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200B1 - 유압 셔블 - Google Patents

유압 셔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200B1
KR101553200B1 KR1020157006186A KR20157006186A KR101553200B1 KR 101553200 B1 KR101553200 B1 KR 101553200B1 KR 1020157006186 A KR1020157006186 A KR 1020157006186A KR 20157006186 A KR20157006186 A KR 20157006186A KR 101553200 B1 KR101553200 B1 KR 101553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cap
disposed
pillar
display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6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9856A (ko
Inventor
히로유키 시오지
요시아키 혼마
다이스케 츠카모토
히로아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6194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5320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039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03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ctuators, e.g. speed, floating fun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유압 셔블(1)은, 캡(4)과, 캡(4)의 한편의 측부측에 배치되는 작업기(5)를 구비한다. 상기 캡은 운전석(61)과, 프론트 필러(40)와, 지붕 부분(142)과, 제1및 제2 가이드 레일(241, 242)과, 앞창(47)과, 모니터 장치(66)와, 모니터(21)와,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모니터(21)는 모니터 장치(66)의 위쪽에서 제1 필러(41)에 의해 지지되고, 그리고 제1 표시면보다도 큰 제2 표시면을 갖는다. 지지 부재는, 앞창(47)이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와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이동 영역과 간섭하는 간섭 위치와, 간섭하지 않는 비간섭 위치 사이에서 모니터(2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에 따라, 가동식의 앞창과 간섭하지 않고 대화면의 모니터를 캡 내의 전방측에 배치할 수 있는, 유압 셔블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
본 발명은, 유압 셔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화 시공 시스템이 채용되는 유압 셔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작업 차량에서는, 정보화 시공의 도입이 급속히 촉진되고 있다. 정보화 시공은, 건설 사업의 시공 단계에서, 정보 통신 기술(ICT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을 이용하여 작업기의 위치 검출을 행하고, 검출된 작업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작업기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고효율 그리고 고정밀도인 시공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종래의 정보화 시공 시스템을 채용한 작업 차량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2005-16347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63470호 공보
정보화 시공용의 모니터는, 표시되는 정보량이 많기 때문에, 종래 캡 내에 설치되는 모니터로는 충분히 정보를 표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모니터를 대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정보화 시공용의 모니터는 작업시에 용이하게 볼 수 있는 장소, 예컨대, 캡 내의 전방측에 설치된다. 한편, 오퍼레이터가 작업기를 시인 가능하도록 캡 전방의 앞창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요구된다. 모니터를 단순히 대형화하면, 앞창을 개방할 때에 모니터와 앞창이 간섭하여, 앞창을 개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가동식의 앞창과 간섭하지 않고 대화면의 모니터를 캡 내의 전방측에 배치할 수 있는, 유압 셔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압 셔블은, 캡과, 캡의 한쪽의 측부측에 배치되는 작업기를 구비한 유압 셔블이다. 상기 캡은 운전석과, 프론트 필러와, 지붕 부분과, 제1 가이드 레일과, 제2 가이드 레일과, 앞창과, 제1 모니터와, 제2 모니터와,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프론트 필러는, 운전석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프론트 필러는, 한쪽의 측부측에 배치되는 제1 필러와 다른쪽의 측부측에 배치되는 제2 필러를 갖는다. 지붕 부분은 운전석의 위쪽을 덮는다. 제1 가이드 레일은 제1 및 제2 필러의 각각을 따라서 연장된다. 제2 가이드 레일은 지붕 부분을 따라서 연장된다. 앞창은 상단부와 하단부를 갖고, 상단부가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며, 그리고 하단부가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모니터는, 운전석의 전방측으로서 제1 필러측에 배치되고, 그리고 제1 표시면을 갖는다. 제2 모니터는 제1 모니터의 위쪽에서 제1 필러에 의해 지지되고, 그리고 제1 표시면보다도 큰 제2 표시면을 갖는다. 지지 부재는, 제1 필러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부와, 회동부에 대하여 제2 모니터를 지지하는 자재 이음구를 갖는다. 지지 부재는, 앞창이 제1 및 제2 필러의 사이의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와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이동 영역에 간섭하는 간섭 위치와, 간섭하지 않는 비간섭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제2 모니터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유압 셔블에 따르면, 제1 표시면보다도 큰 제2 표시면을 갖는 제2 모니터를 구비하기 때문에, 정보화 시공용의 정보를 충분히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앞창을 이동시킬 때에는, 제2 모니터를 비간섭 위치에 이동시킴으로써, 표시면이 큰 제2 모니터와 앞창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캡 내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프론트 필러 중, 작업기에 근접하는 쪽의 제1 필러에, 지지 부재를 통해 제2 모니터를 부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작업기를 조작할 때의 오퍼레이터의 시선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를 제1 필러에 대하여 회동시키고, 제2 모니터를 지지 부재에 대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제1 필러에 대하여 제2 모니터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모니터를, 간섭 위치로부터 비간섭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 제2 표시면은,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를 갖는다. 제2 모니터가 간섭 위치에 있을 때 상부 가장자리는 하부 가장자리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고, 그리고 비간섭 위치에 있을 때 하부 가장자리는 상부 가장자리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가 운전석에 착석하고 있을 때의 제2 표시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오퍼레이터가 제2 표시면을 보다 보기 쉽게 된다.
상기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 제2 모니터가 비간섭 위치에 있을 때에, 제2 표시면은 제2 모니터가 간섭 위치에 있을 때보다도 캡의 측부측을 향한다.
이렇게 하면, 제2 표시면이 캡의 측부측을 향하도록 제2 모니터를 이동시킴으로써, 간섭 위치로부터 비간섭 위치로 제2 모니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 캡은, 조작 레버를 더 포함한다. 조작 레버는, 중립 위치에서 제2 모니터의 최후방과의 간섭을 피하여 배치된다. 조작 레버는,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중립 위치에 있으면 제2 모니터의 최후방과의 간섭을 피하여 배치된다.
