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615B1 -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근 소스 - Google Patents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근 소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615B1
KR101536615B1 KR1020140161051A KR20140161051A KR101536615B1 KR 101536615 B1 KR101536615 B1 KR 101536615B1 KR 1020140161051 A KR1020140161051 A KR 1020140161051A KR 20140161051 A KR20140161051 A KR 20140161051A KR 101536615 B1 KR101536615 B1 KR 101536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us root
water
lotus
roo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송기
Original Assignee
김송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기 filed Critical 김송기
Priority to KR1020140161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근 소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은 연근을 준비하는 연근 준비단계; 상기 연근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연근을 미세크기로 미립화하는 연근분말 제조단계; 상기 연근분말 제조단계에서 분쇄된 연근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가열하는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 가열단계; 상기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 가열단계에서 제조된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물을 가열하면서 설탕, 간장 및 소금을 첨가하는 설탕, 간장 및 소금 첨가단계; 상기 설탕, 간장 및 소금 첨가단계에서 제조된 연근분말, 물, 설탕, 간장 및 소금의 혼합물에 전분을 혼합함으로써 점성을 부여하는 전분 혼합단계; 및 상기 전분 혼합단계에서 전분이 첨가된 혼합물을 일정시간 가열하여 농축하는 가열 및 농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근 소스는 연근의 고유한 식감과 풍미는 물론 생리기능성이 부여되어 섭취자의 건강을 보다 유익하게 할 수 있고, 연근이 가지고 있는 각종 영양 및 기능적 효능을 직접 섭취 또는 각종 식품의 소스, 드레싱, 양념장 등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연근의 이용가치와 소비를 확대함은 물론 대외적인 제품의 경쟁력과 연근 이용의 대중화를 이끌 수 있다.

Description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근 소스{METHOD FOR MANUFACTURING LOTUS ROOT SAUCE AND LOTUS ROOT SAUCE MANUFACTURED BY THEREOF}
본 발명은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근 소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근, 연잎, 연자, 연꽃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소스, 드레싱 또는 양념장 등으로 이용할 수 있게 제조함으로써, 연근의 고유한 식감과 풍미는 물론 생리기능성이 부여되어 소비자의 건강을 보다 유익하게 하고, 연근의 이용가치와 소비를 확대할 수 있는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근 소스에 관한 것이다.
연(Nelumbo nucifera)은 한국, 시베리아 지역의 못이나 늪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수초로서 예전에는 연꽃은 관상용으로, 연은 차와 술로 이용되었으나 근대에 이르러 연근 및 연잎, 연꽃이 식용이나 약용으로 많이 이용되게 되었다.
특히, 연근(Nelumbo nucifera Gaertn.)은 가을철에 뿌리줄기의 끝 부분이 굵어져 식용으로 사용하는 부분으로 본초명으로는 우(藕)라 하며, 예로부터 한방과 민가에서 맛은 달고 떫으면서 성질이 차지도 덥지도 않아 죽으로 요리하여 장복하면 어혈을 풀어주고, 신경통이나 류머티즘 및 피로회복과 병후의 회복에 좋으며, 위장과 폐가 약하거나 설사가 잦은 사람, 스트레스와 초조감, 출혈성 위궤양이나 위염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널리 이용되어왔다.
연의 뿌리와 잎은 methylcorypalline, dimethylcocaeurine, β-sistosterol, kaempferol, quercetine 및 tannic acid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연근 및 연잎의 효능에 관한 연구를 통해 혈장 콜레스테롤 감소, 심장병 예방효과, 당뇨병 예방효과, 대장암효과, 항산화효과 및 다이어트 효과 등이 보고되어 왔다.
이처럼 연근은 각종 성인병의 예방 관련 기능성 식품 소재로의 우수한 활용가치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대개 조림반찬으로만 식용되고 있어 활용도가 매우 낮다.
