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694A -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694A
KR20180017694A KR1020160101933A KR20160101933A KR20180017694A KR 20180017694 A KR20180017694 A KR 20180017694A KR 1020160101933 A KR1020160101933 A KR 1020160101933A KR 20160101933 A KR20160101933 A KR 20160101933A KR 20180017694 A KR20180017694 A KR 20180017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wedge member
fixing member
moving plate
moving tem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968B1 (ko
Inventor
유성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1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968B1/ko
Priority to CN201720979943.2U priority patent/CN207206933U/zh
Publication of KR20180017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42Mounting of moulds; Mould supports
    • B29C45/1744Mould support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56Handling of moulds or mould parts, e.g. mould exchan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84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29C2045/1763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preventing distortion of the machine part guiding the movabl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 장치는, 이동 형판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쐐기 부재 및 제2 쐐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제1 본체부와 지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면과 제2 면을 구비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면에 이동 형판이 탑재되고, 상기 제2 면으로 제1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이동 형판에 상기 고정 부재를 고정시킨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 {Position Adjustment Device for Moving Plate in 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형판의 높이와 평행도 조절 및 이동을 위한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식 사출 성형기는 크게 사출 장치와 형체 장치(1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형체 장치(10)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형체 장치(10)는 고정 금형이 형성된 고정 형판(11)과 이동 금형이 형성되는 이동 형판(12)을 포함하며, 이동 형판(12)은 고정 형판(11)에 고정 형성된 복수의 타이바(14)들을 따라서 개폐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이동 형판(12)의 양 옆에는 볼 스크류(23)와 이송장치(20)를 사용하였다. 이동 형판(12)의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24)을 배치하여 이를 따라 이동 형판(12)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조를 취하였다.
그러나, 이동 형판(12)은 움직임이 허용되기 때문에 이동 중에 또는 내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이동 형판(12)의 위치가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동 형판(12)의 위치가 틀어짐으로써 금형의 위치가 틀어져 제품의 불량을 야기하였고, 오작동의 원인이 되었다.
이동 형판(12)의 위치 조정을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장치들을 사용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형판(12)과 가이드 레일(24) 사이에 2개의 플레이트(22, 26)를 배치하고, 사이에 쐐기형 블록(28a, 28b)들을 배치하여 이동 형판(12)의 위치를 조절하였다.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형판의 하부에 롤러를 배치하고, 쐐기형 블록을 배치하는 구조를 취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들의 경우, 2개의 플레이트(22, 26)들과 사이의 쐐기형 블록을 배치하기 위해 이동 형판(12)의 하부에 플레이트(22)와 쐐기형 블록(28a, 28b)을 설치하고 가이드 레일(24) 상의 플레이트(26)에 탑재하여야 하므로, 이동 형판(12) 하부에 부품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지그가 필요하고, 이동 형판(12)의 하부에서 사람이 부품들의 조립을 수행해야 하므로 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JP 3081738 U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안전한 설치를 통하여 이동 형판을 지지해주고, 전/후진 시 마찰을 줄여줄 수 있는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는, 이동 형판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쐐기 부재 및 제2 쐐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제1 본체부와 지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면과 제2 면을 구비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면에 