이에 따라, 앞창과 제2 모니터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제2 모니터를 비간섭 위치에 이동시켰을 때에 제2 모니터가 조작 레버와 간섭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앞창과의 간섭 없이, 대화면의 제2 모니터를 캡 내의 전방측에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셔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유압 셔블에 적용되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3은 유압 셔블의 캡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모니터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지지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모니터가 간섭 위치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캡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모니터가 비간섭 위치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캡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8은 간섭 위치 및 비간섭 위치에 있는 모니터를 측면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2의 지지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우선,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 가능한 유압 셔블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압 셔블(1)은,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와, 작업기(5)를 주로 구비한다.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에 의해, 작업 차량 본체가 구성된다.
하부 주행체(2)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벨트를 갖는다. 한 쌍의 크롤러 벨트가 회전함으로써, 유압 셔블(1)이 자주(自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 선회체(3)는, 전방측(F)(차량 전측)의 좌측(L)에,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1)을 조작하기 위한 공간인 캡(4)을 포함한다. 캡(4)은, 작업 차량 본체에 포함된다. 상부 선회체(3)는, 후방측(B)(차량 후측)에 엔진을 수납하는 엔진 룸이나,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퍼레이터가 캡(4) 내에 착석했을 때에, 오퍼레이터의 좌측이 되는 방향을 좌측(L), 우측이 되는 방향을 우측(R), 전방이 되는 방향을 전방측(F), 후방이 되는 방향을 후방측(B)이라 칭한다.
토사의 굴착 등의 작업을 행하는 작업기(5)는,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상부 선회체(3)에 의해 피봇 지지된다. 작업기(5)는,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F)의 대략 중앙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붐(6)과, 붐(6)의 선단부에 전후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아암(7)과, 아암(7)의 선단부에 전후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버킷(8)을 갖는다. 붐(6), 아암(7) 및 버킷(8)은 각각, 유압 실린더인 붐 실린더(9), 아암 실린더(10) 및 버킷 실린더(11)에 의해서, 요동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작업기(5)는, 캡(4)에 대하여 우측(R)에 설치된다. 작업기(5)는,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F)의 좌측(L)에 배치되는 캡(4)에 대하여, 캡(4)의 한쪽의 측부측인 우측(R)에 설치된다. 또, 캡(4)과 작업기(5)와의 배치는 도 1에 나타내는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상부 선회체(3)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는 캡(4)의 좌측에 작업기(5)가 설치되어도 좋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선회체(3)의 후방측(B)에 탑재되는 엔진(25)의 PTO(Power Take Off의 약칭) 장치(29)에는, 복수의 유압 펌프들(31a, 31b, 32a, 32b, 33a, 33b, 34)이 연결된다. 유압 펌프(34)는, 조작 레버(13)에 의해 조작되는 파일럿압 조작 밸브(12)에, 파일럿압을 공급한다. 다른 유압 펌프들(31a∼33b)은, 작업기(5)를 구동하는 각 유압 실린더들(9, 10, 11), 상부 선회체(3)를 선회 구동하는 선회 모터, 및 하부 주행체(2)에 설치한 좌우 주행 모터(37a, 37b) 등에 압유를 공급한다. 도 2에 나타나 있지 않은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 회로도, 도 2에 기재되는 회로와 유사한 회로로 구성된다.
유압 펌프(31a, 31b)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각각 우측 주행 모터용 전환 밸브(14a), 붐용 전환 밸브(14b), 버킷용 전환 밸브(14c) 및 아암용 전환 밸브(14d)를 통해 우측 주행 모터(37b), 붐 실린더(9), 버킷 실린더(11) 및 아암 실린더(10)에 공급된다. 이들 전환 밸브(14a∼14d)의 파일럿 조작부에는 각각에 대응한 파일럿압이, 파일럿압 조작 밸브(12)로부터 공급된다.
유압 펌프(31a, 31b)의 토출관로, 유압 펌프(32a, 32b)의 토출 관로, 및 유압 펌프(33a, 33b)의 토출 관로에는, 각각의 펌프 토출압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35a, 35b, 36)가 설치된다. 전환 밸브(14a∼14d)와 각 액츄에이터를 접속하는 관로에는, 각 액츄에이터의 부하압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16a, 16b, 17a, 17b, 18a, 18b, 19a, 19b)가 각각 설치된다. 선회 모터, 좌측 주행 모터(37a)에 관해서도, 상기와 동일하게 그 접속 관로에 각각의 부하압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이러한 압력 센서의 검출 신호는, 컨트롤러(20)에 입력된다. 컨트롤러(20)는,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의 각 액츄에이터의 부하압 검출값에 기초하여, 각각의 작업기나 하부 주행체(2)의 주행 구동부 등의 부하 빈도(각 부하 레벨에 대한 발생 빈도이며, 부하량에 대응함)를 구한다.
엔진(25)의 연료 분사 펌프(26)에는, 엔진 컨트롤러(22)로부터 연료 분사량 지령이 입력된다. 엔진 컨트롤러(22)에는, 엔진(25)의 출력 회전축에 설치한 엔진 회전수 센서(27)의 검출 신호가, 피드백 신호로서 입력된다. 엔진 컨트롤러(22)는, 이 엔진 회전수의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엔진(25)을 소정 마력으로 구동하도록 연료 분사량 지령을 연산하여 출력함과 함께, 컨트롤러(20)에 엔진 회전수 및 출력한 연료 분사량 지령값을 입력한다.
