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679A -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679A
KR20200069679A KR1020180156995A KR20180156995A KR20200069679A KR 20200069679 A KR20200069679 A KR 20200069679A KR 1020180156995 A KR1020180156995 A KR 1020180156995A KR 20180156995 A KR20180156995 A KR 20180156995A KR 20200069679 A KR20200069679 A KR 20200069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drive shaft
drive
pulley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277B1 (ko
Inventor
박정원
김기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56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2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ives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일풀리의 메인축에 결합되면서 컨베이어 프레임의 일측포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축부재와, 상기 테일풀리의 구동축에 결합되면서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의 타측포스트에 결합되는 구동축부재와, 상기 메인축부재를 축으로 하여 상기 구동축부재의 내부에 조정강판이 삽입되는 삽입간격을 확보하도록 상기 구동축부재에 결합되어 조정력을 제공하는 조정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풀리 편차를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PULLEY DEVIATION OF BELT CONVEYOR}
본 발명은 연료 또는 원료를 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에서 벨트 사행이 발생할 경우 구동축의 새들 내측에 조정 강판을 삽입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풀리 편차를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제철소 원료 공장의 연료 또는 원료를 수송하는 주 설비로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가 설치되어 있는데, 벨트 컨베이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풀리(Head Pulley), 테일풀리(Tail Pulley), 구동풀리(구동 Pulley), 텐션풀리(Tension Pulley) 등이 구비될 수 있고, 가장 힘을 많이 받는 부분이 풀리라고 알려져 있다.
특히, 원료가 하강 유입되는 슈트(chute) 측에 위치하는 테일풀리에서 벨트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어야만 안정적인 연료 또는 원료의 수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일풀리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 있을 경우 치우친 방향으로 벨트가 이동하면서 벨트 사행이 발생하게 되는데, 벨트 컨베이어 전장이 대략 10m인 소형 설비의 경우 벨트 장력이 약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테일풀리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사행 조정(즉, 풀리 편차 조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제철소 원료 공장에서 사용되는 벨트 컨베이어는 전장이 대략 100-1000m 정도가 되기 때문에, 벨트 장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테일풀리 각도를 원하는 만큼 조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벨트 장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테일풀리 각도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단 몇 mm의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벨트가 한쪽으로 치우치게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기 시에 수분이 침투하기라도 한다면 그 사행 현상은 더욱 심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벨트 및 풀리의 편마모가 발생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행이 발생할 경우 풀리 편차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행이 발생한 방향의 베어링 블록을 컨베이어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고정볼트를 탈착시킨 후에, 그 사이에 철판을 삽입하여 좌측 또는 우측의 풀리 편차를 조정하고, 조정 밸런스가 맞춰질 경우 고정볼트를 다시 장착하여 베어링 블록을 컨베이어 프레임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풀리 편차 조정 방식의 경우 벨트 장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고정볼트를 탈착시킨 후에 베어링블록을 뒤로 당겨야 하는데, 테일풀리에 와이어로프를 감아 뒤쪽 구조물에 체인블록을 걸어 당긴 후에 유압잭을 테일풀리와 컨베이어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하며, 유압잭을 이용하여 베어링블록과 컨베이어 프레임의 사이를 이격시킨 후에, 그 사이에 철판을 삽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 과정은 매우 어렵고, 작업자의 설비 설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매우 큰 장력을 갖는 벨트 컨베이어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72129호(2009.07.02.공개) 2. 한국등록특허 제10-1043083호(2011.06.14.등록)