한편, 생활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서구화 및 증가된 스트레스로 인해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동맥경화증, 뇌혈관질환, 심장병 등의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부작용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약물에 대한 대체방안으로 고지혈증 및 심혈관계 질환 등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하여 천연물 및 한방약제 중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연의 과학적 효능 평가에 대한 연구논문은 많지 않으나 Fuchigami 등은 펙틴(pectin)질이 항염, 해소, 당뇨, 위궤양 및 빈혈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고, 보기(Borgi) 등은 인 비트로(in vitro) 실험에서 연근껍질 부분에 항염증 활성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연근은 가식부 100g 당 67 kcal로 열량이 낮고 수분 80.2%, 단백질 2.1%, 지방 0.1%이며 탄수화물이 15.6%로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셀룰로오스(cellulose), 펙틴(pectin) 등 식이섬유가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연근에는 콜레스테롤 혈관 침착억제력이 있는 레시틴이 함유되어 있고 아스파라긴산이 2%, 당단백질의 일종인 뮤신(mucin)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 C가 55㎎으로 풍부하며 K(potassium) 또한 377㎎이 함유되어 있다. 연근은 또한 전분이 많아 알러지로 고기를 먹지 못하는 어린이들에게 고기 대용식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연근, 연잎, 연자, 연꽃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소스, 드레싱 또는 양념장 등으로 이용할 수 있게 제조함으로써, 연근의 고유한 식감과 풍미는 물론 생리기능성이 부여되어 섭취자의 건강을 보다 유익하게 하여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최근 남녀노소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고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4-0110813호(2014년 9월 17일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0970600호(2010년 7월 9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138300호(2012년 4월 13일 등록)
본 발명은 연근, 연잎, 연자, 연꽃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소스, 드레싱 또는 양념장 등으로 이용할 수 있게 제조함으로써, 연근의 고유한 식감과 풍미는 물론 생리기능성이 부여되어 소비자의 건강을 보다 유익하게 할 수 있는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근 소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근이 가지고 있는 각종 영양 및 기능적 효능을 직접 섭취 또는 각종 식품의 소스, 드레싱, 양념장 등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연근의 이용가치와 소비를 확대함은 물론 대외적인 제품의 경쟁력과 연근 이용의 대중화를 이끌 수 있는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근 소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도록 연근 소스를 제조함으로써,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창출하고 미각을 높여 어린이나 노약자 등 남녀노소 관계없이 연근 소스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근 소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은 연근을 준비하는 연근 준비단계; 상기 연근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연근을 미세크기로 미립화하는 연근분말 제조단계; 상기 연근분말 제조단계에서 분쇄된 연근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가열하는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 가열단계; 상기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 가열단계에서 제조된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물을 가열하면서 설탕, 간장 및 소금을 첨가하는 설탕, 간장 및 소금 첨가단계; 상기 설탕, 간장 및 소금 첨가단계에서 제조된 연근분말, 물, 설탕, 간장 및 소금의 혼합물에 전분을 혼합함으로써 점성을 부여하는 전분 혼합단계; 및 상기 전분 혼합단계에서 전분이 첨가된 혼합물을 일정시간 가열하여 농축하는 가열 및 농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근을 준비하는 연근 준비단계는 연근, 연잎, 연자 또는 연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근분말 제조단계는 설탕과 물이 1:9 내지 2:8의 무게비로 혼합된 설탕물에 연근을 담근 후, 10~15 시간 절여주어 연근에 당분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근을 설탕물에 담궈서 당분이 흡수되도록 한 후 상기 연근을 자연건조시키고, 분쇄기를 이용하여 상기 연근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근을 분말화한 후 50~60℃의 온도에서 5~10분간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근분말 제조단계는 연근과 함께 대추, 황기, 은행, 도라지, 과당 및 호두를 추가로 첨가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상기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 가열단계는 연근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000~1200 중량부를 용기에 투입한 후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전분 혼합단계는 천연전분 또는 변성전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열 및 농축단계는 맛술, 마늘, 생강즙, 대파, 양파, 파인애플, 잔탄검(xanthan gum) 및 잔량의 정제수를 더 첨가한 후 가열하여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근 준비단계 이후에, 준비된 연근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연근 절단단계; 및 상기 절단된 연근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하는 연근 염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근 염색단계는, 절단된 연근을 사과식초와 레몬액 및 생수물을 2:1.5:1의 중량비율로 섞은 혼합물에 2~3시간 담가두었다가 물기를 빼낸 후, 연근을 2~5분 삶은 다음에 물기를 빼내며, 이어서 유자청에 연근을 1:2의 중량비율로 재워서 10~12시간 동안 저장함으로써 하얀색의 연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연근 소스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근 소스는 연근, 연잎, 연자, 연꽃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소스, 드레싱 또는 양념장 등으로 이용할 수 있게 제조함으로써, 연근의 고유한 식감과 풍미는 물론 생리기능성이 부여되어 섭취자의 건강을 보다 유익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근 소스는 연근이 가지고 있는 각종 영양 및 기능적 효능을 직접 섭취 또는 각종 식품의 소스, 드레싱, 양념장 등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연근의 이용가치와 소비를 확대함은 물론 대외적인 제품의 경쟁력과 연근 이용의 대중화를 이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근 소스는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도록 연근 소스를 제조함으로써,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창출하고 미각을 높여 어린이나 노약자 등 남녀노소 관계없이 연근 소스를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연근을 이용하여 소스를 만드는 제조방법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연근 이외에도 연잎, 연자, 연꽃 등을 이용하여 동일하게 소스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하의 실시예에서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는 연근에 한정되지 않고 연근 이외에 연잎, 연자, 연꽃 등도 포함하는 개념임을 밝힌다.
