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869Y1 - 사출기용 취출 로봇 - Google Patents

사출기용 취출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869Y1
KR200432869Y1 KR2020060023981U KR20060023981U KR200432869Y1 KR 200432869 Y1 KR200432869 Y1 KR 200432869Y1 KR 2020060023981 U KR2020060023981 U KR 2020060023981U KR 20060023981 U KR20060023981 U KR 20060023981U KR 200432869 Y1 KR200432869 Y1 KR 200432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injection
robot
injection molding
mo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텍
Priority to KR2020060023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8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8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29C45/4225Take-off members or carriers for the moulded articles, e.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29C45/4208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and driven by the movable mould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2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ejection or removal of moulded article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사출기에 의해 제조된 사출물을 취출하는 로봇에 있어서, 사출기 상부에 고정되는 기대와; 이 기대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전후진가이드부와; 이 전후진가이드부 상을 이동하면서 사출물을 취출하는 그리퍼; 및 기대 내부에 배치되어 전후진가이드부 및 그리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출기용 취출 로봇이 제공된다. 개시된 사출기용 취출 로봇에 따르면, 기대 내부에 제어부를 배치함으로써, 제어부가 종래 사출기용 취출 로봇에 비해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의 조작 및 유지보수 작업이 위험성 없이 한결 용이해지게 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어부를 기대 내부에 배치하여 외부로 크게 돌출되지 않게 되도록 하여 장치 전체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사출, 취출, 로봇, 제어