본 발명은 연료 또는 원료를 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에서 벨트 사행이 발생할 경우 구동축의 새들 내측에 조정 강판을 삽입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풀리 편차를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일풀리의 메인축에 결합되는 메인축부재와 테일풀리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축부재를 구비하며, 구동축부재의 내부에 조정강판이 삽입되는 삽입간격을 확보하도록 구동축부재에 결합되어 조정력을 제공하는 조정부재를 구비하되, 구동축부재에 구비된 구동샤프트를 회전시켜 테일풀리와 컨베이어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새들과 구동블록케이스의 사이에 삽입간격을 형성함으로써, 풀리 편차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강판을 쉽게 장착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일풀리의 메인축에 결합되면서 컨베이어 프레임의 일측포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축부재와, 상기 테일풀리의 구동축에 결합되면서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의 타측포스트에 결합되는 구동축부재와, 상기 메인축부재를 축으로 하여 상기 구동축부재의 내부에 조정강판이 삽입되는 삽입간격을 확보하도록 상기 구동축부재에 결합되어 조정력을 제공하는 조정부재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축부재는, 상기 메인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베어링블록과, 상기 메인베어링블록의 전단 방향에 결합되는 메인블록케이스와, 상기 메인블록케이스의 전단 방향에 메인샤프트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일측포스트에 결합되는 메인샤프트홀더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축부재는, 상기 구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베어링블록과, 상기 구동 베어링블록의 전단 방향에 결합되면서 지지단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구동블록케이스와, 상기 구동블록케이스의 전단 방향에 결합되면서 상기 타측포스트의 후면부에 결합되는 구동새들과, 상기 타측포스트의 측면부에 결합되는 구동샤프트홀더와, 상기 구동샤프트홀더에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단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될 경우 상기 구동블록케이스 및 구동새들의 사이에 상기 삽입간격을 형성시키는 구동샤프트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구동샤프트가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정력을 제공하는 푸쉬바와, 상기 푸쉬바를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류잭과, 상기 스크류잭이 상기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정하는 조정핸들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푸쉬바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샤프트가 삽입 장착되는 상기 푸쉬바의 장착홀에 삽입되는 샤프트키를 더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료 또는 원료를 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에서 벨트 사행이 발생할 경우 구동축의 새들 내측에 조정 강판을 삽입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풀리 편차를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일풀리의 메인축에 결합되는 메인축부재와 테일풀리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축부재를 구비하며, 구동축부재의 내부에 조정강판이 삽입되는 삽입간격을 확보하도록 구동축부재에 결합되어 조정력을 제공하는 조정부재를 구비하되, 구동축부재에 구비된 구동샤프트를 회전시켜 테일풀리와 컨베이어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새들과 구동블록케이스의 사이에 삽입간격을 형성함으로써, 풀리 편차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강판을 쉽게 장착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에 벨트 컨베이어에서 발생하는 사행 현상과 풀리 편차 조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컨베이어 프레임(10)이 위치하는 방향을 전단 방향(즉, 벨트 컨베이어의 진행 방향, 전단측, 전방, 전면 등)으로 하고, 테일풀리(20)가 위치하는 방향을 후단 방향(즉, 후단측, 후방, 후면 등)으로 하여 이하에서는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는 메인축부재(110), 구동축부재(120), 조정부재(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축부재(110)는 테일풀리(20)의 메인축(20a)에 결합되면서 컨베이어 프레임(10)의 일측포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메인베어링블록(111), 메인블록케이스(112), 메인샤프트홀더(113), 메인샤프트(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인베어링블록(111)은 메인축(20a)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메인블록케이스(112)는 메인베어링블록(111)의 전단 방향에 결합되며, 메인샤프트홀더(113)는 메인블록케이스(112)의 전단 방향에 메인샤프트(114)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컨베이어 프레임(10)의 일측포스트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베어링블록(111)은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되며, 테일풀리(20)의 메인축(20a)에 결합되어 테일풀리(2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며, 메인베어링블록(111)의 전단면에 메인블록케이스(112)의 후단면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고정수단(예를 들면, 고정볼트 등)으로 고정되며, 메인블록케이스(112)의 전단면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 1 샤프트결합링(112a)이 구비되며, 메인샤프트홀더(113)의 후단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된 제 2 샤프트결합링(113a)과 제 1 샤프트결합링(112a)이 상하로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샤프트(114)가 삽입 장착됨으로써, 메인 블록케이스(112)와 메인샤프트홀더(113)가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메인샤프트홀더(113)는 그 전단면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장착플레이트(113b)를 이용하여 컨베이어 프레임(10)의 일측포스트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메인축부재(110)는 메인 블록케이스(112)와 메인샤프트홀더(113)가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구동축부재(120)에 조정강판(30)을 삽입하기 위해 삽입간격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조정부재(130)를 통해 구동축부재(120)를 조정할 경우 수평으로 유동될 수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 프레임(10)의 일측포스트를 고정축으로 하여 컨베이어 프레임(10)의 타측포스트에 결합된 구동축부재(120)를 테일풀리(20)와 함께 원활하게 조정할 수 있다.
