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159B1 - 형체장치 - Google Patents

형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159B1
KR102440159B1 KR1020180095044A KR20180095044A KR102440159B1 KR 102440159 B1 KR102440159 B1 KR 102440159B1 KR 1020180095044 A KR1020180095044 A KR 1020180095044A KR 20180095044 A KR20180095044 A KR 20180095044A KR 102440159 B1 KR102440159 B1 KR 102440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urface
axis direction
slide part
clamping device
tem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9474A (ko
Inventor
유성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5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159B1/ko
Publication of KR2020001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2045/338Mould parts with combined axial and transversal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금형이 설치된 고정형판; 이동금형이 설치되어 상기 고정형판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는 이격방향 및 상기 고정형판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는 접근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형판; 상기 이동형판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형판을 상기 고정형판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이격방향 및 상기 접근방향 각각에 대해 평행한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형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형체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면은 상기 전후방향에 대해 수직한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이동형판의 형판중심으로부터 상기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된 거리가 증대될수록 상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형체장치{Clamping Unit}
본 발명은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응고시키는 형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은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제조방법이다. 예컨대, 텔레비전,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제품에 있어서 커버, 케이스를 비롯한 다양한 부품이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을 통한 제품의 제조는, 다음과 같은 공정들을 거쳐 이루어진다. 우선, 안료, 안정제, 가소제, 충전제 등이 첨가된 성형재료를 호퍼에 투입하여 용융 상태로 만든다. 다음,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금형 내에 주입한 후에 냉각을 통해 응고시킨다. 다음, 금형으로부터 응고된 성형재료를 추출한 후에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이러한 공정들을 거쳐 다양한 종류 및 크기를 갖는 사출제품이 제조된다.
이와 같은 사출성형을 수행함에 있어서,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응고시켜서 사출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로, 형체장치가 이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형체장치(100)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형체장치에 있어서 안내면이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형체장치(100)는 고정형판(110), 이동형판(120), 및 형체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형판(110)은 고정금형(111)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 고정금형은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동형판(120)은 상기 고정형판(1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 이동형판(120)은 상기 고정형판(110)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는 이격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고정형판(110)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는 접근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형판(120)에는 이동금형(121)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금형은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동금형(121) 및 상기 고정금형(111)은 접촉되어 형폐(形閉) 상태가 되거나, 서로 이격되어 형개(形開) 상태가 된다.
상기 형체프레임(130)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형체장치(100)의 본체로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형체프레임(130)에는 상기 고정형판(110)이 설치된다. 상기 형체프레임(130)에는 상기 이동형판(120)이 상기 이격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접근방향(BD 화살표 방향) 각각에 대해 평행한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형판(120)은 상기 형체프레임(130)에 형성된 안내면(131)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안내면(131)에는 상기 이동형판(120)이 적은 마찰을 통해 원활하게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윤활액 등이 도포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형체장치(100)는 상기 안내면(131)이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높이가 일정하여 평평하게 형성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형체장치(100)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종래 기술에 따른 형체장치(100)는 상기 이동형판(120)이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안내면(131)에 도포된 윤활액이 점차 고이도록 구현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상기 안내면(131)에 고여있는 폐윤활액을 주기적으로 청소해주어야 새로운 윤활액을 상기 안내면(131)에 도포시킬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형판(120)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형체장치(100)는 상기 안내면(131)에 고여있는 폐윤활액을 제거하기 위해 가동을 주기적으로 중지시켜야 하므로, 폐윤활액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가동률을 감소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종래 기술에 따른 형체장치(100)는 상기 안내면(131)이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평평하게 구현되므로, 상기 안내면(131)으로부터 지지력을 제공받는 상기 이동형판(120)이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형체장치(100)는 상기 이동형판(120)이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별도의 기구물, 구조물 등을 구비해야 하므로, 상기 형체프레임(130)의 구조에 대한 복잡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형체프레임(130)의 생산비용을 증대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폐윤활액으로 인한 가동률 감소 및 형체프레임의 구조에 대한 복잡함을 해소할 수 있는 형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는 고정금형이 설치된 고정형판; 이동금형이 설치되어 상기 고정형판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는 이격방향 및 상기 고정형판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는 접근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형판; 상기 이동형판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형판을 상기 고정형판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이격방향 및 상기 접근방향 각각에 대해 평행한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형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형체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를 안내하는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면은 상기 전후방향에 대해 수직한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이동형판의 