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565B1 -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565B1
KR102295565B1 KR1020190169834A KR20190169834A KR102295565B1 KR 102295565 B1 KR102295565 B1 KR 102295565B1 KR 1020190169834 A KR1020190169834 A KR 1020190169834A KR 20190169834 A KR20190169834 A KR 20190169834A KR 102295565 B1 KR102295565 B1 KR 102295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space
camera
camera device
image production
produc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8096A (ko
Inventor
박병엽
김용복
안형현
최기열
Original Assignee
(주)신한항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한항업 filed Critical (주)신한항업
Priority to KR102019016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5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간 내부를 감지하되 실내 공간 내부에서의 이상감지가 침입자에 의한 것인지 화재에 의한 것인지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한편, 카메라장치의 설치위치를 편리하게 확인하여, 2개 이상의 카메라장치를 통해 수집한 2D 영상과, 카메라장치의 설치위치 좌표를 매개로, 현실감 있는 3D 실내공간 영상을 서비스할 수 있는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Service Method And System Of 3D Indoor Space With Improved Practical Use}
본 발명은 실내공간 내부를 감지하되 실내 공간 내부에서의 이상감지가 침입자에 의한 것인지 화재에 의한 것인지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한편, 카메라장치의 설치위치를 편리하게 확인하여, 2개 이상의 카메라장치를 통해 수집한 2D 영상과, 카메라장치의 설치위치 좌표를 매개로, 현실감 있는 3D 실내공간 영상을 서비스할 수 있는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 부동산 중계 사이트는 물론 기타 실내 구조와 형태 등을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와 전문 기업 및 기관 등(이하 '서비스 제공자')은, 실내 구조와 형태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실내를 사진으로 직접 촬영해서 도 1과 같은 단순 촬영이미지로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라이다 장치를 이용하여 3D 실내공간 영상을 제작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 활용되는 라이다 장치는 상대적으로 고가의 장비이므로, 서비스 제공자가 이를 임대하거나 구매함에 있어 경제적 부담이 있었고, 라이다 장치는 실내 공간을 이동하면서 지점별로 스캔작업을 진행하여 라이다 장치의 현재 위치를 일일이 파악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과 수고 또한 적지 않았다.
또한, 종래에는 건축물의 실내공간 내부상태(예를 들어 온도, 습도, 가스, 보안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어, 건축물의 실내공간 상태에 따른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때, 건축물 실내공간의 보안 상태를 확인할 시, 실내 공간을 가시적으로 확인하여 보다 정확한 실내공간 정보를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3041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공간 내부를 감지하되 실내 공간 내부에서의 이상감지가 침입자에 의한 것인지 화재에 의한 것인지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한편, 카메라장치의 설치위치를 편리하게 확인하여, 2개 이상의 카메라장치를 통해 수집한 2D 영상과, 카메라장치의 설치위치 좌표를 매개로, 현실감 있는 3D 실내공간 영상을 서비스할 수 있는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과제의 해결 수단은,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와, 가스측정센서와, 조명등 및, 일정세기 이상의 빛을 감지하면 빛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조도센서를 실내공간에 설치하는 설비 설치 단계와;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장치를 실내공간에 설치하는 카메라장치 설치 단계와;
각각의 카메라장치의 촬영각 안에 포함되도록 실내공간에 기준대를 설치하는 기준대 설치 단계와;
각각의 카메라장치를 구동하여 기준대를 촬영하는 기준대 촬영 단계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가, 기준대와 카메라장치 간의 수평거리와, 카메라장치로부터 수신한 카메라장치 촬영각을 매개로, 각각의 카메라장치의 설치위치 좌표를 연산하는 카메라장치 설치위치 측정 단계와;
기준대 촬영 단계에서 설치된 기준대를 제거하는 기준대 제거 단계와;
카메라장치 설치 단계에서 설치된 카메라장치를 통해 실내 공간을 촬영하는 실내공간 촬영 단계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가, 각각의 카메라장치로부터의 2D 실내공간 촬영영상과, 각각의 카메라장치의 설치위치 좌표를 매개로, 카메라장치에 의해 촬영된 실내공간 안의 객체가 입체적으로 표현되는 3D 실내공간 영상을 제작하는 3D 실내공간 영상 제작 단계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가, 3D 실내공간 영상 제작 단계에서 제작된 3D 실내공간 영상을 별도의 단말기로 송출하는 3D 실내공간 영상 송출 단계 및;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가,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와, 가스측정센서로부터의 센싱데이터를 수신하는 한편, 조도센서로부터 빛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조명등을 원격 점등하면서 카메라장치를 원격 구동하고, 카메라장치의 촬영영상을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의 디스플레이유닛에 출력하면서 상기 출력을 주변에 알리는 실내 공간 확인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기준대 설치 단계에서,
상기 기준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장치의 촬영각 안에 위치되도록 실내공간의 다수의 지점으로 옮겨지면서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장치 설치 위치 측정 단계에서,
상기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는, 기준대가 옮겨질 때마다, 옮겨진 기준대와 상기 카메라장치 간의 수평거리와,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수신한 카메라장치 촬영각을 매개로, 상기 카메라장치의 설치위치 좌표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 또는 제2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기준대 설치 단계는,
