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612B1 - 스크린 인쇄기 - Google Patents

스크린 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612B1
KR101591612B1 KR1020147004996A KR20147004996A KR101591612B1 KR 101591612 B1 KR101591612 B1 KR 101591612B1 KR 1020147004996 A KR1020147004996 A KR 1020147004996A KR 20147004996 A KR20147004996 A KR 20147004996A KR 101591612 B1 KR101591612 B1 KR 101591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squeegee
guide
longitudinal
completion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1900A (ko
Inventor
히로시 가미데
아츠시 마에다
가즈오 고지마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텍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텍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이크로·텍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B41F15/42Inking units comprising squeegees or do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스퀴지가 인쇄면에 추종할 수 있는 소형의 스크린 인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스퀴지(203)와 스크린 마스크(201)를 사용하여 인쇄를 하는 스크린 인쇄기(100)에 있어서, 인쇄 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쭉한 형상의 프레임(231)과, 스퀴지를 보유 지지하는 길쭉한 형상의 스퀴지 홀더(203)와, 프레임(231)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스퀴지 홀더(204)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1쌍의 가이드 부시(213)와, 1쌍의 가이드 부시(213)보다 내측의 위치에서 프레임(231)에 고정되어, 스퀴지 홀더(20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1쌍의 에어 실린더(21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스크린 인쇄기{SCREEN PRINTER}
본 발명은 스크린 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스퀴지로부터 스크린에 균등하게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스퀴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스퀴지가 스크린의 인쇄면에 유연하게 추종하여, 스크린에 균등한 압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종래의 스크린 인쇄기에서는, 스퀴지의 중앙부에 1개의 에어 실린더를 설치하고 있다. 1개의 에어 실린더에 대해 스퀴지의 중앙부가 핀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스퀴지가 스크린에 압박된다. 이로 인해, 인쇄 시에 스퀴지가 회전할 수 있어 스크린의 인쇄면에 대해 추종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2개의 에어 실린더에 의해 스퀴지의 좌우 양단부에 압력을 가하여, 스퀴지를 인쇄면에 추종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5-193105호 공보
종래의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는, 스퀴지의 적절한 인쇄 압력을 얻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1개의 에어 실린더에 대해 스퀴지의 중앙부가 핀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스퀴지가 스크린에 압박되는 경우에는, 양단부의 양쪽에 있어서 적절한 인쇄 압력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스퀴지의 양단부를 포함하는 전체 범위에 있어서 적절한 인쇄 압력을 얻는 스크린 인쇄기를 제공하려고 한다.
또한, 특허문헌 1에 의한 스크린 인쇄기는 에어 실린더와 안내통이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장치의 높이가 높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스퀴지가 인쇄면에 추종할 수 있는 소형의 스크린 인쇄기를 제공하려고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인쇄기는 스퀴지와 스크린 마스크를 사용하여 인쇄를 하는 스크린 인쇄기이고,
인쇄 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쭉한 형상의 프레임과,
스퀴지를 보유 지지하는 길쭉한 형상의 스퀴지 홀더와,
프레임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스퀴지 홀더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1쌍의 가이드 부시와,
1쌍의 가이드 부시보다 내측의 위치에서 프레임에 고정되어, 스퀴지 홀더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1쌍의 에어 실린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퀴지 홀더의 길이 방향의 길이 WS에 대해,
1쌍의 가이드 부시의 간격 WG는 길이 WS의 80% 이상 95% 이하이고,
1쌍의 에어 실린더의 간격 WA는 길이 WS의 50% 이상 7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쌍의 가이드 부시의 각 가이드 부시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가이드 로드를 갖고,
스퀴지 홀더는 가이드 로드의 하단부를 볼트로 설치하는 리시버를 갖고,
가이드 로드는 인쇄 방향으로 관통한 스루 홀을 하단부에 갖고,
리시버는 볼트를 스루 홀에 삽입함으로써, 볼트를 축으로 하여 스퀴지 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쌍의 에어 실린더의 각 에어 실린더는 압력을 전달하는 프레셔 로드를 갖고,
스크린 인쇄기는 프레셔 로드의 하단부와 스퀴지 홀더에 고정되어 프레셔 로드의 축심에 대해 소정의 허용 편심량과 소정의 요동 각도를 제공하는 조인트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루 홀은 볼트의 직경 D1보다도 큰 직경 D2를 갖고,
볼트의 직경 D1과 스루 홀의 직경 D2의 직경차 S1은 스퀴지 홀더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의 1쌍의 볼트의 중심의 수평 방향의 간격 L1과, 경사 각도 α까지 스퀴지 홀더가 회전한 경우의 1쌍의 볼트의 중심의 수평 방향의 간격 L2의 간격차 S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 로드는 인쇄 방향으로 관통한 로드 홀과, 로드 홀에 삽입되는 환상의 부시를 갖고,
부시의 외경=로드 홀의 내경
부시의 내경=스루 홀 직경 D2>볼트의 직경 D1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크린 인쇄기는 1쌍의 가이드 로드에 고정된 1쌍의 핀을 갖고,
스퀴지 홀더는 스퀴지 홀더가 회전한 경우에 핀과 접촉하는 1쌍의 스토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쌍의 핀의 각 핀은 스퀴지 홀더가 수평 방향에 대해 억제 각도 β만큼 회전한 경우에 핀 선단이 스토퍼에 접촉하도록 핀 선단의 위치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 실린더와 가이드 부시를 각각으로 하여 배치하였으므로, 스퀴지가 인쇄면에 추종할 수 있는 소형의 스크린 인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이 실시 형태 1의 스크린 인쇄기(100)의 테이블 이동 전 위치의 도면이다.
도 2는 이 실시 형태 1의 스크린 인쇄기(100)의 테이블 종이동 완료 위치의 도면이다.
도 3은 인쇄부(200)의 좌우 방향(Y방향)의 정면도(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인쇄부(200)를 위에서 본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인쇄부(200)의 BB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인쇄부(200)의 경사 기구(K부) 확대도.
도 7은 도 6의 경사 기구(K부) 확대도의 CC 단면도.
도 8은 도 6의 경사 기구(K부) 확대도의 DD 단면도.
도 9는 경사 기구의 모식 설명도.
