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136B1 - 벨트 사행방지를 위한 기능성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사행방지를 위한 기능성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136B1
KR102041136B1 KR1020180058070A KR20180058070A KR102041136B1 KR 102041136 B1 KR102041136 B1 KR 102041136B1 KR 1020180058070 A KR1020180058070 A KR 1020180058070A KR 20180058070 A KR20180058070 A KR 20180058070A KR 102041136 B1 KR102041136 B1 KR 102041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center
bracket
coupled
rota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이완철
이대금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102018005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는 길게 형성되고 중심에 회전축이 구비된 베이스브라켓,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평행되고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이 상하로 기울어지게 연결되어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상기 회전브라켓의 중심부로 이동되며, 일부에 대상물을 이송시키도록 이송롤러가 결합된 스탠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 사행방지를 위한 기능성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Functionality automatic stand device for preventing belt meandering }
본 발명은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찰이 유발되면 자동으로 기울기가 조절되어 벨트를 기본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반용 컨베이어 벨트를 받치고 있는 롤러를 아이들러(Idler)라고 하는데, 그 설치구조는 아이들러 거치대와 아이들러가 동일 선상에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 아이들러 설치구조에 의할 경우 컨베이어 벨트에 수송물이 적재되어 진행할 때 컨베이어 벨트의 처짐(sag)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종래 아이들러 설치구조에서 이송물의 입도가 고르지 못한 경우 편중현상으로 인한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斜行)이 일어나기도 한다.
또한 고속으로 회전하는 벨트 상에 공급된 이송물의 양이 불균일하거나 이송물이 벨트의 일측으로 치우치는 경우, 또는 롤러와 벨트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어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 벨트가 진행하는 방향에 대해 일측 방향으로 치우져 진행, 즉 사행하게 된다.
컨베이어 벨트의 처짐 현상이나 컨베이어 벨트상의 편중현상으로 인한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은 컨베이어 벨트와 아이들러 사이에 큰 마찰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종래 아이들러의 경우 강재(steel)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마찰계수가 매우 높은 특징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컨베이어 벨트와 아이들러 사이의 마찰은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 손상, 아이들러 베어링의 진동과 소음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 결과 컨베이어 벨트의 수명이 단축되어 관리비용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컨베이어 벨트와 아이들러 사이의 마찰 극복을 위해 더 많은 구동 에너지가 소요되게 되므로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벨트가 사행하게 되면 벨트의 손상은 물론 구조물의 변형, 이송물의 낙하 등으로 인한 비용의 손실과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이송물이 안착되는 컨베이어벨트가 롤러와의 마찰에 의해 측면으로 사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스탠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마찰이 발생되면서 벨트의 손상으로 인한 수명단축 및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극복하고자, 마찰이 크게 유발될 경우 자동으로 벨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스탠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는 길게 형성되고 중심에 회전축이 구비된 베이스브라켓,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평행되고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이 상하로 기울어지게 연결되어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상기 회전브라켓의 중심부로 이동되며, 일부에 대상물을 이송시키도록 이송롤러가 결합된 스탠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모듈은, 상기 회전브라켓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일부에 상기 이송롤러가 회전되게 결합되는 센터스탠드, 일부에 이송롤러가 회전되게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회전브라켓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센터스탠드와 인접한 단부가 상기 센터스탠드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는 사이드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스탠드는, 상기 센터스탠드와 연결되는 단부에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브라켓은, 상면에 상기 센터스탠드가 슬라이딩되는 구간을 설정하는 센터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브라켓은, 양측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사이드스탠드가 외측을 향해 상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사이드스탠드와 힌지 결합되는 사이드힌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브라켓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힌지축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사이드스탠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센터스탠드에 연결되는 힌지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연결브라켓은, 양단에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슬라이딩 및 회전이 연동되어 별도의 구동력을 제공하지 않아도 마찰력과 하중에 의해 기본위치로 이동된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회전브라켓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벨트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마찰이 크게 작용되는 일측이 전진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벨트가 기본위치로 안내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에서 스탠드장치가 복수로 구비되어 상부에 석탄을 이송시키는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에서 석탄이 측방으로 쏠리면서 구조가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에서 회전브라켓이 요잉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에서 힌지연결브라켓이 센터스탠드와 사이드스탠드에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석탄과 같은 이송물을 이송하는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10)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적으로 중심에 도달되어 이송 중에 석탄의 쏠림에 대응하여 롤러의 마찰력이 크게 작용되는 스탠드의 기울기가 자동으로 조절되면서 균형을 이루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설명에 앞서 본 설명에서의 대상물(T)은 석탄일 수도 있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10)에서 스탠드 장치(10)가 복수로 구비되어 상부에 석탄을 이송시키는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10)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10)는 크게 베이스브라켓(100), 회전브라켓(200), 스탠드모듈(300)을 포함한다.
