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648A -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648A
KR20190142648A KR1020180069833A KR20180069833A KR20190142648A KR 20190142648 A KR20190142648 A KR 20190142648A KR 1020180069833 A KR1020180069833 A KR 1020180069833A KR 20180069833 A KR20180069833 A KR 20180069833A KR 20190142648 A KR20190142648 A KR 20190142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injection molding
molding machine
mold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5656B1 (ko
Inventor
장응하
강종원
Original Assignee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9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656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2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 G05B23/0235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based on a comparison with predetermined threshold or range, e.g. "classical methods", carried out during normal operation; threshold adaptation or choice; when or how to compare with the threshol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003Measured parameter
    • B29C2945/7604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177Location of measurement
    • B29C2945/76254Mould
    • B29C2945/76257Mould cavity
    • B29C2945/7626Mould cavity cavity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51Measurement means
    • B29C2945/76461Optical, e.g. laser
    • B29C2945/76464Optical, e.g. laser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9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5/76531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에서 사출성형 중에 금형의 온도를 실시간 측정 후 판별하여 사출품의 불량, 금형의 파손 등의 한계온도에서 자동으로 관리자에게 알려 사출성형의 온도를 관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10)에 설치되어 성형완료된 사출품을 취출 및 운반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취출 로봇(100)과; 사출성형과정에서 금형을 실시간 촬영하면서 열에 의해 바뀐 적외선 파장을 감지하여 금형의 전체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을 통해 얻은 금형 온도 및 사출 직후의 사출품 온도의 측정데이터를 제공하는 적외선 카메라(200)와; 상기 적외선 카메라(200)의 측정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제어반(310)이 연결되어 마련되는데, 그 제공된 측정데이터를 제어반(310)에 미리 저장된 금형의 정상 온도에 대한 저장데이터와 비교판별하여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이상온도 발생시 그 사실을 알리는 동시에 사출성형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관제 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 {Temperature control system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에서 사출성형 중에 금형의 온도 및 사출 직후의 사출품의 온도를 실시간 측정 후 판별하여 사출품의 불량, 금형의 파손 등의 한계온도에서 자동으로 관리자에게 알려 사출성형의 온도를 관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射出成型)은 제품을 성형하는 방식의 일종으로 용도에 따른 사출품을 사출성형기로 통칭하는 기계를 이용해 성형한다.
이러한 사출성형기는 원재료를 가열하여 녹이면 녹인 원재료를 금형에 공급 후 목적한 형태로 사출성형하고, 사출된 사출품은 고화(固化)되어 자동으로 금형으로부터 인서트되는 사출성형 공정을 거쳐 완성되게 된다.
예를 들어, 종래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869호를 살펴보면, 사출기세 의해 제조된 사출물을 취출하는 로봇에 있어서, 상기 사출기 상부에 고정되는 기대와; 상기 기대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ㄷ하는 전후진가이드부와; 상기 전후진가이드부 상을 이동하면서 사출물을 취출하는 그리퍼; 및 상기 기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후진가이드부 및 그리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내 내부에는 상기 기대의 측부를 통해 외부와 연통 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대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 상에 설치되는 제어회로기판 및 상기 공간부와 거치대와 제어회로기판을 덮도록 상기 기대 측부에 부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전후진가이드부 및 그리퍼의 작동을 온/오프 하기 위한 작동스위치가 구비되며, 사용자가 전후진가이드부 및 그리퍼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수단이 별도 구비된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출성형과정에서 금형의 온도를 취출 로봇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이용해 측정하는데, 그 온도센서는 금형의 전체 부분을 측정하지 못하며, 온도센서의 측정방향에 해당하는 금형의 일부분 온도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금형의 전체 온도를 파악할 수 없어 온도측정의 정확성에 한계가 있고, 단순히 온도만 측정하여 이상온도를 작업자가 늦게 발견하면 사출품의 불량 또는 금형의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사출성형기의 높은 동작 온도에 의해 화재 발생빈도가 잦은데, 그 화재의 사실을 작업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인지하기 때문에 화재사실을 늦게 발견하면 사출성형기가 설치된 생산공장 전체로 화재가 번지는 등 대형화재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869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형의 전체 부분에 대한 온도를 실시간 측정하면서 비교판독할 수 있게 하여 온도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상온도 측정시 즉시 알릴 수 있게 하여 이상온도에 의한 사출품의 불량 또는 금형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의 화재발생 사실을 감지하면서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대형화재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에 설치되어 성형완료된 사출품을 취출 및 운반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취출 로봇과;
사출성형과정에서 금형을 실시간 촬영하면서 열에 의해 바뀐 적외선 파장을 감지하여 금형의 전체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을 통해 얻은 금형 온도 및 사출 직후의 사출품의 온도의 측정데이터를 제공하는 적외선 카메라와;
상기 적외선 카메라의 측정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제어반이 연결되어 마련되는데, 그 제공된 측정데이터를 제어반에 미리 저장된 금형의 정상 온도에 대한 저장데이터와 비교판별하여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이상온도 발생시 그 사실을 알리는 동시에 사출성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관제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및 사출 직후의 사출품의 온도측정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이상온도에 의한 사출품의 불량 또는 금형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출성형기가 설치된 생산공장 전체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대형화재로 번지지 않아 화재복구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온도 관제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사출품의 취출 및 운반을 위한 취출 로봇(100); 금형 온도 및 사출 직후의 사출품 온도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적외선 카메라(200); 적외선 카메라(200)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출성형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관제 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의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2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에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온도 관제 시스템의 제어 블럭도이다.