도 10은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실시 형태 1.
도 1과 도 2는 실시 형태 1의 스크린 인쇄기(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테이블 이동 전 위치의 도면이다.
도 2는 테이블 종이동 완료 위치의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X방향, 수평 방향)과, 상하 방향(Z방향, 수직 방향)과, 도면에 직교하는 깊이 방향(Y방향, 수평 방향)은 직교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스크린 인쇄기(100)는 가대(10)와 이동 테이블(20)을 갖고 있다.
가대(10)의 내부에는 구동 기구(80)와 제어부(11)가 있다. 제어부(11)는 구동 기구(80)를 제어한다.
가대(10)의 상부에는 종방향 가이드(12)가 직립되어 있다. 종방향 가이드(12)의 이동 테이블(20)측에는 수직면(13)이 있다.
이동 테이블(20)은 테이블 하부(30)와 테이블 상부(40)를 갖고 있다.
테이블 하부(30)의 하부에는 연결부(31)가 있고, 연결부(31)는 구동용 타이밍 벨트(82)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용 서보 모터(81)의 회전에 의해, 구동용 타이밍 벨트(82)가 좌우로 이동하고, 연결부(31)를 통해 테이블 하부(30)가 횡(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도 1에서는 이동 테이블(20)이 이동 전 위치 P1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구동용 서보 모터(81)의 정역 회전에 의해, 이동 테이블(20)은 이동 전 위치 P1과 횡이동 완료 위치 P2 사이를 횡방향(정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테이블 하부(30)의 상부에는 톱날 형상의 전방 톱날부(35)와 후방 톱날부(36)가 있다. 전방 톱날부(35)와 후방 톱날부(36)는 모두 전방으로 경사진 소정 각도의 경사면(슬라이드면)을 갖는다.
테이블 상부(40)는 지그 플레이트(41)와 얼라이먼트부(42)와 테이블 사행부(43)를 갖고 있다.
지그 플레이트(41)는 인쇄 기판 등의 워크(210)를 적재하는 평판이다.
얼라이먼트부(42)는 지그 플레이트(41)의 XYθ 방향을 조정하는 XYθ 위치 결정 기구이다.
테이블 사행부(43)는 테이블 하부(30)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테이블 사행부(43)는 수직면(13)에 대향하는 높이 위치에 롤러(44)를 갖고 있다.
롤러(44)는 테이블 하부(30)의 하부 전방면(38)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테이블 사행부(43)는 전방 다리(45)와 후방 다리(46)를 갖고 있다.
경사 슬라이드 기구(50)는 이동 테이블(20)의 우측의 전방 다리(45)의 아래에 경사용 직동 슬라이더(51)와 경사 레일(52)을 갖고 있다. 또한, 경사 슬라이드 기구(50)는 이동 테이블(20)의 좌측의 후방 다리(46)의 아래에 경사용 직동 슬라이더(53)와 경사 레일(54)을 갖고 있다.
경사용 직동 슬라이더(51)와 경사용 직동 슬라이더(53)는, 테이블 사행부(43)의 하부의 전방 다리(45)와 후방 다리(46)에 경사지게 하여 설치된 리니어 가이드이다.
경사 레일(52)과 경사 레일(54)은 테이블 하부(30)의 상부의 전방 톱날부(35)와 후방 톱날부(36)의 경사면에 경사지게 하여 설치된 가이드 레일이다.
경사 위치 결정부(60)는 상부 스토퍼(61)와 하부 스토퍼(62)를 갖고 있다.
상부 스토퍼(61)는 테이블 사행부(43)의 하부에 우측 경사 하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설치된 스토퍼이다.
하부 스토퍼(62)는 테이블 하부(30)의 상부에 좌측 경사 상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설치된 스토퍼이다. 하부 스토퍼(62)는 테이블 하부(30)의 전방 톱날부(35)와 후방 톱날부(36) 사이에 있는 하부 위치 결정면(37)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스토퍼(61)와 하부 스토퍼(62)는 마주보고 있고, 테이블 하부(30)에 대해 테이블 상부(40)를 위치 결정하려고 하는 위치에 고정밀도로 설치되어 있다. 상부 스토퍼(61)와 하부 스토퍼(62)는 변형되는 일이 없는 강철로 제작되어 있고, 변형이나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블 하부(30)는 테이블 상부(40)에 대해 스토퍼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상부 스토퍼(61) 또는 하부 스토퍼(62) 중 어느 한쪽은 나사 기구를 갖고, 나사의 스크류량을 조정함으로써 테이블 하부(30)와 테이블 상부(40)의 경사 방향의 거리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횡슬라이드 기구(70)는 횡이동용 직동 슬라이더(71)와 횡레일(72)을 갖고 있다.
횡이동용 직동 슬라이더(71)는 테이블 하부(30)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리니어 가이드이다.
횡레일(72)은 가대(10)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이다.
구동 기구(80)는 구동용 서보 모터(81)와 구동용 타이밍 벨트(82)를 갖고 있다.
구동용 서보 모터(81)는 제어부(11)로부터의 펄스 신호에 따라서 소정의 각도 회전하는 디지탈형 서보 모터이다.
구동용 타이밍 벨트(82)는 소정의 위치에 연결부(31)를 고정하고 있다.
가압부(90)는 인장 코일 스프링(91)을 갖고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91)은 테이블 하부(30)와 테이블 상부(40)의 측면에 가설되어, 테이블 하부(30)와 테이블 상부(40)를 경사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스프링이다.
인장 코일 스프링(91)에 의해 끌어당겨진 테이블 하부(30)와 테이블 상부(40)는 경사 위치 결정부(60)에 의해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 결정된다.
또한, 테이블 상부(40)는 테이블 상부(40)의 자중에 의해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므로, 테이블 상부(40)의 자중이 충분히 큰 경우, 가압부(90)는 없어도 좋다.
테이블 사행부(43)에는 전방 다리(45)가 좌우 양단부에 있다. 또한, 후방 다리(46)도 좌우 양단부에 있다. 즉, 테이블 상부(40)는 4개의 다리에 의해 지지된 테이블이다.
또한, 롤러(44), 경사 슬라이드 기구(50), 횡슬라이드 기구(70), 가압부(90)도 좌우 양단부에 있다.
