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1707A - 중량물 인양용 러그 - Google Patents
중량물 인양용 러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61707A KR20120061707A KR1020100123632A KR20100123632A KR20120061707A KR 20120061707 A KR20120061707 A KR 20120061707A KR 1020100123632 A KR1020100123632 A KR 1020100123632A KR 20100123632 A KR20100123632 A KR 20100123632A KR 20120061707 A KR20120061707 A KR 201200617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lt
- support
- brace
- lifting
- heav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 인양용 러그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 좌우로는 지지쇠(10)를 끼워서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단(21)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앞뒤의 끝 부분에는 지지쇠(10)를 신속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라운딩부(22)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중량물의 표면에 안전하게 용접을 하기 위한 모따기부(23)가 대칭으로 형성되며, "T" 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 채 직육면체의 형태를 띠는 버팀쇠(20)와;
인양로프 또는 인양 후크가 관통되는 구멍(18)이 형성되고 제1 몸체(11)와 평행한 방향으로 용접으로 고정되는 제2 몸체(17) 및,
외부 중앙의 좌우로는 중량물을 경사지게 인양할 때 옆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단(12)이 형성되고,
좌우에는 바팀쇠(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볼트(30)와 제2 볼트(30a)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구멍(13) 및 제1 볼트(30)와 제2 볼트(30a)의 나사부가 조립되는 나사구멍(13a)이 형성되며,
버팀쇠(20)에 끼울 때 버팀쇠(20)와 중량물에 형성된 용접부에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 홈(16)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홈(16)과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버팀쇠(20)가 삽입될 수 있는 틈새(15)가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틈새(15)와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상기 버팀쇠(20)의 돌출단(21)이 삽입 되는 제1 홈(14)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된 제1 몸체(11)로 된 지지쇠(10)와;
상기 지지쇠(10)를 상기 버팀쇠(20)에 끼워서 조립시켰을 때 상기 버팀쇠(20)가 지지쇠(10) 안에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제1 볼트(30) 및 제2 볼트(30a)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러그
Description
.
본 발명은 중량물 인양용 러그에 관한 것으로, 주로 조선소 등에서 선박의 블록(Block)을 인양하여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기타 철재로 된 중량물을 인양하여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조선소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중량물 인양용 러그는, 산소 절단기를 이용하여 두꺼운 철판을 직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형태로 절단하고 그 중앙에 인양 로프나 후크를 걸 수 있는 구멍을 뚫어서 된 재래식의 러그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재래식 러그는 수 백 년 전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다.
한편, 상술한 재래식 러그는 블록을 제 위치에 탑재하여 용접으로 조립시킨 다음 산소 절단기 등으로 절단하고 그라인딩을 하여 가능한 한 블록의 표면에 러그의 잔존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의 재래식 러그를 산소 절단기로 하방 부분을 절단 할 때 블록과의 용접된 부분으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절단을 하고 이어서 그라인딩 작업을 가하여 러그의 잔존 부분과 용접부를 깨끗이 그라인딩을 하여야 하는데, 이미 탑재가 된 블록은 크기가 대형이고 3차원적인 입체 구조를 띠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러그를 제거하고 마무리 작업을 가하기 위해서는 비계를 설치하거나 작업자가 로프를 타고 매달려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관계로 작업성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은 물론 작업 효율이 저조하고 안전사고가 발생될 소지가 높은 문제와 함께 비계 설치 및 제거작업을 포함하여 러그의 제거 및 마무리 작업을 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장비와 인원, 시간 등의 면에서 매우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함께 짧은 길이로 절단된 재래식 러그는 다시 사용을 하지 못하고 고철로 처리가 되며 항상 새로운 러그를 제작하여서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경제적인 면도 간과될 수 없는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인하여, 근래로부터 선박의 블록에 용접으로 고정된 러그를 제거시키지 않고 선박을 완성시키는 신(新)공법이 세계적으로 연구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상술한 신공법에 거의 완벽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을 밝힌다.
한편, 상술한 신공법이 요구하는 바는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의 도면을 기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업계(조선해양중공업 등)에서 요구하는 버팀쇠(20)에 대한 필요충분조건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1)선박의 블록 표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버팀쇠(20)는, 블록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어도 외관상으로 보기가 싫지 않고 쉽게 식별이 되지 않을 정도로 가능한 한 최소형의 사이즈를 가져야 하나 기계구조 해석 및 강도계산에 의하여 1개가 최 소 8톤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2)버팀쇠(20)의 형상은 유선형을 이루도록 하여야 하고 가능한 한 길이가 짧으면서 낮은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3)버팀쇠(20)의 구조는 최대한으로 간단하여야 하고 선박의 운항 시 물의 저항이 최소화가 되는 형상을 가져야 한다.
