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596B1 -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596B1
KR101584596B1 KR1020130011631A KR20130011631A KR101584596B1 KR 101584596 B1 KR101584596 B1 KR 101584596B1 KR 1020130011631 A KR1020130011631 A KR 1020130011631A KR 20130011631 A KR20130011631 A KR 20130011631A KR 101584596 B1 KR101584596 B1 KR 101584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holder
sub
down positio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355A (ko
Inventor
카즈아키 야마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0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12Reflex cameras with single objective and a movable reflector or a partly-transmitting mirr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Abstract

카메라는, 미러 홀더의 미러 다운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재와, 그 위치 결정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미러 홀더는 캠부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부재는 캠부를 추적할 수 있는 폴로워부를 구비한다. 미러 홀더가 미러 다운 위치에 있을 때, 폴로워부는 캠부의 제1영역을 추적하고,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미러 홀더를 미러 다운 위치를 향해서 가압한다. 미러 홀더가 미러 업 위치에 있을 때, 폴로워부는 캠부의 제2영역을 추적하고,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미러 홀더를 미러 업 위치를 향해서 가압한다.

Description

카메라{CAMERA}
본 발명은, 디지털 일안 레플렉스 카메라 등의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안 레플렉스 카메라는, 촬영 렌즈와 촬상부와의 사이에(미러 다운 위치에) 양쪽에 유지된 메인 미러 및 서브 미러를 구비한다. 노광 개시시에, 메인 미러 및 서브 미러는, 촬영 렌즈와 촬상부와의 사이에의 미러 다운 위치로부터 (미러 업 위치에) 퇴피된다. 노광 종료 후에, 메인 미러 및 서브 미러를 메인 다운 위치로 다시 복귀시킨다.
이러한 일안 레플렉스 카메라에는, 토글 용수철을 사용해서 서브 미러를 미러 다운 위치와 미러 업 위치와의 사이를 구동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85762호 참조). 토글 용수철을 사용해서 서브 미러를 미러 다운 위치와 미러 업 위치와의 사이를 구동시킬 경우에는, 미러 다운 위치에서는, 서브 미러를 미러 다운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미러 업 위치에서는, 서브 미러를 미러 업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토글 용수철이 구성된다.
그렇지만, 토글 용수철을 사용해서 서브 미러를 미러 다운 위치와 미러 업 위치와의 사이를 구동시킬 경우에는, 토글 용수철의 가압방향을 반전시키는데 큰 토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은, 고속으로 미러를 구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불리하다.
본 발명은, 미러를 유지하고, 미러 업 위치와 미러 다운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미러 홀더와, 미러 박스와, 상기 미러 박스에 대한 조정부재의 회전으로 상기 미러 홀더의 상기 미러 다운 위치를 조정하도록 배치된 조정부재와, 상기 조정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한 카메라를 제공한다. 상기 미러 홀더는 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캠부를 추적할 수 있도록 배치된 폴로워부를 갖는다. 상기 미러 홀더가 상기 미러 다운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폴로워부는 상기 캠부의 제1영역을 추적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미러 홀더를 미러 다운 위치를 향해서 가압하고, 상기 미러 홀더가 상기 미러 업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폴로워부는 상기 캠부의 제2영역을 추적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미러 홀더를 미러 업 위치를 향해서 가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방향의 반전시에 큰 토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미러 다운 위치에서는, 미러를 미러 다운 방향으로 가압하고, 미러 업 위치에서는, 미러를 미러 업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1b는 디지털 일안 레플렉스 카메라의 설명도다.
도 2는 미러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다.
도 3은 미러 박스의 좌측에 모두 배치되는, 서브 미러 각도 조정부재,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 및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4a, 4b 및 4c는 미러 유닛의 3면도; 구체적으로는, 도 4a는 미러 유닛의 좌측도, 도 4b는 미러 유닛의 정면도, 도 4c는 미러 유닛의 우측도다.
도 5a 및 5b는 미러 유닛을 구성하는 일부의 부품을 생략한 미러 유닛을 나타낸다.
