 사전에 설정한 오프(OFF) 온도가 되면, 히터(HT)를 오프(OFF)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오프(OFF) 온도는, 냉각고 내 온도가 저하되어 냉각 장치(13)가 오프(OFF)가 되는 냉각고 내 온도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20. 제19항에 있어서,
    히터(HT)를 냉기 공급 덕트(6) 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21. 제19항에 있어서,
    히터(HT)에는, 열교환기(9)에 배치한 서리 제거 히터(55)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22. 제19항에 있어서,
    히터(HT)는, 서리 제거 히터(55)만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23. 제1항에 있어서,
    냉각고는, 액체 음료를 수납한 용기(P)를, 상기 액체 음료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로, 또한 상기 액체 음료가 미동결을 유지하는 과냉각 상태로 보존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냉각고.
  24. 액체 음료를 수납한 용기(P)를, 상기 액체 음료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로, 또한 상기 액체 음료가 미동결을 유지하는 과냉각 상태로 보존하는 냉각고로서,
    상기 용기(P)를 수납 가능한 냉각실(2)과,
    상기 냉각실(2) 내의 공기의 일부를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과,
    상기 냉각 수단에 의해 냉각된 냉기와, 상기 냉각실(2) 내의 공기의 일부를 혼합하는 혼합부(70)와,
    상기 혼합부(70)에서 혼합된 혼합 냉기를 상기 냉각실(2) 내에 공급하는 냉기 공급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냉기 공급 수단을 통하여 공급된 상기 혼합 냉기에 의해, 상기 용기(P) 내의 상기 액체 음료가 과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냉각실(2) 내에서 상기 용기(P) 내의 상기 액체 음료의 냉각에 제공된 공기의 일부를 흡입하는 흡입구(10)와, 상기 흡입구(10)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불어 나오는 냉기 분출구를 포함하는 냉각 덕트(5)와, 상기 냉각 덕트(5) 내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덕트(5)는, 상기 냉각실(2) 내의 천정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흡입구(10)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10)를 통하여 상기 냉각 덕트(5) 내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용 팬(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70)는, 상기 냉기 분출구(12) 부근에 개구된 도입구(15)를 포함하는 혼합부 본체(71)와, 상기 혼합부 본체(71)의 도입구(15)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도입구(15)로부터 상기 혼합부 본체(71) 내에, 상기 냉기 분출구(12)로부터 분출된 냉기와 상기 냉각실(2) 내에서 상기 용기(P) 내의 상기 액체 음료의 냉각에 제공된 공기를 도입하는 팬(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 수단은, 상기 혼합부(70)에 연통하고, 상기 혼합부(70)로부터 도입된 상기 혼합 냉기를 상기 냉각실(2)에 불어 넣는 통기공(20)을 포함하는 냉기 공급 덕트(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냉각고.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 덕트(6)는, 상기 냉각실의 하나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2)의 앞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냉기 공급 덕트(6)는, 상기 냉각실(2)의 배면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 덕트(6)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상기 통기공(20)을 포함하고, 각 통기공(20)으로부터 상기 냉각실(2) 내를 향하여 상기 혼합 냉기를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을 하는 냉각고.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선반용 판(3)에서, 상기 각 선반용 판(3)에 대응하는 각 통기공(2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혼합 냉기의 유량이 대략 같아지도록, 상기 통기공(20)의 개수 및/또는 구멍 직경이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에 흡입되는 공기의 양과, 상기 혼합부(70)에 흡입되는 공기의 양의 비는, 1:1 ~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3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2) 내의 온도 변화를 완화하는 온도 변화 완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변화 완화 수단은, 소정 시에 작동하는 히터(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고.