4)소모품이므로 제작단가가 낮아야 한다.
5)중량이 가벼워야 한다. 라는 필수적인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다음, 업계(조선해양중공업 등)에서 요구하는 지지쇠(10)에 대한 필요충분조건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1)지지쇠(10)는 버팀쇠(20)를 기준하여 일방향이 아닌 양방향에서 자유롭게 끼울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2)사용 환경이 열악하고 사용 숫자가 많으므로 부품의 분실이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
3)제작이 간단하여야 한다.
4)최소한의 중량을 가지도록 하며 소형화를 추구하여야 한다.
5)최소형의 버팀쇠(20)에 조립하였을 때 블록을 30°내외로 경사지게 인양을 할 경우 버팀쇠(20)로부터 지지쇠(20)가 기울어지거나 헛돌아서 이탈되는 현상이 없어야 한다.
6)제작단가가 낮아야 한다.
7)버팀쇠(20)에 조립 및 분해를 할 때 신속하고 편리하여야 한다.
8)버팀쇠(20)에 조립을 할 때와 버팀쇠(20)로부터 분해를 할 때 작업공수가 최소화가 되어야 한다. 라는 필수적인 조건이 갖추어야 한다.
9)기계구조 해석 및 강도계산에 의하여 1개가 최소 8톤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이상과 같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지지쇠(10)와 버팀쇠(20)를 개발하여야만 업계에 납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출원에 앞서 등록이 된 특허등록 제0940931호(이하 선 등록 특허라 함)를 살피기로 한다.
이는 분해조립식 러그로 명명되어 있고, 도13, 도14, 도15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본 발명과 같이 분해조립식 러그인 것은 분명하나 이하 서술하는 이유에 의해 조선관련 업계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도13은 선 등록 특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14는 러그본체(100)를 지지판부(105)에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15는 도14를 기준한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버팀쇠(20)에 대응하는 선 등록 특허의 지지판부(105)와 결합돌기부(106)를 살피면, 도면과 같이 크기가 큰 직사각형의 지지판부(105)의 상측으로 "┬" 형태를 가지는 결합돌기부(106)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결합돌기부(106)에는 러그 본체(100)를 끼워서 블록 등의 중량인양물(200)을 인양하기 위한 결합단턱(10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부(105)의 가장자리로는 블록과의 용접을 위한 용접 홈(108)들이 등(等)간격을 유지한 채 형성이 되어 있으며, 지지판부(105)의 저면에 수용 홈(109)을 형성시키고 상기 수용 홈(109)에는 자성체(110)를 끼워서 고정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선 등록 특허의 지지판부(105)는, 본 발명의 버팀쇠(20)에 비하여 특히 높이가 높아지는 결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버팀쇠(20)의 높이와 비교하여 보면 지지판부(105)의 높이가 더해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버팀쇠(20)의 높이에 비하여 최소 10?15mm 정도가 더 높아지는 것인데, 1개가 최소 8톤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지지판부(105)를 두께가 두꺼운 철판을 사용하지 않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선 등록 특허의 지지판부(105)는 결합돌기부(106)에 비하여 크기가 크기 때문에 블록에 용접으로 고정시킨 후 제거를 시키지 않으면 본 발명의 버팀쇠(20)에 비하여 외관상으로 보기가 싫고, 게다가 결합돌기부(10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크기가 크기 때문에 블록에 고정을 시켜 둔 상태가 쉽게 식별이 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도면과 같이 지지판부(105)와 결합돌기부(106)가 2층을 이루는 구조를 가지면서 "" 와 같은 형태를 유지하여야 하고 지지판부(105)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용접 홈(108)들을 다수 형성시켜야 하며, 수용 홈(109)들을 형성시킨 후 자성체(110)를 삽입?고정을 시켜야 하기 때문에 고?중량물을 인양하여야 하는 이유로 고강도를 요구하는 단조강으로 제작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제작단가도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함께 크기가 커서 중량이 무거워지는 폐단이 있는데, 고소작업이 주로 이루어지는 조선소 등에서는 중량이 무거울수록 취급하기가 어렵고, 만일 취급 부 주의로 추락을 시켰을 때 작업자가 크게 다치는 안전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다분한 것이다.
