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935B1 -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935B1
KR101553935B1 KR1020147000643A KR20147000643A KR101553935B1 KR 101553935 B1 KR101553935 B1 KR 101553935B1 KR 1020147000643 A KR1020147000643 A KR 1020147000643A KR 20147000643 A KR20147000643 A KR 20147000643A KR 101553935 B1 KR101553935 B1 KR 101553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pair
spiral plate
plate
pris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7794A (ko
Inventor
카나메 미시나
Original Assignee
다이이찌 시세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찌 시세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찌 시세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7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2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 B65G33/0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conveyed between a single screw and gui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2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 B65G33/06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conveyed and guided by parallel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w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반송 장치의 내구성이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조가 용이하며, 또한 반송 장치의 중량화나 고비용화를 방지할 수 있는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서로의 축선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기둥 형상 부재(26, 28)와, 길다란 스트립(strip, 帶板) 형상 부재가 절곡되어, 나선감김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인 한 쌍의 나선곡선을 따르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한 쌍의 기둥 형상 부재(26, 28) 각각의 둘레에 기둥 형상 부재(26, 28)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기둥 형상 부재(26, 28)와 그 두께방향의 내측의 면(30c, 32c)이 대향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나선판 부재(30, 32)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반송 장치{TRANSPORTING DEVICE}
본 발명은, 박스형 용기 등의 반송물을 상하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해 이용되는 한 쌍의 나선판(螺旋板) 형상 부재를 구비한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박스형 용기 등의 반송물을 상하방향으로 반송할 경우에는, 벨트 컨베이어 등의 컨베이어를 이용한 컨베이어식 반송 장치가 널리 이용되어 왔다. 상기 컨베이어식 반송 장치는, 반송물을 싣는 반송면을 수평방향에 대해 각도를 주고 설치함으로써, 반송물을 경사방향으로, 즉, 반송물을 수평방향과 상하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면서 서서히 상하방향으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컨베이어식 반송 장치는, 그 경사 각도를 너무 크게 하면 반송물을 반송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그 경사 각도를 작게 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그 경사 각도를 작게 하면, 반송물을 상하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해 필요한 컨베이어의 길이가 길어져, 반송 장치의 수평방향의 외형 사이즈가 현저하게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컨베이어식 반송 장치는, 그 자체의 부품 수가 많기 때문에 그만큼 이상(異常)이 발생하기 쉽고, 유지보수(maintenance)를 해야 하는 빈도도 증가하여, 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나, 반송물을 상하방향으로 반송 가능한 구조로 하면, 그 구조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반송 장치의 중량화(重量化)를 초래하는 동시에, 그 제조비용이 높아져, 반송 장치의 고액화(高額化)를 초래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컨베이어식 반송 장치와는 별도로, 스크류식 반송 장치가 존재하며, 상기 스크류식 반송 장치도 박스형 용기 등의 반송물을 상하방향으로 반송하는 데 이용되었다(특허문헌 1 참조).
제 1의 종래의 스크류식 반송 장치는, 특허문헌 1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기둥(圓柱) 형상의 한 쌍의 날개고정부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외주면에는, 폭을 가지는 길다란 판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螺旋)형상으로 형성된 날개부가 감기고, 그 접합부가 서로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었다.
상기 제 1의 종래의 스크류식 반송 장치는, 한 쌍의 날개고정부의 각각이 연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스크류와, 상기 한 쌍의 스크류의 양방의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 대략 평행한 가이드면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제 1의 종래의 스크류식 반송 장치는, 한 쌍의 스크류 각각의 날개고정부로부터, 그 반경 외측을 향해 폭을 가지는 날개부의 상면에 반송물을 재치(載置)시켜, 상기 반송물의 일부를 상기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한 쌍의 스크류를 연동시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반송물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이러한 제 1의 종래의 스크류식 반송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종래의 컨베이어식 반송 장치에 비해, 그 외형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어, 그 설치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그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일본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 3163131호 일본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 3179474호
그러나, 상기 제 1의 종래의 스크류식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날개부는, 폭을 가지는 길다란 판이 나선형상으로 형성되고, 날개고정부의 외주면 둘레에 감겨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날개부를 구비한 스크류는 그 중량이 무거워져서, 상기 스크류를 구비한 반송 장치의 중량화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스크류의 중량이 무거워지면,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나 회전기구부에 과다한 부담이 가해지기 때문에, 반송 장치의 내구성이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기 폭을 가지는 길다란 판이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날개부나, 상기 날개부를 날개고정부의 외주면 둘레에 용접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스크류는, 그 재료비가 고액이 되는 동시에, 그 제조에는 많은 노력이나 비용이 들게 되므로, 그 제조비용이 상승되어, 상기 스크류를 구비한 반송 장치의 고비용화를 초래하는 문제도 있었다.
상기 제 1의 종래의 스크류식 반송 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2의 종래의 스크류식 반송 장치가 고안되었다(특허문헌 2 참조).
제 2의 종래의 스크류식 반송 장치는, 특허문헌 2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한 쌍의 회전기둥 형상 부재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들의 둘레에는, 단면(斷面)의 외형 형상이 대략 원 형상인 둥근 막대 형상 부재를 절곡(折曲)하여 형성된 반송물 지지부가 이들과 간격을 두고 감기고, 회전기둥 형상 부재와 반송물 지지부의 각각과 지지 아암부를 용접함으로써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었다.
상기 제 2의 종래의 스크류식 반송 장치는, 한 쌍의 회전기둥 형상 부재의 각각이 연동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스크류와, 상기 한 쌍의 스크류의 양방의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 대략 평행한 가이드면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제 2의 종래의 스크류식 반송 장치는, 한 쌍의 스크류 각각의 반송물 지지부의 상반(上半) 원호면에 반송물을 재치시키고, 상기 반송물의 일부를 상기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스크류를 연동시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반송물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었다.