먼저 베이스브라켓(100)은 바닥면과 접촉되거나 측면에 대상물(T)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별도의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브라켓(100)은 길게 형성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C)에 회전축(120)이 결합되어 있고, 측면에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브라켓(100) 상부에는 회전브라켓(200)이 결합되는데, 회전브라켓(200)은 베이스브라켓(100)과 평행을 이루면 회전축(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브라켓(200)은 소정 두께가 있는 플레이트(PLATE) 형상에 양단 상면으로 상측으로 돌출되는 사이드힌지축(220)이 형성된다.
사이드힌지축(220)은 스탠드모듈(300)과 결합되는 구성으로 스탠드모듈(300)의 일부가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계속해서 회전브라켓(200)은 중심부(C) 상면에 센터레일(240)이 형성되어 있다.
센터레일(240)은 회전브라켓(200)의 일부에 형성되며 스탠드모듈(300)의 일부가 결합되어 스탠드모듈(300)이 슬라이딩 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스탠드모듈(300)은 회전브라켓(200)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이 상하로 기울어지게 연결되어 있어서 슬라이딩과 기울어짐이 서로 연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스탠드모듈(300)은 내부에 이송롤러가 회전되게 결합되어 있어서, 상부에 안착되는 컨베이어벨트(B)(CONVEYOR-BELT)가 이송되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10)는 스탠드모듈(300)의 양단이 연장되면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스탠드모듈(300)은 센터스탠드(320) 및 사이드스탠드(340, 350)로 구분된다.
먼저 센터스탠드(320)는 회전브라켓(200)의 중심부(C)에 배치되어 회전브라켓(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일부에 이송롤러가 회전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사이드스탠드(340, 350)는 일부에 이송롤러가 회전되게 결합되고 하부는 사이드힌지축(220)에 결합되며, 센터스탠드(320)와 인접한 단부가 센터스탠드(320)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센터스탠드(320)와 인접한 사이드스탠드(340, 350)의 단부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장공은 센터스탠드(320)의 슬라이딩과 사이드스탠드(340, 350)의 회전을 연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슬라이딩과 회전이 연속될 경우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처럼 센터스탠드(320)와 사이드스탠드(340, 350)는 힌지 결합되어 있어서 센터스탠드(320)의 슬라이딩 또는 사이드스탠드(340, 35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센터스탠드(320)와 사이드스탠드(340, 350)는 서로 연동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스탠드모듈(300)이 결합되는 회전브라켓(200)은 상면 중심부(C)에 센터레일(240)이 구비되고 양측에 사이드힌지축(220)이 구비되어 센터레일(240)에는 센터스탠드(320)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레일에 결합되는 슬라이딩홀더(328)가 결합되고, 사이드힌지축(220)에는 사이드스탠드(340, 3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센터레일(240)은 회전브라켓(200)의 상면 중 일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센터스탠드(320)가이 슬라이딩되는 범위가 센터레일(240)에 의해 제한 될 수 있다.