한편, 선 등록 특허의 지지판부(105)는 그 가장자리에 다수의 용접 홈(108)을 형성시키고 용접 홈(108)을 통해 블록에 용접을 하기 때문에 결국 블록과 용접되는 부분이 너무 적어서 1개가 최소 8톤의 중량의 지지하여야 하는 상기의 필요충분조건에 크게 미달되는 결정적인 문제가 발생되므로 결론적으로 선 등록 특허의 지지판부(105)와 결합돌기부(106)는 비교적 가벼운 중량을 가지는 물건을 인양하는 용도로 국한될 수밖에 없는 한계가 노출되는 것이다. 즉, 선 등록 특허의 지지판부(105)와 결합돌기부(106)는 현장상황과 조선소 등의 업계에서 요구하는 필요충분조건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 이론에 치우친 발명에 해당된다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살피면, 선 등록 특허의 지지판부(105)와 결합돌기부(106)는 본 발명의 버팀쇠(20)와는 달리 형태가 유선형이 아니고 각이 형성된 직사각형을 띠고 있으며 높이가 높기 때문에 블록에 고정을 시킨 채로 선박을 완성시켜 운항을 하면 물의 저항이 크게 작용하게 되고 해초, 로프 등의 해양 이물질들이 쉽게 걸리게 되는 문제도 안고 있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지지쇠(10)에 대응하는 러그본체(100)를 살핀다.
이는 도면과 같이 수직부에 크레인후크 연결공(101)이 형성되어 있고 하방으로는 상기 결합돌기부(106)에 끼워지는 결합홈부(103)가 형성되어 있는데, 특히 결합홈부(103)는 도15와 같이 일측만이 개방되어 있고 그 반대쪽은 막혀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러그본체(100)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구멍(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102)으로는 볼트(104)를 관통시키고 상기 볼트(104)에는 너트(104a)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데, 볼트(104)와 너트(104a)는 러그본체(100)가 결합돌기부(106)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선 등록 특허의 러그본체(100)는, 고?중량물을 인양하여야 하는 이유로 고강도가 요구되는 단조강으로 제작하여야 하는데, 결합홈부(103)가 일측은 개방되고 그 반대쪽은 막히도록 하기 위한 기계가공이 상당히 까다롭고 2개 이상의 절삭 및 커팅 툴(Tool)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불량한 단점이 있어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함께 결합홈부(103)가 일측만이 개방되어 있어서, 본 발명의 지지쇠(10)와는 달리 러그본체(100)를 결합돌기부(106)에 끼우려면 항상 일방향으로만 끼울 수밖에 없어 작업자가 취급하기에 편리하지 못한 문제가 있는데, 크레인의 후크는 크레인의 와이어의 끝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크레인 후크에 체결되어 있는 러그본체(100)는 수평 상으로 다양한 위치에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미 용접으로 블록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판부(105)의 결합돌기부(106)에 러그본체(100)를 끼우기 위해서는 러그본체(100)를 잡고 방향을 틀어서 결합홈부(103)를 결합돌기부(106)에 끼워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수반되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고 작업시간도 길어지는 폐단이 발생된다.
그리고 선 등록 특허의 러그본체(100)는, 볼트(104)와 너트(104a)를 통해 결합돌기부(106)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특히, 너트 (104a)의 분실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다시 말해서, 러그본체(100)가 결합돌기부(106)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러그본체(100)에 조립되어 있는 볼트(104)로부터 너트(104a)를 풀어서 볼트(104)와 너트(104a)를 한 손에 들고 다른 손으로는 러그본체(100)를 잡고 돌려서 결합홈부(103)와 결합돌기부(106)가 일직선이 되도록 수평 상에서 위치를 맞춤과 동시에 러그본체(100)를 결합돌기부(106)에 끼운 다음, 다시 볼트(104)를 구멍(102)으로 관통시키고 볼트(104)에 너트(104a)를 조립시켜야만 러그본체(100)와 결합돌기부(106)의 체결이 종료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러그본체(100)를 결합돌기부(106)에 끼우는 작업이 더욱 번거롭게 됨은 물론 크기가 작고 가벼운 너트(104a)를 추락시킬 확률이 다분하며, 한 손에 볼트(104)와 너트(104a)를 모두 쥐어야 하기 때문에 너트(104a)의 추락과 함께 볼트(104)까지 추락을 시킬 우려도 높은 것인데, 이와 같이 되면 또 다른 너트를 찾거나 또 다른 볼트를 찾아서 사용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이 수반되고 자연히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폐단이 유발되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며, 추락한 볼트 또는 너트는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시킬 수가 없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선 등록 특허의 러그본체(100) 역시 현장상황과 조선소 등의 업계에서 요구하는 필요충분조건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 이론에 치우친 발명에 해당된다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선 등록 특허 제0940931호로부터 비롯된 문제와 단점, 폐단을 모두 해결한 중량물 인양용 러그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 실시예]
길이방향 좌우로는 지지쇠(10)를 끼워서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단(21)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앞뒤의 끝 부분에는 지지쇠(10)를 신속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라운딩부(22)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중량물의 표면에 안전하게 용접을 하기 위한 모따기부(23)가 대칭으로 형성되며, "T" 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 채 직육면체의 형태를 띠는 버팀쇠(20)와;
인양로프 또는 인양 후크가 관통되는 구멍(18)이 형성되고 제1 몸체(11)와 평행한 방향으로 용접으로 고정되는 제2 몸체(17) 및,
외부 중앙의 좌우로는 중량물을 경사지게 인양할 때 옆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단(12)이 형성되고,
좌우에는 버팀쇠(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볼트(30)와 제2 볼트(30a)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구멍(13) 및 제1 볼트(30)와 제2 볼트(30a)의 나사부가 조립되는 나사구멍(13a)이 형성되며,
