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961B1 - 시트 반송 장치,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반송 장치,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961B1
KR101576961B1 KR1020120089352A KR20120089352A KR101576961B1 KR 101576961 B1 KR101576961 B1 KR 101576961B1 KR 1020120089352 A KR1020120089352 A KR 1020120089352A KR 20120089352 A KR20120089352 A KR 20120089352A KR 101576961 B1 KR101576961 B1 KR 101576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nveying
roller
driving force
convey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8030A (ko
Inventor
다카키요 도바
미치히로 후쿠다
양문석
주철현
하현덕
김범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Conveyance By Endless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시트 반송 장치가 시트의 양면이 판독되도록 그 시트를 반송할 경우에, 시트의 사행을 억제하는 것과, 선행하는 제 1 시트가 배출되기 전에, 이에 후속하는 제 2 시트의 반송을 개시하는 것을 양립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상 반송로(130)를 반송된 용지가 배지 롤러(125)의 위치에 달하면, 제어부는, 구동 수단의 회전 방향을 역전 방향으로 시킨다. 이 결과, 배지 롤러(125)가 역전하고, 용지는 연계 반송로(131)를 반송된다. 용지가 인출 반송 롤러(114)의 위치에 달하면, 제어부는 인출 반송 롤러(114)에 구동력을 전달시킴과 함께 구동 수단의 회전 방향을 정전 방향으로 시킨다. 용지의 후단이 인출 반송 롤러(114)의 위치를 통과하면, 제어부는 인출 반송 롤러(114)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정지시킴과 함께, 피드 롤러(113)에 구동력을 전달시킨다.

Description

시트 반송 장치,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SHEET CONVEYING DEVICE,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트 반송 장치, 화상 판독 장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종래 2개 사용하고 있었던 구동원을 1개로 구성함으로써, 소형화를 도모함과 함께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는 원고 판독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3546822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시트 반송 장치가 시트의 양면이 판독되도록 그 시트를 반송할 경우에, 시트의 사행(斜行)을 억제하는 것과, 선행하는 제 1 시트가 배출되기 전에, 이것에 후속하는 제 2 시트의 반송을 개시하는 것을 양립시키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시트 반송 장치는, 시트가 공급되는 공급 위치로부터 당해 시트의 화상이 판독되는 판독 위치를 경유해서 당해 시트가 배출되는 배출 위치에 이르는 시트의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1 반송로에 있어서의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반송로에 있어서 당해 제 1 위치보다 상기 시트의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있는 제 2 위치에 이르는 시트의 제 2 반송로와,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해서 구동력을 발생하는 단일 구동 수단과, 상기 제 1 반송로에서 상기 제 2 위치보다 상기 반송 방향 상류 측의 위치에서, 상기 구동 수단이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제 1 반송 롤러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구동 수단이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제 2 반송 롤러와, 상기 제 1 반송로에서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반송 방향 하류 측의 위치에서, 상기 구동 수단이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제 3 반송 롤러와, 상기 구동 수단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반송로에 있어서 상기 시트를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반송하는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제 2 반송 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와, 상기 구동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반송 롤러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상태와 행하지 않는 상태를 전환하는 제 1 전환 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반송 롤러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상태와 행하지 않는 상태를 전환하는 제 2 전환 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 상기 제 1 전환 수단 및 상기 제 2 전환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구동 수단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공급 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시트의 반송을 개시하고, 상기 제 1 반송로에서 당해 제 1 시트가 상기 제 1 반송 롤러의 위치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 1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반송 롤러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상태로부터 행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하고, 또한 상기 제 1 반송로에서 상기 제 1 시트가 상기 제 2 반송 롤러의 위치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 2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반송 롤러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상태로부터 행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 1 반송로에서 상기 제 1 시트가 상기 제 3 반송 롤러의 위치까지 반송시켜지면, 상기 구동 수단을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제 3 반송 롤러의 회전 방향을 바꾸고, 상기 제 1 시트를 상기 제 2 반송로 경유로 상기 제 2 반송 롤러의 위치까지 반송시키고, 상기 제 2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반송 롤러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행하는 상태로 전환함과 함께, 상기 구동 수단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제 3 반송 롤러의 회전 방향을 바꾸고, 상기 제 1 시트가 상기 제 2 반송 롤러의 위치를 통과하면, 상기 제 2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반송 롤러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상태로부터 행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하는 한편, 상기 제 1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반송 롤러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행하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 1 시트의 다음으로 반송하는 제 2 시트의 반송을 개시시키고, 상기 제 2 시트가 상기 판독 위치 경유로 상기 제 3 반송 롤러의 위치에 반송될 때까지의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한 상기 제 1 방향의 회전 기간 중에, 상기 제 3 반송 롤러에 의해 상기 제 1 시트를 반송해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시트 반송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시트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3 반송 롤러와 당해 제 3 반송 롤러에 대향하는 대향 롤러를 이간(離間)시키는 롤러 이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구동 수단을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는 기간에 상기 시트의 선단이 상기 제 2 반송 롤러의 위치에 달하면, 상기 제 2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반송 롤러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상태로부터 행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하고 나서, 상기 구동 수단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함께, 상기 롤러 이간 수단에 의해 상기 제 3 반송 롤러와 상기 대향 롤러를 이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기재된 화상 판독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시트 반송 장치와 상기 시트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시트로부터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화상 판독 장치와 상기 화상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기록 매체에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단일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시트 반송 장치가 시트의 양면이 판독되도록 그 시트를 반송할 경우에, 시트의 사행을 억제 하는 것과, 선행하는 제 1 시트가 배출되기 전에, 이것에 후속하는 제 2 시트의 반송을 개시하는 것을 양립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반송 롤러와 제 3 반송 롤러로 시트가 끌어 당겨지는 일이 없도록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시트 반송 장치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원고가 되는 시트에 대해서 지정된 판독 방향에 대하여 그 화상의 방향이나 위치를 조정된 상태에서 시트에 형성된 화상을 판독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3에 기재된 화상 판독 장치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원고가 되는 시트에 대해서 지정된 판독 방향에 대하여, 그 화상의 방향이나 위치가 조정된 상태에서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정면 측에서 본 개략 구성도.
도 2는 시트 반송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시트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반송부를 정면 측에서 확대한 모식도.
도 4는 반송부를 정면 측에서 확대해서 구동 기구를 투과적으로 표시한 모식도.