이같이 센터레일(240)이 회전브라켓(200)의 일부에만 국한되어 센터스탠드(320)의 이동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정교하게 센터스탠드(320)의 이동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홀더(328)는 센터레일(240)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센터레일(240)을 따라 센터스탠드(32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이다.
계속해서 사이드스탠드(340, 350)는 센터스탠드(320)를 중심으로 양측이 대칭되는 형태로 센터스탠드(320)와 결합된다.
즉 사이드스탠드(340, 350)는 사이드힌지축(220)과 힌지로 결합되며, 사이드힌지축(220)은 회전브라켓(200)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브라켓(200)의 상면과 인접하여 센터레일(240)에 결합되는 센터스탠드(320)보다 높게 위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브라켓(200)에서 센터레일(240)의 최상단보다 사이드힌지축(220)의 최상단이 높은 회전브라켓(200)의 상면보다 높은위치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센터스탠드(320)가이 센터레일(240)에 결합되고 사이드스탠드(340, 350)은 사이드힌지축(220)에 결합되며, 사이드힌지축(220)에서 센터스탠드(320)와과 인접한 일단이 센터스탠드(3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 사이드스탠드(340, 350)의 타단은 외측을 향해 상향되게 구비된다.
이처럼 센터스탠드(320)에 일단이 결합된 사이드스탠드(340, 350)은 사이드힌지축(220)과도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센터스탠드(320)의 슬라이딩에 따라 타단이 기본위치에서 상부로 회전된다.
여기서 말하는 기본위치란, 센터스탠드(320)가이 회전축(120)의 상부, 즉 센터레일(240)의 중심부(C)에 위치한 경우를 말하는 것이며 이때 사이드스탠드(340, 350)은 동일하게 대칭된다.
계속해서 앞서 스탠드모듈(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롤러는 센터롤러(326) 및 사이드롤러(346, 356)로 구분된다.
센터롤러(326)는 센터스탠드(320)에 결합되며, 사이드롤러(346, 356)는 사이드스탠드(340, 35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센터롤러(326)는 센터스탠드(320)에 형성된 센터샤프트(324)를 감싸는 형태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사이드롤러(346, 356)는 사이드스탠드(340, 350)에 형성된 사이드샤프트(344, 354)를 감싸는 형태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도 3을 통해 스탠드모듈(300)의 이동에 따라 석탄이 어떻게 자동으로 중심부(C)로 위치될 수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10)에서 석탄이 측방으로 쏠리면서 구조가 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방위를 표시하였다.
그리고 사이드스탠드(340, 350)는 방위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스탠드(320)를 중심으로 x방향에는 제1사이드스탠드(340), y방향에는 제2사이드스탠드(350)라고 명명하도록 한다.
스탠드모듈(300)의 상부에는 컨베이어벨트(B)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벨트(B)의 상부에는 대상물(T)이 놓여져있다.
본 발명의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10)에서 컨베이어벨트(B)가 이송롤러을 따라 이송되면서 대상물(T)이 컨베이어벨트(B)를 따라 이동된다.
이와 같이 대상물(T)이 이송되면서 컨베이어벨트(B)가 사행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때 도 3 및 도 4와 같이 대상물(T)이 적어도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더라도 컨베이어벨트(B)가 사행되지 않도록 스탠드 장치(10)가 안전한 위치도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10)는 컨베이어벨트(B)가 사행되지 않도록 마찰력에 의해 구조적인 조정이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B)는 벨트(B)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기에서는 벨트(B)라고 명명하겠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T)이 x방향으로 쏠림에 따라 벨트(B)가 이송되면서 제1사이드스탠드(340)에 마찰이 크게 유발된다.
