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0629A - 중량물 인양용 러그 - Google Patents

중량물 인양용 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0629A
KR20120040629A KR1020100102698A KR20100102698A KR20120040629A KR 20120040629 A KR20120040629 A KR 20120040629A KR 1020100102698 A KR1020100102698 A KR 1020100102698A KR 20100102698 A KR20100102698 A KR 20100102698A KR 20120040629 A KR20120040629 A KR 20120040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e
hole
heav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돈
정장훈
최승열
최창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조주식회사
최승열
최창수
정장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조주식회사, 최승열, 최창수, 정장훈 filed Critical 한국단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2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0629A/ko
Publication of KR2012004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 인양용 러그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 좌우로는 지지쇠(10)를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단(21)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앞뒤의 끝 부분에는 라운딩부(22)가 형성되고,
"T" 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 채 직육면체의 형태를 띠며,
상기 돌출단(21)의 반대쪽 면(面)이 중량물의 표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버팀쇠(20)와;
중앙부 상측으로는 인양로프 또는 인양 후크가 관통되는 구멍(12)이 형성되고,
아래쪽 좌우로는 보강턱(11)(11a)이 형성되도록 하되 한 쪽의 보강턱(11a)에는 지지쇠 이탈방지수단이 관통하는 지지쇠 이탈방지수단 관통 구멍(13)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버팀쇠(20)와 중량물과의 용접부와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 홈(16)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은 상기 버팀쇠(20)에 끼울 수 있도록 개방되며 그 반대쪽은 상기 버팀쇠(20)가 접촉되어 막히도록 하고,
상기 제2 홈(16)과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버팀쇠(20)가 삽입될 수 있는 틈새(15)가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은 상기 버팀쇠(20)에 끼울 수 있도록 개방되며 그 반대쪽은 상기 버팀쇠(20)가 접촉되어 막히도록 하며,
상기 틈새(15)와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상기 버팀쇠(20)의 돌출단(21)이 삽입되는 제1 홈(14)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은 상기 버팀쇠(20)에 끼울 수 있도록 개방되며 그 반대쪽은 상기 버팀쇠(20)가 접촉되어 막히도록 한 1개의 지지쇠(10)와;
상기 지지쇠(10)를 상기 버팀쇠(20)에 끼워서 조립시켰을 때 상기 지지쇠 이탈방지수단 관통 구멍(13) 안으로 관통되어 고정됨으로써 버팀쇠(20)로부터 지지쇠(10)가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지지쇠 이탈방지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러그

Description

중량물 인양용 러그{Lug assembly for Heavy-weight Block}
.
본 발명은 중량물 인양용 러그에 관한 것으로, 주로 조선소 등에서 선박의 블록(Block)을 인양하여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기타 철재로 된 중량물을 인양하여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조선소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중량물 인양용 러그는, 산소 절단기를 이용하여 두꺼운 철판을 직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형태로 절단하고 그 중앙에 인양 로프나 후크를 걸 수 있는 구멍을 뚫어서 된 재래식의 러그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재래식 러그는 수 백 년 전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다.
한편, 상술한 재래식 러그는 블록을 제 위치에 탑재하여 용접으로 조립시킨 다음 산소 절단기 등으로 절단하고 그라인딩을 하여 가능한 한 블록의 표면에 러그의 잔존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의 재래식 러그를 산소 절단기로 하방 부분을 절단 할 때 블록과의 용접된 부분으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절단을 하고 이어서 그라인딩 작업을 가하여 러그의 잔존 부분과 용접부를 깨끗이 그라인딩을 하여야 하는데, 이미 탑재가 된 블록은 크기가 대형이고 3차원적인 입체 구조를 띠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러그를 제거하고 마무리 작업을 가하기 위해서는 비계를 설치하거나 작업자가 로프를 타고 매달려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관계로 작업성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은 물론 작업 효율이 저조하고 안전사고가 발생될 소지가 높은 문제와 함께 비계 설치 및 제거작업을 포함하여 러그의 제거 및 마무리 작업을 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장비와 인원, 시간 등의 면에서 매우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함께 짧은 길이로 절단된 재래식 러그는 다시 사용을 하지 못하고 고철로 처리가 되며 항상 새로운 러그를 제작하여서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경제적인 면도 간과될 수 없는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재래식 러그의 문제와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고 하는 선박용 러그가 발명되었고 이는 특허 제0830188호(이하 선 등록 특허라 함)로 등록이 되어 있으며, 도14와 도15는 대표 도면에 해당하고 도16과 도17은 본 발명인에 의해 실제로 제작된 상기 선 등록 특허의 선박용 러그를 촬영한 사진인 바, 도14는 상기 선 등록 특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15는 이들을 조립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16과 도17은 실제로 현물로 제작한 상태의 걸림판(300)과 베이스 지지판(200)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 사진 및 베이스 지지판(200)의 사시 사진이다.
