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895B1 - 자동차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895B1
KR101582895B1 KR1020140145381A KR20140145381A KR101582895B1 KR 101582895 B1 KR101582895 B1 KR 101582895B1 KR 1020140145381 A KR1020140145381 A KR 1020140145381A KR 20140145381 A KR20140145381 A KR 20140145381A KR 101582895 B1 KR101582895 B1 KR 101582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mounting hole
retaining
present
retain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40145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895B1/ko
Priority to US14/632,645 priority patent/US2016011597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 F16B2/241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 F16B2/243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internal, i.e. with spread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손잡이를 장착할 때 사용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실내 손잡이를 고정하는 리테이닝 암의 바깥쪽 측면 부분이 고정구를 장착하는 장착 구멍과 직접 닿지 않게 가이드를 구성함으로써, 실내 손잡이를 장착할 때 사용하더라도 실내 손잡이에 가해진 외력이나 차에서 전달된 진동 등으로 리테이닝 암이 장착 구멍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부분 이탈로 생기는 소음 발생을 억제하고 완전 이탈로 실내 손잡이가 아래로 떨어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베이스를 기준으로 양쪽에 실제 걸림 기능을 하는 리테이닝 암이 서로 마주 보게 구성함으로써, 리테이닝 암의 폭을 넓혀 장착 구멍에 걸려서 고정하는 고정력을 그만큼 더 높여 이러한 고정구의 이탈이나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구를 장착 구멍에 끼울 때 상기 가이드가 고정구를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쉽고 신속하게 장착 구멍에 맞춰 실내 손잡이를 장착할 때 사용하더라도 실내 손잡이를 정확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고정구{FIX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착 구멍에 끼워져서 걸림 기능을 하는 리테이닝 암이 장착 구멍과 직접 닿지 않게 하고, 또한 리테이닝 암의 폭을 넓힐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실내 손잡이처럼 탑승자가 손으로 이 실내 손잡이를 잡아당길 때 고정구에 비틀림이 생기거나 차에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리테이닝 암이 장착 구멍에서 이탈하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구성 요소들을 고정구(클립 모듈)를 이용하여 조립한다. 예를 들어서 룸램프와 헤드램프 그리고 실내 보조손잡이를 예를 들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고정구는 각 구성요소에 알맞게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생산성과 비용 절감이라는 측면에서 한가지로 개발한 다음 클립 방식으로 결합이 필요한 곳에 모두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이처럼 다른 구성요소에도 사용할 수 있는 고정구(모듈 클립)을 헤드라이닝을 고정하는 데 사용한 예를 보여준다.
특허문헌 1은 기단부에는 자동차의 보디 패널(10)과 헤드라이너(20) 사이에 조립되는 베이스(110)가 구비되고, 선단부에는 이 베이스(110)로부터 일체로 절곡되어 보디 패널(10)의 결합 공(11)에 끼워서 결합하는 후크(120)가 형성된 자동차의 헤드라이너 모듈용 보조 손잡이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후크(120)는 베이스(110)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지지부(121a)와 상기 지지부(121a)의 상단부에 하방으로 절곡된 플랜지(121b)를 구비한 두 쌍의 지지 암(121)과, 상기 두 쌍의 지지 암(121)의 각각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121b)의 중앙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한 쌍의 리테이닝 암(123)과, 이 리테이닝 암(123)의 하단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리테이닝부(124)와, 이 리테이닝부(124)의 하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보디 패널(10)의 결합 공(11)의 둘레면(11a)에 걸려지는 리테이닝 턱(125)과, 상기 리테이닝 암(123)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연장되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삽입 가이드 비드(126)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의 헤드라이너 모듈용 보조 손잡이 고정구가 제공된다.
