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950B1 - 물품 분류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950B1
KR102646950B1 KR1020220090653A KR20220090653A KR102646950B1 KR 102646950 B1 KR102646950 B1 KR 102646950B1 KR 1020220090653 A KR1020220090653 A KR 1020220090653A KR 20220090653 A KR20220090653 A KR 20220090653A KR 102646950 B1 KR102646950 B1 KR 102646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bracket
coupled
roller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6500A (ko
Inventor
강원부
이주학
박수동
김대운
Original Assignee
인터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터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0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950B1/ko
Publication of KR20230136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4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 B65G47/96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 B65G47/962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tilt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using arrangements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20Arrangements of rollers attached to mov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85Postal items, e.g. letters, parc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Abstract

물품 분류 장치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스프로킷, 상기 스프로킷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 중심에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스프로킷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체인을 포함하는 체인 컨베이어 유닛; 상기 체인에 결합되며 체인에 대하여 회동되게 결합된 회동 부재;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양쪽 단부에 한 쌍의 제1 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회동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브라켓부 및 상기 제1 브라켓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양쪽 단부에 한 쌍의 상기 제1 롤러와 어긋나게 제2 롤러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동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브라켓부를 갖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트레이 브라켓 및 상기 트레이 브라켓에 결합되어 물품을 수납하는 물품 트레이를 포함하는 트레이 유닛; 한 쌍의 상기 제1 롤러들 중 상기 스프로킷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롤러의 이동 궤적과 동일한 궤적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된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곡면부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접촉되는 제1 롤러와 인접하며 상기 제2 롤러들 중 상기 체인의 바깥쪽에 배치된 제2 롤러의 이동 궤적과 동일한 궤적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된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은 나란하게 배치된 제1 체인부 및 제2 체인부를 포함하며, 상부에 배치된 제1 체인부의 하측에는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들 중 하부에 배치된 제2 롤러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레일이 배치되고, 하부에 배치된 제2 체인부의 하측에는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들 중 하부에 배치된 제2 롤러를 지지하는 제2 지지 레일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 레일 및 상기 제2 지지 레일은 상기 브라켓 및 상기 체인의 처짐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물품 분류 장치{PRODUCT SORTING DEVICE}
본 발명은 물품 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품을 체인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이송하면서 물품을 지정된 위치에 분류할 수 있는 물품 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은 사이즈를 갖는 우편물, 택배 물품 등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컨베이어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종래에는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된 컨베이어의 일부에 분류될 물품을 배치하고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물품을 분류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5-0006092호, 개선된 마찰 구동 모터 조립체를 가진 고효율 분류컨베이어(공개일자 2015년 01월 15일)에는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된 컨베이어에 물품을 투입하여 물품을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하면서 물품을 분류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개선된 마찰 구동 모터 조립체를 가진 고효율 분류컨베이어는 컨베이어를 지면에 대하여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물품을 이송 및 분류하기 때문에 많은 컨베이어가 지나치게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컨베이어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고 컨베이어를 구동하기 위해 많은 구성이 필요해 설비 비용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공개특허 제10-2015-0006092호, 개선된 마찰 구동 모터 조립체를 가진 고효율 분류컨베이어(공개일자 2015년 01월 15일)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하고 컨베이어 벨트에 물품을 수납 및 분류하기 위한 분류 트레이를 장착한 상태에서 분류 트레이가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될 때 분류 트레이의 반전 없이 분류 트레이가 지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물품을 이송 및 분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컨베이어의 전체 길이를 최소화 시키며, 구동 부품을 최소화하여 설비 비용을 크게 단축시킨 물품 분류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물품 분류 장치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스프로킷, 상기 스프로킷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 중심에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스프로킷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체인을 포함하는 체인 컨베이어 유닛; 상기 체인에 결합되며 체인에 대하여 회동되게 결합된 회동 부재;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양쪽 단부에 한 쌍의 제1 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회동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브라켓부 및 상기 제1 브라켓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양쪽 단부에 한 쌍의 상기 제1 롤러와 어긋나게 제2 롤러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동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브라켓부를 갖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트레이 브라켓 및 상기 트레이 브라켓에 결합되어 물품을 수납하는 물품 트레이를 포함하는 트레이 유닛; 한 쌍의 상기 제1 롤러들 중 상기 스프로킷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롤러의 이동 궤적과 동일한 궤적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된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곡면부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접촉되는 제1 롤러와 인접하며 상기 제2 롤러들 중 상기 체인의 바깥쪽에 배치된 제2 롤러의 이동 궤적과 동일한 궤적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된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은 나란하게 배치된 제1 체인부 및 제2 체인부를 포함하며, 상부에 배치된 제1 체인부의 하측에는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들 중 하부에 배치된 제2 롤러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레일이 배치되고, 하부에 배치된 제2 체인부의 하측에는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들 중 하부에 배치된 제2 롤러를 지지하는 제2 지지 레일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 레일 및 상기 제2 지지 레일은 상기 브라켓 및 상기 체인의 처짐을 방지한다.