  37. 액체 음료를 수납한 용기(P)를, 상기 액체 음료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로, 또한 상기 액체 음료가 미동결을 유지하는 과냉각 상태로 보존하는 냉각실(2)과, 상기 냉각실(2)에 공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냉각고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냉각 유닛(90)으로서,
    상기 냉각실(2) 내의 공기의 일부를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과,
    상기 냉각 수단에 의해 냉각된 냉기와, 상기 냉각실(2) 내의 공기의 일부를 혼합하여, 혼합된 혼합 냉기를 상기 냉기 공급 수단에 보내는 혼합부(70)
    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 공급 수단을 통하여 공급된 상기 혼합 냉기에 의해, 액체 음료가 과냉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유닛.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KR1020077027608A 2005-04-27 2006-04-27 냉각고 KR101205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30301 2005-04-27
JPJP-P-2005-130301 2005-04-27
PCT/JP2006/308897 WO2006118217A1 (ja) 2005-04-27 2006-04-27 冷却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216A KR20080009216A (ko) 2008-01-25
KR101205822B1 true KR101205822B1 (ko) 2012-11-28

Family

ID=37308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608A KR101205822B1 (ko) 2005-04-27 2006-04-27 냉각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173093A1 (ko)
EP (1) EP1878986A1 (ko)
JP (1) JP4535466B2 (ko)
KR (1) KR101205822B1 (ko)
AU (1) AU2006241811A1 (ko)
NO (1) NO20075983L (ko)
WO (1) WO2006118217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874B1 (ko) 2013-11-04 2014-01-16 주식회사 스노파 냉동고
KR101775069B1 (ko) * 2017-04-12 2017-09-05 (주)유니하이테크 가변형 과냉각 냉각고
US10001314B2 (en) 2013-08-27 2018-06-19 Snopa Co., Ltd. Freezer
WO2019031619A1 (ko) * 2017-08-06 2019-02-14 김명회 냉각고 및 그의 제어 방법 {cooling box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45510B1 (ko) 2019-06-24 2019-11-15 박지용 과냉각 냉각고
KR102159133B1 (ko) 2020-02-05 2020-09-23 박종윤 과냉각 냉동고
US11640741B2 (en) 2019-03-25 2023-05-02 Pepsico, Inc. Beverage container dispenser and method for dispensing beverage containers
US11910815B2 (en) 2019-12-02 2024-02-27 Pepsico, Inc. Device and method for nucleation of a supercooled bever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4934A1 (de) 2008-12-18 2010-07-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sowie Verfahren zur Temperaturregelung in einem Kältegerät
JP5756898B2 (ja) * 2009-12-28 2015-07-29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保冷庫
EP2369275A1 (en) * 2010-03-24 2011-09-28 Whirlpool Corpora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with a blowing fan and refrigerator controlled with such method
US8756940B2 (en) * 2010-12-23 2014-06-24 Intelligent Cellars Inc. Compartmented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ed modular housing for the storage and preservation of wine bottles
JP5716211B2 (ja) * 2011-03-18 2015-05-13 株式会社MARS Company 冷却庫
JP5656733B2 (ja) * 2011-05-06 2015-01-21 セラボ株式会社 冷却庫
DE102011079208A1 (de) * 2011-07-14 2013-01-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No-Frost Kältegerät und Verfahren zum Abtauen eines Verdampfers
CA2854916C (en) 2011-11-14 2018-03-06 The Coca-Cola Company Automatic vending machine
DE102011088612A1 (de) * 2011-12-14 2013-06-2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Mehrzweck-Kühlvorrichtung
US9890984B2 (en) 2012-06-28 2018-02-13 Supercooler, Inc. Supercooling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4010771A1 (ko) * 2012-07-13 2014-01-16 수퍼쿨러 주식회사 과냉각 냉동고
CN103575014B (zh) * 2012-06-28 2017-10-13 超级制冷器有限公司 过冷冰箱以及过冷冰箱的控制方法
WO2014030790A1 (ko) * 2012-08-24 2014-02-27 수퍼쿨러 주식회사 음료 제품 자동판매기 및 자동판매기 온도 제어방법
JP5801781B2 (ja) * 2012-10-01 2015-10-28 国益冷機有限会社 棚凍結式冷凍庫
AU2013100489B4 (en) * 2012-12-20 2014-01-16 Cold Rush Refrigerated Lockers Pty Ltd Locker assembly and associated insert assembly for a cabinet
CN105229462B (zh) * 2013-03-29 2017-12-29 株式会社岛津制作所 试样冷却装置以及具备其的自动取样器
JP6485678B2 (ja) * 2013-03-29 2019-03-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及び冷蔵庫システム
JP6255698B2 (ja) * 2013-04-10 2018-01-10 富士電機株式会社 収容庫
JP6191207B2 (ja) * 2013-04-10 2017-09-06 富士電機株式会社 収容庫
JP6150430B2 (ja) * 2013-11-18 2017-06-21 中野冷機株式会社 リーチインショーケース
JP6257447B2 (ja) * 2014-05-23 2018-01-10 アサヒ飲料株式会社 冷蔵庫、冷却時間管理装置及び冷却時間の管理方法
KR20150134849A (ko) * 2014-05-23 2015-12-02 김태수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
CN104374138B (zh) * 2014-11-28 2017-05-2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风冷冰箱
JP6529271B2 (ja) * 2015-02-03 2019-06-12 株式会社アイホー 冷蔵機能付き加熱調理装置
KR101637816B1 (ko) * 2015-02-27 2016-07-07 김원태 가변형 과냉각 냉각고
MX2017011975A (es) * 2015-03-20 2018-06-06 Pepsico Inc Sistema y metodo de enfriamiento.