Description

사출기용 취출 로봇{Drawing Robot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도 1은 종래 로봇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로봇 110...기대
111...공간부 120...제어부
121...거치대 122...제어회로기판
123...케이스 124...작동스위치
125...조작수단
본 고안은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성형기에 의해 제조된 사출물을 취출하는 사출기용 취출 로봇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은 다양한 합성수지 제품을 생산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그 과정은 수지원료의 용융, 충전, 성형, 냉각, 취출 등 의 순서를 거친다. 이러한 공정 중에서 상기 취출 과정은 사출기용 취출 로봇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사출기용 취출 로봇은, 사출기상에 설치되어 사출기에 의해 성형 된 사출물을 취출할 수 있는 위치까지 횡 방향으로 이동하여 취출을 마친 후, 사출물을 소정의 위치, 예를 들면, 이송 컨베이어(미도시) 또는 작업대(미도시) 등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사출성형 과정의 자동화를 위하여 종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사출기용 취출 로봇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종래 사출기용 취출 로봇(10)은, 사출기 상에 고정되는 기대(1)와, 이 기대(1)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전후진가이드부(2)와, 상기 전후진가이드부(2)를 따라 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사출물을 취출하는 그리퍼(3) 및 상기 기대(1)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후진가이드부(2) 및 그리퍼(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사출기용 취출 로봇(10)의 작동을 아래에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사출기(미도시)에서 성형이 완료되어 금형이 개방되면, 대기위치에 있던 그리퍼(3)가 하강 후 전진하여 사출기 내로 진입한 후 사출물을 파지 또는 흡착한 다음, 전후진가이드부(2)를 따라 후진한 후 상승한다. 그런 다음, 전후진가이드부(2)가 회전하고, 그리퍼(3)도 이 전후진가이드부(2)에 따라 회전한 후, 다시 하강하여 취출한 사출물을 이송 컨베이어 또는 작업대 등과 같은 소정의 위치에 놓아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전후진가이드부(2)가 처음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최초 대기위치로 복귀하여 다음의 사출물이 성형 완료될 때까지 대기하게 되며, 이와 같이 사출기에서 사출물을 취출하여 후속되는 작업을 실시하게 될 소정의 위치까지 이송하는 전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사출기용 취출 로봇(10)의 모든 동작은 상기 기대(1) 상부에 배치된 제어부(4)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사출기용 취출 로봇(10)은, 상기 제어부(4)가 기대(1)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으로, 이는 기대(1)가 사출기 상에 고정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제어부(4)가 결국은 상당히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조작 및 유지보수가 번거롭고 위험해지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가 별도의 박스 형태로 기대(1) 상부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구비되므로 제어부(4) 자체가 상당한 크기를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장치 전체의 크기가 대형화되어 장치의 설치에 상당한 공간이 필요하게 되며,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조작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치를 소형화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사출기용 취출 로봇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사출기용 취출 로봇은, 사출기에 의해 제조된 사출물을 취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출기 상부에 고정되는 기대와; 상기 기대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전후진가이드부와; 상기 전후진가이드부 상을 이동하면서 사출물을 취출하는 그리퍼; 및 상기 기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후진가이드부 및 그리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대 내부에는 상기 기대의 측부를 통해 외부와 연통 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대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 상에 설치되는 제어회로기판 및 상기 공간부와 거치대와 제어회로기판을 덮도록 상기 기대 측부에 부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전후진가이드부 및 그리퍼의 작동을 온/오프 하기 위한 작동스위치가 구비되며, 사용자가 전후진가이드부 및 그리퍼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수단이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취출 로봇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출기용 취출 로봇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동일부재를 나타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취출 로봇(100)은, 기대(110)와, 전후진가이드부(2)와, 그리퍼(3)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기대(110)는, 사출기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대(110) 내부에는 이 기대(110)의 측부를 통해 외부와 연통 되는 공간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후진가이드부(2)는 기대(110)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그리퍼(3)는, 전후진가이드부(2) 상을 이동하면서 사출물을 취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전후진가이드부(2) 및 그리퍼(3)는, 상술한 종래 사출기용 취출 로봇의 구성인 전후진가이드부 및 그리퍼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20)는, 기대(110) 내부에 배치되어 전후진가이드부(2) 및 그리퍼(3)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거치대(121)와, 제어회로기판(122) 및 케이스(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대(121)는, 제어회로기판(122)을 거치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어회로기판(122)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취출 로봇(100) 전체의 제어를 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거치대(121) 상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대(121)와 함께 기대(110)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11)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23)는 기대(110) 측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기대(110)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11) 및 이 공간부(111)에 삽입된 거치대(121) 및 제어회로기판(122)을 덮도록, 공간부(111)가 형성된 기대(110) 측부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대(110) 내부에 배치되게 되므로 종래 사출기용 취출 로봇에 비해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및 유지보수 작업이 위험성 없이 한결 용이해지게 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뿐 아니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기대(110)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11)와 같은 공간을 이용하여, 기대(110)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크게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취출 로봇(100)이 그 전체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도 설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더욱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회로기판(122) 및 이를 거치하기 위한 수단인 거치대(121)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될 경우, 상기 케이스(123)가 외부로 아예 돌출될 필요가 없게 되고, 이렇게 되면 제어부(120)의 크기가 더욱 작아져서 공간을 전혀 차지하지 않게 되는 특징이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의 케이스(123) 에는, 상기 전후진가이드부(2) 및 그리퍼(3)의 작동을 온/오프 하기 위한 작동스위치(124)만이 구비되며, 사용자가 전후진가이드부(2) 및 그리퍼(3)의 작동을 세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수단(125)을 별도로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를 통하여 전후진가이드부(2) 및 그리퍼(3)의 작동을 세부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들을 케이스(123)로부터 별도로 분리함으로써, 제어부(120)의 크기를 더욱 소형화하고, 사용자의 사출기용 취출 로봇(100) 제어 조작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출기용 취출 로봇에 의하면, 기대 내부에 제어부를 배치함으로써, 제어부가 종래 사출기용 취출 로봇에 비해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의 조작 및 유지보수 작업이 위험성 없이 한결 용이해지게 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어부를 기대 내부에 배치하여 외부로 크게 돌출되지 않게 되도록 하여 장치 전체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출기용 취출 로봇이 좁은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사출기에 의해 제조된 사출물을 취출하는 로봇에 있어서,
    상기 사출기 상부에 고정되는 기대와;
    상기 기대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전후진가이드부와;
    상기 전후진가이드부 상을 이동하면서 사출물을 취출하는 그리퍼; 및
    상기 기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후진가이드부 및 그리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출기용 취출 로봇.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 내부에는 상기 기대의 측부를 통해 외부와 연통 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대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 상에 설치되는 제어회로기판 및 상기 공간부와 거치대와 제어회로기판을 덮도록 상기 기대 측부에 부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취출 로봇.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전후진가이드부 및 그리퍼의 작동을 온/오프 하기 위한 작동스위치가 구비되며, 사용자가 전후진가이드부 및 그리퍼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수단이 별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취출 로봇.
KR2020060023981U 2006-09-06 2006-09-06 사출기용 취출 로봇 KR200432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981U KR200432869Y1 (ko) 2006-09-06 2006-09-06 사출기용 취출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981U KR200432869Y1 (ko) 2006-09-06 2006-09-06 사출기용 취출 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869Y1 true KR200432869Y1 (ko) 2006-12-07