먼저, 상기 취출 로봇(100)은;
사출성형기(10)에 설치되어 성형완료된 사출품을 취출 및 운반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며, 사출성형의 취출 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취출 로봇(100)은; 사출성형기(10)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어 사출성형하는 사출품에 대한 취출 및 운반 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기기로서,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해 직선으로 왕복 및 회전 이동동작이 가능하고, 사출성형기(10)의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 기반에 의해 사출성형을 수행하는 금형의 X축, Y축, Z축 좌표값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취출 로봇(100)은 사출성형기(10)에 적용되는 범위 안에서 그 구조 및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취출 로봇(100)에 적용되는 액추에이터는 모터와 스크류를 이용해 동력을 전달하거나, 모터와 랙 앤 피니언을 이용해 동력을 전달하거나, 전자석을 기계적 운동으로 전환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그 전달되는 동력을 통해 이동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200)는;
사출성형과정에서 금형을 실시간 촬영하면서 열에 의해 바뀐 적외선 파장을 감지하여 금형의 전체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을 통해 얻은 금형 온도 및 사출 직후의 사출품 온도의 측정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적외선 카메라(200)는 취출 로봇(100) 또는 사출성형기(10)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는데, 금형의 전체 부분을 촬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위치되어 사출성형 과정에서 사출성형기(10)의 금형 전체 부분을 실시간 촬영하여 금형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고, 그 측정한 값을 데이터로 제공한다.
특정적으로,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검지기가 내장되는데, 서로 다른 온도에서 적외선 방사 에너지가 각기 다른데 그 각기 다른 적외선 방사 에너지를 적외선 검지기가 검출하면서 금형의 전체 온도를 측정가능하고, 그렇게 측정된 값을 데이터화 한다.
이때, 상기 적외선 카메라(200)는 통신허브를 통해 제어반(310)에 연결됨으로, 측정된 금형 전체의 온도 값인 측정데이터를 제어반(31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적외선 카메라(200)를 부가함에 따라 사출성형기(10)의 금형 전체 부분에 대한 온도를 실시간 측정할 수 있어 온도측정의 정확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제 유닛(300)은;
상기 적외선 카메라(200)의 측정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제어반(310)이 연결되어 마련되는데, 그 제공된 측정데이터를 제어반(310)에 미리 저장된 금형의 정상 온도에 대한 저장데이터와 비교판별하여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이상온도 발생시 그 사실을 알리는 동시에 사출성형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유닛(300)은; 제어반(310), 열화상디스플레이(320), 통합제어부(330), 모바일단말기(340), 부가통신부(350)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관제 유닛(300)은; 적외선 카메라(20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제공받고, 그 제공받은 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출성형기(10)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이상온도 발생시 그 사실을 외부에 알리는 제어반(3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반(310)은, 통신허브를 통해 사출성형기(10) 및 적외선 카메라(200)에 연결되며, 그 적외선 카메라(200)에서 측정된 금형 온도 및 사출 직후의 사출품 온도의 측정데이터가 전송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해석하고 실행가능하며, 사출성형기(10)를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금형의 온도값이 입력되어 저장되는 메모리를 갖고,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수정가능한 입출력장치가 부가될 수 있다.