구동축부재(120)는 테일풀리(20)의 구동축(20b)에 결합되면서 컨베이어 프레임(10)의 타측포스트에 결합되는 것으로, 구동베어링블록(121), 구동블록케이스(122), 구동새들(123), 구동샤프트홀더(124), 구동샤프트(12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동베어링블록(121)은 구동축(20b)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블록케이스(122)는 구동베어링블록(121)의 전단 방향에 결합되면서 지지단(122a)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며, 구동새들(123)은 구동블록케이스(122)의 전단 방향에 결합되면서 컨베이어 프레임(10)의 타측포스트 후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구동샤프트홀더(124)는 컨베이어 프레임(10)의 타측포스트 측면부에 결합되고, 구동샤프트(125)는 구동샤프트홀더(124)에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지지단(122a)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될 경우 구동블록케이스(122) 및 구동새들(123)의 사이에 삽입간격을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베어링블록(121)은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되며, 테일풀리(20)의 구동축(20b)에 결합되어 테일풀리(2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며, 구동베어링블록(121)의 전단면에 구동블록케이스(122)의 후단면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고정수단(예를 들면, 고정볼트 등)으로 고정되며, 구동블록케이스(122)의 외측 방향으로는 구동샤프트(125)가 접촉되는 지지단(122a)이 연장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구동블록케이스(122)의 전단면에는 구동새들(123)의 후단면이 끼움결합될 수 있는데, 구동블록케이스(122)의 몸체는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이고, 이에 대응하여 구동새들(123)의 후단면은 ㄷ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정상 상태에서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조정강판(30)을 삽입하기 위해 구동블록케이스(122)와 구동새들(123)의 사이에 삽입간격을 형성시킬 경우에도 ㄷ자 형태의 결합구조가 유지될 수 있을 만큼 이격되기 때문에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새들(123)은 전단면이 고정수단(예를 들면, 고정볼트 등)을 이용하여 컨베이어 프레임(10)의 타측포스트 후단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구동샤프트홀더(124)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는데, 컨베이어 프레임(10)의 타측포스트 외측방향에 고정되는 홀더몸체(124a)와 홀더몸체(124a)의 끝단부 후단면에 연장 구비되는 샤프트결합블록(12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결합블록(124b)은 구동블록케이스(122)의 지지단(122a)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홀더몸체(124a)는 외측 방향으로 긴 H형태의 구조물로 구비되고, 샤프트결합블록(124b)은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구동샤프트(125)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는데, 상부의 결합홀(H1)은 구동샤프트(125)가 관통 결합되고, 하부의 결합홀(H2)는 구동샤프트(125)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도시 생략됨)에 지지된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구동샤프트(125)의 하단부는 구동블록케이스(122)의 지지단(122a)에 접촉된 상태로 하부의 결합홀(H2)에 결합되며, 지지단(122a)에 접촉된 부분에는 타원형으로 돌출된 조정블록(125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조정부재(130)를 통해 구동샤프트(125)가 회전될 경우 조정블록(125a)의 작은 지름 단부가 지지단(122a)에 접촉된 상태에서 조정블록(125a)의 큰 지름 단부가 지지단(122a)에 접촉되는 상태로 회전하기 때문에, 구동블록케이스(122)와 구동새들(123)의 사이에 삽입간격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삽입간격에 조정강판(30)을 삽입하여 풀리 편차를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물론, 조정강판(30)의 삽입 후에는 조정부재(130)를 통해 구동샤프트(125)를 회전시켜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키거나 삽입간격을 더 크게 이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정부재(130)는 메인축부재(110)를 축으로 하여 구동축부재(120)의 내부에 조정강판(30)이 삽입되는 삽입간격을 확보하도록 구동축부재(120)에 결합되어 조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푸쉬바(131), 스크류잭(132), 조정핸들(133), 샤프트키(1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푸쉬바(131)는 구동샤프트(125)가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조정력을 제공하고, 스크류잭(132)은 푸쉬바(131)를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조정핸들(133)은 