그리고 상기 선 등록 특허의 청구범위를 살피면, 청구항 1에서, 선박의 블록에 결합되는 판재로, 길이방향 양측부에는 지지돌기(210)가 마련된 베이스 지지판(200)과;
상호 대응되게 접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 지지판(200)에 걸림되는 한 쌍의 판재로, 크레인의 훅이 걸림되는 고리걸림공(310)과, 일단부가 상방 절곡된 "ㄴ" 자 형상을 가지며, 외측부에는 절곡된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리브(340)가 결합 구비되고, 하부 모서리에는 걸림고정볼트(600) 및 걸림고정볼트(600)가 삽입되는 걸림고정볼트삽입공(331)이 마련된 걸림요홈(330)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부에는 상기 베이스 지지판(200)을 선박의 블록에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 용접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용접부공간홈(350)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지지판(200)의 지지돌기(210)에 대응되는 지지홈(320)이 형성된 걸림판(300) 및,
한 쌍의 상기 걸림판(300)을 상호 접한 상태로 결합시켜, 상기 베이스 지지판(200)의 지지돌기(210)와 상기 걸림판(300)의 지지홈(320)이 상호 대응되게 체결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주체결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러그로 되어 있는 바, 여기서 주체결기재는 볼트(400)와 너트이고 상기 베이스 지지판(200)의 지지돌기(210)의 중앙에는 끼움홈(230)이 대칭으로 형성이 되어 있고, 상기 걸림판(300)의 안쪽에는 상기 끼움홈(230)에 삽입되는 끼움돌기(37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선 등록 특허의 대표 도면인 도14와 도15를 살피면, 체결판(300)들의 각 귀퉁이에 걸림요홈(330)을 형성시키고 상기 걸림요홈(330)에 걸림고정볼트 삽입공(331)을 형성시켰으며, 상기 걸림요홈(330)에는 고정보조판(500)을 끼워 넣고 고정보조판(500)은 선박의 블록에 용접을 한 다음, 고정보조판(500)이 이탈되지 않도록 다시 걸림고정볼트(600)를 각각 조립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 등록 특허의 각 종속항에는 걸림판(300)과 베이스 지지판(200)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변형예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과는 하등의 연관성이 없어 기재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과 같은 선 등록 특허는, 양측에 지지돌기(210)가 형성되고 지지돌기(210)의 중앙에 끼움홈(230)이 대칭으로 형성된 베이스 지지판(200)의 저면부를 선박의 블록에 용접시킨 다음, 걸림판(300)을 베이스 지지판(200)의 양측에서 접근시킴과 아울러 걸림판(300)에 형성된 끼움돌기(370)를 베이스 지지판(200)에 형성된 끼움홈(230) 안으로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걸림판(300)의 지지홈(320) 안으로 베이스 지지판(200)의 지지돌기(210)가 삽입되도록 하여 2개의 걸림판(300)을 베이스 지지판(200)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어서 볼트(400)와 너트를 이용하여 2개의 걸림판(300)을 고정시키면 사용을 위한 조립이 종료되는데, 고정보조판(500)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과 발명인은 상기 선 등록 특허의 권리자와 상기 선 등록 특허의 기술에 대하여 3년간의 제작 및 판매에 대한 독점계약을 체결한 즉시, 8톤과 16톤을 기준하여 설계를 하고 샘플을 제작하여 2010. 7. 7일자, 현대중공업(주)에 납품하고자 현대중공업(주) 조선사업부 책임자와 면담을 한 결과, 1)안전강도계산 및 시험인증을 요구하였으며, 2)경사면과 곡면 적용시의 대책을 요구하였고, 3)인상각도는 10° ?30°가 되어야 한다는 등의 요구가 있었다.