형판중심으로부터 상기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된 거리가 증대될수록 상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안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슬라이드부가 안내면 상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되면서 발생하는 폐윤활액이 안내면에 고이지 않고 경사를 따라 흘러내리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작업자가 폐윤활액을 제거하기 위해 가동을 주기적으로 중지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폐윤활액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가동률을 증대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작업자가 안내면에 윤활액을 도포하는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안내면 중에서 외측방향을 향하는 부분에서 윤활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윤활액이 안내면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흘러내려 안내면에 도포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드부가 안내면 상에서 이동되는 도중에도 윤활액을 안내면에 도포시킬 수 있으므로, 윤활액을 안내면에 도포하는 도포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안내면이 외측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안내면이 슬라이드부를 외측방향에서 지지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형판이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별도의 기구물, 구조물이 없이도, 안내면만으로 이동형판을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지지하는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형체프레임이 간결한 구조로 구현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형체프레임에 대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형체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형체장치에 있어서 안내면이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가 설치된 사출성형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에 있어서, 이동형판이 고정형판에 대해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에 있어서, 안내면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부가 안내면에 지지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부에 조절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에 있어서, 조절경사면에 슬라이드부가 일부 지지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에 있어서, 조절경사면에 슬라이드부가 일부 지지된 경우 슬라이드부가 안내면으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에 있어서, 삽입부재가 삽입된 길이가 증대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에 있어서, 삽입부재가 삽입된 길이가 증대된 경우 슬라이드부가 안내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에 대한 설명에 앞서, 사출성형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사출성형기(10)는 사출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출성형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사출성형기(10)는 성형재료를 용융시켜 금형에 주입한 후, 주입된 성형재료를 냉각해 응고시킴으로써 사출성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출성형기(10)는 사출장치(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출장치(11)는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이송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로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사출장치(11)는 호퍼(미도시)로부터 성형재료가 공급됨에 따라, 공급된 성형재료를 이송하면서 성형재료를 용융시켜 계량할 수 있다. 상기 호퍼는 성형재료가 상기 사출장치(11)로 공급되기 전, 성형재료를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사출장치(11)는 용융된 성형재료를 상기 금형이 갖는 캐비티에 공급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사출장치(11)로부터 공급된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성형하여 냉각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형체장치(1)로 공급된 성형재료는 상기 캐비티에 대응되는 형태로 성형되어 응고될 수 있다. 응고된 성형재료는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로부터 이탈되어 후가공 처리됨에 따라, 사출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고정금형(21)이 설치된 고정형판(2), 이동금형(31)이 설치되어 상기 고정형판(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는 이격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고정형판(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는 접근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형판(3), 상기 이동형판(3)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형판(3)을 상기 고정형판(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부(4), 상기 슬라이드부(4)가 상기 이격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접근방향(BD 화살표 방향) 각각에 대해 평행한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형체프레임(5)을 포함하고, 상기 형체프레임(5)은 상기 슬라이드부(4)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4)를 안내하는 안내면(52)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면(52)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이동형판의 형판중심(C)으로부터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된 거리가 증대될수록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은 높이가 높아지는 방향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안내면(52)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슬라이드부(4)가 상기 안내면(52) 상에서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되면서 발생하는 폐윤활액이 상기 안내면(52)에 고이지 않고 경사를 따라 흘러내리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작업자가 폐윤활액을 제거하기 위해 가동을 주기적으로 중지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폐윤활액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가동률을 증대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작업자가 상기 안내면(52)에 윤활액을 도포하는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상기 안내면(52) 중에서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부분에서 윤활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윤활액이 상기 안내면(52)을 따라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안내면(52)에 도포되도록 구현된다.