스크류잭(132)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키(134)는 푸쉬바(131)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샤프트(125)가 삽입 장착되는 푸쉬바(131)의 장착홀(131a)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푸쉬바(131)는 구동샤프트(125)의 상부에 삽입 결합되는 장착홀(131a)이 형성되고, 구동샤프트(125)가 삽입된 상태에서 푸쉬바(131)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홀(131a)의 내부에 구동샤프트(125)에 인접하여 샤프트키(134)를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키(134)는 구동샤프트(125)의 단면 형태, 장착홀(131a)의 단면 형태 등에 따라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푸쉬바(131)의 반대단부에는 푸쉬바(131)를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류잭(132)과 이 스크류잭(132)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정하는 조정핸들(13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잭(132)과 조정핸들(133)은 종래에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료 또는 원료를 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에서 벨트 사행이 발생할 경우 구동축의 새들 내측에 조정 강판을 삽입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풀리 편차를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일풀리의 메인축에 결합되는 메인축부재와 테일풀리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축부재를 구비하며, 구동축부재의 내부에 조정강판이 삽입되는 삽입간격을 확보하도록 구동축부재에 결합되어 조정력을 제공하는 조정부재를 구비하되, 구동축부재에 구비된 구동샤프트를 회전시켜 테일풀리와 컨베이어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새들과 구동블록케이스의 사이에 삽입간격을 형성함으로써, 풀리 편차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강판을 쉽게 장착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컨베이어 프레임 20 : 테일풀리
20a : 메인축 20b : 구동축
30 : 조정강판 110 : 메인축부재
111 : 메인베어링블록 112 : 메인블록케이스
113 : 메인샤프트홀더 114 : 메인샤프트
120 : 구동축부재 121 : 구동베어링블록
122 : 구동블록케이스 123 : 구동새들
124 : 구동샤프트홀더 125 : 구동샤프트
130 : 조정부재 131 : 푸쉬바
132 : 스크류잭 133 : 조정핸들
134 : 샤프트키

Claims (5)

  1. 테일풀리의 메인축에 결합되면서 컨베이어 프레임의 일측포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축부재와,
    상기 테일풀리의 구동축에 결합되면서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의 타측포스트에 결합되는 구동축부재와,
    상기 메인축부재를 축으로 하여 상기 구동축부재의 내부에 조정강판이 삽입되는 삽입간격을 확보하도록 상기 구동축부재에 결합되어 조정력을 제공하는 조정부재
    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축부재는,
    상기 메인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베어링블록과,
    상기 메인베어링블록의 전단 방향에 결합되는 메인블록케이스와,
    상기 메인블록케이스의 전단 방향에 메인샤프트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일측포스트에 결합되는 메인샤프트홀더
    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부재는,
    상기 구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베어링블록과,
    상기 구동 베어링블록의 전단 방향에 결합되면서 지지단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구동블록케이스와,
    상기 구동블록케이스의 전단 방향에 결합되면서 상기 타측포스트의 후면부에 결합되는 구동새들과,
    상기 타측포스트의 측면부에 결합되는 구동샤프트홀더와,
    상기 구동샤프트홀더에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단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될 경우 상기 구동블록케이스 및 구동새들의 사이에 상기 삽입간격을 형성시키는 구동샤프트
    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구동샤프트가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정력을 제공하는 푸쉬바와,
    상기 푸쉬바를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류잭과,
    상기 스크류잭이 상기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정하는 조정핸들
    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푸쉬바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샤프트가 삽입 장착되는 상기 푸쉬바의 장착홀에 삽입되는 샤프트키
    를 더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