이동 형판이 탑재되고, 상기 제2 면으로 제1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이동 형판에 상기 고정 부재를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본체부에서 이동 형판의 일 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 형판의 일 측면에 삽입되는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쐐기 부재와 제2 쐐기 부재는 각각, 제2 본체부와,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경사면과, 외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 부재의 일 측면으로 삽입되는 위치 조절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조절 나사에 의해 상기 돌출부와 상기 고정 부재의 일 측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이동 형판에 대한 제1 쐐기 부재 및 제2 쐐기 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쐐기 부재와 제2 쐐기 부재는 각각, 플레이트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단은 상기 고정 부재의 길이 방향 측면에 제3 체결 부재로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쐐기 부재 또는 제2 쐐기 부재의 길이 방향 측면에 제4 체결 부재로 결합되는, 측면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이동 형판을 지지해 줄 수 있고, 전/후진 시 마찰을 줄여줄 수 있는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 장치와 이동 형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위치 조절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위치 조절 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는, 상기 이동 형판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 부재(100, 200) 및 상기 고정 부재(100, 200)의 길이방향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쐐기 부재(110, 210) 및 제2 쐐기 부재(120, 22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형판 위치 조절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고정 부재(200)와 그 길이 방향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쐐기 부재(210) 및 제2 쐐기 부재(220)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측면도(도 3)와 정면도(도 4)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부재(100, 200)는, 제1 본체부(201)와 지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면과 제2 면을 구비하는 제1 연장부(205)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면에 이동 형판(12)이 탑재되고, 상기 제2 면으로 제1 체결 부재(261, 262, 263, 264)가 삽입되어 이동 형판(12)에 상기 고정 부재(100, 200)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100, 200)는 지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연장부(205) 위에 이동 형판이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장부(205)의 하부에서 제1 체결 부재(261, 262, 263, 264)들을 상부 방향으로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이동 형판(12)을 특수한 지그에 탑재하지 않아도, 고정 부재(100, 200)는 지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연장부(205)의 하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이동 형판(12)을 고정 부재(100, 200)의 제1 연장부(205) 위에 탑재한 상태에서, 제1 체결 부재(261, 262, 263, 264)들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별도의 지그에 올리거나 내리는 추가의 작업이 없어지므로, 작업성이 우수하고 제조 공정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본체부(201)로부터 4개의 제1 연장부(205)가 연장된다. 도 2의 이동 형판(12)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2개의 다리부를 각각 전방과 후방에서 좌우 양측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4개의 제1 연장부(205)가 형성된다. 그에 따라, 이동 형판(12)의 다리부를 고르게 지지할 수 있다. 제1 본체부(201)에서 연장되는 제1 연장부(205)의 개수와 배치는 각각의 제품에 맞추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200)는, 상기 제1 본체부(201)에서 이동 형판의 일 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2 연장부(207)와, 상기 제2 연장부(207)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 형판의 일 측면까지 삽입되어 상기 고정 부재(200)를 고정시키는 제2 체결 부재(2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205)와 상기 제1 체결 부재(261, 262, 263, 264)로 이동 형판의 하부 면에 고정 부재(200)를 고정하고, 상기 제2 연장부(207)와 제2 체결 부재(265)로 이동 형판의 측면에 고정 부재(200)를 추가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이동 형판(12)에 대한 고정 부재(200)의 단단한 고정이 가능해진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의 경우, 이동 형판(12)의 일 측면에 제2 연장부(207)가 형성되는 것을 