특허문헌 2는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원가가 낮으며, 차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에 소음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모듈 헤드라이너용 보조 손잡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기단부에는 자동차의 보디 패널(10)과 헤드라이너(20) 사이에 조립되는 베이스(110)가 구비되고, 선단부에는 이 베이스(110)로부터 일체로 절곡되어 보디 패널(10)의 결합 공(11)에 끼워서 결합하는 후크(120)가 형성된 자동차의 모듈 헤드라이너용 보조 손잡이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후크(120)는 베이스(110)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지지 암(121a)과, 상기 지지 암(121a)의 상단부에 상기 지지 암(121a)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플랜지(121b)와, 상기 플랜지(121b)의 양측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두 쌍의 리테이닝 암(122)과, 이 리테이닝 암(122)의 하단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리테이닝부(123)와, 이 리테이닝부(123)의 하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보디 패널(10)의 결합 공(11)의 둘레면(11a)에 걸려지는 리테이닝 턱(124)과, 상기 플랜지(121b)의 마주보는 면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121b) 상호 접촉에 의한 소음 발생을 억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음방지 돌기(125)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의 모듈 헤드라이너용 보조 손잡이 고정구가 제공된다.
특허문헌 3은 자동차의 모듈 헤드라이너용 보조 손잡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보디 패널(10)과 헤드라이너(20) 사이에 체결고정되는 베이스(110) 및 이 베이스(110)로부터 절곡되어 보디 패널(10)의 결합 공(11)에 끼워서 결합하는 후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의 모듈 헤드라이너용 보조 손잡이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후크(120)는, 전체적으로 "T"자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단부가 서로 마주보게 절곡된 플랜지(121a)가 서로 맞닿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암(121); 상기 지지암(121)의 상부 가로변으로부터 아래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단부에는 안쪽으로 절곡되면서 걸림턱(122a)이 절곡된 리테이닝암(122); 상기 각 지지암(121)의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이 만나는 위치에서, 이 세로 부분측으로 갈수록 위를 향하도록 형성된 절개부(123); 및 리테이닝암(122)과 플랜지(121a)의 연결부위의 바깥쪽 테두리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 숄더(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110)에는 'ㄷ'자 형태로 절개되어 플랜지(121a)를 향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적어도 한 쌍의 유동방지 돌기(112)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유동방지 돌기(112)는 위로 갈수록 점차 안쪽으로 향하도록 절곡하여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플랜지(121a)에는 서로 마주보는 양면 중에서 어느 한 면에 점 접촉이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소음방지 돌기(121b)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기존의 고정구는 한번 고정하면 움직이지 않는 구조, 예를 들어서 룸램프나 헤드램프 그리고 헤드라이닝과 같은 경우 움직임이나 외부의 힘이 거의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관이 없으나, 탑승자가 손으로 잡아서 외력을 가하는 실내 손잡이를 고정할 때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후크를 결합 공에 끼우면, 2개의 유동방지 돌기(112)가 결합 공의 서로 마주 보는 양쪽 면과 접촉하면서 고정구를 지지한다. 그리고, 결합 공의 나머지 양쪽 면에는 리테이닝 암(121,122)이 걸려 고정구를 고정한다.
(2) 이때, 이들 리테이닝 암(121,122)과 결합 공의 안쪽 면 사이에 틈새가 생긴다. 이 틈새는 리테이닝 암(121,122)이 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공간으로 작용한다.
(3) 즉, 리테이닝 암(121,122)은 베이스(100)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힘에 대하여 견딜 수 있게 구성한다. 하지만, 실제로 실내 손잡이를 당기면 이처럼 리테이닝 암(121,122)이 의도한 바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힘을 받는 경우뿐만 아니라 한쪽으로 쏠리게 힘을 가해 비틀림 등을 받을 수도 있다.
(4) 이러한 비틀림 등의 힘은 리테이닝 암(121,122)에 그대로 전달되고 비틀림 때문에 리테이닝 암(121,122)이 한쪽으로 쏠리면서 리테이닝 암(121,122)과 결합 공 사이의 틈새로 빠져버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5) 이에 리테이닝 암(121,122)과 결합 공 사이에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구가 아래로 떨어짐에 따라 실내 손잡이도 함께 떨어지면서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6) 이러한 문제는 리테이닝 암에 가해진 비틀림뿐만 아니라 차에서 발생한 진동때문에도 일어날 우려가 있다.