또한, 연근을 이용한 소스를 제조하는 방법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제조된 연근 소스를 소스 이외에도 드레싱, 각종 양념장, 생선회용 간장대용 등으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은 연근, 연잎, 연자, 연꽃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소스, 드레싱 또는 양념장 등으로 이용할 수 있게 제조함으로써, 연근의 고유한 식감과 풍미는 물론 생리기능성이 부여되어 소비자의 건강을 보다 유익하게 하고, 연근의 이용가치와 소비를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은 연근 준비단계(S100), 연근분말 제조단계(S110),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단계(S120), 설탕, 간장 및 소금 첨가단계(S130), 전분 혼합단계(S140), 및 가열 및 농축단계(S150)를 포함한다.
1. 연근 준비단계(S100)
상기 연근 준비단계(S100)는 본 발명에 따른 연근 소스를 제조하기 위한 연근을 준비하는 단계로, 상기 연근 이외에 연잎, 연자, 연꽃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연근 준비단계(S100)는 연근, 연잎, 연자 또는 연꽃 등의 부위별로 분리시켜 준비하여 연근 소스를 제조할 수도 있으나, 상기 연근, 연잎, 연자 또는 연꽃 등을 모두 포함하여 연근 소스를 제조할 수도 있다.
2. 연근분말 제조단계(S110)
상기 연근분말 제조단계(S110)는 상기 연근 준비단계(S100)에서 준비된 연근을 미세크기로 미립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연근분말 제조단계(S110)는 설탕과 물이 1:9 내지 2:8의 무게비로 혼합된 설탕물에 연근을 담근 후, 10~15 시간 충분히 절여주어 연근에 충분한 당분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설탕과 물이 혼합된 설탕물에 상기 연근을 담근 후 일정시간 절여주는 공정은 상기 연근의 당도를 높임과 동시에 연근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설탕물에 절여진 연근을 연근의 수분람향과 크기에 따라 4~7일 정도 자연건조 함으로써 연근에 흡수되어 있는 일정량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건조기를 이용하면 자연건조시 보다 훨씬 빨리 건조시킬 수 있다.
이어서, 연근에서 일정량의 수분을 제거하고 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상기 연근을 분쇄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이 때, 일정량의 수분제거가 완료된 연근을 분말 형태로 미세 분쇄한 후, 미세 분말 연근의 고소한 맛을 내기 위하여 50~60℃의 온도에서 5~10분간 가열하면서 볶아줄 수 있다.
상기 연근분말 제조단계(S110)에서는 연근의 고유한 식감과 풍미는 물론 소비자의 건강을 보다 유익하게 하고, 연근의 이용가치와 소비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근과 함께 대추, 황기, 은행, 도라지, 과당, 호두 등을 추가 첨가하고 있는데, 이는 연근의 씁쓸한 맛을 어느 정도 제어함과 동시에 연근 소스의 효능효과를 더욱 더 배가시켜 주기 위함이다.
즉, 상기 대추는 단백질, 지방, 사포닌, 포도당, 과당, 다당, 유기산을 비롯 칼슘, 철, 칼륨 등 36종의 다양한 무기원소를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마음을 안정시키고 불면증에 좋으며 갈락토오스, 수크로오스, 맥아당 등의 당이 많이 들어 있어 긴장을 풀어 흥분을 가라앉히고, 신경을 완화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
또한, 내장기능을 골고루 회복시키는 작용이 있어 소화기능을 좋게 하며,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기운을 돋우고 또 단백질이나 당류, 유기산, 비타민, 인, 철, 칼슘등의 여러가지 영양소를 골고루 갖추고 있어 그 효능효과가 매우 다양하다.