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형판중심(C)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슬라이드부(4)가 상기 안내면(52) 상에서 이동되는 도중에도 윤활액을 상기 안내면(52)에 도포시킬 수 있으므로, 윤활액을 상기 안내면(52)에 도포하는 도포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안내면(52)이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안내면(52)이 상기 슬라이드부(4)를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에서 지지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별도의 기구물, 구조물이 없이도, 상기 안내면(52)만으로 상기 이동형판(3)을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지지하는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형체프레임(5)이 간결한 구조로 구현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형체프레임(5)에 대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형판(2), 상기 이동형판(3), 상기 슬라이드부(4), 및 상기 형체프레임(5)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형판(2, 이하 도 4에 도시됨)은 상기 고정금형(21)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 고정금형(21)은 상기 금형의 일부분으로, 상기 이동금형(31)과 함께 용융된 성형재료가 유입되기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형판(2)은 상기 형체프레임(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형판(2)에는 복수개의 타이바(미표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타이바들은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고정형판(2) 쪽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고정형판(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정형판(2)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두꺼운 판(Plate)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고정금형(21)이 설치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외면이 삼각, 육각 등과 같은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형판(2)은 상기 이동형판(3)에 대해 상기 접근방향(B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금형(21)은 상기 고정형판(2)에서 상기 이격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일면(一面)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이동형판(3)은 상기 이동금형(31)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 이동금형(31)은 상기 금형의 일부분으로, 상기 고정금형(21)과 함께 용융된 성형재료가 유입되기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형판(3)은 상기 슬라이드부(4)를 통해 상기 형체프레임(5)에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형판(3)은 상기 이동금형(31)이 상기 고정금형(21)에 접촉하여 형폐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접근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형판(3)은 상기 이동금형(31)이 상기 고정금형(21)으로부터 이격되어 형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이격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형판(3)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두꺼운 판(Plate)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이동금형(31)이 설치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외면이 삼각, 육각 등과 같은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형판(3)은 상기 고정형판(2)에 대해 상기 이격방향(F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금형(31)은 상기 이동형판(3)에서 상기 접근방향(B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슬라이드부(4)는 상기 이동형판(3)을 상기 고정형판(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부(4)에는 상기 이동형판(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4)는 상기 형체프레임(5)에 대해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이동형판(3)을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4)는 상기 안내면(52)에 지지되어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슬라이드부(4)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4)들은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형판(3)의 양측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드부(4)들 각각은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형체프레임(5)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안내면(52)들 각각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복수개의 상기 슬라이드부(4)를 통해 상기 이동형판(3)을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지지하는 작업에 대한 안정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4)는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형판(3)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슬라이드부(4)가 상기 이동형판(3)에 비해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더 넓은 면적으로 지지력을 제공받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격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접근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기울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형체프레임(5)은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의 본체로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형체프레임(5)은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가 형체작업을 수행하도록 작업장의 바닥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형체프레임(5)은 상기 고정형판(2) 및 상기 이동형판(3)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형체프레임(5)은 습동기구(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동기구(51)는 상기 슬라이드부(4)가 설치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습동기구(51)에는 상기 안내면(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습동기구(51)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부(4)는 상기 형체프레임(5)에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습동기구(51)는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습동기구(51)는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형판(3)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형체프레임(5)은 안내면(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면(52)은 상기 슬라이드부(4)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4)를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안내면(52)은 상기 슬라이드부(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4)는 상기 안내면(52) 상에서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이동형판(3)을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안내면(52)은 상기 형판중심(C)으로부터 상기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된 거리가 증대될수록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면(52)은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면(52)은 상기 슬라이드부(4)에 대해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에서 상기 슬라이드부(4)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부(4)에 대해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에서 상기 슬라이드부(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안내면(52)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슬라이드부(4)가 상기 안내면(52) 상에서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되면서 발생하는 폐윤활액이 상기 안내면(52)에 고이지 않고 경사를 따라 흘러내리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작업자가 폐윤활액을 제거하기 위해 가동을 주기적으로 중지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폐윤활액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가동률을 증대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작업자가 상기 안내면(52)에 윤활액을 도포하는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상기 안내면(52) 중에서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부분에서 윤활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윤활액이 상기 안내면(52)을 따라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안내면(52)에 도포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슬라이드부(4)가 상기 