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192B1 - 배기 가스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배기 가스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192B1
KR101571192B1 KR1020107027917A KR20107027917A KR101571192B1 KR 101571192 B1 KR101571192 B1 KR 101571192B1 KR 1020107027917 A KR1020107027917 A KR 1020107027917A KR 20107027917 A KR20107027917 A KR 20107027917A KR 101571192 B1 KR101571192 B1 KR 101571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upstream
downstream
cylinders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2479A (ko
Inventor
도모유끼 사이또오
에리 사이죠오
도시히로 아베
히로유끼 가마따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2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11Arrangements for mounting filtering elements in housing, e.g.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9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 F01N13/009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the purifying devices are of the sam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9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 F01N13/009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the purifying devices are arranged in a singl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27Sealings specially adapted for exhaus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01N13/1855Mechanical joints the connection being realised by using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30Removable or rechangeable blocks or cartridges, e.g. for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필터용 통체(37)에 형성한 전방측 돌출부(44), 후방측 돌출부(46)에는 그 외주면(44A, 46A)에 위치하여 가스킷(42)이 결합하는 결합 홈(47)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돌출부(44, 46)에 외부 끼움하도록 가스킷(42)을 걸었을 때에는, 이 돌출부(44, 46)에 형성한 결합 홈(47)에 가스킷(42)을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터용 통체(37)의 설치, 제거 작업을 행할 때에, 가스킷(42)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내장한 입자상 물질 제거 필터(41)의 점검 작업, 클리닝 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 가스 처리 장치 {EXHAUST GAS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배기음을 저감시키고, 또한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기 적합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는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의 전방부측으로 부앙(俯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는 선회 프레임의 후방부측에 유압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을 탑재하고, 선회 프레임의 전방부측에 캡, 연료 탱크, 작동유 탱크 등을 탑재하고 있다.
여기서, 유압 셔블의 엔진에는, 일반적으로 디젤 엔진이 사용되고 있다. 이 디젤 엔진은 입자상 물질(PM : Particulate Matter), 질소산화물(NOx) 등의 유해 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 셔블은 엔진의 배기 가스 통로를 형성하는 배기관에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배기 가스 처리 장치는, 배기 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입자상 물질 제거 필터(통상, Diesel Particulate Filter라고 부르고, 이하 이것을 생략하여 「DPF」라고 함), 질소산화물(NOx)을 요소수 용액을 사용하여 정화하는 선택 환원 촉매,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를 산화 제거하는 산화 촉매 등의 처리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120277호 공보).
여기서, 특허 문헌 1에 의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엔진의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으로 상류측에 배치된 상류 통체와, 하류측에 배치된 하류 통체와, 이들 각 통체 사이에 직렬로 설치된 정화부 통체를 구비하고, 이 정화부 통체의 내부에, DPF, 선택 환원 촉매, 산화 촉매 등의 처리 부재를 수용하고 있다. 이들 상류 통체, 정화부 통체, 하류 통체는, 예를 들어 서로 대면하는 단부에 플랜지를 갖고, 상기 각 플랜지 사이에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가스킷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류 통체와 정화부 통체 사이, 하류 통체와 정화부 통체 사이는, 서로 대면하는 접속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상류 통체의 접속부와 하류 통체의 접속부는 플랜지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 플랜지에 대면하는 정화부 통체의 양단부의 접속부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위치보다도 돌출되어 상기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에 삽입 끼움되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의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서는, 상류 통체, 하류 통체에 대해 정화부 통체를 설치, 제거할 때에, 정화부 통체의 양단부에 설치한 돌출부의 주위에 플랜지에 대면하도록 가스킷을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착탈 작업 시에 정화부 통체를 기울이면, 하향으로 기울어진 돌출부로부터 가스킷이 미끄러져 떨어져 버린다. 이에 의해, 상류 통체, 하류 통체에 대한 정화부 통체의 설치, 제거 작업에 수고를 필요로 해, 점검 작업, 클리닝 작업 등의 작업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체에 설치한 돌출부에 걸은 가스킷이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류 통체, 하류 통체에 대한 정화부 통체의 설치,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1). 본 발명에 의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는, 차체에 탑재된 엔진의 배기 가스 통로의 상류측에 설치된 상류 통체와, 상기 상류 통체의 하류측에 설치된 하류 통체와, 상기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 사이에 직렬로 접속하여 설치되어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처리 부재가 내장된 정화부 통체와, 상기 상류 통체와 정화부 통체 사이 및 상기 하류 통체와 정화부 통체 사이에 각각 설치된 환형상의 가스킷을 구비하고, 상기 상류 통체와 정화부 통체의 사이 및/또는 하류 통체와 정화부 통체 사이에서 서로 대면하는 접속부 중, 한쪽의 통체의 접속부는 플랜지에 의해 형성되고, 다른 쪽의 통체의 접속부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위치보다도 돌출되어 상기 한쪽의 통체에 삽입 끼움되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다른 쪽의 통체의 돌출부에는, 그 외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가스킷이 결합하는 결합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다른 쪽의 통체의 돌출부에 가스킷을 걸었을 때에는, 상기 돌출부에 설치한 결합부에 가스킷이 결합한다. 이에 의해, 다른 쪽의 통체를 기울인 경우라도, 결합부에 의해 가스킷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예를 들어 상류 통체, 하류 통체에 대해 정화부 통체를 간단하게 설치, 제거할 수 있으므로, 내장한 처리 부재의 점검 작업, 클리닝 작업 등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체측에는 상기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에는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는 설치 다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지지 부재와 설치 다리 사이에는 상기 정화부 통체를 설치, 제거할 때에 상기 상류 통체 및/또는 하류 통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통체 이동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통체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한쪽의 통체에 대해 다른 쪽의 통체의 돌출부를 삽입 끼움 또는 이탈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에 대해 정화부 통체를 설치, 제거할 때에는, 통체 이동 기구에 의해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 중 적어도 한쪽을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의 축방향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 사이에 접속된 정화부 통체를 제거할 때에는,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의 간격을 정화부 통체의 축방향 치수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다른 쪽의 통체의 돌출부를 한쪽의 통체로부터 빼내어 정화부 통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정화부 통체를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 사이에 설치할 때에는,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의 간격을 정화부 통체의 축방향 치수보다도 크게 한 상태에서,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 사이에 정화부 통체를 배치한 후,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의 간격을 작게 하여 다른 쪽의 통체의 돌출부를 한쪽의 통체에 삽입함으로써, 정화부 통체를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체 이동 기구는 지지 부재로부터 설치 다리를 제거하지 않아도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의 축방향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고, 정화부 통체에 내장된 처리 부재의 점검 작업, 클리닝 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3).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축방향의 도중 위치를 둘레 방향으로 연장한 오목 홈이고, 상기 오목 홈에는 상기 플랜지측에 위치하여 경사면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가스킷을 오목 홈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다른 쪽의 통체의 돌출부를 상대방의 통체에 삽입 끼움하면, 가스킷이 밀려서 플랜지측으로 이동한다. 이때에, 가스킷은 오목 홈의 경사면부에 의해 돌출부의 외주면 상의 소정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통체의 플랜지를 접속할 때에 오목 홈에 결합한 분만큼 내려간 가스킷을 손으로 들어올리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상류 통체, 하류 통체에 대한 정화부 통체의 설치, 제거 작업을 보다 한층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상부 선회체를 캡, 건물 커버를 생략한 상태에서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엔진에 설치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도 1 중의 주요부 확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유압 펌프와 함께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단체로 하여 도 3과 다른 위치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상류 통체를 정화 장치 지지 브래킷에 설치한 상태를 도 4 중의 화살표 VII-VII 방향으로부터 본 주요부 확대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상류 통체, 하류 통체, 필터용 통체, 통체 이동 기구, 가스킷 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필터용 통체의 후방측 돌출부와 결합 홈과 가스킷을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하류 통체의 개구부에 가스킷을 사이에 두고 필터용 통체의 후방측 돌출부를 삽입 끼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 중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하류 통체와 필터용 통체를 볼트로 연결한 상태를 도 10과 동일한 위치로부터 본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클램프 장치에 의한 각 플랜지부의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도 15 중의 주요부 확대의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결합 홈을 도 11과 동일한 위치로부터 본 주요부 확대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변형예에 의한 결합 홈을 갖는 필터용 통체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실시 형태를, 유압 셔블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로서,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입자상 물질(PM)을 입자상 물질 제거 필터(DPF)에 의해 제거하는 입자상 물질 제거 장치(PM 제거 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는 산화 촉매와 소음기 통체를 수용한 상류 통체와, 소음기 통체를 수용한 하류 통체와, DPF를 수용한 필터용 통체의 3개의 통체를 볼트를 사용하여 축방향으로 직렬로 연결하여, 설치 다리를 개재하여 차체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건설 기계의 대표예로서의 유압 셔블로, 본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차체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유압 셔블(1)은 자주 가능한 크롤러식 하부 주행체(2)와, 상기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장치(3)를 통해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어, 상기 하부 주행체(2)와 함께 차체를 구성하는 상부 선회체(4)와, 상기 상부 선회체(4)의 전방부에 부앙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작업 장치(5)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4)는 후술하는 선회 프레임(6), 캡(7), 엔진(8),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호 6은 상부 선회체(4)의 베이스가 되는 선회 프레임으로, 상기 선회 프레임(6)은 견고한 지지 구조체를 이루어, 선회 장치(3)를 통해 하부 주행체(2) 상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선회 프레임(6)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육의 저판(6A)과, 상기 저판(6A) 상에 세워 설치되어, 좌, 우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전, 후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종판(6B), 우측 종판(6C)과, 좌측 종판(6B)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좌측 돌출 빔(6D)과, 우측 종판(6C)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우측 돌출 빔(6E)과, 각 좌측 돌출 빔(6D)의 선단에 고착되어 전, 후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사이드 프레임(6F)과, 각 우측 돌출 빔(6E)의 선단에 고착되어 전, 후방향으로 연장된 우측 사이드 프레임(6G)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부호 7은 선회 프레임(6)의 좌측 전방부측에 탑재된 캡(도 1 참조)으로, 상기 캡(7)은 오퍼레이터의 운전실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캡(7)의 내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 각종 조작 레버(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이 배치되어 있다.
