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645A -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645A
KR20190142645A KR1020180069828A KR20180069828A KR20190142645A KR 20190142645 A KR20190142645 A KR 20190142645A KR 1020180069828 A KR1020180069828 A KR 1020180069828A KR 20180069828 A KR20180069828 A KR 20180069828A KR 20190142645 A KR20190142645 A KR 20190142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mold
injection
injection mold
injec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8250B1 (ko
Inventor
장응하
강종원
Original Assignee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9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250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003Measured parameter
    • B29C2945/7604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177Location of measurement
    • B29C2945/76254Mould
    • B29C2945/76257Mould cavity
    • B29C2945/7626Mould cavity cavity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51Measurement means
    • B29C2945/76461Optical, e.g. laser
    • B29C2945/76464Optical, e.g. laser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9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5/76531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에서 사출성형 중에 금형의 온도를 실시간 측정 후 판별하여 금형의 사출 온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성형완료된 사출품을 취출 및 운반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취출 로봇(100)과; 사출성형과정에서 금형을 실시간 촬영하면서 열에 의해 바뀐 적외선 파장을 감지하여 금형의 전체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을 통해 얻은 금형 온도의 측정데이터를 제공하는 적외선 카메라(200)와; 상기 적외선 카메라(200)의 측정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제어반(330)이 연결되어 마련되는데, 그 제공된 측정데이터를 제어반(330)에 미리 저장된 사출금형(10)의 정상 온도에 대한 저장데이터와 비교판별하여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사출금형(10)의 온도를 높이는 온조기(310) 또는 사출금형(10)의 온도를 낮추는 칠러(320)를 선택적 작동시켜 사출금형(10)을 적정온도로 자동 제어하는 관제 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 {Mold temperature control system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에서 사출성형 중에 금형의 표면 온도를 실시간 측정 후 판별하여 금형의 사출 온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射出成型)은 제품을 성형하는 방식의 일종으로 용도에 따른 사출품을 사출성형기로 통칭하는 기계를 이용해 성형한다.
이러한 사출성형기는 원재료를 가열하여 녹이면 녹인 원재료를 금형에 공급 후 목적한 형태로 사출성형하고, 사출된 사출품은 고화(固化)되어 자동으로 금형으로부터 인서트되는 사출성형 공정을 거쳐 완성되게 된다.
예를 들어, 종래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869호를 살펴보면, 사출기세 의해 제조된 사출물을 취출하는 로봇에 있어서, 상기 사출기 상부에 고정되는 기대와; 상기 기대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ㄷ하는 전후진가이드부와; 상기 전후진가이드부 상을 이동하면서 사출물을 취출하는 그리퍼; 및 상기 기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후진가이드부 및 그리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내 내부에는 상기 기대의 측부를 통해 외부와 연통 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대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 상에 설치되는 제어회로기판 및 상기 공간부와 거치대와 제어회로기판을 덮도록 상기 기대 측부에 부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전후진가이드부 및 그리퍼의 작동을 온/오프 하기 위한 작동스위치가 구비되며, 사용자가 전후진가이드부 및 그리퍼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수단이 별도 구비된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출성형과정에서 금형의 온도를 취출 로봇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이용해 측정하는데, 그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 값을 기준으로 작업자가 직접 금형의 온도를 높이는 온조기 또는 금형의 온도를 낮추는 칠러를 선택적 작동하여 수동으로 금형의 온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금형의 온도를 수동조절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금형의 온도를 확인하지 못해 발생하는 이상온도에서 사출품의 불량을 야기하여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사출성형기의 높은 동작 온도에 의해 화재 발생빈도가 잦은데, 그 화재의 사실을 작업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인지하기 때문에 화재사실을 늦게 발견하면 사출성형기가 설치된 생산공장 전체로 화재가 번지는 등 대형화재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869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형의 표면 전체 부분에 대한 온도를 실시간 측정하면서 비교판별할 수 있게 하고, 비교판별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금형의 온도를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금형의 온도 조절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금형의 이상온도에 의한 사출품의 불량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의 화재발생 사실을 감지하면서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대형화재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성형완료된 사출품을 취출 및 운반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취출 로봇과;
사출성형과정에서 금형의 표면을 실시간 촬영하면서 열에 의해 바뀐 적외선 파장을 감지하여 금형의 전체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을 통해 얻은 금형 온도의 측정데이터를 제공하는 적외선 카메라와;
상기 적외선 카메라의 측정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제어반이 연결되어 마련되는데, 그 제공된 측정데이터를 제어반에 미리 저장된 각 사출금형의 정상 온도 분포에 대한 저장데이터와 비교판별하여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사출금형의 온도를 높이는 온조기 또는 사출금형의 온도를 낮추는 칠러를 선택적 작동시켜 사출금형을 적정온도로 자동 제어하는 관제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측정의 정확성이 향상되면서 금형의 적정 온도로 자동조절이 가능하고, 금형의 이상온도에 의한 사출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출성형기가 설치된 생산공장 전체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대형화재로 번지지 않아 화재복구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사출품의 취출 및 운반을 위한 취출 로봇(100); 금형 온도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적외선 카메라(200); 적외선 카메라(200)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출금형(10)을 적정온도로 자동 조절되게 제어하는 관제 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의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2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에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의 제어 블럭도이다.