이와 같이 각 부가 좌우에 존재함으로써, 지그 플레이트(41)의 수평성이 확실히 유지된다.
연결부(31)와 구동용 타이밍 벨트(82)는 중앙에 1개여도 되고, 좌우에 있어도 좋다.
종방향 가이드(12)는 좌우에 있다. 2개의 롤러(44)의 간격과 2매의 수직면(13)의 간격은 동일하다.
이동 테이블(20)이 이동 전 위치 P1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공의 공간을 작업 장소로서 이용하여, 지그 플레이트(41)에 대해, 기판 등의 인쇄 대상물[워크(210)]을 적재한다.
횡이동 완료 위치 P2의 상부에는 인쇄부(200)와 스크린 마스크(201)를 배치한다. 인쇄부(200)는 하우징(202)을 갖고 있다. 하우징(202)의 내부에는 스퀴지(203)가, X방향과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 마스크(201)는 지그 플레이트(41)의 종이동 완료 높이 Q2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즉, 스크린 마스크(201)는 지그 플레이트(41)가 종이동 완료 높이 Q2에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인쇄 가능한 상태로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어부(11)의 위치 결정 제어의 개략 동작은 이하와 같다.
1. 이동 전 위치 P1에서는, 테이블 전체는 모터에 의해 위치 결정 정지하고 있다.
2. 모터 구동에 의해, 테이블 전체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롤러(44)가 수직면(13)(롤러 가이드)에 닿기 직전에 테이블 전체를 횡이동 완료 위치 P2에서 위치 결정 정지한다.
3. 또한, 모터 구동에 의해, 테이블 하부(30)를 횡이동 완료 위치 P2로부터 우측으로 종이동 완료 위치 P3까지 이동시키면, 롤러(44)가 수직면(13)(롤러 가이드)에서 횡이동을 구속하므로, 테이블 사행부(43)는 종이동 전 높이 Q1로부터 종이동 완료 높이 Q2까지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4. 모터 구동을 정지하면, 테이블 사행부(43)는 지정된 종이동 완료 높이 Q2에 위치 결정 정지한다.
5. 복귀 행정은 상기와 역순으로 동작한다.
이동 테이블(20)의 지그 플레이트(41)가, 횡이동 완료 위치 P2와 종이동 완료 높이 Q2에 위치 결정된 경우에, 스크린 마스크(201)를 통해 워크(210)에 대해 스퀴지(203)에 의해 스크린 인쇄를 할 수 있다.
<<<인쇄부(200)의 구조>>>
도 3 내지 도 5를 사용하여, 스크린 인쇄기(100)의 인쇄부(2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인쇄부(200)의 좌우 방향(Y방향)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 도 3의 J부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인쇄부(200)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부(200)는 스퀴지 기구(230)와 스크레퍼 기구(240)를 갖고 있다.
스퀴지 기구(230)와 스크레퍼 기구(240)는 모두 좌우가 1쌍의 슬라이더(205)에 고정되어 있다.
1쌍의 슬라이더(205)는 인쇄부(200)의 하우징(202)에 대해, 전후 방향(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퀴지 기구(230)는 1쌍의 에어 실린더(211)를 갖고 있다. 스크레퍼 기구(240)는 1개의 에어 실린더(291)를 갖고 있다.
스퀴지 기구(230)는 1쌍의 가이드 부시(213)를 갖고 있다.
스크레퍼 기구(240)는 1쌍의 가이드 부시(293)를 갖고 있다.
이하, 스퀴지 기구(230)에 대해, 설명한다.
스퀴지 기구(230)는 이하의 부품을 갖고 있다.
1. 프레임(231)
2. 스퀴지 홀더(204)
3. 스퀴지(203)
4. 1쌍의 에어 실린더(211)
5. 1쌍의 가이드 부시(213)
6. 경사 기구 K부(도 3의 연결 구조)
스퀴지 기구(230)는 좌우로 긴 판 형상의 프레임(231)을 갖고 있다.
프레임(231)의 좌우에는 1쌍의 에어 실린더(211)가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231)의 좌우 단부에는 1쌍의 가이드 부시(213)가 고정되어 있다.
1쌍의 에어 실린더(211)는 1쌍의 가이드 부시(213)의 내측에 있다.
Y방향에 있어서, 각 에어 실린더(211)는 각 가이드 부시(213)의 옆에 고정되어 있다.
각 에어 실린더(211)와 각 가이드 부시(213)는 스퀴지 홀더(204)와 연결된다. 이로 인해, 각 에어 실린더(211)와 각 가이드 부시(213)는 스퀴지 홀더(204)의 길이 방향의 길이 WS(이하, 스퀴지의 길이 WS라고도 함)의 범위 내에 존재한다.
에어 실린더(211)는 상하 방향(Z방향)으로 관통한 프레셔 로드(212)를 갖고 있다.
프레셔 로드(212)의 하단부는 조인트(226)에 고정되어 있다.
조인트(226)는 스퀴지 홀더(204)에 고정되어 있다.
프레셔 로드(212)는 에어 실린더(211)에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능동적으로 상하 이동한다.
프레셔 로드(212)의 상하 이동에 의해, 스퀴지 홀더(204)와 스퀴지(203)가 상하로 이동한다.
공기압을 조정함으로써, 스퀴지 홀더(204)의 상하 이동 및 인쇄 시의 인쇄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가이드 부시(213)는 상하 방향(Z방향)으로 관통한 가이드 로드(214)를 갖고 있다.
가이드 로드(214)의 하단부에는 스퀴지 홀더(204)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로드(214)는 스퀴지 홀더(204)의 상하 이동에 수반하여 수동적으로 상하 이동한다.
가이드 부시(213)는 스퀴지 홀더(204)의 이동을 상하 방향(Z방향)으로만 가이드하는 것이다.
가이드 부시(213)는 스퀴지 홀더(204)가 전후 좌우(X방향, Y방향)로 어긋나는 것을 금지하고, 스퀴지 홀더(204)가 상하 방향(Z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가이드 로드(214)의 하단부에 설치한 경사 기구에 의해, 스퀴지 홀더(204)가 약간 YZ 평면에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경사 기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퀴지 홀더(204)의 아래에는 스퀴지(203)가 고정된다.