(7) 한편, 기존 고정구는 지지 암의 사이나 지지 암의 양쪽에 리테이닝 암을 형성하므로 실제 걸림 기능을 하는 리테이닝 암의 크기를 크게 제작하는 데 문제가 있다. 이는 리테이닝 암의 걸림 기능 즉 지지력에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0942호 (공개일 : 2013.08.16) 한국등록특허 제1359424호 (등록일 : 2014.01.29) 한국등록특허 제1391230호 (등록일 : 2014.04.25)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실내 손잡이를 장착할 때 사용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실내 손잡이를 고정하는 리테이닝 암의 바깥쪽 측면 부분이 고정구를 장착하는 장착 구멍과 직접 닿지 않게 가이드를 구성함으로써, 실내 손잡이를 장착할 때 사용하더라도 실내 손잡이에 가해진 외력이나 차에서 전달된 진동 등으로 리테이닝 암이 장착 구멍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부분 이탈로 생기는 소음 발생을 억제하고 완전 이탈로 실내 손잡이가 아래로 떨어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베이스를 기준으로 양쪽에 실제 걸림 기능을 하는 리테이닝 암이 서로 마주 보게 구성함으로써, 리테이닝 암의 폭을 넓혀 장착 구멍에 걸려서 고정하는 고정력을 그만큼 더 높여 이러한 고정구의 이탈이나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구를 장착 구멍에 끼울 때 상기 가이드가 고정구를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쉽고 신속하게 장착 구멍에 맞춰 실내 손잡이를 장착할 때 사용하더라도 실내 손잡이를 정확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고정구는, 헤드라이닝, 룸램프, 헤드램프 또는 실내 손잡이를 고정하기 위해 보디 패널(10)에 형성한 장착 구멍(11)에 끼워 헤드라이닝, 룸램프, 헤드램프 또는 실내 손잡이를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자동차용 고정구에 있어서, 중앙에 체결 구멍(110)이 형성된 베이스(100); 상기 체결 구멍(110)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100)의 양쪽에서 서로 마주 보게 연장 형성하여 이 체결 구멍(110)의 위쪽에서 서로 인접하여 마주보면서 다시 아래로 가면서 바깥쪽으로 벌어지고, 끝단이 탄성 변형되면서 장착 구멍(11)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 턱(122)을 갖춘 한 쌍의 리테이닝 암(120); 및 고정구(F)를 장착 구멍(11)에 끼웠을 때 반대쪽 위로 돌출되며 각 리테이닝 암(120)의 양측과 장착 구멍(11)의 안쪽 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100)에서 돌출하게 성형한 4개의 가이드(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리테이닝 암(120)은 체결 구멍(110) 위에서 절곡된 부분을 일부 절개하여 절개부(123)를 형성하여 탄성 변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테이닝 암(120)에는 길이 방향으로 구조적 강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1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130)는 적어도 2번 절곡하여 이웃한 면이 서로 접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구는 강재를 프레스 또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헤드라이닝와 룸램프 그리고 헤드램프와 같이 한번 장착하면 외부에서 외력이 거의 가해지지 않는 경우 이외에도, 실내 손잡이와 같이 탑승자가 손으로 외력을 가하는 경우에도 이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준다.
(2) 즉, 실제 장착 구멍에 걸려 걸림 기능을 하는 리테이닝 암의 폭을 넓게 제작할 수 있다. 이는 장착 구멍에 걸려서 발생하는 고정력을 높일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가 장착 구멍에서 이탈하거나 빠지지 않게 고정해 준다.
(3) 리테이닝 암과 장착 구멍 사이에 가이드를 구성하여 리테이닝 암이 비틀림이나 진동 등으로 변형을 일으키더라도 이 리테이닝 암이 장착 구멍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이 장착 구멍에서 쉽게 빠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막아준다.
(4)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가 실내 손잡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착 구멍에서 이탈한 리테이닝 암이 보디 패널이나 그 주변의 다른 구성요소와 부딪치면서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없애 승차감을 높일 수 있다.