부호 8은 선회 프레임(6)의 후방측에 수평 상태로 탑재된 엔진으로, 이 엔진(8)은, 예를 들어 디젤 엔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엔진(8)의 우측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가스 통로의 일부를 이루는 배기관(9)이 설치되고, 상기 배기관(9)의 도중 부위에는 후술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엔진(8)은 고효율이고 내구성도 우수하지만, 입자상 물질(PM),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등의 유해 물질을, 배기 가스와 함께 배출해 버리는 것이다. 따라서, 배기관(9)에 설치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산화탄소(CO) 등을 산화하여 제거하는 산화 촉매(25),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DPF(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부호 10은 엔진(8)의 우측에 설치된 유압 펌프로, 상기 유압 펌프(10)는 엔진(8)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유압 셔블(1)에 탑재된 각종 유압 액추에이터를 향해 작동용 압유를 토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유압 펌프(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8)에 대면하는 좌측의 단부가 플랜지부(10A)로 되고, 이 플랜지부(10A)가 엔진(8)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또한, 유압 펌프(10)의 플랜지부(10A)를 엔진(8)에 설치할 때에는, 후술하는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16)이 함께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11은 엔진(8)의 좌측에 위치하여 설치된 열교환기(도 2 참조)로, 상기 열교환기(11)는, 예를 들어 라디에이터, 오일 쿨러, 인터쿨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기(11)는 엔진(8)의 작동 시에 공급되는 냉각풍 중에 냉매의 열을 방출함으로써, 엔진 냉각수, 작동유, 과급 공기를 냉각하는 것이다.
부호 12는 유압 펌프(10)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6)의 우측에 탑재된 작동유 탱크로, 이 작동유 탱크(12)는 유압 펌프(10)에 공급하는 작동유를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부호 13은 작동유 탱크(12)의 전방측에 설치된 연료 탱크로, 이 연료 탱크(13)는 내부에 엔진(8)에 공급하는 연료를 저장하는 것이다.
부호 14는 엔진(8)의 후방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6)의 후단부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로, 상기 카운터 웨이트(14)는 작업 장치(5)와의 중량 균형을 잡는 것이다. 또한, 부호 15는 카운터 웨이트(14)의 전방측에 배치된 건물 커버로, 상기 건물 커버(15)는 엔진(8), 유압 펌프(10), 열교환기(11) 등을 수용하는 것이다.
부호 16은 엔진(8)의 우측에 위치하여 설치된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으로, 상기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16)은 후술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를 지지하는 차체측[상부 선회체(4)측]의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16)은,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펌프(10)의 플랜지부(10A)와 함께 엔진(8)에 설치되는 지지대(16A)와, 상기 지지대(16A) 상에 전, 후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복수개의 방진 부재(16B)(2개만 도시)를 개재하여 방진 지지 된 전방측 설치판(16C), 후방측 설치판(16D)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측 설치판(16C)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볼트(29)가 삽입 관통되는 좌, 우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16E)이 천공되고, 후방측 설치판(16D)에는 후술하는 볼트(36)가 삽입 관통되는 좌, 우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전방측 설치판(16C)의 이면측에는 4개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16E)에 대응하여 이측 너트(16F)가 고착되어 있다.
다음에, 엔진(8)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 대해 서술한다.
부호 21은 엔진(8)의 상부 우측에 위치하여 배기관(9)에 접속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는 배기관(9)과 함께 배기 가스 통로를 구성하여,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배기 가스가 유통되는 동안에, 이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는, 전, 후방향의 전방측이 상류측으로 되고 후방측이 하류측으로 되도록, 엔진(8)의 상부에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상류 통체(22), 하류 통체(30), 정화부 통체로서의 필터용 통체(37)로 이루어지는 3개의 통체를, 돌출부(44, 46) 등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서로 직렬로 접속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 통체(22)에는 후술하는 유입관(24)의 소음기 통체(24B)와 산화 촉매(25)가 수용되고, 하류 통체(30)에는 후술하는 유출관(32)의 소음기 통체(32B)가 수용되고, 필터용 통체(37)에는 후술하는 DPF(41)가 수용되어 있다.
우선, 부호 22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의 전방부측에 위치하여 배기 가스 통로의 상류측에 설치된 상류 통체이다. 이 상류 통체(22)는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입구 부분을 구성하는 덮개가 있는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통 형상 케이스(23), 유입관(24), 산화 촉매(25), 설치 다리(26)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류 통체(22) 중, 후술하는 필터용 통체(37)와 접속되는 후방측의 개구 단부는 접속부(22A)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접속부(22A)는 후술하는 플랜지부(23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호 23은 상류 통체(22)의 외형을 구성하는 통 형상 케이스로, 상기 통 형상 케이스(23)는 대경의 원통 형상을 이루는 원통부(23A)와, 상기 원통부(23A)의 전방측(상류측)을 폐색하여 설치된 덮개부(23B)와, 원통부(23A)의 후방측(하류측)의 단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플랜지 형상으로 설치된 플랜지부(23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23C)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23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23C)의 접속면은 상류 통체(22), 하류 통체(30), 필터용 통체(37)의 축 중심을 지나는 축선 O1-O1과 직교하는 평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23C)는 상류 통체(22)의 접속부(22A)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통 형상 케이스(23)에는 원통부(23A)의 상부에 위치하여 2개의 온도 센서 설치구(23E)가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온도 센서 설치구(23E)는,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온도 센서(49, 50)를 설치하는 것으로, 산화 촉매(25)를 전, 후방향에서 끼우는 2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23A)의 후방측 위치에는, 예를 들어 우측에 위치하여 상류측의 압력 취출부(23F)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 취출부(23F)는 배기 가스 통로를 흐르는 배기 가스의 압력 중, 후술하는 DPF(41)의 상류측의 압력을 취출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압력 센서(48)가 상류측 배관(48A)을 통해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24는 통 형상 케이스(23)의 전방측(상류측)에 설치된 유입관으로, 상기 유입관(24)은 통 형상 케이스(23)의 원통부(23A)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도 7 참조). 또한, 통 형상 케이스(23)로부터 돌출된 유입관(24)의 일단부측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관(9)을 향해 좌측으로 연장되어, 당해 배기관(9)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유입관(24)의 타단부측은 폐색판(24A)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유입관(24)은 배기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통 형상 케이스(23)의 내부가 복수개의 작은 구멍을 구비한 소음기 통체(24B)로 되어 있다.
