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891B1 - 자동차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891B1
KR101582891B1 KR1020140145425A KR20140145425A KR101582891B1 KR 101582891 B1 KR101582891 B1 KR 101582891B1 KR 1020140145425 A KR1020140145425 A KR 1020140145425A KR 20140145425 A KR20140145425 A KR 20140145425A KR 101582891 B1 KR101582891 B1 KR 101582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present
base
retaining arms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40145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891B1/ko
Priority to US14/633,511 priority patent/US948706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5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one on top of the other and distanced from each other, e.g. by using protrusions to keep contact and d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17Brackets for mounting the sun visor support arm to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Abstract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보디 패널에 형성한 결합 구멍에 끼워져서 걸림 작용을 하는 여러 개의 리테이닝 암이 가상의 원 위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특히 이들 리테이닝 암이 어떠한 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원뿔 형상으로 배치 구성함으로써, 쉽게 조립할 수 있고, 실내 손잡이를 장착할 때 사용하더라도 실내 손잡이를 사용하면서 발생한 뒤틀림에 대해서도 이를 분산 흡수할 수 있게 하여 결합 구멍에서 빠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고정구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리테이닝 암을 짝수개로 형성하고, 가상의 원 위에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오도록 구성함으로써, 실내 손잡이를 사용하면서 생긴 외력에 대하여 그 가해지는 방향에 상관없이 분산 흡수할 수 있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이탈이나 빠짐 현상을 방지하여 소음과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고정구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고정구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줄이면서도 대량으로 생산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고정구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고정구{FIX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질적으로 걸림 기능을 하는 여러 개의 리테이닝 암을 원뿔 형태로 배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실내 손잡이처럼 외부에서 전달되는 외력이 각 리테이닝 암에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보디 패널에 형성한 결합 구멍에서 고정구가 빠지거나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이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줄이는 효과와 더불어 실내 손잡이가 자동차 실내로 떨어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구성 요소들을 고정구를 이용하여 조립한다. 예를 들어서 룸램프와 헤드램프 그리고 실내 보조손잡이를 예를 들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고정구는 각 구성요소에 알맞게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생산성과 비용 절감이라는 측면에서 한가지 고정구를 개발한 다음 클립 방식으로 결합이 필요한 곳에 모두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이처럼 다른 구성요소에도 사용할 수 있는 고정구를 헤드라이닝을 고정하는 데 사용한 예를 보여준다.
특허문헌 1은 기단부에는 자동차의 보디 패널(10)과 헤드라이너(20) 사이에 조립되는 베이스(110)가 구비되고, 선단부에는 이 베이스(110)로부터 일체로 절곡되어 보디 패널(10)의 결합 공(11)에 끼워서 결합하는 후크(120)가 형성된 자동차의 헤드라이너 고정구를용 실내 손잡이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후크(120)는 베이스(110)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지지부(121a)와 상기 지지부(121a)의 상단부에 하방으로 절곡된 플랜지(121b)를 구비한 두 쌍의 지지 암(121)과, 상기 두 쌍의 지지 암(121)의 각각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121b)의 중앙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한 쌍의 리테이닝 암(123)과, 이 리테이닝 암(123)의 하단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리테이닝부(124)와, 이 리테이닝부(124)의 하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보디 패널(10)의 결합 공(11)의 둘레면(11a)에 걸려지는 리테이닝 턱(125)과, 상기 리테이닝 암(123)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연장되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삽입 가이드 비드(126)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의 헤드라이너 고정구를용 실내 손잡이 고정구가 제공된다.
특허문헌 2는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원가가 낮으며, 차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에 소음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고정구를 헤드라이너용 실내 손잡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기단부에는 자동차의 보디 패널(10)과 헤드라이너(20) 사이에 조립되는 베이스(110)가 구비되고, 선단부에는 이 베이스(110)로부터 일체로 절곡되어 보디 패널(10)의 결합 공(11)에 끼워서 결합하는 후크(120)가 형성된 자동차의 모듈 헤드라이너용 실내 손잡이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후크(120)는 베이스(110)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지지 암(121a)과, 상기 지지 암(121a)의 상단부에 상기 지지 암(121a)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플랜지(121b)와, 상기 플랜지(121b)의 양측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두 쌍의 리테이닝 암(122)과, 이 리테이닝 암(122)의 하단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리테이닝부(123)와, 이 리테이닝부(123)의 하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보디 패널(10)의 결합 공(11)의 둘레면(11a)에 걸려지는 리테이닝 턱(124)과, 상기 플랜지(121b)의 마주보는 면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121b) 상호 접촉에 의한 소음 발생을 억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음방지 돌기(125)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의 모듈 헤드라이너용 실내 손잡이 고정구가 제공된다.