도 6은 서브 미러 홀더가 미러 다운 위치에 있을 때에 도 5a의 화살표A로 나타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서브 미러 홀더가 미러 다운 위치에 있을 때의 도 5b에 있어서의 단면 VIIA, IXA, XIA, XIIA, XIIIA-VIIA, IXA, XIA, XIIA, XIIIA를 따라 자른 단면도다.
도 8은 서브 미러 홀더가 미러 다운 위치와 미러 업 위치 사이의 중간위치에 있을 때에 도 5a의 화살표A로 나타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서브 미러 홀더가 미러 다운 위치와 미러 업 위치 사이의 중간위치에 있을 때에 도 5b에 있어서의 단면 VIIA, IXA, XIA, XIIA, XIIIA-VIIA, IXA, XIA, XIIA, XIIIA를 따라 자른 단면도다.
도 10은 서브 미러 홀더가 미러 업 위치에 있을 때에 도 5a의 화살표A로 나타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a 및 11b는 서브 미러 홀더가 미러 업 위치에 있을 때에 도 5b에 있어서의 단면 VIIA, IXA, XIA, XIIA, XIIIA-VIIA, IXA, XIA, XIIA, XIIIA를 따라 자른 단면도다.
도 12a 및 12b는 서브 미러 홀더가 미러 업 위치 근방에서 바운드하고 있을 때의 도 5b에 있어서의 단면 VIIA, IXA, XIA, XIIA, XIIIA-VIIA, IXA, XIA, XIIA, XIIIA를 따라 자른 단면도다.
도 13a 및 13b는 서브 미러 홀더가 미러 다운 위치 근방에서 바운드하고 있을 때의 도 5b에 있어서의 단면 VIIA, IXA, XIA, XIIA, XIIIA-VIIA, IXA, XIA, XIIA, XIIIA를 따라 자른 단면도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을 실시한 디지털 일안 레플렉스 카메라의 설명도다.
도 1a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1)에는 교환 렌즈(2)가 부착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1)는, 초점검출 유닛(3), 광학 파인더 유닛(4), 미러 유닛(5) 및 촬상 센서(6)를 구비하고 있다. 미러 유닛(5)은, 메인 미러(501)를 유지하는 메인 미러 홀더(502)와, 서브 미러(503)를 유지하는 서브 미러 홀더(504)를 구비한다.
도 1a의 상태에서는, 교환 렌즈(2)를 통과한 광빔은 메인 미러(501)로 분리된다. 메인 미러(501)로 반사한 광빔은, 광학 파인더 유닛(4)의 펜타프리즘(41)에 도입된다. 한편, 메인 미러(501)를 투과한 광빔은 서브 미러(503)에서 반사하고, 초점검출 유닛(3)에 도입된다. 따라서, 도 1a의 상태에서, 교환 렌즈(2)를 통과한 광빔은, 촬상 센서(6)에 도입되지 않는다. 도 1a의 상태가 확립될 때, 메인 미러 홀더(502) 및 서브 미러 홀더(504)는 미러 다운 위치에 위치된다.
도 1b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도 1a의 상태로부터 메인 미러 홀더(502)는 미러 유닛(5)의 위쪽으로 퇴피한다. 이때, 서브 미러 홀더(504)도 메인 미러 홀더(502)에 겹친 상태에서 미러 유닛(5)의 위쪽으로 퇴피한다. 도 1b의 상태에서, 교환 렌즈(2)를 통과한 광빔은, 광학 파인더 유닛(4) 및 초점검출 유닛(3)에 도입되지 않고, 촬상 센서(6)에 도입된다. 도 1b의 상태가 확립될 때, 메인 미러 홀더(502) 및 서브 미러 홀더(504)는 미러 업 위치에 위치된다.
도 1a 및 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메인 미러 홀더(502) 및 서브 미러 홀더(504)는, 미러 다운 위치와 미러 업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도 2는, 미러 유닛(5)의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다.