이러한 제 2의 종래의 스크류식 반송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 1의 종래의 스크류식 반송 장치에 비해, 스크류의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어, 반송 장치의 내구성이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제 2의 종래의 스크류식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반송물 지지부는, 단면의 외형 형상이 대략 원 형상인 둥근 막대 형상 부재를 나선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물 지지부가 길이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2개의 나선형상으로 감겨진 둥근 막대 형상 부재의 단면(端面)끼리를 용접에 의해 접합할 필요가 있어, 그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많은 노력이나 비용이 들기 때문에, 그 제조비용이 상승되어, 상기 반송물 지지부를 구비한 반송 장치의 고비용화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반송 장치의 내구성이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반송 장치의 중량화나 고비용화를 방지할 수 있는 반송 장치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반송 장치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서로의 축선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기둥 형상 부재와,
길다란 스트립(strip, 帶板) 형상 부재가 절곡되어, 나선감김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인 한 쌍의 나선곡선을 따르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기둥 형상 부재 각각의 둘레에 상기 기둥 형상 부재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기둥 형상 부재와 그 두께방향의 내측의 면이 대향(對向)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나선판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반송 장치는,
그 일단부가 상기 기둥 형상 부재에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나선판 부재에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된 복수의 연결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반송 장치는,
상기 한 쌍의 기둥 형상 부재 각각의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 대략 평행한 면 또는 부분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반송 장치에 따르면,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서로의 축선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기둥 형상 부재와,
길다란 스트립 형상 부재가 절곡되어, 나선감김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인 한 쌍의 나선곡선을 따르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기둥 형상 부재 각각의 둘레에 상기 기둥 형상 부재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기둥 형상 부재와 그 두께방향의 내측의 면이 대향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나선판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반송 장치의 내구성이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반송 장치의 중량화나 고비용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20)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반송 장치(20)의, 컨베이어(82, 84)를 함께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반송 장치(20)의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회전구조체(22)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회전구조체(22)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의 회전구조체(24)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회전구조체(24)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4 내지 도 7에 있어서의 회전구조체(22, 24)의 연결 부재(34)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8(a)는 그 정면도이고, 도 8(b)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4 내지 도 7에 있어서의 회전구조체(22, 24)의 연결 부재(34)와 그 근방의 각 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34)와 그 근방의 각 부재의 B-B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있어서의 반송 장치(20)가 반송물(21)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반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하는, 반송물(21)의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반송 장치(20)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에 있어서의 반송 장치(20)가 반송물(21)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반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하는, 반송물(21)의 측방으로부터 바라본 반송 장치(20)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90)의, 컨베이어(82, 84)를 함께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반송 장치(90)가 반송물(21)을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반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하는, 반송물(21)의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반송 장치(90)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있어서의 반송 장치(90)가 반송물(21)을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반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하는, 반송물(21)의 측방으로부터 바라본 반송 장치(90)의 부분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반송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2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참조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 중 상하방향(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각기둥(角柱) 부재(26, 28)(기둥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기둥 부재(26, 28)는, 서로 도면 중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각기둥 부재(26, 28)의 각각의 둘레에는, 한 쌍의 나선곡선의 각각을 따라 구부려서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트립 형상의 나선판 부재(30, 32)가, 각기둥 부재(26, 28)로부터 그 반경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각기둥 부재(26, 28)와, 나선판 부재(30, 32)는 각각 한 쌍의 회전구조체(22, 24)를 구성하며, 반송 장치(20)는, 서로 연동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구조체(22, 24)와, 상기 한 쌍의 회전구조체(22, 24)의 각각의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 대략 평행한 가이드면(48a)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4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반송 장치(2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물(21)을 상하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반송물(21)은, 길이 사이즈(L), 폭 사이즈(W), 높이 사이즈(H)를 가지는 직육면체이고, 바닥면(21a)을 가지며, 그 상면이 개구된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구조체(22)는, 도면 중 지면(紙面)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된 각기둥 부재(26)와, 상기 각기둥 부재(26)의 외주부에 일단부가 고정된 복수의 연결 부재(34)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34)의, 각기둥 부재(26)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된 각각의 타단부에는, 나선곡선 형상으로 구부려 형성된 나선판 부재(30)의 길이 도중의 각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구조체(22)의 각기둥 부재(26)는, 금속제이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외측면(26b)과, 복수의 개구부를 가지는 직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기둥 부재(26)에는, 4개의 외측면(26b)의 각각으로부터 수평방향 내측을 향해 오목하며, 너트 부재(39)를 그 축선방향(동 도면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4개의 오목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기둥 부재(26)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축선방향의 양단부 각각에, 축선이 각기둥 부재(26)의 축선과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고, 각기둥 부재(26)의 축선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축심(軸芯) 부재(38)가 나사체결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회전구조체(22)의 연결 부재(34)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대략 직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의 두께방향(도면 중 좌우방향) 내측의 단면끼리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제 1, 제 2 단판부(端板部)(34a, 34b)와, 그 길이방향(도면 중 좌우방향)의 양단면이 제 1 단판부(34a)와 제 2 단판부(34b)의 각각에 접촉하여 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부(34c)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34)의 제 1 단판부(34a)에는, 그 길이방향(동 도면 중 상하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개구되고, 수나사 부재(40)의 수나사부가 헐겁게 삽입통과하는 긴 구멍(34d)이, 그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긴 구멍(34d)은, 연결 부재(34)의 제 1 단판부(34a)(일단부)와 각기둥 부재(26) 간의 고정에 이용된다.
연결 부재(34)의 제 2 단판부(34b)(타단부)에는, 수나사 부재(41)의 수나사부가 헐겁게 삽입통과하는 관통구멍(34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34e)은, 연결 부재(34)의 제 2 단판부(34b)와 나선판 부재(30) 간의 고정에 이용된다.