다시, 2010. 7. 9일자 면담에서는, 1)안전성과 경제성이 검토되어야 하며, 2)기존 사용하고 있는 러그(재래식)에 비하여 중량이 너무 무겁다는 결론이 있었고 결국 8톤 타입을 현장 적용 시험을 실시하여 보자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다시, 2010. 7. 13일자에 현대중공업(주) 조선기술부로부터 8톤 러그에 대한 시험을 2010. 7. 15 ? 16일 경, 실시하자는 통보를 받게 되었으며, 2010. 7. 16일자, 약 25톤의 중량이 나가는 철판의 네 귀퉁이에 8톤 타입의 선 등록 특허의 러그를 고정시키고 수평인상시험을 수 회 이상 반복 실시를 함과 아울러 10° ?30°의 경사 인상시험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였다.
여기서 상술한 시험에서의 문제점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1)기존의 러그에 비하여 중량이 무거워서 지상 또는 고소작업 시 위험성이 높고, 2)2개의 걸림판(300)을 베이스 지지판(200)에 결합시키는 볼트(400)와 너트의 조임작업이 번거로우며, 3)해당 작업자들에게 일일이 볼트조임용 공구를 별도로 지급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4)1차로 상기 볼트(400)와 너트를 조인 후 대형의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2차로 조임상태 확인을 위한 실명제를 실시하여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으며, 5)볼트(400)와 너트의 조임강도가 일정하게 표준관리가 되어야만 하는 중대한 문제가 있고(이유; 볼트의 조임력이 항상 일정하지 못하면 대형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임), 6)특히, 고소작업 시 볼트와 너트를 일정한 강도로 조여서 결합시키는데 문제가 있어서 결국 현장적용이 불가하다는 통보를 받게 되었다.
다시, 2010. 7. 16일자의 위와 같은 실험 결론에 이어서, 1)경량화 및 간편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2)볼트를 일정한 강도로 조여야만 하는 방식을 탈피해야 하고, 3)볼트를 조여서 2개의 걸림판을 조립하는 방식이 좋지 못하며, 4)걸림판(300) 의 조립 및 해체작업이 불편하여 좋지 못하고, 5)가능하면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 및 해체를 할 수 있어야 하고, 6)베이스 지지판(200)의 길이가 더욱 짧아야만 블록으로부터 제거를 시키지 않을 수 있으며, 7)베이스 지지판(200)의 길이가 길어서 용접 길이가 길고 비경제적이라는 등의 지적과 함께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러그를 요구하였다.
참고로, 위와 같이 제시된 선 등록 특허 즉, 도16과 도17의 러그에 있어서, 걸림판(300)의 높이는 180mm, 길이는 230mm, 폭은 100mm, 무게는 9.2Kg(2개)이고 재질은 S45C(단조강)로 하여 제작하였으며, 베이스 지지판(200)의 높이는 25mm, 길이는 250mm, 폭은 20mm, 무게는 1.2Kg이며 재질은 S25C(단조강)로 하여 제작을 하였는데, 이러한 사양은 8톤용을 기준하여 설계에 의해 정해진 것임을 밝힌다.
다시 2010. 8. 10일, 결국 본 발명인은 상기 선 등록 특허품의 문제와 단점을 해결한 본 발명의 러그를 발명하고 샘플을 제작한 다음, 현대중공업(주) 조선기술부로 본 발명의 기술로 제작된 샘플 및 관련 자료 전체를 제시하였던 바, 상술한 선 등록 특허의 문제와 단점을 완전히 해결한 러그로 승인을 받게 되었으며, 이를 현대중공업(주) 조선기술부에서 벌크선 선주에게 제시하고 사용을 승인받게 되었고, 3톤 타입과 8톤 타입에 대한 견적서를 제출하였으며, 나아가 상기 벌크선의 선주(덴마크의 라테리첸)를 포함하여 일본의 "K-line" 과 그리스의 "로스" 로부터 사용 승인을 받게 되었다.
한편, 도16을 살피면, 상기 선 등록 특허의 복잡한 구성상의 문제로 인하여 고정보조판(500)과 걸림고정볼트(600)가 없는 구조로 샘플을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고정보조판(500)과 걸림고정볼트(600)가 있는 타입은 아예 현대중공업(주)에서 제시받기를 거부하였기 때문이다.