도 5는 일정 방향 회전 기구를 시트 반송 장치의 배면 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시트 반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7은 시트 반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실시형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10)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정면 측에서 본 개략 구성도이다. 여기서, 정면 측이란, 터치 패널이나 조작 키 등의 조작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유저가 화상 형성 장치(100)를 조작할 때에 상대하는 면이다. 이에 대하여, 배면 측이란 정면 측과는 반대 방향의 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크게 구별해서, 시트 반송 장치(10)와, 급지부(20)와, 화상 형성부(30)와, 화상 판독부(40)로 구성된다. 시트 반송 장치(10)는, 원고로서 판독되는 용지를 화상 판독부(40)의 판독 위치까지 반송하고, 화상 판독 후의 용지를 배출하는 용지 반송 장치이다. 용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일례이다. 급지부(20)는, 화상 형성부(30)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위치까지 용지를 급지한다. 화상 형성부(30)는 대전, 노광, 현상, 전사, 정착이라는 전자 사진 방식의 각 공정을 거쳐, 급지부(20)로부터 급지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부(30)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컬러의 화상을 형성하는 수단이지만, 모노크롬의 화상을 형성하는 수단이어도 된다. 화상 판독부(40)는 시트 반송 장치(10)에 있어서 판독 위치까지 반송되어 온 용지에 형성된 화상을 판독하고, 판독 결과를 제어부(도시 생략)에 공급한다. 제어부는 필요에 따라 판독 결과를 화상 형성부(30)에 공급하고, 화상 형성부(30)는 공급된 판독 결과에 따른 화상을 용지에 형성한다. 화상 판독부(40)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수단의 일례이다. 또한, 적어도 시트 반송 장치(10)와 화상 판독부(40)를 구비하는 기기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의 일례이다.
시트 반송 장치(10)는 원고 적재부(11)와, 배출 용지 적재부(12)와, 반송부(13)를 구비한다. 원고 적재부(11)는, 원고로서 판독되는 용지를 재치(載置)하는 트레이이다. 반송부(13)는 복수의 롤러로 구성되어 용지를 반송한다. 시트 반송 장치(10)는 화상 판독부(40)에 대하여 개폐 기구(도시 생략)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시트 반송 장치(10) 중, 화상 판독부(40)와 접촉하는 면의 일부에는, 슬릿 글래스(14)가 끼워져 있다. 반송부(13)에 의해 용지가 슬릿 글래스(14) 상에 반송되면, 화상 판독부(40)에 의해, 슬릿 글래스(14)를 투과해서 용지에 형성된 화상의 판독이 행해진다. 화상의 판독이 행해진 용지는, 반송부(13)에 의해 배출 용지 적재부에 배출된다.
급지부(20)는 용지를 수납하는 용지 수납부(21)와, 용지 수납부(21)에 수납된 용지를 화상 형성부(30)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위치까지 반송하는 복수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급지 수단(22)을 구비한다.
화상 형성부(30)는 소위 중간 전사 방식에 의해,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4색의 토너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화상 형성부(30)는 감광체 드럼(31)과, 대전기(32)와, 노광 장치(33)와, 현상기(34)와 토너 카트리지(35Y, 35M, 35C, 35K)와, 중간 전사 벨트(36)와 정착 장치(37)를 구비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구성 요소 중, 부호의 끝에 알파벳(Y, M, C 또는 K)을 부여한 것은, 당해 구성 요소가 상기 4색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구성 요소는 사용하는 토너의 색이 다르지만, 주요한 구성이나 기능은 공통되고 있다. 그래서 이하에 있어서는, 이들 구성 요소의 설명에 있어서, 서로를 구별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토너 카트리지(35)」 라고 하듯이, 부호의 끝을 생략해서 이것들을 총칭하는 것으로 한다.
감광체 드럼(31)은 표면에 광(光)도전막을 적층해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유지하는 상 유지체이다. 대전기(32)는 감광체 드럼(31)을, 결정된 대전 전위로 대전시킨다. 노광 장치(33)는 감광체 드럼(31)을 노광해서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기(34)는 토너를 정전 잠상에 공급함으로써, 이 정전 잠상을 현상해서 감광체 드럼(32)의 표면에 화상을 형성한다. 토너 카트리지(35)는 각 색의 토너를 수용하고, 이것을 필요에 따라 현상기(33)에 공급한다. 중간 전사 벨트(36)는 감광체 드럼(31)으로부터 전사된 토너상(像)을 유지하는 수단이다. 중간 전사 벨트(36)는 복수의 지지 롤에 의해 지지되어서 도면 중의 화살표(A1)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주회(周回)하면서 이동한다. 정착 장치(37)는, 중간 전사 벨트(34)로부터 화상이 전사된 용지에 대하여 가열 및 가압을 행함으로써, 이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킨다. 감광체 드럼(31)과, 대전기(32)와, 노광 장치(33)와, 현상기(34)와, 중간 전사 벨트(36)와, 정착 장치(37)는 협동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수단의 일례로서 기능한다.
도 2는 시트 반송 장치(10) 및 화상 형성 장치(100) 본체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시트 반송 장치(10)는 제어부(101)와, 기억부(102)와, 통신부(103)를 구비한다. 각부(各部)는 버스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0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시각을 계측하는 시간 계시(計時)부를 갖는다. CPU는 ROM 또는 기억부(102)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부(101)와 접속되어 있는 각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01)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수단의 일례이다. 기억부(102)는, 예를 들면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기억 장치이며, 예를 들면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통신부(103)는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 본체의 통신부(183)와 통신을 행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제어부(181)와, 기억부(182)와, 통신부(183)와, UI부(184)와, 화상 형성부(30)를 구비한다. 각부는 버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81)는 CPU, ROM 및 RAM을 갖는다. CPU는 ROM 또는 기억부(182)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부(181)와 접속되어 있는 각부를 제어한다. 기억부(182)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와 같은 기억 장치며, 예를 들면 제어 프로그램이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183)는 제어부(181)의 제어 하에서, 시트 반송 장치(10)의 통신부(103)나, 유저가 조작하는 통신 단말과 통신을 행한다. UI(User Interface)부(8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이나 복수의 키를 구비하고, 유저의 조작에 의거하는 지시를 제어부(181)에 통지한다. 제어부(181)는 UI부(184)로부터 통지된 지시에 따라서 처리를 행한다. 화상 형성부(30)는 상술한 것과 같으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화상을 용지에 형성한다.
도 3은 시트 반송 장치(10)에 있어서의 반송부(13)를 정면에서 확대한 모식도이다. 반송부(13)는 용지 인입 롤러(111)와, 용지 판독 센서(112)와, 피드 롤러(113)와, 인출 반송 롤러(114)와, 용지 통과 센서(116)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7)와, 화상 판독 타이밍 센서(119)와, 아웃 롤러(121)와, 용지 통과 센서(123)와, 배출 롤러(125)와, 솔레노이드(127)와, 복수의 종동 롤러(115, 118, 122, 126)와, 통상 반송로(130)와, 연계 반송로(131)와, 반전 반송로(132)를 구비한다. 반송부(1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복수의 롤러 이외에, 이들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도 3에 있어서 비도시)를 구비하고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우선, 반송부(13)의 요부와 각 롤러의 설명을 행하고 나서, 구동 기구에 관해 설명을 행한다.
