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689B1 -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689B1
KR102559689B1 KR1020210138135A KR20210138135A KR102559689B1 KR 102559689 B1 KR102559689 B1 KR 102559689B1 KR 1020210138135 A KR1020210138135 A KR 1020210138135A KR 20210138135 A KR20210138135 A KR 20210138135A KR 102559689 B1 KR102559689 B1 KR 102559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idth direction
skirt
skirt membe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5416A (ko
Inventor
김양호
최용남
Original Assignee
김양호
최용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호, 최용남 filed Critical 김양호
Priority to KR1020210138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689B1/ko
Publication of KR20230055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65G21/2081Laterial guidance means for bulk material, e.g. ski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설치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구비된 구동롤러와, 폐회로를 이루어 상기 구동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폭 방향 양측 저면을 경사지게 받쳐주는 복수의 이송롤러와, 상기 벨트의 상부에서 벨트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어 이송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커트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커트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 양측이 하향 연장된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단부에서 벨트의 폭 방향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판상의 제1스커트부재와,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단부에서 벨트의 폭 방향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판상의 제2스커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 Having Skirt Device}
본 발명은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벨트의 사행 운전시에도 이송물의 누설이 방지되는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벨트 컨베이어는 물품 또는 원료의 운반에 이용되는 설비로서, 일반적으로 발전소와 같은 연료설비나 제철소 등의 설비에서는 다량의 석탄과 같은 원료가 사용되고, 이러한 다량의 원료는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적재 장소로부터 각 설비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10)는 이송물의 이송 방향을 따라 설치되면서 복수의 수직프레임(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메인프레임(11)과, 상기 수직프레임(14)의 내측에 위치되며 구동롤러에 의해 회전되면서 이송물을 운송하는 벨트(15)와, 상기 벨트(15)의 저면 양측을 경사지게 받쳐주는 복수의 이송롤러(13)와, 상기 벨트(15)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스커트장치(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커트장치(17)는 사이드플레이트(17-1)와,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7-1)의 외측에 고정되어 하향 연장된 판상의 스커트부재(17-3)와, 상기 스커트부재(17-3)의 외측에서 고정되어 하향 연장되며 폭 방향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구비된 보조씰링 스커트부재(1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커트장치(17)는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벨트(15)의 양측을 가로막음으로써 해당 벨트(15)의 양측으로 이송물이 정확한 운송 방향으로 운송되도록 가이드함과 더불어 운송되는 운송물이 낙하되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스커트장치는 스커트장치(17)의 스커트부재(17-3)가 벨트(15)를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스커트부재(17-3)와 벨트(15) 사이에 지속적인 접촉에 따른 마찰로 스커트장치(17)의 마모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스커트장치(17)와 벨트(15)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틈새를 통해 이송물이 낙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벨트(15) 사행시 벨트단부(15-1)가 보조씰링 스커트부재(17-5)를 밀어 보조씰링 스커트부재(17-5)가 더 휘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벨트단부(15-1)와 보조씰링 스커트부재(17-5) 사이로 틈새가 발생하여 그 틈새로 이송물이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1680040호 등록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벨트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벨트의 사행 운전시에도 이송물의 누설이 방지되는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설치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된 구동롤러와, 구동롤러를 감아 폐회로를 이루며 상기 구동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저면을 받쳐주는 복수의 이송롤러부와, 상기 벨트의 상부에서 벨트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어 이송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커트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커트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 양측이 하향 연장된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단부에서 벨트의 폭 방향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판상의 제1스커트부재와, 제1스커트부재의 외측으로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단부에서 하향 연장 구비된 판상의 제2스커트부재를 포함하는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2스커트부재의 하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폭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롤러부의 폭 방향 양측이 설치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이송롤러부는 폭 방향 중심부에 위치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의 양측에 상향 경사지게 구비된 경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홈은 상단이 원호를 이루며 양단이 하향 연장되며,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경사롤러가 설치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사이드프레임은 하단이 폭 방향 외향 연장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향 외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스커트부재는 상기 절곡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스커트부재는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스커트부재는 상기 경사부의 외면에 판상인 제1가압부재에 의하여 밀착 결합되며, 폭 방향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단부가 벨트에 접하여 변형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제2스커트부재는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 판상인 제2가압부재에 의하여 밀착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스커트부재는 벨트의 폭 방향 내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제1스커트부재의 외면이 벨트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2스커트부재는 벨트의 폭 방향 외측으로 하향 연장되어 벨트의 폭 방향 단부가 제2스커트부재의 내면에 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는 벨트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벨트의 사행 운전시에도 스커트부재와 벨트가 항상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어 이송물의 누설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를 도시한 측면도와 일부 확대도이며,
도 5는 컨베이어벨트가 사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트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를 도시한 측면도와 일부 확대도이며, 도 5는 컨베이어벨트가 사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서 가로 방향을 "폭 방향"이라 하고, 이송물이 운송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100)는 메인프레임(110)과, 구동롤러(190)와, 벨트(150)와, 이송롤러부와, 리턴롤러(120)와, 스커트장치(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설치프레임(111)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에는 도 1의 수직프레임(14)이 더 구비되며, 이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80)의 하부로 위치하는 복수의 설치프레임(111) 사이의 간격은 호퍼(180)가 위치하지 않은 설치프레임(111) 사이의 간격보다 가깝게 구비된다.