이상의 사실을 요약해 보면, 상기 선 등록 특허는 상술한 바와 같은 많은 문제와 단점을 안고 있어 실제 제품으로 적용될 수가 없었음을 밝힌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선 등록 특허 제0830188호로부터 비롯된 문제와 단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중량물 인양용 러그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 실시예]
길이방향 좌우로는 지지쇠(10)를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단(21)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앞뒤의 끝 부분에는 라운딩부(22)가 형성되고,
"T" 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 채 직육면체의 형태를 띠며,
상기 돌출단(21)의 반대쪽 면(面)이 중량물의 표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버팀쇠(20)와;
중앙부 상측으로는 인양로프 또는 인양 후크가 관통되는 구멍(12)이 형성되고,
아래쪽 좌우로는 보강턱(11)(11a)이 형성되도록 하되 한 쪽의 보강턱(11a)에는 지지쇠 이탈방지수단이 관통하는 지지쇠 이탈방지수단 관통 구멍(13)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버팀쇠(20)와 중량물과의 용접부와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 홈(16)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은 상기 버팀쇠(20)에 끼울 수 있도록 개방되며 그 반대쪽은 상기 버팀쇠(20)가 접촉되어 막히도록 하고,
상기 제2 홈(16)과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버팀쇠(20)가 삽입될 수 있는 틈새(15)가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은 상기 버팀쇠(20)에 끼울 수 있도록 개방되며 그 반대쪽은 상기 버팀쇠(20)가 접촉되어 막히도록 하며,
상기 틈새(15)와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상기 버팀쇠(20)의 돌출단(21)이 삽입되는 제1 홈(14)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은 상기 버팀쇠(20)에 끼울 수 있도록 개방되며 그 반대쪽은 상기 버팀쇠(20)가 접촉되어 막히도록 한 1개의 지지쇠(10)와;
상기 지지쇠(10)를 상기 버팀쇠(20)에 끼워서 조립시켰을 때 상기 지지쇠 이탈방지수단 관통 구멍(13) 안으로 관통되어 고정됨으로써 버팀쇠(20)로부터 지지쇠(10)가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지지쇠 이탈방지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쇠 이탈방지수단은,
볼트와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실시예]
길이방향 좌우로는 지지쇠(10b)를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단(21)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앞뒤의 끝 부분에는 라운딩부(22)가 형성되고,
"T" 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 채 직육면체의 형태를 띠며,
상기 돌출단(21)의 반대쪽 면(面)이 중량물의 표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버팀쇠(20)와;
중앙부 상측으로는 인양로프 또는 인양 후크가 관통되는 구멍(12)이 형성되고,
아래쪽 좌우로는 보강턱(11)이 형성되도록 하되 한 쪽의 보강턱에는 지지쇠 이탈방지수단이 관통하는 지지쇠 이탈방지수단 관통 구멍(13)이 형성되고 나머지 한 쪽의 보강턱에는 지지쇠 멈춤수단 관통 구멍(13a)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버팀쇠(20)와 중량물과의 용접부와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 홈(16)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되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2 홈(16)과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버팀쇠(20)가 삽입될 수 있는 틈새(15)가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틈새(15)와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상기 버팀쇠(20)의 돌출단(21)이 삽입되는 제1 홈(14)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되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한 1개의 지지쇠(10b)와;
상기 지지쇠(10b)를 상기 버팀쇠(20)에 끼워서 조립시켰을 때 상기 지지쇠 이탈방지수단 관통 구멍(13) 안으로 관통되어 고정됨으로써 버팀쇠(20)로부터 지지 쇠(10b)가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지지쇠 이탈방지수단과;
상기 지지쇠(10b)를 상기 버팀쇠(20)에 끼워서 조립시켰을 때 상기 지지쇠 멈춤수단 관통 구멍(13a) 안으로 관통되어 고정됨으로써 버팀쇠(20)로부터 지지쇠(10b)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지지쇠 멈춤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쇠 이탈방지수단과 지지쇠 멈춤수단은,
볼트와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선 등록 특허 제0830188호로부터 비롯되었던 모든 문제와 단점을 해결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근거로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으로 도시된 구조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들에 해당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발명의 목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기술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고 이러한 균등기술과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예속되는 것임은 당연한 것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의 균등기술과 변형예라 함은, 본 발명의 도면에 나타난 구조에서 부분적인 형태 변화를 가하거나 또는 치수를 증가 혹은 감소시키거나 또는 부품의 숫자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재질을 변화시키거나 또는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또는 본 발명과 동일한 작용 아래 후술되는 볼트와 너트를 고정 핀과 분할 핀(혹은 스냅링)으로 바꾸거나 또는 볼트의 조립 위치를 바꾸는 등의 균등론적인 범위에 있는 것이거나 하위개념에 해당하는 구조 변화와 기술 변화를 말하는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살피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1과 도2, 도3, 도4, 도5, 도6, 도7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버팀쇠(20)와 지지쇠(10), 볼트(30)와 너트(31)를 제시하고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버팀쇠(20)를 살피면, 이는 단조강을 재질로 선택하게 되는데, 지지쇠(10)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단조강을 재질로 선택하는 것이 좋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적합한 재질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는 도면과 같이 길이방향 좌우로는 지지쇠(10)를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단(21)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돌출단(21)에는 어떠한 홈이나 돌기 등이 없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도면과 같이 앞뒤의 끝 부분에는 지지쇠(10)의 제1 홈(14)과 틈새(15) 안으로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라운딩부(22)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라운딩부(22) 대신에 면취부를 형성시켜도 무방할 것이다.
