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421B1 - 처짐 및 편심 방지에 의한 정밀 조립구조를 갖는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 - Google Patents

처짐 및 편심 방지에 의한 정밀 조립구조를 갖는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421B1
KR101714421B1 KR1020150042678A KR20150042678A KR101714421B1 KR 101714421 B1 KR101714421 B1 KR 101714421B1 KR 1020150042678 A KR1020150042678 A KR 1020150042678A KR 20150042678 A KR20150042678 A KR 20150042678A KR 101714421 B1 KR101714421 B1 KR 101714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ase
holes
eccentricity
mold
correspo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5310A (ko
Inventor
권오근
Original Assignee
(주)디팜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팜스테크 filed Critical (주)디팜스테크
Priority to KR102015004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4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1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56Handling of moulds or mould parts, e.g. mould exchan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짐 및 편심 방지에 의한 정밀 조립구조를 갖는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반도체 관련를 포함한 각종 정밀 금형의 가동측과 고정측의 조립 및 결합위치가 처짐이나 편심 없이 고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몰드 베이스(Mold base)를 금형 이동 바와 클램핑 바로 하여금 견고하게 지지고정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중 시나 고정시의 자중(중력)에 의한 처짐 또는 편심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바, 이는 제품 불량과 장치 내구성 저하 등을 현저하게 감소시킴은 물론 성형 공차 범위를 최소화하여 정밀가공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처짐 및 편심 방지에 의한 정밀 조립구조를 갖는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Block jig with eccentricity prevention function for mold base}
본 발명은 반도체 관련를 포함한 각종 정밀 금형의 가동측과 고정측의 조립 및 결합위치가 처짐이나 편심 없이 고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몰드 베이스(Mold base)를 금형 이동 바와 클램핑 바로 하여금 견고하게 지지고정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중 시나 고정시의 자중(중력)에 의한 처짐 또는 편심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바, 이는 제품 불량과 장치 내구성 저하 등을 현저하게 감소시킴은 물론 성형 공차 범위를 최소화하여 정밀가공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 및 편심 방지에 의한 정밀 조립구조를 갖는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은 전자부품, 자동차부품 등을 포함한 각종 합성수지 제품을 생산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그 과정은 수지원료의 용융, 충전, 성형, 냉각, 취출 등의 순서를 거치면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공정 중에서 상기 취출과정은 취출 로봇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869호(2006.12.01. 등록)"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을 자세히 살펴보면, 사출기에 의해 제조된 사출물을 취출하는 로봇에 있어서, 사출기 상부에 고정되는 기대와; 이 기대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전후진가이드부와; 이 전후진가이드부 상을 이동하면서 사출물을 취출하는 그리퍼; 및 기대 내부에 배치되어 전후진가이드부 및 그리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기본구성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개시된 사출기용 취출 로봇에 따르면, 기대 내부에 제어부를 배치함으로써, 제어부가 종래 사출기용 취출 로봇에 비해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의 조작 및 유지보수 작업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를 기대 내부에 배치하여 외부로 크게 돌출되지 않게 되도록 하여 장치 전체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기용 취출 로봇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몰드 베이스(사출기의 상하측 금형을 일컬음)는 가이드 핀, 가이드 부시에 의해 메인 코어가 결합되는 구조로서, 상기 가이드 핀과 가이드 부시(암수 끼움식 조립구조)는 0.005㎛의 갭이 발생된다.
이러한 조립공차는 금형의 이동(조립) 시나 사출기에 클램핑하는 과정에서 공차 갭에 의해 고정측과 가동측이 유격이 발생되어 원활한 사출을 방해함은 물론 정밀도나 가공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다시 말해, 종래의 몰드 베이스는 사출기 가동 중 자중(중력)에 의한 몰드 베이스의 처짐 현장이 발생되어 주기적으로 몰드 베이스에 재 클램핑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869호(2006.12.01.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반도체 관련를 포함한 각종 정밀 금형의 가동측과 고정측의 조립 및 결합위치가 처짐이나 편심 없이 고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몰드 베이스(Mold base)를 금형 이동 바와 클램핑 바로 하여금 견고하게 지지고정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중 시나 고정시의 자중(중력)에 의한 처짐 또는 편심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바, 이는 제품 불량과 장치 내구성 저하 등을 현저하게 감소시킴은 물론 성형 공차 범위를 최소화하여 정밀가공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 및 편심 방지에 의한 정밀 조립구조를 갖는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측 및 하측 금형 몰드 베이스(10,20)의 체결공(30)과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육면체의 본체(11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체결공(30)과 대응되도록 복수의 결합용 관통공(120)이 형성되고, 복수의 관통공(120) 사이에는 호이스트를 포함한 기중장치에 의해 양중 이동 및 고정 결합시 무게중심이 균등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리프팅용 체결구(130)가 결합되도록 하는 금형 이동 바(100)와; 