특정적으로, 상기 제어반(310)에 사출성형기(10)를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금형의 온도값을 입력장치로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며, 그렇게 저장된 저장데이터와 적외선 카메라(200)로부터 제공된 측정데이터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해석하여 비교판별하면서 사출성형기(10)의 금형 온도 및 사출 직후의 사출품 온도가 정상인지 해석하고, 이상온도 발생시 소리, 빛 등으로 사출성형기(10) 주변 작업자에게 알리고, 그 즉시 사출성형기(1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예컨대, 상기 제어반(310)을 부가함에 따라 적외선 카메라(200)로부터 제공되는 금형 온도 및 사출 직후의 사출품 온도의 측정데이터를 비교판독할 수 있으며, 그 비교판독에 의해 이상온도 측정시 즉시 알리면서 사출성형기(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이상온도에 의한 사출품의 불량 또는 금형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제 유닛(300)은; 금형 온도 및 사출 직후의 사출품 온도의 측정데이터를 활용하여 금형의 실시간 온도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열화상디스플레이(3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열화상디스플레이(320)는 제어반(310)에 통신허브를 이용해 연결되어 적외선 카메라(200)에서 측정된 금형 온도 및 사출 직후의 사출품 온도의 측정데이터가 제공되며, 그 제어반(310)과 인터페이싱 하기 위한 HMI(Human Machine Interface)&LCD로 이루어지고, LCD를 이용해 금형의 표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에너지를 측정해 얻은 표면의 온도분포를 흑백의 농담 또는 색깔구분으로 화상으로 표시하는 서모그램이 적용된다.
이때, 상기 열화상디스플레이(320)의 화상으로 표시되는 금형 전체의 실시간 온도를 작업자가 확인 가능함으로 이상온도 발생 전에 작업자의 판단에 의해 사출성형기(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관제 유닛(300)은; 하나 이상의 제어반(310)에 각각 연결되어 해당하는 제어반(31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통해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된 하나 이상의 사출성형기(10)를 통합적으로 관제하는 통합제어부(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통합제어부(330)는 각각 다른 위치의 생산공장에서 사출성형기(1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어반(310)에 통신허브를 이용해 연결되어 제어반(31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고, 각각의 제어반(310)에서 전송되는 사출성형기(10)의 금형 온도 및 사출 직후의 사출품 온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원거리에서 다수의 사출성형기(10)를 한 위치의 관리자가 통합적으로 제어하게 한다.
이때, 상기 통합제어부(3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입력된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가능한 컴퓨터의 일종으로 입출력장치 및, 모니터가 부가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사출성형기(10)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관리자가 운용할 수 있다.
특정적으로, 상기 통합제어부(330)는 각각 다른 위치의 생산공장에서 사출성형기(1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어반(310)으로부터 비교판별한 금형의 온도 데이터가 제공되며, 하나 이상의 제어반(310) 중 해당하는 제어반(310)에서 이상온도 발생시 그 제어반(310)을 통해 사출성형기(10)의 동작을 원거리에서 정지할 수 있고, 통합제어부(330)의 관리자는 해당하는 제어반(310)의 작업자에게 그 사실을 알리게 된다.
예컨대, 상기 통합제어부(330)를 부가함에 따라 다수의 사출성형기(10)의 금형 온도 및 사출 직후의 사출품 온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어 다수의 사출성형기(10)를 원거리에서 한 위치의 관리자가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고, 각각 해당하는 생산공장의 사출성형기(10)를 직접 제어하는 작업자가 부주의로 이상온도를 확인하지 못하면 관리자가 이를 대신할 수 있어 이상온도에 의한 사출품의 불량 및 금형 파손의 발생 빈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관제 유닛(300)은; 제어반(310)에서 측정데이터를 처리한 결과데이터를 무선통신서비스 환경에서 무선으로 제공받아 원거리의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사출성형기(10)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바일단말기(3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단말기(340)는 작업자가 생산현장에 없는 경우 제어반(310)에서 활용하는 데이터를 부가통신부(350)의 부가통신서비스 환경에서 문자, 데이터, 인터넷 등으로 제공받아 이를 실시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모바일단말기(340)는 제공받는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별도 모바일 응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고, 작업자는 모바일단말기(34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원거리에서 사출성형기(10)의 동작을 실시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관제 유닛(300)은; 유무선통신환경에서 적외선 카메라(2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부가통신부(3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부가통신부(350)는 기간통신사업자로부터 통신회선설비를 빌려 데이터, 음성전화, 정보처리 서비스와 같은 부가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제어반(310)과 통합제어부(330) 사이에 통신허브를 통해 연결되면서 유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되게 한다.