복수의 연결 부재(34)의 각각은, 서로의 외형 형상이 거의 동일하고, 그 제 1 단판부(34a)가 각기둥 부재(26)의 외측면(26b)의,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각기둥 부재(26)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90도씩 어긋난 위치에, 원주(圓周)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연결 부재(34)의 각각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기둥 부재(26)의 축선방향(도면 중 상하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5에 나타낸 각각의 연결 부재(34)의 도면 중 지면 안쪽에는, 다른 연결 부재(34)가 겹쳐져서 숨듯이 배치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34)의 제 1 단판부(34a)는, 그 두께방향 외측의 단면이 각기둥 부재(26)의 외측면(26b)에 접촉된 상태에서, 그 긴 구멍(34d)을 삽입통과하는 수나사 부재(40) 등을 통해,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각기둥 부재(26)와 복수의 연결 부재(34)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외주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수나사 부재(40)는, 동 도면 중 좌단부(左端部)가 연결 부재(34)의 제 1 단판부(34a)에 형성된 긴 구멍(34d)을 삽입통과하여, 너트 부재(39)의 암나사부에 나사체결됨으로써, 너트 부재(39)를 각기둥 부재(26)의 오목부(26a)에 걸림고정시키는 동시에, 도면 중 우단부(右端部)측의 길이도중부(midstream portion of the length)에 평와셔(plain washer)(45)와 스프링 와셔(44)를 통과시킨 후, 너트(41)의 암나사부에 나사체결됨으로써, 각기둥 부재(26)와 복수의 연결 부재(34)는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회전구조체(22)의 나선판 부재(30)는, 금속제이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길다란 스트립 형상 부재를 그 소재로서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가 절곡가공됨으로써, 도 4 중 하방으로 진행됨에 따라, 상방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도 5 중 화살표 방향)으로 감긴 나선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나선 형상의 나선판 부재(30)는, 그 두께방향이 상기 나선곡선의 반경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즉, 스트립 형상 부재의 두께방향의 표리(表裏) 양면이 각각 내측 원호면(30c), 외측 원호면(30d)이 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나선판 부재(30)는, 각기둥 부재(26)의 축선으로부터의 수평방향의 간격의 길이 사이즈가 대략 일정하며, 각기둥 부재(26)의 폭 사이즈와 반송물(21)의 폭 사이즈(W)(도 1 참조)의 합의 절반 정도의 폭 사이즈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나선판 부재(3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보면 링(圓環) 형상으로 보이게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선판 부재(30)는, 그 접선(接線)방향에 대응하는 수평방향으로부터의 경사 각도가 일정한 상단면(30a)을 가지고 있으며, 그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나선판 부재(30)의 간격인 피치(P)는, 반송물(21)을 나선판 부재(30)의 상단면(30a) 상에 올려 놓았을 때, 그 반송물(21)의 상단이 그보다 상방의 연결 부재(34)나 나선판 부재(30)의 하단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반송물(21)의 높이 사이즈(H)(도 2 참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선판 부재(30)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연결 부재(34)의 제 2 단판부(34b)의 두께방향 외측의 단면(端面)에, 그 길이 도중의 각 위치의 내측 원호면(30c)이 각각 대향 배치되어, 수나사 부재(42) 등을 통해,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나선판 부재(30)와 복수의 연결 부재(34)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외주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수나사 부재(42)는, 동 도면 중 우단부가 나선판 부재(30)의 암나사구멍(30b)과, 상기 나선판 부재(30)에 접촉하는 너트(43)의 암나사부에 나사체결됨으로써, 나선판 부재(30)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나선판 부재(30)의 길이 도중의 각 위치에 암나사구멍(30b)을 형성하여, 상기 암나사구멍(30b)에 수나사 부재(42)의 선단부를 나사체결함으로써, 나선판 부재(30)의 외측 원호면(30d)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수나사 부재(42)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나사 부재(42)는, 동 도면 중 좌단부측의 길이도중부를 연결 부재(34)의 제 2 단판부(34b)에 형성된 관통구멍(34e)에 삽입통과시키고, 상기 제 2 단판부(34b)의 두께방향 양측으로부터, 평와셔(45)와 스프링 와셔(44)를 통해, 너트(43)의 암나사부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연결 부재(34)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연결 부재(34)의 제 2 단판부(34b)의 두께방향 외측의 단면과, 나선판 부재(30)의 내측 원호면(30c)을 서로 대향되게 배치함으로써, 수나사 부재(42)에 의해 이들을 일체적으로 고정시킬 때, 이들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나선판 부재(30)와 각기둥 부재(26)의 간격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각기둥 부재(26)와 나선판 부재(30)는, 각각이 복수의 연결 부재(34)에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각기둥 부재(26)와 나선판 부재(30)와 복수의 연결 부재(34)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나선판 부재(30)는, 그 내측 원호면(30c)이 각기둥 부재(26)의 외측면(26b)과 대향되도록, 각기둥 부재(26)와의 사이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나선판 부재(30)는, 각기둥 부재(26)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90도씩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 부재(34)에 의해 내측 원호면(30c)측(측방)으로부터 균등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구조체(24)는, 나선판 부재(32)의 나선감김방향이, 회전구조체(22)의 나선판 부재(30)의 나선감김방향과는 반대방향인 것, 및 상기 나선판 부재(32)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34) 각각의 각기둥 부재(28)의 외주부에 고정된 위치가, 회전구조체(22)의 복수의 연결 부재(34) 각각의 각기둥 부재(26)의 외주부에 고정된 위치와는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회전구조체(22)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회전구조체(24)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 중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된 각기둥 부재(28)와, 상기 각기둥 부재(28)의 외주부에 일단부가 고정된 복수의 연결 부재(34)와,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34)의 각기둥 부재(28)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된 타단부 각각에 그 길이 도중의 각 위치가 고정된 나선 형상의 나선판 부재(32)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구조체(24)의 각기둥 부재(28)는, 금속제이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외측면(28b)과, 복수의 개구부를 가지는 직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기둥 부재(28)에는, 4개의 외측면(28b)의 각각으로부터 수평방향 내측을 향해 오목하며, 너트 부재(39)를 그 축선방향(동 도면 중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4개의 오목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기둥 부재(28)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축선방향의 양단부 각각에, 축선이 각기둥 부재(28)의 축선과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고, 각기둥 부재(28)의 축선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축심 부재(38)가 나사체결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회전구조체(24)의 복수의 연결 부재(34)의 각각은, 그 외형 형상이 회전구조체(22)의 연결 부재(34)의 외형 형상과 거의 동일하고, 그 제 1 단판부(34a)가 각기둥 부재(28)의 