각각의 카메라장치가 카메라장치의 카메라 뷰를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에 송출하고,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가 상기 카메라 뷰를 출력하며, 상기 카메라 뷰 내에 기준대가 위치하도록, 기준대의 위치가 조절되거나,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가 카메라장치의 촬영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과제의 해결 수단은,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습도센서와;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가스측정센서와;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조명등과;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일정세기 이상의 빛을 감지하면 빛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조도센서와; 각도 조절 가능하게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장치 및; 온도센서, 습도센서, 가스측정센서, 조도센서, 조명등, 카메라장치와 통신하는 송수신유닛을 갖춘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와:
실내공간에 설치되되 각각의 카메라장치의 촬영각 안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기준대와: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의 송수신유닛과 통신하는 송수신유닛과; 기준대와 카메라장치 간의 수평거리와,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로부터의 2D 실내공간 촬영영상 및,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로부터의 카메라장치 촬영각를 저장하는 저장DB와; 저장DB로부터 상기 수평거리, 상기 카메라장치 촬영각을 수신하여 각각의 카메라장치의 설치위치 좌표를 연산하여 저장DB에 저장하는 카메라설치위치측정유닛 및; 저장DB로부터 2D 실내공간 촬영영상을 수신하고, 저장DB로부터 각각의 카메라장치의 설치위치 좌표를 수신하여, 각각의 카메라장치로부터의 2D 실내공간 촬영영상과, 카메라설치위치측정유닛에 의해 연산된 각각의 카메라장치의 설치위치 좌표를 매개로, 카메라장치에 의해 촬영된 실내공간 안의 객체가 입체적으로 표현되는 3D 실내공간 영상을 제작하며, 제작된 3D 실내공간 영상을 저장DB에 저장하는 3D실내공간영상제작유닛과; 디스플레이유닛과; 상기 송수신유닛, 저장DB, 카메라설치위치측정유닛, 3D실내공간영상제작유닛, 디스플레이유닛을 작동제어하고, 조도센서로부터 빛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조명등을 원격 점등하면서 카메라장치를 원격 구동하고, 카메라장치의 촬영영상을 디스플레이유닛에 출력하면서 상기 출력을 주변에 알리는 제어유닛을 갖춘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 및: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와 통신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4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의 디스플레이유닛은, 카메라장치로부터의 카메라 뷰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의 제어유닛은, 카메라 제어신호를 카메라장치로 송출하여 카메라장치의 촬영각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값비싼 라이다 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3D 실내공간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일일이 카메라장치(100)의 설치위치를 측정할 필요 없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장치(100)의 촬영각 안에 기준대(200)가 위치하도록 기준대(200)를 설치함으로써, 각각의 카메라장치(100)의 설치위치를 쉽게 측정할 수 있어, 카메라장치(100)를 활용하여 3D 실내공간을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장치(100)의 설치위치를 측정할 시 기준대(10)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가 각각의 카메라장치(100)가 동일지점을 시준하도록 할 시, 시준 작업이 편리하다. 즉 실내공간(S)에 엄폐물(예를 들어 파티션 등)이 다수 존재하여 상기 카메라장치(100)가 상기 동일지점을 시준하기 어려울 경우, 기준대(10)를 통해 시준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의 실내공간(S)에 대한 3D 실내공간 영상을 제작할 시, 다수의 카메라장치(100)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기준대(200)를 옮겨가면서 각각의 카메라장치(100)의 설치위치를 쉽게 측정할 수 있어, 복잡한 구조의 실내공간(S)에 대한 3D 실내공간 영상을 쉽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준대(200)를 최초 설치 한 후에 기준대(200)의 설치에 문제가 있는 것을 알았을 경우, 작업자가 카메라장치(100)의 촬영각을 제어하여, 카메라장치(100)의 카메라 뷰를 통해 기준대(200)를 확인하면서, 각각의 카메라장치(100)의 촬영각 안에 기준대(200)가 위치하게 조절할 수 있어, 기준대(200) 최초 설치에 문제가 있더라도 이에 구애받지 않고 3D 실내공간 영상 제작 작업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우수한 3D 실내공간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부동산 등의 방 소개에 적용될 시, 저렴한 비용으로 방의 구조, 인테리어 등을 실제 모습에 가깝게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단말기(400) 이용자 또는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 관리자가 실내공간(S)의 상태(온도, 습도, 보안, 가스안전 등)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건축물의 실내공간(S)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안내할 수 있고, 건축물의 실내공간(S)에 대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용자가 보고자 하는 실내공간(S)의 온도, 습도, 가스 안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수 있어, 상기 실내공간(S)에 대한 안전성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공간(S) 사용자가 실내공간을 보안상태로 셋팅한 후 외출하였을 시, 실내공간(S)에서 빛감지가 이루어지면, 휴대용 전등을 소지하고 실내공간(S)을 침입한 침입자인지, 실내공간(S)에 화재가 발생한 것인지를, 카메라장치(110)의 촬영영상을 통해 관리자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카메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기준대 및 카메라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부분 평단도면이고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기준대 및 카메라 장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작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카메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기준대 및 카메라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부분 평단도면이고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기준대 및 카메라 장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정단면도으로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시스템은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100)와, 