상기 황기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단너삼의 건조한 뿌리로서 맛은 달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하여 비장과 폐에 좋고 많은 땀을 흘리거나 상처가 잘 아무지 않는 것을 치료하여 주는 효과를 가진다 하였으며, 그 약리 실험 결과 강장작용, 면역기능조절작용, 강심이뇨작용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은행은 간놀, 펙틴, 히스티딘, 전분, 단백질, 지방, 당분등이 많이 들어 있어서, 호흡기능을 활발하게 하고 염증을 소멸하며 결핵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을 할 뿐 아니라 은행에는 레시틴과 비타민B의 모체가 되는 엘고스테린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서 성욕감퇴, 뇌빈혈, 신경쇠약, 전신피로 등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상기 도라지는 활용범위가 넓고 효과가 뛰어나서 여러가지 질병 등에 사용되는데, 일반기침이나 천식(喘息), 가래 등을 삭혀주는 거담(祛痰), 진해(鎭咳) 작용이 있으며, 그 밖에도 이뇨작용과 완화작용, 해독작용이 뛰어나서 소변이 잘 나오지 않을때, 신장염, 신장결석, 백일해, 부인병, 산후복통, 신경쇠약, 장염, 도통, 축농증과 같은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에 매우 뛰어나다.
상기 호두는 천식, 기침, 이뇨, 장품 및 독충에 물린데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양질의 단백질의 소화 흡수가 잘되는 지방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영양학적으로 중요한 알카리성 식품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연근에 대추, 황기, 은행, 도라지, 과당, 호두를 일정한 비율로 첨가하여 연근의 씁쓸한 맛을 제거함과 동시에 엷은 단맛과 깔끔한 맛을 제공하고 또 연근의 은은한 향을 발산하므로 남녀노소 누구가 즐겨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 가열단계(S120)
상기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 가열단계(S120)는 연근분말 제조단계(S110)에서 분쇄된 연근 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근분말과 물은 연근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000~1200 중량부를 용기에 투입한 후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물을 80~100℃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4. 설탕, 간장 및 소금 첨가단계(S130)
상기 설탕, 간장 및 소금 첨가단계(S130)는 상기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 가열단계(S120)에서 제조된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물을 가열하면서 설탕 60~70 중량부 및 간장 15-25 중량부를 첨가하고, 불을 약하게 줄인 후 0.1~1 중량부의 소금을 첨가할 수 있다.
5. 전분 혼합단계(S140)
상기 전분 혼합단계(S140)는 설탕, 간장 및 소금 첨가단계(S130)에서 제조된 연근분말, 물, 설탕, 간장 및 소금의 혼합물에 전분을 혼합함으로써 점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다. 상기 설탕, 간장 및 소금 첨가단계(S130)에서 상기 혼합물이 끓게 되면 소량의 전분을 첨가하여 점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분은 천연전분 또는 변성전분이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전분의 히드록시기와 반응물질 사이의 반응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형시킨 것 또는 이를 호화한 것으로서 천연 전분의 단점인 열안정성이 개선된 변성전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변성전분의 종류로는 산화전분(Oxidized Starch), 아세틸아디핀산이전분 (Acetylated Distarch Adipate), 아세틸인산이전분(Acetylated Distarch Phosphate), 옥테닐호박산나트륨전분(Starch Sodium Octenyl Succinate), 인산이전분(Distarch Phosphate), 인산일전분(Monostarch Phosphate), 인산화인산이전분(Phosphated Distarch Phosphate), 초산전분(Starch Acetate), 히드록시프로필인산이전분(Hydroxypropyl Distarch Phosphate) 및 히드록시프로필전분(Hydroxypropyl Starch) 등이 있다.
