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667B1 - 연속 변속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속 변속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667B1
KR101590667B1 KR1020117009961A KR20117009961A KR101590667B1 KR 101590667 B1 KR101590667 B1 KR 101590667B1 KR 1020117009961 A KR1020117009961 A KR 1020117009961A KR 20117009961 A KR20117009961 A KR 20117009961A KR 101590667 B1 KR101590667 B1 KR 101590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rive
output
gea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9130A (ko
Inventor
루이스 안드레 파리세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안드레 파리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안드레 파리세 filed Critical 루이스 안드레 파리세
Publication of KR20110069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5/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 F16H15/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5/04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 F16H15/06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in which a member A of uniform effective diameter mounted on a shaft may co-operate with different parts of a member B
    • F16H15/08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in which a member A of uniform effective diameter mounted on a shaft may co-operate with different parts of a member B in which the member B is a disc with a flat or approximately flat friction surface
    • F16H15/10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in which a member A of uniform effective diameter mounted on a shaft may co-operate with different parts of a member B in which the member B is a disc with a flat or approximately flat friction surface in which the axes of the two members cross or inters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5/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 F16H15/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5/04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 F16H15/06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in which a member A of uniform effective diameter mounted on a shaft may co-operate with different parts of a member B
    • F16H15/08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in which a member A of uniform effective diameter mounted on a shaft may co-operate with different parts of a member B in which the member B is a disc with a flat or approximately flat friction surface
    • F16H15/10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in which a member A of uniform effective diameter mounted on a shaft may co-operate with different parts of a member B in which the member B is a disc with a flat or approximately flat friction surface in which the axes of the two members cross or intersect
    • F16H15/12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in which a member A of uniform effective diameter mounted on a shaft may co-operate with different parts of a member B in which the member B is a disc with a flat or approximately flat friction surface in which the axes of the two members cross or intersect in which one or each member is duplicated, e.g. for obtaining better transmission, for lessening the reaction forces on the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 Friction Gea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변속기에 관한 본 특허 발명은 트랙(2)이 제공되어 있는 프레임(1) 및 제어 캐리지(3)를 포함하며, 이 제어 캐리지는 베어링(3b)에 지지되는 제어 레버(3a) 및 회전축(4a, 4b)에 있는 스위치(4, 5)에 상기 제어 캐리지(3)를 연결하는 스페이서(3c, 3d)를 갖고 있으며, 상기 회전축은 안내 컷아웃 축(4b, 5b)과 동축이고 또한 일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6)와 이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7)를 구성하는 상기 스페이서(3c, 3d)에 수직하며, 상기 안내 컷아웃 축은, 스위치 베어링(4c, 5c)에 연결된 제어 아암(3e)을 통해 제어 레버(3a)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4, 5)와 트랙(2) 사이의 제한된 각운동이 일어날 수 있게 해주는 원추부를 가지며, 또한 본 특허 발명은 각기 상기 두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일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6) 및 이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7)) 로서 구성되는 두개의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일차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9)와 이차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10))가 제공되는 변형예(도 14 - 21) 및 적어도 하나의 관절 연결식 출력 슬라이딩 어세블리(15)가 제공되는 다른 변형예(도 22 - 24)를 갖는다.

Description

연속 변속기 시스템{CONTINUOUS TRANSMISSION SYSTEM}
본 특허 발명의 대상은 구동축의 회전 속도를 이용하여 고속 모터에서 저속 모터로의 전환을 가능케 해주는 신규한 기계식 연속 변속기 시스템이다.
구동축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기구가 몇개의 상이한 옵션으로 알려져 있으며 몇개의 상이한 기능을 위한 것이다. 전환 기어는 그의 기능 때문에 일반적으로 "변속기" 또는 "기어 박스" 로 알려져 있는데, 필요에 따라 구동축의 동력을 동력 또는 속도로 변환시키기 위해 동력 인출부를 갖는 휠 또는 축에 직접 결합된 최종 구동부에 엔진 속도를 증대 또는 저하시켜 전달하게 된다. 전형적인 기어 박스안에는 주로 두개의 축이 있는데, 클러치를 통해 엔진 속도를 취합하는 일차축과, 동력 또는 속도로 변환되는 회전을 최종 차동축에 전달하는 이차축(출력축)이 그것이다. 각각의 축에는 같거나 다른 직경비를 갖는 하나 이상의 기어가 제공되어 있으며, 따라서 물림 관계에 따라 출력축에서 최종 속도는 낮아지거나 일정하거나 또는 높게 된다. 그러한 모델의 가장 큰 단점은, 한 기어비에서 다른 기어비로의 전환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이 때문에 전환중에 감지될 만한 저크(jerk)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탄성 중합의 이빨이 있는 풀리 및 체인을 갖는 구성인 연속 가변 변속기가 상당히 오랫동안 모터사이클 및 저 배기량의 모터 달린 자전거를 추진시켜왔다. 하지만 자동차 제조업체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원리에 기초하여 멀티트로닉(Multitronic)이라 불리는 변속기를 개발하였는데, 그러나 이는 거의 무한대의 비변화를 가능케 해주는 원추형의 두 풀리 사이에서 변속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변속기는 기어를 사용하지만, 전환은 필요한 경우에 이루어진다. 이 변속기는 더욱 정숙하고 견고해서 더욱 강력한 엔진에 사용될 수 있다. 비는 최저 속도와 최고 속도 사이에서 6 에서 1 로 변할 수 있는데, 이는 보통의 변속기로는 얻을 수 없는 것이다.