이 때 제1사이드롤러(346)에 마찰이 커지게 되면서 자동적으로 센터스탠드(320)는 x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에 따라 제1사이드샤프트(344)에서 회전되는 제1사이드롤러(346)는 사이드힌지축(220)을 중심으로 센터스탠드(320)를 향해 하방향으로 기울게 되고 제1사이드롤러(346)의 상부의 대상물(T)은 센터스탠드(3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대상물(T)의 하중이 제1사이드스탠드(340)에서 센터스탠드(320)로 이동됨에 따라 제1사이드스탠드(340)와 접촉되는 벨트(B)의 마찰이 감소한다.
이와 동일하게 도 4와 같이 대상물(T)이 y방향으로 치우치게 되면 벨트(B)와 제2사이드샤프트(354)에서 회전되는 제2사이드롤러(356)와의 마찰이 크게 작용하여 벨트(B)가 y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이에 따라 센터스탠드(320)가 제2사이드스탠드(350)로 슬라이딩되고 제2사이드스탠드(350)는 사이드힌지축(220)을 중심으로 센터스탠드(320)를 항해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며 대상물(T)이 센터스탠드(320)를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10)는 대상물(T)의 하중 및 벨트(B)와 스탠드모듈(300)간의 마찰에 의해 자동으로 구조적으로 조정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사행방지를 위하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10)는 대상물(T)이 이송되는 구간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탠드 장치(10)가 이송되는 구간에 복수로 구비됨에 따라 이송구간에서 대상물(T)이 일측으로 치우치게 될 경우, 센터스탠드(320) 및 사이드스탠드(340, 350)의 이동뿐 아니라 회전브라켓(200)이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 마찰에 따른 외력에 의한 장치의 결함을 피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10)에서 회전브라켓(200)이 요잉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브라켓(200)은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이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브라켓(200)이 회전되는 이유는 벨트(B)가 사행되지 않고 중심부(C)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사이드스탠드(340)에 마찰이 크게 발생되고 있다고 가정하면, 제1사이드스탠드(340)가 상승하고,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제1사이드스탠드(340)가 전진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된다.
이때 제1사이드스탠드(340)가 전진방향으로 회전된 각도만큼 제2사이드스탠드(350)는 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벨트(B)에 의해 마찰이 크게 발생되면서 제1사이드롤러(346)가 빠르게 회전되면서 전진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제2사이드롤러(356)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벨트(B)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제1사이드롤러(346)가 제2사이드롤러(356)보다 전진된 형태를 가지고, 제1사이드롤러(346)는 상부로 이동된 상태이기 때문에 벨트(B)가 신속하게 기본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기본위치는 슬라이딩홀더(328)가 중심부(C)에 위치하고 회전브라켓(200)과 베이스브라켓(100)이 평행한 상태를 말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10)는 힌지연결브라켓(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힌지연결브라켓(260)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10)에서 힌지연결브라켓(260)이 센터스탠드(320)와 사이드스탠드(340, 350)에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되 바와 같이, 힌지연결브라켓(260)은 길게 형성되어 사이드힌지축(220)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양단에 장공이 있어서 일단은 사이드스탠드(340, 350)에 연결되고, 타단은 센터스탠드(320)에 연결된다.