외측면(28b)의,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각기둥 부재(28)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90도씩 어긋난 위치에, 원주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연결 부재(34)의 각각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기둥 부재(28)의 축선방향(도면 중 상하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7에 나타낸 각각의 연결 부재(34)의 도면 중 지면 안쪽에는, 다른 연결 부재(34)가 겹쳐져서 숨듯이 배치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34)의 제 1 단판부(34a)는, 그 두께방향 외측의 단면이 각기둥 부재(28)의 외측면(28b)에 접촉된 상태로, 그 긴 구멍(34d)을 삽입통과하는 수나사 부재(40) 등을 통해,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각기둥 부재(28)와 복수의 연결 부재(34)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외주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수나사 부재(40)는, 동 도면 중 좌단부가 연결 부재(34)의 제 1 단판부(34a)에 형성된 긴 구멍(34d)을 삽입통과하여, 너트 부재(39)의 암나사부에 나사체결됨으로써, 너트 부재(39)를 각기둥 부재(28)의 오목부(28a)에 걸림고정시키는 동시에, 도면 중 우단부측의 길이도중부에 평와셔(45)와 스프링 와셔(44)를 통과시킨 후, 너트(41)의 암나사부에 나사체결됨으로써, 각기둥 부재(28)와 복수의 연결 부재(34)는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회전구조체(24)의 나선판 부재(32)는, 금속제이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길다란 스트립 형상 부재를 그 소재로서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립 형상 부재가 절곡가공됨으로써, 도 6 중 하방으로 진행함에 따라, 상방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방향(도 7 중 화살표 방향)으로 감긴 나선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나선 형상의 나선판 부재(32)는, 그 두께방향이 상기 나선곡선의 반경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즉, 스트립 형상 부재의 두께방향의 표리(表裏) 양면이 각각 내측 원호면(32c), 외측 원호면(32d)이 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나선판 부재(32)는, 각기둥 부재(28)의 축선으로부터의 수평방향의 간격의 길이 사이즈가 대략 일정하며, 각기둥 부재(28)의 폭 사이즈와 반송물(21)의 폭 사이즈(W)(도 1 참조)의 합의 절반 정도의 폭 사이즈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나선판 부재(32)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보면 링(圓環) 형상으로 보이게 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선판 부재(32)는, 그 접선방향에 대응하는 수평방향으로부터의 경사 각도가 일정한 상단면(32a)을 가지고 있으며, 그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나선판 부재(32)의 간격인 피치(P)는, 반송물(21)을 나선판 부재(32)의 상단면(32a) 상에 올려 놓았을 때, 그 반송물(21)의 상단이 그보다 상방의 연결 부재(34)나 나선판 부재(32)의 하단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반송물(21)의 높이 사이즈(H)(도 2 참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선판 부재(32)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연결 부재(34)의 제 2 단판부(34b)의 두께방향 외측의 단면(端面)에, 그 길이 도중의 각 위치의 내측 원호면(32c)이 각각 대향 배치되어, 수나사 부재(42) 등을 통해,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나선판 부재(32)와 복수의 연결 부재(34)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외주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수나사 부재(42)는, 동 도면 중 우단부가 나선판 부재(32)의 암나사구멍(32b)과, 상기 나선판 부재(32)에 접촉하는 너트(43)의 암나사부에 나사체결됨으로써, 나선판 부재(32)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나선판 부재(32)의 길이 도중의 각 위치에 암나사구멍(32b)을 형성하여, 상기 암나사구멍(32b)에 수나사 부재(42)의 선단부를 나사체결함으로써, 나선판 부재(32)의 외측 원호면(32d)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수나사 부재(42)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나사 부재(42)는, 동 도면 중 좌단부측의 길이도중부를 연결 부재(34)의 제 2 단판부(34b)에 형성된 관통구멍(34e)에 삽입통과시키고, 상기 제 2 단판부(34b)의 두께방향 양측으로부터, 평와셔(45)와 스프링 와셔(44)를 통해, 너트(43)의 암나사부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연결 부재(34)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연결 부재(34)의 제 2 단판부(34b)의 두께방향 외측의 단면과, 나선판 부재(32)의 내측 원호면(32c)을 서로 대향되게 배치함으로써, 수나사 부재(42)에 의해 이들을 일체적으로 고정시킬 때, 이들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나선판 부재(32)와 각기둥 부재(28)의 간격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각기둥 부재(28)와 나선판 부재(32)는, 각각이 복수의 연결 부재(34)에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각기둥 부재(28)와 나선판 부재(32)와 복수의 연결 부재(34)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나선판 부재(32)는, 그 내측 원호면(32c)이 각기둥 부재(28)의 외측면(28b)과 대향되도록, 각기둥 부재(28)와의 사이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나선판 부재(32)는, 각기둥 부재(28)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90도씩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 부재(34)에 의해 내측 원호면(32c)측(측방)으로부터 균등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선판 부재(30, 32)의 상단면(30a, 32a)을 덮도록 역 U자형의 보호 부재(36)를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36)는, 수지제이며, 그 상단면(36a) 상에 접촉하는 반송물(21)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장치(20)의 케이스체(46)는, 프레임체(56), 상판(上板; 58), 하판(下板; 54) 및 가대(架臺; 5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체(46)의 프레임체(56)는, 금속제 프레임(52)이 가로세로로 조합되어, L자형 브래킷이나 볼트, 너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됨으로써, 외형 형상이 대략 직육면체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체(56)는, 하판(54) 상에 재치되어, 하판(54)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체(46)의 상판(58)은,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체(56) 상에 수평으로 재치되어, 프레임체(56)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판(54)의 상면(54a)과 상판(58)의 하면(58b)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판(58)에는,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2개의 관통구멍이,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형성되며, 하판(54)의 2개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체(46)의 하판(54)은,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대(50) 상에 수평으로 재치되어, 가대(5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그 하판(54)에는,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2개의 관통구멍이,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체(46)의 가대(50)는, 그 단면의 외형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각진 통형상의 금속제 프레임(52)이 가로세로로 조합되어, L자형 브래킷이나 볼트, 너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됨으로써, 외형 형상이 대략 직육면체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구조체(22) 상단부의 축심 부재(38)와, 회전구조체(24) 상단부의 축심 부재(38)는, 프레임체(56)의 상판(58)에 형성된 