기준대(200)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 및,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100)는 카메라장치(110)와, 카메라장치(11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120)과,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와 통신하는 송수신유닛(130)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100)는 다수의 장소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공간(S)에 설치되어 실내공간(S)의 내부 상태를 확인하는 온도센서(170)와, 습도센서(180) 및, 가스측정센서(190)을 더 갖출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170)는 상기 제어유닛(12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실내공간(S)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습도센서(180)는 상기 제어유닛(12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실내공간(S)의 습도를 측정하며, 상기 가스측정센서(190)는 상기 제어유닛(12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실내공간(S) 내의 가스(예를 들어 산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를 측정(확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공간(S)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면 상기 센서 이외에 더해 다양한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실내공간(S)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공간(S)에 설치되는 적외선센서(140)를 더 갖출 수 있다.
상기 적외선센서(140)는 실내공간(S)에 설치되어, 실내공간(S)에서의 객체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를 통해 적외선센서(140)는 실내공간(S) 내의 보안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외선센서(140)는 실내공간(S)에 위치한 카메라장치(100)에 설치되지만, 적외선센서(140)의 기능이 카메라장치(100)에 탑재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장치(110)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실내공간(S)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장치(11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장치(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공간(S)에 6개의 카메라장치(110;110a~110f)가 설치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장치(110)는, 카메라(111)와, 카메라(1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행거(112)와, 제1행거(112)에서 카메라(111)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제1구동모터(113)와, 제1행거(1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행거(114)와, 제2행거(114)에서 제1행거(112)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제2구동모터(115) 및, 카메라(111)와 제1행거(112)의 회전각을 각각 센싱하는 회전각센서(11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장치(110)는 브라켓(117)을 매개로 실내공간(S)의 상측 벽면에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카메라장치(110)에서 제1행거(112)는 카메라(111)가 상하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었고, 제2행거(114)는 제1행거(112)가 수평 회전하도록 설치되었으나, 이와는 반대로 제1행거(112)가 카메라(111)를 수평 회전하도록 하고, 제2행거(114)가 상기 제1행거(112)를 상하로 회전하도록 설계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유닛(120)은 카메라장치(110)와, 송수신유닛(130)와, 적외선센서(140)와, 조도센서(150)와, 조명등(160)과, 온도센서(170)와, 습도센서(180) 및, 가스측정센서(190)를 작동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유닛(120)이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에 의해 원격제어되어, 카메라장치(110), 송수신유닛(130), 적외선센서(140), 조도센서(150), 조명등(160), 온도센서(170), 습도센서(180), 가스측정센서(190)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에 의해 제어되지만, 제어유닛(120)이 상기 구성을 자체 제어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제어유닛(120)은 카메라장치(110)를 자체 제어하여, 카메라(111)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유닛(120)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유닛과, 제어유닛(12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유닛을 더 갖출 수도 있다.
상기 송수신유닛(130)은 제어유닛(12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와 통신한다. 일예로 상기 송수신유닛(130)은 카메라장치(110) 관련 데이터를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로 송출하고,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수신유닛(130)은 카메라장치(110), 조명등(160)과,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각 센서와 통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수신유닛(130)은 무선 송출 타입 또는 유선 송출 타입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120) 및 송수신유닛(130)은 실내공간(S)에 설치되는 별도의 제어박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도센서(150)는 실내공간(S)에 설치되어,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10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일정세기 이상의 빛을 감지하면 빛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조명등(160)은 실내공간(S)에 설치되어,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10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상기 기준대(200)는 실내공간(S)에 설치되되 각각의 카메라장치(100)의 촬영각 안에 위치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준대(200)는 폴대 형상을 이루지만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는 송수신유닛(310)과, 저장DB(320)와, 카메라설치위치측정유닛(330)과, 3D실내공간영상제작유닛(340)과, 입력유닛(350)과, 디스플레이유닛(360)과, 블러링처리유닛(370)과, 권한확인유닛(380) 및, 제어유닛(390)을 갖춘다.
