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129A - 사행 보정 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행 보정 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129A
KR20090072129A KR1020070140136A KR20070140136A KR20090072129A KR 20090072129 A KR20090072129 A KR 20090072129A KR 1020070140136 A KR1020070140136 A KR 1020070140136A KR 20070140136 A KR20070140136 A KR 20070140136A KR 20090072129 A KR20090072129 A KR 20090072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upport
conveyor system
return belt
corr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수호
문성룡
최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140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2129A/ko
Publication of KR20090072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83Position of the loa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대향 마련된 풀리와, 상기 대향 마련된 풀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원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캐리어 벨트와, 원료가 이송된 캐리어 벨트를 리턴하기 위한 리턴 벨트와, 상기 리턴 벨트의 위치를 보정하는 사행 보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행 보정 장치는 수평으로 회전하면서 리턴 벨트의 양 측부를 눌러주어 리턴 벨트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컨베이어 시스템에 구비된 벨트가 사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벨트 및 그와 인접한 설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원료, 캐리어 벨트, 리턴 벨트, 롤러, 사행 방지 장치

Description

사행 보정 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APPARATUS FOR PREVENTING THE BELT AND CONVEYOR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를 수송하는 벨트가 사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체 특히, 제철 공장의 여러 라인에서는 예컨데 원료 등을 운반하기 위해 라인으로 형성되는 상당히 많은 컨베이어 시스템을 사용하게 된다.
종래 컨베이어 시스템은 수평 또는 경사로 된 긴 프레임의 양 끝에 설치된 풀리에 벨트를 감아 걸어 벨트의 상부에 원료를 적재하고, 원료가 적재된 벨트를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이동시켜 적재된 원료를 또 다른 컨베이어 시스템 또는 목적지로 수송한다.
하지만, 컨베이어 시스템은 원료를 수송하기 위해 벨트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힘의 불균형 또는 원료에 의한 무게 중심의 변화로 인해 벨트가 중심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탈하는 사행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벨트가 사행이 발생된 상태에서 원료를 운반하면, 벨트 또는 그와 인접한 설비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벨트의 상부에 적재된 원료가 사행된 벨트의 상부에서 낙 광하여 환경 오염과 더불어 낙광된 원료에 의해 주변 설비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사행된 벨트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작업이 중단되면, 공급되는 원료의 성분 편차가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브랜딩광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료를 수송하는 벨트가 사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대향 마련된 풀리와, 상기 대향 마련된 풀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원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캐리어 벨트와, 원료가 이송된 캐리어 벨트를 리턴하기 위한 리턴 벨트와, 상기 리턴 벨트의 위치를 보정하는 사행 보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행 보정 장치는 수평으로 회전하면서 리턴 벨트의 양 측부를 눌러주어 리턴 벨트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행 보정 장치는 대향 이격 배치된 프레임과, 상기 대향 이격 배치된 프레임 사이에 프레임의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부에 연결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하부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롤러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스탠드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하부로 연장되어 대향 이격 배치되는 사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지지대의 상부에 회동축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롤러는 지지대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지지대의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향 마련된 사이드 롤러 사이의 거리는 리턴 벨트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폭 방향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의 하부 중심부 에는 지지대와 평행하게 마련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벨트가 사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벨트 및 그와 인접한 설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행된 벨트에서 원료가 낙광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환경 오염 및 원료의 낙광에 의해 주변 설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중단 없이 원료를 균일하게 공급함으로써, 공급되는 원료의 성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행 보정 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행 보정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행 보정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원료를 공급하는 빈(Bin, 100)과, 상기 빈(100)의 하부에 마련된 이송부(200)와, 상기 이송부(200) 의 일측에 마련된 사행 보정 장치(300)를 포함한다.
빈(100)은 원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내부에는 원료를 저장하는 소정 공간이 마련된다. 빈(100)의 하부에는 저장된 원료를 절출하여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빈(10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료를 절출하여 분사할 수 있는 구성은 어떠한 구성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빈(100)의 하부에는 빈(100)으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이송하기 이송부(200)가 마련된다. 이러한 이송부(200)는 대향하여 이격 마련된 풀리(Pulley, 210)와, 상기 대향하여 마련된 풀리(210)를 감싸도록 감겨진 벨트(230)를 포함한다. 풀리(210)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긴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향 마련된 풀리(210)에 감겨진 벨트(23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풀리(210)에는 풀리(21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 부재(220)가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 부재(220)가 연결되지 않은 풀리(210)는 자유 구름 롤러가 사용될 수 있다. 