이는 도면과 같이 "T" 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 채 직육면체의 형태를 띠며, 상기 돌출단(21)의 반대쪽 면(面) 즉, 바닥 면의 가장자리가 도면과 같이 중량물(예: 선박의 블록 등)의 표면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다음 본 발명의 지지쇠(10)를 살핀다.
이는 도면과 같이 중앙부 상측으로는 인양로프 또는 인양 후크가 관통되는 구멍(12)이 형성되고, 아래쪽 좌우로는 보강턱(11)(11a)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보강턱(11)(11a)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중량물을 인양할 때 지지쇠(10)의 양쪽 끝 부분에 균열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고, 나아가 한쪽의 보강턱(11a)에는 수평으로 관통되는 지지쇠 이탈방지수단 관통 구멍(13)이 형성되기 때문에 강도의 보강 차원에서 보강턱(11)(11a)의 부가 구성은 없는 것에 비하여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버팀쇠(20)와 중량물과의 용접부와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 홈(16)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는데, 버팀쇠(20)가 중량물(4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특히, 선박의 블록인 경우 용접을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용접부(50)가 형성이 되면 지지쇠(10)를 버팀쇠(20)에 끼워서 조립시킬 때 용접부(50)로 인하여 지지쇠(10)가 버팀쇠(20)에 용이하게 조립이 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이 제2 홈(16)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다음, 상기 지지쇠(10)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도면 특히, 도5와 같이 일측은 상기 버팀쇠(20)에 끼울 수 있도록 개방되며 그 반대쪽은 상기 버팀쇠(20)가 접촉되어 막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쇠(10)의 개방부를 통해 버팀쇠(20)에 끼우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정해진 위치에서 지지쇠(10)가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상기 제2 홈(16)과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버팀쇠(20)가 삽입될 수 있는 틈새(15)가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은 상기 버팀쇠(20)에 끼울 수 있도록 개방되며 그 반대쪽은 상기 버팀쇠(20)가 접촉되어 막히도록 하며, 상기 틈 새(15)와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상기 버팀쇠(20)의 돌출단(21)이 삽입되는 제1 홈(14)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은 상기 버팀쇠(20)에 끼울 수 있도록 개방되며 그 반대쪽은 상기 버팀쇠(20)가 접촉되어 막히도록 된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다음, 상기 지지쇠(10)를 상기 버팀쇠(20)에 끼워서 조립시켰을 때 상기 지지쇠 이탈방지수단 관통 구멍(13) 안으로 볼트(30)를 끼우고 너트(31)를 가볍게 조립하면 되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볼트(30)와 너트(31)는 지지쇠 이탈방지수단으로 표현시키고 있다.