상기 송수신유닛(310)는 상기 제어유닛(39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유닛(310)은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100)의 송수신유닛(130)과 통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송수신유닛(310)는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100)의 송수신유닛(130)으로부터 카메라장치(110)가 촬영한 2D 실내공간 촬영영상을 수신하고,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100)의 송수신유닛(130)으로부터 카메라장치(110)의 카메라(110)의 촬영각을 수신하며,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100)의 송수신유닛(130)에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원격제어신호를 송출하고, 단말기(400)에 3D 실내공간 영상을 송출한다. 한편 본 실시예서 송수신유닛(310)에서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저장DB(320)는 기준대(200)와 카메라장치(110) 간의 수평거리(d)와, 송수신유닛(310)로부터의 2D 실내공간 촬영영상 및, 송수신유닛(310)로부터의 카메라장치(110) 촬영각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거리(d)는 작업자에 의해 측정되고, 작업자가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100)의 송수신유닛(130)을 통해 상기 수평거리(d)를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에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거리(d)는 저장DB(320)에 저장된다. 한편 작업자가 서버 관리자에게 상기 수평거리(d)를 알림으로써, 서버 관리자가 입력유닛(350)을 통해 저장DB(320)에 상기 수평거리(d)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설치위치측정유닛(330)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제어유닛(39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저장DB(320)로부터의 상기 수평거리(d), 상기 카메라장치(110) 촬영각을 매개로, 각각의 카메라장치(110)의 설치위치 좌표를 연산하여 저장DB(320)에 저장한다.
상기 3D실내공간영상제작유닛(340)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제어유닛(39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저장DB(320)로부터의 2D 실내공간 촬영영상과, 해당 2D 실내공간 촬영영상을 촬영한 각각의 카메라장치(110)의 설치위치 좌표를 매개로, 카메라장치(110)에 의해 촬영된 실내공간(S) 내의 객체가 입체적으로 표현되는 3D 실내공간 영상을 제작하며, 제작된 3D 실내공간 영상을 저장DB(320)에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3D실내공간영상제작유닛(340)은, 저장DB(320)로부터 다수의 2D 실내공간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2D 실내공간 촬영영상 간의 매칭점을 찾아 2D 실내공간 촬영영상 간을 정합(연결)하고, 2D 실내공간 촬영영상 내의 객체 간의 관계 분석을 통해 입체감을 갖는 3D 실내공간 영상을 제작한다. 이때 3D실내공간영상제작유닛(340)은 카메라장치(110)의 설치위치, 각각의 카메라장치(110) 간의 설치위치 관계, 2D 실내공간 촬영영상을 촬영한 해당 카메라장치(110)의 촬영각 등을 통해 3D 실내공간 영상을 제작한다.
상기 입력유닛(350)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제어유닛(390)에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360)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제어유닛(39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유닛(360)은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100)의 송수신유닛(130) 및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송수신유닛(310)을 매개로 수신된 카메라장치(110)의 카메라 뷰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유닛(360)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블러링처리유닛(370)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제어유닛(39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 블러링처리유닛(370)은, 제작된 3D 실내공간 영상에서 블러링처리가 필요한 부분(예를 들어 보여지면 안되는 객체 또는 상표)에 블러링처리를 하고, 블러링처리된 3D 실내공간 영상을 저장DB(320)에 저장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블러링 처리는 작업자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입력유닛(350)을 통해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제어유닛(390)에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390)이 블러링처리유닛(370)을 제어하여 블러링 처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권한확인유닛(380)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제어유닛(39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 권한확인유닛(380)은 블러링처리된 3D영상의 블러링처리부를 볼 수 있는 권한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제어유닛(390)이 단말기(400)로부터 일정 영상의 블러링처리부에 대한 블러링처리부접근요청신호를 수신하면, 권한확인유닛(380)은 상기 제어유닛(390)에 의해 제어되어, 해당 영상의 블러링처리부를 볼 수 있는 권한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390)은 상기 해당 영상의 블러링처리부에 대한 접근 권한이 인정되면, 블러링처리되지 않은 원영상을 단말기(400)로 송출한다.