먼저, 상기 취출 로봇(100)은;
성형완료된 사출품을 취출 및 운반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며, 사출성형의 취출 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취출 로봇(100)은; 사출금형(10)이 마련된 사출성형기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어 사출성형하는 사출품에 대한 취출 및 운반 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기기로서,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해 직선으로 왕복 및 회전 이동동작이 가능하고, 사출성형기의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 기반에 의해 사출금형(10)의 X축, Y축, Z축 좌표값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취출 로봇(100)은 사출성형기에 적용되는 범위 안에서 그 구조 및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취출 로봇(100)에 적용되는 액추에이터는 모터와 스크류를 이용해 동력을 전달하거나, 모터와 랙 앤 피니언을 이용해 동력을 전달하거나, 전자석을 기계적 운동으로 전환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그 전달되는 동력을 통해 이동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200)는;
사출성형과정에서 사출금형(10)의 표면을 실시간 촬영하면서 열에 의해 바뀐 적외선 파장을 감지하여 사출금형(10)의 전체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을 통해 얻은 사출금형(10) 온도의 측정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적외선 카메라(200)는 취출 로봇(100) 또는 사출금형(10)이 마련된 사출성형기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는데, 사출금형(10)의 전체 부분을 촬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위치되어 사출성형 과정에서 사출금형(10)의 표면 전체 부분을 실시간 촬영하여 사출금형(10)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고, 그 측정한 값을 데이터로 제공한다.
특정적으로,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검지기가 내장되는데, 서로 다른 온도에서 적외선 방사 에너지가 각기 다른데 그 각기 다른 적외선 방사 에너지를 적외선 검지기가 검출하면서 금형의 전체 온도를 측정가능하고, 그렇게 측정된 값을 데이터화 한다.
이때, 상기 적외선 카메라(200)는 통신허브를 통해 제어반(330)에 연결됨으로, 측정된 사출금형(10) 전체의 온도 값인 측정데이터를 제어반(33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적외선 카메라(200)를 부가함에 따라 사출금형(10)의 표면 전체 부분에 대한 온도를 실시간 측정할 수 있어 온도측정의 정확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제 유닛(300)은;
상기 적외선 카메라(200)의 측정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제어반(330)이 연결되어 마련되는데, 그 제공된 측정데이터를 제어반(330)에 미리 저장된 각 사출금형(10)의 정상 온도 분포에 대한 저장데이터와 비교판별하여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사출금형(10)의 온도를 높이는 온조기(310) 또는 사출금형(10)의 온도를 낮추는 칠러(320)를 선택적 작동시켜 사출금형(10)을 적정온도로 자동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유닛(300)은; 온조기(310), 칠러(320), 제어반(330), 열화상디스플레이(340), 통합제어부(350), 모바일단말기(360), 부가통신부(370)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관제 유닛(300)은; 사출금형(10) 및 제어반(330)에 각각 연결되는데, 제어반(330)의 제어동작에 따라 사출금형(10)의 온도를 높이는 온조기(3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온조기(310)는 사출금형(10)의 내부 유로로 고온의 유체를 공급시켜 사출금형(10)의 온도를 높이는 장치이며, 기존 사출성형기에 적용되는 다양한 온조기(310)를 적용할 수 있고, 그 온조기(310)는 제어반(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반(330)의 제어를 통해 동작한다.