안내면(52) 상에서 이동되는 도중에도 윤활액을 상기 안내면(52)에 도포시킬 수 있으므로, 윤활액을 상기 안내면(52)에 도포하는 도포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안내면(52)이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안내면(52)이 상기 슬라이드부(4)를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에서 지지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별도의 기구물, 구조물이 없이도, 상기 안내면(52)만으로 상기 이동형판(3)을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지지하는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형체프레임(5)이 간결한 구조로 구현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형체프레임(5)에 대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형체프레임(5)은 상기 안내면(52)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면(52)들 각각은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형판(3)의 양측 각각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4)가 복수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드부(4)들 각각은 상기 안내면(52)들 각각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내면(52)들 각각은 상기 형판중심(C)을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이동형판(3)을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지지하는 지지력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으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복수개의 상기 안내면(52)이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형판(3)의 양측에 지지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뿐만 아니라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작업에 대한 안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고정금형(21)과 상기 이동금형(31)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형폐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출 제품에 대한 품질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안내면(52)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면(52)은 상기 습동기구(5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면(52)은 상기 슬라이드부(4)의 하면(下面)을 밀접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4)의 하면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면(52)에는 윤활액이 도포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형체프레임(5)은 제한면(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면(53)은 상기 슬라이드부(4)가 상기 안내면(5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제한면(53)은 상기 슬라이드부(4)가 상기 안내면(52)의 경사를 따라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안내면(52)만으로 상기 슬라이드부(4)를 지지하는 경우에 대비할 때, 상기 슬라이드부(4)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업에 대한 안정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작업에 대한 안정성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고정금형(21)과 상기 이동금형(31)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형폐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출 제품에 대한 품질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한면(53)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면(53)은 상기 습동기구(5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면(53)은 상기 안내면(52)에 대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한면(53)은 상기 안내면(52)에 대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형체프레임(5)은 수용홈(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54)은 상기 안내면(52)을 따라 흘러내린 윤활액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용홈(54)은 상기 습동기구(5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54)은 상기 안내면(52)에 대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면(52)에 대해 상기 외측방향(ID 화살표 방향)에서 공급된 윤활액은 일부가 상기 안내면(52)의 경사를 따라 흘러내리면서 상기 안내면(52)에 공급되고, 다른 일부는 잔여 윤활액이 되어 상기 수용홈(54)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수용홈(54)을 통해 상기 안내면(52)을 따라 흘러내린 윤활액이 작업장의 바닥 등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안내면(52)에 대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된 기구물, 구조물 등이 윤활액에 의해 오염되는 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안내면(52)에 대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된 기구물, 구조물 등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의 주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홈(54)은 상기 안내면(52) 및 상기 제한면(5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54)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54)은 상기 안내면(52)이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에 대해 동일한 길이로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54)이 복수개 형성된 경우, 상기 수용홈(54)들은 폐윤활액이 단일의 저장부로 유동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54)은 상기 제한면(53)에 대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조절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6)는 상기 슬라이드부(4) 및 상기 안내면(52) 사이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조절부(6)는 상기 안내면(52)에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부(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6)는 상기 슬라이드부(4)와 상기 안내면(52)이 서로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부(6)는 상기 슬라이드부(4)에 설치된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안내면(5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안내면(52)은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이동형판(3)은 상기 안내면(5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의 증감에 따라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 및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 각각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이동금형(31)이 상기 고정금형(21)에 대해 다소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등 상기 이동금형(31)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작업자가 상기 조절부(6)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부(4) 및 상기 안내면(52)이 서로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이동형판(3)의 위치와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이동형판(3)의 위치 각각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이동형판(3)의 위치와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이동형판(3)의 위치를 별도로 조절해야 하는 경우에 대비할 때, 상기 적은 수의 상기 조절부(6)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 상기 이동형판(3)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조절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켜 가동률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슬라이드부(4)가 복수개 