물품 분류 장치의 상기 곡면부에서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에 접촉되며, 상기 곡면부에서 상기 제1 브라켓부는 상기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분류 장치에 의하면 컨베이어 벨트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하고 컨베이어 벨트에 물품을 수납 및 분류하기 위한 분류 트레이를 장착한 상태에서 분류 트레이가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될 때 분류 트레이의 반전 없이 분류 트레이가 지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물품을 이송 및 분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컨베이어의 전체 길이를 최소화 시키며, 구동 부품을 최소화하여 설비 비용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 분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체인 컨베이어 유닛을 발췌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브라켓의 'A' 방향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방향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및 체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1 롤러를 발췌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가이드 부재 및 제2 롤러를 발췌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 분류 장치에서 브라켓이 자세를 유지하면서 반전없이 체인의 곡면부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특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특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특허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 분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물품 분류 장치(700)는 체인 컨베이어 유닛(100), 회동 부재(200), 브라켓(300), 트레이 유닛(400), 제1 가이드 부재(500), 제2 가이드 부재(600)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체인 컨베이어 유닛을 발췌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체인 컨베이어 유닛(100)은 한 쌍의 스프로킷(110,120), 회전축(130) 및 체인(140)을 포함한다.
스프로킷(110,1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스프로킷(120)들은 지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다.
회전축(130)은 한 쌍의 스프로킷(110,120)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회전축(130)은 한 쌍의 스프로킷(110,120)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스프로킷(11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회전축(13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 발생 유닛(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회전력 발생 유닛은, 예를 들어, 모터, 감속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스프로킷(110,120)들에 결합된 체인(140)은 회전축(13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며, 체인(140)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회동 부재(200)는 체인(140)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다. 회동 부재(200)는 체인(14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스프로킷(110,120)과의 간섭이 방지된다. 회동 부재(200)는 체인(140)에 대하여 회동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체인(140) 중 스프로킷(110,120)과 접촉되는 부분은 곡면부(142)로서 정의되고, 체인(140) 중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부분을 제1 체인부(144) 및 제2 체인부(146)로서 정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스프로킷(110,120)은 상호 마주하게 한 쌍이 각각 배치되고, 각 스프로킷(110,120)에 2개의 체인(140)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2개의 체인(140) 사이에는 후술될 물품 트레이 유닛(4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브라켓의 'A' 방향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방향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300)은 제1 브라켓부(310) 및 제2 브라켓부(320)를 포함한다.