KR1020180156995A 2018-12-07 2018-12-07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 KR102147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995A KR102147277B1 (ko) 2018-12-07 2018-12-07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995A KR102147277B1 (ko) 2018-12-07 2018-12-07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679A true KR20200069679A (ko) 2020-06-17
KR102147277B1 KR102147277B1 (ko) 2020-08-24

Family

ID=7140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995A KR102147277B1 (ko) 2018-12-07 2018-12-07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2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1935A (ko) 2022-12-01 2024-06-10 오택종 회전표시부를 구비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878Y1 (ko) * 1998-05-29 2003-05-17 주식회사 포스코 중량물 중심조정용 패드
KR200352834Y1 (ko) * 1999-05-27 2004-06-1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장치
KR20090072129A (ko)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포스코 사행 보정 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
KR101043083B1 (ko) 2004-12-24 2011-06-21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밸트 사행 조정장치
KR101282938B1 (ko) * 2011-12-26 2013-07-05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각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878Y1 (ko) * 1998-05-29 2003-05-17 주식회사 포스코 중량물 중심조정용 패드
KR200352834Y1 (ko) * 1999-05-27 2004-06-1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장치
KR101043083B1 (ko) 2004-12-24 2011-06-21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밸트 사행 조정장치
KR20090072129A (ko)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포스코 사행 보정 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
KR101282938B1 (ko) * 2011-12-26 2013-07-05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각도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1935A (ko) 2022-12-01 2024-06-10 오택종 회전표시부를 구비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277B1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68745B1 (en) Cutter assembly with inline mounting
KR101064874B1 (ko) 와이어쏘 장치용 가이드 롤러
KR20200069679A (ko)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편차 조정 장치
KR100972221B1 (ko) 원통의 표면가공장치
US20200030862A1 (en) Notching equipment for steel strip, method of notching steel strip, cold rolling facility, and method of cold rolling
CN102644192A (zh) 在圆柱体上装配刀片的方法、刀片、圆柱体和切割装置
JP6509556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
KR101282938B1 (ko)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각도조절장치
US68052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teering angle for elevator sheave
US8047114B2 (en) Band saw blade guide
US201801112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crushing metal dross blocks and/or metal extensions
EP0815352B1 (en) An arrangement in a feed beam of a rock drill
US20090133781A1 (en) Guide arrangement for the handling elements of a wood object, such as a log
KR200260903Y1 (ko) 호이스트의 후크회전방지기구
KR102147039B1 (ko) 티바가 구비된 커브 벨트 컨베이어
FR3028877A1 (fr) Banche comprenant un dispositif de liaison en rive, ensemble de deux banches et procede d'assemblage
KR101594685B1 (ko) 소재 안내장치
JP2019063808A (ja) ジョークラッシャ
KR101421829B1 (ko) 컨베이어 벨트 장치
CN214184998U (zh) 一种横剪机用收料机构
CN220411762U (zh) 一种张紧装置和胶带输送机
CN212151062U (zh) 一种薄膜生产用薄膜分切机
KR200241714Y1 (ko) 롤러교체가 용이한 캐리어롤러 스탠드
CN111987834B (zh) 一种裙板机座及裙板电机的安装方法
KR101034488B1 (ko) 롤 얼라이먼트 헤더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