도 3은, 미러 박스(500)의 좌측에 모두 배치되는, 예를 들면 서브 미러 각도조정부재(511),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 및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형태로 위치결정부재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4a, 4b 및 4c는, 미러 유닛(5)의 3면도이고; 구체적으로, 도 4a는 미러 유닛(5)의 좌측도, 도 4b는 미러 유닛(5)의 정면도, 및 도 4c는 미러 유닛(5)의 우측도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메인 미러(501)는 메인 미러 홀더(502)에 의해 유지된다. 메인 미러 홀더(502)는, 축 502a와 축 502c를 구비한다.
도 4a 및 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메인 미러 홀더(502)는, 축(502a)에서 미러 박스(500)에 의해 회전축 같이 지지된다. 메인 미러 홀더(502)는, 축(502a)을 회전중심으로서 회전 가능하여 미러 다운 위치와 미러 업 위치와의 사이를 회전한다.
도 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메인 미러 홀더(502)가 축 502a에서 미러 박스(500)에 의해 회전축 같이 지지될 때에, 축 502c는 미러 박스(500)에 형성된 길다란 구멍을 통해 노출되도록 위치 결정된다. 미러 박스(500)의 길다란 구멍을 통해 노출된 축(502c)에는, 미러 박스(500)의 우측에 부착된 미러 다운 용수철(506)의 일단이 걸린다. 미러 다운 용수철(506)의 타단은 미러 박스(500)에 걸린다. 따라서, 미러 다운 용수철(506)의 가압력에 의해, 메인 미러 홀더(502)는 미러 다운 위치를 향해서 가압된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브 미러(503)는 서브 미러 홀더(504)에 유지된다. 서브 미러 홀더(504)에는, 구멍들(504a) 및 캠부(504b)가 형성된다. 메인 미러 홀더(502)에 형성된 축이 구멍(504a)에 삽입됨으로써, 서브 미러 홀더(504)는 메인 미러 홀더(502)에 회전축 같이 지지된다.
도 4a 및 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메인 미러 홀더(502)가 미러 다운 위치로 회전될 때, 서브 미러 홀더(504)도 미러 다운 위치로 회전되는데, 미러 다운 위치에서 서브 미러(503)는 메인 미러(501)를 투과한 광빔을 반사시켜서 초점검출 유닛(3)에 도입되게 한다.
미러 박스(500)의 전방 하단부에는, 미러 다운 스토퍼(500b)(도 10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미러 홀더(502)가 미러 다운 위치로 회전될 때, 메인 미러 홀더(502)의 접촉부(502b)(도 10 참조)는 미러 다운 스토퍼(500b)에 접촉한다.
도 2 및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미러 박스(500)의 전방 상단부에는, 미러 스토퍼(505)가 부착되어 있다. 미러 스토퍼(505)에는, 접촉부(505a)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미러 홀더(502)가 미러 업 위치로 회전될 때, 메인 미러 홀더(502)의 접촉부 502d(도 10 참조)가 미러 스토퍼(505)의 접촉부 505a에 접촉한다.
도 2 및 도 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미러 박스(500)의 우측에는, 메인 미러 홀더(502)를 구동하는 메인 미러 구동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미러 구동 레버(507)는, 통부(tubular portion)(507a), 접촉부(507b) 및 폴로워부(507c)를 구비한다. 통부(507a)에 미러 박스(500)의 우측에 형성된 축(500d)을 삽입시킴으로써 미러 구동 레버(507)는 미러 박스(5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미러 구동 레버(507)를 회전시키면, 접촉부(507b)가 메인 미러 홀더(502)의 축(502c)에 접촉한다. 미러 다운 용수철(50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미러 구동 레버(507)의 접촉부(507b)가 메인 미러 홀더(502)의 축(502c)을 회전하여 밀어 올리면, 메인 미러 홀더(502)는 미러 업 위치가 된다.