특정적으로, 상기 부가통신부(350)는 하나 이상의 제어반(310)에서 각각 제공되는 사출성형기(10)의 금형 온도 및 사출 직후의 사출품 온도에 대한 데이터가 전송되면 통합제어부(330)에 그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선택적으로 모바일단말기(340)에 전송하고, 상기 통합제어부(330)에서 활용하는 데이터를 해당하는 제어반(310) 또는 선택적으로 모바일단말기(340)에 전송하는데, 통합제어부(33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작업자의 판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3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온도 관제 시스템의 제어 블럭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온도 관제 시스템(1) 중 상기 관제 유닛(300)은; GPS 위성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반(310)에 연결된 사출성형기(10)가 설치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수신기(311)를 더 포함한다.
상기 GPS수신기(311)는 제어반(310)에 연결설치된 상태에서 GPS 위성과 실시간 통신하여 제어반(310)과 연결된 해당 사출성형기(10)의 생산공장의 위치정보를 전기 신호로 제공하는 수신기이다.
특정적으로, 상기 GPS수신기(311)는 해당하는 사출성형기(10)의 금형에서 이상온도가 감지되면, 그 이상온도가 감지된 제어반(310)의 위치를 통합제어부(330)에 전송하여 위치를 자동을 알 수 있고, 이상온도가 감지된 제어반(310)의 작업자가 1차로 조치하지 않고, 2차로 모바일단말기(340) 역시 응답이 없으면 통합제어부(330)의 관리자가 GPS수신기(311)를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위치의 사출성형기(10)의 생산공장에 작업자를 파견하여 3차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GPS수신기(311)를 부가함에 따라 이상온도가 발생한 해당 제어반(310)의 위치정보를 즉시 전송하여 위치를 알림으로, 관리자가 해당 제어반(310)의 위치를 찾을 필요 없이 즉각 조치가 가능하여 빠른 조치에 의한 사출품의 불량 및 금형 파손의 정도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제 유닛(300)은; 사출성형기(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반(310)에 연결되는데, 사출성형기(10)의 이상온도 상승에 의해 화재발생시 화재에 의한 연기를 감지하여 얻은 감지 신호를 제어반(310)에 제공하며, 그 제어반(310)에 제공된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화재 사실을 외부에 알리는 화재연기센서(3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화재연기센서(312)는 사출성형기(10)에 하나 또는 그 이상 결합된 상태에서 제어반(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재연기센서(312)는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의 일종이며, 감광식, 광산란식, 이온화식 연기 센서 중에서 선택된 것을 적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적인 것은 아니고,
특정적으로, 상기 화재연기센서(312)는 사출성형기(10)에 화재가 발생하면 그 화재 정도에 따른 연기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반(310)에 제공하며, 제어반(310)에서 즉시 화재발생 사실을 소리로 주변에 알리면서 사출성형기(10)의 동작을 정지시켜 사출품의 모재에 의해 화재가 번지는 것을 차단한다.
예컨대, 화재연기센서(312)를 더 부가함에 따라 화재를 감지하면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사출성형기(10)가 설치된 생산공장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하여 화재복구 비용을 낮추고, 대형화재로 번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통합제어부(330)는; 화재연기센서(312)에 의해 화재연기를 감지한 신호가 제공되면, 그 제공된 신호를 기반으로 부가통신부(350)의 유무선통신 환경에서 소방방재청(351)에 즉각 화재 사실을 GPS수신기(311)에 의한 위치정보와 함께 전송하여 해당 위치의 제어반(310)이 연결된 사출성형기(10)의 생산공장으로 소방인력을 자동투입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소방방재청(351)은 부가통신부(350)에 의한 통신허브로 연결되면서 유무선통신 환경에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고, 그렇게 제공받은 화재신호를 활용하여 화재가 발생한 해당하는 제어반(310)이 연결된 사출성형기(10)의 생산공장에 소방인력을 즉각 투입시켜 화재조치를 수행하게 한다.