스퀴지 홀더(204)와 스퀴지(203)는 Y방향의 양단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스퀴지(203)의 아래에는 스크린 마스크(201)가 배치된다.
스크린 마스크(201)의 아래에는 이동 테이블(20)에 적재된 워크(210)가 배치된다.
에어 실린더(211)가, 스퀴지(203)를 강하시켜 스퀴지(203)에 의해 스크린 마스크(201)에 압력을 가한다. 그리고, 슬라이더(205)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스크린 마스크(201) 상의 잉크(도시하지 않음)가, 스크린 마스크(201)로부터 워크(210)로 밀어내어져, 스크린 마스크(201)의 패턴이 워크(210)에 인쇄된다.
<<<에어 실린더(211)와 가이드 부시(213)의 위치>>>
1쌍의 에어 실린더(211)의 중앙과 1쌍의 가이드 부시(213)의 중앙은 각각 스퀴지(203)의 중앙과 일치하고 있다.
즉, 1쌍의 에어 실린더(211)와 1쌍의 가이드 부시(213)는 스퀴지 홀더(204)의 Y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의 위치에 있다. 이하에 서술하는 대칭의 위치에 있는 부품은 좌우에 동일한 것이 존재하고, 좌우에서 1쌍의 부품을 구성하고 있다.
스퀴지(203)[스퀴지 홀더(204)]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길이 WS로 한다.
도 3에 있어서, 1쌍의 가이드 부시(213)의 중심선의 간격 WG는 길이 WS의 81%이다. 1쌍의 에어 실린더(211)의 중심선의 간격 WA는 길이 WS의 63%이다.
스퀴지를 가능한 한 양단부에서 가이드하기 위해, 가이드 부시(213)의 간격 WG는 길이 WS의 80% 이상 95%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인쇄 압력을 길이 WS 전체에 균일하게 전하기 위해, 에어 실린더(211)의 간격 WA는 길이 WS의 50% 이상 75% 이하가 바람직하다.
<<<프레임(231)과 스퀴지 홀더(204)의 연결 구조>>>
스크린 마스크(201)나 워크(210)가 완전한 수평한 평면을 이루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스퀴지(203)는 스크린 마스크(201)의 표면에 추종하여 스크린 마스크(201)의 표면에 균일한 인쇄 압력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그것을 위해서는, 스퀴지(203)가, 슬라이더(205)의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하, 스퀴지(203), 즉 스퀴지 홀더(204)가 인쇄 중에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 기울어지는 것을 허용하는 연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사용하여, 에어 실린더(211)와 가이드 부시(213)와, 스퀴지 홀더(204)의 연결 구조를 설명한다.
연결 구조는 좌우 대칭이므로, 이하, 좌측의 연결 구조(도 3의 경사 기구 K부)에 대해 설명한다.
K부는 연결 구조인 동시에, 경사 기구이다.
도 6은 도 3의 K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경사 기구의 CC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경사 기구의 DD 단면도이다.
도 9는 경사 기구의 경사 원리의 설명도이다.
<<<제1 기울기 허용 구조>>>
프레임(231)은 가이드 부시(213)를 고정하고 있다.
가이드 부시(213)의 중앙을 원주형의 가이드 로드(214)가 관통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로드(214)의 하단부에는 각기둥 형상의 인서터(221)가 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인서터(221)는 원주의 가이드 로드(214)의 하단부를 가공하여, 적어도 2개의 평행한 평면을 형성한 부분을 말한다.
인서터(221)의 2개의 평행한 평면의 전후 방향에는 원통의 로드 홀(229)이 형성되어 있다.
로드 홀(229)은 2개의 평행한 평면과 직교하고 있고, 인서터(221)를 수평으로 관통하고 있다.
로드 홀(229)에는 양측으로부터, 1쌍의 부시(225)가 끼워 넣어진다.
부시(225)는 토관형을 이루고 있고, 환상의 플랜지부(281)와 원통의 동체부(282)를 갖고 있다. 동체부(282)의 외경은 로드 홀(229)의 내경과 동등하다.
1쌍의 부시(225)에 의해, 스루 홀(222)이 형성된다.
스루 홀(222)은 인서터(221)를 전후 방향으로 수평으로 관통하고 있다.
스퀴지 홀더(204)의 상부에는 리시버(218)가 나사(223)로 고정되어 있다. 리시버(218)에는 전방벽(251)과 후방벽(252)이 있다.
전방벽(251)과 후방벽(252) 사이에는 인서터(221)를 삽입하는 오목 홈(224)이 있다.
전방벽(251)과 후방벽(252)의 간격[오목 홈(224)의 전후 방향의 폭]은 인서터(221)의 전후 방향의 두께보다 크다.
오목 홈(224)에 설치된 인서터(221)의 좌우 방향에는 공간이 있다.
인서터(221)의 저면과 스퀴지 홀더(204)의 상면 사이에는 간극(299)이 있다.
전방벽(251)과 후방벽(252)에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홀(219)이 형성되어 있다.
홀(219)은 전방벽(251)과 후방벽(252)을 수평으로 관통하고 있다.
인서터(221)는 로드 홀(229)에 1쌍의 부시(225)가 끼워 넣어진 후 오목 홈(224)에 삽입되고, 볼트(220)에 의해 리시버(218)에 설치된다.
볼트(220)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홀(219)과 스루 홀(22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볼트(220)[볼트(220)의 중심]를 축으로 하여 스퀴지 홀더(204)가 YZ 평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즉, 스퀴지 홀더(204)를 수평 방향에 대해 기울일 수 있다.
또한, 인서터(221)의 좌우 방향과 하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스퀴지 홀더(204)의 기울기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전방벽(251)의 후방면[오목 홈(224)의 전방면]과 인서터(221)의 전방면 사이에 부시(225)의 플랜지부(281)가 끼워 넣어진다.
후방벽(252)의 전방면[오목 홈(224)의 후방면]과 인서터(221)의 후방면 사이에 부시(225)의 플랜지부(281)가 끼워 넣어진다.