이상과 같이 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구멍(12)에 인양 로프(60)를 체결하여 두거나 또는 인양 로프의 끝에 고정되어 있는 후크를 걸 수가 있는 것인 바, 어떠한 경우가 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도8과 같이 버팀쇠(20)를 중량물(40)의 표면에 용접을 시킨 다음, 지지쇠(10)의 개방부를 버팀쇠(20) 쪽으로 향하게 하면서 버팀쇠(20)의 돌출단(21)이 지지쇠(10)의 제1 홈(14) 안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버팀쇠(20)는 틈새(15) 안으로 삽입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이와 같이 지지쇠(10)를 버팀쇠(20)에 삽입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쇠(10)의 일측은 막혀 있기 때문에 도9와 같이 지지쇠(10)는 버팀쇠(20) 상(上)에서 더 전진을 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이때, 지지쇠 이탈방지수단 관통 구멍(13) 안으로 볼트(30)를 끼우고 너트(31)를 손으로만 조여서 고정을 시키면 본 발명의 러그는 사용을 할 수가 있게 되는데, 상기 볼트(30)는 도9의 상태에서 지지쇠(10)가 버팀쇠(20)로부터 이탈하지만 못하도록 하는 단순한 역할만을 할 뿐 중량물 인 양에 따른 힘은 받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공구없이 너트(31)를 손으로만 단단히 조여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이다.
이후 인양작업이 종료되면 역시 손으로 너트(31)를 풀고 볼트(30)를 빼 낸 다음, 지지쇠(10)를 버팀쇠(20)로부터 빼 내면 지지쇠(10)의 분리작업이 간단히 이루어지는 바, 지지쇠(10)가 2개가 아니고 하나이며 지지쇠(10)를 버팀쇠(20)와 정확히 맞추어서(선 등록 특허와 같이 돌기와 홈 등) 조립을 한 후 일정한 강도로 2개의 볼트를 너트로 체결하는 것이 아니고 하나로 된 지지쇠(10)를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며 편리하게 버팀쇠(20)에 조립시키거나 및 이후 분해가 되고 공구가 불필요하여 볼트와 너트의 조임강도도 전혀 고려하지 않아도 되며 조립 및 분해의 작업이 까다롭지 않아 전문성이 전혀 불필요하여 작업자 아무나 취급할 수 있고 대형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전혀 없는 등의 다수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지지쇠(10)는 선 등록 특허의 걸림판(300) 그리고 볼트(400) 및 너트의 작용과 실로 큰 차이가 있는 것임을 부인할 수 없다.
여기서 본 발명의 버팀쇠(20)는, 길이가 115mm 이고 돌출단(21)의 폭은 30mm 이며 높이는 24mm 에 불과하기 때문에 상기의 선 등록 특허의 베이스 지지판(200)에 비하여 훨씬 크기가 작고 가벼우며 용접 길이가 대폭 감소가 되어 유리함은 물론 앞뒤로 라운딩부(22)가 형성되어 있어서 특히, 선박일 경우 버팀쇠(20)가 블록에 고정되어 있어도 본 발명의 버팀쇠(20)는 물의 저항이 더욱 작아지고 선박의 중량 증가에 대해 심각한 수준이 아니며 미관상으로도 미려한 특징을 가지게 되는 바, 이는 상기 선 등록 특허의 베이스 지지판(200)과 역시 크게 비교가 되고 차이가 있는 것임을 부인할 수 없는 것이다.
이어서 살피면, 본 발명의 지지쇠(10)는 길이가 154mm 이고 높이는 117mm 이며 폭은 47mm 이고, 중량은 4Kg에 불과하여 도16과 같은 선 등록 특허품에 비하여 중량이 40%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고소작업 시 더욱 안전하고 이동 및 취급이 용이하게 됨은 당연한 이치이고 외관상으로도 미려하며 원-터칙 방식으로 조립 및 분해가 되고 볼트(30)와 너트(31)를 공구를 사용하여 조이거나 풀지 않아도 됨에 따라 작업시간도 매우 단축되는 것이고, 실명제를 통한 볼트조임상태를 확인할 이유등도 소멸되는 것인 바, 물론 지지쇠(10)(10b)는 수명이 다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재사용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살핀다.
이는 도11, 도12, 도13을 통해 구조를 알 수가 있는데,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즉, 제1 실시예의 지지쇠(10)는 한쪽이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은 막혀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지지쇠(10b)는 제1 홈(14)과 틈새(15) 그리고 제2 홈(16)이 길이 전체에 걸쳐 관통이 되어 있다.