도 2 및 도 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미러 업 용수철(508)은, 통부(507a)가 미러 업 용수철(508)의 권선부분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미러 업 용수철(508)의 일단은 미러 구동 레버(507)에 걸리고, 미러 업 용수철(508)의 타단은 미러 박스(500)에 걸린다. 미러 업 용수철(508)의 가압력에 의해 미러 구동 레버(507)를 회전시키면, 미러 다운 용수철(506)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메인 미러 홀더(502)를 미러 업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캠 기어(509)는, 회전중심(509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미러 박스(500)의 우측에 장착되어 있다. 캠 기어(509)는, 캠부(509b) 및 기어부(509d)를 구비한다. 기어부(509d)는 카메라 본체(1)에 배치된 구동 모터(7)의 기어와 맞물린다.
도 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캠부(509b)는, 미러 구동 레버(507)의 폴로워부(507c)에 접촉된다. 이때, 도 4c에서는 기어부(509d)를 생략하고 있다. 구동 모터(7)가 구동될 때, 캠 기어(509)는 회전한다. 캠 기어(509)의 회전에 의해, 미러 구동 레버(507)의 폴로워부(507c)가 캠부(509b)를 추적함으로써, 미러 구동 레버(507)는 회전한다. 미러 구동 레버(507)가 회전함으로써, 메인 미러 홀더(502)는 미러 다운 위치와 미러 업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한다.
도 2 및 도 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미러 박스(500)의 좌측에는, 서브 미러 홀더(504)의 위치 결정 및 바운스 억제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를 회전축 같이 지지한 서브 미러 각도조정부재(511) 및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이 미러 박스(500)의 좌측에 장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브 미러 각도조정부재(511)는, 접촉부(51lb), 구멍(511c) 및 회전 제한부(511d)를 구비한다.
도 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브 미러 홀더(504)가 미러 다운 위치로 회전될 때, 서브 미러 홀더(504)가 접촉부(511b)에 접촉함으로써, 서브 미러 홀더(504)의 미러 다운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회전중심(511a)을 중심으로 서브 미러 각도조정부재(511)를 회전시킴으로써, 접촉부(511b)의 위치가 변화되고, 서브 미러 홀더(504)의 미러 다운 위치도 변화된다. 이에 따라서, 서브 미러 각도조정부재(511)는, 서브 미러 홀더(504)의 미러 다운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재로서 기능한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는, 회전 축(512a), 용수철 걸이부(512b), 폴로워부(512c) 및 걸어 맞춤부(engaging portion)(512d)를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폴로워부(512c)의 근원에는, 접촉부(512f)가 형성된다.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의 회전 축(512a)은 서브 미러 각도조정부재(511)의 구멍(511c)에 삽입된다. 이 회전 축(512a)의 삽입과 아울러,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의 걸어 맞춤부(512d)가 서브 미러 각도조정부재(511)의 회전 제한부(511d)에 삽입된다. 따라서,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는, 서브 미러 각도조정부재(511)에 대하여 특정 범위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는, 회전부재로서 기능한다.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의 회전 범위는, 회전 제한부(511d)내에서 상기 걸어 맞춤부(512d)의 이동 가능 범위에 제한된다.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의 폴로워부(512c) 및 접촉부(512f)는, 미러 박스(500)의 좌측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다. 폴로워부(512c)는, 서브 미러 홀더(504)의 캠부(504b)를 추적한다.
도 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일단부는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의 용수철 걸이부(512b)에 걸린다.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타단부는 미러 박스(500)에 걸린다.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은,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압력을 가한다. 이렇게 하여,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은,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로서 기능한다.
도 5a 및 5b는, 설명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해서, 미러 유닛(5)을 구성하는 일부의 부품을 생략한 미러 유닛(5)을 나타낸다.
도 5a는 도 4b에 대응하고, 미러 박스(500)가 생략되고, 미러 스토퍼(505)의 접촉부(505a)만이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도 5b는, 도 5a로부터, 한층 더 메인 미러(501), 메인 미러 홀더(502) 및 미러 박스(500)의 우측에 배치된 메인 미러 구동기구를 생략하여 단순화되어 있다.