전방벽(251)과 인서터(221) 사이 및 후방벽(252)과 인서터(221) 사이에 플랜지부(281)가 있으므로, 인서터(221)가 리시버(218)에 대해 회전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인서터(221)와 오목 홈(224)과 플랜지부(281)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는 간극이 없다.
따라서, 스퀴지 홀더(204)가 X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일은 없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쌍의 볼트(220)의 중심선의 수평 방향의 간격 WG를 L1로 한다.
스퀴지 홀더(204)가 수평인 경우에는, 가이드 로드(214)의 간격과 볼트(220)의 간격은 모두 간격 L1이고 동등한 것으로 한다.
스퀴지 홀더(204)가 경사 각도 α도만큼 기울어지면, 볼트(220)의 수평 방향의 간격 L2은 간격 L1보다 작아진다. 즉, 스퀴지 홀더(204)와 프레셔 로드(212)의 연결점 J는 중앙 방향으로 어긋난다.
여기서, 수평 시의 간격 L1과 경사 시의 간격 L2의 간격차를 S1로 한다.
간격 L1-간격 L2=간격차 S1
경사 기구는 이 간격차 S1을 흡수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경사 각도 α가 미소하고 대략 0도에 가까운 경사라고 가정하면, 경사 기구에는 수평 방향으로 간격차 S1을 흡수하는 구조가 있으면 된다.
따라서, 스루 홀(222)의 직경(내경) D1을, 볼트(220)의 직경(외경) D2보다 크게 한다.
스루 홀(222)의 직경 D1과 볼트(220)의 직경 D2의 직경차를 S2로 하고, 반경차를 T2로 한다.
직경 D1-직경 D2=직경차 S2
반경 R1-반경 R2=반경차 T2=직경차 S2÷2
스퀴지 홀더(204)가 수평인 경우, 볼트(220)가 스루 홀(222)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볼트(220)가 스루 홀(222)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직경차 S2의 절반만큼(반경차 T2만큼) 이동할 수 있다.
편측에서 간격차 S1을 절반씩 흡수하므로, 직경차 S2를 간격차 S1과 동등하게 하면, 좌우 양측에서 간격차 S1을 흡수할 수 있다.
직경차 S2=간격차 S1=반경차 T2×2
반대의 견해를 말하면, 직경차 S2를 초과하여 간격차 S1이 커지는 것은 불가능하고, 직경차 S2에 의해 경사 각도 α의 최대값을 설정할 수 있다.
부시(225)의 동체부(282)의 두께에 의해, 직경차 S2(반경차 T2)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부시(225)를 교환함으로써, 경사 각도 α의 최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관계를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동체부(282)의 외경=로드 홀(229)의 내경
동체부(282)의 내경=스루 홀(222)의 직경>볼트(220)의 외경
스루 홀(222)의 직경-볼트(220)의 외경=직경차 S2
<<<제2 기울기 허용 구조>>>
프레셔 로드(212)와 스퀴지 홀더(204)의 연결을 위해, 조인트(226)를 사용하고 있다.
조인트(226)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볼트(220)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조인트(226)의 상부의 소켓(227)에는 프레셔 로드(212)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조인트(226)의 하부의 스터드(228)는 스퀴지 홀더(204)에 비틀어 넣어져 고정되어 있다.
조인트(226)는 소켓(227)과 스터드(228)의 축심 어긋남을 흡수하는 기구를 내장하고 있다.
조인트(226)는 소켓(227)과 스터드(228)의 평행도의 정밀도 부족을 흡수하는 기구를 내장하고 있다.
조인트(226)는 프레셔 로드(212)의 축심에 대해 Umm의 허용 편심량(Allowable eccentricity)을 갖고, V도의 요동 각도(Rotating angle)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SMC 가부시키가이샤(SMC Corporation Akihabara UDX15F, 4-14-1, Sotokanda, Chiyoda-ku, Tokyo 101-0021, JAPAN)제의 플로팅 조인트 JA20-8-12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로팅 조인트 JA20-8-125는 0.5㎜의 허용 편심량(Allowable eccentricity)을 갖고, +-5도의 요동 각도(Rotaing angle)를 갖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퀴지 홀더(204)의 YZ 평면에서의 기울기에 의해 스퀴지 홀더(204)와 프레셔 로드(212)의 연결점 J의 위치는 중앙 방향으로 어긋난다.
그러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이 2개의 조인트(226)의 허용 편심량 이내이면, 좌우 방향으로의 연결점 J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이하의 관계로 된다.
허용 편심량 Umm×2<간격차 S1
허용 편심량 Umm<간격차 S1÷2
그 결과, 조인트(226)의 스터드의 축심과 프레셔 로드(212)의 축심에 Y방향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라도, 프레셔 로드(212)는 인쇄 압력을 정확하게 스퀴지 홀더(204)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퀴지 홀더(204)의 YZ 평면에서의 기울기에 의해 프레셔 로드(212)와 스터드(228)가 직선으로 되지 않게 된다. 즉, 프레셔 로드(212)와 스터드(228)가 평행이 아닌 것으로 된다.
이 프레셔 로드(212)에 대한 스터드(228)의 기울기는 V도의 요동 각도(Rotating angle)에서 흡수할 수 있다.
스퀴지 홀더(204)가 경사 각도 α만큼 기울어진 경우, 프레셔 로드(212)에 대한 스터드(228)의 기울기도 경사 각도 α이므로, 경사 각도 α가 요동 각도(Rotating angle) 이내이면 된다.
즉, 이하의 관계로 된다.
경사 각도 α<요동 각도(Rotating angle) V도
그 결과, 조인트(226)의 스터드의 축심과 프레셔 로드(212)의 축심이 평행이 아니었던 경우라도, 프레셔 로드(212)는 인쇄 압력을 정확하게 스퀴지 홀더(204)에 전달할 수 있다.
<<<기울기 억제 구조>>>
상술한 제1 기울기 허용 구조와 제2 기울기 허용 구조에 의해, 스퀴지 홀더(204)를 회전할 수 있지만, 무제한으로 허용되면 파괴나 변형이 생겨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스퀴지 홀더(204)의 기울기 억제 구조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로드(214)의 하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아암(215)이 고정되어 있다.