통상 반송로(130)는 도 3에 있어서 용지 인입 롤러(111)로부터 피드 롤러(113), 인출 반송 롤러(114),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7), 슬릿 글래스(14), 아웃 롤러(121), 그리고 배출 롤러(125)까지, 각 롤러의 위치를 용지가 반송되어 갔을 때의 경로이다. 한편, 연계 반송 경로(131)는 배출 롤러(125)의 근방에 있어서의 통상(通常) 반송로(130) 및 연계 반송로(131)의 접속 개소(L1)(제 1 위치의 일례)로부터, 인출 반송 롤러(114)의 근방에 있어서의 통상 반송로(130) 및 연계 반송로(131)의 접속 개소(L2)(제 2 위치의 일례)까지를 잇는 경로이다. 통상 반송로(130)에 있어서, 접속 개소(L2)는 접속 개소(L1)보다 용지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 측에 위치한다. 반전 반송로(132)는 통상 반송로(130) 중, 용지 반송 방향에 있어서 접속 개소(L2)보다 하류를 향해서 위치하는 부분이며, 반전 반송로(132)에 있어서 용지의 반송 방향이 반전된다. 이후에 있어서, 간단히 「용지 반송 방향」이라 할 경우, 통상 반송로(130)에 있어서 용지가 배출 롤러(125)를 향해서 반송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10)는 양면 판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반송부(13)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구동 기구의 구동원을 정전(正轉)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용지를 통상 반송로(130)를 경유해서 한 번, 반전 반송로(132) 상에 있는 배출 롤러(125)의 위치까지 반송하고, 다음으로 구동원을 역전(逆轉)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용지를 연계 반송로(131) 경유로 다시 통상 반송로(130)로 되돌린다. 용지가 연계 반송로(131)를 반송되어서, 인출 반송 롤러(114)의 위치까지 오면, 제어부(101)는 구동 기구의 구동원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을 정전 방향으로 한다. 그리고 용지는 통상 반송로(130)를 반송되어서, 다시 배출 롤러(125)의 위치에 달한다. 이때, 용지는 표면이 상면이 되어 있는 상태이며, 그대로 배출된 용지가 배출 용지 적재부(12)에 적재되어 가면, 용지의 배열이 반송 전과 반대로 되게 된다. 그 때문에, 표면을 하면으로 해서 배출시키기 위해서, 제어부(101)가 다시 구동 기구의 구동원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을 역전 방향으로 시킴으로써, 용지가 연계 반송로(131)를 반송된다. 그 후, 용지는 통상 반송로(130)를 반송되어서, 표면이 하면이 된 상태에서 반전 반송로(132)에 달하면, 배출 롤러(125)에 의해 배출 용지 적재부(12)에 배출된다. 통상 반송로(130) 및 반전 반송로(132)는 합쳐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반송로의 일례로서 기능한다. 또한, 연계 반송로(131)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반송로의 일례이다.
용지 인입 롤러(111)는 통상 반송로(130)에 있어서, 용지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최상류에 위치한다. 용지 인입 롤러(111)는 피드 롤러(113)와의 사이에 걸쳐진 벨트에 의해 피드 롤러(11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원고 적재부(11)에 놓여 있는 용지를 반송부(13)의 내부로 인입한다. 피드 롤러(113)는 통상 반송로(130)에 있어서, 접속 개소(L2)보다 용지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위치하고, 구동원이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회전해서 용지를 반송한다. 피드 롤러(113)에는 후술하는 전자기 클러치가 접속되어 있어, 이 전자기 클러치에 의해,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이 제어된다. 이후에 있어서, 전자기 클러치에 있어서, 전자석의 온오프 제어에 의해, 전자기 클러치의 구동 측을 비구동 측에 접속한 상태를, 전자기 클러치를 접속 상태로 한다고 하고, 전자기 클러치의 구동 측을 비구동 측에 접속하지 않는 상태를, 전자기 클러치를 비접속 상태로 한다고 한다. 즉, 이 전자기 클러치가 비접속일 때에는, 피드 롤러(113)는 회전하지 않는다. 피드 롤러(113)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반송 롤러의 일례이다. 또한, 피드 롤러(113)의 위치는 용지가 공급되는 공급 위치이다.
용지 판독 센서(112)는 통상 반송로(130)에 있어서, 용지 인입 롤러(111)와 피드 롤러(113)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이 위치에 있어서 용지의 선단을 검출하면, 용지를 검출한 취지를 제어부(101)에 통지한다. 제어부(101)는 이 통지를 받은 후에, 상술한 피드 롤러(113)에 접속된 전자기 클러치를 접속 상태로 하여 용지를 반송한다.
인출 반송 롤러(114)는 접속 개소(L2)의 개소에 위치하고, 구동원이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용지를 반송한다. 인출 반송 롤러(114)에는, 상술한 피드 롤러(113)에 접속된 것과는 상이한 다른 전자기 클러치가 접속되어 있어, 이 전자기 클러치에 의해,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이 제어된다. 즉, 이 전자기 클러치가 비접속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인출 반송 롤러(114)는 회전하지 않는다. 인출 반송 롤러(1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반송 롤러의 일례이다. 종동 롤러(115)는, 인출 반송 롤러(11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용지를 반송한다. 용지 통과 센서(116)는, 통상 반송로(130)에 있어서, 인출 반송 롤러(114) 및 종동 롤러(115)보다 용지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용지가 이 위치를 통과한 것을 검출하면, 검출의 취지를 제어부(101)에 통지한다. 제어부(101)는 이 통지를 받은 후에, 계시부의 계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을 경과하면, 인출 반송 롤러(114)에 접속된 전자기 클러치를 접속 상태로 한다. 이것을 받아, 인출 반송 롤러(114)가 회전함과 함께 종동 롤러(115)가 회전해서 용지가 반송된다. 이 미리 결정된 시간이란, 용지 통과 센서(116)의 위치를 통과한 용지가 인출 반송 롤러(114)에 맞닿고, 용지의 선단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각 위치가 인출 반송 롤러(114)에 맞추어질 때까지 경과하는 정도의 시간의 길이이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7)는 미리 결정된 타이밍에 용지를 슬릿 글래스(14) 상에 반송함으로써, 용지에 형성된 화상을 화상 판독부(40)에 판독시킨다. 슬릿 글래스(14)의 위치는, 용지의 화상이 판독된 판독 위치이다. 종동 롤러(118)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7)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용지를 반송한다. 화상 판독 타이밍 센서(119)는 통상 반송로(130)에 있어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7) 및 종동 롤러(118)보다 용지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에 위치하고, 용지의 선단을 검출하면, 그 취지를 제어부(101)에 통지한다. 제어부(101)는 이 통지를 받고, 화상 판독부(40)가 화상을 판독 가능한 타이밍이 될 때까지, 구동 수단에 의한 구동을 멈추도록 제어한다. 이 결과, 이 구동 정지 기간 중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7)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용지가 반송되어서 슬릿 글래스(14) 상에 위치하는 일도 없다. 제어부(101)는 통신부(103)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 본체의 통신부(183)로부터, 판독 가능 타이밍의 통지를 받으면, 구동 수단에 의한 구동을 재개하도록 제어한다. 이 결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7)와 종동 롤러(118)에 반송된 용지가 슬릿 글래스(14) 상을 통과하고, 용지에 형성된 화상이 화상 판독부(40)에 의해 판독된다.