또한, 두개의 클러치를 사용하는 더블 클러치 변속기 또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 도 있는데, 이는 표준적인 자동 변속기에서 처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해 정교한 전자 기기 또는 유압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DCT 에서 클러치는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한 클러치는 홀수 기어(제 1 기어, 제 3 기어, 제 5 기어 및 반대)를 제어하고, 다른 클러치는 짝수 기어(제 2 기어, 제 4 기어 및 제 6 기어)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사용하면, 엔진에서 변속기로의 동력 흐름를 차단하지 않으면서 기어를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변속기들은 속도비를 연속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높은 효율을 가지고 있지만 가격이 매우 높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연속 변속기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본 모델을 연구 개발하였으며, 요컨대 본 특허 출원의 주 대상은 메인 디스크의 축에 수직인 축을 갖는 입력 슬라이딩 기어를 포함하며, 이 입력 슬라이딩 기어는 상기 메인 디스크에 접하여 기대게 되며, 이 기어의 직경은 일정하고, 메인 디스크에 대한 그 기어의 관계는 이 기어가 메인 디스크 반경의 둘레를 따라 위치되는 지점으로 얻어지는 직경에 의해 가변적이다. 입력 슬라이딩 기어가 메인 디스크의 더 큰 직경점과 접촉할 수록 더 작은 속도와 더 큰 끄는 힘(토크)이 전달된다. 입력 슬라이딩 기어가 슬라이딩하면서 메인 디스크 축에 더 가까워짐에 따라 이 입력 슬라이딩 기어와 메인 디스크가 접촉하는 점에서의 직경은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되는데, 따라서 속도와 동력비가 변화되어 끄는 힘 감소되고 메인 디스크의 속도는 증가하게 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속도와 동력 사이의 천이 속도는 메인 디스크에 대한 입력 슬라이딩 기어의 슬라딩 속도에 직접 연관되며, 따라서 원활하고 또한 감지될 만한 저크나 변화가 없다. 속도 변동은 슬라이딩 기어가 메인 디스크의 반경을 따라 그 메인 디스크와 접촉하는 점에 직접 연관되어 있으며 또한 메인 디스크의 대직경 및 소직경과 상호 관련되어 있다. 제안된 모델에서는 메인 디스크의 표면과 슬라이딩 기어의 둘레 표면은 미끄럼 방지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동일한 기능적 발상에 항상 부합되는 변형예들을 또한 생각할 수 있는데, 제 1 변형예에 따르면, 이차 축 및 입력 슬라이딩 기어에 의해 밀려서 메인 디스크의 출력 회전 속도를 증대시키는 출력 슬라이딩 기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자가 연구 및 개발한 본 특허 출원의 대상 모델인 연속 변속기 시스템에 있어서 다른 큰 혁신적인 점은 종래의 기어 변속기 보다 훨씬 더 큰 비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종래의 기어 변속기는 5개의 속도로 분할되면서 평균적으로 1:3 또는 1:4의 비를 갖고 있지만, 본 연속 변속기는 훨씬 더 간단한 기구로 몇배 더 큰 비를 줄 수 있다. 본 연속 변속기 시스템은 "단순" 또는 "제곱" 비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비 X 를 갖는 동일한 초기의 기구가 몇개의 부품이 추가되면 X의 제곱의 비를 갖게 됨을 의미한다. 간단한 설계 원형으로 약 1:5의 비가 얻어지는데, 이는 그의 "제곱" 변형예에서는 1:25의 비로 커질 수 있다. 특히, 뒤에서 또한 입증될 수 있겠지만, 본 연속 변속기 시스템은 제안된 기능성과 기구에 관해 몇몇 혁신적인 점을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요청된 특허 출원의 가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 출원의 대상이 되는 모델은 아래에 언급된 도면에 있는 참조 번호를 포함하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산업적 제조에 사용해야 할 수도 있는 크기와 재료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상측 전방 사시도, 상측 후방 사시도 및 하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상면도, 좌측면도,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모델의 우측면도이며, 입력 슬라이딩 기어는 두 다른 기울기로 메인 디스크에 대한 초기 위치에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모델의 우측면도이며, 입력 슬라이딩 기어는 두 다른 기울기로 메인 디스크에 대한 최종 위치에 있다.
도 12는 메인 디스크에 대한 초기 위치에 있는 입력 슬라이딩 기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메인 디스크에 대한 최종 위치에 있는 입력 슬라이딩 기어의 사시도이며, 메인 디스크의 표면상에서 그의 직경비가 변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4는 출력 슬라이딩 기어, 메인 디스크 및 입력 슬라이딩 기어를 갖는 모델의 변형예의 전방 사시도이며, 이들 세 구성요소으 회전 방향이 나타나 있으며, 입력 및 출력 슬라이딩 기어의 슬라이딩 전진 운동은 평행하다.