6. 가열 및 농축단계(S150)
상기 가열 및 농축단계(S150)는 전분 혼합단계(S140)에서 전분이 첨가된 혼합물을 일정시간 가열 농축하여 연근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열 및 농축단계(S150)에서는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맛술, 마늘, 생강즙, 대파, 양파, 파인애플, 잔탄검(xanthan gum)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함으로써, 소스 이외에도 드레싱, 각종 양념장, 생선회용 간장대용 등으로 손쉽게 이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은 연근 준비단계(S200), 연근 절단단계(S210), 연근 염색단계(S220), 연근분말 제조단계(S230),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단계(S240), 설탕, 간장 및 소금 첨가단계(S250), 전분 혼합단계(S260), 및 가열 및 농축단계(S2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은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연근 준비단계(S200)와 연근분말 제조단계(S230) 사이에 연근 절단단계(S210)와 연근 염색단계(S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 연근 준비단계(S200)
상기 연근 준비단계(S200)는 본 발명에 따른 연근 소스를 제조하기 위한 연근을 준비하는 단계로, 상기 연근 이외에 연잎, 연자, 연꽃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연근 준비단계(S200)는 연근, 연잎, 연자 또는 연꽃 등의 부위별로 분리시켜 준비하여 연근 소스를 제조할 수도 있으나, 상기 연근, 연잎, 연자 또는 연꽃 등을 모두 포함하여 연근 소스를 제조할 수도 있다.
2. 연근 절단단계(S210)
상기 연근 절단단계(S210)는 상기 연근 준비단계(S200)에서 준비된 연근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연근 절단단계(S210)는 추후의 연근 염색단계(S220)에서 연근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단계이다.
3. 연근 염색단계(S220)
상기 연근 염색단계(S220)는 연근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함으로써,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창출하고 미각을 높여 어린이나 노약자 등 남녀노소 관계없이 연근 소스를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연근 염색단계(S220)에서는 하얀색의 연근, 노란색의 연근, 연두색의 연근, 핑크색의 연근 등 다양한 색상의 연근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얀색의 연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절단된 연근을 사과식초와 레몬액 및 생수물을 2:1.5:1의 중량비율로 섞은 혼합물에 약 2~3시간 정도 자작하게 담가두었다가 물기를 빼낸다. 다음, 위와 같은 과정을 거친 연근을 2~5분 정도 살짝 삶은 다음에 물기를 빼고, 이어서 유자청에 연근을 1:2의 중량비율로 재워서 10~12시간 동안 저장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제조된 연근은 하얀색을 띄게 된다.
또한, 노란색의 연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절단된 연근을 감식초와 레몬액 및 치자물을 2:1.5:1의 중량비율로 섞은 혼합물에 약 2~3시간 정도 자작하게 담가뒀다가 물기를 빼낸다. 이후, 상기 연근을 끓는물에 2~5분 정도 살짝 삶은 다음에 물기를 빼낸 후, 유자청과 키위즙을 1:2의 중량 비율로 배합한 혼합물에 연근을 켜켜이 재워 10~12시간 동안 저장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연근은 노란색을 띄게 된다.
또한, 연두색의 연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절단된 연근을 감식초와 레몬액 및 치자물을 2:1.5:1의 중량비율로 섞은 혼합물에 약 2~3시간 정도 자작하게 담가뒀다가 물기를 빼낸다. 이어서 끓는 물에 2~5분 정도 살짝 삶은 다음에 물기를 빼내고, 이후 미리 준비한 유자청과 녹차가루를 7:3의 중량비율로 배합한 혼합물에 상기 연근을 켜켜이 재워 10~12시간 동안 저장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연근은 연두색을 띄게 된다.
또한, 핑크색 연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절단된 연근을 석류초와 레몬액 및 비트물을 2:1.5:1의 중량비율로 섞은 혼합물에 상기 연근을 약 2~3시간 정도 자작하게 담가뒀다가 물기를 뺀다. 이후, 미리 준비한 유자청과 석류액 및 딸기분말의 혼합물(40중량%:50중량%:10중량%)에 상기 연근을 켜켜이 재워 10~12시간 동안 저장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연근은 핑크색을 띄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하얀색의 연근, 노란색의 연근, 연두색의 연근, 핑크색의 연근을 제조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느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색상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연근에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4. 연근분말 제조단계(S230)
상기 연근분말 제조단계(S230)는 상기 연근 염색단계(S220)에서 색상이 부가된 연근을 미세크기로 미립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연근분말 제조단계(S230)는 설탕과 물이 1:9 내지 2:8의 무게비로 혼합된 설탕물에 연근을 담근 후, 10~15 시간 충분히 절여주어 연근에 충분한 당분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설탕과 물이 혼합된 설탕물에 상기 연근을 담근 후 일정시간 절여주는 공정은 상기 연근의 당도를 높임과 동시에 연근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설탕물에 절여진 연근을 연근의 수분람향과 크기에 따라 4~7일 정도 자연건조 함으로써 연근에 흡수되어 있는 일정량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건조기를 이용하면 자연건조시 보다 훨씬 빨리 건조시킬 수 있다.