아웃 롤러(121)는 화상의 판독이 완료된 용지를 반송한다. 종동 롤러(122)는 아웃 롤러(12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용지를 반송한다. 용지 통과 센서(123)는 통상 반송로(130)에 있어서, 아웃 롤러(121) 및 종동 롤러(122)보다 용지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에 위치하고, 구동원의 구동력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을 역전 방향으로 하는 타이밍을 특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용지 통과 센서(123)는 용지의 후단이 이 위치를 통과한 것을 검출하면, 그 취지를 제어부(101)에 통지한다. 제어부(101)는 이 통지를 받은 후에 계시부의 계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만큼 경과하면, 구동 기구의 구동력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을 역전 방향으로 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용지의 일단부가 배출 롤러(125)의 위치에 있음과 함께, 반전 반송로(132) 상에 위치하고 있다.
통상 반송로(130)를 반송되어 오는 용지가 배출 롤러(125)의 위치를 향하기 위해서는, 통상 반송로(130)가 배출 롤러(125)의 위치까지 통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아웃 롤러(121)의 하류에 있어서, 접속 개소(L2)의 통상 반송로(130) 측의 근방에는 레버(124)가 있다. 레버(124)는 물리적인 힘을 가하고 있지 않은 있는 상태에서는, 자중(自重)으로 수하(垂下)해 있어, 접속 개소(L2)에 있어서 통상 반송로(130)가 반전 반송로(132)로 이어지는 부분을 막고 있다. 통상 반송로(130)를 반송되어 오는 용지가 레버(124)에 부딪치면, 레버(124)는 용지에 밀려서 올라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용지가 통과하면, 레버(124)는 자중에 의해 내려가서 접속 개소(L2)로부터 통상 반송로(130)로 향하는 루트를 막고, 그 후 반전되어 반송되는 용지가 연계 반송로(131)를 향하도록 한다.
배출 롤러(125)는 통상 반송로(130)에 있어서 접속 개소(L1)보다 용지 반송 방향 하류 측의 위치이며, 반전 반송로(132) 상에 위치해, 구동원이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회전해서 용지를 반송한다. 배출 롤러(125)는 정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화상 판독부(40)에 의해 화상의 양면 판독이 완료된 용지를 배출 용지 적재부(12)에 배출함과 함께, 역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용지를 연계 반송로(131)를 향해 반송한다. 또한, 배출 롤러(125)는, 화상의 양면 판독이 완료되지 않은 용지에 대해서는, 제어부(101)가 구동력의 회전 방향을 역전 방향으로 함에 따라, 스스로도 역전해서, 이들 용지를 연계 반송로(131)를 따라 반송한다. 배출 롤러(12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반송 롤러의 일례이다. 또한, 배출 롤러(125)가 있는 위치는, 용지가 배출되는 배출 위치이다. 종동 롤러(126)는 배출 롤러(12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용지를 반송한다. 종동 롤러(126)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반송 롤러에 대향하는 대향 롤러의 일례이다. 솔레노이드(127)는 더 상세하게는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이며, 예를 들면 금속의 코어의 주변에 나선 형상으로 코일이 감긴 것이다. 솔레노이드(127)는 전류가 흘려짐으로써, 금속의 코어가 상하 운동을 행한다. 솔레노이드(127)는 그 금속의 코어가 상하 운동을 행했을 때에, 이에 의해 종동 롤러(126)가 위로 올라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용지가 연계 반송로(131)를 따라 반송되어, 용지의 선단이 인출 반송 롤러(114)의 위치까지 왔을 때에, 제어부(101)는 솔레노이드(127)에 전류를 흘려서 종동 롤러(126)를 위로 들어올려서, 배출 롤러(125)와 종동 롤러(126)를 이간시킨다. 이에 의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인출 반송 롤러(114) 및 배출 롤러(125)에 역방향으로 용지가 인장(引張)되는 일이 없어짐과 함께, 배출 롤러(125) 및 종동 롤러(126)의 위치에서 용지가 끼지 않게 되고, 이 위치에 있어서 용지에 걸리는 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에, 용지가 인출 반송 롤러(114)에 의해 원활하게 반송되게 된다. 솔레노이드(127)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이간 수단의 일례이다. 다음으로, 구동 기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반송부(13)의 구동 기구를 정면측에서 확대해서 투과적으로 표시한 모식도이다. 도 4에 있어서, 각 부재의 안쪽 방향의 위치를 표현하기 위해서, 안쪽으로 단계를 마련하여, 각 단계의 안쪽 위치에 있는 부재를, 각각 다른 형상의 선으로 나타낸다. 우선, 반송부(13)를 정면 측에서 보아서,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부재를 실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실선으로 나타내진 부재보다 한 단계 앞쪽에 위치하는 부재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파선으로 나타내진 부재보다 한 단계 더 앞쪽에 위치하는 부재를 일점쇄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진 부재보다 한 단계 더 앞쪽에 위치하는 부재를 이점쇄선으로 나타낸다. 이들 각각의 형상의 선으로 나타내지는 구동 기구의 부재는, 각 롤러보다 배면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각 롤러를 구동 기구의 부재보다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3에서 설명이 끝난 부분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반송부(13)는 구동 기구로서, 모터(140), 대직경 기어(141), 소직경 기어(142), 기어(144, 145, 146, 147, 160), 전자기 클러치(143, 148), 일정 방향 회전 기구(149) 및 벨트(161)를 구비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는 모터(140)는 실제로는 모터의 구동 축에 직결된 기어를 표현하고 있다. 기어(144)는 배출 롤러(125)의 회전 축과 접속되고, 기어(147)는 피드 롤러(113)의 회전 축과 접속되며, 전자기 클러치(148)는, 인출 반송 롤러(114)의 회전 축과 접속되어 있다. 기어(144, 147) 및 전자기 클러치(146)는, 접속된 각 롤러에 대하여, 모터(140)가 발생시킨 구동력을 전달한다. 대직경 기어(141) 및 소직경 기어(142)는 동일한 회전 축을 갖고 있고, 예를 들면 2단 기어이다. 또한, 전자기 클러치(143) 및 기어(145)는 동일한 회전 축을 갖고 있고, 예를 들면 2단 기어이다. 전자기 클러치(143) 및 전자기 클러치(148)는, 전자석의 작용으로 구동 측과 접리(接離)하는 기어를 갖고 있고, 이 기어가 각 기어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모터(140)는 정전 방향과, 정전 방향과 역방향의 역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해서 구동력을 발생한다. 모터(140)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수단의 일례이다. 또한, 정전 방향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방향의 일례이며, 역전 방향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방향의 일례이다. 여기서, 모터(140)가 정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를 예로, 각 롤러 및 기어 사이에 있어서의 구동력의 전달을 설명한다. 