도 15는 출력 슬라이딩 기어, 메인 디스크 및 입력 슬라이딩 기어를 갖는 모델의 변형예의 상면도이며, 입력 및 출력 슬라이딩 기어의 슬라이딩 전진 운동은 평행하다.
도 16은 출력 슬라이딩 기어를 갖는 모델의 변형예의 우측면도이며, 입력 및 출력 슬라이딩 기어의 중립 기울어짐 시기 및 메인 디스크에 대한 이들 두 기어의 초기 위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화살표는 입력 및 출력 슬라이딩 기어의 평행을 나타내며, 이는 상태가 안정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도 17은 출력 슬라이딩 기어를 갖는 모델의 변형예의 우측면도이며, 입력 및 출력 슬라이딩 기어가 메인 디스크에 대한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입력 슬라이딩 기어의 기울어짐 시기의 전진과 출력 슬라이딩 기어의 역방향 기울어짐이 도시되어 있으며, 화살표는 가동 구성요소의 방향을 나타내고, 입력 및 출력 슬라이딩 기어의 슬라이딩 전진 운동은 평행하다.
도 18은 출력 슬라이딩 기어를 갖는 모델의 변형예의 우측면도이며, 입력 슬라이딩 기어의 기울어짐 시기의 전진과 출력 슬라이딩 기어의 역방향 기울어짐 및 메인 디스크에 대한 이들 두 슬라이딩 기어의 최종 위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화살표는 가동 구성요소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19 내지 도 21은 출력 슬라이딩 기어를 갖는 모델의 변형예의 상측 후방 사시도이며,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나 있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으며, 입력 및 출력 슬라이딩 기어의 슬라이딩 전진 운동은 평행하다.
도 22는 메인 디스크 축에 대한 회전 베어링 축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 슬라이딩 기어를 갖는 모델의 다른 변형예의 상측 후방 사시도이며, 메인 디스크에 대한 입력 및 출력 슬라이딩 기어의 초기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3은 메인 디스크 축에 대한 회전 베어링 축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 슬라이딩 기어를 갖는 모델의 변형예의 상측 후방 사시도이며, 메인 디스크에 대한 입력 및 출력 슬라이딩 기어의 최종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4는 메인 디스크 축에 대한 회전 베어링 축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 슬라이딩 기어를 갖는 모델의 변형예의 우측면도이며, 메인 디스크에 대한 입력 및 출력 슬라이딩 기어의 최종 위치와 메인 디스크 축에 대한 출력축의 회전 가능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25 및 도 26은 안내 컷아웃 원추부를 갖는 스위치의 단면 상세에 대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며, 두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일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6) 및 이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7) 및 두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일차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9) 및 이차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10))에 있는 구성요소가 나타나 있다.
도 27 및 도 28은 트랙 및 스위치의 단면 상세에 대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며, 안내 컷아웃 원추부와 트랙상에서의 그의 위치가 나타나 있다 .
도 29 및 도 30은 슬라이딩 기어의 가요성 관절 연결식 어셈블리의 단면 상세를 나타내며, 스위치(4)에 의해 축에 대해 가변적으로 기울어진 위치가 나타나 있으며(도 30), 두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일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6) 및 이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7)) 및 두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일차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9) 및 이차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10))에 있는 구성요소가 나타나 있다.
도 31은 도 6의 A 부분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32는 도 22의 B 부분의 확대 상세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만큼의 위에서 언급한 도면에 따르면, 본 연속 변속기 시스템은 트랙(2)이 제공되어 있는 프레임(1)과 제어 캐리지(3)를 포함하며, 이 제어 캐리지는 베어링(3b)에 지지되는 제어 레버(3a) 및 회전축(4a, 5a)에 있는 스위치(4, 5)에 제어 캐리지(3)를 연결하는 스페이서(3c, 3d)를 갖고 있다. 상기 회전축은 안내 컷아웃 축(4b, 5b)과 동축이고 또한 상기 스페이서(3c, 3d)에 수직하며, 상기 안내 컷아웃 축은, 스위치 베어링(4c, 5c)에 연결된 제어 아암(3e)을 통해 제어 레버(3a)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4, 5)와 트랙(2) 사이의 제한된 각운동이 일어날 수 있게 해주는 원추부를 갖는다(도 25 - 28).