특허문헌 3은 자동차의 모듈 헤드라이너용 실내 손잡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보디 패널(10)과 헤드라이너(20) 사이에 체결고정되는 베이스(110) 및 이 베이스(110)로부터 절곡되어 보디 패널(10)의 결합 공(11)에 끼워서 결합하는 후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의 모듈 헤드라이너용 실내 손잡이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후크(120)는, 전체적으로 "T"자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단부가 서로 마주보게 절곡된 플랜지(121a)가 서로 맞닿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 암(121); 상기 지지 암(121)의 상부 가로변으로부터 아래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단부에는 안쪽으로 절곡되면서 걸림턱(122a)이 절곡된 리테이닝 암(122); 상기 각 지지 암(121)의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이 만나는 위치에서, 이 세로 부분측으로 갈수록 위를 향하도록 형성된 절개부(123); 및 리테이닝 암(122)과 플랜지(121a)의 연결부위의 바깥쪽 테두리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 숄더(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110)에는 'ㄷ'자 형태로 절개되어 플랜지(121a)를 향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적어도 한 쌍의 유동방지 돌기(112)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유동방지 돌기(112)는 위로 갈수록 점차 안쪽으로 향하도록 절곡하여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플랜지(121a)에는 서로 마주보는 양면 중에서 어느 한 면에 점 접촉이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소음방지 돌기(121b)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고정구는 클립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클립 방식의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기존 고정구(클립 모듈)는 한번 고정하면 움직이지 않는 구조, 예를 들어서 룸램프나 헤드램프 그리고 헤드라이닝과 같은 경우 움직임이나 외부의 힘이 거의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관이 없으나, 탑승자가 손으로 잡아서 외력을 가하는 실내 손잡이를 고정할 때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2) 실질적으로 걸림 작용을 하는 리테이닝 암이 서로 마주 보며 좌우 또는 상하 대칭인 위치에 오도록 고정구를 제작하므로 실내 손잡이에 가해진 외력이 리테이닝 암에 각각 골고루 분산시켜 주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3) 즉, 보조 손잡이를 잡고 아래로 당기는 방향으로 힘을 주면 이 힘이 기존 고정구에 균일하게 가해지므로 각 리테이닝 암에도 균일한 힘이 분배된다. 하지만, 보조 손잡이를 비틀거나 한쪽으로 쏠리게 잡으면 이때 발생한 힘은 기존 고정구가 비틀려져 결과적으로 리테이닝 암도 비틀림을 받는다.
(4) 이처럼 비틀림을 받는 리테이닝 암은 그 힘이 어느 하나나 한쪽으로 쏠리게 되고, 이 때문에 비틀림을 받는 리테이닝 암이 결합 구멍에서 이탈하거나 빠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5) 이는 이처럼 실내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 방향에 대하여 어떠한 방향으로 힘이 전달되더라도 이 힘을 각 리테이닝 암으로 분산할 수 없는 구조, 즉 서로 마주 보는 구조로 형성하는 데 기인한다.
(6) 한편, 이처럼 비틀림에 취약한 기존의 고정구는 실내 손잡이를 사용하다 보면 결합 구멍에서 빠지거나 이탈할 우려가 있다.
(7) 고정구의 이탈은 이탈한 고정구가 주변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부딪히면서 소음을 발생시키고, 이 때문에 승차감을 떨어뜨리는 한가지 요인으로 작용한다.