CN105042989B (zh) * 2015-08-26 2018-12-14 青岛海尔特种电冰箱有限公司 冰箱
USD803602S1 (en) 2016-03-15 2017-11-28 Foxwood Wine Cellars Wine cabinet
JP6638809B2 (ja) * 2016-05-31 2020-01-29 三菱電機株式会社 保冷装置
US20200370816A1 (en) * 2019-05-20 2020-11-26 Pepsico, Inc. Defrosting system for a cold plate and method of defrosting a cold plate
KR102261174B1 (ko) * 2020-01-14 2021-06-07 주식회사 스키피오 냉동고
WO2022196170A1 (ja) * 2021-03-17 2022-09-22 Ph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保冷庫
EP4269913A1 (en) 2022-04-27 2023-11-01 Preket, S.L. Machine for supercooling food and beverages at temperatures below zero degrees celsius without crystalliz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2480U (ko) 1981-04-07 1982-10-13
JP2001241839A (ja) 2000-02-28 2001-09-07 Sanyo Electric Co Ltd 貯蔵庫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9620A (en) * 1960-11-14 1962-02-06 Victory Metal Mfg Company Refrigerating apparatus
US3499295A (en) * 1968-06-17 1970-03-10 Emhart Corp Refrigeration system
US3756038A (en) * 1972-04-07 1973-09-04 Emhart Corp Refrigerated display equipment
US3812684A (en) * 1972-12-07 1974-05-28 Kysor Industrial Corp Refrigerated display case
CH622082A5 (ko) * 1977-04-06 1981-03-13 Von Roll Ag
DE7711392U1 (de) * 1977-04-12 1977-07-21 Ludwig Kiesel Ohg, 8500 Nuernberg Selbstbedienungs-tiefkuehlvitrine
JPS5810944Y2 (ja) * 1977-04-19 1983-02-28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US4299092A (en) * 1979-12-07 1981-11-10 Tyler Refrigeration Corporation Energy conserving refrigerated merchandiser display case
US4478047A (en) * 1980-05-01 1984-10-23 Tyler Refrigeration Corporation Energy efficient glass door merchandiser
JPS6037633B2 (ja) * 1981-03-31 1985-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ザ−励起用電源装置
US4368622A (en) * 1981-05-14 1983-01-18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with through-the-door quick-chilling service
JPH0234981U (ko) * 1988-08-30 1990-03-06
US4977754A (en) * 1990-05-01 1990-12-18 Specialty Equipment Companies, Inc. Next-to-be-purchased cold beverage merchandiser
JP2761794B2 (ja) * 1990-06-08 1998-06-04 東京製綱株式会社 ケーブルレイドロープ
JPH0450388U (ko) * 1990-08-31 1992-04-28
US5347827A (en) * 1992-07-01 1994-09-20 The Coca-Cola Company Modular refrigeration apparatus
JP3200193B2 (ja) * 1992-10-02 2001-08-20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
JP3305582B2 (ja) 1996-06-25 2002-07-22 玉乃光酒造株式会社 過冷却用冷却装置
US5839295A (en) * 1997-02-13 1998-11-24 Frontier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Ltd. Refrigeration/heat pump module
KR100358901B1 (ko) * 1998-03-19 2002-11-01 라이트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냉각장치 및 그 냉각방법
KR100268502B1 (ko) * 1998-07-30 2000-10-16 윤종용 냉장고의 균일냉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422025B1 (en) * 2001-03-21 2002-07-23 The Coca-Cola Company Vibrationally isolated stirling cooler refrigeration system
JP4229555B2 (ja) * 1999-12-17 2009-02-25 福島工業株式会社 温度調節機能付き保管庫
JP2001325656A (ja) 2000-05-17 2001-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
NO312006B1 (no) * 2000-06-26 2002-03-04 Svein Henrik Vormedal Hylleskap for kjölevarer og fremgangsmåte til kontrollert/styrt sirkulasjon av luft i hylleskapet