또한, 상기 관제 유닛(300)은; 사출금형(10) 및 제어반(330)에 각각 연결되는데, 제어반(330)의 제어동작에 따라 사출금형(10)의 온도를 낮추는 칠러(3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칠러(320)는 사출금형(10)의 내부 유로로 저온의 유체를 공급시켜 사출금형(10)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장치이며, 기존 사출성형기에 적용되는 다양한 칠러(320)를 적용할 수 있고, 그 칠러(320)는 제어반(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반(330)의 제어를 통해 동작한다.
여기서, 상기 온조기(310) 및 칠러(320)는 제어반(330)으로부터 통신으로 받은 사출금형(10)의 표면 온도 값에 따라 온도를 가감할 수 있는 통신모듈과 프로그램이 되어 있어, 사출금형(10)에 공급되는 온수, 냉수의 온도 보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관제 유닛(300)은; 적외선 카메라(20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제공받고, 그 제공받은 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출금형(10)의 온도를 사출성형하기 위한 적정 온도로 자동 조절하는 제어반(3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반(330)은, 통신허브를 통해 적외선 카메라(200) 및 온조기(310), 칠러(320)에 각각 연결되며, 그 적외선 카메라(200)에서 측정된 사출금형(10)의 온도 데이터가 전송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해석하고 실행가능하며, 사출금형(10)이 사출품을 정상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사출금형(10)의 온도 값이 입력되어 저장되는 메모리를 갖고, 메모리에 저장된 온도 값을 수정가능한 입출력장치가 부가될 수 있다.
특정적으로, 상기 제어반(330)에 사출금형(10)이 사출품을 정상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온도 값이 입력장치로 입력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며, 그렇게 저장된 저장데이터와 적외선 카메라(200)로부터 제공된 측정데이터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해석하여 비교판별하면서 사출금형(10)의 온도가 정상인지 해석하고, 이상온도 발생시 온조기(310) 또는 칠러(3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 작동시켜 사출금형(10)의 온도를 저장된 정상온도와 동일하게 조절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반(330)을 부가함에 따라 적외선 카메라(200)로부터 제공되는 금형 온도의 측정데이터를 비교판별할 수 있으며, 그 비교판별에 의해 사출금형(10)이 사출품을 정상적으로 성형하는 온도로 자동 조절이 가능하여 이상온도에 의한 사출품의 불량을 방지하고, 사출금형(10)의 온도 조절을 간편하게 한다.
또한, 상기 관제 유닛(300)은; 사출금형(10)의 온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출금형(10)의 표면을 측정한 실시간 온도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열화상디스플레이(3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열화상디스플레이(340)는 제어반(330)에 통신허브를 이용해 연결되어 적외선 카메라(200)에서 측정된 사출금형(10)의 온도를 측정한 데이터가 제공되며, 그 제어반(330)과 인터페이싱 하기 위한 HMI(Human Machine Interface)&LCD로 이루어지고, LCD를 이용해 금형의 표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에너지를 측정해 얻은 표면의 온도분포를 흑백의 농담 또는 색깔구분으로 화상으로 표시하는 서모그램이 적용된다.
이때, 상기 열화상디스플레이(340)의 화상으로 표시되는 사출금형(10)의 표면 전체의 실시간 온도를 작업자가 확인 가능함으로 이상온도 발생 전에 작업자의 판단에 의해 사출금형(10)의 온도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제 유닛(300)은; 하나 이상의 제어반(330)에 각각 연결되어 해당하는 제어반(330)을 제어하는 작용을 통해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된 하나 이상의 사출성형기의 사출금형(10)의 온도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통합제어부(3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통합제어부(350)는 각각 다른 위치의 생산공장에서 사출성형기의 사출금형(10)에 대한 온도를 자동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반(330)에 통신허브를 이용해 연결되어 제어반(33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고, 각각의 제어반(330)에서 전송되는 사출금형(10)의 온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원거리에서 다수의 사출금형(10)의 온도 제어를 한 위치의 관리자가 통합적으로 제어하게 한다.
이때, 상기 통합제어부(350)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입력된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가능한 컴퓨터의 일종으로 입출력장치 및, 모니터가 부가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사출성형기의 사출금형(10)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관리자가 운용할 수 있다.