컨트롤러(20)와, 엔진 컨트롤러(22)와, 모니터(21)는 쌍방향의 통신 케이블(23)을 통해 접속되고, 유압 셔블(1) 내의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모니터(21), 컨트롤러(20) 및 엔진 컨트롤러(22)는 네트워크 통신 케이블(23, 23)을 경유하여 서로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된다. 또한, 모니터(21), 컨트롤러(20), 엔진 컨트롤러(22)는 각각,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컴퓨터 장치를 주체로 하여 구성된다.
컨트롤러(20)와 외부의 감시국(76)과의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해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20)와 감시국(76)은, 위성 통신을 통해 통신한다. 컨트롤러(20)에는, 위성 통신 안테나(72)를 갖는 통신 단말기(71)가 접속된다. 위성 통신 안테나(7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3)에 탑재된다. 지상의 감시국(76)에는, 통신 위성(73)과 전용 통신 회선으로 통신하는 통신 지구국(74)에 전용 회선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관제국(75)이, 인터넷 등을 경유하여 접속된다. 이에 따라, 통신 단말기(71), 통신 위성(73), 통신 지구국(74) 및 네트워크 관제국(75)을 경유하여, 컨트롤러(20)와 정해진 감시국(76)과의 사이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본 실시 형태의 유압 셔블(1)에 정보화 시공 시스템을 탑재하는 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3차원 CAD(Computer Aided Design)로 작성된 시공 설계 데이터는, 미리 컨트롤러(20)에 보존된다. 모니터(21)는, 화면상에 유압 셔블(1)의 현상 위치를 리얼 타임으로 갱신 표시하고,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1)의 작업 상태를 항상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컨트롤러(20)는, 시공 설계 데이터와 작업기(5)의 위치 및 자세를 리얼 타임으로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유압 회로를 구동함으로써, 작업기(5)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공 설계 데이터에 따른 시공되어야 하는 위치와 버킷(8)의 위치를 맞추어, 그 후 정해진 굴착 또는 정지(整地) 등의 시공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시공 설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압 셔블(1)의 작업기(5)가 자동 제어되기 때문에, 시공시의 표지가 되는 말뚝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시공 효율이 향상된다. 덧붙여, 시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고품질의 건설 시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캡(4)의 내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전방측(F)을 향하여 착석하는 운전석(61)이 배치된다. 캡(4)은, 운전석(61)을 덮어 배치되는 지붕 부분과, 지붕 부분을 지지하는 복수의 필러를 포함한다. 복수의 필러는, 운전석(61)에 대하여 전방측(F)에 배치되는 프론트 필러(40)와, 운전석(61)에 대하여 후방측(B)에 배치되는 리어 필러(46)와, 프론트 필러(40)와 리어 필러(46)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필러(44)를 갖는다. 각각의 필러는, 수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직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캡(4)의 바닥부와 지붕 부분에 연결된다.
프론트 필러(40)는, 제1 필러(41)와, 제2 필러(42)를 갖는다. 캡(4)에 대하여 우측(R)에 작업기(5)가 배치되고, 제1 필러(41)는 작업기(5)에 근접한 측(한쪽의 측부측)인 우측(R)에 배치된다. 제2 필러(42)는, 작업기(5)로부터 떨어진 측(다른쪽의 측부측)인 좌측(L)에 배치된다. 제1 필러(41)와, 제2 필러(42)와, 한 쌍의 리어 필러(46)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은, 캡(4)의 실내 공간을 형성한다. 운전석(61)은, 캡(4)의 실내 공간에 수용되고, 캡(4)의 바닥부의 거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캡(4)의 좌측(L)의 측면에는, 오퍼레이터가 캡(4)에 승강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제1 필러(41)와 제2 필러(42)와의 사이에는, 앞창(47)이 배치된다. 앞창(47)은, 운전석(61)에 대하여 전방측(F)에 배치된다. 앞창(47)은, 투명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운전석(61)에 착석하고 있는 오퍼레이터가 앞창(47)을 통해서 캡(4)의 외부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61)에 착석하고 있는 오퍼레이터는, 앞창(47)을 통해서, 토사를 굴착하는 버킷(8)을 직접 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캡(4) 내부의 전방측(F)에는, 모니터 장치(66)가 설치된다. 모니터 장치(66)는, 캡(4) 내의 우측 전측의 모서리부에 배치되고, 캡(4)의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다. 모니터 장치(66)는, 제1 필러(41)에 대하여 운전석(61)측에 배치된다. 모니터 장치(66)는, 운전석(61)에 착석하고 있는 오퍼레이터로부터 보아, 제1 필러(41)의 바로 앞쪽에 배치된다.
모니터 장치(66)는, 다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각종의 모니터 기능을 갖는 평면형의 표시면(66d)과, 다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스위치를 갖는 스위치부(67)와, 표시면(66d)에 표시되는 내용을 음성으로 표현하는 음성 발생기(68)를 구비한다. 이 표시면(66d)은 액정 표시기, 플라즈마 표시기 등의, 그래픽 표시기에 의해 구성된다. 스위치부(67)는 복수의 키 스위치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패널식의 터치 스위치라도 상관없다.
운전석(61)의 전방측(F)에는, 하부 주행체(2)를 조작하는 주행 조작부(62)로서의 좌우 주행 조작 레버(63a, 63b)가 설치된다. 운전석(61)의 좌측(L) 및 우측(R)에는, 작업기(5)(붐(6), 아암(7), 버킷(8))의 구동 및 상부 선회체(3)의 선회를 조작하기 위한, 작업기 조작 레버(64, 65)가 각각 설치된다. 좌우 주행 조작 레버(63a, 63b)와 작업기 조작 레버(64, 65)는, 도 2에 나타내는 조작 레버(13)에 대응한다. 이러한 조작 레버에는, 작업기(5)용의 유압 실린더(9, 10, 11),선회 모터, 좌우 주행 모터(37a, 37b)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각각의 파일럿압 조작 밸브(12)(도 2 참조)가 접속된다. 운전석(61)의 우측(R)에는 또한, 작업기(5)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콘솔(69)이 설치된다.