부호 25는 유입관(24)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통 형상 케이스(23) 내에 수용된 산화 촉매로, 상기 산화 촉매(25)는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는 처리 부재의 1개를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산화 촉매(25)는, 도 6,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원통부(23A)의 내경 치수와 동등한 외경 치수를 가진 세라믹스제의 셀 형상 통체로 이루어지고, 그 축방향에는 다수의 관통 구멍(25A)이 형성되고, 내면에 백금(Pt) 등의 귀금속이 코팅되어 있다. 그리고, 산화 촉매(25)는 소정의 온도 하에서 각 관통 구멍(25A)에 배기 가스를 유통시킴으로써, 이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등을 산화하여 제거하고, 질소산화물(NO)을 이산화질소(NO2)로서 제거하는 것이다.
부호 26은 상류 통체(22)를 구성하는 통 형상 케이스(23)[원통부(23A)]의 하측에 설치된 설치 다리로, 상기 설치 다리(26)는 상류 통체(22)를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16)의 전방측 설치판(16C) 상에 설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설치 다리(26)는,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장척의 강판을 대략 M자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고,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기단부측(상단부측)이 원통부(23A)의 하면에 용접 수단을 사용하여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설치 다리(26)의 선단측(하단부측)은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16)의 전방측 설치판(16C)에 접촉하는 좌, 우의 평판 형상의 접촉면(26A)으로 되고, 이들 좌, 우의 접촉면(26A)에는 후술하는 긴 구멍(2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부호 27은 상류 통체(22)의 설치 다리(26)와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16)의 전방측 설치판(16C) 사이에 설치된 전방측(상류측)의 통체 이동 기구이다. 이 통체 이동 기구(27)는 상류 통체(22)와 하류 통체(30) 사이에 후술하는 필터용 통체(37)를 설치, 제거할 때에, 상류 통체(22)가 축선 O1-O1 방향(전, 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통체 이동 기구(27)는, 도 5,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긴 구멍(28)과 볼트(2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호 28은 통체 이동 기구(27)를 구성하는 긴 구멍으로, 상기 긴 구멍(28)은 상류 통체(22)의 통 형상 케이스(23)에 고착된 설치 다리(26)의 좌, 우의 접촉면(26A)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긴 구멍(28)은 상류 통체(22)의 축선 O1-O1 방향으로 장척으로 되도록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후술하는 볼트(29)가 그 길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는 것이다.
부호 29는 설치 다리(26)의 접촉면(26A)을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16)의 전방측 설치판(16C)에 체결하는 볼트이다. 이 볼트(29)는 설치 다리(26)의 접촉면(26A)에 형성된 긴 구멍(28)에 삽입 관통한 상태에서,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16)의 전방측 설치판(16C)에 천공된 볼트 삽입 관통 구멍(16E)을 통해 이측 너트(16F)에 나사 삽입됨으로써, 설치 다리(26)의 접촉면(26A)을 전방측 설치판(16C)에 체결하는 것이다(도 7 참조). 따라서, 볼트(29)를 헐겁게 한 상태에서는, 설치 다리(26)는 그 접촉면(26A)에 형성된 긴 구멍(28)이 볼트(29)를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긴 구멍(28)의 길이 치수의 범위 내에서 전방측 설치판(16C) 상을 축선 O1-O1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에, 부호 30은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의 후방부측에 위치하여 상류 통체(22)의 하류측에 설치된 하류 통체이다. 이 하류 통체(30)는 후술하는 필터용 통체(37)를 사이에 두고 상류 통체(22)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배기 가스를 유출하는 출구 부분을 구성하는 덮개가 있는 원통체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하류 통체(30)는 후술하는 통 형상 케이스(31), 유출관(32), 설치 다리(33)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류 통체(30) 중, 후술하는 필터용 통체(37)와 접속되는 전방측의 개구 단부는 접속부(30A)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접속부(30A)는 후술하는 플랜지부(31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호 31은 하류 통체(30)의 외형을 구성하는 통 형상 케이스이다. 이 통 형상 케이스(31)는 상류 통체(22)의 통 형상 케이스(23)와 대략 마찬가지로, 대경의 원통 형상을 이루는 원통부(31A)와, 상기 원통부(31A)의 후방측(하류측)을 폐색하여 설치된 덮개부(31B)와, 원통부(31A)의 전방측(상류측)의 단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플랜지 형상으로 설치된 플랜지부(31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31C)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31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31C)의 접속면은 축선 O1-O1과 직교하는 평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31C)는 하류 통체(30)의 접속부(30A)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원통부(31A)의 후방측 위치에는, 예를 들어 우측에 위치하여 하류측의 압력 취출부(31E)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 취출부(31E)는 배기 가스 통로를 흐르는 배기 가스의 압력 중, DPF(41)의 하류측의 압력을 취출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압력 센서(48)가 하류측 배관(48B)을 통해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32는 통 형상 케이스(31)의 후방측(하류측)에 설치된 테일관이라고 불리는 유출관으로, 상기 유출관(32)은 통 형상 케이스(31)의 원통부(31A)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도 6 참조). 또한, 통 형상 케이스(31)로부터 돌출된 유출관(32)의 상단부측은, 도 1에 도시하는 건물 커버(15)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대기로 해방되어 있다. 한편, 유출관(32)의 하단부측은 폐색판(32A)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유출관(32)은 배기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통 형상 케이스(31)의 내부가 복수개의 작은 구멍을 구비한 소음기 통체(32B)로 되어 있다.
부호 33은 하류 통체(30)를 구성하는 통 형상 케이스(31)[원통부(31A)]의 하면측에 설치된 설치 다리로, 상기 설치 다리(33)는 하류 통체(30)를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16)의 후방측 설치판(16D) 상에 설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설치 다리(33)는 상술한 상류 통체(22)의 설치 다리(26)와 마찬가지로, 대략 M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원통부(31A)의 하면에 용접 수단을 사용하여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설치 다리(33)의 선단측(하단부측)에 위치하는 좌, 우의 접촉면(33A)에는 후술하는 긴 구멍(3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부호 34는 하류 통체(30)의 설치 다리(33)와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16)의 후방측 설치판(16D) 사이에 설치된 후방측(하류측)의 통체 이동 기구이다. 이 후방측의 통체 이동 기구(34)는 전방측의 통체 이동 기구(27)와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긴 구멍(35)과 볼트(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호 35는 통체 이동 기구(34)를 구성하는 긴 구멍으로, 상기 긴 구멍(35)은 하류 통체(30)의 설치 다리(33)의 좌, 우의 접촉면(33A)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긴 구멍(35)은 전방측의 통체 이동 기구(27)의 긴 구멍(28)과 대략 마찬가지로, 하류 통체(30)의 축선 O1-O1 방향으로 장척으로 되도록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36)를, 설치 다리(33)의 긴 구멍(35)에 삽입 관통하여 후방측 설치판(16D)의 이측 너트(16F)에 나사 삽입함으로써, 설치 다리(33)의 접촉면(33A)을 후방측 설치판(16D)에 체결하는 것이다. 한편, 볼트(36)를 헐겁게 한 상태에서는, 긴 구멍(35)에 의해 설치 다리(33)를 이동할 수 있다.