특정적으로, 상기 통합제어부(350)는 각각 다른 위치의 생산공장에서 사출성형기의 사출금형(10) 온도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반(330)으로부터 비교판별한 사출금형(10)의 온도 데이터가 제공되며, 하나 이상의 제어반(330) 중 해당하는 제어반(330)에서 이상온도 발생시 그 제어반(330)을 통해 사출금형(10)의 온도를 원거리에서 조절할 수 있고, 통합제어부(350)의 관리자는 해당하는 제어반(330)의 작업자에게 그 사실을 알리게 된다.
예컨대, 상기 통합제어부(350)를 부가함에 따라 다수의 사출성형기의 사출금형(10) 온도를 원거리에서 한 위치의 관리자가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고, 각각 해당하는 생산공장의 사출성형기를 직접 제어하는 작업자가 부주의로 사출금형(10)의 이상온도를 확인하지 못하면 관리자가 이를 대신할 수 있어 사출금형(10)의 이상온도에 의한 사출품의 불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관제 유닛(300)은; 제어반(330)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무선통신서비스 환경에서 무선으로 제공받아 원거리의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사출금형(10)의 표면 온도를 모니터링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단말기(3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단말기(360)는 작업자가 생산현장에 없는 경우 제어반(330)에서 활용하는 데이터를 부가통신부(370)의 부가통신서비스 환경에서 문자, 데이터, 인터넷 등으로 제공받아 이를 실시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모바일단말기(360)는 제공받는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별도 모바일 응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고, 작업자는 모바일단말기(36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원거리에서 해당하는 위치의 제어반(330)의 동작을 실시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관제 유닛(300)은; 유무선통신환경에서 적외선 카메라(2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부가통신부(3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부가통신부(370)는 기간통신사업자로부터 통신회선설비를 빌려 데이터, 음성전화, 정보처리 서비스와 같은 부가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제어반(330)과 통합제어부(350) 사이에 통신허브를 통해 연결되면서 유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되게 한다.
특정적으로, 상기 부가통신부(370)는 하나 이상의 제어반(330)에서 각각 제공되는 사출금형(10)의 온도에 대한 데이터가 전송되면 통합제어부(350)에 그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선택적으로 모바일단말기(360)에 전송하고, 상기 통합제어부(350)에서 활용하는 데이터를 해당하는 제어반(330) 또는 선택적으로 모바일단말기(360)에 전송하는데, 통합제어부(35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작업자의 판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3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의 제어 블럭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1) 중 상기 관제 유닛(300)은; GPS 위성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반(330)이 설치된 생산공장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수신기(331)를 더 포함한다.
상기 GPS수신기(331)는 제어반(330)에 연결설치된 상태에서 GPS 위성과 실시간 통신하여 제어반(330)과 연결된 해당 생산공장의 위치정보를 전기 신호로 제공하는 수신기이다.
특정적으로, 상기 GPS수신기(331)는 해당하는 제어반(330)이 제어하는 사출금형(10)에서 이상온도가 감지되면, 그 이상온도가 감지된 제어반(330)이 설치된 생산공장의 위치를 통합제어부(350)에 전송하여 위치를 자동으로 알 수 있도록 하고, 이상온도가 감지된 제어반(330)에서 장치 이상 등에 의해 1차로 자동조치되지 않고, 2차로 모바일단말기(360) 역시 응답이 없으면 통합제어부(350)의 관리자가 GPS수신기(331)를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위치의 제어반(330)이 설치된 생산공장에 작업자를 파견하여 제어반(330)에 대한 수리를 수행하는 등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1)을 보수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GPS수신기(331)를 부가함에 따라 이상온도가 발생한 해당 제어반(330)의 위치정보를 즉시 전송하여 위치를 알림으로, 관리자가 해당 제어반(330)의 위치를 찾을 필요 없이 즉각 조치가 가능하여 빠른 조치에 의한 사출품의 불량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관제 유닛(300)은; 제어반(330)에 연결되는데, 사출금형(10)의 이상온도 상승에 의해 화재발생시 화재에 의한 연기를 감지하여 얻은 감지 신호를 제어반(330)에 제공하며, 그 제어반(330)에 제공된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화재 사실을 외부에 알리는 화재연기센서(332)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화재연기센서(332)는 사출금형(10)에 인접한 측에 하나 또는 그 이상 결합된 상태에서 제어반(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재연기센서(332)는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의 일종이며, 감광식, 광산란식, 이온화식 연기 센서 중에서 선택된 것을 적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특정적으로, 상기 화재연기센서(332)는 사출금형(10)이 설치된 사출성형기에 화재가 발생하면 그 화재 정도에 따른 연기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반(330)에 제공하며, 제어반(330)에서 즉시 화재발생 사실을 소리로 주변에 알리면서 사출성형기의 동작을 정지시켜 사출품의 모재에 의해 화재가 번지는 것을 차단한다.