상하측 금형 몰드 베이스(10,20)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홈(40)과 각각 대응되도록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육면체의 블럭체(21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블럭체(210)는 사출기 고정측과 가동측이 취부되는 몰드 베이스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안착된 몰드 베이스가 조립 후 운전 중 자중 처짐이나 편심이 발생하지 방지하도록 하는 클램핑 바(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금형 이동 바는 평탄면 정밀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에 수평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램핑 바는 사출기의 고정측과 가동측에 취부될 수 있도록 전후 폭방향 면상에 장공의 조립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블럭체는 상하 높이방향 면상에 체결홈(40)과 대응되도록 조립공(220)이 형성되어 결속력이 배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금형 이동 바는 하부에 쐐기형 보조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측 및 하측 금형 몰드 베이스(10,20)의 상면에 형성된 요홈형 쐐기식 슬라이딩 레일과 대응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조립 정밀도와 처짐 및 편심 방지 성능을 더욱 배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반도체 관련를 포함한 각종 정밀 금형의 가동측과 고정측의 조립 및 결합위치가 처짐이나 편심 없이 고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몰드 베이스(Mold base)를 금형 이동 바와 클램핑 바로 하여금 견고하게 지지고정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중 시나 고정시의 자중(중력)에 의한 처짐 또는 편심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바, 이는 제품 불량과 장치 내구성 저하 등을 현저하게 감소시킴은 물론 성형 공차 범위를 최소화하여 정밀가공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 지그가 몰드 베이스에 결합되고, 몰드 베이스는 사출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 예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측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타측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부가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 지그의 개선 사항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 내지 도 17은 종래 몰드 베이스의 취부 상 문제점을 나타낸 설명 예시도들이다.
다음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형 이동 바(100)와 클램핑 바(200)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금형 이동 바(100)는 상측 및 하측 금형 몰드 베이스(10,20)의 체결공(30)과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육면체의 본체(11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체결공(30)과 대응되도록 복수의 결합용 관통공(120)이 형성되고, 복수의 관통공(120) 사이에는 호이스트를 포함한 기중장치에 의해 양중 이동 및 고정 결합시 무게중심이 균등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리프팅용 체결구(13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몰드 베이스는 사출 제품을 실질적으로 성형하게 되는 금형으로서, 내부에 목적하는 제품의 코어(형틀)가 내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몰드 베이스는 상측과 하측(좌우측으로 분할되어 있는 구조이나 업계에서는 고정측을 상측이라하고 이송측을 하측이라 함)이 분리된 구조로서 조립시 마주한 면에 구비된 암수 결합용 핀과 홈에 의해 1차적인 조립이 수행된다.
이후 조립된 몰드 베이스는 본 발명의 금형 이동 바와 클램핑 바에 의해 상하측이 구속되면서 일체형의 블럭구조를 갖도록 하면서 사출기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분리된 구조의 몰드 베이스가 일측 지지 고정이 아닌 균등 무게 중심을 잡으면서 이송되도록 함은 물론 사출기에 고정시에도 견고하고 정밀한 상태를 계속 유지토록 함으로써, 처짐이나 틀어짐 편심 등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정밀 사출이 가능하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램핑 바(200)는 상하측 금형 몰드 베이스(10,20)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홈(40)과 각각 대응되도록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육면체의 블럭체(21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블럭체(210)는 사출기 고정측과 가동측에 취부되는 몰드 베이스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안착된 몰드 베이스가 조립 후 운전 중 자중 처짐이나 편심이 발생하지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클램핑 바는 사출기의 고정측과 가동측에 취부될 수 있도록 전후 폭방향 면상에 장공의 조립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출 제품을 찍기 위한 형틀 다시 말해 코어는 몰드 베이스로 하여금 카세트 타입으로 교환 교체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몰드 베이스는 일정한 규격으로서 사출기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만, 고정의 위치가 제품마다 다소 상이할 경우를 대비하여 상하 조립 포인트가 다르더라도 미세 조정이 가능하도록 장공의 조립홈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상기 금형 이동 바는 평탄면 정밀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에 수평계(3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블럭체는 상하 높이방향 면상에 체결홈(40)과 대응되도록 조립공(220)이 형성되어 결속력이 배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금형 이동 바는 하부에 쐐기형 보조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측 및 하측 금형 몰드 베이스(10,20)의 상면에 형성된 요홈형 쐐기식 슬라이딩 레일과 대응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조립 정밀도와 처짐 및 편심 방지 성능을 더욱 배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쐐기식 구조의 결합구조는 견고한 조립성을 확보하기 위함으로 바람직하게는 보조 고정돌기와 슬라이딩 레일 사이에 박판 형태의 실리콘 완충패드가 장착되어 진동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금형 이동 바 110 ... 본체
120 ... 관통공 130 ... 체결구
200 ... 클램핑 바 210 ... 블럭체

Claims (5)