도 6은, 도 5a의 화살표A로 나타낸 방향으로 본 도 5a의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메인 미러 홀더(502) 및 서브 미러 홀더(504)가 미러 다운 위치에 있을 때에 도 5a의 화살표A로 나타낸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6의 상태에서는, 미러 업 용수철(508)이 미러 구동 레버(507)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압력을 가한다. 그러나, 미러 구동 레버(507)의 폴로워부(507c)가 캠 기어(509)의 캠부(509b)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미러 구동 레버(507)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정지하고 있다. 또한, 도 6의 상태에서는, 미러 구동 레버(507)의 접촉부(507b)는 메인 미러 홀더(502)의 축(502c)에 접촉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메인 미러 홀더(502)의 축(502c)은, 미러 다운 용수철(506)의 가압력에 의해 미러 다운 방향으로 가압된다.
메인 미러 홀더(502)가 미러 다운 위치에 있을 때, 서브 미러 홀더(504)는 서브 미러 각도조정부재(511)의 접촉부(511b)에 접촉하는 미러 다운 위치에도 있다.
도 7a는, 도 5b에 있어서의 단면 VIIA, IXA, XIA, XIIA, XIIIA-VIIA, IXA, XIA, XIIA, XIIIA를 따라 자른 단면도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서브 미러 홀더(504)가 미러 다운 위치에 있을 때의 도 5b에 있어서의 단면 VIIA, IXA, XIA, XIIA, XIIIA-VIIA, IXA, XIA, XIIA, XIIIA를 따라 자른 도 6에 대응한 단면도다. 도 7b는, 도 7a에서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a의 상태에서는,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일단부가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의 용수철 걸이부(512b)에 걸리기 때문에,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는 회전 중심(축)(512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때,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의 폴로워부(512c)는, 서브 미러 홀더(504)의 캠부(504b)의 제1영역(504b-1)에 접촉한다. 폴로워부(512c)가 캠부(504b)의 제1영역(504b-1)에 접촉하는 위치는,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의 회전 중심 512a보다 아래와, 서브 미러 홀더(504)의 회전 중심(구멍) 504a보다 위쪽에 위치되어 있다. 캠부(504b)의 제1영역(504b-1)의 형상은, 폴로워부(512c)가 캠부(504b)의 제1영역(504b-1)에 접촉할 때에, 서브 미러 홀더(504)를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가압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을 갖는다. 그러므로, 서브 미러 홀더(504)는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가압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서브 미러 홀더(504)는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가압력에 의해 미러 다운 위치에 가압된다.
이 상태에서, 도 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부(512d)는 서브 미러 각도조정부재(511)의 회전 제한부(511d)의 어느 쪽의 끝에도 접촉되지 않는다.
게다가, 도 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캠부(504b)에는, 제1영역(504b-1), 제2영역(504b-2) 및 제3영역(504b-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서브 미러 홀더(504)가 미러 다운 위치에 있을 때,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의 폴로워부(512c)는, 서브 미러 홀더(504)의 캠부(504b)의 제1영역(504b-1)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서브 미러 홀더(504)는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가압력에 의해 미러 다운 위치에 가압된다.
도 8은, 메인 미러 홀더(502) 및 서브 미러 홀더(504)가 미러 다운 위치와 미러 업 위치와의 중간위치에 있을 때에 도 5a의 화살표A로 나타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미러 구동 레버(507)의 폴로워부(507c)와 캠 기어(509)의 캠부(509b)와의 접촉이 해제된 정도로 도 6의 상태로부터 캠 기어(50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미러 업 용수철(508)의 가압력에 의해 미러 구동 레버(50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미러 구동 레버(507)의 접촉부(507b)는 메인 미러 홀더(502)의 축(502c)에 접촉하여, 미러 다운 용수철(506)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메인 미러 홀더(502)의 축(502c)을 회전하여 밀어 올린다.
도 9a는, 서브 미러 홀더(504)가 미러 다운 위치와 미러 업 위치와의 중간위치에 있을 때의 도 5b에 있어서의 단면 VIIA, IXA, XIA, XIIA, XIIIA-VIIA, IXA, XIA, XIIA, XIIIA를 따라 자른 도 8에 대응한 단면도다. 도 9b는, 도 9a의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a의 상태에서는, 도 7a의 상태로부터 서브 미러 홀더(50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의 폴로워부(512c)와 서브 미러 홀더(504)의 캠부(504b)의 제1영역(504b-1)과의 접촉이 해제된다.