예컨대, 화재연기센서(332)를 더 부가함에 따라 화재를 감지하면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제어반(330)이 설치된 생산공장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하여 화재복구 비용을 낮추고, 대형화재로 번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통합제어부(350)는; 화재연기센서(332)에 의해 화재연기를 감지한 신호가 제공되면, 그 제공된 신호를 기반으로 부가통신부(370)의 유무선통신 환경에서 소방방재청(371)에 즉각 화재 사실을 GPS수신기(331)에 의한 위치정보와 함께 전송하여 해당 위치의 제어반(330)이 설치된 생산공장으로 소방인력을 자동투입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소방방재청(371)은 부가통신부(370)에 의한 통신허브로 연결되면서 유무선통신 환경에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고, 그렇게 제공받은 화재신호를 활용하여 화재가 발생한 해당하는 제어반(330)이 설치된 생산공장에 소방인력을 즉각 투입시켜 화재조치를 수행하게 한다.
예컨대, 상기 소방방재청(371)을 더 부가함에 따라 제어반(330)이 설치된 사출성형기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발생 사실 및 현장 위치를 즉각 알릴 수 있어 작은 화재가 대형화재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의 신고가 간편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 10; 사출금형
100; 취출 로봇 200; 적외선 카메라
300; 관제 유닛 310; 온조기
320; 칠러 330; 제어반
340; 열화상디스플레이 350; 통합제어부
360; 모바일단말기 370; 부가통신부

Claims (5)

  1. 성형완료된 사출품을 취출 및 운반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취출 로봇(100)과;
    사출성형과정에서 사출금형(10)의 표면을 실시간 촬영하면서 열에 의해 발생된 적외선 파장을 감지하여 사출금형(10)의 전체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을 통해 얻은 사출금형(10) 온도의 측정데이터를 제공하는 적외선 카메라(200)와;
    상기 적외선 카메라(200)의 측정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제어반(330)이 연결되어 마련되는데, 그 제공된 측정데이터를 제어반(330)에 미리 저장된 각 사출금형(10)의 정상 온도 분포에 대한 저장데이터와 비교판별하여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사출금형(10)의 온도를 높이는 온조기(310) 또는 사출금형(10)의 온도를 낮추는 칠러(320)를 선택적 작동시켜 사출금형(10)을 적정온도로 자동 제어하는 관제 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유닛(300)은 사출금형(10)의 온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출금형(10)의 표면을 측정한 실시간 온도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열화상디스플레이(340)를 더 포함한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유닛(300)은 하나 이상의 제어반(330)에 각각 연결되어 해당하는 제어반(330)을 제어하는 작용을 통해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된 하나 이상의 사출성형기의 사출금형(10)의 온도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통합제어부(350)를 더 포함한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유닛(300)은 제어반(330)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무선통신서비스 환경에서 무선으로 제공받아 원거리의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사출금형(10)의 표면 온도를 모니터링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단말기(360)를 더 포함한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유닛(300)은 사출금형(10)의 온도를 높이는 온조기(310) 및 사출금형(10)의 온도를 낮추는 칠러(3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조기(310) 및 칠러(320)는 제어반(330)으로부터 통신으로 받은 사출금형(10)의 표면 온도 값에 따라 온도를 가감할 수 있는 통신모듈과 프로그램이 되어 있어, 사출금형(10)에 공급되는 온수, 냉수의 온도 보정이 가능한 것을 더 포함한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
KR1020180069828A 2018-06-18 2018-06-18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 KR102118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828A KR102118250B1 (ko) 2018-06-18 2018-06-18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828A KR102118250B1 (ko) 2018-06-18 2018-06-18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645A true KR20190142645A (ko) 2019-12-27
KR102118250B1 KR102118250B1 (ko) 2020-06-03

Family