모터(140)가 정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모터(140)의 구동 축에 직결된 기어가, 도시하는 화살표(R1)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모터(140)의 기어와 맞물리는 대직경 기어(141)가 화살표(R2)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함께 소직경 기어(142)도 같은 방향인 R3방향으로 회전한다. 소직경 기어(142)는 기어(144)와 맞물려 있다. 이에 의해, 기어(144)가 화살표(R4) 방향으로 회전한다. 기어(144)는 구동력을 배출 롤러(125)에 전달하고, 이에 의해 배출 롤러(125)가 용지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소직경 기어(142)는 전자기 클러치(143)의 기어와 맞물려 있다. 이에 의해, 전자기 클러치(143)의 구동 측 기어는, 화살표(R5) 방향으로 회전한다. 전자기 클러치(143)는 기어(145)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제어한다. 즉, 전자기 클러치(143)의 구동 측 기어가 피(被)구동 측과 떨어져 있는 상태(즉 비접속 상태)에 있을 때, 구동력은 기어(145)에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전자기 클러치(143)의 구동 측 기어가 피구동 측과 접속되어 있는 상태(즉 접속 상태)에 있을 때, 구동력은 기어(145)에 전달되어, 기어(145)는 화살표(R6) 방향으로 회전한다. 기어(145)는 기어(146)와 맞물리고, 기어(146)는 기어(147)와 맞물려 있다. 이에 의해 기어(146)가 화살표(R7) 방향으로 회전하고, 기어(147)가 도시하는 화살표(R8) 방향으로 회전한다. 기어(147)는, 구동력을 피드 롤러(113)에 전달하고, 피드 롤러(113)는 용지를 반송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전자기 클러치(143)는 모터(140)로부터 피드 롤러(113)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상태와 행하지 않는 상태를 전환한다. 전자기 클러치(143)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전환 수단의 일례이다.
전자기 클러치(148)는 일정 방향 회전 기구(149)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의 인출 반송 롤러(114)로의 전달을 제어한다. 즉, 전자기 클러치(148)가 비접속 상태에 있을 때, 구동력은 인출 반송 롤러(114)로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전자기 클러치(148)가 접속 상태에 있을 때, 구동력은 인출 반송 롤러(114)로 전달되고, 인출 반송 롤러(114)는 용지를 반송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전자기 클러치(148)는 모터(140)로부터 인출 반송 롤러(114)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상태와 행하지 않는 상태를 전환한다. 전자기 클러치(148)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전환 수단의 일례이다. 일정 방향 회전 기구(149)는 유성(遊星) 기어 기구를 이용해서, 전자기 클러치(148) 및 전자기 클러치(148)와 같은 회전 축을 갖는 인출 반송 롤러(114)를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기어(160)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7)와, 아웃 롤러(121)에는, 벨트(161)가 걸쳐져 있다. 이에 의해, 구동력이 기어(160)로부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7) 및 아웃 롤러(121)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일정 방향 회전 기구(149)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일정 방향 회전 기구(149)와 전자기 클러치(의 구동 측 기어)(148)를 시트 반송 장치(10)의 배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일정 방향 회전 기구(149)는, 내(內)기어(150)와, 태양 기어(151)와, 유성 캐리어(152)와, 유성 기어(153, 154, 155)로 구성된다. 내기어(150)는 원반 형상의 부재이며, 외주 측면에 기어를 갖고 있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기어의 형상을 생략해서 원형으로 그리고 있다. 이것은, 태양 기어(151)에 대해서도 같다. 내기어(150)와 같은 회전 축에는 태양 기어(151)가 설치되어 있다. 즉, 내기어(150)와 태양 기어(151)는 2단 기어를 구성하고 있다. 태양 기어(151)의 주변에는, 유성 기어(153) 및 유성 기어(154)의 회전 축이 끼워지는 홈인 유성 캐리어(152)가 원 형상으로 새겨져 있다. 태양 기어(151)가 회전하면, 유성 기어(153) 및 유성 기어(154)는 태양 기어(151)와의 맞물림에 의해 각각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함께, 태양 기어(151)를 중심으로 하여 유성 캐리어(152)를 따라 원 운동한다.
예를 들면, 태양 기어(151)가 화살표(L1a)의 방향으로 회전했다고 한다. 이 경우, 유성 기어(153)가, L2a 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전자기 클러치(148)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원 운동한다. 그리고 유성 기어(153)와 전자기 클러치(148)의 기어가 맞물림으로써, 전자기 클러치(146)는 화살표(L3a)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태양 기어(151)가 화살표(L1a)와 반대 방향인 L1b의 방향으로 회전했다고 한다. 이 경우, 유성 기어(154)가 L2b 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유성 기어(155)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원 운동한다. 그리고, 유성 기어(154)와 유성 기어(155)가 맞물림으로써, 유성 기어(155)는 화살표(L3b)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유성 기어(155)와 전자기 클러치(148)의 기어는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전자기 클러치(148)는 화살표(L4b)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화살표(L3a)와 화살표(L4b)는, 같은 회전 방향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일정 방향 회전 장치 기구(149)에 있어서, 태양 기어(151)가 어느 쪽 방향으로 회전해도, 전자기 클러치(의 구동 측 기어)(148)는 항상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일정 방향 회전 기구(149)는 통상 반송로(130)에 있어서 용지를 접속 개소(L2)의 위치로부터 접속 개소(L1)의 위치로 반송하는 회전 방향으로 인출 반송 롤러(114)를 회전시킨다. 일정 방향 회전 기구(14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기구의 일례이다.
<동작>
다음으로, 시트 반송 장치(10)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시트 반송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시트 반송 장치(10)를 정측면으로부터 확대한 모식도에, 동작의 시계열에 따라 오름 차순으로 번호를 매기고 있다. 이후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7에 있어서 「1」의 번호가 배정된 도를, 도 6의 1번이라고 한다. 용지가 반송되고 나서, 양면 판독이 행해져서 배출될 때까지의 흐름을 순번으로 나타내면, 도 6의 1번, 도 6의 2번, 도 6의 3번, 도 6의 4번, 도 7의 5번, 도 7의 6번, 도 6의 3번, 도 6의 4번, 도 7의 5번, 도 7의 6, 도 7의 7번, 도 7의 8번이 된다. 도 6의 3번, 도 6의 4번, 도 7의 5번, 도 7의 6번을 반복하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되는 용지의 순번을 원래 대로로 조절하기 위해서이다. 이들 동작에 관한 도면에 관해서, 반복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각 롤러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화살표로 회전 방향이 기재되지 않은 롤러는, 종동 롤러이거나, 그때 구동하지 않는 롤러를 나타낸다.