개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형판(12)의 양 측면으로 제2 연장부(207)가 배치되어 고정 부재(20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이동 형판(12)을 2개의 제2 연장부(207) 사이에 배치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배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200)는, 제1 경사면(203)을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쐐기 부재(210)와 제2 쐐기 부재(220)는 각각, 제2 본체부(211)와, 상기 제1 경사면(203)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경사면(213)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제1 본체부(201)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1 경사면(203)과 상기 제1 쐐기 부재(210)와 제2 쐐기 부재(220)의 제2 경사면(213)이 각각 서로 접촉하여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쐐기 부재(210)와 제2 쐐기 부재(220)는 외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253)와,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여 고정 부재(200)의 일 측면(255)으로 삽입되는 위치 조절 나사(251)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쐐기 부재(210)와 제2 쐐기 부재(220)의 외측 단부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53)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253)를 관통하여 고정 부재(200), 즉 제1 본체부(201)의 측면(255)으로 삽입되는 위치 조절 나사(251)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253), 위치 조절 나사(251) 및 고정 부재(200)의 일 측면(255)은 위치 조절부(250)를 구성하여, 위치 조절 나사(251)를 조이거나 풀어 고정 부재(200)의 일 측면(255)과 돌출부(25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제1 쐐기 부재(210)와 제2 쐐기 부재(220) 각각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여 고정 부재(200)의 양측 단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고정 부재(200)의 양측 하단부에서, 상기 제1 경사면(203)과 제2 경사면(213)은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경사면(203)과 제2 경사면(213)의 접촉면이 넓어질수록 고정 부재(200)의 해당 단부가 올라가고, 접촉면이 좁아질수록 고정 부재(200)의 해당 단부가 내려가도록 형성된다. 즉, 위치 조절 나사(251)를 조절하여 양측 단부의 쐐기 부재와 고정 부재(200) 사이의 제1 경사면(203)꽈 제2 경사면(213)의 접촉면의 크기를 조절하여 양측 하단부의 고정 부재(200)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에 탑재된 이동 형판의 높이 또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1개의 이동 형판의 양측 하단부에 2개의 고정 부재(200)를 각각 배치하고, 각각의 고정 부재(200)의 양측 단부에서 제1 쐐기 부재(210)와 제2 쐐기 부재(220)로 각각 위치를 조절하여, 이동 형판(12)을 양쪽에서 취부하여 지지하면서, 쐐기 부재들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위치 조절 장치의 외측에 배치되는 위치 조절 나사(251)로 상기 제1 쐐기 부재(210) 및 제2 쐐기 부재(220)와 고정 부재(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평행도와 높낮이를 조절 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이동 형판(12)의 좌우에 각각 2개의 고정 부재(100, 200)가 배치되고, 각 고정 부재(100, 200)의 전방 및 후방에 제1 쐐기 부재(110, 210)와 제2 쐐기 부재(120, 220)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이동 형판(12)의 전/후/좌/우에 각각 4개의 쐐기 부재가 배치되어, 이동 형판(12)의 좌우의 높이와 전후 방향의 기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형판(12)의 일 단부는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단부들을 조절하여 이동 형판(12)의 기울기 등을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쐐기 부재(210)와 제2 쐐기 부재(220)는 각각, 플레이트 베어링(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1에서와 같은 별도의 가이드 레일(24)에 탑재하지 않아도, 상기 제1 쐐기 부재(210)와 제2 쐐기 부재(220)의 하부 방향 면에 형성된 플레이트 베어링(215)에 의하여 마찰력을 완화시켜 이동 형판의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위치 조절 장치로, 이동 형판(12)을 지지하고, 그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하면서, 이동 형판(12)을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의 경우, 이동 형판(12)의 하부 방향으로 플레이트(22, 26)들과 쐐기형 블록(28a, 28b)들과 가이드 레일(24)들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이동 형판(12)의 설치 또는 보수를 위해서는 특수 지그가 필요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고 작업의 안정성 또한 떨어졌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고정 부재(100)와 제1 쐐기 부재(110, 210) 및 제2 쐐기 부재(120, 220)의 조립체 상에 이동 형판(12)을 탑재하고, 바닥 또는 조립체 위에서 제1 체결 부재(261, 262, 263, 264)와 제2 체결 부재(265)를 체결하면, 이동 형판(12)의 조립체를 완성하여 이동이 가능해진다.