상기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제어유닛(390)은 송수신유닛(310)과, 저장DB(320)와, 카메라설치위치측정유닛(330)과, 3D실내공간영상제작유닛(340)과, 입력유닛(350)과, 디스플레이유닛(360)과, 블러링처리유닛(370) 및, 권한확인유닛(380)을 작동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390)은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100)의 제어유닛(120)을 원격제어한다. 이에 따라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100)의 제어유닛(120)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이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제어유닛(390)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다. 일예로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제어유닛(390)은 입력유닛(350)에 의해 입력된 카메라 제어신호를 송수신유닛(310)를 매개로 카메라장치(110)에 출력하여 카메라(111)의 촬영각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제어유닛(390)은 적외선센서(140)로부터의 이상감지신호(움직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관리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제어유닛(390)은 조도센서(150)로부터의 빛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카메라장치(110)를 구동함과 동시에 조명등(160)을 점등한다. 이때 구동된 카메라장치(110)의 촬영영상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제어유닛(390)은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100)의 각 센서로부터의 센싱값을 저장DB(320)에 저장한다.
상기 단말기(400)는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와 통신한다. 일예로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송수신유닛(310)로부터 3D 실내공간 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400)는 블러링처리된 3D 실내공간 영상이 출력될 시, 3D 실내공간 영상의 블러링처리부를 클릭하여,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에 블러링처리부접근요청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4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등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에서 기준대 설치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을 따라 제작된 3D 실내공간 영상을 예시로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에서 단말기를 통해 센싱데이타를 확인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조도센서에 따른 센싱시 실내공간의 점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조도센서(150), 조명등(160), 온도센서(170), 습도센서(180), 적외선센서(140), 가스측정센서(190)를 도 4(조명등 미도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간(S)에 설치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장치(100)를 실내공간(S)에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공간(S)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카메라장치(110;110a~110f)를 설치한다.
이후, 작업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장치(110a,110b,110c)의 촬영각 안에 포함되도록 실내공간(S)에 기준대(10)를 설치한다.
이때, 작업자는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디스플레이유닛(360)를 통해(또는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각각의 카메라장치(110a,110b,110c)의 카메라 뷰를 확인하여, 상기 카메라 뷰 안에 기준대(10)가 위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3개의 카메라장치(110a,110b,110c) 모두의 카메라 뷰 안에 기준대(10)가 명확하게 들어오지 않을 경우 상기 카메라장치(110a,110b,110c)의 촬영각을 조절하거나 기준대(200)의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장치(110a,110b,110c) 모두의 카메라 뷰 안에 기준대(200)가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기준대(200)와 상기 카메라장치(110a,110b,110c)간의 각각의 수평거리(d)를 측정하여,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저장DB(32)에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작업자는 상기 수평거리(d)를 레이저 거리측정기 또는 줄자 등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대(200)가 설치되면, 작업자는 상기 카메라장치(110a,110b,110c)를 구동하여 기준대(10)를 촬영한다.
그러면,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카메라설치위치측정유닛(33)이, 기준대(200)와 카메라장치(110a,110b,110c) 간의 각각의 수평거리(d)와, 카메라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카메라장치(110a,110b,110c) 촬영각을 매개로, 각각의 카메라장치(100)의 설치위치 좌표를 연산한다.
이후, 작업자는 기준대(10)를 제거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간(S)의 또 다른 위치에 기준대(200)를 설치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카메라장치(110c,110d)간의 관계가 분석되도록 하여, 카메라장치(10d)의 설치위치를 측정한다.
한편, 작업자는 계속해서 기준대(200)를 옮겨가면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카메라장치(110e,110f)의 설치위치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카메라장치(110a~110f)의 설치위치가 측정되면, 작업자는 각각의 카메라장치(110a~110f)를 제어하여, 실내공간(S)을 촬영한다.
그리고, 실내공간(S)의 촬영 작업이 완료되면,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3D실내공간영상제작유닛(34)이, 각각의 카메라장치(110a~110f)로부터의 2D 실내공간 촬영영상과, 카메라설치위치측정유닛(33)에 의해 연산된 각각의 카메라장치(110a~110f)의 설치위치 좌표를 매개로, 3D 실내공간 영상을 제작하면서 3D 실내공간 영상 내의 객체가 입체감을 갖도록 3D 실내공간 영상을 제작한다.
그리고, 제작된 3D 실내공간 영상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저장DB(320)에 저장된다. 이때, 제작된 3D 실내 공간 영상에서 블러링처리가 필요한 부분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블러링처리유닛(370)에 의해 블러링처리되고, 블러링처리된 3D 실내 공간 영상은 저장DB(320)에 저장된다.
한편, 단말기(400)를 소유한 이용자는 인증절차(예를 들어 로그인)를 거쳐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저장DB(320)에 저장된 3D 실내공간 영상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할 수 있다.