아암(215)은 스퀴지 기구(230)의 중앙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215)은 L형으로 굴곡되어 있고, 아암(215)의 단부로부터, 핀(216)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핀(216)은 프레셔 로드(212)와 가이드 로드(21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핀(216)이 가이드 로드(214)보다 중앙측에 있으므로, 가이드 로드(214)를 좌우 양단부에 근접시켜 고정할 수 있다.
핀(216)은 나사 구조에 의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스퀴지 홀더(204)에는 핀(216)에 대응하여 스토퍼(217)가 배치되어 있다.
핀(216)과 스토퍼(217)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조인트(226)와 볼트(220)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퀴지 홀더(204)가 수평인 경우, 핀(216)과 스토퍼(217) 사이에 미소한 간극(l)을 형성한다.
간극(l)의 간격은 핀(216)의 스크류량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스퀴지 홀더(204)가 소정의 억제 각도 β만큼 기울어졌을 때, 핀(216)에 대해 스토퍼(217)가 접촉하여, 스퀴지 홀더(204)가 그 이상 기울어지는 것을 금지한다.
예를 들어, 좌측의 스토퍼(217)는 소정의 억제 각도 β 이상, 스퀴지 홀더(204)의 우측이 올라가는 것을 금지한다. 우측의 스토퍼(217)는 소정의 억제 각도 β 이상, 스퀴지 홀더(204)의 좌측이 올라가는 것을 금지한다.
이 억제 각도 β는 상기 제1 기울기 허용 구조에 의해 허용되는 경사 각도 α 미만이고, 또한 상기 제2 기울기 허용 구조에 의해 허용되는 요동 각도(V도) 미만이다.
억제 각도 β<경사 각도 α
억제 각도 β<요동 각도 V도
전술한 바와 같이 직경차 S2에 의해 경사 각도 α의 최대값을 설정할 수 있지만, 직경차 S2에 의한 경사 각도 α의 규제보다도, 핀(216)과 스토퍼(217)의 간극(l)에 의한 경사 각도의 규제의 쪽이 정확한 규제가 가능해진다.
아암(215)을 스퀴지 홀더(204)에 평행하게 연장시키는 길이가 길수록, 경사 각도의 규제가 정확해진다. 따라서, 핀(216)의 위치는 볼트(220)보다 조인트(226)에 가까운 쪽이 좋다. 즉, 핀(216)의 위치는 가이드 로드(214)보다 프레셔 로드(212)에 가까운 쪽이 좋다.
핀(216)의 나사 구조에 의해 핀(216)과 스토퍼(217)의 간극(l)의 크기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스크린 마스크(201)나 워크(210)의 상태에 따라서 경사 각도의 최대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인쇄 방법(인쇄 동작)의 설명>>>
스크린 인쇄기(100)는 인쇄 중에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길쭉한 형상의 프레임(231)은 인쇄 방향(X방향)으로 이동한다.
길쭉한 형상의 스퀴지 홀더(204)는 스퀴지(203)를 보유 지지한다.
1쌍의 가이드 부시(213)는 프레임(231)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스퀴지 홀더(204)의 상하 방향(Z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1쌍의 에어 실린더(211)는 1쌍의 가이드 부시(213)보다 내측의 위치에서 프레임(231)에 고정되어, 스퀴지 홀더(20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인쇄 중에, 스퀴지(203)에 대해 1쌍의 에어 실린더(211) 이외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 스퀴지(203)가 기울어진다.
그때, 스퀴지 홀더(204)의 리시버(218)는 볼트(220)를 중심축으로 하여 Y방향에 대해 경사 각도 α만큼 회전한다.
동시에, 조인트(226)는 프레셔 로드(212)의 축심에 대해 경사 각도 α에 의존한 편심량을 흡수한다.
동시에, 조인트(226)는 프레셔 로드(212)의 축심에 대한 조인트(226)의 Y방향으로의 기울기(경사 각도 α)를 흡수한다.
조인트(226)는 인쇄 중에, 편심량을 흡수하고, 또한 기울기를 흡수하면서, 1쌍의 가이드 부시(213)의 인쇄 압력을 정확하게 스퀴지(203)에 전달한다.
경사 각도 α는 인쇄 중에, 리얼 타임으로 변화된다.
경사 기구는 경사 각도 α의 리얼 타임의 변화에 추종하여 스퀴지 홀더(204)의 회전을 허용한다.
경사 각도 α가, 억제 각도 β로 되면 1쌍의 핀의 한쪽과 1쌍의 스토퍼의 한쪽이 접촉하여, 억제 각도 β를 초과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금지한다.
<<<각종 변형예>>>
이하, 각종 변형예에 대해, 전술한 부분과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예를 복수 조합해도 상관없다.
예 1.
스크린 인쇄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것 이외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기는 좌우 이동과 상하 이동을 위해 개별의 구동 기구를 갖고 있어도 상관없다.
예 2.
에어 실린더(211)와 가이드 부시(213)의 개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스퀴지(203)가 Y방향으로 매우 긴 경우에는, 에어 실린더(211)와 가이드 부시(213)를 3개로 하여, 중앙과 좌우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혹은, 에어 실린더(211)와 가이드 부시(213)를 4개로 하여,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좋다.
에어 실린더(211)와 가이드 부시(213)의 개수는 복수이면 좋고 개수는 달라도 좋다.
예 3.
1쌍의 에어 실린더(211)를 1쌍의 가이드 부시(213)의 내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에어 실린더(211)와 가이드 부시(213)의 배치를 반대로 하여, 1쌍의 에어 실린더(211)를 1쌍의 가이드 부시(213)의 외측에 배치해도 좋다.
즉, 에어 실린더(211)와 가이드 부시(213)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로 배치되고, 프레셔 로드(212)와 가이드 로드(214)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예 4.
가이드 로드(214)의 중앙측에 아암(215)을 설치하였지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로드(214)의 단부측에 아암(215)을 설치해도 좋다. 즉, 1쌍의 아암(215)을 1쌍의 가이드 로드(214)의 외측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쌍의 가이드 로드(214) 중 1개뿐인 가이드 로드(214)의 양측에 아암(215)을 설치해도 좋다.
예 5.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216)과 스토퍼(217)의 배치를 반대로 하여, 스퀴지 홀더(204)에 핀(216)을 설치하고, 아암(215)에 스토퍼(217)를 설치해도 좋다.