상기 연속 변속기 시스템의 작동 원리에 있어서 두개의 구별되는 시기, 즉 최대 출력 모멘트(MP-Maximum Power moment) 및 최대 속도 모멘트(MS-Maximum Speed moment)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어 레버(3a)는 세개의 다른 단계를 갖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Ⅰ- 중립 = 제어 레버(3a)는 중앙 위치에 있고(도 9) 기어비를 현재의 안정된 상태로 유지한다; Ⅱ - 속도 = 제어 레버(3a)가 상기 위치에 있을 때 이 제어 레버(3a)를 앞쪽으로 밀면(도 10), 변속기가 연속적으로 또는 점진적으로 고속 변속을 시작하게 된다; Ⅲ - 동력 = 제어 레버(3a)를 뒤쪽으로 당기면(도 11) 저속 변속이 시작되고 결과적으로 동력이 증가된다. 두개의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 즉 일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6) 및 이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7)에는 일차 입력 슬라이딩 기어(6a)와 이차 입력 슬라이딩 기어(7a)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각각의 슬라이딩 기어는 일차 피동 링(6b)과 이차 피동 링(7b) 및 스위치(4, 5)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동 링(6b, 7b)은 구동축(일차 구동축(6e) 또는 이차 구동축(7e))에서 떨어져 있지만, 그 피동 링(6b, 7b)은 가요성 링크(6d, 7d)에 의해 구동 링(6c, 7c)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요성 링크(6d, 7d)의 비틀림에 의해 슬라이딩 기어(6a, 7a)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고 그리 하여 메인 디스크(8)에 대한 끌기(traction)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 끌기는 구동 링(6c, 7c) 및 구동축(일차 구동축(6e) 또는 이차 구동축(7e))에 대한 그의 연결로 제공되며, 상기 구동축은 전기 모터, 연소, 구동축(일차 구동축(6e) 또는 이차 구동축(7e))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연결되는 페달 등으로 구동된다. 구동축(일차 구동축(6e) 또는 이차 구동축(7e))은 어셈블리의 종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육각형이나 스플라인 형상 또는 다른 윤곽을 가질 수 있다(도 29). 따라서 예컨대 입력 슬라이딩 기어(6a, 7a)가 직경 "X" 을 갖고 메인 디스크(8)는 "5X"의 최대 접촉 직경 및 상기 입력 슬라이딩 기어(6a, 7a)의 직경 "X" 와 같은 "1X"의 최소 접촉 직경을 갖는다면, 결과적으로 1:5 ∼1:1의 가변적인 비가 얻어진다. 상기 메인 디스크(8)는 서로 연결된 5개의 디스크로 구성될 수 있는데(도 31), 그 중 하나는 강으로 만들어진 중앙 디스크(8a)이고, 다른 두 디스크는 두께 증가를 위한 나일론제의 디스크(8b)이며, 나머지 디스크는 미끄럼 방지 재료로 만들어진 두개의 외측 디스크(8c)이고, 이들 디스크는 서로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리고 구동축(일차 구동축(6e) 및 이차 구동축(7e))을 위한 지지부로서의 역할도 하는 메인 베어링(8e)에 지지되는 메인 축(8d)에 연결되어 있다. 이 메인 축(8d)은 동력 전달 및 메인 디스크(8) 로부터의 동력 출력을 가능케 해주며, 개인이 구동시키고자 하는 장치 또는 메인 축(8d)을 통한 동력 인출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메인 축은 전기 모터, 연소, 페달 등으로 구동되며, 상기 메인 디스크(8)에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또는 동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를 갖는다.
예상되는 용도에 따라 몇개의 상이한 초경량 및/또는 초내성 재료, "복합재" 등을 사용해서 메인 디스크 및 변속기의 다른 구성요소를 조성 및 형성할 수 있는 몇개의 가능성이 있음을 언급해 둔다.
상기 제어 레버(3a)가 앞쪽으로 위치되면 스위치 베어링(4c, 5c)이 제어아암(3e)과 스위치(4, 5)에 의해 그의 회전축(4a, 5a)에서 회전하게 되고(도 10) 그리 하여 입력 슬라이딩 기어(6a, 7a)가 앞쪽으로 기울어지고 그래서 회전하면서 메인 디스크(8)의 중심쪽으로 전진하게 된다.
일차 구동 기어(6f)가 일차 구동축(6)을 구동시키고 이차 구동 기어(7f)는 이차 구동축(7)을 반대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그러한 어셈블리는 메인 디스크(8)의 양 면의 조합 구동을 제공한다.
두개의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 즉 일차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9)와 이차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10)가 제공되는 변형예(도 14 - 21)를 설명한다. 이들 각각의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상기 두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일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6) 및 이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7)) 로서 구성되고 일차 출력 슬라이딩 기어(9a)와 이차 출력 슬라이딩 기어(10a)를 갖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출력 슬라이딩 기어는 일차 피동 링(9b)과 이차 피동 링(10b) 및 스위치(11, 1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동 링(9b, 10b)은 구동축(일차 구동축(9e) 및 이차 구동축(10e))에서 떨어져 있지만, 피동 링(9b, 10b)은 가요성 링크(9d, 10d)에 의해 구동 링(9c, 10c)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요성 링크(9d, 10d)의 비틀림에 의해 출력 슬라이딩 기어(9a, 10a)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고 그리하여 메인 디스크(8)에 대한 끌기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변형예(도 14 - 21)에서, 상기 두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일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6) 및 이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7))와 상기 두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일차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9)와 이차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10))의 슬라이딩 전진 운동은 평행하며, 스위치(4, 5)에 있는 상부 지점과 스위치(11, 12)에 있는 하부 지점에 고정되어 있는 보조 스페이서(13, 14)에 의해 동기화된다.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일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6) 및 이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7))에 의해 구동되는 메인 디스크(8)는 상기 두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일차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9)와 이차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10))를 반대 방향으로 구동시키며 또한 동시에 일차 보조 구동 기어(9f)와 이차 보조 구동 기어(10f)를 구동시킨다. 