(8) 그리고, 실내 손잡이는 통상 2개의 고정구로 고정하는 데, 이들 고정구가 모두 결합 구멍에서 빠지면 실내 손잡이가 실내로 떨어지면서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0942호 (공개일 : 2013.08.16) 한국등록특허 제1359424호 (등록일 : 2014.01.29) 한국등록특허 제1391230호 (등록일 : 2014.04.25)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보디 패널에 형성한 결합 구멍에 끼워져서 걸림 작용을 하는 여러 개의 리테이닝 암이 가상의 원 위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특히 이들 리테이닝 암이 어떠한 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원뿔 형상으로 배치 구성함으로써, 쉽게 조립할 수 있고, 실내 손잡이를 장착할 때 사용하더라도 실내 손잡이를 사용하면서 발생한 뒤틀림에 대해서도 이를 분산 흡수할 수 있게 하여 결합 구멍에서 빠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고정구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리테이닝 암을 짝수개로 형성하고, 가상의 원 위에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오도록 구성함으로써, 실내 손잡이를 사용하면서 생긴 외력에 대하여 그 가해지는 방향에 상관없이 분산 흡수할 수 있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이탈이나 빠짐 현상을 방지하여 소음과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고정구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고정구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줄이면서도 대량으로 생산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고정구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고정구은, 헤드라이닝, 룸램프, 헤드램프 또는 실내 손잡이를 고정하기 위해 보디 패널에 형성한 결합 구멍에 끼워 헤드라이닝, 룸램프, 헤드램프 또는 실내 손잡이를 장착하기 위한 자동차용 고정구에 있어서, 중앙에 체결 구멍(110)을 형성한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체결 구멍(110)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의 원(C) 위에 위치하도록 미리 정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 구멍의 내면과 밀착하게 장착하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200); 및 이웃한 2개의 가이드(200) 사이에 각각 미리 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며, 길이 중간 부분이 접혀 이 접힌 부분이 상기 체결 구멍(110) 위에서 서로 이웃하여 인접하게 구성하고, 바깥쪽으로 벌어진 각 끝단에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져서 걸릴 수 있게 상기 가상의 원(C) 위에 오도록 걸림 턱(310)을 형성한 적어도 2개의 리테이닝 암(300);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2개의 리테이닝 암(300)은 상기 베이스(100)에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배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가이드(200)는, 상기 베이스(100)와 평면을 이루면서 상기 결합 구멍의 내면과 밀착할 수 있게 이 베이스(100) 위로 돌출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200)와 리테이닝 암(300)은 각각 짝수개로 형성하고, 이웃한 두 개의 가이드(220)와 이웃한 두 개의 리테이닝 암(300)은 각각 서로 마주 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닝 암(300)에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320)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는 금속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고정구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헤드라이닝와 룸램프 그리고 헤드램프와 같이 한번 장착하면 외부에서 외력이 거의 가해지지 않는 경우 이외에도, 실내 손잡이와 같이 탑승자가 손으로 외력을 가하는 경우에도 이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준다.
(2) 즉, 실질적으로 걸림 작용을 하는 리테이닝 암이 베이스 중앙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의 원 위에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구성하므로, 고정구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이 힘을 고정구의 전방향에서 지지하는 리테이닝 암을 통해 분산하여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는 이 결합 구멍에서 쉽게 빠지거나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2) 이런 이탈 또는 빠짐 방지는, 고정구가 결합 구멍에서 이탈하여 다른 구성요소들과 부딪히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하여 승차감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 구멍에서 고정구가 빠짐에 따라 자동차 실내로 떨어져서 탑승자를 다치게 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리테이닝 암이 서로 마주 보게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가 한쪽으로 쏠리거나 비틀림을 받더라도 전방향에 대하여 서로 마주 보는 리테이닝 암이 안정적으로 이러한 힘을 분산 흡수하여 고정구의 빠짐이나 이탈을 방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4)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개의 리테이닝 암이 마치 원뿔 형태로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결합 구멍에 쉽게 끼워서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처럼 리테이닝 암이 결합 구멍 전체에 대하여 균일하게 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구에 대하여 어떤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결합 구멍에서 이탈하거나 빠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의 대표 도면.
도 2는 특허문헌 2의 대표 도면.
