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659A -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659A
KR20200108659A KR1020190027614A KR20190027614A KR20200108659A KR 20200108659 A KR20200108659 A KR 20200108659A KR 1020190027614 A KR1020190027614 A KR 1020190027614A KR 20190027614 A KR20190027614 A KR 20190027614A KR 20200108659 A KR20200108659 A KR 20200108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lectric panel
unit
sensor
internal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666B1 (ko
Inventor
김정민
임채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오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오프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오프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027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66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1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52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된 형상의 전기판넬의 내부 부품들을 감시하여 전기판넬의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내부 부품을 냉각시키거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을 방지하는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는,
밀폐된 형상의 전기판넬의 내부 부품들의 발열 여부를 감지하는 원적외선 열상 센서와, 상기 내부 부품들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센서와, 상기 전기판넬 내부의 온도 상승을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센싱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 되면 상기 센서부의 센싱 주기를 변경하고, 상기 내부 푸품들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하며, 기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내부 부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전기 공급을 순차적으로 차단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내부 푸품들을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내부 부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전기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전원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Electric panel fir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밀폐된 형상의 전기판넬의 내부 부품들을 감시하여 전기판넬의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내부 부품을 냉각시키거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을 방지하는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재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하는 것일 뿐, 종래 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화재의 약 30% 이상은 전기화재이며, 이러한 전기화재는 일반 가전제품을 포함하여 전기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전기 배전반이나 전기용 판넬(Panel) 내부의 합선 및 과열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마찬가지로, 발전소, 변전소 및 공장이나 건물 등에 있어서 전기실에 설치된 전기 배전반이나 각종 장비의 전기용 판넬(Panel)도 내부의 합선 및 과열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늘 상존한다.
하지만 전기 배전반이나 전기용 판넬의 구조 상 그 내부에 소화장치가 직접 설치되지 못하는 등 전기 배전반이나 전기용 판넬 내부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적절한 소화설비를 갖추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등록특허 10-0509232호에는, 전기 배전반이나 전기용 판넬(panel) 내부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소화하기 위한 전기 배전반 및 전기판넬용 자동소화장치에 있어서, 주입되는 가스가 내부에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전기 배전반이나 상기 전기용 판넬에 설치되는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의 수용공간과 연결된 연결유로와, 상기 연결유로와 외부를 연결하여 상기 연결유로를 통과한 상기 수용공간 내의 가스가 외부로 방사 가능한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방사유로를 가지며, 상기 저장용기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노즐조립체; 및 상기 연결유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연결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의 가스의 상기 방사유로로의 유동을 차단하며, 소정 온도 이상의 열이 상기 방사노즐조립체로부터 전달될 때 용융되어 상기 연결유로를 개방시키는 온도감열퓨즈;를 포함하는 전기 배전반 및 전기판넬용 자동소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전기 배전반이나 전기용 판넬(Electric Panel)의 개조 및 외부 소화설비의 추가 설치 없이도 효과적으로 전기 배전반이나 전기용 판넬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여 전기용 판넬의 화재가 대형화재로 전이되지 않게 할 수 있지만, 전기용 판넬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한 이후의 조치이며, 원천적으로 화재 발생을 예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기판넬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기 전에, 전기판넬의 내부 부품들을 감시하여 전기판넬의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내부 부품을 냉각시키거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을 방지하는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
한국등록특허 10-0509232호
본 발명은 밀폐된 형상의 전기판넬의 내부 부품들을 감시하여 전기판넬의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내부 부품을 냉각시키거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을 방지하는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는,