그에 따라, 이동 형판(12)을 별도의 특수 지그에 탑재하여 하부에 다른 부품들을 조립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높아지고 작업의 안정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유지 및 보수에서도 장점을 갖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 단은 상기 고정 부재(200)의 제1 본체부(201)의 길이 방향 측면에 제3 체결 부재(273)로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는 제1 쐐기 부재(210) 또는 제2 쐐기 부재(220)의 길이 방향 측면에 제4 체결 부재(275)로 결합되는, 측면 지지부(270)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측면 지지부(270)는 고정 부재(200)와 제1 쐐기 부재(210) 또는 제2 쐐기 부재(220)를 측면에서 고정하여, 제1 쐐기 부재(210) 또는 제2 쐐기 부재(220)가 고정 부재(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고정 부재(200)와 제1 및 제2 쐐기 부재(210, 220)에 결합되어, 위치 조절 나사(251)에 의한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즉, 측면 지지부(270)는 제1 쐐기 부재(210) 또는 제2 쐐기 부재(220)가 고정 부재에 대한 전후 방향 이동을 허용하여 고정 부재의 이동 형판에 대한 높낮이와 기울기 조절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고정 부재(200)와 제1 쐐기 부재(210) 또는 제2 쐐기 부재(220)의 좌우 방향 이동을 구속하여 고정 부재(200)로부터 제1 쐐기 부재(210) 또는 제2 쐐기 부재(2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부재(200)와 제1 쐐기 부재(210) 또는 제2 쐐기 부재(220)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이동 형판의 높낮이와 기울기 조절을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2개의 고정 부재(100, 200)들의 내측, 즉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의 제1 및 제2 쐐기 부재들과 연결하는 4개의 측면 지지부(270)들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측면 지지부(270)는 고정 부재(100, 200)에는 4개의 볼트로 고정되어 있고, 제1 쐐기 부재(210) 또는 제2 쐐기 부재(220)에는 한 개의 볼트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 지지부에는 볼트를 가이드 하는 소정의 길이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쐐기 부재들에 대한 측면 지지부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체결 부재, 제2 체결 부재, 제3 체결 부재 및 제4 체결 부재는 본 기술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체결 부재가 이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양한 종류의 볼트들, 나사 못 또는 고정 핀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체결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 장치는 이동 형판에 적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형판의 높이 또는 평행도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 이송이 필요한 경우에 다른 부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형판을 고정 부재와 제1 및 제2 쐐기 부재의 조립체에 얹은 후 바닥 혹은 프레임 위에서 안전하게 체결 부재로 체결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도 조립이 가능해 진다. 또한, 고정 부재와 제1 및 제2 쐐기 부재의 조립체를 미리 마련한 뒤 부피와 무게가 큰 이동 형판을 마지막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상당히 높아진다. 따라서, 안정성과 작업성이 높은 위치 조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2: 이동 형판
100, 200: 고정 부재
110, 210: 제1 쐐기 부재
120, 220: 제2 쐐기 부재
201: 제1 본체부
203: 제1 경사면
205: 제1 연장부
207: 제2 연장부
211: 제2 본체부
213: 제2 경사면
215: 플레이트 베어링
253: 돌출부
251: 위치 조절 나사
261, 262, 263, 264: 제1 체결 부재
265: 제2 체결 부재
270: 측면 지지부
273: 제3 체결 부재
275: 제4 체결 부재

Claims (5)

  1.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로서,
    이동 형판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쐐기 부재 및 제2 쐐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제1 본체부와 지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면과 제2 면을 구비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면에 이동 형판이 탑재되고, 상기 제2 면으로 제1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이동 형판에 상기 고정 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본체부에서 이동 형판의 일 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 형판의 일 측면에 삽입되는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쐐기 부재와 제2 쐐기 부재는 각각, 제2 본체부와,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경사면과, 외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 부재의 일 측면으로 삽입되는 위치 조절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조절 나사에 의해 상기 돌출부와 상기 고정 부재의 일 측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이동 형판에 대한 제1 쐐기 부재 및 제2 쐐기 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쐐기 부재와 제2 쐐기 부재는 각각, 플레이트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일 단은 상기 고정 부재의 길이 방향 측면에 제3 체결 부재로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쐐기 부재 또는 제2 쐐기 부재의 길이 방향 측면에 제4 체결 부재로 결합되는, 측면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