도 3은 특허문헌 3의 대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고정구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고정구의 내부 형상을 보여주기 위하여 일부를 자른 일부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고정구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고정구로 실내 손잡이를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고정구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중앙에 체결 구멍(110)을 형성한 원형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100), 이 베이스(100)의 테두리 부분에 하나씩 엇갈리게 형성한 각각 적어도 2개씩의 가이드(200) 및 리테이닝 암(300)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보디 패널에 형성한 결합 구멍에 이 리테이닝 암(300)을 끼워서 헤드라이닝, 룸램프, 헤드램프 또는 실내 손잡이를 고정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데, 상기 리테이닝 암(300)이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배치하여 구성함으로써, 고정구에 대하여 어떠한 방향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결합 작용을 하는 리테이닝 암(300)이 이 힘을 분산 흡수하여 결합 구멍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가 이탈하거나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라이닝, 룸램프, 헤드램프 또는 실내 손잡이 등을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데, 여기서는 장착한 상태에서 외력을 가장 많이 받아 이탈이나 분리의 염려가 있는 실내 손잡이에 장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7에서, 미설명 부호 "20"은 헤드라이닝을, "41"은 보디 패널(10)과 헤드라이닝(20) 사이에 장착하는 고정구 플레이트를, "40"은 실내 손잡이를, "42"는 실내 손잡이(40)와 헤드라이닝(20) 그리고 고정구 플레이트(41)를 차례로 끼워져서 체결 구멍(110)에 체결하는 스크루와 같은 체결 수단을 각각 나타낸다.
베이스(10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중앙에 체결 구멍(110)이 형성된다. 체결 구멍(110)은 실내 손잡이를 체결할 때 사용하는 스크루와 같은 체결 수단(미도시함)을 체결할 때 이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00)는, 도 6에서 이 체결 구멍(110)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의 원(C) 크기의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한 형태를 보여준다. 하지만,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체결 구멍(110)을 기준으로 하는 정다각형 형태로 제작하는 구성도 가능하며, 이때 정다각형은 사각형과 육각형 그리고 팔각형과 같이 짝수 각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서로 마주 보는 변에 후술할 리테이닝 암(300)을 형성함으로써, 이들 리테이닝 암(300)이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형성하기 위함이다.
가이드(20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가상의 원(C) 상에 위치하게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결합 구멍에 끼울 때 안내하고 끼워진 다음에는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가이드(200)는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4개를 형성하여 고정구를 결합 구멍에 끼우면 이 결합 구멍의 안쪽 면에 밀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4점 지지가 되게 하여 본 발명의 고정구가 안정적으로 결합 구멍에 끼워져서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200)는 4개를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보다 더 많은 개수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200)는 홀수 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짝수개로 형성함으로써, 서로 마주 보게 가이드(200)를 형성하여 어느 한쪽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200)는 베이스(100) 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상기 가상의 원(C) 부분을 위로 돌출시켜 결합 구멍의 안쪽 면과 밀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이드(200)와 베이스(100)가 이루는 평면 부분이 보디 패널(도시하지 않음)과 밀착하게 하여 접촉 면적을 가능한 한 넓혀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리테이닝 암(300)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인접한 두 개의 가이드(200) 사이에 각각 형성한다. 특히, 리테이닝 암(300)은 길이의 중간 부분을 접고 이 접힌 부분이 도 4 및 도 5와 같이, 체결 구멍(110) 위에서 서로 접촉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리테이닝 암(300)은, 도 5와 같이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형성하고, 그 끝단은 상술한 가상의 원(C) 위에 오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결합 구멍에 끼웠을 때 이 결합 구멍의 테두리 부분에 걸리도록 걸림 턱(31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각 리테이닝 암(300)은 길이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접힌 부분이 본 발명의 고정구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하여 전체적으로 도 4와 같이 고정구가 원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뿔 부분이 결합 구멍에 끼움에 따라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하고, 여러 개의 리테이닝 암(300)이 가상의 원(C) 위에 미리 정한 위치에 배치하여 대칭 구조로 형성하여 쉽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여러 개의 리테이닝 암(300)이 여러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어떤 방향에 대하여 고정구에 가해진 외력에 대해서도 이를 분산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리테이닝 암(300)은 짝수 개로 형성하되 서로 마주 보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어느 한쪽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그 반대쪽에는 항상 리테이닝 암(300)으로 걸림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힘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에 비틀림이나 한쪽으로 쏠리게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도 이 고정구가 결합 구멍에서 빠지거나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실내 손잡이를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리테이닝 암(300)은 한쪽 면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320)를 형성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길이 중간을 꺾은 부분 중에서 바깥쪽에 돌출한 부분에 보강 비드(320)를 형성하되, 고정구의 안쪽으로 함몰되게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는 금속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6과 같이, 고정구는 금속 판재에 원형 형상의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각각 가이드(200)와 리테이닝 암(300)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한 다음, 이들 각 가이드(200)와 리테이닝 암(300) 을 접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걸림 작용을 하는 여러 개의 리테이닝 암이 원뿔 형태가 되게 가상의 원 위에 배치하게 구성함으로써, 고정구에 비틀림이나 쏠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결합 구멍의 안쪽 면에 미리 정한 위치에서 걸림 작용을 하는 리테니이닝 암이 이 힘을 분산 흡수하여 고정구가 결합 구멍에서 빠지건 이탈하지 않게 안정적으로 지지를 할 수 있다.