밀폐된 형상의 전기판넬의 내부 부품들의 발열 여부를 감지하는 원적외선 열상 센서와, 상기 내부 부품들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센서와, 상기 전기판넬 내부의 온도 상승을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센싱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 되면 상기 센서부의 센싱 주기를 변경하고, 상기 내부 푸품들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하며, 기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내부 부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전기 공급을 순차적으로 차단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내부 푸품들을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내부 부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전기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전원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센싱값을 기초로 화재발생 가능성을 예측 판단하는 화재위험 판단모듈과, 상기 화재위험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센서부의 센싱 주기를 변경하는 센서주기 제어모듈과, 상기 화재위험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냉각부 제어모듈과, 상기 화재위험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전원 관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재위험 판단모듈은, 상기 내부 부품들의 정상 가동시 온도 범위인 정상 범위와 상기 내부 부품들의 과열 가동시의 온도 범위인 위험 범위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며, 상기 위험 범위는 화재의 위험은 적으나 열에 의해 해당 부품의 성능이 악화되는 제1 위험 범위와, 열에 의해 해당 부품에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제2 위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주기 제어모듈은, 상기 화재위험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가 위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의 센싱 주기가 정상 범위의 센싱 주기인 제1 주기 보다 작은 제2 주기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내부 부품들이 장착되는 전기판넬 기판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판넬 기판을 직간접적으로 접촉하는 저온의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유로와, 상기 전기판넬 기판과의 열교환으로 고온화된 냉매가 다시 저온의 냉매가 되게 하는 열교환기와, 저온화된 냉매가 저장되는 냉매 저장용기와, 상기 냉매 유로를 유동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 제어모듈은, 상기 화재위험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조절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여 냉매의 유동량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판넬 기판의 전면에 형성된 내부 부품들의 온도를 정상 범위의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내부 부품들 각각에 대해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공급 전원을 개별적으로 관리하며, 상기 전원 제어모듈은 상기 화재위험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 상기 전기판넬 내부의 복수의 부품들이 위험 범위에 속한 경우, 우선 순위가 후순위인 부품에 대한 전원 공급을 우선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내부 부품들 각각에 대해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공급 전원을 개별적으로 관리하며, 상기 전원 제어모듈은 상기 화재위험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 상기 전기판넬 내부의 복수의 부품들이 위험 범위에 속한 경우, 우선 순위가 선순위인 부품에 대한 전원 공급을 우선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밀폐된 형상의 전기판넬의 내부 부품들을 감시하여 전기판넬의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내부 부품을 냉각시키거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발전소, 변전소 및 공장이나 건물 등의 전기실에 설치된 전기 배전반이나 각종 장비의 전기판넬을 보여 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의 제어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는 전기판넬 후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의 냉각부가 개념적으로 예시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발전소, 변전소 및 공장이나 건물 등의 전기실에 설치된 전기 배전반이나 각종 장비의 전기판넬을 보여 주는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의 제어부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4는 전기판넬 후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의 냉각부가 개념적으로 예시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는, 센서부(100)와, 제어부(200)와, 냉각부(300)와, 전원 관리부(400)와, 디스플레이부(500)와, 통신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발전소, 변전소 및 공장이나 건물 등의 전기실에 설치된 전기 배전반이나 각종 장비의 전기판넬(Panel)에 설치되어 전기판넬의 내부 부품들을 감시하여 전기판넬의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내부 부품을 냉각시키거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을 방지한다.
센서부(100)는 밀폐된 형상의 전기판넬의 내부 부품(A)들을 감시하여 센싱값을 생성한다. 전기판넬은, 도 1과 같이 도어(D)를 구비한 밀폐된 케이스 형상이며, 센서부(100)는 도어(D)의 뒷면 또는 케이스 내부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서 내부 부품들을 감시하도록 설치된다.
센서부(100)은 원적외선 열상 센서(110)와, 연기 센서(120)와, 온도 센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적외선 열상 센서(110)는 8㎛ ~ 14㎛ 파장대의 장파 적외선 이미지를 검출하는 센서이며, 전기판넬 내부 부품의 발열 여부를 감지한다.
연기 센서(120)는 화재 발생에 의한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의 발생 이전에 보다 빨리 사고를 발견하는 화재 감지기의 일종으로, 이온식과 광식(光式)이 있으며, 이온식은 연소 생성 입자를 이온 전류의 변화로 포착하는 방식이고, 광식은 연기에 의한 광속의 변화로 감지하는 방식이다.
온도 센서(130)는 전기판넬 내부의 온도 상승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감지된 온도를 비례 전류 출력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온도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 온도 센서는 IC 온도 센서(Integrated Circuit Temperature sensor)로도 명명되며, 측정된 온도 데이터는 I2C 통신을 통해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DSP Contorller)과 연동된다. I2C는 로컬 버스라고 부르는 병렬 버스와 다르게 주변 장치를 단지 두 가닥의 신호선으로만 연결하여 동작하는 양방향 직렬 버스 규격을 의미한다.