모니터 장치(66)의 위쪽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외부로부터 수신한 유압 셔블(1)의 현상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21)가 배치된다. 모니터(21)는, 평면형상의 표시면(21d)을 갖는다. 도 3에 나타내는 모니터 장치(66)의 표시면(66d)과 모니터(21)의 표시면(21d)을 비교하면, 표시면(21d)은 표시면(66d)보다도 크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모니터 장치(66)가 7인치의 표시면(66d)을 가지고, 모니터(21)가 12인치의 표시면(21d)을 갖고 있어도 좋다.
모니터(21)는, 한 쌍의 프론트 필러(40) 중, 작업기(5)에 근접한 측의 우측(R)의 제1 필러(41)에 부착되고, 제1 필러(41)의 후방측(B)에 배치된다. 모니터(21)는, 운전석(61)에 착석하고 있는 오퍼레이터의 우측 전방으로의 시선 중에서, 제1 필러(41)의 바로 앞쪽에 배치된다. 캡(4)의 우측(R)에 작업기(5)를 구비하는 유압 셔블(1)에 있어서, 모니터(21)를 제1 필러(41)에 부착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작업기(5)와 모니터(21)와의 양방을 작은 시선 이동량으로 볼 수 있다.
모니터(21)는, 지지 부재(50)를 통해, 제1 필러(41)에 부착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필러(41)에 대하여 후방측(B)에, 평판형상의 핀부(49)가 고정된다. 핀부(49)는, 제1 필러(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된다. 핀부(49)는, 캡(4)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좌측(L)을 향하는 내측 표면과, 우측(R)을 향하는 외측 표면을 갖는다. 지지 부재(50)는, 핀부(49)의 내측 표면에 부착된다.
지지 부재(50)는, 핀부(49)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는 베이스 부재(51)와, 모니터(21)의 이면측에 부착되는 조인트 부재(52)와, 베이스 부재(51)와 조인트 부재(52)와의 사이에 걸쳐 설치된 아암 부재(55, 56)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51)는, 구형상의 구체부와, 원반 형상의 평판부(53)를 갖는다. 평판부(53)에는, 평판부(53)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531)이 복수형성된다. 관통 구멍(531)을 관통하여 접합 부재(532)가 설치됨으로써, 평판부(53)는 핀부(49)에 접합된다. 베이스 부재(51)는, 핀부(49)를 통해 제1 필러(41)에 고정된다. 핀부(49) 및 베이스 부재(51)는, 제1 필러(41)에 고정되는 베이스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조인트 부재(52)는, 구형상의 구체부와, 원반 형상의 평판부(54)를 갖는다. 평판부(54)에는, 평판부(54)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541)이 복수형성된다. 관통 구멍(541)을 관통하여 접합 부재가 설치됨으로써, 평판부(54)는 모니터(21)에 접합된다. 조인트 부재(52)는, 모니터(21)에 부착되는 지지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아암 부재(55, 56)는, 한 쪽의 단부에서 베이스 부재(51)의 구체부를 사이에 끼우고, 다른쪽의 단부에서 조인트 부재(52)의 구체부를 사이에 끼워 배치된다. 아암 부재(55, 56)는 회동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조인트 부재(52)는 자재 이음구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아암 부재(55)에는 나사 구멍(551)이 형성되고, 아암 부재(56)에는 관통 구멍(561)이 형성된다. 한 쌍의 아암 부재(55, 56)는, 볼트 부재(58)가 관통 구멍(561)을 관통함과 함께 나사 구멍(551)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일체로 접합된다. 볼트 부재(58)의 일단에는 그립부(57)가 설치된다. 오퍼레이터는, 그립부(57)를 손으로 잡아 회전함으로써, 볼트 부재(58)를 이용한 아암 부재(55, 56)의 접합 및 해체를 행한다.
베이스 부재(51)의 구체부를 통해 아암 부재(55, 56)가 핀부(49)에 접합됨으로써, 아암 부재(55, 56)는, 핀부(49)의 내측 표면에 대한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켜, 핀부(49)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50)는, 핀부(49)가 부착되는 제1 필러(4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인트 부재(52)의 구체부를 통해 모니터(21)가 아암 부재(55, 56)에 접합됨으로써, 모니터(21)는, 아암 부재(55, 56)의 연장 방향에 대한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켜, 아암 부재(55, 5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모니터(21)는, 지지 부재(5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암 부재(55, 56)를 강고하게 체결함으로써, 베이스 부재(51)의 구체부가 아암 부재(55, 56)에 의해서 강하게 사이에 끼워 붙여지고, 그리고 조인트 부재(52)의 구체부가 아암 부재(55, 56)에 의해서 강하게 끼워 붙여진다. 아암 부재(55, 56)의 체결에 의하여, 모니터(21)는 제1 필러(41)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되고, 제1 필러(41)에 대한 모니터(21)의 위치 결정이 가능해진다.
아암 부재(55, 56)의 체결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지지 부재(50)는 핀부(49)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고, 모니터(21)는 지지 부재(5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니터(21)는, 지지 부재(50)에 의해서 정해진 가동 범위 내에서, 제1 필러(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캡(4) 내부에서의 모니터(21)의 이동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캡(4)은 운전석(61)에 대하여 전방측(F)의 전벽(141)과, 후방측(B)의 후벽(144)과, 운전석(61)을 덮고 있는 지붕 부분(142)과, 운전석(61)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바닥부(143)를 갖는다. 운전석(61)은, 캡(4)의 실내 공간의 거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모니터 장치(66)는, 바닥부(143)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69)에 의해 지지된다. 모니터(21)는, 핀부(49)를 통해 제1 필러(41)에 부착되어, 모니터 장치(66)의 위쪽에 배치된다.