형성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조절부(6)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6)들은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형판(3)의 양측 각각을 지지하는 상기 슬라이드부(4)들과 상기 안내면(52)이 서로 이격된 거리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형판(3)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조절부(6)로 인해 상기 이동형판(3)의 일측이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형판(3)의 타측에 설치된 상기 조절부(6)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판(3)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게 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고정금형(21)과 상기 이동금형(31)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형폐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출 제품에 대한 품질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가 상기 조절부(6)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절부(6)들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드부(4)의 양측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6)들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드부(4)와 상기 안내면(52)이 서로 이격된 거리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드부(4)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조절부(6)로 인해 상기 이동형판(3)의 해당 부분이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드부(4)의 타측에 설치된 상기 조절부(6)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판(3)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게 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고정금형(21)과 상기 이동금형(31)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형폐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출제품에 대한 품질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조절부(6)는 조절본체(61), 삽입부재(62), 및 제한부재(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본체(61)는 상기 조절부(6)의 본체로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본체(61)에는 작업자 등의 조작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조절본체(61)에는 상기 삽입부재(6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62)는 상기 슬라이드부(4)와 상기 안내면(52) 사이로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삽입부재(62)는 상기 슬라이드부(4)와 상기 안내면(52)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부(4) 및 상기 안내면(52)을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62)는 상기 슬라이드부(4)와 상기 안내면(52) 사이로 삽입된 깊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4)가 상기 안내면(5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62)는 상기 조절본체(61)에 비해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형판(3)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절본체(61)는 상기 삽입부재(62)가 상기 슬라이드부(4)와 상기 안내면(52) 사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4)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63)는 상기 삽입부재(62)가 상기 슬라이드부(4) 및 상기 안내면(52) 사이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제한부재(63)는 상기 삽입부재(62)가 상기 슬라이드부(4) 및 상기 안내면(52)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부재(62)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외부로부터의 충격, 진동 등으로 인해 상기 삽입부재(62)가 상기 슬라이드부(4)와 상기 안내면(52) 사이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 및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이동형판(3)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고정금형(21) 및 상기 이동금형(31)이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 및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되는 정도를 더 감소시키므로, 사출제품에 대한 품질을 더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63)는 상기 슬라이드부(4)로부터 연장된 볼트(미표시) 등에 결합된 너트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63)는 상기 조절본체(6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 등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삽입부재(62)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한부재(63)는 복수개 포함되어, 상기 조절본체(6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62)는 상기 슬라이드부(4)와 상기 안내면(52) 사이에 삽입된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조절경사면(64)은 상기 슬라이드부(4)를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경사면(64)은 상기 슬라이드부(4)와 상기 안내면(52)이 서로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경사면(64)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형판(3)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됨에 따라, 상기 안내면(5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슬라이드부(4)를 상기 조절경사면(64)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드부(4)가 상기 안내면(5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 및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 각각을 기준으로 한 상기 이동형판(3)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조절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가동률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경사면(64)은 상기 삽입부재(62)에서 상기 슬라이드부(4)를 향하는 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재(62)가 상기 슬라이드부(4) 및 상기 안내면(52) 사이로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4)는 상기 조절경사면(6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절부(6)를 통해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 및 상기 상하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형판(3)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삽입부재(62)는 상기 슬라이드부(4) 및 상기 안내면(52) 사이에 일부 삽입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삽입부재(62)를 상기 슬라이드부(4) 및 상기 안내면(52) 사이로 더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재(62)는 상기 슬라이드부(4) 및 상기 안내면(52) 사이로 삽입된 길이가 증대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슬라이드부(4)는 상기 조절경사면(6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4)는 상기 안내면(5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면(52)이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부(4)는 상기 안내면(5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될수록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이동형판(3)은 상기 조절부(6)를 통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삽입부재(62)는 상기 슬라이드부(4) 및 상기 안내면(52) 사이에 일부 삽입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삽입부재(62)를 상기 슬라이드부(4) 및 상기 안내면(52) 사이로부터 일부 이탈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재(62)는 상기 슬라이드부(4) 및 상기 안내면(52) 사이로 삽입된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슬라이드부(4)는 상기 조절경사면(6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4)는 상기 안내면(5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면(52)이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부(4)는 상기 안내면(5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될수록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이동형판(3)은 상기 조절부(6)를 통해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형체장치 2 : 고정형판