ID=6906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828A KR102118250B1 (ko) 2018-06-18 2018-06-18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2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2474A (zh) * 2021-05-10 2021-09-14 深圳市银宝山新科技股份有限公司 注塑模具模内参数修正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CN114770646A (zh) * 2022-04-06 2022-07-22 广州思茂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加工注塑板件的排料系统及方法
CN114953384A (zh) * 2022-05-25 2022-08-30 深圳市精研科洁科技股份有限公司 电视机封屏面板生产用注塑模具的智能温控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869Y1 (ko) 2006-09-06 2006-12-07 주식회사 로텍 사출기용 취출 로봇
JP2009137075A (ja) * 2007-12-04 2009-06-25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射出成形方法及び金型温度調節装置
KR20150005039A (ko) * 2013-07-04 2015-01-14 크루셜텍 (주) 적외선 온도 센서를 이용한 사출 성형 공정 관리 시스템
KR101842372B1 (ko) * 2016-12-23 2018-03-27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원격관제시스템
KR20180059356A (ko) * 2016-11-25 2018-06-04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869Y1 (ko) 2006-09-06 2006-12-07 주식회사 로텍 사출기용 취출 로봇
JP2009137075A (ja) * 2007-12-04 2009-06-25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射出成形方法及び金型温度調節装置
KR20150005039A (ko) * 2013-07-04 2015-01-14 크루셜텍 (주) 적외선 온도 센서를 이용한 사출 성형 공정 관리 시스템
KR20180059356A (ko) * 2016-11-25 2018-06-04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101842372B1 (ko) * 2016-12-23 2018-03-27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원격관제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2474A (zh) * 2021-05-10 2021-09-14 深圳市银宝山新科技股份有限公司 注塑模具模内参数修正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CN114770646A (zh) * 2022-04-06 2022-07-22 广州思茂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加工注塑板件的排料系统及方法
CN114770646B (zh) * 2022-04-06 2024-03-08 广州思茂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加工注塑板件的排料系统及方法
CN114953384A (zh) * 2022-05-25 2022-08-30 深圳市精研科洁科技股份有限公司 电视机封屏面板生产用注塑模具的智能温控系统
CN114953384B (zh) * 2022-05-25 2023-10-27 深圳市精研科洁科技股份有限公司 电视机封屏面板生产用注塑模具的智能温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250B1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2645A (ko) 사출성형기의 금형 온도 자동조절 시스템
US10271020B2 (en) Imaging system employing fixed, modular mobile, and portable infrared cameras with ability to receive, communicate, and display data and images with proximity detection
CN103576431B (zh) 一种应用于高亮度激光投影机使用现场对人眼实施保护的方法及系统装置
KR102045795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배전반 방재 시스템
KR101656714B1 (ko) 화재 감지 및 방재 시스템
KR101567773B1 (ko)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04062710B (zh) 一种光纤熔接机
CN203535368U (zh) 用于高亮度激光投影机使用现场对人眼实施保护的系统装置
KR20200108659A (ko)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KR102115656B1 (ko) 사출성형기의 온도 관제 시스템
KR20140091991A (ko) 사출 성형기의 금형정보 추출 시스템
CN103926653B (zh) 一种移动终端通过无线通信技术控制的光纤熔接机
CN108986385A (zh) 一种铁路客车内电气火灾智能预警系统
KR102405573B1 (ko) 화재 이중 관리장치
KR101314553B1 (ko) 영상 전송 기능을 갖는 용접면을 이용한 용접 상태 검출 장치
CN201689513U (zh) 图像型火灾探测器
CN101706655B (zh) 快速成形系统
CN105976555B (zh) 一种外部气相沉积法喷射火焰检测装置及方法
KR102295565B1 (ko)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395233B1 (ko) 절전기능을 구비한 이미지 인식 시스템
CN207503399U (zh) 视觉区域防护智能感应装置
WO20201469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EP3210368B1 (en) Imaging system employing fixed, modular mobile, and portable infrared cameras with ability to receive, communicate, and display data and images with proximity detection
US20110187853A1 (en) Camera adjusting system and method
KR102174070B1 (ko) 이격된 장소의 센서신호를 검출하는 통합센서 모듈이 유선 연결되는 감시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