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307B1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307B1
KR101551307B1 KR1020140021988A KR20140021988A KR101551307B1 KR 101551307 B1 KR101551307 B1 KR 101551307B1 KR 1020140021988 A KR1020140021988 A KR 1020140021988A KR 20140021988 A KR20140021988 A KR 20140021988A KR 101551307 B1 KR101551307 B1 KR 101551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gear
speed
pto
transmiss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8137A (ko
Inventor
노보루 사가와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39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61557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6684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120484A/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8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4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 F16H37/042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change gear transmissions in group arrangement
    • F16H37/043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change gear transmissions in group arrangement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4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 F16H37/042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change gear transmissions in group arrangement
    • F16H37/043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change gear transmissions in group arrangement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2037/044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change gear transmissions in group arrangement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a separate gearing unit for shifting between forward or rever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 F16H2057/02056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for utility vehicles, e.g. tractors or agricultural machines

Abstract

(과제) 작업 차량의 주행계, PTO계의 전동 도중에 설치하는 클러치 배치의 합리화를 도모한다.
(해결 수단) 전륜(2) 및 후륜(3)과, 엔진(4)과,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 및 리어 미션 케이스(12R)를 구비하는 미션 케이스(12)와, 미션 케이스(12) 내에 배치되어 엔진(4)으로부터 후륜(3) 또는 전륜(2)에 회전동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기체에 장착된 작업기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전동기구(13)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기구(13)는 입력축(14), 전후진 스위칭기구(15), 주변속기구(17), 부변속기구(18), 2WD/4WD 스위칭기구(19), PTO 구동기구(20)를 구비하고, 상기 전후진 스위칭기구(15)의 클러치(C1, C2), 상기 2WD/4WD 스위칭기구(19)의 클러치(C6, C7) 및 상기 PTO 구동기구(20)의 클러치(C5)를 상기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 내에 배치했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용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작업 차량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전륜과 후륜을 갖는 차체 상에 설치한 엔진과, 그 엔진의 동력 회전속도를 주행 상태에 따라서 전륜과 후륜의 적절한 회전속도로 각각 변속하는 각종의 클러치와 기어기구를 포함하는 구동기구를 갖는 변속장치를 수납한 미션 케이스와, 각종의 구동기구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구비한 동력차량의 유압회로로서, 미션 케이스의 일측벽에 유압펌프로부터 외부 부착의 유로를 통해서 고압유를 도입하여 규정압과 잉여압으로 나누어서 출력하는 감압밸브를 설치하고, 그 감압밸브에 제 1 제어밸브(4WD 밸브)를 설치하고, 미션 케이스의 타측벽에 제 2 제어밸브(주 체인지 밸브, Hi-Lo 스위칭 밸브)와 제 3 제어밸브(리저버 밸브, 자동 선회용 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감압밸브의 규정압측 유로에 제 1 제어밸브와 제 2 제어밸브와 제 3 제어밸브로의 공급 유로를 접속하고 있는 구성의 개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륜으로 동력이 변속되어서 전해지는 트랙터의 트랜스미션으로서, 주변속축과, 한쌍의 전진 및 후진용 유압 클러치 기구와, 2세트의 기어 동기식의 제 1 및 제 2 변속기구와, 한쌍의 제 1 및 제 2 유압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트랜스미션이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주변속축은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쌍의 전진 및 후진용 유압 클러치 기구는 입력축 상에 배치되어서 주변속축으로 전달되는 동력의 회전 방향을 바꾼다. 2세트의 기어 동기식의 제 1 및 제 2 변속기구는 한쌍의 전진 및 후진용 유압 클러치 기구의 출력측에 배치된다. 한쌍의 제 1 및 제 2 유압 클러치 기구는 2세트의 제 1 및 제 2 변속기구의 출력측에 배치되어서 2세트의 제 1 및 제 2 변속기구의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의 접속/절단을 스위칭한다.
일본 특허 공개 2004-19610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8-95748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제 1 제어밸브∼ 제 3 제어밸브는 미션 케이스의 좌우 측면에 전후에 걸쳐서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미션 케이스 내에 설치하는 유압 클러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미션 케이스 외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유압 클러치의 배치는 미션 케이스 내 전동기구의 적소에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제 1 제어밸브∼ 제 3 제어밸브의 배치는 전후에 걸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미션 케이스에 형성하는 유로도 미션 케이스의 전후 각처에 형성되고, 밸브로의 배관류도 길어져서 미션 케이스 측면의 배삭(配索)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유압 펌프의 배치도 엔진 측면에 있어서 미션 케이스 측면의 제어 밸브에 대하여 길게 형성할 필요가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트랙터의 트랜스미션은 주변속기구를 사이에 두고 상류측에 전후진 유압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하류측에 제 1, 제 2 유압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여 주변속 다단화를 꾀하고 있지만, 유압 클러치를 전후로 분리해서 배치하는 점이 인용문헌 1과 같고, 더나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작상의 개량을 꾀하고, 또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했다.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은,
전륜(2) 및 후륜(3)과, 엔진(4)과,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 및 리어 미션 케이스(12R)를 구비하는 미션 케이스(12)와, 미션 케이스(12) 내에 배치되어 엔진(4)으로부터 후륜(3) 또는 전륜(2)으로 회전동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기체에 장착된 작업기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전동기구(13)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기구(13)는 입력축(14), 전후진 스위칭기구(15), 주변속기구(17), 부변속기구(18), 2WD/4WD 스위칭기구(19), PTO 구동기구(20)를 구비하고, 상기 전후진 스위칭기구(15)의 클러치(C1, C2), 상기 2WD/4WD 스위칭기구(19)의 클러치(C6, C7) 및 상기 PTO 구동기구(20)의 클러치(C5)를 상기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 내에 배치한 작업 차량으로 한다.
동력의 전달경로에 대하여 전후진 스위칭기구(15)가 엔진(4)측에 배치됨으로써 전후진 스위칭기구(15)의 클러치(C1, C2)를 부변속기구(18)나 주변속기구(17)보다 동력전달의 상류측의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에, 2WD/4WD 스위칭기구(19)의 클러치(C6, C7) 및 PTO 구동기구(20)의 클러치(C5)와 아울러 집중적으로 배치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구(13)에는 고저 변속기구(Hi-Lo 변속기구)(16)를 구비하고, 상기 고저 변속기구(Hi-Lo 변속기구)(16)의 클러치(C3, C4)를 상기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 내에 배치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엔진(4)의 출력측에 연결된 입력축(14), 전후진 스위칭기구(15), 상기 고저 변속기구(Hi-Lo 변속기구)(16), 주변속기구(17), 부변속기구(18), 2WD/4WD 스위칭기구(19)의 순서로 전동하여 후륜(3) 또는 전륜(2)을 구동하는 구성으로 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스위칭기구(15)의 클러치(C1, C2), 상기 2WD/4WD 스위칭기구(19)의 클러치(C6, C7), 상기 PTO 구동기구(20)의 클러치(C5) 또는 상기 고저 변속기구(Hi-Lo 변속기구)(16)의 클러치(C3, C4)를 유압 다판 클러치로 구성하고, 각 유압 다판 클러치의 제어용 클러치 밸브(55, 56, 57, 64)를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의 측면에 배치한 작업 차량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에 집중적으로 클러치(C1, C2, C5, C6, C7), 및 그것들의 제어용 클러치 밸브(55, 56, 57, 64)를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있어서, 기어 펌프(70)를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의 측면에 배치한 작업 차량으로 한다. 기어 펌프(70)를 제어 클러치 밸브(55, 56, 57, 64)에 근접 배치함으로써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에 형성한 유로에의 접속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있어서, 엔진(4) 출력에 연동하는 입력축(14)으로부터 기어군(41, 38a, 70a)을 경유해서 기어 펌프(70)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PTO 구동기구(20)의 PTO 변속기구(39)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PTO 변속 입력용 전달축(38b)에, 기어 펌프(70)를 연동하는 상기 기어군(41, 38a, 70a) 중 하나의 PTO 입력 기어(38a)를 설치하고, 그 PTO 입력 기어(38a)와 상기 PTO 변속 입력용 전달축(38b) 사이에 상기 PTO용의 클러치(C5)를 설치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의 측방에 연료탱크(65L, 65R)를 설치한 작업 차량으로 한다.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의 제어용 클러치 밸브(55, 56, 57, 64)나 기어 펌프(70)는 보다 바깥쪽의 연료탱크(65L, 65R)에 둘러싸여서 보호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미션 케이스(12)의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와 리어 미션 케이스(12R) 사이에 스페이서 케이스(12S)를 설치하고, 주변속기구(17)의 변속축(22, 23), 2WD/4WD 스위칭기구(19)로의 전달축(32)을 지지하는 메탈부(12Sa)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작업 차량으로 한다.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와 리어 미션 케이스(12R) 사이의 스페이서 케이스(12S)의 메탈부(12Sa)에 의해 변속축(22, 23)이나 전달축(32)을 지지함으로써 리어 미션 케이스(12R) 앞측의 메탈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동력의 전달경로에 대하여 전후진 스위칭기구(15), Hi-Lo 변속기구(16)가 엔진(4)측에 배치됨으로써 전후진 스위칭기구(15), Hi-Lo 변속기구(16)를 구성하는 클러치(C1, C2, C3, C4)를 부변속기구(18)나 주변속기구(17)보다 동력전달의 상류측의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에, 2WD/4WD 스위칭기구(19)의 클러치(C6, C7) 및 PTO 클러치 기구(38)의 클러치(C5)도 아울러 집중적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비교적 고회전역에 이들 클러치(C1, C2, C3, C4)를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에 배치할 수 있게 되어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2WD/4WD 스위칭기구(19)의 클러치(C6, C7)나 입력축(14)에 연동하는 PTO 구동기구(20)의 클러치(C5)를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에 설치함으로써 보호 구성을 집중적으로 행할 수 있고, 또한 메인터넌스시의 작업도 용이하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에 집중적으로 유압 다판 클러치(C1, C2, C3, C4, C5, C6, C7), 및 그것들의 제어 클러치 밸브(55, 56, 57, 64)를 배치할 수 있고, 유로의 구성도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에 집중할 수 있어 가공 제작 및 유압기기의 장착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어 펌프(70)를 제어 클러치 밸브(55, 56, 57, 64)에 근접 배치함으로써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에 형성한 유로에의 접속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의 제어 클러치 밸브(55, 56, 57, 64)나 기어 펌프(70)는 보다 바깥쪽의 연료탱크(65L, 65R)에 둘러싸여서 보호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와 리어 미션 케이스(12R) 사이의 스페이서 케이스(12S)의 메탈부(12Sa)에 의해 변속축(22, 23)이나 전달축(32)을 지지함으로써 리어 미션 케이스(12R) 앞측의 메탈 구성을 생략하거나 또는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화살표도(기체 앞부를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 화살표도(기체 뒷부를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C 화살표도(기체 상부를 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변속장치의 전동기구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변속장치의 전동기구를 나타내는 단면을 일부 전개한 모식도이다.