다음에, 부호 37은 상류 통체(22)와 하류 통체(30) 사이에 직렬로 접속하여 설치된 1개의 필터용 통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 필터용 통체(37)는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처리 부재를 내장한 정화부 통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필터용 통체(37)는, 도 6, 도 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의 양단부가 개방된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통 형상 케이스(38)와 DPF(41)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필터용 통체(37)는 그 상류측의 개구 단부가 상기 상류 통체(22)의 접속부(22A)와 접속되는 상류측 접속부(37A)로 되고, 하류측의 개구 단부가 상기 하류 통체(30)의 접속부(30A)와 접속되는 하류측 접속부(37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류측 접속부(37A)는 전방측 플랜지부(38B)와 전방측 돌출부(44)에 의해 구성되고, 하류측 접속부(37B)는 후방측 플랜지부(38C)와 후방측 돌출부(4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호 38은 필터용 통체(37)의 외형을 구성하는 통 형상 케이스로, 상기 통 형상 케이스(38)는 그 내부에 DPF(41)를 수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통 형상 케이스(38)는 상류 통체(22)의 통 형상 케이스(23) 및 하류 통체(30)의 통 형상 케이스(31)와 대략 동등한 외경 치수를 갖는 원통부(38A)와, 상기 원통부(38A)의 전방측(상류측)의 단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플랜지 형상으로 설치된 전방측 플랜지부(38B)와, 원통부(38A)의 후방측(하류측)의 단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플랜지 형상으로 설치된 후방측 플랜지부(38C)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플랜지부(38B, 38C)의 접속면은 축선 O1-O1과 직교하는 평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측 플랜지부(38B)에는 상류 통체(22)를 구성하는 통 형상 케이스(23)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23D)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38D)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측 플랜지부(38B)는 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38D)에 삽입 관통된 볼트(39) 및 너트(40)를 사용하여, 통 형상 케이스(23)의 플랜지부(23C)에 직렬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후방측 플랜지부(38C)에는 하류 통체(30)를 구성하는 통 형상 케이스(31)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31D)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38E)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측 플랜지부(38C)는 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38E)에 삽입 관통된 볼트(39) 및 너트(40)를 사용하여, 통 형상 케이스(31)의 플랜지부(31C)에 직렬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41은 통 형상 케이스(38) 내에 수용된 입자상 물질 제거 필터(DPF)이다. 이 DPF(41)는 처리 부재의 하나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DPF(41)는, 예를 들어 세라믹스 재료 등으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다공질의 부재를 완충재나 단열재에 의해 둘러쌈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DPF(41)는 축방향으로 다수의 작은 구멍(41A)이 형성된 허니콤 구조의 셀 형상 통체를 이루고, 각 작은 구멍(41A)은 이웃하는 것끼리 교대로 다른 단부가 밀봉 부재(41B)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DPF(41)는 상류측으로부터 각 작은 구멍(41A)으로 유입되는 배기 가스를 다공질 재료에 통과시킴으로써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고, 배기 가스만을 이웃하는 작은 구멍(41A)을 통해 하류측으로 유출시킨다.
이 경우, DPF(41)에 의해 포집한 입자상 물질은, 연소하여 제거되지만, 그 일부는 재로 되어 작은 구멍(41A) 내에 서서히 퇴적된다. 또한, 그 밖의 미연소 잔류물, 예를 들어 엔진 오일 중의 중금속, 칼슘 등도 서서히 퇴적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압력 센서(48)에 의해, DPF(41)의 상류측의 압력과 하류측의 압력을 계측하여, 상류측과 하류측의 압력차가 소정의 값에 도달했을 때에는, DPF(41)를 필터용 통체(37)의 통 형상 케이스(38)로부터 제거하여, 퇴적물을 클리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42는 2매의 가스킷을 나타내고, 한쪽의 가스킷(42)은 상류 통체(22)의 통 형상 케이스(23)와 필터용 통체(37)의 통 형상 케이스(38) 사이에 설치되고, 다른 쪽의 가스킷(42)은 하류 통체(30)의 통 형상 케이스(31)와 필터용 통체(37)의 통 형상 케이스(38)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 가스킷(42)은, 도 6,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판을 사용하여, 통 형상 케이스(38)의 전방측 플랜지부(38B), 후방측 플랜지부(38C)와 대략 동일한 직경 치수 및 내경 치수(구멍 직경 치수)를 가진 원환상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가스킷(42)에는 전방측 플랜지부(38B)의 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38D), 후방측 플랜지부(38C)의 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38E)과 대응하는 복수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4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킷(42)은 후술하는 돌출부(44, 46)의 외주측에 위치하여, 통 형상 케이스(23)의 플랜지부(23C)와 통 형상 케이스(38)의 전방측 플랜지부(38B) 사이에 끼움 지지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가스킷(42)은 상류 통체(22)의 통 형상 케이스(23)와 필터용 통체(37)의 통 형상 케이스(38) 사이를 기밀하게 시일하는 동시에, 하류 통체(30)의 통 형상 케이스(31)와 필터용 통체(37)의 통 형상 케이스(38) 사이를 기밀하게 시일하는 것이다.
다음에, 상류 통체(22)와 필터용 통체(37)의 서로 대면하는 접속부(22A, 37A) 중, 접속부(22A)에 형성되는 개구부(43)와, 접속부(37A)에 설치되는 전방측 돌출부(44)에 대해 서술한다.
우선, 부호 43은 한쪽의 통체로 되는 상류 통체(22)의 접속부(22A)에 형성된 개구부이다. 이 개구부(43)는 전방측 돌출부(44)가 삽입 끼움되는 것으로, 플랜지부(23C)의 내경측에 위치하여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부(43)는 산화 촉매(25)와의 사이에 전방측 돌출부(44)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부호 44는 다른 쪽의 통체로 되는 필터용 통체(37)의 전단부에 설치된 전방측 돌출부이다. 이 전방측 돌출부(44)는 통 형상 케이스(38)의 전방측 플랜지부(38B)와 함께 상류측 접속부(37A)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전방측 돌출부(44)는 전방측 플랜지부(38B)보다도 전방측을 향해 돌출된 짧은 원통 형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측 돌출부(44)는 개구부(43) 내에 삽입 끼움(삽입 끼워 맞춤)함으로써, 상류 통체(22)와 필터용 통체(37)를 서로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여, 양자를 축선 O1-O1에 대해 동축 상에 배치하는 것이다. 또한, 전방측 돌출부(44)의 외주면(44A)에는 후술하는 결합 홈(47)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류 통체(30)와 필터용 통체(37)의 서로 대면하는 접속부(30A, 37B) 중, 접속부(30A)에 형성되는 개구부(45)와, 접속부(37B)에 설치되는 후방측 돌출부(46)에 대해 서술한다.
부호 45는 한쪽의 통체로 되는 하류 통체(30)의 접속부(30A)에 형성된 개구부이다. 이 개구부(45)는 후방측 돌출부(46)가 삽입 끼움되는 것으로, 플랜지부(23C)의 내경측에 위치하여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부(45)는 유출관(32)과의 사이에 후방측 돌출부(46)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부호 46은 다른 쪽의 통체로 되는 필터용 통체(37)의 후단부에 설치된 후방측 돌출부이다. 이 후방측 돌출부(46)는 전방측 돌출부(44)와 축선 O1-O1 방향에서 대칭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통 형상 케이스(38)의 후방측 플랜지부(38C)와 함께 하류측 접속부(37B)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후방측 돌출부(46)는 후방측 플랜지부(38C)보다도 후방측을 향해 돌출된 짧은 원통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측 돌출부(46)는 개구부(45) 내에 삽입 끼움함으로써, 하류 통체(30)와 필터용 통체(37)를 서로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여, 양자를 축선 O1-O1에 대해 동축 상에 배치하는 것이다. 또한, 후방측 돌출부(46)의 외주면(46A)에는 결합 홈(47)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부호 47은 필터용 통체(37)의 전방측 돌출부(44)와 후방측 돌출부(46)에 각각 형성된 2개의 결합부로서의 결합 홈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결합 홈(47)은 축선 O1-O1 방향에서 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 형상이므로, 후방측 돌출부(46)의 결합 홈(47)의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전방측 돌출부(44)의 결합 홈(47)의 도시를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즉, 2개의 결합 홈(47)은 한쪽의 돌출부(44)의 외주면(44A)과, 다른 쪽의 돌출부(46)의 외주면(46A)에 형성된 전체 둘레 오목 홈으로 되어 있다. 이 결합 홈(47)에는 가스킷(42)을 결합할 수 있어, 필터용 통체(37)의 설치, 제거 작업 시에는, 가스킷(42)을 걸어 고정하여 상기 가스킷(42)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후방측 돌출부(46)에 형성한 결합 홈(47)은,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측 돌출부(46)의 축방향의 도중 위치를 둘레 방향으로 연장한 대략 사각 형상의 오목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 홈(47)은 가스킷(42)이 떨어져 넣어져 결합하는 홈부(47A)와, 상기 홈부(47A)의 플랜지부(38C)측의 홈 측면을 이루는 경사면부(47B)와, 선단측에 위치하는 연직면부(47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경사면부(47B)는 홈부(47A)의 홈 바닥과 후방측 돌출부(46)의 외주면(46A)을 비스듬히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경사면부(47B)는 결합 홈(47)에 결합한 가스킷(42)이 후방측 돌출부(46)를 후방측 플랜지부(38C)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이 가스킷(42)을 후방측 돌출부(46)의 외주면(46A) 상의 소정의 시일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소정의 시일 위치라 함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킷(42)이 통 형상 케이스(38)의 플랜지부(38B, 38C)와 대략 겹친 상태 또는 가스킷(42)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42A)이 플랜지부(38B, 38C)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38D, 38E)과 대응하여, 이들에 볼트(39)를 삽입 관통할 수 있는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연직면부(47C)는 가스킷(42)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부호 48은 상류 통체(22)의 외주측에 설치된 압력 센서(도 3, 도 4 참조)로, 상기 압력 센서(48)는 입자상 물질, 미연소 잔류물 등의 퇴적량을 추측하기 위해, DPF(41)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압력(압력차)을 검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압력 센서(48)는 그 상류측 배관(48A)이 상류 통체(22)의 통 형상 케이스(23)의 압력 취출부(23F)에 접속되고, 하류측 배관(48B)이 하류 통체(30)의 통 형상 케이스(31)의 압력 취출부(31E)에 접속되어 있다.