2개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58)의 상면(58a)의 관통구멍 근방에 부착된 베어링(6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구조체(22) 하단부의 축심 부재(38)와, 회전구조체(24) 하단부의 축심 부재(38)는, 프레임체(56)의 하판(54)에 형성된 2개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하판(54)의 하면(54b)의 관통구멍 근방에 부착된 베어링(6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구조체(22, 24)는, 프레임체(56)의 내측에 배치되어, 프레임체(56)의 상판(58), 하판(54)에 부착된 베어링(66, 6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때, 회전구조체(22, 24)는, 서로의 축심 부재(38)의 축선이 상하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체(56)의 상방과 하방에는, 상방 프레임(60)과 하방 프레임(62)이 각각 설치되며, 이것들은 상방으로부터 보면 사변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방 프레임(60)과 하방 프레임(62)의 사이이면서 또한 서로 수평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한 쌍의 프레임(52) 사이에는 투명 플라스틱의 벽판(64)이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구조체(22, 24)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그 사방 둘레가 케이스체(46)의 투명한 벽판(64)에 의해 덮여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체(56)에 대해, 그 하방에 배치된 반송물 공급측의 컨베이어(82)의 반대측에서, 상방 프레임(60)의 근방에는, 반송물 반출측의 컨베이어(84)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체(56)의 컨베이어(82)의 반대측의 벽판(64)의 내측에는 가이드 부재(4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컨베이어(82)측의 벽판(64)의, 컨베이어(82) 근방에는, 반송물(21)의 외형 사이즈보다 큰 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반송물(21)을 상기 개구를 통해 프레임체(56) 내로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48)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의 가이드면(48a)이 회전구조체(22, 24)의 2개의 축선을 포함하는 면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회전구조체(22)의 각기둥 부재(26) 하단부의 축심 부재(38)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70)의 축 구멍에 열쇠(미도시)를 통해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구조체(24)의 각기둥 부재(28) 하단부의 축심 부재(38)는, 기어(72)의 축 구멍에, 역시 열쇠(미도시)를 통해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어(70, 72)는, 서로의 톱니 수가 동일하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80)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구조체(22)의 축심 부재(38)가 회전함으로써, 기어(70)와 기어(72)는 서로의 톱니가 맞물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어(70, 72)는 서로의 톱니가 맞물림으로써 서로 연동하게 되어 있어, 기어(70)를 회전시키면 기어(72)가 동일 속도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전구조체(22, 24)도 서로 연동하게 되어 있으며, 회전구조체(22, 24)는 동일 속도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구조체(22, 24)는, 각각의 나선 형상의 나선판 부재(30, 32)가 서로 접근하는 위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단면(30a, 32a)의 최상의 높이 위치를 대략 일치시킨 상태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기둥 부재(26) 하단부의 축심 부재(38)에 고정된 기어(70)의 하측(도면 중 기어(70)의 앞쪽)에는 풀리(74)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풀리(74)의 외주에는 벨트(78)가 감아 걸려져 있다.
상기 벨트(78)는, 풀리(74)가 부착된 각기둥 부재(26)의 축심 부재(38)의 축선에 평행하게, 그리고 그 축선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된 축선을 가지는 풀리(76)의 외주에도 감아 걸려져 있다.
상기 풀리(76)는, 그 회전중심에 있어서, 회전구조체(22, 24)의 축심 부재(38)와 평행한 축선을 가지는, 모터(80)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구동축(80a)과, 열쇠(미도시)를 통해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터(80)가 그 구동축(80a)의 회전을 구동시키면, 풀리(76), 벨트(78), 풀리(74)를 통해 기어(70)에, 모터(80)의 구동축(80a)의 회전이 전해져서, 기어(70)와 기어(72)가 서로 맞물려 연동됨으로써, 회전구조체(22, 24)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2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 형상의 반송물(21)은, 이것을 반송 장치(20)에 공급하는 컨베이어(82)에 의해 운반되어, 반송방향으로 나란한 상태로 차례차례, 회전구조체(22, 24) 및 프레임체(56)의 하방으로 반송되어 온다.
그리고, 실린더(88)의 신축 로드(88a)의 신축운동에 의해 구동되어 상하이동하는 레버(86)의 단부가, 반송물(21)의 도 2 중 우측 하방 모서리부에 걸림고정되어 반송물(21)을 정지시키거나, 이탈하여 반송물(21)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동작함으로써, 반송물(21)을 1개씩, 반송 장치(20)의 프레임체(56)의 벽판(64)의 개구(미도시)로부터, 프레임체(56) 내의 최하방 위치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장치(20)의 프레임체(56) 내로 공급된 반송물(21)은, 회전구조체(22, 24)의 하방의 나선판 부재(30, 32)의 서로 접근하여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그 최상 높이 위치를 대략 일치시킨 상단면(30a, 32a) 상에 재치된다.
이때, 반송물(21)이 재치되는 회전구조체(22, 24)의 각기둥 부재(26, 28) 사이에 있어서는, 그 나선판 부재(30, 32)의 상단면(30a, 32a)은, 도 11 중의 반출측이 도 2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낮고, 도 11 중의 공급측이 도 2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게 경사져 있기 때문에, 그 위에 실리는 반송물(21)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선판 부재(30, 32)의 상단면(30a, 32a)에 그 바닥면(21a)을 접촉시켜, 기울어진 상태로 재치된다.
반송물(21)은, 회전구조체(22, 24)의 나선판 부재(30, 32)의 경사에 의해 공급측(도 2 중 좌측)으로부터 프레임체(56) 내로 공급되면, 반송물(21)의 일부(도 12 중 우측 상부)가, 프레임체(56)의 반출측의 벽판(64) 내측에 부착된 가이드 부재(48)의 가이드면(48a)에 접촉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80)의 구동축(80a)이 구동되어 회전하면, 풀리(76), 벨트(78), 풀리(74), 축심 부재(38), 기어(70, 72)를 통해, 회전구조체(22, 2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도 3은 반송 장치(20)를 하방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인 반면, 도 11은 반송 장치(20)를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구조체(22)의 각기둥 부재(26)는,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회전구조체(24)의 각기둥 부재(28)는, 각기둥 부재(26)와는 반대방향인,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구조체(22, 24)의 나선판 부재(30, 32)는, 이들의 전술된 나선감김방향으로부터, 회전구조체(22, 24)의 회전에 의해, 각기둥 부재(26, 28) 사이에 위치하여 지지되는 반송물(21)을, 도 2 및 도 12에 있어서의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구조체(22, 24)의 나선판 부재(30, 32)는, 반송물(21)이 재치되는 각기둥 부재(26, 28) 사이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물(21)의 하측으로 들어가도록 회전한다.
이 때문에, 반송물(21)은, 그 전방 상부가 가이드 부재(48)의 가이드면(48a)에 접촉하여 마찰되면서, 그리고 그 바닥면(21a)이 회전하는 나선판 부재(30, 32)의 상단면(30a, 32a) 상을 마찰되면서 상승한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반송물(21)은, 회전구조체(22, 24)가 일회전(360° 회전)할 때마다, 회전구조체(22, 24)의 피치(P)의 거리만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으며, 그 하방의 다음 나선판 부재(30, 32)의 상단면(30a, 32a) 상에는, 후속의 반송물(21)이 컨베이어(82)로부터 새롭게 공급된다.