즉, 단말기(400)를 소지한 이용자는 보고자 하는 건축물의 3D 실내공간 영상을 단말기(400)의 입력수단 및 출력수단을 통해 단말기(400) 상에 출력하여, 보고자 하는 건축물의 실내를 실제처럼 볼 수 있다.
이때, 이용자가 단말기(400)를 통해 3D 실내공간 영상을 확인할 시, 3D 실내공간 영상에 블러링처리부가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가 출력된 상기 블러링처리부를 터치(단말기가 터치패드 기능을 구비하였을 경우)하면,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로 블러링처리부접근요청신호가 송출된다.
그러면, 블러링처리부접근요청신호를 수신한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는 단말기(400)로 인증신호를 송출하고, 이용자는 단말기(400)를 통해 인증데이터(예를 들어 아이디, 패스워드 등)를 입력한다. 이때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은 권한확인유닛(380)을 매개로 인증데이터를 확인하여, 블러링처리부에 접근 가능한 이용자일 경우, 단말기(400)로 블러링처리되지 않은 원영상을 송출한다.
이후, 이용자는 상기 원영상을 통해 3D 실내공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공간확인장치(50)의 각 센서로부터의 센싱데이터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로 전송되고,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는 상기 센싱데이터를 저장DB(32)에 저장하거나 단말기(4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때,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저장DB(32)에 저장된 센싱데이터는 실내공간(S)의 센싱데이터 변화를 확인하는데 사용가능하다.(예를 들어 센싱데이터의 변화를 그래프화를 통해 확인)
한편, 단말기(400) 이용자는 단말기(400)를 통해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에 접속한 후(로그인을 통해 접속),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에 일정 실내공간(S)에 대한 센싱데이터 정보를 요구하면,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는 상기 실내공간(S)에 대한 센셍데이터를 단말기(400)로 실시한 전송한다. 본 실시예서 단말기(400)로 전송되는 센싱데이터는 실내공간(S)의 온도, 습도, 가스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단말기(400) 이용자는 단말기(400)를 통해 동일 실내공간(S)에 대한 3D 실내공간 영상과 상기 센싱데이터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서는 관리자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를 통해 실내공간(S)의 보안에 문제가 발생한 것을 알았을 경우(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에서 적외선센서로부터의 이상감지신호를 수신할 경우), 관리자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카메라제어기(36)를 통해 카메라장치(100)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공간(S)을 주의 깊게 살필 수 있어, 상기 실내공간(S)의 보안문제 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실내공간(S) 사용자가 야간(또는 주간)에 실내공간(S)에 커튼을 치고 외출한 상태에서,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가 조도센서(150)로부터의 빛감지신호를 수신하면,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160)을 원격으로 점등하면서 카메라장치(110)를 원격으로 구동한다. 이때 카메라장치(110)의 촬영영상(동영상인 것이 바람직함)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디스플레이유닛(360)에 출력된다.
여기서, 관리자는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의 알람을 통해 디스플레이유닛(360) 상에서 상기 촬영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촬영영상은 밝은 환경에서 촬영되어 관리자가 실내공간(S)의 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공간(S) 사용자가 외출하였을 시, 실내공간(S)에서 빛감지가 이루어지면, 휴대용 전등을 소지하고 실내공간(S)을 침입한 침입자인지, 실내공간(S)에 화재가 발생한 것인지를, 상기 촬영영상을 통해 관리자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적외선센서(140)가 정상작동하지 않을 경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침입자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값비싼 라이다 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3D 실내공간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일일이 카메라장치(100)의 설치위치를 측정할 필요 없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장치(100)의 촬영각 안에 기준대(200)가 위치하도록 기준대(200)를 설치함으로써, 각각의 카메라장치(100)의 설치위치를 쉽게 측정할 수 있어, 카메라장치(100)를 활용하여 3D 실내공간을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장치(100)의 설치위치를 측정할 시 기준대(10)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가 각각의 카메라장치(100)가 동일지점을 시준하도록 할 시, 시준 작업이 편리하다. 