제어부(200)는 센서부(100)의 동작 주기(센싱 주기)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센서부(100)의 센싱값을 기초로 전기판넬의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냉각부(300)를 제어하여 내부 부품을 냉각시키거나 전원 관리부(400)를 제어하여 기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특정 부품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위험 판단모듈(210)과 센서주기 제어모듈(220)과 냉각부 제어모듈(230)과 전원 제어모듈(240)을 포함한다. 상기의 모듈들(210 ~ 240)은 각각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들(210 ~ 240)은 프로그램 모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되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일 수 있다.
화재위험 판단모듈(210)은 센서부(100)에 의해 감지된 센싱값을 기초로 화재발생 가능성을 예측 판단한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센싱값은 온도 센서(13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값일 수 있으나, 원적외선 열상 센서(110)인 경우라도 원적외선 열상 센서(110)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에서 온도에 따른 컬러를 이미지 분석하여 해당 부품 또는 전기판넬 내부의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화재위험 판단모듈(210)은 감시 대상체인 내부 부품의 정상 가동시 온도 범위(정상 범위) 및 과열 가동시의 온도 범위(위험 범위)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다. 위험 범위는, 화재의 위험은 적으나 열에 의해 해당 부품의 성능이 악화되는 제1 위험 범위와, 열에 의해 해당 부품에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제2 위험 범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상 범위 및 위험 범위는 해당 부품의 제조 과정에서 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특별히 온도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정상 범위 및 위험 범위는 획일적인 것이 아니며, 부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화재위험 판단모듈(210)은 센서부(100)에 의해 감지된 센싱값을 기초로 각각의 부품에 대해 화재발생 가능성을 단계적으로 예측 판단한다. 예를 들어, 화재위험 판단모듈(210)은 온도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전기판넬 내부의 온도가 모든 부품에 대해 정상 범위에 해당하는 지 또는 부품의 성능이 악화되는 제1 위험 범위에 해당하는 지 또는 부품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제2 위험 범위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한다. 또는, 화재위험 판단모듈(210)은 원적외선 열상 센서(110)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특정 부품의 온도를 획득하고 해당 부품이 정상 범위, 제1 위험 범위, 또는 제2 위험 범위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전기판넬 내부 전체의 온도는 주로 온도 센서(130)에 의해 획득될 수 있고, 전기판넬 내부의 특정 부품의 온도는 주로 원적외선 열상 센서(110)에 의해 획득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주기 제어모듈(220)은 화재위험 판단모듈(21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센서부(100)의 센싱 주기를 변경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센서부(100)를 이루는 각각의 센서(110 ~ 130)는 발열 여부, 연기 발생 여부, 온도값을 항시 감지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주기 동안, 1회 센싱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기판넬 내부의 온도가 모든 부품에 대해 정상 범위인 경우, 1시간에 1회 센싱 동작을 수행한다. 즉, 평소에는 슬립 모드로 있다가 주기적으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하여 센싱 동작을 수행한다.