회전구조체(22, 24)가 소정의 수만큼 회전하면, 회전구조체(22, 24)의 나선판 부재(30, 32) 상의 반송물(21)은, 프레임체(56)의 상방 프레임(60)보다 위로 상승하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48)의 가이드면(48a)에 접촉하고 있던 부분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울어져 지지되어 있던 반송물(21)은, 그 전방의 지지를 잃어, 나선판 부재(30, 32)의 상단면(30a, 32a)으로부터 그 전방으로 미끄러져 떨어져서, 반송물(21)을 반출하는 컨베이어(84) 상으로 반출된다.
이와 같이 반송 장치(20)는, 반송물(21)을 일정 간격으로, 그 높이 위치를 상승시킬 수 있어, 반송물(21)을 프레임체(56)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반송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20)에 의하면, 그 회전구조체(22, 24)가, 각기둥 부재(26, 28)와, 복수의 연결 부재(34)와, 길다란 스트립 형상 부재를 구부려 형성된 나선곡선 형상의 나선판 부재(30, 32)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제 1 및 제 2의 종래의 스크류식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한 쌍의 스크류에 비해, 무거운 날개부나 반송 지지부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반송 장치(20)의 중량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20)는, 상기와 같이 그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각기둥 부재(26, 28)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회전기구부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반송 장치(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20)는, 그 회전구조체(22, 24)가, 각기둥 부재(26, 28)와, 복수의 연결 부재(34)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길다란 스트립 형상 부재를 구부려 형성된 나선곡선 형상의 나선판 부재(30, 32)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제 1의 종래의 스크류식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가공이 대단히 힘든 한 쌍의 날개부나, 상기 제 2의 종래의 스크류식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둥근 막대 형상 부재의 단면끼리를 용접에 의해 접합할 필요가 있는 반송물 지지부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그 제조가 용이하고, 그 제조비용을 저비용으로 할 수 있어 반송 장치(20)의 고비용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20)는, 그 회전구조체(22, 24)가, 그 구성 부재인, 각기둥 부재(26, 28)와, 복수의 연결 부재(34)와, 나선판 부재(30, 32)를 용접하지 않고, 나사체결에 의해 일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 점에 있어서도, 그 제조가 용이하며, 그 제조비용을 저비용으로 할 수 있어 반송 장치(20)의 고비용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20)에 의하면, 반송 장치(20)의 내구성이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조가 용이하며, 또한 반송 장치(20)의 중량화나 고비용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9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참조하는 도면이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20)에서는, 반송물(21)의 높이 위치를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상승시켜 반송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본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90)에서는, 반송물(21)의 높이 위치를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하강시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20)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물(21)을 공급하는 컨베이어(82)는 반송 장치(20)의 높이가 낮은 측의 위치에, 반송물(21)을 프레임체(56)로부터 반출하는 컨베이어(84)는 그 높이가 높은 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었으나, 본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90)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물(21)을 공급하는 컨베이어(82)는 반송 장치(90)의 높이가 높은 측의 위치에, 반송물(21)을 프레임체(56)로부터 반출하는 컨베이어(84)는 그 높이가 낮은 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9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반송 장치(20)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박스형의 반송물(21)은, 반송 장치(90)에 반송물(21)을 공급하는 컨베이어(82)에 의해 운반되어, 반송방향으로 나란한 상태로 차례차례, 회전구조체(22, 24)의 상방으로 반송되어 온다.
그리고, 실린더(88)의 신축 로드(88a)의 신축운동에 의해 구동되어 상하이동하는 레버(86)의 단부가, 반송물(21)의 도 13 중 우측 하방 모서리부에 걸림고정되어 반송물(21)을 정지시키거나, 이탈하여 반송물(21)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동작함으로써, 반송물(21)을 1개씩, 반송 장치(90)의, 프레임체(56)의 벽판(64)의 개구(미도시)로부터, 프레임체(56) 내의 최상방 위치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장치(90)의 프레임체(56) 내에 공급된 반송물(21)은, 회전구조체(22, 24)의 상방의 나선판 부재(30, 32)의 서로 접근하여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그 최상 높이를 대략 일치시킨 상단면(30a, 32a) 상에 재치된다.
이때, 반송물(21)이 재치되는 회전구조체(22, 24)의 각기둥 부재(26, 28) 사이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20)와 마찬가지로, 그 나선판 부재(30, 32)의 상단면(30a, 32a)은, 도 14 중의 반출측의 높이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낮고, 도 14 중의 공급측의 높이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이들의 위에 실리는 반송물(21)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선판 부재(30, 32)의 상단면(30a, 32a)에 그 바닥면(21a)을 접촉시켜, 기울어진 상태로 재치된다.
반송물(21)은, 회전구조체(22, 24)의 나선판 부재(30, 32)의 경사에 의해 공급측(도 13 중 좌측)으로부터 프레임체(56) 내로 공급되면, 반송물(21)의 일부(도 15 중 우측 상부)가, 프레임체(56)의 반출측의 벽판(64) 내측에 부착된 가이드 부재(48)의 가이드면(48a)에 접촉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80)의 구동축(80a)이 구동되어 회전하면, 풀리(76), 벨트(78), 풀리(74), 축심 부재(38), 기어(70, 72)를 통해, 회전구조체(22, 2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도 3은 반송 장치(20)를 하방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인 반면, 도 14는 반송 장치(90)를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구조체(22)의 각기둥 부재(26)는,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회전구조체(24)의 각기둥 부재(28)는, 각기둥 부재(26)와는 반대방향인,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구조체(22, 24)의 나선판 부재(30, 32)는, 이러한 전술의 나선감김방향으로부터, 회전구조체(22, 24)의 회전에 의해, 각기둥 부재(26, 28) 사이에 위치하여 지지되는 반송물(21)을, 도 13 및 도 15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구조체(22, 24)의 나선판 부재(30, 32)는, 반송물(21)이 재치되는 각기둥 부재(26, 28) 사이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물(21)의 바닥면(21a)에 접촉하는 상단면(30a, 30b)의 높이 위치가 서서히 낮아져, 반송물(21)의 하측으로 들어가도록 회전한다.