그리고 어느 한쪽의 보강턱(11)에는 지지쇠 멈춤수단 즉, 볼트(30a)와 너트의 볼트(30a)가 삽입되는 지지쇠 멈춤수단 관통 구멍(13a)이 형성되고, 그 반대쪽의 보강턱(11)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지지쇠 이탈방지수단 즉, 볼트(30)와 너트의 볼트(30)가 삽입되는 지지쇠 이탈방지수단 관통 구멍(13)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비하여 제작공정이 더욱 간단해지고 사용상의 융통성이 더욱 진보된 장점이 있는데, 제1 실시예의 경우 제1 홈 (14)과 틈새(15) 그리고 제2 홈(16)의 막힌 부분은 기계가공을 통해 신경을 써서 마무리를 해야 하지만,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홈(14)과 틈새(15) 그리고 제2 홈(16)을 커터를 이용하여 바로 관통을 시키면 되기 때문에 제작공정이 더욱 간단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쇠 멈춤수단 관통 구멍(13a)에는 도13과 같이 볼트(30a)를 채우고 너트로 고정을 시켜두면 되고, 이는 파손되거나 부식이 되지 않는 이상 지지쇠(10b)로부터 분해를 할 이유는 없이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제1 실시예와 같이 지지쇠 이탈방지수단의 볼트(30)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보강턱(11)에 각기 볼트(30)(30a)를 체결하고 너트로 고정시켜 두었다가 어떤 쪽의 볼트를 지지쇠로부터 분리시킨 후 버팀쇠에 지지쇠를 체결하고 다시 손으로 조립을 시킨 후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을 할 수가 있다는 의미이다.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한 작용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제2 실시예의 작용에 대한 중복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쇠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쇠를 나타낸 정면도.
도3은 도1의 A-A선 단면도.
도4는 도1의 B-B선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쇠를 나타낸 저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버팀쇠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도6을 기준한 종(縱)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쇠를 버팀쇠에 체결시키는 요령을 나타낸 참고도.
도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쇠를 버팀쇠에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쇠를 버팀쇠에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도 9기준).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쇠와 버팀쇠를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14는 종래 선박용 러그(특허등록 제0830188호)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5는 종래 선박용 러그(특허등록 제0830188호)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16은 종래 선박용 러그(특허등록 제0830188호)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斜視)사진.
도17은 종래 선박용 러그(특허등록 제0830188호)의 베이스 지지판을 나타낸 사시 (斜視)사진.

Claims (4)

  1. 길이방향 좌우로는 지지쇠(10)를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단(21)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앞뒤의 끝 부분에는 라운딩부(22)가 형성되고,
    "T" 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 채 직육면체의 형태를 띠며,
    상기 돌출단(21)의 반대쪽 면(面)이 중량물의 표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버팀쇠(20)와;
    중앙부 상측으로는 인양로프 또는 인양 후크가 관통되는 구멍(12)이 형성되고,
    아래쪽 좌우로는 보강턱(11)(11a)이 형성되도록 하되 한 쪽의 보강턱(11a)에는 지지쇠 이탈방지수단이 관통하는 지지쇠 이탈방지수단 관통 구멍(13)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버팀쇠(20)와 중량물과의 용접부와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 홈(16)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은 상기 버팀쇠(20)에 끼울 수 있도록 개방되며 그 반대쪽은 상기 버팀쇠(20)가 접촉되어 막히도록 하고,
    상기 제2 홈(16)과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버팀쇠(20)가 삽입될 수 있는 틈새(15)가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은 상기 버팀쇠(20)에 끼울 수 있도록 개방되며 그 반대쪽은 상기 버팀쇠(20)가 접촉되어 막히도록 하며,
    상기 틈새(15)와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상기 버팀쇠(20)의 돌출단(21)이 삽입 되는 제1 홈(14)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은 상기 버팀쇠(20)에 끼울 수 있도록 개방되며 그 반대쪽은 상기 버팀쇠(20)가 접촉되어 막히도록 한 1개의 지지쇠(10)와;
    상기 지지쇠(10)를 상기 버팀쇠(20)에 끼워서 조립시켰을 때 상기 지지쇠 이탈방지수단 관통 구멍(13) 안으로 관통되어 고정됨으로써 버팀쇠(20)로부터 지지쇠(10)가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지지쇠 이탈방지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용 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쇠 이탈방지수단은,
    볼트와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용 러그.