구동축(일차 구동축(9e)과 이차 구동축(10e))의 일단부는 메인 베어링(8e)에 고정되고 그 구동축의 반대쪽 단부에는 풀리, 수개의 기어 또는 프로펠러 축 및 디퍼렌셜이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출력 어셈블리에서는 입력 어셈블리의 제곱의 비가 되는 최종 기어비가 얻어진다. 구동축(일차 구동축(9e)과 이차 구동축(10e))은 메인 구동축(8d)과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이한 부착물에 대해 상이한 속도로 독립적인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변형예(도 22 - 24)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관절 연결식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15)가 제공되는데, 이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보조 트랙(15b)에 있는 슬라이딩 스위치(15a), 관절 연결식 구동축(15c) 및 상기 보조 트랙(15b)의 단부에 장착되는 축 가이드(15d) 로 구성된다. 보조 기어(15e)가 상기 스위치(15a) 및 또한 상기 관절 연결식 구동축(15c)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구동축은 두 링 기어(18)와 연결되어 있는 기어(8g)가 제공되어 있는 보조 메인 베어링(8f)에 지지 및 체결되어 있으며, 기어(8g)에 대해 같은 쪽에 상기 두 링 기어는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일차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9) 및 이차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10))와 상기 관절 연결식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15)의 조합 운동을 제공하게 되며, 그래서 입력 어셈블리의 제곱의 비가 되는 최종 기어비가 얻어진다. 상기 보조 트랙(15b)이 보조 메인 베어링(8f)에 관절 연결식으로 설치되므로써, 출력 어셈블리(도 24)가 메인 축(8d)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그리 하여 구동축(일차 구동축(9e) 및 이차 구동축(10e))의 각위치를 맞출 수 있다. 일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6)와 이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7)에 의해 구동되는 메인 디스크(8)는 보조 기어(15e)와 그의 관절 연결식 구동축(15c)을 구동시키며, 이 관절 연결식 구동축은 부착물에 직접 또는 추가적인 풀리 또는 기어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메인 축(8d)과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 하여 상이한 부착물에 대해 상이한 속도로 또는 상이하게 위치되어 있는 부착물에 대해 동일 속도로 독립적인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위에서 소개하고 상세히 설명한 수동 버젼의 모델은, 제어 캐리지(3), 두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 및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일차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9)와 이차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10)), 스위치 링크(4, 5, 11, 12), 그리고 전술한 변형예(도 22 - 24)에서 설명한 관절 연결식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 링크(15)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공압, 유압 또는 전기식 기구를 연결하여, 전자적 사용 관리법과 구성요소의 동력(엔진, 변속기 및 부착물 또는 끌기)을 포함해서 또한 자동화될 수 있다. 일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6)와 이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7) 중의 하나는 생략(suppression)가능하다.

Claims (22)

  1. 연속 변속기 시스템으로서,
    트랙(2) 및 제어 캐리지(3)가 제공되어 있는 프레임(1)으로서, 상기 제어 캐리지(3)는 상기 트랙(2)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베어링(3b)에 지지되는 제어 레버(3a)를 갖는, 상기 프레임(1),
    회전축(spin shaft)(4a, 5a)에 있는 스위치(4, 5)에 상기 제어 캐리지(3)를 연결하는 스페이서(3c, 3d)로서, 상기 회전축은 안내 컷아웃 축(guide cutout shaft)(4b, 5b)과 동축이고, 상기 안내 컷아웃 축은 상기 트랙(2)에 수직인 축(axis)을 중심으로 스위치(4, 5)와 트랙(2) 사이의 제한된 각운동이 일어날 수 있게 해주는 원추부(conicity)를 그리(describing)는, 상기 스페이서(3c, 3d)를 포함하고,
    상기 각운동은 스위치 베어링(4c, 5c)에 연결된 제어 아암(3e)을 통해 제어 레버(3a)의 조작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연속 변속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속 변속기 시스템은 일차 및 이차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6, 7)를 가지며,
    상기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6, 7)의 각각에는 피동 링(6b, 7b)과 스위치(4, 5) 중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슬라이딩 기어(6a, 7a)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 링(6b, 7b)은 구동축(6e, 7e))과 백래시(backlash)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 링(6b, 7b)은 가요성 링크(6d, 7d)에 의해 각각의 구동 링(6c, 7c)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요성 링크(6d, 7d)는 비틀림에 의해 슬라이딩 기어(6a, 7a)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어 메인 디스크(8)에 대한 끌기를 유지하며,
    상기 구동 링(6c, 7c)은 상기 구동축(6e, 7e)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은 어셈블리의 종방향 슬라이딩을 가능케 해주며 전기 모터, 연소, 구동축(6e, 7e))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연결되는 페달 등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변속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레버(3a)가 앞쪽으로 위치되어 스위치 베어링(4c, 5c)이 그의 회전축(4a, 5a)에서 회전하게 되고, 입력 슬라이딩 기어(6a, 7a)가 앞쪽으로 기울어지며 그리고 회전하면서 메인 디스크(8)의 중심쪽으로 전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변속기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일차 구동 기어(6f)가 일차 구동축(6e)을 구동시키고, 이차 구동 기어(7f)는 이차 구동축(7e)을 반대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연속 변속기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변속기 시스템은 일차 및 이차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9, 10)를 가지며, 상기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9, 10)의 각각에는 피동 링(9b, 10b)과 스위치(11, 12)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 슬라이딩 기어(9a, 10a)를 갖고 있으며,