이어서, 연근에서 일정량의 수분을 제거하고 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상기 연근을 분쇄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이 때, 일정량의 수분제거가 완료된 연근을 분말 형태로 미세 분쇄한 후, 미세 분말 연근의 고소한 맛을 내기 위하여 50~60℃의 온도에서 5~10분간 가열하면서 볶아줄 수 있다.
상기 연근분말 제조단계(S230)에서는 연근의 고유한 식감과 풍미는 물론 소비자의 건강을 보다 유익하게 하고, 연근의 이용가치와 소비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근과 함께 대추, 황기, 은행, 도라지, 과당, 호두 등을 추가 첨가하고 있는데, 이는 연근의 씁쓸한 맛을 어느 정도 제어함과 동시에 연근 소스의 효능효과를 더욱 더 배가시켜 주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첨가되는 대추, 황기, 은행, 도라지, 과당, 호두 등에 대하여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5.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 가열단계(S240)
상기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 가열단계(S240)는 연근분말 제조단계(S230)에서 분쇄된 연근 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근분말과 물은 연근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000~1200 중량부를 용기에 투입한 후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물을 80~100℃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6. 설탕, 간장 및 소금 첨가단계(S250)
상기 설탕, 간장 및 소금 첨가단계(S250)는 상기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 가열단계(S230)에서 제조된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물을 가열하면서 설탕 60~70 중량부 및 간장 15-25 중량부를 첨가하고, 불을 약하게 줄인 후 0.1~1 중량부의 소금을 첨가할 수 있다.
7. 전분 혼합단계(S260)
상기 전분 혼합단계(S260)는 설탕, 간장 및 소금 첨가단계(S250)에서 제조된 연근분말, 물, 설탕, 간장 및 소금의 혼합물에 전분을 혼합함으로써 점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다. 상기 설탕, 간장 및 소금 첨가단계(S250)에서 상기 혼합물이 끓게 되면 소량의 전분을 첨가하여 점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분은 천연전분 또는 변성전분이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전분의 히드록시기와 반응물질 사이의 반응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형시킨 것 또는 이를 호화한 것으로서 천연 전분의 단점인 열안정성이 개선된 변성전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변성전분의 종류로는 산화전분(Oxidized Starch), 아세틸아디핀산이전분 (Acetylated Distarch Adipate), 아세틸인산이전분(Acetylated Distarch Phosphate), 옥테닐호박산나트륨전분(Starch Sodium Octenyl Succinate), 인산이전분(Distarch Phosphate), 인산일전분(Monostarch Phosphate), 인산화인산이전분(Phosphated Distarch Phosphate), 초산전분(Starch Acetate), 히드록시프로필인산이전분(Hydroxypropyl Distarch Phosphate) 및 히드록시프로필전분(Hydroxypropyl Starch) 등이 있다.
8. 가열 및 농축단계(S270)
상기 가열 및 농축단계(S270)는 전분 혼합단계(S140)에서 전분이 첨가된 혼합물을 일정시간 가열 농축하여 연근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열 및 농축단계(S270)에서는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맛술, 마늘, 생강즙, 대파, 양파, 파인애플, 잔탄검(xanthan gum)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함으로써, 소스 이외에도 드레싱, 각종 양념장, 생선회용 간장대용 등으로 손쉽게 이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연근을 준비하는 연근 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연근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연근 절단단계;
    상기 절단된 연근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하는 연근 염색단계;
    상기 염색된 연근을 미세크기로 미립화하는 연근분말 제조단계;
    상기 연근분말 제조단계에서 분쇄된 연근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가열하는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 가열단계;
    상기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 가열단계에서 제조된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물을 가열하면서 설탕, 간장 및 소금을 첨가하는 설탕, 간장 및 소금 첨가단계;
    상기 설탕, 간장 및 소금 첨가단계에서 제조된 연근분말, 물, 설탕, 간장 및 소금의 혼합물에 전분을 혼합함으로써 점성을 부여하는 전분 혼합단계; 및
    상기 전분 혼합단계에서 전분이 첨가된 혼합물을 일정시간 가열하여 농축하는 가열 및 농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근을 준비하는 연근 준비단계는 연근에 연잎, 연자 및 연꽃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상기 연근분말 제조단계는 연근과 함께 대추, 황기, 은행, 도라지, 과당 및 호두를 추가로 첨가하여 분말화하고,