상기 구동롤러(190)는 메인프레임(110)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벨트(150)는 상기 구동롤러(190)를 감싸며 폐회로를 이루어 구동롤러(190)에 의해 회전되며 이송물이 운송된다.
상기 이송롤러부는 폭 방향 중심부에 위치한 이송롤러(130)와, 이송롤러(130)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향 경사진 경사롤러(131)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롤러(130)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설치프레임(111)에 설치된다. 상기 이송롤러(130)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경사롤러(131)는 이송롤러(130)의 폭 방향 양측에는 외향하며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경사롤러(131)는 상기 경사롤러(131)의 상부로 위치하는 벨트(150)의 폭 방향 양측 저면을 경사지게 받쳐준다.
상기 리턴롤러(120)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부로 구비된다. 상기 리턴롤러(120)는 상기 이송롤러(130)의 하부로 위치하는 벨트(150)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스커트장치(170)는 상기 벨트(150)의 상부로 위치하며, 벨트(150)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어 이송물의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커트장치(170)는 사이드프레임(171)과, 제1스커트부재(173)와, 제2스커트부재(1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71)은 판상이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 양측이 하향 연장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71)은 하단이 폭 방향 외향 연장된 절곡부(1711)와, 상기 절곡부(1711)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향 외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1713)와, 상기 경사부(1713)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된 연장부(17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스커트부재(173)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스커트부재(173)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71)의 단부에서 벨트(150)의 폭 방향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제1스커트부재(173)는 상기 경사부(1713)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1스커트부재(173)는 상단이 경사부(1713)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벨트(150)의 상단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1스커트부재(173)는 경사부(1713)의 경사 각도를 따라 하향 연장되고 단부가 벨트(150)에 접하여 변형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1스커트부재(173)는 상기 경사부(1713)의 외면에 판상인 제1가압부재(174)가 접하고 볼트 등이 결합되어 경사부(1713)에 밀착 결합된다. 상기 제1가압부재(174)는 상기 제1스커트부재(173)의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1스커트부재(173)는 제1가압부재(174)에 의하여 사이드프레임(171)에 밀착 결합되어 벨트(150)의 폭 방향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1스커트부재(173)의 단부가 벨트(150)에 접하여 변형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제1스커트부재(173)는 상기 경사부(1713)에 의하여 경사 구비되므로 제1스커트부재(173)의 외면이 벨트(150)에 접하여 구비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제1스커트부재(173)는 제1스커트부재(173)의 탄성에 의하여 벨트(150)와 접촉이 유지된다. 상기 제1스커트부재(173)는 20°보다 작은 아주 작은 각도로 변형된 상태로 벨트(150)에 접하므로 제1스커트부재(173)의 탄성이 유지되고 접촉이 오랫동안 유지된다.
상기 제2스커트부재(175)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스커트부재(175)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71)의 단부에서 벨트(150)의 폭 방향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제2스커트부재(175)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71)의 연장부(1715)에 결합된다. 상기 제2스커트부재(175)는 상단이 연장부(1715)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벨트(150)의 폭 방향 단부를 지나 하향 연장된다.
상기 제2스커트부재(175)는 상기 연장부(1715)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인 제2가압부재(176)가 접하고 볼트 등으로 결합되어 연장부(1715)에 밀착 결합된다. 상기 제2스커트부재(175)는 제2가압부재(176)에 의하여 사이드프레임(171)에 밀착 결합되어 벨트(150)의 폭 방향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구비된다.
상기 제2스커트부재(175)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폭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설치홈(1751)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1751)은 제2스커트부재(175)의 하단까지 연장된다. 상기 설치홈(1751)은 상기 이송롤러(130)가 구비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1751)은 상단이 원호를 이루고 양단이 하향 연장된다. 상기 설치홈(1751)으로 이송롤러부가 삽입된다. 상기 설치홈(1751)에 이송롤러(130)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경사롤러(131)가 삽입된다. 상기 경사롤러(131)는 폭 방향 외측 일부가 설치홈(1751)을 통하여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설치홈(1751)은 상기 경사롤러(131)의 외면과 접하거나 미소틈새를 형성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2스커트부재(175)는 설치홈(1751)이 형성됨으로써 변형없이 설치될 수 있어 장시간 성능이 유지된다.
상기 제2스커트부재(175)는 벨트(150)의 폭 방향 외측으로 하향 연장되어 벨트(150)의 폭 방향 외측 단부가 제2스커트부재(175)의 내면에 접하거나 미소틈새가 형성된다.