이 때문에, 반송물(21)은, 그 전방 상부가 가이드 부재(48)의 가이드면(48a)에 접촉하여 마찰되면서, 그리고 그 바닥면(21a)이 회전하는 나선판 부재(30, 32)의 상단면(30a, 32a) 상을 마찰되면서 하강한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반송물(21)은, 회전구조체(22, 24)가 일회전(360° 회전)할 때마다, 회전구조체(22, 24)의 피치(P)의 거리만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으며, 그 상방의 다음 나선판 부재(30, 32)의 상단면(30a, 32a) 상에는, 후속의 반송물(21)이 컨베이어(82)로부터 새롭게 공급된다.
회전구조체(22, 24)가 소정의 수만큼 회전하면, 회전구조체(22, 24)의 나선판 부재(30, 32) 상의 반송물(21)은, 프레임체(56)의 하방 프레임(62)보다 아래로 하강하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48)의 가이드면(48a)에 접촉하고 있던 부분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울어져 지지되어 있던 반송물(21)은, 그 전방의 지지를 잃어, 나선판 부재(30, 32)의 상단면(30a, 32a)으로부터 그 전방으로 미끄러져 떨어져서, 반송물(21)을 반출하는 컨베이어(84) 상으로 반출된다.
이와 같이 반송 장치(90)는, 반송물(21)을 일정 간격으로, 그 높이 위치를 하강시킬 수 있고, 반송물(21)을 프레임체(56)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반송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90)에 의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20)와 마찬가지로, 반송 장치(90)의 내구성이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조가 용이하며, 또한 반송 장치(90)의 중량화나 고비용화를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반송 장치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20, 90)에 있어서는, 프레임체(56), 상판(58), 하판(54), 및 가대(50)에 의해 구성된 케이스체(46)의 내부에, 회전구조체(22, 24)와 가이드 부재(48)가 부착되어 있었지만, 회전구조체가 서로의 축선을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고, 또한 가이드 부재가 회전구조체의 반송물 지지부 상을 이동하는 반송물을 안내할 수 있게 되어 있다면, 다른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반송 장치(20, 90)에 있어서의 회전구조체(22, 24)는, 기어(70, 72), 풀리(74, 76) 및 벨트(78)를 통해, 모터(80)에 의해 회전이 구동되도록 되어 있었지만, 서로 동일한 속도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면 되며,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반송 장치(20, 90)에 있어서의 회전구조체(22, 24)는, 그 구성 부재인, 각기둥 부재(26, 28)와, 복수의 연결 부재(34)와, 나선판 부재(30, 32)를 나사체결에 의해 일체적으로 구성하도록 되어 있었지만, 각기둥 부재(26, 28)와 나선판 부재(30, 32)를, 나사체결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면 되며,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각기둥 부재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각기둥 부재와 나선판 부재를 나사봉(棒) 부재를 통해, 일체적으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반송 장치(20, 90)에 있어서의 각기둥 부재(26, 28)는, 그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나, 그 단면 형상이 다각형상이나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중공(中空)형상이 아닌, 중실(솔리드, 中實)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반송 장치(20, 90)에서는, 나선판 부재(30, 32)의 상단면(30a, 32a) 상에 반송물(21)을 직접 싣거나, 이들 사이에 보호 부재(36)를 통해, 나선판 부재(30, 32)의 상단면(30a, 32a) 상에 간접적으로 반송물(21)을 싣게 되어 있었지만, 반송물(21)과 나선판 부재(30, 32)의 상단면(30a, 32a)의 사이에는, 보호 부재(36) 이외의 다른 부재를 개재시키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반송 장치(20, 90)에서의 회전구조체(22, 24)의 연결 부재(34)는, 그 일단부가 각기둥 부재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대략 90도씩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90도 이외의 다른 각도만큼씩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반송 장치(20, 90)에서의 회전구조체(22, 24)의 나선판 부재(30, 32)는, 반송물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맞추어, 각기둥 부재(26, 28)와의 간격의 사이즈나 피치의 길이, 혹은 경사를 변경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반송 장치(20, 90)에 있어서의 가이드 부재(48)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회전구조체(22, 24)의 축선을 포함하는 면과 평행한 가이드면(48a)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었지만, 가이드 부재는 다수의 롤러가 평면형상으로 나란한 것이어도 좋고, 혹은 한 쌍의 회전구조체의 축선에 평행한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이어도 좋으며, 예컨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길다란 레일 부재 등, 기타의 어떠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가이드 부재는 탄성이나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를 탄성이나 가요성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가이드 부재와 일부가 접촉하여 이동하는 반송물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 장치(20, 90)에 있어서의 반송물(21)은, 길이 사이즈(L), 폭 사이즈(W), 높이 사이즈(H)를 가지는 직육면체로서, 바닥면(21a)을 가지며, 그 상단은 개구된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한 쌍의 회전구조체의 각 반송물 지지부 상에 싣고 이동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상단이 개구되어 있지 않은 것이나, 육면(六面)이 포장된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나, 혹은 박스형으로 형성되지 않은 둥근 것 등, 어떠한 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반송 장치(20, 90)에 있어서의 가대(50)나 프레임체(56)는, 그 단면의 외형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각진 통 형상의 금속제 프레임(52)이 가로세로로 조합되어, L자형 브래킷이나 볼트, 너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됨으로써, 외형 형상이 대략 직육면체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등변(等邊)의 산(山) 형상 강(鋼)의 앵글이 가로세로로 조합되고, 서로의 접촉 부분이 용접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외형 형상이 대략 직육면체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반송 장치(20, 90)에 있어서의 컨베이어(82, 84)는, 도 2 및 도 9에 있어서 수평방향에 대해 각도를 준 상태로 배치되어 있었지만,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반송 장치에 반송물을 공급하거나, 반송 장치로부터 반송물을 반출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라면, 다른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20 : 반송 장치
21: 반송물
21a : 바닥면
22, 24 : 회전구조체
26, 28 : 각기둥 부재
26a, 28a : 오목부
26b, 28b : 외측면
30, 32 : 나선판 부재
30a, 32a : 상단면
30b, 32b : 암나사구멍