도 6의 1번은 용지(P1)가 인입되어 반송이 개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용지 판독 센서(112)가 용지(P1)의 선단을 검출하면, 그 취지를 제어부(101)에 통지한다. 제어부(101)는 이 통지를 받고 나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을 계시부로부터 통지받으면, 전자기 클러치(143)를 접속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모터(140)의 정전 방향의 회전에 의한 구동력이 대직경 기어(141), 소직경 기어(142), 전자기 클러치(143), 기어(145), 기어(146), 기어(147)로 전달해서, 피드 롤러(113)가 도시하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피드 롤러(113)와 풀리로 접속된 용지 인입 롤러(111)도 도시하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이때, 모터(140)의 정전 방향의 회전에 의한 구동력이, 대직경 기어(141), 소직경 기어(142), 기어(144)로 전달해서, 배출 롤러(125)가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이때, 모터(140)의 정전 방향의 회전에 의한 구동력이, 내기어(150), 태양 기어(151)에 전달되고, 또한 기어(160)로부터 벨트(161)가 걸쳐진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7) 및 아웃 롤러(121)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7) 및 아웃 롤러(121)는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이 때, 전자기 클러치(148)가 비접속 상태이기 때문에, 모터(140)의 회전에 의한 구동력이 전해지지 않고, 인출 반송 롤러(114)는 회전하지 않는다.
도 6의 2번은, 용지(P1)가 인출 반송 롤러(114)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용지 통과 센서(116)는 용지(P1)의 선단을 검출하면, 그 취지를 제어부(101)에 통지한다. 제어부(101)는 이 통지를 받은 후에, 계시부의 계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만큼 경과하면, 전자기 클러치(148)를 접속 상태로 함과 함께, 전자기 클러치(143)를 비접속 상태로 한다. 이 결과, 구동력이 전해지지 않게 됨으로써, 피드 롤러(113)는 그 회전을 멈춘다. 또한, 이에 따라, 용지 인입 롤러(111)도 그 회전을 멈춘다. 한편, 전자기 클러치(148)가 접속 상태이기 때문에, 일정 방향 회전 기구(149)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어서, 인출 반송 롤러(114)가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여기서, 제어부(101)는 전자기 클러치(148)를 접속 상태로 한 횟수를 변수(C)로서 카운트하고, RAM에 기억시킨다. 변수(C)의 초기값은 O이다. 용지의 양면이 판독되고, 더욱 표면이 하면이 되어서 배출되기 위해서는, 동일한 용지가 인출 반송 롤러(114)의 위치를, 표면 판독용, 이면 판독용, 표리 역전용의, 합계 3회 반송될 필요가 있다. 변수(C)의 값이 「3」일 때, 현재 반송 중인 용지는 앞서 배출될 뿐이기 때문에, 다음 용지의 반송을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다음 용지의 반송이 개시되면, 변수(C)를 초기값으로 클리어한다. 도 7의 2번의 타이밍에서는, 변수(C)의 값은 「1」이다. 용지 통과 센서(116)는, 용지(P1)의 후단을 검출하면, 그 취지를 제어부(101)에 통지한다. 제어부(101)는 이 통지를 받은 후에, 계시부의 계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만큼 경과하면, 전자기 클러치(146)를 비접속 상태로 시킨다.
도 6의 3번은, 용지(P1)에 형성된 형상이 화상 판독부(40)에 의해 판독되고 있음과 함께, 다음 용지(P2)의 선단이 피드 롤러(113)에 맞닿아 있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7)의 위치를 용지(P1)가 반송되고, 용지(P1)의 선단을 화상 판독 타이밍 센서(119)가 검출하면, 화상 판독 타이밍 센서(119)는 이 취지를 제어부(101)에 통지한다. 제어부(101)는 이 통지를 받고, 화상 판독부(40)로부터 화상의 판독 준비의 완료의 통지를 받을 때까지, 모터(140)의 구동을 일시 정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통신부(103)를 이용해서 화상 형성 장치(100) 본체의 통신부(183)로부터 화상의 판독 준비의 완료 통지를 받으면, 모터(140)의 구동을 재개한다. 이에 의해, 용지(P1)가 다시 반송되어서, 슬릿 글래스(14) 상을 통과하면, 화상 판독부(40)는 용지(P1)에 형성된 화상을 판독하고, 판독 결과를 제어부(181)에 공급한다. 제어부(181)는 판독 결과를 RAM에 기억시킴과 함께, 필요에 따라, 판독 결과에 의거하는 화상을 용지에 형성하는 취지를 화상 형성부(30)에 지시한다.
슬릿 글래스(14) 상을 통과한 용지(P1)는 아웃 롤러(121)에 의해 반송된다. 도 7의 3번에서는, 용지의 선단이 레버(124)에 맞닿음으로써 레버(124)가 올라간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용지 통과 센서(123)는 용지(P1)의 후단을 검출하면, 그 취지를 제어부(101)에 통지한다. 제어부(101)는 이 통지를 받은 후에, 계시부의 계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만큼 경과하면, 모터(140)의 회전 방향을 역전 방향으로 한다. 이 미리 결정된 시간이란, 예를 들면 용지(P1)의 후단이 용지 통과 센서(123)에 의해 검출되고 나서, 용지(P1)의 후단이 배출 롤러(125)의 위치로 반송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올라간 레버(124)는 용지의 통과에 따라 자중에 의해 내려간다.
도 6의 4번은 모터(140)가 역전 방향으로 회전해서, 용지(P1)가 연계 반송로(131)를 반송되고 있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용지(P1)는 배출 롤러(125)에 의해 반송되어서, 그 선단은 인출 반송 롤러(114) 쪽을 향한다.
도 7의 5번은 용지(P1)가 연계 반송로(131)를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용지 통과 센서(116)는, 용지(P1)의 선단을 검출하면, 그 취지를 제어부(101)에 통지한다. 제어부(101)는 이 통지를 받은 후에, 계시부의 계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을 경과하면, 전자기 클러치(148)를 접속 상태로 한다. 제어부(101)는 변수(C)를 인크리먼트하고, 이 결과 변수(C)의 값은 「2」가 된다. 이때, 모터(140)의 회전 방향은 역전 방향이 되어 있지만, 상술한 일정 방향 회전 기구(149)의 작용에 의해, 전자기 클러치(148)의 회전 방향은 일정 방향, 즉 정전 방향이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인출 반송 롤러(114)도 정전 방향으로 회전해서 용지(P1)를 반송한다.