도 7(A)는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변속장치의 특히 주행계 전동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B)는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변속장치의 특히 PTO계 전동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캐빈 내를 포함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제 1 부변속 조작레버 및 제 2 부변속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부변속기구의 시프터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부변속기구의 시프터 스테이를 따르는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부변속기구의 시프터 스테이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미션 케이스를 차폭 방향 좌측으로부터 본 부분 측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프론트 미션 케이스를 차폭 방향 우측으로부터 본 부분 측면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프론트 미션 케이스를 차폭 방향 좌측으로부터 본 부분 측면도이다.
도 16의 (A), (B) 및 (C)는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스페이서 케이스의 측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미션 케이스 및 연료탱크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미션 케이스 및 연료탱크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변속장치의 차폭 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주변속 조작레버의 변속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주변속기구의 시프터 스테이를 따르는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주변속기구의 시프터 스테이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주변속기구의 시프터 스테이 및 시프터의 개략도이다.
도 24는 변형예에 의한 트랙터의 변속장치의 전동기구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25는 또 다른 변형예에 의한 트랙터의 변속장치의 전동기구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후 방향이란 트랙터(1)의 전후 방향이다. 또한 말하면, 전후 방향이란 이 트랙터(1)가 직진할 때의 진행 방향이며, 진행 방향 전방측을 전후 방향 앞측, 후방측을 전후 방향 뒷측이라고 한다. 트랙터(1)의 진행 방향이란 트랙터(1)의 직진시에 있어서 트랙터(1)의 조종석(8)으로부터 스티어링 핸들(11)을 향하는 방향이며, 스티어링 핸들(11)측이 앞측, 조종석(8)이 뒷측이 된다. 또한, 차폭 방향이란 상기 전후 방향에 대하여 수평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여기에서는, 전후 방향 앞측을 본 상태에서 우측을 차폭 방향 우측, 전후 방향 앞측을 본 상태에서 좌측을 차폭 방향 좌측이라고 한다. 또한, 연직 방향이란 전후 방향과 차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이들 전후 방향, 차폭 방향 및 연직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작업 차량으로서의 트랙터(1)는, 동력원이 발생하는 동력에 의해 자주하면서 포장 등에서의 작업을 행하는 농용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이다. 트랙터(1)는 전륜(2)과, 후륜(3)과, 동력원으로서의 엔진(4)과, 변속장치(트랜스미션)(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전륜(2)은 주로 조타용의 차륜, 즉 조타륜으로서 설치된다. 후륜(3)은 주로 구동용의 차륜, 즉 구동륜으로서 설치된다. 후륜(3)에는 기체 앞부(1F)의 보닛(6) 내에 탑재되는 엔진(4)에서 발생시킨 회전동력을 변속장치(트랜스미션)(5)에서 적당하게 감속해서 전달 가능하게 되고 있고, 후륜(3)은 이 회전동력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이 변속장치(5)는 엔진(4)에서 발생한 회전동력을 필요에 따라서 전륜(2)에도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경우에는 전륜(2)과 후륜(3)의 사륜이 구동륜으로 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변속장치(5)는 2륜 구동과 4륜 구동의 스위칭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엔진(4)의 회전동력을 감속하고, 감속된 회전동력을 전륜(2), 후륜(3)에 전달 가능하다. 또한, 트랙터(1)는 기체 뒷부(1R)에 로터리(도시생략) 등의 작업기를 장착 가능한 연결장치(7)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장치(7)는, 예를 들면 좌우의 로어 링크(7a)나 중앙의 톱 링크(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3점 링크로 되고, 트랙터(1)의 기체 뒷부(1R)에 작업기를 연결한다. 트랙터(1)는, 예를 들면 좌우의 리프트 암(7b)을 유압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리프트 로드(7c), 이 리프트 로드(7c)와 연결되어 있는 로어 링크(7a) 등을 통해서 작업기를 승강시킬 수 있다. 트랙터(1)는 기체 상의 조종석(8)의 주위는 캐빈(9)으로 덮여져 있다. 트랙터(1)는 캐빈(9)의 내부에 있어서 조종석(8) 앞측의 데쉬보드(10)로부터 스티어링 핸들(11)이 세워서 설치됨과 아울러 조종석(8)의 주위에 클러치 페달, 브레이크 페달, 악셀 페달 등의 각종 조작 페달이나 전후진 레버, 변속 레버 등의 각종 조작 레버가 배치되어 있다.
도 5, 도 6은 변속장치(5)의 미션 케이스(12) 내의 전동기구(13)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변속장치(5)는 미션 케이스(12)(도 1 참조)와, 이 미션 케이스(12) 내에 배치되어 엔진(4)으로부터 후륜(3) 등으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전동기구(13)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전동기구(13)는 엔진(4)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전륜(2), 후륜(3),및, 기체에 장착한 작업기에 전달하고, 이것들을 엔진(4)으로부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전동기구(13)는 입력축(14), 전후진 스위칭기구(15), 고저 변속기구로서의 Hi-Lo 변속기구(16), 주변속기구(17), 부변속기구(18), 2WD/4WD 스위칭기구(19), PTO(Power take-off) 구동기구(20) 등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전동기구(13)는 엔진(4)이 발생시킨 회전동력을 입력축(14), 전후진 스위칭기구(15), Hi-Lo 변속기구(16), 주변속기구(17), 부변속기구(18)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후륜(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동기구(13)는 엔진(4)이 발생시킨 회전동력을 입력축(14), 전후진 스위칭기구(15), Hi-Lo 변속기구(16), 주변속기구(17), 부변속기구(18), 2WD/4WD 스위칭기구(19)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전륜(2)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동기구(13)는 엔진(4)이 발생시킨 회전동력을 입력축(14), PTO 구동기구(20)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작업기에 전달할 수 있다.
입력축(14)은 엔진(4)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있고, 엔진(4)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이 입력된다.
전후진 스위칭기구(15)는 엔진(4)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동력을 전진 방향 회전 또는 후진 방향 회전으로 스위칭 가능한 것이다. 전후진 스위칭기구(15)는 전진측 기어단(15a), 후진측 기어단(15b), 역전 기어(15c), 유압 다판 클러치 형태의 전진 유압 다판 클러치(C1), 후진 유압 다판 클러치(C2)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전·후진 유압 다판 클러치(C1, C2)는 맞물림/해방 상태를 스위칭함으로써 전후진 스위칭기구(15)에 있어서의 동력의 전달경로를 스위칭 가능하다. 전후진 스위칭기구(15)는 전·후진 유압 다판 클러치(C1, C2)의 맞물림/해방 상태에 따라서 입력축(14)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전달경로를 바꾸어서 카운터축(21)에 전달한다.
전후진 스위칭기구(15)는 전진 유압 다판 클러치(C1)가 맞물림 상태, 후진 유압 다판 클러치(C2)가 해방 상태일 경우에, 입력축(14)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전진측 기어단(15a), 전진 유압 다판 클러치(C1)를 통해서 전진 방향 회전에 의해 카운터축(21)에 전달한다. 전후진 스위칭기구(15)는 전진 유압 다판 클러치(C1)가 해방 상태, 후진 유압 다판 클러치(C2)가 맞물림 상태일 경우에, 입력축(14)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후진측 기어단(15b), 역전 기어(15c), 후진 유압 다판 클러치(C2)를 통해서 후진 방향 회전에 의해 카운터축(21)에 전달한다. 이것에 의해, 전후진 스위칭기구(15)는 트랙터(1) 전후진을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전후진 스위칭기구(15)는 메인 클러치로서도 기능하고, 전·후진 유압 다판 클러치(C1, C2)를 모두 해방 상태로 함으로써 뉴트럴 상태로 되어 전륜(2), 후륜(3)측으로의 동력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전후진 스위칭기구(15)는, 예를 들면 작업원에 의해 전후진 스위칭 레버(43)(도 8 참조)가 조작됨으로써 유압 제어에 의해 전진, 후진, 뉴트럴을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페달을 밟음 조작함으로써 전·후진 유압 다판 클러치(C1, C2)를 모두 해방 상태로 할 수 있다.