버팀쇠(20)에 끼울 때 버팀쇠(20)와 중량물에 형성된 용접부에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 홈(16)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홈(16)과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버팀쇠(20)가 삽입될 수 있는 틈새(15)가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틈새(15)와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상기 버팀쇠(20)의 돌출단(21)이 삽입되는 제1 홈(14)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된 제1 몸체(11)로 된 지지쇠(10)와;
상기 지지쇠(10)를 상기 버팀쇠(20)에 끼워서 조립시켰을 때 상기 버팀쇠(20)가 지지쇠(10) 안에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제1 볼트(30) 및 제2 볼트(30a)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실시예]
길이방향 좌우로는 지지쇠(10)를 끼워서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단(21)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앞뒤의 끝 부분에는 지지쇠(10)를 신속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라운딩부(22)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중량물의 표면에 안전하게 용접을 하기 위한 모따기부(23)가 대칭으로 형성되며, "T" 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 채 직육면체의 형태를 띠는 버팀쇠(20)와;
인양로프 또는 인양 후크가 관통되는 구멍(18)이 형성되고 제1 몸체(11)와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으로 고정되는 제2 몸체(17a) 및,
외부 중앙의 좌우로는 중량물을 경사지게 인양할 때 옆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단(12)이 형성되고,
좌우에는 버팀쇠(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볼트(30)와 제2 볼트(30a)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구멍(13) 및 제1 볼트(30)와 제2 볼트(30a)의 나사부가 조립되는 나사구멍(13a)이 형성되며,
버팀쇠(20)에 끼울 때 버팀쇠(20)와 중량물에 형성된 용접부에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 홈(16)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홈(16)과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버팀쇠(20)가 삽입될 수 있는 틈새(15)가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틈새(15)와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상기 버팀쇠(20)의 돌출단(21)이 삽입되는 제1 홈(14)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된 제1 몸체(11)로 된 지지쇠(10)와;
상기 지지쇠(10)를 상기 버팀쇠(20)에 끼워서 조립시켰을 때 상기 버팀쇠(20)가 지지쇠(10) 안에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제1 볼트(30) 및 제2 볼트(30a)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선 등록 특허 제0940931호로부터 비롯되었던 상기의 모든 문제와 단점, 폐단을 해결하는 진보된 러그에 관한 것으로 명실상부하게 업계에서 정식으로 인정받고 나아가 세계적으로도 그 기술의 가치를 증명할 수 있는 기회를 획득함에 따라 국내에서의 사용은 물론 해외로 폭 넓은 수출도 충분히 가능하여 국위선양과 함께 선박수주량의 증가에도 일조를 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효과가 다수 대두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근거로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으로 도시된 구조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들에 해당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발명의 목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발명의 목적을 근거로 하여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기술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균등기술과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예속되는 것임은 자명한 것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의 균등기술과 변형예라 함은, 본 발명의 도면에 나타난 구조에서 부분적인 형태 변화를 가하거나 또는 치수를 증가 혹은 감소시키거나 또는 재질을 변화시키거나 또는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또는 본 발명과 동일한 작용 아래 후술되는 볼트와 너트를 고정 핀과 분할 핀(혹은 스냅 링)으로 바꾸거나 또는 볼트의 조립 위치를 바꾸는 등의 균등론적인 범위에 있는 것이거나 하위개념에 해당하는 구조 변화와 기술 변화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살피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1과 도2, 도3, 도4, 도5, 도6, 도7, 도10, 도11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지지쇠(10)와 버팀쇠(20), 제1 볼트(30)와 제2 볼트(30a)를 제시하고 있다.
먼저 소모품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버팀쇠(20)를 살피면, 이는 단조강을 재질로 선택하게 되는데, 지지쇠(10)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단조강을 재질로 선택하는 것이 좋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적합한 재질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는 도면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지지쇠(10)를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단(21)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면과 같이 앞뒤의 끝 부분에는 지지쇠(10)의 제1 홈(14)과 틈새(15) 안으로 버팀쇠(2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 록 하기 위하여 라운딩부(22)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라운딩부(22) 대신에 면취부를 형성시켜도 무방할 것이다.