센서주기 제어모듈(220)은 화재위험 판단모듈(210)의 판단 결과가 위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센서부(100)의 센싱 주기가 제1 주기 보다 작은 제2 주기로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위험 범위의 단계에 따라 제1 위험 범위이면 제1 주기 보다 작은 제2_1 주기로, 제2 위험 범위이면 제2_1 주기 보다 작은 제2_2 주기로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1시간에 1회 센싱 동작을 수행하는 정상 범위에서, 온도 상승에 따라 제1 위험 범위로 판단되면 5분에 1회 센싱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전기판넬 내부 및 부품의 상태를 보다 자주 모니터링 하고, 더 나아가 더 위험한 제2 위험 범위로 판단되면, 1분에 1회 센싱하여 실시간으로 전기판넬 등을 모니터링하도록 제어한다. 위험 범위에서 다시 정상 범위로 판단된 경우, 센서주기 제어모듈(220)은 센서부(100)의 센싱 주기가 다시 원래의 제1 센싱 주기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센서주기 제어모듈(220)은 평소의 정상 범위인 경우와 화재발생 가능성이 높은 위험 범위인 경우의 센싱 주기를 제어하여 센서부(100)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센서의 배터리 사용 수명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냉각부 제어모듈(230)은 화재위험 판단모듈(21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냉각부(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냉각부(300)는 부품이 장착되는 전기판넬 기판(S)의 후면에 설치되며, 전기판넬 기판(S)의 열을 흡수하는 저온의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유로(310)와 기판(S)과의 열교환으로 고온화된 냉매가 다시 저온의 냉매가 되게 하는 열교환기(320)와 저온화된 냉매가 저장되는 냉매 저장용기(330)을 포함한다. 냉매 저장용기(330)에 저장된 저온의 냉매는 조절 밸브(340)의 작동으로 전기판넬 기판(S) 후면에 설치된 냉매 유로(310)를 유동하며, 냉각부 제어모듈(230)은 조절 밸브(340)의 개도를 조절하여 냉매의 유동량을 제어하여 전기판넬 기판(S)의 전면에 형성된 부품들의 온도를 정상 범위의 온도로 조절한다. 이때, 냉각부 제어모듈(230)은 위험 범위의 단계에 따라 더 많은 냉매가 유동하도록 조절 밸브(340)의 개도를 조절한다. 전기판넬 기판(S)과 냉매 유로(310) 사이에는 열 전달을 가능하나, 전기 전도는 되지 않는 절연체(35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 관리부(400)는 전기판넬 내부의 부품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관리한다. 전원 관리부(400)는 전기판넬 내부의 부품들 각각 또는 부품들의 일부를 소정 기준에 따라 그루핑(grouping)하여 공급 전원을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루핑을 위한 기준은 정상 범위 및 위험 범위의 동일 여부가 될 수 있다. 또는, 전원 관리부(400)는 전력 사용의 필요성이 높은 부품에 대해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전원 공급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거형 건물에 사용되는 전기판넬인 경우, 건물의 냉난방 장치, 가전제품, 조명장치, 냉장고 순으로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우선 순위는 본 발명의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제조시에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즉, 전원 관리부(400)는 공급되는 전력이 한정적인 경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해당 부품에 우선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전원 제어모듈(240)은 화재위험 판단모듈(21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전원 관리부(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화재위험 판단모듈(210)의 판단 결과, 전기 판넬 내부의 모든 부품들이 위험 범위에 속한 경우, 전원 제어모듈(240)은 전원 관리부(400)의 동작을 제어하여 특정 부품에 대한 전원 공급을 우선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우선 순위가 후순위인 부품에 대한 전원 공급을 우선적으로 차단하여 화재 발생 가능한 위험 범위일지라도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최우선 순위의 부품은 가장 나중에 차단되게 된다.
한편, 우선 순위는 부품의 가격에 따라 부여될 수도 있다. 즉, 비싼 부품이면 높은 우선 순위, 싼 부품이면 낮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열에 의한 부품 성능 악화, 열에 의한 부품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부품의 온도가 위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원 제어모듈(240)은 우선 순위가 높은 비싼 부품이 먼저 차단되도록 전원 관리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0)는 제어부(200)에 의한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원적외선 열상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내부 부품의 발열 여부에 대한 정보와, 연기 센서(120)에 의해 감지된 부품에서의 연기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와, 온도 센서(130)에 의해 감지된 전기판넬 내부의 온도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부품의 성능이 악화되는 제1 위험 범위 또는 부품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제2 위험 범위 여부에 대한 메시지(경고 메시지)도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통신부(60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700)와 다양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부(600)는 제어부(200)에 의한 판단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정보는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와 동일한 정보일 수 있으며, 경고 메시지를 포함한다.