이 경우에, 도 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는 회전 중심(512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부재(512)의 걸어 맞춤부(512d)가 서브 미러 각도조정부재(511)의 회전 제한부(511d)의 끝에 접촉한다. 이와 동시에,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의 폴로워부(512c)가, 서브 미러 홀더(504)의 캠부(504b)의 제3영역(504b-3)에 접촉한다. 제3영역(504b-3)의 형상은, 폴로워부(512c)가 캠부(504b)의 제3영역(504b-3)에 접촉할 때에, 서브 미러 홀더(504)는,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가압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도, 반시계 방향으로도 가압되지 않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도 9a 및 9b의 상태에서, 서브 미러 홀더(504)의 회전 중심(504a)의 높이 방향의 위치가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의 폴로워부(512c)의 높이 방향의 위치와 거의 마찬가지 레벨에 있다. 이러한 위치 관계에서는, 제3영역(504b-3)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될 때에도, 서브 미러 홀더(504)를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하는 것은 어렵다. 이에 따라, 폴로워부(512c)가 캠부(504b)의 제3영역(504b-3)에 접촉하는 위치에서는, 서브 미러 홀더(504)는, 미러 다운 위치에도 미러 업 위치에도 가압되지 않는다.
도 10은, 메인 미러 홀더(502) 및 서브 미러 홀더(504)가 미러 업 위치에 있을 때에 도 5a의 화살표A로 나타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상태로부터, 미러 업 용수철(508)의 가압력에 의해 미러 구동 레버(507)가 반시계 방향으로 한층 더 회전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러 구동 레버(507)의 접촉부(507b)는, 미러 다운 용수철(506)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메인 미러 홀더(502)의 축(502c)을 한층 더 회전하여 밀어 올린다. 그에 따라서, 메인 미러 홀더(502)의 접촉부 502d가 미러 스토퍼(505)의 접촉부 505a에 접촉된다.
도 11a는, 서브 미러 홀더(504)가 미러 업 위치에 있을 때의 도 5b에 있어서의 단면 VIIA, IXA, XIA, XIIA, XIIIA-VIIA, IXA, XIA, XIIA, XIIIA를 따라 자른 도 10에 대응한 단면도다. 도 11b는, 도 11a의 점선으로 둘러싼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a의 상태에서는,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는 회전 중심(512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때,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의 폴로워부(512c)는, 서브 미러 홀더(504)의 캠부(504b)의 제2영역(504b-2)에 접촉된다. 폴로워부(512c)가 캠부(504b)의 제2영역(504b-2)에 접촉하는 위치는,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의 회전 중심 512a 및 서브 미러 홀더(504)의 회전 중심 504a보다 아래쪽에 위치된다. 캠부(504b)의 제2영역(504b-2)의 형상은, 폴로워부(512c)가 캠부(504b)의 제2영역(504b-2)에 접촉할 때에, 서브 미러 홀더(504)를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가압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서브 미러 홀더(504)는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가압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때문에, 서브 미러 홀더(504)는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가압력에 의해 미러 다운 위치에 가압된다.
이 상태에서, 도 1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부(512d)는 서브 미러 각도조정부재(511)의 회전 제한부(511d)의 어느 쪽의 끝에도 접촉되지 않는다.
도 12a는, 서브 미러 홀더(504)가 미러 업 위치 근방에서 바운드하고 있을 때의 도 5b에 있어서의 단면 VIIA, IXA, XIA, XIIA, XIIIA-VIIA, IXA, XIA, XIIA, XIIIA를 따라 자른 단면도다. 도 12b는, 도 12a의 점선으로 둘러싼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서브 미러 홀더(504)가 미러 업 위치 근방에서 바운드 하면, 서브 미러 홀더(504)의 캠부(504b)의 제2영역(504b-2)이,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의 폴로워부(512c)를 누른다.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는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걸어 맞춤부(512d)가 서브 미러 각도조정부재(511)의 회전 제한부(511d)의 우단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서브 미러 홀더(504)가 미러 업 위치 근방에서 바운드 하는 경우에도, 그 바운스 에너지는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소비된다. 또한, 걸어 맞춤부(512d)가 서브 미러 각도조정부재(511)의 회전 제한부(511d)의 우단에 접촉하므로, 서브 미러 홀더(504)의 바운스 양은 제한된다.