즉, 구동 부재(220)가 연결된 풀리(212)를 회전시키면, 대향 마련된 풀리(212, 214)를 감싸고 있는 벨트(230)는 회전하게 되며, 구동 부재(220)가 연결되지 않은 풀리(214)는 벨트(230)의 회전력에 의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부재(220)로는 모터 등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부재(220)는 대향 마련된 풀리(210)에 모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벨트(230)는 대향 마련된 풀리(210)에 감겨져 있으며, 구체적으로 대향 마련된 풀리(210)의 상부, 외측 및 하부를 감싸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벨트(230)는 원료를 적재하여 이송하는 캐리 어(Carrier) 벨트(232)와, 원료를 공급한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리턴(Return) 벨트(234)를 포함한다. 캐리어 벨트(232)는 풀리(210)의 상부면에 마련되어 빈(100)으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빈(100)의 하방에 마련된 풀리(212)에서 대향 마련된 또 다른 풀리(214)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리턴 벨트(234)는 풀리(210)의 하부에 마련되며, 캐리어 벨트(232)가 이동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사행 보정 장치(300)는 캐리어 벨트(232)와 리턴 벨트(234) 사이에 마련되며, 캐리어 벨트(232)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사행이 발생될 경우, 리턴 벨트(234)의 양 측부를 동일한 힘으로 눌러 사행된 리턴 벨트(234)를 보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사행 보정 장치(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여 이격 마련된 프레임(310)과, 대향하여 이격 마련된 프레임(310) 사이에 연결되는 베이스 부재(320)와, 상기 베이스 부재(320)의 하부에 마련된 회동축(330)과, 상기 회동축(330)의 하부에 마련된 롤러 스탠드(340)를 포함한다.
프레임(310)은 리턴 벨트(234)의 양측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리턴 벨트(234)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리턴 벨트(234)의 양측부에 배치된 프레임(310) 사이에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 부재(320)가 연결되며, 이러한 베이스 부재(320)는 대향 배치된 프레임(310) 상부 측벽에 프레임(310)과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다. 물론, 베이스 부재(320)는 대향하는 프레임(310)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320)의 하방에는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형 형상의 회동축(330)이 마련되어 있으며, 회동축(330)은 베이스 부재(320)의 하부면 중심 영역에 결합된다. 회동축(330)의 하방에는 롤러 스탠드(340)가 마련되며, 롤러 스탠드(340)는 지지대(342)와, 상기 지지대(342)의 하부에 마련되어 대향하여 이격 배치된 사이드 롤러(344)와, 사이드 롤러(344)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346)를 포함한다. 지지대(342)의 상부는 회동축(330)의 하부와 연결되며, 이러한 회동축(330)의 회전에 의해 지지대(342)는 회동축(330)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전된다. 지지대(342)의 하부에는 사이드 롤러(344)가 마련되며, 사이드 롤러(344)를 고정하도록 고정 부재(346)가 지지대(342)와 연결되어 마련된다. 여기서, 고정 부재(346)는 사이드 롤러(344)를 고정하는 동시에 지지대(342)에 연결되어 좌우로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선회할 수 있다. 물론, 360도 회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사이드 롤러(344)는 지지대(344)의 하부면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되도록 배치된다. 대향 배치된 사이드 롤러(344) 사이에는 리턴 벨트(234)가 배치되며, 대향 배치된 사이드 롤러(344) 사이의 거리는 리턴 벨트(234)의 이동 방향의 수직을 이루는 리턴 벨트(234)의 폭보다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대향 배치된 사이드 롤러(344)는 리턴 벨트(234)의 양측부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리턴 벨터(234)의 양 측부를 눌러 주는 역할을 하고, 이로 인해 대향 배치된 사이드 롤러(344) 사이에 배치된 리턴 벨트(234)는 중심부가 상부로 볼록한 형태의 곡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리턴 벨트(234)의 양측부에 배치된 사이드 롤러(344)는 이동중인 리턴 벨트(234)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자유 구름 롤러로 형성될 수 있다.
적재된 원료를 이동시키는 동안 캐리어 벨트(232)가 사행이 발생되면, 원료를 공급하고 난 후 리턴하는 리턴 벨트(234)는 사행된 채 이동하게 된다. 사행된 리턴 벨트(234)가 사행 보정 장치(300)의 롤러 스탠드(340) 사이에 도착하면, 지지대(342)는 지지대(342)의 상부에 연결된 회동축(330)에 의해 좌우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이드 롤러(344)는 좌우로 선회되면서 사행된 리턴 벨트(234)의 양측부를 눌러주어 사행된 리턴 벨트(234)를 사행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종래에는 캐리어 벨트에서 사행이 발생되면, 리턴 벨트에서도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로 이동되었다. 이로 인해 캐리어 벨트는 사행된 채로 원료를 이동시켰으며, 이에 의해 벨트가 파손되거나 캐리어 벨트에 적재된 원료가 낙향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주변 설비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사행 보정 장치에 의해 사행된 리턴 벨트를 보정하였다. 이로 인해 캐리어 벨트에서 사행이 발생할 경우, 사행된 리턴 벨트를 지속적으로 보정해 줌으로써, 원료를 이송하는 캐리어 벨트가 항상 원위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에서는 베이스 부재의 하부에 하나의 회동 가능한 지지대를 설치하였지만, 사행된 리턴 벨트의 보정 효율을 높이기 위해 베이스 부재의 하부에 회동 가능한 다수의 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지지대의 하부에는 지지대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된 2개의 사이드 롤러를 대향하도록 배치하였지만, 2개 이상의 사이드 롤러를 마련하여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행 보정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30) 하부면의 양 가장자리에는 지지대(330)의 외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가 형성된 사이드 롤러(344)가 대향 배치되며, 지지대(342)의 하부 중심부에는 롤러(364)가 더 마련된다. 롤러(364)는 지지대(342)의 하부면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대(342)의 하부면과 이격 배치되며, 이격 배치된 롤러(364)를 고정하도록 고정 부재(362)가 지지대(342)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즉, 사행된 리턴 벨트(234)의 사행을 보정하는 동안 지지대(342)의 하부 중심부에 설치된 롤러(364)는 중심 부분이 볼록한 리턴 벨트(364)의 상부면에 접촉됨으로써, 리턴 벨트(234)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사행된 리턴 벨트(234)의 사행 보정 효율을 증대시켜 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행 보정 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행 보정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행 보정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빈 210... 풀리
232... 캐리어 벨트 234... 리턴 벨트
310... 프레임 320... 베이스 부재
330... 회동축 342... 지지대
344... 사이드 롤러 346... 고정 부재