부호 49는 상류 통체(22)의 통 형상 케이스(23)의 상류측에 설치된 상류측 온도 센서로, 상기 상류측 온도 센서(49)는 통 형상 케이스(23)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온도 센서 설치구(23E)에 설치되어,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류측 온도 센서(49)는 산화 촉매(25)가 기능할 수 있는 온도인지 확인하기 위해, 통 형상 케이스(23)로 유입되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부호 50은 상류 통체(22)의 통 형상 케이스(23)의 하류측에 설치된 하류측 온도 센서로, 이 하류측 온도 센서(50)는 DPF(41)에 의해 포집한 입자상 물질의 산화(재생)가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산화 촉매(25)를 통과한 배기 가스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다음에, 그 작동에 대해 서술한다.
유압 셔블(1)에 의해 굴삭 작업 등을 행하기 위해 엔진(8)을 작동시키면, 상기 엔진(8)으로부터 배기관(9)으로 입자상 물질, 질소산화물 등의 유해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 가스가 배출되고, 이 배기 가스는 유입관(24)을 통해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로 도입된다.
이때에,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는 상류 통체(22) 내에 수용된 산화 촉매(25)에 배기 가스를 통과시킴으로써, 이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등을 산화하여 제거한다. 그리고, 산화 촉매(25)를 통과한 배기 가스를, 필터용 통체(37) 내에 수용한 DPF(41)에 통과시킴으로써, 이 DPF(41)에 의해,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고, 포집한 입자상 물질을 연소(재생)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에 의해 정화된 배기 가스는 하류 통체(30) 내에서 유출관(32)의 소음기 통체(32B)에 의해 소음된 후, 유출관(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DPF(41)에 의해 포집된 입자상 물질은 연소하여 제거되지만, 그 일부는 재로 되어 DPF(41)의 작은 구멍(41A) 내에 서서히 퇴적된다. 또한, 그 밖의 미연소 잔류물, 예를 들어 엔진 오일 중의 중금속, 칼슘 등도 서서히 퇴적된다.
이로 인해, 압력 센서(48)에 의해 DPF(41)의 상류측의 압력과 하류측의 압력차를 계측하여, 이 압력차가 소정의 값에 도달했을 때에는, DPF(41)를 수용한 필터용 통체(37)를 제거하여, 퇴적물을 클리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DPF(41)에 퇴적된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이 클리닝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류 통체(22)의 플랜지부(23C)와 필터용 통체(37)의 전방측 플랜지부(38B)를 접속하는 각 볼트(39) 및 너트(40)와, 하류 통체(30)의 플랜지부(31C)와 필터용 통체(37)의 후방측 플랜지부(38C)를 접속하는 각 볼트(39) 및 너트(40)를 제거한다.
다음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의 통체 이동 기구(27)를 구성하는 볼트(29)를 헐겁게 함으로써, 상류 통체(22)의 설치 다리(26)를, 그 접촉면(26A)에 형성한 긴 구멍(28)의 범위 내에서 전방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후방측의 통체 이동 기구(34)를 구성하는 볼트(36)를 헐겁게 함으로써, 하류 통체(30)의 설치 다리(33)를, 그 접촉면(33A)에 형성한 긴 구멍(35)의 범위 내에서 후방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필터용 통체(37)의 돌출부(44, 46)를 통체(22, 30)의 개구부(43, 45)로부터 뺄 수 있다. 따라서, 상류 통체(22)를 설치 다리(26)를 개재하여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16)의 전방측 설치판(16C)에 설치하고, 하류 통체(30)를 설치 다리(33)를 개재하여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16)의 후방측 설치판(16D)에 설치한 상태에서, 이들 상류 통체(22)와 하류 통체(30)에 대해, 필터용 통체(37)만을 상방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필터용 통체(37)를 상방으로 제거했을 때에는, 필터용 통체(37)가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어, 가스킷(42)이 탈락되기 쉽다. 그러나, 각 돌출부(44, 46)의 축방향의 도중 위치에는 각각 결합 홈(47)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탈락하려고 하는 가스킷(42)을 결합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류 통체(22)와 하류 통체(30)에 대해, 필터용 통체(37)만을 상방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가, 엔진(8), 유압 펌프(10) 등의 탑재 기기류와 함께 건물 커버(15) 내의 협애한 스페이스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작업자는 다른 탑재 기기류에 방해되지 않고,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용 통체(37) 내에 수용된 DPF(41)에, 예를 들어 에어 건 등을 사용하여 압축 공기를 내뿜고, 작은 구멍(41A) 내에 퇴적된 입자상 물질의 재, 미연소 잔류물을 제거함으로써, DPF(41)를 클리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DPF(41)를 클리닝한 후에는, 이 DPF(41)를 수용한 필터용 통체(37)를, 상류 통체(22)와 하류 통체(30) 사이를 향해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에는, 각 돌출부(44, 46)에 형성한 결합 홈(47)에 가스킷(42)을 결합시킴으로써, 가스킷(42)의 탈락을 신경 쓰지 않고, 원활하게 조립 부착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필터용 통체(37)를 상류 통체(22)와 하류 통체(30)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우선, 필터용 통체(37)를 상류 통체(22), 하류 통체(30) 사이의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그리고, 상류 통체(22)의 설치 다리(26)를, 볼트(29)에 결합한 긴 구멍(28)을 따라서 필터용 통체(37)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하류 통체(30)의 설치 다리(33)를, 볼트(36)에 결합한 긴 구멍(35)을 따라서 필터용 통체(37)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상류 통체(22)의 개구부(43)에 필터용 통체(37)의 전방측 돌출부(44)가 끼워 맞추어지고, 하류 통체(30)의 개구부(45)에 필터용 통체(37)의 후방측 돌출부(46)가 끼워 맞추어진다.