이는 도면과 같이 "T" 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 채 높이나 폭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저면에는 도면과 같이 중량물(40)[예: 선박의 블록 등]의 표면에 용접으로 고정될 때 견고하게 용접이 될 수 있도록 모따기 부(23)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버팀쇠(20)는, 전체 높이가 24mm 이고 길이는 115mm 이며 돌출단(21)의 폭은 30mm, 돌출단(21) 하방의 세로부의 폭은 13mm로 최소형의 사이즈를 가지며 매우 가벼운 중량이지만 중량물 인양실험에 의하면 1개가 9.5톤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었는데, 강도적인 차원과 구조해석적인 차원에서 볼 때 상기 선 등록 특허의 지지판부(105)와 결합돌기부(106)를 9.5톤의 중량을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지판부(105)의 가로는 100mm, 세로는 250mm가 되어야 하고 용접 홈(108)은 최소 30개 정도가 되어야 하며, 결합돌기부(106)까지의 높이는 40?45mm가 되어야 하는 큰 차이가 있다. 단, 결합돌기부(106)의 수평상의 폭과 세로의 길이는 본 발명과 같은 치수 정도가 되어도 무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살피면, 본 발명의 버팀쇠(20) 앞뒤의 라운딩부(22)는, 지지쇠(1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면서 버팀쇠(20)가 유선형을 이루도록 하여 선박의 운항 시 물의 저항이 최소화가 되고 해양 이물질이나 로프 등이 잘 걸리지 않게 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버팀쇠(20)는 도면과 같이 구조가 극히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작하기가 쉽고 이로써, 제작단가가 매우 저렴해지기 때문에 소모품으로써 가장 합리적인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지지쇠(10)를 살핀다.
이는 도면과 같이 크레인의 후크 또는 인양 로프가 체결되는 구멍(18)을 가지는 제2 몸체(17)가 후술하는 제1 몸체(11)의 상면이면서 제1 몸체(11)의 길이방향으로 도면과 같이 방향으로 용접으로 고정된다.
다시 제1 몸체(11)를 살피면, 도면과 같이 외부 중앙의 좌우로는 중량물을 경사지게 인양할 때 옆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단(12)이 일체로 형성이 되는데, 용접을 통해 고정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단(12)이 구비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본 발명의 버팀쇠(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최소형의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이를 중량물(40)에 용접을 하고 도8과 같이 인양을 할 경우 중량물이 경사가 진채 인양되거나 또는 와이어로프(60)가 경사진 방향으로 당겨진 채 인양력을 작용시킬 경우에도 지지단(12)의 저면이 중량물(40)의 표면에 접촉된 채 제1 몸체(11)와 한 몸을 이루고 있으므로 제1 몸체(11)가 기울어져서 버팀쇠(20)의 돌출단(21)으로부터 제1 홈(14)의 위치가 이탈되는(헛돌아버리는) 현상 또는 이러한 현상이 심화되어 제1 몸체(11)의 제1 홈(14)이 버팀쇠(20)의 돌출단(21)으로부터 빠져버림에 따라 대형의 안전사고 및 인명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지극히 심각한 문제가 완전히 차단되는 것이다.
만일, 본 발명의 지지단(1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 도9와 같은 상태에 서 중량물(40)을 인양하여야 하는데, 중량물이 경사가 진채 인양되거나 또는 와이어로프(60)가 경사진 방향으로 당겨진 채 인양력을 작용시킬 경우에 제1 몸체(11)가 기울어져서 버팀쇠(20)의 돌출단(21)으로부터 제1 홈(14)의 위치가 이탈되는(헛돌아버리는) 현상 또는 이러한 현상이 심화되어 제1 몸체(11)의 제1 홈(14)이 버팀쇠(20)의 돌출단(21)으로부터 빠져버림에 따라 대형의 안전사고 및 인명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지극히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지지단(12)의 형성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이어서 살피면, 도1을 기준하여 제1 몸체(11)의 좌우에는 바팀쇠(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볼트(30)와 제2 볼트(30a)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구멍(13) 및 도2와 같이 제1 볼트(30)와 제2 볼트(30a)의 나사부가 조립되는 나사구멍(13a)이 형성되는데, 볼트관통구멍(13)과 나사구멍(13a)은 동심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지지쇠(10)는 상기 선 등록 특허와는 달리 너트가 없이 볼트만으로 버팀쇠(20)에 고정될 수 있다는 중요한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데, 너트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작업자는 매우 편하고 신속하게 러그 작업을 할 수가 있고 너트 또는 너트 및 볼트를 추락시킬 확률이 크게 감소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선 등록 특허에서 볼트와 너트를 동시에 사용함에 따른 문제와 폐단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다시 이어서 살피면, 도면과 같이 제1 몸체(11)의 틈새(15)의 아래쪽 좌우에는 제1 몸체(11)를 버팀쇠(20)에 끼울 때 버팀쇠(20)와 중량물(40)에 형성된 용접부(50)에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 