벨트(150) 사행시 벨트(150) 폭 방향 단부가 제2스커트부재(175)에 접촉되고 외향 가압하여 제2스커트부재(175)는 벨트(150)와 접촉된 상태로 외향 만곡 변형된다. 벨트(150) 사행시 상기 제2스커트부재(175)가 만곡 변형되더라도 설치홈(1751)에 의하여 경사롤러(131)와 제2스커트부재(175) 사이의 관계가 유지되고, 제2스커트부재(175)와 벨트(150) 사이의 접촉이 유지되어 틈새가 없게 되므로 이송물이 측방으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벨트(150) 사행이 종료되면 제2스커트부재(175)는 자체 탄성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100: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110: 메인프레임 120: 리턴롤러
130: 이송롤러 150: 벨트
170: 스커트장치 180: 호퍼
190: 구동롤러

Claims (7)

  1.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설치프레임(111)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구비된 구동롤러(190)와, 구동롤러(190)를 감아 폐회로를 이루어 상기 구동롤러(190)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150)와, 상기 벨트(150)의 저면을 받쳐주는 복수의 이송롤러부와, 상기 벨트(150)의 상부에서 벨트(150)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어 이송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커트장치(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커트장치(17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 양측이 하향 연장된 사이드프레임(171)과, 상기 사이드프레임(171)의 단부에서 벨트(150)의 폭 방향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판상의 제1스커트부재(173)와, 제1스커트부재(173)의 외측으로 상기 사이드프레임(171)의 단부에서 하향 연장 구비된 판상의 제2스커트부재(175)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커트부재(175)의 하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폭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설치홈(1751)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롤러부의 폭 방향 양측이 설치홈(175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100).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부는 폭 방향 중심부에 위치하는 이송롤러(130)와, 상기 이송롤러(130)의 양측에 상향 경사지게 구비된 경사롤러(131)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홈(1751)에는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경사롤러(131)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100).
  4.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171)은 하단이 폭 방향 외향 연장된 절곡부(1711)와, 상기 절곡부(1711)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향 외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1713)와, 상기 경사부(1713)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된 연장부(17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스커트부재(173)는 상기 경사부(1713)에 결합되고, 상기 제2스커트부재(175)는 상기 연장부(1715)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100).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커트부재(173)는 상기 경사부(1713)의 외면에 판상인 제1가압부재(174)에 의하여 밀착 결합되며, 폭 방향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단부가 벨트(150)에 접하여 변형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제2스커트부재(175)는 상기 연장부(1715)의 외면에 판상인 제2가압부재(176)에 의하여 밀착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100).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커트부재(173)는 벨트(150)의 폭 방향 내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제1스커트부재(173)의 외면이 벨트(150)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100).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커트부재(175)는 벨트(150)의 폭 방향 외측으로 하향 연장되어 벨트(150)의 폭 방향 단부가 제2스커트부재(175)의 내면에 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100).
KR1020210138135A 2021-10-18 2021-10-18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KR102559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135A KR102559689B1 (ko) 2021-10-18 2021-10-18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135A KR102559689B1 (ko) 2021-10-18 2021-10-18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416A KR20230055416A (ko) 2023-04-26
KR102559689B1 true KR102559689B1 (ko) 2023-07-26

Family

ID=8609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135A KR102559689B1 (ko) 2021-10-18 2021-10-18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6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55218A (ja) * 2020-03-30 2021-10-07 中国電力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のスカー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040B1 (ko) 2010-05-27 2012-07-27 한국식품연구원 테라헤르츠 분광?영상 측정용 분체시료 전용 홀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55218A (ja) * 2020-03-30 2021-10-07 中国電力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のスカー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416A (ko)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200600455B (en) Apparatus for conveying coils of metal strip on pallets
KR10128177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장치
US20100230252A1 (en) Belt conveyor load zone support assembly
KR102559689B1 (ko) 스커트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KR20200008789A (ko) 벨트컨베이어
KR101504423B1 (ko) 빗물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벨트 컨베이어 어셈블리
US5913404A (en) Pressure arm for floating skirt in conveyor
KR200494984Y1 (ko) 경량화 구조를 갖는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KR10168004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트 장치
KR101938065B1 (ko) 벨트컨베이어
US5816388A (en) Pressure arm for floating skirt in conveyor
CN101171191A (zh) 用于运行带式输送机的传送带的装置
KR102041136B1 (ko) 벨트 사행방지를 위한 기능성 자동조심 스탠드 장치
KR100991461B1 (ko) 벨트의 사행이 방지되는 캐리어 롤러 스탠드
KR20080001242U (ko) 컨베이어 체인의 이송안내장치
KR20030034699A (ko) 이송물의 하중에 의해 유동되는 스커트장치
JP3901785B2 (ja) 垂直ベルトコンベヤの押えローラ装置
KR101231796B1 (ko)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20090072129A (ko) 사행 보정 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
KR102110673B1 (ko) 벨트컨베이어
US6698584B1 (en) Conveyor truss bracket
KR101597428B1 (ko) 이송장치
JP7474920B2 (ja) ベルトコンベヤのスカート構造
KR101482277B1 (ko) 벨트 컨베이어에 구비되는 벨트 지지 장치
KR102299560B1 (ko) 벨트컨베이어용 화재 확산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