이때에, 가스킷(42)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부(47B)를 타고 올라 후방측 돌출부(46)의 외주면(46A)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스킷(42)은 후방측 돌출부(46)의 외주면(46A) 상의 소정의 시일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필터용 통체(37)의 전방측 플랜지부(38B)에 형성한 볼트 삽입 관통 구멍(38D), 가스킷(42)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42A), 상류 통체(22)의 플랜지부(23C)에 형성한 볼트 삽입 관통 구멍(23D)에 볼트(39)를 삽입 관통하고, 이 볼트(39)에 너트(40)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도 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킷(42)을 통해 필터용 통체(37)와 상류 통체(22)를 직렬로 접속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필터용 통체(37)의 후방측 플랜지부(38C), 가스킷(42), 하류 통체(30)의 플랜지부(31C)를 볼트(39), 너트(40)에 의해 직렬로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류 통체(22)와 하류 통체(30) 사이에 필터용 통체(37)를 직렬로 접속하면, 전방측의 통체 이동 기구(27)의 볼트(29)를 체결함으로써, 상류 통체(22)의 설치 다리(26)를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16)의 전방측 설치판(16C)에 고정하고, 후방측의 통체 이동 기구(34)의 볼트(36)를 체결함으로써, 하류 통체(30)의 설치 다리(33)를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16)의 후방측 설치판(16D)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터용 통체(37)에 형성한 전방측 돌출부(44), 후방측 돌출부(46)에는 그 외주면(44A, 46A)에 위치하여 가스킷(42)이 결합하는 결합 홈(47)을 각각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각 돌출부(44, 46)를 외부 끼움하도록 가스킷(42)을 걸었을 때에는, 상기 돌출부(44, 46)에 형성한 결합 홈(47)에 가스킷(42)을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터용 통체(37)의 설치, 제거 작업을 행할 때에, 상기 필터용 통체(37)를 기울인 경우라도, 결합 홈(47)에 의해 가스킷(42)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상류 통체(22), 하류 통체(30)에 대해 필터용 통체(37)를 간단하게 설치, 제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내장한 DPF(41)의 점검 작업, 클리닝 작업을 행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8)측의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16)과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의 각 설치 다리(26, 33) 사이에는 통체 이동 기구(27, 34)를 설치하여, 필터용 통체(37)를 설치, 제거할 때에는 볼트(29, 36)를 헐겁게 함으로써 상류 통체(22)와 하류 통체(3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류 통체(22)와 하류 통체(30)에 대해 필터용 통체(37)를 설치, 제거할 때에는, 통체 이동 기구(27, 34)의 볼트(29, 36)를 헐겁게 함으로써 상류 통체(22)와 하류 통체(3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상류 통체(22)와 하류 통체(30)의 축방향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다.
이 결과, 통체 이동 기구(27, 34)는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16)으로부터 설치 다리(26, 33)를 제거하지 않아도, 상류 통체(22)와 하류 통체(30)의 축방향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상류 통체(22)와 하류 통체(30) 사이에 대해 필터용 통체(37)를 설치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종 점검 작업, 클리닝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44, 46)에 형성한 결합 홈(47)은 돌출부(44, 46)의 축방향의 도중 위치를 둘레 방향으로 연장한 대략 사각 형상의 오목 홈을 이루고, 상세하게는, 결합 홈(47)은 가스킷(42)이 떨어져 넣어져 결합하는 홈부(47A)와, 상기 홈부(47A)의 플랜지부(38B, 38C)측의 홈 측면을 이루는 경사면부(47B)와, 선단측에 위치하는 연직면부(47C)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가스킷(42)을 결합 홈(47)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돌출부(44, 46)를 상대방의 개구부(43, 45)에 삽입 끼움하면, 가스킷(42)이 상대방의 플랜지부(23C, 31C)에 밀려서 플랜지부(38B, 38C)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가스킷(42)은 결합 홈(47)의 경사면부(47B)에 의해 돌출부(44, 46)의 외주면(44A, 46A) 상의 소정의 시일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연직면부(47C)에 의해 가스킷(42)이 부주의하게 탈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상류 통체(22)와 필터용 통체(37), 하류 통체(30)와 필터용 통체(37)를 접합할 때에 결합 홈(47)에 결합한 분만큼 내려간 가스킷(42)은 손으로 들어올리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상류 통체(22), 하류 통체(30)에 대한 필터용 통체(37)의 설치, 제거 작업을 보다 한층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은, 한쪽의 통체로 되는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에 돌출부를 설치하고, 다른 쪽의 통체로 되는 필터용 통체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 끼움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부호 52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51)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류 통체이다. 이 상류 통체(52)는 통 형상 케이스(23), 유입관(24), 산화 촉매(25), 설치 다리(26)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한쪽의 통체를 구성하는 상류 통체(52)는 하류측의 개구 단부가 접속부(52A)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부(52A)는 플랜지부(23C)와 돌출부(5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호 53은 배기 가스 처리 장치(51)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 통체이다. 이 하류 통체(53)는 통 형상 케이스(31), 유출관(32), 설치 다리(33)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한쪽의 통체를 구성하는 하류 통체(53)는 상류측의 개구 단부가 접속부(53A)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부(53A)는 플랜지부(31C)와 돌출부(5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호 54는 상류 통체(52)와 하류 통체(53) 사이에 설치된 정화부 통체로서의 필터용 통체이다. 이 필터용 통체(54)는 통 형상 케이스(38)와 DPF(41)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다른 쪽의 통체를 구성하는 필터용 통체(54)는 그 상류측의 개구 단부가 상기 상류 통체(52)의 접속부(52A)와 접속되는 상류측 접속부(54A)로 되고, 하류측의 개구 단부가 상기 하류 통체(53)의 접속부(53A)와 접속되는 하류측 접속부(54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류측 접속부(54A)는 전방측 플랜지부(38B)에 의해 구성되고, 하류측 접속부(54B)는 후방측 플랜지부(38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호 55는 한쪽의 통체로 되는 상류 통체(52)의 통 형상 케이스(23) 후단부에 설치된 돌출부이다. 또한, 부호 56은 다른 쪽의 통체로 되는 필터용 통체(54)의 통 형상 케이스(38)의 전단부에 형성된 전방측 개구부로, 상기 전방측 개구부(56)에는 산화 촉매(25)와의 사이에 상기 돌출부(55)가 삽입 끼움되는 공간을 갖고 있다.
한편, 부호 57은 한쪽의 통체로 되는 하류 통체(53)의 통 형상 케이스(31) 후단부에 설치된 돌출부이다. 또한, 58은 다른 쪽의 통체로 되는 필터용 통체(54)의 통 형상 케이스(38)의 후단부에 형성된 후방측 개구부로, 상기 후방측 개구부(58)에는 상기 돌출부(57)가 삽입 끼움되는 공간을 갖고 있다.
부호 59는 돌출부(55, 57)에 형성된 결합부로서의 결합 홈을 나타내고, 상기 각 결합 홈(59)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결합 홈(47)과 마찬가지로, 가스킷(42)을 걸리게 하는 것으로, 외경측으로 개방된 전체 둘레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은 각 통체를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 단면 V자 형상의 클램프 장치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5에 있어서, 부호 61은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배기 가스 처리 장치(61)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와 대략 마찬가지로, 상류 통체(62), 하류 통체(63), 정화부 통체로서의 필터용 통체(64)를 직렬로 위치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61)는 복수개의 볼트에 의한 연결이 아니라, 후술하는 클램프 장치(65)에 의해 상류 통체(62)와 필터용 통체(64), 하류 통체(63)와 필터용 통체(64)를 연결하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와 상이하다.