홈(16)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홈(16)과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버팀쇠(20)의 세로부가 삽입될 수 있는 틈새(15)가 형성되고, 상기 틈새(15)와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상기 버팀쇠(20)의 돌출단(21)이 삽입되는 제1 홈(14)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1 홈(14)과 틈새(15) 그리고 제 2홈(16)은 도면과 같이 제1 몸체(11)의 전체 길이에 걸쳐 관통식으로 형성이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선 등록 특허의 구조와 또 다른 것인데, 이와 같이 제1 홈(14)과 틈새(15) 그리고 제 2홈(16)을 관통식으로 형성을 시키게 되면 1종류의 절삭공구만을 사용하여 간단한 1회의 작업으로 제1 홈(14)과 틈새(15) 그리고 제 2홈(16)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선 등록 특허에 비하여 제작이 간단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작업성 또한 크게 향상되는 특징을 가지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에 더하여 제1 몸체(11)에 제1 홈(14)과 틈새(15) 그리고 제 2홈(16)이 관통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버팀쇠(20)는 앞뒤로 라운딩부(22)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1 몸체(11)를 버팀쇠(20)의 좌측 혹은 우측, 어느 방향에서든 가장 편하고 신속하게 버팀쇠(20)에 체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선 등록 특허에 비하여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고 편리하며 러그 작업이 단축되는 특징도 대두되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보충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쇠(10)와 버팀쇠(20)의 사용 요령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지지쇠(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크레인의 후크 또는 와이어로프(60)에 체결이 되어 있다. 이때, 제1 몸체(11)의 볼트관통구멍(13)에는 제1 볼트(30)와 제2 볼트(30a)가 관통된 채 나사구멍(13a)에 결합이 되어 있으며 너트는 없 다.
이어서 지지쇠(10)를 중량물(40)에 용접으로 고정된 버팀쇠(20)에 끼우게 되는데, 작업자가 판단하여 버팀쇠(20)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볼트 즉, 제1 볼트(30) 혹은 제2 볼트(30a) 중에서 하나를 나사구멍(13a)으로부터 풀어낸다. 이와 같이 볼트가 풀린 쪽은 제1 홈(14)과 틈새(15), 제2 홈(16)이 개방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도6은 제1 볼트(30)를 풀어내고 제1 몸체(11)를 버팀쇠(20)에 끼우는 요령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6과 같은 상태에서 제1 몸체(11)를 버팀쇠(20)를 향하여 전진시키면 버팀쇠(20)는 도7과 도8처럼 제1 몸체(11)의 제1 홈(14)과 틈새(15) 안으로 삽입되는데, 제2 볼트(30a)가 제1 몸체(11)에 조립되어 있으므로 지지쇠(10)는 버팀쇠(20)의 중앙에서 도7과 같이 정지하게 된다.
이때, 제1 몸체(11)의 지지단(12)의 저면은 중량물(40)의 표면과 가볍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은 당연하다.
이어서, 앞서 제1 몸체(11)에서 분리시켰던 제1 볼트(30)를 다시 제1 몸체(11)에 간단히 조립을 시키면 도7과 같이 인양을 위한 러그 작업은 간단히 종료가 되며 안전한 인양작업을 도모할 수가 있는 것인데, 제1 몸체(11)에 조립되어 있던 제1 볼트(30)를 먼저 풀어서 위와 같이 제1 몸체(11)를 버팀쇠(20)에 체결시킬 수도 있고, 제2 볼트(30a)를 먼저 풀고 제1 볼트(30)는 남겨둔 채 위와 같이 제1 몸체(11)를 버팀쇠(20)에 체결시킬 수 있는 것은 당연한 이치인 바, 본 발명의 지지쇠(10)는 선 등록 특허에서 러그본체(100)와 결합돌기부(106)를 한 방향으로만 체결할 수 있는 한계성을 탈피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러그 작업을 하 기에 가장 편한 방향의 볼트를 풀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편하고 간단하게 러그 작업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볼트(30) 또는 제2 볼트(30a)는 제1 몸체(11)가 버팀쇠(20) 상에서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순한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것이고 중량물 인양 시 중량물의 하중과는 거의 관계가 없기 때문에 제1 몸체(11)에 안전하게 조립만 되어 있으면 제 기능을 다하므로 선 등록 특허와 같이 너트를 같이 사용할 이유가 전혀 없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러그 작업을 종료하고 지지쇠(10)를 버팀쇠(2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역시 어느 한 쪽의 볼트 즉, 제1 볼트(30) 또는 제2 볼트(30a) 중에서 작업자가 편하게 선택한 쪽의 볼트를 풀고 제지쇠(10)를 버팀쇠(20)로부터 분리시킨 후 풀었던 볼트를 다시 나사구멍에 조립을 시켜두면 되므로 역시 너트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른 작업의 편리성과 안전성 그리고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너트를 분실하여 작업시간이 지체되거나 너트 또는 너트 및 볼트를 추락시켜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예가 거의 소멸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살핀다.