100 : 베이스
110 : 체결 구멍
200 : 가이드
300 : 리테이닝 암
310 : 걸림 턱
320 : 보강 비드

Claims (5)

  1. 헤드라이닝, 룸램프, 헤드램프 또는 실내 손잡이를 고정하기 위해 보디 패널에 형성한 결합 구멍에 끼워 헤드라이닝, 룸램프, 헤드램프 또는 실내 손잡이를 장착하기 위한 자동차용 고정구에 있어서,
    중앙에 체결 구멍(110)을 형성한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체결 구멍(110)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의 원(C) 위에 위치하도록 미리 정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 구멍의 내면과 밀착하게 장착하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200); 및 이웃한 2개의 가이드(200) 사이에 각각 미리 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며, 길이 중간 부분이 접혀 이 접힌 부분이 상기 체결 구멍(110) 위에서 서로 이웃하여 인접하게 구성하고, 바깥쪽으로 벌어진 각 끝단에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져서 걸릴 수 있게 상기 가상의 원(C) 위에 오도록 걸림 턱(310)을 형성한 적어도 2개의 리테이닝 암(300);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2개의 리테이닝 암(300)은 상기 베이스(100)에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배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200)는,
    상기 베이스(100)와 평면을 이루면서 상기 결합 구멍의 내면과 밀착할 수 있게 이 베이스(100) 위로 돌출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200)와 리테이닝 암(300)은 각각 짝수개로 형성하고, 이웃한 두 개의 가이드(220)와 이웃한 두 개의 리테이닝 암(300)은 각각 서로 마주 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암(300)에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320)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정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금속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정구.
KR1020140145425A 2014-10-24 2014-10-24 자동차용 고정구 KR101582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425A KR101582891B1 (ko) 2014-10-24 2014-10-24 자동차용 고정구
US14/633,511 US9487067B2 (en) 2014-10-24 2015-02-27 Fixture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425A KR101582891B1 (ko) 2014-10-24 2014-10-24 자동차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891B1 true KR101582891B1 (ko) 2016-01-08

Family

ID=5517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425A KR101582891B1 (ko) 2014-10-24 2014-10-24 자동차용 고정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87067B2 (ko)
KR (1) KR1015828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641A (ko) 2022-04-29 2023-11-0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의 후부 장착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82486B2 (ja) * 2016-02-26 2019-03-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検出装置
CN113767225B (zh) * 2019-05-03 2023-09-15 沃尔沃卡车集团 用于将覆盖面板连接到车身的夹子、布置和车辆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316Y1 (ko) * 1991-06-13 1996-07-2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체결구
JP2001065524A (ja) * 1999-08-25 2001-03-16 Togo Seisakusho Corp クリップ
EP1426217A1 (en) * 2002-12-03 2004-06-09 Grupo Antolin Ingenieria, S.A. System for attaching accessories to a vehicle's bodywork using clips
KR100437629B1 (ko) * 2001-05-23 2004-06-25 (주)대한솔루션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KR20130090942A (ko) 2012-02-07 2013-08-16 (주)대한솔루션 차량의 헤드라이너모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KR101359424B1 (ko) 2012-02-07 2014-02-10 (주)대한솔루션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KR101391230B1 (ko) 2013-05-13 2014-05-02 (주)대한솔루션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1564A (en) 1989-08-16 1993-04-13 Prince Corporation Snap-in visor mount
US4989911A (en) * 1989-08-16 1991-02-05 Prince Corporation Snap-in visor mount
US5056853A (en) 1989-08-16 1991-10-15 Prince Corporation Snap-in visor mount
US5186517A (en) 1992-03-05 1993-02-16 Prince Corporation Shiftable/releasable mount