  3. 길이방향 좌우로는 지지쇠(10b)를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단(21)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앞뒤의 끝 부분에는 라운딩부(22)가 형성되고,
    "T" 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 채 직육면체의 형태를 띠며,
    상기 돌출단(21)의 반대쪽 면(面)이 중량물의 표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버팀쇠(20)와;
    중앙부 상측으로는 인양로프 또는 인양 후크가 관통되는 구멍(12)이 형성되고,
    아래쪽 좌우로는 보강턱(11)이 형성되도록 하되 한 쪽의 보강턱에는 지지쇠 이탈방지수단이 관통하는 지지쇠 이탈방지수단 관통 구멍(13)이 형성되고 나머지 한 쪽의 보강턱에는 지지쇠 멈춤수단 관통 구멍(13a)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버팀쇠(20)와 중량물과의 용접부와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 홈(16)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되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2 홈(16)과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버팀쇠(20)가 삽입될 수 있는 틈새(15)가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틈새(15)와 연결되는 상측으로는 상기 버팀쇠(20)의 돌출단(21)이 삽입되는 제1 홈(14)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되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한 1개의 지지쇠(10b)와;
    상기 지지쇠(10b)를 상기 버팀쇠(20)에 끼워서 조립시켰을 때 상기 지지쇠 이탈방지수단 관통 구멍(13) 안으로 관통되어 고정됨으로써 버팀쇠(20)로부터 지지쇠(10b)가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지지쇠 이탈방지수단과;
    상기 지지쇠(10b)를 상기 버팀쇠(20)에 끼워서 조립시켰을 때 상기 지지쇠 멈춤수단 관통 구멍(13a) 안으로 관통되어 고정됨으로써 버팀쇠(20)로부터 지지쇠(10b)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지지쇠 멈춤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용 러그.
  4. 제3항에 있어서, 지지쇠 이탈방지수단과 지지쇠 멈춤수단은,
    볼트와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용 러그.
KR1020100102698A 2010-10-19 2010-10-19 중량물 인양용 러그 KR20120040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698A KR20120040629A (ko) 2010-10-19 2010-10-19 중량물 인양용 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698A KR20120040629A (ko) 2010-10-19 2010-10-19 중량물 인양용 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629A true KR20120040629A (ko) 2012-04-27

Family

ID=4614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698A KR20120040629A (ko) 2010-10-19 2010-10-19 중량물 인양용 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06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7071A (zh) * 2016-05-05 2016-08-03 广西桂冠电力股份有限公司大化水力发电总厂 水轮发电机转子磁极键的拆卸方法及拆卸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7071A (zh) * 2016-05-05 2016-08-03 广西桂冠电力股份有限公司大化水力发电总厂 水轮发电机转子磁极键的拆卸方法及拆卸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5912B2 (en) Multi-use firefighting tool
AU2012260425C1 (en) Ground engaging wear member and means of mechanical attachment
US20110225829A1 (en) Heavy duty configurable shear crusher demolition tool
WO2011156834A1 (en) Heel shroud and means of mechanical attachment
KR20120061707A (ko) 중량물 인양용 러그
KR20120040629A (ko) 중량물 인양용 러그
US20160263408A1 (en) Multi-use firefighting tool
EP3296470A1 (en) Replaceable work part for a demolition tool
US20130042570A1 (en) Safety system
CN212249144U (zh) 可周转双肋式悬挑钢梁固定装置
CN205464716U (zh) 一种焊接用接火盆
KR20130110467A (ko) 선박의 수직 브라켓 취부용 지그
CN113134723B (zh) 用于棒线冷剪机更换冷剪刀具的组件、系统及方法
JP3127864U (ja) 柱鉄筋への親綱取付用具
KR101105895B1 (ko) 족장발판용 엣지훅
JP2020182615A (ja) 親綱用仮設支柱
JP6074312B2 (ja) 楔金具の装着具及び楔金具の装着方法
JP6043494B2 (ja) 作業車外装体の組付構造
KR20160079504A (ko) 일체형 전선 바이스 클램프
GB2511543A (en) Scaffolding clamp
KR101642875B1 (ko) 핸드레일 안전 커플러
CN214498412U (zh) 一种专用于飘窗底模板的拆除工具
KR20090009008U (ko) 건축용 갱폼의 프레임
KR200285323Y1 (ko) 고소 작업대 구축용 툴
AU2011200223A1 (en) An Attachment for Mounting Wear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