도 7의 6번은, 모터(140)가 다시 정전함과 함께, 솔레노이드(127)가 종동 롤러(126)를 들어올리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101)는, 전자기 클러치(148)를 접속 상태로 한 후에, 변수(C)의 값이 「2」 또는 「3」일 경우, 솔레노이드(127)에 전류를 흘려서 제어함으로써, 종동 롤러(126)를 들어올리게 한다. 또한, 이때, 제어부(101)는 모터(140)의 회전 방향을 역전 방향으로부터 정전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이때, 인출 반송 롤러(114)와 배출 롤러(125)의 회전 방향은 역방향이지만, 종동 롤러(126)가 들어올려짐으로써, 용지가 서로 역방향으로 인장되는 상태가 해소됨과 함께, 배출 롤러(125) 및 종동 롤러(126)의 위치에서 용지가 사이에 끼워지지 않고 저항이 감소해서, 용지(P1)가 인출 반송 롤러(114)에 의해 반송된다.
그 후, 도 6의 3번, 도 6의 4번, 도 7의 5번, 도 7의 6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이 행해진다. 도 7의 5번의 동작이 2회째로 완료되었을 때, 변수(C)의 값은 「3」이 되어 있다. 도 7의 6번의 동작이 2회째로 행해질 때, 변수(C)의 값이 「3」이며, 다음 용지가 반송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101)는 용지 통과 센서(116)가 용지(P1)의 후단을 검출하고 나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전자기 클러치(148)를 비접속 상태로 함과 함께, 전자기 클러치(143)를 접속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피드 롤러(113) 및 용지 인입 롤러(111)가 정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다음 용지(P2)를 반송한다. 이렇게, 제어부(101)는 전자기 클러치(148) 및 전자기 클러치(143)에 있어서의 구동력의 전달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용지의 반송 타이밍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변수(C)의 값을 초기값으로 클리어한다.
도 7의 7번은, 용지(P1)가 배출 도중임과 함께, 다음 용지(P2)가 피드 롤러(113)에 맞닿아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용지 통과 센서(116)는 용지(P2)의 선단을 검출하면, 그 취지를 제어부(101)에 통지한다. 제어부(101)는, 이 통지를 받은 후에, 계시부에 의한 계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을 경과하면, 전자기 클러치(148)를 접속 상태로 함과 함께, 전자기 클러치(143)를 비접속 상태로 한다.
도 7의 8번은, 용지(P1)가 배출됨과 함께, 다음 용지(P2)가 반송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전자기 클러치(148)가 접속 상태임으로써, 인출 반송 롤러(114)가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용지(P2)를 반송한다. 용지(P1)는 배출 롤러(125)에 의해 반송되어, 배출 용지 적재부(12)에 배출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어부(101)가 모터(140)를 정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공급 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용지의 반송을 개시하고, 통상 반송로(130)에 있어서 제 1 용지가 피드 롤러(113)의 위치를 통과한 후에, 전자기 클러치(143)에 의해 피드 롤러(113)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상태로부터 행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통상 반송로(130)에 있어서 제 1 용지가 인출 반송 롤러(114)의 위치를 통과한 후에, 전자기 클러치(148)에 의해 인출 반송 롤러(114)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상태로부터 행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통상 반송로(130)에 있어서 제 1 용지가 배출 롤러(125)의 위치까지 반송시켜지면, 제어부(101)는, 모터(140)를 역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배출 롤러(125)의 회전 방향을 바꾸고, 제 1 용지를 연계 반송로(131) 경유로 인출 반송 롤러(114)의 위치까지 반송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전자기 클러치(148)에 의해 인출 반송 롤러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행하는 상태로 전환함과 함께, 모터(140)를 정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배출 롤러(125)의 회전 방향을 바꾼다. 그리고, 제 1 용지가 인출 반송 롤러(114)의 위치를 통과하면, 제어부(101)는, 전자기 클러치(148)에 의해 인출 반송 롤러(114)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상태로부터 행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하는 한편, 전자기 클러치(143)에 의해 피드 롤러(113)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행하는 상태로 전환하고, 제 1 용지의 다음에 반송하는 제 2 용지의 반송을 개시시킨다. 그리고, 제 2 용지가 화상의 판독 위치 경유로 배출 롤러(125)의 위치에 반송될 때까지의 모터(140)에 의한 정전 방향의 회전 기간 중에, 배출 롤러(125)에 의해 제 1 용지가 반송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 하에서, 구동원이 단일 모터(140)임으로써, 각 롤러의 회전 방향은 항상 어느 일 방향으로 결정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01)가 행하는 모터(140)의 제어가 간결한 것이 된다. 또한, 용지의 선단이 피드 롤러(113) 및 인출 반송 롤러(114)의 위치에 달했을 때에, 전자기 클러치(143) 및 전자기 클러치(148)에 의해, 피드 롤러(113) 및 인출 반송 롤러(114)의 각각에 대하여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상태로부터 행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사행해서 반송되어 오는 용지의 선단이 각 롤러에 맞닿고, 용지의 선단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각 위치가 각 롤러의 위치에서 맞추어진다. 이에 따라, 용지의 선단의 변이 각 롤러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해진 상태에서 반송이 행해져서, 용지의 사행이 억제된다. 이렇게 용지의 사행이 억제됨으로써, 용지에 형성된 화상이, 원고가 되는 용지에 대해서 지정된 판독 방향에 대하여, 그 방향이나 위치가 조정된 상태에서, 화상 판독부(40)에 의해 판독된다. 또한, 용지에 형성된 화상이 이렇게 판독됨으로써, 화상 형성부(30)가 판독 결과에 의거하는 화상을 용지에 형성시킬 경우에, 원고가 되는 용지에 대해서 지정된 판독 방향에 대하여, 그 화상의 방향이나 위치가 조정된 상태에서 용지에 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용지가 배출되기 전에, 이것에 후속하는 제 2 용지의 반송을 개시할 수 있으므로, 시트 반송 장치(10) 및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있어서의 생산성이 높아진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일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시트 반송 장치가 용지의 양면이 판독되도록 그 용지를 반송할 경우에, 용지의 사행을 억제하는 것과, 선행하는 제 1 용지가 배출되기 전에, 이것에 후속하는 제 2 용지의 반송을 개시하는 것을 양립시킬 수 있다.