3 : 이동형판 4 : 슬라이드부
5 : 형체프레임 6 : 조절부
10 : 사출성형기 11 : 사출장치
21 : 고정금형 31 : 이동금형
51 : 습동기구 52 : 안내면
53 : 제한면 54 : 수용홈
61 : 조절본체 62 : 삽입부재
63 : 제한부재 64 : 조절경사면

Claims (9)

  1. 고정금형(21)이 설치된 고정형판(2);
    이동금형(31)이 설치되어 상기 고정형판(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는 이격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고정형판(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는 접근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형판(3);
    상기 이동형판(3)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형판(3)을 상기 고정형판(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부(4); 및
    상기 슬라이드부(4)가 상기 이격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접근방향(BD 화살표 방향) 각각에 대해 평행한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형체프레임(5)을 포함하고,
    상기 형체프레임(5)은 상기 슬라이드부(4)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4)를 안내하는 안내면(52)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면(52)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이동형판(3)의 형판중심으로부터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된 거리가 증대될수록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체프레임(5)은 상기 슬라이드부(4)가 상기 안내면(52)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제한면(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체프레임(5)은 상기 안내면(52)을 따라 흘러내린 윤활액을 수용하도록 상기 안내면(52)에 대해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에 형성된 수용홈(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체프레임(5)은 상기 안내면(52)을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안내면(52)들 각각은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형판(3)의 양측 각각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4) 및 상기 안내면(52) 사이에 설치된 조절부(6)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6)는 상기 슬라이드부(4)와 상기 안내면(52)이 서로 이격된 거리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이동형판(3)의 위치 및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이동형판(3)의 위치 각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6)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6)들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드부(4)의 양측 각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4) 및 상기 조절부(6) 각각을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4)들 각각은 상기 좌우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형판(3)의 양측을 지지하고,
    상기 조절부(6)들 각각은 상기 슬라이드부(4)들과 상기 안내면(52)이 서로 이격된 거리를 각각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6)는 상기 슬라이드부(4)와 상기 안내면(52)이 서로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4)를 안내하는 조절경사면(64)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경사면(64)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형판(3)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됨에 따라 상기 안내면(5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6)는 상기 슬라이드부(4)와 상기 안내면(52) 사이로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재(62), 및 상기 삽입부재(62)가 상기 슬라이드부(4)와 상기 안내면(52) 사이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부재(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장치.
KR1020180095044A 2018-08-14 2018-08-14 형체장치 KR102440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044A KR102440159B1 (ko) 2018-08-14 2018-08-14 형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044A KR102440159B1 (ko) 2018-08-14 2018-08-14 형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474A KR20200019474A (ko) 2020-02-24
KR102440159B1 true KR102440159B1 (ko) 2022-09-02

Family

ID=6963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044A KR102440159B1 (ko) 2018-08-14 2018-08-14 형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1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4284A (ja) * 2007-04-03 2008-10-23 Nissei Plastics Ind Co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673B1 (ko) * 2004-03-19 2009-05-14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형체장치
JP2014195958A (ja) * 2013-03-29 2014-10-1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
KR20160088696A (ko) * 2015-01-16 2016-07-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 성형기의 토글식 형체 장치
KR102497573B1 (ko) * 2016-10-18 2023-02-1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4284A (ja) * 2007-04-03 2008-10-23 Nissei Plastics Ind Co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474A (ko) 202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4336B1 (en) Clamping system mounted on a platen of an injection-moulding machine
KR102440159B1 (ko) 형체장치
JP6239352B2 (ja) 射出成形機
JP6847450B2 (ja) 射出成形機の金型姿勢設定方法及び金型姿勢設定装置
KR102432510B1 (ko) 사출 성형기의 형체장치
KR102494423B1 (ko) 형체장치
JP2009269393A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2013000774A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3559014B2 (ja) 可塑化装置用支持装置
KR20180045148A (ko)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
US10717220B2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EP3708332B1 (en) Device for demoulding negatives in thermoplastic injection moulds
JP4915299B2 (ja) 成形方法
JP4963057B2 (ja) 射出成形機
KR102597580B1 (ko) 사출성형기
CN108215066B (zh) 卧式注塑机动模支撑装置
KR102497573B1 (ko)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
KR102165463B1 (ko) 사출성형기용 제품받이
JP2006007778A (ja) 射出成形装置のための閉鎖ユニット
KR101714421B1 (ko) 처짐 및 편심 방지에 의한 정밀 조립구조를 갖는 몰드 베이스용 블럭 지그
JP2007118464A (ja) 樹脂成形用金型および樹脂成形方法
KR20190106395A (ko) 형체장치
KR101434905B1 (ko) 사출성형기의 사출실린더 가이드로드 지지장치
KR102180022B1 (ko) 사출장치
JP4810386B2 (ja) ガラス製壜機の金型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