예 6.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215)을 가이드 로드(214)에 설치하는 것은 아니고, 아암(215)을 프레임(231)에 고정하고, 프레임(231)에 핀(216)을 고정해도 좋다.
예 7.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시(225)는 없어도 좋다. 부시(225)가 없는 경우, 로드 홀(229)이 스루 홀(222)로 된다.
부시(225)가 없는 경우, 인서터(221)의 전후 방향의 폭과 오목 홈(224)의 간격을 동등하게 한다.
전방벽(251)의 후방면[오목 홈(224)의 전방면]과 인서터(221)의 전방면이 평면에서 접한다.
후방벽(252)의 전방면[오목 홈(224)의 후방면]과 인서터(221)의 후방면이 평면에서 접한다.
인서터(221)와 오목 홈(224)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는 간극이 없다.
따라서, 스퀴지 홀더(204)가 X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일은 없다.
예 8.
스크레퍼 기구(240)에도 스퀴지 기구(230)와 동일한 경사 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10 : 가대
11 : 제어부
12 : 종방향 가이드
13 : 수직면
20 : 이동 테이블
30 : 테이블 하부
31 : 연결부
35 : 전방 톱날부
36 : 후방 톱날부
37 : 하부 위치 결정면
38 : 하부 전방면
40 : 테이블 상부
41 : 지그 플레이트
42 : 얼라이먼트부
43 : 테이블 사행부
44 : 롤러
45 : 전방 다리
46 : 후방 다리
50 : 경사 슬라이드 기구
51 : 경사용 직동 슬라이더
52 : 경사 레일
53 : 경사용 직동 슬라이더
54 : 경사 레일
60 : 경사 위치 결정부
61 : 상부 스토퍼
62 : 하부 스토퍼
70 : 횡슬라이드 기구
71 : 횡이동용 직동 슬라이더
72 : 횡레일
80 : 구동 기구
81 : 구동용 서보 모터
82 : 구동용 타이밍 벨트
90 : 가압부
91 : 인장 코일 스프링
100 : 스크린 인쇄기
200 : 인쇄부
201 : 스크린 마스크
202 : 하우징
203 : 스퀴지
204 : 스퀴지 홀더
205 : 슬라이더
210 : 워크
211 : 에어 실린더
212 : 프레셔 로드
213 : 가이드 부시
214 : 가이드 로드
215 : 아암
216 : 핀
217 : 스토퍼
218 : 리시버
219 : 홀
220 : 볼트
221 : 인서터
222 : 스루 홀
223 : 나사
224 : 오목 홈
225 : 부시
226 : 조인트
227 : 소켓
228 : 스터드
229 : 로드 홀
230 : 스퀴지 기구
231 : 프레임
240 : 스크레퍼 기구
251 : 전방벽
252 : 후방벽
281 : 플랜지부
282 : 동체부
291 : 에어 실린더
293 : 가이드 부시
299 : 간극
L : 횡이동거리
H : 종이동 거리
P1 : 이동 전 위치
P2 : 횡이동 완료 위치
P3 : 종이동 완료 위치
Q1 : 종이동 전 높이
Q2 : 종이동 완료 높이

Claims (10)

  1. 이동 테이블을 가대에 대해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 테이블을 위치 결정하는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테이블 하부와, 상기 테이블 하부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테이블 사행부를 갖는 테이블 상부를 갖는 이동 테이블과,
    상기 가대의 상부에 직립되어 있는 종방향 가이드와,
    상기 이동 테이블을, 이동 전 위치 P1로부터 횡이동 완료 위치 P2로, 또한 횡이동 완료 위치 P2로부터 종이동 완료 위치 P3까지 횡이동시키는 구동 기구와,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여, 이동 전 위치 P1로부터 횡이동 완료 위치 P2까지 상기 이동 테이블을 횡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테이블 하부를 횡이동 완료 위치 P2로부터 종이동 완료 위치 P3까지 횡이동시키고, 상기 종방향 가이드에 의해 횡이동이 구속된 상기 테이블 상부를 종이동 전 높이 Q1로부터 종이동 완료 높이 Q2까지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테이블 하부와 상기 테이블 상부를 경사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가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2. 이동 테이블을 가대에 대해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 테이블을 위치 결정하는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테이블 하부와, 상기 테이블 하부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테이블 사행부를 갖는 테이블 상부를 갖는 이동 테이블과,
    상기 가대의 상부에 직립되어 있는 종방향 가이드와,
    상기 이동 테이블을, 이동 전 위치 P1로부터 횡이동 완료 위치 P2로, 또한 횡이동 완료 위치 P2로부터 종이동 완료 위치 P3까지 횡이동시키는 구동 기구와,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여, 이동 전 위치 P1로부터 횡이동 완료 위치 P2까지 상기 이동 테이블을 횡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테이블 하부를 횡이동 완료 위치 P2로부터 종이동 완료 위치 P3까지 횡이동시키고, 상기 종방향 가이드에 의해 횡이동이 구속된 상기 테이블 상부를 종이동 전 높이 Q1로부터 종이동 완료 높이 Q2까지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테이블 하부와 상기 테이블 상부를 위치 결정하는 경사 위치 결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가이드는 이동 테이블측에 수직면을 갖고,
    상기 테이블 사행부는 상기 종방향 가이드의 수직면과 대향하는 높이 위치에 롤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테이블을 상기 롤러가 상기 수직면에 닿기 직전에 횡이동 완료 위치 P2에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사행부는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를 갖고,
    상기 테이블 하부는 톱날 형상의 전방 톱날부와 후방 톱날부를 갖고,
    상기 테이블 사행부의 상기 전방 다리와 상기 후방 다리에 경사지게 하여 설치된 경사용 직동 슬라이더와, 상기 테이블 하부의 상기 전방 톱날부와 상기 후방 톱날부의 경사면에 경사지게 하여 설치된 경사 레일을 갖는 경사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하부와 상기 테이블 상부를 경사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가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위치 결정부는,
    상기 테이블 하부의 상부에 경사 상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설치된 하부 스토퍼와,
    상기 테이블 사행부의 하부에 경사 하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설치된 상부 스토퍼를 갖고,
    상기 상부 스토퍼와 상기 하부 스토퍼는 마주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토퍼와 상기 하부 스토퍼 중 어느 한쪽은 나사 기구를 갖고, 나사의 스크류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테이블 하부와 상기 테이블 상부의 경사 방향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이동 완료 위치 P2의 상부에 배치된 스크린 마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 상부는 워크를 적재하는 지그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스크린 마스크는 상기 테이블 사행부가 상기 종이동 완료 높이 Q2에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 플레이트에 적재한 워크가 인쇄 가능한 상태로 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이동 완료 위치 P2의 상부에 배치된 인쇄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부는,