즉 실내공간(S)에 엄폐물(예를 들어 파티션 등)이 다수 존재하여 상기 카메라장치(100)가 상기 동일지점을 시준하기 어려울 경우, 기준대(10)를 통해 시준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의 실내공간(S)에 대한 3D 실내공간 영상을 제작할 시, 다수의 카메라장치(100)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기준대(200)를 옮겨가면서 각각의 카메라장치(100)의 설치위치를 쉽게 측정할 수 있어, 복잡한 구조의 실내공간(S)에 대한 3D 실내공간 영상을 쉽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준대(200)를 최초 설치 한 후에 기준대(200)의 설치에 문제가 있는 것을 알았을 경우, 작업자가 카메라장치(100)의 촬영각을 제어하여, 카메라장치(100)의 카메라 뷰를 통해 기준대(200)를 확인하면서, 각각의 카메라장치(100)의 촬영각 안에 기준대(200)가 위치하게 조절할 수 있어, 기준대(200) 최초 설치에 문제가 있더라도 이에 구애받지 않고 3D 실내공간 영상 제작 작업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우수한 3D 실내공간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부동산 등의 방 소개에 적용될 시, 저렴한 비용으로 방의 구조, 인테리어 등을 실제 모습에 가깝게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단말기(400) 이용자 또는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300) 관리자가 실내공간(S)의 상태(온도, 습도, 보안, 가스안전 등)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건축물의 실내공간(S)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안내할 수 있고, 건축물의 실내공간(S)에 대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용자가 보고자 하는 실내공간(S)의 온도, 습도, 가스 안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수 있어, 상기 실내공간(S)에 대한 안전성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공간(S) 사용자가 실내공간을 보안상태로 셋팅한 후 외출하였을 시, 실내공간(S)에서 빛감지가 이루어지면, 휴대용 전등을 소지하고 실내공간(S)을 침입한 침입자인지, 실내공간(S)에 화재가 발생한 것인지를, 카메라장치(110)의 촬영영상을 통해 관리자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예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 110; 카메라장치
120; 제어유닛 130; 송수신유닛
150; 조도센서 160; 조명등
170; 온도센서 180; 습도센서
190; 가스측정센서 200; 기준대
300;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 310; 송수신유닛
320; 저장DB 330; 카메라설치위치측정유닛
340; 3D실내공간영상제작유닛 350; 입력유닛
360; 디스플레이유닛 390; 제어유닛

Claims (5)

  1.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와, 가스측정센서와, 조명등 및, 일정세기 이상의 빛을 감지하면 빛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조도센서를 실내공간에 설치하는 설비 설치 단계와;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장치를 실내공간에 설치하는 카메라장치 설치 단계와;
    각각의 카메라장치의 촬영각 안에 포함되도록 실내공간에 기준대를 설치하는 기준대 설치 단계와;
    각각의 카메라장치를 구동하여 기준대를 촬영하는 기준대 촬영 단계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가, 기준대와 카메라장치 간의 수평거리와, 카메라장치로부터 수신한 카메라장치 촬영각을 매개로, 각각의 카메라장치의 설치위치 좌표를 연산하는 카메라장치 설치위치 측정 단계와;
    기준대 촬영 단계에서 설치된 기준대를 제거하는 기준대 제거 단계와;
    카메라장치 설치 단계에서 설치된 카메라장치를 통해 실내 공간을 촬영하는 실내공간 촬영 단계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가, 각각의 카메라장치로부터의 2D 실내공간 촬영영상과, 각각의 카메라장치의 설치위치 좌표를 매개로, 카메라장치에 의해 촬영된 실내공간 안의 객체가 입체적으로 표현되는 3D 실내공간 영상을 제작하는 3D 실내공간 영상 제작 단계와;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가, 3D 실내공간 영상 제작 단계에서 제작된 3D 실내공간 영상을 별도의 단말기로 송출하는 3D 실내공간 영상 송출 단계 및;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가,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와, 가스측정센서로부터의 센싱데이터를 수신하는 한편, 조도센서로부터 빛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조명등을 원격 점등하면서 카메라장치를 원격 구동하고, 카메라장치의 촬영영상을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의 디스플레이유닛에 출력하면서 상기 출력을 주변에 알리는 실내 공간 확인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대 설치 단계에서,
    상기 기준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장치의 촬영각 안에 위치되도록 실내공간의 다수의 지점으로 옮겨지면서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장치 설치 위치 측정 단계에서,
    상기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는, 기준대가 옮겨질 때마다, 옮겨진 기준대와 상기 카메라장치 간의 수평거리와,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수신한 카메라장치 촬영각을 매개로, 상기 카메라장치의 설치위치 좌표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대 설치 단계는,
    각각의 카메라장치가 카메라장치의 카메라 뷰를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에 송출하고,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가 상기 카메라 뷰를 출력하며, 상기 카메라 뷰 내에 기준대가 위치하도록, 기준대의 위치가 조절되거나,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가 카메라장치의 촬영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4.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습도센서와;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가스측정센서와;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조명등과;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일정세기 이상의 빛을 감지하면 빛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조도센서와; 각도 조절 가능하게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장치 및; 온도센서, 습도센서, 가스측정센서, 조도센서, 조명등, 카메라장치와 통신하는 송수신유닛을 갖춘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와:
    실내공간에 설치되되 각각의 카메라장치의 촬영각 안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기준대와: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의 송수신유닛과 통신하는 송수신유닛과; 기준대와 카메라장치 간의 수평거리와,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로부터의 2D 실내공간 촬영영상 및, 촬영및실내공간확인장치로부터의 카메라장치 촬영각를 저장하는 저장DB와; 저장DB로부터 상기 수평거리, 상기 카메라장치 촬영각을 수신하여 각각의 카메라장치의 설치위치 좌표를 연산하여 저장DB에 저장하는 카메라설치위치측정유닛 및; 저장DB로부터 2D 실내공간 촬영영상을 수신하고, 저장DB로부터 각각의 카메라장치의 설치위치 좌표를 수신하여, 각각의 카메라장치로부터의 2D 실내공간 촬영영상과, 카메라설치위치측정유닛에 의해 연산된 각각의 카메라장치의 설치위치 좌표를 매개로, 카메라장치에 의해 촬영된 실내공간 안의 객체가 입체적으로 표현되는 3D 실내공간 영상을 제작하며, 제작된 3D 실내공간 영상을 저장DB에 저장하는 3D실내공간영상제작유닛과; 디스플레이유닛과; 상기 송수신유닛, 저장DB, 카메라설치위치측정유닛, 3D실내공간영상제작유닛, 디스플레이유닛을 작동제어하고, 조도센서로부터 빛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조명등을 원격 점등하면서 카메라장치를 원격 구동하고, 카메라장치의 촬영영상을 디스플레이유닛에 출력하면서 상기 출력을 주변에 알리는 제어유닛을 갖춘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 및: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와 통신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의 디스플레이유닛은, 카메라장치로부터의 카메라 뷰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3D실내공간영상제작서버의 제어유닛은, 카메라 제어신호를 카메라장치로 송출하여 카메라장치의 촬영각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시스템.
KR1020190169834A 2019-12-18 2019-12-18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295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834A KR102295565B1 (ko) 2019-12-18 2019-12-18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834A KR102295565B1 (ko) 2019-12-18 2019-12-18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096A KR20210078096A (ko) 2021-06-28
KR102295565B1 true KR102295565B1 (ko) 2021-08-31

Family

ID=76608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834A KR102295565B1 (ko) 2019-12-18 2019-12-18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92642B (zh) * 2021-09-08 2022-08-12 江苏省工程勘测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智能化技术的河湖生态治理数据处理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8255A (ja) * 2004-09-30 2006-04-13 Ricoh Co Ltd 撮影方法、撮影システム、複合装置、3次元形状復元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録媒体
KR101582441B1 (ko) * 2015-05-20 2016-01-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 정보 수집 시스템 및 이동 객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785B1 (ko) 2012-05-02 2019-05-29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라이다 장치를 활용한 실내지도 자동 생성 방법
KR102080702B1 (ko) * 2018-05-23 2020-02-24 (주)신한항업 영상이미지 정보 클라우드 기반의 3d 실내공간 이미지 자동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8255A (ja) * 2004-09-30 2006-04-13 Ricoh Co Ltd 撮影方法、撮影システム、複合装置、3次元形状復元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録媒体
KR101582441B1 (ko) * 2015-05-20 2016-01-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 정보 수집 시스템 및 이동 객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096A (ko) 202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0103B2 (en) Virtual enhancement of security monitoring
TWI659398B (zh) 利用方向感應之侵入偵測技術
KR101844726B1 (ko) 건축물 감리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감리방법
KR101411624B1 (ko) 화재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43857A (ko) 합성 영상을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9736A (ko) 영상 정합을 이용한 3d 실내공간 자동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N103179386A (zh) 一种基于矢量电子地图的监控方法和监控装置
KR102295565B1 (ko) 활용도가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962612B1 (ko) 실시간 거리 측정을 이용한 추적 감시 시스템
KR20210077310A (ko) 보안이 향상된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193975B1 (ko) 실내공간 실시간 확인이 가능한 클라우드 이용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7041310B2 (ja) ロボット制御装置及びロボット制御方法
EP388640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60082562A (ko) 보안용 로봇
EP3308535B1 (en) Motion capture system and method
JPH11284985A (ja) 設備監視方法及び装置
KR20200080908A (ko) 실내공간 내 사물의 정보 확인이 가능한 클라우드 이용 3d 실내공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13012384A (zh) 一种库房安防实验系统、方法及装置
KR20170007904A (ko) 동적 추적 장치
JP2021092521A (ja) ヘッドマウント型温度分布認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