제1 브라켓부(310)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브라켓부(310)는 지면에 대하여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1 브라켓부(310)는 강성이 높아 쉽게 변형되지 않는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브라켓부(310)에는 한 쌍의 제1 롤러(315)들이 결합된다. 제1 롤러(315)들은 제1 브라켓부(310)에 대하여 회전되게 제1 브라켓부(310)의 양쪽 단부에 회전축을 매개로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315)는 제1 브라켓부(310)의 표면으로부터 D1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제2 브라켓부(320)는 제1 브라켓부(310)에 결합되며, 제2 브라켓부(320)는 제1 브라켓부(310)에 대하여 수직하게 결합된다. 즉, 제2 브라켓부(320)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브라켓부(310)는 제1 롤러(315)가 배치되는 제1 브라켓부(310)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외측면에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롤러(325)는 제2 브라켓부(410)의 외측면으로부터 D1의 간격보다 좁은 D2(D2<D1)의 간격으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제2 브라켓부(320)의 외측면에는 회동 부재(200)가 결합되는데, 회동 부재(200)는 제2 브라켓부(3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회동 부재(200)에 의하여 제2 브라켓부(320)는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체인(140)에 대하여 회동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및 체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회동 부재(200)에는 체인(140)이 결합되고, 이로 인해 체인(140)이 스프로킷(110,120)에 의하여 회전 되면 브라켓(300)도 체인(140)을 따라 회동된다.
한편, 브라켓(300)이 체인(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300)을 지지하지 않을 경우 브라켓(300) 및 체인(140)의 처짐이 발생되기 때문에 브라켓(300)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체인(140) 중 제1 체인부(144)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1 체인부(144)와 나란한 제1 지지 레일(350)이 배치 되고, 제2 체인부(146)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1 체인부(146)와 나란한 제2 지지 레일(360)이 배치된다.
제1 및 제2 지지 레일(350,360)들은 각각 제1 롤러(315)를 지지하는 제1 롤러 지지부(352,362) 및 제2 롤러(325)를 지지하는 제2 롤러 지지부(354,364)를 포함한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트레이 유닛(400)은 트레이 브라켓(410) 및 물품 트레이(420)를 포함한다.
트레이 브라켓(410)은 제1 브라켓부(310)의 중앙부에 결합 기둥을 매개로 결합되며, 물품 트레이(420)는 트레이 브라켓(410)에 결합된다.
물품 트레이(420)에는 물품이 배치된다. 물품 트레이(420)는 수납된 물품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물품 트레이(420)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 구조를 갖는다.
물품 트레이(420)에는 물품 트레이(42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켜 물품 트레이(420)에 수납된 물품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배출 유닛은 물품 트레이(420)의 하부에 배치되며, 물품 트레이(420)를 하부에서 상부로 밀어 올리는 푸셔 및 상기 푸셔를 물품 트레이(42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푸셔 이송 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십자 형태를 갖고 제1 롤러(315) 및 제2 롤러(325)를 갖는 브라켓(300) 및 물품 트레이(420)가 도 2에 도시된 체인(140)의 곡면부(142)에서 뒤집히지 않고 지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로킷(110,120)과 인접한 위치에는 각각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500,600)들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일측 스프로킷(110)의 외측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500, 600)들이 배치되고, 타측 스프로킷(120)의 외측에도 제1 및 제 2 가이드 부재(500,600)들이 배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1 롤러를 발췌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 부재(5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가이드 부재(500)는 체인(140)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제1 가이드 부재(500)는 제1 브라켓부(310)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롤러(315)들에 형성된 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제1 가이드 부재(500)에는 오목한 홈 형상을 갖는 제1 가이드부(51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홈 형상을 갖는 제1 가이드부(510)는 제1 브라켓부(310)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롤러(315)들 중 체인(140)의 곡면부(142)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1 롤러의 이동 궤적과 동일한 곡선 궤적을 갖는다.
따라서 체인(140)의 곡면부(142)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1 롤러는 체인(140)의 곡면부(142)에서 제1 가이드부(510)의 테두리와 접촉되면서 이동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가이드 부재 및 제2 롤러를 발췌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가이드 플레이트(6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가이드 부재(600)는 체인(140)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 가이드 부재(600)는 제1 가이드 부재(500)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제2 가이드 부재(600)는 제2 브라켓부(320)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롤러(325)들에 형성된 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2 가이드 부재(600)에는 오목한 홈 형상을 갖는 제2 가이드부(610)가 형성된다.