Hi-Lo 변속기구(16)는 엔진(4)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동력을, 고속단 또는 저속단으로 변속 가능한 것이다. Hi-Lo 변속기구(16)는 Hi(고속)측 기어단(16a), Lo(저속)측 기어단(16b), 유압 다판 클러치[Hi(고속)측 클러치](C3), 유압 다판 클러치[Lo(저속)측 클러치](C4)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유압 다판 클러치(C3, C4)는 맞물림/해방 상태를 스위칭함으로써 Hi-Lo 변속기구(16)에 있어서의 동력의 전달경로를 스위칭 가능하다. Hi-Lo 변속기구(16)는 유압 다판 클러치(C3, C4)의 맞물림/해방 상태에 따라서 카운터축(21)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전달경로를 바꾸어서 변속축(22)에 전달한다. Hi-Lo 변속기구(16)는 유압 다판 클러치(C3)가 맞물림 상태, 유압 다판 클러치(C4)가 해방 상태일 경우에 카운터축(21)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유압 다판 클러치(C3), Hi측 기어단(16a)을 통해서 변속해서 변속축(22)에 전달한다.
Hi-Lo 변속기구(16)는 유압 다판 클러치(C3)가 해방 상태, 유압 다판 클러치(C4)가 맞물림 상태일 경우에 카운터축(21)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유압 다판 클러치(C4), Lo측 기어단(16b)을 통해서 변속해서 변속축(22)에 전달한다. 이것에 의해, Hi-Lo 변속기구(16)는 엔진(4)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Hi측 기어단(16a)의 변속비, 또는 Lo(저속)측 기어단(16b)의 변속비로 변속해서 후단에 전달할 수 있다. Hi-Lo 변속기구(16)는, 예를 들면 작업원에 의해 Hi-Lo 스위칭 스위치(고저 변속 조작 스위치)(44)(도 8 참조)가 온/오프됨으로써 유압 제어에 의해 Hi(고속)측, Lo(저속)측을 스위칭할 수 있고, 고속과 저속의 2단 중 어느 하나로 변속할 수 있다. 또한, Hi-Lo 변속기구(16)는 상기 구성에 의해 트랙터(1)의 주행 중에 변속 가능하다.
주변속기구(17)는 엔진(4)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동력을 복수의 변속단 중 어느 하나로 변속 가능하다. 주변속기구(17)는 싱크로메시식의 변속기구이며, 여기에서는 엔진(4)으로부터 전후진 스위칭기구(15), 및 Hi-Lo 변속기구(16)를 통해서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변속 가능하다. 주변속기구(17)는 복수의 변속단으로서 제 1속 기어단(17a), 제 2속 기어단(17b), 제 3속 기어단(17c), 제 4속 기어단(17d), 제 5속 기어단(17e), 제 6속 기어단(17f)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주변속기구(17)는 제 1속 기어단(17a)∼제 6속 기어단(17f)의 변속축(22)과의 결합 상태에 따라서 변속축(22)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제 1속 기어단(17a)∼제 6속 기어단(17f)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변속해서 변속축(23)에 전달한다. 이것에 의해, 주변속기구(17)는 엔진(4)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제 1속 기어단(17a)∼제 6속 기어단(17f) 중 어느 하나의 변속비로 변속해서 후단에 전달할 수 있다. 주변속기구(17)는, 예를 들면 작업원에 의해 주변속 조작레버(45)(도 8 참조)가 조작됨으로써 복수의 변속단 중 하나를 선택하여 스위칭할 수 있고, 제 1속 기어단(17a)∼제 6속 기어단(17f)의 6단 중 어느 하나로 변속할 수 있다. 또한, 주변속기구(17)는 상기의 구성에 의해 트랙터(1)의 주행 중에 변속 가능하다.
부변속기구(18)는 엔진(4)으로부터 전후진 스위칭기구(15), Hi-Lo 변속기구(16), 및 주변속기구(17)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변속 가능하다. 부변속기구(18)는 제 1 부변속기(24), 제 2 부변속기(25) 등을 포함해서 구성되고, 변속축(23)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제 1 부변속기(24), 제 2 부변속기(25) 등 을 통해서 변속해서 변속축(26)에 전달한다. 제 1 부변속기(24)는 엔진(4)으로부터 전달되어 주변속기구(17) 등에서 변속된 회전동력을 고속단 또는 저속단으로 변속해서 구동륜인 후륜(3)측에 전달 가능하다. 제 2 부변속기(25)는 엔진(4)으로부터 전달되어 주변속기구(17) 등에서 변속된 회전동력을 제 1 부변속기(24)보다 더욱 저속의 초저속단으로 변속해서 구동륜인 후륜(3)측에 전달 가능하다.
부변속기구(18)의 제 1 부변속기(24)는 제 1 기어(24a), 제 2 기어(24b), 제 3 기어(24c), 제 4 기어(24d), 시프터(24e)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제 1 기어(24a)는 변속축(23)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변속축(23)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이 전달(입력)된다. 제 2 기어(24b)는 제 1 기어(24a)에 맞물려 있다. 제 3 기어(24c)는 제 2 기어(24b)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 4 기어(24d)는 제 3 기어(24c)에 맞물려 있다. 시프터(24e)는 제 1 기어(24a), 제 4 기어(24d)와 변속축(26)의 결합 상태를 스위칭하는 것이다. 즉, 변속축(26)과 일체로 설치하는 클러치 클로(26a)와, 제 1 기어(24a)에 일체의 클러치 클로(24ac)와, 제 4 기어(24d)에 일체의 클러치 클로(24dc)가 동일한 직경 동일한 톱니수로 형성되어서 인접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시프터(24e)가 클러치 클로(26a)와 클러치 클로(24ac)가 동시 맞물리면 제 1 기어(24a)로부터 변속축(26)에 동력이 전해지고, 클러치 클로(26a)와 클러치 클로(24dc)가 동시 맞물리면 제 4 기어(24d)로부터 변속축(26)에 동력이 전해 지는 구성이다. 또한 시프터(24e)가 클러치 클로(24ac) 및 클러치 클로(24dc)의 어느 쪽에도 맞물리지 않는 위치로 시프트 가능하게 각 클러치 클로를 배치 구성하고 있다.
시프터(24e)는 제 1 기어(24a)와 변속축(26)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Hi(고속)측 위치, 제 4 기어(24d)와 변속축(26)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Lo(저속)측 위치, 제 1 기어(24a), 제 4 기어(24d)의 모두가 변속축(26)과 결합하지 않고 해방되는 중립 위치(뉴트럴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제 1 부변속기(24)는 시프터(24e)의 위치에 따라 변속축(23)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전달경로를 스위칭하여 변속축(26)에 전달한다. 제 1 부변속기(24)는 시프터(24e)가 Hi측 위치에 있을 경우, 변속축(23)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제 1 기어(24a)로부터 제 2 기어(24b), 제 3 기어(24c), 제 4 기어(24d)를 통하지 않고 변속축(26)에 전달한다[변속축(23)→제 1 기어(24a)→변속축(26)으로 전달된다]. 제 1 부변속기(24)는 시프터(24e)가 Lo측 위치에 있을 경우, 변속축(23)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제 1 기어(24a)로부터 제 2 기어(24b), 제 3 기어(24c), 제 4 기어(24d), 시프터(24e)를 통해서 순차적으로 감속해서 변속축(26)에 전달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부변속기(24)는 엔진(4)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제 2 기어(24b), 제 3 기어(24c), 제 4 기어(24d)를 통하지 않는 Hi(고속)측의 변속비, 또는 제 2 기어(24b), 제 3 기어(24c), 제 4 기어(24d)를 통한 Lo(저속)측의 변속비로 변속해서 후단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부변속기(24)는 시프터(24e)가 중립 위치에 있을 경우 제 1 기어(24a), 제 4 기어(24d)의 모두가 변속축(26)에 대하여 공전하는 상태, 즉 뉴트럴인 상태로 된다. 제 1 부변속기(24)는, 예를 들면 작업원에 의해 제 1 부변속 조작레버(49)(도 8 참조)가 조작됨으로써 시프터(24e)의 위치가 스위칭되어서 Hi(고속)측, Lo(저속)측, 뉴트럴을 스위칭할 수 있다.
부변속기구(18)의 제 2 부변속기(25)는 제 1 기어(25a), 제 2 기어(25b), 제 3 기어(25c), 제 4 기어(25d), 시프터(25e)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제 1 기어(25a)는 제 1 부변속기(24)의 제 4 기어(24d)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 2 기어(25b)는 제 1 기어(25a)에 맞물려 있다. 제 3 기어(25c)는 제 2 기어(25b)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 4 기어(25d)는 제 3 기어(25c)에 맞물려 있다. 시프터(25e)는 제 4 기어(25d)와 변속축(26)의 결합 상태를 스위칭하는 것이다. 즉, 변속축(26)과 일체로 설치하는 클러치 클로(26b)와 제 4 기어(25d)에 일체의 클러치 클로(25dc)가 동일한 직경 동일한 톱니수로 형성되어서 인접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시프터(25e)가 클러치 클로(26b)와 클러치 클로(25dc)가 동시 맞물리면 제 4 기어(25d)로부터 변속축(26)에 동력이 전해지는 구성이다.