캡(4)의 내부에는, 전벽(141)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레일(241)과, 지붕 부분(142)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 가이드 레일(242)이 배치된다. 제1 가이드 레일(241)은 제1 및 제2 필러(41, 42)의 각각을 따라서 연장된다. 앞창(47)은,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241, 242)에 의해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전벽(141)에는, 도 7에 나타내는 개구부(141a)가 형성되고, 앞창(47)은 해당 개구부(141a)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해당 개구부(141a)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앞창(47)은, 개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폐쇄 위치에 배치되는 앞창(47)은, 제1 가이드 레일(241)에 의해서 지지되고, 캡(4)의 전방측(F)의 개구부(141a)를 폐쇄한다. 앞창(47)은, 폐쇄 위치로부터 캡(4)의 지붕 부분(142)을 향하여 위쪽으로 이동하고, 개구부(141a)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배치된다. 개방 위치에 배치되는 앞창(47)은,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241, 242)의 양방에 의해서 지지된다.
도 6에는, 앞창(47)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모니터(21)의 배치가 표시된다. 모니터(21)는, 운전석(61)에 착석하고 있는 오퍼레이터가 용이하게 표시면(21d)을 시인할 수 있도록, 표시면(21d)을 운전석(61)측을 향해서 배치된다.
도 7에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앞창(47)의 이동 영역이 도시된다. 앞창(47)의, 캡(4)의 실내 공간측의 표면에는, 손잡이(471)가 부착된다. 앞창(47)은, 오퍼레이터가 손잡이(471)를 파지하여 앞창(47)을 들어 올림으로써 수동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앞창(7)은, 상단부와 하단부를 갖고, 상단부가 지붕 부분(142)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며, 그리고 하단부가 제1 및 제2 필러(41, 42)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6과 도 7을 비교하면, 모니터(21)를 도 6에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한 채로 둔 경우, 앞창(47)의 이동 영역에 모니터(21)가 간섭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모니터(21)의 위치를 간섭 위치라 칭한다. 모니터(21)가 간섭 위치에 있으면, 앞창(47)의 이동이 방해되고, 앞창(47)을 열어 오퍼레이터가 캡(4) 밖을 직접 보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모니터(21)는, 앞창(47)의 이동 영역과의 간섭을 피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6에 나타내는 간섭 위치로부터, 도 7에 나타내는 위치로 모니터(21)를 이동시킴으로써, 모니터(21)가 앞창(47)의 이동 영역과 중복되지 않게 되고, 앞창(47)과 모니터(21)가 간섭하지 않게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모니터(21)의 위치를 비간섭 위치라 칭한다.
도 6∼도 8을 참조하면, 간섭 위치에 배치되는 모니터(21)(모니터(21 A)와, 비간섭 위치에 배치되는 모니터(21)(모니터(21B)를 비교하면, 모니터(21B)는, 모니터(21A)에 대하여, 캡(4) 내부를 후방측(B)을 향하여 이동한 위치에 배치된다.
도 8 중에는, 도 6에 나타내는 간섭 위치에 있는 모니터(21A)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도 7에 나타내는 비간섭 위치에 있는 모니터(21B)를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 중에는, 모니터(21)의 직사각형상의 표시면(21d)의 상부 가장자리(21a)의 중심과 하부 가장자리(21b)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을, 중심선(CL)으로 하여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 중에는, 수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직 방향(V)을 나타내고 있다. 간섭 위치에 있는 모니터(21A) 의 중심선(CL)이 수직방향 V에 대하여 기울어진 경사 각도를, 제1 경사 각도(θ1)로 한다. 비간섭 위치에 있는 모니터(21B)의 중심선(CL)이 수직 방향(V)에 대하여 기울어진 경사 각도를, 제2 경사 각도(θ2)로 한다. 이 때, 제1 경사 각도(θ1)는 제2 경사 각도(θ2)보다도 작다. 즉, 모니터(21B)는, 모니터(21A)에 대하여, 수직 방향(V)에 대한 경사 각도가 보다 커지고 있다.
간섭 위치에 있는 모니터(21A)에서는, 표시면(21d)의 상부 가장자리(21a)는, 표시면(21d)의 하부 가장자리(21b)보다도, 전방측(F)에 배치된다. 한편, 비간섭 위치에 있는 모니터(21B)에서는, 표시면(21d)의 상부 가장자리(21a)는, 표시면(21d)의 하부 가장자리(21b)보다도, 후방측(B)에 배치된다. 도 6 및 도 7에는 전후 방향을 따르는 캡(4)의 단면이 도시되고,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21B)는, 모니터(21A)와 비교하여 보다 캡(4)의 측부측을 향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콘솔(69)은 운전석(61)의 우측(R)에 배치된다. 콘솔(69)의 상면 전측에 작업기(5)를 조작하기 위한 작업 조작 레버(65)가 배설된다. 콘솔(69)의 상면 중앙·후측에는 암 레스트가 배설된다. 콘솔(69)은 운전석(61)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의 체형에 따라서, 레버·스위치류를 조작하기 쉽게, 높이·전후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작업기 조작 레버(65)는 전후·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작업기(5)의 붐(6)은 작업기 조작 레버(65)를 전방으로 요동시키면 내려가고, 작업기 조작 레버(65)를 후방으로 요동시키면 올라간다. 작업기(5)의 버킷은 작업기 조작 레버(65)의 좌우 요동에 의해 조작된다. 작업기 조작 레버(65)는,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후·좌우 요동의 중심에 있는 중립 위치에 위치한다. 이 중립 위치에서는 작업기는 동작을 정지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작업기 조작 레버(65)는, 전술대로, 콘솔(69)의 이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6, 7에는, 작업기 조작 레버(65)가 가장 전방측(F)에 이동하고, 그리고 전후 방향의 요동으로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가 도시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섭 위치에 있는 모니터(21A)는, 상기 상태의 작업기 조작 레버(65)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간섭 위치에 있는 모니터(21B)는, 상기 상태의 작업기조작 레버(65)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작업기 조작 레버(65)는, 콘솔(69) 즉 작업기 조작 레버(65)의 전후 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중립 위치에 있으면, 간섭 위치로부터 비간섭 위치로 이동하는 모니터(21)와의 간섭을 피하여 배치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압 셔블(1)의 캡(4) 내에 종래 설치되어 있던 제1 모니터로서의 모니터 장치(66)에 더하여, 제2 모니터로서의 모니터(21)가 캡(4) 내에 설치된다. 모니터(21)는, 정보화 시공을 위해 유압 셔블(1)의 현재 위치를 리얼 타임으로 갱신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로서, 표시면(21d)에 표시되어야 하는 정보량은 많다. 