홈 형상을 갖는 제2 가이드부(610)는 체인(140)의 곡면부(142)에서 제1 가이드부(610)와 접촉되는 제1 롤러와 인접하면서 한 쌍의 제2 롤러(325) 중 체인(140)의 바깥쪽에 배치된 제2 롤러의 이동 궤적과 동일한 곡선 궤적을 갖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 분류 장치에서 브라켓이 자세를 유지하면서 반전없이 체인의 곡면부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브라켓(300)이 도 9에 도시된 곡면부인 I 영역으로 진입하면 제1 브라켓부(310)에 장착된 한 쌍의 제1 롤러들 중 체인(140)의 외부에 배치된 제1 롤러(315a)는 제1 가이드 부재(500)의 제1 가이드부(510)과 접촉되면서 가이드 된다.
이어서 체인(140)이 보다 회전되면 제2 브라켓(320)에 장착된 한 쌍의 제2 롤러들 중 체인(140)의 외부에 배치된 제2 롤러(325a)는 제2 가이드 부재(600)의 제2 가이드부(610)와 접촉되면서 가이드 된다.
이때, A 지점 및 B 지점에서 제1 롤러(315a) 및 제2 롤러(325a)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510,610)에 접촉된 상태에서 브라켓(300)이 이동되기 때문에 브라켓(300)은 체인(140)의 곡면부에서 자세를 유지하면서 이동된다.
한편, 체인이 회전되어 브라켓(300)이 II 영역으로 진입하면 제1 브라켓부(310)에 장착된 제1 롤러(315a)는 제1 가이드부(510)와 계속 접촉되는 반면, 제2 브라켓부(310)에 장착된 제2 롤러(325a)는 제2 가이드부(610)로부터 이격되고, 반대쪽인 제2 롤러(325b)는 제2 가이드부(610)에 접촉된다.
따라서 C 지점 및 D 지점에서 제1 롤러(315a) 및 제2 롤러(325b)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510,610)에 접촉된 상태에서 브라켓(300)이 이동되기 때문에 브라켓(300)은 체인(140)의 곡면부에서 자세를 유지하면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브라켓(300)이 체인(14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지만 반대로 브라켓(300)이 체인(14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과정도 동일하게 진행되는 바,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물품 분류 장치에 의하면 컨베이어 벨트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하고 컨베이어 벨트에 물품을 수납 및 분류하기 위한 분류 트레이를 장착한 상태에서 분류 트레이가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될 때 분류 트레이의 반전 없이 분류 트레이가 지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물품을 이송 및 분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컨베이어의 전체 길이를 최소화 시키며, 구동 부품을 최소화하여 설비 비용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체인 컨베이어 유닛 200...회동 부재
300...브라켓 400...트레이 유닛
500...제1 가이드 부재 600...제2 가이드 부재

Claims (2)

  1.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스프로킷, 상기 스프로킷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 중심에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스프로킷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체인을 포함하는 체인 컨베이어 유닛;
    상기 체인에 결합되며 체인에 대하여 회동되게 결합된 회동 부재;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양쪽 단부에 한 쌍의 제1 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회동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브라켓부 및 상기 제1 브라켓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양쪽 단부에 한 쌍의 상기 제1 롤러와 어긋나게 제2 롤러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동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브라켓부를 갖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트레이 브라켓 및 상기 트레이 브라켓에 결합되어 물품을 수납하는 물품 트레이를 포함하는 트레이 유닛;
    한 쌍의 상기 제1 롤러들 중 상기 스프로킷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롤러의 이동 궤적과 동일한 궤적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된 제1 가이드 부재; 및
    곡면부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접촉되는 제1 롤러와 인접하며 상기 제2 롤러들 중 상기 체인의 바깥쪽에 배치된 제2 롤러의 이동 궤적과 동일한 궤적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된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은 나란하게 배치된 제1 체인부 및 제2 체인부를 포함하며,
    상부에 배치된 제1 체인부의 하측에는 상기 제1 롤러들과 상기 제2 롤러들 중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된 제2 롤러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레일이 배치되고,
    하부에 배치된 제2 체인부의 하측에는 상기 제1 롤러들과 상기 제2 롤러들 중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된 제2 롤러를 지지하는 제2 지지 레일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 레일 및 상기 제2 지지 레일은 상기 브라켓 및 상기 체인의 처짐을 방지하는 물품 분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에서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에 접촉되며,
    상기 곡면부에서 상기 제1 브라켓부는 상기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물품 분류 장치.