도 13a는, 서브 미러 홀더(504)가 미러 다운 위치 근방에서 바운드 하고 있을 때의 도 5b에 있어서의 단면 VIIA, IXA, XIA, XIIA, XIIIA-VIIA, IXA, XIA, XIIA, XIIIA를 따라 자른 단면도다. 도 13b는, 도 13a의 점선으로 둘러싼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서브 미러 홀더(504)가 미러 다운 위치 근방에서 바운드 하면, 서브 미러 홀더(504)의 캠부(504b)의 제1영역(504b-1)이,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의 폴로워부(512c)를 누른다.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는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걸어 맞춤부(512d)가 서브 미러 각도조정부재(511)의 회전 제한부(511d)의 우단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서브 미러 홀더(504)가 미러 다운 위치 근방에서 바운드 하는 경우에도, 그 바운스 에너지는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부재(512)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소비된다. 그리고, 걸어 맞춤부(512d)가 서브 미러 각도조정부재(511)의 회전 제한부(511d)의 우단에 접촉하므로, 서브 미러 홀더(504)의 바운스 양은 제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서브 미러 홀더(504)가 미러 다운 위치에 있을 때에,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가압력에 의해 서브 미러 홀더(504)를 미러 다운 위치를 향해서 가압할 수 있다. 서브 미러 홀더(504)가 미러 업 위치에 있을 때에, 서브 미러 바운스 억제 용수철(510)의 가압력에 의해 서브 미러 홀더(504)를 미러 업 위치를 향해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미러 홀더(504)가 미러 다운 위치와 미러 업 위치와의 중간위치에서, 토글 용수철에서 생성된 것과 같은 반전 토크를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게다가, 서브 미러 홀더(504)의 미러 다운 위치 근방에서의 바운스도, 서브 미러 홀더(504)의 미러 업 위치 근방에서의 바운스도 간단한 구성으로 모두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Claims (6)

  1. 미러를 유지하고, 입사광이 파인더에 도입되지 않는 미러 업 위치와 상기 입사광이 상기 파인더에 도입되는 미러 다운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미러 홀더;
    미러 박스;
    상기 미러 박스에 대한 조정부재의 회전으로 상기 미러 홀더의 상기 미러 다운 위치를 조정하도록 배치된 조정부재;
    상기 조정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배치된 제한부를 구비한 카메라로서,
    상기 미러 홀더는 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캠부를 추적할 수 있도록 배치된 폴로워부를 갖고,
    상기 미러 홀더가 상기 미러 다운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폴로워부는 상기 캠부의 제1영역을 추적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미러 홀더를 미러 다운 위치를 향해서 가압하고,
    상기 미러 홀더가 상기 미러 업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폴로워부는 상기 캠부의 제2영역을 추적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미러 홀더를 미러 업 위치를 향해서 가압하며,
    상기 미러 홀더가 상기 미러 다운 위치 또는 상기 미러 업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상기 제한부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미러 홀더가 상기 미러 다운 위치의 근방 또는 상기 미러 업 위치의 근방에서 바운드되는 경우에,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상기 제한부에 의해 제한되는 위치에 위치한,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홀더가 상기 미러 다운 위치와 상기 미러 업 위치와의 중간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폴로워부는 상기 캠부의 제3영역을 추적하고, 상기 미러 홀더는, 상기 미러 다운 위치와 상기 미러 업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지 않는, 카메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조정부재에 형성되는, 카메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홀더가 상기 미러 다운 위치와 상기 미러 업 위치와의 중간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상기 제한부에 의해 제한되는 위치에 위치한, 카메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조정부재에 접촉할 때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미러 홀더가 상기 미러 다운 위치 또는 상기 미러 업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조정부재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미러 홀더가 상기 미러 다운 위치의 근방 또는 상기 미러 업 위치의 근방에서 바운드되는 경우에,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조정부재에 접촉하는, 카메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홀더가 상기 미러 다운 위치와 상기 미러 업 위치와의 중간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조정부재에 접촉하는, 카메라.