(5) 또한, 리테이닝 암이 장착 구멍에서 완전히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고정구가 실내 손잡이와 함께 보디 패널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 손잡이나 차 실내로 떨어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6) 그리고, 상기 가이드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장착 구멍에 끼울 때 쉽게 끼워지도록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소음 감소와 안전사고의 예방과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쉽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7) 특히, 상기 가이드는 베이스에서 위로 돌출한 양면이 서로 맞닿게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고정구를 결합할 때 자체 변형을 통해 쉽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스 가공이나 사출 공정을 통해 베이스와 일체로 가이드를 쉽게 형성할 수 있어 조립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의 대표 도면.
도 2는 특허문헌 2의 대표 도면.
도 3은 특허문헌 3의 대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손잡이용 고정구의 전체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손잡이용 고정구를 보디 패널에 형성한 장착 구멍에 끼워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보디 패널에 형성한 장착 구멍에 끼워 장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고정구(F)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보디 패널(10)에 형성한 장착 구멍(11)에 끼워서 헤드라이닝, 룸램프, 헤드램프 또는 실내 손잡이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에 체결 구멍(110)이 형성된 베이스(100), 베이스(100)와 일체로 형성하여 각 끝단이 장착 구멍(11)에 걸려 헤드라이닝, 룸램프, 헤드램프나 실내 손잡이를 고정하게 하는 한 쌍의 리테이닝 암(120), 그리고 각 리테이닝 암(120)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베이스(100)에 돌출 형성한 4개의 가이드(130)를 포함함으로써, 실제 걸림 작용을 하는 리테이닝 암(120)의 폭을 넓혀 안정적인 지지력을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상기 가이드(130)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F)를 장착 구멍(11)에 끼웠을 때, 상기 리테이닝 암(120)과 이 장착 구멍(11)의 내측 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이드(130)가 고정구(F)를 안내하여 장착 구멍(11)에 쉽게 끼워져서 장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130)는 리테이닝 암(120)이 장착 구멍(11)과 접촉하지 않게 함으로써, 리테이닝 암(120)이 비틀림이나 진동 등을 받더라도 리테이닝 암(120)이 장착 구멍(11)에서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게 하여 이탈한 리테이닝 암(120)이 다른 구성요소와 부딪치면서 소음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손잡이를 장착할 때 사용하더라도 실내 손잡이가 분리되어 실내로 떨어져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라이닝, 룸램프, 헤드램프 또는 실내 손잡이 등을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데, 여기서는 장착한 상태에서 외력을 가장 많이 받아 이탈이나 분리의 염려가 있는 실내 손잡이에 장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6에서, 미설명 부호 "20"은 헤드라이닝을, "41"은 보디 패널(10)과 헤드라이닝(20) 사이에 장착하는 고정구 플레이트를, "40"은 실내 손잡이를, "42"는 실내 손잡이(40)와 헤드라이닝(20) 그리고 고정구 플레이트(41)를 차례로 끼워져서 체결 구멍(110)에 체결하는 스크루와 같은 체결 수단을 각각 나타낸다.
베이스(10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미리 정한 크기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00)는 실내 손잡이를 잡아당김에 따라 가해지는 외력이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대칭 형상,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에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중앙에 체결 구멍(110)을 형성한다. 이 체결 구멍(110)에는 실내 손잡이에 끼워진 스크루와 같은 체결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체결되어 실내 손잡이를 고정하는 데 이용한다.
리테이닝 암(120)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베이스(100)의 양쪽 테두리를 각각 절곡하여 한 쌍을 형성한다. 이때, 리테이닝 암(120)은 서로 마주 보게 절곡하여 상술한 체결 구멍(110) 위에서 서로 접촉하였다가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닝 암(120)에는 아래로 내려온 끝단에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F)를 장착 구멍(11)에 끼웠을 때 그 테두리에 걸려 걸림 작용을 하는 걸림 턱(122)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리테이닝 암(120)에는 체결 구멍(110) 위에서 접촉하는 절곡한 일부 부분을 절개하여 절개부(12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부(123)는 이 리테이닝 암(120)의 폭이 너무 넓어서 이처럼 절곡한 부분의 강성이 너무 강해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는 데 큰 힘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탄성 변형이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절개하여 절개부(123)를 형성하여 리테이닝 암(120)이 쉽게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리테이닝 암(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121)를 형성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리테이닝 암(120)에 대하여 두 개의 보강 비드(121)를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구(F) 안쪽으로 돌출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리테이닝 암(120)은 상기 체결 구멍(110)을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이 되게 베이스(100)에 형성함으로써, 이 체결 구멍(110)에 체결 수단이 체결되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대칭으로 형성한 리테이닝 암(120)에서 균일하게 힘을 분산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리테이닝 암(120)은 도 6과 같이 장착 구멍(11) 사이의 폭보다 조금 넓게 벌어지게 형성하고, 이 리테이닝 암(120)을 장착 구멍(11)에 끼움에 따라 이 리테이닝 암(120)이 장착 구멍(11)과 간섭을 일으켜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강제 변형되다가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하면서 걸림 턱(122)이 장착 구멍(11)에 걸려 고정된다.