    상기 피동 링(9b, 10b)은 구동축(9e, 10e))에서 떨어져 있고,
    상기 피동 링(9b, 10b)은 가요성 링크(9d, 10d)에 의해 구동 링(9c, 10c)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요성 링크(9d, 10d)는 비틀림에 의해 출력 슬라이딩 기어(9a, 10a)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고, 메인 디스크(8)에 대한 끌기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변속기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변속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관절 연결식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15)가 제공되고,
    상기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에는,
    보조 트랙(15b)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스위치(15a),
    관절 연결식 구동축(15c) 및 상기 보조 트랙(15b)의 단부에 장착되는 축 가이드(15d), 및 보조 기어(15e)가 제공되고,
    상기 보조 기어(15e)는 상기 스위치(15a) 및 상기 관절 연결식 구동축(15c)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구동축은 링 기어(18)와 연결되어 있는 기어(8g)가 제공되어 있는 보조 메인 베어링(8f)에 지지 및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링 기어(18)는 상기 기어(8g)에 대해 같은 쪽에 배열되어,
    상기 일차 및 이차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9, 10)의 조합 운동을 제공하며,
    상기 관절 연결식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15)와 상기 보조 메인 베어링(8f)에 관절 연결식으로 설치된 보조 트랙(15b)은 출력 어셈블리가 메인 디스크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변속기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6, 7)와 상기 두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9, 10)의 슬라이딩 전진 운동은 평행하며, 상기 두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6, 7)의 스위치(4, 5)에 있는 상부 지점과 상기 두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9, 10)의 스위치(11, 12)의 하부 지점에 고정되어 있는 보조 스페이서(13, 14)에 의해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변속기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크(8)는 상기 두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9, 10)를 반대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동시에 각각의 보조 구동 기어(9f, 10f)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변속기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9e, 10e)의 상기 구동축(9e, 10e)은 메인 디스크와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고, 상이한 부착물에 대해 상이한 속도로 독립적인 구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변속기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9, 10)와 상기 관절 연결식 출력 슬라이딩 어셈블리(15)의 조합 운동은 입력 어셈블리의 제곱의 비가 되는 최종 기어비를 제공하며, 관절 연결식으로 설치되는 보조 트랙(15b)이 구동축(9e, 10e)의 각 위치를 맞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변속기 시스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슬라이딩 어셈블리(6, 7)에 의해 구동되는 메인 디스크(8)는 보조 기어(15e)와 그의 관절 연결식 구동축(15c)을 구동시키며, 이 관절 연결식 구동축은 부착물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메인 축(8d)과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이한 부착물에 대해 상이한 속도로 또는 상이하게 위치되어 있는 부착물에 대해 동일 속도로 독립적인 구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변속기 시스템.
  21. 제 1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4, 5, 11, 12)의 각각은 트랙(2)을 하우징하는 안내 컷아웃 축(4b, 5b)이 제공된 드럼을 포함하여, 상기 드럼은 상기 트랙(2)에 관련하여 제한된 각운동에 따라 구동 축(6e, 7e, 9e, 10e)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치(4, 5, 11, 12)의 각각은 상기 드럼에 고정된 안내 축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환형 개구를 통해 상기 안내 축에 의해 안내되는 구동축(6e, 7e, 9e, 10e)에 대하여 수직이며,
    상기 안내축은 피동 링(6b, 7b, 9b, 10b)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6e, 7e, 9e, 10e)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상기 슬라이딩 기어(6a, 7a, 9a, 10a)의 회전을 상기 가요성 링크(6d, 7d, 9d, 10d)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변속기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링크(6d, 7d, 9d, 10d)는 상기 구동축(6e, 7e, 9e, 10e)을 중심으로 복수의 가요성 칼로트(calotte) 부분을 포함하고, 각각의 가요성 칼로트 부분은 상기 피동 링(6b, 7b, 9b, 10b)을 상기 구동 링(6c, 7c, 9c, 10c)에 가요성으로 연결하여, 상기 피동 링(6b, 7b, 9b, 10b)은 상기 구동축(6e, 7e, 9e, 10e)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 링(6c, 7c, 9c, 10c)은 동일한 구동축(6e, 7e, 9e, 10e)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축(6e, 7e, 9e, 10e)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변속기 시스템.