Claims (6)

  1. 대향 마련된 풀리와,
    상기 대향 마련된 풀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원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캐리어 벨트와,
    원료가 이송된 캐리어 벨트를 리턴하기 위한 리턴 벨트와,
    상기 리턴 벨트의 위치를 보정하는 사행 보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행 보정 장치는 수평으로 회전하면서 리턴 벨트의 양 측부를 눌러주어 리턴 벨트의 위치를 보정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행 보정 장치는 대향 이격 배치된 프레임과, 상기 대향 이격 배치된 프레임 사이에 프레임의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부에 연결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하부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롤러 스탠드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 스탠드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하부로 연장되어 대향 이격 배치되는 사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지지대의 상부에 회동축이 연결되는 컨베이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롤러는 지지대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지지대 의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가 형성된 컨베이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대향 마련된 사이드 롤러 사이의 거리는 리턴 벨트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폭 방향의 거리보다 짧은 컨베이어 시스템.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부 중심부에는 지지대와 평행하게 마련된 롤러를 더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KR1020070140136A 2007-12-28 2007-12-28 사행 보정 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 KR20090072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136A KR20090072129A (ko) 2007-12-28 2007-12-28 사행 보정 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136A KR20090072129A (ko) 2007-12-28 2007-12-28 사행 보정 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129A true KR20090072129A (ko) 2009-07-02

Family

ID=4132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136A KR20090072129A (ko) 2007-12-28 2007-12-28 사행 보정 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21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549B1 (ko) * 2011-07-28 2013-08-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20200069679A (ko)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549B1 (ko) * 2011-07-28 2013-08-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20200069679A (ko)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2129A (ko) 사행 보정 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
KR101504970B1 (ko) 운송장치
KR101225731B1 (ko)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KR20120119024A (ko) 벨트 가이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경사운송장치
CN113562490B (zh) 一种包装材料印刷运输系统
KR20100128572A (ko) 판유리 이송장치
KR102041136B1 (ko) 벨트 사행방지를 위한 기능성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
JP4781712B2 (ja) 物流用棚装置
JP2005263359A (ja) 搬送装置
KR101597428B1 (ko) 이송장치
KR10191935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조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 방법
KR101675679B1 (ko) 하중 분산형 벨트 컨베이어장치
JP5321220B2 (ja) コイル反転装置
KR101129284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0887059B1 (ko) 벨트콘베어의 수송물 편적 교정장치
KR20090072626A (ko) 컨베이어벨트
KR100908089B1 (ko) 컨베이어 벨트에서의 이송물 중앙 유도장치
KR101685757B1 (ko) 이송장치
KR200339717Y1 (ko)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KR20020041925A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용 캐리어 스탠드
KR2013004603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482277B1 (ko) 벨트 컨베이어에 구비되는 벨트 지지 장치
JP6880449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KR20040059210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과 수송물 편적 조절장치
KR200169343Y1 (ko) 원료이송용 컨베어벨트의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