관리자 단말기(700)는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단말기이며,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700)는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의 통신부(600)로부터 전기판넬 내부 부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로부터 내부 부품에 이상이 있다고 관리자가 스스로 판단하거나 제어부(200)의 판단 결과인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전기판넬에 접근하여 해당 부품의 분리, 교체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센서부 200 : 제어부
210 : 화재위험 판단모듈 220 : 센서주기 제어모듈
230 : 냉각부 제어모듈 240 : 전원 제어모듈
300 : 냉각부 400 : 전원 관리부
500 : 디스플레이부 600 : 통신부
70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8)

  1. 밀폐된 형상의 전기판넬의 내부 부품들의 발열 여부를 감지하는 원적외선 열상 센서와, 상기 내부 부품들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센서와, 상기 전기판넬 내부의 온도 상승을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센싱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 되면 상기 센서부의 센싱 주기를 변경하고, 상기 내부 푸품들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하며, 기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내부 부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전기 공급을 순차적으로 차단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내부 푸품들을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내부 부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전기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전원 관리부
    를 포함하는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센싱값을 기초로 화재발생 가능성을 예측 판단하는 화재위험 판단모듈과,
    상기 화재위험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센서부의 센싱 주기를 변경하는 센서주기 제어모듈과,
    상기 화재위험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냉각부 제어모듈과,
    상기 화재위험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전원 관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재위험 판단모듈은,
    상기 내부 부품들의 정상 가동시 온도 범위인 정상 범위와 상기 내부 부품들의 과열 가동시의 온도 범위인 위험 범위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며,
    상기 위험 범위는 화재의 위험은 적으나 열에 의해 해당 부품의 성능이 악화되는 제1 위험 범위와, 열에 의해 해당 부품에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제2 위험 범위를 포함하는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주기 제어모듈은,
    상기 화재위험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가 위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의 센싱 주기가 정상 범위의 센싱 주기인 제1 주기 보다 작은 제2 주기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내부 부품들이 장착되는 전기판넬 기판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판넬 기판을 직간접적으로 접촉하는 저온의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유로와, 상기 전기판넬 기판과의 열교환으로 고온화된 냉매가 다시 저온의 냉매가 되게 하는 열교환기와, 저온화된 냉매가 저장되는 냉매 저장용기와, 상기 냉매 유로를 유동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 제어모듈은, 상기 화재위험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조절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여 냉매의 유동량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판넬 기판의 전면에 형성된 내부 부품들의 온도를 정상 범위의 온도로 조절하는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내부 부품들 각각에 대해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공급 전원을 개별적으로 관리하며,
    상기 전원 제어모듈은 상기 화재위험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 상기 전기판넬 내부의 복수의 부품들이 위험 범위에 속한 경우, 우선 순위가 후순위인 부품에 대한 전원 공급을 우선적으로 차단하는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내부 부품들 각각에 대해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공급 전원을 개별적으로 관리하며,
    상기 전원 제어모듈은 상기 화재위험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 상기 전기판넬 내부의 복수의 부품들이 위험 범위에 속한 경우, 우선 순위가 선순위인 부품에 대한 전원 공급을 우선적으로 차단하는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KR1020190027614A 2019-03-11 2019-03-11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KR102188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614A KR102188666B1 (ko) 2019-03-11 2019-03-11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614A KR102188666B1 (ko) 2019-03-11 2019-03-11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659A true KR20200108659A (ko) 2020-09-21
KR102188666B1 KR102188666B1 (ko) 2020-12-08

Family