따라서, 정보화 시공용의 정보를 충분히 표시할 수 있다. 모니터(21)의 표시면(21d)을 모니터 장치(66)의 표시면(66d)과 비교하여 큰 화면으로 설치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표시면(21d)에 표시되는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모니터(21)는, 지지 부재(50)에 의해서, 앞창(47)의 이동 영역에 간섭하는 간섭 위치와 앞창(47)의 이동 영역에 간섭하지 않는 비간섭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앞창(47)을 닫은 상태에서는, 오퍼레이터가 모니터(21)의 표시면(21d)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21)를 간섭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앞창(47)을 열 때에는 모니터(21)를 비간섭 위치에 이동시키면, 이동하는 앞창(47)이 모니터(21)와 간섭하지 않고, 앞창(47)의 이동이 모니터(21)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동식의 앞창(47)과의 간섭없이, 대화면의 모니터(21)를 캡(4)의 내부 공간의 전방측(F)에 배치할 수 있다.
모니터(21)는, 운전석(61)에 착석하고 있는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전방측(F)의, 프론트 필러(40)에 부착된다. 모니터(21)는 특히, 캡(4)에 대하여 작업기(5)의 배치되는 측, 즉 우측(R)에 배치되는 제1 필러(41)에 부착된다. 오퍼레이터로부터 보아 제1 필러(41)와 중복되는 위치에 모니터(21)가 배치되기 때문에, 시공 중인 오퍼레이터의 시야를 좁히지 않고 대화면의 모니터(21)를 캡(4)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운전석(61)에 착석하고 있는 상태로, 작업기(5)와 모니터(21)의 양방을 작은 시선 이동량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확인이 보다 용이해진다. 모니터(21)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50)를, 오퍼레이터로부터 보아 모니터(21)에 숨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시야를 한층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50)를 제1 필러(4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모니터(21)를 지지 부재(5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50)를 제1 필러(41)에 대하여 회동시킴과 함께 모니터(21)를 지지 부재(50)에 대하여 회동시켜, 제1 필러(41)에 대하여 모니터(21)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제1 필러(41)에 대한 모니터(21)의 배치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모니터(21)를 보다 용이하게 간섭 위치로부터 비간섭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 부재(50)의 아암 부재(55, 56)는, 오퍼레이터가 그립부(57)를 회전시킴으로써,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공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그립부(57)를 회전시켜 볼트 부재(58)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모니터(21)를 위치 조정할 수 있다. 볼트 부재(58)를 더욱 느슨하게 함으로써, 모니터(21)를 지지 부재(50)로부터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니터(21)를 제거 가능하게 하면, 작업 종료 후, 오퍼레이터가 모니터(21)를 갖고 돌아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대로, 모니터(21)는 통신 케이블(23)을 통해 컨트롤러(20)에 접속되고, 통신 케이블(23)에 의해서 모니터(21)로의 전력 공급 및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통신 케이블(23)의 연결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를 설치하여, 모니터(21)를 제거할 때에 커넥터를 분리하도록 하면, 통신 케이블(23)을 용이하게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통신 케이블의 연결 및 분리가 반복 가능하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커넥터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간섭 위치에 있는 모니터(21)가 수직 방향(V)에 대하여 기울어진 제1 경사 각도(θ1)를, 비간섭 위치에 있는 모니터(21)가 수직 방향(V)에 대하여 기울어진 제2 경사 각도(θ2)보다도 작게 해도 좋다. 이에 따라, 모니터(21)를 수직 방향(V)에 대하여 기울여, 간섭 위치로부터 비간섭 위치로 모니터(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모니터(21)가 간섭 위치에 있을 때, 표시면(21d)의 상부 가장자리(21a)는 하부 가장자리(21b)보다도 전방측(F)에 배치되고, 그리고 비간섭 위치에 있을 때 하부 가장자리(21b)는 상부 가장자리(21a)보다도 전방측(F)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운전석(61)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는, 표시면(21d)을 보다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니터(21)가 비간섭 위치에 있을 때, 표시면(21d)이 간섭 위치에 있을 때와 비교하여, 보다 캡(4)의 측부측을 향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표시면(21d)을 캡(4)의 측부측을 향하도록 모니터(21)를 이동시켜, 간섭 위치로부터 비간섭 위치로 모니터(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작업기 조작 레버(65)는, 중립 위치에 있어서 모니터(21)의 최후방과의 간섭을 피하여 배치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앞창(47)과 모니터(2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모니터(21)를 비간섭 위치에 이동시켰을 때에 모니터(21)가 작업기조작 레버(65)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 2의 유압 셔블(1)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50)는, 도 4, 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의 지지 부재(50)의 구성과 비교하여, 일축 힌지를 갖고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실시 형태 2의 지지 부재(50)는, 제1 필러(41)에 고정되는 베이스부로서의 제1 아암부(351)와, 제1 아암부(351)와는 상이한 제2 아암부(352)와, 제1 아암부(351) 및 제2 아암부(352)를 연결하는 힌지(353)를 갖는다. 제1 아암부(351)와 제2 아암부(352)는 모두 직사각형 판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아암부(351)와 제2 아암부(352)는 힌지(353)를 통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 때문에, 제2 아암부(352)는 제1 필러(41)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아암부(351)에 대하여, 직사각형의 한 변을 형성하는 한쪽의 단부의 근방을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아암부(352)의, 직사각형의 다른 한 변을 형성하는 다른쪽의 단부에는, 조인트 부재(52)가 부착된다. 모니터(21)는, 예를 들면 브래킷 등의, 조인트 부재(52)의 구체부가 끼워 맞춤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모니터(21)는, 조인트 부재(52)의 구체부를 중심으로 하여 제2 아암부(352)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지지 부재(50)에 의해서 지지된다.