시프터(25e)는 제 4 기어(25d)와 변속축(26)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초Lo(초저속)측 위치, 제 4 기어(25d)와 변속축(26)이 결합되지 않고 해방되는 중립 위치(뉴트럴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변속축(26)의 회전은 제 1 부변속기(24)의 시프터(24e) 위치에 지배된다. 제 2 부변속기(25)는 시프터(25e)의 위치에 따라서 변속축(23)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전달경로를 바꾸어서 변속축(26)에 전달한다. 제 2 부변속기(25)는 제 1 부변속기(24)가 뉴트럴인 상태에서 시프터(25e)가 초Lo측 위치에 있을 경우, 변속축(23)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제 1 부변속기(24)의 제 1 기어(24a)로부터 제 2 기어(24b), 제 3 기어(24c), 제 4 기어(24d), 제 2 부변속기(25)의 제 1 기어(25a), 제 2 기어(25b), 제 3 기어(25c), 제 4 기어(25d), 시프터(25e)를 통해서 순차적으로 감속해서 변속축(26)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 2 부변속기(25)는 엔진(4)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제 2 기어(24b), 제 3 기어(24c), 제 4 기어(24d), 제 1 기어(25a), 제 2 기어(25b), 제 3 기어(25c), 제 4 기어(25d)를 통한 초Lo(초저속)측의 변속비로 변속해서 후단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부변속기(25)는 시프터(25e)가 중립 위치에 있을 경우 제 4 기어(25d)가 변속축(26)에 대하여 공전하는 상태, 즉 뉴트럴인 상태로 된다. 제 2 부변속기(25)는, 예를 들면 작업원에 의해 제 2 부변속 조작레버(50)(도 8 참조)가 조작됨으로써 시프터(25e)의 위치가 스위칭되어서 초Lo(초저속)측, 뉴트럴을 스위칭할 수 있다.
따라서, 부변속기구(18)는 변속축(23)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제 1 부변속기(24)와 제 2 부변속기(25)를 조합시킴으로써 고속과 저속과 초저속의 3단 중 어느 하나로 변속해서 변속축(26)에 전달할 수 있다. 즉, 부변속기구(18)는 제 1 부변속기(24)가 Hi(고속)측, 제 2 부변속기(25)가 뉴트럴인 상태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Hi(고속)단으로 변속할 수 있다. 부변속기구(18)는 제 1 부변속기(24)가 Lo(저속)측, 제 2 부변속기(25)가 뉴트럴인 상태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Lo(저속)단으로 변속할 수 있다. 부변속기구(18)는 제 1 부변속기(24)가 뉴트럴인 상태, 제 2 부변속기(25)가 초Lo(초저속)측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초Lo(초저속)단으로 변속할 수 있다. 부변속기구(18)는 트랙터(1)가 정차하고 있는 상태에서 고속, 저속, 초저속이 스위칭된다.
그리고, 변속장치(5)의 전동기구(13)는 변속축(26)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후륜 디퍼렌셜 기어(27), 뒷차축(28), 감속용의 유성기어 감속기구(29) 등을 통해서 후륜(3)에 전달한다. 이 결과, 트랙터(1)는 후륜(3)이 엔진(4)으로부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구동륜으로서 회전 구동한다.
이상의 설명을 요약하면, 입력축(14)의 회전은 우선 전후진 스위칭기구(15)에 의해 정전 또는 역전으로 스위칭되고, Hi-Lo 변속기구(16)에 의해 고속과 저속의 2단 중 어느 하나로 변속되며, 주변속기구(17)에 의해 제 1속 기어단(17a)∼제 6속 기어단(17f)의 6단 중 어느 하나로 변속되고, 또한 부변속기구(18)에 의해 고속과 저속과 초저속의 3단 중 어느 하나로 변속되어서 차축(28)에 전달된다. 즉, 입력축(14)의 회전은 변속장치(5)의 전동기구(13)에 의해 2×6×3=36단 중 어느 하나로 변속되어서 차축(28)으로 전동된다.
2WD/4WD 스위칭기구(19)가 유압 다판 클러치(C6, C7)을 포함해서 구성됨과 아울러 전륜 증속기구로서도 기능한다. 2WD/4WD 스위칭기구(19)는 전달축(19a), Hi(고속)측 기어단(19b), Lo(저속)측 기어단(19c), 유압 다판 클러치[Lo(저속)측 클러치](C6), 유압 다판 클러치[Hi(고속)측 클러치](C7), 전달축(19d)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유압 다판 클러치(C6, C7)는 맞물림/해방 상태를 스위칭함으로써 2WD/4WD 스위칭기구(19)에 있어서의 동력의 전달경로를 스위칭 가능하다. 2WD/4WD 스위칭기구(19)는 유압 다판 클러치(C6, C7)의 맞물림/해방 상태에 따라서 전달축(19a)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전달경로를 바꾸어서 전달축(19d)에 전달한다. 2WD/4WD 스위칭기구(19)는 유압 다판 클러치(C6)가 맞물림 상태, 유압 다판 클러치(C7)가 해방 상태일 경우에 전달축(19a)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Lo측 기어단(19c), 유압 다판 클러치(C6)를 통해서 변속해서 전달축(19d)에 전달한다. 2WD/4WD 스위칭기구(19)는 유압 다판 클러치(C6)가 해방 상태, 유압 다판 클러치(C7)가 맞물림 상태일 경우에 전달축(19a)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Hi측 기어단(19b), 유압 다판 클러치(C7)를 통해서 변속해서 전달축(19d)에 전달한다. 이것에 의해, 2WD/4WD 스위칭기구(19)는 엔진(4)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Hi측 기어단(19b)의 변속비, 또는 Lo측 기어단(19c)의 변속비로 변속해서 후단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2WD/4WD 스위칭기구(19)는 트랙터(1)의 선회시 등에 필요에 따라서 엔진(4)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Hi측 기어단(19b)의 변속비로 변속해 상대적으로 증속하여 후단에 전달함으로써 전륜(2)의 회전속도를 증속할 수 있고, 트랙터(1)의 선회 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체의 선회 상태를 스티어링 핸들의 선회 조작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조타각이 소정 이상인 것을 검출해서 제어용 클러치 밸브를 Hi측 기어단(19b)이 들어가도록 구성한다. 또한, 이 2WD/4WD 스위칭기구(19)는 유압 다판 클러치(C6, C7)가 모두 해방 상태로 됨으로써 전달축(19a)에 전달된 회전동력의 전달축(19d)측으로의 동력전달이 차단된다. 이 결과, 트랙터(1)는 2륜 구동으로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이 2WD/4WD 스위칭기구(19)는 예를 들면 Hi측 기어단(19b), 유압 다판 클러치(C7) 등을 구비하지 않고, 전륜 증속기구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2WD/4WD 스위칭기구(19)는 변속축(26)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전륜(2)측에 전달할지의 여부를 스위칭하는 것이다. 2WD/4WD 스위칭기구(19)는 전달축(19a), Hi측 기어단(19b), Lo측 기어단(19c), 전달축(19d)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전달축(19a)은 변속축(26)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이 기어(30), 기어(31), 전달축(32), 커플링(33) 등을 통해서 전달(입력)된다. Hi측 기어단(19b)은 전달축(19a)이 삽입되어 해당 전달축(19a)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변속장치(5)의 전동기구(13)는 전달축(19d)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전륜 디프렌셜 기어(34), 앞차축(35), 종축(36), 유성기어 감속기구(37) 등을 통해서 전륜(2)에 전달한다. 이 결과, 트랙터(1)는 전륜(2) 및 후륜(3)이 엔진(4)으로부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구동륜으로서 회전 구동하여 4륜 구동으로 주행할 수 있다. 2WD/4WD 스위칭기구(19)는 유압 다판 클러치(C6, C7)가 모두 해방 상태로 됨으로써 전달축(19a)에 전달된 회전동력의 전달축(19d)측으로의 동력전달이 차단된다. 이 결과, 트랙터(1)는 2륜 구동으로 주행할 수 있다. 2WD/4WD 스위칭기구(19)는, 예를 들면 작업원에 의해 2WD/4WD 스위칭 레버(46)(도 8 참조)가 조작됨으로써 2륜 구동, 4륜 구동을 스위칭할 수 있다.
PTO 구동기구(20)는 엔진(4)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변속해서 기체 뒷부의 PTO축(40)(도 3 참조)으로부터 작업기에 출력함으로써 엔진(4)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작업기를 구동하는 것이다. PTO 구동기구(20)는 PTO 클러치 기구(38), PTO 변속기구(39), PTO축(40) 등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PTO 클러치 기구(38)는 PTO축(40)측으로의 동력의 전달과 차단을 스위칭하는 것이다. PTO 클러치 기구(38)는 PTO 입력 기어(38a), 유압 다판 클러치(C5), PTO 변속 입력용 전달축(38b)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PTO 입력 기어(38a)는 입력축(14)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기어(41)에 맞물려 있다. 유압 다판 클러치(C5)는 맞물림/해방 상태가 스위칭됨으로써 PTO 입력 기어(38a)와 PTO 변속 입력용 전달축(38b) 사이의 동력의 전달 상태를 스위칭하는 것이다. PTO 클러치 기구(38)는 유압 다판 클러치(C5)가 맞물림 상태로 됨으로써 PTO축(40)측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PTO 구동 상태로 되고, 입력축(14)으로부터 기어(41)를 통해서 PTO 입력 기어(38a)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유압 다판 클러치(C5)를 통해서 PTO 변속 입력용 전달축(38b)에 전달한다. PTO 클러치 기구(38)는 유압 다판 클러치(C5)가 해방 상태로 됨으로써 PTO축(40)측으로의 동력의 전달이 차단된 PTO 비구동 상태(뉴트럴 상태)로 되고, PTO 입력 기어(38a)에 전달된 회전동력의 PTO 변속 입력용 전달축(38b)측으로의 전달이 차단된다. PTO 클러치 기구(38)는, 예를 들면 작업원에 의해 PTO 스위칭 스위치(47)(도 8 참조)가 온/오프됨으로써 유압 제어에 의해 PTO 구동 상태, PTO 비구동 상태를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이 트랙터(1)는 PTO 입력 기어(38a)와 맞물리는 기어(70a), 해당 기어(70a)와 맞물리는 기어(70b) 등을 통해서 기어 펌프(70)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 펌프(70)는 전동기구(13) 등의 유압계통에 유압을 부여하는 것이다.