  1. 상측 및 하측 금형 몰드 베이스(10,20)의 체결공(30)과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육면체의 본체(11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체결공(30)과 대응되도록 복수의 결합용 관통공(120)이 형성되고, 복수의 관통공(120) 사이에는 호이스트를 포함한 기중장치에 의해 양중 이동 및 고정 결합시 무게중심이 균등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리프팅용 체결구(130)가 결합되도록 하는 금형 이동 바(100)와; 상하측 금형 몰드 베이스(10,20)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홈(40)과 각각 대응되도록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육면체의 블럭체(21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블럭체(210)는 사출기(1) 고정측과 가동측에 취부되는 몰드 베이스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안착된 몰드 베이스가 조립 후 운전 중 자중 처짐이나 편심이 발생하지 방지하도록 하는 클램핑 바(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에 있어서,
    상기 금형 이동 바(100)는 평탄면 정밀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에 수평계(300)가 구비되고, 상기 클램핑 바(200)는 사출기의 고정측과 가동측에 취부될 수 있도록 전후 폭방향 면상에 장공의 조립홈(230)이 형성되며, 상기 블럭체(210)는 상하 높이방향 면상에 체결홈(40)과 대응되도록 조립공(220)이 형성되어 결속력이 배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금형 이동 바(100)는 하부에 쐐기형 보조 고정돌기(140)가 형성되어 상측 및 하측 금형 몰드 베이스(10,20)의 상면에 형성된 요홈형 쐐기식 슬라이딩 레일(15)과 대응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조립 정밀도와 처짐 및 편심 방지 성능을 더욱 배가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조 고정돌기(140)와 슬라이딩 레일(15) 사이에 박판 형태의 실리콘 완충패드가 장착되어 진동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 및 편심 방지에 의한 정밀 조립구조를 갖는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42678A 2015-03-26 2015-03-26 처짐 및 편심 방지에 의한 정밀 조립구조를 갖는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 KR101714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678A KR101714421B1 (ko) 2015-03-26 2015-03-26 처짐 및 편심 방지에 의한 정밀 조립구조를 갖는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678A KR101714421B1 (ko) 2015-03-26 2015-03-26 처짐 및 편심 방지에 의한 정밀 조립구조를 갖는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310A KR20160115310A (ko) 2016-10-06
KR101714421B1 true KR101714421B1 (ko) 2017-03-09

Family

ID=57164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678A KR101714421B1 (ko) 2015-03-26 2015-03-26 처짐 및 편심 방지에 의한 정밀 조립구조를 갖는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4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400A (ja) 2001-12-20 2003-07-04 Daido Electronics Co Ltd 磁性板の着磁方法および着磁治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486U (ko) * 1996-12-26 1998-09-25 김영환 금형 운반 장치
KR200432869Y1 (ko) 2006-09-06 2006-12-07 주식회사 로텍 사출기용 취출 로봇
US8061005B2 (en) * 2009-03-13 2011-11-22 Carefusion 303, Inc. Method for employing quick change injection molding tooling
KR20120061707A (ko) * 2010-12-03 2012-06-13 주식회사 동국아이엔씨 중량물 인양용 러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400A (ja) 2001-12-20 2003-07-04 Daido Electronics Co Ltd 磁性板の着磁方法および着磁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310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5346B2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CN110774519B (zh) 注塑成型机的金属模具输送引导装置
CN106660246B (zh) 开闭装置及成型装置
KR20090060277A (ko) 광학 소자 성형 장치
KR102180308B1 (ko) 금형 반송용 롤러 유닛
CN105014884A (zh) 可微调的模具
KR101013129B1 (ko) 초소형 렌즈의 비구면 형상부를 성형하기 위한 핀 가공용 고정지그
TWI644781B (zh) 模具裝置、壓縮成形裝置以及壓縮成形方法
CN105881850A (zh) 一种滑脚组件及应用其的动模板支撑结构
CN112536992B (zh) 底切处理机构、成型用模具及成型品
CN113165043B (zh) 用于一起滑动的不同结构的连接
US8920156B2 (en) Support member for a rotatable platen and a mold 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KR101714421B1 (ko) 처짐 및 편심 방지에 의한 정밀 조립구조를 갖는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
TWI617411B (zh) 樹脂成形裝置用固定平台、樹脂成形裝置及樹脂成形裝置用固定平台之製造方法
CN115734863A (zh) 用于移动模具的输送装置
JP6289129B2 (ja) 横型の射出成形型とそれを用いた製造方法
CN108215066B (zh) 卧式注塑机动模支撑装置
KR20180017694A (ko)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위치 조절 장치
JP2001239561A (ja) 射出成形機
CN205629330U (zh) 一种滑脚组件及应用其的动模板支撑结构
KR20110103742A (ko) 사출 금형 장치
CN113840708A (zh) 模具和成型系统
KR100864252B1 (ko) 금형조립체
KR102440159B1 (ko) 형체장치
CN211566736U (zh) 一种新型注塑机模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