KR1020117009961A 2008-10-02 2009-09-30 연속 변속기 시스템 KR101590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PI0805746A BRPI0805746B1 (pt) 2008-10-02 2008-10-02 câmbio de transição contínua - ctc
BRPI0805746-0 2008-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130A KR20110069130A (ko) 2011-06-22
KR101590667B1 true KR101590667B1 (ko) 2016-02-02

Family

ID=42072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961A KR101590667B1 (ko) 2008-10-02 2009-09-30 연속 변속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068633B2 (ko)
EP (1) EP2342478B1 (ko)
JP (1) JP5392730B2 (ko)
KR (1) KR101590667B1 (ko)
CN (1) CN102203461B (ko)
AU (1) AU2009299066B2 (ko)
BR (1) BRPI0805746B1 (ko)
CA (1) CA2738334A1 (ko)
ES (1) ES2426955T3 (ko)
MX (1) MX2011003572A (ko)
PL (1) PL2342478T3 (ko)
RU (1) RU2507425C2 (ko)
WO (1) WO2010037197A1 (ko)
ZA (1) ZA2011030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1600B2 (en) 2003-02-28 2006-03-14 Fallbrook Technologies In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PL1815165T3 (pl) 2004-10-05 2012-09-28 Fallbrook Ip Co Llc Przekładnia bezstopniowo zmienna
KR101327190B1 (ko) 2005-10-28 2013-11-06 폴브룩 테크놀로지즈 인크 전동 드라이브
CN101495777B (zh) 2005-11-22 2011-12-14 福博科技术公司 无级变速器
CA2632751C (en) 2005-12-09 2015-01-13 Fallbrook Technologies In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EP1811202A1 (en) 2005-12-30 2007-07-25 Fallbrook Technologies, Inc. A continuously variable gear transmission
EP2125469A2 (en) 2007-02-01 2009-12-02 Fallbrook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 of transmission and/or prime mover
CN104121345B (zh) 2007-02-12 2017-01-11 福博科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无级变速器及其方法
EP2122198B1 (en) 2007-02-16 2014-04-16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Method and assembly
CN105626801B (zh) 2007-04-24 2019-05-28 福博科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电力牵引传动装置
WO2008154437A1 (en) 2007-06-11 2008-12-18 Fallbrook Technologies In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N103697120B (zh) 2007-07-05 2017-04-12 福博科技术公司 无级变速器
CN103939602B (zh) 2007-11-16 2016-12-07 福博科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用于变速传动装置的控制器
DK2234869T3 (da) 2007-12-21 2012-10-15 Fallbrook Technologies Inc Automatiske transmissioner og fremngangsmåder dertil
CN102112778B (zh) 2008-06-06 2013-10-16 福博科技术公司 无限式无级变速器,无级变速器,用于其的方法、组件、子组件及部件
JP5230804B2 (ja) 2008-06-23 2013-07-10 フォールブル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カンパニー エルエルシー 連続可変変速機
US8818661B2 (en) 2008-08-05 2014-08-26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Methods for control of transmission and prime mover
US8469856B2 (en) 2008-08-26 2013-06-25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8167759B2 (en) 2008-10-14 2012-05-01 Fallbrook Technologies In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PL2419658T3 (pl) 2009-04-16 2014-02-28 Fallbrook Ip Co Llc Zespół stojana i mechanizm zmiany biegów do bezstopniowej skrzyni biegów
US8512195B2 (en) 2010-03-03 2013-08-20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s,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methods, assemblies, subassemblies, and components therefor
US8888643B2 (en) 2010-11-10 2014-11-18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20140114065A (ko) * 2012-01-23 2014-09-25 폴브룩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컴퍼니 엘엘씨 무한 가변 변속기, 연속 가변 변속기, 방법, 조립체, 서브조립체 및 그 부품
KR102433297B1 (ko) 2013-04-19 2022-08-16 폴브룩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컴퍼니 엘엘씨 무단 변속기
US10400872B2 (en) 2015-03-31 2019-09-03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Balanced split sun assemblies with integrated differential mechanisms, and variators and drive trains including balanced split sun assemblies
US10047861B2 (en) 2016-01-15 2018-08-14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rollback i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JP7137475B2 (ja) 2016-03-18 2022-09-14 フォールブル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カンパニー エルエルシー 連続可変変速機、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023266B2 (en) 2016-05-11 2018-07-17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configuration and automatic calibration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and bicycles having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US11215268B2 (en) 2018-11-06 2022-01-04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synchronous shifting, twin countershafts and methods for control of same
WO2020176392A1 (en) 2019-02-26 2020-09-03 Fallbroo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Reversible variable driv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46385A (fr) * 1962-11-06 1963-12-20 Variateur de vitess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706A (en) * 1890-06-24 Paper-making machine
US923472A (en) * 1909-06-01 Perry C Williamson Variable-speed gear.
US1010804A (en) * 1911-02-25 1911-12-05 Nathaniel G Robinson Transmission-gearing.
US1036007A (en) * 1912-04-24 1912-08-20 Nathaniel G Robinson Friction power-transmission mechanism.
US1215076A (en) * 1915-02-24 1917-02-06 Jacob W Tabor Friction transmission-gear for autovehicles.
US1232349A (en) * 1916-04-01 1917-07-03 Josiah Black Transmission-gearing.
US1225371A (en) * 1916-12-06 1917-05-08 John W Sutton Friction transmission-gear.