예컨대, 상기 소방방재청(351)을 더 부가함에 따라 사출성형기(10)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발생 사실 및 현장 위치를 즉각 알릴 수 있어 작은 화재가 대형화재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의 신고가 간편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온도 관제 시스템 100; 취출 로봇
200; 적외선 카메라 300; 관제 유닛
310; 제어반 320; 열화상디스플레이
330; 통합제어부 340; 모바일단말기
350; 부가통신부

Claims (4)

  1. 사출성형기(10)에 설치되어 성형완료된 사출품을 취출 및 운반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취출 로봇(100)과;
    사출성형과정에서 금형을 실시간 촬영하면서 열에 의해 바뀐 적외선 파장을 감지하여 금형의 전체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을 통해 얻은 금형 온도 및 사출 직후의 사출품 온도의 측정데이터를 제공하는 적외선 카메라(200)와;
    상기 적외선 카메라(200)의 측정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제어반(310)이 연결되어 마련되는데, 그 제공된 측정데이터를 제어반(310)에 미리 저장된 금형의 정상 온도에 대한 저장데이터와 비교판별하여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이상온도 발생시 그 사실을 알리는 동시에 사출성형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관제 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유닛(300)은 금형 온도 및 사출 직후의 사출품 온도의 측정데이터를 활용하여 금형의 실시간 온도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열화상디스플레이(320)를 더 포함한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유닛(300)은 하나 이상의 제어반(310)에 각각 연결되어 해당하는 제어반(31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통해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된 하나 이상의 사출성형기(10)를 통합적으로 관제하는 통합제어부(330)를 더 포함한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유닛(300)은 제어반(310)에서 측정데이터를 처리한 결과데이터를 무선통신서비스 환경에서 무선으로 제공받아 원거리의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사출성형기(10)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바일단말기(340)를 더 포함한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
KR1020180069833A 2018-06-18 2018-06-18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 KR102115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833A KR102115656B1 (ko) 2018-06-18 2018-06-18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833A KR102115656B1 (ko) 2018-06-18 2018-06-18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648A true KR20190142648A (ko) 2019-12-27
KR102115656B1 KR102115656B1 (ko) 2020-05-26

Family

ID=6906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833A KR102115656B1 (ko) 2018-06-18 2018-06-18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6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1101A (zh) * 2022-04-26 2022-07-29 上海熙视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多光谱成像的模具监视控制系统、方法及设备
CN116820162A (zh) * 2023-08-29 2023-09-29 森林企境(江苏)碳科技有限公司 基于lte无线通信的注塑机烘料用智能节能伺服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869Y1 (ko) 2006-09-06 2006-12-07 주식회사 로텍 사출기용 취출 로봇
KR101842372B1 (ko) * 2016-12-23 2018-03-27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원격관제시스템
KR20180059356A (ko) * 2016-11-25 2018-06-04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869Y1 (ko) 2006-09-06 2006-12-07 주식회사 로텍 사출기용 취출 로봇
KR20180059356A (ko) * 2016-11-25 2018-06-04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101842372B1 (ko) * 2016-12-23 2018-03-27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원격관제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1101A (zh) * 2022-04-26 2022-07-29 上海熙视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多光谱成像的模具监视控制系统、方法及设备
CN114801101B (zh) * 2022-04-26 2024-05-03 上海熙视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多光谱成像的模具监视控制系统、方法及设备
CN116820162A (zh) * 2023-08-29 2023-09-29 森林企境(江苏)碳科技有限公司 基于lte无线通信的注塑机烘料用智能节能伺服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656B1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640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US9933510B2 (en) Safety scanner and optical safety system
KR101212630B1 (ko) 송전선로 모바일 감시시스템
KR101567773B1 (ko)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US20170242110A1 (en) Optical Safety System
JP4942676B2 (ja) 移動ロボット
CN104062710B (zh) 一种光纤熔接机
KR102118250B1 (ko)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
KR20190142648A (ko)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
CN112978292B (zh) 一种皮带机断料的检测系统、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5203264A (zh) 气体泄漏监测方法、气体泄漏监测装置及系统
KR101139922B1 (ko) 씨엔씨머신의 모니터링 장치
CN202995944U (zh) 一种智能区域入侵告警系统
CN207301499U (zh) 一种数据中心机房系统全景智慧眼镜设备
KR20200023947A (ko)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비전검사장비와 생산장비 제어시스템
KR100440786B1 (ko) 디지털영상 원격감시 및 비상감지시스템
WO2013122139A1 (ja) 作業画像監視システム
KR101977000B1 (ko) 실물영상기반 리얼타임 가상공장
KR101891926B1 (ko) 자동화 설비 원격 제어 시스템
CN102679949A (zh) 一种直接发射型物体检测系统及方法
JP2017122948A (ja) 充電部接近監視システム、及び充電部接近監視方法
CN104417504B (zh) 电动汽车电池更换系统的安防子系统
CN216209508U (zh) 一种检测设备以及检测系统
CN106078803A (zh) 零件检测方法及装置
JP4112544B2 (ja) 成形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