이것으로부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형상 케이스(23', 38')의 플랜지부(23C', 38B') 등에는 볼트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외주측은 후술하는 클램프 장치(65)의 프레임(65A)의 V자 형상에 맞추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호 65는 상류 통체(62)와 필터용 통체(64) 사이, 하류 통체(63)와 필터용 통체(64) 사이를 각각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클램프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클램프 장치(65)는 대략 V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반원호 형상의 2개의 프레임(65A)과, 상기 각 프레임(65A)의 일단부측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도시하지 않음)와, 각 프레임(65A)의 타단부측을 접속하는 볼트ㆍ너트식 접속부(65B)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램프 장치(65)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통 형상 케이스(23', 38')의 플랜지부(23C', 38B')를 가스킷(42)을 사이에 두고 축방향으로 체결되어, 하류 통체(63)와 필터용 통체(64)를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상류 통체(62)와 필터용 통체(64)도 마찬가지로 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클램프 장치(65)는 상측에 배치되는 접속부(65B)의 1개의 볼트를 나사 결합하거나, 헐겁게 하는 것만으로, 상류 통체(62)와 필터용 통체(64), 하류 통체(63)와 필터용 통체(64)를 연결하거나, 분해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은 결합부를 단면 직사각 형상의 전체 둘레 홈으로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7에 있어서, 부호 7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결합 홈(47) 대신에 설치된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결합부로서의 결합 홈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결합 홈(71)은 통 형상 케이스(38)에 설치된 돌출부(44, 46)에 단면 직사각 형상의 전체 둘레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후방측만 도시). 또한, 결합 홈(71)은 돌출부(44, 46)의 기단부로 되는 플랜지부(38B, 38C)의 내경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44, 46)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결합 홈(47)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하는 변형예와 같이, 결합부로서의 결합 홈(81)을 돌출부(44, 46)의 상측 부분에만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결합 홈을 둘레 방향의 복수 개소에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들 구성은 다른 실시 형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류 통체(22)와 하류 통체(30)에 개구부(43, 45)를 형성하고, 필터용 통체(37)의 양단부에 상기 개구부(43, 45)에 삽입 끼움하는 돌출부(44, 46)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한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류 통체(52)와 하류 통체(53)에 돌출부(55, 57)를 설치하고, 필터용 통체(54)의 양단부에 상기 돌출부(55, 57)가 삽입 끼움하는 개구부(56, 58)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상류 통체와 필터용 통체의 후단부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필터용 통체의 전단부와 하류 통체에 상기 각 개구부에 삽입 끼움하는 돌출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류 통체와 필터용 통체의 후단부에 돌출부를 설치하고, 필터용 통체의 전단부와 하류 통체에 상기 각 돌출부가 삽입 끼움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들의 구성은 다른 실시 형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로서,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PM)을 제거하여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산화 촉매(25), DPF(41), 압력 센서(48), 온도 센서(49, 50)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자상 물질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배기 가스 처리 장치로서,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산화물(NOx)을 요소수 용액을 사용하여 정화하기 위해, 선택 환원 촉매, 요소 분사 밸브, 각종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NOx 정화 장치를 적용해도 좋다. 또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로서, 입자상 물질 제거 장치와 NOx 정화 장치를 조합하여 적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은 다른 실시 형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류 통체(22)의 설치 다리(26)와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16)의 전방측 설치판(16C) 사이에 전방측의 통체 이동 기구(27)를 설치하고, 하류 통체(30)의 설치 다리(33)와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16)의 후방측 설치판(16D) 사이에 후방측의 통체 이동 기구(34)를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상류 통체의 설치 다리에만 긴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전방측의 통체 이동 기구만을 설치하고, 하류 통체의 설치 다리에는 긴 구멍 대신에, 볼트 삽입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이들과는 반대로, 후방측의 통체 이동 기구만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들의 구성은 다른 실시 형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류 통체(22)와 하류 통체(30) 사이에 1개의 정화부 통체로서의 필터용 통체(37)를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 사이에 2개 이상의 정화부 통체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21, 61)를 크롤러식 하부 주행체(2)를 구비한 유압 셔블(1)에 탑재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타이어 등으로 이루어지는 휠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유압 셔블에 탑재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 이외에도, 리프트 트럭, 덤프 트럭, 유압 크레인 등의 다른 건설 기계에도 널리 탑재할 수 있다.
1 : 유압 셔블
2 : 하부 주행체(차체)
4 : 상부 선회체(차체)
8 : 엔진
9 : 배기관(배기 가스 통로)
16 :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지지 부재)
21, 51, 61 : 배기 가스 처리 장치
22, 52, 62 : 상류 통체
22A, 30A : 접속부
23, 31, 38, 23', 38' : 통 형상 케이스
23A, 31A, 38A : 원통부
23B, 31B : 덮개부
23C, 31C, 23C', 38B' : 플랜지부
24 : 유입관
25 : 산화 촉매(처리 부재)
26, 33 : 설치 다리
27, 34 : 통체 이동 기구
30, 53, 63 : 하류 통체
32 : 유출관
37, 54, 64 : 필터용 통체(정화부 통체)
37A : 상류측 접속부
37B : 하류측 접속부
38B : 전방측 플랜지부
38C : 후방측 플랜지부
41 : 입자상 물질 제거 필터(처리 부재)
42 : 가스킷
43, 45 : 개구부
44 : 전방측 돌출부
46 : 후방측 돌출부
47, 59, 71, 81 : 결합 홈(결합부)
47A : 홈부
47B : 경사면부
47C : 연직면부
55, 57 : 돌출부
56 : 전방측 개구부
58 : 후방측 개구부

Claims (3)

  1. 차체(2, 4)에 탑재된 엔진(8)의 배기 가스 통로(9)의 상류측에 설치된 상류 통체(22, 52, 62)와, 상기 상류 통체(22, 52, 62)의 하류측에 설치된 하류 통체(30, 53, 63)와, 상기 상류 통체(22, 52, 62)와 하류 통체(30, 53, 63) 사이에 직렬로 접속하여 설치되어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처리 부재(25, 41)가 내장된 정화부 통체(37, 54, 64)와, 상기 상류 통체(22, 52, 62)와 정화부 통체(37, 54, 64) 사이 및 상기 하류 통체(30, 53, 63)와 정화부 통체(37, 54, 64) 사이에 각각 설치된 환형상의 가스킷(42)을 구비하고,
    상기 상류 통체(22, 52, 62)와 정화부 통체(37, 54, 64) 사이 및 하류 통체(30, 53, 63)와 정화부 통체(37, 54, 64) 사이 중 하나 이상에서 서로 대면하는 접속부(22A, 30A, 37A, 37B) 중, 한쪽의 통체의 접속부는 플랜지(23C, 31C, 38B, 38C, 23C', 38B')에 의해 형성되고, 다른 쪽의 통체의 접속부는 플랜지(23C, 31C, 38B, 38C, 23C', 38B')와 상기 플랜지(23C, 31C, 38B, 38C, 23C', 38B')의 위치보다도 돌출되어 상기 한쪽의 통체에 삽입 끼움되는 돌출부(44, 46, 55, 57)에 의해 형성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통체의 돌출부(44, 46, 55, 57)에는 그 외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가스킷(42)이 결합하는 결합부(47, 59, 71, 81)를 설치하고,
    상기 차체(2, 4)측에는 상기 상류 통체(22, 52, 62)와 하류 통체(30, 53, 63)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6)를 설치하고,
    상기 상류 통체(22, 52, 62)와 하류 통체(30, 53, 63)에는 상기 지지 부재(16) 위에 설치되는 설치 다리(26, 33)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지지 부재(16)와 설치 다리(26, 33) 사이에는 상기 정화부 통체(37, 54, 64)를 설치, 제거할 때에 상기 상류 통체(22, 52, 62) 및 하류 통체(30, 53, 63) 중 하나 이상을 전, 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설치 다리(26, 33)를 상기 지지 부재(16) 위에서 이동시키는 통체 이동 기구(27, 34)를 설치하고,
    상기 통체 이동 기구(27, 34)에 의해 상기 한쪽의 통체에 대해 다른 쪽의 통체의 돌출부(44, 46, 55, 57)를 삽입 끼움 또는 이탈시키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7, 59)는 상기 돌출부(44, 46, 55, 57)의 축방향의 도중 위치를 둘레 방향으로 연장한 오목 홈이고,
    상기 오목 홈에는 상기 플랜지(23C, 31C, 38B, 38C)측에 위치하여 경사면부(47B)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3. 삭제
KR1020107027917A 2008-11-11 2009-08-18 배기 가스 처리 장치 KR101571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88729 2008-11-11
JPJP-P-2008-288729 2008-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479A KR20110082479A (ko) 2011-07-19
KR101571192B1 true KR101571192B1 (ko) 2015-11-23

Family

ID=4216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917A KR101571192B1 (ko) 2008-11-11 2009-08-18 배기 가스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01387B2 (ko)
EP (1) EP2357333B1 (ko)
JP (1) JP5148714B2 (ko)
KR (1) KR101571192B1 (ko)
CN (1) CN102124191B (ko)
WO (1) WO2010055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0793B2 (en) * 2008-05-14 2013-09-24 Komatsu Ltd. Exhaust process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169766B2 (ja) * 2008-11-20 2013-03-2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マフラー取付装置