10···시트 반송 장치, 11···원고 적재부, 12···배출 용지 적재부, 13···반송부, 14···슬릿 글래스, 20···급지부, 21···용지 수납부, 22···급지 수단, 30···화상 형성부, 31···감광체 드럼, 32···대전기, 33···노광 장치, 34···현상기, 35···토너 카트리지, 36···중간 전사 벨트, 37···정착 장치, 40···화상 판독부, 101···제어부, 102···기억부, 103···통신부, 111···용지 인입 롤러, 112···용지 판독 센서, 113···피드 롤러, 114···인출 반송 롤러, 116···용지 통과 센서, 117···레지스트레이션 롤러, 119···화상 판독 타이밍 센서, 121···아웃 롤러, 123···용지 통과 센서, 124···레버, 125···배출 롤러, 127···솔레노이드, 115, 118, 122, 126···종동 롤러, 130···통상 반송로, 131···연계 반송로, 132···반전 반송로, 135···상부 반송 가이드, 136···하부 반송 가이드, 137···연결부, 140···모터, 141···대직경 기어, 142···소직경 기어, 144, 145, 146, 147, 160···기어, 143, 148…전자기 클러치, 149···일정 방향 회전 기구, 150···내기어, 151···태양 기어, 152···유성 캐리어, 153, 154, 155···유성 기어, 161···벨트, 181···제어부, 182···기억부, 183···통신부, 184···UI부

Claims (4)

  1. 시트가 공급되는 공급 위치로부터 당해 시트의 화상이 판독되는 판독 위치를 경유해서 당해 시트가 배출되는 배출 위치에 이르는 시트의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1 반송로에 있어서의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반송로에서 당해 제 1 위치보다 상기 시트의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있는 제 2 위치에 이르는 시트의 제 2 반송로와,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해서 구동력을 발생하는 단일 구동 수단과,
    상기 제 1 반송로에서 상기 제 2 위치보다 상기 반송 방향 상류 측의 위치에서, 상기 구동 수단이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제 1 반송 롤러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구동 수단이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제 2 반송 롤러와,
    상기 제 1 반송로에서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반송 방향 하류 측의 위치에서, 상기 구동 수단이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제 3 반송 롤러와,
    상기 구동 수단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반송로에서 상기 시트를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반송하는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제 2 반송 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와,
    상기 구동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반송 롤러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상태와 행하지 않는 상태를 전환하는 제 1 전환 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반송 롤러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상태와 행하지 않는 상태를 전환하는 제 2 전환 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 상기 제 1 전환 수단 및 상기 제 2 전환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구동 수단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공급 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시트의 반송을 개시하고, 상기 제 1 반송로에서 당해 제 1 시트가 상기 제 1 반송 롤러의 위치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 1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반송 롤러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상태로부터 행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하고, 또한 상기 제 1 반송로에서 상기 제 1 시트가 상기 제 2 반송 롤러의 위치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 2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반송 롤러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상태로부터 행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 1 반송로에서 상기 제 1 시트가 상기 제 3 반송 롤러의 위치까지 반송시켜지면, 상기 구동 수단을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제 3 반송 롤러의 회전 방향을 바꾸고, 상기 제 1 시트를 상기 제 2 반송로 경유로 상기 제 2 반송 롤러의 위치까지 반송시키고,
    상기 제 2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반송 롤러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행하는 상태로 전환함과 함께, 상기 구동 수단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제 3 반송 롤러의 회전 방향을 바꾸고,
    상기 제 1 시트가 상기 제 2 반송 롤러의 위치를 통과하면, 상기 제 2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반송 롤러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상태로부터 행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하는 한편, 상기 제 1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반송 롤러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행하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 1 시트의 다음으로 반송하는 제 2 시트의 반송을 개시시키고,
    상기 제 2 시트가 상기 판독 위치 경유로 상기 제 3 반송 롤러의 위치에 반송될 때까지의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한 상기 제 1 방향의 회전 기간 중에, 상기 제 3 반송 롤러에 의해 상기 제 1 시트를 반송해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반송 롤러와 당해 제 3 반송 롤러에 대향하는 대향 롤러를 이간(離間)시키는 롤러 이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구동 수단을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는 기간에 상기 시트의 선단이 상기 제 2 반송 롤러의 위치에 달하면, 상기 제 2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반송 롤러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상태로부터 행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하고 나서, 상기 구동 수단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함께, 상기 롤러 이간 수단에 의해 상기 제 3 반송 롤러와 상기 대향 롤러를 이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반송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시트 반송 장치와,
    상기 시트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시트로부터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4. 제 3 항에 기재된 화상 판독 장치와,
    상기 화상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기록 매체에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20089352A 2012-03-22 2012-08-16 시트 반송 장치,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576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65968A JP5949019B2 (ja) 2012-03-22 2012-03-22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2-065968 2012-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030A KR20130108030A (ko) 2013-10-02
KR101576961B1 true KR101576961B1 (ko) 2015-12-11

Family

ID=4918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352A KR101576961B1 (ko) 2012-03-22 2012-08-16 시트 반송 장치,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49019B2 (ko)
KR (1) KR101576961B1 (ko)
CN (1) CN103318683B (ko)
TW (1) TWI4862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0895B2 (ja) * 2012-03-22 2016-08-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68107B2 (ja) * 2015-07-17 2019-02-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028211B2 (ja) * 2019-03-20 2022-03-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複合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2571A (ja) * 2000-08-25 2002-03-12 Murata Mach Ltd 両面画像読取装置
CN1280170C (zh) * 2001-12-28 2006-10-18 尼司卡股份有限公司 自动文件供给装置
JP2004189384A (ja) * 2002-12-10 2004-07-08 Murata Mach Ltd 反転搬送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CN2693721Y (zh) * 2004-03-19 2005-04-20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纸张传送机构
JP4165550B2 (ja) * 2005-10-17 2008-10-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
JP4635830B2 (ja) * 2005-11-08 2011-02-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
JP4605563B2 (ja) * 2006-02-20 2011-01-05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自動原稿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0546331C (zh) * 2006-11-10 2009-09-30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以单一动力源同步控制排纸与切换的双面走纸装置
US20090074490A1 (en) * 2007-09-14 2009-03-19 Kabushiki Kaisha Toshiba Automatic scanning apparatus
TW201006677A (en) * 2008-08-05 2010-02-16 Avision Inc Transmission system with bidirectional input and fixed direction output and sheet fee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321820B2 (ja) * 2009-04-23 2013-10-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49019B2 (ja) 2016-07-06
CN103318683B (zh) 2018-03-27
TW201339079A (zh) 2013-10-01
JP2013193872A (ja) 2013-09-30
TWI486297B (zh) 2015-06-01
CN103318683A (zh) 2013-09-25
KR20130108030A (ko)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1694A2 (en) Sheet feeder with pickup roll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481695B1 (en) Shee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CN104076649A (zh) 图像形成设备
EP3064459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576961B1 (ko) 시트 반송 장치,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674518B1 (ko) 시트 반송 장치,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9983537B2 (en) Drive transmission device that ensures switching transmission state of driving power generated by single drive mo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CN102649514B (zh) 供纸装置及图像形成装置
KR101576956B1 (ko) 시트 반송 장치,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4950654B2 (ja) 画像形成装置
JP3874058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2005239363A (ja) 用紙反転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237899A (ja) シート排出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2123123A (ja) 自動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08903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5110455A (ja) 画像形成装置
JP5380385B2 (ja) 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210635A (ja) 画像形成装置
US20170052486A1 (en) Image forming device
JP2013159484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17254B2 (ja) 画像形成装置のクラッチ保持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08167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3931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111314A (ja) 用紙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905858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