PTO 변속기구(39)는 PTO축(40)측에 동력을 전달할 때에 변속을 행하는 것이다. PTO 변속기구(39)는 Hi(고속)측 기어단(39a), Lo(저속)측 기어단(39b), 전달축(39c), 시프터(39d)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PTO 변속기구(39)는 시프터(39d)의 위치에 따라 전달축(38b)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Hi측 기어단(39a), 또는 Lo측 기어단(39b)을 통해서 변속하여 전달축(39c)에 전달한다. 시프터(39d)는 Hi측 기어단(39a), Lo측 기어단(39b)과 전달축(39c)의 결합 상태를 스위칭하는 것이다. 시프터(39d)는 Hi측 기어단(39a)과 전달축(39c)을 결합하는 Hi(고속)측 위치, Lo측 기어단(39b)과 전달축(39c)을 결합하는 Lo(저속)측 위치, Hi측 기어단(39a), Lo측 기어단(39b) 모두가 전달축(39c)과 결합하지 않고 해방되는 중립 위치(뉴트럴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PTO 변속기구(39)는 시프터(39d)가 Hi측 위치에 있을 경우, 전달축(38b)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Hi측 기어단(39a)을 통해서 전달축(39c)에 전달한다. PTO 변속기구(39)는 시프터(39d)가 Lo측 위치에 있을 경우, 전달축(38b)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Lo측 기어단(39b)을 통해서 전달축(39c)에 전달한다. 이것에 의해, PTO 변속기구(39)는 엔진(4)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Hi측 기어단(39a)의 변속비, 또는 Lo측 기어단(39b)의 변속비로 변속해서 후단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PTO 변속기구(39)는 시프터(39d)가 중립 위치에 있을 경우, Hi측 기어단(39a), Lo측 기어단(39b)의 모두가 전달축(39c)에 대하여 공전하는 상태, 즉 뉴트럴의 상태로 된다. PTO 변속기구(39)는, 예를 들면 작업원에 의해 후술의 PTO 변속 조작레버(48)(도 8 참조)가 조작됨으로써 시프터(39d)의 위치가 스위칭되어서 Hi(고속)측, Lo(저속)측, 뉴트럴을 스위칭할 수 있고, 고속과 저속의 2단 중 어느 하나로 변속할 수 있다.
PTO축(40)은 유니버설 조인트축(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작업기측 입력축 (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어 엔진(4)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작업기에 전달하는 것이다. PTO축(40)은 전달축(39c)이 기체 중심으로부터 치우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제 1 기어(41), 제 2 기어(42) 등을 통해서 전동 가능하게 기체 좌우 중심에 배치된다.
이상의 설명을 요약하면, 입력축(14)의 회전은 PTO 클러치 기구(38)를 통해서 PTO 변속기구(39)에 전달되고, 이 PTO 변속기구(39)에서 고속과 저속의 2단 중 어느 하나로 변속되어서 PTO축(40)에 전달되며, 이 PTO축(40)을 회전 구동한다. 이 결과, 트랙터(1)는 엔진(4)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변속해서 PTO축(40)으로부터 작업기에 출력하여 작업기를 구동할 수 있다.
트랙터(1)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9)(도 1 참조) 내나 기체 뒷부(1R)에 각종 조작레버가 배치되어 있다. 트랙터(1)는 캐빈(9) 내에 전후진 스위칭 레버(43), Hi-Lo 스위칭 스위치(44), 주변속 조작레버(45), 2WD/4WD 스위칭 레버(46), PTO 스위칭 스위치(47)가 설치된다. 또한, 트랙터(1)는 기체 뒷부(1R)에 PTO 변속 조작레버(48)가 설치된다. 전후진 스위칭 레버(43)는 전후진 스위칭기구(15)의 전후진 스위칭 조작을 행하는 것이고, 작업원이 이 전후진 스위칭 레버(43)를 조작함으로써 전후진 스위칭기구(15)를 전진, 후진, 뉴트럴로 스위칭할 수 있다. Hi-Lo 스위칭 스위치(44)는 Hi-Lo 변속기구(16)의 Hi-Lo 변속 조작(고저 변속 조작)을 행하는 것이고, 작업원이 이 Hi-Lo 스위칭 스위치(44)를 조작함으로써 Hi-Lo 변속기구(16)를 고속, 저속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주변속 조작레버(45)는 주변속기구(17)의 주변속 조작을 행하는 것이고, 작업원이 이 주변속 조작레버(45)를 조작함으로써 주변속기구(17)를 제 1속 기어단(17a)∼제 6속 기어단(17f)의 6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뉴트럴로 스위칭할 수 있다. 2WD/4WD 스위칭 레버(46)는 2WD/4WD 스위칭기구(19)의 2WD/4WD 스위칭 조작을 행하는 것이고, 작업원이 이 2WD/4WD 스위칭 레버(46)를 조작함으로써 2WD/4WD 스위칭기구(19)를 2륜 구동, 4륜 구동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PTO 스위칭 스위치(47)는 PTO 클러치 기구(38)의 클러치 스위칭 조작을 행하는 것이고, 작업원이 이 PTO 스위칭 스위치(47)를 조작함으로써 PTO 클러치 기구(38)를 PTO 구동 상태, PTO 비구동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다. PTO 변속 조작레버(48)는 PTO 변속기구(39)의 PTO 변속 조작을 행하는 것이고, 작업원이 이 PTO 변속 조작레버(48)를 조작함으로써 PTO 변속기구(39)를 고속, 저속, 뉴트럴로 스위칭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트랙터(1)는 부변속기구(18)의 제 1 부변속기(24)의 제 1 부변속 조작을 행하는 제 1 부변속 조작레버(49)와, 부변속기구(18)의 제 2 부변속기(25)의 제 2 부변속 조작을 행하는 제 2 부변속 조작레버(50)가 별개로 설치됨으로써 범용성의 향상을 꾀하고 있다. 제 1 부변속 조작레버(49), 제 2 부변속 조작레버(50)은 모두 캐빈(9) 내에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트랙터(1)는, 예를 들면 부변속기구(18)에 있어서 제 1 부변속기(24)에 대하여 제 2 부변속기(25)를 추후 장착으로 추가함으로써 변속단(예를 들면 초저속단)을 추가 가능하게 구성하고, 이 제 2 부변속기(25)의 추가에 의한 변속단을 조작하는 제 2 부변속 조작레버(50)를 제 1 부변속 조작레버(49)와는 별개로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9, 도 10,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변속 조작레버(49)는 작업자에 의한 제 1 부변속 조작에 따라서 시프터(24e)를 Hi(고속)측 위치, Lo(저속)측 위치, 중립 위치(뉴트럴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 2 부변속 조작레버(50)는 작업자에 의한 제 2 부변속 조작에 따라서 시프터(25e)를 초Lo(초저속)측 위치, 중립 위치(뉴트럴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시프터(24e), 시프터(25e)는 모두 하나의 공통된 시프터 스테이(51)에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시프터 스테이(51)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설치된다. 시프터(24e)는 상술한 바와 같이, Hi측 위치에서 제 1 기어(24a)와 변속축(26)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Lo측 위치에서 제 4 기어(24d)와 변속축(26)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중립 위치에서 제 1 기어(24a), 제 4 기어(24d)와 변속축(26)의 결합을 해방한다. 시프터(25e)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초Lo측 위치에서 제 4 기어(25d)와 변속축(26)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중립 위치에서 제 4 기어(25d)와 변속축(26)의 결합을 해방한다.
본 실시형태의 트랙터(1)는 상기를 근거로 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기구(52)를 구비함으로써 부변속기구(18)에 있어서의 메카록을 방지하고 있다. 규제기구(52)는 제 1 부변속기(24)에서 변속하고 있을 때에 제 2 부변속 조작레버(50)에 의한 제 2 부변속 조작을 규제함과 아울러, 제 2 부변속기(25)에서 변속하고 있을 때에 제 1 부변속 조작레버(49)에 의한 제 1 부변속 조작을 규제하는 것이다.