가이드(13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각 리테이닝 암(120)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위치하도록 베이스(100)에 4개를 형성한다. 이때, 가이드(130)는 리테이닝 암(120)을 장착 구멍(11)에 끼웠을 때, 도 5와 같이 리테이닝 암(120)과 장착 구멍(11)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이는 실내 손잡이를 잡아서 당김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F)가, 도면에서 아래쪽으로 당겨질 때, 이 리테이닝 암(120)과 가이드(130)가 함께 움직임과 동시에 그 사이의 간격을 최소한으로 만들어줌으로써, 리테이닝 암(120)이 비틀림을 받거나 외부 진동 등을 받더라도 장착 구멍(11)에서 이탈하거나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130)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F)를 장착 구멍(11)에 끼웠을 때 그 끼워진 끝단이 장착 구멍(11)의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한다. 이는 리테이닝 암(120)을 장착 구멍(11)에 끼움에 따라 가이드(130)가 리테이닝 암(120)을 안내하여 장착 구멍(11)에 정해진 위치에 안착할 수 있게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130)는 적어도 두 번 절곡하고, 절곡 부분이 베이스(100)의 바깥쪽을 향하면서 이웃한 면이 서로 접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절곡 부분을 매끄럽게 형성하여 장착 구멍(11)에 쉽게 끼워질 수 있게 하면서 자체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구성한 가이드(130)는,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F)를 장착 구멍(11)에 끼워서 장착하면, 리테이닝 암(120)과 장착 구멍(11)의 안쪽 면 사이에 위치하므로 이 고정구(F)가 뒤틀림을 받더라도 리테이닝 암(120)과 장착 구멍(11)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리테이닝 암(120)이 이러한 뒤틀림이나 진동 등을 받더라도 리테이닝 암(120)이 자체적으로 뒤틀리더라도 장착 구멍(11)의 안쪽 면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이들 사이의 마찰 등이 발생하지 않아 리테이닝 암(120)이 장착 구멍(11)에서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강재를 프레스 가공하거나 합성 수지를 사출하여 제작함으로써, 쉽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생산하여 보급할 수 있고, 특히 리테이닝 암이 부분 이탈이나 완전 이탈을 방지하여 소음을 줄이면서도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100 : 베이스
110 : 체결 구멍
121 : 보강 비드
120 : 리테이닝 암
122 : 걸림 턱
130 : 가이드

Claims (5)

  1. 헤드라이닝, 룸램프, 헤드램프 또는 실내 손잡이를 고정하기 위해 보디 패널(10)에 형성한 장착 구멍(11)에 끼워 헤드라이닝, 룸램프, 헤드램프 또는 실내 손잡이를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자동차용 고정구에 있어서,
    중앙에 체결 구멍(110)이 형성된 베이스(100);
    상기 체결 구멍(110)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100)의 양쪽에서 서로 마주 보게 연장 형성하여 이 체결 구멍(110)의 위쪽에서 서로 인접하여 마주 보면서 다시 아래로 가면서 바깥쪽으로 벌어지고, 끝단이 탄성 변형되면서 장착 구멍(11)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 턱(122)을 갖춘 한 쌍의 리테이닝 암(120); 및
    고정구(F)를 장착 구멍(11)에 끼웠을 때 반대쪽 위로 돌출되며 각 리테이닝 암(120)의 양측과 장착 구멍(11)의 안쪽 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100)에서 돌출하게 성형한 4개의 가이드(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정구(F).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암(120)은 체결 구멍(110) 위에서 절곡된 부분을 일부 절개하여 절개부(123)를 형성하여 탄성 변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정구(F).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암(120)에는 길이 방향으로 구조적 강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1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정구(F).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30)는 적어도 2번 절곡하여 이웃한 면이 서로 접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정구(F).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강재를 프레스 또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정구(F).