이는 도12를 통해 구조를 일목요연하게 알 수가 있는데,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즉, 제1 실시예의 제2 몸체(17)는 제1 몸체(11)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채 제1 몸체(11)의 상면에 용접으로 고정이 되는 반면, 제2 실시예에서의 제2 몸체(17a)는 도면과 같이 제1 몸체(11)의 중앙에서 제1 몸체(11)와 직교하는 크로스 타입으로 용접 고정이 되는 차이가 있고 나머지의 구조는 동일하 며, 동일한 버팀쇠(20)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의 경우, 제2 몸체(17a)가 제1 몸체(11)와 직교한 채 용접으로 고정이 되어 있어서, 중량물을 인양할 때 제1 몸체(11)의 제1 홈(14)이 벌어지려고 하는 현상을 좀 더 억제시켜 준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에 비하여 다소 더 무거운 중량을 지탱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충분히 합당한 이유를 가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국내의 H 중공업(주) 조선기술부로 본 발명의 기술로 제작된 샘플 및 관련 자료 전체를 제시하였던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업계에서 요구하는 러그의 필요충분조건을 모두 갖춘 러그로 승인을 받게 되었으며, 이를 H 중공업(주) 조선기술부에서 현재 제작하고 있는 벌크선 선주에게 제시하고 사용을 승인받게 되었고, 나아가 상기 벌크선의 선주(덴마크의 라테리첸)를 포함하여 일본의 "K-line" 과 그리스의 "로스" 로부터 사용 승인을 받게 되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쇠를 정면을 기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쇠를 배면을 기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도1을 기준한 저면도.
도4는 도1에서 중앙을 세로로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도1에서 구멍(13)을 기준하여 세로로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지지쇠를 버팀쇠에 체결하는 요령을 나타낸 참고도.
도7은 본 발명의 지지쇠를 버팀쇠에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8은 도7을 기준한 우측면도.
도9는 본 발명에서 지지단(12)이 생략된 상태에서 중량물을 경사지게 인양하는 상태 및 지지쇠가 버팀쇠로부터 벗겨지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버팀쇠를 나타낸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버팀쇠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쇠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13은 선 등록 특허 제0940931호의 러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4는 선 등록 특허 제0940931호의 러그가 체결된 상태에서의 종단면도.
도15는 선 등록 특허 제0940931호의 러그가 체결된 상태에서의 다른 방향으로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Claims (2)
- 길이방향 좌우로는 지지쇠(10)를 끼워서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단(21)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앞뒤의 끝 부분에는 지지쇠(10)를 신속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라운딩부(22)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중량물의 표면에 안전하게 용접을 하기 위한 모따기부(23)가 대칭으로 형성되며, "T" 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 채 직육면체의 형태를 띠는 버팀쇠(20)와;인양로프 또는 인양 후크가 관통되는 구멍(18)이 형성되고 제1 몸체(11)와 평행한 방향으로 용접으로 고정되는 제2 몸체(17) 및,외부 중앙의 좌우로는 중량물을 경사지게 인양할 때 옆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단(12)이 형성되고,좌우에는 버팀쇠(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볼트(30)와 제2 볼트(30a)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구멍(13) 및 제1 볼트(30)와 제2 볼트(30a)의 나사부가 조립되는 나사구멍(13a)이 형성되며,버팀쇠(20)에 끼울 때 버팀쇠(20)와 중량물에 형성된 용접부에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 홈(16)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대칭으로 형성되고,상기 제2 홈(16)과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버팀쇠(20)가 삽입될 수 있는 틈새(15)가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되어 형성되며,상기 틈새(15)와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상기 버팀쇠(20)의 돌출단(21)이 삽입되는 제1 홈(14)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된 제1 몸체(11)로 된 지지쇠(10)와;상기 지지쇠(10)를 상기 버팀쇠(20)에 끼워서 조립시켰을 때 상기 버팀쇠(20)가 지지쇠(10) 안에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제1 볼트(30) 및 제2 볼트(30a)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용 러그.