FR522616A (fr) * 1920-01-05 1921-08-02 Salvatore De Santis Changement de vitesse pour automobiles et analogues à variations continues, progressives et automatiques
GB182563A (en) * 1921-04-05 1922-07-05 Thomas Thompson Improvements in and connected with transmission systems for automobiles, motor boats and other purposes
US1633316A (en) * 1924-05-12 1927-06-21 Lewis W Davis Driving mechanism for motor vehicles
US1647413A (en) * 1924-12-05 1927-11-01 Friction Power Corp Ltd Power transmission
US2057482A (en) * 1933-02-03 1936-10-13 Erban Patents Corp Friction gear
US2435122A (en) * 1944-10-10 1948-01-27 Berndt Arthur Variable-speed control
US2481315A (en) * 1946-01-25 1949-09-06 Lehnert Wayne Variable ratio drive
SU1227867A1 (ru) * 1984-03-21 1986-04-30 Vatan Boris E Фрикционный лобовой вариатор
JPS62196456A (ja) * 1986-02-24 1987-08-29 Yamaha Motor Co Ltd 除雪機等作業機の変速装置
JPS63176856A (ja) * 1987-01-15 1988-07-2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における変速機能付き摩擦入力装置
JPH01102214U (ko) * 1987-12-26 1989-07-10
JPH0360644U (ko) * 1989-01-26 1991-06-14
JPH0360644A (ja) 1989-07-29 1991-03-15 Shimadzu Corp Mri装置
US5472388A (en) * 1991-12-19 1995-12-05 Lee; Dong H. Rotary to stepless motion converter
US5496226A (en) * 1994-05-17 1996-03-05 Dixon Industries, Inc. Friction drive unit for riding lawn mowers and the like
US5799471A (en) * 1996-09-26 1998-09-01 Chen; Tsung-Yen Steplessly adjustable pre-stretched film wrapping apparatus
RU2112170C1 (ru) * 1997-10-17 1998-05-27 Геннадий Габдулхакович Хабибрахманов Многовыходной главный пластинчатый лобовой вариатор
FR2776736B1 (fr) * 1998-03-24 2000-06-02 Thomson Csf Variateur de vitesse
NL1014505C2 (nl) * 1999-09-15 2001-03-16 Hamapro Holding B V Continu variabele transmissie.
JP4318822B2 (ja) * 1999-12-24 2009-08-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用潤滑油給油装置
GB2379960B (en) * 2001-07-10 2005-06-22 Koyo Seiko Co Toroid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RU2235239C2 (ru) * 2001-12-11 2004-08-27 Краснов Александр Ефимович Вариатор
US6840886B2 (en) * 2002-03-29 2005-01-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 low cost, high speed, and compact nanometer precision motion stage using friction drive and flexure hinge
US20050097974A1 (en) * 2003-11-07 2005-05-12 Espinosa Carlos R. Processes for obtaining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an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CN100373076C (zh) * 2005-06-06 2008-03-05 汇华汽车电子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无限变速方法及无限变速器
JP5644455B2 (ja) * 2010-12-09 2014-12-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ローラ式摩擦伝動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46385A (fr) * 1962-11-06 1963-12-20 Variateur de vites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37385A1 (en) 2011-09-29
RU2507425C2 (ru) 2014-02-20
AU2009299066B2 (en) 2014-05-15
CN102203461B (zh) 2014-12-24
WO2010037197A1 (en) 2010-04-08
EP2342478A4 (en) 2012-05-30
CN102203461A (zh) 2011-09-28
EP2342478B1 (en) 2013-06-19
ES2426955T3 (es) 2013-10-28
EP2342478A1 (en) 2011-07-13
RU2011117176A (ru) 2012-11-10
JP2012504732A (ja) 2012-02-23
BRPI0805746A2 (pt) 2010-08-24
MX2011003572A (es) 2011-06-16
AU2009299066A1 (en) 2010-04-08
AU2009299066A8 (en) 2011-06-02
AU2009299066A2 (en) 2011-09-22
KR20110069130A (ko) 2011-06-22
US9068633B2 (en) 2015-06-30
CA2738334A1 (en) 2010-04-08
BRPI0805746B1 (pt) 2020-06-09
PL2342478T3 (pl) 2013-11-29
JP5392730B2 (ja) 2014-01-22
ZA201103000B (en)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667B1 (ko) 연속 변속기 시스템
US7661331B2 (en) Shifting device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US9366321B2 (en) Planetary gear transmission and electric vehicle
JP4594840B2 (ja) トラクタの変速伝動装置
CN107923528A (zh) 变速装置
JP2008215499A (ja) 変速伝動装置
CN107299944A (zh) 一种机械式自动超越离合器及利用该离合器的自动变速箱
KR101122409B1 (ko) 전기자동차의 변속형 감속구동 시스템
JP4972186B2 (ja) トラクタの変速伝動装置
JP2012149769A (ja) 変速伝動装置
JP2010159883A5 (ko)
CN112984106B (zh) 挡位重叠的离合装置、变速装置、发电装置和电动汽车
CN219432412U (zh) 一种应用于cvt变速箱内的换向调档机构
US20070155574A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imission system for automatic
CN102734395B (zh) 无离合自动变速器
CN114396462B (zh) 一种新型机械柔性转向无级变速箱
CN219432416U (zh) 一种cvt变速箱用的挡位切换机构
JP4173930B2 (ja) 動力切替え装置
SU1312284A2 (ru) Коробка перемены передач
JP2009074616A (ja) 変速伝動装置
CN101140025B (zh) 单向离合器式无级变速器
KR101793586B1 (ko) 무단변속기어박스를 구비한 엑셀러레이터 제어 파워트레인 시스템
KR20140113091A (ko) 무단 변속기
KR101419644B1 (ko) 자동화 수동 변속기의 모터식 기어 치물림을 이용한 클러치 액츄에이터 작동구조체
JP2014139471A (ja) 出力回転方向切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