Family

ID=4178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981U KR200432869Y1 (ko) 2006-09-06 2006-09-06 사출기용 취출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869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03B1 (ko) 2015-03-26 2016-06-27 권혁호 다기능 제품받이 치공구
KR20160115310A (ko) 2015-03-26 2016-10-06 (주)디팜스테크 처짐 및 편심 방지에 의한 정밀 조립구조를 갖는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
KR20180102303A (ko) 2017-03-07 2018-09-17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사출품 불량 방지 기능을 갖는 취출 로봇장치
KR20180102315A (ko) 2017-03-07 2018-09-17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온도 및 중량 측정관리 기능을 갖는 취출 로봇장치
KR20190142645A (ko) 2018-06-18 2019-12-27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
KR20190142648A (ko) 2018-06-18 2019-12-27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
KR20200126059A (ko) 2019-04-29 2020-11-06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사출성형기용 취출 로봇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03B1 (ko) 2015-03-26 2016-06-27 권혁호 다기능 제품받이 치공구
KR20160115310A (ko) 2015-03-26 2016-10-06 (주)디팜스테크 처짐 및 편심 방지에 의한 정밀 조립구조를 갖는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
KR20180102303A (ko) 2017-03-07 2018-09-17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사출품 불량 방지 기능을 갖는 취출 로봇장치
KR20180102315A (ko) 2017-03-07 2018-09-17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온도 및 중량 측정관리 기능을 갖는 취출 로봇장치
KR20190142645A (ko) 2018-06-18 2019-12-27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
KR20190142648A (ko) 2018-06-18 2019-12-27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
KR20200126059A (ko) 2019-04-29 2020-11-06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사출성형기용 취출 로봇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2869Y1 (ko) 사출기용 취출 로봇
US9636856B2 (en) Molding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lded article
CN103817882B (zh) 瓶胚取出及冷却系统
KR200470942Y1 (ko) 화장품 용기 홀더 이송장치
JP2002192553A (ja) 二重成形品の製造方法
JP4046726B2 (ja) インサート成形装置、インサート成形用端子材およびインサート成形方法
CN210678545U (zh) 一种剪刀脚的装配设备
JPH0732428A (ja) 成形金型の二段突出し装置
KR200280829Y1 (ko) 사출물의 취출불량방지부가 구비된 금형장치
KR20040093662A (ko) 사출 성형 장치 작동 방법
EP2479019B1 (en) Method of planting a handle and a bottle parison to a mold of blow-molding modules for manufacturing plastic containers
CN206678324U (zh) 一种包胶成形上模顶出机构
KR101035030B1 (ko) 베어링캡소재용 절삭기
JP5965003B1 (ja) 樹脂供給装置、電子部品モールド装置、および、樹脂成形方法
CN207657061U (zh) 一种注塑机的注塑单元
CN205167469U (zh) 一种模具用水口顶出机构
CN203792659U (zh) 瓶胚取出及冷却系统
JPS6131628B2 (ko)
CN204196167U (zh) 一种二次顶出侧向脱模机构
CN215551836U (zh) 一种双壳体埋钉检测与印刷装置
CN109774175B (zh) 键盘卡扣内外圈自动组装设备
CN203357819U (zh) 一种塑料模具滑块上走滑块装置
US8613882B2 (en) Method of planting a handle and a bottle parison to a mold of blow-molding modules for manufacturing plastic containers
CN211251209U (zh) 一种塑壳产品的脱模结构
CN204019916U (zh) 一种模具的二次顶出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