- 길이방향 좌우로는 지지쇠(10)를 끼워서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단(21)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앞뒤의 끝 부분에는 지지쇠(10)를 신속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라운딩부(22)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중량물의 표면에 안전하게 용접을 하기 위한 모따기부(23)가 대칭으로 형성되며, "T" 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 채 직육면체의 형태를 띠는 버팀쇠(20)와;인양로프 또는 인양 후크가 관통되는 구멍(18)이 형성되고 제1 몸체(11)와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접으로 고정되는 제2 몸체(17a) 및,외부 중앙의 좌우로는 중량물을 경사지게 인양할 때 옆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단(12)이 형성되고,좌우에는 버팀쇠(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볼트(30)와 제2 볼트(30a)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구멍(13) 및 제1 볼트(30)와 제2 볼트(30a)의 나사부가 조립되는 나사구멍(13a)이 형성되며,버팀쇠(20)에 끼울 때 버팀쇠(20)와 중량물에 형성된 용접부에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 홈(16)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대칭으로 형성되고,상기 제2 홈(16)과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버팀쇠(20)가 삽입될 수 있는 틈새(15)가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되어 형성되며,상기 틈새(15)와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상기 버팀쇠(20)의 돌출단(21)이 삽입되는 제1 홈(14)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된 제1 몸체(11)로 된 지지쇠(10)와;상기 지지쇠(10)를 상기 버팀쇠(20)에 끼워서 조립시켰을 때 상기 버팀쇠(20)가 지지쇠(10) 안에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제1 볼트(30) 및 제2 볼트(30a)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용 러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3632A KR20120061707A (ko) | 2010-12-03 | 2010-12-03 | 중량물 인양용 러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3632A KR20120061707A (ko) | 2010-12-03 | 2010-12-03 | 중량물 인양용 러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1707A true KR20120061707A (ko) | 2012-06-13 |
Family
ID=4661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3632A KR20120061707A (ko) | 2010-12-03 | 2010-12-03 | 중량물 인양용 러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61707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5986B1 (ko) * | 2013-05-28 | 2014-07-08 | (주)파일테크 | 회수 가능한 복합말뚝용 인양구와 이를 이용한 복합말뚝 매립공법 |
KR20160115310A (ko) * | 2015-03-26 | 2016-10-06 | (주)디팜스테크 | 처짐 및 편심 방지에 의한 정밀 조립구조를 갖는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 |
KR20200085714A (ko) * | 2018-07-17 | 2020-07-15 | 양한규 | 리프팅 러그 조립체 |
KR102424505B1 (ko) | 2022-04-19 | 2022-07-25 | 유한회사 신아개발 |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보조장치 |
-
2010
- 2010-12-03 KR KR1020100123632A patent/KR2012006170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5986B1 (ko) * | 2013-05-28 | 2014-07-08 | (주)파일테크 | 회수 가능한 복합말뚝용 인양구와 이를 이용한 복합말뚝 매립공법 |
KR20160115310A (ko) * | 2015-03-26 | 2016-10-06 | (주)디팜스테크 | 처짐 및 편심 방지에 의한 정밀 조립구조를 갖는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 |
KR20200085714A (ko) * | 2018-07-17 | 2020-07-15 | 양한규 | 리프팅 러그 조립체 |
KR102424505B1 (ko) | 2022-04-19 | 2022-07-25 | 유한회사 신아개발 |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보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58499B2 (ja) | 交換可能なせん断穿孔チップ | |
US20110225829A1 (en) | Heavy duty configurable shear crusher demolition tool | |
KR20120061707A (ko) | 중량물 인양용 러그 | |
US8231071B2 (en) | Blade set for jaws used in rail breaking demolition equipment | |
US8371049B2 (en) | Ripper blade for use on hydraulic arm and method for storage tank demolition | |
CA2875260A1 (en) | Interlocking tip for demolition and construction equipment | |
EP0804312A4 (ko) | ||
CN212249144U (zh) | 可周转双肋式悬挑钢梁固定装置 | |
KR20130110467A (ko) | 선박의 수직 브라켓 취부용 지그 | |
KR20120040629A (ko) | 중량물 인양용 러그 | |
CN113134723B (zh) | 用于棒线冷剪机更换冷剪刀具的组件、系统及方法 | |
CN212893419U (zh) | 一种新型卸扣装置 | |
CN108723455A (zh) | 一种硬质合金铣刀 | |
CN211846839U (zh) | 一种预制柱吊装装置 | |
CN211736295U (zh) | 可拆卸式多功能高强螺栓施工平台装置 | |
CN213509518U (zh) | 型钢悬挑脚手架立杆定位装置 | |
KR200467302Y1 (ko) | 안전난간용 난간지주 | |
CN201991211U (zh) | 圆管锁紧十字扣 | |
CN218076041U (zh) | 便携式安全带挂钩固定装置 | |
CN205527280U (zh) | 冷轧分切剪剪刃更换装置 | |
CN217972196U (zh) | 机床工作台吊运工装 | |
CN220098307U (zh) | 一种剪刃吊运工装 | |
CN211028322U (zh) | 一种加强型耐变形的箱式剪上刀座 | |
CN219506784U (zh) | 一种车间废料收集箱 | |
CN118219216B (zh) | 打捞拆除水下施工用钢圆筒的水下快速穿销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