일례로서, 본 실시형태의 규제기구(52)는 돌기부(53)와, 긴 구멍(54)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돌기부(53)는 링크 부재(49e) 또는 링크 부재(50e)의 한쪽, 여기에서는 링크 부재(49e)에 형성된다. 긴 구멍(54)은 링크 부재(49e) 또는 링크 부재(50e)의 다른쪽, 여기에서는 링크 부재(50e)에 형성된다. 돌기부(53)는 링크 부재(49e)에 있어서 회동축(49d)를 기준으로 해서 링크기구(49b)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를 통해서 로드부(49a)가 연결되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된다. 긴 구멍(54)은 회동축(50d)을 기준으로 해서 링크기구(50b)을 구성하는 다른 부재를 통해서 로드부(50a)가 연결되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트랙터(1)는 부변속기구(18)를 구성하는 제 1 부변속기(24)의 제 1 부변속 조작을 행하는 제 1 부변속 조작레버(49)와, 부변속기구(18)를 구성하는 제 2 부변속기(25)의 제 2 부변속 조작을 행하는 제 2 부변속 조작레버(50)가 별개로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트랙터(1)는 예를 들면 부변속기구(18)에 있어서 추가의 변속단을 용이하게 추가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부변속 조작레버(49)와는 별개로 제 2 부변속 조작레버(50)를 추가함으로써 용이하고 저렴하게 추가의 변속단(예를 들면 초저속단)을 설치한 사양으로 할 수 있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트랙터(1)는 규제기구(52)를 구비함으로써 제 1 부변속기(24)로 변속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 2 부변속 조작레버(50)에 의한 제 2 부변속 조작이 되는 것, 및 제 2 부변속기(25)로 변속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 1 부변속 조작레버(49)에 의한 제 1 부변속 조작이 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 결과, 트랙터(1)는 부변속기구(18)에 있어서의 메카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랙터(1)는 동력의 전달경로에 대하여 부변속기구(18)보다 상류측, 즉 엔진(4)측에 전후진 스위칭기구(15), Hi-Lo 변속기구(16), 주변속기구(17)가 설치되고, 부변속기구(18)가 전후진 스위칭기구(15), Hi-Lo 변속기구(16), 및 주변속기구(17)를 통해서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변속 가능하다. 이 결과, 트랙터(1)는 변속장치(5)의 전동기구(13)를 더나은 다단 구성으로 할 수 있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트랙터(1)는 동력의 전달경로에 대하여 전후진 스위칭기구(15), Hi-Lo 변속기구(16)가 엔진(4)측에 배치됨으로써 전후진 스위칭기구(15), Hi-Lo 변속기구(16)를 구성하는 유압 다판 클러치(C1, C2, C3, C4)를 부변속기구(18)나 주변속기구(17)보다 동력전달의 상류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결과, 트랙터(1)는 동력의 전달경로에 있어서 회전동력의 속도가 비교적 높고 전달 토크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위치에 유압 다판 클러치(C1, C2, C3, C4)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랙터(1)는 이들 유압 다판 클러치(C1, C2, C3, C4)의 토크 용량을 비교적 작은 것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또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점에서도 트랙터(1)는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트랙터(1)는 상기 Hi-Lo 변속기구(16), 상기 주변속기구(17)가 주행 중에 변속 가능하기 때문에 주행 중에 있어서 상황에 따라 많은 변속단 중에서 선택해서 변속할 수 있으므로 이 점에서도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미션 케이스(12)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앞측의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와, 전후 방향 뒷측의 리어 미션 케이스(12R)로 나뉘어져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는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진 스위칭기구(15)의 유압 다판 클러치(C1, C2)의 제어용의 클러치 밸브(55), Hi-Lo 변속기구(16)의 유압 다판 클러치(C3, C4)의 제어용의 클러치 밸브(56), PTO 클러치 기구(38)의 유압 다판 클러치(C5)의 제어용의 클러치 밸브(57), 2WD/4WD 스위칭기구(19)의 유압 다판 클러치(C6, C7)의 제어용의 클러치 밸브(64), 기어 펌프(70) 등이 좌우의 면에 나누어서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폭 방향 우측의 면에 클러치 밸브(55), 클러치 밸브(56), 클러치 밸브(64)가 배치된다. 한편,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폭 방향 좌측의 면에 클러치 밸브(57), 기어 펌프(70)가 배치된다. 이 결과, 이 트랙터(1)는 클러치 밸브(55, 56, 57, 64), 기어 펌프(70) 등을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의 외면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와 리어 미션 케이스(12R)의 2개의 케이스 구성이라도 좋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 형상의 스페이서 케이스(12S)를 더 이들 케이스(12F, 12R)와의 사이에 끼워서 구성하고 있다(도 13). 즉, 미션 케이스(12)의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와 리어 미션 케이스(12R) 사이에 스페이서 케이스(12S)를 설치하고, 주변속기구(17)의 상기 변속축(22) 및 변속축(23), 2WD/4WD 스위칭기구(19)로의 상기 전달축(32)을 지지하는 메탈부(12Sa)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와 리어 미션 케이스(12R) 사이의 스페이서 케이스(12S)의 메탈부(12Sa)에 의해 변속축(22, 23)이나 전달축(32)을 지지함으로써 리어 미션 케이스(12R) 앞측의 메탈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와 스페이서 케이스(12S)를 접속하도록 조립하지만,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 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변속축(22, 23)이나 전달축(32)은 비교적 중량적으로도 크기적으로도 취급하기 쉬운 스페이서 케이스(12S)를 교묘하게 조정하여 중심을 맞추면서 메탈부(12Sa)에 이들 축을 축지지할 수 있고, 동시에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의 후면에 접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내장 기어나 샤프트의 장착과 함께 스페이서 케이스(12S)의 접합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스페이서 케이스(12S)는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의 좌우 폭보다 약간 넓은 플랜지부에 형성되어 있어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의 좌우 측면에 데드스페이스를 형성하는 형태로 되지만, 이 데드스페이스 부분을 이용해서 상기 제어 클러치 밸브(55, 56, 57, 64)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의 좌우 양측방에는 연료탱크(65L, 65R)를 설치한다. 좌우 연료탱크(65L, 65R)는 미션 케이스(12)의 하방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보강 지지 부재(77)에 적재하는 구성으로 하고, 엔진(4) 후단과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 전단의 접합부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돌출시켜서 설치한 세로 지지 부재(78) 등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문에, 상기 제어 클러치 밸브(55, 56, 57, 64) 및 기어 펌프(70)의 측방을 둘러싸게 되고, 이것들을 타물과의 충돌 등으로부터 보호한다(도 17, 도 18).
또한, 본 실시형태의 변속장치(5)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WD/4WD 스위칭기구(19)와 PTO 구동기구(20)가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 내에 있어서 차폭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해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변속장치(5)는 2WD/4WD 스위칭기구(19)가 차폭 방향 우측, PTO 구동기구(20)가 차폭 방향 좌측이 되도록 좌우로 나뉘어져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변속장치(5)는 2WD/4WD 스위칭기구(19), PTO 구동기구(20)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연직 방향을 따르는 높이를 억제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연직 방향 하측으로의 돌출을 억제하여 차고를 상대적으로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주변속 조작레버(45)는 작업자에 의한 주변속 조작에 따라서 주변속기구(17)를 제 1속 기어단(17a)∼제 6속 기어단(17f)의 6단 중 어느하나, 또는 뉴트럴로 스위칭하는 것이다. 주변속 조작레버(45)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변속 조작의 방향, 여기에서는 차폭 방향, 및 전후 방향을 따라 조작됨으로써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제 1속 기어단(17a)에 대응한 제 1속 변속 위치, 제 2속 기어단(17b)에 대응한 제 2속 변속 위치, 제 3속 기어단(17c)에 대응한 제 3속 변속 위치, 제 4속 기어단(17d)에 대응한 제 4속 변속 위치, 제 5속 기어단(17e)에 대응한 제 5속 변속 위치, 제 6속 기어단(17f)에 대응한 제 6속 변속 위치로 조작 가능하다.
주변속 조작레버(45)는, 도 21, 도 22,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변속 조작에 따라서 3개의 시프터 스테이(58, 59, 60) 중 어느 하나를 움직이고, 각 시프터 스테이(58, 59, 60)에 각각 1개씩 설치된 시프터(61, 62, 63)를 제 1속 기어단(17a)∼ 제 6속 기어단(17f)에 따른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주변속 조작레버(45)는 1개의 레버에 의해 3×2=6개의 포지션을 실현하고, 이것에 따라서 주변속기구(17)를 제 1속 기어단(17a)∼제 6속 기어단(17f)의 6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뉴트럴로 스위칭할 수 있다.