JP5401944B2 (ja) * 2008-11-25 2014-01-2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マフラー取付装置
JP5161162B2 (ja) * 2009-07-03 2013-03-13 株式会社クボタ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処理装置
JP5161179B2 (ja) * 2009-09-17 2013-03-13 株式会社クボタ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処理装置
JP5616194B2 (ja) * 2010-01-14 2014-10-29 株式会社クボタ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
JP5258847B2 (ja) * 2010-06-16 2013-08-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5422528B2 (ja) * 2010-09-15 2014-02-19 株式会社クボタ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とその排気処理装置の取り付け方法
JP2012077622A (ja) * 2010-09-30 2012-04-19 Kubota Corp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
WO2012043137A1 (ja) * 2010-09-30 2012-04-05 株式会社クボタ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
JP2012077621A (ja) * 2010-09-30 2012-04-19 Kubota Corp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
JP2012171596A (ja) * 2011-02-24 2012-09-1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US20120273648A1 (en) * 2011-04-28 2012-11-01 Caterpillar, Inc. Exhaust Gas Aftertreatment Support Assembly
USD670746S1 (en) * 2011-08-01 2012-11-13 Joseph Vögele AG Hood for road construction machine
EP3219949B1 (en) * 2011-09-12 2019-03-20 Cummins Emission Solutions, Inc. A kit for installing an aftertreatment system package for exhaust gas
USD668691S1 (en) * 2012-02-01 2012-10-09 Joseph Vögele AG Cover for an exhaust port of a road construction machine
US20140020346A1 (en) * 2012-07-19 2014-01-23 The Government of the U.S.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t of Health & Human Ser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articulate release from large equipment
WO2014044571A1 (en) * 2012-09-20 2014-03-27 Agco International Gmbh Exhaust system mounting
JP2012251565A (ja) * 2012-09-28 2012-12-20 Yanmar Co Ltd 排気ガス浄化装置付きエンジン及びその排気ガス浄化装置の取り付け方法
JP5296913B1 (ja) * 2012-10-02 2013-09-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エンジンユニット
JP5543563B2 (ja) * 2012-10-16 2014-07-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排気処理ユニット
US9133601B2 (en) * 2012-10-16 2015-09-15 Komatsu Ltd. Hydraulic excavator
WO2014078776A1 (en) * 2012-11-16 2014-05-22 Cummins Ip,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y of an exhaust aftertreatment component
JP5996450B2 (ja) * 2013-02-05 2016-09-21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104246159B (zh) * 2013-03-13 2015-09-09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
US8973353B2 (en) * 2013-03-15 2015-03-10 Komatsu Ltd. Exhaust gas post-treatment unit and construction vehicle carrying same
EP2984309B1 (en) * 2013-04-11 2017-09-27 Perkins Engines Company Limited Support structure for mounting an emissions cleaning module
JP6200943B2 (ja) * 2013-04-12 2017-09-20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
DE102013219640A1 (de) * 2013-09-27 2015-04-02 Eberspächer Exhaust Technology GmbH & Co. KG Abgasbehandlungseinrichtung
US20160290211A1 (en) * 2013-11-22 2016-10-06 Yanmar Co., Ltd. Engine device
JP6260284B2 (ja) * 2014-01-09 2018-01-1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サイドフレーム
KR101641421B1 (ko) * 2014-01-31 2016-07-2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
US9662968B2 (en) * 2014-02-14 2017-05-30 Cnh Industrial America Llc Mounting assembly for a diesel oxidation catalyst system of a work vehicle
CA2942248A1 (en) * 2014-03-20 2015-09-24 Yanmar Co., Ltd. Engine device and stationary work machine having same mounted thereon
BR102015019177B1 (pt) * 2014-08-14 2022-10-11 Cnh Industrial America Llc Conjunto de montagem para um silenciador de um veículo fora de estrada e seu método de montagem
JP2016050466A (ja) * 2014-09-02 2016-04-11 日立建機株式会社 小型建設機械
DE112016000025B4 (de) * 2016-04-28 2023-09-21 Komatsu Ltd. Abgasnachbehandlungseinheit und Arbeitsfahrzeug
CN106703965A (zh) * 2017-03-07 2017-05-24 荣成船宝发电机有限公司 一种渔船发电器排气净化装置
GB2568900B (en) * 2017-11-29 2020-09-02 Perkins Engines Co Ltd Exhaust gas treatment assembly comprising a gas permeable block and a housing, and method of assembly
JP6743803B2 (ja) 2017-12-19 2020-08-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排気ガス浄化装置
USD911896S1 (en) * 2018-01-24 2021-03-02 Cruiser Accessories, Llc Vehicle mud flap exhaust outlet
JP7067326B2 (ja) * 2018-07-12 2022-05-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排気ガス浄化装置の取付構造
IT201900014304A1 (it) * 2019-08-07 2021-02-07 Fpt Motorenforschung Ag Sistema di post-trattamento di gas di scarico per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a ciclo diesel
CN110566331B (zh) * 2019-10-17 2024-05-14 常州良旭车辆配件有限公司 一种颗粒捕捉器用支撑筒及其装配方法
USD971965S1 (en) * 2020-06-26 2022-12-06 Powerhouse Engine Solutions Switzerland IP Holding GmbH Intake manifold section
USD941363S1 (en) * 2020-06-26 2022-01-18 Powerhouse Engine Solutions Switzerland IP Holding GmbH Intake manifold section
CN112627942A (zh) * 2020-10-27 2021-04-09 蓝晶卡特排放技术南京有限公司 柴油颗粒捕集器的再生方法以及系统
EP4033081A1 (en) * 2021-01-22 2022-07-27 Volvo Truck Corporation A method for replacing an exhaust aftertreatment compon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277A (ja) 2001-08-06 2003-04-23 Komatsu Ltd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
US20070169452A1 (en) 2006-01-26 2007-07-26 Grimm David M Serviceable aligned exhaust aftertreatment assembly
JP2007192328A (ja) 2006-01-19 2007-08-02 Calsonic Kansei Corp 金属シール部材を用いた継手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82675B (sv) * 1974-12-12 1976-02-09 Lindab Lindhs Industri Ab Rorformigt skarvstycke.
JPH0544496Y2 (ko) 1987-09-04 1993-11-11
JPH08100643A (ja) 1994-09-30 1996-04-16 Suzuki Motor Corp 触媒の保持構造
JPH08103665A (ja) 1994-10-06 1996-04-23 Nippondenso Co Ltd 触媒コンバータの製造方法
US20010018827A1 (en) * 1999-12-14 2001-09-06 Judy Rhode Engine exhaust system and adapter therefor
US20040046391A1 (en) * 2000-01-14 2004-03-11 Vasudeva Kailash C. Exhaust system flanges
JP2005155440A (ja) * 2003-11-26 2005-06-16 Mazda Motor Corp 縦置搭載エンジンの排気系構造
SE527085E (sv) * 2004-05-12 2008-04-16 Scania Cv Abp Anordning för avgasbehandling
JP4506289B2 (ja) 2004-06-02 2010-07-21 株式会社Ihi 過給機および過給機付エンジン
US7410521B2 (en) 2005-02-28 2008-08-12 Caterpillar Inc. Filter service system and method
US7501005B2 (en) * 2005-02-28 2009-03-10 Caterpillar Inc. Exhaust treatment device having submerged connecting flanges
CN2883683Y (zh) * 2006-01-25 2007-03-28 重庆宗申技术开发研究有限公司 排气消声器
CN2888090Y (zh) * 2006-02-27 2007-04-11 王远强 补气阀消噪过滤器
US7779961B2 (en) * 2006-11-20 2010-08-24 Matte Francois Exhaust gas diffus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277A (ja) 2001-08-06 2003-04-23 Komatsu Ltd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
JP2007192328A (ja) 2006-01-19 2007-08-02 Calsonic Kansei Corp 金属シール部材を用いた継手構造
US20070169452A1 (en) 2006-01-26 2007-07-26 Grimm David M Serviceable aligned exhaust aftertreatmen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57333A4 (en) 2015-04-22
CN102124191A (zh) 2011-07-13
WO2010055717A1 (ja) 2010-05-20
US8701387B2 (en) 2014-04-22
JPWO2010055717A1 (ja) 2012-04-12
CN102124191B (zh) 2013-04-24
KR20110082479A (ko) 2011-07-19
US20110120085A1 (en) 2011-05-26
JP5148714B2 (ja) 2013-02-20
EP2357333B1 (en) 2017-01-11
EP2357333A1 (en)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192B1 (ko) 배기 가스 처리 장치
KR101571579B1 (ko) 배기 가스 처리 장치
JP5220855B2 (ja) 排気ガス処理装置
JP5220856B2 (ja) 建設機械
JP4897757B2 (ja) 排気ガス処理装置
JP4927796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10043572A (ja) 排気ガス浄化装置
CN111512029B (zh) 废气净化装置
JP4933493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