    상기 연근 염색단계는,
    절단된 연근을 사과식초와 레몬액 및 생수물을 2:1.5:1의 중량비율로 섞은 혼합물에 2~3시간 담가두었다가 물기를 빼낸 후, 연근을 2~5분 삶은 다음에 물기를 빼내며, 이어서 유자청에 연근을 1:2의 중량비율로 재워서 10~12시간 동안 저장함으로써 하얀색의 연근을 제조하는 것이고,
    상기 연근분말 제조단계는 설탕과 물이 1:9 내지 2:8의 무게비로 혼합된 설탕물에 연근을 담근 후, 10~15 시간 절여주어 연근에 당분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당분이 흡수된 연근을 자연건조시키고, 분쇄기를 이용하여 상기 연근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상기 분말화된 연근을 50~60℃의 온도에서 5~10분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 가열단계는 연근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000~1200 중량부를 용기에 투입한 후 연근분말 및 물의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전분 혼합단계는 천연전분 또는 변성전분이 사용되고,
    상기 가열 및 농축단계는 맛술, 마늘, 생강즙, 대파, 양파, 파인애플, 잔탄검(xanthan gum) 및 잔량의 정제수를 더 첨가한 후 가열하여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 소스.
KR1020140161051A 2014-11-18 2014-11-18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근 소스 KR101536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051A KR101536615B1 (ko) 2014-11-18 2014-11-18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근 소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051A KR101536615B1 (ko) 2014-11-18 2014-11-18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근 소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615B1 true KR101536615B1 (ko) 2015-07-15

Family

ID=5379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051A KR101536615B1 (ko) 2014-11-18 2014-11-18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근 소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6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0571A (ja) * 2005-07-19 2007-02-01 Cj Corp 根菜類または果菜類の加工食品製造方法
KR20070049263A (ko) * 2005-11-08 2007-05-11 김병곤 연근분말을 이용한 면류제조방법
KR100847956B1 (ko) * 2007-03-08 2008-07-22 서현주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연근의 조리방법
KR20090067603A (ko) * 2007-12-21 2009-06-25 한국식품연구원 연근 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0571A (ja) * 2005-07-19 2007-02-01 Cj Corp 根菜類または果菜類の加工食品製造方法
KR20070049263A (ko) * 2005-11-08 2007-05-11 김병곤 연근분말을 이용한 면류제조방법
KR100847956B1 (ko) * 2007-03-08 2008-07-22 서현주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연근의 조리방법
KR20090067603A (ko) * 2007-12-21 2009-06-25 한국식품연구원 연근 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41799A (zh) 一种竹笋辣椒酱及其制备方法
CN103584030B (zh) 一种大蒜糟制即食品的生产方法
CN102084947B (zh) 一种用可德兰多糖制作金耳银耳“双耳”果冻的方法
CN104026514A (zh) 一种保健马蹄糕及其制备方法
CN103549547A (zh) 一种糟制板栗风味食品的加工方法
CN103549544B (zh) 银杏糟制即食品的加工工艺
CN104643082B (zh) 枸杞大枣
CN104585775A (zh) 一种保健皮蛋的制备方法
CN104323217B (zh) 一种调味白骨壤果实酱及其生产方法
CN105146559A (zh) 一种香仙鲜保健猪蹄及其制备方法
KR102065653B1 (ko) 한방재료를 활용한 한방참기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한방 참기름
KR101764306B1 (ko) 건강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653173A (zh) 一种祛湿减肥保健醋饮料及其制备方法
CN101703223B (zh) 灵芝血耳羹及其制备方法
CN106722644A (zh) 竹荪营养羹的加工方法
KR20140027772A (ko) 옥음차 제조 방법
KR101731899B1 (ko) 기관지 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860298B1 (ko) 죽염간장 제조방법
KR101536615B1 (ko) 연근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근 소스
CN105166262A (zh) 一种滋补安神山药南瓜脯的加工方法
KR101300115B1 (ko) 건강 기능성 대추 건과 제조방법
KR101694431B1 (ko) 기호성이 우수한 한방 혼합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333240A (zh) 一种茯苓锌硒茶面条及其制作方法
CN105076475A (zh) 一种香菇素鸡及其制作工艺
KR100815333B1 (ko)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