각 시프터 스테이(58, 59, 60)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시프터 스테이(58, 59, 60)는 차폭 방향을 따르는 단면으로 볼 때(도 22 참조)에 있어서, 시프터 스테이(59)를 중심으로 해서 시프터 스테이(58)과 시프터 스테이(60)가 차폭 방향의 좌우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 관계로 설치된다. 여기에서는, 시프터 스테이(58)는 시프터 스테이(59)에 대하여 차폭 방향 오른쪽 상측에 위치하고, 시프터 스테이(60)는 시프터 스테이(59)에 대하여 차폭 방향 왼쪽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시프터 스테이(58)와 시프터 스테이(60)는 연직 방향에 대하여 시프터 스테이(59)와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해서 배치된다. 또한, 시프터 스테이(58)는 차폭 방향에 대하여 시프터 스테이(59)와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해서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시프터 스테이(60)는 차폭 방향에 대하여 시프터 스테이(59)와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해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이 주변속기구(17)는 보다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이 점에서도 트랙터(1)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시프터(61)는 시프터 스테이(58)에 고정해서 설치되어 있다. 시프터(61)는 제 1속 기어단(17a), 제 2속 기어단(17b)과 변속축(22)의 결합 상태를 스위칭하는 것이며, 전후 방향에 대하여 제 1속 기어단(17a)과 제 2속 기어단(17b) 사이에 배치된다. 시프터(61)는 시프터 스테이(58)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이동에 따라서 제 1속 기어단(17a)과 변속축(22)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1속측 위치, 제 2속 기어단(17b)과 변속축(22)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속측 위치, 제 1속 기어단(17a), 제 2속 기어단(17b)의 모두가 변속축(22)과 결합하지 않고 해방되는 중립 위치(뉴트럴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시프터(62)는 시프터 스테이(59)에 고정해서 설치되어 있다. 시프터(62)는 제 3속 기어단(17c), 제 4속 기어단(17d)과 변속축(22)의 결합 상태를 스위칭하는 것이며, 전후 방향에 대하여 제 3속 기어단(17c)과 제 4속 기어단(17d) 사이에 배치된다. 시프터(62)는 시프터 스테이(59)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이동에 따라서 제 3속 기어단(17c)과 변속축(22)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3속측 위치, 제 4속 기어단(17d)과 변속축(22)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4속측 위치, 제 3속 기어단(17c), 제 4속 기어단(17d)의 모두가 변속축(22)과 결합하지 않고 해방되는 중립 위치(뉴트럴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시프터(63)는 시프터 스테이(60)에 고정해서 설치되어 있다. 시프터(63)는 제 5속 기어단(17e), 제 6속 기어단(17f)과 변속축(22)의 결합 상태를 스위칭하는 것이며, 전후 방향에 대하여 제 5속 기어단(17e)과 제 6속 기어단(17f) 사이에 배치된다. 시프터(63)는 시프터 스테이(60)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이동에 따라서 제 5속 기어단(17e)과 변속축(22)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5속측 위치, 제 6속 기어단(17f)과 변속축(22)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6속측 위치, 제 5속 기어단(17e), 제 6속 기어단(17f)의 모두가 변속축(22)과 결합하지 않고 해방되는 중립 위치(뉴트럴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주변속 조작레버(45)는 로드부(45a), 링크기구(45b) 등을 통해서 시프터 암(45c)이 연결되어 있다. 주변속 조작레버(45)는 중립 위치(도 20 중의 중앙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시프터 암(45c)이 시프터 스테이(59)의 보스부(59a)(도 23 참조)의 맞물림 홈(59b)(도 23 참조)에 맞물려 있다. 주변속 조작레버(45)는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차폭 방향 좌측으로 쓰러뜨려짐으로써 시프터 암(45c)이 시프터 스테이(58)의 보스부(58a)(도 23 참조)의 맞물림 홈(58b)(도 23 참조)에 맞물린다. 한편, 주변속 조작레버(45)는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차폭 방향 우측으로 쓰러뜨려짐으로써 시프터 암(45c)이 시프터 스테이(60)의 맞물림 홈(60a)(도 23 참조)에 맞물린다.
그리고, 주변속 조작레버(45)는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차폭 방향 좌측에 쓰러뜨려져 시프터 암(45c)이 맞물림 홈(58b)에 맞물린 상태에서, 또한 전후 방향 앞측으로 쓰러뜨려짐으로써 제 1속 변속 위치로 이동하고, 이것에 따라 시프터(61)를 시프터 스테이(58)와 함께 제 1속측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속 조작레버(45)는 주변속기구(17)의 변속단을 제 1속 기어단(17a)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주변속 조작레버(45)는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차폭 방향 좌측으로 쓰러뜨려져 시프터 암(45c)이 맞물림 홈(58b)에 맞물린 상태에서, 또한 전후 방향 뒷측으로 쓰러뜨려짐으로써 제 2속 변속 위치로 이동하고, 이것에 따라 시프터(61)를 시프터 스테이(58)와 함께 제 2속측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속 조작레버(45)는 주변속기구(17)의 변속단을 제 2속 기어단(17b)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주변속 조작레버(45)는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시프터 암(45c)이 맞물림 홈(59b)에 맞물린 상태]로부터 전후 방향 앞측으로 쓰러뜨려짐으로써 제 3속 변속 위치로 이동하고, 이것에 따라 시프터(62)를 시프터 스테이(59)와 함께 제 3속측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속 조작레버(45)는 주변속기구(17)의 변속단을 제 3속 기어단(17c)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주변속 조작레버(45)는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전후 방향 뒷측으로 쓰러뜨려짐으로써 제 4속 변속 위치로 이동하고, 이것에 따라 시프터(62)를 시프터 스테이(59)와 함께 제 4속측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속 조작레버(45)는 주변속기구(17)의 변속단을 제 4속 기어단(17d)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주변속 조작레버(45)는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차폭 방향 우측으로 쓰러뜨려져 시프터 암(45c)이 맞물림 홈(60a)에 맞물린 상태에서, 또한 전후 방향 앞측으로 쓰러뜨려짐으로써 제 5속 변속 위치로 이동하고, 이것에 따라 시프터(63)를 시프터 스테이(60)와 함께 제 5속측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속 조작레버(45)는 주변속기구(17)의 변속단을 제 5속 기어단(17e)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주변속 조작레버(45)는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차폭 방향 우측으로 쓰러뜨려져 시프터 암(45c)이 맞물림 홈(60a)에 맞물린 상태에서, 또한 전후 방향 뒷측으로 쓰러뜨려짐으로써 제 6속 변속 위치로 이동하고, 이것에 따라 시프터(63)를 시프터 스테이(60)와 함께 제 6속측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속 조작레버(45)는 주변속기구(17)의 변속단을 제 6속 기어단(17f)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주변속 조작레버(45)는 작업자에 의한 주변속 조작에 따라서 주변속기구(17)를 제 1속 기어단(17a)∼제 6속 기어단(17f)의 6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뉴트럴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맞물림 홈(60a)은 시프터 스테이(60)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맞물림 홈(58b, 59b)은 시프터 스테이(58, 59) 본체와는 별개로 형성되는 보스부(58a, 59a)에 형성되고, 이 보스부(58a, 59a)가 각각 시프터 스테이(58, 59) 본체에 볼트 체결됨으로써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주변속기구(17)는 시프터 스테이(58, 59, 60)나 맞물림 홈(58b, 59b, 60a), 시프터 암(45c)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 결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 점에서도 트랙터(1)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1)에 의하면, 엔진(4)으로부터 전달되어 주변속기구(17)에서 변속된 회전동력을 변속해서 후륜(3)측으로 전달 가능한 제 1 부변속기(24)와, 주변속기구(17)에서 변속된 회전동력을 제 1 부변속기(24)보다 더욱 저속으로 변속해서 구동륜측에 전달 가능한 제 2 부변속기(25)를 갖는 부변속기구(18)와, 제 1 부변속기(24)의 제 1 부변속 조작을 행하는 제 1 부변속 조작레버(49)와, 제 1 부변속 조작레버(49)와는 별개로 설치되어 제 2 부변속기(25)의 제 2 부변속 조작을 행하는 제 2 부변속 조작레버(50)를 구비한다. 따라서, 트랙터(1)는 예를 들면 부변속기구(18)에 있어서 추가의 변속단을 용이하게 추가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용이하게 추가의 변속단을 설치한 사양으로 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도 24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의한 변속장치(5)의 전동기구(13)에 있어서의 2WD/4WD 스위칭기구(19)는, 도 5∼도 7의 전동기구(13)의 유압 다판 클러치 형태에 대체해서 시프터(19e)에 의한 기계식 스위칭 형태로서 비용절감을 꾀하고 있다. 즉, 2WD/4WD 스위칭기구(19)는 전달축(19a), 제 1 기어(19b), 제 2 기어(19c), 전달축(19d), 시프터(19e)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시프터(19e)가 4WD 위치에 있을 경우, 전달축(19a)에 전달된 회전동력을 제 1 기어(19b), 제 2 기어(19c)를 통해서 전달축(19d)에 전달한다. 한편, 시프터(19e)가 2WD 위치에 있을 경우, 전달축(19a)에 전달된 회전동력의 전달축(19d)측으로의 동력전달이 차단된다. 이 결과, 트랙터(1)는 2륜 구동으로 주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5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의한 변속장치(5)의 전동기구(13)는 고저 변속기구로서의 Hi-Lo 변속기구(16)(도 5∼도 7 참조)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 전동기구(13)는 카운터축(21)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기어(216a)와, 변속축(2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기어(216b)가 맞물리도록 해서 구성된다. 이 경우, 카운터축(21)에 전달된 회전동력은 기어(216a), 기어(216b)를 통해서 변속축(22)에 전달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엔진(4)과 주변속장치(17) 사이에 전후진 스위칭기구(15), 또는 고저 변속기구[Hi-Lo 변속기구(16)]를 구비함으로써, 비교적 고회전역에 이것들의 클러치(C1, C2, C3,C4)를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에 배치하기 때문에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부가하여 2WD/4WD 스위칭기구(19)의 클러치(C6, C7)나 입력축(14)에 연동하는 PTO 구동기구(20)의 클러치(C5)를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에 설치함으로써 보호 구성을 집중적으로 행할 수 있고, 또한 메인터넌스 시의 작업도 용이하다. 또한 클러치(C1∼C7)의 전부 또는 일부를 유압 다단 클러치 형태로 함으로써 그 제어 클러치 밸브가 필요하지만, 이것들을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에 유로 형성하거나, 유압배관을 실시할 경우의 어느 쪽의 구성을 채용해도 이것을 짧게 할 수 있어 비용의 저렴화를 꾀할 수 있다.