KR1020130011631A 2012-02-03 2013-02-01 카메라 KR101584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22147A JP5546563B2 (ja) 2012-02-03 2012-02-03 カメラ
JPJP-P-2012-022147 2012-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355A KR20130090355A (ko) 2013-08-13
KR101584596B1 true KR101584596B1 (ko) 2016-01-13

Family

ID=4789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631A KR101584596B1 (ko) 2012-02-03 2013-02-01 카메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63395B2 (ko)
JP (1) JP5546563B2 (ko)
KR (1) KR101584596B1 (ko)
CN (1) CN103246136B (ko)
DE (1) DE102013201680B4 (ko)
GB (1) GB24991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7659B2 (ja) * 2011-07-29 2015-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456081B2 (ja) * 2012-02-03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US10393995B2 (en) * 2014-08-22 2019-08-27 Canon Kabushiki Kaisha Mirror driving device
JP2017198903A (ja) * 2016-04-28 2017-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 及び撮像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3406A (ja) 2006-01-06 2007-07-19 Canon Inc 撮像装置
JP2008287110A (ja) 2007-05-18 2008-11-27 Canon Inc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0746U (ko) * 1977-11-18 1979-06-08
JPH0169224U (ko) * 1987-10-27 1989-05-08
JPH09203973A (ja) 1996-01-29 1997-08-05 Nikon Corp カメラのミラーバウンド防止装置
JP5463673B2 (ja) * 2009-01-26 2014-04-09 株式会社ニコン ミラー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5426968B2 (ja) 2009-08-31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1085762A (ja) 2009-10-15 2011-04-28 Nikon Corp カメラ
JP5787659B2 (ja) * 2011-07-29 2015-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456085B2 (ja) * 2012-02-09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3406A (ja) 2006-01-06 2007-07-19 Canon Inc 撮像装置
JP2008287110A (ja) 2007-05-18 2008-11-27 Canon Inc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99115A (en) 2013-08-07
GB2499115B (en) 2014-04-02
JP5546563B2 (ja) 2014-07-09
CN103246136B (zh) 2015-12-02
DE102013201680B4 (de) 2018-03-01
US20130202283A1 (en) 2013-08-08
JP2013160903A (ja) 2013-08-19
GB201301522D0 (en) 2013-03-13
US9063395B2 (en) 2015-06-23
DE102013201680A1 (de) 2013-08-08
CN103246136A (zh) 2013-08-14
KR20130090355A (ko)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977B1 (ko) 촬상장치
JP5456081B2 (ja) カメラ
KR101584596B1 (ko) 카메라
JP2011150302A (ja) 一眼レフカメラのミラーブレーキ機構
JP5456085B2 (ja) カメラ
US9453985B2 (en) Mirror driving device
JP2006276836A (ja) カメラおよびシャッター装置
JP2009192948A (ja) ミラー保持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カメラ
JP6173014B2 (ja) カメラ
JP2011027966A (ja) カメラ
JP6036900B2 (ja) 一眼レフカメラのミラーブレーキ機構
US8979400B2 (en) Drive mechanism for movable mirror of camera
JP7275710B2 (ja) 撮像装置のミラー駆動機構及び撮像装置のミラー駆動制御方法
JP6173013B2 (ja) カメラ
JP5875613B2 (ja) ミラー駆動装置
JP2016045368A (ja) ミラー駆動装置
JP5636952B2 (ja) ミラー保持機構及びカメラ
JP2013142789A (ja) カメラ
JP5516183B2 (ja) シャッタ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
JP2010002869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1039372A (ja) 一眼レフカメラ
JP2007114511A (ja) 撮像装置のためのミラー装置
JP2018189770A (ja) 撮像装置
JP2010026002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3140193A (ja) ミラー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