지지 부재(50)는, 제1 아암부(351)와 제2 아암부(352)와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 유지 기구를 갖는다. 해당 위치 유지 기구에는, 그립부(57)가 설치된다. 오퍼레이터가 그립부(57)를 손으로 잡아 회전시킴으로써, 제2 아암부(352)는 제1 아암부(351)에 대하여 회동 가능, 또는 회동 불가능하게 전환된다.
본 실시 형태의 형태에 있어서도, 모니터(21)는, 앞창(47)의 이동 영역에 간섭하는 간섭 위치와, 앞창(47)의 이동 영역과의 간섭을 피하는 비간섭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 부재(50)에 의해서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는, 간섭 위치에 있는 모니터(21)가 도시된다. 도 9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제2 아암부(352)를 제1 아암부(351)에 대하여 회동시켜, 제1 아암부(351)와 제2 아암부(352)를 각각이 동일 평면상에 있도록 배치하고, 또한 모니터(21)를 조인트 부재(52)의 구체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비간섭 위치로 모니터(21)를 이동시킬 수 있어,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효과를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제1 아암부(351)와 제2 아암부(352)를 힌지(353)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제2 아암부(352)는 거의 수평면을 따라서만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위치 유지 기구에 의한 제2 아암부(352)의 고정이 불충분한 문제점이 발생한 경우에도, 모니터(21)의 자신의 중량 때문에 모니터(21)의 위치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모니터(21)의 수직 방향(V)의 위치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 1, 2에서는, 지지 부재(50)가, 접합하는 2개의 부재가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이음구인 유니버설 조인트를 갖고 있는 예에 관해서 설명했다. 지지 부재(50)는,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조인트 부재(52) 대신에 힌지를 구비한, 2축 힌지식의 지지 부재(50)를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아암부의 배치 및 형상을 적절히 설계하면, 모니터(21) 및 지지 부재(50)의 양방을 앞창(47)의 이동 경로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앞창(47)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지지 부재(50)가 제1 필러(4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여, 모니터(21)가 지지 부재(5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면, 지지 부재(50)를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모니터(21)를 간섭 위치로부터 비간섭 위치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번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표시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 유압 셔블, 4 : 캡, 5 : 작업기, 20 : 컨트롤러, 21, 21A, 21B : 모니터, 21a : 상부 가장자리, 21b : 하부 가장자리, 21d, 66d : 표시면, 40 : 프론트 필러, 41 : 제1 필러, 42 : 제2 필러, 47 : 앞창, 50 : 지지 부재, 51 : 베이스 부재, 52 : 조인트 부재, 55, 56 : 아암 부재, 57 : 그립부, 58 : 볼트 부재, 61 : 운전석, 66 : 모니터 장치, 141 : 전벽, 141a : 개구부, B : 후방측, CL : 중심선, F : 전방측, L : 좌측, R : 우측, V : 수직 방향.

Claims (4)

  1. 캡과, 상기 캡의 한쪽의 측부측에 배치되는 작업기를 구비한 유압 셔블로서,
    상기 캡은,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한쪽의 측부측에 배치되는 제1 필러와 다른쪽의 측부측에 배치되는 제2 필러를 갖는 프론트 필러와,
    상기 운전석의 위쪽을 덮는 지붕 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 필러의 각각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상기 지붕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 가이드 레일과,
    상단부와 하단부를 갖고, 상기 상단부가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하단부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앞창과,
    상기 운전석의 전방측으로서 상기 제1 필러측에 배치되며, 그리고 제1 표시면을 갖는 제1 모니터와,
    상기 제1 모니터의 위쪽에서 상기 제1 필러에 지지되며, 그리고 상기 제1 표시면보다도 큰 제2 표시면을 갖는 제2 모니터와,
    상기 제1 필러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모니터를 지지하는 자재 이음구를 갖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앞창이 상기 제1 및 제2 필러의 사이의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는 이동 영역에 간섭하는 간섭 위치와, 간섭하지 않는 비간섭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모니터를 지지하는 것인, 유압 셔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면은,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를 갖고,
    상기 제2 모니터가 상기 간섭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부 가장자리는 상기 하부 가장자리보다도 상기 전방측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비간섭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부 가장자리는 상기 상부 가장자리보다도 상기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인, 유압 셔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니터가 상기 비간섭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2 표시면은 상기 제2 모니터가 상기 간섭 위치에 있을 때보다도 상기 캡의 측부측을 향하는 것인, 유압 셔블.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조작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2 모니터의 최후방과의 간섭을 피하여 배치되는 것인, 유압 셔블.