2 : 전륜 3 : 후륜
4 : 엔진 5 : 변속장치
12: 미션 케이스 12F : 프론트 미션 케이스
12R : 리어 미션 케이스 12S : 스페이서 케이스
12Sa : 메탈부 13 : 전동기구
14 : 입력축 15 : 전후진 스위칭기구
16 : 고저 변속기구(Hi-Lo 변속기구) 17 : 주변속기구
18 : 부변속기구 19 : 2WD/4WD 스위칭기구
20 : PTO 구동기구 22 : 변속축
23 : 변속축 32 : 전달축
38 : PTO 클러치 기구 38a : PTO 입력 기어
38b : PTO 변속 입력용 전달축 40 : PTO축
55 : 제어 클러치 밸브 56 : 제어 클러치 밸브
57 : 제어 클러치 밸브 64 : 제어 클러치 밸브
65L : 연료탱크 65R : 연료탱크
70 : 기어 펌프 C1 : 유압 다판 클러치
C2 : 유압 다판 클러치 C3 : 유압 다판 클러치
C4 : 유압 다판 클러치 C5 : 유압 다판 클러치
C6 : 유압 다판 클러치 C7 : 유압 다판 클러치

Claims (10)

  1. 전륜(2) 및 후륜(3)과, 엔진(4)과,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 및 리어 미션 케이스(12R)를 구비하는 미션 케이스(12)와, 미션 케이스(12) 내에 배치되어 엔진(4)으로부터 후륜(3) 또는 전륜(2)에 회전동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기체에 장착된 작업기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전동기구(13)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기구(13)는 입력축(14), 전후진 스위칭기구(15), 주변속기구(17), 부변속기구(18), 2WD/4WD 스위칭기구(19), PTO 구동기구(20)를 구비하고, 상기 전후진 스위칭기구(15)의 클러치(C1, C2), 상기 2WD/4WD 스위칭기구(19)의 클러치(C6, C7) 및 상기 PTO 구동기구(20)의 클러치(C5)를 상기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 내에 배치하며,
    상기 전동기구(13)에는 고저 변속기구(Hi-Lo 변속기구)(16)를 구비하고, 상기 고저 변속기구(Hi-Lo 변속기구)(16)의 클러치(C3, C4)를 상기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 내에 배치하며,
    엔진(4)의 출력측에 연결된 입력축(14), 전후진 스위칭기구(15), 상기 고저 변속기구(Hi-Lo 변속기구)(16), 주변속기구(17), 부변속기구(18), 2WD/4WD 스위칭기구(19)의 순서로 전동하여 후륜(3) 또는 전륜(2)을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스위칭기구(15)의 클러치(C1, C2), 상기 2WD/4WD 스위칭기구(19)의 클러치(C6, C7), 상기 PTO 구동기구(20)의 클러치(C5) 또는 상기 고저 변속기구(Hi-Lo 변속기구)(16)의 클러치(C3, C4)를 유압 다판 클러치로 구성하고, 각 유압 다판 클러치의 제어용 클러치 밸브(55, 56, 57, 64)를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의 측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기어 펌프(70)를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의 측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엔진(4) 출력에 연동하는 입력축(14)으로부터 기어군(41, 38a, 70a)을 경유해서 기어 펌프(70)를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PTO 구동기구(20)의 PTO 변속기구(39)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PTO 변속 입력용 전달축(38b)에, 기어 펌프(70)를 연동시키는 상기 기어군(41, 38a, 70a) 중 하나의 PTO 입력 기어(38a)를 설치하고, 그 PTO 입력 기어(38a)와 상기 PTO 변속 입력용 전달축(38b) 사이에 상기 PTO 구동기구의 클러치(C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6. 제2항에 있어서,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의 측방에 연료탱크(65L, 65R)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7. 제2항에 있어서,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의 측방에 연료탱크(65L, 65R)를 설치하고, 기어 펌프(70)를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의 측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8. 전륜(2) 및 후륜(3)과, 엔진(4)과,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 및 리어 미션 케이스(12R)를 구비하는 미션 케이스(12)와, 미션 케이스(12) 내에 배치되어 엔진(4)으로부터 후륜(3) 또는 전륜(2)에 회전동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기체에 장착된 작업기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전동기구(13)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기구(13)는 입력축(14), 전후진 스위칭기구(15), 주변속기구(17), 부변속기구(18), 2WD/4WD 스위칭기구(19), PTO 구동기구(20)를 구비하고, 상기 전후진 스위칭기구(15)의 클러치(C1, C2), 상기 2WD/4WD 스위칭기구(19)의 클러치(C6, C7) 및 상기 PTO 구동기구(20)의 클러치(C5)를 상기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 내에 배치하며,
    미션 케이스(12)의 프론트 미션 케이스(12F)와 리어 미션 케이스(12R) 사이에 스페이서 케이스(12S)를 설치하고, 주변속기구(17)의 변속축(22, 23), 2WD/4WD 스위칭기구(19)의 전달축(32)을 지지하는 메탈부(12Sa)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21988A 2013-02-28 2014-02-25 작업 차량 KR101551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39195A JP6155701B2 (ja) 2013-02-28 2013-02-28 作業車両
JPJP-P-2013-039195 2013-02-28
JPJP-P-2013-266845 2013-12-25
JP2013266845A JP2015120484A (ja) 2013-12-25 2013-12-25 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137A KR20140108137A (ko) 2014-09-05
KR101551307B1 true KR101551307B1 (ko) 2015-09-08

Family

ID=51387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988A KR101551307B1 (ko) 2013-02-28 2014-02-25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44193B2 (ko)
KR (1) KR101551307B1 (ko)
CN (1) CN104015614B (ko)
TW (1) TWI5949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5265B2 (ja) * 2014-08-01 2018-04-04 株式会社クボタ 走行作業車
JP6346037B2 (ja) * 2014-09-09 2018-06-20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SE538560C2 (en) * 2014-12-10 2016-09-20 Scania Cv Ab A gearbox with a PTO clutch with integrated shaft brake
US9783049B2 (en) * 2015-10-09 2017-10-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mission having power take-off
US10935109B2 (en) 2017-06-22 2021-03-02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transmission and work vehicle having the same
CN108533743A (zh) * 2018-04-08 2018-09-14 湖北正信齿轮制造股份有限公司 工程机械变速箱自动换挡和正反转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JP6904323B2 (ja) * 2018-11-28 2021-07-14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7152A1 (en) 2000-07-11 2002-02-14 Emiliano Brancolini Tractor having a high speed shif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300453A (nl) * 1983-02-07 1984-09-03 Lely Nv C Van Der Trekker of dergelijk voertuig.
US5651289A (en) * 1994-07-08 1997-07-29 Kubota Corporation Drive transmission system for working vehicle
WO1999033682A2 (de) * 1997-12-23 1999-07-08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Getriebe
JP3636594B2 (ja) * 1998-05-26 2005-04-06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の伝動装置
US6457546B1 (en) * 1998-06-05 2002-10-01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Transmission mechanism of vehicle with HST and pressure oil feeding device for the mechanism
JP2001018671A (ja) * 1999-07-08 2001-01-23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トラクタの動力取出し装置
JP2001180319A (ja) * 1999-12-21 2001-07-03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多輪駆動車両
JP4754725B2 (ja) * 2001-06-20 2011-08-24 ヤンマー株式会社 農作業機
JP4182336B2 (ja) * 2002-12-18 2008-11-19 井関農機株式会社 動力車両の油圧回路
KR100602527B1 (ko) * 2004-03-22 2006-07-2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트랙터의 전동 시스템
US7357210B2 (en) * 2004-04-08 2008-04-15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Vehicle power transmission system
US7854281B2 (en) * 2006-03-30 2010-12-21 Kubota Corporation PTO clutch for work vehicle and operating apparatus for same
JP4820262B2 (ja) * 2006-10-06 2011-11-24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ンスミッション
KR101310698B1 (ko) * 2010-12-17 2013-09-25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의 원동부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7152A1 (en) 2000-07-11 2002-02-14 Emiliano Brancolini Tractor having a high speed shif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38757A1 (en) 2014-08-28
TW201441086A (zh) 2014-11-01
CN104015614A (zh) 2014-09-03
KR20140108137A (ko) 2014-09-05
TWI594912B (zh) 2017-08-11
US8944193B2 (en) 2015-02-03
CN104015614B (zh)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307B1 (ko) 작업 차량
US11592082B2 (en) Work vehicle transmission and work vehicle having the same
JP5652451B2 (ja) 作業車両
JP7034051B2 (ja) トラクタの変速伝動装置及びトラクタ
JP2014058194A5 (ko)
WO2019102999A1 (ja) トラクタの変速伝動装置及びトラクタ
JP6155701B2 (ja) 作業車両
JP5672344B2 (ja) 作業車両
JP4885349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2014073829A5 (ko)
JP2017036773A (ja) 副変速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作業車両
JP5900567B2 (ja) 作業車両
JP5291064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5243703B2 (ja) トラクタの変速伝動装置
JP5030155B2 (ja) 作業車両
JP2015120484A (ja) 作業車両
WO2016060025A1 (ja) 作業車両
JP6561440B2 (ja) 作業車両
JP6460933B2 (ja) 車両用手動シフト装置
JP2022047238A (ja) 作業車両
JP2019209926A (ja) 作業車両
KR830002489Y1 (ko) 농업용 트랙터
JP2016196244A (ja) 作業車両
JP2007191022A (ja) トラクタの副変速機構
JP2008030688A (ja) 農業用トラクタの伝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