    인쇄 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쭉한 형상의 프레임과,
    스퀴지를 보유 지지하는 길쭉한 형상의 스퀴지 홀더와,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스퀴지 홀더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 부쉬와,
    상기 한쌍의 가이드 부쉬보다 내측의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스퀴지 홀더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쌍의 에어 실린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KR1020147004996A 2012-05-25 2012-05-25 스크린 인쇄기 KR101591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63555 WO2013175639A1 (ja) 2012-05-25 2012-05-25 スクリーン印刷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900A KR20140041900A (ko) 2014-04-04
KR101591612B1 true KR101591612B1 (ko) 2016-02-03

Family

ID=4962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996A KR101591612B1 (ko) 2012-05-25 2012-05-25 스크린 인쇄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591612B1 (ko)
CN (1) CN103687728B (ko)
TW (1) TWI566951B (ko)
WO (1) WO20131756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2358B2 (ja) * 2014-05-30 2018-03-28 株式会社セリアエンジニアリング スクリーン印刷機のスキージ位置自動補正機構及びスキージ位置自動補正方法
CN109177459A (zh) * 2018-07-20 2019-01-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油墨自动添加装置及丝印机
CN112689563B (zh) * 2018-09-26 2022-06-14 微技术株式会社 丝网印刷装置及丝网印刷方法
CN109591444B (zh) * 2018-11-29 2021-04-06 浙江新豪包装股份有限公司 一种瓦楞纸箱涂层装置
US11318549B2 (en) 2019-06-13 2022-05-03 Illinois Tool Works Inc. Solder paste bead recovery system and method
US20200391530A1 (en) 2019-06-13 2020-12-17 Illinois Tool Works Inc. Multi-functional print head for a stencil printer
FR3098445B1 (fr) * 2019-07-09 2021-09-17 Illinois Tool Works Machine à imprimer de type presse à dorer
CN111959099B (zh) * 2020-08-28 2022-03-08 溆浦县顺成服装有限公司 一种服装生产用丝印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014A (ja) 1992-12-26 2003-02-04 Fuji Mach Mfg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5889A (en) * 1980-10-30 1982-05-12 Toshiba Corp Method and device for screen printing
JP2629211B2 (ja) * 1987-11-02 1997-07-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印刷機用スキージホルダ取付装置
JPH07119110B2 (ja) * 1990-08-06 1995-12-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クリームはんだ印刷装置
JPH0524358U (ja) * 1991-09-03 1993-03-30 三洋電機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機
JPH05193105A (ja) 1992-01-21 1993-08-03 Fuji Mach Mfg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
JPH067937U (ja) * 1992-07-11 1994-02-01 太陽誘電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3513563B2 (ja) * 1994-05-13 2004-03-31 谷電機工業株式会社 スキージ装置の保持装置
JPH09219350A (ja) * 1996-02-09 1997-08-19 Toshiba Mach Co Ltd 真空内駆動装置
CN2293444Y (zh) * 1997-03-03 1998-10-07 无锡市化工研究设计院 一种升降平移式真空丝印台
JPH10315431A (ja) * 1997-05-20 1998-12-02 Micro Tec Kk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03039632A (ja) * 2001-07-27 2003-02-13 Micro-Tec Co Ltd スクリーン印刷装置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3885205B2 (ja) * 2002-09-10 2007-02-21 俊次 村野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06167991A (ja) * 2004-12-13 2006-06-29 Denso Corp スクリーン印刷装置及びその印刷方法
KR20080022019A (ko) * 2006-09-05 2008-03-10 라인시스템(주) 전자동식 스크린 인쇄기
JP5582770B2 (ja) * 2009-11-30 2014-09-03 東海精機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機におけるスキージ平行調整装置及びスキージ平行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014A (ja) 1992-12-26 2003-02-04 Fuji Mach Mfg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48003A (zh) 2013-12-01
CN103687728A (zh) 2014-03-26
CN103687728B (zh) 2016-02-10
WO2013175639A1 (ja) 2013-11-28
KR20140041900A (ko) 2014-04-04
TWI566951B (zh) 201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612B1 (ko) 스크린 인쇄기
JP5013569B2 (ja) 形彫放電加工装置
US20190030773A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20140295020A1 (en) Toggle clamping mechanism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US9283705B2 (en) Injection unit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2013202629A (ja) 摩擦撹拌接合装置
US20090277002A1 (en) Surface mounting apparatus
CN102398224B (zh) 正交三轴机床
KR930007659B1 (ko) 평판재의 위치 결정장치
CN211390135U (zh) 在线压花设备
KR20200125984A (ko) 조정 가능한 안내 장치를 가진 웨지 구동부
JP6738355B2 (ja) プロフィールのレーザ加工用機械およびその加工機によるプロフィールに対する傾斜切削加工を実施するための方法
KR20150125369A (ko) 선박용접용 오토캐리지의 백래시 조정장치
CN110708013B (zh) 一种定日镜的定位装置
CN113733560A (zh) 一种可切换模式的复合制造设备及其工作方法
CN217070367U (zh) 压力机和冲孔设备
KR20180017694A (ko)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
CN102241185B (zh) 用于丝网印刷单元的丝网定位装置
CN202367599U (zh) 正交三轴机床
CN216503043U (zh) 一种带有滑动机头的筒体环纵缝焊接系统
CN217942247U (zh) 送料装置
KR19990028495A (ko) 좌표 설정 장치
CN117600682B (zh) 激光切管设备
CN211542511U (zh) 一种用于液压机的安全导向机构
JP4582520B2 (ja) 射出成形機の射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