KR1020220090653A 2022-03-18 2022-07-21 물품 분류 장치 KR102646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653A KR102646950B1 (ko) 2022-03-18 2022-07-21 물품 분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751A KR102425593B1 (ko) 2022-03-18 2022-03-18 수직형 물품 분류 장치
KR1020220090653A KR102646950B1 (ko) 2022-03-18 2022-07-21 물품 분류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751A Division KR102425593B1 (ko) 2022-03-18 2022-03-18 수직형 물품 분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500A KR20230136500A (ko) 2023-09-26
KR102646950B1 true KR102646950B1 (ko) 2024-03-13

Family

ID=8270128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751A KR102425593B1 (ko) 2022-03-18 2022-03-18 수직형 물품 분류 장치
KR1020220049377A KR102646949B1 (ko) 2022-03-18 2022-04-21 체인 컨베이어를 이용한 물품 분류 장치
KR1020220090653A KR102646950B1 (ko) 2022-03-18 2022-07-21 물품 분류 장치
KR1020220090654A KR102646951B1 (ko) 2022-03-18 2022-07-21 물품 트레이를 갖는 수직형 물품 분류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751A KR102425593B1 (ko) 2022-03-18 2022-03-18 수직형 물품 분류 장치
KR1020220049377A KR102646949B1 (ko) 2022-03-18 2022-04-21 체인 컨베이어를 이용한 물품 분류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654A KR102646951B1 (ko) 2022-03-18 2022-07-21 물품 트레이를 갖는 수직형 물품 분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425593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18020B (zh) * 2010-08-04 2016-01-21 Daifuku Kk Items sorting equipment
KR20120114113A (ko) * 2011-04-06 2012-10-16 주식회사 삼원테크 롤러체인 컨베이어
US8851267B2 (en) 2012-03-26 2014-10-07 Mantissa Corporation High efficiency sorting conveyor with improved friction drive motor assembly
KR20150141857A (ko) * 2014-06-10 2015-12-21 효원기계(주) 물품의 수직 상하 이송장치
JP5743361B1 (ja) * 2014-09-24 2015-07-01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仕分装置およびスラット
KR102424281B1 (ko) * 2020-01-29 2022-07-22 주식회사 인스턴 체인 지지롤러가 배열된 로터리형 자동창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501A (ko) 2023-09-26
KR102425593B1 (ko) 2022-07-27
KR20230136492A (ko) 2023-09-26
KR20230136500A (ko) 2023-09-26
KR102646949B1 (ko) 2024-03-13
KR102646951B1 (ko) 202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6222B1 (ko)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
US10450146B2 (en) Automatic article sorting conveyor apparatus
AU2007302032B2 (en) Conveyor
US7565966B2 (en) Transporter/sorter and transport box
US20060254883A1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US6293387B1 (en) Carrier, carrier orientation and conveying structure, carrier line system assembly, and carrier process
US5360102A (en) Belt conveyor with rotary guides for marginal portions of the belt
KR20180014679A (ko) 방향전환장치를 갖는 컨베이어
US4850472A (en) Conveyor apparatus
JPH0676136B2 (ja) 搬送装置
JP6937592B2 (ja) コンベヤ装置
JPH06191617A (ja) 容器搬送装置
KR102646950B1 (ko) 물품 분류 장치
US9656810B1 (en) Tilted conveyor systems and related methods
AU2016354925A1 (en) Conveying system
US11339006B2 (en) Alignment device for a conveyor
JPH02239026A (ja) トレイ積み重ね装置
JP4269838B2 (ja) 物品の方向変更装置
JP2001199514A (ja) トレー式物品搬送装置
US6742778B2 (en) Signature hopper loader
JP2005247489A (ja) 姿勢変更搬送装置
JP2021120315A (ja) 搬送装置および自動倉庫システム
US11787643B2 (en) Diverting equipment
US3207288A (en) Converger and stacker for cookies
CN218230466U (zh) 容器侧搭输送装置及其输送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