센터스탠드(3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회전브라켓(200)의 상부에서 x방향 y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이에 따라 힌지연결브라켓(260)이 사이드힌지축(220)을 중심으로 사이드스탠드(340, 350)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센터스탠드(320)가 x방향으로 이동되면 힌지연결브라켓(260)이 사이드스탠드(340, 350)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벨트(B)를 기본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스탠드 장치
100: 베이스브라켓
120: 회전축
200: 회전브라켓
220: 사이드힌지축
240: 센터레일
260: 힌지연결브라켓
300: 스탠드모듈
320: 센터스탠드
324: 센터샤프트
326: 센터롤러
328: 슬라이딩홀더
340: 제1사이드스탠드
344: 제1사이드샤프트
346: 제1사이드롤러
350: 제2사이드스탠드
354: 제2사이드샤프트
356: 제2사이드롤러
B: 컨베이어벨트
C: 중심부
T: 대상물

Claims (7)

  1. 길게 형성되고 중심에 회전축이 구비된 베이스브라켓;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평행되고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이 상하로 기울어지게 연결되어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상기 회전브라켓의 중심부로 이동되며, 일부에 대상물을 이송시키도록 이송롤러가 결합된 스탠드모듈;
    을 포함하는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모듈은,
    상기 회전브라켓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일부에 상기 이송롤러가 회전되게 결합되는 센터스탠드;
    일부에 이송롤러가 회전되게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회전브라켓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센터스탠드와 인접한 단부가 상기 센터스탠드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는 사이드스탠드;
    를 포함하는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스탠드는,
    상기 센터스탠드와 연결되는 단부에 장공이 형성되는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은,
    상면에 상기 센터스탠드가 슬라이딩되는 구간을 설정하는 센터레일이 구비되는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은,
    양측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사이드스탠드가 외측을 향해 상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사이드스탠드와 힌지 결합되는 사이드힌지축을 포함하는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은,
    양측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사이드힌지축; 및
    길게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힌지축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사이드스탠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센터스탠드에 연결되는 힌지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브라켓은,
    양단에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행방지를 위한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
KR1020180058070A 2018-05-23 2018-05-23 벨트 사행방지를 위한 기능성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 KR102041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070A KR102041136B1 (ko) 2018-05-23 2018-05-23 벨트 사행방지를 위한 기능성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070A KR102041136B1 (ko) 2018-05-23 2018-05-23 벨트 사행방지를 위한 기능성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136B1 true KR102041136B1 (ko) 2019-11-07

Family

ID=6857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070A KR102041136B1 (ko) 2018-05-23 2018-05-23 벨트 사행방지를 위한 기능성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1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0329A (zh) * 2019-12-16 2020-04-10 淮北合众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封闭防尘的物料输送运转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759B1 (ko) * 2001-11-30 2008-11-26 주식회사 포스코 중심 축 이동방식 벨트컨베어 사행조정 장치
KR20130130135A (ko) * 2012-01-30 2013-12-02 주식회사 신흥기공 벨트의 사행방지장치 및 그를 구비한 석탄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759B1 (ko) * 2001-11-30 2008-11-26 주식회사 포스코 중심 축 이동방식 벨트컨베어 사행조정 장치
KR20130130135A (ko) * 2012-01-30 2013-12-02 주식회사 신흥기공 벨트의 사행방지장치 및 그를 구비한 석탄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0329A (zh) * 2019-12-16 2020-04-10 淮北合众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封闭防尘的物料输送运转装置
CN110980329B (zh) * 2019-12-16 2021-06-29 淮北合众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封闭防尘的物料输送运转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77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장치
KR102041136B1 (ko) 벨트 사행방지를 위한 기능성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
KR102500514B1 (ko) 라운드 이송롤러
KR101504970B1 (ko) 운송장치
KR10081572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스커트박스부 낙하물 차단장치
JP6785147B2 (ja) 搬送装置
KR10081580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KR10129574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91935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조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 방법
KR100887059B1 (ko) 벨트콘베어의 수송물 편적 교정장치
KR20090072129A (ko) 사행 보정 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
KR101231796B1 (ko)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JP2017149508A (ja) キャリアローラー交換用治具及びキャリアローラー交換方法
KR200339717Y1 (ko)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KR100991461B1 (ko) 벨트의 사행이 방지되는 캐리어 롤러 스탠드
KR20020052738A (ko) 롤러마모 방지용 스탠드장치
KR100346885B1 (ko)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
KR200350430Y1 (ko) 벨트사행의 보상기능을 갖는 컨베이어설비의 가변형슈트장치
TWI750006B (zh) 皮帶輸送系統及其皮帶偏斜調整裝置
KR102463286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 가이드장치
CN215709148U (zh) 一种斜辊子机
KR102299560B1 (ko) 벨트컨베이어용 화재 확산 방지 장치
KR102559689B1 (ko)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KR101129284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538851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조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