30c, 32c : 내측 원호면
30d, 32d : 외측 원호면
34 : 연결 부재
34a : 제 1 단판부
34b : 제 2 단판부
34c : 연결판부
34d : 긴 구멍
34e : 관통구멍
36 : 보호 부재
36a : 상단면
38 : 축심 부재
39 : 너트 부재
40 : 수나사 부재
41 : 너트
42 : 수나사 부재
43 : 너트
44 : 스프링 와셔
45 : 평와셔
46 : 케이스체
48 : 가이드 부재
48a : 가이드면
50 : 가대
52 : 프레임
54 : 하판
54a : 상면
54b : 하면
56 : 프레임체
58 : 상판
58a : 상면
58b : 하면
60 : 상방 프레임
62 : 하방 프레임
64 : 벽판
66, 68 : 베어링
70, 72 : 기어
74, 76 : 풀리
78 : 벨트
80 : 모터
80a : 구동축
82, 84 : 컨베이어
86 : 레버
88 : 실린더
88a : 신축 로드
90 : 반송 장치
H : 높이 사이즈
L : 길이 사이즈
P : 피치
W : 폭 사이즈

Claims (3)

  1.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서로의 축선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기둥 형상 부재와,
    길다란 스트립(strip, 帶板) 형상 부재가 절곡되어, 나선감김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인 한 쌍의 나선곡선을 따르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기둥 형상 부재 각각의 둘레에 상기 기둥 형상 부재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기둥 형상 부재와 그 두께방향의 내측의 면이 대향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나선판 부재와,
    상기 한 쌍의 기둥 형상 부재 각각의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 평행한 면 또는 부분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그 일단부가 상기 기둥 형상 부재에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나선판 부재에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된 복수의 연결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3. 삭제
KR1020147000643A 2013-03-19 2013-10-15 반송 장치 KR101553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57259 2013-03-19
JP2013057259A JP5547320B1 (ja) 2013-03-19 2013-03-19 搬送装置
PCT/JP2013/077914 WO2014147877A1 (ja) 2013-03-19 2013-10-15 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794A KR20140127794A (ko) 2014-11-04
KR101553935B1 true KR101553935B1 (ko) 2015-09-17

Family

ID=5140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643A KR101553935B1 (ko) 2013-03-19 2013-10-15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47320B1 (ko)
KR (1) KR101553935B1 (ko)
CN (1) CN104379473B (ko)
TW (1) TWI504549B (ko)
WO (1) WO2014147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53438B1 (en) * 2015-10-07 2019-11-20 Roche Diagniostics GmbH Laboratory distribution system for conveying test tube holders
EP3196648B1 (en) 2016-01-22 2021-03-31 Roche Diagniostics GmbH Device for lifting a sample tube
EP3196655B1 (en) 2016-01-22 2020-11-25 Roche Diagniostics GmbH Laboratory sample container carrier handling apparatus and laboratory system
EP3196654B1 (en) 2016-01-22 2023-06-21 Roche Diagnostics GmbH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sample tubes between a laboratory automation system and a sample archiving system
WO2018207673A1 (ja) * 2017-05-10 2018-11-15 日立化成株式会社 搬送装置
CN108033192A (zh) * 2018-01-26 2018-05-15 上海共杰机械有限公司 双轴螺旋式升降机
KR102105183B1 (ko) * 2018-11-01 2020-05-29 이광열 이송스크류
CN113213080A (zh) * 2021-05-25 2021-08-06 上海扩博智能技术有限公司 板材存储装置及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3922791B1 (ko) * 1962-02-02 1964-10-14
JPS5730100Y2 (ko) * 1975-02-08 1982-07-01
JPS59195118U (ja) * 1983-06-10 1984-12-25 麒麟麦酒株式会社 容器昇降装置
DE4305941A1 (de) * 1993-02-26 1994-09-01 Amazonen Werke Dreyer H Fördereinrichtung
JP3024894B2 (ja) * 1993-12-02 2000-03-27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
FR2774545B1 (fr) * 1998-01-30 2003-05-30 Etia Evaluation Technologique Dispositif de transfert et de traitement thermique de solides divises
EP2287094B1 (en) * 2006-09-25 2013-05-29 Specialty Conveyor B.V. Conveyor with a curved transport path
JP4474618B2 (ja) * 2008-03-18 2010-06-09 オリオン機械工業株式会社 製品集積装置
JP2010069581A (ja) * 2008-09-19 2010-04-02 Tekutowan:Kk シリーズに連設したスパイラルコンベアを用いた切削廃棄物の搬送装置
JP3158423U (ja) * 2009-12-21 2010-04-02 孝雄 細井 垂直型搬送装置
JP3179474U (ja) * 2012-08-23 2012-11-01 株式会社ミシナ 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79473B (zh) 2016-08-17
TWI504549B (zh) 2015-10-21
JP5547320B1 (ja) 2014-07-09
JP2014181116A (ja) 2014-09-29
TW201446621A (zh) 2014-12-16
CN104379473A (zh) 2015-02-25
KR20140127794A (ko) 2014-11-04
WO2014147877A1 (ja)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935B1 (ko) 반송 장치
JP6706745B2 (ja) 移載装置
JP6140467B2 (ja)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AU2007302032B2 (en) Conveyor
KR102129539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
JP2010189094A (ja) 搬送物品の一時保管装置
JP3179474U (ja) 搬送装置
KR101346277B1 (ko) 컨베이어 가이드 이송 장치
JP3163131U (ja) スクリュー式上下方向搬送装置
CN205365682U (zh) 一种简易货物运送装置
US20130037382A1 (en) Device for orienting objects and installation comprising such a device
JP5249464B1 (ja) 搬送装置
KR101270532B1 (ko) 패널 이송용 컨베이어
JP2013245106A (ja) フック式搬送コンベヤ
CN210339227U (zh) 一种皮带传送转弯机
KR100916599B1 (ko) 스파이럴 컨베이어
KR101895376B1 (ko) 포장박스용 반전기
CN209567422U (zh) 一种防积料的刮板输送机
KR20090072129A (ko) 사행 보정 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
JP6007362B2 (ja) コンベア装置及びコンベア設備
CN208007883U (zh) 一种不锈钢餐具送料装置
CN218930729U (zh) 一种方管震动输送机
US10829306B2 (en) Transport group for container sterilization apparatuses
KR20090006177U (ko) 체인 콘베이어
KR20120114942A (ko) 방향 전환/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