JP2002022333A (ja) 2000-07-12 2002-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TW539839B (en) * 2001-05-24 2003-07-01 Sanyo Electric Co Refrigerator
JP2003279244A (ja) * 2002-03-26 2003-10-02 Sanyo Electric Co Ltd 棚部材、この棚部材を備えた冷蔵庫及び家庭用の冷蔵庫
US6701739B2 (en) * 2002-06-12 2004-03-09 Tecumseh Products Company Modular refrigeration system for refrigeration appliance
US6519962B1 (en) * 2002-06-27 2003-02-18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ed merchandiser angular air guide vanes
JP4368137B2 (ja) * 2003-04-30 2009-11-18 サンデン株式会社 蓄冷式保冷庫
KR100575680B1 (ko) * 2004-05-18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진기능을 구비한 와인 냉장고
KR100585696B1 (ko) * 2004-06-14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2480U (ko) 1981-04-07 1982-10-13
JP2001241839A (ja) 2000-02-28 2001-09-07 Sanyo Electric Co Ltd 貯蔵庫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1314B2 (en) 2013-08-27 2018-06-19 Snopa Co., Ltd. Freezer
KR101351874B1 (ko) 2013-11-04 2014-01-16 주식회사 스노파 냉동고
KR101775069B1 (ko) * 2017-04-12 2017-09-05 (주)유니하이테크 가변형 과냉각 냉각고
WO2018190471A1 (ko) * 2017-04-12 2018-10-18 (주)유니하이테크 가변형 과냉각 냉각고
WO2019031619A1 (ko) * 2017-08-06 2019-02-14 김명회 냉각고 및 그의 제어 방법 {cooling box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640741B2 (en) 2019-03-25 2023-05-02 Pepsico, Inc. Beverage container dispenser and method for dispensing beverage containers
US11837059B2 (en) 2019-03-25 2023-12-05 Pepsico, Inc. Beverage container dispenser and method for dispensing beverage containers
KR102045510B1 (ko) 2019-06-24 2019-11-15 박지용 과냉각 냉각고
WO2020262724A1 (ko) 2019-06-24 2020-12-30 박지용 과냉각 냉각고
US11910815B2 (en) 2019-12-02 2024-02-27 Pepsico, Inc. Device and method for nucleation of a supercooled beverage
KR102159133B1 (ko) 2020-02-05 2020-09-23 박종윤 과냉각 냉동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18217A1 (ja) 2006-11-09
KR20080009216A (ko) 2008-01-25
AU2006241811A1 (en) 2006-11-09
US20090173093A1 (en) 2009-07-09
NO20075983L (no) 2008-01-25
JPWO2006118217A1 (ja) 2008-12-18
EP1878986A1 (en) 2008-01-16
JP4535466B2 (ja)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822B1 (ko) 냉각고
WO2014003220A1 (ko) 과냉각 냉동고 및 과냉각 냉동고 제어방법
KR20070075677A (ko)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과냉각액 제조방법
JP2009063244A (ja) 冷蔵庫
KR100681983B1 (ko) 냉장고
KR20070042020A (ko) 냉장고
KR20150043103A (ko) 과냉각 냉각고
JP3392719B2 (ja) 冷蔵庫
JP2001133129A (ja) 除霜水の蒸発装置
KR20140147315A (ko) 과냉각 냉각고
KR101775069B1 (ko) 가변형 과냉각 냉각고
JP6937843B2 (ja) 製氷装置
WO2014010771A1 (ko) 과냉각 냉동고
JP4596679B2 (ja) 冷蔵庫
JP2001330361A (ja) 冷蔵庫
EP1580503A1 (en)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a carbonator of a refrigerator
JP3983565B2 (ja) 冷却庫
JP5405148B2 (ja) 貯蔵庫の結露防止構造
JP4076407B2 (ja) 温冷蔵装置及びその冷却器及び冷風ダクトの湿度上昇抑制方法
JP2608906B2 (ja) 冷蔵庫
JP2003240414A (ja) 冷却庫
JP2007113854A (ja) 冷蔵庫
JP3717659B2 (ja) 冷蔵庫
KR100700540B1 (ko) 냉장고의 급속 제빙장치
KR20180118904A (ko) 냉장고 및 그 운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202

Effective date: 2016051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511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707

Effective date: 201703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