KR1020157006186A 2013-01-18 2013-07-16 유압 셔블 KR101553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07239A JP5465345B1 (ja) 2013-01-18 2013-01-18 油圧ショベル
JPJP-P-2013-007239 2013-01-18
PCT/JP2013/069248 WO2014112140A1 (ja) 2013-01-18 2013-07-16 油圧ショベ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856A KR20150039856A (ko) 2015-04-13
KR101553200B1 true KR101553200B1 (ko) 2015-09-14

Family

ID=5061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186A KR101553200B1 (ko) 2013-01-18 2013-07-16 유압 셔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02112B2 (ko)
JP (1) JP5465345B1 (ko)
KR (1) KR101553200B1 (ko)
CN (1) CN104066895B (ko)
DE (1) DE112013006454B4 (ko)
WO (1) WO20141121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6005501U1 (de) * 2015-09-11 2016-11-21 Hyster-Yale Group, Inc. Zubehörarm für einen Gabelstapler
US9809953B2 (en) 2015-10-29 2017-11-07 Komatsu Ltd. Controller assembly and work vehicle
JP6666142B2 (ja) * 2015-12-25 2020-03-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および作業車両の制御方法
CN108699815B (zh) 2016-02-09 2021-09-28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
JP6813268B2 (ja) * 2016-02-16 2021-01-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CN108884668B (zh) * 2016-03-30 2022-06-07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
EP3438356B1 (en) * 2016-03-31 2022-05-11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hovel
JP6451707B2 (ja) * 2016-09-02 2019-01-1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WO2018159742A1 (ja) 2017-03-02 2018-09-07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CN109983417B (zh) * 2017-07-18 2022-01-18 株式会社久保田 作业机
WO2019017188A1 (ja) 2017-07-18 2019-01-2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6946172B2 (ja) * 2017-12-27 2021-10-0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WO2019131721A1 (ja) 2017-12-27 2019-07-0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及び作業機の製造方法
KR20210032409A (ko) * 2018-07-19 2021-03-24 클라크 이큅먼트 컴파니 천정 도어가 있는 운전실용 디스플레이 위치
WO2020027057A1 (ja) * 2018-07-31 2020-02-06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US11040670B2 (en) 2018-11-26 2021-06-22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Adjustable working machine operator display system
JP7117238B2 (ja) * 2018-12-27 2022-08-12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
JP7473305B2 (ja) * 2019-07-10 2024-04-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キャブおよび作業車両
JP7326058B2 (ja) * 2019-07-31 2023-08-15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建設機械及びアンテナ取付構造
JP7165640B2 (ja) * 2019-09-26 2022-11-04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WO2023074789A1 (ja) 2021-10-28 2023-05-04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用キャブ
EP4350079A1 (de) * 2022-10-06 2024-04-10 BAUER Maschinen GmbH Tiefbau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tiefbaumas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6915A (ja) 2004-07-05 2006-01-1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12136873A (ja) 2010-12-27 2012-07-19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タッチパネルモニ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2043B2 (ja) 1993-07-21 1998-03-04 純正化學株式会社 新規な分子間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0147415B1 (ko) 1994-07-30 1998-08-17 카타다 테쭈야 작업차량운전실의 창문자동개폐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H08270018A (ja) 1995-03-31 1996-10-15 Tokai Rika Co Ltd 操作モニタ及びその旋回装置
JPH11324020A (ja) 1998-05-13 1999-11-26 Komatsu Ltd 建設車両の作業機操作装置及び運転室
EP1512816B1 (en) * 1999-04-02 2010-01-13 Komatsu Ltd. Cab window lock system
JP3889180B2 (ja) * 1999-04-02 2007-03-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引上げ開放式窓の構造
JP2000355958A (ja) * 1999-06-16 2000-12-26 Nippon Seiki Co Ltd 建設機械用表示装置の取付構造
JP4727842B2 (ja) 2001-05-02 2011-07-2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用キャブの前窓開閉装置
US6939155B2 (en) 2002-12-24 2005-09-06 Richard Postrel Modular electronic systems for vehicles
JP4506286B2 (ja) 2003-08-19 2010-07-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JP2005163370A (ja) * 2003-12-02 2005-06-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画像表示装置
JP2005163470A (ja) * 2003-12-05 2005-06-23 Komatsu Ltd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2006342583A (ja) 2005-06-09 2006-12-21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におけるモニタ装置
CN201033877Y (zh) 2007-05-29 2008-03-12 徐州徐挖机械制造有限公司 挖掘机驾驶室
JP2010105568A (ja) * 2008-10-30 2010-05-13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建設機械のモニター装置
DE202009002114U1 (de) * 2009-02-13 2010-07-15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Haltevorrichtung für Endgerät an einem Flurförderzeug
US8172312B2 (en) 2009-09-03 2012-05-08 Caterpillar Global Mining Llc Excavator cab with an improved field of view
US8087623B2 (en) 2009-09-21 2012-01-03 Suddarth Wesley Allison Vertical display mounting device
JP5386473B2 (ja) 2010-12-24 2014-01-1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6915A (ja) 2004-07-05 2006-01-1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12136873A (ja) 2010-12-27 2012-07-19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タッチパネルモニ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3006454B4 (de) 2015-11-05
US9702112B2 (en) 2017-07-11
CN104066895B (zh) 2015-12-02
KR20150039856A (ko) 2015-04-13
JP2014136943A (ja) 2014-07-28
CN104066895A (zh) 2014-09-24
WO2014112140A1 (ja) 2014-07-24
JP5465345B1 (ja) 2014-04-09
US20160186410A1 (en) 2016-06-30
DE112013006454T5 (de)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200B1 (ko) 유압 셔블
US9284714B2 (en) Hydraulic excavator
US104947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a zone of operation for a lift arm
US11801794B2 (en) Display position for cab with overhead door
CN105121751B (zh) 作业车辆
JP5756890B2 (ja) 作業車両、及び作業車両の制御方法
US11518318B2 (en) Shovel
US9080312B2 (en) Hydraulic excavator
US9702119B2 (en) Hydraulic excavator
JP4057542B2 (ja) 建設機械
CA2966025A1 (en) Tailgate linkage
EP3704314B1 (en) Excavator man-lift
JP6826541B2 (ja) 作業機械
JP2024049069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553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208

Effective date: 2017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