KR1020140145381A 2014-10-24 2014-10-24 자동차용 고정구 KR101582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381A KR101582895B1 (ko) 2014-10-24 2014-10-24 자동차용 고정구
US14/632,645 US20160115979A1 (en) 2014-10-24 2015-02-26 Fixture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381A KR101582895B1 (ko) 2014-10-24 2014-10-24 자동차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895B1 true KR101582895B1 (ko) 2016-01-08

Family

ID=5517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381A KR101582895B1 (ko) 2014-10-24 2014-10-24 자동차용 고정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15979A1 (ko)
KR (1) KR101582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641A (ko) 2022-04-29 2023-11-0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의 후부 장착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0713B2 (en) * 2017-09-14 2019-12-10 Black & Decker Inc. Wall hanging system
US11692571B2 (en) * 2019-04-08 2023-07-04 Volvo Car Corporation Clip assembly for holding a component during a vehicle assembly/disassembly process
CN112197921A (zh) * 2020-09-22 2021-01-08 上海翼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翼子板轮眉安装孔局部刚度的测量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524A (ja) * 1999-08-25 2001-03-16 Togo Seisakusho Corp クリップ
KR20020055333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자동차의 트림 장착구조
KR20090074896A (ko) * 2008-01-03 2009-07-08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 내장용 부품 고정클립
KR20130090942A (ko) 2012-02-07 2013-08-16 (주)대한솔루션 차량의 헤드라이너모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KR101359424B1 (ko) 2012-02-07 2014-02-10 (주)대한솔루션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KR101391230B1 (ko) 2013-05-13 2014-05-02 (주)대한솔루션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524A (ja) * 1999-08-25 2001-03-16 Togo Seisakusho Corp クリップ
KR20020055333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자동차의 트림 장착구조
KR20090074896A (ko) * 2008-01-03 2009-07-08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 내장용 부품 고정클립
KR20130090942A (ko) 2012-02-07 2013-08-16 (주)대한솔루션 차량의 헤드라이너모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KR101359424B1 (ko) 2012-02-07 2014-02-10 (주)대한솔루션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KR101391230B1 (ko) 2013-05-13 2014-05-02 (주)대한솔루션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641A (ko) 2022-04-29 2023-11-0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의 후부 장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15979A1 (en)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895B1 (ko) 자동차용 고정구
EP1995097B1 (en) Fixing clip for interior part of vehicle
US9004415B2 (en) Clamp
KR101359424B1 (ko)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JP2006336821A (ja) 高固定強度の固定具
KR101582894B1 (ko) 자동차용 고정구
US20200232495A1 (en) Linearly-adjustable clip assembly
JP2007089340A (ja) ハーネスクリップ
KR20180084071A (ko) 클립
KR20140077201A (ko)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홀더 및, 그에 대응하는 헤드라이트
KR101582898B1 (ko) 자동차용 고정구
KR101582891B1 (ko) 자동차용 고정구
KR100953996B1 (ko) 자동차 내장용 부품 고정클립
KR200485548Y1 (ko) 등기구 커버 체결용 클립
KR20180066349A (ko) 자동차용 선루프 장착용 파스너
KR101595316B1 (ko) 차량용 필라트림 고정클립
KR101999789B1 (ko) 범퍼와 헤드램프 결합 구조
KR102116849B1 (ko)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고정구의 장착 구조
KR20160033350A (ko)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고정구
KR20180105280A (ko) 자동차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KR101658519B1 (ko)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장착용 고정구
KR200482535Y1 (ko) 차랑용 테더 클립 고정 구조물
KR200482534Y1 (ko) 차량용 테더 클립 고정 구조물
JP2018176804A (ja) ドアトリム
KR101240707B1 (ko) 자동차용 부시 스토퍼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