KR1020160101933A 2016-08-10 2016-08-10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 KR102468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933A KR102468968B1 (ko) 2016-08-10 2016-08-10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
CN201720979943.2U CN207206933U (zh) 2016-08-10 2017-08-07 注射成型机的移动型板的位置调节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933A KR102468968B1 (ko) 2016-08-10 2016-08-10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694A true KR20180017694A (ko) 2018-02-21
KR102468968B1 KR102468968B1 (ko) 2022-11-21

Family

ID=6152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933A KR102468968B1 (ko) 2016-08-10 2016-08-10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8968B1 (ko)
CN (1) CN20720693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01091B (zh) * 2019-06-25 2020-08-11 國立高雄科技大學 具有聯動式側向輔助加壓的成形模具
JP2022157892A (ja) * 2021-03-31 2022-10-1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可動プラテン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473U (ko) * 1986-07-21 1988-04-08 주식회사 금성사 자동차 엘리베이터의 스토퍼 장치
JP3081738B2 (ja) 1993-08-06 2000-08-28 株式会社間組 連続壁掘削機姿勢のグラフィック表示方法
JP2000296541A (ja) * 1999-04-13 2000-10-24 Niigata Eng Co Ltd 可動盤の案内装置
JP2006289738A (ja) * 2005-04-08 2006-10-26 Toshiba Mach Co Ltd 移動ダイの支持装置及び型締装置
JP2007001047A (ja) * 2005-06-21 2007-01-11 Nissei Plastics Ind Co 射出成形機の横型型締装置
KR20120113366A (ko) * 2011-04-05 2012-10-1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전동식 사출 성형기용 이동 형체기구의 평행도 조절장치
JP2015100994A (ja) * 2013-11-25 2015-06-04 東洋機械金属株式会社 射出成形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473U (ko) * 1986-07-21 1988-04-08 주식회사 금성사 자동차 엘리베이터의 스토퍼 장치
JP3081738B2 (ja) 1993-08-06 2000-08-28 株式会社間組 連続壁掘削機姿勢のグラフィック表示方法
JP2000296541A (ja) * 1999-04-13 2000-10-24 Niigata Eng Co Ltd 可動盤の案内装置
JP2006289738A (ja) * 2005-04-08 2006-10-26 Toshiba Mach Co Ltd 移動ダイの支持装置及び型締装置
JP2007001047A (ja) * 2005-06-21 2007-01-11 Nissei Plastics Ind Co 射出成形機の横型型締装置
KR20120113366A (ko) * 2011-04-05 2012-10-1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전동식 사출 성형기용 이동 형체기구의 평행도 조절장치
JP2015100994A (ja) * 2013-11-25 2015-06-04 東洋機械金属株式会社 射出成形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7206933U (zh) 2018-04-10
KR102468968B1 (ko) 202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9354B2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US9011130B2 (en) Toggle clamping mechanism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CN110774519B (zh) 注塑成型机的金属模具输送引导装置
JP4169353B2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KR101329591B1 (ko) 형 체결 장치
JP5813176B1 (ja) 射出成形機の射出装置
CN107249839B (zh) 可动盘、开闭装置及成形装置
KR20180017694A (ko)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
JP2014166692A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5800877B2 (ja) 可動プラテンの調整機構
JP5008609B2 (ja) 射出成形機の直圧式型締装置
JP2009269393A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2009269184A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4714705B2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4287841B2 (ja) 射出成形機の横型型締装置
KR20200125984A (ko) 조정 가능한 안내 장치를 가진 웨지 구동부
JP2015071278A (ja) プラテン調整機構を有する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KR20140004002U (ko) 캐리지 레일 설치용 지그
KR20180074952A (ko) 사출 성형기의 형체장치
CN218399151U (zh) 一种可调节的加高底座
CN209032053U (zh) 一种新型的刀架底座
KR101714421B1 (ko) 처짐 및 편심 방지에 의한 정밀 조립구조를 갖는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
KR102181341B1 (ko)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
KR101920950B1 (ko) 사출기의 타이바 고정장치
CN117507280A (zh) 一种用于合模机构的模板调整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