ID=7270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614A KR102188666B1 (ko) 2019-03-11 2019-03-11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66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556B1 (ko) * 2021-04-30 2022-02-18 주식회사 엘아이티씨 실리콘 렌즈를 이용한 전기화재 감시 및 차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365557B1 (ko) * 2021-05-28 2022-02-23 이승희 복수 레이다 수광렌즈를 이용한 광센서 및 가스센서가 적용된 전기화재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7162A (ko) * 2021-10-21 2023-04-2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전반 화재 감시 시스템
WO2023084544A1 (en) * 2021-11-13 2023-05-19 Somvanshi Rahul Ashok System for monitoring parameters and predicting fire situations
KR102555150B1 (ko) * 2022-11-15 2023-07-13 상림이엔지 주식회사 인클로저 밀폐효과·냉기 공기순환효과·IoT형 스마트센싱효과로 이루어진 쓰리이펙트형 토탈케어식 제어반 부품 부식방지장치 및 방법
KR102555151B1 (ko) * 2022-11-15 2023-07-13 상림이엔지 주식회사 인클로저 밀폐효과·냉기 공기순환효과·IoT형 스마트센싱효과로 이루어진 쓰리이펙트형 파트케어식 제어반 부품 부식방지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232B1 (ko) 2003-05-02 2005-08-22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전기 배전반 및 전기 판넬용 자동소화장치
JP5097760B2 (ja) * 2009-10-27 2012-1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式火災警報器
KR101706672B1 (ko) * 2014-11-11 2017-02-27 주식회사 이엠아이 부품 또는 장비의 화재 및 연소의 탐지에 의한 위험 예방 방법
KR101763484B1 (ko) * 2015-11-18 2017-08-04 유한회사 엔텍코리아 전기화재 예측을 위한 스마트 화재감시 및 환풍제어 분전반 시스템
KR101878728B1 (ko) * 2016-12-30 2018-07-1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추진선박의 전력변환장치용 냉각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232B1 (ko) 2003-05-02 2005-08-22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전기 배전반 및 전기 판넬용 자동소화장치
JP5097760B2 (ja) * 2009-10-27 2012-1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式火災警報器
KR101706672B1 (ko) * 2014-11-11 2017-02-27 주식회사 이엠아이 부품 또는 장비의 화재 및 연소의 탐지에 의한 위험 예방 방법
KR101763484B1 (ko) * 2015-11-18 2017-08-04 유한회사 엔텍코리아 전기화재 예측을 위한 스마트 화재감시 및 환풍제어 분전반 시스템
KR101878728B1 (ko) * 2016-12-30 2018-07-1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추진선박의 전력변환장치용 냉각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556B1 (ko) * 2021-04-30 2022-02-18 주식회사 엘아이티씨 실리콘 렌즈를 이용한 전기화재 감시 및 차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365557B1 (ko) * 2021-05-28 2022-02-23 이승희 복수 레이다 수광렌즈를 이용한 광센서 및 가스센서가 적용된 전기화재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7162A (ko) * 2021-10-21 2023-04-2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전반 화재 감시 시스템
WO2023084544A1 (en) * 2021-11-13 2023-05-19 Somvanshi Rahul Ashok System for monitoring parameters and predicting fire situations
KR102555150B1 (ko) * 2022-11-15 2023-07-13 상림이엔지 주식회사 인클로저 밀폐효과·냉기 공기순환효과·IoT형 스마트센싱효과로 이루어진 쓰리이펙트형 토탈케어식 제어반 부품 부식방지장치 및 방법
KR102555151B1 (ko) * 2022-11-15 2023-07-13 상림이엔지 주식회사 인클로저 밀폐효과·냉기 공기순환효과·IoT형 스마트센싱효과로 이루어진 쓰리이펙트형 파트케어식 제어반 부품 부식방지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666B1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666B1 (ko)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KR101470348B1 (ko) 화재방지 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104566838B (zh) 空调器的故障检测方法和装置
KR101656703B1 (ko) 스마트 감시가 가능한 수배전반 자가진단 시스템
KR101922016B1 (ko) 결로 예측 및 예방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장치
KR20190051225A (ko)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배전반 관리시스템
WO2016195327A1 (ko)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05573B1 (ko) 화재 이중 관리장치
CN108493807A (zh) 一种具有防火警报功能的远程监控配电柜
KR101894239B1 (ko) 결로 예측 및 예방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 방법
US20140316594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reducing safety risk and optimizing energy use
KR20170090588A (ko) 전기 판넬 과열 감시 장치
CN104769515A (zh) 用于危险场所外壳的可编程温度控制器
JP6580881B2 (ja) 電力計測装置および電力管理方法
CN112164198A (zh) 火灾检测方法及不间断电源
KR100258212B1 (ko) 옥외용기지국의시스템환경감시장치및방법
WO2014128745A1 (ja) 蓄電システム
CN114069078B (zh) 锂电池热失控预警系统及锂电池系统
KR20190044791A (ko) 강화된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접속반
KR101684679B1 (ko) 접속반내의 단자볼트 텐션상태 검출을 통한 화재방지기능을 가지는 태양광발전시스템
CN107990409A (zh) 空调室内机、空调的控制方法、空调以及存储介质
WO2014125520A1 (ja) 蓄電システム
CN202649804U (zh) 通讯基站集中控制系统
CN106813342B (zh) 一种红外加湿装置的控制方法和红外加湿装置
KR101590506B1 (ko) 임피던스 측정과 우회회로를 통한 화재방지 및 접속반 교환시기 알림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