US5752853A (en) 1995-12-13 1998-05-19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Systems, Inc. Snap-in visor mount and electrical connectors for visor mounts
US5722124A (en) 1996-07-09 1998-03-03 Wisniewski; David M. Fastener clip assembly
US6021986A (en) 1997-07-24 2000-02-08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Snap-in mount
US6003928A (en) 1997-10-14 1999-12-21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Interior trim attachment apparatus for an automotive vehicle
US5967589A (en) 1998-02-17 1999-10-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Sun visor retention clip
US6007136A (en) 1998-10-02 1999-12-28 Fourslides Inc. Modular visor attachment fastener
US20010032377A1 (en) 2000-03-27 2001-10-25 Lubera Daniel J. Resilient clip fastener
US7168138B2 (en) 2000-03-27 2007-01-30 Newfrey Llc Resilient clip fastener
JP3699048B2 (ja) * 2001-02-01 2005-09-28 ハン イル エ ワ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物品装着用クリップ
DE60204679T2 (de) 2001-04-04 2006-05-18 Intier Automotive Inc., Newmarket Sonnenblenden-clip
US8845003B2 (en) * 2007-08-30 2014-09-3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nap-in fastener
US7900953B2 (en) 2008-02-15 2011-03-08 Newfrey Llc Two stage high retention fastener
US8220858B2 (en) * 2009-10-29 2012-07-1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ase for use with a clip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316Y1 (ko) * 1991-06-13 1996-07-2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체결구
JP2001065524A (ja) * 1999-08-25 2001-03-16 Togo Seisakusho Corp クリップ
KR100437629B1 (ko) * 2001-05-23 2004-06-25 (주)대한솔루션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EP1426217A1 (en) * 2002-12-03 2004-06-09 Grupo Antolin Ingenieria, S.A. System for attaching accessories to a vehicle's bodywork using clips
KR20130090942A (ko) 2012-02-07 2013-08-16 (주)대한솔루션 차량의 헤드라이너모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KR101359424B1 (ko) 2012-02-07 2014-02-10 (주)대한솔루션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KR101391230B1 (ko) 2013-05-13 2014-05-02 (주)대한솔루션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641A (ko) 2022-04-29 2023-11-0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의 후부 장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87067B2 (en) 2016-11-08
US20160114735A1 (en)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894B1 (ko) 자동차용 고정구
KR101359424B1 (ko)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EP1995097B1 (en) Fixing clip for interior part of vehicle
KR101582891B1 (ko) 자동차용 고정구
JP5484492B2 (ja) 締め付け要素
JP2012154485A5 (ko)
KR101582895B1 (ko) 자동차용 고정구
CN204187135U (zh) 一种固定卡扣
CN103129424B (zh) 儿童汽车椅
WO2016008331A1 (zh) 一种汽车方向盘
KR101582898B1 (ko) 자동차용 고정구
KR100953996B1 (ko) 자동차 내장용 부품 고정클립
JP2010173412A (ja) 車両用内装材の取付構造
KR101658519B1 (ko)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장착용 고정구
KR101595316B1 (ko) 차량용 필라트림 고정클립
KR100801716B1 (ko) 자동차의 보조매트 탈착 장치
KR102116849B1 (ko)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고정구의 장착 구조
KR20160033350A (ko)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고정구
US20130202350A1 (en) Assist handle clip for headliner module of automobile
KR200482534Y1 (ko) 차량용 테더 클립 고정 구조물
KR101240707B1 (ko) 자동차용 부시 스토퍼 결합구조
KR200482535Y1 (ko) 차랑용 테더 클립 고정 구조물
EP2899078B1 (en) Multifunctional windshield wiper connection structure
JP5354285B2 (ja) バンパホルダの取り付け構造
CN205498853U (zh) 用于前保险杠的侧安装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